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P3][김은호 교수 9강] 느헤미야, 무너진 도시를 재건하다 - 느헤미야의 지속적인 개혁

CGNTV

나침반 바이블 [CGNTV]

[MP3][김은호 교수 9강] 느헤미야, 무너진 도시를 재건하다 - 느헤미야의 지속적인 개혁

나침반 바이블 [CGNTV]

영원위에 더 멀리 더 가까이 cgm tv

"Farther, closer beyond eternity - CGM TV"

내가 또 알아본 즉 레위 사람들이 받을 몫을 주지 아니하였으므로 그 직무를 행하는 레위 사람들과 노래하는 자들이 각각 자기 밭으로 도망하였기로 내가 모든 민장들을 꾸짖어 이르기를 하나님의 전이 어찌하여 버린 바 되었느냐 하고 곧 레위 사람을 불러 모아 다시 제자리에 세웠더니

When I learned that the Levites were not given their share, the Levites who performed the duties and the singers each fled to their own fields, I rebuked all the officials and said, "Why is the house of God neglected?" Then I gathered the Levites and set them in their places again.

이에 온 유다가 복식과 세포도주와

Then Judas came with a dress and a vessel of blood.

기름의 11조를 가져다가 곧간에 드림으로

By taking the eleventh part of the oil and offering it in the granary.

안녕하십니까

Hello.

나침반 바이브를 사랑하시는

Lovers of compass vibes

루이비아의

Louis Vuitton's

시청자 여러분 오늘은 루이비아의 마지막 장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Dear viewers, today we have reached the final chapter of Louis Vuitton.

하나님의 무너진 도시를 재건하는 이야기의 마지막 13장 아홉 번째 강의로서 루이비아의 지속적인 개혁을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As the ninth lecture of the final 13 chapters on the story of rebuilding God's fallen city, I would like to share about the ongoing reforms in Luibia.

오늘 루이비아에서는 처음 예루살렘에 도착한 이후에 온갖 방해와

Today in Louisiana, since arriving in Jerusalem, various obstacles have...

어려움 끝에 마침내 성벽이 완성되어지고 그 긴 대단원의 과정에 끝내게 됩니다

Finally, after overcoming difficulties, the fortress walls are completed, bringing an end to that long epic process.

대략 12년의 부임 기간 중에서 그는 잠시 귀국을 하게 되어집니다

During his approximately 12-year term, he will return to his country for a short time.

잠시 귀국한 후에 다시 또 총독으로 재부임해 옵니다

After a brief return to the country, I will be reappointed as governor again.

여기 이제 예후드라고 하는 지역에 바로 지금 베냐민지파와

Here, in a region now called Yehud, is right now the tribe of Benjamin.

지파가 살던 지역 정도의 어떤 그러한 동네이기도 합니다

It is a neighborhood similar to the area where the tribe lived.

여기 이제 재부임해서 그는 그의 공백기간에 개혁이 얼마나 지속되었는가를 기대했는데

Now that he has been reinstated here, he was hoping to see how much the reforms have lasted during his absence.

오히려 후퇴하고 변질되고 말았다는 것을 보게 됩니다

Rather, it seems that it has regressed and deteriorated.

여기서 그는 대제사장이 결탁하여 자신의 영향력을 행사했던 이 도비아라는 이 안마원의 인물을 추방시키고

Here, he expelled this Tobiah, a figure associated with the high priest who exercised his influence.

그는 이제 재부임과 동시에 재개혁을 단행하게 되는 것입니다

He is now going to implement reforms simultaneously with his reappointment.

그래서 오늘의 포인트는 개혁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뒤에 불과 몇 년이 지나지 않아서

So today's point is that it has been only a few years since the reform was successfully implemented.

어떻게 신앙적 퇴보와 변질이 일어날 수 있을까라고 하는

How can spiritual regression and distortion occur?

이 개혁 뒤에 나타났던 이 퇴보의 영향을 우리가 한번 생각해 보고

Let's consider the impact of this regression that appeared after the reform.

두 번째는 이것을 통해서의 변질이 일어날 수 있을까?

Could there be a degradation through this?

이것을 지속적으로 이루기 위하여 우리에게는 무엇이 필요했을까?

What did we need to achieve this continuously?

성경은 여기에 기도해 그 대안들을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The Bible shows us the alternatives by praying here.

오늘 13장의 마지막의 이야기는 크게 둘로 나눠져 있습니다

The story at the end of chapter 13 is divided into two main parts.

그것은 첫 번째 개혁이 이루어졌던 것과 동시에

It was also at the same time that the first reform took place.

그 공동체에 무엇을 그가 했었는가라는 과거의 사건을

What did he do for that community in the past?

다시 기억해 주고 있고요

I am remembering again.

이것은 그래서 어떻게 보면 13장 4절과는 시간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So in a way, there is a temporal difference from verse 4 of chapter 13.

그럼에도 불구하고 13장 1절에서 3절의 이야기를 여기다 집어넣었을 때

Nevertheless, when the story from verses 1 to 3 of chapter 13 was included here.

이유는 뭘까라고 얘기할 때

When talking about what the reason is.

그것은 그 개혁이 왜 단절되었는가라는 것을 상기시켜주기 위한

It serves to remind us why that reform was interrupted.

