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거야!ONE] 10/7(토)풀버전

YTN,와이티엔FM94.5

남북이음 프로젝트 이거야!원(ONE)

[이거야!ONE] 10/7(토)풀버전

남북이음 프로젝트 이거야!원(ONE)

YTN 라디오 남부기음 프로젝트

YTN Radio Southern Sound Project

이거야 원

This is it, won.

남북을 이어주는 사람 사는 이야기

A story of life that connects North and South.

평화통일 스토리

The story of peaceful unification.

김우성

Kim Woo-sung

1950년 정전협정을 알리는 라디오 방송과

Radio broadcasts announcing the armistice agreement of 1950.

당시 정전협정 직후 송환된

Immediately after the ceasefire agreement, those who were repatriated.

국군포로 목소리였습니다.

It was the voice of a Korean War POW.

무척 길 것 같았던 이거야 원 방송도

It seemed like it would be very long, this was the original broadcast.

15회로 오늘 마지막 방송이네요.

Today is the last broadcast of the 15th episode.

어쩌면 정전협정에 가까워질 때

Perhaps when we get closer to the armistice agreement.

포탄이 유독 더 많이 쏟아지던 참호에서

In the trench where shells were pouring down particularly heavily.

또 옆자리 전우가 죽고

Another comrade in the adjacent seat has died.

고향집 가족들이 그리운 그 많은 순간들에서

In the many moments when I miss my family at home.

그 당시 군인들

The soldiers at that time.

이런 라디오 방송을 얼마나 갈망했을까요?

How much have I longed for a radio broadcast like this?

이거야 원 방송이

This is the original broadcast.

70년이 넘는 긴 전쟁의

The long war of over 70 years.

중단을

Stop it.

알리는 그런 라디오 방송이면 좋겠다

I hope it's a radio broadcast like that.

그런 꿈도 꿔봅니다.

I also dream of such things.

YTN 라디오가 남북이 함께 들을 수 있는

YTN Radio is something that both North and South can listen to together.

뉴스를 함께 듣는 시범 방송이면 좋겠다는

I hope it will be a pilot broadcast where we can listen to the news together.

제 개인적 꿈도 정말 있었거든요.

I actually had my own personal dream.

언젠간 이루어지겠죠.

It will come true someday.

오늘이 마지막 방송이 아니라

Today is not the last broadcast.

잠시 멈춘 평화통일 이야기의

A brief pause in the story of peace and unification.

시작점이면 좋겠습니다.

I hope this is the starting point.

이야기로 먼저 만나는 평화통일

Peaceful reunification through dialogue first.

언젠가 남과 북이 함께 들을 라디오

A radio that the South and North will listen to together someday.

여기는 서울 FM 94.5MHz

This is Seoul FM 94.5MHz.

YTN 라디오입니다.

This is YTN Radio.

자막제공 배달의민족

Subtitles provided by Baedal Minjok

네. 아쉽습니다.

Yes. It's a shame.

오늘이요? 마지막 시간이에요.

Today? It's the last time.

그러네요.

That's true.

왜 이렇게 시간이

Why is time like this?

정말 쏜살같이 흘러가네요.

Time really flies by.

우리가 이 코너가요. 겨레말뉴스가 짧아요.

This is our corner. The News of the Korean Language is short.

프로그램 시작하면서 바로 시작하긴 하는데

It starts right away when the program begins.

짧아서 더 아쉽다라는 생각도 들고요.

I also feel that it's disappointing because it's so short.

지금 15화 동안

For the past 15 episodes.

사실 방송인으로서

In fact, as a broadcaster

남과 북의 언어 얘기를

A discussion about the languages of the North and South.

다 하셨잖아요. 소감이 어떠세요?

You've done it all. How do you feel?

저는

I am

이 프로그램을 준비하면서

While preparing this program

사실은 다 까먹었던

The truth is that I forgot everything.

잊어버렸던

Forgotten.

북한말을 다시 공부하는 계기가 됐습니다.

It became an opportunity to study North Korean language again.

그래서 사실은 저희 방송 분위기가

So the truth is, the atmosphere of our broadcast is...

나가진 않았지만

I didn't go out, but...

엄청 화기애애하게 재밌게 했잖아요.

We had a really fun and lively time, right?

그런데 사실은 걱정은 있었어요.

But to be honest, I was worried.

나중에 통일되면

When unification happens later.

이렇게 다른 말을 남과 북의

In this way, different words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사람들이 어떻게 소통을 할까

How do people communicate?

그런 걱정은 사실은 됐었거든요.

That kind of worry actually did exist.

걱정 안 하셔도 됩니다.

You don't need to worry.

겨레말뉴스의 터줏대감

The cornerstone of the Gyeoremal News.

주영 씨가 이미 많은 얘기를 해주셔서

Juyoung has already shared a lot of stories.

그거 아마 찾아 듣고

I probably listened to it after searching for it.

이해하시고 장벽 뛰어넘을 거예요.

You will understand and overcome the barriers.

그랬으면 좋겠습니다.

I hope so.

그런데 제가 걱정했던 부분이 한 가지가

However, there is one thing that I was worried about.

평안도 말투는

The dialect of Pyongan Province is...

오히려 이제는 익숙해졌잖아요.

Rather, I've gotten used to it now.

한국에서도. 그런데 함경도

In Korea too. But in Hamgyeongdo.

북쪽에서 내려오신 분들이 언어 때문에

People coming from the north have difficulty due to the language.

많은 이질감을 가지고 있고

Having a lot of alienation.

정착이 힘들어하시는 분들이

Those who are having difficulty settling down.

많으세요. 그런데

There are many. But...

이것을 우리 민족

This is our nation.

예전부터 있던 아까 제가

I had it from before.

동북방원 함경도 방원 말씀드렸잖아요.

I mentioned the Northeast Direction and Hamgyeong-do.

우리 민족의 고유한 언어입니다.

It is the unique language of our民族.

그럼요.

Of course.

그래서 사투리라고 생각하기 전에

So before thinking of it as a dialect,

우리가 가지고 있던 우리의 문화였어요.

It was our culture that we had.

그렇게 생각해 주시길 부탁드리겠습니다.

I would appreciate it if you could think of it that way.

이 한반도 안에서도

Even within this Korean Peninsula.

정말 다양한 문화, 다양한 언어가

Really diverse cultures and diverse languages.

존재한다는 건 우리 자산입니다.

Being exists is our asset.

하나밖에 없는 게 아니라 다섯 개, 여섯 개나

It's not just one; there are five or six.

있으니까요.

Because it exists.

이렇게 언어도 얘기하고 많은 얘기도

Language is talking like this and sharing many stories.

하고 있는데 나중에 그렇게 오신 분들한테

I am doing it, but later for those who come like that.

언어 교육,

Language education,

언어로

In language.

잘 적응하거나 혹은 통일 이유를

To adapt well or the reasons for unification.

대비하는 것들, 그런 사업들도

Things to prepare for, those kinds of businesses too.

주영 씨가 저는 하실 거라고 믿습니다.

I believe that Juyoung will do it.

저도 도와드리겠습니다.

I will help you too.

감사합니다.

Thank you.

15번 우리 겨레말리주사 하면서

While doing our Korean language study.

제일 기억에 남는 말이나

The most memorable words or

혹은 주제 기억나세요?

Do you remember the topic?

있습니다.

There is.

뭔가요?

What is it?

방송 초기에 겁도 없이

Fearlessly at the beginning of the broadcast.

북한의 욕을 시리즈로 했는데

I did a series on North Korea's insults.

너무 재밌었어요.

It was so much fun.

생각보다 삐- 처리가 잘 안 되었더라고요.

It turned out that the beep sound didn't go as well as I thought.

너무 삐하면 안 들리잖아요.

If you get too angry, you won't be able to hear anything.

댓글에 욕이 달린 걸 보고

Seeing the curse words in the comments

제가 가슴이 너무 아팠거든요.

I was really heartbroken.

괜찮습니다.

It's okay.

성경에 비판받지 않으려면

To avoid criticism from the Bible.

남을 비판하지 말라고 했잖아요.

I told you not to criticize others.

이 시간을 빌어서 굳이 한마디 드리려면

If I were to take a moment to say something,

네.

Yes.

욕먹고 싶어요.

I want to be scolded.

욕먹지 않으려면 욕하지 맙시다.

