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복탄력성과 잉여// 권혁성

포럼 IT 라디오

포럼 IT 라디오

회복탄력성과 잉여// 권혁성

포럼 IT 라디오

여러분 안녕하세요. 프로마이티라디오입니다.

Hello everyone. This is Promytheradio.

오늘은 거의 1년 만에 모셨습니다.

Today, we have gathered after almost a year.

권혁성님, 미국 캘리포니아 말리부에 있는 모 연구소에서

Mr. Kwon Hyuk-sung, at a research institute in Malibu, California, USA.

올해도 또 한창 연구를 하고 계십니다.

You are actively conducting research again this year.

혁성님 안녕하세요.

Hello, Hyukseong.

네, 안녕하세요.

Yes, hello.

그 연구소가 어디였죠?

Where was that research institute?

뭐 꽤 영화팬들한테는 또 친숙할 수 있는 그런 연구소였죠.

Well, it was certainly a research lab that could be familiar to movie fans.

오랜만에 뵙는 분들을 위해서.

For those I haven't seen in a while.

네, 그 말리부 해안에 있습니다.

Yes, it's located on the Malibu coast.

말리부 해안에 있는 HRL 연구소라고

It's the HRL lab located on the Malibu coast.

그 H 첫 글자가 그 하워드 휴즈, 휴즈라는 사람인데

The 'H' in H stands for Howard Hughes, the person named Hughes.

그 마블 영화를 좋아하시는 분들은 아마 잘 아시겠지만

Those who like that Marvel movie probably know well, but

기억을 하시는지 모르겠는데

I don't know if you remember, but...

그 하워드 스타크 나오죠?

That Howard Stark, right?

그 토니 스타크의 아버지 역할로

As the role of Tony Stark's father.

그의 모델이 됐던

He became a model.

그걸 모델로 삼아서 만든 캐릭터입니다.

It's a character created based on that model.

그래서 그 연구소가 아이언맨 3편에 나왔던

So the research institute appeared in Iron Man 3.

그 말리부에 있는 그 토니 스타크 연구소랑 상당히 비슷해요.

It is quite similar to the Tony Stark research facility in Malibu.

느낌.

Feeling.

그래서 나중에 사진을 찾아서 보시면

So later, if you find and look at the photos...

어? 어...

Huh? Uh...

여기서...

Here...

많이 이미지를 따왔네?

Did you take a lot of images?

아마 싶은 부분도 있으실 것 생각이 듭니다.

I think there may be parts you want to wish for as well.

네.

Yes.

뭐 그 영화에서 나오는 것 같은 그런 대단한 것도 만들고 그럽니까?

Do you make something amazing like what's shown in that movie?

거기서 그러면?

Then what about there?

어...

Uh...

영화의 현실은 좀 다르죠.

The reality of the movie is a bit different.

네.

Yes.

학생님, 작년에는 우리 또 자율주행에 대해서 토크를 했었잖아요.

Last year, we talked about self-driving again, didn't we?

그 사이에는 주로 어떤 일들 하셨어요?

What have you mainly been doing during that time?

계속 그쪽 일을 아무래도 주로 하고 있고요.

I'm still mainly working on that kind of work.

아무래도...

Anyway...

아직까지는 이렇게 많은 부분의 시도는 되고 있지만

So far, many attempts are being made in this regard, but...

이게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This is something we can easily see around us.

직접 사용할 수 있는 부분까지는 아직 멀었으니까요.

It's still a long way off until it can be used directly.

멀었다는 게 이제 시간이 좀 더 걸릴 테니까

Since it's far, it's going to take a bit more time now.

계속 그쪽으로 좀 더 안전한 시스템,

Continue towards a safer system over there.

좀 더 효율적인 시스템으로 가기 위해서 계속 노력해야죠.

We need to keep working towards a more efficient system.

네.

Yes.

뭐 어쨌거나 영화에서 그려지는 그런 미래를

Well, anyway, that kind of future depicted in the movie

현실로 땡겨오기 위해서 노력을 하고 계신 분 중에...

Among those who are making an effort to pull it into reality...

한 분입니다.

It is one person.

네. 오늘은 저희가 지금 이 시즌에

Yes. Today we are currently in this season.

미래 전자정부에 대한 이야기를 쭉 해오고 있거든요.

I've been talking about the future electronic government.

그래서 오늘 혁성님하고도 관련된 이야기가 나올 수도 있을 것 같아요.

So I think there might be related discussions with Hyukseong today.

그래서 지금 하고 계시는 일 그리고 생각해 오셨던 일들 다 포함해서

So, including the work you are doing now and the things you have been thinking about.

공공과 그리고 민간 그 사이에 있어서 기술 혁신을 하는 주체들이

Entities that drive technological innovation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어떤 생각을 가지고 양쪽 사이에 대해서 활약을 해야 될지

What kind of thoughts should I have in order to be active between both sides?

이런 얘기 좀 나눌 수 있었으면 좋겠어요.

I hope we can have a conversation like this.

지금 계신 연구소는 민간 연구소죠?

Is the research institute you are currently at a private research institute?

그렇죠.

That's right.

저희는 뭐 일단 민간이 소유하고 있는 연구소라고 말씀드릴 수 있겠네요.

I can say that it is a research institute owned by the private sector.

네.

Yes.

스타크하고는 직접 관련은 없고...

It has no direct connection to Stark...

제가 모르는 부분이 있을지 모르겠습니다만

There may be parts that I'm not aware of.

제가 아는 바로는 관련은 없습니다.

As far as I know, there is no relation.

복도 끝에 안 열리는 문 같은 거 있고 그러지 않아요?

Isn't there a door at the end of the hallway that doesn't open?

좀 오래된 문 같은 문이 안 열릴 수 있는데요.

An old door like that may not open.

이렇게 보겠습니다.

I will see it like this.

번호판이 숫자 키패드가 붙을 거라 그렇지는 않은 것 같더라고요.

It doesn't seem like that's the case because the license plate will have a numeric keypad attached.

그래도 한번 당겨보면 이상한 것들 할 거랄 수도 있을 것 같은데.

Still, if you try pulling it once, it might do something strange.

골동품이 있겠죠.

There must be antiques.

그렇습니다.

That's right.

지금 민간 업체에 계시는데

You are currently at a private company.

아무래도 지금 현대의 IT의 상당한 부분이

It seems that a significant part of modern IT now is...

공공 쪽에서 나온 것들도 많잖아요.

There are many things that have come out from the public side, right?

그런 공공과 관련된 연구소들도 많고

There are also many research institutes related to such public matters.

그래서...

So...

네.

Yes.

그래서...

So...

네.

Yes.

그래서...

So...

네.

Yes.

다양한 곳에서 기술 혁신이 일어나고 있는데

Technological innovations are happening in various places.

민간 연구소만의 장점, 매력 이런 것들도 꽤 있을 것 같아요.

I think there are quite a few advantages and charms unique to private research institutes.

장단점이 둘 다 있습니다.

There are both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일단 장점을 말씀드리면

First of all, let me mention the advantages.

민간 연구소는 다양한 소스의...

The private research institute has various sources of...

자본이 다양한 방향으로 들어올 수 있습니다.

Capital can come in various directions.

필요에 따라서는 정부에서...

If necessary, the government...

자본이 들어올 수도 있고요.

Capital could come in as well.

연구 프로젝트를 만든다든가 민간 자체 프로젝트에서 들어오는 부분도 있고요.

There are also parts that come from creating research projects or private initiatives.

예를 들어 정부 연구소 같은 경우는 들어오는 연구비 지원 자체가

For example, in the case of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s, the incoming research funding itself is

정부라든가 몇 개의 단체로밖에 허용이 될 수밖에 없지만

It can only be allowed by the government or a few organizations.

그런 부분에서 자유로운 부분이 있기 때문에

Because there are free aspects in that regard.

또 그에만큼 자유로운 연구를 할 수가 있겠죠.

And then, you would be able to conduct research as freely as he does.

반대로 이제 아무래도 정부 연구소보다는

On the contrary, it seems that rather th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s,

그...

Well...

경제의 호황이냐 불황이냐에 따라서 좀 더 영향을 받는 부분이 있습니다.

There are aspects that are more affected depending on whether the economy is booming or in recession.

그러니까 호황일 때는 상당히 많은 연구의 자유가 주어질 거고

So, during a boom, a significant amount of research freedom will be granted.

불황일 때는 민간 연구소가 필요에 따라서는

During an economic downturn, private research institutes are needed as necessary.

합병이 된다든가 아니면 팔려나간다든가 그런 것도 가능하죠.

It's possible that there could be a merger or that it might be sold.

예전에 베일 연구소 이런 데들이 굉장히 큰 역할을 많이 했었는데

In the past, places like the Vale Research Institute played a very significant role.

그렇죠.

That's right.

그런 데들이 많이 몰락을 했더라고요.

Many of those places have fallen into decline.

그러니까 많이 이렇게 갈라진 부분도 있고요.

So there are many parts that are split like this.

이름은 바뀌었거나 아니면 다른 데 소유가 됐지만 그래도 여전히 활발한 연구를 하는 부분도 있고요.

The name may have changed or it may be owned elsewhere, but there are still areas where active research is being conducted.

그래서 약간은 좀 바뀐 것도 있죠.

So there are some things that have changed a bit.

예전에 베일 연구소 같은 게 있었지만 요즘은 예를 들어

There used to be something like the veil research institute, but these days, for example...

많은 분들 아시지만 MIT 비디오 랩 같은 경우는 사실 예전에는 없던 거였지만

As many of you know, the MIT Media Lab was actually something that didn't exist in the past.

지금 상당히 많은 역할을 하고 있는 랩이 됐고 그리고 민간적으로 봤을 때

It has become a rap that plays a very significant role right now, and from a private perspective.

뭐 큰...

What’s the big deal...

많은 연구소들 예를 들어 구글이라든가 아니면 마이크로소프트 등에서도 많은 연구소들을 갖고 있고요.

Many research institutes, for example, Google or Microsoft, also have many research labs.

좀 트렌드나 패러다임이 바뀌었다고 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I think it can be said that some trends or paradigms have changed.

네.

Yes.

그러니까 사람들이 모여서 연구를 하는 방식 또 이제 트렌드가 있는 거네요.

So, it's a trend for people to gather and conduct research together.

뭐 어떤 하나의 큰 연구소가 있다고 사라진다고 하더라도 뭐 특별히 걱정할 것도 없고

Even if a large research institute were to disappear, there wouldn't be anything particularly to worry about.

또 사람들은 돈을 찾아서 인재를 모아가지고 연구를 계속해 나가니까

"People continue to gather talent and conduct research in order to seek money."

