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회] 정세현 "박근혜는 박정희때로, 김정은은 김일성때로 돌아갔다"

OhmyNews

정세현·황방열의 한통속 - 방송종료

[최종회] 정세현 "박근혜는 박정희때로, 김정은은 김일성때로 돌아갔다"

정세현·황방열의 한통속 - 방송종료

한 통속, 한반도 통일이야기 속 시원하게 풀어드립니다.

We'll clearly unravel the story of Korean Peninsula unification.

마지막 방송 시작하겠습니다.

We will start the final broadcast.

오늘 방송 주제는 몇 차례 예고해 드린 대로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의 나의 한국 현대사입니다.

Today's broadcast topic is as previously announced, former Minister of Unification Jeong Se-hyun's "My Modern Korean History."

물론 저희는 남북관계 전문 방송이기 때문에 한국 현대사 중에서도 남북관계 관련된 부분을 중심으로 말씀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Of course, since we are a broadcast specializing in North-South relations, we will focus our discussion on the aspects related to North-South relations in modern Korean history.

장관님, 정확한 문서나 기록에 의한 건 아니지만 아마 최연소 원람자가 아닐까 싶습니다.

Minister, it may not be based on accurate documents or records, but I believe I might be the youngest person to receive this.

이런 말씀을 하신 적이 있는데 오늘 주제하고 맞춰서 여기서부터 오늘 얘기를 풀어가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You have mentioned something like this before, and I think it would be good to start today's conversation from here, in line with today's topic.

내가 1945년 6월 16일생입니다.

I was born on June 16, 1945.

16일이요?

Is it the 16th?

네, 16일생인데 그 당시에는 만주국이죠. 지금은 중국이 됐지만 만주국 할빈에서도 동북쪽으로 오히려 러시아가 가까운

Yes, I was born on the 16th, and at that time it was Manchukuo. It has now become China, but even in Manchukuo, Harbin, Russia was closer to the northeast.

쪽으로 자무수를 하는 도시가 있어요.

There is a city where you can experience sleepwalking.

자무수요?

Do you need a drink?

네, 적지 않은 도시고 일제 때 만주국 시절에는 그게 합강성의 성도입니다.

Yes, it's quite a city, and during the period of the Japanese occupation, it was the capital of the Manchukuo.

거기서 내가 태어났어요. 그러니까 러시아와 가까운 북만주지.

I was born there. So it's northern Manchuria, close to Russia.

그러고 나서 두 달 후에 해방이 되지 않습니까? 8.15.

Then, isn't it two months later that we got liberated? August 15th.

그리고 두 달이 되고 나서 해방이 되고.

And after two months, liberation came.

그리고 아마 내가 100일이 9월 26일쯤 됐을 거예요.

And I think my 100 days will be around September 26th.

100일 지나고 귀국을 하는 겁니다.

I will return home after 100 days.

우리 아버지, 어머니, 아버지 때문에 또는 어머니 때문에 거기 와있던 막내 외숙, 막내 숙부, 고정 형님 이렇게 해서 하나, 둘, 셋, 넷, 여섯 가족입니까? 어떻게 되나.

Is it six family members: my father, mother, youngest uncle, youngest aunt, and older brother because of my father or mother? How does that work?

네.

Yes.

여섯 가족이네요.

There are six family members.

여섯 가족이 자무수를 떠나서 전주까지 도착하는데 40일이 걸렸어요.

It took the six families 40 days to leave Jamusol and arrive in Jeonju.

그러니까 만주대륙을 다 종단해서 지금은 단동이라고 하지만 그때는 안동이라고 했는데 도시 이름이.

So, the entire Manchurian continent was traversed, and now it's called Dandong, but back then it was called Andong, which was the name of the city.

안동에 오니까 국경이 막혀서 함부로 못 건너게 돼 있고.

Since I came to Andong, the border is blocked, so we can't cross it carelessly.

신의주 반대편이죠.

It's on the opposite side of Sinuiju.

그렇죠.

That's right.

밤에 또 그걸.

That thing again at night.

돈을 주면 건네주는 사람이 있었답니다.

There was someone who would hand it over if you gave them money.

그래서 조선 땅으로 건너온 거지.

So that's why I crossed over to the land of Joseon.

거기서 쭉 기차도 타고 걸기도 하고 해서 개성까지, 개성이 아니라 38선을 넘은 거지.

So I took the train and walked all the way there, crossing to the other side of the 38th parallel, not just to Kaesong.

그 당시 38선이니까.

It was the 38th parallel back then.

그 중간에 아마 평양역에서도 상당히 오랫동안 체류를 했고 평양역전에서 다음 열차가 남쪽으로 내려가는 그 열차가 준비되었죠.

In the meantime, I probably stayed at Pyongyang Station for quite a long time, and the train preparing to head south was ready at the Pyongyang Station.

네.

Yes.

준비될 때까지 기다린다고 평양역전에서 며칠 지냈다고 그러던데 아마도 그게 한 10월 중하순쯤 되지 않았겠나.

I heard that they spent a few days at Pyongyang Station waiting until they were ready, and that was probably around mid to late October.

그러니까 저 북만주에서부터 시작해서 40일 걸려가지고 그 당시에 조선에 전주까지 오는데 당연히 평양을 거쳤죠.

So it took 40 days starting from North Manchuria to reach Jeonju in Korea at that time, and of course, it passed through Pyongyang.

그러니까 월남자가 아니라 북한 지역 통과자지 최연소.

So he's not a Vietnam defector, but the youngest person to pass through North Korean territory.

그러니까.

So.

그 어분이 강포에 쌓여서.

That bait is piled up in the stronghold.

그럼요.

Of course.

그렇게 해서.

So, that's how it is.

100일 지난 애기, 100일밖에 뭐 100일 지난 애기니까.

A baby who is 100 days old, just 100 days, because it’s a baby who is 100 days old.

네.

Yes.

이게 어떠셨는지 장관님 개인은 어떠셨는지 모르겠는데 이렇게 말씀을 듣는 사람들은 결국은 남욱관계, 통일 문제를 평생의 화두 이런 걸로 해서 일을 하시게 된 게

I don't know how the Minister personally felt about this, but for those who hear these words, it seems they will end up working on issues lik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unification problems as lifelong themes.

결국은 그런 개인사가 굉장히.

Ultimately, such personal history is very.

굉장히 영향을 많이 미쳤지 않겠나 이런 생각이 좀 듭니다.

I think it must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근데 내가 77년에 통일론, 당시에는 통일론입니다.

But I talked about unification theory in 1977, back then it was called unification theory.

통일론에 들어가게 되는데 뭐 그런 것 때문에 간 건 아니지만 내가 이제 금년에 세는 날이 일흔 둘입니다.

I'll be turning seventy-two this year, and while that's not the main reason for getting into the unification theory, it's part of it.

45년생이니까 60이 인생에 한 바퀴라고 그러잖아요.

Since I'm born in 1945, they say that 60 is a full cycle of life.

그렇죠.

That's right.

한 바퀴를 돌고 두 바퀴째 돌면서 지나온 일을 회고해보면.

As I take a lap and reflect on the things I've gone through during the second lap.

네.

Yes.

결국.

In the end.

모든 것이 다 운명이었다 하는 생각입니다.

I think everything was destined.

그러니까 그 40일씩이나 걸리는 피난 행렬 중에서 나보다도 훨씬 더 나이가 좀 있고 어린 아기들도 수없이 죽어 나갔다는 거예요.

So, during that evacuation that took as long as 40 days, many people older than me and countless infants also died.

피난민 행렬에는 전염병이 돌기 마련이니까 당체부수 그러니까 그 당시에 우리 여섯 식구 중에 나 하나 빼놓고는 여섯 명이 전부 다 순차적으로 당체부수를 받았다는 거예요.

In a refugee procession, epidemics are bound to spread, so it's natural that among our six family members, everyone except for me received the vaccine one after another.

네.

Yes.

그런데 장태국 씨 걸린 어머니의 젖을 먹고도 멀쩡하게 살아남은 거 보면 굉장히 질긴 인생이지.

By the way, seeing that Jang Tae-guk survived fine after drinking his mother's milk is quite resilient life.

그리고 이제 평양을 거쳐서 왔다는 기억은 없지만 이 얘기는 많이 들었죠, 어릴 때.

And now I don't have any memories of coming through Pyongyang, but I've heard this story a lot when I was young.

그래서 북쪽에 대한 관심을 올려주면서 가질 수는 있었죠.

So it was possible to raise interest in the north.

아무래도 그런 게 영향을 미쳤을 거다 이렇게 생각이 들거든요.

I can't help but think that kind of thing would have had an influence.

그 부모님이 야 너 어렸을 때.

Those parents, hey, when you were young.

네.

Yes.

그래서 거기 그렇게 해서 만 주 거쳐서 단 둥 거쳐서 신의주 들어와서 쭉 해서 고향까지 왔다, 전주까지 왔다 이런 얘기를 들으면 아무래도 관심이 좀 더 가고 그랬을 것 같다는 생각이 좀 들거든요.

So, after going through those various places, entering Sinuiju, and continuing all the way to my hometown, Jeonju, I think it naturally sparked a bit more interest.

그렇죠.

That's right.

저는 초등학교 때부터도 북한이라는 거예요.

I've been talking about North Korea since elementary school.

그 당시는 전부 반공교육 시대이기 때문에 북한에 대해서 나쁘게만 얘기하던 시절이었지만.

At that time, it was the era of anti-communist education, so it was a period when only negative things were said about North Korea.

네.

Yes.

나쁘게 얘기하건 좋게 얘기하건 어쨌든 북한 지역에 대해서 관심이 좀 있었고

Whether I speak negatively or positively, I have had some interest in the North Korean region.

그때부터도 그러니까 이 지도를 놓고 이렇게 많이 들여다봤습니다.

Since then, I have looked at this map so many times.

그럼 나 태어난 데가 어디인가 이런 것도 찾아보시고

Then why don't you look up where I was born?

물론 그러니까 거기서부터 시작해서 어떤 경로로 가해가지고

Of course, so starting from there, what route will it take?

신의주로 해서 평양으로 해서 개성으로 해서 예성강 철교를 건너고 임진강도 건너고

Crossing through Shinuiju, then Pyongyang, then Kaesong, crossing the Yesong River bridge and also crossing the Imjin River.

그때도 38선에서는 다시 또 함부로 남쪽으로 넘어올 수가 없게 되어 있었기 때문에

At that time, the 38th parallel meant that it was once again impossible to recklessly cross over to the south.

또 며칠 기다려가지고 밤에 그걸 또 건네주는 사람들

People who wait a few more days and then give it to you at night.

그런데 나는 지금 그 당시 우리 아버지가 지금 돌아가셨지만 1919년생입니다.

However, my father, who has passed away now, was born in 1919.

해방되던 해에 세는 나이로 27밖에 안 되는데

I was only 27 by the age counted when I was liberated.

3.1운동 있던 해였잖아요.

It was the year of the March 1st Movement, right?

그렇지. 세는 나이로 27밖에 안 되는데

That's right. I'm only 27 in Korean age.

그 많은 식구들을 거느리고 한 사람도 나고자 없이 한 사람도

Managing all those family members, not a single person wants to be born, not a single person.

한 사람도

Not a single person

중간에 어디 아파서 세상을 더구나 하지 않도록

So that you don't get hurt in the middle and get upset about the world.

말하자면 데리고 왔다 온 사실

To put it simply, it's the fact that I brought them along.

요즘 27살짜리가 그렇게 할 수 있겠는가 하는 생각입니다.

These days, I wonder if a 27-year-old can really do that.

만약에 그때 아버님이 장관님 아버님이 결심을 안 하셨으면

If at that time my father hadn't made up his mind, Minister's father...

지금 장관님

Minister, right now.

조선족이죠. 조선족 중국 공민이죠.

I am a Korean Chinese. I am a Chinese citizen of Korean ethnicity.

알겠습니다.

Understood.

그것 때문에 또 내가

Because of that, I again...

중국에 대한 관심을 많이 갖게 돼가지고

I've developed a strong interest in China.

70년대 초에 또 대만 영어를 하죠.

In the early 70s, they also spoke English in Taiwan.

그리고 나중에 박사학위 논문도

And later, the doctoral dissertation too.

모택동의 국제정치사상적으로 글을 썼습니다마는

I wrote about Mao Zedong's international political thought, but...

석사 박사를 전부 다 중국적으로 했습니다.

I completed both my master's and doctorate entirely in China.

그러니까 그런 출생과 관련된 조건이라고 할까

So, can we say that it's a condition related to such a birth?

또는 이런 것이 한문적으로 영향을 줬다고 봐야 되고

Or this can be seen as having influenced Classical Chinese.

또 지금 이걸 직업이라고 본다면 몰라도

"Well, if you see this as a job, maybe that's different."

직업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It could be considered a job, but

직업을 선택하는데도 본인도 모르게

Even unconsciously, when choosing a job.

통일문제 쪽으로 기울게 돼 있었던

It was inclined towards the unification issue.

무슨 까닭이 있었던 거죠.

What was the reason?

지금 말씀하신 부분이 장관님이 통일문제에

The part you just mentioned is about the Minister's stance on the unification issue.

천착하시게 된 기본적인 토양 배경 이런 거라고 보면

If you think of it as a basic soil background that you have become attached to.

이게 직접적으로 통일부에 들어가시고

This directly goes into the Ministry of Unification.

이렇게 된 그래서 남은 문제에 대해서

So, regarding the remaining issue,

계속 천착하게 된 아주 구체적인 계기

A very specific trigger that led to continued obsession.

이런 게 있다면 어떤 걸 꼽을 수 있을까요.

If there is something like this, what would you choose?

대학 시절에 보통 외교학과라고 그러지만

In college, it's generally called the Department of International Relations.

서울대학은 정치과 외교학과에 따로 떨어져 있습니다.

Seoul National University has separate departments for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Relations.

외교학과 국제정치학을 배우는데

I am studying diplomacy and international relations.

그 과의 교수님들이 하나같이

All the professors in that department are the same.

분단국인 한국에서

In a divided country like Korea

국제정치학을 공부하는 이유는 딱 하나다.

The reason I study international politics is simply one.

통일문제를 풀기 위해서 그러는 거다.

It's to solve the unification issue.

그래서 얘기를 하시는 분들이 많았어요.

So there were many people who talked about it.

그게 굉장히 강하게 머리에 배겼죠.

That really stuck in my mind strongly.

그렇게 해서 통일문제에 대한 관심을

This way, interest in the unification issue...

어렴풋이 가지고 있었는데

I had a vague feeling about it.

71년도 7대 대통령 선거 때입니다.

It was during the 1971 presidential election.

4월에 김대중 후보의 연선대회에

In April, at the campaign rally for candidate Kim Dae-jung.

연설을 들으러 갔었어요. 장춘단에.

I went to listen to the speech. At Jangchun Dan.

그 유명한 장춘단.

The famous Jangchun-dan.

유명한 장춘단 연설입니다. 4월 18일이에요.

It’s a famous speech from Jang Choon-dan. It’s on April 18th.

그때 가서 장춘단 연설을 듣는 순간

At that moment when I heard Jangchundan's speech.

아 이게 통일문제를 내가 한번 좀 해봐야 되겠다는 생각을 갖게 돼요.

Ah, this makes me think that I should try to address the unification issue.

야당 후보인데 대부분 그때 그냥 정부 비판이나 하면서

He is an opposition candidate, but most of the time he just criticizes the government.

잘할 테니까 표 달라고 하는 것이

I'm going to do well, so I'm asking for the score sheet.

그 당시에 선거 연설에 기본 어떤 간섭이

What kind of interference was there in the election speeches at that time?

있었습니다.

There was.

그런데 국제정세를 쫙 정리하고

However, summarizing the international situation...

거기서 우리가 이러이런 조건 때문에

Because of these conditions, we there.

이러이런 환경 때문에 우리도 남북 교류해야 되고

Due to this kind of environment, we need to promote inter-Korean exchanges.

4대국이 남북한을 동시에 교차 승인한다고 그럴까

Will the four major powers simultaneously recognize both North and South Korea?

보장을 하는 그런 식으로 해줘야 된다 하는 얘기를 듣고

I heard that it should be done in a way that provides guarantees.

아 이게 대학에서 선생님들이 얘기했던

Oh, this is what the teachers talked about in college.

우리나라에서 국제정책학을 공부하는 이유는

The reason we study international policy in our country is

통일문제예요.

It's a unification issue.

통일문제를 제대로 풀기 위한 것이다 하는

It is for properly addressing the unification issue.

그런 얘기하고 연결이 되더라고요.

It seems that talking like that connects us.

그러면서 나중에 내가 77년에 통일원에 들어가게 됩니다.

Later, I joined the Ministry of Unification in 1977.

그런데 그때는 솔직히 통일문제를 하기 위해서 들어간 건 아니에요.

However, to be honest, at that time, I didn't enter to address the unification issue.

그게 무슨 말씀이에요.

What do you mean by that?

나 이제 그 박사과정 공부를 고수업을 끝내놓고

I have now finished the advanced courses for that doctoral program.

논문을 써야 되는데 77년 봄 학기까지 해서 고수업이 다 끝났어요.

I have to write a thesis, but all my advanced courses finished by the spring semester of '77.

77년 가을 학기부터는 논문을 써야 돼요.

Starting from the fall semester of '77, you have to write a thesis.

그런데 그 당시에 내가 모택동 쪽으로 공부를 하기로 작정을 했었기 때문에

However, at that time, I had decided to study in the direction of Mao Zedong.