If you don't want to be criticized, let's not criticize others.

네. 맞습니다.

Yes. That's right.

욕은 여러분 사용하지 않길 바랍니다.

I hope you do not use profanity.

그런데 남이 욕하면 내가 욕인지 아닌지는 알아야 되잖아요.

However, if someone criticizes me, I need to know whether it's true or not.

굉장히 좋은 정보를 주셨기 때문에 감사합니다.

Thank you for providing such great information.

이 프로그램에서 우리가

In this program, we...

남북의 언어 차이에 대해서

About the language differenc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이야기를 많이 했습니다.

We talked a lot.

그렇죠.

That's right.

그래서 사실은 남북이 서로의 체제 때문에

So the truth is that the North and South are influenced by each other's systems.

인위적으로 서로 다른 언어 제도를 만들어 온 거잖아요.

We've artificially created different language systems for each other.

그렇죠.

That's right.

우리가 그 피해자가 되면 안 되잖아요.

We shouldn't become the victims.

그래서 그 장벽은 빨리 무너뜨렸으면 좋겠고요.

So I hope that barrier is broken down quickly.

그리고 언어의 차이보다

And rather than the difference in language

사실은 아까 마음 이야기를 하셨는데요.

The truth is, you mentioned earlier about the story of the heart.

서로를 알고 싶은 우리 마음만 있다면

If we have the desire to know each other.

언어의 장벽 같은 건

There’s no such thing as a language barrier.

얼마든지 무너지리라고 생각합니다.

I think it will collapse at any moment.

감동적이네요.

That's touching.

결의 말 아나운서 아니고요.

I'm not a resolution announcer.

결의 맘 아나운서 주영 씨의 멋진 말이었습니다.

It was a wonderful statement by announcer Juyoung from Gyeonggi Province.

청취자분들한테 그래도

To the listeners, after all...

방송인 주영의 하고 싶은 말

What broadcaster Juyoung wants to say.

기회 시간 드리겠습니다.

I will give you some time to think.

와우 감동입니다.

Wow, that's touching.

여러분 탈북민은

Everyone, North Korean defectors are

통일의 선발대입니다.

We are the advance party for reunification.

이건 사실입니다.

This is true.

앞으로 100년 뒤에 우리 민족사에

In the history of our nation 100 years from now.

그렇게 기록이 될 거예요.

It will be recorded like that.

그래서 혹시 가까이에 탈북민이 있다면

So if there happens to be a North Korean defector nearby,

따뜻히 환대해 주십시오.

Please welcome me warmly.

앞으로 통일된 북한 땅에서

In the future, on the unified land of North Korea.

그 환대를 돌려받으실 겁니다.

You will receive that hospitality in return.

김호성 앵커님은 물론입니다.

Of course, Anchor Kim Ho-sung.

통일 선발대이시고요.

You are the advance team for unification.

앞으로 다가올 수 있는

That can come in the future.

남과 북의 평화로운 시간을

A peaceful time between the North and South.

직접 삶으로 다리를 이어놓는 분들

Those who connect bridges directly with their lives.

많이 만나봤죠.

I've met a lot of people.

이 프로그램에서 그 가운데 가장 앞서서

Leading the way in this program.

만나본 주영 씨였습니다.

It was Ji-young, whom I met.

헤어짐이 너무 아쉬운데요.

I'm really going to miss our time together.

사실 헤어짐이 있어야

In fact, there must be a breakup.

남과 북의 평화로운 시간을

Peaceful times between the South and North.

만남이 있거든요.

There is a meeting.

만의 한용훈 씨에도 나오지만

It also appears in the writings of Han Yong-hoon.

헤어질 때는 인삿말 있을까요?

Is there a greeting when we part ways?

인삿말은 많고요.

There are many greetings.

한국 노래 중에

Among Korean songs

이제는 우리가 헤어져야 할 시간

Now it's time for us to part ways.

노래가 있더라고요.

There is a song.

이제는 우리가 헤어져야 할 시간

Now is the time for us to part ways.

북한에는 안녕히 다시 만나요

Goodbye, see you again in North Korea.

라는 노래가 있어요.

There is a song called.

안녕히 다시 만나요

Goodbye, see you again.

너무 좋은 노래죠.

It's such a good song.

그동안 응원해 주신 한국의 청취자들에게

To the listeners in Korea who have supported us all this time.

깊이 감사드리고요.

Thank you very much.

북한의 언어가 생소하셨고

You may have found the language of North Korea unfamiliar.

하셨더라도 이 방송을 들어주시고

Even if you did, please listen to this broadcast.

응원해 주셨던 그 마음으로

With that heart that supported me.

북한의 동포들이 언젠가는

North Korean compatriots will someday.

자유롭게 살 그날을

The day to live freely.

응원해 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I would be very grateful if you could support me.

모두가 같은 마음으로

With a shared heart.

이런 방송들을 더 즐길 수 있을 것 같고요.

I think I'll be able to enjoy these kinds of broadcasts even more.

또 언젠가 통일된

Once again, united someday.

이후의 방송에서도

In future broadcasts as well

활약하시리라 믿습니다.

I believe you will be active.

그러면 이렇게 인사해야 되겠네요.

Then I guess I should greet like this.

안녕히 다시 만나요.

Goodbye, see you again.

YTN 라디오 남북이음 프로젝트

YTN Radio North-South Connection Project

이거야 원

This is it, Won.

우리에게

To us

남과 북을 이어주는

Connecting the South and the North.

열리지

It opens.

이 세월과

This time and

수국의

Of the hydrangea

칼럼

Column

국민 가수 조용필 씨가 오늘 저녁 평양에서

National singer Cho Yong-pil will be in Pyongyang this evening.

역사적인 첫 단독 콘서트를 가졌습니다.

I held my historic first solo concert.

Traddie Kim 예전부터 꼭 한번 와보고 싶었던

Traddie Kim, I have always wanted to visit at least once.

평양이었습니다.

It was Pyongyang.

오늘 그 바램이

Today that wish

드디어

Finally

이루어졌습니다.

It has been achieved.

조영필 연구원

Researcher Jo Young-pil

유진 и지원 이런 공연을 자주 함으로써

Yujin and Jiwon often perform like this.

유진이의 스튜디오 슬프다.

Yujin's studio is sad.

이해하고 또 문화를 이해하고.

Understand and also understand the culture.

이기주 정 troll come back to me.

Lee Gi-joo, come back to me, you troll.

서로 교류하면서 더 가까워졌으면 하는 그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I thought it would be nice if we could get closer by interacting with each other.

많은 분들이 좋아하는 정말 가왕이죠.

It's truly a great king that many people love.

조용필의 목소리였습니다.

It was the voice of Jo Yong-pil.

열리지가 이 코너 이름인데요.

The name of this corner is Yeollijiga.

다른 땅에 뿌리내린 나무에 가지가 이어져서 하나의 나무가 되는 걸 말합니다.

It refers to a tree that has taken root in a different land and grows branches that connect to become one tree.

그간 남과 북에서 자신의 삶을 무수하게 뻗은 가지로 만들어서 남과 북을 하나의 나무로 꿈꿨던 분들 많은데요.

There have been many people who have dreamed of uniting the South and North as one tree, having extended their lives through countless branches in both regions.

오늘 열리지 대망의 마지막 시간입니다.

Today marks the long-awaited final moment.

마지막 코너, 방송과 문화 교류 얘기를 해볼 텐데요.

In the last segment, we will talk about broadcasting and cultural exchange.

오늘 함께해 주실 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I would like to introduce the person who will be with us today.

아마 대한민국 방송 관계자 중에 이분만큼 북한을 많이 다녀온 분이 있을까 싶습니다.

I wonder if there is anyone among the South Korean broadcasting officials who has visited North Korea as much as this person has.

대한민국 최초로 평양 김일성 광장에서 생방송 뉴스를,

The first live news broadcast from Kim Il-sung Square in Pyongyang, South Korea,

또 평양에서 최초의 조용필 단독 공연을 기획한

Also planned the first solo concert of Cho Yong-pil in Pyongyang.

명실상부인 조용필입니다.

This is the true and undeniable Jo Yong-pil.

대한민국 최고의 북한 전문 PD입니다.

I am Korea's top North Korean expert PD.