어떤 역설적인 어떤 그런 본문의 위치가 아니겠는가라고 우리가 이해할 수가 있습니다

We can understand it as a position of some paradoxical nature in the text.

그런 첫 번째 있었던 그 개혁의 모습이

The appearance of that first reform.

3절에 과거의 사건을 머리만에 두고 있고요

In the third verse, it only focuses on past events.

두 번째로는 이것을 어떻게 그럼 다시 재개혁을 이루었는가라고 하는

Secondly, how then did this achieve reform again?

두 번째 개혁의 이야기가 4절부터 31절까지입니다

The story of the second reform is from verse 4 to verse 31.

이 4절부터 31절까지를 다시 크게 나눠보니까

When I took another look at verses 4 to 31, I divided them up significantly.

여기에 성전정화가 있었고 여기에 정상화를 어떻게 회복했는가

There was a temple purification here, and how was normalization restored here?

그리고 이것을 위한 그들의 안식일 준수와

And their observance of the Sabbath for this.

그리고 이 일들의 중심에는 이방인들이 섞여 있었던

And at the center of these events were the outsiders who were mixed in.

그들은 혼합주의로를 어떻게 축출하는가

How do they expel the path of syncretism?

라는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You can see that it is composed of a story that goes like this.

오늘 첫 번째 반락으로 등장하는 그 도입 부분으로서

As the introduction that appears in the first backlash today

1절에서 2절부터 3절까지는

From verse 1 to verses 2 and 3.

공동체 정교를 위한 정화의 옛 모습을 다시 상기시켜주고 있어요

It reminds us of the old form of purification for community rituals.

아까도 언급했던 것처럼 1절에서 3절이 낙성식을 하던 때를 얘기해주고 있습니다

As mentioned earlier, verses 1 to 3 talk about the time when the graduation ceremony was held.

그리고 4절서부터는

And from verse 4 onwards

여기서부터 31절은 느에미아가 다시 페르시아로 갔다가 되돌아와가지고 그가 일어났던 이야기로서의 구성적인 내용들을 담고 있기 때문에

From this point, verse 31 contains the substantive details of the story when Nehemiah returned to Persia and then came back.

아까 그것을 우리가 지속적인 느에미아의 개혁이다라는 우리가 표제를 사용했던 것입니다.

Earlier, we used the title that it is a continuous Nehemiah reform.

여기에 그 도입 부분으로서 즉 낙성식에 있었던 그 사건들을 그는 다시 한번 상기시키면서 유대인들이 하나님의 은혜를 망각하고 성전을 더렵혔어요.

As part of the introduction here, recalling the events that took place at the dedication ceremony, he reminds us that the Jews forgot God's grace and defiled the temple.

그리고 그것은 안식일을 어기는 일들과 또 이방인들과 혼연하는 죄를 범해했다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And it can be seen that it committed sins by breaking the Sabbath and mixing with the Gentiles.

이것이 특별히 사회적 분위기의 대제서장의 손자들까지도

This particularly includes the grandchildren of the grand high priests of the social atmosphere.

이방 여인과 결혼할 정도였다면 이것은 그 사회에 얼마나 만연되어 있는 혼합주의적인 성격이 팽배해졌는가라고 우리가 한번 그 과거의 이야기들을 엿볼 수가 있습니다.

If he was to the extent of marrying a foreign woman, we can glimpse how prevalent the hybrid nature had become in that society.

공동체 제거는 건물을 세우고 성벽을 쌓았다고 끝나는 것이 아니었어요.

Removing the community did not end with building structures and erecting walls.

그것은 봉원식을 했다고 지속되는 것도 아니었단 말이에요.

It doesn't mean that it continued just because a ceremony was held.

하나님의 말씀이 그들 가운데.

The word of God among them.

그런데 어떤 기준이 되어지지 못했을 때 결국 그들의 모든 것들이 허물어진 것을 알 수가 있었습니다.

However, when no standard was established, it became clear that ultimately everything they built had collapsed.

오늘 두 번째 개혁으로서는 바로 이 과거의 사건을 다시 상기시키면서 오늘 그들을 새로운 개혁의 자리로 초대하는데

Today, as a second reform, I would like to remind you of this past event and invite them to a new place of reform.

그 첫 번째는 성전을 정결케 하는 데 있습니다.

The first is to cleanse the sanctuary.

그리고 그것을 다시 제자리로 돌려주는 정상화.

And the normalization that brings it back to its original state.

그리고 그것을 그들의 일상생활 속에서 이 성전 중심의 가장 큰 예배는.

And the greatest worship centered around this temple in their daily lives is.

안식일에 있기 때문에 그 안식일 수축을 그들에게 다시 준행하게 하는 것입니다.

It is to make them observe the Sabbath restrictions again because it is the Sabbath.

그리고 이것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집근까지 혼재되어져 있던 삶의 자리를 정화시키는 이방인들의 축출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And in order to preserve this, it is manifested through the expulsion of outsiders who purify the spaces of life that were mixed even in their homes.

이렇게 느에미아에서의 마지막 지속적인 개혁을 얘기하는 성전 정화는 다른 것이 아니었습니다.

The purification of the temple, which speaks of the last ongoing reforms in Nehemiah, was nothing other than this.

특별히 도비아는.