그 모택동이나 중공 관련 그 당시 중공이라고 했습니다.

At that time, it was referred to as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relation to Mao Zedong or the Chinese Communist Party.

중국공산당.

Chinese Communist Party.

중공 관련 자료를 볼 수 있는 데가 중앙정보보고 통일론 밖에 없는 거예요.

The only place where I can access information related to China is the Central Intelligence Report on Unification.

도서관에.

To the library.

그런데 그 욕심 때문에 어디 그 근처로 좀 가서

"But because of that greed, let's go a little closer to that area."

도서관에 출입하고.

Access the library.

출입하면서 공부를 해야 되겠는데 논문을 써야 되겠는데라고 생각을 했는데

I thought that I should study while entering and that I need to write a thesis.

마침 통일원에서 연구직 공무원을 공채를 했습니다.

The Ministry of Unification has just opened a public recruitment for research position civil servants.

얼마나 좋은 기회입니까.

What a great opportunity.

그러니까 처음에는 박사학위 논문을 위한 자료 수집을 하신 거군요.

So at first, you were collecting data for your doctoral dissertation.

들어갔지.

I went in.

논문만 쓰면 나는 나오려고 그랬어요.

I was going to come out after writing the paper.

중국문제 전문 중국문제 중국외교 전문가로서

As an expert in Chinese issues and Chinese diplomacy.

대학에서 가르치고 싶다는 꿈을 가지고 있었죠.

I had a dream of wanting to teach at a university.

그런데 논문을 쓰고도.

However, even after writing the paper.

박사를 받고도 대학에 또 강의를 10년 이상 출강을 시간 경사를 했는데도 불구하고 대학 교수를 못했어요.

Even after earning a doctorate and teaching at a university for over ten years, I was unable to become a university professor.

그러니까 학문적인 전공은 중국외교지만 직업적으로는 선택의 여지가 없어가지고 통일을 해서 아니 생계를 해결해 주니까.

So my academic major is Chinese diplomacy, but professionally I have no choice, so unification helps solve my livelihood issues.

그러다 보니까 밑에서부터 시작해서 25년 만에 시작.

So it started from the bottom and took 25 years to begin.

통일원에 들어간 지 한 25년 만에 통일부 장관까지 할 수 있게 됐었죠.

It has been about 25 years since I entered the unification ministry, and I was able to become the Minister of Unification.

그 70년대 말 80년대 초에 그 당시 분위기로 보면 중국공산당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in the atmosphere of the late 1970s and early 1980s.

이런 게 국내에 그렇게 하시는 분들이 있었습니까?

Were there people who did that in the country?

없었죠.

There wasn't.

별로 없었을 것 같아요.

I don't think there was much.

아까도 얘기했지만 자료 접근성이 좋지 않았기 때문에.

As I mentioned earlier, the accessibility of the materials was not good.

그건 불험문서야.

That is a forbidden document.

그렇죠. 그렇겠네요. 그때.

That's right. That would be the case. Back then.

오택동 선집이나 무슨 인민일보를 읽는다는 것은 이건.

Reading the Otaekdong anthology or some People's Daily is this.

응.

Yeah.

노동심의.

Labor deliberation.

노동신문이나 김일성 선집을 읽는 거하고 똑같았어요.

It was exactly the same as reading the Workers' Newspaper or the collected works of Kim Il-sung.

집에 노동신문 잘못 가지고 있다가 보안법에 걸려가지고 고생한 사람들도 많이 있고.

There are many people who have had a hard time because they mistakenly brought home the Rodong Sinmun and got caught under the security law.

어쨌든 그쪽 자료를 보는 것 자체가 수상한 사람입니다.

Anyway, just looking at that material is suspicious.

70년대 말 80년대 초에는.

In the late 1970s and early 1980s.

그런 걸 법으로 보호받는 데가 중앙정보보고 통일원이란 말이야.

The place that is protected by law for such matters is the Ministry of Unification, which is part of the Central Intelligence Agency.

일단 논문을 써가지고 잘 정리를 해 놓으면.

First, if you write the paper and organize it well...

무슨 뭐 공산당이라고 오해는 안 받을 수 있으니까.

I won't be misunderstood as being part of the Communist Party or anything like that.

그리고 오택동의 외교 쪽을 중국의 외교를 공부하는 거니까 그렇게 이념 성향이 강한 건 아니죠.

And since Oh Taek-dong's diplomacy is studying China's diplomacy, it is not strongly ideologically biased.

뭐 혁명을 해야 된다 하는 얘기를 하는 것도 아니고.

It's not like I'm saying we need to start a revolution or anything.

네.

Yes.

그래서 이제 할 수 있었기 때문에.

So now I was able to do it.

그러니까 그런 중국 관련 자료의 접근성.

So the accessibility of such materials related to China.

이것이 그렇게 좋지 않아가지고 그 당시에 중국 문제를 논문을 쓰는 사람이 별로 없었습니다.

It wasn't very good, so there weren't many people writing papers on the China issue at that time.

나중에 그 책으로도 내셨죠.

You published it later as a book too.

네.

Yes.

84년에.

In 1984.

게다가 81년에 논문이 통과돼서 82년도에 이제 박사학위를 받는데 통일원에 있으면서 받았죠.

Moreover, I passed my thesis in 1981 and received my doctoral degree in 1982 while I was at the Ministry of Unification.

주경야독으로 진짜.

Studying hard during the day and night, really.

힘들었습니다.

It was difficult.

좀.

A little.

낮에는 뭐 똑같이 일해야 되고 밤에 밤잠 안 자고 논문 쓰는 바람에 시간이 좀 걸렸지만 82년에 학위를 받고 84년에 당시에 그 사회과학 쪽에 책을 많이 내던.

I had to work the same during the day, and because I stayed up at night writing my thesis, it took some time, but I earned my degree in '82 and published a lot of books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s in '84.

네.

Yes.

84년에 당시에 그 사회과학 쪽에 책을 많이 내던 그 출판사가 있었어요.

In 1984, there was a publishing company that was releasing many books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s.

형성사라고 형성사에서 모택동의 국제정치사상이라는 제목으로 책을 냈습니다.

I published a book titled "Mao Zedong's International Political Thought" in a formation journal.

나중에 알고 보니까 그게 80년도에 운동권 그 운동권의 필독서였던 건 왜냐하면 그 책 속에는 모순론과 실천론 또는 모택동의 전략이론 뭐 조직이론 이런 것들이 다 들어가 있었거든요.

Later I found out that it was a must-read for the activist circle in the 1980s because that book contained theories on contradictions and practice, as well as Mao's strategic theory and organizational theory.

네.

Yes.

좀 쪼개가지고 여기저기 나눠놨지만 그걸 잘 다시 그 취합하면은 완벽한 그 논문이 하나 나올 수 있었죠.

I split it up and distributed it here and there, but if you compile it well, a perfect paper could come out of it.

그 모택동에 선집해 있는 것들이 그대로 그냥 원문 그대로 될 수 있었기 때문에 더구나 번역까지 해줬으니까.

Because the things that are set in that Mao Zedong can remain exactly as they are in the original text, especially since it was even translated.

시중에서는 일반적으로 구할 보기 어려운 자료들이니까요.

Because these are generally hard-to-find materials available in the market.

그렇죠.

That's right.

그러니까 당시에 내가 통일원에 공산권 연구관으로 있었기 때문에 법적으로 보호를 받은 거죠.

So at that time, I was working as a researcher on communist countries at the Ministry of Unification, which meant I was legally protected.

그렇지 않으면 그런 책 썼으면은 일단 의심받아요.

If not, writing such a book will at least raise suspicions.

알겠습니다.

Understood.

그러나 저는 중국의 외교 그다음에 중국의 외교를 하다 보면 중국의 정치이론 같은 걸 전부 다 공부를 해야 되는데 그 덕분에 북한을 보는 데 있어서 조금 그 중국과 북한을 비교하는 관점을 가질 수 있었고 그게 큰 도움이 됐습니다.

However, as I engage in China's diplomacy and subsequently Chinese foreign affairs, I have had to study various aspects of China's political theories, which has allowed me to develop a comparative perspective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This has been a great help.

네.

Yes.

중국을 통해서.

Through China.

중국을 통해서 북한을 볼 수도 있고 그런 말씀이신 거죠.

You mean we can observe North Korea through China, right?

그러니까 북한의 여러 가지 그 대외 정책 이론 같은 거 보면은 북한 외교라든지 대남 전략 같은 거 보면은 중국 공산당과 국민당 사이의 관계 그다음에 중국이 대외 정책 관련해서 여러 가지 내놓았던 얘기들 이런 거하고 유사한 점이 많아요.

So, if you look at various theories regarding North Korea's foreign policy, such as North Korean diplomacy and its strategy toward South Korea, there are many similaritie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nese Communist Party and the Kuomintang, as well as to the various statements that China has made regarding foreign policy.

네.

Yes.

알겠습니다.

I understand.

지금까지 2004년 6월에 이제 현직을 떠나시긴 했지만 그 이후로도 계속 남북관계를 이제 지켜봐 하고 계신데 77년부터 지금까지 장관님이 보시기에 남북관계 관련해서 가장 의미 있던 사건 이걸 꼽으라면 뭘 꼽으시겠어요.

You left your current position in June 2004, but you have continued to watch the inter-Korean relations since then. If you had to point out the most significant event in inter-Korean relations from 1977 until now, what would it be?

아 가장이라고 그러니까 한 개네.

Ah, since you call it a 'father', it's one thing.

일단 뭐 좋습니다.

Well, that's fine.

그러면은.

Then.

아니 뭐.

No, what?

두 개까지.

Up to two.

네.

Yes.

나는 내가.

I am myself.

77년에 통일원에 들어가서 2004년 6월 30일 날 문헌할 때까지 한 길지는 않았네요.

I joined the Ministry of Unification in 1977 and it wasn't a long journey until I retired on June 30, 2004.

20 한 7년.

20 to 7 years.

네.

Yes.

있었지만 27년 동안 통일 문제 현재 최일선에서 이루는 면서 지나고 난 뒤에 아 이건 참 그때 내가 그렇게 하길 잘했다 하는 그런 생각이 드는 것이 두 가지가 있습니다.

Although it was there, over the 27 years while addressing the unification issue at the forefront, after it has passed, there are two thoughts that come to mind: I really did well to do that at that time.

네.

Yes.

하나는 남북 철도도로를 연결을 하는데 합의는 했었지만은 2000년에 합의를 해가지고 철도도로 연결 공사를 했었죠.

One agreement was made to connect the North and South railways and roads, but the agreement was reached in 2000, and the construction for the railway and road connection was carried out.

그땐 박재규 장관 시절입니다.

That was during Minister Park Jae-kyu's time.

네.

Yes.

박재규 통일부 장관 시절에.

During Park Jae-kyu's term as Minister of Unification.

네.

Yes.

그런데 9월 18일날 착공식을 해놓고 그해 초기월부터 북쪽 구간의 공사가 중단이 됐어요.

However, after holding the groundbreaking ceremony on September 18, the construction in the northern section has been halted since the beginning of that year.

지금 경의선 동해선 말씀하시는 거죠.

You're talking about the Gyeongui Line and Donghae Line, right?

네.

Yes.

경의선 그때는 경의선만 했지.

At that time, we only had the Gyeongui Line.

네.

Yes.

나중에 내가 이제 다시 2002년 1월 29일날 발령을 바꿔 들어가서 이거는 자제 장비를 주고라도 연결시켜야 된다 하는 생각을 했어요.

Later, I thought that I should change the assignment again on January 29, 2002, and that even if I have to provide some control equipment, I need to make the connection.

네.

Yes.

그래서 대통령 보고를 한 거죠.

So I reported it to the president.

그런데 그분은 그 가타부타 말씀을 잘 안 하시는 분입니다.

However, that person doesn't usually say much about such things.

왜냐하면 그 그러나 반대를 안 하시는 걸 보고 아 이것은 해봐도 좋다는.

Because I saw that you weren't opposed to it, I thought, "Oh, this is something I can go ahead with."

네.

Yes.

그런 뜻으로 생각하고 이제 여론 조성부터 했어요.

I thought of it that way and started shaping public opinion.

네.

Yes.

조찬 강연회 같은 데 가서 자제 장비를 주고라도 연결하는 게 좋겠다라고 하니까 의외로 그 여론이 여론의 반응이 좋았습니다.

I suggested that it would be good to connect by giving them some equipment at events like breakfast seminars, and surprisingly, the public's response was positive.

왜 또 퍼주게 하냐 이런 걸 안 했던.

Why are you making me do this again when I didn't do it before?

그거 쉽게 없었어요.

That wasn't easily available.

그거는.

That is.

그러니까 그 당시 계산으로 봐서는 비료 한 5 60만 톤 주는 값밖에 안 드는데 철도 도로 연결하면 이게 상징성도 크고 실제로 민족의 혈맥은 있는 거 아니냐 하는 식으로 얘기를 하니까.

So at that time's calculation, it only costs about 500 to 600 thousand tons of fertilizer, but when you connect the railroads and roads, it carries a lot of symbolism and actually represents the lifeline of the nation, and that’s how the conversation went.

네.

Yes.

경제인들까지도 그 일리 있다라고 이제 이렇게 됐고 그래서 이제 자제 장비를 주고 공사를 재결했습니다.

Even the businessmen have come to see the validity in that, so now we have provided the equipment and resumed the construction.

네.

Yes.

2002년 9월 18일 날.

September 18, 2002.

네.

Yes.

그렇게 해서 결국 이제 그것이 최종적으로 2005년도에 공사가 끝나서 연결이 됐죠.

In that way, the construction was finally completed in 2005, and it was connected.

그러니까 김대중 정부에 시작을 해서 노무현 정부 때 연결이 됐고 나중에 뭐 시 뭡니까 시의문행.

So it started with the Kim Dae-jung government and was connected during the Roh Moo-hyun government, and later, well, what is it called... city-related affairs?

네.

Yes.

이것도 몇 번 해서 이상 없다 하는 것도 확인이 됐고.

It has also been confirmed that doing this a few times has no issues.

그러니까 남북 간의 철도 도로를 경의선과 동해선 철길 옆으로 이제 또 도로가 갑니다.

So, the road between North and South now runs alongside the Gyeongui Line and Donghae Line railway.

그 민족의 혈맥을 양쪽으로 이어놨다고 그러는 것은 저는 상당히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I think it is quite significant to say that the bloodline of that nation has been connected on both sides.

물론 결정은 그전에 정상 장관급 회담에서 박재규 장관 시절에 합의를 했지만 중단됐던 행사를 공사를 북쪽에 자제 장비를 줘 가지고 무난하게 끝낼 수 있었다 하는 거.

Of course, the decision was made during the previous ministerial talks when Minister Park Jae-gyu was in office, but the event that had been suspended was able to conclude smoothly by providing the North with restraint equipment.

그걸 나중에.

Later for that.

네.

Yes.

2005년도 10월 24일 날 여기 서울에 왔던 당시 콜린 폴 미 국무장관이 기자가 들어오고 회견하면서 그런 얘기를 했죠.

On October 24, 2005, then-U.S. Secretary of State Colin Powell spoke during a press conference here in Seoul and said those words.

인공위성을 통해서 본 한반도의 그 비무장지대를 철조망지대를 가로지르는 두 줄기의 피스 익스프레스웨이.

The two lines of the Peace Expressway crossing the demilitarized zone of the Korean Peninsula, as seen through satellites.

피스 익스프레스웨이.

Peace Expressway.

아 피스 익스프레스웨이.

Ah, Peace Expressway.

평화의 그 고속도로.

The highway of peace.

그 익스프레스웨이는 나한테 매우 그 감명적이었다 하는.

That expressway was very impressive to me.

네.

Yes.

그 애 overstателя.

That kid is an overstayer.

네.

Yes.

네 주세요.

Yes, please.

네.

Yes.

예.

Yes.

네.

Yes.

다시 한 자리 하자 이렇게.

Let's gather in one place like this again.

եհ기에서 첫사부한 게 있었 elas.

There was something I first realized in this.

네.

Yes.

그때 김기현 heading거.

At that time, Kim Ki-hyun is heading there.

제 beam 센터를 앞두고 했었을 sc.

It was the sc that was done in front of my beam center.

그러면.

Then.

네.

Yes.

afin 다니까 그거 HA 정께서 deepen.

Because of that, HA is deepening.

对47it 이거 한번 그래서 또 봐주세요 caso 자로 자기 소득층하는데

Please take a look at this 'caso' again, as it concerns the income level.

네.

Yes.

잘 살게 되고

I'll live well.

우리도 우리 중소기업들도

Us, including ou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살아나면서 남북 간의

As I come back to life, between the North and South...

경제적인 통합을 이룰 수 있는

Able to achieve economic integration.

그런 실험실이었는데

It was such a laboratory.

실험장이었는데

It was an experiment site.

그에 대한 이해가 없는 사람들이

People who lack understanding of him.

정권을 잡고 나니까

After taking power,

중단이 됐죠.

It has been suspended.

그러나 다시

But again

개성공단의

Kaesong Industrial Complex's

여러 가지

Various things

의미에 대해서

About meaning.

올바른 인식을 가진 사람이

A person with a proper understanding

집권을 하면 다시

If you come to power again

살아날 수 있고 결국은 그것이

It can be revived, and eventually, that's it.

우리 통일을 가져오는

Bringing our unification.

출발점이 될 겁니다.

It will be the starting point.