한국 PD연합회장을 지낸 오기현 PD 스튜디오에 나와 계십니다.

Former president of the Korean PD Association, Oh Gi-hyeon, is here in the studio.

어서 오십시오.

Welcome.

안녕하십니까.

Hello.

시사교영 PD를 하다가 북한 문제를 주로 다뤘고요.

I worked as a producer for a current affairs program, mainly covering North Korean issues.

하다가 지금은 지방에 내려가서 문화단체에서 대표로 일을 하고 있습니다.

I used to do that, but now I'm down in the provinces working as a representative for a cultural organization.

어쨌든 문화 콘텐츠 분야로 계속 활발하게 활동하시는데

Anyway, you are still actively working in the cultural content field.

제가 앞에 소개한 이게 사실 맞는 건지,

Is what I introduced earlier actually true?

팩트체크가 필요합니다.

Fact-checking is necessary.

대한민국에서 나만큼 북한을 많이 다녀온 PD는 없다, 맞나요?

In South Korea, there is no PD who has visited North Korea as much as I have, right?

아마 많이 다녀온 축에 속할 겁니다.

I guess I belong to the group that has traveled a lot.

네.

Yes.

제가 이제 북한을 1998년에 처음 갔거든요.

I first went to North Korea in 1998.

거의 초창기 때네요.

It's almost from the early days.

네, 그때는 지금도 정확히 이유를 모르는데

Yes, at that time, I still don't know the exact reason.

방송 PD라고 하지 않고 신분을 감추고 갔습니다.

I went without revealing my identity, pretending not to be a broadcast PD.

가보니까 그 사람들은 다 알고 있었는데 어쨌든 감추고 갔고,

When I went there, those people all knew, but anyway, they hid it and left.

조경철 박사님이라고 계셨습니다.

There was Dr. Cho Kyung-cheol.

실학민이시잖아요.

You're a practical scholar, right?

네, 아폴로 박사.

Yes, Dr. Apollo.

조 박사님을 모시고 동생을 만나는 이산가족 상봉,

Meeting my younger sibling with Dr. Cho, a separated family reunion.

인간 차원에서 최초로 한 거죠.

It was done for the first time on a human level.

그 다큐멘터리를 제작을 했고요.

I produced that documentary.

아까 말씀하신 2000년도에 이제 김일성 광장에서

Earlier, you mentioned in the year 2000 at Kim Il-sung Square.

그 평양 뉴스 2000이라고 그걸 기획을 했었습니다.

I had planned that Pyongyang News 2000.

제작에 참여를 했고, 2003년이죠.

I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it was in 2003.

네.

Yes.

2003년에 정주영 유경 체육관 대관 기념 공연 기획에 참여를 했고,

In 2003, I participated in the planning of the commemorative performance for the rental of the Chung Ju-young Yu-gyeong Gymnasium.

또 2005년도 조영필 공연 기획을 했었습니다.

I also planned a Jo Yong-pil concert in 2005.

네, 이 정도면 뭐 굳이 카운트하지 않아도요.

Yes, at this point, there's no need to count it.

가장 또 굵직하고 중요한 남북 간의 방송 관련된 일들을 해 오셨다.

You have carried out the most significant and important broadcasting-related task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이렇게 볼 수 있을 것 같고,

I think we can look at it this way,

저도 그 조경철 박사님 다큐멘터리 봤었거든요.

I also watched the documentary about Dr. Jo Kyung-cheol.

PD가 되기 전에 어릴 때였는데 보고 그분 막 우시잖아요.

Before I became a PD, when I was younger, I saw that person crying.

고향 방문해서 그런 장면들도 생생하게 기억이 납니다.

Visiting my hometown brings back vivid memories of such scenes.

그러면 사실 시사 교양을 하셨고,

Then, in fact, you have done current affairs and cultural programs.

많은 분들이 아시겠지만 S본부에서 PD를 계속 하셨는데

As many of you may know, he continued to work as a PD at S Broadcasting Station.

북한 문제를 내가 좀 특별히 다뤄야겠다.

I should deal with the North Korea issue somewhat specially.

이렇게 방향을 잡은 계기가 있으신 건가요?

Is there a reason that you decided to take this direction?

70년대, 80년대 뭐 그때 구호가 자주민주통일 뭐 이런 구호들이 많았고,

In the 70s and 80s, there were many slogans like "self-determined democratic unification."

민족에 대한 관심이 높았고, 하다 보니까 뭐 그게 체화된 거고요.

I had a strong interest in the nation, and as I continued to engage with it, it became ingrained in me.

그 이후에도 이제 방송을 해보고,

After that, I've started doing broadcasts.

보니까 방송만큼 남북관계를 진전시키는데,

It seems that, as much as the broadcasts, advancing inter-Korean relations is also important.

관계 개선하는데 효율적인 매체가 없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I thought that there are no effective mediums for improving relationships.

그래서 어떻게든 그 방송 PD들,

So somehow those broadcast PDs,

또 방송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이 민족 문제에 관심을 계속 가져야 된다.

Those who are involved in broadcasting must continue to take an interest in this ethnic issue.

뭐 이런 뜻으로 진행을 했죠.

We proceeded with this meaning in mind.

조인필 공연을 하러 갔을 때인데,

It was when I went to perform at the Jo In-pil concert.

저희가 무대 관객들 반응이 굉장히 궁금했습니다.

We were very curious about the audience's reaction to the stage.

사실은 뭐 북한에서는 남한의,

The truth is that in North Korea, South Korea's

그 공연에 대해서 반응하는 것조차도 사전에 약속된 반응일 가능성이 크고,

The reaction to that performance is likely to be a prearranged response.

그래서 저희가 카메라를 일곱 대를 이제 관객들 쪽에 이렇게 설치를 했습니다.

So we have now set up seven cameras facing the audience.

리액션을 잡기위한 것들을 네.

It's for catching reactions.

근데 맨 처음에는 뭐 크게 그 반응을 보이지 않다가,

But at first, they didn't show much of a reaction.

어느 정도 이렇게 진행이 되다 보니까,

As things have progressed to some extent,

뭐 바로 움직인다든지 장단을 맞춘다든지 노래를 따라 하는 사람들이 있었거든요.

There were people who moved right away, matched the rhythm, or followed along with the song.

네.

Yes.

이 조용필,

This Jo Yong-pil,

이 조용필 공연을 사실 성공한 게 굉장히 뭐랄까요.

It's really something to say that this Jo Yong-pil concert was a success.

왜 조용필인가라는 의문도 있지만,

There is a question of why it's Cho Yong-pil, but,

책도 내셨잖아요.

You published a book, didn't you?

그해 여름 그들은 왜 조용필을 불렀나.

That summer, why did they call Jo Yong-pil?

오기현 PD가 직접 만드신 책인데,

It's a book that PD Ok Ki-hyun made himself, but,

지금 분위기에서는 상상도 못할 일이거든요.

In this atmosphere, it's something I can't even imagine.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What do you think?

6.15 선언이 있었고,

There was the June 15th Declaration, and

그 전후로 방송사들이 이제 경쟁적으로 북한하고 접촉을 했습니다.

Around that time, broadcasting companies began to competitively engage with North Korea.

어떤 정해진 통로가 사실 없었죠.

There was actually no set path.

그러니까 대개 PD들이나 기자들의 발품으로,

So usually it's through the efforts of PDs or reporters,

사실 합북과 불법의 중간입니다.

In fact, it is between a merger and illegality.

애매한 규정이 없었기 때문에 그렇게 시도를 했습니다, 했고.

There were no ambiguous regulations, so we attempted it like that.

북한에서 먼저 제안이 왔어요.

The proposal came from North Korea first.

조용필을 불러달라.

Call Jo Yong-pil.

조용필 선생님을 불러주시오, 표현을 하더라면.

Please call Teacher Jo Yong-pil, if you can express it.

왜 조용필일까요?

Why is it Jo Yong-pil?

그래서 제가 처음에 왜 조용필일까 했는데,

So I wondered why it would be Cho Yong-pil at first, but...

이제 그 정도 제안을 했다, 공식적으로 했다는 것은,

Now that we've made that level of proposal, the fact that it was made officially means that...

최고 지도자의 승인이나 요구가 없으면 불가능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I thought it would be impossible without the approval or demand of the supreme leader.

