[최진기 인문학특강 시즌3 완강 기념 특강]"한국경제 비관과 낙관 사이"

OhmyNews

최진기의 뉴스위크

[최진기 인문학특강 시즌3 완강 기념 특강]"한국경제 비관과 낙관 사이"

최진기의 뉴스위크

안녕하세요.

Hello.

반갑습니다.

Nice to meet you.

안녕하세요. 오는데 날씨가 엄청 추워졌더라고요. 그래서 올 겨울에도 여러분 우리 추운데도 불구하고 열심히 또 좋은 추우면 나쁘지만 또 따뜻해질 날도 오겠죠.

Hello. It has gotten really cold on the way here. So this winter, despite the cold, let's work hard together, and even though the cold can be bad, warmer days will come, right?

자 우리 오늘은 제가 오늘 한국 경제 해갖고 준비를 좀 열심히 했습니다. 그래서 오늘 특강 오랜만에 제가 강의를 하는 거라 그래서 열심히 준비를 해갖고 내용들 열심히 한번 해봤으니까요.

Alright, today I have prepared diligently for a lecture on the Korean economy. Since it's been a while since I've given a special lecture, I've really put in the effort to prepare and go through the content thoroughly.

같이 한번 우리 한 1시간 정도 같이 한번 이야기를 한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Let's talk together for about an hour.

주제는 뭐가 되느냐. 제 아주 거시적인 맨날 제가 여러분 미시적이고 재밌는 걸 했었는데 오늘은 좀 한번 좀 거창하지만은 한국 경제를 바라보는 관점이 기본적으로 비관론과 낙관론이 있을 겁니다. 그렇죠.

What will the topic be? I usually focus on micro and interesting aspects, but today, although it sounds a bit grandiose, there are fundamentally pessimistic and optimistic perspectives on the Korean economy. Isn't that right?

우리 선생님은 어떻게 비관적으로 보세요. 한국 경제를 낙관적으로 보세요.

Our teacher sees things pessimistically. Do you see the Korean economy optimistically?

낙관적으로 그렇죠. 낙관적으로 보시는 분도 계시고 비관적으로 보시는 분도 계실 텐데 제가 오늘 말씀드리고 싶은 거는 한국 경제가 비관적이다 낙관적이다라는 말이 아니라

Optimistically, yes. There are those who view it optimistically and those who view it pessimistically, but what I want to say today is not whether the Korean economy is pessimistic or optimistic.

비관적으로 바라보는 사람들은 주로 그 글쓰기.

People who look at things pessimistically mainly do that writing.

그 근거가 무엇이고 그다음에 낙관론적으로 바라보는 사람들은 그 근거가 무엇인데 그 근거가 무엇이고 비관적인 바라보는 관점에 근거가 있다면 그건 어떻게 없앨 수가 있고 낙관론적으로 바라보는 관점의 근거는 어떻게 하면 더 살릴 수 있는가.

What is the basis for that, and what is the basis for those who look at it optimistically? If there is a basis for a pessimistic perspective, how can that be eliminated, and how can the basis for an optimistic perspective be further supported?

그래서 우리가 한국 경제를 한번 전반적으로 좀 총체적으로 한번 조망을 해보자 이런 마음에서 한번 낙관론이라고 했는데 한국 경제가 뭐가 낙관적이에요.

So, in the spirit of taking a comprehensive look at the Korean economy, we have referred to it as optimistic, but what exactly is optimistic about the Korean economy?

지금 뭐 어떻게 얘기해. 뭐 하고 계시나요.

What are you talking about right now? What are you doing?

대학생이요. 뭐가 낙관적이에요. 우리 친구가 취업이 안 될 것 같은 느낌이 드는데.

I'm a university student. What is optimistic about this? I have a feeling our friend won't be able to find a job.

아 죄송합니다. 됩니다. 비정규직이라 그렇지.

Ah, I'm sorry. It can be done. It's because I'm a non-regular employee.

자 우리 보셨죠. 뭐가 낙관적이에요. 한국 경제가.

Well, we saw it, right? What is optimistic? The Korean economy?

제가 있으니까요. 어이가 없죠. 저는 저를 생각할 때마다 너무나.

Because I'm here. It's ridiculous. Every time I think of myself, it's just too much.

아 근데 저는 항상 학생들한테는 이런 얘기를 합니다. 뭐라고 그러냐면은 세상은 비판적으로 보지만 긍정적으로 살자.

Oh, but I always tell my students this. I say that although we should view the world critically, we should live positively.

이게 사실 프로모터거든요. 그래서 왜 비판적으로 봐야죠. 세상은.

This is actually a promoter. So we need to view it critically. The world.

뭐 똑같잖아요. 잘하지만 그러나 우리 긍정적으로 살자. 이게 제 프로모터인데 우리는 낙관적인.

Well, it's the same. We do well, but let's live positively. This is my promoter, and we are optimistic.

비관적으로 보시는 분도 계시잖아요.

There are those who view it pessimistically, you know.

한국 경제가. 어렵다. 선생님은 한국 경제가 어떠실 것 같아요.

The Korean economy is difficult. What do you think the Korean economy will be like, teacher?

아 저 낙관적으로.

Ah, so optimistic.

어떤 점이 낙관적이에요.

What aspects are optimistic?

아 저 사람들 열심히 일하니까.

Ah, those people are working hard.

아 저도 그건 생각해요. 한국 경제 한국인들이 열심히 일하죠. 쉽게 얘기하면 노동시간이 엄청 많죠.

Ah, I think about that too. The Korean economy, Koreans work hard. To put it simply, the working hours are incredibly long.

다르게 표현하면. OECD 국가 중에서 우리가 1등하는 게 엄청 많지 않습니까.

In other words, aren't there a lot of areas where we rank first among OECD countries?

자살률 이혼률 실업률 뭐 이런 거 다 1등해요.

The suicide rate, divorce rate, and unemployment rate are all ranked first.

근데 그중에서 1등하는 것 중에서 우리가 노동시간은 당연히 압도적으로 1등이죠.

But among them, we are obviously first in terms of working hours.

노동시간이 많으니까 사실 열심히 살 수밖에 없죠.

Since there are long working hours, I have no choice but to work hard.

근데 우리가 노동시간은 많은데요.

But we have a lot of working hours.

두 번째 문제가 있습니다. 노동 강도가 강한 거에 대해서는 우리 스웨덴이나 복지국가는 어떻게 생각합니까.

There is a second question. What do we think about high labor intensity in our Sweden or welfare states?

노동시간이 우리에 비해서 어때요. 대단히 짧죠.

How does the working hours compare to ours? They are very short.

근데 노동 강도 대단히 강합니다.

However, the intensity of labor is very high.

우리랑 여러분 생각하는 거랑 달라요.

What you think is different from what we think.

노동 강도는 우리가 대단히 강.

The intensity of labor is extremely strong for us.

스웨덴이 우리보다 노동시간당 GDP가 4배쯤 나오거든요.

Sweden's GDP per hour of labor is about four times higher than ours.

노동시간당 생산성이.

Productivity per hour of labor.

그 당연하지 않겠습니까.

Isn't that obvious?

걔네가 GDP가 우리보다 2배가 높지 않습니까.

Isn't their GDP twice as high as ours?

근데 노동시간은 우리보다 반쯤 짧잖아요.

But their working hours are about half shorter than ours.

노동시간은 반쯤 짧은데.

The working hours are somewhat shorter.

GDP가 2배 높으니까 노동시간당 생산성은 4배 높을 거 아니겠습니까.

Since the GDP is twice as high, productivity per hour worked would be four times higher, right?

그러면 여러분 스웨덴 같은 국가가 복지국가라고 그러지만 실제로 노동 강도가 가면 대단히 강합니다.

Well, countries like Sweden are called welfare states, but in reality, the intensity of labor is very high.

우리는 근무시간에 약간 썰렁썰렁하는 경우가 많아요.

We often experience a bit of boredom during working hours.

굉장히 어이없는 경험을 많이 봅니다.

I have seen many incredibly absurd experiences.

그러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는 거죠.

However, that may not be the case.

그래서 저는 근데 두 번째 포인트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노동 강도가 대단히 강할 뿐만 아니라 외국 나가보면 사실 한국인이 없는 곳은 없죠.

So, my second point is that not only is the intensity of labor among our people very high, but also when you go abroad, there really isn't a place without Koreans.

우리 중국만 나가보도 금방 느낄 수 있지 않습니까.

Isn't it easy to feel it as soon as we go out to China?

.

Please provide the text you would like translated.

누가 없어요. 중국 가보면 일본인이 엄청 금방 느끼잖아요.

No one is around. When you go to China, you can quickly feel that there are many Japanese people.

근데 우린 엄청 많잖아요.

But there are a lot of us.

그러니까 여러분 실제로 중국 경제가 쭉 발전하면서 가장 큰 혜택을 본 게 어디가 아니라 일본이 아니라 우리가 되어버리지 않았습니까.

So, everyone, as China's economy has been steadily developing, isn't it true that the biggest beneficiary has turned out to be not Japan but us?

그래서 한국 사람이 굉장히 열심히 일하기 때문에 저도 한국 경제가 굉장히 낙관적이다 이렇게 생각을 합니다.

Because Koreans work very hard, I think the Korean economy is very optimistic.

하지만 한국 경제를 또 비관적으로 바라보는 관점도 굉장히 많죠.

However, there are also many perspectives that view the South Korean economy pessimistically.

우리 한번 한국 경제를 비관적으로 바라본 사람들이 최근에서 가장 많이 들고 있는 예는 뭐가 되겠습니까.

What example do people who view the Korean economy pessimistically most frequently mention these days?

어떤 문제가 제일 심각하다고 그래요 가계부채라고 그러죠 가계부채가 으뜸이라고 합니다.

They say that the most serious problem is household debt. Household debt is considered the top issue.

그러면 오늘 우리가 한번 도대체 가계부채가 어떤 면이 문제라고 하는 건지 우리 가계부채라고 우리 선생님께서 말씀해 주셨죠.

So today, let's discuss what exactly the problems are with household debt, as our teacher pointed out.

한국 가계부채가 뭐가 제일 문제라고 생각합니까.

What do you think is the biggest problem with household debt in South Korea?

대출 자기 스스로 어려우니까 어려우시죠 지금 대출 때문에.

It's difficult for you because it's hard to manage the loan on your own right now.

어려우진 않으세요.

It's not difficult, is it?

저는 대출 때문에 쪽박차 저는 신용 이런 얘기 하지 말아야지 대출 심각한 문제입니다.

I went bankrupt because of a loan. I shouldn't talk about credit; loans are a serious issue.

그래서 저는 대출 많이 받았습니다.

So I took out a lot of loans.

받았다가 한때 신용불량자가 생활을 했었는데 대출은 심각한 문제죠 젊은 시절에 어쨌든 가계대출이 제일 문제라고 합니다.

I once had a period of living as a credit delinquent, and loans are a serious problem. Anyway, it is said that household loans are the biggest issue in my younger years.

또 한국경제 문제점 또 뭘 들 수 있을까요.

What other issues can we mention regarding the Korean economy?

고령화 제가 오늘 딱 두 가지 예를 갖다 들라고 하는 겁니다.

Aging, I am asking you to provide exactly two examples today.

두 번째 두 번 넘어가 보죠.

Let's move on to the second time.

그래서 저도 딱 말씀드렸던 게 우리 일반인과 다르지가 않습니다.

So I said exactly that we're no different from regular people.

여러분하고 똑같이 한국경제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사실 가계부채와 두 번째 고령화를 듭니다.

Just like you, I also cite household debt as the biggest problem of the Korean economy, followed by aging.

그런데 이제 하나하나씩 말씀드릴게요.

Well, now let me tell you one by one.

먼저 뭐가 되냐 가계부채나 고령화라는 거는 쉽게 병으로 치면 무슨 병에 비유할 수 있을까요.

First, what can we compare household debt or aging to in terms of illness?

저는 이 병에다 비유하고 싶습니다.

I would like to compare it to this bottle.

당뇨병 당뇨병이란 건 좋은 병인가요 나쁜 병인가요.

Is diabetes a good disease or a bad disease?

아니요 저는 굉장히 좋은 병이라고 생각합니다.

No, I think it's a very good disease.

왜 당뇨병으로 죽는 사람은 아무도 없죠.

Why don't people die from diabetes?

당뇨병으로는 죽지 않습니다.

You won't die from diabetes.

당뇨병으로는 절대 죽지가 않죠.

You definitely won't die from diabetes.

합병증으로 죽는 거죠.

You die from complications.

다 아시겠지만 노령화가 나쁘다고 그럽니다.

As you all know, they say that aging is bad.

그런데 저는 사실은 경제 노령화는 굉장히 이상합니다.

However, I find economic aging to be very strange.

왜 나쁩니까.

Why is it bad?

고령화가 왜 나빠요.

Why is aging bad?

젊은 사람이 없으면 뭐가 친구가 젊으니까 없으면 이상해 보이죠.

If there are no young people, it looks strange because it's said that friends are young.

그 친구 생각이에요.

It's about that friend.

생산성이 떨어지니까 친구가 나보다 생산성 높아요.

Since my productivity has dropped, my friend is more productive than I am.

굉장히 아니죠.

Not really.

왜냐하면 우리나라 지금 여러분 한국인의 근로평균성이 몇 살입니까.

Because in our country, what is the average working age of you Koreans right now?

44세에서 46세까지 올라가고 있습니다.

It is increasing from 44 years old to 46 years old.

굉장히 높죠.

It's really high.

한국인의 노동에 노동하는 사람들의 평균 나이가 44에서 46세가 됐습니다.

The average age of workers in Korea has become 44 to 46 years old.

거의 20몇 년 만에 10살이 높아졌어요.

It's been almost 20 years, and I've aged 10 years.

그러니까 우리가 길을 걸어가다 일하는 사람 딱 보지 않습니까.

So when we walk down the street, we often see people working, right?

44세에서 46입니다.

It is between 44 and 46.

지금 한국인의 생산성 낮습니까.

Is the productivity of Koreans low right now?

굉장히 높은 나라입니다.

It is a very high country.

그래서 우리가 고령화된다고 함부로 생산성이 낮다고 얘기하는 거 물론 언젠간 떨어지겠죠.

So just saying that productivity will inevitably decrease because we're aging, of course it will drop someday.

60대고 70대면 떨어지겠지만 그렇게 만만히 떨어지는 게 아닙니다.

If you're in your 60s or 70s, you may fall, but it's not something that happens easily.

내가 친구보다 생산성 높아요.

I am more productive than my friend.

우리 생산성의 문제는 그렇다고 쳐봅시다.

Let's say that's the issue with our productivity.

그러면 고령화는요.

Then what about aging?

어떤 의미에서 경제에 대단히 좋습니다.

In some sense, it is very good for the economy.

왜 좋을까요.

Why is it good?

경제가 그렇죠.

That's how the economy is.

뭐라고 하셨습니까.

What did you say?

지금 소비입니다.

It's consumption right now.

노령화는요.

Aging is.

나쁜 게 아니라 노령화는 되게 좋습니다.

It's not a bad thing; aging is actually very good.

우리가 고등학교 교과서에 이런 게 나옵니다.

We encounter things like this in our high school textbooks.

한 사람의 평균 소득 가설이라는 게 나옵니다.

There is a hypothesis about the average income of a person.

소득 가설이란 건 얘가 0살이에요.

The income hypothesis is that this is 0 years old.

그래서 쭉 삽니다.

So I keep living.

우리 80살까지 산다고 쳐봅시다.

Let's assume we live until 80 years old.

90까지 삽시다.

Let's live until 90.

에이 100살 살래요.

Oh, I want to live to be 100 years old.

소득은 여러분 어떻게 되겠습니까.

How will your income be?

처음에 태어나면 소득 있습니까.

Is there an income when you are born?

없습니까.

There isn't.

그러다 젊은 시절에 소득이 확 늘었다가 소득이 나중에는 떨어집니다.

Then, in their youth, income greatly increases, but later on, it falls.

이게 소득 성향이라고 표현합니다.

This is referred to as income propensity.

반면에 소비 구조는 어떻게 되겠습니까.

On the other hand, what will the consumption structure be like?

소비 구조는 태어날 때부터 소비는 발생해야 하네요.

The consumption structure suggests that consumption should occur from the moment of birth.

하죠.

Sure.

기저귀 안 차셨어요.

You haven't put on a diaper.

왜 안 한다 그러십니까.

Why do you say you won't do it?

기저귀 차셨죠.

You put on a diaper, didn't you?

모유 드시더라도 저는 분유도 먹었습니다.

Even if you drink breast milk, I also had formula.

그러니까 여러분 태어날 때부터 소비는 발생합니다.

So, everyone consumes from the moment they are born.