이게 이제 계속 여러 가지 형태로 바뀌고 있네요.

This is now changing in various forms continuously.

요즘에는 음...

These days, um...

요즘 뭐 그런 연구 쪽에서의 트렌드는 어떤... 어떻게 볼 수가 있나요?

What are the current trends in research these days... how can we view them?

일단은 기본적으로 예전에 비해서는 많이 하드웨어 쪽에서 소프트웨어 쪽으로 IT 쪽으로 많이 넘어왔다고 보는 게 맞지 않을까 싶습니다.

First of all, I think it's fair to say that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shift from hardware to software in the IT sector compared to the past.

그래서 아까 전자정보 말씀도 하셨지만은 그...

So, you mentioned electronic information earlier, but...

그러니까 많은 부분이 물론 현재... 그러니까 하드웨어에 기반을 두고는 있죠.

So, many aspects are of course based on hardware at present...

그래서 뭐 전자정보를 하더라도 서버도 있어야 되고 클라이언트도 있어야 되고 하니깐 그런...

So even if you’re dealing with electronic information, you need to have both servers and clients, so...

그런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있어서 하드웨어도 필요하지만 그것을 관리하고 하는 부분에서

While building such a system requires hardware, it also involves managing and operating it.

예전보다는 더욱 그 소프트웨어라든가 아니면 기타 등등 관련된 네트워크 분야라든가 그런 부분들이 좀 더 많은 비중을 찾으려고 연구가 좀 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은 사실인 것 같습니다.

It seems that research is indeed becoming more active in trying to find greater significance in software and other related areas like networking compared to the past.

네. 모든 것들이 이 소프트웨어... 요즘에는 소프트웨어 디파인드 이런 얘기도 나오잖아요.

Yes. Everything is this software... These days, there's talk about software-defined things too.

그러니까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조금 다른 방식으로 하는 것들이 이제 시도되고 있습니다.

So, things are now being attempted in a slightly different way through software.

네. 모든 것들이 이 소프트웨어... 요즘에는 소프트웨어 디파인드 이런 얘기도 나오잖아요.

Yes. Everything is this software... These days, there is also talk about software-defined.

조금 다른 방식으로 하는 것들이 이제 시도되다 보니까 약간 좀 멀리 내다보는 미래 연구 같은 경우도 결국은 이제 소프트웨어 쪽으로 치중할 수밖에 없다 이런 말씀이신가요?

Since things are being attempted in slightly different ways, are you saying that even future research looking further ahead must inevitably focus on software?

그런 부분이 많이... 그러니까 하드웨어를 하더라도 소프트웨어를 예전... 같은 경우는 소프트웨어를 배제한 상태에서 하드웨어 연구가 가능했을지도 모릅니다만 이제 더 이상은 그건 불가능해질 거죠.

There are many such aspects... In the past, even when researching hardware, it might have been possible to conduct hardware research while excluding software, but that is no longer possible.

예전에는 뭐 회로도를 그려가지고 하드웨어를...

In the past, we used to draw circuit diagrams and do the hardware...

심지어는 설킷 디자인 하는 사람들도 뭐 다 그런 건 아닙니다만 예를 들어 메릴로그라든가 프로그램 짜듯이 설킷 디자인을 할 수도 있으니까요.

Even designers of circuits are not all like that, but for example, one can design circuits in a way similar to programming, like with Melilog.

네. 소프트웨어가 점점 중요해지고 있네요. 지금 혁성님도 그쪽에서 주로 하시는 게 소프트웨어와 관련된 거죠?

Yes. Software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You are mainly working in that area related to software, right, Hyuksung?

그렇죠.

That's right.

주로 어떤 툴이나 이런 걸 쓰세요? 요즘에 많이 쓰는 언어랄까?

What tools do you mainly use? Or what programming language do you use a lot these days?

이런 거가 요즘에 첨던 연구소에서 많이 쓰이는 것이다. 알고 봤더니 그냥 C다. 이런 얘기일 수도 있습니다만.

This kind of thing is being used a lot in the research lab these days. It turns out it's just C. This might be what I'm trying to say.

여전히 그래도 C++, 파이톤. 합수합니다.

Still, C++ and Python. We collaborate.

역시 구간이 명가군요.

Indeed, the interval is a prestigious family.

경우에 따라서는 다양한 언어도 쓰겠죠. 경우에 따라서 루비를 쓰는 사람도 있고 아니면 프로로그를 쓰는 사람도 있고요.

Depending on the case, various languages might be used. In some cases, there are people who use Ruby, and in others, there are those who use Prolog.

그렇긴 합니다만.

That's true, but...

어디까지나 경우에 따라서.

It depends on the situation.

네. 또 분야에 따라서 또. 또 분야에 따라서 또 맞는 또 거기에 맞춰서 개발된 언어들이 있으니까 또 그걸 쓰는 사람도 있긴 있고요.

Yes. Depending on the field, there are languages developed that are suitable for it, and there are indeed people who use those.

개발한 경우는 주로 뭐 어떻게 지금 뭐 개인적으로는 쓰세요? 컴퓨터 종류라든지 에디터라든지 컴파일 환경이라든지.

In cases where you have developed something, what do you primarily use personally? Like the type of computer, editor, or compilation environment?

그 인베리드 시스템을 할 경우라든가 그런 걸 고려하다 보면.

Considering cases such as when using that embedded system.

네.

Yes.

예측하지 못한 일이

An unforeseen event.

벌어지지가 않잖아요.

It doesn't open up.

옛날 방식으로

In the old way.

검증된 방식으로 하다 보니까

Because it is done in a verified way.

항상

Always

항상 예측하지 않았던 방향으로 가죠.

It always goes in an unexpected direction.

늘 컴파일이 잘 안됩니까?

Is the compilation always not working well?

항상 사람들이 하는 얘기로

As people always say,

컴파일이 처음에 잘 되면

If the compilation goes well at first

밀드가 되면

When it becomes mild.

왜지? 라는 의문을 갖게 됩니다.

You start to wonder, "Why?"

여튼간에 우리가 늘

Anyway, we always...

컴퓨터를 처음 배웠을 때 쓰는 것하고

It's different from what I used when I first learned to use a computer.

또 실질적으로

Also practically

나중에 어떤 고도화된 연구를

Later, some advanced research will...

하는 것하고는 크게 달라지지가 않네요.

It doesn't change much from what we are doing.

디자이너가 처음에

The designer initially

썼던 똑같은 펜이나

The same pen that I used.

종이를 가지고 디자인을 하듯이

Just like designing with paper.

경우에 따라서는

depending on the case

조금 다른 것들을 쓸 수 있겠습니다만

I can write a few different things, but...

본질적으로는 크게 달라지는 것은 아닌 것 같아요.

Essentially, I don’t think there’s much that will change.

혹시 방송 들으시는 분 중에

Is there anyone listening to the broadcast?

컴퓨터

Computer

프로그래밍이라든지

Such as programming

소프트웨어를

Software

지금 배우기 시작하시는 분들이 계신다면

If there are those who are just starting to learn now,

지금 만지고 있는 그거

That thing you are touching right now.

나중에 여러분이

Later, you all will...

20년 뒤에도 똑같이 쓰고 계실지 모르니까

I don't know if you'll still be using it the same way after 20 years.

초심을 잃지 마시고

Don't lose your original intention.

감사한 마음으로

With a grateful heart.

오늘도 공부에

Studying again today.

전념해 주시기 바랍니다.

Please concentrate.

그렇군요.

I see.

오늘은 어떤 얘기를

What story shall we talk about today?

한번 해볼까요?

Shall we give it a try?

잠시 아까와서

I came for a moment ago.

아까 말씀하셨던

What you mentioned earlier.

전자정부랑

e-Government and

민간과

With the private sector.

정부의 관계를 말씀하셨던

You mentioned the relationship with the government.

부분에서

In part.

지난번에 했던

Last time we did.

자율주행에 관련돼서 잠깐

Just a moment regarding autonomous driving.

생각이 바로 난 거긴 한데요.

That's exactly what I was thinking.

사실 자율주행이라는 게

The fact is that autonomous driving...

그거야말로

That's exactly it.

어떻게 보면 정부랑

In a way, with the government...

민간 기업이 굉장히

Private companies are very

역할을 해야 되는

You have to play a role.

부분이 있는 것도 맞거든요.

It's true that there are parts like that.

그러니까 단지 법규라는

So it's just a regulation.

그런 부분을 떠나서

Aside from that aspect

그 인프라를 구축해줘야죠.

We need to build that infrastructure.

이게 돌아갈 수 있도록

So that this can go back.

테스트를 할 수 있고

You can conduct tests.

돌아갈 수 있고

You can go back.

그 자체를

Itself.

검증을 받아서

After being verified

예를 들어

For example

어느 도로에서

On which road?

그것을 테스트하고

Test it.

그걸 검증할 수 있는

That can be verified.

장비 인프라 스트로트를

Equipment infrastructure strut

도로에 깔아준다던가

Or they might pave the road.

아니면 시범적으로 정부에서

Alternatively, the government could conduct a trial.

여기서 여기까지는

From here to here.

자율주행에 허공된다던가

It says something like "is absurd when it comes to autonomous driving."

신호등 자체를

The traffic light itself

자율주행에 맞는

suitable for autonomous driving

어떤 그런

Some of that.

자율주행 친화적인

Autonomous driving friendly

그런 시스템을 해준다던가

They said they would provide such a system.

해서 하면

So if you do it

아무래도 민간이

It seems that the private sector...

자율주행 자동차를 개발하더라도

Even if we develop self-driving cars,

정부의 서포트라든가

Such as government support.

정부의 협조가 없이는

Without the cooperation of the government.

짧은 시간 내에 되기는

It will happen in a short time.

힘들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I think it will be difficult.

앞으로 이런 혁신의 대부분은

Most of these innovations in the future will be

민간에서 뭔가를 시작을 하고

Starting something in the private sector.

구현을 하더라도

Even if it is implemented

결국은 그게 우리 사람들이

In the end, that's what we people are.

살아가는 생활하고

Living life

연결이 돼 있기 때문에

Because it is connected.

정부가 그 가운데서

Among them, the government.

그걸 조율해 주지 않으면

If you don't coordinate that.

효과가 안 날 거라는 얘기네요.

It means that it won't have any effect.

그렇죠. 많은 부분에서

That's right. In many aspects.

그런 부분이 있을 것 같습니다.

I think there might be such aspects.

그걸 구체적으로

Specifically that.

요즘 뭐 느끼시는 부분들이 있어요.

Is there anything you've been feeling these days?

미국 같은 경우는 어떻게 하나요?