개성공단을

Kaesong Industrial Complex

개성공단이라고 하는 것이

What is called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남북

North and South

경제협력의

Economic cooperation

집결치 아니에요.

It's not a gathering.

남쪽의 자본과 기술 그리고 북쪽의

Capital and technology from the South and the North's

노동력과 싼 땅가

Labor force and cheap land prices.

이걸 이용해가지고

Using this.

북쪽 노동자들이

North workers

북쪽 노동자들은 비록

Northern workers, although

인건비를 받아가는 정도에 그쳤지만

It only amounted to receiving labor costs.

북쪽 노동자들은

North Korean workers

우리 중소기업들이 살아남을 수 있었고

Ou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ere able to survive.

살아날 수 있었고

I could have survived.

또 북쪽도 그것이

Also, the north is that.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니까

I think it will be helpful.

14정상회담에서는

At the 14th summit meeting,

해주에 또 공단을 만들기로 하지 않았어요.

They decided not to build another industrial complex in Haeju.

그리고 또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를

And also the West Sea Peace Cooperation Special Zone.

만들기로 했었고

I had decided to make it.

그러니까 무슨 얘기냐 하면

So what I'm saying is...

군사지역을 경제협력지역으로

Transforming military areas into economic cooperation zones.

바꿨다는 사실이에요.

It's a fact that it was changed.

그러니까 군사지역을

So, military area.

경제지역으로 경제지대 경제협력지역으로

Economic zone, economic area, economic cooperation region.

바꿨기 때문에

Because I changed it.

당시 신동화까지도

Even Shin Dong-hwa at the time.

2004년 1월으로 신동화해서

Rebooted in January 2004.

개성공단 개발로 휴전선 사실상 북상이라는

The development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effectively advances the front line northward.

제목의 장문의 기사까지 썼었습니다.

I even wrote a lengthy article on the subject.

그러니까 경제협력과 안보협력

So, economic cooperation and security cooperation.

또는 경제협력을 통한 군사적 긴장원화

Or reducing military tensions through economic cooperation.

그러면서 북한경제가 제대로 돌아가도록

And then, to ensure that the North Korean economy runs properly.

우리가 길을 열어주고

We will open the way.

그렇게 해서 경제적인 공동체를 면제하고

In that way, exempting the economic community.

사람들 나가면서 긴장 그렇게 되면

When people leave, it gets tense like that.

긴장을 현저히 뚫어지게 돼 떨어지게 돼 있습니다.

The tension is becoming noticeably unbearable, and it is about to break.

그렇게 해서 사회문화협력

Thus, social and cultural cooperation.

사회문화공동체 그리고 정치공동체

Sociocultural community and political community.

그러면 통일이에요.

Then it’s unification.

개성공단 얘기는 그 폐쇄된 거는

The story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is about its closure.

장관님 말씀 듣다가

While listening to the minister's words,

저도 모르게 한숨이 나오네요.

I can't help but let out a sigh.

그 문을 개성공단 폐쇄한 거는

The closure of that door is the reason for the Gaeseong Industrial Complex being shut down.

두고두고 이 정부의 그 오점으로

"It will be a lasting blemish on this government's record."

역사적 과오로 남을 것 같다 이런 생각이 듭니다.

I think it will remain as a historical error.

다시 이제 그 그 바로 잡았다.

I fixed it right away.

원상복구를 해야죠.

It needs to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통일을 하려면 거기서부터 시작해야 됩니다.

To achieve unification, it has to start from there.

개성공단 재가동

Resumption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재가동 그렇죠.

Restart, right?

개성공단 재가동부터 통일 시작이 될 것이다.

The resumption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will be the beginning of unification.

그럼요.

Of course.

그걸 이제 퍼주기라고 하면은

If you call that now giving it away...

통일이라는 단어를 쓰지 말아야 돼.

We should not use the word unification.

북쪽의 돈이 좀 가죠.

There's some money coming from the north.

그러나 그 돈 때문에 그 개성공단이 가죠.

However, that Kaesong Industrial Complex exists because of that money.

그 개성공단이 돌아가고 금강산 관광이 돌아가던 시절에

During the time when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was operating and the Mount Kumgang tourism was active.

그 최전방 군사지대의 군사적 긴장은 현저하게 완화됐었습니다.

The military tension in the front-line military area has significantly eased.

그거를 잊어버리고 돈 간 것만 생각하는데

I keep forgetting about that and only think about the money that was spent.

그건 진짜 생각이 짧았던 거예요.

That was really short-sighted thinking.

개성공단 전면 중단시킨 것은.

The complete suspension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알겠습니다.

Understood.

이 역사의 가정은 없습니다만

There is no assumption in this history, but...

남북관계 관련해서 정말 이렇게 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I really hope that this does not happen regarding inter-Korean relations.

알겠습니다. 역사의 가정은 없습니다만 남북관계 관련해서 정말 이렇게 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I understand. There are no assumptions in history, but I truly hope that this is not how things turn out regarding inter-Korean relations.

이 역사의 가정은 없습니다만 남북관계 관련해서 정말 이렇게 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There is no assumption of this history, but regarding inter-Korean relations, I really hope it doesn't turn out this way.

이렇게 되지 않았어야만 했던 사건.

An event that should never have happened this way.

이걸 꼽는다면 어떤 게 있을까요?

If I were to choose this, what would it be?

우리한테 우리 민족 자체의 불행이다.

It is a misfortune of our nation itself.

이렇게 되지 말았어야 되는 사건이라고 그러니까

This is an incident that should not have happened like this.

조금 딱 맞지 않았는데

It was a little tight.

비슷한 사건이 하나 있었죠.

There was a similar incident.

94년 7월 8일 김일성 주석이 사망하지 말았어야 돼요.

Kim Il-sung should not have died on July 8, 1994.

무슨 얘기냐면 94년 7월 8일 김일성 주석이 사망하지 말았어야 돼요.

What I'm saying is that Kim Il-sung shouldn't have died on July 8, 1994.

7월 25일부터 7월 27일까지

From July 25 to July 27.

김영삼 대통령과 북쪽의 김일성 주석이 정상회담을 하기로 합의가 되어 있었습니다.

President Kim Young-sam and Chairman Kim Il-sung of the North had agreed to hold a summit meeting.

그 당시에 나는 청와대 통일조사원으로 그 회담을 실무적으로 준비하던 때였었어요.

At that time, I was working as a researcher at the Presidential Office preparing for that meeting.

그때 정상회담이 원래 일정대로 진행이 됐더라면

If the summit had proceeded as originally scheduled at that time.

나중에 6.15 공동선언과 비슷한 그런 합의문이 나올 수밖에 없었죠.

Later, a joint declaration similar to the June 15th agreement was inevitable.

나중에 6.15 공동선언과 비슷한 그런 합의문이 나올 수밖에 없었습니다.

Eventually, a statement similar to the June 15th joint declaration was bound to come out.

무슨 얘기냐면 남쪽의 경제력을 가지고 북쪽을 도와주는 과정에서

What I mean is that in the process of using the economic power of the South to help the North,

군사적 긴장을 완화시킨 그런 틀을 짠다 하는 것이

It is to create a framework that alleviates military tension.

그 당시 94년 7.25 정상회담 계획 수립의 기본 입장이었어요.

It was the basic position for establishing the plan for the July 25 summit in 1994.

김영삼 대통령까지도 그분도 돌아가셨지만은 그래.

Even President Kim Young-sam, he passed away too, but yeah.

돈 주면 안 되겠나.

Can you give me some money?

돈을 주고라도 군사적 긴장을 완화시킨다.

Even if it costs money, we will alleviate military tensions.

그래서 지금 개성공단 그쪽에는 원래 장사정포, 방사포가 아주 밀집되어 있는 그런 지역입니다.

So currently, the area around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is originally a region densely populated with long-range artillery and multiple rocket launchers.

용산에 국방부라든지 미공기지를 겨냥하고 있고

It is targeting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nd U.S. military bases in Yongsan.

길게 나가는 평택 오산까지도 때릴 수 있습니다.

You can hit all the way to Pyeongtaek Osan.

길게 나가는 평택 오산까지도 때릴 수 있는 장사정포가 있다고 그러는데

I heard that there are long-range artillery systems that can even hit as far as Pyeongtaek and Osan.

그러니까 그때 김영삼 대통령이 김일성 주석하고 회담하는 과정에서

So at that time, during the process of President Kim Young-sam meeting with Chairman Kim Il-sung,

긴 얘기하지 마시고 우리가 경제적으로 북한 경제가 어려우니까

Don't go into a long story; just say that North Korea's economy is struggling economically.

좀 도와줄 용의가 있다.

I am willing to help a bit.

그러니 그 장사정포 최전방에 휴전선 최전방에 배치한 장사정포, 방사포를 좀 뒤로 물려라.

So, move the long-range artillery and multiple rocket launchers that are positioned at the front line of the ceasefire line a bit further back.

네.

Yes.

이런 식으로 합의를 하시고 그리고 장관급 회담만 합의해 주시면 그 다음에 실무적으로 풀겠습니다.

If you agree in this way and then agree to hold a ministerial meeting, we will resolve the practical matters afterward.

그때 그러니까 7월 25일부터 정상회담이 정상적으로 진행이 돼가지고

So, the summit is expected to proceed normally from July 25th.

7월 27일 날 공동선언이 나왔더라면 2000년 정상회담 이후에 진행됐던 상황이 진행될 수밖에 없었어요.

If the joint declaration had been made on July 27, the situation that occurred after the 2000 summit meeting could not have been avoided.

6년 빨리 시작해서.

Start six years earlier.

6년 빨리 시작을 했으면.

I wish I had started 6 years earlier.

그래가지고 그것이.

So, that is.

그냥 그대로 굳어졌으면 그리고 이제 김대중 대통령이 또 다시 대통령이 돼가지고

I just wish it had stayed the same, and now President Kim Dae-jung has become president again.

그러면 그 분야 당연히 그 연장선상에서 합의 정책을 더 적극적으로 추진했을 거 아니에요.

Then, in that field, they would have naturally been more actively pursuing consensus policies along that line.

그러면 이제 94년입니다.

Then it's now 1994.

그때가.

That time.

지금 이제 2016년이고.

It's now 2016.

그렇죠.

That's right.

22년 전.

22 years ago.

22년 전이죠.

It was 22 years ago.

그리고 그러니까 김영삼 정부의 2년 차에 정상회담이 되고 그리고 김대중 5년 노무현 5년.

And so, during the second year of the Kim Young-sam administration, a summit took place, followed by five years of Kim Dae-jung and five years of Roh Moo-hyun.

10 한 3, 4년 동안 남북관계가 같은 방향으로 남한의 경제력과 북한의 군사력을 맞바꾸는 그런 식의 관계를 구조화 시켜놨더라면 지금 우리 팔자가 이렇지 않죠.

If over the past 3 or 4 years, North and South Korea had structured their relationship in a way that exchanged South Korea's economic power for North Korea's military power, our fate wouldn't be what it is now.

우리 팔자요.

It's our destiny.

아니 나라의 팔자가.

No, the fate of the country.

그러니까요.

That's right.

이거 뭡니까 지금.

What is this right now?

북한의 여러 가지 핵 능력이 강화되면 강화된 대로 불안하고.

As North Korea's various nuclear capabilities strengthen, it becomes increasingly unstable.

북한이 무슨 북한의 일거수일투족이 지금 불안하잖아요.

North Korea's every move is unsettling right now.

김영삼 대통령은 화끈한 대통령으로 유명하기 때문에 그때 북한에 지원했으면 또 악수리나 지원했을 것 같다 이런 생각도 듭니다.

President Kim Young-sam is معروف for being a fiery president, so I think that if he had provided support to North Korea at that time, he would have done so decisively.

그렇죠.

That's right.

그러니까 정상회담은 그렇게 해서 무산되고 말았지만 95년도에 북쪽이 뭐라고 합니까.

So the summit ended up falling through like that, but what does the North say in 1995?

식량지원을 호소를 했어요.

They appealed for food aid.

국제사회에.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그때 농사가 안 됐어요.

The farming didn't go well at that time.

북한 경제를 보면 70년대 초반까지는 북한이 우리보다 잘 살았습니다.

Looking at the North Korean economy, until the early 1970s, North Korea was better off than us.

그런데 70년대 중반으로 들어서면서 우리한테 뒤지기 시작했어요.

However, starting in the mid-1970s, it began to fall behind us.

그런데 국제정세의 급격한 변화 때문에 80년대 북한 경제는 제로 성장입니다.

However, due to the rapid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North Korea's economy in the 1980s experienced zero growth.

그리고 90년대는 마이너스예요.

And the 90s are a minus.

마이너스 성장을 하고 있는.

Experiencing negative growth.

그 한 중간에 정상회담을 할 뻔했었고 우리가 그걸 알고 있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지원할 테니까 군사적 대남 위협을 줄여라 하는 식으로 맞바꿉시다 하는 틀을 짰던 거지.

At that time, there was a near chance of holding a summit, and since we are aware of that, let's set up a framework where we will provide economic support in exchange for reducing military threats against the South.

95년에 식량지원을 요청을 했는데 처음에 김영삼 대통령이 100만 톤 주겠다고 그랬어요.

In 1995, we requested food aid, and at first, President Kim Young-sam said he would provide 1 million tons.

한 번에요.

It's just once.

아니 한 번에 100만 톤이 못 가요.

No, we can't go in one go with 1 million tons.

네.

Yes.

부두 항만 부두 시설이 하영 능력이 빈약해가지고 5천 톤, 만 톤급 해도 접안하는 게 어려우니까.

The dock facilities at the port are lacking in capacity, making it difficult for ships of 5,000 tons or even 10,000 tons to dock.

그러니까 아주 10만 톤 보내려면 딱 한다 걸려요.

So, if we want to send exactly 100,000 tons, it will be just right.

해보니까.

I tried it.

그때 15만 톤 주고 말았는데 청진항 인공기 계양사건 때문에 세상 못 줬지만 어쨌건 100만 톤도 줄 수 있다.

At that time, I offered 150,000 tons, but I couldn't give it to the world due to the incident involving the artificial island at Chongjin port; however, I can still provide 1 million tons.

태국산 쌀을 사서 주려고 그랬었어요.

I was planning to buy Thai rice and give it to you.

우리 쌀 15만 톤.

Our rice, 150,000 tons.

100만 톤을 살 수 있는 돈이면 태국산, 안남미라는 겁니다.

With the money to buy one million tons, it means Thai rice, known as jasmine rice.

태국이나 또는 베트남에서 난 쌀 그 길쭉길쭉한 거 그 100만 톤 살 수 있었어요.

I was able to buy 1 million tons of that long rice from Thailand or Vietnam.

저쪽은 양이 많은 것이 중요하니까.

Over there, having a large quantity is important.

그런데 그 100만 톤 외국에서 사서 주겠다고 그랬더니 우리 쌀농가에서 데모해가지고 쌀은 민족주의다 하는 명분으로 들고 일어나니까

However, when we said we would buy that 1 million tons from abroad, our rice farmers protested, claiming that rice is a matter of nationalism.

국내 정치 여론을 중시하는.

Emphasizing domestic political public opinion.

네.

Yes.

김영삼 대통령이 그럼 국산 쌀로 줄 수밖에 없다.

President Kim Young-sam has no choice but to use domestic rice.

그러니까 예산 구상해놨던 거에서 그냥 7분의 1로 분량이 줄어든 거죠.

So, it has simply decreased in volume to one-seventh of what was originally planned in the budget.

어쨌건 그때 100만 톤도 줄 수 있다고 그랬어요.

Anyway, I said that I could provide 1 million tons back then.

그러니까 이게 남북관계를 보면요.

So, looking at the inter-Korean relations...

보수 성향의 정치인이 과감한 조치를 하면 큰 저항이 없는데 진보 성향의 정치인이 대북 조치를 좀 과감하게 하면 시끄럽습니다.

When a conservative politician takes bold action, there is not much resistance, but when a progressive politician takes somewhat bold action regarding North Korea, it becomes noisy.

시끄럽지만 대통령이 소신을 가지고.

It's noisy, but the president is committed to their beliefs.

또는 그 참모들의 소신을 가지고 그걸 국민들을 설득해나가면 얼마든지 남북관계를 또 발전시킬 수 있는 여지는 있습니다.

Alternatively, if those aides have conviction and persuade the public, there is plenty of room to further develop inter-Korean relations.

돈 주면 안 되겠나 이게 참 절절한 말입니다.

"Could you not give me money? This is truly a heartfelt request."

그래 돈 주면 안 되겠나.

Sure, can't you just give me the money?

그분은 그렇게 간단하게 입력이 돼요.

It's that easy to input that person.

재미있는 분이야.

You're an interesting person.

내가 한 3년 8개월 비상을 해봤는데 참 재미있어요.

I've been flying for about 3 years and 8 months, and it's really fun.

사람을 끄는 매력이 있어.

There is an appealing charm that attracts people.

간단히 말해서.

In simple terms.

그 한국전쟁을 빼고 남북관계에서 최악의 사건을 꼽는다면 뭐가 있을까요.

If we exclude the Korean War, what would be considered the worst incident in inter-Korean relations?

북핵 문제죠.

It's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북핵 문제가 93년에 터졌는데 93년에 터져가지고 지금까지 해결이 안 되지 않습니까.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erupted in 1993, and it has not been resolved since then.

그렇죠.

That's right.

23년째 해결이 안 되고 오히려 좀 더 점점 더 상황이 악화돼가지고.

