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2/26 “그날, 서대문형무소 8호실의 노래”

YTN,와이티엔FM94.5

수도권 투데이

[수도권] 2/26 “그날, 서대문형무소 8호실의 노래”

수도권 투데이

한글자막 by 김태운입니다.

Korean subtitles by Kim Tae-woon.

자막 by 김태운입니다.

Subtitles by Kim Tae-woon.

1919년 3월 1일 일제강점기에 일제 저항하고 나라를 되찾기 위해서 펼쳐진 3.1운동이 올해 100주년이 됩니다.

March 1, 1919, marks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March 1st Movement, which was launched to resist Japanese colonial rule and to reclaim the nation.

그 어느 때보다도 당시의 의미를 다시 새겨보고 또 선조들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가져야 할 텐데요.

We need to reflect on the significance of that time more than ever and have a heart full of gratitude for our ancestors.

오늘은 3.1운동 100주년을 맞아서 특별한 시간 마련했습니다.

Today, we have prepared a special event to commemorate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March 1st Movement.

박경모 서대문형무소 역사관장 스튜디오에 직접 모셨습니다.

I have brought Park Kyung-mo, the director of the Seodaemun Prison History Museum, directly into the studio.

과장님 어서 오십시오.

Manager, welcome.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Hello. Nice to meet you.

반갑습니다. 올해 굉장히 뜻깊은 해입니다.

Nice to meet you. This year is very meaningful.

3.1운동 100주년을 앞두고 있고 또 다른 것도 아니고 서대문형무소 역사관장으로서 또 감회가 남다르실 것 같은데요.

With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March 1st Movement approaching, it must be particularly meaningful for you as the director of the Seodaemun Prison History Hall, especially considering the circumstances.

올해 이렇게 맞이하면서 어떤 기분이 드셨습니까?

How did you feel welcoming this year?

3.1운동 100주년이기도 하고 또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된 100주년이기도 해서 굉장히 감회가 새로운데요.

It is both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March 1st Movement and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so I feel a deep sense of reflection.

저는 이 과거 100년이 앞으로 우리가 준비할 미래 100년의 바로 올해가.

The past 100 years is the very year we will prepare for the future 100 years ahead.

시작점이 아닐까 이렇게 생각하면서 여러 가지 학술적인 이야기도 학술적인 자료도 준비하고 또 전시도 준비하고 시민들이 앞으로 미래 100년을 준비할 수 있는 출발점으로 같이 하고자 지금 열심히 분주하게 뛰어다니고 있습니다.

I think this might be the starting point, so I'm diligently preparing various academic discussions and materials, as well as exhibitions, in order to create a starting point for citizens to prepare for the next 100 years.

특히나 역사 그리고 역사관이라고 하면 자라나는 우리 어린 학생들에게 굉장히 또 교육적으로도 필요한 곳이고 중요한 곳인데

Especially when it comes to history and historical perspectives, this is a very important and educational place for our growing young students.

학생들은 요즘에도 자주 견학을 하러 오십니까?

Do students still often come for field trips these days?

지금 방학 시즌이라 학생들 많이 오는데 좀 많이 달라진 것은 학생들만 오지 않고 또 우리 부모님들하고 손잡고 같이 오십니다.

It's currently vacation season, so many students are coming, but what's quite different is that not only students are coming, but also our parents come and hold hands with them.

부모님들이 또 이렇게 또 알려주면 학생들이 또 진지한 눈빛으로 관람을 하고 계셔서 많이 이렇게 오시고 계십니다.

When parents inform them like this again, the students are watching with serious expressions, so many of them are coming.

좋네요. 예전보다 이렇게 찾아오는 견학생들 그리고 학부모들이 많아지고 있나요?

That's nice. Have the number of visiting prospective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creased compared to before?

계속 이제 증가 추세 있고요. 저희가 1년에 한 70만 명 정도 방문하기 때문에.

The trend is continuously increasing. Since we receive about 700,000 visitors a year.

굉장히 많이 오시는 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I can say that a lot of people come here.

제가 상상했던 것보다 훨씬 많은 분들이 찾아주시네요.

Many more people are visiting than I had imagined.

그런데 서대문형무소 역사관 아무래도 일제 저항의 상징이고요.

However, the Seodaemun Prison History Hall is undoubtedly a symbol of resistance against Japanese colonial rule.

수많은 독립운동가가 숨을 거두신 곳인데 규모는 저도 가봤습니다마는 상대적으로 생각보다는 작지만

It is the place where numerous independence activists took their last breath, and although I have been there, it is relatively smaller than I expected.

수감자들에게는 아주 끔찍한 생지옥이라고 불린 열악한 환경에서 수감자들을 괴롭힌 곳이라고 들었는데

I heard it was a place where inmates were tormented in very terrible living conditions, referred to as a living hell.

서대문형무소에 대해서 아직 잘 모르는 어린 학생들에게 설명을 해 주신다면 이곳을 어떻게 소개하시겠습니까?

If you were to explain Seodaemun Prison to young students who may not know much about it, how would you introduce this place?

서대문형무소는 1910년 강제 합병 또는 병합이라고 하는데요.

Seodaemun Prison is referred to as a forced annexation or merger in 1910.

그 이전에 1908년도에 만들어졌습니다.

It was created in 1908 before that.

만든 목적 자체가 일제에 저항하는 우리 한국인들을 수감하기 위해서 만들어졌고요.

The very purpose of its creation was to imprison us Koreans who resisted Japanese imperialism.

그러다 보니까 일제 강정기간 내내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이 수감된 장소죠.

As a result, it is a place where numerous independence activists were imprisoned throughout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규모는 전국에서 가장 큰 규모로 운영이 됐습니다.

It was operated on the largest scale in the nation.

감옥 중에서요 물론.

Of course, in prison.

그래서 규모는 상대적으로 잠깐 작다고는 하셨지만 우리가 생각하기에는 작지만 감옥 안에서는 상대적으로 가장 큰 규모로 운영됐다.

So, you said the scale is relatively small for a moment, but in our view, although it seems small, it was operated on a relatively large scale inside the prison.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경이 열악했다는 부분은 뭐냐면 이 감옥에 들어오면 먹을 것을 마음대로 주지 않죠.

Nevertheless, what I mean by the poor conditions is that when you enter this prison, they do not allow you to freely have food.

그래서 가장 큰 고통이 배고픔.

So the greatest pain is hunger.

지금 2월달인데 한겨울에 영하 20도까지 떨어집니다.

It's now February, and the temperature drops to minus 20 degrees in the middle of winter.

추위 난방이 안 되죠.

The heating doesn't work in the cold.

한여름에는 30도를 훌쩍 넘어가죠.

In midsummer, it easily exceeds 30 degrees.

더위.

Heat.

당시에 동아일보 기자에는 한여름에 초열의 지옥이라는 표현이 있었어요.

At that time, a reporter from Dong-A Ilbo used the expression "a hell of extreme heat in midsummer."

초열의 지옥.

Hell of intense heat.

그리고 3.1운동 당시에는 너무 많은 수감자들이 있기 때문에 기록에 의하면 한 평에 한 3.

And during the March 1st Movement, there were so many detainees that according to records, there were about 3 per square meter.

2평에서 3평 되는 방에 20명 이상 수감돼서 굉장히 많은 인원들이 수감됐다.

Over 20 people were imprisoned in a room that was 2 to 3 pyeong, resulting in a very crowded situation.

이런 기록들이 있어서 매우 열악한 상황 속에서 수감자들이 우리 독립운동가들이 고통을 당한 곳이죠.

There are records like this, indicating that the prisoners suffered in very harsh conditions, which is where our independence activists endured pain.

다 같이 앉지도 못하고요.

We can't even all sit together.

돌아가면서 앉아서 쉬어야 될 것 같아요.

I think I need to sit down and rest while turning around.

만약에 그런 상황이면.

If that's the case.

이제 조금 아픈 분이나 이런 분들은 좀 배려를 하고 그래서 돌아가면서 앉았다 섰다.

Now, for those who are a little unwell or similar, we are being considerate and taking turns sitting and standing.

이런 상황이 아닐까 싶습니다.

I think this might be the situation.

정말 인권이라고는 눈꽃만큼.

There is hardly any human rights at all.

인권도 찾아볼 수가 없고 끔찍한 그런 기억이 있는 분들 그리고 그런 어르신들을 보면서 자라온 세대들.