그럼 점점 나이 먹었을 때 소비는 감소합니까 증가합니까.

Then, does consumption decrease or increase as we get older?

증가하죠.

It increases.

그래서 소비는 이렇게 증가한다고 봅니다.

So I see that consumption increases like this.

그럼 여러분 이건 뭐가 발생하겠습니까.

So, everyone, what will happen here?

저축이죠.

It's savings.

이건 저축이 되겠습니까.

Can this be saved?

여러분 부채가 되겠습니까.

Will you become a fan?

부채 그는요.

Fan, that's him.

이 부채가 나쁘다.

This fan is bad.

아니죠.

No.

소비가 높잖아요.

Consumption is high, you know.

노인분들은 뭐가 되겠습니까.

What will happen to the elderly?

기본적으로 소득보다 소비가 많은 사람입니다.

Basically, they are someone whose spending exceeds their income.

자본주의 경제가 발전하기 위해선 기본적으로 뭐가 필요합니까.

What is fundamentally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a capitalist economy?

우리는 다 압니다.

We all know.

한국 경제 지금 뭐가 안 되고 있어서 문제예요.

The Korean economy is having problems because things are not going well right now.

소비 안 하죠.

I don’t consume.

소비 안 하지 않습니까.

Aren't you consuming?

이 외투 24년째 입고 있어요.

I've been wearing this coat for 24 years.

이 안경 6년째 쓰고 계십니다.

You have been wearing these glasses for six years.

소비가 안 되는 거예요.

It's not being consumed.

한국 경제 말하잖아요.

You’re talking about the Korean economy.

최근 어디도 안 된다고 그럽니까.

Where are they saying that it won't work recently?

백화점도 장사가 안 된다. 이렇게 나오죠.

Department stores are also struggling to make sales. They are coming out like this.

재래시장은 말할 것도 없고 백화점도 장사가 안 된다.

It's not just the traditional market; even department stores are not doing well.

이런 얘기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Such discussions are coming up.

한국 사회 소비가 여러분 굉장히 부진하기 때문에 문제가 되는 거예요.

The problem is that consumer spending in Korean society is very sluggish.

여러분 기본적으로 단어지만 소비가 많이 발생해야지만 경제의 선순환이 발생하는 거 아니겠습니까.

Basically, it's a matter of words, but isn't the virtuous cycle of the economy only possible when there is a lot of consumption?

우리 케인즈도 얘기했지만 케인즈가 공항을 극복하기 위해서 제시했던 것이 바로 뭐가 되겠습니까.

As our Keynes mentioned, what did Keynes propose to overcome the airport?

소비의 증대죠.

It's an increase in consumption.

소비가 발생해야지만 소비가 발생해야지만 당연히 그만큼 실업자가 생산이 발생하게 되고 실업자가 줄고 경제 선순환이 발생한다는 건 가장 기본적인 겁니다.

Consumption must occur for production to take place, and naturally, this leads to a reduction in unemployment and the creation of a positive economic cycle, which is the most fundamental principle.

그래서 노인이 많아진다는 거는 노인은 소득 대비 소비 성향. 소비 성향이라고 그러죠.

So the increase in the elderly means that the elderly have a tendency to consume relative to their income. It's referred to as consumption propensity.

소비 성향 이런 건 소득 대비 소비 아니겠습니까. 그게 낮다 높다. 높습니다.

Consumption tendency is relative to income, isn't it? Whether it's low or high. It's high.

그래서 노인들이 많아진다는 건 그 나라 자본주 경제 그 나라 시장 경제에 있어서 소비가 더 활발해져요. 소득보다 소비가 많기 때문에.

So an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leads to more active consumption in that country's capitalist economy and market economy, because consumption is higher than income.

맞지 않습니까. 70쯤 되셨습니다. 소득 있겠습니까. 폐지 주수면 안 되겠죠. 그렇잖아요. 있으면 연금소득이나 이자소득밖에 발생하지 않겠죠.

That's not right, is it? You must be around 70. Would you have any income? You can't be giving out scraps, right? That's not the case, is it? If you do have income, it would only be from pension or interest, right?

대신 소비는 뭐가 되겠습니까. 나이 들수록 활발해지기 때문에 자본주 경제에 있어서 굉장히 중요한 소비를 담당할 수가 있습니다.

Instead, what would consumption become? As we get older, we become more active, so we can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consumption in a capital-driven economy.

그래서 사실 고령화 자체가 경제 문제라고 얘기하는 건 대단히 어려운 문제입니다. 그런데 한국의 고령화가 최근 아주 이상한 성격을 보입니다.

So, it is very difficult to say that aging itself is an economic problem. However, South Korea's aging phenomenon shows a very strange characteristic lately.

뒤에 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I will show you the table behind.

이게 제가 여러분 이 표를 너무너무 찾고 싶었었는데 이게 궁금했었거든요. 개인적으로.

I really wanted to find this table, and I was really curious about it, personally.

이게 왜 재미있느냐. 이거 2008년이죠. 그다음에 이건 뭐가 돼야 되겠습니까. 2012년. 4년밖에 안 지났습니다.

Why is this interesting? This is 2008. Then, what should this be? 2012. Only four years have passed.

4년밖에 안 지났는데 이건 39세잖아요. 이 4년 전에는 젊은 애들의 소비 성향보다 노인의 소비 성향이 더 높죠. 이게 정상이에요.

It's only been four years, but this is 39 years old. Four years ago, the consumption tendency of the elderly was higher than that of young people. This is normal.

젊은 애들은 100원 벌어서 71원 쓰는 거 아닙니까. 이때. 4년 전입니다. 4년 전. 많이 오래된 게 아니에요.

Young people earn 100 won and spend 71 won, right? This is four years ago. Four years ago. It’s not that long ago.

그런데 이때는 노인분들은 뭐 했다. 100원 벌어서 얼마 썼다. 78원 썼었죠. 4년 만에 역전이 됩니다.

By the way, what were the elderly doing at that time? They earned 100 won and spent some of it. They spent 78 won. After four years, it turns around.

4년 만에 역전이 됐습니다. 그래서 노인분들은 거꾸로 100원 벌어서 71원 쓰는데 젊은 애들은 100원 벌어서 74원 쓰는 거예요.

After four years, the tables have turned. So, older people earn 100 won and spend 71 won, while young people earn 100 won and spend 74 won.

이게 굉장히 놀라운 일이에요. 왜. 교과서랑 완전 반대 일이 벌어진 거예요. 그래서 최근 고령화가 문제가 된다는 건 고령화 자체의 문제라고 아니라.

This is a very surprising situation. Why? It's the complete opposite of what is stated in the textbooks. So, the recent issue of aging is not a problem of aging itself.

노인층의 소비 성향이 확 떨어졌다는 거죠. 이해하시겠습니까. 오히려 젊은 층은 소비 성향이. 노인층과 젊은 층의 소비 성향이 역전됐어요.

The consumption tendency of the elderly has significantly decreased. Do you understand? On the contrary, the younger generation's consumption tendency has increased. The consumption tendencies of the elderly and the younger generation have reversed.

그러면 고령화가 시장 경제 체제에서 소비를 촉진시킴으로써 경제의 윤활유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소비를 하지 못함으로써 경제의 부담이 될 수 있는 것으로 현실적으로 나타났다는 거죠. 이유는 뭐겠습니까.

So, it has realistically emerged that aging does not promote consumption in a market economy system, playing the role of economic lubricant, but rather can become a burden on the economy by failing to consume. What could the reason be?

노인의 저축이 낮아졌죠.

The savings of the elderly have decreased.

자. 왜 저는 이래요.

Okay. Why am I like this?

왜 문제가 발생했겠습니까. 한번 해보겠습니다. 우리 경제로. 왜 문제가 발생했을까요.

Why do you think the problem occurred? Let's give it a try. Regarding our economy. Why did the problem happen?

첫 번째. 아. 양극화. 우리는 무조건 전가의 보도로 양극화를 휘둘러야 됩니다. 양극화. 무슨 문제야. 양극화. 무슨 문제야. 양극화. 원인은 누구야. 전정. 자. 이러면 나옵니다.

First. Ah. Polarization. We must unconditionally wield polarization as a scapegoat. Polarization. What’s the problem? Polarization. What’s the problem? Polarization. Who's to blame? Jeonjeong. Alright. This will come out.

양극화 문제도 있겠지만. 아니 우리 경제입니다. 경제. 저금리.

There may be issues of polarization, but no, it's our economy. The economy. Low interest rates.

노인들의 기본적인 소득은 무슨 소득입니까. 이자 소득이잖아요. 저금리 기조로 들어가니까. 소득이 줄어들지 않습니까. 소비는 쉽게 못 줄이니까 소비 성향이 팍 떨어지죠. 이해되시죠. 불안한 거예요. 이게 노인들이. 이해가시겠습니까. 어쨌든 노인들이 소비 성향이 떨어지면서 한국 사회에서 노인들이 소비의 중심이 아니라 고령화라는 당뇨병이 무릎에 쌓인다. 고령화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 그렇죠.

What is the basic income for the elderly? It's interest income, right? With the low interest rate trend, their income decreases, doesn't it? They can't easily reduce consumption, so their consumption tendency drops significantly. Do you understand? It's a concern for the elderly. Do you get it? Anyway, as the consumption tendency of the elderly decreases, they are no longer at the center of consumption in Korean society, and aging becomes a burden like diabetes on the knees. It's not just an issue of aging itself, right?

그것이 다른 합병증의 요인에서 한국 경제에 부담을 줄 수 있는 고령화 문제가 발생한다는 거죠. 그래서 노인층들에게 어떻게 소비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가. 이런 문제들이 나와야겠죠.

This means that the aging issue could put a burden on the Korean economy as a factor of other complications. Therefore, we need to consider how to stimulate consumption among the elderly. These issues must be addressed.

자. 오늘은 근데 사실은 본격적으로 다루고 싶은 문제는 노령화의 문제가 아니라 두 번째 나오는. 뒤로 넘어가 볼까요. 바로 뭐가 되겠습니까. 가계부채 문제입니다. 우리 가계부채가 얼마라고 그럽니까. 지금 전부 다. 천조시대라고 그러죠. 그럼 먼저 가계부채가 심각하다고 얘기하는 사람들의 주장을 들어보겠습니다. 가장 먼저 심각한 이유가 뭐라고 그랬습니까.

Alright. Today, however, the issue I really want to address isn't the problem of aging but the second one that comes up. Let's move on. What is it? It's the household debt issue. What do we say about our household debt? We're in the era of one quadrillion now. First, let's hear the arguments from those who say household debt is serious. What did they say is the most serious reason?

첫 번째 숨겨진 가계부채가 있다는 거죠. 천조를 넘는다고 그럽니다. 가계신용총액이 980조라고 나온 겁니다. 천조라고 얘기하는 거죠. 가계신용은 뭘까요. 가계신용이라는 건 가계부채 플러스 활부금입니다. 그렇죠. 우리 활부 수도 없이 지르시죠. 그렇죠. 카드 몇 개월로 끊어드릴까요. 12개월. 이게 나오는 거죠.

The first hidden household debt exists. It's said to exceed 1,000 trillion won. The total household credit is reported to be 980 trillion won. They are talking about 1,000 trillion won. What is household credit? Household credit is household debt plus installment payments. That's right. We endlessly make purchases on installments, right? How many months do you want to break it down for on the card? 12 months. That's how it comes out.

그래서 우리가 가계부채 플러스 활부가 나오는 건데 숨겨진 가계부채가 있다고 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이렇게 주의합니다.

So, we have household debt plus installment payments, but there is said to be hidden household debt, which is why some people are cautious about this.

그럼 그 500조의 비밀은 어디서 나오겠습니까. 천조랑 1500조는 느낌이 확 다르죠. 왜 천조는 뭐가 되느냐. 우리나라 GDP가 1200조쯤 되는 거니까 GDP보다 작은 거란 말이에요. 그런데 1500조가 딱 되면 GDP보다 확 커져 버리는 거죠. 그 얘기는 내가 1년 벌어서 갚을 수 있느냐 없느냐거든요. 그 빚을. 내가 소득이 3천만 원인데 빚이 2천만 원이다. 좀 느낌이 어때요. 상큼하죠. 그런데 소득이 3천인데 빚이 4천이다. 어때요. 약간 덜덜하죠. 똑같거든요.

Then where does the secret of that 500 trillion come from? The feeling about one thousand trillion and one thousand five hundred trillion is completely different, right? Why does one thousand trillion matter? Because our country's GDP is around one thousand two hundred trillion, which means it's less than the GDP. However, when it becomes one thousand five hundred trillion, it suddenly become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e GDP. That means whether I can repay that debt in a year or not. If my income is thirty million won and my debt is twenty million won. How does it feel? Fresh, right? But if the income is thirty million and the debt is forty million. How does it feel? A bit shaky, right? It's the same thing.

그러면 소득보다 현재 내 빚이 맞냐 적냐인데 그 경계점을 이룬단 말이에요. 어쨌든 느낌상으로도. 그럼 500조는 도대체 무슨 빚을 말하는 걸까요. 전세. 전세도 들어갈 수 있지만 사실 전세는 또 문제가 아닙니다. 전세도 문제일 수 있죠. 그런데 전세 또 문제가 아닌 이유는 뭡니까. 집 팔면 되거든요. 전세가 문제가 되는 건 부채는 왜 문제가 됩니까. 부채도 마찬가지로 제가 당뇨병이라고 이해했던 이유고 절대 부채 자체는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Then it's about whether my current debt is more or less than my income, and that forms a boundary point, at least in terms of feeling. So, what exactly does 500 trillion refer to in terms of debt? Jeonse (a type of rental agreement in Korea). Jeonse can be included, but in fact, jeonse is not the main issue. Jeonse can be a problem, right? But why is jeonse not a problem? Because you can sell the house. The issue with jeonse is the debt; why is debt a problem? The same reasoning applies to my understanding that I have diabetes, and debt itself is not a problem at all.

커플 수 있으면.

If you have a couple.

그렇죠. 제가 조교한테 지금 120만 원 빚지고 있습니다. 문제일까요. 어이없죠. 어이없습니다. 오늘 강의 끝나고 강의료로. 농담이고요. 절대 안 줍니다. 오마이너스는.

That's right. I'm currently 1.2 million won in debt to my teaching assistant. Is that a problem? It's ridiculous. It really is. After today's lecture, with the lecture fee. Just kidding. I absolutely won't give it. Oh my minus.

여러분 뭐가 되느냐. 사실을 말할 뿐입니다. 뭐가 되느냐. 여러분 제가 다 말씀드리지만 부채는 갚을 수 있으면 문제가 안 되는 거예요. 그래서 전세 자금은 실질적으로 느트라 하더라도 문제가 안 될 수가 있습니다. 왜. 갚을 수 있거든요. 전세는. 물론 요새 전세금이 너무 높죠.

What do you become, everyone? I’m just stating the facts. What do you become? I’m telling you everything, but if you can repay your debt, it’s not a problem. So even if the deposit for the jeonse is practically neutral, it might not be a problem. Why? Because you can repay it. As for jeonse, of course, the deposit amount is very high these days.

그래서 깡통 전세가 나오고 있지만 그건 문제가 되는 거죠. 하지만 기본 전세는 집 팔아서 갚으면 되지 않습니까. 자영업자 부채입니다. 자영업자 부채는 왜 안 잡히겠습니까. 금방 나오잖아요. 자영업자는 뭘 갖고 있습니까. 회사를 갖고 있죠. 그럼 대출 받을 때 자기 이름으로 받아요. 회사 이름으로 받습니까. 그럼 그건 기업 부채가 되죠. 그런데 실질적으로는 기업 부채입니까. 가계 부채입니까. 그게 안 잡히는 거예요.

So, although there are empty rental properties coming out, that's a problem. But with basic rent, can't you just pay it back by selling the house? It's debt from self-employed individuals. Why can't self-employed debt be counted? It comes out quickly. What does a self-employed person have? They own a company. So when they take out a loan, do they do it in their own name or the company's name? Then it becomes corporate debt. But is it actually corporate debt or household debt? That's what's not being accounted for.

그러면 그건 다른 나라도 문제가 있지 않습니까. 라고 딱 나오지 않습니까. 다른 나라도 문제일 수 있지만 우리나라가 더 큰 문제죠. 왜. 다 아시지 않습니까. 한국은 자영업자 비율이 높기 때문에. 금방 나오는 겁니다.

Then wouldn't that be a problem for other countries as well? It can be a problem for other countries, but our country has a bigger issue. Why? Isn’t it obvious? Because South Korea has a high proportion of self-employed workers. It comes out quickly.