Especially Dobia.

도비아는.

Dobby.

성덕 삼발락과 하여튼 그 협압을 해가지고 느에미아가 혹은 스루파벨이 그 예루살렘을 다시 회복하려고 할 때 추적적인 회방자였어요.

In any case, when Nehemiah or Zerubbabel was trying to restore Jerusalem with the cooperation of the saints, they were obstructive opponents.

그 다음에 사례를 모의하기도 했었습니다.

After that, we also conducted a mock case.

그리고 그들은 빗대어 말하기를 야 여우도 올라가면 무너질 말이야 성벽이라고 그렇게 조롱했던 사람들입니다.

And they mockingly said, "Even if a fox climbs up, it will collapse the wall," referring to those who were ridiculing.

아마 그러기에 우리가 12장에서도.

Perhaps that's why we are in chapter 12 as well.

아마.

Maybe.

성벽 위를 그들이 찬양대와 함께 걸으며 하나님의 어떤 그러한 영광을 노렸던 것은 아마 주변 사람들에게 그러한 데몬스트레이션을 보여주기 위한 어떤 그러한 모습이라고 말할 수도 있겠죠.

They might be walking on the walls with the choir, possibly to showcase a demonstration of such glory of God to the people around them.

특히 6장에서 보면 1절 12절 14절을 볼 때 도비아가 삼발락보다 전면으로 부각되어지면서 주도적인 인물로서 방해 공작을 하는 것을 볼 수가 있어요.

Especially in chapter 6, when looking at verses 1, 12, and 14, we can see that Tobiah is highlighted more prominently than Sanballat, acting as a leading figure in the efforts to undermine.

그런데 오늘 스가니아.

By the way, today is Sgania.

나의 사위로 정략 결혼까지 했다는 거예요.

It means that I even had a political marriage with my son-in-law.

그러기에 그가 만남 자기 마음대로 멋대로 성전의 방을 사용했다고 말할 수가 있죠.

Therefore, he can be said to have used the temple's rooms as he pleased, according to his own desires.

그는 지금 이런 결혼들을 통하여 그의 어떤 힘에 예루살렘에까지 미쳤고 예루살렘의 그 성전에 귀한 보아들을 두는 그런 창고까지도 자기 마음대로 사용하는 그러한 하여튼 모략적인 인물이라고 말할 수가 있습니다.

It can be said that he is a scheming figure who has now extended his power through these marriages even to Jerusalem, and is able to use the storages that hold precious treasures in the temple of Jerusalem as he pleases.

바로 그것을 총독으로서 적어도 행정관으로서 있었던 니엠에게는 그것이 아마 통찰력이 보였다고 말할 수 있겠죠.

That can probably be said to have appeared insightful to Niem, who was at least an administrator as a governor.

그래서 단호한 정결 조치를 취했던 것입니다.

So, decisive cleanliness measures were taken.

그래서 8절에서 9절에 보면 다 내어던지고 다시 잃어버렸던 그 모든 성전의 기구들을 다시 제자리로 들여놓았다는 것이에요.

So, in verses 8 and 9, it says that they cast everything aside and returned all the temple utensils that had been lost back to their proper place.

지속적인 개혁에는 여러분 이 단어가 끊어버려야 될 것을 끊고 다시 제자리로.

Continuous reform requires you to cut off what needs to be cut and return to your original position.

다시 제자리를 찾아야 될 것들을 다시 제자리로 놓아야 된다는 것입니다.

It means that we need to put things back in their proper place.

시편은 우리에게 말하기를 의인은 악인의 회중에 쓸 수 없다고 말하고 있어요.

The psalm tells us that the righteous cannot stand in the congregation of the wicked.

그런데 지금 하나님의 전에 악인이 거했단 말이에요.

But now the wicked inhabit the house of God.

그래서 하나님의 그 거룩성이 침해됐다고 말할 수 있는 거예요.

So it can be said that God's holiness has been compromised.

그러한 중대한 과오를 제사장이 지금 하고 있었다는 거예요.

The priest was committing such a significant mistake right now.

이 9절의 이야기는 이런 성전에 정사화가.

The story of this verse is a portrayal of such a temple.

정사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I am trying to pursue normalization.

니에미아는 레위인들을 소홀하게 대했던 지도자들의 무책임을 인하여 그들을 꾸짖습니다.

Nehemiah rebukes the leaders for their irresponsibility towards the Levites.

이미 12장에서도 그것을 지속하기 위해 레위인들에게 새로운 기능과 그 직무를 감당할 수 있도록 보장해줬지만 결국 그것이 오래 지속되지 않았다는 거예요.

In already chapter 12, it assured the Levites of new functions and the ability to carry out that duty to continue it, but in the end, it did not last long.

우리가 리더를 세워놓고 리더들에게 그 일들을 감당할 수 있는 그러한.

We establish leaders and empower them to handle those tasks.

생계적 보장이라든지 이런 것들이 있어야 되는데 그런 것들을 할 수가 없었어요.

There should be things like livelihood security, but we couldn't do those things.

그래서 생계를 위해서 들에서 일할 수밖에 없었던 레위인들의 모습을 여기서 잠깐 언급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We can see a brief mention here of the Levites, who had no choice but to work in the fields for their livelihood.