A generation that has grown up seeing those with terrible memories and those elderly who cannot find any human rights.

지금 계속 함께 우리가 이 사회를 구성하고 살아가는 건데요.

Right now, we are continuously living together and forming this society.

저는 사실 학창시절에 선안에 있는 독립기념관이라든지 아니면 서대문형무소 견학을 가게 되면 굉장히 답답했어요.

To be honest, when I visited places like the Independence Hall in Cheonan or the Seodaemun Prison during my school days, I felt very frustrated.

그렇습니다.

That's right.

왜냐하면 또 학생 때는 사춘기니까 감수성이 예민한데.

Because during student days, you're going through puberty, so your sensitivity is heightened.

그런데 감정이입이 되잖아요.

But you can empathize.

그 독립투사들 지금 말씀해 주신 것처럼 그런 참혹했던 기록들 살펴보면 너무 속상하고 죄송하기도 하고 그렇다고 굉장히 오래전 일도 아니에요.

It's very upsetting and regrettable to look at those terrible records of the independence fighters you just mentioned, and it's not something that happened a long time ago either.

우리 할아버지 할머니 세대들이 겪어왔고 그 젊었을 때 일이기 때문에.

Because it is something that our grandparents' generation experienced when they were young.

그리고 또 안중근 의사 유관순 열사 윤봉길 의사 생각하면 굉장히 젊은 나이였잖아요.

And also, when I think of Doctor Ahn Jung-geun, martyr Yu Gwan-sun, and Doctor Yun Bong-gil, they were all very young, weren’t they?

윤봉길 의사는 당시에 의거 당시의 나이가 놀라지 마십시오.

Don't be surprised by the age of Dr. Yoon Bong-gil at the time of his actions.

24살이었습니다.

I was 24 years old.

그러니까요.

That's right.

유관순 열사도 그렇고.

It's the same with Yu Gwan-sun.

유관순 열사 돌아가실 때 18살.

Martyr Yu Gwan-sun was 18 years old when she passed away.

그러니까 학창시절 때 견학 갔을 때 제 나이와 같은.

So when I went on a field trip during my school days, it was the same age as mine.

같은 나이죠.

We are the same age.

그 나이에 그리고 지금 제 나이보다 훨씬.

At that age and much more than my age now.

어린 나이고요.

I am young.

어린 나이에 이렇게 대단한 일을 하셨는데 그런 걸 생각했을 때 이런 곳을 찾아가서 내가 제대로 된 교육을 받고 역사를 알아야겠다는 생각은 있었지만.

You accomplished such amazing things at a young age, and when I think about that, I felt that I should go to a place like this to receive proper education and learn about history.

이런 마음 때문에 좀 가기가 꺼려지기도 했었거든요.

I hesitated to go because of feelings like this.

괜히 막 죄송스럽고 답답하니까.

I feel unnecessarily sorry and frustrated.

요즘 학생들도 견학 오면 이런 얘기 하나요?

Do students these days talk about things like this when they go on field trips?

아마 장원석 선생님은 열심히 공부하는 모범생이었나 봅니다.

It seems that Mr. Jang Won-seok was a diligent model student.

요즘 학생들도 많이 견학을 오는데요.

These days, many students come for field trips.

처음부터 제 생각은 그렇습니다.

That's my thinking from the beginning.

너무 무거운 마음으로 이렇게 오자고 하면 잘 오기가 꺼려지죠.

If you come here with such a heavy heart, it's understandable to feel reluctant.

그렇죠.

That's right.

일단 가벼운 마음으로 좀 옆에 이런 게 있구나.

First of all, it's nice to have this kind of thing nearby with a light heart.

한번 가볼까?

Shall we give it a try?

한번 어디를.

Where to go once.

놀러 가는데 거기도 한번 가볼까?

I'm going out for fun, should we check that place out too?

그런 게 있다더라.

I heard there is such a thing.

이렇게 해서 오시면 한 바퀴 쫙 돌고 나면 나름대로의 생각과 감회가 있으실 것 같아요.

If you come like this, I think you'll have your own thoughts and feelings after going around once.

가벼운 마음으로 오시되 한 바퀴 돌고 나서 뭔가 감회와 느낌을 가지고 가신다면 그것으로 충분할 것 같습니다.

Come with a light heart, and if you leave with some memories and feelings after taking a round, that would be enough.

그렇죠.

That's right.

저는 선생님들한테 이렇게 교육받았거든요.

I was trained like this by my teachers.

여기는 마음가짐도 올바르게 해야 되고.

You need to have the right mindset here.

물론 그렇죠.

Of course.

여기 안에 들어가서 장난치면 안 돼.

You can't mess around once you go inside here.

그리고 복장도 단정하게 너무 밝은 색 입고 오지 마라.

And please don’t come dressed too brightly; wear something neat.

이렇게 얘기를 들었었는데.

I heard it like this.

그래도 찾아올 때는 그래도 좀 가벼운 마음으로 함께 예전 역사를 배운다는 생각으로 찾아가면 좋을 것 같아요.

Still, I think it would be nice to visit with a lighter heart, thinking that we are learning about the past together.

그러면 서대문형무소에서 끔찍한 옥골을 치른 독립투사는 지금까지 몇 분 정도로 추정이 되고 있습니까?

So, how many independence activists who suffered terrible conditions in Seodaemun Prison are estimated to have existed until now?

지금 저희가 자료로서 정확하게 추정은 할 수 없습니다.

We cannot make an accurate estimate with the data we have right now.

자료가 좀 불탄 부분도 있고 남아 있지 않은 부분도 있기 때문에 지금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된 분들의 기록 가운데

Due to some parts being a bit burned and some not being available, among the records of those currently imprisoned in Seodaemun Prison...

네.

Yes.

신상기록 카드라는 것이 있습니다.

There is something called a personal record card.

일종의 지금 표현으로 빌리자면 범죄자들의 신상기록 카드입니다.

It's like a criminal record card for offenders, if we put it in modern terms.

문화재로 작년에 참 등록이 됐습니다.

It was officially registered as a cultural heritage last year.

등록문화대 730호로 일제 주요 대상 감시인물 카드 이런 이름으로 등록이 돼 있는데

The registration is under the name "Surveillance Card of Major Target Individual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with the registration number 730.

그 카드에 번호가 매겨져 있거든요.

That card has a number assigned to it.

카드를 연구를 하고 있는데 1번 박장록이라는 분부터 3.1운동 때 참여한 분입니다.

I am studying the cards, and the first person, Park Jang-rok, participated in the March 1st Movement.

6만 5193번까지 카드가 남아 있습니다.

There are cards remaining up to number 65,193.

이 카드가 다 남아 있는 건 아니고 10% 정도만 남아 있는데 일단 이 자료로만 봤을 때는 최소 6만 5천 명 이상은 있었다.

Not all of these cards are left, and only about 10% remain, but based on this data alone, there were at least 65,000 people.

그리고 카드가 19년, 1919년 전후부터 본격적으로 작성되었기 때문에 카드가 작성되지 않았던 전시기 1910년, 1908년부터 따진다면

And since the cards were officially created around 1919, if we consider the period from 1910, when cards were not created, back to 1908...

약 9만 명 이상 있을 것으로 수감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렇게 보입니다.

It is estimated that there are likely more than 90,000 people imprisoned.

공식 자료만으로도 이렇게 추정이 되는데.

It can be estimated like this even with just official data.

그렇습니다.

That's right.

네.

Yes.

그렇게 자료에 등록되지 않은 분들까지 합하면 굉장히 그 수가 늘어나겠군요.

If we include those who are not registered in the data, the number will significantly increase.

대표적인 여성 독립운동가 하면 여러 분들 계시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분은 유관순 열사였잖아요.

When we talk about prominent female independence activists, there are many, but the most famous among them is martyr Yoo Gwan-sun.

역시 여기 서대문형무소에서 수감생활을 하셨다고 들었는데 유관순 열사가 있었던 8호실.

I heard that you were imprisoned here at the Seodaemun Prison, specifically in Room 8, where the hero Yoo Gwan-soon was held.

여기서 여성 독립운동가들이 함께 수감생활을 했나요?

Did the female independence activists live together in prison here?

네. 서대문형무소에서는 여성 수감자들도 수감을 했고요.

Yes. The Seodaemun Prison also held female inmates.

네.