How about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미국 같은 경우 예를 들어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그 산호세 지역은

That San Jose area is

뭐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Well, those who know, know.

사실 어느 부분에서

Actually, in which part?

물론 산호세 지역 자체는

Of course, the San Jose area itself is

IT라든가 그런 부분에서

In areas like IT or such.

굉장히 협조를 많이 하는 거고요.

They are being very cooperative.

그 시 자체에서라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Because there is a part that is specific to that poem itself.

그 도로의 어느 부분을

A certain part of that road

구글이라든가 아니면 테슬라라든가

Like Google or Tesla.

이 회사들이 자율주행 테스트할 수 있는

These companies can conduct self-driving tests.

어떤 도로를 정비를 해 주는 거를

To maintain a certain road.

허락을 한다던가

Or you could give permission.

그런 부분이 있긴 있죠.

There are indeed such aspects.

이렇게 직접적으로

So directly.

우리가 나서 뭘 하겠다.

We will step forward and do something.

물론 이제 법률이라든가

Of course, now regarding laws and such.

그런 부분에서는 계속 점검을 하고,

In that regard, we will continue to monitor it.

체크를 하고, 이렇게 해서

Check it and do it like this.

회의를 하고 토론을 하겠죠.

We will have a meeting and discuss.

민간 기업과 시민들,

Private companies and citizens,

그다음에 정부들 함께 해서.

Then the governments will come together.

하지만 그런 부분에서

But in that regard,

지금 어느 정도는 좀 느리게 보일 수도 있지만

It may look a bit slow right now, but

1년 뒤에 보면

When you look back a year later.

예를 들어 지금 입장에서

For example, from my current perspective.

작년하고 비교해 봤을 때

When compared to last year

아, 이런 부분에서 발전이 있었고

Ah, there has been progress in this area.

이런 부분에서 그만큼의 협의가 있었다라는

There was enough consultation in this regard.

그 부분은 보이는 것 같습니다.

That part seems to be visible.

음.

Um.

그리고 그런 것들이 어떻게 보면

And in a way, those things...

이제 그.

Now that.

토의민간과 정부 간의

Between the private sector and the government.

토의를 통해서 이루어지는데

It takes place through discussions.

그게 상당히 투명하게 공개되고

That has been revealed quite transparently.

그런 면이 있나 보네요.

It seems like there might be such an aspect.

자율주행 같은 경우는

In the case of autonomous driving,

많이 오픈됐다고 봐도 되죠.

I think it can be said that it has been widely opened.

음.

Um.

자율주행뿐만 아니라

Not only autonomous driving

어…

Uh...

여러 가지.

Various things.

예를 들면은

For example,

그 정부, 미국 정부 자체에서도

That government, even within the U.S. government itself

지금.

Now.

특별히 오바마 정부 때 서포트를 했던 빅데이터에 관련된 입장으로 보면 거기에 따른 네트워크라든가 아니면 현장에 있지만 블록체인 같은 부분에서의 서포트, 그런 부분에 도입하려는 것들.

Especially in terms of support related to big data during the Obama administration, there are efforts to introduce aspects such as networks or support in areas like blockchain that are present on the ground.

물론 기본적으로 은행이나 이런 데서는 많이 도입을 하고 있는 상황이긴 합니다만 그런 부분은 정부 쪽으로 끌고 오고 그것을 다시 활성화시키고 그런 부분에서 양정의 성장과 질적인, 기술적인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그런 부분일 수 있겠죠.

Of course, banks and places like that are implementing a lot of these things, but such aspects can be brought to the government, and revitalizing them could be a way to promote both quantitative growth and qualitative, technological growth in terms of development.

아까 오바마 말씀하셨는데 오바마 때 데이터다 가분이 이렇게 해서 빅데이터 쪽은 굉장히 뭐 좀 해보려고 노력을 많이 했었잖아요.

You mentioned Obama earlier, and during Obama's time, there was a lot of effort put into big data, trying to do something with it.

네. 블록체인 말씀하셨는데 블록체인 같은 경우는 무슨 움직임이 있나요? 그쪽에서는?

Yes. You mentioned blockchain; what kind of movements are happening in that area?

특별히 새롭게 생기는 움직임이 있는 거라고는 아닐 거고요. 현재 계속하던 부분이긴 한데 일단은 블록체인의 기본적인 부분이 이제 아까 말씀하신 투명성이 사실 되게 중요합니다.

It's not specifically that there is a new movement emerging. It's something that has been ongoing, but fundamentally, the basic aspect of blockchain that was mentioned earlier, which is transparency, is actually very important.

투명성이라는 것은.

Transparency means.

투명성이라는 것은 블록체인 기술에서 그 모든 데이터들을 분산화시키고 암호화시켰을 때 그런 그것들을 얼만큼 믿을 수 있느냐. 서로의 신뢰관계, 민간과 정부 간의 신뢰관계가 상당히 중요하거든요.

Transparency means how much we can trust all that data when it is decentralized and encrypted through blockchain technology. The trust relationship between one another and the trust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c and the government are quite significant.

그러니까 아까 말씀하신 투명해야 서로를 신뢰할 수 있고 그런 부분에서 그다음에 다음에 넘어가고 그런 부분에서 안정성이 확보가 되면 그다음에 효율성이 증대되는.

So, as you mentioned earlier, transparency is necessary for mutual trust, and once stability is established in that regard, efficiency will then increase.

그러니까 차츰차츰 한 가지씩 나가겠죠. 그래서 그런 부분을 갖춰가는 관계라서 어떤 방향이 특별히 바뀌었다라는 거를 보기에는 조금 아닐 것 같지만 일단은 아까 말씀하셨지만 차곡차곡 진행 중인 거라고 생각은 됩니다.

So I think we will gradually move forward with one thing at a time. It's more about establishing those aspects in our relationship, so I wouldn't say there has been a particularly notable change in direction. However, as you mentioned earlier, I believe we are progressing steadily.

블록체인이 정보사에 대해서 쓰이고 있다라 해보려고 하고 있는 건가요? 미국에서는?

Are you trying to say that blockchain is being used in the information society? In the United States?

그런 부분 많은 연구가 계속되고 있어요.

There is ongoing research in that area.

그러니까 연구라는 게 연구 지원이라든가 아니면은 저희 공청회라든가 그런 부분에서 많은 부분들이 돼 있고 여기 언론에서도 보면 정부 쪽에서 블록체인 기술이 꼭 필요한 부분이라는 거에 대해서 굉장히 강조를 많이 두고 있고요.

So, research includes support for research and our public hearings, and there are many aspects involved in that. In the media as well, the government emphasizes that blockchain technology is an essential area.

언론에서도 조금 우호적인 그런 뉘앙스를 많이 풍기네요.

The media is also conveying quite a friendly nuance.

여기서 정부에서 말하는 블록체인이 암호화폐에 완전히 근거한.

The blockchain that the government is talking about here is entirely based on cryptocurrency.

그런 건가요? 아니면 일부 국가에서 많이 하는 것처럼 암호화폐는 아니고 그냥 분산원장 정도? 이런 걸까요?

Is that the case? Or is it more like a distributed ledger rather than cryptocurrency, which is widely used in some countries? Is that what you mean?

그렇죠. 그러니까 기본적으로 데이터를 분산화시키고 그래서 그럼으로써 분산화시킨다는 게 효율성이 증대는 되겠죠.

That's right. So basically, by decentralizing the data, it will increase efficiency through that decentralization.

플러스 어떤 데이터가 있으면 그 데이터를 쪼개서 나눠버리니까 쪼개진 조각으로 봤을 때 그거를 해독을 한다고 해도 아무런.

Plus, if there is any data, it gets split up, so even if you decode it from the split pieces, it doesn't amount to anything.

의미가 없을 수 있죠. 그러니까 모든 조각을 다 모아서 그거를 풀어야만 의미가 있으니까 그만큼 보완 능력도 증가되는 그런 부분이 있습니다.

It may have no significance. So, you have to gather all the pieces and solve it for it to have meaning, which increases the ability to complement that.

그러니까 지금 일부 정부에서 모든 지금 정부가 하는 건 아니고 각 지방정부 중에서 하는 데들도 있고 그랬을 것 같은데 그런 데서 하는 시도는 여하튼간에 공공데이터라든지 정부도 기존에 블록체인이 가지고 있는 분산원장.

So, it's not that all governments are doing this right now, but it seems that some local governments are attempting to do so. In any case, those attempts involve public data and the distributed ledger that blockchain inherently possesses.

원장의 장점을 조금 살릴 수 있는 시스템이 뭐가 있는지 찾아보고 있다 이렇게 이해해도 되겠네요.

I can understand it as looking for a system that can somewhat utilize the strengths of the director.

예 그렇습니다. 그런데 이제 본격적으로 무슨 코인을 발행하거나 이런 거는 아닌 것 같아요.

Yes, that's right. However, it doesn't seem like we're issuing any coins or anything like that seriously now.

그런 부분에서는 제가 특별히 아는 바가 없고요. 그래서 그런 부분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I don't have any particular knowledge in that area. So it doesn't seem like things are progressing in that regard.

제가 모르는 부분이 있을지 모르겠습니다만. 많은 정부 사이드에서 하는 블록체인 같은 경우는 대부분 이렇게.

There may be parts that I'm not aware of, but in many cases, blockchain initiatives from the government side are mostly like this.

우리 잠깐 얘기했듯이 분산원장의 혜택, 전통적인 P2P 분산 시스템의 혜택을 좀 살리는 말씀하신 것처럼 보완이 됐든 아니면 효율성이 됐든 그런 것들을 좀 살리는 방향으로 가고 있는 것 같아요.

As we briefly discussed, it seems that the benefits of distributed ledgers and traditional P2P distributed systems are being enhanced, whether through improvements or efficiency, in the direction that you mentioned.

미국 같은 경우는 하도 땅덩이가 넓고 정보도 여러 개가 있는 셈이잖아요. 정보 자체가.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the land is so vast and there are numerous pieces of information. The information itself.

그렇죠. 중앙정부가 있을 거고 연방정부라고.

That's right. There will be a central government and a federal government.

연방정부가 있을 거고요. 그다음에 지방정부가 있고. 사실 한국도 마찬가지죠.

There will be a federal government, and then there is a local government. In fact, it's the same in Korea.

그러니까 중앙정부가 있고 각각 지방정부들이 있고 지자체, 지방자치단체들이 있고요.

So there is a central government, and there are local governments, and local autonomous entities.

네. 한번 보니까 여러 지방정부에서 조금씩 시도들을 많이 하고 있는 것 같아요. 블록체인 같은 경우는.

Yes. It seems that various local governments are making small attempts, especially with blockchain.