For 23 years, the issue has not been resolved and rather, the situation is getting worse and worse.

이제 북한의 비핵화라고.

Now it's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그런 목표를 과연 달성할 수 있겠는가.

Can such a goal really be achieved?

북한이 지금 2008년 12월달에 육지화회담이 열리고 이명박 정부 때입니다.

The North Korea land talks are happening now in December 2008, during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2008년 12월달에 육지화회담 본회담도 아니고 육지화회담 수석대표 회의가 베이징에서 있은 뒤에

In December 2008, after the main discussions of the land reconciliation talks, not just the main conference but also the chief representatives meeting of the land reconciliation talks was held in Beijing.

지금까지 8년 이상 회담이 못 열리고 있습니다.

It has been over 8 years since talks have been held.

한국이 그 당시에 비핵 개방 3000을 통일적으로.

At that time, Korea uniformly pursued the nuclear-free opening 3000 policy.

그런 정책으로 삼았을 때니까 북한이 비핵화하기 전에는 아무것도 안 한다.

Since it is based on such a policy, North Korea will do nothing until it denuclearizes.

그런 정책이었기 때문에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회담은 의미가 없다.

Because it was such a policy, talks for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are meaningless.

회담해봐야 질질 끌려다니기나 하는 일종의 패배주의죠.

It's a kind of defeatism where all you end up doing is dragging things out by holding talks.

그것 때문에 회담을 안 하려고 그러니까 미국도 힘을 못 쓰더구만.

They are trying to avoid the talks because of that, so the US is also unable to exert its influence.

미국 오강화 정부도 슬슬 전략적 인내 쪽으로 돌아버리고 이러면서

The U.S. government is also gradually turning towards strategic patience while doing this.

육지화회담이 열리지 못하나.

Is the land-based summit not being held?

그러는 동안에 북한이 핵무기를, 핵실험을.

Meanwhile, North Korea is developing nuclear weapons and conducting nuclear tests.

4번 했죠.

I’ve done it four times.

노무현 정부 때 2006년에 한 번 했고.

It was done once in 2006 during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그렇죠.

That's right.

이명박 정부, 박근혜 정부 8년 동안에 3번을 했는데

During the eight years of the Lee Myung-bak and Park Geun-hye administrations, it was done three times.

첫 회담보다도 2차, 3차, 4차 회담이 상당히 파워풀한 겁니다.

The second, third, and fourth meetings are significantly more powerful than the first meeting.

그러면서 소형화로 간 거야.

That's how it became smaller in size.

소형화된 탄도를 지난번에 보여주지 않았어요.

I didn't show the miniaturized projectile last time.

거기에다가 중량거리 탄도미사일이 대기권 밖으로 나갔다가 대기권 안으로 재진입하는 성공을 했단 말이에요.

Moreover, it successfully re-entered the atmosphere after going out of the atmosphere with a heavy-duty ballistic missile.

이거는 대단한 거예요.

This is amazing.

굉장히 위협적인 겁니다.

It's extremely threatening.

그러니까 그렇게까지 된 마당에 북한이 핵을 순순하게 그냥 돈 몇 푼 받고 내놓겠는가 하는 그런 걱정이 있습니다.

So there are concerns that, given the situation, North Korea won't easily give up its nuclear weapons just for a few dollars.

네.

Yes.

그래서.

So.

앞으로 미국, 중국 이런 나라들하고 긴밀하게 협력을 해나가면서

In the future, we will work closely with countries like the United States and China.

하여튼 북핵 문제가 한반도 정세를 흔들지 않도록 뭔가 지금 안전장치를 해놔야 되는데

Anyway, we need to put some safety measures in place so that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does not shake the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지금 이 정부에서는 기대할 수가 없고.

You can't expect anything from this government right now.

안 오겠다는 거 아니에요.

It means you're not coming, right?

압박을 통해서.

Through pressure.

그러니까 지금 3월 3일 날 채택된 유엔안전포장에서.

So, on March 3rd, it was adopted by the UN Security Council.

국회 대북 제재.

North Korea sanctions by the National Assembly.

네. 2230번.

Yes. Number 2230.

이거를 좀 더 확실하게 진행시켜가지고 북한이 핵을 스스로 포기할 때까지는 우리는 절대로 정책을 안 바꾼다 이거란 말이에요.

We will not change our policy until North Korea voluntarily gives up its nuclear weapons, and we will carry this out more decisively.

그런데 압박으로 포기할 가능성은 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However, I don't think there is a possibility of giving up due to pressure.

그러면 이 북핵 문제는 박근혜 정부 임기 말까지 해결 안 될 뿐만 아니라 오히려 그 1년 반 이상이 남았는데

Then,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will not be resolved until the end of Park Geun-hye's term, and there is still more than a year and a half remaining.

그 기간 중에 또 한 번의 핵실험을 할 수 있는 가능성.

The possibility of conducting another nuclear test during that period.

그게 나는 얼마든지 있다고 생각하고.

I think that there is as much as you want.

그다음에 또 지난번에는 화성 10호죠.

Next time it’s the Mars 10, right?

무수단이라는 거.

Musudan.

무수단은 사실은 발사하는 장소의 이름입니다.

Musudan is actually the name of the launch site.

무수단 미사일 화성 10호.

Musudan missile Hwasong-10.

이것이 중장거리 미사일인데 그보다 더 긴 장거리 미사일이 가령 한 6천 킬로 이상 되는 것이

This is a medium-range missile, and there are long-range missiles that exceed 6,000 kilometers.

대기권.

The atmosphere.

지금 말씀하신 게 북한이 대륙간 탄도 미사일을 갖게 되는 상황을 말씀하시는 거군요.

What you just said refers to the situation where North Korea possesses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s.

네.

Yes.

그러니까 그러기 전에 사실은 이걸 중단을 시켜야 되는데 지금 압박으로 북한이 자진해서 핵을 포기할 때까지 우리는 이 정책을 계속 끌어오나가겠다고 하는 아주 완강한 입장을 버리지 않고 있으니까 희망이 없다는 거지.

So, before that, we actually need to put a stop to this, but with the pressure we have, we are maintaining a very firm stance, saying that we will continue this policy until North Korea voluntarily gives up its nuclear weapons, which means there is no hope.

외교부나 통일부 당국자라는 사람들 만나서 물밑대화 이런 얘기 물어보면 물밑대화가 없다는 걸 아주 자신있게 말할 수 있다. 이렇게 얘기를 합니다. 그거 보면서 참 답답합니다.

When I meet with officials from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r the Ministry of Unification and ask about behind-the-scenes talks, they confidently say that there are no such talks. It's really frustrating to hear that.

그건 정권 초에 박근혜 대통령은 자신이 직접 얘기하지 않았어요.

In the early days of the administration, President Park Geun-hye did not speak directly herself.

그런데 외교나 남북관계도 어떤지.

By the way, how are diplomacy and inter-Korean relations?

그것은 외교 비슷한 건데 외교에 있어서 그런 어떤 비공개 접촉 이런 걸 갖다가서 비도덕적이라고 생각하는 것 자체가 잘못된 거예요.

It's similar to diplomacy, and thinking that having some kind of private contact in diplomacy is immoral is fundamentally incorrect.

전쟁 중에도 뒤로는 협상을 계속하는데 국민들 모르게 그렇게 하면서 전쟁을 언제쯤 끝낼 것이냐.

Even during the war, you continue negotiations behind the scenes without the public knowing; when will you end the war?

어느 정도에서 서로 만족하고 끝낼 것이냐는 접점을 찾기 위해서 끊임없이.

We must constantly seek a point of compromise where both parties can be satisfied to some extent and conclude.

적국끼리도 포탄이 날아가는 그 이면에서는 비밀 접촉을 하기 마련이고 외교사회 보면 비밀 접촉이 굉장히 많습니다.

Even between adversaries, there are often secret contacts behind the scenes where shells are flying, and if you look at the diplomatic community, there are many secret contacts.

서양이고 뭐고.

Whether it's the West or anything else.

국민들한테는 절대로 우리는 이 전쟁 쉽게 끝나지 않고 적이 항복할 때까지 끝까지 밀고 나갈 것이다 하면서도 뒤로는 비밀 접촉해서 적당한 선에서 마무리를 하잖아요.

While we tell the public that this war will not end easily and that we will push forward until the enemy surrenders, we secretly negotiate to wrap things up at an appropriate level.

그러니까.

So.

그러니까 이건 지혜롭지 못한 거지.

So this is not wise.

이 언론이나 기자들한테 지금 몰라도 좋고 크게 물을 먹어도 좋은데 그런 게 있으면 좋겠다 이런 얘기를 하면 그런 게 없다는 걸 자신 있게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I can confidently say that if you talk about wanting something like that, whether these media or journalists know it or not, it doesn’t exist.

이렇게 얘기를 하니까 답답합니다.

It feels frustrating to talk like this.

참 그걸 자신 있게 얘기를 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에 대해서 가슴 아프게 생각해야 돼요.

You should sadly reflect on the fact that you can only speak about it with confidence.

알겠습니다.

Understood.

외교관들이나 통일부 사람들이 남북 간의 물밑 접촉이 일체 없다 그런 것을 자신 있게 얘기할 수 있는 정도로.

Diplomats and people from the Ministry of Unification can confidently say that there are no behind-the-scenes contacts between North and South.

이 정권의 경직성이 강하다는 얘기입니다.

This means that the rigidity of this administration is strong.

지금 홍영표 통일부 장관이 정세현 장관님을 장관의 롤모델로 생각한다 이런 얘기를 국회 답변이나 이런 데서 얘기를 한 적이 있는데 장관님은 남북관계 관련 업무를 하면서 롤모델로 생각한 분이 있습니까?

Currently, Minister Hong Young-pyo of the Ministry of Unification has mentioned in his responses at the National Assembly that he considers Minister Jeong Se-hyun as his role model. Have you ever thought of anyone as a role model while working on inter-Korean relations?

이전 전임 장관분들도 있을 대상일 수도 있고 그런데 아무튼 그런 분 아니어도.

It could be someone who was previously a minister, but anyway, it doesn't have to be that kind of person.

장관님이 롤모델로 생각하신 분이 있으시다면 누구세요?

If you have someone you consider a role model, who would it be?

홍영표 장관이 국회에서까지 청문회에서 나를 롤모델로 삼겠다고 해서 내가 지금 오히려 곤란하네 지금.

Minister Hong Yong-pyo said in the National Assembly during the hearing that he would take me as a role model, but now I'm actually in a difficult position.

나는 그렇게 롤모델로 삼으면 내가 있을 때처럼 남북 대화도 많이 하고 내가 2년 5개월 근무를 했는데 두 정부에 걸쳐서 2년 5개월 근무하는 동안에 95회 남북 대화를 했습니다.

I think I can set that as a role model; I engaged in a lot of inter-Korean dialogue while I was there. During my 2 years and 5 months of service, I participated in 95 inter-Korean dialogues across two administrations.

그 다음에 합의서도 막 이런 3개인가를 만들었어요.

After that, we also created a memorandum of agreement with these three items.

그리고 철도도로 연결하고 그다음에 개성공단 철사 앞두고.

And then connect the railway roads, and after that,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is ahead.

그런데 롤모델을 나를 삼았으면 그런 일 좀 하지.

If you’re going to take me as a role model, then you should do things like that.

그런데 나는 내가 통일원에 처음 들어가서 70시간 통일원에 들어가서 맨 처음에 맡았던 일이

By the way, the first task I was assigned when I first joined the Ministry of Unification and spent 70 hours there was...

타 분당국 사례 연구하는 거예요.

It's a case study on other countries' ministries.

그래서.

So.

다른 나라들.

Other countries.

동서독이죠.

It's East and West Germany.

처음에 그걸 맡았어요.

I took charge of that at first.

동서독의 접근 과정 같은 것을 77년, 78년 때 공부를 했죠.

I studied the process of rapprochement between East and West Germany in 1977 and 1978.

그리고 독일 유학하는 교수들하고도 자주 세미나도 하면서.

And we often hold seminars with professors who study in Germany.

그러면서 독일의 통일이 아니라 독일이 그런 식으로 77년이면 독일은 이미.

Meanwhile, it's not the unification of Germany, but rather that in such a way, by 1977, Germany was already...

동방정책이 상당한 정도로 진전이 돼서 통일 쪽으로 가까이 다가가고 있던 시절입니다.

It was a time when the Eastern policy had made significant progress, getting closer to unification.

그 이후에도 쭉 전개 과정을 지켜보면서 동서독의 관계를 지켜보면서

Since then, I have been watching the development process and keeping an ey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st and West Germany.

예곤바를 하는 사람에 대해서는 주목을 했어요.

I paid attention to people who play the bongo.

예곤바.

Yegonba.

원래 그 사람은 기자 출신일 겁니다.

Originally, that person is probably a former journalist.

저도 그렇게 알고 있습니다.

I know that as well.

네.

Yes.

서베를린의 어디 기자였었는데.

I was a reporter in West Berlin.

서베를린 시장으로 있던 빌리 브란트가 발탁을 해서 공보관으로 같이 일을 했고.

Willie Brandt, who was the mayor of West Berlin, selected me, and we worked together as a press officer.

그리고 나중에 수상돼서 총리돼서 같이 데리고 들어가서 동서독 관계를 여는데.

And later, after being awarded and becoming the Prime Minister, I will take him in with me to im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East and West Germany.

소위 마크 조정자, 밀사 이런 식으로 활용을 해서 역할을 했었죠.

So-called mark adjusters and envoys were utilized in this way to fulfill their roles.

훌륭한 일이었고.

It was a great thing.

독일 통일은 어떤 점에서는 빌리 브란트가 예고는.

The unification of Germany was somewhat anticipated by Willy Brandt.

예곤바를 썼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볼 수도 있어요.

It can be said that it was possible because I used the Yeogonbar.

어쨌건 저는 나도 예곤바를처럼 좀 됐으면 좋겠다는 생각은 한 적이 있었습니다.

Anyway, I have thought that I would like to be a bit like Yegonbar.

그 시절에 그러니까 70년대 말.

Back in those days, in the late 1970s.

그때는 동서독 관계에 관심이 있었기 때문에 좀 봤고.

At that time, I was interes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st and West Germany, so I watched it a bit.

나중에 독일 통일이 되고 나서 90년에 독일 통일이 되지 않습니까.

Later, after the unification of Germany, didn't the unification happen in 1990?

독일 통일이 되고 난 뒤에 예곤바를.

After the reunification of Germany, an egoism arose.

이 얘기가 계속 나오잖아요.

This story keeps coming up.

그 사람이 없었으면 독일 통일은 어려웠다는 정도로까지 얘기가 나오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It has been said that without that person, the reunification of Germany would have been difficult.

90년 이후에 욕심을 내기 시작한 거죠.

It started to become greedy after the 90s.

나도 저렇게 좀 해봤으면 좋겠다.

I wish I could do that too.

그런 생각을 했었는데 그것까지 가지 못하고.

I had such thoughts, but I couldn't take it that far.

또 나중에 역사가 더 흘러서 그렇게 기억이 되실지도 모르지 않겠습니까.

Later on, as time goes by, it may be remembered that way, don't you think?

기억이 되는 게 문제가 아니라 마지막까지 완계를 지워야지.

It's not a matter of remembering; you have to erase everything until the very end.

예곤바를 하면 마지막까지.

If you do yoga, do it until the end.

작년 8월.

Last August.

작년 8월에 그냥 세상 떴죠.

I just appeared in the world last August.

93살까지 살다가.

Living until 93 years old.

진짜 기억력 좋으십니다.

You really have a good memory.

나도 그 정도 살게 돼 있어.

I’m destined to live that much too.

발자가.

Footstep.

93세의 나이로 작년 8월에 접근을 통한 변화라는 말을 만들어낸.

At the age of 93, he coined the phrase "change through access" in August of last year.

그렇죠.

That's right.

접근을 통한 변화 또는 변화를 통해서 다시 또 접근을 강화하고.

Strengthening access through change or enhancing access again through change.

쌍방이 변화를.

Both sides change.

변화를 통한 접근이라는 것은 얼른 보면 말이 안 되는 것 같지만.

The approach through change may seem nonsensical at first glance.

접근을 통해서 상대방을.

Through an approach to the other person.

상대방을 변화시키려면 우리가 먼저 변해야 된다 하는.

In order to change the other person, we must change ourselves first.

우리는 지금 그 상대방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우리가 먼저 변화하는 것을 싫어합니다.

We dislike changing ourselves first in order to change the other person.

퍼주기라고 그러고 끌려다니기라고 그러고.

They call it giving away and say it's being dragged around.

종북이라고 그러고 좌파리라고 그러는데.

They say I'm pro-North Korea and call me a leftist.

우리가 북쪽에 대한 생각을 바꾸지 않으면 북한 변화 못 시켜요.

If we do not change our thinking about the North, we cannot bring about change in North Korea.

우리의 대북관이 바뀌지 않으면 우리 국민들의 대북관이 바뀌지 않으면 북한 변화는 기대할 수 없습니다.

If our perspective on North Korea doesn't change and the perspective of our citizens on North Korea doesn't change, we cannot expect any changes in North Korea.

그런데.

However.

어차피 어차피 한반도에서 남북관계에서 한반도 상황 또는 통일의 여건을 맺어 나갈 상황을 제대로 관리하면서 통일의 여건을 키워나갈 수 있는 힘은 북쪽에 없습니다.

In any case, there is no power in the North to properly manage the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or grow the conditions for unification in the context of inter-Korean relations.