Yes.

유관순 열사는 1919년 8월 달에 공주 감옥에서 서울로 이감이 돼서 바로 서대문형무소에 수감이 됩니다.

Heroine Yu Gwan-sun was transferred from Gongju Prison to Seoul in August 1919 and was immediately incarcerated at Seodaemun Prison.

그 8호실 감방에 당시에 같이 수감되신 분들이 7분에서 8분 정도 계셨는데요.

There were about 7 to 8 people who were incarcerated together in Cell 8 at that time.

개성에서 3.1운동을 한 유명하신 분입니다.

He is a famous person who participated in the March 1st Movement in Kaesong.

이분도 어윤희 그다음에 신관빈 또 권해라 신병철 이런 분들이 계셨고요.

There were also people like Oh Yoon-hee, then Shin Kwan-bin, and Kwon Hae-ra, Shin Byung-cheol, among others.

또 요즘 많이 알려지고 있는데 수원 기생조합.

The Suwon Gisaeng Association has been getting a lot of attention these days.

출신입니다.

I am from.

김형아라는 분도 계시죠.

There is also a person named Kim Hyung-ah.

일제강점기에는 당시 권번이라고 불렀는데 지금 얘기로 하면 소위 기생이죠.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t was called "gwonbeon," which is what we would refer to now as "kisaeng."

그다음에 세브란스 간호사인데 당시에 종교 앞에서 또 3.1운동을 한 노순경이라는 분도 같이 수감됐던 걸로 알려지고 있고요.

Next, it is known that a Severance nurse, along with a person named Noh Soon-gyeong, who was involved in the March 1st Movement in front of a religious gathering at the time, was also imprisoned.

또 경기도 파주에서 3.1운동을 한 임명애라는 분도 같이 수감되셨는데 이분은 특이하게 만삭의 몸으로 3.1운동을 하다가 같이.

In addition, a person named Lim Myeong-ae, who participated in the March 1st Movement in Paju, Gyeonggi-do, was also imprisoned, and notably, she was pregnant at the time she took part in the movement.

수감이 되셨습니다.

You have been incarcerated.

정말 여러 지역에서 그리고 여러 직업을 가지고 계시던 분 그리고 개인적으로는 또 만삭인 분까지도.

"Truly, there were individuals from various regions and holding different professions, and personally, there were even those who were in the late stages of pregnancy."

네 그렇습니다.

Yes, that’s right.

3.1운동을 하다가 일제 이런 탄압을 받고 수감생활도 하셨는데 여기에서 또 독특한 기록이 얼마 전에 발표가 돼서 또 눈에 띄었어요.

While participating in the March 1st Movement, you faced such oppression from the Japanese imperialists and also experienced imprisonment, and recently a unique record related to this was announced, which caught my attention.

여성 독립운동가들이 옥중에 같이 만세도 외치고 또 노래를 만들어서 불렀다는 얘기로 들었는데.

I heard that female independence activists shouted "Manse" together and created songs to sing while in prison.

이건 어떤 이야기입니까?

What story is this?

저도 최근에 이 자료를 접하면서 적지 않게 굉장히 좀 놀랐고 이런 기록이 남아 있구나.

I was quite surprised when I recently came across this material and realized that such records exist.

연구하는 사람으로서 좀 부끄러움도 느꼈습니다.

As a researcher, I also felt a bit ashamed.

미리 발굴을 못해서.

Because we couldn't excavate in advance.

한국일보 이진희 기자님이 발로 뛰어서 열심히 취재를 하셔서 후손을 직접 만나서 이 기록을 취재를 하셨는데요.

Reporter Lee Jin-hee of Hankook Ilbo worked hard and conducted thorough interviews in person, meeting descendants to gather this record.

유관순 열사랑 같이 수감되셨던 신명철이라는 독립운동가 지사님이.

The independence activist who was imprisoned with martyr Yu Gwan-sun is a patriot named Shin Myung-cheol.

지사님이 계신데 그분의 아드님이 지금 현재 생존하고 계십니다.

The director is here, and his son is currently alive.

문수일 선생님이신데 이 아드님을 취재하는 과정에서 어머니께서 3.1운동 이후에 1920년 3월 1일 날 옥중 만세투쟁을 하면서

It's about Mr. Munsu-il, and during the process of interviewing his son, the mother mentioned that on March 1, 1920,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she participated in a struggle for independence while in prison.

그 8호 감방에 있는 동지들과 같이 불렀던 노래가 있다.

There is a song that I sang together with the comrades in cell number 8.

그래서 그 기록을 쭉 남겨주셨고요.

So you left that record for me.

멜로디는 지금 전해지지 않고 가사만 전해 주신데 괜찮다면 제가 한번 내용을 읽어봐도 될까요?

If it's okay that only the lyrics have been passed on without the melody, may I read the content once?

물론입니다.

Of course.

가사 한번 읊어주시겠습니까?

Could you recite the lyrics?

문수일 선생님이 직접 기록으로 남기신 어머님께 들은 가사입니다.

This is the lyrics I heard from my mother, which were personally recorded by Teacher Munsu-il.

1920년 3월 1일 옥중투쟁을 위해서 여옥사 8호 감방 동지들과 함께 불렀던 노래입니다.

This is a song that was sung together with fellow inmates in cell number 8 of the women's prison for the struggle behind bars on March 1, 1920.

진중이 일곱이 진흑색 일복 입고 두 무릎 꿇고 앉아 주님께 기도드릴 때

When Jin-joong, wearing a black robe, knelt on both knees and prayed to the Lord.

접시 두 개 콩밥덩이 창문 옆에 던져줄 때

When you throw two plates of rice cakes next to the window.

피눈물로 기도했네 피눈물로 기도했네

I prayed with tears of blood, I prayed with tears of blood.

대안이 살아있다 대안이 살아있다

The alternative is alive, the alternative is alive.

산천이 통하고 바다가 끓는다

The mountains and rivers are interconnected, and the sea is boiling.

에헤이 대헤이 에헤이 대헤이

Ehey dahey ehey dahey

대안이 살아있다 대안이 살아있다

The alternative is alive. The alternative is alive.

이런 노래 가사입니다.

These are the lyrics to a song.

길지 않은 그런 가사들인데 그 속에 하나하나 뭔가 좀 아픔도 있고요.

The lyrics are short, but each one contains a bit of pain.

그리고 뭔가 강인함도 담아 있는 것 같고요.

And it seems to contain a certain strength as well.

우리가 보통 운동을 할 때 서로를,

When we usually exercise, we encourage each other.

격려하고 또 힘을 얻기 위해서 이런 구호를 외치거나 같이 노래를 부르지 않습니까?

Don't we shout these slogans or sing together to encourage each other and gain strength?

아마 당시에도 서로 간에 격려하고 힘을 서로 복돋기 위해서

Perhaps it was to encourage each other and uplift one another at that time.

스스로 이렇게 노랫말을 만들어서 불렀던 것 같습니다.

I think I made up the lyrics myself and sang them.

이 노래 가사를 읊으시면서 얼마나 그 안에서 만감이 교차하셨을지

As you recite the lyrics of this song, I wonder how many mixed emotions you went through.

진중이 일곱이 진흑색 일복 입고 두 무릎 꿇고

Jinjoong, dressed in a pure black outfit, kneels on both knees.

거기도 얼마나 좀 춥고 딱딱하고 불편한 자리였습니까?

How cold, stiff, and uncomfortable was that place?

일복이라는 것은 일본이 준 수간복을 얘기하는 거예요.

The concept of "ilbok" refers to the work uniform given by Japan.

그것도 굉장히 좀 누추해 보였었어요.

It also looked quite shabby.

제가 기억으로는.

As far as I remember.

그렇습니다.

That's right.

얇고 콩밥덩이 창문 열고 던져줄 때.

When a thin chunk of bean rice is thrown out the window.

그러니까 거기서.

So there.

배식을 주는 거죠.

It means serving food.

배식을 주는데 밥도 다 시원찮았겠죠.

The meal served must not have been very good either.

어떤 것들을 주로 드셨을까요?

What kinds of things did you mainly eat?

여기서 콩밥이라고 표현한 것은 당시에 식량 규정에 의하면

The term "bean rice" used here refers to the food regulations at that time.

여러 가지 작곡들이 섞여 있고 콩이 40%에서 60%이기 때문에.