그래서 충직한 들을 다시 세워가지고 레위인들에게 11조를 분배하게 합니다.

So, he reestablishes the faithful ones and distributes the tithe to the Levites.

이 같은 선한 일로 인하여 니에미아는 하나님께 그들을 기억해달라고 하는 마지막 단락의 기도문을 여기서 볼 수 있습니다.

Due to such good deeds, we can see Nehemiah's prayer in this last paragraph, asking God to remember them.

이 기도문은 독특하게 니에미아에서의 마지막 장에 3개의 단락으로 구별되어지는데 10절에서 14절, 15절에서 22절, 23절에서 31절인데요.

This prayer is uniquely divided into three paragraphs in the last chapter of Nehemiah: from verses 10 to 14, from verses 15 to 22, and from verses 23 to 31.

여기에 패턴은 그들이 무엇이 붕괴됐는가를 얘기해요.

The pattern here tells what has collapsed.

11조 규례가 붕괴되었고요.

The rules of Article 11 have collapsed.

그 다음에는 무엇이 두 번째 붕괴됐냐면 안식일 규례가 붕괴되었어요.

The next thing that collapsed was the Sabbath regulation.

그리고 또 세 번째는 무엇이 붕괴되었냐면 그들의 결혼 규례입니다.

And the third thing that has collapsed is their marriage customs.

여러분 결혼이라고 하는 것은 내가 사랑하는 사람을 선택한다고 하는 그 단순한 사랑의 시작점이라고 얘기하는 것이 아니라

Marriage is not simply the starting point of love where I choose the person I love.

결혼의 제도를 창세기서부터 우리가 소급해가면 하나님의 나라를 이루는 하나님이 최초로 만드신 에덴 농산의 규례법입니다.

If we trace the institution of marriage back to the Book of Genesis, it is the statute established by God for the creation of the kingdom of God in the Garden of Eden.

그런데 그 규례를 우리가 상실할 때 그것이 얼마나 하나님의 나라를 이루는 것인가.

However, when we lose that commandment, how much does it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God's kingdom?

하나님의 나라의 모든 질서가 망가지는가라고 하는 것을 우리가 상기해야 됩니다.

We need to remind ourselves that the order of God's kingdom is being disrupted.

느에미아의 지속적인 개혁은 이러한 11조 소유에 대한 개념이죠.

Nehemiah's continued reforms are based on the concept of ownership of this tithe.

안식일, 그런 날짜에 대한 구별되는 의식입니다.

The Sabbath is a distinguishing ritual regarding such dates.

그 다음에 규례, 내가 선택할 수 있는 그 사랑하는 그 출발점과 그 목적을 어디에 두어야 되는가라고 하는 것을 우리가 좀 더 시작하는 데서부터 우리가 회복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Then, regarding the regulations, where should I place the loving starting point and purpose that I can choose? This is where our restoration begins.

그 회복을 지속하기 위하여 느에미아는 하나같이 이 단락이 끝날 때마다 기도와 기도와 기도로 그 이야기를 맞추고 있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To maintain that recovery, Nehemiah can be seen aligning the story with prayer and more prayer at the end of each section, consistently.

특별히 개혁의 어떤 그런 이야기들을 회복시킬 때마다 그들은 기도문으로서 그 이야기를 계속 연장선상에 두고 있다는 것입니다.

Whenever they restore any particular stories of reform, they continuously extend those stories as prayers.

그래서 오늘 첫 번째 11조 규례로 말미암아 붕괴되어지는.

So today, it is being collapsed due to the first 11 regulations.

그런 경제적 사회적 질서를 그런 말하기를 하나님이여 이 일로 말미암아 나를 기억하옵소서.

O God, because of this matter, remember me.

내 하나님의 전과 그 모든 직무를 위하여 내가 행했던 선한 일을 도말하지 마옵소서.

Do not erase the good deeds I have done for the temple of my God and all its duties.

여기에 한 헌신자 주의 나라와 그의 영광을 위하여 자신의 모든 것들을 드렸던 한 사람으로 말미암아 온 인류가 다시 회복되어졌던 그 구속사를 우리가 이해할 때입니다.

It is time for us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redemption through one devotee who dedicated all his possessions for the glory of the Lord's kingdom and, as a result, humanity was restored.

여기에 드리는 누에미아의 기도가 오늘 그가 대표성을 가지고 이스라엘의 회복을 위한 그의 처절한 기도인 것을 구속사적 기도인 것을 우리가 알 수가 있습니다.

The prayer of Nehemiah given here reveals that today it is a desperate prayer for the restoration of Israel, embodying his representational role, and we can see that it is a prayer rooted in redemptive history.

두 번째는 안식일이라고 했는데.

The second one is called the Sabbath.

오늘 누에미아가.

Today, Nehemiah.

누에미아가.

Nehemiah.

이렇게 위에서 내려다 보니까 이스라엘 사람들이 안식일을 안식하지 않고 노동을 하는 것을 그거 봤어요.

Looking down from above like this, I saw the people of Israel not observing the Sabbath and working instead.

안식일 날 포도주를 만드는 것을 봤어요.

I saw wine being made on the Sabbath day.

또 나귀가 곡식을 짓고 이동하는 것도 보인단 말이에요.

I also see donkeys threshing grain and moving around.