남쪽에 있습니다.

It is in the south.

그럼 힘이 있으면 힘이 있는 쪽에서 먼저 다가가는 자세로 가야죠.

Then if you have strength, you should approach first from the side that is strong.

그런데 지금은 무릎 꿇고 항복해와라 이런 거죠.

But now, it's like saying kneel down and surrender.

절대로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을 겁니다.

That kind of thing will never happen.

정세현 장관님의 롤모델은 에곤바였네요.

Minister Jeong Se-hyeon's role model was Egon Ba.

독일의 에곤바.

Egon Bar in Germany.

남북관계를 개선하고 통일로 가기 위해서는 굉장히 다양하고 복잡한 요인들이 많은데요.

To improve inter-Korean relations and move towards unification, there are many very diverse and complex factors involved.

그중에서도 가장 핵심적인 요인은 뭐라고 생각하십니까?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essential factor among them?

조금 전에 얘기를 했지만 비슷한 얘기입니다.

I talked about it a little while ago, but it's a similar story.

그러니까 통일을.

So, it's about unification.

달성.

Achievement.

달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남북관계를 지금처럼 놔둬서 남북관계를 계속 개선해 나가야 돼요.

To achieve this, we must first allow the inter-Korean relationship to remain as it is now and continue to improve it.

남북관계 개선하는 첫 출발은 우리 국민들의 대법관이에요.

The first step to improving inter-Korean relations is our citizens' Supreme Court justices.

북쪽을 무조건 미워하거나 북쪽은 무조건 우리 뒤통수만 때리려고 하는 집단이다 하는 식으로 보면 통일 못합니다.

If we view the North as a group that must be unconditionally hated or that is always trying to stab us in the back, we cannot achieve unification.

관계 개선도 못해요.

I can't improve the relationship.

불안해서.

I'm anxious.

그러니까 북쪽을 상대로 해서 우리가.

So, in relation to the north, we...

여러 가지 교류왕래를 하는 그 과정에서 절대로 안보를 소홀히 해서는 안 됩니다.

In the process of various exchanges and interactions, we must never neglect security.

피스키피핑 이것은 통일이 되는 날까지 계속해야 돼요.

Peacekeeping, this must continue until the day of unification.

피스키피핑은.

Piskipping is.

평화를 지키고 안보죠.

We protect peace and security.

그러나 피스메이킹은 동시에 그걸 계속 해나가야 돼요.

However, peacemaking must continue at the same time.

그러니까 피스키피핑과 피스메이킹을 병행을 하는데 처음에는 피스키피핑만 하다가 피스메이킹을 시작하면.

So, we initially only do peacekeeping and then start peace-making while doing both.

북쪽도 쉽게 거기 적응을.

The north also easily adapts there.

적응을 잘 못하고.

Not adapting well.

적응을 못해가지고 협조를 잘 안 해요.

I can't adapt, so I don't cooperate well.

우리가 해봤지만 그러나 우리가 확실한 의지를 가지고 또는 진정성을 가지고 북쪽에 접근해 가면은 북한이 협조를 합니다.

We have tried, but if we approach the North with a clear intention or sincerity, North Korea will cooperate.

남북 간에 여러 가지 분위기가 부드러워지죠.

The atmosphere between the North and South is softening in various ways.

결국 피스키피핑과 피스메이킹을 병행하는데 안보와 그러니까 남북관계 개선을 병행하자는 얘기입니다.

In the end, it is about simultaneously pursuing peacekeeping and peacemaking, which means advocating for the improvement of security and inter-Korean relations together.

그러면 남북관계 개선이 돼 가면 돼 갈수록 군사적인 긴장은.

Then, as the improve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progresses, military tensions increase.

현장에 떨어질 수 있어요.

It could fall on the site.

그래야 되면 피스키피핑에 들어가는 돈도 줄어듭니다.

If that happens, the money going into peacekeeping will also decrease.

근데 이걸 안 하면 피스메이킹을 안 하면 피스키피핑만 해야 되고 북쪽의 속셈이 뭔지를 전혀 모르니까 그냥 일단.

But if we don't do this, if we don't engage in peacemaking, we can only focus on peacekeeping, and since we have no idea what the North's intentions are, we just have to proceed for now.

오늘 안전하게 해서 0.001%의 실수도 없어야 된다는 생각에서 국방비만 증액을 해가지고 철저하게 틀어막는 그런 어리석음을 범할 수밖에 없죠.

Today, thinking that there should be no mistakes, even 0.001%, we inevitably commit the foolishness of only increasing defense spending and thoroughly closing off other areas.

근데 국방비 많이 써도 지금 별로.

But even if we spend a lot on defense, it doesn't matter much right now.

네.

Yes.

효과도 없는 것 같으니까 이것도.

It seems like this is also ineffective.

그거 이제 그 사실 박정희 대통령 때부터 자조 국방이라고 그래서 국방 예산을 한때는 20%까지 국가 예산의 20%를 국방비로 배정을 했었어요.

That has been the case since President Park Chung-hee's time, when it was called self-reliant defense, and at one point, 20% of the national budget was allocated to defense spending.

요즘은 아마 10% 9% 9% 내지는 못할 겁니다.

These days it probably won't be 10%, 9%, or even 9%.

근데 20%씩이나 국가 예산의 20%씩이나 투자를 해가지고 자조 국방을 한다고 했는데.

But they said they are investing 20% of the national budget for self-defense.

결국 자조 국방은 그냥 구호로만 남고 전시 작전 통제권도 미국한테 계속 맡겨놓고 있고 미국 무기나 사다 쓰고 우리 무기를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이 왜 없겠어요.

In the end, self-reliant defense remains just a slogan, and we continue to leave operational control during wartime to the United States, while buying American weapons; why wouldn't we have the ability to develop our own weapons?

왜 없겠어요.

Of course there is.

북한만 자체적으로 무기 개발할 수 있습니까.

Can North Korea develop weapons on its own?

우리도 그 정도 돈이 있을 텐데 미국에서 사다 쓰는 게 편하지.

We probably have that much money, so it's easier to buy and use it in the U.S.

그러다 보니까 이게 국방비에 들어가는 돈이 엄청나게 많습니다.

As a result, a tremendous amount of money goes into defense spending.

그런데 피스키팅과 피스메이킹을 병행하면 그러면 나중에 결과적으로는 피스메이킹은 별로 돈이 안 들어요.

However, if you combine peacekeeping and peacemaking, then ultimately, peacemaking doesn't cost much.

통일부 예산 국방부 예산의 100%도 안 됩니다.

The Ministry of Unification's budget is less than 100% of the Ministry of Defense's budget.

그런데 남북협력기금이라는 것이 그런 식으로 해서 하다 보면 북쪽 사회가 변할 수밖에 없어요.

However, if we proceed in that way with the inter-Korean cooperation fund, the northern society will inevitably change.

알겠습니다.

Got it.

지금 게시판에 올라온 글 몇 개만 소개해드리고.

I'll just introduce a few posts that have been uploaded to the board right now.

지금 이어가겠습니다.

I will continue now.

게시판에 고양이섬이라는 분입니다.

The person is called Cat Island on the bulletin board.

한통성 마지막 회다.

This is the last episode of "Hantongsung."

정말 듣고 배울 게 많은 팟캐인데 팟캐스티인데 점점점.

It's a podcast with a lot to listen to and learn from, but...

그다음에 LEJEHO.

Then LEJEHO.

아 이재호 씨군요.

Oh, it's Mr. Lee Jae-ho.

이게 프레시한 이재호 기자일지 혹시 민주평통의 이재호라는 분이 있는데 그분일지.

Is this the fresh reporter Lee Jae-ho, or could it be the Lee Jae-ho from the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Human Rights?

아무튼 이재호라는 이름이 좀 흔한 이름이니까 이재호 씨.

Anyway, since the name Lee Jae-ho is quite common, Mr. Lee Jae-ho.

장관님.

Minister.

칼럼.

Column.

그다음에 기자님 기사.

Then, the journalist's article.

아이고 저까지 언급해 주셨네요.

Oh my, you even mentioned me!

관심 있게 계속 지켜보겠습니다.

I will continue to watch with interest.

그다음에 김승배 씨.

Next is Mr. Kim Seung-bae.

정 전 장관님.

Former Minister.

결론은 정권 교체만이 답이네요.

The conclusion is that only a change of government is the answer.

이렇게 글을 남겨주셨습니다.

You left a message like this.

또 이렇게 의견 계속 올려주시면 중간중간 소개를 해드리면서 계속 진행을 해나가겠습니다.

If you continue to share your opinions like this, I will introduce them intermittently and keep moving forward.

최근 얘기 하나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Let's have a conversation about something recent.

지난 6월 27일 날.

On June 27th.

6월 27일 날.

June 27th.

북한의 조선반도의 평화와 자주 통일을 위한 북남 해외 재정당 단체 개별 인사들의 연석회의 복축준비위원회가 이름이 깁니다.

The Preparatory Committee for the Joint Meeting of Individuals from North and South Overseas Reunification Organizations for Peace and Sovereign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has a long name.

남측 정부 인사들과 각계 인사들에게 민족적 대회합을 하자.

Let's have a national gathering with officials from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people from various sectors.

이런 서한을 보냈습니다.

I sent such a letter.

장관님도 이 사원을 받으신 걸로 저도 알고 있는데.

I understand that you have also received this employee, Minister.

이거 받으기 접수하시고 난 다음에 어떤 생각이 드셨습니까?

What were your thoughts after you received this?

네.

Yes.

변진아.

Byeon Ji-na.

저는 좀 늦게 왔어요.

I arrived a little late.

먼저 보도가 먼저 되고.

First, the report comes first.

왜냐하면 김재중 평화센터로 온 것 같습니다.

Because it seems to have come to the Kim Jaejoong Peace Center.

거기서 다시 나한테 등기로 붙여주는 바람에 좀 늦게 왔는데.

I arrived a bit late because it was sent to me by registered mail from there again.

기사가 떴을 때 기사 보도를 보고.

I saw the news report when the article came out.

이 사람들이 북쪽이죠.

These people are from the north.

이게 김일성 시대로 돌아가나 하는 생각을 했어요.

I thought we were going back to the Kim Il-sung era.

남측의 인사들한테 편지 보내는 거.

Sending a letter to the people in the South.

편지 보내고.

Send the letter.

그러니까.

So.

대규모 집회.

Large-scale rally.

통일 문제를 놓고 대규모 집회를 하자고 그런 제안을 김밀성 시대에 여러 번 했었습니다.

During Kim Mil-sung's era, there were several proposals to hold large-scale rallies regarding the reunification issue.

대표적인 것이 6월 25일에 남침을 하게 됩니다마는.

A notable example of this is the invasion that took place on June 25th.

내 기억에 6월 14일인가 6월 18일에 해주에서 남북재정당 사회단체 연석회의를 열자.

As far as I remember, let's hold a conference for the joint meeting of social organizations from North and South Korea in Haeju on June 14th or June 18th.

통일 문제를 해놓으니까요.

Because it deals with the unification issue.

그 제안을 해놓고는 이쪽에서 가느니 못 가느니 그때는 이승만 대통령 시절이니까.

After making that suggestion, it's during the time of President Syngman Rhee, so it's a matter of whether we can go or not.

가느니 못 가느니 옥신각신하고 논란이 있었죠.

There was a heated debate over whether to go or not.

이른바 남남 갈등이 좀 있었지.

There was some so-called inter-personal conflict.

그리고 6월 25일에 군사 행동을 했단 말이에요.

And they say military action was taken on June 25th.

그러니까 그때 일종의 전과가 있어요.

So at that time, there was a kind of criminal record.

그런 소위 민중 집회를 하자고 해놓고 군사적 행동을 했던 적이 있어서.

There was a time when we called for so-called popular gatherings but then took military action.

그런 대규모 군중 집회 비슷한 걸 하자고 할 때는 신뢰가 좀 안 갑니다.

I don't have much trust when it comes to suggesting something similar to a large-scale crowd gathering.

나중에 70년대 80년대로 넘어와서도 전민족대회니 대민족회의니 하는 것들을 여러 번 제안을 했었어요.

Later, in the 70s and 80s, there were several proposals for events like the National Assembly for All People and the Great National Conference.

전민족대회 이건 저 고등학교 때 배운 기억이 나네요.

The National Assembly reminds me of what I learned back in high school.

83년 4년쯤으로 기억합니다마는 그때도 저쪽에서 대민족회의를 하자고 해서.

I remember it was around April of 1983, but at that time, they were also saying we should have a grand national meeting over there.

그래서.

So.

사단병력이니까.

Because it's a division force.

그리고 이제 자연히 사단병력 한 만명.

And now, naturally, about ten thousand troops.

그래서.

So.

한 만명 정도 명단을 만든 적도 있었는데 결국.

I once made a list of about ten thousand people, but in the end.

그런 전민족대회 대민족회의에 나가지 않았었습니다.

I did not attend the national convention of the entire people.

그래서 다시 지금.

So back to now.

그리고 김정일 시대로 넘어와서는 이런 일이 없었어요.

And when we moved to the Kim Jong-il era, such things did not happen.

김정일 시대로 넘어와서 94년에 김일성 주석이 사망하고

Moving into the Kim Jong-il era, Chairman Kim Il-sung passed away in 1994.

김정일 위원장이 바로 실질적으로 직본을 했지만

Chairman Kim Jong-il has effectively held the position.

98년부터 공식적으로 활동을 하지 않습니까

Haven't you officially been active since 1998?

그러다가 2011년 연말에 세상을 떴는데

And then, at the end of 2011, they passed away.

그때는 정상회담을 두 번이나 하고 그러다 보니까

Since we had two summits at that time, and so on...

이런 군중집회성 통일토론회 같은 것을 필요성을 안 느낀 거죠

I don't feel the need for gatherings such as this crowd-based unity discussion.

좋게 보면 통일 문제에 대해서 김정은 위원장이 굉장히 관심이 많다는 것을 과시하는 건 좋은데

It's good to see that Chairman Kim Jong-un is showing a lot of interest in the issue of unification.

그 방식은 할아버지 때 방식이다 이거야

That's the way it was in grandfather's time.

외모만 따라가려고 하는 게 아닌 거 이런 생각이 드네요

I get the feeling that it's not just about following appearances.

우리 쪽에서 보면 박근혜 대통령도 가면 아버지 때 얘기를 참 많이 해요

From our side, President Park Geun-hye often talks a lot about her father’s time.

그렇죠

That's right.

정리하면 북한은 할아버지 때로 돌아가고 남쪽은 아버지 때로 돌아가고 이런 말씀인 거네요

To sum it up, it means that North Korea is going back to the time of the grandfather, while the South is going back to the time of the father.

글쎄요 박근혜 대통령 시절에 남북관계 관련해서도 여러 가지 거창한 얘기를 많이 하지만

Well, during President Park Geun-hye's era, there were many grand talks regarding inter-Korean relations as well.

실제 행동은 없지 않습니까

Isn't there actually no action?

박정희 대통령 때

During President Park Chung-hee's era.

박정희 대통령 때 그랬었죠

It was like that during President Park Chung-hee's time.

여러 가지 거창한 얘기를 많이 하는데 조건이 꼭 붙어있지

There are many grand talks, but there are always conditions attached.

조건이 붙어있고

There are conditions attached.

박정희 대통령 때를 많이 벤치마킹하면서도 따라가지 않는 것이 있네요

There are many things that are benchmarked from President Park Chung-hee's era, but there are also things that are not followed.

어떤 거요

Which one?

박정희 대통령도 79년 1월 초에 신년 기자회견하면서

President Park Chung-hee also held a New Year's press conference in early January 1979.

평양에 누구와도 언제 어디서든 만날 수 있다고 그러거든요

They say you can meet anyone in Pyongyang anytime and anywhere.

사실상 그게 정상회담 제안이에요

In fact, that's the proposal for a summit meeting.

79년 1월에요

It's January 1979.

79년 1월입니다

It is January 1979.

그에다가 돌아가시던 해인데

It was the year he passed away.

모든 신문들이 이것은 사실상

All the newspapers say this is virtually

남북정상회담 제안을 한 거다

It is a proposal for a North-South summit.

그리고 전두환 대통령이나 노태우 대통령 시절에도

And during the presidencies of Chun Doo-hwan and Roh Tae-woo as well,

밀사들을 통해서 정상회담을 하고 얼마나 애를 썼습니까

How much effort was put into the summit through secret messengers?

김영삼 대통령도 정상회담을 할 수 있는 그런 상황에 오니까

When President Kim Young-sam found himself in a situation where he could hold a summit meeting...

그걸 거침없이 받았거든

I received it without hesitation.

분당국의 대통령이라면

If you were the president of Bundang.

문제를 풀어내서 정상이 직접 나서야겠다는 책임의식이 있어야 돼요

There needs to be a sense of responsibility that the leader must take direct action to solve the problem.

박정희 대통령도 그러니까 그전에는 조건들이

President Park Chung-hee said that prior to that, there were conditions.

정부 대북 제안을 많이 했지만 해도 도저히 없으니까

The government has made many proposals to North Korea, but there is simply no response.

내가 직접 만나야 되겠다는 생각을 했겠지

You must have thought that I should meet you in person.

79년 1월 초에 평양에 누구와도 언제 어디서든 만날 수 있다는

In early January 1979, it was said that one could meet anyone in Pyongyang, whenever and wherever.

그런 제안을 했었는데

I had made such a proposal.