Because various compositions are mixed and the beans are between 40% and 60%.

주로 눈에 띄는 건 콩밥이죠.

The most noticeable thing is the rice made from beans.

우리가 소위 감옥 가면 콩밥만 먹는다 하는 것들이 이때부터 시작된 것입니다.

The idea that when we go to prison, we only eat rice and beans started from this time.

그렇겠군요.

I see.

그러면서도 이렇게 개인이 육체적으로 핍박을 받고 정신적으로도 굉장히 약해져 있을 텐데도

Even so, individuals are physically persecuted and mentally weakened.

대한이 살았다 산천 바다 그리고 대한 이렇게 조국을 생각하는 그런 마음들이 여기까지도 느껴지는 것 같은데

"Daehan lived; the mountains, the rivers, and the sea, and with thoughts of Daehan, it seems like such feelings can be felt even here."

여옥사 8호 감방의 노래 전해지고 있는데.

The song from cell 8 of Yeoksa Prison is being passed down.

네.

Yes.

이것을 발굴해내지 않았으면 영원히 묻힐 수도 있었겠어요.

If this hadn't been uncovered, it could have been buried forever.

네. 그렇습니다.

Yes. That's right.

다행히 또 우리 아드님이 문수인 사장님이 또 생존해 계셔서 생생하게 또 증언을 해 주셔서 이런 자료들이 남아 있고

Fortunately, our son Munsoo's owner is still alive, and he has vividly testified, which is why we have these materials remaining.

아마 옥중에서 이렇게 노래를 만들어서 불렀다는 얘기는 저는 처음 들어봤기 때문에

I've never heard that someone made and sang a song like this while in prison before.

매우 좀 중요한 가치가 있는 자료라고 생각이 됩니다.

I believe this is a very important and valuable piece of information.

그렇군요.

I see.

그러면 이제 발견됐기 때문에 이와 관련해서 증언을 모은다든지 연구가 진행된다든지

Now that it has been discovered, testimonies are being gathered and research is underway regarding this matter.

그렇죠.

That's right.

정무진하게 할 수 있는 것들이 많겠군요.

There must be many things you can do effectively.

실제로 3.1운동 전후를 해서 또 1910년도 전후를 해서 우리 조선 사람들이

In fact, around the time of the March 1st Movement and around the year 1910, our Korean people...

서로 격려하기 위해서 창가 형식으로 노래를 만들어서 많이 격려하면서

To encourage each other, we created songs in a round format and encouraged one another a lot.

불렀다 이런 기록들은 또 남아 있거든요.

Such records are also left behind.

그렇군요.

I see.

그래서 여기다 아마 창가 형식으로 멜로디를 붙여서 부르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So I think they might have added a melody in a window style and sung it here.

앞으로도 이런 자료들이 좀 발굴이 돼서 우리 자라나는 세상들에게도

I hope that more materials like this are discovered in the future for our growing world.

교육적으로 알려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It would be good to inform them educationally.

굉장히 좋을 것 같아요.

It seems like it would be really good.

3.1운동 당시에 서대문형무소 주변 일대 분위기 이것도 궁금한데요.

I'm curious about the atmosphere around Seodaemun Prison during the March 1st Movement.

아무래도 그런데 서대문형무소에는 3.1운동 이후에 투옥되신 분들도 많이 계시고

It seems that there were many people imprisoned in the Seodaemun Prison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이전에 투옥되신 분들도 많이 계시잖아요.

There are many people who have been imprisoned before.

네.

Yes.

그 3.1운동과 동시에 그 이후에 좀 수감된 분들 급격히 많이 늘어났나요

Did the number of people incarcerated suddenly increase during and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

?

1910년 8년도에 개소할 때 수용인원 500명 규모밖에 안 됐습니다.

When it opened in August 1910, it only had a capacity of 500 people.

네.

Yes.

그리고 1910년 강제 병합 이후에 수감자들이 늘어나게 돼서 1500 2000선을 왔다 갔다 하다가

And after the forced annexation in 1910, the number of prisoners increased, fluctuating between 1,500 and 2,000.

1919년 3.1운동으로 그해 12월에 통계자료가 나와 있는데요.

In December of that year, statistical data was released due to the March 1st Movement in 1919.

3070명이 수감됐다라는 기록이 있습니다.

There is a record that 3,070 people were incarcerated.

아까 500명이라고 수용인원을 말씀드렸는데 6배 정도 되는 것이고요.

I mentioned earlier that the capacity is 500 people, but it's about six times that.

그러면 정상적으로 수용자들의 인권이라든지 그리고 최소한의 공간을 생각한다면

Then, if we consider the human rights of the inmates and at least the minimum space...

.

Please provide the text you would like to have translated.

적정 수용인원이 정해져 있을 거 아니에요.

There must be a designated maximum capacity, right?

그런데 그것을 훨씬 넘기겠네요.

But that will be far exceeded.

6배를 초과한 거고요.

It has exceeded six times.

6배.

6 times.

당시 서대문연구소 상황은 정상적으로 감옥을 운영할 수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At that time, the situation at the Seodaemun Research Institute was such that it could not operate the prison normally.

당시 교도소장이었던 일본인들이 나중에 패전 이후에 회고록을 남기는데

The Japanese prison warden at the time later wrote memoirs after the defeat.

만약에 수용자들이 일시에 폭동을 일으켜서 벽을 허물고 탈옥을 한다면

If the inmates were to riot all at once, break down the walls, and escape.

도저히 막을 방법이 없다.

There is no way to stop it.

매우 긴장되는 상황이다.

It is a very tense situation.

이런 기록들.

Such records.

그런 기록들도 남아 있고요.

There are also such records left behind.

그 정도로 마구잡이로 수감을 시켰군요.

They were arbitrarily detained to that extent.

서대문 형무소 주변 상황.

Situation around Seodaemun Prison.

유추해 보자면 3.1운동 당시 그쯤에서는 어땠을까요?

If we were to infer, what was it like around the time of the March 1st Movement?

충분히 저희도 짐작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신문기사를 통해서 그런 자료들이 보입니다.

We can quite reasonably assume that, for example, such information is visible through newspaper articles.

3월 27일에는 서대문 형무소 주변에서 만세성.

On March 27th, there will be a rally for independence around Seodaemun Prison.

성자는 한자로 소리인데 만세 소리가 울려 퍼졌다.

The saint's name is expressed in Chinese characters, and the sound of "long live" echoed.

그리고 1919년 5월 24일에는 옥주.

And on May 24, 1919, there was Okju.

옥중에서 또 만세 소리가 납니다.

There are cheers of "Long Live" heard again from within the prison.

난리가 난 거죠.

It's a mess.

또 그해 7월 1일에도 옥중에서 죄수가 밤에 기도를 한 후에 만세를 불렀다.

On July 1st of that year, a prisoner in jail also shouted for a long time after praying at night.

이런 기록들이 또 일제책 문서에 남아 있습니다.

Such records are also left in documents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틀림없는 사실이고요.

It is an undeniable fact.

그다음에 7월 11일자 기사에 보면 서대문 감옥 서북쪽 고지에서 수십 명의 조선인들이 만세를 불러서 경계하던 경찰과 병졸들이

In the article dated July 11, it states that dozens of Koreans were shouting long live at the hill located northwest of Seodaemun Prison, and the警察 and soldiers on guard were...

급하게 체포됐습니다.

I was arrested in a hurry.

그러니까 서대문 형무소에 우리 3.1운동 참여하신 분이 갇혀져 있으니까 일반인들이 그 주변에서 만세를 불러서 복도둔 거예요.

So, because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March 1st Movement were imprisoned in the Seodaemun Prison, the general public was singing "Manse" around the area to celebrate.

이런 기록은 그해 그치지 않습니다.

Such records do not stop in that year.

다음 해에 1920년 6월 30일자의 동아일보 보도기사에 의하면 서대문 감옥 뒷산에서 야반에 만세성 이런 또 기사가 있습니다.

According to a report in the Dong-A Ilbo dated June 30, 1920, there is another article about the Manseong event happening at the back mountain of Seodaemun Prison at night.

수십 명의 군중이 크게 만세를 부르짖었다.

Tens of thousands of crowd shouted loudly in cheers.

간수의 증언에 의하면.

According to the testimony of the guard.

아마 옥 안에 갇힌 수감자들을 복돕기 위해서 만세를 부른 것 같다.