그래서 우리가 가계 부채의 심각성을 얘기하는 사람들이 한국의 가계 부채는 일단 천조 자체도 위험한데 알고 보면 여기에는 자영업자 부채가 안 잡혀있다. 한국은 자영업 비율이 대단히 높은 나라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자영업 부채까지 갈 때는 1500조까지 갈 수 있다. 문제가 아니겠느냐. 딱 나오는 거죠.

So when we talk about the seriousness of household debt, there are people who say that Korea's household debt itself, which stands at one quadrillion, is dangerous, and upon closer examination, it turns out that self-employed debt is not included in that figure. Since Korea has an exceptionally high self-employment rate, when we consider self-employed debt, it could realistically reach up to 1,500 trillion. Isn't that a problem? It clearly emerges.

자 두 번째로 예를 드는 것은 바로 우리가 언제부터 가계 부채가 확 늘어났냐. 2004년부터 늘어납니다. 신용카드 민직이 터졌죠. 그리고 나서 가계 부채가 쭉쭉쭉 늘어납니다. 그래서 뭐라 표현하느냐. 가처분 소득 대비 가계 부채 부채입니다. 가처분 소득은 말할 그대로 여러분 제가 처분 가능한 소득. 내가 실제로 처분 내 마음대로 쓸 수 있는 소득이죠. 내 소득에서 세금과 고정금융 비용을 뺀 겁니다.

Now, the second example to mention is when household debt started to increase significantly. It started rising from 2004. The credit card bubble burst, and after that, household debt kept increasing steadily. So how do we express this? It’s the household debt relative to disposable income. Disposable income is exactly what it sounds like; it’s the income I can dispose of. It’s the income I can actually use as I please, after subtracting taxes and fixed financial costs from my income.

그거분의 무슨 비채. 가계 부채 비율이 있지 않습니까. 미국이 언제 터졌다. 서프라임 모기지놈이. 저게 몇 프로일 때.

What kind of debt do you have? Isn't there a household debt ratio? When did the U.S. burst? The subprime mortgage crisis. At what percentage was that?

130%일 때 터졌다고 합니다. 130%일 때 미국이 터졌다고 그러죠. 그런데 우리는 2008년 금융위기 때 130%에서 지금은 160%가 넘었다고 얘기합니다. 그래서 우리가 실제로 알고 보면 뭐라 표현하는 겁니까. 가계 부채가 1500조고.

It is said that it burst at 130%. They say the U.S. burst at 130%. However, we talk about how during the 2008 financial crisis it was at 130%, and now it has exceeded 160%. So what do we actually say when we know the facts? Household debt is 1,500 trillion won.

그 다음에 우리는 지금 미국보다도 신용위기가 더 큰 상태야. 즉 가처분 소득보다의 가계 부채의 비중이 훨씬 더 높기 때문에 한국의 가계 부채가 대단한 위기지라고 얘기합니다. 그 다음에 주장하는 근거가 하나가 더 나옵니다.

After that, we are currently in a state where the credit crisis is even greater than in the United States. In other words, the proportion of household debt relative to disposable income is much higher, which is why we say that South Korea's household debt is a significant crisis. Then, another argument is presented.

뒤에 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저는 오로지 수치로만 얘기합니다. 이 수치는 뭐라고 읽어드리면 되냐면요. 주요 국가의 가계 부채 증가율 추이입니다. 가계 부채 증가율. 이거 표를 보면 왜 재미있느냐. 이게 2008년이거든요. 2008년이면 뭐가 터진 겁니까. 금융위기가 터졌죠. 그런데 2008년 터지고 나면 모든 나라 가계 부채 증가율이 떨어집니다. 주요 OECD 국가들의 가계 부채 증가율이 전부 다 마이너스가 되죠.

I will show you a table in the back. I will only talk in terms of figures. This figure can be read as the trend of household debt growth rates in major countries. Household debt growth rate. What is interesting when you look at this table is that this is from 2008. What happened in 2008? The financial crisis occurred. However, after the crisis in 2008, the household debt growth rates of all countries decline. The household debt growth rates of all major OECD countries turn negative.

증가율이 마이너스라는 것은 OECD 국가들의 가계 부채가 늘었다 줄어들었다. 다 줄어들었어요. 그런데 우리나라만 놀랍게 증가하죠.

The fact that the growth rate is negative means that household debt in OECD countries has been increasing and decreasing. It has all decreased. However, only our country has remarkably increased.

보시면 알겠지만 미국, 일본, 독일, 영국이 다 뭐 했습니까. 가계 부채 증가율이 서프라이즈 모기주로는 떨어지면서 다 마이너스가 났거든요. 그런데 우리만 플러스가 난 거예요. 그래서 한국의 가계 부채의 위험을 얘기하는 사람. 이건 왜 그랬습니까 여러분. 당연하죠. 한국만 무슨 가계가 안 떨어졌습니까.

As you can see, what happened in the U.S., Japan, Germany, and the UK? The household debt growth rates fell, leading to negative numbers across the board. But we were the only ones that saw a positive figure. So people are talking about the risks of household debt in Korea. Why did this happen, everyone? Of course, it’s obvious. Was Korea the only country where households did not decrease?

부동산 가계가 안 떨어졌잖아요. 중국하고 한국만 부동산 가계가 안 떨어졌습니다. 서프라이즈 모기주로는 터지고 나서. 그런데 중국은 무슨 국가가 아니에요. OECD 국가가 아니죠. 그래서 OECD 국가 중에서 유일하게 금융위기 이후에도 가계 부채가 증가하고 있었던 건 우리밖에 없다는 거예요.

Real estate households haven't decreased, right? Only China and Korea have not seen a drop in real estate households. This happened after the surprise mortgage crisis. But China is not even a country in terms of OECD status. It's not an OECD country. So, among OECD countries, we are the only ones whose household debt has continued to rise even after the financial crisis.

그래서 가계 부채가 위험하다고 얘기하는 사람들의 주장의 근거는 크게 세 가지입니다. 하나, 가계 부채가 너무 많다.

So, the arguments made by those who say household debt is risky are largely based on three points. First, household debt is too high.

둘, 미국보다도 가계 부채 부담률이 더 컸다.

Second, the burden of household debt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United States.

세 번째, 금융위기 이후 OECD 국가 중 우리나라만 유일하게 가계 부채가 증가하고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 한 개 강국의 부채는 대단히 위험하다고 주장하는 겁니다.

Third, since the financial crisis, South Korea is the only country among OECD nations where household debt has increased. Therefore, it is argued that the debt of our nation, as a single strong country, is extremely risky.

이게 그 사람들의 주장입니다. 저는 그 주장에 동의한다 안 한다가 아니라. 그럼 거꾸로 가계 부채가 괜찮다라고 얘기할 수 있는 근거는 어디 있을까요. 정부 말대로 하지 맙시다.

This is the claim of those people. It's not about whether I agree or disagree with that claim. Then what is the basis for saying that household debt is okay? Let's not follow the government's words.

정부가 아니라.

Not the government.

전 정부.

The previous government.

전 정부의 주장입니다.

It is the claim of the former government.

주장대로 생각하지 맙시다.

Let's not think as you claim.

그렇죠? 가계 부채 상당히 위험합니다.

That's right? Household debt is quite dangerous.

그런데 한번 거꾸로 이런 포인트를 한번. 다시 한번 가볼게요. 부채는 제가 당뇨병이라고 했습니다. 당뇨병으로 죽지는 않습니다. 부채는 나쁘지가 않죠.

However, let’s take a moment to look at it from the opposite point of view. I mentioned that debt is like diabetes. You don't die from diabetes. Debt isn't necessarily a bad thing.

우리 부채가 나쁩니까 꼭? 아니죠. 어떤 일을 하고 싶은데 돈이 없어요. 그럼 뭐 해야 되겠습니까? 빌려서 하면 되죠. 그래서 뭐 하면 되겠습니까? 갚으면 되죠.

Is our debt necessarily bad? No. There’s something I want to do, but I don't have the money. So what should I do? I can borrow. So what should I do then? I can pay it back.

부채는 뭐 할 능력만 있으면 되는 겁니까? 갚을 능력이 있으면 됩니다. 갚을 능력.

Isn't it enough to just have the ability to incur debt? You just need to have the ability to repay. The ability to repay.

여러분 우리 유럽 국가 중에서 경제 위기 하면 어떤 나라가 떠오릅니까? 대볼까요? 피그라고 그러죠. 피그 중에서 어떤 나라 생각납니까? 포르투갈, 그리스, 스페인, 이태리 있죠.

Everyone, which country comes to mind when you think of an economic crisis among European countries? Let's take a look. It's called the PIGS. Which countries among the PIGS do you think of? Portugal, Greece, Spain, and Italy, right?

그 중에서 우리 경제 위기가 막 터질 것 같은데 잘 안 터졌던 나라가 있습니까? 그리스 괜찮으면 완전 쭉 갔어요. 쭉 갔죠. 스페인은 실업률이 뭐라고 그럽니까? 거의. 50%에 가깝다고 그러죠.

Among those, is there a country that seemed like it was about to experience an economic crisis but didn't? Greece is fine; it just kept going. It kept going, right? What about Spain's unemployment rate? It's almost close to 50%, right?

저는 이번에 사실 솔직히 말씀드립니다.

This time, I will honestly tell you the truth.

솔직히 포르투갈을 이번에 갔거든요. 두 달 전에 갔다 왔어요. 그런데 가서 깜짝 놀랐어요. 포르투갈 갔다 오신 분 계시나요, 혹시? 왜 깜짝 놀랐냐면 후진국이에요. 유럽이 아니에요. 물가가요. 우리보다 쌉니다.

To be honest, I just went to Portugal this time. I went two months ago. But I was surprised when I was there. Is there anyone who has been to Portugal, by any chance? The reason I was surprised is that it's a developing country. It's not Europe. The cost of living is cheaper than ours.

포르투갈 나중에 가보시면 깜짝 놀랐어요. 물가가 우리보다 싸고요.

If you go to Portugal later, you'll be surprised. The cost of living is cheaper than ours.

그러니까 쉽게 표현하면 우리 한 90년대도 안 싸죠.

So to put it simply, we weren't fighting even in the 90s.

되는 것 같아요. 느낌이. 정말이에요. 동유럽 같아요. 불가리 루마니아

It seems like it's happening. The feeling. It's real. It feels like Eastern Europe. Bulgaria, Romania.

거긴 못 가봤지만 그런 느낌이에요 . 스페인만 하더라도 유럽보다

I haven't been there, but it feels like that. Just looking at Spain, it's more than Europe.

좀 떨어져 있는데도 그래도 스페인 같으면 유럽 같은데 스페인보다

Even though it's somewhat far away, it still feels like Spain, which is like Europe, but more than Spain.

도 한참 더 후졌어요. 정말 깜짝 놀랐습니다. 그냥 미래가 없어요

It has gotten much worse. I was really surprised. There is just no future.

느낌이. 그래서 저는 중남미를 못 가봤는데 느낌이 딱 오더라고요

I haven't been able to go to Central and South America, but I just had a feeling about it.

. 아 너네 이렇게 사는구나. 갑자기 어깨에 힘도 들어가고 만나면

Oh, so this is how you guys live. Suddenly, I feel tension in my shoulders when I meet you.

왜 순박한 농민들 보는 느낌 있잖아요 . 엄청 친절하고 순박스럽고 가면

It feels like looking at simple farmers, you know? They are really kind and simple when you see them.

막 완전 이렇게 촌스러운 나라야 . 얘네들한테 400년 전에 식민지

It's such a totally uncivilized country. These guys were colonized 400 years ago.

당했던 애들은 도대체 정체가 뭘까 이런 생각이 들어요. 어쨌든 불구하고

I wonder what the identity of those who experienced it could be. Anyway, despite that...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 거는 포르투갈 도 그렇지만 이태리 경제 위기 위기

What I want to say is that both Portugal and Italy are facing an economic crisis.

왔는데 잘 안 터지죠. 이태리는요 가계부채 위기가 없습니다. 여러분

It's here, but it's not really working. Italy doesn't have a household debt crisis. Everyone.

이태리 사람이 뭐가 되느냐. 유럽 사람 중에서 1인당 자산이 가장

What does it mean to be Italian? Among Europeans, they have the highest per capita assets.

많은 사람이 이태리입니다. 주요 국가.

Many people are in Italy. It's a major country.

그 얘기는 뭐냐. 순자산이거든요 . 이태리 애들이 다 부자예요 실제로

What are you talking about? It's about net worth. The Italian kids are actually all rich.

. 이태리 애들이 부자 애들입니다. 소득이 없어서 그렇지 재산이 많은

Italian kids are wealthy kids. It's just that they don't have income, but they have a lot of assets.

애들이에요 이태리 애들이. 순자산 이 1위입니다.

These are kids from Italy. Their net assets are ranked first.

자 뒤에 표로 보여드리겠습니다. 뒤로 가보겠습니다. 제가 말씀드리

Let me show you in the table behind. I will go back. Let me tell you.

겠지만 주요국 금융자산 대 부채 비율이거든요. 이거 보시면 이게

But this is the ratio of financial assets to debt in major countries. If you look at this, this is...

이태리입니다. 이건 뭐냐면 부채 분의 금융자산이에요. 내가 100원 빚이 있는데 금융자산이 200원

This is Italy. What this means is that it is a financial asset of the debt portion. I have a debt of 100 won, but the financial asset is 200 won.

있습니다. 100원 부채가 있는데 자산이 200원 있는 거예요. 금융자산

I have a 100 won fan, but I have 200 won in assets. Financial assets.

부동산 빼고요. 그럼 얘는 문제 될 게 없죠. 왜 빚이 100원 있더라도

Excluding real estate, then this won't be a problem, right? Even if there is 100 won in debt.

주머니 얼마 있습니까. 200원 있으니까 언제든지 갚을 수 있느냐거든요

How much money do you have in your pocket? I have 200 won, so I can pay you back anytime.

. 그게 이태리예요. 이해되셨죠 그래서 이태리 애들은 이게 거의

That's Italy. Do you understand? So, for Italian kids, this is almost...

6배예요. 빚이 100원 있어요. 그런데 가계가 600원의 돈이 있는 겁니다.

It's six times. There's a debt of 100 won. However, the household has 600 won.

그러니까 이태리는 아무 문제가 없어요 .

So, there's no problem with Italy.

이태리는 나올 때 뭐냐면요. 정부 문제가 되는 거죠. 정부 부채 때문에

Italy's issue when it comes out is the government. It's due to government debt.

문제가 되는 거예요. 그래서 이태리 정부가 배 째일까 봐 겁나는 거지

It's a problem. That's why the Italian government is probably afraid of being in a tough spot.

이태리 가계가 문제가 되는 게 아닙니다. 여기 따와 있지 않습니까. 오히려

It's not the Italian household that is the problem. It's not like it's right here. Rather...

진짜 재밌는 건 이 나라 골 때리죠 . 우리가 뭐하고 생각하는 나라

What's really interesting is that this country is crazy. It's a country where we think about what we're doing.

입니까. 엄청 복지국가라고 생각하는 나라죠. 얘네들이 오히려 1위나 2위

Isn't it? I think it's a really welfare state. They are actually ranked 1st or 2nd.

낮죠 얘네들이. 다른 oecd 국가 중에서 .

These guys are low compared to other OECD countries.

없죠. 얘네들이. 그럼 얘네들 보고 우리가 뭐라고

They don't exist. Then what should we say to them?

해야됩니까. 가계 부채 위기라고 해야 되죠. 신문에 그런 거 보셨

We have to do it. It should be called a household debt crisis. Did you see that in the newspaper?

습니까. 스웨덴 가계 부채 위기 심각해. 그러지 않죠. 여기 왜 그러겠

Isn't it? The household debt crisis in Sweden is serious. Why is that here?

습니까. 여긴 거꾸로 금융 자산이 적은 거예요. 금융 자산이 왜 소비

Isn't it? Here, it's the opposite; the financial assets are low. Why are financial assets related to consumption?

성향이 높기 때문에 저축이 적습니다. 소비 성향이 왜 높겠습니까. 모든

Due to a high tendency, savings are low. Why would the consumption tendency be high? Everything.

. 복지국가는 소비 성향이 높기 때문에 저축이 적습니다. 모든 복지국가는

Welfare states have a high consumption tendency, so they save little. All welfare states

소비 성향이 높습니다. 왜? 다 써도 문제가 없습니까?

Consumption tendency is high. Why? Is there no problem even if everything is spent?

쟤네들이 어떻게 사는 거예요?

How do they live?

5일 동안 월화수목금 5시간 일하고 번돈으로 다 뭐합니까?

What do you do with the money you earn from working 5 hours for five days, Monday through Friday?

세금 내고 나머지는 다 쓰잖아요.

After paying taxes, I spend the rest anyway.

Don't worry. 왜? 왜?

Don't worry. Why? Why?