그러면서 하는 이야기가 조용필, 나훈아, 조수미, 심수봉, 김현자,

The conversation then mentioned Cho Yong-pil, Na Hoon-a, Jo Soo-mi, Shim Soo-bong, and Kim Hyun-ja.

이렇게 다섯 사람을 꼽았습니다.

I have picked these five people.

이 사람들을 순서대로 불러주십시오.

Please call these people in order.

처음에 그렇게 이야기했거든요.

I said that at first.

대개 북한하고 일을 할 때는 속전속결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Usually, when dealing with North Korea, it is better to act swiftly and decisively.

왜냐하면 중간에 어떤 대외적인 변수가 생길지 모르기 때문에,

Because we don't know what external variables might arise in the middle,

그래서 이제 조용필 씨를 찾아갔죠.

So now I went to meet Mr. Jo Yong-pil.

찾아갔는데, 조용필 씨가 이런지에 거절을 처음에 했습니다.

I went to see him, but Mr. Cho Yong-pil initially refused.

그래서 조용필 씨를 찾아갔죠. 찾아갔는데, 조용필 씨가 이런지에 거절을 했습니다.

So I went to see Cho Yong-pil. When I went, he refused this.

조용필 선생을 불러달라는 것은 북한에 팬이 있다는 거다.

Asking to call Teacher Jo Yong-pil means that there are fans in North Korea.

팬이 있는데 가서는 가야 되는 거 아니냐고 설득을 해서 하니까,

If there's a fan, shouldn't we go and persuade them to do it?

한 일주일 정도 지나고 나서 좋습니다. 한번 가봅시다.

It's good after about a week. Let's go once.

이렇게 됐습니다.

This is what happened.

돼서 북한에 통보를 했죠. 진행합시다.

We informed North Korea and proceeded. Let's move forward.

어려울 때 가서 이 어려움을 타개하는 것이 조용필 선생의 의무입니다.

It is Master Jo Yong-pil's duty to go and overcome this difficulty in times of hardship.

개척하라? 이런 이야기를 했습니다.

"Establish? This is what was said."

하니까 좋습니다. 갑시다.

It's nice when we do that. Let's go.

지방공연도 하겠습니다.

I will also hold local performances.

네.

Yes.

이렇게 입장이 바뀌었습니다.

The situation has changed like this.

지금 오기현 PD님 이야기를 혹시 방송 관계자분이 들으신다면요.

If the broadcasting staff hears about PD Oh Gi-hyun right now.

섭외 A, B, C 이렇게 섭외했다라는 섭외 기술을 갖고

I have the skill to recruit A, B, and C like this.

정말 그러니까 하나도 쉬운 일이 없었네요.

So it really hasn't been easy at all.

우리가 여건이 되면 북한에서 반응이 없고

If conditions allow, there will be no response from North Korea.

북한에서 적극적일 때 우리 쪽에 또 사정이 생기고

When North Korea is active, something happens on our side as well.

하려고 하는데 또 북한에서 연락이 끊겼습니다.

I was trying to do it, but I've lost contact with North Korea again.

그래서 일곱 번 미뤄졌다가 여덟 번째.

So it was postponed seven times and then on the eighth.

네.

Yes.

1년 1개월 뒤에 2005년 8월에 공연을 하게 됐습니다.

After 1 year and 1 month, I will be performing in August 2005.

예.

Yes.

이거 이 자체가 드라마 같습니다.

This itself seems like a drama.

또 뉴스를 평화에서 진행한다는 것도 언뜻 보면은 뭐랄까요.

It seems, at first glance, that holding the news in peace is somewhat... how should I put it.

지금 오히려 더 좀 금깃이 되는 건 아닌가 이런 생각하시는 분도 있는데

Some people might think that it's actually becoming more severe right now.

저도 그 뉴스도 봤거든요.

I saw that news too.

그게 지난 일이어서 이제 조금 편하게 말씀을 드린다면 사실은 방송하는 사람들 우리 PD님 마찬가지인데.

Since that was in the past, if I speak a bit more comfortably now, it's actually the same for those of us who are in broadcasting, including our PD.

네.

Yes.

일종의 방송하는 사람들의 로망 꿈 같은 게 있지 않습니까.

Isn't there a kind of romantic dream that people who broadcast have?

나는 방송을 반드시 이건 해봐야 되겠다.

I definitely have to try this broadcasting.

네.

Yes.

했던 것 중에 저도 평양에서 생방송 뉴스를 한번 해보면 어떨까 하는 꿈을 가졌었습니다.

I had a dream of doing a live news broadcast from Pyongyang among other things I wanted to try.

저는 뭐 기자는 아니지만은.

I'm not really a journalist, though.

저도 클로징 할 때마다 남북이 함께 들을 라디오 라디오 방송 한번 만들어 보는 게 저도 꿈입니다.

I also dream of creating a radio broadcast that both North and South can listen to every time I close.

네.

Yes.

또 예상 외로 일이 쉽게 풀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Sometimes things unexpectedly work out easily.

네.

Yes.

의사결정권자가 주로 북한에는.

The decision-maker is mainly in North Korea.

아.

Ah.

한 사람이 있기 때문에 그런 것 같습니다.

It seems to be because of one person.

그래서 말도 안 되는 소리를 하지 마라 그러다가 갑자기 해도 된다 그래요.

So don't say anything absurd; suddenly you'll say it's okay.

그래서 급하게 저희가 무대 셋들을 여기서 만들어서.

So we quickly made the stage sets here.

네.

Yes.

이제 남녀 앵커가 같이 가기로 합의를 했었죠.

Now the male and female anchors have agreed to go together.

했었는데 김일성 광장에서.

I did it at Kim Il-sung Square.

네.

Yes.

이제 네이버에 또 반발도 있고.

Now there is also resistance against Naver.

그래서 이제 남녀 앵커가 가지 못하고 통일전문 기자가 갔습니다.

So now, instead of male and female anchors, a reporter specialized in unification has gone.

광화문 광장을 생각하고.

Thinking of Gwanghwamun Square.

네.

Yes.

뒤에 북한 사람들이 평양 시민들이 다니고 차도 보이고 이런 걸 예상을 했는데 막상 가서 셋들 딱 설치를 하니까 개미 한 마리도 보이지.

I expected to see North Korean people, citizens of Pyongyang walking around, and cars on the road, but when I actually went there and set up the equipment, I didn't see a single ant.

정막한 거죠.

It's silent.

통행을 통제를 해버리니까.

Because they control the passage.

네.

Yes.

그 넓은 광장 한 2만 한 5천평 정도 되는데 아무도 없었습니다.

That wide plaza is about 20,000 to 25,000 pyeong, but there was no one there.

그래서 이제 북평양이라는 어떤 이미지는 보여야 되지 않습니까.

So now, shouldn't there be some image of North Pyongyang?

그렇죠.

That's right.

그래서 그 뒤에 있는 인민대학 석교당.

So the People's University Seogyo Hall behind that.

네.

Yes.

조명을 좀 이렇게 밝게 해달라.

Please make the lighting a bit brighter.

건물 쪽으로 좀 착 배경을 보이게.

Show a nice background towards the building.

네.

Yes.

해달라.

Please do it.

그래서 이제 앵커 어깨 딱 보이게 해달라 했는데 뭐 그건 해 줘야겠다고 했습니다.

So now I asked them to make the anchor's shoulders visible, and they said they would do that.

그런데 한 7시 반이 됐는데 불이 안 와요.

But it's about 7:30 and the lights are not coming on.

오.

Oh.

그래서 거기에 있는 책임자한테 항의를 했습니다.

So I complained to the person in charge there.

빨리 불 켜주십시오.

Please turn on the light quickly.

하니까 이분이 자기 보좌관을 데리고 그 광장을 2만 5천평 되는 광장을 뛰어서 갔습니다.

So this person took their aide and ran across the 25,000 pyeong square.

그 당시만 하더라도 20년 전이니까.

It was just 20 years ago back then.

그렇죠.

That's right.

이제 북평양에는 핸드폰도 없었고.

Now there were no cell phones in North Pyongan.

그렇죠.

That's right.

8시가 딱 됐는데 건물에 반만 불이 딱 들어왔습니다.

It was exactly 8 o'clock, but only half of the building's lights turned on.

네.

Yes.

나중에 와서 왜 반만 들어옵니까 하니까 관리자가 두 사람인데 한 사람 퇴근을 해버렸다는 거예요.