It seems that they shouted "long live" to support the prisoners trapped inside the building.

이런 자료들이 남아 있습니다.

There are such materials left.

수십 명이 근처에서 밤에 그렇게 만세의 소리를 외쳤다면 충분히 안에서도 어떤 내용인지 정확하게 인식을 하셨을 것 같은데.

If dozens of people shouted the sound of "manse" nearby at night, it seems you would have been able to accurately recognize what it was about from inside as well.

그러니까 당신들이 여기 들어가서 육체적으로 정신적으로 고통을 받고 있지만 혼자가 아니다.

So, even though you are suffering physically and mentally here, you are not alone.

우리는 밖에서 당신들을 지지하고 있고 우리도 포기하지 않고 운동하고 있으니.

We are supporting you from the outside and we are also not giving up and continuing to fight.

네.

Yes.

당신들도 고생스럽지만 포기하지 않고 말고 힘내십시오.

It's tough for you too, but don't give up and stay strong.

이런 의미가 아닐까 생각이 됩니다.

I think this might be the meaning.

굉장한 또 힘을 얻으셨을 것 같아요.

I think you must have gained incredible strength.

그 당시에.

At that time.

굉장히 의미 있는 것이 있어서 제가 하나 가져와 봤는데 1919년 3월 1일에 시작된 독립만세운동이 전국에서 한 1600건이 넘게 일어났다는 정부 조사 결과가 있었어요.

I brought something very meaningful; there was a government investigation that revealed over 1,600 incidents of the independence march movement that began on March 1, 1919, occurred nationwide.

국사편찬위원회가 연구를 해서 조사를 해서 발표를 한 건데.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conducted research, investigated, and made a presentation.

그 데이터베이스를 보니까 남북한 전체 우리 한반도 국토를 합쳐서 1692건이 발생했다고 이렇게 하고요.

Looking at that database, it shows that a total of 1,692 cases have occurred across the entire Korean Peninsula, including both North and South Korea.

참여자가 80에서 100만 명이라고 하는데 여기서 좀 놀랐던 점이 사망자가 900명이 넘었다는 게 또 보도가 됐어요.

It is reported that the number of participants is between 800,000 and 1,000,000, but what surprised me is that the number of fatalities has exceeded 900.

사실 이 3.1운동의 당시에 나가서 태극기 흔들고 만세를 외친다는 것이 지금 시위와는 비유도 할 수 없을 만큼의 위험성을 떠안고 나가는 거 아니에요.

In fact, going out to wave the Taegukgi and shout "Mansei" during the March 1st Movement carried a level of danger that cannot even be compared to today's protests.

네.

Yes.

지금 저희도 이제 가끔 예전에 촛불혁명이라든지 그럴 때 아주 평화롭게 즐거운 마음으로 마치 뭔가의 축제에 참여하는 분위기로 참여했지 않습니까?

Right now, we also sometimes participate in a very peaceful and joyful atmosphere, as if we are taking part in a festival, like during the Candlelight Revolution in the past, don't we?

이것은 상상할 수 없는 일이고요.

This is something unimaginable.

내가 저 대열에 합류해서 만세를 부르다가 내 목숨이 날아갈 수도 있다라는 아주 삼엄한 분위기 속에서 참여를 한 것이고 수년간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이 데이터베이스와 시켜서 전문 연구자들이

I joined that large gathering to celebrate, even knowing that my life could be at risk in such a serious atmosphere, and for several years, professional researchers have been working with this database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수십여 명이 동원돼서 이제 기록을 남긴 것인데 이것은 이제 기록으로 남아 있는 겁니다.

Dozens of people were mobilized, and now it has been recorded; this is now a record.

공식적으로 기록이 남아 있는 거.

Officially documented.

공식적인 기록이죠.

It's an official record.

그러니까 저희가 공식적으로 짓게 되지 않은 기록은 더 있을 것이다.

So there will be more records that we haven't officially constructed.

그럴 겁니다.

That will be the case.

아마.

Maybe.

1920년 박은식 선생님이 한국독립운동치혈사라는 책에서 발표한 자료는 사망자는 7500명 이상 참여자는 200만 명 이상 그리고 그 당시에 수감자 피체자죠.

In 1920, the data presented by Mr. Park Eun-sik in the book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History" indicates that there were over 7,500 deaths and more than 2 million participants, as well as those who were imprisoned and detained at the time.

체포된 사람은 4만 5000명 이상 이렇게 그 당시에 20년도에 기록을 남기셨는데 지금 현재로서 이것을 증명할 만한 기록들을 찾다 보니 일단 명확한 것은 이렇게 되고 기록이 남아 있지 않은 부분까지 합치면 더 이상 될 것으로 추정이 된다는 것이죠.

More than 45,000 people were arrested, and at that time, in 2020, records were left, but currently, as we look for records to prove this, it is clear that this is the case, and combined with the parts that do not have records, it is estimated that it could be even more.

이 보도 자료에 따르면 조선총독부가 만들었던 소유사건 관계서류 또 일본 외무성 기록.

According to this press release, the documents related to property cases created by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s well as records from the Japanes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그렇습니다.

That's right.

판결문.

Judgment.

네.

Yes.

일본어랑 영어랑 된 거.

It's in Japanese and English.

그렇죠.

That's right.

수만.

Thousands.

조선권을 5년 동안 조사를 했다고 하는데 그렇겠네요.

They say they conducted research on the Joseon region for five years, so that makes sense.

실제로 이렇게 외국 문서에 들어가 있는 것을 바탕으로 조사를 해서 이번에 발표한 거잖아요.

In fact, this was presented based on the research conducted on foreign documents.

특히 조선 소유사건 관계서류는 일제 측이 작성한 거거든요.

In particular, the documents related to the Joseon ownership case were prepared by the Japanese side.

그렇죠.

That's right.

그런 명확한 것들만 일단 1차적으로 조사를 했고 또 지역의 현장에 가서 또 조사를 하다 보면 구전으로 우리 아버지도 참여했다.

We initially conducted research on such clear matters, and as we go to the local sites and continue our investigation, my father also participated through word of mouth.

아니면 여기서 이런 일이 있었다 이런 것들이 있는데 안타깝게도 이제 명확하게 자료로 남아 있지 않은.

Otherwise, there were things like this that happened here, but unfortunately, they are no longer clearly documented.

부분까지도 있습니다.

There is even a part.

이것 기록을 발굴해내고 연구를 한 것도 굉장히 의미 있는 일이지만 좀 드러나지 않았던 그런 자료들에 대한 연구도 지속적으로 좀 이어지면 좋을 것 같아요.

While it is very meaningful to uncover and research these records, I think it would be great if research on those materials that have not been prominently revealed could continue as well.

그래서 이제 이러한 연구들이 저희가 그동안 독립운동사가 굉장히 심화되고 많이 연구가 됐다라고 연구자들도 스스로 생각했는데

So now, researchers believe that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deepening and increase in the study of the histor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백추전을 맞아서 이런 연구 과제들을 가지고 연구를 하다 보니까.

Since I’ve been conducting research with these research projects in line with the centennial commemoration.

더 드러나는 게 많군요.

There are many more things that are becoming apparent.

이제부터 시작이구나.

This is just the beginning.

앞으로 미래 100년을 위해서.

For the next 100 years into the future.

앞으로 더 연구할 것도 많고 과제도 많고 지금 올해 들어서 여러 가지 학술 심포지엄도 많고 자료도 많이 발간이 되는데 이게 끝이 아니라 바로 100년을 준비하는 역사의 시작이다.

There is still much research to be done and many challenges ahead. This year alone, there have been various academic symposiums and many materials have been published, but this is not the end; it is the beginning of a history that prepares for the next 100 years.

이렇게 생각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I think it would be good to think this way.

그렇죠.

That's right.

조금 전에 양독해 주신 그 가사 그런 것도 이제 발견되고 말이죠.

The lyrics you just translated a little while ago are now being discovered as well.

그렇습니다.

That's right.

100년이 지난 이 시점에.

At this point, 100 years later.

지금 우리가 시위라고 하면 나가서 죽을 수도 있겠다 이런 생각은 절대 안 하겠죠.

Right now, if we say we're going to protest, we definitely wouldn't be thinking that we might go out and die.

전혀 안 하죠.

Not at all.