조지아라든지 델라. 캘리포니아에서는 그런 또 뉴스 같은 게 있었나요? 관련해서?

Was there any news like that in places like Georgia or Delaware? Related to that?

특별히 어떤.

Especially something.

개별 사항은일만if 권리로 있는.

Individual matters are only rights if they exist.

이런 부분을 구체적으로 뭘 하겠다. 그런 부분에서는 제가 아직 아는 바가 없고요.

I don't specifically know what I would do in this regard.

원론적으로는 계속 이런 것들을 알아보고 해보겠다. 이렇게 열린 자세로 취하고 있다. 이렇게 이해하면 되겠네요.

In principle, I will continue to explore and try these things. I am taking an open attitude like this. I think I can understand it this way.

가장 사실 중요한 부분은 보완의 부분도 있을 거고요.

The most important part is that there will also be aspects of improvement.

특별히 가끔 크게 큼지막하게 보완이 되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에.

There are often times when significant enhancements can be made, especially occasionally.

그 동네에서도 그래요?

Is it like that in that neighborhood too?

많이 있습니다.

There are a lot.

크게 보자면

To put it broadly

예를 들어 정부에서도

For example, even the government...

2015년이죠.

It's 2015.

3년 전이죠.

It's been three years.

오피스 오브 퍼스널

Office of Personal

매니지먼트라고

It's called management.

연방정부 직원들

Federal government employees

데이터를 관리하는

Managing data.

부분에서

In part

2100만 명의 데이터가

21 million pieces of data

해킹이 됐어요.

I have been hacked.

2100만 명이요?

21 million people?

미국 사람

American person

2100만 명?

21 million people?

그렇다고 봐야죠.

I think that's right.

정부에 관련된 일을 했던

Worked on matters related to the government.

비정규직부터 시작해서

Starting from irregular workers

그래서

So

현재

Currently

작년에 나온 얘기로는

According to what was said last year,

중국에서

In China

해킹을 했을 것이다. 왜냐하면

They must have hacked it. Because

그 많은 데이터들이

That much data.

보통 그런 데이터들이

Usually such data...

유출이 되면 그 데이터를

If it is leaked, that data

바탕으로 해서

Based on

어떤 금전적인 이득을 취하려는

Seeking to gain some financial benefit.

형태가 나타나거든요.

It appears in form.

그걸로 예를 들어

For example, with that.

소셜 시큐리티 넘버

Social Security Number

사회보장 번호로

With a social security number

예를 들어 크레딧 카드를 낸다던가

For example, submit a credit card.

어디에 가입해서 한다던가

Where do you sign up to do that?

그런 게 있었는데

There was something like that.

그런 2100명에 대한

About those 2,100 people.

상황에서 발생을 한 명도 안 했던 거예요.

No one was involved in the situation.

그래서

So

지금 한 2년, 3년

About 2 or 3 years now.

없는 걸 봐서는

Looks like there's nothing there.

특별한 다른 목적으로

For a special different purpose.

Ah

유출된 게 아닌가 해서

I was worried it might have been leaked.

추정을 하고 있는 거죠.

You are making an assumption.

기타 등등 보시면

If you see other things, etc.

미국의 굉장히 큰

very large in the United States

크레딧

Credit

회사 같은 경우는

In the case of a company,

이케펙스 같은 데서도

Even at places like Ikefex.

큰 데이터 유출이 있었고요.

There has been a large data breach.

아니면 미국 보험사 같은

Or like American insurance companies.

앤턴, 굉장히 큰 보험회사거든요.

Anton, it's a very large insurance company.

거기서도

Even there

개인정보 유출 같은 것도 있었고

There have been incidents of personal information leaks as well.

그래서

So

종종 있습니다.

It often happens.

뭐 어디나 마찬가지네요.

Well, it's the same everywhere.

그렇죠.

That's right.

한국에서도 최근에

Recently in Korea,

얼마 전에 판결이 났더라고요.

A verdict was reached not too long ago.

그 큰 그 데이터 유출 사건이 전에 있었잖아요.

That big data leak incident happened before, right?

싸이월드 관련해서

Regarding Cyworld.

아 예

Ah yes.

그거 관련해서 판결이 났어요.

A ruling has been made regarding that.

Um.

그게 대법원까지

That goes up to the Supreme Court.

아마 갔었는데

I probably went.

이렇게

Like this

배상 책임이 이제 없다

There is no longer any liability for compensation.

이런 식으로 나가지고

Going out like this.

지금부터 좀 한참

From now on, for a while.

시끄러운 것 중 하나죠.

It's one of the noisy things.

그때 보니까

I saw it at that time.

지금 열어보니까

Now that I open it,

3,500만 명이 틀렸었네요.

35 million people were wrong.

그때는

At that time.

어 그렇게 많았나요?

Oh, was there that much?

Yes.

하지만 이것을

But this

그 회사가 배상할 책임이 없다고

The company is not liable for damages.

대법원이 재확인을 해줬다.

The Supreme Court confirmed it again.

뭐 이런

What is this?

뭐 충분히

Well enough.

충분히 보호 조치를 했기 때문에

Because sufficient protective measures have been taken.

What?

어쩔 수 없다.

It can't be helped.

뭐 이랬던 것 같은데

I think it was something like this.

아 뭐 이런 뉴스 뭐 지금 뭐

Oh, what is this news right now?

세계 각국에서 터지고 있는데

It's happening all over the world.

뭐 어떻게 이런 거 좀 봐야 되나요?

What, do I need to see something like this?

일단 보상이라고 하면은

First of all, when it comes to compensation...

예를 들어 아까 말씀드린 그

For example, the one I mentioned earlier.

미국 정부에서 발생한 경우에는

In the case that it occurs within the U.S. government,

Uh.

상당히 중요한 사람들도 많이 있었겠죠.

There must have been quite a few important people.

Yes

상당히는 그럼 일단은 그 향후 20년인가요?

So, then is it in the next 20 years?

그 향후 20년인가?

Is it in the next 20 years?

30년인가?

Is it 30 years?

That

그니까

So, yeah.

뭐라고 하죠?

What should I say?

identity theft에 관련된 거를

Regarding identity theft.

어 막아주는 시스템에 가입을 하게끔 해주고요.

It encourages you to join a system that provides protection.

그 외에 여러 가지 보상은 또 가능했을 것 같습니다만

Other various compensations may have also been possible.

일단 아까 말씀드렸듯이

As I mentioned earlier,

어떤 금전적인

Some financial

그러한 피해를 본 사회에 아직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Because such damage has not yet occurred in society.

Um.

그 부분은 어떻게 되는지는 모르겠습니다.

I’m not sure how that part works.

일단은 보완하면은

For now, if you improve it...

보완하면은

If supplemented

Uh

그런 어떤 계속 자기의 크레딧이라든가

Such continuous talk about one's credit or something like that.

자기의

self's

그 개인정보가 어떻게 사용되는가를 이렇게

How that personal information is used like this.

무료로 볼 수 있게끔

To make it available for free.

트랙할 수 있게끔

To make it trackable

예 그렇게는 해 주고 있습니다.

Yes, I am doing that.

아 그 피해자 구시

Oh, that victim...

뭐 좀 구체적인 피해자 구제를 위한 서비스가 있네요 아까.

There seems to be some specific victim relief services available, as mentioned earlier.

그니까

So, it means...

그 개인정보가

That personal information is

도난이 당하 당했을 때

When you are a victim of theft.

그것을 뭐 일종의 이제 방지해주고.

It's something that now prevents it, kind of.

방지해주거나 2차 피해가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해 주기 위한 그런 시스템을 마련해 놓고 거기에 이제 가입할 수 있도록 피해자들을 이제 그렇게 서비스를 해 주고 있는 거네요.

A system has been established to check whether prevention is provided or if there are secondary damages, and victims can now join this service.

근데 이건 정부에 대한 정부에서 하는 거고.

But this is something the government does regarding the government itself.

근데 사실 민간 기업은 좀 더 아무래도 좀 소송이나 그런 부분으로 많이 가긴 가겠죠.

But in reality, private companies tend to get involved in lawsuits and such a lot more.

Um.

부분에 대해서는

Regarding that part.

Uh

좀 다를 것 같고요.

I think it might be a bit different.

사실 그

In fact, that

일반적으로 이런

Generally, this is how it is.

사이버 브릿지라고 하는

It's called a cyber bridge.

사이버 브릿지 라고 하는

It's called Cyber Bridge.

부분들이 발생할 수 있는 거는 사실 여러 가지가 있을 텐데.

There are certainly various things that could occur.

그니까 시스템이

So the system is

사실 인간적으로 완전할 수는 없잖아요.

In fact, it's impossible for humans to be perfect.

그렇죠.

That's right.

컴파일 안 되듯이 뭐 버그가 늘.

Just like it can't be compiled, there are always bugs.

그렇죠.

That’s right.

만들다가

While making/creating

필요에 따라서 아 귀찮아서 하면서 100도 만들어놨다.

I made 100 of them because I was bothered by the need.

그걸 제대로 안 닫아놓고 나갔다던가.

Did you leave without shutting it properly?

아니면 전혀 모르는 상황에서 발생을 할 수도 있고.

Or it could happen in a situation where you have no idea at all.

아는데도 이제 쉬쉬하면서 넘어갈 수도 있고요.

You can also just quietly pass over it even though you know.

예를 들어 뭐 옛날 예전에 그 하트 블레이딩 라든가 아니면 뭐 인텔에서 얼마 전에 발생했던 그런 일들이라든가 그런 부분도 있을 수 있고요.

For example, there could be things like the Heartbleed incident from the past or recent events that occurred at Intel.

아 그게 뭐죠?

Oh, what is that?

잠깐 말씀 잠깐 좀 끊어서 죄송합니다만.

I'm sorry to interrupt you for a moment.

예.

Yes.

처음 말씀하신 거.

The first thing you mentioned.

예.

Yes.

그 하트 블레이딩 같은 경우는 옛날에 그 ssh 그 프로토콜 자체에서 일종의 백도죠.

In the case of that heart bleeding, it's kind of like a backdoor from the SSH protocol itself back in the day.

이제 그런 부분이 있어서.

Now there are those aspects.

그런 부분은.

Such parts are.

예.

Yes.

구글이 아마 발견했던 것 같고.

It seems that Google has discovered it.

그래서 어느 버전에서 발견해서 딱 업데이트했던 적이 한 번 있었고요.

So there was one time when I discovered it in a certain version and updated it right away.

네.

Yes.

그러고 인텔 같은 경우는 그 좀 얘기가 나왔었죠.

And in the case of Intel, there was some discussion about that.