아니 안식일 날은 10년기에서 이미 언급했던 것처럼 모든 노동이 여러분 수답되게 되어 있어요.

No, as mentioned in Deuteronomy, on the Sabbath day, all work is to be ceased.

그런데 이 예루살렘 성에 특히 하나님의 전이 있어 하나님의 그들을 보존하려고 하는 이 도시가

However, in this city of Jerusalem, there is especially the temple of God, where God is trying to preserve them.

이렇게 무분별한 행동들을 일삼고 있는 것에 대한 그의 분노가 일어난 것입니다.

His anger arose due to engaging in such reckless behavior.

그래서 여러분 가끔 우리에게는 거룩한 분노가 있어야 돼.

So sometimes we need to have righteous anger.

하나님의 그 질서와 하나님의 그 말씀이 붕괴되어지는 것에 대한 어떤 거룩한 분노 말이에요.

It's a kind of holy anger about the collapse of God's order and God's word.

그래서 그는 이 장면을 볼 때

So, when he sees this scene,

10년기 5장이 말하고 있는 즉 안식일의 규례법을 그대로 안 지키고 있는 것을

The fact that they are not strictly observing the regulations of the Sabbath law mentioned in chapter 5 of Deuteronomy.

우리가 기록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어요.

You can see what we are recording.

바로 이것을 지적하고 그것을 회복하는 가운데 그 달락의 마지막 절에서 이렇게 얘기합니다.

This points it out directly and, in the process of recovering it, says this in the last verse of that paragraph.

그는 하나님이여 나를 위하여 이 일도 기억하시고 주의 그신 은혜대로 나를 아끼시옵소서.

O God, remember this work for me and spare me according to your great mercy.

하나님의 극률이

God's mercy

우리를 보존케 해 주십시오 라는 거예요.

Please let us be preserved.

하나님의 극률이 없으면 하나님의 어떤 역사가 지속될 수가 없어요.

Without God's mercy, no work of God can continue.

오늘 우리의 행실 때문에 하나님이 오늘 우리를 사용하시는 게 아니에요.

Today, God is not using us because of our actions.

그래서 여러분 자신의 노력 없이 하나님만을 의지하면 자기 기만이 되지만

So if you rely solely on God without your own efforts, it becomes self-deception.

최선을 다했다고 기도를 하지 않는다면 자기의 의의가 될 수 있어요.

If you don't pray that you did your best, it can become your own justification.

그래서 니에메는 소집하여 꾸짖고 과거 역사를 회상시키는 가운데

So, Niemer gathered and scolded while recalling past history.

죄악을 일깨웠지만

It awakened the sins.

엄중한 행동 지침 가운데 하나님의 극률 하나님의 그 은혜의 도우심을

One of the serious guidelines is the mercy of God and the help of His grace.

그가 지금 호소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어요.

You could say that he is appealing right now.

오늘 우리에게도 하나님의 그 은혜가 아니고서는 내가 내가 될 수 없다는 것을 잘 알고 있어요.

Today, we also know well that without God's grace, I cannot be myself.

오늘 이 마지막 달락이에요.

Today is the last paragraph.

이 마지막 달락에서는 여러 해 전 에스라의 명령에 의해서 이방인 아내들을 내보냈습니다.

In this last paragraph, it describes how many years ago, under Ezra's command, the foreign wives were sent away.

10장에서 보면 그래요.

It looks like that in Chapter 10.

그래서 절교했고.

So I cut ties.

사회까지 했다는 이야기 등장합니다.

There are stories that mention having even participated in society.

그런데 이 기간이 그렇게 오래된 시간들이 아니잖아요.

But this period isn't that long ago.

그런데 어느 정도 진행했는지 잘 알 수 없지만

However, I'm not sure how much progress has been made.

니에메가 다시 페르시아에 갔다가 돌아왔다는 그 시간들이 그렇게 긴 세월이 아닌 것으로 우리가 알 수가 있는데

We can understand that the time when Nemeh went back to Persia and returned was not such a long period.

유다 백성이 여러 이방 여인들과 결혼하는 풍습이 다시 제기됐던 것입니다.

The practice of the Judah people marrying various foreign women was raised again.

여러분 이방 여인과 결혼하지 말라고 했던 것은 인종차별의 문제입니다.

What I said about not marrying foreign women is a matter of racial discrimination.

이것은 그들이 갖고 있는 문화적 관습들이 즉 여러 우상들이 유다 백성 안에 들어오는 이 문제 때문에 그렇습니다.

This is because of the issue of the cultural practices they have, that is, various idols entering among the people of Judah.

그러나 이방 여인이 이스라엘 안에 들어왔던 사람은 대표적으로 루스를 보세요.

However,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 foreign woman who entered Israel is Ruth.

그가 모합 여인이었지만 모합의 우상들을 갖고 문화 속에 젖어있었던 여인이었겠지만

Although she was a Moabite woman and likely immersed in the culture of Moab and its idols,

나오미 앞에 뭐라고 말해요.

What do you say in front of Naomi?

어머니의 하나님 나의 하나님으로 받아들이겠다고.

I will accept God as my mother's God and my God.

그런 신앙의 결단과 그 전환들이 있었을 때 이방 여인이지만 들어왔어요.

When there was such a decision of faith and those transitions, the foreign woman came in.