그런데 이때는 내가 죽을 수도 있는데도 그냥 일반 시민들이 뛰쳐나가고 농사일 하다가 뛰쳐나가고 학생들 공부하다가 지금 공부가 무슨 소용이냐.

But at this time, I could die, and yet ordinary citizens rush out, running out while farming, and students studying, wondering what the use of studying is right now.

뛰쳐나가자 해서 나가서 만세 외치고.

I ran out and shouted hooray.

우리 장원정 선생님이 정확한 지적을 해 주셨는데요.

Our teacher, Jang Won-jeong, made an accurate point.

당시에 직업 분포를 보면 절반 이상이 농업입니다.

At that time, looking at the job distribution, more than half were in agriculture.

그래요?

Is that so?

그냥 평범한 사람들이죠.

They're just ordinary people.

아니 영화에서는 굉장히 어렸을 때부터 위인전을 실리법한.

No, in the movie, it was about a great person who had a biography since a very young age.

네.

Yes.

대단한 영웅들이나 나가서 다 같이 나가서 만세를 외치시다 이렇게 이끌고 이럴 것 같은데 일반 농민들.

It seems like great heroes would lead us all out to shout "Hooray!" together, but it's just ordinary farmers.

그렇습니다.

That's right.

영웅들은 교과서에 나와서 우리가 익히 아는 분들 일부이고요.

The heroes are some of the well-known figures that appear in textbooks.

그래서 우리 3.1운동의 가장 큰 특징은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So, I believe the biggest feature of our March 1st Movement is this.

평범한 사람들이 한 위대한 운동이었다.

It was a great movement by ordinary people.

아나운서님 말씀하신 농부 학교에서 공부하다가 휴교령이 내려지니까 우리도 가서 지금.

While studying at the farmer's school mentioned by the announcer, a school closure order was issued, so we went there now.

이 식민지라는 부당한 사회에 우리도 한마디 해야 되지 않겠어?

Don't we also need to say something about this unjust society called a colony?

정의를 외쳐야 되지 않겠어?

Shouldn't we shout for justice?

부당하다라고 말해야 되지 않겠어라고 뛰쳐나간 학생들.

Students who ran out saying, "Isn't it unfair?"

또 유관순 열사도 그래서 고향으로 내려가서 3.1운동을 전개한 것이고.

In addition, that is why martyr Yoo Gwan-sun also went back to her hometown to carry out the March 1st Movement.

그렇죠.

That's right.

또 아까 8호 감방에 같이 있었던 심지어는 기생조합 출신의 이런 기생들도 참여를 했고.

Also, there were even these kisaeng who were from the kisaeng union who participated, including those who were in the same cell as us earlier.

또 수용기록카드에 신분이나 직업을 적게 돼 있는데.

It is also written on the reception record card to include identity or occupation.

아주 사회 지금 생각으로 사회 저층에 있었던 직업군들 예를 들면 마착군 차부 그다음에 고물상 그다음에 지금 표현으로 드리겠습니다.

In current society, I think about the professions that were at the lower levels, for example, scavengers, car mechanics, and then I will provide more examples now.

고리대금업자 대금업자 이런 사람들도 대필업자 전반적으로 다 참여를 했죠.

Loan sharks and other lenders, as well as ghostwriters, all participated in this broadly.

그래서 아주 평범한 사람들의 위대한 운동이었다.

So it was a great movement of very ordinary people.

이렇게 저는 보고 싶습니다.

I want to see it like this.

사실 그분 한 분 한 분들이 다 영웅이죠.

In fact, each and every one of them is a hero.

그중에서 몇 분만 또 드러나는 것이고 드러나지 않은 분 중에서 얼마나 또 고통스럽게 독립운동을 하시고 우리나라를 위해서 이바지한 분들이 계시겠습니까.

Among them, only a few are revealed, and how many others who have suffered painfully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contributed to our country remain unrecognized?

아직 발굴되지 않은 분들 그런 분들 다 찾아서 우리가 조명해야 합니다.

We need to find and highlight those who have not been discovered yet.

그리고 이 독립지사들은 과연 이런 서대문형무소 같은 흔히 말하는 감방에서 어떻게 생활을 했을까.

And how did these independent activists actually live in places like the Seodaemun Prison, commonly referred to as a cell?

또 고문을 받고 독방에서 흔히 우리가 많이 알려져 있는 것들.

Also, torture and the common things we are well aware of in solitary confinement.

굉장히 좁은.

Very narrow.

그리고 앉지도 못하고 서서 어깨를 좁히고 하루 종일 있어야 하는 그런 고문기구도 있고 날카로운 흉기가 달린 그런 고문기구도 있고 여러 가지 기록이 남아 있는데 강제노형 얘기도 있고요.

And there are torture devices where one has to stand and hunch their shoulders all day without being able to sit, as well as torture devices with sharp weapons, and various records remain, including stories of forced labor.

이런 부분에 대해서 전문가 의견도 엇갈리는 것도 있는 것 같은데 정확하게 기록으로 다 남아 있는 것들이 있는 거죠.

It seems that there are differing expert opinions on this matter, but there are some things that are accurately documented.

정확하게 기록으로 확인되는 부분만 제가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I will only mention the parts that can be verified with accurate records.

제가 예전에 1930년대 서대문형무소.

I used to be in the Seodaemun Prison in the 1930s.

서대문형무소 감옥의 일상 이런 주제로 논문을 좀 썼는데 우리가 감옥하면 굉장히 참혹한 공간이고 열악한 공간이고 이렇게 생각을 합니다.

I wrote a paper on the daily life of the Seodaemun Prison, and when we think of prisons, we often consider them to be very brutal and difficult spaces.

그런데 이제 감옥이라는 내부도 어쨌든 6개월이든 1년이든 10년이든 살아가야 되는 일정한 사회구조였죠.

However, the inside of the prison, regardless of whether it's six months, one year, or ten years, is still a certain social structure that one has to live within.

이 구조 안에서 독립운동가들 소위 그 당시에는 사상범이라고 불렀습니다.

Within this structure, the independence activists were referred to as "thought criminals" at that time.

정치적인 사건에 연루된 사람들이라고.

They are people involved in a political incident.

일본이 인식을 한 거죠.

Japan has recognized it.

정치적인 사건이라는 것은 자기네들 식민지배체제를 변혁하려거나 바꾸려고 하거나 이런 사람들로 본 거예요.

They see political events as something that people try to transform or change their colonial rule system.

그렇네요.

That’s true.

특히 3.1운동가들도 보안법 위반이나 출판법 위반 소요 정치범 처벌에 관한 죄 이런 것들로 다 죄명을 씌웠거든요.

In particular, the participants of the March 1st Movement were all charged with violations of the Security Act or the Publishing Act, as well as crimes related to political unrest.

그러니까 이렇게 평범한 사람들도 바로 사회를 변혁하려는 주체로 일본 스스로 인식을 했다 이런 점이 있고.

So, there is this point that even ordinary people recognized themselves as the agents of social transformation in Japan.

바로 감옥이라는 사회구조에서 그 사람들은 사상범으로 특별하게 취급을 받았죠.

In the social structure of the prison, those people were treated specially as political prisoners.

초창기에는 노역을 시키지 않습니다.

In the early days, forced labor is not imposed.

독방이나 좁은 감방 안에 하루 종일 있어야 되고요.

You have to stay in a solitary confinement or a small cell all day long.

그 안에서 할 수 있는 간단한 작업 같은 걸 시키죠.

They make you do simple tasks that can be done in there.

그런데 제가 가끔 서대문연구소 오시는 우리 어린 학생들과 같이 해설하면서 하는 때도 있는데 물어봅니다.

However, there are times when I go to the Seodaemun Institute and do commentary with our young students who come, and I ask them questions.

아이들아 우리 감옥 안에서 감방 안에서 하루 종일 있는 게 편하겠어?

Kids, would it be comfortable for us to stay inside the prison cell all day long?

나가서 힘들게 일하는 게 편하겠어?

Do you think it would be easier to go out and work hard?

이렇게 물어보면 아이들 뭐 편할까 이렇게 하는데 사실은 나가서 일하는 게 훨씬 낫죠.

When you ask like this, you might think it's more comfortable for the kids, but in reality, going out to work is much better.

어떤 면에서 그럴까요?

In what way is that so?

감옥 안에 혼자 있으면 일단은 외롭겠죠.

Being alone in prison would be lonely, after all.

춥겠죠.