국가가 그 돈의 일부를 모아서 나중에 돌려줄 테니까.

The government will collect some of that money and return it later.

저축률이 제일 높은 국가가 어디입니까?

Which country has the highest savings rate?

저축률 지금 1등하는 국가가 어디입니까?

Which country currently has the highest savings rate?

China. 못 쓰는 거예요.

China. It's not usable.

우리나라 와서 화장품 많이 산다고요?

Do you say that you buy a lot of cosmetics after coming to our country?

그건 관광 와서 사는 거고요.

That's living while on vacation.

중국 애들 어떻게 저축을 안 합니까?

How come Chinese kids don't save money?

벌면 저축해야죠. 어떻게 될지 모르는데.

If you earn, you should save. You never know what might happen.

우리 70년대 여러분 어땠습니까?

How was everyone in the 70s?

그랬잖아요. 버는 쪽쪽 뭐 했습니까? 저축하지 않았습니까?

You said that, right? What did you do with the money you earned? Didn't you save it?

그래서 여러분 얘네들 보고는 가계부채 위기라고 얘기를 하는 게 아닙니다.

So when I talk about these guys, I'm not saying it's a household debt crisis.

근데 여러분 우리가 욕이 있거든요.

But everyone, we have some bad words.

욕이 있다라는 말씀은 뭐가 되느냐?

What does it mean when you say there is a curse?

한국도 욕이 이쯤됩니다.

Korea also has insults at this level.

이쯤된다는 얘기는 나머지 국가가 더 나아진다고 그랬는데

This means that the other countries are said to improve as we get to this point.

한국 역시도 부채가 100원이면 금융자산이 200원 있다는 거예요.

In Korea, if the debt is 100 won, it means there are financial assets worth 200 won.

그래서 이런 면에 대해서는 한국의 부채 비율이 높지만

So in this regard, Korea's debt ratio is high, but...

어? 갚을 능력이 있을 수도 모른다라고 얘기하는 겁니다.

Huh? I'm saying that there might be a possibility of being able to repay.

특히 더 중요한 걸 보여드리겠습니다. 바로 이겁니다.

I will show you something especially more important. This is it.

여러분 빚은 누가 집니까?

Who is taking on the debt, everyone?

자 우리 한번 말씀드릴게요.

Alright, let me tell you something.

자 난 빚이 있다.

I have debt.

빚 있다. 빚 손드신 분 보셨죠?

"I have debt. Have you seen those who have raised their hands about debt?"

정작.

Actually.

그냥 딱 럭셔리 하시잖아요.

It's just perfectly luxurious.

자 우리 한번 가보겠습니다. 우리 친구 빚 있어요?

Alright, let's go. Does our friend have any debts?

없어요.

I don't have it.

누가 이 친구한테 돈을 빌려줍니까?

Who would lend money to this friend?

월평균 소득이 얼마예요?

What is the average monthly income?

없죠.

No, there isn't.

다시 말씀드리지만 부채가 많다라는 거는 잘 사는 사람들입니다.

To reiterate, having a lot of debt means one is doing well in life.

그래서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지만 특히 우리는 더 심한데

So it's the same in our country, but especially for us, it's worse.

소득 분위별.

By income quintile.

여기 제일 가난한 친구들이죠.

These are the poorest friends here.

여기는 뭐가 되겠습니까? 5분위 제일 부자 분들이죠.

What would this be? The richest people in the top 5 percent.

그래서 우리나라는 여러분 부채들이 특히 4분위와 5분위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So in our country, the debts are particularly concentrated in the fourth and fifth quintiles.

근데 4분위와 5분위에서는 여러분 최근 성격이 뭐가 되느냐.

But in the 4th and 5th quartiles, what has your recent personality become?

최근 4분위와 5분위의 분들이 뭘 했습니까?

What have the people in the 4th and 5th income brackets done recently?

부동산 가격이 상대적으로 떨어졌을 뿐만 아니라 부동산을 처분하셨죠.

Not only did the real estate prices drop relatively, but you also sold the property.

그리고 금융자산 비중을 높여나가기 때문에

And because the proportion of financial assets is increasing.

실제로 우리나라 부채가 안전하다고 얘기하는 이유 중에 하나는

One of the reasons why we say our country's debt is safe is that

고소득자들의 부채일 뿐입니다.

It is only the debt of high-income earners.

갚을 능력이 있다.

I have the ability to repay.

세계적으로 비춰보더라도 큰 문제가 없다라고 얘기하는 겁니다.

It means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problem even when viewed globally.

그래서 한국의 가계부채는 당뇨병이지만 아직까지는 다른 합병증을 일으키지 않고 있다.

So, Korea's household debt is like diabetes, but for now, it hasn't caused other complications.

다른 합병증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라고 주장하는 대표적인 건가.

Is it a typical example of claiming that issues with other complications may not occur?

다음 문제로 한번 가보겠습니다.

Let's move on to the next problem.

진짜로 더 중요한 걸 보겠습니다.

I will look at something more important.

아 여기 앞에 앞에 앞에 앞에 앞에 앞에 갔다 나왔으니까 어쩔 수 없습니다.

Oh, since I went to the front in front in front in front, I can't help it.

그런데 여러분 자 우리 부채가 있죠.

By the way, everyone, we have a fan, right?

부채는 하나 갚으면 된다고 그랬습니다.

They said you only need to pay off one debt.

갚기 위해서 뭐가 있으면 되겠습니까.

What can I do to repay you?

재산이 있으면 되는 거죠.

It's enough to have wealth.

그런데 사실은 재산보다 더 중요한 문제가 있습니다.

However, there is a more important issue than wealth.

왜 제가 봤을 때 재산은 큰 문제가 없습니다.

I don't think there is a major problem with the assets.

한국이.

Korea.

그런데 가계부채가 문제가 되는 이유 첫 번째 재산이 없으면 뭐가 있으면 되겠습니까.

However, the first reason household debt is a problem is that if there are no assets, what do you have?

소득이죠.

It's income.

우리 아파트 담보대출 할 때도 똑같죠.

It's the same when we take out a mortgage for our apartment.

담보대출이냐 소득대출이냐.

Is it a secured loan or an income loan?

그래서 그걸 규제를 하지 않습니까.

So, isn’t that something that should be regulated?

담보대출만 규제하는 게 아니라 소득대출도 규제하죠.

It's not just mortgage loans that are regulated; income loans are also regulated.

그런데.

By the way.

한국은 자산의 문제는 없을지 모르더라도 소득의 문제는 발생했다는 거죠.

While Korea may not have a problem with assets, there has been a problem with income.

그래서 모는 발생하고 있지만 가계부채가 증가하는 만큼 소득이 늘고 있지 않다라는 건 틀림없습니다.

Therefore, it is certainly true that while events are occurring, income is not increasing to the same extent that household debt is rising.

한국의 가계부채 문제점은 갚을 능력은 재산상으로는 현재 있어 보이지만

The problem with household debt in Korea seems to be that, on the surface, there appears to be the ability to repay in terms of assets.

그러나 부채 증가 속도에 비추어 소득이 증가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문제될 수 있다.

However, it could be problematic because income is not increasing in light of the pace of debt growth.

이게 합리적인 결론이라는 겁니다.

This is what we call a reasonable conclusion.

한번 보여드리겠습니다.

I will show you once.

뭐가 되느냐.

What will it become?

다음 그래프로 넘어가보죠.

Let's move on to the next graph.

GD.

GD.

GDP와 가계소득의 증가치입니다.

It is the increase in GDP and household income.

저는 표로만 얘기합니다.

I only communicate in tables.

보시면 알겠지만 이게 뭐가 되느냐.

As you can see, what does this become?

한번 가보겠습니다.

I will give it a try.

이 파란색이 가계소득 증가율이거든요.

This blue line represents the increase rate of household income.

그래서 이 빨간색은 GDP 증가율입니다.

So this red color represents the GDP growth rate.

그럼 이 까만색은 뭐가 되느냐.

Then what does this black color become?

격차예요.

It's a gap.

그래서 쉽게 얘기하면 그냥 보시면 알겠지만 이때는 GDP 증가율과 가계소득 증가율이 어떻습니까.

So, to put it simply, you can tell just by looking that the GDP growth rate and household income growth rate are what during this period?

같이 가고 있죠.

We are going together.

그러다 언제가 딱 터지게 되면 90년대 넘었잖아요.

Then it will explode sometime, and it's already past the 90s.

그러면 GDP는 증가하는데 가계소득은 감소한다 이겁니다.

So, GDP is increasing while household income is decreasing.

그러면 가계소득은 감소하는데 가계부채가 증가하고 있다는 거거든요.

This means that household income is decreasing while household debt is increasing.

정의되셨죠.

You have been defined.

그러니까 벌어서 갚기는 힘들고 집 팔아서 갚아야 된다가 한국의 가계소득부채입니다.

So, it's difficult to earn and repay, so you have to sell your house to repay, which is the household income debt situation in Korea.

한국의 가계부채가 뭐가 문제냐고 딱 말을 하면 한마디로 정해질 수 있습니다.

If you ask what's the problem with Korea's household debt, it can be summed up in one word.

정의되셨습니까.

Have you been defined?

벌어서 갚기 힘들어졌다.

It became difficult to earn and repay.

.

Please provide the text you would like to have translated.

아직 집 팔아서 갚을 수는 있지만 이게 딱 정답입니다.

I can still pay it back by selling my house, but this is the exact answer.

명쾌한 거죠.

It's clear-cut.

그럼 이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Then a problem has occurred now.

그럼 이 갭은 나쁘냐 좋으냐 이거죠.

So, the question is whether this gap is bad or good.

나쁠까요 좋을까요.

Will it be bad or good?

나쁘겠죠 지금 일단은.

It would be bad right now, for starters.

가계가 빚을 못 갚으니까.

Because the household cannot pay off their debt.

그럼 저게 나쁘겠습니까.

Then would that be bad?

그럼 저건 누가 먹었을까요.

Then who ate that?

그럼 정답이 나왔습니다.

Then the answer has been revealed.

누가 먹었습니까.

Who ate it?

그럼요.

Of course.

.

It seems there is no text provided for translation. Please provide the Korean text you would like translated into English.

gdp는 결국은 분배로 치면 경제 주체는 세 가지 주체가 있습니다.

In terms of distribution, there are three economic agents when it comes to GDP.

누가 누가 있겠습니까.

Who would be there?

가계 정부 기업이 있습니다.

There are households, the government, and businesses.

그럼 정부가 먹었거나 기업이 먹은 거죠 저격자.

Then the government or the companies have taken it, sniper.

그럼 gdp가 이만큼 증가하는데 가계가 요밖에 안 증가했으면 더 확 증가한 애가 있겠죠.

Then, if GDP increases this much but household income only increases this much, there must be something else that has increased significantly.

그게 누구겠습니까.

Who could that be?

기업이다 이겁니다.

It is a corporation.

그럼 기업이 많이 먹는 게 나쁜가요.

Is it bad for companies to make a lot of profit?

방금 저는 사실 나쁜 측면도 있죠.

I just have to admit that there are indeed bad aspects.

어저께 여러분 뭐 했습니까 정부가 전기를 올렸습니다.

What did you all do yesterday? The government raised electricity rates.

산업 전기료는 6% 올리고 가정 전기료는 2% 올렸습니다.

Industrial electricity rates have been increased by 6%, while residential electricity rates have been raised by 2%.

그랬더니 정경연이 막 발표했죠.

Then Jeonggyeongyeon announced it.

난리 났죠.

It's a mess.

사실 좀 어처구니가 없는 거죠.

It's actually quite ridiculous.

제가 몇 번 전기료에 대해서는 강연한 적이 있으니까.

I have given a lecture on electricity bills a few times.

그런 면에서는 나쁠 수 있지만 뒤로 넘어가 보겠습니다.

It may not be good in that regard, but let’s try to move forward.

어느 정도 먹었느냐.

How much have you eaten?

이게 90년이고 이게 2011년입니다.

This is 1990 and this is 2011.

표로만 말씀드립니다.

I will only speak in a table format.

딱 보시면 gdp 중에서 이때는 가계가 71%를 차지했습니다.

At that time, households accounted for 71% of GDP.

gdp에서.

in GDP.

기업이 몇 % 차지했습니까.

What percentage did companies account for?

16% 차지했죠.

It accounted for 16%.

그런데 기업은 지금 몇 % 차지한다.

However, companies now account for a certain percentage.

24%입니다.

It is 24%.

여러분 무려 1.5배가 증가한 겁니다.

Everyone, it has increased by a whopping 1.5 times.

20년 만에.

After 20 years.

엄청나게 증가한 거죠.

It has increased tremendously.

가계는 71%를 차지하다가 60%를 차지하는 거죠.

Households account for 71% and then 60%.

전체 100원 벌던 거에서 70원을 가계가 벌었다면 이제 60원 밖에 못 갖고 오고 있는 겁니다.

If the household earned 70 won out of a total of 100 won, then now they can only bring back 60 won.

이 격차를 기업이 먹습니다.

The company takes this gap.

그래서 여러분 뭐가 되느냐.

So what do you become, everyone?

가계 소득은 10%가 떨어지는데 기업 소득이 이렇게 증가합니다.

Household income is falling by 10%, while corporate income increases like this.

그래서 20년 동안 기업이 진짜 발전한 겁니다.

So the company has truly developed over the past 20 years.

그러면 여러분 기업이 이렇게 되는 게 얼마나 그렇게 됐는지 실제로 다른 국가와도 비교해야 되겠죠.

In that case, we should actually compare how much your company has progressed like this with other countries.

비교를 해드리겠습니다.

I will make a comparison for you.

뒤로 가봅니다.

I’m going back.

엄청 준비 많이 했죠.

We prepared a lot.

정말 엄청 준비 많이 했습니다.

I really prepared a lot.

한번 보여드리겠습니다.

I will show you once.

여러분 뭐가 되느냐.

What will you become, everyone?

gni.

gni.

gni 국민 순수 소득이죠.

It's the GNI per capita.

그 비율 대면 가계 소득입니다.

That ratio is household income.

유럽.

Europe.

미국.

United States.

상식 한번 봐보세요.

Take a look at some common knowledge.

뭐 이렇게 딜딜딜딜 가는데 보라색이 한국입니다.

Why are we dragging it out like this? The purple part is Korea.

진보정 정의당 아닙니다.

It is not the Progressive Justice Party.

그런 거 아닙니다.

It's not that way.

오해하지 마십시오.

Do not misunderstand.

자 뭐가 되느냐.

Well, what will it become?

한국만 확 떨어졌죠.

Only Korea plummeted.

더 재밌는 거.

Something more fun.

이건 뭐가 되느냐.

What does this become?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거든요.

It's the proportion that companies occupy.

한국만 확 올라갔죠.

Only Korea has risen sharply.

왜 한국을 보라색으로 했는지 묻지 말아주세요.

Please don't ask why Korea is in purple.

다음에 꼭 빨간색으로 하겠습니다.

I will definitely do it in red next time.

한국만 기업 소득이 확 올라갔고.

Only the corporate income in Korea has significantly increased.

한국만 무슨 소득이.

What income does Korea have?

가계 소득이 확 줄었습니다.

Household income has significantly decreased.

그런데 더 재밌는 건.

But the more interesting thing is.

제가 말씀드린 것 중에 한 글자 틀렸습니다.

There is one letter wrong in what I said.

뭐가 틀렸습니까.

What is wrong?

만자가 틀렸죠.

Manja was wrong.

한국만이 아니잖아요.

It's not just Korea, you know.

한국이 빠를 뿐이지.

It's just that Korea is faster.

전 세계가 가계 소득이 줄죠.

Household incomes are declining worldwide.

비중이.

Proportion.

전 세계 기업 소득 비중이 어떻게 되겠습니까.

What is the proportion of global corporate income?

커지죠.

It gets bigger.

그중에서 우리가 제일 컸을 뿐입니다.

We were just the biggest among them.

저 얘기는 뭐가 되느냐.

What does that story turn into?

세계화가 진행됐다는 거죠.

It means that globalization has progressed.

그중에서 우리가 제일 빨랐다는 겁니다.

Among them, we were the fastest.

세계화라는 게 진행이 됐죠.

Globalization has progressed.

우리 세계화 언제부터 했습니까.

When did our globalization start?

김영삼 대통령 때부터 했죠.

It started during President Kim Young-sam's time.

김영삼 대통령이 집권하시면서 처음 글로벌라이제이션이라는 용어가 나왔었고.

The term globalization first emerged when President Kim Young-sam took office.

저 그때가 한참 공부할 때인데.

I was studying a lot back then.

글로벌라이제이션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가지고.

How should we view globalization?

교수님들 토론할 때 저도 같이 세미나 참석했던 기억이 납니다.