그거 좀 배웠으면 좋겠어

I wish I could learn that a bit.

그 말씀 들으니까

Hearing that makes me...

이명박 대통령도 남북관계나 이런 걸로 해서

President Lee Myung-bak also with regard to inter-Korean relations and such...

엄청나게 비판을 많이 받지만

Although it receives a lot of criticism,

그래도 임태희 노동부 장관 보내서

Still, I sent Minister of Labor Lim Tae-hee.

싱가포르에서 김양건 사망한 김양건 대남비사도 만나서

In Singapore, Kim Yang-gon met with Kim Yang-gon, who passed away.

정상회담 논의도 하고 그랬습니다

We also discussed the summit talks.

그렇지 그러니까 북한에 대해서

That's right, so regarding North Korea...

굉장히 적대적인 대북관 이런 걸 가지고 있다고 나는 봐요

I see that there is a very hostile view towards North Korea.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시 분당국의 대통령이기 때문에

Nevertheless, he is still the president of Bundang.

한반도 상황을 이렇게 계속 불안하게 끌고 와서는 안 되겠고

The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cannot continue to be dragged out in this unstable manner.

돌파구가 있다면은

If there is a breakthrough,

결국 정상회담 아니겠느냐

In the end, isn't it a summit meeting?

못할 거 없다

There's nothing you can't do.

그래서 비서실장을 하고 노동부 장관을 했던가

So, did you serve as the Chief of Staff and then as the Minister of Labor?

임태희 의원이

Member of Parliament Lim Tae-hee

순서는 거꾸로 온 것 같아요

It seems like the order arrived in reverse.

어쨌건 노동부 장관 측근이니까

Anyway, since they're an aide to the Minister of Labor.

대개 그런 비공개 비밀 접촉은 측근 중에 측근이 해야 됩니다

Such private secret contacts usually need to be made by a close aide among the close aides.

그 사람이 실수를 해 가지고

That person made a mistake.

잘못된 합의를 해 가지고 오더라도

Even if you bring back a wrong agreement,

대통령이 그 사람을 위해서

The president for that person.

그 사람 때문에라도 약속을 지킬 수밖에 없는

I have no choice but to keep the promise because of that person.

그런 정도의 측근

That level of close aide.

또 북쪽도 그런 정도 사람을 내보내고

Also, the north sends out people of that level.

그래서 가끔 대북 접촉하는데

So sometimes I have contact with North Korea.

정치적 경쟁자를 뭐 특사로 보내야 된다

Political competitors should be sent as special envoys.

하는 식의 얘기를 하는 거 보면

It seems like you're talking in a way that suggests...

이명박 대통령 시절에 박근혜 의원을

During President Lee Myung-bak's time, Representative Park Geun-hye...

뭐 특사로 보내야 된다는 얘기도 하지 않았어요

They didn't say anything about having to send it as a special case.

그건 잘 못 알고 있는 거고

That's a misunderstanding.

어쨌건 이명박 대통령도 정상회담을 하고 있는 거고

Anyway, President Lee Myung-bak is also having a summit meeting.

정상회담을 할 수 있는 조건이 맞으면 하려고 했었는데

I was thinking of having a summit if the conditions were right.

지금 이 대통령은 일체의 그것은 있을 수 없다는 식으로

The current president seems to suggest that there can be absolutely none of that.

선을 그어버렸기 때문에 안타깝고

It's unfortunate because the line has been drawn.

이번 일을 계기로 해서

As a result of this incident,

박근혜 박정희 대통령이 돌아가시던 해

The year President Park Geun-hye's father, President Park Chung-hee, passed away.

신년 기자회견에서 했던 것처럼

Just like I mentioned in the New Year's press conference.

평양에 누구와도 언제 어디서 만날 수 있다는

"You can meet anyone, anytime, anywhere in Pyongyang."

그런 자세로 좀 돌아갔으면 좋겠어요

I hope you can turn back with that attitude.

79년 박정희 대통령의 신년사회

President Park Chung-hee's New Year Speech in 1979.

신년 기자회견에서

At the New Year's press conference

알겠습니다

I understand.

이번에는 청취자분들 질문을 몇 개 제가 모아놨는데요

This time, I have gathered a few questions from the listeners.

이게 좀 주제가 좀 큽니다만

This is a bit of a big topic, but...

제가 가급적 좀 간단하게

I'll try to keep it as simple as possible.

장관님께서 말씀을 좀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I would like the minister to give us some comments.

어게인 2002 이 아이디를 쓰시는 분 비롯해서

Again 2002, including the person using this ID.

청취자분들 질문을 제가 세 개로 뽑아봤는데요

I've picked out three questions from the listeners.

첫째

First

남욱관계에서 가장 시급한 현안

The most urgent issu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이게 있고요

This is here.

그다음에

Then

이게 참 아까 말씀 있으셨습니다만

You mentioned this earlier, didn't you?

북핵 완전 해결이 가능하겠는가

Is it possible to fully resolve the North Korea nuclear issue?

세 번째로 통일 후 영세중립국 방안에 대해서 어떤 생각이신가

What are your thoughts on the proposal for a permanently neutral country after unification?

이 세 가지입니다

These are the three things.

우선 남욱관계에서 가장 시급한 현안

First of all, the most urgent issue in the relationship with Nam-wook.

지금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2월 10일부로 끊어버린

Currently, President Park Geun-hye has cut off as of February 10th.

10일날 끊었죠 개성공단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was shut down on the 10th.

그 개성공단 재가동이라고

That's the reactivation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그런 방식으로 해서 남북 경협을 복원을 시켜야 됩니다

We need to restore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in that way.

이것이 있어야만

This must be there.

경협을 레버리지로 삼아야

We must leverage economic cooperation.

군사적 긴장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It can alleviate military tensions.

그 개성공단을 군사지역으로 선포해 버리지 않았어요

Did they not declare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as a military zone?

북한에서

In North Korea

아직은 군사지역으로 안 만들었지만

It hasn't been designated as a military area yet, but...

계속 이 상태로 가면은 언제 다시 거기에 개성공단 자리에

If we continue like this, when will we return to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장사정포고 방사포가 다시 원위치로 돌아올지 몰라요

I don't know if the multiple rocket launcher will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Yes

그러면 청와대 불바다가 별거 아닙니다

Then the Blue House being on fire is no big deal.

그때 그 94년에 청와대 불바다 발언이 나올 때 3월달에

Back then, in March 1994, when the remark about the Cheong Wa Dae being engulfed in flames was made.

바로 그 시기에는 꼭 개성공단 지금 개성공단 자리에

At that time, it is essential to have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right where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is now.

장사정포 방사포들이 수백문 거기에 진입되어 있었는데

Several hundred multiple rocket launchers were deployed there.

배치되어 있을 시절이에요

It's the time when we are deployed.

그러니까 남북 간에 그야말로 접경지역의 군사적 긴장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라도

In order to truly ease the military tensions in the border area between North and South,

경협을 재개해야 된다

We need to resume economic cooperation.

그 다음에 북핵 문제의 해결은

Then the resolution of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is

완전해결이 가능하겠는가

Is complete resolution possible?

완전해결까지도 가능했던 시절이 있었죠

There was a time when it was possible to achieve complete resolution.

그러니까 9.19 공동성명대로만 했더라면

So if they had just followed the September 19 joint statement.

북핵 문제는 완전히 해결될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I believe the North Korea nuclear issue could have been completely resolved.

그때 북한이 핵을 포기하면 미국과 일본이 수교를 해주고

At that time, if North Korea gives up its nuclear program, the United States and Japan will normalize diplomatic relations.

그 다음에 북한을 지면 나머지 5개국이 북한에 경제 지원해주고

After that, the remaining five countries will provide economic support to North Korea.

그리고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바꿔주겠다는 얘기까지 했단 말이야

And I heard that they even talked about changing the armistice agreement into a peace treaty.

북한도 만족해서 서명을 한 거고

North Korea was also satisfied and signed.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한국도 다 그 정도는 해주고라도

The U.S., China, Japan, Russia, and even South Korea should at least do that much.

북한에 핵을 내려놓도록 하자는 생각을 했기 때문에

Because I thought about having North Korea give up its nuclear weapons.

6자가 서명을 해가지고 발표한 거 아니에요

Did you announce it after getting a signature from six people?

근데 그 이튿날 미국이 북한에 다른 채널로

But the next day, the US reached out to North Korea through another channel.

국제 제재를 가하면서 그것이 없었던 일로 돼버렸는데

International sanctions were imposed, and it has become as if it never happened.

그 이후에 북핵 문제가 엄청나게 커져 버렸단 말이야

Since then,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has grown immensely.

커져가지고 소형화까지 탄두의 소형화까지 끝난 거 같은데

It seems like we've finished the miniaturization of the warhead, having grown larger.

그 다음에 미사일이 그동안에는 대기권 위로 날아올라갈 순 있지만

Then, the missile can fly above the atmosphere for a while, but...

다시 뒤집히는 동안에 불타버리고 말 거다 하는 그런 예측들을 했었는데

I had made predictions that it would burn down while it was being flipped over again.

이번에 성공했다는 거 아니에요?

Does this mean that you succeeded this time?

이제 달성한 소위 군사적 군사능력의 그 현지한 발전

The current development of what is referred to as military military capabilities that have now been achieved.

이것을 쉽게 포기 내놓으려고 하겠는가 하는 생각에 들어요

I think about whether I will easily give this up.

그래서 가말로 북핵 제로 상태를 기대할 수

So, we can expect a complet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기대가 굉장히 어렵고 그 하려면은 굉장히 많은 시간을 더 들여야 되는데

Expectations are very difficult, and in order to achieve them, a lot more time needs to be invested.

흔히 이란 핵 문제 해결하는 방식으로 북한 핵 문제도 해결하는 방식으로

Often, the way to solve the Iran nuclear issue is the same way to 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meter

meter

흔히들 이제 이란 핵 문제 해결하는 방식으로 북한 핵 문제도 해결하는 방식으로

Many often say that the way to solve the Iranian nuclear issue is also a way to 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destroy 북한 핵 now

Destroy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now.

urt

The translation of "urt" from Korean to English is "urt." It seems like it might be a typo or an abbreviation. Please provide more context or check the spelling for an accurate translation.

수 있지 않겠느냐는 얘기들 하는데 이란하고 북한하고는 다릅니다.

There are discussions about whether it would be possible, but Iran and North Korea are different.

이란하고 북한은 좀 달라요.

Iran and North Korea are somewhat different.

이란 핵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미국이 그야말로 온 정성을 다 쏟았고 북한

To resolve the Iran nuclear issue, the United States has truly put its heart and soul into it, and North Korea...

핵을 해결하기 위해서 미국은 전혀 지금 정성을 쏟지 않고 있습니다.

The U.S. is not putting any effort into resolving the nuclear issue at all right now.

몇 개 가지고 있어도 우리로서는 나쁘지 않다.

Even having a few isn't bad for us.

어떤 점에서는 동아시아의 무기 시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북한의

In some respects, maintaining the East Asian arms market requires North Korea's

핵이 한 대여섯 개 있는 것도 나쁘지 않다는 계산을 하고 있는 것 같아요.

It seems like they are calculating that having one or six nuclear weapons isn't a bad thing.

우리는 북한의 완전 비핵화를 국가 이익으로 생각하지만 미국은 그게

We consider North Korea's complete denuclearization to be in our national interest, but the U.S. thinks otherwise.

아니다 이거야.

No, this is it.

동맹이면서도 그게 아니에요.

It's an alliance, but it isn't.

우리가 그 엄연한 현실 이 불편한 진실을 알아야 됩니다.

We need to acknowledge this harsh reality and uncomfortable truth.

한미동맹 강화한다고 다 되는 게 아니에요.

Strengthening the Korea-U.S. alliance doesn't solve everything.

그러니까 다음 정부에서는 이걸 어떤 식으로 풀어야 될 것인가에

So, how should the next government address this?

대해서 고민을 좀 해야 돼요.

I need to think about it a bit.

그런데 우리가 확실한 의지로서는

However, with a firm will, we...

정치를 가지고 접근하면 미국도 또 따라올 수밖에 없습니다.

If we approach it through politics, America will inevitably follow suit.

심지어 부시까지도 그다음에 네오콘에 둘러싸여 있던 최강경 보수 세력인

Even Bush was surrounded by the strongest conservative forces, the neocons, after that.

네오콘서버티브스 네오콘에 둘러싸여 있는 부시마저도

Even Bush, surrounded by neoconservatives and neocons...

김재중 대통령한테 설득이 돼 가지고 남은 관계를 개선하는 걸 갖다

I was convinced by President Kim Jaejoong to improve the remaining relationship.

서 허용하지 않았었어요 그러니까 다음 대통령이 확실한 이론을 가지고

I didn't allow it, so the next president needs to have a solid theory.

나간다면 북핵 문제는 해결할 수는 있습니다.

If we leave, we can 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아까 그 질문하신 분이 완전히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느냐는 질문

The question you asked earlier was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of completely resolving it.

가능성이 별로 없다고 생각해서 소위 그 비관적인 전망을 가지고

I think there is little possibility, so I have that so-called pessimistic outlook.

질문하신 것 같은데 우리 하기 나름이에요 그거는.

It seems like you're asking, but it's up to us how we do that.

세 번째 질문이 뭐였더라 아 그 완전 해결 가능한가 지금 말씀하신

What was the third question? Ah, is that completely solvable, what you just mentioned?

거는 사실은 좀 그래도 희망적인 말씀을 하시려고 하시는 말씀같이

The truth is that it seems like you're trying to say something hopeful even if it's a bit difficult.

사실 저는 들립니다.

Actually, I can hear you.

사실 우리가 우리가 확실한 의지를 가지고 하면은 할 수도 있다는

In fact, if we have a solid will, we can do it.

얘기고 그리고 뭐 어설프게 하면은 해결 안 되는 거죠.

If we talk and do it clumsily, it won't be resolved.

알겠습니다. 세 번째 질문은 통일 후 영세중립국 방안에 대한 의견

Understood. The third question is about your opinion on the proposal for a permanently neutral country after unification.

어떤 생각이신가 이거입니다.

What do you think about this?

지금 영세중립국이라는 게 한 두 개 있습니다.

There are currently a few countries that are considered neutral.

오스트리아하고 스위스죠.

It's Austria and Switzerland.

진영학적 위치가 우리하고 달라요 .

Their geopolitical position is different from ours.

오스트리아만 해도.

Even Austria.

네.

Yes.

다른 나라에 둘러싸여 있지만은 거기가 어디 대륙에서 해양으로

It is surrounded by other countries, but where is it from the continent to the ocean?

나가는 길목도 아니고 해양에서 저쪽으로 그 대륙으로 진출하는

It's not the way out, but advancing towards that continent from the ocean over there.

길목도 아닙니다.

It's not even a corner.

네.

Yes.

스위스도 그 점에서 마찬가지예요.

Switzerland is the same in that regard.

내륙 국가들 아닙니까.

Aren't they landlocked countries?

그렇죠.

That's right.

우리의 지정학적 위치가 어떻게 보면은 참 아주 나쁘게 절표해가지고

In a way, our geopolitical position is quite poorly defined.

이 팔자가 그렇게.

This fate is just like that.

중립국으로 갈 수 있는 그런 상황이 아니에요.

It's not a situation where we can go to a neutral country.

그리고 중립을 유지하려면요.

And to maintain neutrality.

지금보다 국방비가 훨씬 더 들어야 됩니다.

Defense spending needs to be much higher than it is now.

중립국이 되면 군사 군대가 없어도 될 것 같죠 그건 아니에요.

Becoming a neutral country might seem like you don't need a military, but that's not the case.

중립은 중립이고 다른 나라에 동맹 도 안 오고 개입도 안 하지만은

Neutrality is neutrality, and while no allies come from other countries and there is no intervention,

누가 나를 때리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24시간 비행기가 또 있어야

In order to prevent someone from hitting me, there needs to be a plane available 24 hours a day.

돼요.

It’s okay.

24시간 국경을 감시해야 돼요.

We have to monitor the borders 24 hours a day.

그런 일이 있을 줄 알아요.

I knew that such a thing would happen.

그냥 나 혼자 중립이다 이렇게 선언 해갖고 되는 문제가 아니라는 말씀

It's not something that can be resolved just by me declaring that I'm neutral.

이시죠.

Is this it?

네.

Yes.

그러니까 낭만적으로 생각하는 분들이 있어요.

So there are people who think romantically.

이제 통일된 뒤에 이제 그동안에는 여기저기.

Now that we are unified, it's been like this here and there for a while.

시달렸습니다.

I was tormented.

소련 편에 섰다가 무슨 미국 편에 섰다가 뭐 소련에 시달리고 중국에

Standing on the side of the Soviet Union, then on the side of the United States, suffering from the Soviet Union and China.

시달리고 미국에 시달리고 이랬으니까 주변국들한테 시달렸으니까 우리가

We've been suffering in America and we've been suffering because of neighboring countries.

중립을 선언하면은 이제 편히 살 수 있지 않겠느냐.

If you declare neutrality, won't you be able to live comfortably?

이 지정학적 위치가 그렇게 안 된다니까.

This geopolitical position just doesn't allow for that.

난 중립과 통일론자들 그러니까 중립을 선언하고 통일하자는 분들도

I am with the neutrals and unification proponents, meaning those who declare neutrality and advocate for unification.

있고 통일한 뒤에 외교논선을 중립주의로 가자고 하는 분들도 있고 그런데

There are those who say that we should pursue a neutral foreign policy after we achieve unity.