그 자체에서 회복할 수 없는 펌웨어 레벨인가 그 자체에서 회복할 수 없는 이른바 그 세큐리티 브릿지가 있었는데.

Is it a firmware level that cannot be recovered from itself, or rather, the so-called security bridge that cannot be recovered from itself?

예.

Yes.

그거를 알고도 미리미리 얘기를 안 하고 그쪽 그 뭐 주식 처분했다더라.

I heard that they sold their stocks without mentioning it in advance even though they knew about it.

뭐 하여튼.

Anyway.

아 요번 최근에 일어났던 스펙터라든지 그런 것들 말씀하시는 거죠?

Oh, you mean the recent things that happened, like Spectre?

네.

Yes.

작년 초연 올해 초연에 작년 초연이네요.

It's last year's premiere in this year's premiere.

기억이 좀 정확히 없는데.

I don't remember very clearly.

네.

Yes.

그때 그런 것들이 있을 수 있었고요.

At that time, those things could have existed.

시스템은 잘 만들어 놨는데 그러니까 관리를 잘못하는 경우도 있겠죠.

The system is well built, but there could be cases where it is not managed properly.

음.

Um.

예를 들어 저기 서버 담당자가 패스워드를 포스트에 써서 붙여놨다던가 뭐 그런 기타 등등의 어떤 관리 소월.

For example, the server manager has written the password and posted it somewhere, or other similar management issues.

ZZ의 그런 시큐리티 패치를 하지 않았다던가 뭐 그런 부분도 있을 수 있고요.

There may also be aspects such as ZZ not implementing that kind of security patch.

아니면 진짜 본격적으로 해킹을 당하는 경우 그래서 어 해킹을 해서 시스템이 어느 정도 이제 완벽하면 안 되겠지만 어쨌든 해킹에 그냥 자동적으로 나오는 게 아니라 해킹을 통해서 발생하는 경우들.

Otherwise, in cases where you are truly being hacked seriously, it's not that hacking is just automatically happening; rather, it's cases that arise through hacking when the system is certain to be somewhat perfect, but it shouldn't be.

뭐 여러 가지가 있는데 사실 창과 방패 싸움인데 이거는.

Well, there are various things, but in fact, it's a battle between a spear and a shield.

방패가 이기기 참 힘든 것 같아요.

I think it's really difficult for a shield to win.

음.

Um.

그래서 사실은 최대한 보완도 해야 되고 적어도 해야겠지만은 그 과연 어떤 이런 그 뚫리는 브릿지 상황이 발생했을 때 어떻게 그걸 수습을 하고 어떻게 대책을 마련하느냐도 상당히 중요한 부분인 것 같습니다.

So, in fact, we need to reinforce it as much as possible and at least address it, but I think how we manage and prepare countermeasures when a situation occurs, like a bridge collapsing, is also a very important part.

사실.

Fact.

이런 부분에서 민간 업체.

Private companies in this regard.

또 중요하지만은 정부에서 같이 협력해서 해야 되는 부분이 사실 큰 것 같아요.

It's also important, but I think a significant part is that the government needs to work together on it.

네.

Yes.

뭐 어떤 게 있을까요?

What could there be?

그런 정보하고 함께 해야 되는 부분이.

The part that needs to be done together with such information.

그러니까 사실 이번에 그 미국 정부에서 했던 부분은 일단 그 정보를 잃어버리긴 해킹을 당하긴 했지만은 상당히 바람직한 부분이라고 생각을 하거든요.

So, I believe that the actions taken by the U.S. government this time, despite losing that information due to hacking, are quite commendable.

그런 부분에서 그러니까 결론적으로는 그 자체의 데이터가 중요한 게 아니라 물론 중요하죠.

In that regard, the conclusion is that the data itself is not the most important thing, although it is important.

중요한데.

It's important.

그 데이터를 악용해서 2차 피해가 발생하는 건데 이제 그거를 막겠다는 거거든요.

It's about preventing secondary harm that occurs from misusing that data.

음.

Um.

그러면 예를 들어 어떤 특정한 정보를 빼가려고 하면은 좀 얘기는 다를 거고요.

Then, for example, if you are trying to extract some specific information, the discussion would be different.

근데 예를 들어 극전적인 이득을 취해서 해킹을 하려고 했을 때 내가 그 정보를 빼놨다고 하더라도 거기에서 내가 금전적인 정보를 얻을 수, 금전적인 이득을 취할 수 없다라는 부분이 생기면 아무래도 그런 부분에 해킹이 좀 더 둔화될 수 있는.

However, for example, if someone tries to hack in order to obtain extreme profits, even if I have extracted that information, if there is a part where I cannot obtain financial information or realize financial gains, then hacking in that area may slow down.

네.

Yes.

그런 거죠.

That's right.

있겠죠.

There will be, right?

그래서 그런 부분에서 그 이른바 해커들의 의욕을 감퇴시킬 수 있는.

So, in that regard, it can dampen the motivation of those so-called hackers.

음.

Um.

그런 게 상당히 중요한 부분인 거예요.

That is quite an important part.

그러니까 개인 정보가 이제 유출이 됐다.

So, personal information has now been leaked.

예를 들어서 아이디하고 뭐 패스워드 뭐 이런 같은 게 유출이 됐다.

For example, things like IDs and passwords have been leaked.

그거 자체로도 이제 물론 이제 피해가 발생을 했는데 그걸 가지고 어떤 다른 시스템에 나인 척 들어가서 혹은 나인 척하고 뭔가를 만들어가지고 딴 짓을 하는 게 이제 더 큰 문제가 될 수 있는 거죠.

That itself has now caused damage, but pretending to be someone else and entering another system or creating something while pretending to be someone else can lead to even bigger problems.

네.

Yes.

음.

Um.

네.

Yes.

그래서 뭐 하여튼 문제가 발생했다는 것을 알았을 때 아는 순간에 그 개인의 판단, 그 담당자의 판단이 굉장히 중요한 거네요.

So, anyway, when realizing that a problem has arisen, at that moment the individual's judgment, the judgment of the person in charge, becomes very important.

네.

Yes.

그런데 아까 뭐 잠깐 얘기 나왔던 그 뭐 하트 브리드라든지 그 스펙터 같은 거는.

By the way, the thing we briefly talked about earlier, like Heartbreed or Specter, is...

사실 굉장히 이제 의도된 게 아니라.

In fact, it wasn't really intentional.

모두가 최선을 다해서 시스템을 만들다 보니까 어떻게 들어간 구조적인 문제를

As everyone is doing their best to create the system, it leads to structural problems that have arisen in the process.

약간 다른 방식으로 프로그래밍을 짰던 것들이 발견을 하거나 물론 미리 발견했습니다만

There were things that I had discovered or of course had found out beforehand in a slightly different way of programming.

그런 식으로 짰던 것들이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것들이잖아요.

Things that were made that way can cause problems.

어떤 악의도 없는 상태에서 선의와 선의가 맞물리다 보면 발생할 수 있는 것들인데

These are things that can occur when goodwill and goodwill intersect in a state where there is no malice.

이런 것들이 그나마 그렇게 널리 쓰이는 SSL 그런 거라든지 아니면 CPU라든지 이런 것에서는 발견이 쉬울 것 같은데

Such things seem easier to find in widely used technologies like SSL or CPUs.

어쩌다가 쓰는 정보 시스템이라든지 어쩌다 쓰지만 굉장히 중요한 그런 시스템들이 많잖아요.

There are many systems that are used occasionally but are very important.

그런 것들이 수도 없이 있을 것 같아요.

I think there will be countless things like that.

그렇겠죠.

That's right.

우리의 삶에서 더 이상 어떤...

No more... in our lives.

아까 말씀하셨지만 아무래도 전자정부 쪽으로 가면 같이 반대로는 안 가겠죠.

As you mentioned earlier, it seems that if we move towards e-government, we won't be hea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gether.

그렇다 보면 예를 들어 세금 보고 하려면 1년에 한 번 하는 거지만

In that case, for example, tax reporting is done once a year.

경우에 따라서는 몇 번씩 하지 못할 수도 있지만 어쨌든 1년에 한 번 한다고 봤을 때

Depending on the situation, it may not be possible to do it several times, but when considering it is done once a year anyway.

항상 보면 매번 패스워드 까먹고 다시 불러야 되고 뭐 하고 그런 거 하다 보면

Whenever I see it, I always forget the password and have to call it again, and doing things like that...

아무래도 관리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죠.

There may be management issues that could arise.

그리고 그런 시스템들 같은 경우는 유저들의 검증을 매일 받는 게 아니라 1년에 한 번 정도 받는 거라서

And in the case of such systems, they are not verified by users daily, but rather about once a year.

터지는 순간 크게 터질 수밖에 없겠네요.

It must blow up greatly the moment it bursts.

그렇죠. 그리고 그게 예를 들어 세금 보고하는 기간이 바로 끝난 직후에 데이터가 새 나갔을 때는

That's right. And for example, when the data leaked just after the tax reporting period ended,

어떻게 보면 1년 가까운 기간 동안 아무도 모를 수도 있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죠.

In a way, a situation may arise where no one knows for almost a year.

그런 게 흥미롭네요.

That's interesting.

워낙 주기적으로 쓰다 보니까 주기가 돌아올 때만 사람들의 관심이

People's interest only comes back when the cycle returns because it's used so regularly.

마치 cctv 카메라가 천천히 회전하면 그 뒤에 숨어있어서

It's as if it's hiding behind while the CCTV camera slowly rotates.

뭔가 나쁜 짓을 할 수 있는 것처럼

It feels like I could do something bad.

그렇군요.

I see.

일종 이론 브릿지라는 것은 늘 언제든지 문제가 생길 수 있고

A so-called theoretical bridge can encounter problems at any time.

정보가 제외하고 학생이 아닌 거잖아요.

Excluding the information, it means you're not a student.

정보에 누수는 생길 수밖에 없는데 그거를 처음 발견했을 때 발생 당시의 그 당사자의 결심, 결정 이런 게 굉장히 중요하다 이런 걸 깨닫게 됐어요 저는.

There is bound to be a leakage of information, and when I first discovered it, I realized that the decisions and resolutions of the parties involved at the time of the incident are very important.

보통 당사자들은 관리자들은 아마 그 윗선에 보고는 아마 할 겁니다.

Typically, the parties involved will likely report to the higher-ups.

이제 그 윗선 메인저라든가 아니면 그 윗선에서의 사실 결단이 중요할 수도 있죠.

Now, the main decision from the higher-ups or a decisive action from them could be important.