I remember attending the seminar with the professors during the discussion.

그런데 그 세계화가 진행되면서.

However, as globalization progresses.

저에겐 다르게 얘기하면요.

If I say it differently.

저건 꼭 나쁜 것만은 아닙니다.

That's not necessarily a bad thing.

왜 그렇게 되느냐.

Why does it happen that way?

기업 순 소득이 정확히 확 증가하고 가계 소득이 정확히 감소했다는 얘기는

The statement that corporate net income has precisely increased while household income has precisely decreased means that...

세계적인 차원에서 봤을 때에는 뭐라고 표현할 수 있느냐.

How can we express it from a global perspective?

소득은 결국 노동 소득과 자본 소득으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Income can ultimately be divided into labor income and capital income.

전체 세계 소득에서 무엇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졌다.

The share of what occupies the total global income has increased.

자본 소득의 비중이 커지고 있다는 겁니다.

The share of capital income is increasing.

칼 마르크스적 표현을 따르면 자본의 유기적 구성의 고도화가 급속히 이루어지겠다는 거죠.

According to the expression of Karl Marx, this means that the organic composition of capital will be rapidly advanced.

전체 인재는 당연하지 않습니까.

Isn't the whole talent obvious?

옛날에는 주물 공장입니다.

It used to be a foundry.

주물 공장 차리면 사람이 가서 쇠 망치로 두들기죠.

If you set up a foundry, people will go there and hit it with a steel hammer.

그러면 거기에는 뭐예요.

Then what is there?

전체 자본 분의 노동 비중이 컸다 이겁니다.

The share of labor in total capital was large.

그런데 지금은 자동차 경장으로 바뀌어 나가니까 주물 공장이 없어지는 거죠.

However, now that it has changed to automobile manufacturing, the foundry is disappearing.

노동 비중보다 자본 비중이 커지는 거예요.

The proportion of capital is increasing compared to the proportion of labor.

그래서 자본이 급속히 고도화되고 있습니다.

So capital is rapidly becoming more advanced.

그 자본 구성의 고도화에 가장 큰 앞장섰던 데가 어디다.

Where was the leading place in the advancement of that capital structure?

바로 한국이라는 거죠.

That's 바로 Korea.

그 얘기는 긍정적으로 말하면 한국 기업의 자본 구성이 고도화됐다는 거예요.

That means, in a positive way, that the capital structure of Korean companies has become more sophisticated.

유기적 구성이 앞서갔다는 겁니다.

It means that the organic composition was ahead.

한국 제조업이 무서운 속도로 성장했다는 거죠.

It means that the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has grown at a terrifying pace.

한국 제조업 기틀이 굉장히 단단해졌다는 얘기입니다.

This means that the foundation of the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has become very solid.

긍정적으로 말씀드리면.

To put it positively.

세상의 모든 건 긍정과 부정의 측면이지 않습니까.

Everything in the world has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doesn't it?

그렇죠.

That's right.

그거 제일 빨랐다는 겁니다. 한국.

That means it was the fastest. Korea.

우리가 감정적으로 윤리적으로.

Emotionally and ethically.

제가 제일 적어야 하는 게 감정적 윤리적 접근이 아니라

What I should emphasize the most is not an emotional or ethical approach.

첫 표가 딱 보여주는 겁니다.

The first table clearly shows it.

그러면 뒤로 한 번 가보겠습니다.

Then I will go back once.

그러면 가보면 다음 포인트는 뭐가 되느냐.

So, if we go, what will the next point be?

원래 문제는 뭐가 되겠습니까. 가계부채 문제니까.

What would the original problem be? It's a household debt issue.

그러면 가계 소득이 어떻게 증가했는가 보여드리겠습니다.

Then I will show you how household income has increased.

먼저 기업 소득하고 무슨 소득.

First, corporate income and what income.

가계 소득을 비교해 보시면 금방 나오시겠죠.

If you compare household incomes, it will quickly become clear.

어디 소득은 확 늘었습니까.

Is your income significantly increased anywhere?

기업 소득이 10% 늘 동안 가계 소득은 5.8%가 늘었습니다.

While corporate income increased by 10%, household income increased by 5.8%.

가계 소득이 5.8%가 늘었는데요.

Household income has increased by 5.8%.

숫자로만 봐도 재미있지 않습니까.

Isn't it interesting just to look at the numbers?

숫자는 원래 딱딱하고 어려운 건데 절대 아니라니까요.

Numbers are originally hard and rigid, but that's definitely not the case.

숫자는 이해하면 너무 재미있습니다.

Numbers are so interesting when you understand them.

왜냐하면 이건 반박할 수가 없어요.

Because this cannot be refuted.

20년 동안 기업이 잘 나간 거예요.

The company has been doing well for 20 years.

10%씩 성장했어요. 얘네들.

They grew by 10% each. These guys.

그동안 가계는 5%밖에 성장을 못했습니다.

During that time, the household sector only grew by 5%.

그런데 이 5% 성장하는 것 중에 가계 소득을 차지하는 게

However, among this 5% growth, the portion that comprises household income is...

임금과 영업이익과 순위자가 있거든요.

There are wages, operating profits, and rankings.

그런데 모는 그래도 좀 늘었다.

However, despite that, it has still increased a bit.

그런데 임금이 늘긴 늘었는데 무슨 성장률보다는 느려요.

However, while wages have increased, the growth rate is slower than expected.

기업 소득 성장률보다는 느리죠.

It's slower than corporate income growth rate.

이건 기업이 번 돈 중에서 노동자가 차지하는 몫이 점점 뭐해졌다.

The portion of the profits that workers receive from what companies earn has been steadily decreasing.

작아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It means that it has become smaller.

한마디로 노조가 약화됐다. 이렇게 얘기할 수 있죠.

In short, the union has weakened. You could say that.

그렇죠.

That's right.

그래서 20년 동안 이런 걸 딱 보면 뭐라고 예측할 수 있느냐.

So, after 20 years of seeing something like this, what can one predict?

딱 나오는 거죠.

It just comes out perfectly.

이 나라의 노조가입률이 20년 동안 떨어졌을 거야라고 번역할 수 있습니다.

It can be translated as "The union membership rate in this country has likely fallen over the past 20 years."

아주 간단합니다. 그렇게 번역할 수 있습니다.

It's very simple. You can translate it that way.

무슨 나라인지는 모르겠지만 이 나라의 20년 동안 노조가입률이 떨어졌을 거야라고 얘기할 수 있습니다.

I don’t know which country it is, but I can say that the union membership rate in this country has likely declined over the past 20 years.

이건 뭐라고 해석할 수 있을까요.

How can we interpret this?

그렇죠. 뭐라고 해석할 수 있을까요.

That's right. What can we interpret it as?

그렇죠. 뭐라고 말씀하셨습니까.

That's right. What did you say?

선생님 우리 컴퓨터에 계신 분. 뭐라고 하셨습니까.

Teacher, what did the person on our computer say?

자영업자 X됐다.

The self-employed person is done for.

죄송합니다.

I'm sorry.

사랑합니다.

I love you.

자영업자 막갔답니다.

The self-employed person has gone bankrupt.

산결 완화된 표현이죠.

It's a softened expression.

영업이익은 자영업자가 하는 거니까.

Operating profit is what self-employed individuals make.

그럼 여러분 뭐가 되느냐.

Then, what will you be, everyone?

거꾸로 얘기하면 20년 동안 그나마 회사에 붙어있는 월급쟁이는 괜찮지만 자영업자는 박살났다는 거죠.

To put it the other way around, it's okay for salaried workers who have stuck with the company for 20 years, but self-employed people are ruined.

그래서 최근에 뭐라고 그럽니까. 점점 더.

So what do they say recently? More and more.

월급쟁이가 되기가 훨씬 더 힘들어졌겠죠.

It must have become much harder to be a salaried worker.

뭐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까.

How can I express it?

이 나라는 월급쟁이가 옛날만 못하지만 그래도 월급쟁이를 원하는 사람들이 더 늘었다 하죠.

This country may not have as many salary workers as in the past, but still, the number of people wanting salary workers has increased.

이 나라 신문기사에요. 20년 동안. 이걸 분석을 하면.

This is a newspaper article from this country. For 20 years. If we analyze this.

그렇게 나옵니다.

It comes out like that.

옛날만 월급쟁이가 못하지만.

In the past, it wasn't just the salaried workers who couldn't do it.

옛날보다 대기업 다니는 건 별건 아니지만.

It's not a big deal to work for a large company compared to the past.

하지만 대기업 취업하기는 더 힘들어졌겠는 걸. 딱 나오지 않습니까.

But it must have become even harder to get a job at a large company, right? It just doesn't work out, does it?

다 번역할 수 있어요.

I can translate everything.

이건 뭐라고 번역하면 되겠습니까.

What can I translate this as?

아까 말씀드렸습니까. 저건 뭐라고 번역하면 되겠습니까.

Did I mention that earlier? How should I translate that?

금리가 떨어졌겠군이죠.

The interest rates must have fallen.

가계가 순이자가 줄었다는 얘기는.

The household's net interest has decreased.

금리가 떨어지고 또 하나는 뭐가 되겠습니까.

Interest rates are falling, and what else will there be?

부채가 늘어났겠군이죠.

The debt must have increased.

그러니까 순이자가 줄어들지 않습니까. 마이너스가 난 거죠.

So, the interest rate is decreasing, right? It's a deficit.

대출 엄청 받은 놈들 많겠어.

There must be a lot of guys who took out huge loans.

집 때문에 받았으면 하우스 푸어 됐겠군. 딱 나오는 거죠.

If you received it because of the house, you must have become a house poor. It makes sense.

노인들 살기 힘들으시겠는데.

It must be hard for the elderly to live.

금리가 떨어져서라고 나오는 겁니다.

It is because the interest rates have dropped.

이 표만 보면 20년 동안 한국에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 나오는 거예요.

Just looking at this table, you can see what has happened in Korea over the past 20 years.

기업 잘 나갔겠다. 주식 싸놓을 걸.

The company must be doing well. I should have invested in stocks.

국민들이 체감하는 경제 지표는 나빠졌겠지만.

The economic indicators that the people feel have worsened.

주가는 떨어지지 않았겠는데. 딱 나오지 않습니까.

The stock price probably hasn't dropped. Doesn't it seem just right?

또 2000포인트 미만 자살 이런 얘기 좀 그만 얘기하시고요.

Please stop talking about suicide with less than 2000 points.

이 표에 다 나오지 않습니까.

Isn't it all listed in this table?

나머지 아까 설명드렸던 얘기는 더 말씀 안 드리겠습니다.

I won't mention the rest of what I explained earlier.

첫 표에 다 있는 거예요.

It's all in the first table.

그래서 여러분 딱 나옵니다.

So everyone, it just comes out.

그러면 문제가 나온 거죠. 이제.

Then a problem has arisen. Now.

한국의 가계부채 문제점이 딱 나왔습니다.

The issue of household debt in Korea has just come out.

임금이 떨어지고요. 자영업자 장사가 안 되고요.

Wages are falling, and self-employed businesses are not doing well.

그다음에 뭐가 되겠습니까. 금리가 낮은데.

What will happen next? The interest rates are low.

하우스를 비롯한 대출자들의 대출이 크게 늘었다가.

The loans for borrowers, including households,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한국 경제 가계부채의 번질이다라고 우리는 잡아낼 수 있는 겁니다.

We can catch that the spread of household debt in the Korean economy is a problem.

그럼 또 뒤로 한번 가보겠습니다.

Then I will go back once again.

뒤로 가보면 그러면 이제 결론이죠.

If you go back, then it's the conclusion now.

어떻게 대책을 세울 것이냐.

How will you come up with a plan?

낮엔 임금 증가율. 어떻게 하면 되겠습니까.

During the day, the wage increase rate. What should we do?

노조가 활성화되면 되겠죠.

The union will be activated, right?

케인즈식의 대압책이 발생하면 될 겁니다.

A Keynesian-style large-scale measure will occur.

아니면 뭐 또 낮엔 임금 증가율 또 뭐 해결할 수 있는 방법 뭐 있습니까.

Or is there any other way to address the wage increase rate during the day?

월급을 올려주면 되겠죠.

You could just raise the salary.

저부터 솔선수번해서 조교의 월급을 올리면 될 겁니다.

I will take the lead and raise the teaching assistant's salary.

자 두 번째 뭐가 되느냐. 자영업 부진.

Alright, what will be the second one? Poor performance in self-employment.

사실 이제 저는 그 말씀드리는데 저게 제가 제일 싫어하는 글자 중에 하나가

Actually, I have to tell you that it's one of the letters I dislike the most.

뭐 여러 가지가 있지만

There are various things, but...

식당 가면 뭐라고 써 있습니까.

What is written when you go to a restaurant?

소비자가 왕이라고 써 있잖아요. 사실 전 별로 안 좋아하는 말이에요.

It says the customer is king. Actually, I don't really like that phrase.

왜냐하면.

Because.

제가.

I.

그냥 이거 아주 아주 오래 전에 회사 처음 취업했을 때 제가 두 번째 취업했군요.

I started my second job a long, long time ago when I first got employed by the company.

을지로에 내외 빌딩에 취업했었습니다.

I got a job at the Naewoo Building in Euljiro.

동부증권에 들어갔었습니다.

I had entered Dongbu Securities.

그때 여러분 김치찌개 5천 원이었거든요.

Back then, kimchi stew was 5,000 won.

지금도 5천 원입니다.

It is still 5,000 won.

우리 어르신들 맞죠.

You are our elders, right?

뭐가 남겠어요.

What will be left?

사실 외국 가보면 한국 식당 먹어보면 깜짝 놀라죠.

In fact, when you go abroad and try Korean restaurants, you would be surprised.

이게 5천 원이야.

This is 5,000 won.

깜짝 놀라지 않습니까.

Aren't you surprised?

밥에다가 반찬 4개 나오고 국 나오고 김 나오고 5천 원이잖아요.

You get four side dishes, soup, and seaweed with rice for 5,000 won, right?

근데 거기서 왕 노릇을 하려고 그러면 그건 좀 아니죠.

But if you try to act like a king there, that's not really right.

공급자가 왕이어야 되는데 뭐 남는다고.

The supplier should be the king, but what's left?

그게 자영업의 현실이거든요.

That's the reality of self-employment.

그래서 저걸 사실 해결하는 방법은 자영업자 수를 줄이거나 맞지 않겠습니까.

So the way to actually solve that is to reduce the number of self-employed individuals, isn't it?

아니면 서비스의 질을 높이거나.

Otherwise, improve the quality of the service.

그다음에 우리가 기본적으로는 하지만 자영업자의 고유 업종을 보호를 해줘야겠죠.

Next, we basically need to protect the unique industries of self-employed individuals.

늘 나오는 정답입니다.

It's always the same answer.

맨 마지막 이자소득 급감 뭐 하면 되겠습니까.

What should we do about the sharp decline in interest income?

그렇다고 금리를 억지로 올립니까.

Does that mean we should forcefully raise interest rates?

그건 또 부작용이 많겠죠.

That would likely have a lot of side effects.

그렇죠.

That's right.

그럼 노후를 갖다가 대비하는 복지정책을 강화시키면 될 것이고요.

Then we should strengthen welfare policies to prepare for old age.

그렇지 않겠습니까.

Isn't that right?

가계부채 증가를 위한 우리 예전에 나왔던 LBT 구제라든가 부동산 대출식 규제 관측을 강화시켜 나오면 되겠죠.

To address the increase in household debt, we should reinforce observations on measures like LBT relief that were discussed earlier and regulations related to real estate loans.

그런데 제가 말씀드리지만 말은 쉽지만 이거 하나 정책적으로 해내기는 대단히 어렵다는 겁니다.

However, I must say that while words are easy,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accomplish this one thing through policy.

그래서 이제 한국 가계부채를 비롯한 노령화의 문제는 누구나 사실은 그 문제를 알고는 있을 수가 있지만 쉽게 사실 잘 모르는 경우도 많지만은 대책을 세워서 대안해나가기가 아주 만만치 않다.

So now, while everyone is aware of issues like Korea's household debt and aging population, many still find it difficult to fully understand the problems. Developing solutions and alternatives is certainly not an easy task.

그래서 이제 한국 경제를 비관적으로 바라보는 관점이 있는데 제가 말씀드린 건 그것이 옳다 틀리다가 아니라.

So now there is a perspective that views the Korean economy pessimistically, but what I'm saying is that it's not about whether that perspective is right or wrong.

네.

Yes.

그 주장의 근거는 무엇이고 그 주장을 반박하는 근거는 무엇이고 대책들은 모두 정리가 되고 있는데 왜 그것들이 현실화되기가 왜 이렇게 어려운가라는 것을 오늘 제가 여러분들께 말씀드리고 싶었던 겁니다.