It must be cold.

덥겠죠.

It must be hot.

그리고 가장 힘든 것은 그냥 있게 하지 않습니다.

And the hardest part is that it just won't let me be.

정좌라는 자세를 요구하는데요.

It requires a seated position called "jeongjwa."

발을 정해 앉을 좌자를 씁니다.

I use a chair to sit with my feet positioned.

지금 얘기하면 소위 무릎 꿇고 있는 자세인데 하루 종일 그렇게 앉아 있어야 됩니다.

If I talk about it now, it will be like I'm in a kneeling position, and I have to sit like that all day long.

그러면 육체적으로뿐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굉장히.

Then, not only physically but also mentally, it is very.

피폐해지겠어요.

I'm going to get exhausted.

그 점을 노린 것입니다.

That was the point aimed for.

육체의 고통을 통해서 정신을 바꾸려고 하는 거죠.

You are trying to change the mind through the pain of the body.

그들이 의도한 대로.

As they intended.

그리고 사상범들은 식사량을 조절을 하죠.

And the ideological offenders regulate their food intake.

식사가 1등급부터 9등급까지 양을 달리하고 있는데 소위 사상범들은 4등급에서 5등급 이하.

Meals are offered in varying quantities from grade 1 to grade 9, with so-called political prisoners being classified in grades 4 to 5 or lower.

그래서 아마 200g 이하의 식사를 주게 됩니다.

So probably meals will be given that are under 200g.

200g.

200g.

지금 우리가 손에 들고 있는 스마트폰이 한 200g 정도 되거든요.

The smartphone we are holding right now weighs about 200 grams.

그러니까요.

That's right.

이 정도밖에 밥을 안 먹으면 어떻게 삽니까?

How can you live eating only this much rice?

최소한의 영양분으로 살아갈 수밖에 없고요.

I can only survive on minimal nutrients.

그러다 보니까 감옥에 수감되면 영양분이 부족해서 영양결피물에서 면역력이 떨어지게 되죠.

As a result, when incarcerated, the lack of nutrients leads to a decrease in immunity due to nutritional deficiency.

당연하겠죠.

Of course.

지금 저희야 잘 먹으니까 가끔 감기 정도 걸리지만 이 면역력이 떨어지면 발진티프스 장티프스 각종 질병에 노출이 되게 돼서.

Right now, we are eating well, so we occasionally catch a cold, but if this immunity drops, we become exposed to various diseases like rashes, typhus, and enteric fever.

실제로 감옥에서 사형을 언도받아서 죽는 비율보다 자료가 남아 있어서 이것도 정확하게는 말씀 못 드립니다만.

In reality, I can't say this accurately either as there is data available, but the rate of being sentenced to death and actually dying in prison is different.

추정으로 이런 질병에 걸려서 돌아가시거나 고문으로 옥사 순국하시거나 이런 비율이 훨씬 높을 것으로 추정이 됩니다.

It is estimated that the likelihood of dying from such diseases or being tortured to death in prison is much higher.

그렇군요.

I see.

지금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되새기면서 또 정확한 자료를 빨리 찾아야겠다는 생각이 드는데

So right now, I feel that we need to reflect on this and quickly find accurate information.

독립운동가 만혜 한용훈 선생이 매천 황현을 추구하기 위해서 쓴 시가 최근에 또 서대문협무소에서 일반에 공개가 되기도 했는데

The poem written by independence activist Manhye Han Yong-hoon, who sought to follow in the footsteps of Maecheon Hwang Hyeon, was recently made public at the Seodaemun Historical Museum.

네.

Yes.

그런데 독립운동가와 관련된 자료가 그 당시에 어떻게 모으셨을까요?

By the way, how did you gather materials related to independence activists at that time?

어떻게 모을 수 있었겠습니까?

How could you have gathered?

그렇기 때문에 많이 사라졌고 불에 타서 없어지기도 했는데 남아 있는 자료 소중히 여기고 또 발굴해 나가야 된다는 얘기 앞서서도 했었습니다.

That is why a lot has been lost, and some have been burned and disappeared, so I mentioned earlier that we must value the remaining materials and continue to excavate.

끝으로 3.1운동 100주년을 앞두고 우리 국민들이 꼭 알아야 될 점, 잊지 말아야 할 점 말씀해 주신다면요.

Lastly, as we approach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March 1st Movement, what points do you think our citizens must know and should not forget?

네.

Yes.

금년에 3.1운동 100주년 또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인데요.

This year marks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March 1st Movement and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100주년이라고 여기저기에서 많은 행사도 하고 관련 자료들로.

For the 100th anniversary, there are many events and related materials happening here and there.

공개되고 그렇습니다.

It is public and that's it.

조금만 관심을 가지면 미디어나 매체를 통해서도 접하실 수 있는데 제 생각에는 우리 시민들이 이러한 독립운동가들의 행적이나 이러한 자료들을 일상에서 항상 좀 기억하고 기념해야 되지 않을까.

If we show a little bit of interest, we can encounter this through media or channels, but I think our citizens should always remember and commemorate the activities of these independence activists and these materials in their everyday lives.

이것은 역시 우리 전문 저희 같은 전문 연구자들이 시민들과 함께할 수 있는 이런 논문이나 이런 것들을 좀 일반화시켜서 제공을 해야 되는 의무가 있고

This is indeed our duty as professional researchers to generalize and provide such papers and similar things that we, as experts, can share with the citizens.

또 그런 노력들을 이제.

Such efforts now, too.

이제 막 많이 하려고 합니다.

I am just about to do a lot now.

그러한 노력들은 주변에 있는 가까운 곳을 잠깐 들리거나 하면서 그런 공간들을 기억하고 기념하는 일들을 주변에서 그냥 조그맣게 크게 안 해도 됩니다.

Such efforts don't need to be done in a big way; it's enough to briefly visit nearby places and remember and commemorate those spaces in small ways.

조그맣게.

A little.

아니면 잠깐이라도 생각하는 시간을 가지면 충분할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Otherwise, I think it would be sufficient to take even a short moment to think.

네.

Yes.

앞서서 관장님이 이제 독립 정신을 기리고 또 새롭게 연구를 해야 되는 이제 시작이라고 말씀해 주셨어요.

The director mentioned earlier that it is now the beginning of honoring the spirit of independence and conducting new research.

그 시작 그리고 그 가운데서 조금 더 수고.

That beginning and a little more effort in the midst of it.

또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I would like to ask for a little more help.

네.

Yes.

감사합니다.

Thank you.

오늘 짧은 시간이었지만 여러 가지 이야기 들어보면서 많은 공부가 됐던 것 같고요.

It was a short time today, but I think I learned a lot listening to various stories.

저도 다시 한 번 이런 좋은 이런 역사적 공부를 한 것 같아서 굉장히 뜻깊게 생각이 듭니다.

I also feel very meaningful that I have had the opportunity to study such a good and historical topic once again.

오늘 말씀 잘 들었습니다.

I listened well to what you said today.

고맙습니다.

Thank you.

네.

Yes.

감사합니다.

Thank you.

지금까지 서대문형무소 역사관의 박경목 관장이었습니다.

This has been Park Kyung-mok, the director of the Seodaemun Prison History Hall.

고맙습니다.

Thank you.

2부에서는 자동차 주체의 코너가 준비되어 있고요.

In Part 2, there is a corner dedicated to automotive subjects.

1분 20초 뒤에 이어가죠.

Let's continue after 1 minute and 20 seconds.

음악과 수도권 뉴스가 한 방에 수도권 전문방송 수도권 투데이.

Music and metropolitan news all in one, the metropolitan specialized broadcast, Metropolitan Today.

자동차 주체 오늘은 전기차와 수도차 구입 시에 어떤 점을 고려해야 할지 알아보겠습니다.

Today, we will explore what factors to consider when purchasing electric vehicles and water vehicles.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과 교수 연결되어 있습니다.

Professor Kim Pil-soo from Daelim University, Department of Automotive Engineering, is connected.

교수님 안녕하세요.

Hello, Professor.

안녕하세요.

Hello.

네.

Yes.

이 자동차 구입하시려는 분들은 고민 많으실 것 같아요.

I think those who are considering buying this car must have a lot of concerns.

계속해서 내연기관차를 사야 하느냐 하이브리드를 사야 하느냐 전기차 사야 하느냐.

Should I continue to buy internal combustion engine cars, hybrid cars, or electric cars?