우리의 지정학적 위치는 나는 그걸 통일 이전도 허용하지 않지만 통일

Our geopolitical position allows it before unification, but not after unification.

이후도 허용하기 어려운 그런 환경 이라고 생각합니다.

I think it's an environment that is difficult to allow even further.

그리고 국방 강화하는 데도 돈도 엄청나게 드는 방안이다 이런 말씀

"And it's also a plan that requires a tremendous amount of money to strengthen national defense."

.

Please provide the text you would like me to translate.

우선 첫째 지금 통일되고 나면 압록강 두만강의 국경 아닙니까.

First of all, if reunification happens now, it will be the border of the Amnok River and Tumen River, right?

네.

Yes.

응.

Yeah.

네.

Yes.

지금 이 반도의 해안선이 전부 다 국경 아닙니까.

The coastline of this peninsula is all a border, isn't it?

지금의 2배 이상으로 늘어나는 거예요 국경선이.

The border will increase to more than twice its current size.

이 비무장제대 철조망항 지금 저 이 비무장제대 길이는 155마일 한

The length of this demilitarized zone barbed wire fence is currently 155 miles.

250킬로밖에 안 되지만 압록강 두만강은 1300킬로가 넘어요.

It's only 250 kilometers, but the Amnok River and Tumen River are over 1300 kilometers.

몇 배요.

How many times?

그다음에 우리는 지금 남쪽 해안선 만 지키면 되지만 통일되고 나면

After that, we only need to protect the southern coastline for now, but after unification...

북쪽 해안선도 지켜야 될 거 아니에요 .

We also need to protect the northern coastline, don't we?

네.

Yes.

그다음에 영궁도 넓어지잖아.

Then the royal palace will also be expanded.

네.

Yes.

중립 그 돈 많이 드는 거요.

Neutral, that costs a lot of money.

쉽게들 생각하는데 돈 없으면 중립 못해요.

People often think it’s easy, but if you don’t have money, you can’t be neutral.

그 말씀 들으니까 저 예전에 이제 예비군 갔을 때 그 예비군에서 보여

Hearing that reminds me of a time when I was in the reserves; they showed it during the reserve training.

주는 예비군 민방위 때 그 저 무슨 다큐멘터리 같은 거 화면 같은 거

During the reserve military training, what was that documentary-like screen?

보여주는 거 보면 스위스 예비군 들이 얼마나 엄청나게 훈련을 많이

Watching what they show, it's clear how incredibly much the Swiss reserves train.

하는가.

Are you doing it?

.

I'm here to help! Please provide the text you would like me to translate.

She's got the right version.

그녀는 올바른 버전을 가지고 있어요.

얼마나 집에서도 장비를 가지고 있고 그거를 얼마만큼 능숙하게

How much equipment do you have at home and how skilled are you with it?

다루는가 이런 거를 보여주는 기억이 나네요.

I remember seeing something like this being handled.

그래요.

Okay.

이게 북한식 용어지만 중립국으로 명맥을 유지하고 주변 국가들한테

This is a North Korean term, but it maintains its status as a neutral country and interacts with neighboring countries.

안 당하고 살려면 전 국민이 무장 을 해야 돼요.

If we want to live without getting hurt, the entire population must be armed.

전인민의 무장화.

Disarmament of the entire people.

북한 용어지.

North Korean terminology.

전민 무장화 전군간부화 전군 현대화 뭐 이런 등등의.

Disarmament of all citizens, militarization of the entire army, modernization of the entire army, and so on.

전국토의 요새화.

Fortification of the entire country.

.

Please provide the text you would like to have translated from Korean to English.

투여세와. 그렇지. 그거 돈 많이 드는 거야. 중립국 되면 돈 안 들고. 그건 아닙니다.

The administration fee. Right. That's very costly. If you become a neutral country, it won't cost money. That's not the case.

그다음에 조선노동당 위원장이라는 직함에 이어서 국무위원회를 신설하고 그 위원장까지 맡았습니다.

After that, I established the State Affairs Commission following the title of Chairman of the Workers' Party of Korea and took on the role of its chairman as well.

김정은 위원장이 북한에 대한 지배력을 아주 확실히 했는데요. 김정은 위원장에게 충고한 말씀을 해 주십시오.

Chairman Kim Jong-un has firmly established his control over North Korea. Please give him some advice.

글쎄요. 내정 간섭되는 거 아니에요? 그 제시를 하는데 저 사람들. 여러 가지. 북한도 공산국가인데 당이 국가를 운영하잖아요.

Well, isn't that intervention in internal affairs? Those people are making proposals. Various things. North Korea is also a communist country, and the party runs the state, right?

네.

Yes.

언제든지 당에서 먼저 결정을 하고 그다음에 당대회에서 결정하고 당 중앙위원회에서 결정한 것을 최고인민회의에서 공식적으로 국가직책을 뽑고 그렇습니다.

The party always makes decisions first, and then those decisions are finalized at the party congress and the party central committee, after which the highest people's assembly officially selects the national positions.

그러니까 시진핑도 2012년 말에 당의 총석위가 됐고 그다음에 2013년 3월에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국가주석으로 뽑힙니다.

So Xi Jinping became the General Secretary of the Party at the end of 2012, and then in March 2013, he was elected as the President at the National People's Congress.

김정은 위원장도 조선노동당 위원장이 먼저 되고 그다음에 조선민주주의민공화국 국무위원장으로 됐는데 조금 더 이상한 거 아니에요.

Chairman Kim Jong-un first became the Chairman of the Workers' Party of Korea and then the Chairman of the State Affairs Commission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isn't that a bit strange?

어떤 사람은 그걸 혼자서 벼슬을 7개나 거머쥐었다 그러는데 원래 공산국가는 다 그렇게 해요.

Some people claim that he alone has seized seven positions, but that's how communist countries operate in general.

정치국원, 정치국 상무위원 그거 똑같은.

Political Bureau member and Political Bureau Standing Committee member are the same.

그 역할이기 때문에 7개였다고 그래가지고 미워할 건 없고 어쨌든 지금 이제 이렇게 당대회를 열고 최고인민회를 열어서 공식적인 직함도 확실하게 정했고 국내 정치 기반을 확립을 했다 이렇게 봅니다.

Since it was that role, there’s nothing to hate about it. Anyway, now we have officially held the party congress and the Supreme People’s Assembly, clearly defining the official titles and establishing a domestic political foundation.

네.

Yes.

앞으로도 또 이것이 그 중간에 별난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In the future, in order to prevent any unusual incidents from happening in between again.

굉장히 치밀하게 감시감독을 할 겁니다.

I will monitor and supervise very meticulously.

그 과정에서 또 인권유린이라고는 비난을 받을 수 있는 사건도 일어날 수 있고 그런데 제발 그런 일을 좀 적게 해가지고 국제사회로부터 미움을 좀 덜 받았으면 좋겠어요.

In that process, there may also be incidents that could be criticized as human rights violations, and I hope that such events occur less frequently so that we receive less hatred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왜냐면 국제사회로부터 그렇게 계속 미움을 받게 되면 남북 간의 화해 협력을 하는데도 국내 여론도 안 좋습니다.

Because if we continue to be hat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like that, it negatively affects domestic opinion on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he North and South.

저런 사람들하고 뭘 그 관계를 개선하려고 하는 얘기가 나오는데.

There's talk about trying to improve the relationship with such people.

그렇죠.

That's right.

그러니까 너무 좀 가혹한 공포정치 이런 걸 좀 안 해서 하지 말았으면 좋겠다.

So I hope we can refrain from using overly harsh tactics of political fear.

그리고 남북관계도 주도적으로 개선하고 싶으면 이쪽은 안 하겠다고 그러니까 지금 당분간 회담은 문을 닫아버리니까 무슨 아까 무슨 이름이 길던데 일종의 재정당 타협단체 연석회의 같은 걸로.

And if we want to actively improve the inter-Korean relations, they say they won't do this, so for the time being, the door to talks is closed, like some kind of consortium meeting for a fiscal compromise that had a long name earlier.

그렇죠.

That's right.

그렇게 그걸 풀어보려고 그러는 식으로 접근을 하는데 그거는 전공법이 아닙니다.

That's not the approach of a specialist.

네.

Yes.

남북관계를 안정적으로 발전시켜가지고 여러 가지 경제적인 그런 어떤 난관도 좀 돌파하고 싶으면 계속 당국과 회담을 권고하는 식으로 하는 거에 그게 정석이죠.

If we want to stabilize and develop inter-Korean relations and overcome various economic challenges, it is essential to continue recommending talks with the authorities; that is the proper approach.

계속 당국과 회담을 뚫으려나.

Will they continue to try to break through negotiations with the authorities?

그럼 재정당 사회단체 연석회의 같은 거 통해가지고 또 전민족 대 대미족회의 이런 식으로 문제 풀리지 않아요.

Then, isn't it possible to solve the issue through something like a joint meeting of social organizations for financial reform, or a large-scale meeting of all ethnic groups?

네.

Yes.

마침 이번에 조국평화통일위원회를 당기구에서 국가기구로 만들었더구만.

It just so happens that this time the Committee for Peaceful Reunification of the Fatherland was established as a national organization from a party organization.

네.

Yes.

누구를 이제 위원장으로 낮힐지 모르지만 지난번에 작년이니까 재작년이니까 조평통 서기국장을 통일부 장관하고 만나는 회담 대표로 지명을 했더니 우리 쪽에서 격이 안 맞다 해서 거절을 했는데 그래서 나중에 이상한 변칙 대다가 됐죠.

I don't know who will be appointed as the chairman now, but during the last time, which was last year or the year before, when we designated the head of the Committee for Peaceful Reunification to meet with the Minister of Unification, our side rejected it by saying it was not appropriate, which led to some unusual irregularities later.

사자회담을 하면서 안보실장과 황병서가 만나고.

During the summit, the National Security Advisor and Hwang Byung-seo met.

네.

Yes.

그다음에 김양근과 무슨 우리 통일부 장관이 만나고 이런 그 8.25 합의 때지.

Then, Kim Yang-geun and our Minister of Unification met during the 8.25 agreement.

그런데 그런 일종의 변칙 대자를 알아기 위해서 지금 조국평화통일위원회를 국가기구로 만드는 것 같아요.

However, it seems that they are trying to establish the Committee for the Peaceful Reunification of the Fatherland as a national organiz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at kind of anomalous situation.

누구를 낮힐지 모르지만.

I don't know who to belittle.

네.

Yes.

그 다음에 군인들이 사성 장군이 하나 있었고

After that, there was a four-star general among the soldiers.

완스타가 하나 있었고

There was one Wanstah.

그때 완스타로 참여했던 사람이 김영철입니다

The person who participated in Wanstagram at that time is Kim Young-chul.

북한에

To North Korea

그때는 아마 대표단이 아홉 명인가 그랬었어요

At that time, there were probably about nine members in the delegation.

그 중에 북쪽 대변인을 맡았던 안병수

Among them, Ahn Byeong-soo, who served as the spokesman for the North.

나중에는 본명이 안경호라고 그러던데

Later, I heard that his real name is Ahn Kyung-ho.

안병수라는 사람은 안병수, 안경호는

The person named Ahn Byeong-soo is Ahn Byeong-soo, and Ahn Gyeong-ho is.

조평동 서기국장 자격으로 왔어요

I came here as the Secretary-General of the Joint Committee on Youth.

자기들은 그게 장관급이라는 거예요

They say that it's at the ministerial level.

그 당시에 총리 그 회담 대표단 쪽에서

At that time, from the Prime Minister's delegation side.

서일도 상당히 높았습니다

The island of Seoil was quite high.

그동안에는 우리가 그걸 인정을 했었는데

In the meantime, we had acknowledged that.

갑자기 박근혜 정부에 들어서 가지고

Suddenly, entering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조평동 서기국장하고는 상대 안 하겠다 하니까

I said I wouldn't deal with the secretary general of the Jogyeongdong.

당연히 외곽기구일 뿐이지

Of course, it's just an external organization.

정부기구가 아니니까 못 만나겠다 그러니까

Since it's not a government agency, I can't meet.

이걸 지금 정부기구로 맺는 것 같은데

It seems like this is being established as a government organization now.

조국평화통일위원회를 통해서

Through the Committee for the Peaceful Reunification of the Fatherland.

정부 대 정부 대화를 하자고 해야지

We should propose government-to-government dialogue.

Yes

대민족회의지 무슨 연석회의 이런 식으로

It’s not about a large national conference or some kind of joint meeting.

통일무제 접근하면 진정성을 의심받습니다

Approaching unification issues raises doubts about sincerity.

그럼 우회로 찾지 마라 이런 말씀을 하는 거네요

So you're saying not to look for a detour.

거기서 가지고 저쪽은 한목소리로 나올 거 아니에요

You won't be able to speak in unison over there, will you?

우리는 참가하는 숫자만큼 각양각색으로 얘기할 거 아니에요

We'll talk in various ways as much as the number of participants.

그러니까 우리가 겁이 나서 못 가요

So we're too scared to go.

이루어질 수 없는 제안이야

It's an impossible proposal.

그러니까 우리 정부에서는

So in our government...

이 재정당 단체 연석회의에 대해서

About this financial political organization joint meeting.

연석회의 제안에 대해서 바로 이게 통일전선 전술이다

The proposal for the joint meeting is exactly the unified front strategy.

이렇게 정부에서 그냥 일축해버렸다는 말씀

This means the government has simply dismissed it like this.

이론적으로 통일전선 전술이죠

It is theoretically a united front tactic.

그런 거죠

That's how it is.

알겠습니다

Understood.

통일전선이 무조건 나쁜 건 아닌데

The united front isn't necessarily a bad thing.

이렇게 수백 명이 만나는 그런 회의를 통해서는 모르겠다는 거예요

I can't tell through a meeting where hundreds of people gather like this.

그렇죠

That's right.

알겠습니다

I understand.

지금 시작하겠습니다

I will start now.

1시간 10분 좀 더 지났는데

It's been a little over 1 hour and 10 minutes.

이제 마무리를 좀 지어야 될 시간입니다

It's time to wrap things up.

그래서 저희가 한통속을 끝낸다 이런 말씀 공지한 이후에

So after we announced that we would finish this together,

팟빵 게시판하고 그다음에 한통속 페이스북 페이지에

To the Potbang bulletin board and then to the Hantongsok Facebook page.

저희 청취자분들이 써주신 글들이 있는데

There are letters written by our listeners.

몇 개만 간략하게 소개를 드리겠습니다

I will briefly introduce just a few.

아이디가 재밌습니다

Your ID is interesting.

빵다리라는 분인데요

It's someone called Bangdari.

빵다리

Bread leg

빵다리님이 너무 아쉽습니다

I'm really disappointed in Bangdari.

그동안 통일 문제에 관해서 많은 오해가 풀렸고

Many misunderstandings regarding the unification issue have been resolved during this time.

또 사람들을 만나면 쉽게 설명해 줄 수도 있을 만큼 공부를 많이 했는데

I have studied a lot so that I can easily explain it when I meet people.

이제 어디서 이런 방송을 들을까요

Where can I listen to broadcasts like this now?

쉽게 설명해 줄 수도 있을 만큼

So simple that I could explain it easily.

이 말씀이 저는 굉장히 고마운 말씀입니다

This statement is very meaningful to me.

그다음에 여수해님

Next is Yeosu Sea God.

정말 아쉽습니다

It's really disappointing.

보수의 무능과 대안 없음에 기가 막혔는데

I was astonished by the incompetence of the conservatives and the lack of alternatives.

그래도 장관님과 초대손님들의 탓견에 그 답답함을 그나마 풀 수 있었습니다

Still, thanks to the minister and the invited guests, I was able to relieve some of that frustration.

항상 건강하시고 다른 좋은 방송이나 강연에서 뵈었으면 합니다

I hope you always stay healthy and that we can meet at other good broadcasts or lectures.

그다음에 하네네님

Next is you, Hanene.

혹시라도 정부의 압박으로 종방하는 것은 아니길 바랍니다

I hope it doesn't end due to government pressure.

그건 아닙니다

That is not it.

이 말씀을 드리고요

I am saying this.

정부 압박 때문에 굴복해서 방송을 접을 저희는 아니고요

We are not the type to succumb and shut down our broadcasts due to government pressure.

그건 아니라는 말씀 분명히 드리고요

I want to clarify that is not the case.

그다음에 그간 정세현 장관님이 말씀하셨는데

Then, Minister Jeong Se-hyun mentioned in the meantime.

장관님의 촌철살인 말씀을 들을 수 있어서 즐거웠고 많은 발전의 계기가 됐습니다

I was glad to hear the Minister's incisive remarks, and it became an opportunity for significant development.

다른 팟캐스트 하나 만드신다면 꼭 팔로우하겠습니다

If you create another podcast, I will definitely follow it.

그다음에 이분만 아니고 이런 말씀을 올리신 분이 많은데

And then, it's not just this person, but many people have made such comments.

정권교체가 되면 꼭 통일부 장관이나 정부 책임을 맡으셔서 복귀해 주시기를 바라겠습니다

I hope that when the regime changes, you will definitely return and take on the role of Minister of Unification or some other governmental responsibility.

이런 글을 올리신 분이 굉장히 많습니다

There are many people who post such writings.

장관님한테 이런 주문을 해 주신 분들이 많습니다

Many people have placed such orders with the minister.

난 두 번이나 했습니다 통일부 장관은

I have done it twice, the Minister of Unification.