가난 땅을 시작하는 정복을 시작하는 초기 때를 라비이라는 여인을 우리가 알고 있어요.

We know a woman named Ravi who began the conquest of the land of poverty.

그의 직업이 굉장히 볼품없는 직업이었고 천박한 직업이었어요.

His job was very unremarkable and shallow.

그러나 그 여인이 하나님을 경위함 속에 두려워 떨므로

But the woman trembled in fear before God.

여우수와의 정탐꾼 앞에 자기들을 구원해달라고 부탁하잖아요.

They ask the spies of Joshua to save them.

그럴 때 그 집안을 살리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At such times, you can see how the household is saved.

이와 같이 기두원이 때로는 기두원 사람들이 거짓말하면서 사기했고

In this way, there are times when the people of Kiduwon lied and deceived.

행각을 치르면서까지 그들과의 평화조약을 맺으려고 했을 때

When I tried to establish a peace treaty with them even while performing the act.

이미 모르고 했었지만 그것을 보존해주는 그런 은혜가 있어요.

I may have already done it without knowing, but there is a grace that preserves it.

그렇기 때문에 이방인의 축출에 대한 어떤 인종적 차별로 우리가 보면 안 됩니다.

Therefore, we must not view the expulsion of foreigners as any form of racial discrimination.

여기에는 하나님의 그 거룩한 그 명령이 혼재되어진 혼합되어지는 것에 대한

Here, there is a mixture of God's holy command being intertwined.

어떤 선 차원에서의 배제라고 볼 수가 있습니다.

It can be seen as exclusion from a certain level of existence.

그래서 여기에.

So here it is.

그런데 그 이방인들과의 결혼 자체도 충격이지만 유대인의 그 다음 세대의 그의 자녀가

However, the marriage with those foreigners itself is shocking, but the fact that his children from the next generation of Jews...

성경 속에 뭐라고 얘기하느냐 하면 아수도 방언을 절반쯤 해가지고 유도 방언을 하지 못한다는 거예요.

What it says in the Bible is that if you speak in the tongue of Assyria halfway, you cannot speak in the tongue of Judea.

다시 말하면 언어를 잃어버리고 그들은 그 문화의 모든 것들을 상실해갈 수밖에 없는 거예요.

In other words, once they lose their language, they inevitably lose everything about that culture.

즉 다시 말하면 유대 사회의 존립과 직결되어지는 중대 사안이 여기에서 일어나게 되는 것을 볼 수가 있었어요.

In other words, we could see that a significant issue directly related to the existence of the Jewish community was occurring here.

이것은 일찍이.

This is early.

솔로몬의 생애를 재조명합니다.

Revisiting the life of Solomon.

니에미아 사회 속에서 솔로몬의 이야기를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는 거예요.

It means that in the society of Nehemiah, the story of Solomon is viewed negatively.

다시 말하면 그가 많은 여인들을 취했던 통원이 가진 죄의 무게를 웅변적으로 드러내는 것이라고 말할 수가 있죠.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the weight of the sin carried by the concubine, whom he took many women, is eloquently revealed.

이와 같은 일련의 정화 조치는 한마디로 선민의 성별을 재확인하는 데 있었습니다.

These series of purification measures were, in short, aimed at reaffirming the selected people's identity.

하나님의 백성이기에 그들은 거룩으로 초대되어졌는데.

Because they are God's people, they have been invited to holiness.

그 거룩함을 상실해가는 그런 혼합주의를 지금 배제시키고 있는 것이죠.

What is being excluded now is that kind of syncretism that is losing its holiness.

우리 힘으로는 지속적으로 성결한 삶을 살 수가 없습니다.

We cannot continuously live a pure life by our own strength.

그래서 오늘 이 모든 이야기 속에는 끊임없이 주의 도우심을 하나님 우리를 기억해달라고 하는 간청에 있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So today, we can see that all of these stories constantly contain a plea for God's help and for Him to remember us.

그래서 우리는 기도로 사는 법을 몸에 익혀야 되겠다는 것입니다.

So we must learn to live through prayer.

니에미아의 기도는 단순히 자신의 개인을 위한 기도가.

Nehemiah's prayer is simply a prayer for himself.

아니었습니다.

It was not.

공동체의 리더로서 드리는 기도였고.

It was a prayer offered as a leader of the community.

그는 나를 기억해달라고 하는 기도였다는 것입니다.

It was a prayer asking me to remember him.

이 같은 사례는 일찍이 안식일 문제를 기록해가지고.

Such cases have recorded the Sabbath issue early on.

이사야나 에레미아나 에스기의 선지자들이 취지와 어떤 동일한 방식으로서 일찍이 이미 예언되었고.

The prophets Isaiah, Jeremiah, and Ezekiel have already prophesied in the same spirit and manner.

그렇게 이방풍습에 젖어있는 것들을 이미 심각하게 고발한 적이.

I have already seriously exposed those things that are deeply immersed in foreign customs.

계속 있었습니다.

It continued.

그런데 그들은 이런 이방풍습에 젖어서 그들의 심각성을 그들은 스스로 상실하고 말했던 것이에요.

However, they became so immersed in these foreign customs that they ultimately lost their sense of seriousness.