I wanted to talk to you today about what the basis of that claim is, what the counterarguments to that claim are, and why it is so difficult for those solutions to be realized, even though everything is being organized.

자 그럼 이제 우리 히타 좀 더운 것 같은데.

Well then, I think our heater is a bit too warm now.

자 두 번째 이제 우리 무슨 논으로 가보겠습니다.

Now, let's move on to our second topic.

한국 경제 낙관론으로 한번 가보죠.

Let's take a look at the optimism for the Korean economy.

한국 경제 낙관론 열심히 일합니다.

Korean economic optimism is working hard.

미친 듯이 일합니다.

I work like crazy.

온실이 국가 중 노동시간이 제일 많습니다.

The greenhouse has the longest working hours among countries.

저도 그렇습니다.

I feel the same way.

아침부터 밤까지 일만 합니다.

I work from morning till night.

열심히 일합니다.

I work hard.

저 할 줄 아는 게 일하고 술 먹는 것.

What I know how to do is work and drink.

아 죄송합니다.

Oh, I’m sorry.

일하고 술 먹고 이거밖에 안 하는 것 같아요.

I feel like I'm only working and drinking.

네.

Yes.

근데 어쨌든 그것도 좋은 건 모르겠습니다만.

But I don't know if that's a good thing either.

자 끝나오죠.

It's almost over.

한국 경제 낙관론을 들어보겠습니다.

Let’s hear about the optimism for the Korean economy.

첫 번째 우리가 중진국 함정을 탈출한 유일한 국가죠.

We are the only country that has escaped the middle-income trap.

제가 늘 말씀드리지만 2차 세계대전 이후 독립한 국가 중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민주주의를 이룩하고 있는 국가 대한민국 아니겠습니까.

As I always say, isn't South Korea the country that has achieved the highest level of democracy among the nations that gained independence after World War II?

그렇지 않겠습니까.

Wouldn't that be the case?

2차 세계대전 이후에 독립한 국가 중에서 한국보다 더 높은 수준의 민주주의를 이룩한 국가.

A country that achieved a higher level of democracy than Korea among the nations that gained independence after World War II.

저는 이런 말도 합니다.

I say this as well.

아시아에서 민주주의 수준이 가장 높은 국가 우리 아니겠습니까.

Aren't we the country with the highest level of democracy in Asia?

일본 천황제잖아요.

It's the Japanese imperial system.

더 쉽게 얘기하면 일본 혁명을 통해서 정권 교체한 적이 없죠.

To put it more simply, there has never been a change of government through a Japanese revolution.

일본 그러지 않습니까.

Isn't it like that in Japan?

민중의 힘으로 정권 교체한 적이 없지 않습니까.

Hasn't there been a time when the people changed the regime?

중국 안녕하세요.

Hello, China.

니하오.

Hello.

더 이상 얘기하지 않겠습니까.

Will you not talk anymore?

우리 아시아에는 여러분 전제왕정 국가가 있지 않습니까.

In our Asia, don't you have absolute monarchy countries?

사우디나 이런 국가들.

Countries like Saudi Arabia.

또 우리 위에는 또 더 놀라운 국가도 있고요.

And above us, there are even more amazing countries.

그렇지 않습니까 여러분.

Isn't that right, everyone?

아니 있는 걸 뭐 없다고 그럽니까.

No, why do you say that something that exists doesn't exist?

또 놀라운 국가가 있죠.

There's another surprising country.

자 우리는 그런데 거꾸로 경제도 마찬가지죠.

Well, in reverse, the economy is the same.

여러분 우리 한번 가봅시다.

Everyone, let's go give it a try.

조금 이따 미리 말씀드릴게요.

I'll let you know a little later.

뒤로 한번 가보겠습니다.

I will go back once.

왜.

Why.

이게 중진국 함정을 갖다 뭐라고 표현을 하냐면요.

What they call the middle-income trap is...

GDP가 저게 기준이 7250에서 11750.

The GDP 기준 is 7250 to 11750.

보통 만불을 기준으로 한 겁니다.

It is usually based on ten thousand won.

만불 기준으로 해서 왔다 갔다 사이에서 14년 이상 머무르게 되면 우리는 그걸 중진국 함정이라고 합니다.

If a country stays between the $1,000 and $12,000 income range for more than 14 years, we refer to that as a middle-income trap.

한마디로 만불에서 한 15년 헤매면 그걸 중진국 함정이라고 합니다.

In a nutshell, wandering around the $10,000 mark for about 15 years is called a middle-income trap.

그런데 다 걸렸었거든요.

But I got caught anyway.

우리만 안 걸린 거예요.

We're the only ones not caught.

안 걸린 나라가 추가로 하면 두 개가 더 있다고 합니다.

It is said that if countries that have not been affected add to it, there will be two more.

하나는 일본인데 일본을 좀 얘기하기는 어렵죠.

One is Japan, but it's a bit difficult to talk about Japan.

일본은 완전히 선진국이니까.

Japan is a fully developed country.

그리고 하나가 대만인데 대만 우리보다 약간 지금 딜딜하잖아요.

And one is Taiwan, which is currently struggling a bit compared to us.

그래서 중진국 함정을 가장 완벽하게 벗어난 국가는 한국이다라고 세계 경제가 공언을 합니다.

Therefore, the world economy proclaims that South Korea is the country that has most perfectly escaped the middle-income trap.

우리는 그런.

We are like that.

이 보세요.

Look at this.

얘네들도 못 벗어나.

They can't escape either.

요르단.

Jordan.

시 요르단.

Da'esh Jordan.

그다음 어디 있습니까 여러분.

Where is it next, everyone?

요르단 이란.

Jordan Iran.

석유 연락봉 많잖아요.

There are many oil contact rods.

아르헨티나 브라질.

Argentina Brazil.

자원 장난 아니잖아요.

Resources are no joke.

말레이시아 태국.

Malaysia Thailand.

노동력 장난 아니잖아요.

The workforce is no joke.

얘네들 다 못 벗어났는데 우리만 중진국 함정을 벗어난 거예요.

They haven't all escaped, but we are the only ones who have escaped the middle-income trap.

자 다시 앞으로 가보겠습니다.

Now, I will go forward again.

두 번째 우리 최근에 얼마 전에 뭐 했습니까.

What did we do recently a while ago?

한 6개월 됐는데.

It's been about 6 months.

세계적으로 경제 위기가 닥쳤는데 어디만 벗어났습니까.

While the world is facing an economic crisis, where have you escaped from it?

한국만 벗어났었죠.

I only got out of Korea.

다른 나라 화폐들 가치가 다 평가 절하될 때 우리만 평가 절상됐습니다.

While the values of currencies from other countries have depreciated, ours alone has appreciated.

왜 그랬습니까 우리가.

Why did we do that?

경상수지가 뭐였었죠.

What was the current account balance?

흑자였었죠.

It was a surplus.

그리고 외환 보유고가 뭐였었습니까.

And what was the foreign exchange reserves?

많지 않았었습니까.

Wasn't there a lot?

그게 바로 두 번째입니다.

That's the second one.

그리고 우리가 재정수지도 건전한 편입니다.

And our financial situation is relatively sound.

한국의 여러분 재정.

Korean people's finances.

재정수지.

Fiscal balance.

부채총액 하죠 국가총액.

Total debt decrease, national total decrease.

몇 %라고 얘기합니까 우리가.

What percentage are we talking about?

한 40%라고 얘기하죠.

They say it's about 40%.

그럼 일부 경제 많이 보신 분들.

Then, for those who have seen a lot of the economy.

뒤에 보여드리겠습니다.

I will show you later.

이것도 한번 가볼까요.

Shall we give this a try too?

먼저 이거부터 가보죠.

Let's start with this first.

이게 보시면 우리나라가 GDP 대비 2012년에 34%라고 그러거든요.

It says that our country had 34% in 2012 compared to GDP.

그래서 우리가 GDP가 매우 양호하죠.

So our GDP is very good.

그럼 이제 바로 화를 냅니다.

Then I get angry right away.

뭐라고 그러시겠습니까 여러분.

What would you say, everyone?

저기에는 뭐가 안 들어갔죠.

What wasn't put in there?

공기업 부채가 안 들어갔자라고 바로 화를 내죠.

They get angry right away, saying that public enterprise debt doesn't count.

그래서 저도 썼습니다.

So I wrote it too.

뒤로 가보면.

If you look back.

뒤에 나오겠지만 뒤로.

It will come later, but go back.

공기업 부채가 폭증을 했죠.

The debt of public enterprises has surged.

그래서 5년 만에 2배.

So, it's doubled in 5 years.

200조가 증가했습니다.

It has increased by 200 trillion.

이 5년이라는 거에 주목해야죠.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is five-year period.

5년 만에 2배가 증가했습니다.

It has doubled in 5 years.

저는 이 5년.

I have these five years.

하여튼 증가했습니다.

Anyway, it has increased.

생각도 하고 싶지 않지만.

I don’t even want to think about it.

엄청나게 증가한 거죠.

It has increased tremendously.

그래서 국가 부채보다 공기업 부채가 더 많습니다.

So, the debt of public enterprises is higher than national debt.

그래서 여러분 알지만 LH나 수자원공사 이거 뭐 재기불능이 된 건 여러분 다 알고 계실 겁니다.

So you all know that LH and the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have become irretrievable, and you are all aware of this.

그런데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 거는.

What I want to say is...

다시 앞으로 가보겠습니다.

I will go forward again.

앞으로 가보겠습니다.

I will move forward.

왜.

Why.

앞으로.

Forward.

뒤로.

Back.

이 2배 합쳐도 여기예요.

It's here even if you combine these two times.

사실.

Fact.

그렇죠.

That's right.

그래봤자 여기입니다.

So this is it.

캐나다 영국 독일 수준이거든요.

It's at the level of Canada, the UK, and Germany.

얘네들 보고 국가 부채라고 문제라고 얘기 안 하죠.

They don't say that it's a problem regarding national debt when they see these kids.

그렇죠.

That's right.

다 합쳐도 우리 100% 받고 얘기 안 합니다.

Even if we combine everything, we don't talk about receiving 100%.

이것저것 다 합쳐도.

Even when everything is added together.

100% 넘는다고는 잘 안 하죠.

It's hard to say it exceeds 100%.

그런데 보통 200% 넘는다고 얘기 안 하죠.

But usually, we don't say it's over 200%.

보통 200% 넘어야 위기다.

Generally, it's a crisis when it exceeds 200%.

뭐 이렇게 얘기하지 않습니까.

Why don't we talk like this?

150%.

150%.

그래서 사실 우리가 재정수지가 정확한 말이죠.

So, in fact, our fiscal balance is the correct term.

재정수지가 최근 5년 동안 급속히 나빠진 건 사실입니다.

It is true that the financial balance has worsened rapidly over the past five years.

최근 5년 동안 뭔지는 모르겠지만 급속히 나빠졌어요.

I don’t know what it is, but it has rapidly deteriorated over the last five years.

자전거 타느라고.

I was riding a bicycle.

급속히 나빠졌어요.

It has rapidly worsened.

그러나 그러나 아직까지도 다른 나라에 비해서 심각하다고 얘기하기는 어렵다는 겁니다.

However, it is still difficult to say that it is serious compared to other countries.

좋다는 뜻이 아니라.

It doesn't mean it's good.

그런데 경상수지.

But the current account balance.

미국이 뭐였어요.

What was the United States?

여러분.

Everyone.

쌍둥이 적자로.

With twin deficit.

미국이 박살났던 게 뭡니까.

What happened that broke America?

쌍둥이 적자 아닙니까.

Isn't it a twin deficit?

재정 적자와 경상수지 적자 아닙니까.

Isn't it a budget deficit and a current account deficit?

그런데 한국은요.

But what about Korea?

경상수지 흑자를 10년 연 더 때리고 있어요.

The current account surplus has been hitting for 10 consecutive years.

지금.

Now.

이거 드문 거죠.

This is rare, right?

우리가 500원에 뭐 했습니까.

What did we do with 500 won?

저번 달에는.

Last month.

일본을 추월했잖아요.

You have surpassed Japan.

우리 어렸을 때 상상.

Imagining when we were young.

여러분 어렸을 때 말고요.

Not when you were young, everyone.

우리 어렸을 때 상상이나 한 겁니까.

Did we ever imagine that when we were young?

우리가 일본보다 경상수지 흑자를 더 낸다니.

We have a larger current account surplus than Japan.

믿어지지 않는 현실이죠.

It's an unbelievable reality.

여러분.

Everyone.

이거 뭐 제가 러시아 미녀와 사귄다는 정도의 수준이에요.

This is about the level of me dating a Russian beauty.

말도 안 되는 얘기 아니겠습니까.

Isn't that nonsense?

그런데 역전됐잖아요.

But it has turned around, hasn’t it?

그래서 재정수지도 건전합니다.

So the financial situation is sound.

그래서 한국이 나왔을 때 중진국 합령 탈피했고요.

So when Korea emerged, it broke away from being a middle-income country.

경상수지 흑자 치고 있고요.

It shows a current account surplus.

재정 적자 큰 문제 아닙니다.

A budget deficit is not a big problem.

더 중요한 건 바로 이담 거죠.

The more important thing is this person, I-dam.

뭐라고 되겠습니까.

What will it be?

뒤로 가보겠습니다.

I will go back.

뒤로.

Back.

한국이 최고 수준의 제조업 국가죠.

South Korea is a top-tier manufacturing country.

그래서 이거는 왜 이 표를 갖고 왔느냐.

So why did I bring this table?

이게 제조업 경쟁력 수치가 나오는 건데 이게 뭐가 나오는 거냐면

This is the figure for manufacturing competitiveness, and what it shows is...

이게 UN에서 나온 거거든요.

This comes from the UN.

동양증권에서 나온 거 아니라.

It's not from Dong Yang Securities.

과연 내가 했던 거고.

It really was what I did.

저는 다 공신된 자료만.

I only deal with verified sources.

인터넷에서 다 찾을 수 있는 자료만 합니다.

I only provide information that can be found online.

왜.

Why.

저희 스스로 자료를 만들 능력이 없기 때문에 다 베낍니다.

We cannot create our own materials, so we just copy everything.

그런데 여기서 재밌는 건 뭐냐면 얘네들이 왜 재밌느냐.

But what's interesting here is why they are fun.

얘네들은요.

These guys.

보통 경쟁력 하면 어떻게 뽑습니까.

How do you usually evaluate competitiveness?

막 추상적으로 뽑잖아요.

You just randomly pick things abstractly.

누가 1등 어떡하고 뭐 할 것 같고 설문조사하고 그러는데

Who do you think will come in first place, and what do you think they will do? They're conducting surveys and all that.

여긴 그게 아니라 순수하게 다 자료로 뽑습니다.

Here, it's purely extracted as data, not anything else.

매출, 투자 금액, 부채 비율.

Sales, investment amount, debt ratio.

그걸 점수로 매겨서 뽑는 거거든요.

It's based on scoring to select.

그러니까 맞든 안 맞든 되게 객관적인 국가입니다.

So, whether it's right or wrong, it's a very objective country.

그런데 우리가 4등이에요.

But we are in 4th place.

제조업 강국으로.

To become a manufacturing powerhouse.

얘네가 4등을 꼽습니다.

They are picking 4th place.

UN에서는 대한민국 제조업이 전 세계에서 4등으로 보는 거예요.

The UN considers South Korea's manufacturing industry to be ranked 4th in the world.

우리 위에 있는 거 일본, 독일, 미국밖에 없어요.

The only countries above us are Japan,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나머지 다 귀염둥이 스키다시예요.

The rest are adorable little ones.

한국을 이렇게 꼽는다니까요.

They say that Korea is chosen like this.

더 재밌는 거.

More fun things.

우리가요.

It's us.

14, 15였어요.

It was 14, 15.

90년에.

In 1990.

20년 만에 4등이 된 겁니다.

It's been 20 years since we placed 4th.

거꾸로 완전 귀염둥이 된 나라 한번 보여드릴까요.

Shall I show you the country that has turned completely adorable in reverse?

영국.

United Kingdom.

5, 6위 하다가 16위 됐죠.

We were in 5th and 6th place, then dropped to 16th.

17위.

17th.

영국 제조하는 거 뭐 있습니까.

What is made in the UK?

자동차 포기했잖아요.

I gave up on the car.

영국 자동차가 뭐 있었습니까.

What British cars were there?

롤스로이스, 제규어.

Rolls-Royce, Jaguar.

이제 안 만들잖아요.

I won't make it anymore.

영국 제조업 박살났잖아요.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the UK has been shattered.

여러분 영국은 제가

Everyone, the UK is...

제가 또 사실대로 말씀드리는데

To be honest, I'm going to tell you the truth again.