그렇죠. 이거를 공개를 할지 아니면 재빨리 패치를 만들어서 다른 거 업데이트할 때 설정 묻어서 덮어서 아무도 모르게 할지 아니면 파트너들한테만 빨리 가르쳐 줄지 아니면 일종의 엠바워를 걸어서 언제 언제까지 해서 다음 메이저 업데이트가 나올 때까지 좀 참기 한다든지 수많은 옵션들이 있을 것 같아요.

That's right. There seem to be numerous options, such as whether to make this public, quickly create a patch and cover it up quietly during the next update, teach partners quickly, or even implement some kind of embargo to hold off until the next major update comes out.

그래서.

So.

많은 회사들이 아까 말씀하신 엠바고 형태를 많이 취하는 것 같긴 합니다.

It seems that many companies adopt the embargo type that you mentioned earlier.

그러니까 기본적으로 주변에는 리포트를 하고 빨리 패치를 업데이트하고 그게 패치가 완성되면 그때 공표를 하는 게 어떻게 보면 이제 회사 입장에서는 이제 그 공표인데 마침 지금 대책이 없다 그러면은 더 많은 피해가 발생할 수도 있으니까 사실은 그 부분에서 빨리 알려야 된다.

So basically, around the situation, we should report and quickly update the patches, and once those patches are completed, that's when we announce them. From the company's perspective, that announcement is crucial, but if there are currently no measures in place, it could lead to more damage, so we actually need to inform quickly about that part.

그런데 대책 없이 빨리 알리는 것도 사실 좋은 방법은 아닌 것 같긴 하네요.

However, I don't think spreading information quickly without a plan is a good method either.

그래서 우리가 흔히 얘기하는 뭐 그런 제로데이 공격 그런 것들도 그 사이에서 벌어지는 일이잖아요.

So what we commonly talk about, like those zero-day attacks, are things that happen in the meantime.

발견은 됐는데 패치가 안 나온 그런 상태에서 그냥 무방비로 대책 없이 당할 수밖에 없는.

The issue has been discovered, but without a patch released, we are left defenseless and have no choice but to endure it without any countermeasures.

제가 알고 있고 구글 같은 데서는 이제 그러한 것들을 발견한 팀이 있는데 그 이번에 인터넷 케이스도 마찬 하트 블리딩 케이스였네 그때도 했지만은 그 어느 정도 기한을 주고.

I know that there is a team that has discovered such things on Google and this time the internet case was also a heart bleeding case, as it was back then, but they were given a certain amount of time.

그때까지는 그 당사자만 알리고 공개를 하지 않더라고요.

Until then, only the parties involved are informed and it's not made public.

그런데 어느 시간이 지나서 충분히 개발 시간이 지났다 싶으면 그때 오픈을 하고 그러한 정책을 취하는 것 같긴 합니다.

However, after some time has passed and it seems like there has been enough development time, it seems that they open it up and adopt such policies.

그렇군요.

I see.

사실 사이버케이스 스케어치를 관점에서 보면 상당히 중요한 부분이라는 것은 아까 말씀하신 것처럼 개인적인 정보의 보호라는 부분도 있고.

In fact, when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yber case scare, it is quite an important aspect, as you mentioned earlier, regarding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약간 정부에서 관리하고 있는 여러 가지 자료 그런 부분도 있지만 사실은 먼저 빨리 확보가 돼야 되는 부분이 이제 점차 트렌드라고 할 수도 있고 사람들이 얘기하는 인터넷 오브 띵 사실 그런 부분이 굉장히 중요할 것 같거든요.

There are various materials that are somewhat managed by the government, but the part that really needs to be secured quickly is gradually becoming a trend, and what people are talking about, such as the Internet of Things, seems to be very important.

그러니까 이거는 이제 인포메이션의 브릿지가 아니라 이제 해킹 그리고 이제 제가 저희가 가지고 있는 우리가 가지고 있는.

So this is not a bridge of information but rather hacking, and what we have, what we have.

어떤 장비들의 컨트롤을 잃어버리는 상황 그런 부분들이 되겠죠.

It would be situations where control of certain equipment is lost.

그래서 뭐 심각한 경우는 이제 예를 들어 어떤 심장이 나쁜 환자들의 페이스메이커를 가지고 있는데 그걸 이제 컨트롤을 잃어버릴 수 있다.

So in serious cases, for example, there are patients with bad hearts who have pacemakers, and they can lose control of it.

다른 사람이 컨트롤을 하면서 그 랜섬웨어 하듯이 거기에 랜섬웨어에서 들어갈 수 있을 때.

When someone else is in control and can access it like ransomware does.

그러니까 사실 보안 자체가.

So, in fact, security itself is...

그 아까 말씀 블록체인이라든가 기타 등등의 분산 시스템에 의해서 어느 정도 그런 보안이 확보가 돼서 그런 부분에 보호가 되면은 그런 부분에 해킹이 있을 때 그러니까 리커버를 가능할 수도 있는 부분도 있거든요.

As I mentioned earlier, with the security provided by distributed systems like blockchain and others, if those aspects are protected, there could be some possibility of recovery in case of hacking in those areas.

그러니까 사실 사이버 스퀘어티가 내가 보안을 하고 들어오지 못한다.

So, in fact, cyber security prevents me from accessing it.

하지만 그런 부분도 있고 예를 들어 어떤 분산된 시스템에서 그 어떤 분산된 어떤 파트가.

But there are such aspects, and for example, in some distributed system, some distributed part.

해킹을 당했다.

I was hacked.

그래서 오염된 시스템이 있을 때 그걸 체크해서 분산이 있다.

So when there is a contaminated system, it is checked to see if there is any dispersion.

그 부분을 빼버리고 나머지 부분으로 연산을 해서 계속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방법들이라든가.

Methods such as removing that part and continuing the process using the remaining parts for calculations.

그런 부분은 아까 말씀 처음에 했던 부분은 제도적인 파트가 되겠지만은 지금 말씀드린 기술적인 파트.

The part I mentioned earlier would be the institutional aspect, but what I am talking about now is the technical aspect.

사실 제도적인 파트는 물론 같이 함께 해야 되지만은 정부에서 해야 될 부분이 많을 것 같고요.

In fact, while the institutional part certainly needs to be done together, I think there is a lot that the government should handle.

물론.

Of course.

기술적인 파트는 아무래도 정부 기관도 있겠지만은 민간연구소 라든가 그런 부분에서 많이 감당해야 될 것 같고.

It seems that the technical aspects will largely need to be managed by private research institutes, even though there are government agencies involved.

또 그 부분에서 민간에서의 자본도 그렇지만 아까 말씀드렸듯이 정부에서의 어떤 그런 정책적인 지원도 있으면 좋을 것 같고요.

Also, in that regard, it would be nice to have some policy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long with private capital, as I mentioned earlier.

사실 두 가지가 함께 병행이 돼야겠죠.

In fact, both things should be pursued together.

말씀하신 것 중에서 좀 뭐랄까 생각을 우리가 좀 그동안 못했었던 것 중에 하나가.

One of the things we haven't really thought about until now is something you mentioned.

그 취약점이 한 곳에 몰려있는 케이스들이 많은 것 같아요.

It seems that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vulnerabilities are concentrated in one place.

특히 사회적으로도.

Especially socially.

그래서 그것만 함락이 되면은 많은 것들이 뚫리는.

So if that one thing is captured, many things will open up.

그러면은 공격 대상을 특정할 수 있는 경우가 많은데 말씀하신 것처럼 그것이 무엇이 됐든 블록체인이 됐든 뭐가 됐든 분산화가 되거나 아니면 다중으로 백업으로 활용할 수 있는 무언가가 있거나.

In that case, there are often situations where the target of the attack can be specified, and as you said, whether it’s something like blockchain or anything else, it can be something that is decentralized or something that can be used with multiple backups.

하여튼 결국에는 분산이 될 수밖에 없을 것 같은데.

Anyway, it seems like it will inevitably end up being distributed.

그런 식으로.

In that way.

기술적으로 이제 구현이 되어 있다라면은 어떤 공격이 쏟아졌을 때 굉장히 탄력적으로 대응을 할 수가 있을 것 같아요.

If it is now technically implemented, I think we will be able to respond very flexibly when an attack occurs.

쉽게 죽지 않는 그런 시스템이 만들어질 수가 있다라는 생각이 드는데.

I think a system that doesn't easily die can be created.

그야말로 아까 말씀하신 IoT 사물인터넷 시대가 되면은 엄청나게 많은 정보들이 오고 갈 것 같아요.

Indeed, when the era of IoT (Internet of Things) that you mentioned earlier arrives, it seems like an enormous amount of information will be exchanged.

특히 정보사에 대해서.

Especially regarding the intelligence agency.

그야말로 센서 네트워크라고 해도 말할 수.

It can truly be called a sensor network.

예를 들면 우방할 정도로 정말 많은 데이터들이 흡수되고 있잖아요.

For example, a truly vast amount of data is being absorbed to the extent that it can be considered overwhelming.

그렇죠.

That's right.

그런 것들이 만약에 어느 한 길목에서 취약점이 노출된 상태로 공격 대상이 된다면은 이룰 수 있는 것들이 지금까지는 그냥 주민번호 정도였었는데 훨씬 더 많을 수가 있을 것 같아요.

If such things are targeted for attack while being exposed to vulnerabilities at some point, what could be achieved so far has only been things lik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s, but it seems like there could be many more.

그런 면에서 보안을 좀 강화한다는 면에서 분산과 같은 이런 새로운 기술 철학이나 트렌드를 도입을 하거나 연구를.

In that regard, it is important to introduce or research new technological philosophies or trends, such as decentralization, to strengthen security.

하는 의미가 있겠네요.

It would mean something.

그렇죠.

That's right.

아까 말씀드린 것처럼 예를 들어 창과 방패성.

As I mentioned earlier, for example, the spear and shield.

항상 창, 방패가 뚫린다라고 말씀드렸던 게 사실 사이버보안 같은 경우도 많은 연구 분야가 이 시스템은 완전히 안 뚫린 시스템이다.

It's true that I've always said that the spear and the shield can be pierced, and in the case of cybersecurity, there are many areas of research claiming that this system is completely unbreachable.

라고 가정하기는 좀 힘들 것 같습니다.

I think it’s a bit difficult to assume that.

그래서 이제 뚫렸는데 여기서 어떻게 회복을 할 거냐.

So now it's opened up, but how are we going to recover from here?

그러니까 자동적으로 문제가 되는 부분을 쳐내고 그것을 리셋시켜내고.

So, it automatically cuts out the problematic parts and resets them.

리셋하신다든가 그것을 배제시키고 그러면 지금 현재 안전하다고 체크되는 그 부분만 가지고 어떻게 수행을 해서 어느 정도까지 이걸 이끌어갈 건가라는 부분이거든요.