그래서 바벨론 포로기의 안식일에 대한 노동하는 것이나 장사하는 것을 그들은 대수롭지 않게 여겼던 것이에요.

So they considered working or doing business on the Sabbath during the Babylonian captivity to be insignificant.

또 이방인과 통을 하는 것.

Also having contact with outsiders.

그리고 그들의 풍속.

And their customs.

그들의 풍속도를 받아들이는 것.

Accepting their customs.

그것은 사회적 어떤 그런 보편적인 어떤 그런 가치라고 그들은 쉽게 이해를 수용을 했다는 것이에요.

They easily accepted that it is a kind of universal value in society.

안식일 준수.

Sabbath observance.

그것은 여와의 신앙조차 상실되어져가는 그러한 형편이 바로 그 시대였던 것입니다.

That was the very condition of the time when even faith in the Lord was being lost.

여러분.

Everyone.

하나님이 우리를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에요.

God does not need us.

이게 좀 역설적인 얘기입니다.

This is a somewhat paradoxical story.

단지 우리를 원하실 뿐이에요.

They just want us.

하나님은 세상을 변화시킬 일꾼이 절실히 필요해서 우리를 영입하기 위하여 아들을 보내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과 우리를 화해시키기 위하여 아들을 보내셨던 거예요.

God does not send His Son to recruit us as workers desperately needed to change the world, but rather He sent His Son to reconcile God with us.

하나님 앞에 우리의 가치는 얼마나 많은 성과를 거두느냐가 아니었습니다.

Before God, our worth is not measured by how many achievements we have.

얼마나 더 가까이 다가가느냐에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It can be said that it depends on how much closer you get.

그렇기 때문에.

That's why.

그러기에.

Therefore.

그래서 오늘 우리 개혁이라는 말 속에서 어떤 거대한 어떤 그런 어떤 성공주의적 어떤 그런 성과주의적인 것들을 우리가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안에 일상의 나의 결혼이나 나의 재산이나 나의 어떤 날들이 하나님을 하여 얼마나 구별되어지는 삶을 살고 있는가 라고 하는 것입니다.

Therefore, today in the word reform, we are not demanding some grand, success-driven, or achievement-oriented things, but rather asking how much our ordinary lives—such as my marriage, my possessions, or my days—are lived in a way that is set apart for God.

즉 하나님과 얼마나 더 가까이 나가고 있는가.

In other words, how much closer are we getting to God?

하나님의 일이 중요하지 않다는 말은 아닙니다.

It is not to say that God's work is not important.

단지 가장 중요한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It's just that it's not the most important thing.

아니라는 말입니다.

It means "That's not the case."

팀켈러는 그래서 무슨 얘기를 하냐면 역설적으로 본래 좋은 것을 궁극적인 것으로 삼는다면 그것이 우상이 될 수 있습니다.

Tim Keller says that, paradoxically, if we take something that is originally good as the ultimate thing, it can become an idol.

라고 우리에게 경고하고 있습니다.

It is warning us.

따라서 느에미아는 백성의 죄악을 척결하고 바로잡는 재개혁을 단행했던 것입니다.

Therefore, Nehemiah carried out a reform to eliminate and correct the sins of the people.

같은 시대의 개혁자였던 에즈라도 똑같이 이방인과의 결혼을 금지시켰습니다.

Ezra, who was a reformer of the same era, also prohibited marriage to foreigners.

이스라엘 중에 이미 결혼한 자식까지도 두고 사는 이방 여인들을 몰아낼 정도까지 중요한 사안이었습니다.

It was such an important matter that it even drove out foreign women who had already married into Israel.

이방인들과의 통원을 철저히 금지시킨 이유는 그 결혼의 결과로 발생하는 혼혈보다 이방종교와의 통합을 통한 백성의 배교의 위험 때문에 그랬다는 것입니다.

The reason for the strict prohibition of communication with foreigners was due to the risk of the people's apostasy through integration with foreign religions, rather than the mixed race resulting from the marriage.

그들은 이스라엘에서 갈ission을 시작했다는 것이다.

They say that they started the Galission in Israel.

원수 혈통을 유지해야 하는 근본 이유는 하나님의 신앙을 수호하기 위해서였습니다.

The fundamental reason for maintaining the lineage of enemies was to protect the faith of God.

그래서 제사장들조차도 죄악을 범하는 것은 당시 심각한 타락성을 보여주고 있어요.

So even the priests committing sins shows the serious level of corruption at that time.

마지막 점은 그런 많은 개혁과 부흥의 역사들이 일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The final point is that despite the occurrence of so many reforms and revivals in history,

인간의 부패는 지속적인다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It can be observed that human corruption is persistent.

이렇게 부패할 수밖에 없는 그 인간에게 우리의 거는 기대가 있습니다.

We have expectations for that person, who is bound to be corrupt like this.

만앙의 왕으로 오실 메시야, 영원한 우리의 지도자가 될 메시야를 우리가 기대하게 했던 것입니다.

We were led to expect the Messiah, who will come as the King of all nations and be our eternal leader.

그래서 느에미아에서의 시작이 하나님의 도시가 황폐해졌다는 소식을 듣고 금식하며 울며 기도했던 모습으로 시작했습니다.

So, the beginning in Nehemiah started with the news that God's city had been destroyed, and he began to fast, weep, and pray.