When I asked later why only half of them came in, the manager said that there are two people, but one of them had already gone home.

그래서 그 사람을 데리러 보냈습니다.

So I sent someone to pick him up.

그래서 뉴스 끝날 쯤에 불이 왔었습니다.

So there was a fire towards the end of the news.

정말 이렇게 지금 들어보면 우와 이러지만 당시는 얼마나 정말 입이 바짝바짝 말랐을까 싶습니다.

When I hear it like this now, it's amazing, but I can only imagine how dry my mouth must have been back then.

정말 앞서 가장 먼저.

Really first and foremost.

선고자처럼 이 길을 닦아 놓으셨지만 아직도 정말 많은 것들을 해결해야 되고 넘어서야 된다는 생각이 듭니다.

Although you have paved this path like a pronouncer, I still feel that there are many things left to solve and overcome.

실제로 북한의 경제 특히 가정경제의 90%는 시장에 의존한다고 하거든요.

In fact, 90% of North Korea's economy, especially household economy, relies on the market.

실제로 시장에서 수입을 획득을 하고 또 물품이나 생활필수품을 조단을 다 합니다.

In reality, income is generated in the market and items or necessities are handled in large quantities.

그러니까 이제 북한에서 80년대 이후에 태어난 세대는 사실은 국가의 계획경제.

So, the generation born in North Korea after the 1980s has actually been raised in a planned economy by the state.

국가의 계획경제.

Planned economy of the state.

국가의 계획경제 체제에서 생활방식을 배운 것이 아니고 시장에서 배운 겁니다.

I didn't learn my lifestyle from the planned economy system of the state, but from the market.

그래서 그걸 장마당 세대라고 하죠.

That's why it's called the market generation.

배급받아서 그냥 걱정 없이 병원비도 낼 필요 없이 사는 게 아니라

It's not about living without worries just because you receive aid and don't have to pay hospital bills.

어쨌든 내 능력권 어느 정도는 경제력이 있어야 살 수 있는.

In any case, to a certain extent, you need financial capability to live within my ability.

발품을 팔아야 살 수가 있는 거죠.

You have to put in the effort to buy it.

북한에서 그런 이야기를 합니다.

They talk about such things in North Korea.

국가만 믿다가 믿던 사람은 다 굶어 죽는다.

If you only rely on the state, those you believed in will all starve to death.

이런 이야기를 했습니다.

I talked about such things.

이게 사실은 저희가 지난주 방송에서 설송화 소설가가

Actually, last week on the broadcast, author Seol Song-hwa...

돈주가 어떻게 좋은 출신 성분을 사게 되는지에 대한 소설 얘기를 해드렸죠.

I told you about a story that discusses how a rich person can buy a good background.

돈주라고 합니다.

They are asking for money.

장마당에서 어떻게 보면 영향력을 갖는 사람들이잖아요.

They are the people who have influence in the market.

그런 사람들에 대한 부각.

Highlighting such people.

방금 말씀하신 장마당 세대에 대한 이해가 돼야

There needs to be an understanding of the generation in the jangmadang you just mentioned.

방송이든 교류든 문화 스토리든 뭐든 북한과 얘기를 할 수 있겠다.

Whether it's broadcasting, exchange, or cultural stories, we can talk to North Korea about anything.

이런 생각이 드네요.

I have this thought.

맞습니다.

That's right.

PD님 최근에 그럼 북한에 언제 다녀오신 건가요?

When did you recently visit North Korea, PD?

2018년이니까 벌써 한 5년 됐죠.

It's already been about 5 years since it's 2018.

최근입니다.

Recently.

그래도.

Still.

이야기했듯이 장마당 세대는 좀 다를 거라고 봅니다.

As I mentioned, I believe the generation from the marketplace will be a bit different.

어떤 이념이나 체제보다도 개인의 이익을 쫓는 세대가

A generation that pursues individual interests above any ideology or system.

한 30대, 40대 초반 정도까지 인구가 확산이 됐기 때문에

Because the population has spread to around those in their 30s and early 40s.

그들의 눈높이, 니즈에 맞는 정책을 개발하면

If we develop policies that meet their perspectives and needs,

과거와 다르게 또 다른 반응이 나타날 거라고 저는 생각을 하고 기대를 합니다.

I think and hope that a different reaction will occur compared to the past.

그리고 그건 북한뿐만 아니고 남한도 마찬가지죠.

And that's not only the case for North Korea but also for South Korea.

이제 젊은 세대들한테 민족을 강조를 하고

Now, we emphasize the nation to the younger generation.

무조건적인 통일, 우리는 통일이라고 했을 때

Unconditional unification, when we said unification.

얼마나 호응을 할 거냐는 생각을 해보게 되거든요.

I find myself thinking about how much support there will be.

기성세대하고 다른 젊은 세대, 남한이나 북한이나

The younger generation, different from the older generation, whether in South or North Korea.

그들의 최대 공약수는 과거하고는 좀 다를 것이다

Their greatest common divisor will be somewhat different from the past.

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I come to think that way.

사실 취재 경험 중에 살짝 뒷면을,

In fact, during my reporting experience, slightly behind the scenes,

여기 보여주지 않는 면을 보신 적도 있으시잖아요.

You have seen the side that is not shown here, right?

있습니다.

There is.

평양에 가면요.

If you go to Pyongyang.

평양 인구가 한 250만 내외 되는데

The population of Pyongyang is around 2.5 million.

차를 타고 다녀보면 길거리에 사람이 별로 없습니다, 항상.

There are hardly any people on the streets when I drive around, always.

왜 이렇게 사람이 없습니까 하면

Why are there so few people here?

지금은 다 근무 시간이니까 직장에 가 있습니다.

I'm at work right now since it's working hours.

그래요.

Okay.

그런데 한 번 제가 고려호텔에서

By the way, once I was at the Goryeo Hotel.

유경정주체육관으로 공연을 하러 갔다가

Went to perform at the Yugyeong Jeongju Sports Center.

방송 시간이 다 됐는데 자료를 놔두고 온 게 있습니다.

It's time for the broadcast, but I left some materials behind.

큰일 났다. 빨리 가져와야 됩니다 하니까 차를 타십시오.

This is a big problem. You need to bring it quickly, so please get in the car.

하고 이제 북한의 안내원이 운전을 했으면 했는데

And now I wish the North Korean guide had driven.

지름길로 갔습니다.

I took a shortcut.

가보니까 소위 뒷길인데 거기에 사람들이 다 있었습니다.

When I went to see, there were all kinds of people in the so-called back alley.

다 뒤로 숨겨놨네요.

It's all hidden in the back.

네. 서울에서 사람들이 많이 가니까

Yes. A lot of people go there from Seoul.

큰길로 사람을 못 다니게 한 것 같아요.

It seems that people can't walk on the main road.

좀 통제를 했네요.

They managed to exercise some control.

그래서 그때 보니까 어떻게 보면 훨씬 인간적인 모습들을 봤죠.

So at that time, I saw a much more human side to them, in a way.

막연한 민족 하나, 역사 이런 얘기보다는요.

Rather than vague talks about a single nation or history.

정말 서로 주고받을 수 있는 무언가가 있을지를 생각하는 것.

Thinking about whether there is really something we can exchange with each other.

이것 또한 한편으로는 정말 통일을 향한 중요한 걸음 같습니다.

This also seems to be an important step towards unification in a way.

제가 북한을 가려고 하거나

I am planning to go to North Korea or

북한 관련 프로그램을 만들려고 하면

If you want to create a program related to North Korea,

늘 듣던 얘기가 있습니다.

There's a story I always hear.

왜 하필이면 이런 어려운 시기에 일을 하려고 하느냐.

Why do you want to work during such a difficult time?

왜 하필이면 그런 어려운 프로그램을 만들려고 하느냐.

Why are you trying to create such a difficult program?

라는 이야기를 했거든요.

I mentioned that.

네.

Yes.

남북관계는 좋은 시절이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rth and South is in a good period.

단 한 번도 없습니다.

There has never been a single time.

결국 좋은 시기는 저는 기다린다고 오지 않는다고 봅니다.

In the end, I believe that good timing does not come just by waiting.

결국 우리가 만들어 가야 한다.

In the end, we have to create it ourselves.