It is about whether to reset or exclude that, and then how to proceed with only the parts that are currently checked as safe, and to what extent this will be carried forward.

사실은.

The truth is.

그래서 아까 말씀드린 분산 이런 부분들.

So, about the dispersion I mentioned earlier.

그다음에 아니면 회복이라고 하나요.

Then, is it called recovery?

그 네트워크 자체로 회복시키는 방법.

A way to recover through the network itself.

그런 부분도 있을 수 있고요.

There could be that kind of aspect as well.

그런 부분들에서 결론적으로는 계속 공격도 있을 수 있고 계속 어떻게 오염되는 부분들이 있겠지만 그것을 계속 치유해가면서 고쳐가면서 계속 전체적인 시스템을 망가뜨려 끌고 가는 사실 그 방향이 현재 저희가 가지고 있는 기술적으로 가지고 있는 한계를 충분히 인정하고 나갈 수 있는 부분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In conclusion, while there may continue to be attacks and areas of contamination, I believe that as we continuously heal and fix these issues, we can avoid completely breaking the overall system. This direction acknowledges the technological limitations we currently possess.

그러니까 뚫리는 걸 가정을 해야 된다라는 거네요.

So we have to assume that it will be penetrated.

그러니까 이것도 살아있는 생명체이기 때문에 병이 걸리고 아프고 다치는 거를 당연히 가정을 하고 완벽할 수는 없고 분명히 무슨 일이 생긴다라는 가정 하에서 어떻게 하면 회복 탄력성을 가져갔지.

So, since this is also a living organism, it's natural to assume that it can get sick, feel pain, and get injured. It can't be perfect, and under the assumption that something will definitely happen, how can we build resilience?

이제 리질리언스라고 보통 하잖아요.

Now we usually call it resilience.

한 대 맞았다고 뻗는 게 아니라.

It's not that I'm collapsing because I was hit once.

어떻게든 다시 추스려서 일어나고 팔다리가 잘려도 도마뱀처럼 어떻게든지 버텨서 꼬리를 버리고 가더라도 왜냐하면 그래야만 하는 시스템이라는 게 또 이 세상에는 있을 수가 있으니까 공격 좀 받았다고 들어놓아서는 더 큰 일이 벌어지는 시스템들이 있을 수 있으니까 그런 것들을 감안한 시스템을 앞으로의 시대에 있어서는 만들어야 된다 이런 말씀이신데 물론 제도도 그래야 될 것 같아요.

Somehow, we have to gather ourselves again and get up, even if our arms and legs are cut off, we must endure like a lizard, even if we have to lose our tail and move on, because there can be systems in this world that require that. There can be systems where receiving a little attack can lead to greater problems, so we must create systems that take those things into account in the future. I believe that applies to institutions as well.

어떤 변화가 있을 때 그냥 한 번.

Just once when there is some change.

한 대 맞았다고 그냥 그거 맞고 그냥 들어놓으면 안 되고 바로 그냥 털고 일어날 수 있는 그런 시스템이 물론 100% 수행은 못하겠지만 50% 40%만이라도 가동될 수 있는 기간 시스템일수록 그래야만 할 것 같아요.

Just getting hit once shouldn't be enough to simply let it go; there needs to be a system that allows you to shake it off and get back up. Of course, it can't be 100% effective, but I think it should at least operate 50% or 40% of the time.

그렇죠.

That's right.

그러니까 사실 분사 시스템의 장점이 그냥 분사만 하는 게 아니라 상당히 어떻게 하면.

So, the advantage of the spray system is not just that it sprays, but rather how it can be done effectively.

잉여적인 계산이 잉여적인 프로세스도 많지만은 상당히 효율성이 좋거든요.

While there are many redundant calculations and redundant processes, they can be quite efficient.

왜냐하면 그게 분산됐기 때문에.

Because it was dispersed.

그 잉여라는 거는 어떻게 보면 쓸데없다고 볼 수 있지만 다른 말로 얘기하면은 뭐가 하나가 문제였을 때 내가 대신에 이거 갖고 있으니까 그럼 난 이걸로 할래 라는 그게 가능한 거니까요.

That excess can be seen as useless in some ways, but in another sense, when there's a problem with something, having this allows me to say, "Then I'll use this instead."

그러니까 우리가 흔히 저거는 왜 저렇게 이중으로 하지 저거 너무 낭비 아닌가 그런 잉여가 결국은 때로는 시스템을.

So often we wonder why it's done in double layers like that; isn't it too wasteful? Sometimes that surplus ultimately affects the system.

생과 사의 그 기로를 만들 수도 있다라는 이런 말씀이신 거네요.

You mean that it could create a crossroads between life and death.

그렇죠.

That's right.

생존으로 인해서 필요한 잉여라는 것도 있다라는.

There is also the surplus that is needed for survival.

사람 사는 것도.

Living as a person.

그리고 단지 그게 자칫 잉여적인 부분이 이 정도면 안전하겠다라는 게 사실 그냥 저희가 대충 생각해서 하는 게 아니라 다 수학적으로 이 정도의 잉여를 만들어 놓으면.

And it's not that we're just roughly thinking that this amount of surplus would be safe; in fact, we've calculated mathematically that creating this level of surplus is sufficient.

이게 어느.

Which is this?

까지 어디까지 버틸 수 있다는 게 다 수학적으로는 증명이 돼 있으니까요.

It is all mathematically proven how far one can endure.

근데 사실 그 베이스로 하기 때문에 물론 이제 어느 정도 정 상황이 안 되면 사람이 껐다 켜야죠.

But actually, since it's based on that, of course, if the situation doesn't work out to some extent, people have to turn it off and on again.

어느 정도까지는 악을 수 있게끔 하는 거죠.

It's about allowing a certain degree of evil to exist.

사람도 마찬가지잖아요.

It's the same for people, too.

어느 정도 버퍼라든지 좀 여유가 있어야지 소중하게 자신의 소임을 다할 수가 있는데.

You need to have a certain amount of buffer or some leeway in order to fulfill your responsibilities meaningfully.

지나치게 몰아붙여서.

By pushing too hard.

하나만 하게끔 하면은 거기서 이제 실수를 하게끔 되죠.

If you only allow them to do one thing, they will end up making a mistake there.

근데 이런 그런 잉여조차도 또 수학적으로 계산이 가능하다라는 거네요.

But even such surplus can be calculated mathematically.

그렇죠.

That's right.

그래서 이거를 이 정도의 잉여를 가졌을 때 이 정도 확률로 생존 가능성이 높아진다.

So, when there is this amount of surplus, the probability of survival increases to this extent.

수학적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우리도 주 40시간만 일하고 나머지를 잉여를 배우고 했을 때 퍼포먼스가 좋다면 이런 계산도 가능할 수도 있겠네요.

Since it's mathematically possible, if we also only work 40 hours a week and perform well while learning the rest as surplus, such calculations could also be feasible.

이런 정도의 잉여를 하면은 한 100대를 맞았을 때 쓰러질 확률이 1%다라는 거죠.

If you do this level of surplus, it means that the probability of falling down after being hit about 100 times is 1%.

물론 1% 안쪽으로 100대 전에 쓰러질 확률도 있긴 있어요.

Of course, there is a chance that it could collapse within 100 units inside 1%.

그렇긴 하지만은 대부분은 이 정도로 간다고 보는 거죠.

Well, that's true, but most people think it goes to this extent.

인생론이 나오네요.

Here comes a philosophy of life.

우리도 우리 사연에 있어서 잉여를 한번 좀 계산을 해봐야 될 것 같아요.

I think we need to calculate the surplus in our story as well.

그게 결국은.

In the end, that is.

그게 결국은 우리 삶에 있어서의 회복탄력성을 갖추는 길일 것 같기도 하고.

I think that might ultimately be the way to cultivate resilience in our lives.

보통 지금 뭐 이런 것들 크게 많이 신경 안 쓰긴 뭐 보완 이런 것들은 대부분 특히 이제 정보 시스템 같은 경우에 이제 외부에 맡긴다기보다도 하청 줘서 들여온 시스템이 알아서 하는 거라라는 생각이 강하거든요.

Usually, I don't pay much attention to things like this, especially regarding improvements; in most cases, especially with information systems, there’s a strong belief that the systems brought in through subcontracting will take care of themselves rather than relying on external sources.

한국 같은 경우는.

In the case of Korea.

특히 뭐 일단 막 그.

Especially, well, first of all, um...

사용자 PC에 막 뭐 깔고 막 이래요.

They keep installing stuff on the user's PC.

잘 모르시겠지만.

You might not know, but.

그것도 뭐 직접 정보가 맞는 것도 아닌 게 아니라.

That's not entirely incorrect information either.

하청 조사한 것들.

Subcontracting investigations.

그런 것들이 알아서 하겠거려니 하면서 별일 없겠거려니 사용자들도 별일 없어야지 이제 내심 빌면서 그런 것들을 쓰고 있는 거죠.

Users are using those things while hoping that there won't be any issues, thinking that those things will take care of themselves and that everything will be fine.

굉장히 위태로운 일이잖아요.

It's a very precarious situation.

그런데 말씀하신 것처럼 이런 보완이라는 거는 그 정도 레벨에서 신경 써야 되는 게 아니라.

However, as you mentioned, such supplements should not be something to be concerned about at that level.

구조적으로.

Structurally.

애초에 이제 시스템을 철학 시스템을 만드는 단계에서부터 그리고 운영 철학까지 포함해서 함께 고려를 해야 되는 거네요.

From the very beginning, it seems that we need to consider both the stage of creating the philosophical system and the operational philosophy together.

이런 인여가 뚫리는 거를 가정하고 거기서 회복되기 위한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서는 그냥 앞에다가 못 들어오게끔 하는 그런 프로그램을 설치해서 되는 게 아니라는 거잖아요.

In order to create a system for recovery assuming this surplus is broken through, it’s not just about installing a program that prevents access in front.

그렇습니다.

That's right.

네.

Yes.

그렇군요.

I see.

이런 실사점이 있네요.

There is such a reality point.

재밌는데요.

It's fun.

네.

Yes.

사이버 시큐리티에 관련된 얘기는 언제 들어도 재밌는 것 같아요.

I feel like stories related to cybersecurity are always interesting to hear.

전장보호 관련해서 여러 가지 우리가 생각해야 될 실사점이 있을 것 같은데 그중에서도 오늘의 우리가 얻을 수 있는 키워드는 회복탄력성과 인이어 시스템을 설계함에 있어서.

I think there are various practical points we need to consider regarding battlefield protection, among which the keywords we can derive today are resilience and designing an in-ear system.

이게 건강에 지름길이거든요.

This is the shortcut to good health.