뭘 또 해요

What else are you doing?

박지원 의원은 원내대표를 세 번째입니다

Representative Park Ji-won is the third floor leader.

참고로 하여튼 그런 말씀 드리고요

Just as a reference, I wanted to mention that.

감겨있던 눈을 뜨게 해 주신 것 평생 감사드리겠습니다

I will be forever grateful for opening my closed eyes.

그리고 우리의 미래는 남북관계에 달려 있다는 것을 주변에도 많이 알리겠습니다

And I will let many people around us know that our future depends on inter-Korean relations.

종북 빨갱이가 되는 걸 두려워하지 않겠습니다

I will not be afraid of becoming a pro-North Korea red.

그다음에 김영천이라는 분은 좋은 말씀과 좀 아쉬운 말씀도 같이 해 주셨는데요

Next, Mr. Kim Young-cheon gave us some good advice and also expressed some regrets.

이 분은 모든 방송을 다 들으셨다고 합니다

This person said they listened to all the broadcasts.

모든 방송을 다 들었던 사람으로서 소감을 적습니다

As someone who listened to all the broadcasts, I will share my thoughts.

우선 점잖으셔서 좋았습니다

First of all, I was glad that you were dignified.

귀족적인 방송이랄까요

It's an aristocratic broadcast, shall we say?

민주시대, 탈권위시대, 팟캐스트 시대는 제가 보기에는

In my view, the age of democracy, the age of de-authoritarianism, and the age of podcasts are...

민중의 시대이면서도 소위 쌍놈들의 시대 같습니다

It feels like an era of the people, yet also an era of so-called lowly beings.

약간 심하신데

It's a bit severe.

재미를 추구하는 것은 좋으나 품위를 잃어서는 안 될 것 같은데

It's good to pursue fun, but I think we shouldn't lose our dignity.

요즘은 품위를 지키려고 하는 사람이 드물지요

These days, there are few people trying to maintain their dignity.

그런데 한통속은 품위가 있었습니다

However, the gang had some dignity.

정말 감사합니다

Thank you very much.

아쉬운 점을 말씀드리겠습니다

I will mention the things that are disappointing.

통일을 말하려면 국가보안법이나 미국, 그리고 대한민국의 실체를 말해야 할 것 같은데

To talk about unification, I think we need to discuss the National Security Law, the United States, and the reality of South Korea.

못 들었습니다

I didn't hear it.

무전재적인, 그러니까 전제가 없는 통일방송을 그려봅니다

I envision a non-preconditional, that is, a unification broadcasting without any premises.

미국이나 이런 실체에 대해서는 많이 말씀을 드렸던 것 같은데

I think I've talked a lot about the United States or this kind of entity.

이런 지금 아쉬운 부분은 꼭 이 팟캐스트 한통속이 아니어도

Right now, the disappointing part is that it doesn't necessarily have to be this podcast.

나중에 저희는 정세형 장관님하고 이후에도 계속 인터뷰를 하든가

Later, we will continue to have interviews with Minister Jeong Se-hyung.

이런 기회들이 있을 텐데

There will be such opportunities.

이런 기회에 또 소화를 한번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I will try to digest this opportunity again.

이렇게 글을 올려주신 분들께 감사드리고요

I would like to thank those who posted this.

더불어서 백파이브님, 열차여행님, 강물은 바다를님, KYD2017님, 세월호 못 잊어님, 진심, IH3437님, 당당하게님

Additionally, Mr. Back Five, Train Travel, Mr. River is the Sea, KYD2017, Mr. Can't Forget Sewol, Sincere, IH3437, and Confident.

이분들이 틈틈이 팟빵 게시판 통해서 후원을 해 주셨는데

These people have been supporting through the Potbang bulletin board whenever they have the chance.

이분들께도 각별히 감사합니다

I am particularly grateful to these individuals as well.

감사합니다

Thank you.

특별히 감사 말씀을 드립니다

I would like to express my special thanks.

저희 한통속이 지난해 2월 3일날 시작해서

Our group started on February 3rd of last year.

지금 한 17개월, 18개월간 달려왔습니다

It's been about 17 to 18 months now.

매주 1회, 특별한 사건이 있을 때는 2회 이상 방송을 해왔습니다

We have been broadcasting once a week, and more than twice in special events.

두말할 것도 없이 장관님이 굉장히 고생을 많이 하셨는데요

There's no need to say anything more; the Minister has really worked very hard.

이게 매주 하다 보니까 장관님이 길게 여행을 못 가셨습니다

Since we've been doing this every week, the minister hasn't been able to go on a long trip.

주로 월요일날 녹음을 하기 때문에

Since we mainly do the recordings on Mondays,

월요일 전에 며칠씩 잠깐 여행을 갔다 오시고

Take a short trip for a few days before Monday.

그런 정도 하시고 이렇게 길게 여행을 못 가셨는데

You couldn't travel for such a long time with just that much effort.

특히 저는 장관님이 북중 접경지대에 답사를 가셔서

In particular, I understand that the minister is going to visit the North Korea-China border area.

그때 단둥 호텔에서

At that time at the Dandong hotel.

단둥이 아니고 창바이

It's not Dandong, it's Changbai.

창바이

Changbai

예, 창바이의 호텔에서 전화로 연결해서 녹음했던 게 저는 좀 기억에 많이 남는데

Yes, I remember quite well that I recorded a call from Changbai's hotel.

아무튼 여행도 못 가시고 매주 저한테 붙잡히셔서 고생을 많이 하셨는데

Anyway, you couldn't go on a trip and you've been caught by me every week, so you've had a lot of hardships.

이제 종합적으로 말하자면,

In summary,

마무리하시는 소감, 이 말씀 한 말씀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Please share your thoughts as you wrap up.

아까 정부의 압력으로 방송을 그만두는 거 아니냐는 의문을 제기하신 분에 대해서

Regarding the person who raised the question of whether I am quitting broadcasting due to government pressure earlier.

그런 건 아닙니다, 그런 건 아니고

That's not it, that's not it.

오마이뉴스도 속된 말로 장사가 돼야 되는데

Ohmynews has to be profitable, to put it bluntly.

요즘 이게 장사가 안 되잖아요, 이게

These days, business isn't going well, you know?

왜냐하면 남북관계가 이렇게 얼어붙어 버리니까

Because the inter-Korean relations have frozen like this.

남북관계가 활성화되면을 아, 이런 것은 어떻게 봐야 되는지 좀 들어봐야 되겠다라고 해서

If inter-Korean relations are revitalized, then I need to hear how this should be viewed.

청취자라고 합니까? 클릭스도 올라가고 그럴 텐데

Are you calling me a listener? Clicks should be going up and stuff like that.

남북관계가 완전히 꽁꽁 얼어붙어 버리니까

Because the inter-Korean relations have completely frozen over.

효난 문제가 아니란 말이에요

It's not a problem, Hyo-nan.

그러다 보니 지금 해 봐야 의미가 없을 것 같아서

So I think it wouldn't make sense to try it now.

Yes.

황 기자하고, 그...

With reporter Hwang, and that...

저거 그냥 이쯤에서 접자 하는 식으로 해서 끝을 냅니다.

Let's just wrap it up here.

그러니까 한겨울에 아이스크림이 안 팔리잖아요.

So ice cream isn't sold in the middle of winter.

이게 좀 더워져야 아이스크림이 팔리지.

It needs to get a little warmer for ice cream to sell.

그러니까 다시 남북관계가 더워지면

So if the inter-Korean relations warm up again,

그다음 또 일주일에 한 번이 아니라 일주일에 두 번 해야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Next, it might be necessary to do it twice a week instead of once a week.

그런 때가 좀 오기를.

I hope such a time will come.

글쎄요.

Well...

그러니까 뭐 그런 날이 오겠죠.

So I guess that day will come.

장관님 저희 방송 중에 혹시 제일 기억에 남는 사건 같은 거 있으세요?

Minister, do you have any memorable incidents from our broadcast?

기억에 남는 사건?

A memorable event?

네.

Yes.

혹시 이것 때문에 진짜 어디 좋은 데 놀러 가야 될 일이 있었는데

Is there really something good I need to go out and have fun because of this?

못 갔다 못 가셨다든가 또는 뭐.

I couldn't go, or something like that.

아 그 저 그 목함지래요.

Ah, that is a wooden box for carrying things.

예예.

Yes, yes.

그 사건 때문에.

Because of that incident.

결국 그것 때문에 그 이제 시간이 시간을 끌다 보니까 8월 그때가 며칠인 거.

In the end, because of that, it's been dragging on, so in August, what day is it?

그때 8월 초였는데.

It was early August back then.

네?

What?

그때 8월 초였죠.

It was early August then.

8월 초죠.

It's early August.

네.

Yes.

그것 때문에 항상 이제 이게 어떻게 전개가 되려나 지켜볼 수밖에 없었고.

Because of that, I've always had no choice but to watch how this will unfold.

그러다가 원래 그 아까 북중 접경 지역은 원래부터 예정이 돼 있었고.

At that time, the area near the North Korea-China border was originally planned from the beginning.

얼마나 그 저 긴장을 하고 그거에 대해서 뭔가 좀 청취자들한테 설명을 해줘야 되겠다는 책임감이 강했겠어요.

I guess you must have felt a strong sense of responsibility to explain that to the listeners, given how tense you were about it.

네.

Yes.

그러니까 그 국제전화로까지 장바구니 그 호텔에서.

So, the shopping cart through that international call from the hotel.

알겠습니다.

Understood.

저는 그 17일 8개월 동안에 저는 진짜 공부를 많이 한 것 같습니다.

I think I really studied a lot during those 8 months on the 17th.

이 공부가 예습이 있고 본수업이 있고 복습이 있고 이제 공부 기본이라고 그러지 않습니까?

This study involves previewing, attending the main class, and reviewing, right? Isn't that the basic structure of studying?

질문지를 만드는.

Creating a questionnaire.

공부는 무슨 공부를 했다고 그래.

What do you mean by saying you studied?

유식하게 가르쳐야 되는데 뭐 아주 쉽게 얘기를 해가지고 뭐.

It needs to be taught knowledgeably, but it's being explained in a very simple way.

질문지 만드는 게 예습이고요.

Creating the questionnaire is the preparation.

이게 이제 녹음할 때 장관님하고 말씀 나누고 듣는 게 학교 본수업이고.

This is the main class of the school, where we discuss with the Minister and listen during the recording.

그다음에 이제 기사를 쓰려고 이걸 다시 저는 이제 들어야 된단 말이죠.

Next, I have to listen to this again in order to write the article.

그러면 이제 다시 듣는 게 복습이고 이래서 저는 정말 이 월급 받으면서.

Then, listening again is review, and that's why I really feel this while receiving this salary.

저 독선생을 모시고.

I am accompanying that teacher.

공부를 17, 8개월 동안 많이 했습니다.

I studied a lot for 17 to 18 months.

저는 좀 그런 생각이 듭니다.

I have that kind of thought.

그리고 이제 저희 오마이뉴스를 후원하는 10만인 클럽 광고 말씀 하나 드리겠습니다.

And now, I would like to mention the 100,000-member club advertisement that supports our OhmyNews.

이제 마지막 때니까 이런 광고 말씀도 하나 드리는데요.

Since it's the last days, I want to share this advertisement with you.

장관님도 저희 10만인 클럽에 이제 가입을 하셨습니다.

The minister has now joined our 100,000-member club.

하셨죠.

You did, right?

어떻게 저희 방송 들으시는 분들.

How are those who are listening to our broadcast?

제가 종편을 만들고 싶다는데.

I want to create a comprehensive cable channel.

지금 종편이 전부 다.

Now all is about cable channels.

종편이 전부 다 돈 있는 사람들이 하는 거 아닙니까.

Aren't all the general cable channels run by people with money?

그렇죠.

That's right.

아니 뭐 보수 언론사들이 돈이 제법 있지.

Well, conservative media outlets have quite a bit of money.

그렇죠.

That's right.

뭐 기업에서도 하는 것도 있고.

Well, there are also things that companies do.

그런데 이거는 진보 종편은 진짜 돈 있는 사람은 돈을 안 내게 돼 있어요.

However, in progressive cable channels, wealthy individuals typically don't have to pay.

네.

Yes.

정경경 같은 데서는 저 어버이납에 돈을 주시면.

If you give money to the public assistance program like Jeonggyeonggyeong, then...

돈은 안 줄 거야 아마.

I probably won't give you money.

그러니까 진보 종편이 하나 있으면은 뭐 보수 종편이 압도적 숫자가 많지만 적어도 이런 소위 국민들이 제대로 알아야 될 문제들이 얼마나 많습니까.

So, if there is one progressive cable channel, there are overwhelmingly more conservative cable channels, but at least there are so many issues that the so-called citizens need to understand properly.

경제부터 시작해서 통일 외교 안보까지.

Starting from the economy to unification, diplomacy, and security.

이런 거에 대해서 좀 균형 감각을 가질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해서는 진보 종편이 보수 종편 개수만큼 나와야 되는데 지금 현실적으로 어렵다면.

To develop a sense of balance regarding this, progressive cable channels need to emerge in numbers equivalent to conservative ones, but that is currently difficult in reality.

제대로 된 거 한 개라도 일단 시작을 해야 되는 거 아닌가 하는 생각에서 나도 들어갔습니다.

I thought that I should start with at least one proper thing, so I joined as well.

그러니까 청취자분들도 꼭 독립운동을 일제 때 독립운동을 하는 사람들이 몸으로만 독립운동을 하는 건 아니고.

So, the listeners should know that the people who engag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were not only physically involved in the movement.

독립운동 자금 같은 것도 좀 모아서 주고 이럴 수 있었거든요.

We could also gather and provide funds for independence movements and such.

그러니까 꼭 독립군이 되고 광복군이 되라는 얘기는 아니지만 이런데 10만인 클럽이죠.

So it’s not that you have to become an independence fighter or a liberation army, but this is the 100,000 club.

10만인 클럽이죠.

It's the 100,000 Club.

10만인 줄 알았었어요.

I thought it was 100,000.

산산캐논.

Sunshine Cannon.

산산캐논 거.

It's SanSan Canon.

일확천금을 노리나 하는 생각을 했었는데.

I had thought about trying to strike it rich all at once.

10만인 클럽에 참여를 해주시면 아마도 10만 명이 참여를 하면 종편을 만들 수 있는 예산이 확보가 될 거라고 생각해서 했다고 봅니다.

I believe that by participating in the 100,000 People Club, they thought that if 100,000 people joined, it would secure the budget necessary to create a cable channel.

저도 일찌감치 가입을 했는데 일제 때 독립운동을 돕는 그런 기분으로 참여들을 많이 해주시길 좋겠습니다.

I signed up early as well, and I hope many people will participate in a way that feels like helping the independence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지금 장관님 말씀 들으니까 저희 한통운소 한참 할 때 이 10만인 클럽 안내 광고를 좀 많이 했으면 좋겠다 이런 생각이 듭니다.

Hearing the Minister's words now, I think it would be great if we could promote the 100,000 Club a lot when our Hantong Unso is in full swing.

마지막에 하려니까 조금 장관님 멘트가 너무 좋으셔서 좀 아깝다 이런 생각이 듭니다.

I feel that it's a bit of a waste to do it at the end because the minister's remarks were so good.

네.

Yes.

권채선지 그러니까 그 사토 떠나는데 나팔을 보면 어떡해.

So, what should I do if I see a trumpet when that Sato leaves?

사토 떠나는데 나팔을 본 격입니다.

It's like seeing a trumpet when Sato is leaving.

안타깝습니다.

That's unfortunate.

아쉽습니다.

That's unfortunate.

정치고 정치도 그렇고 언론 보도도 그렇고 타이밍이 중요한 겁니다.

Both politics and media reporting are all about timing.

알겠습니다.

Understood.

광고는 더더구나 말할 것도 없고.

Especially not to mention advertisements.

정치 여러분.

Politics, everyone.

타이밍을 놓치지 말아야지.

You shouldn't miss the timing.

타이밍이 중요하다는 말씀입니다.

It means that timing is important.

마무리를 지면 오마이뉴스 10만인 클럽에 가입하시는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To wrap it up, the way to join the OhmyNews 100,000-member club is very simple.

지금 하단에 이 중계창 하단에 전화번호 보이실 겁니다.

You should see a phone number at the bottom of this broadcast window now.

010-3270-3828번 010-3270-3828번 이 번호로 전화를 주시면 저희 담당 직원이 받습니다.

If you call this number 010-3270-3828, our staff will answer.

매월 만 원.

Ten thousand won every month.

이렇게 내주시면 오마이뉴스를 키우는 아주 큰 힘이 될 겁니다.

If you provide this, it will be a great help in growing OhmyNews.

이제 진짜로 오늘 방송 마치겠습니다.

Now, I will really finish today's broadcast.

그동안 청취해 주시고 댓글 달아주시고 관심 가져주신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I sincerely thank everyone who has listened, commented, and shown interest during this time.

남북한이 한통속이 돼야 평화통일이 됩니다.

Peaceful unification can only happen when North and South Korea are united as one.

한통속 이상으로 마치겠습니다.

I will conclude with more than one group.

감사합니다.

Thank you.

정세현 황방렬의 한통속 한반도 통일 이야기 속 시원하게 풀어드립니다.

I will clearly explain the story of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involving Jeong Se-hyeon and Hwang Bang-ryeol.

기상캐스터 배혜지

Weathercaster Bae Hye-ji

Continue listening and achieve fluency faster with podcasts and the latest language learning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