이렇게 생각을 하고요.

I think like this.

요즘은 통일이라는 이야기를 잘 하지 않죠.

These days, people don't talk much about unification.

그 이유는 저는 통일은 평화가 가져다주는 선물이다.

The reason is that I believe unification is a gift brought about by peace.

평화롭게 지내다 보면 자연스럽게 통일은 올 것이다.

If we live peacefully, unification will naturally come.

끊임없이 북한과 저는 평화를 만들기 위해서

Continuously, North Korea and I are working to create peace.

접촉하고 교류하고 노력을 해야 된다.

We need to make contact, interact, and put in effort.

생각을 합니다.

I think.

많은 분들이 같이 고개를 끄덕이실 것 같습니다.

Many people will probably nod along.

통일이라는 어려운 목표가 아니라요.

It's not the difficult goal of unification.

평화라는 중요한 목표를 향해서

Toward the important goal of peace.

기다리지 말고 먼저 나서서 만들어가는 용기도 필요하다는 얘기인 것 같습니다.

It seems to be saying that we need the courage to take the initiative and create without waiting.

지금까지 북한 전문 프로그램을 많이 제작하신 분이죠.

You are someone who has produced many programs specializing in North Korea up to now.

오기현 PD와 함께했습니다.

I was with PD Oh Gi-hyun.

감사합니다.

Thank you.

고맙습니다.

Thank you.

이거야 one.

This is it, one.

우리들의 넘버 원.

Our number one.

북한에서 왔다고 해서 우리 사회가 뭐해도 해줘야 한다고 생각하지

Just because they come from North Korea, I don't think our society should have to accommodate them in any way.

않습니다.

does not.

우린 똑같은 사람이니까요.

Because we are the same person.

다만 정착을 어려워하는 탈북자들을 상담해 주는 일은 필요합니다.

However,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unseling for North Korean defectors who have difficulty settling in.

전국을 찾아다니며 그들의 목소리에 기 기울이는 일.

Traveling across the country and listening to their voices.

그게 바로 제가 해야 하는 일입니다

That's exactly the job I have to do.

정말 우리 사회에 2023년 현재를 살아가는 넘버원들을 만나는 시간이죠

It's truly a time to meet the number ones living in our society in 2023.

저는 라디오 피디를 오래 해서 그럴까요

I wonder if it's because I've been a radio producer for a long time.

목소리에도 무게가 있고 색깔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I believe that voices have weight and color.

실제로 그렇게 느껴지는데요

I actually feel that way.

이분의 목소리의 무게와 색깔 어떻게 들리셨나요

How did you perceive the weight and tone of this person's voice?

많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는다는 것에 중점을 뒀다라는 것에서

I focused on the aspect of listening to many people's stories.

여러분들 어떤 색깔을 갖고 있다라고 느끼십니까

What color do you feel you have?

직접 이 방송이 추구하는 가치와 지향점과도 하시는 일이 비슷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What you do is closely related to the values and direction that this broadcast pursues.

이섬 기자 스튜디오에 나와 계십니다

Reporter Lee Seom is in the studio.

인사할게요 안녕하십니까

I will greet you. How do you do?

네 안녕하세요

Yes, hello.

통일부에서 제작하는 동포사랑이라는 잡지에서

In a magazine called "Dongpo Love" produced by the Ministry of Unification

취재하고 글쓰고 사진 찍고 이런 일을 하고 있고요

I am doing work such as reporting, writing, and taking photos.

여성 인권을 지원하는 사람들이라는 단체에서

In an organization that supports women's rights.

탈북민 상담 일을 겸해서 하고 있어요

I am also working as a counselor for North Korean defectors.

네 소설가 이경자의 세 번째 집이라는 작품에

In your work titled "The Third House" by the novelist Lee Kyung-ja.

거의 이름만 바꾸면 나의 이야기다라고 할 만큼 소개가 됐다고 해요

It's been introduced to the point where it could almost be said to be my story with just a change of name.

그 부분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것 같습니다

That part seems to be receiving a lot of attention as well.

남한에 오기 전까지의 이야기는 저희 부모님 이야기고

The story before coming to South Korea is about my parents.

자인이치죠

Jainichijo

제1교포였던 아버지가 북송선 북한으로 가는

My father, who was the first overseas Korean, is going to North Korea on the repatriation ship.

이런 슬픈 얘기가 사실은 소설에 녹아 있어요

Such sad stories are actually embedded in novels.

아버지의 삶을

Father's life

실제로 그런 얘기를 많이 들으신 거죠

You've actually heard that kind of talk a lot, right?

네 몰래 몰래

Sneakily, without you knowing.

어릴 때는 아버지의 말이 이해가 안 됐고

When I was young, I couldn't understand my father's words.

제가 힘들어 했어요

I was having a hard time.

왜 아버지는 이 사회를 긍정으로 말할지

Why does father speak positively about this society?

내가 배운 이 사회를

The society I have learned.

긍정하지 않고 저렇게 부정하고 힘들어 하실까

I wonder if they will deny like that and struggle without being positive.

술만 마실까 그렇게 힘들어 했었는데

I thought it would be so hard to just drink.

제가 아버지와 비슷한 고향을 떠나와서

I left a hometown similar to my father's.

이산을 또 겪게 되는 거죠

You will go through separation again.

갈 수 없는 고향을 그리워하는

Longing for a hometown I cannot return to.

그런 입장이었습니다

That was the position.

그때 아버지가 얼마나 힘들었을까

I wonder how difficult it must have been for my father back then.

그리고 아버지는 좋은 자유가 있는 곳에서

And my father is in a place where there is good freedom.

자유가 결박당한 곳으로 끌려 갔다면

If you were taken to a place where freedom is restrained.

저는 그 반대로 자유가 있는 곳으로 왔잖아요

I came to a place where there is freedom, unlike that.

그래도 이렇게 힘든데

Still, it's so difficult like this.

고향과 부모가 보고 싶어서 이렇게 힘든데

I miss my hometown and my parents, and it's so hard like this.

아버지는 얼마나 힘들었을까

How hard it must have been for my father.

마흔 넘으니까 좀 이해되더라고요

Now that I'm over forty, I understand it a bit.

그렇죠

That's right.

사실은 고향이 뭘까라는 거를

The truth is, what is my hometown?

지금 지방에서 태어나서 성장해서

I was born and raised in the countryside.

서울에 와 있는 평범한

An ordinary person in Seoul.

대한민국에서만 살아 보신 분들도 겪거든요

Even those who have only lived in South Korea experience it.

왜냐면 지방에 부모님이 다 돌아가시고 없어지면

Because if all the parents in the countryside pass away and disappear...

그냥 거기는 익숙한 뭐랄까요

It's just familiar, how should I put it.

지역일 뿐입니다

It's just a region.

기자님은 고향이 뭐라고 생각하시나요

What do you think your hometown is?

아버지의 경험 나의 경험을 떠올려 보면

Thinking of my father's experiences and my own experiences...

부모님

Parents

사람이군요

It's a person.

땅이나 어떤 특정 지역이 아니라

Not land or any specific area

사람

Person

그래서 소설 속에서는

So in the novel...

결국은 아버지의 고향이라고 간 곳은

In the end, the place I went to is my father's hometown.

일본이에요

It's Japan.

자연인체로 살았던

Lived as a natural human being.

그러면 만약에 이센 기자님의 자녀가 나중에

Then, if Mr. Lee's children later...

아주 먼 훗날에 엄마의 고향이야 라고

It's my mother's hometown in a very distant future.

찾아갔으면 하는 곳

A place I hope to visit.

마포입니까 일본입니까

Is it Mapo or Japan?

아니면은 태어나셨던 북한입니까

Or were you born in North Korea?

북한이요

North Korea.

그러니까 제가 이렇게 두 가지 일을 하고 있잖아요

So I'm doing these two things, you see.

취재를 나갈 때는

When going out for coverage,

정말 자기를 열심히 성실하게 하는 사람

A person who really works hard and sincerely.

잘 된 케이스

Well-done case.

만나요

Let's meet.

상담을 나가면 많이 힘들어하는 분들은

Those who struggle a lot when going out for counseling...

몸이 불편하신 분이

A person who is unwell.

아니면 여러 가지 심리적인 이유나

Or various psychological reasons.