정신건강에 지름길이잖아요.

It's a shortcut to mental health.

그렇죠.

That's right.

육체적 건강, 정신건강에 지름길.

Shortcut to physical health and mental health.

중요한 거를 잊고 시스템의 건강을 외주 주려고 하는 움직임들이 많은데.

There are many movements trying to outsource the health of the system while forgetting important things.

외주를 주는 부분이 완전히 저거한 건데 아까 말씀드린 신뢰라는 부분들.

The part about outsourcing is completely related to what I mentioned earlier about trust.

정부와 민간의 신뢰라는 부분.

The aspect of trust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예를 들어 정부에서의 보안 시스템을 다 정부 안에서 개발하는 거는 사실 힘들 것 같아요.

For example, I think it's actually difficult for the government to develop all security systems in-house.

네.

Yes.

맞습니다.

That's right.

아무래도 기술적인 부분은 사실은 민간 쪽이 더 낫다고 보는 게 맞는 것 같고요.

It seems that, in fact, the private sector is better in terms of technical aspects.

그만큼 민간의 기술을 가져와서 정부 시스템을 업데이트한다고 필요한데.

It is necessary to bring in private sector technology to update the government system.

일종의 하청이죠.

It's a kind of subcontracting.

그것도.

That too.

그런데 이제 신뢰.

But now trust.

정부에서는 이 기업에 우리가 1만 만큼의 시간과 2만 만큼의 자본을 우리가 주면 믿을만한 시스템을 만들어주고 계속 관리를 해주겠다라는 거.

The government is saying that if we provide this company with 10,000 hours and 20,000 in capital, they will create a reliable system and continue to manage it.

민간 시스템은 이 정부에서.

The private system is in this government.

나한테 맡기고 계속 우리한테 서포트를 해서 이 시스템을 관리하게 해주겠다.

I will take care of it and continue to support us to manage this system.

그러한 신뢰관계가 있으면 서로 책임을 가지고 접근을 하는 방법이 될 거고요.

If there is such a trusting relationship, it will be a way to approach with mutual responsibility.

네.

Yes.

그 신뢰가 깨지면 진짜 말 그대로 한 번 하청 주고 일하면 끝이지 라든가 그런 정도의 신뢰밖에 형성이 되지 못한다면 그 시스템은 당연히 언제든지 깨질 수 있을 것 같고요.

If that trust is broken, then it can only establish a level of trust like "once you subcontract and get the job done, that's it," and if that's the case, that system can obviously break at any time.

네.

Yes.

함께 공생해서 살아가기 위해서는 중요한 게 신뢰지 않습니까?

Isn't trust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living together in harmony?

그런데 지금까지 정부 측의 이런 보안 시스템 같은 경우는 그게 지금 얘기했다 보니까 좀 부족한 것 같아요.

However, so far, it seems that the government's security systems, as discussed, are a bit lacking.

민간에서 굉장히 훌륭한 시스템.

An excellent system in the private sector.

그러니까 민간이라는 게 전 세계적으로 글로벌하게 검증된 시스템들이 많은데 이건 우리가 직접 한 게 아니니까 우리는 다르니까 우리의 환경은 다르니까.

So, there are many globally verified systems in the private sector, but since we didn't create this ourselves, we are different; our environment is different.

네.

Yes.

이런 것 때문에 충분히 이제 검증된 거를 안 쓰고 새로 만들거나 아니면 또 이너서클에서만 검증된 것들을 활용되는 것들을 쓰기가 써왔었거든요.

Because of this, there have been cases where verified methods are not used sufficiently, and instead, new ones are created or only those that have been verified within the inner circle are utilized.

그런 것들의 배경이 결국 이런 신뢰 부족에서 왔더라고 볼 수도 있겠네요.

One could say that the background of such things ultimately comes from this lack of trust.

네.

Yes.

좋습니다.

That's good.

우리가 어떤 새로운 시스템은 굳이 비단 정보뿐만 아니라 새로운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들도 있겠죠.

There may be new systems that involve not only information but also the design of new systems.

그런 것들의 배경은 굳이 비단 정보뿐만 아니라 새로운 시스템은 굳이 비단 정보뿐만 아니라 새로운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들도 있겠죠.

The background of such things can involve not just information but also the design of new systems.

그런 것들의 배경은 굳이 비단 정보뿐만 아니라 새로운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들도 있겠죠.

The background of such things includes not only information but also the design of new systems.

그런 거는 오히려 떨어질 수도 있지만

Such things could actually fall apart.

시스템 전체의

of the entire system

역량은

Capability

올라가는 면이 있다라는

There is a side that is rising.

그렇게 이해하면 되는 거죠.

That's how you should understand it.

그런 것들 덕에.

Thanks to things like that.

알겠습니다.

I understand.

여러 가지 좋은 조언을

Various good advice.

해주셔가지고

Thank you for doing (something).

지금 오늘 말씀하신 게

What you just said today is...

현재 연구하고 있는

Currently researching

그런 분야하고도 관련이 있으신 건가요?

Are you related to that field as well?

아니면

Or

어떤 부분은

In some parts

관련 있는 부분도 있고요.

There are also related parts.

어떤 부분은 관심 있게 지켜보고

Some parts will be watched with interest.

있는 부분도 있습니다.

There are also parts that exist.

사실은

The truth is

관련이 없어질 수가 없죠.

It can't be unrelated.

예를 들어 자율주행만 해도

For example, even just with autonomous driving.

계산을

Calculation

해야 되고

You have to do it.

안에서 정보를 주고받고

Exchanging information inside.

해야 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There are parts that need to be done.

사실은 그 부분이 많이

The truth is that part is a lot.

고려가 돼야 되는

It needs to be considered.

부분이기도 합니다.

It is also part of it.

그러네요. 어떻게 보면

That's right. In a way.

우리 세금 납부하는

We are paying taxes.

시스템은

The system is

잠깐 죽어도

Even if I die for a moment

잠깐 뻗어도

Even if I stretch out for a moment

그냥 그러려니 하진 않겠습니다만

I won't just let it go like that, though.

자동차가 달리다가

As the car was driving

잠깐 죽으면

If you die for a moment.

그렇죠?

Right?

이거는 진짜

This is really.

여기야말로 회복 탄력성이 필요할 수밖에 없겠네요.

This is exactly where resilience is needed.

그런 전체적인 시스템을

Such an overall system

고려함에 있어서도

In considering it

심지어 그런 시스템은

Even such a system

조차도

even

언제든지 아플 수 있고

You can get sick at any time.

얻어맞을 수 있다는 것을

That you could get hit.

감안하고

Considering

설계를 해야 된다.

We need to do the design.

이런 생각으로 임하시는 거네요.

You're approaching it with this kind of thinking.

네.

Yes.

알겠습니다.

Understood.

오늘 이 정도로 여러 가지

Today, this is about the various things.

다뤘던 것 같아요.

I think I dealt with it.

또 오늘 놓치신 이야기 같은 게 있을까요?

Is there a story that you missed today?

아니면 또 다음번에

Otherwise, next time.

관련된 얘기로

Speaking of related matters.

찾아뵐까요?

Shall we meet?

특별히

Especially

생각하고 있으면 빠진 부분은 없는 것 같은데요.

It seems like there isn't anything missing if you think about it.

네.

Yes.

오늘 이 정도로

Today, this is enough.

시간도 또 알맞게 됐기 때문에

Since the time has also turned out to be just right

오늘 혁선님하고의 대화는

Today's conversation with Hyukseon is

이 정도로 마무리하고요.

Let's wrap it up at this point.

다음에는

Next time

지금 이번 시즌이

Right now, this season is

미래의 정보 이런 얘기를 하다 보니까

Talking about future information, it seems...

저희 기술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People who like our technology

이야기하기가 조금 힘든

It's a bit difficult to talk.

토픽들이 많아요.

There are many topics.

토크가 오늘 좀 힘드셨을 수도 있을 것 같은데

You might have found the conversation a bit difficult today.

오늘의 대화는

Today's conversation is

다음에는 좀 더 편한

Next time, let's take it a bit easier.

기술 얘기로 좀 더 편하게

Let's talk about technology in a more comfortable way.

얘기하는 자리 꼭 한방받지 말라냈으면

I hope you don't get scolded during our conversation.

좋겠습니다.

It would be nice.

나름 즐거운 시간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It was a relatively enjoyable time. Thank you.

감사합니다.

Thank you.

오늘 또 캘리포니아

Today again in California.

덥죠?

It's hot, right?

오늘은 좀 낮습니다만 지난 한

Today is a bit low, but over the past week...

2, 3일간 굉장히 덥었어요.

It was really hot for 2 or 3 days.

네.

Yes.

한국보다 더웠을까요?

Was it hotter than Korea?

한국은 찜천인데

Korea is a hot spring.

저희 이쪽 저희가 사는

This side where we live.

지역이 남북 캘리포니아가

The region is North and South California.

지금 한 20년인데

It's been about 20 years now.

건조하긴 한다면 얼마 전에 섭씨로

If it is dry, then a while ago it was in Celsius.

45도가 나오더라고요.

It came out to be 45 degrees.

45도요?

Is it 45 degrees?

네.

Yes.

저는 처음에 화씨로 나오는 걸 보고

When I first saw it in Fahrenheit,

계산해보고 잘못 계산한 줄 알았습니다.

I calculated it and thought I had made a mistake.

그게 언덕에가 거기까지 숫자가 있나요?

Is there a number up to there on the hill?

올라가더군요.

It went up.

디지털이니까요.

Because it's digital.

디지털이니까요. 숫자 찍히는 것부터.

It's digital, so it all starts with numbers being printed.

디지털이니까.

Because it's digital.

45도도 가능하네요.

It can also be at 45 degrees.

근데 그래도 한국에

But still in Korea.

29도가 더 더울 것 같아요.

It seems like 29 degrees will be hotter.

그렇죠. 아무래도 건조하니까

That's right. It is indeed dry.

집에 들어가서

After entering the house

바람 쐬고 있으면

If I'm catching the wind

거늘에 들어가서 바람 쐬고 있으면

If I enter the sky and catch the wind,

쓰러질 정도는 아닙니다.

It's not to the point of collapsing.

여기는 피할 데가 없어요.

There is no place to escape here.

에어컨을 찾아가지 않으면.

If you don't find the air conditioner.

오늘 감사했습니다.

Thank you for today.

또 1년 뒤에 뵈면 안 되는데

We can't meet again in a year.

다음에 조금 더 빨리 모실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I will do my best to serve you a little faster next time.

꼭 좋죠.

It's definitely good.

감사합니다.

Thank you.

Continue listening and achieve fluency faster with podcasts and the latest language learning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