수소차를 기다릴까.

Should I wait for a hydrogen car?

장단점을 좀 설명해 주실까요.

Could you explain the pros and cons a bit?

네.

Yes.

일단 전기차하게 되면 올해 공급 대수가 4만 4천 대.

First of all, if we go electric, the supply for this year will be 44,000 units.

아마 추경 예산 나라면 5만 대인데 자동차의 주류로 들어왔습니다.

If it's an extra budget, it's probably about 50,000 units, but it has entered the mainstream of automobiles.

보조금은 4,500만 원 정도 주류로 들었지만 올해 판매되는 전기차 종류수가 워낙 많고 완성도가 좋아졌기 때문에 그만큼 소비자는 고민된다는 부분들이고.

The subsidy amounted to approximately 45 million won, but since there are so many types of electric vehicles being sold this year and their quality has improved, consumers are facing more dilemmas in their choices.

수소차는 작년부터 공급돼서 올해 4만 4천 대입니다.

The hydrogen cars have been supplied since last year, and there are 44,000 units this year.

그래서 7천만 원짜리 차를 3,500만 원 정도 보조금을 주니까 3천여만 원이면 구입할 수가 있는데.

So, with a subsidy of about 35 million won for a car worth 70 million won, you can purchase it for just over 30 million won.

가장 문제는 역시 충전소가.

The biggest problem is the charging stations.

그래서 전국에 13기 올해 43기 정도가 보급이 되지만 자기 지역에서 2, 3개 정도뿐이 없기 때문에 이 부분은 상당히 불편할 것으로 보이고 있고요.

So, although there will be about 43 distributions in the 13th group nationwide this year, there are only about 2 or 3 in each region, so this part seems quite inconvenient.

그렇다면 하이브리 자동차가 남아있는데 내연기관차만 해도 디젤 같은 경우에는 요새 규제가 심화되다 보니까 노후된 디젤차 또 미세먼지 저감 조치가 있을 때는 지지 못하는 경우도 있고요.

In that case, there are hybrid cars remaining, but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s, especially with diesel, the regulations have been getting stricter lately, so there are times when older diesel cars cannot pass the fine dust reduction measures.

그러다 보니까 디젤 차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또 가솔린도 똑같은 내연기관차니까 연비가 떨어지고.

As a result, regulations on diesel cars have been tightened, and since gasoline cars have the same internal combustion engines, fuel efficiency is declining.

네.

Yes.

판매되고 있고 해외에서도 인기를 끌기 때문에 본인의 어떤 주행 거리라든지 특성이라든지 만약에 일가구 이 차량이다 그러면 첫 번째는 내연기관인데 두 번째는 전기차 정도 또 하이브리 자동차도 굉장히 선호하는 종류 중에 한 가지 다 보고 있고요.

Since it is being sold and gaining popularity overseas, regarding one's driving distance or characteristics, if it's a vehicle for a single household, first, it could be a combustion engine, but secondly, it could be an electric vehicle, and hybrid cars are also one of the very preferred types being considered.

또 저는 말씀드린 대로 아직 얼리 어댑터적인 성격이 좀 강하기 때문에 시간이 좀 더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어서 일단 여러 가지 중에서 택이라는 고민은 더 많아졌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As I mentioned, I still have a strong early adopter tendency, so I believe I will need more time. Therefore, it seems that the dilemma of choosing among various options has increased even more.

하이브리드 차 보조금은 올해 없어졌고요.

The subsidy for hybrid cars has been eliminated this year.

전기차 보조금도 한 3년 내에 없어지지 않나요?

Aren't electric vehicle subsidies going to disappear within about three years?

맞습니다.

That's right.

하이브리 자동차는 작년에 50만 원 주다가 올해 완전히 제로인데 세제 혜택뿐이 없는데요.

The hybrid car was 500,000 won last year, but this year it's completely zero, with no benefits other than tax incentives.

좀 아쉬운 부분이 있어요.

There are a few disappointing aspects.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같은 경우에는 좀 더 오래 유지해야 되는데 지금 현재 한 600만 원 정도 되거든요.

In the case of a plug-in hybrid, it needs to be maintained for a longer period, and right now it costs about 6 million won.

그리고 전기차는 중앙정부가 900만 원이고.

And the electric car is 9 million won from the central government.

그리고 지방정부가 7, 800만 원이 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1,500에서 2,000만 원 사이입니다.

And since the local government is 7.8 million won, overall it is between 15 million and 20 million won.

그래서 매년 4, 500만 원 줄고 말씀하신 대로 한 3년 정도 후에는 없어지기 때문에 전기차 완성도는 좋아지는 대신 보조금 줄어들기 때문에 이 부분도 고민해야 되고요.

So, every year the budget decreases by 45 million won, and as you mentioned, it will disappear in about three years, so while the quality of electric vehicles improves, we also need to consider the reduction in subsidies.

일단 충전기 수는 올해도 1,000기 넘게 보충을 해 주기 때문에 훨씬 더 많아지고 있다는 것도 굉장히 큰 장점 중에 하나라고 보고 있습니다.

First of all, since over 1,000 chargers will be added this year as well, I believe that is a significant advantage as it will increase the number greatly.

네, 알겠습니다.

Yes, I understand.

오늘은 좀 짧게 들어야겠네요.

I guess I'll have to keep it a bit short today.

말씀 잘 들었습니다.

I understand your words well.

고맙습니다.

Thank you.

네, 감사합니다.

Yes, thank you.

네, 지금까지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였습니다.

Yes, I have been Professor Kim Pil-su of the Automotive Engineering Department at Daelim University.

다들 아시는 바와 같이 내일부터는 역사적인 2차 북미정상회담이 열립니다.

As everyone knows, the historic second North Korea-U.S. summit will be held starting tomorrow.

지금 김정은 위원장이 베트남역에 도착한다는 속보가 아까부터 와 있는데 아직까지 모습을 나타내고 있지는 않습니다.

There have been reports since earlier that Chairman Kim Jong-un is arriving at the Vietnam station, but he has not yet appeared.

따라서 저희 YTN 라디오도 특별 편성으로 27일 수요일과 28일 목요일은 2차 북미정상회담 뉴스 특보를 전해드립니다.

Therefore, YTN Radio will provide special coverage of the second North Korea-U.S. summit news on Wednesday, the 27th, and Thursday, the 28th.

그리고 또 한 가지 저 말씀드릴 게 있는데요.

And also, there's one more thing I'd like to tell you.

3월 4일 월요일 YTN 라디오 봄 개편이 있습니다.

On Monday, March 4th, there will be a spring reorganization of YTN Radio.

이에 따라서 2008년 YTN 라디오 개국 때 수도권 페트롤이라는 프로그램을 시작으로 이름을 바꿔서 지난 11년 동안 여러분을 찾아뵙던 수도권투데이가 오늘로 막을 내렸습니다.

Accordingly, today's broadcast of Metro Today, which has been serving you for the past 11 years under various names starting with the launch of YTN Radio in 2008 with the program "Metropolitan Patrol," has come to an end.

그리고 수도권투데이가 막을 내림과 동시에 2016년부터 이 프로그램 진행을 맡았던 저도 작별 인사를 올리겠습니다.

And as the Metropolitan Today comes to an end, I will also say my farewell, having hosted this program since 2016.

다음 주 월요일 3월 4일부터는 아침 9시 10분에 수도권투데이가 아닌 새로운 프로그램과 새로운 진행자가 여러분을 찾아오겠습니다.

Starting next Monday, March 4th, a new program and a new host will be coming to you at 9:10 AM instead of the Metropolitan Today.

그동안 YTN 라디오 수도권투데이를 애청해주신 여러분 진심으로 고맙습니다.

Thank you sincerely to everyone who has listened to YTN Radio's Metropolitan Today.

끝으로 저의 마음을 담아서 김동률의 감사 띄워드리면서 인사드리겠습니다.

Finally, I would like to express my gratitude while playing Kim Dong-ryul's "Thank You."

YTN 라디오 수도권투데이 2019년 2월 26일 화요일 순서 마칩니다.

This concludes the YTN Radio Metropolitan Today program on Tuesday, February 26, 2019.

아나운서 장원석이었습니다. 고맙습니다.

This was announcer Jang Won-seok. Thank you.

Continue listening and achieve fluency faster with podcasts and the latest language learning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