제가 영어를 너무 못해가지고요.

I'm really bad at English.

그래서 제가 영어 좀 공부하려고 영국을 갔다가

So I went to the UK to study English a bit.

좀 이따 포기하고 돌아왔습니다.

I gave up and came back a little while later.

근데 가서 제가 런던에서 4시간 떨어진 나라 갔는데

But I went to a country that is 4 hours away from London.

저는 가서 느낀 게 뭐냐면 또 마찬가지로

What I felt when I went there is that it’s the same.

야 얘네한테 식민질 당해?

Hey, are they being colonized by these guys?

너희들 야 이런 생각이 들죠.

You might be thinking, "Hey, what about this?"

왜냐면 제가 영국 갔는데 일단 그 생각은 들었어요.

Because I went to the UK and I thought about that.

야 니네는 식민질 진출을 안 할 수가 없다.

Hey, you guys can't avoid colonial expansion.

이런 나라 이런 날씨에선 살 수가 없거든요.

I can't live in a country with this kind of weather.

전 이해가 갔어요.

I understood.

그럼 날씨 좋은 스페인은 왜 갔느냐.

Then why did you go to the sunny Spain?

걔넨 딴 데도 그런 줄 안 거죠.

They probably think it's the same everywhere else, too.

죄송합니다.

I'm sorry.

스페인 놈들은 지네 나라 날씨가 좋으니까 딴 데도 그런 줄 알았을 거예요.

The Spaniards probably thought that the weather was nice everywhere else since it is good in their own country.

영국은 너무 날씨가 나빠서.

The weather in the UK is so bad.

이게 우스갯소리고요.

This is a joke.

영국에서 뭐가 있냐면 설문조사를 했는데

In the UK, there was a survey conducted.

영국은 실제로 벌어지고 있고 국민의 90%가

The UK is actually happening and 90% of the people are.

우리 세대보다 우리 후세 세대가 가난할 것이며

The generation after ours will be poorer than our generation.

더 충격적인 건 평균 수명이 짧아질 것이라고

The more shocking part is that the average lifespan is expected to decrease.

여론조사가 나온 나라입니다.

This is a country where opinion polls have been conducted.

굉장히 심각하죠.

It's very serious.

영국이 가진 게 없어요.

Britain has nothing.

제조업이 다 박살나고.

The manufacturing industry is all shattered.

영국 말씀드렸네요.

I mentioned the UK.

영국 대졸자들의 취업 1순위가 뭐다?

What is the top priority for employment among UK graduates?

영어 강사입니다.

I am an English instructor.

제일 많이 진출한 게 영어 강사예요.

The most common occupation that people have entered is English instructor.

영어로 먹고 사는 나라입니다.

It is a country where you live by speaking English.

엑센트도 나쁘잖아요.

An accent isn't necessarily bad.

모자 좀 주세요.

Please give me a hat.

난 뭔지 몰랐어요. 캐리어예요.

I didn’t know what it was. It’s a suitcase.

어쨌든 그게 중요한 게 아니라

Anyway, that's not what's important.

여러분 뭐가 되느냐.

What will you become, everyone?

영국 애들이

British kids

그래서 더 재미있는 거예요.

That's why it's more interesting.

우리 옛날에 미국의 푸들이라고 불렸던 친구 누구 있죠?

Who is the friend we used to call the Poodle of America?

기억 안 나십니까? 수상?

Do you not remember? The award?

토니 블레어죠?

It's Tony Blair, right?

토니 블레어가 그때 뭐 했었냐면

What was Tony Blair doing at that time?

한국은 무슨 코리아입니까?

What kind of Korea is Korea?

한국 코리아 무슨 코리아예요?

What kind of Korea is Korea?

럭셔리 코리아? 그러지 마시고요.

Luxury Korea? Please don't do that.

무슨 피승이야? 영어로 얘기하세요.

What do you mean by "pisung"? Please speak in English.

피승 코리아 죽어버리고 싶어요.

I want to die in Piseung Korea.

정말 러브리.

Really lovely.

다이나믹 코리아죠.

It's Dynamic Korea.

되게 어울리지 않아요? 한국 역동적이죠.

Isn't it a great fit? Korea is dynamic, right?

외국인들 오면 제일 좋아하는 게

What foreigners like the most when they come is...

밤문화. 벌써 딱 다르잖아요.

Nightlife. It's already quite different, isn't it?

새벽 2시까지 전철이 다니고 상상할 수 없는 거죠.

It's unimaginable that the subway runs until 2 AM.

주말이 더 화려한 이 놀라운 나라.

This amazing country, where the weekend is more vibrant.

다이나믹 코리아.

Dynamic Korea.

사람들도 바빠. 걸어다니는 거.

People are busy. Walking around.

다이나믹 코리아.

Dynamic Korea.

그런데 영국 애들이 그때 토니 블레어가 뭐 했냐면요.

But what the British kids were doing at that time was, what was Tony Blair doing?

쿨 잉글랜드.

Cool England.

쿨한. 쿨 가이. 쿨 잉글랜드.

Cool. Cool guy. Cool England.

쿨하게 가자. 쿨하게 가자.

Let's go coolly. Let's go coolly.

쿨하게 가자. 그래서 뭐 하냐?

Let's go coolly. So what are we doing?

문화 콘텐츠 개발로 승부를 내자고 얘기했습니다.

I talked about competing by developing cultural content.

그래서 옥스포드 사전을 다시 다 편찬하고

So, I will compile the Oxford Dictionary again.

문학에 엄청 투자를 했습니다.

I invested a lot in literature.

그래서 큰 성공을 거뒀습니다.

So, we achieved great success.

옥스포드도 성공하고

Oxford is also successful.

그다음에 우리 해리포터.

Next, our Harry Potter.

조앤 롤링이 나온 거죠.

It's JoAnne Rowling who appeared.

끝.

The end.

요새 다 사전 인터넷으로 봐서요.

These days, everyone looks up words in the dictionary online.

이제 장사 안 되고요.

Business is not doing well now.

조앤 롤링이 판타지 소설을 더 안 쓴대요.

Joanne Rowling said she won't be writing any more fantasy novels.

끝났습니다. 영국은.

It’s over. The UK is.

이런 나라가 있습니다.

There is a country like this.

어쨌든 이건데

Anyway, this is it.

그다음에 이제 한번 가보도록 하겠습니다.

Next, I will go take a look at it.

진짜 우리가 뭐냐.

What are we, really?

여러분 이미 삼성 보시면 알겠지만

As you all can see from Samsung already,

삼성이 5억 대파입니다.

Samsung has 500 million units.

애플이 1억 대파예요.

Apple has sold 100 million units.

뒤로 넘어가 보겠습니다.

I will go back.

영업이익은 뭐가 돼야 되겠습니까?

What should the operating profit be?

이게 재밌는 게 삼성하고 애플이

What's interesting is that Samsung and Apple...

전 세계 스마트폰 영업이익의 107%입니다.

It accounts for 107% of the global smartphone operating profit.

이건 무슨 의미죠?

What does this mean?

나머지 무슨 업체?

What other companies are there?

스마트폰 업체는 다 적자라는 거죠.

All smartphone companies are in the red.

그러니까 얘네가 107%가 나오죠. 더하면.

So they come out to 107% when added together.

이해하시겠습니까?

Do you understand?

그러니까 삼성하고 애플 외에

So, besides Samsung and Apple,

스마트폰 만드는 회사는 다 적자인 거예요.

All companies that make smartphones are in the red.

LG도 이번에 적자인 거죠.

LG is also in the red this time.

LG 슬프지 않아요.

LG is not sad.

내 친구 LG전자 경제연구소 있는데

I have a friend at LG Electronics' economic research institute.

재문아 안녕?

Hello, Jaemoon!

어쨌든 알아요.

Anyway, I know.

실명 결혼하면 안 되는데

You shouldn't get married in real name.

그 새끼 전교 1등 하던 놈이에요.

That guy was the top student in the whole school.

어쨌든 뭐가 되느냐.

Anyway, what will it become?

내 짝이었는데 부러웠었어요.

You were my partner, and I was envious.

어쨌든 지금 내가 더 똑똑해.

Anyway, I'm smarter now.

그러면 뭐가 되느냐.

Then what does it become?

삼성하고 애플 하면 이거 나오는 거예요.

When you think of Samsung and Apple, this comes to mind.

그런데 여러분 이거 보시면

By the way, everyone, if you look at this...

그게 중요한 게 아니라

It's not important.

이건 애플 영업이익이고

This is Apple's operating profit.

이건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이거든요.

This is Samsung Electronics' operating profit.

다 쫓아갔습니다.

They all chased after.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이거든요.

It's Samsung Electronics' operating profit.

그래서 이제 제가 하나 말씀드릴 수 있는 건

So now I can tell you one thing.

이거는 저도 삼성이 반도체 회사를 넘어서

This is beyond just Samsung being a semiconductor company for me as well.

스마트폰 업체로 성공할

To succeed as a smartphone company.

제가 어떻게 알았겠어요.

How would I know?

저도 몰랐었어요.

I didn't know either.

저는 삼성도 영원히 반도체 회사로 넘어졌어요.

I have also fallen for Samsung as a semiconductor company forever.

그런데 어쨌든 이게 변했습니다.

Well, anyway, this has changed.

그런데 이제 제가 하나 말씀드릴 수 있는 건

However, what I can say now is

이런 사람들이 걱정을 하죠.

People like this worry.

야 중국 가보면 이제 여러분 중국 애들이 뭐 만듭니까?

Hey, if you go to China, what are the kids in China making now?

핸드폰 만들죠.

Let's make a cellphone.

그럼 우리 걱정을 합니다.

Then we worry.

야 중국 이놈들이 말이야.

Hey, those guys from China.

야 우리 쫓아오지 않을까 삼성.

Hey, won't Samsung chase after us?

아니 여러분 외국 가면 삼성 로고 적습니까?

No, do you guys put the Samsung logo when you go abroad?

왕만 씁니까?

Do you only use a king?

아까 말씀드렸던 포르투갈인가요?

Is it Portugal that I mentioned earlier?

포르투갈에도 삼성 딱 있어요.

There is exactly Samsung in Portugal.

대한민국은 삼성과 현대의 나라 아닙니까 솔직히?

Isn't South Korea a country of Samsung and Hyundai, to be honest?

그렇죠 여러분?

That's right, everyone?

이제는 너무 큰 공룡이죠.

Now it's a very big dinosaur.

우리 노무현 대통령이 뭐라고 그랬습니까?

What did our President Roh Moo-hyun say?

이제는 권력은 기업에 넘어갔다던데

I heard that power has now shifted to corporations.

그 이후로 기업은 엄청 컸습니다.

Since then, the company has grown tremendously.

진짜 권력이 누구예요?

Who is the real power?

이거는 방송 끄고 말씀 드릴게요.

I'll tell you this after the broadcast ends.

뭐냐면

What I'm saying is...

아니야 그래도 녹음기가 있으니까 조심해야 돼요.

No, we still have to be careful because we have a recorder.

뭐가 되느냐

What will it be?

여러분 말 안 할 거예요.

I won't say anything, everyone.

뭐라 말씀 드릴 수 있냐면

What can I say?

그럼 중국 기업이 쫓아올 수 있을 거냐.

So, can Chinese companies catch up?

저는 그거에 대해서 말씀 드릴 수 있습니다.

I can talk about that.

어려울 겁니다.

It will be difficult.

5년 10년 전에 우리 뭐라 그랬던 거 기억나십니까?

Do you remember what we said 5 or 10 years ago?

저는 중국 많이 갔다 오니까 잘 아는데

I know China well since I've been there a lot.

하이얼 보고 사람들이 깜짝 놀랐습니다.

People were surprised to see Haier.

야 한국 가정 업체 끝났어.

Hey, the Korean home business is over.

하이얼 제품하고 가격을 보니까 놀라웠죠.

I was surprised by the Haier products and prices.

근데 생각했던 건

But what I was thinking was

우리 집에 하이얼 쓰시는 분.

Someone at my house uses Haier.

웃잖아요 아직.

You're still laughing, aren't you?

10년 뒤에도 웃을 것이냐 이거죠.

Will you still be smiling in 10 years?

근데 제가 말씀 드린 건 왜?

But what I meant to say was why?

하이얼은 이미 5년 전에 10년 전에 이런 얘기를 했었어요.

Haier talked about this 5 or 10 years ago.

야 하이얼?

Hey, Haier?

얘네가 우리가 5년.

They have been with us for 5 years.

그때도 다 웃었죠.

Everyone was laughing back then too.

집에 하이얼 쓰십니까?

Do you use Haier at home?

다 웃는데

Everyone is laughing.

10년 뒤에 5년 뒤에 하이얼 우리가

In 10 years, in 5 years, Haier, we...

근데 아직도 웃고 있거든요.

But I'm still smiling.

제가 말씀 드릴 수 있는 건

What I can say is

삼성전자를 중국 업체가 잡기가 만만치 않을 거라는 겁니다.

It won't be easy for Chinese companies to catch up with Samsung Electronics.

왜?

Why?

우리 제품 있습니다.

We have our products.

우리 딱 보시면 삼성 거 쓰시고 계시네.

Oh, I can see you're using a Samsung product.

자 삼성이 이겁니다.

Here is Samsung.

제품의 경쟁력은 크게 세 가지에서 나올 수 있겠죠.

The competitiveness of a product can come from three main factors.

첫 번째 가격 경쟁력이죠.

The first is price competitiveness.

가격 경쟁력의 가장 큰 건 뭐가 되겠습니까?

What would be the biggest factor in price competitiveness?

인건비죠.

It's labor costs.

인건비 아니겠습니까?

Isn't it labor costs?

두 번째 가격 경쟁력을 가지고 있으면 뭐가 필요합니까?

What is needed if you have second price competitiveness?

규모의 경제가 있어야죠.

There must be economies of scale.

그 다음에 세 번째는 기술 수준일 겁니다.

The third will be the level of technology.

그럼 인건비와 규모의 경제와 기술 수준을 체크해 보자는 거죠.

Then let's check the labor costs, economies of scale, and technology level.

첫 번째 인건비 어디가 더 쌀까요?

Where is the first labor cost cheaper?

베트남이 쌉니다.

Vietnam is cheap.

베트남에서 만들었습니다.

Made in Vietnam.

여러분 애플 어디서 만듭니까?

Where do you make Apple, everyone?

중국에서 만듭니다.

Made in China.

이제 시대가 바뀌었어요.

The times have changed now.

우리가 착각하면 안 되죠.

We shouldn't be mistaken.

우린 그런 어느 메이드인 그게 아니라 애플 중국에서 만듭니다.

We're not talking about some made-in-somewhere else; this is made in China by Apple.

이건 베트남에서 만든 거고요.

This was made in Vietnam.

하율 중국에서 만드는데 베트남 인건비가 더 쌉니다.

Hayiul is made in China, but labor costs in Vietnam are cheaper.

쭉 가시죠 여러분.

Let's keep going, everyone.

죄송합니다.

I'm sorry.

이런 표현에서.

In such expressions.

우리가 생각한 거랑 다르잖아요.

It's different from what we thought.

두 번째 규모의 경제.

Second scale economy.

삼성의 힘이 뭡니까?

What is the power of Samsung?

왜 5억 대를 만들 수 있죠?

Why can we make 500 million units?

애플이 5억 대 가기가 쉽지가 않습니다.

It's not easy for Apple to reach 500 million units.

판매되는 게 문제가 아니라 만드는 것도 문제죠.

The issue is not only selling, but also making it.

우리는 팔리면 다 만들 수 있다?

Can we make anything if it sells?

그렇지 않죠.

That's not right.

팔려도 공급을 못할 수 있다니까요.

Even if it's sold, it might not be able to be supplied.

삼성은 그 공급할 수 있는 힘이 있습니다.

Samsung has the power to supply.

왜?

Why?

이 녀석이 다 만드잖아요.

This guy makes everything.

죄송합니다.

I'm sorry.

이런 것 때문에 큰일이에요.

It's a big deal because of things like this.

말 조심해야 되는데.

I need to be careful with my words.

저는 삼성이 불러주는 그날까지 열심히 강의하고 있는데

I am working hard on my lectures until the day Samsung calls me.

아직도 소식이 없습니다.

There is still no news.

당황스럽습니다.

I'm embarrassed.

저의 마음을 몰라주시고.

You don't understand my feelings.

어쨌든 뭐가 표현되느냐.

Anyway, what is being expressed?

왜?

Why?

삼성은 애플하고 다른 게 중국은 쫓아오지도 못하고 삼성은 디스플레이를 갖고 있지 않습니까?

Samsung is different from Apple in that China can't even catch up, and doesn't Samsung have the display?

이 안에 뭐를 만듭니까 여러분?