트라우마를 겪으면서 정착을 어려워하시는 분들

Individuals who have difficulty settling down due to experiencing trauma.

이런 분들을 만나요

I meet people like this.

뭐 그러면 학교 폭력의 자녀가 있어서 힘들어하는 분 만나기도 하고

Well, then I meet people who are struggling because they have children affected by school violence.

성폭력 피해자도 만나고

Meeting victims of sexual violence.

상황이 여의치 않으니까 그러긴 하겠지만

I guess that’s the case since the situation isn’t favorable.

매사에 부정적인 사람들도 있어요

There are people who are negative about everything.

부정적이고 자기 틀을 부수지 못하고

Negative and unable to break out of one's own frame.

그 안에 갇혀서 있는 사람들

People who are trapped inside it.

이게 굳이 꼭 탈북민의 얘기거나

This doesn't necessarily have to be a story about North Korean defectors.

북한이라는 말을 붙여야 쓸 수 있는 말이 아니라

It's not a term that should be used with "North Korea."

지금 저희 AD나 작가나 스태프들한테도

Right now to our AD, writers, and staff as well.

잘 되는 분들 보면 매사를 긍정적으로 보더라고요

I notice that successful people tend to view everything positively.

그게 꼭 북한에서 와서 이런 건 아니거든요

It's not necessarily something that comes from North Korea.

기자라는 시각으로 넓게 보기 때문에

Because I look at things broadly from the perspective of a journalist.

오셨기 때문에 조언을 해 주거나 아니면

Since you are here, please give me advice or otherwise.

저도 나만이 와서 결국에는

I also came here alone in the end.

내가 강해야 되는구나

I need to be 강하다.

나 자신을 사랑해야 되는구나라는 거를

I need to love myself.

어떻게 배웠다고 해야 되나

How should I say I learned it?

그런 시간들이 있었어요

There were times like that.

누가 뭐래도 상대방이 나를 무시하는 언어를 했다고 해도

No matter what anyone says, even if the other person speaks to me in a dismissive manner.

내가 나를 사랑하고 내가 나 자신에게 자신감이 있으면

If I love myself and have confidence in myself

그 말을 안 받아들이면 되거든요

You just don't have to accept that statement.

그렇죠

That's right.

누가 어떤 말을 하거나

Whoever says something or

누가 어떤 말을 하든

No matter what anyone says

아니야 나는 나야

No, I am me.

나는 나를 사랑하고

I love myself.

나는 저 사람이 말하는 그런 사람이 아니야

I am not the kind of person that person is talking about.

이렇게 안 받아들이면 되는데

It shouldn't be accepted like this.

제가 직접 시사 프로그램이나 이런 것도 진행하면서

While I also host current affairs programs and the like,

범죄를 많이 다루거든요

I often deal with crime.

범죄 피해자들이 제일 먼저 피해를 입은 건

The first thing that crime victims suffer from is

신체나 재산의 손해가 아니라 마음입니다

It is not the damage to the body or property, but to the mind.

정의를 찾아야지 저 사람을 버려야지 라는 마음을

You must find justice; you should abandon that person.

아예 가질 수 없게 만드는 게 첫 번째 피해거든요

The first harm is making it impossible to have at all.

그것부터 극복해야

We need to overcome that first.

자기를 긍정하고

Accepting oneself

자기에 대한 애정

Self-love

자기에 대한 보호를 갖게 해야 되는데

You need to have protection for yourself.

살고 싶어서 나를 사랑하는 법을 터득하고 익히고 이렇게 왔는데

I wanted to live, so I learned and practiced how to love myself, and that's how I came this far.

탈북민들도 그런 과정들을 지나오면서

Defectors from North Korea also go through such processes.

자기만의 자기를 사랑하는 노하우나 방법들을

Tips or methods for loving oneself.

터득해 가는 과정이라고 생각을 해요

I think it's a process of learning.

큰 얘기들이 녹아 있어서

It contains great stories.

오늘은 조금 선문딱 같이 사람들이 들으실 수도 있겠는데요

Today, it might be a bit difficult for people to hear, like a line of a poem.

사람이라는 말과 사랑이라는 말과

The words "human" and "love"

삶이라는 말과

The word called life and

비슷하게 생긴 이유가 다 있는 것 같습니다

It seems that there is a reason for looking similar.

결국 내가 살기 위해서 날 사랑해야 되라는 말은

In the end, the saying that I have to love myself in order to live

이 또한 북한과 무관하게 지금 살고 있는

This is also unrelated to North Korea and is currently living.

저 자신한테도 와닿는 말이고요

It's words that resonate with me as well.

많은 사람들한테 필요한 말입니다

It's a message that many people need.

저희 할아버지는 남한 대구에서 태어나서 일본에 가셨고

My grandfather was born in Daegu, South Korea, and went to Japan.

아버지는 일본에서 태어나서 북한에 가셨고

My father was born in Japan and went to North Korea.

저는 북한에 태어나서 중국에 가서 딸을 낳았고

I was born in North Korea, went to China, and gave birth to a daughter.

딸은 중국에서 태어나서 남한에 와서 살고 있어요

My daughter was born in China and is living in South Korea.

정말 디아스포라의 가족이네요

It's truly a family of diaspora.

Yes

딸이 태어나서 중국에 가서 딸을 낳았고

After my daughter was born, I went to China and gave birth to my daughter.

딸이 아홉 살 쯤에 아홉 살에 왔어요

My daughter came when she was about nine years old.

한국에 왔는데

I came to Korea.

사춘기를 겪으면서 내가 왜 탈북자냐고

"During my adolescence, I wondered why I was a defector."

그러면 학교에서 놀림을 받나 봐요

Then it seems like you're being bullied at school.

엄마 내가 왜 저런데 가야 돼

Mom, why do I have to go there?

나는 탈북자 아니잖아

I'm not a defector.

나 왜 저런데 가야 돼

Why do I have to go there?

이런 이야기들을 하고 그랬어요

We talked about things like this.

처음에는 그게 안타깝고 그랬는데

At first, I felt sorry about that and all.

커서도 굳이 자기가 탈북자의 자녀라는 말을

Even as an adult, they feel the need to assert that they are the child of a North Korean defector.

하고 싶지 않다 그러더라고요

They said they don't want to do it.

그 말은 이해는 돼

I understand what you mean.

이해는 돼

I understand.

이해는 되지만

I understand, but...

너의 정체성이 어디서 왔는지는

Where your identity comes from is

네가 알았으면 좋겠어

I hope you know.

네 마음속에 그게 있었으면 좋겠어

I hope that it is in your heart.

그런 이야기는 해 주죠

Let's talk about that.

그러니까요

That's right.

지금 이세임 기자님 말을 들어보면

If I listen to what reporter Lee Sae-im is saying right now,

이건 다름이 아니라 특별함이거든요

This is not just different, it's special.

그 시절에 많은 사람들이 겪었던 디아스포라입니다

It is a diaspora that many people experienced during that time.

이산과 이주의 과정들은

The processes of separation and migration.

독립운동할 때부터 끊임없이 겪었던 일인데

It's something I've constantly experienced since the independence movement.

특별함이 아니라 특별함이거든요

It's not about being special, it's about the specialness itself.

그런 과정 속에서

In that process

또 북한 사회는 같음을 지나치게 강조해서 공포스럽다면

In North Korean society, if emphasizing sameness is excessive, it becomes terrifying.

한국 사회는 다름이 공포거든요

Korean society fears differences.

하나를 버리고 잃고 온 게 아니라

It's not that I've lost and left behind one thing.

두 개를 갖게 된 거야

I ended up having two.

중국에서의 너와 한국에서의 너

You in China and you in Korea.

이세임 기자님도 마찬가지잖아요

It's the same for you, Reporter Lee Sae-im.

북한에서의 나와 중국에서의 나와

Me in North Korea and me in China.

대한민국에서의 나와

Me in South Korea.

아버님 할아버님도 저는 같을 거라고 봐요

I think my father and grandfather would feel the same way.

두 개의 나라를 가지신 분들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I feel like you have two countries.

그 말에 아까 처음에 하셨던

That statement you made earlier.

내가 살려면 나를 사랑해야 된다는 말이 돌고 있습니다

There is a saying that in order for me to live, I must be loved.

좀 진지한 말인데

It's a bit of a serious talk.