What are you making in here, everyone?

디스플레이.

Display.

그다음에 뭐 있겠습니까?

What will come next?

반도체.

Semiconductor.

그다음에 석유화학.

Next is petrochemicals.

다 만들잖아요. 얘네들이.

They make everything. These guys.

그래서 수직 계열화를 통해서 규모의 경제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Therefore, we are implementing economies of scale through vertical integration.

세 번째, 기술.

Third, technology.

삼성하고 애플이 특허 분쟁이 붙었습니다.

Samsung and Apple are involved in a patent dispute.

애플은 뭐 뺏겼다고 난리입니까?

What is Apple making a scene about losing?

삼성은 뭐 뺏겼다고 난리입니까?

Why is Samsung making such a fuss about losing something?

기술이죠.

It's technology.

애플이 인정한 기술입니다.

This is a technology recognized by Apple.

재밌죠?

Isn't it fun?

삼성이 뺏긴 건 디자인이잖아요.

What Samsung lost is the design.

애플이 뺏겼다고 소송한 건 기술이지 않습니까?

Isn't it a technology lawsuit that Apple filed because it was taken away?

거꾸로.

Backward.

애플이 인정한 기술과 삼성은 5억 대를 만들 수 있는 수직 계열화와 중국에 비해서 더 습한 인건비를 갖고 있다는 거죠.

Apple has acknowledged the technology, and Samsung has vertical integration that allows them to produce 500 million units, along with having a higher labor cost compared to China.

그래서 중국 업체가 쉽게 먹지 못할 겁니다.

So it won't be easy for Chinese companies to succeed.

그래서 삼성전자 주가가 그렇게 높을 겁니다.

That's why Samsung Electronics' stock price is probably so high.

그리고 사실은 더 한 거는 제가 가끔 말씀드리지만 애플하고 삼성.

And in fact, there's more that I sometimes mention about Apple and Samsung.

삼성이 경쟁력이 뛰어난 이유는 얘가 취업하잖아요.

The reason Samsung has strong competitiveness is because it gets hired.

죄송합니다.

I'm sorry.

얘라고 해서.

Because it's this kid.

왜? 이 친구 어떤 친구입니까?

Why? What kind of friend is this friend?

대한민국에 대학을 졸업하는 거, 서울대, 연대, 고대 나오려면 연대 들어가기가 어렵습니까? 하버드 가기가 어렵습니까?

Is it difficult to get into Yonsei University to graduate from a university in South Korea, like Seoul National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or Korea University? Is it difficult to get into Harvard?

연대 가기가 어려워요.

It's hard to go to the reunion.

웃습니까?

Are you laughing?

전 이 업종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그 업종에.

I am working in this industry. In that industry.

여러분, 한국 명문대 못 가서 그다음에 외국 명문대 진학하고 있어요.

Everyone, I couldn't get into a prestigious university in Korea, so I'm going to a prestigious university overseas instead.

맞아요, 안 그래요? 우리 친구.

That's right, isn't it? Our friend.

그런 거예요.

That's how it is.

그런데 요새는 한국의 20대 후반에 졸업한 엘리트 대 삼성 들어가는 친구들이 영어 못합니까?

But nowadays, are friends who graduated in their late 20s from elite universities in Korea unable to speak English when they enter Samsung?

OS 다루는 능력이 떨어집니까?

Is your ability to handle the OS poor?

엄청난 친구들이에요.

They are amazing friends.

연봉이 싸잖아요.

The annual salary is low.

복종심이 강하죠.

They have a strong sense of obedience.

야근에도 투덜거리지 않죠.

I don’t complain even during overtime.

맞지 않습니까, 여러분?

Isn't that right, everyone?

그런 인재를 미국이 어떻게 뽑아요?

How does the U.S. select such talent?

경쟁이 안 돼요.

It's not competitive.

그렇지 않습니까?

Isn't that right?

친구는 어떤 각오가 돼 있어요? 삼성에서 부르면.

What kind of determination do you have if Samsung calls you, friend?

야근, 특근, 잔업 및.

Overtime, special work, and extra work.

마음이 굳게 서 있지 않습니까?

Isn't your heart firmly set?

평상시에는 삼성을 비판해도 불러만 주신다면 그게 우리의 기본 자세 아니에요, 삶의?

Isn't it our basic stance in life to criticize Samsung in our daily lives, but still respond if they call on us?

세상은 비판적으로 그러나 삶은 긍정적으로.

The world critically, but life positively.

제가 말씀드리는 거예요.

I'm telling you.

세상은 비판적 시각으로 바라보자. 하지만 삶은 긍정적으로.

Look at the world with a critical perspective. But live positively.

여러분, 그런 인재들이 있는데 한국의 대기업 경쟁력이 얼마나 강한데요.

Everyone, with such talents, how strong do you think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large corporations is?

어떤 친구들이 들어가는가 보세요. 삼성이나 이런 대기업에.

Let's see what kind of friends get in. Like Samsung or other big corporations.

한국의 슈퍼엘리트들이 좋아하잖아요.

Korean super elites like it, don't they?

그 싼 급여를 받고.

Receiving that low salary.

별거 없잖아요, 사실 삼성 다녀보면.

It's really nothing special, honestly, if you experience working at Samsung.

삼성 코닝 빼고.

Except for Samsung Corning.

자, 어쨌든 뒤로 한번 가보겠습니다.

Well, anyway, let's go back once.

자, 그래서 여러분 현대 볼까요? 현대도 마찬가지죠.

So, shall we take a look at Hyundai? Hyundai is the same.

현대 5위가 됐습니다.

It has become the 5th in Hyundai.

제가 처음 강의할 때 그랬었는데.

That’s how it was when I first taught a class.

앞으로 10년 뒤에 세계에서 자동차는 5대 메이커만 살아납니다.

In the next 10 years, only five car manufacturers will survive in the world.

그때 그 말의 뉘앙스에는 현대는 못 들어갈 거리였거든요.

At that time, the nuance of that statement implied that modern people couldn't enter that distance.

네, 근데 6위 업체부터는 한참 떨어지고요.

Yes, but the companies from 6th place onwards fall quite a bit behind.

5위가 된 거예요. 이게 이제 뭐냐면.

I've become fifth. This is what it is now.

이게 이제 르노니산이고요. 르노니산이고.

This is Renault-Nissan, and it's Renault-Nissan.

토요타, 그 다음에 이거 폭스바겐, 이건 GM이죠.

Toyota, and then this is Volkswagen, and this one is GM.

그 다음에 이거는 현대자동차고,

Next, this is Hyundai Motor Company,

포드도, 혼다고, 이거는, 죄송해요.

Ford, Honda, I'm sorry about this.

자, 여러분 어쨌든 업체가 있는 건데.

Well, everyone, anyway, there is a company.

자, 여러분. 제가 말씀드린 건 뭐가 되느냐면.

Well, everyone. What I'm saying is this.

이거 푸조예요, 푸조.

This is Peugeot, Peugeot.

푸조 재밌는 얘기 할까요?

Shall we talk about something fun?

프랑스 가면 실제로 푸조차가 굉장히 많습니다.

In France, there are actually a lot of Peugeot cars.

프랑스의 그 국민차 같은, 국가의 그런 브랜드 자존심을 간 거죠.

It’s like France’s national car, it represents the brand pride of the country.

근데 지금 푸조에서 4조를 갖다가, 경제가 어려우니까.

But right now Peugeot has 4 trillion, because the economy is tough.

4조를 갖다가 여러분 뭐 하려고 그러냐.

What are you trying to do with Group 4?

투자를 받으려고 그럽니다.

I am trying to get investment.

근데 이제 고민이 하나 있어요. 왜?

But now I have one concern. Why?

4조를 받으면 대주주 지분이 흔들리거든요.

If you receive the 4th measure, the major shareholder's stake will be shaken.

근데 현대자동차 영업이익이 8조잖아요.

But Hyundai's operating profit is 8 trillion, right?

그러니까 현대자동차 6개월 영업이익이면 푸조를 살 수 있어요.

So, with six months of operating profit from Hyundai, you can buy Peugeot.

그게 현실이에요.

That's the reality.

그게 현실입니다.

That's the reality.

제가 뭐 숫자로 말씀드리는데 뭘, 뭐 어떻게 하시겠어요.

What can I say in numbers, what will you do?

현대자동차가 왜 놀랍냐.

Why is Hyundai surprising?

10년 전에 얘 200만 대였거든요.

Ten years ago, it was 2 million units.

그래서 뒤로 넘어가 보겠습니다.

So I will try to go back.

그래서 현대자동차는 기적의 자동차라고 그러죠. 왜?

So they call Hyundai a miracle car. Why?

10년 만에 200만 대가 700만 대가 된 건 현대밖에 없습니다.

In 10 years, the number of 2 million has increased to 7 million, and only Hyundai has achieved this.

현대 미래가 어둡냐.

Is the future of modernity bleak?

별로 어둡지 않습니다.

It's not really dark.

그건 왜 포인트가, 아까는 우리 삼성도 비슷한 점이 있겠지만 현대는 또 다른 포인트가 있습니다. 왜?

That's why there are points; earlier, our Samsung might have some similarities, but Hyundai has another point. Why?

판매처가 다양합니다.

There are various sales channels.

경제 위기에 굉장히 강합니다.

It is very strong against economic crises.

우리 한 번 앞으로 다시 가보죠.

Let's go ahead and try again.

앞으로 딱 가보겠습니다.

I will go just ahead.

도요타 어디하고 어디면 끝입니까?

Where does Toyota start and end?

일본과 미국입니다.

It's Japan and the United States.

유럽 가면 도요타 차 못 봅니다.

You won't see Toyota cars in Europe.

동남아 일부 국가 외에는 일본, 미국, 동남아 일부 국가입니다.

Except for some Southeast Asian countries, they are Japan, the United States, and some Southeast Asian countries.

폭스바겐 어디 어디죠?

Where is Volkswagen?

유럽하고 중국이면 끝입니다.

It's the end if it's Europe and China.

한정되어 있다는 것.

It means "to be limited."

얘네 GM은 어디에요? 미국이고요.

Where is their GM? It's in the United States.

그런데 우리는요. 다죠.

But what about us? All of us.

남미 몇 년 전에 들어가서 다 먹고 있죠.

I went to South America a few years ago and ate everything.

하여튼 한국인의 이 세계를 향한 근로 의욕 정신은 너무나 불타기 때문에 한국인 없는 곳이 없잖아요.

Anyway, the work ethic and spirit of Koreans towards this world are so intense that there is hardly a place without Koreans.

어디 가도 한국 낙서를 볼 수 있지 않습니까?

Can't you see Korean graffiti anywhere you go?

요새 이제 중국 낙서가 우리를 막 따라오고 있어요.

These days, Chinese graffiti is closely following us.

우리나라 낙서만 보면 다 엎어버리고 있어서 당황스럽습니다.

I'm surprised that every time I see graffiti in our country, it's all being covered up.

어쨌든 문제가 되는데 시장이 탄탄하다 이겁니다.

Anyway, the problem is that the market is solid.

그래서 현대도 뭐 말하면 뭐 하겠습니까? 만만치 않은 기업이다.

So what can I say about Hyundai? It's a formidable company.

그러나 이제는 우리가 강의를 정리하면서요.

However, now as we整理 the lecture.

하지만 여러분 다 아시는 얘기를 이제 가도록 하겠습니다.

But now I will go ahead and talk about something you all already know.

뒤로 넘어가서 앞에서도 말씀드렸지만

As I mentioned earlier, going back...

하지만 우리가 다 알지만 이게 삼전하고 현 차이의 나라죠.

But we all know this is the country of the Samsung and Hyun differences.

그래서 여러분 그 외 46만 개 기업 순이익에

So, everyone, regarding the net profit of the other 460,000 companies...

35에서 40%를 삼성하고 있습니다.

It accounts for 35 to 40% of Samsung.

네.

Yes.

대한민국의 권력이 어디에 있는지 딱 보여주는 거죠.

It clearly shows where the power of the Republic of Korea lies.

대한민국 권력 지도가 어디에 있는가.

Where is the power map of South Korea?

어쨌든 여기다 이거죠.

Anyway, this is it.

그런데 실제로 보면 중견 기업들 많이 흔들리잖아요.

However, when you actually look at it, many medium-sized companies are shaken.

동양, 응진, 금호, 동부.

Dongyang, Eungjin, Geumho, Dongbu.

동부, 동부.

East, East.

제가 다녔던 회사인데.

It was the company I worked for.

어쨌든 이런 데 보면 딱 나오시겠지만 이런 상황입니다.

Anyway, if you look at this, you will understand the situation clearly.

그래서 우리가 현재 너무 기업이 잘 나가고 재벌들이 잘 나가고 있기 때문에.

So, we are currently doing very well in terms of companies and the chaebols are also doing very well.

여러 가지 마음이 복잡한 거죠.

It's complicated with various feelings.

그래서 기업을, 대기업을 비판하면서도 거기에 또 들어가는 건 쉽고.

So it's easy to criticize large companies while also wanting to be a part of them.

그렇죠?

Right?

저도 맨날 비판하면서 북한하고 3대 세습 공통점 뭐 이런 거 하면서도

I also criticize every day, talking about the commonalities with North Korea and its three generations of hereditary succession.

불론은 왜 안 주지 이런 거예요.

Of course, why wouldn't they give something like this?

뒤로 마지막으로 가보겠습니다.

I will go to the back last.

그래서 이제 우리가 말씀드린 거는 뭐 이제 말씀드린 건데 뭐지만

So what we've talked about is something we've mentioned, but...

비판론의 핵심이었던 것은 가계 소득이 부집하고 가계부채의 문제라.

The core of the critique was that household income is declining and there is an issue with household debt.

고용도 부진하고 내수 부진하고.

Employment is sluggish, and domestic demand is weak.

하지만 낙관론은 세계 최고의 제조업 경쟁.

However, optimism is a competition among the world's top manufacturers.

왜냐하면 제가 말씀드린 게.

Because what I mentioned is.

저도 한국 경제를 굉장히 낙관적으로 보는 편입니다.

I also tend to view the Korean economy very optimistically.

왜?

Why?

영국이 낙관적이냐?

Is the UK optimistic?

우리가 낙관적이냐?

Are we optimistic?

우리가 낙관적이죠.

We are optimistic.

한국보다 경제가 낙관적인 곳 한번 돼 보자는 거예요.

Let's try to be in a place where the economy is more optimistic than Korea.

거꾸로.

Upside down.

만만치 않거든요.

It's not easy at all.

일본이 우리보다 낙관적이에요?

Is Japan more optimistic than us?

그 느낌 딱 안 오잖아요.

That feeling just doesn't come, does it?

미국도 그렇게 만만치 않아 보이지도 않고.

The United States doesn't seem that easy either.

EU도 그렇고.

The same goes for the EU.

중국이야 뭐 낙관적이라도 하여튼 가긴 싫고 거긴.

I mean, even if I'm optimistic about China, I really don't want to go there.

느낌이 오잖아요.

You can feel it, right?

딱 느낌이 있기 때문에.

Because it has a certain feeling.

한국 경제가 거꾸로 굉장히 위험하다 이거죠.

The Korean economy is in a very dangerous reverse situation.

그러나 굉장히 재밌는 거예요 정말.

But it's really very interesting.

저도 궁금한 게 이 한국 경제가 어떻게 갈지 정말.

I'm also curious about how the Korean economy will go.

너무너무 궁금해.

I'm so curious.

이런 면을 갖고 있다는 거죠.

This means that it has such aspects.

그래서 우리가 나오겠지만 뭐 남아있는 건 대기업과 중소기업.

So we will come out, but what remains are large companies and small businesses.

그다음에 수출과 내수.

Then exports and domestic consumption.

그다음에 양극화 문제 해소가.

Next, addressing the issue of polarization.

한국 경제가 얼마나 더 갈 수 있는가를 정치권과 우리 모두가 합의해서 만들어내야 될 점인데.

It is a point that the political sector and all of us need to reach an agreement on regarding how much longer the Korean economy can sustain itself.

그런 걸 위해서는 한국 경제를 너무 일면적으로 부정적으로.

To do that, it's too one-sidedly negative about the Korean economy.

너무 일면적으로 부정적으로 보거나.

It looks too one-sidedly negative.

너무 일면적으로 긍정적으로 볼 필요는 없지 않는가.

Isn't it unnecessary to see things too one-dimensionally in a positive light?

라는 거를 여러분 오늘 말씀드리면서 오늘 강연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I will conclude today's lecture by sharing that with you.

열심히 준비했습니다 여러분.

I prepared hard, everyone.

감사합니다.

Thank you.

고맙습니다.

Thank you.

Continue listening and achieve fluency faster with podcasts and the latest language learning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