지금 만약에 아버지 돌아가셨지만

If my father were to pass away right now,

일본에서 태어나서 북한에서 돌아가신 아버지를 만난다면

If I were to meet my father who was born in Japan and passed away in North Korea.

무슨 얘기 해주고 싶으세요

What would you like to talk about?

사랑한다는 말을 해주고 싶어요

I want to tell you that I love you.

아까 처음에 했던 말과 연결되는 말이네요

This connects to what I said earlier.

저는 타인이고 그냥 지켜보는 사람이지만

I am just an outsider and a mere observer.

좀 더 자신을 사랑하지 그랬어요

You should have loved yourself a little more.

라고 말했으면 했는데

I wish you had said that.

딸의 마음은 미안해요

I’m sorry for my daughter's feelings.

그 말 못했네요

I couldn't say that.

사랑합니다라는 말

The words "I love you."

앞으로 활동을 많이 하실 건데

You will be very active in the future.

지금 하고 있는 일은 재밌어요

What I'm doing right now is fun.

그래서 좀 더 하고 싶은 일은

So what I want to do a little more is

저희 아버지가 어렸을 때 저를 보고

When my father was young, he looked at me.

저 하늘의 구름을 봐

Look at the clouds in the sky.

구름 너머에는 우리가 알 수 없는

Beyond the clouds, there are things we cannot know.

지금 우리가 알 수 없는

What we cannot know right now.

어마어마한 큰 세상이 있어

There is an incredibly large world.

근데 우리는 우물 안에 개구리가 되어서

But we have become frogs in a well.

그 세상으로 갈 수가 없어

I can't go to that world.

우리는 모두 우물 안에 있어

We are all in the well.

우물 안에 개구리가 되어서

Becoming a frog in a well.

우물 안에 개구리야

It's a frog in a well.

이런 말씀을 하셨어요

You said something like this.

그때는 그 말이 무슨 말인지 몰랐는데

At that time, I didn't know what that meant.

그 구름 너머에 내가 와 있구나

I have come beyond that cloud.

그리고 내가 살고 있는 이 구름 너머에도

And beyond this cloud where I live.

어마어마한 다른 세상이 있구나

There is an incredible other world.

그런 걸 알게 됐어요

I came to know things like that.

그래서 그런 것들을 알려주는 일을 하고 싶어요

So I want to do work that informs people about those things.

마지막 코너를 이샘 기자님이

In the last corner, reporter Lee Sam.

정말 어울리게 잘 장식해 주셔서

Thank you for decorating so beautifully.

정말 잘 알려주셨습니다

You really explained it well.

감사드립니다

Thank you.

이 방송을 듣는 많은 분들

Many of you listening to this broadcast

또 북한에서 태어나서 두 개의 나라를 경험하시는 분들

People who were born in North Korea and have experienced two countries.

모두 다 스스로를 좀 더 사랑하고

Everyone should love themselves a little more.

미처 사랑하지 못했다고 하면

If I say I couldn't love you in time...

빨리 사랑한다는 말을 하라는 말과 함께

With the message to quickly say "I love you."

구름 너머 저도 궁금하네요

I'm curious too, beyond the clouds.

저도 가봐야 되겠습니다

I also have to go.

오늘 귀한 시간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Thank you for taking the precious time today.

감사합니다

Thank you.

지금까지 이샘 기자와 함께했습니다

We have been with reporter Lee Sam until now.

제가 한국을 방문한 김에 김 위원장을 만난

Since I visited Korea, I met with Chairman Kim.

익숙한 목소리인데 굉장히 시끌벅적 어수선하죠

It's a familiar voice, but it's very noisy and chaotic.

2018년 판문점을 찾아 북한 김정은 위원장을 만난 트럼프

In 2018, Trump met with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at Panmunjom.

당시 미국 대통령의 목소리입니다

This is the voice of the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at that time.

어서 오세요

Welcome!

여러분 안녕하세요

Hello everyone.

안녕하세요

Hello.

어수선한 뒤로 들리는 이 소리들

The sounds that can be heard after the chaos.

미국과 북한 한국 경원들의 소리입니다

It is the voice of American and North Korean Korean officials.

긴박하게 정상을 보호하기 위한

Urgently to protect the summit.

물 셀 틈 없는 이 자리에서

In this place where not a drop can leak out

지금 소리로는 들리지 않는데요

I can't hear it with sound right now.

특별하고 감동적인 장면이 보독하며

A special and moving scene is visible.

보도 카메라에 잡혔습니다

It was caught on news cameras.

북한 경호원이 가볍게

A North Korean security guard lightly...

한국 경호원에게 눈인사와

A nod of greeting to a Korean security guard.

손을 건넸습니다

I extended my hand.

한국 경호원 아주 짧은 시간에 약간 미소를 지으며

The Korean bodyguard smiled slightly for a very short time.

악수를 짧게 하고 지나갑니다

I will give a brief handshake and move on.

화답을 했죠

I responded.

그간 정상 경호를 협의하면 아마 익숙한 얼굴이 된 탓일 겁니다

It must be because we've been discussing regular security that you’re probably familiar with the faces by now.

가장 중요한 임무를 경호하는

Protecting the most important mission.

실탄을 휴대하고 있는 경호원의

The bodyguard carrying live ammunition.

짧은 인사와 악수

A short greeting and handshake.

어쩌면 평화는 가슴에 총을 품고 있어도

Perhaps peace carries a gun in its heart.

그렇게 짧게 찾아오는 것 같습니다

It seems to come so briefly.

이 라디오 방송으로

Through this radio broadcast

짧게나마 전쟁의 공포 대신

Instead of the fear of war, even briefly

평화의 즐거움이 찾아오셨는지요

Have the joys of peace found you?

처음 손을 건넨 사람도

The first person to extend a hand.

웃음과 악수로 화답한 사람도

Some responded with laughter and a handshake.

그 작은 마음의 시작이 평화라는 것

The beginning of that small heart is peace.

이미 알고 있겠죠

You already know, right?

남과 북의 마음이 따뜻해지도록

So that the hearts of the South and the North can warm up.

저도 두 손을 모아 봅니다

I also try to put my hands together.

오늘 인사드리면서 끝 곡은

As I greet you today, the final song is

이산가족의 마음을 헤아리는 노래죠

It's a song that understands the hearts of separated families.

강산에 라고요 들려드리겠습니다

I will let you listen to "Gangsane."

지금까지 평화통일을 꿈꾸는 스토리텔러 김우성이었고요

I was Kim Woo-sung, a storyteller dreaming of peaceful unification until now.

영상 연출의 박연수 작가는 강정현이었습니다

The director of the video was Park Yeon-soo, and the producer was Kang Jeong-hyeon.

이 프로그램은 방송통신위원회와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This program is by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and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Policy Research Institute.

함께합니다

We are together.

꼭 한 번만이라도 가봤으면 좋겠구나 라디오

I really hope I can go at least once, radio.

이 프로그램은 방송통신위원회와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This program is from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and the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함께합니다

We are together.

이 프로그램은 방송통신위원회와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This program is being conducted by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and the Korea Institute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Policy.

함께합니다

We are together.

까지mnthevatea이라는 프로그램을 참고rett壹vtetv자YT chairman

The translation seems to contain a mix of Korean, English, and possibly typos or code. Could you please provide a clearer version for translation?

утcerLynpecially

The text appears to be a mix of characters from different languages, and it doesn't form a coherent sentence in Korean. If you have a specific Korean text you would like translated, please provide it, and I'd be happy to help!

음보라 휘날리는 바람 차는

The wind blows, fluttering the sound of the drums.

난 부두 가보지는 못했지만

I haven't been able to visit the pier, but...

그 노래만은 너무 잘하는 건

That song is the one I sing really well.

내 어머니를

My mother.

래퍼토리 그 중에 18번이기 때문에

It's number 18 out of the repertoire.

18번이기 때문에

Because it is number 18.

남은 인생 남았으면 얼마나 남았겠니 아시고

How much life is left if you knew how much remains?

눈물로 지새우시던 내 어머니

My mother who spent the night crying.

이렇게 얘기했죠 죽기 전에

I said this before dying.

꼭 한 번만이라도 가봤으면 좋겠구나

I wish I could go just once.

아이고

Oh dear.

사랑해

I love you.

Continue listening and achieve fluency faster with podcasts and the latest language learning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