구절에 특별히 택하신 곳에 돌아가게 하리라 하신 말입니다.

It is a statement that says He will bring you back to the place He has specially chosen.

그 말씀을 이제 청하건대 기억하옵소서. 하나님의 언약을 기억하옵소서.

I now humbly ask you to remember those words. Remember God's covenant.

그리고 마지막 장에도 하나님이여 나를 기억하사 복을 주옵소서라고 하면서 마무리되어지는 것이

And the final chapter concludes with the plea, "O God, remember me and bless me."

오늘 느에미아에서의 시작과 끝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Today can be said to be the beginning and end in Nehemiah.

거룩한 도시, 거룩한 장소, 거룩한 백성으로 거룩한 나라를 이루기 위해서

To establish a holy nation with a holy city, a holy place, and a holy people.

그들에게 지속적인 재건을 이루려고 할 때

When they try to achieve continuous reconstruction.

내인의 뜻이 아닌 아버지의 뜻을 이루어드리려고 하는 기도가 그 힘이 된다라고 하는 것입니다.

It is said that the prayer to fulfill not the desires of one's own self but the will of the Father becomes the source of strength.

오늘 우리는 하나님의 무너진 도시를 재건했던 느에미아의 그 긴 이야기를 생각해 봤습니다.

Today, we thought about the long story of Nehemiah, who rebuilt the broken city of God.

오늘 마무리하는 입장에서 오늘 두 가지를 한번 여러분과 나누고 싶습니다.

Today, from a concluding standpoint, I would like to share two things with you.

우리는 우리의 삶 속에 무엇이 하나님께로 가는 길을,

What in our lives leads us to God,

가로막고 있는지 볼 수 있어야 됩니다.

You need to be able to see what's blocking you.

그런 통찰력이 있어야 돼요.

You need to have that kind of insight.

아까 그 무너진 예루살렘의 도시를 봤던 세 가지 사항을 여러분 기억해 보세요.

Remember the three things you saw about the fallen city of Jerusalem earlier.

그가 11조를 바치지 않았다는 것은 즉 재물에 대한 그의 관리 능력이에요.

The fact that he did not tithe indicates his ability to manage resources.

재산에 대한 그 가치와 그 관리를 어떻게 두고 있는가라고 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고요.

It can be said that it is about how one perceives the value of their property and its management.

두 번째는 안식일이죠.

The second is the Sabbath.

안식일들을 그들은 하나님께 어떻게 구별하여 사는가.

How do they set apart the Sabbaths to live for God?

그가 안식일을 어떻게 구별하여 사는가.

How does he distinguish and live the Sabbath?

그는 날짜가 나의 모든 내 생의 날이 아닌, 내 날의 주인이 아니라

He is not the master of my days, not the day of my entire life.

그것은 하나님께 구별되어지는 예배의 날이 돼야 되는데

It should be a day of worship that is set apart for God.

그것이 그들에게 상실되어졌어요.

It was lost to them.

또 한 가지는 무엇보다도 그들이 그 일로 말미암아

Another thing is, above all, that because of that matter they...

이방인들과의 결혼의 문제를 지금 다시 제기하면서

Raising the issue of marriage with foreigners again now.

그들의 통혼 문제들을 갖다가 척결했던 것처럼

Just as they eradicated their intermarriage issues.

오늘 우리 안에 무엇이 나를 가로막고 있는가 생각해 봐야 됩니다.

Today, we need to think about what is blocking us from within.

바로 그것을 찾아 제거하는 것이 거룩한 삶의 시작입니다.

Finding and removing that right away is the beginning of a holy life.

여기에 진정한 개혁이 일어나는 것이죠.

Here, true reform is taking place.

그런데 이 개혁을 이루기 위하여 우리가 늘 들어왔던 이야기지만

However, in order to achieve this reform, it's a story we've always heard.

너무나 그것을 너무나 가볍게 본다는 것입니다.

It means to take it too lightly.

그것은 하나님의 언약을 상기시키며 기대하는 기도가 있어야 됩니다.

There must be a prayer that reminds us of and anticipates God's covenant.

하여튼 여러분.

Anyway, everyone.

우리는 우리의 일상생활 속에서 보면

When we look at our daily lives,

모든 것이 그렇게 순간적으로 다 모든 기도하는 것들이

Everything, in that instant, all the things we pray for.

기대하는 만큼 이루어지지는 않습니다.

It doesn't always happen as you expect.

그러나 하나님이 그런 많은 긴 기도의 시간들을 통하여

But God, through those many long hours of prayer,

우리에게 기대하는 것이 뭘까요?

What do you expect from us?

하나님을 더 가까이 가게 하는 것입니다.

It is to bring you closer to God.

그러기에 오늘 우리가 무엇을 성취했다는 것이 아니라

Therefore, it's not that we have achieved something today.

하나님과 얼마나 더 가까이 동행했느냐라고 하는 삶이

The life that asks how much closer you have walked with God.

매우 중요합니다.

It is very important.

중요한 것을 알 수 있고 그 중심에는

You can know what is important, and at the center of that is...

하나님과의 지속적인 관계를 이어가게 하는

Maintaining a continuous relationship with God.

말씀과 기도의 힘이 우리를 지속적인 개혁의 자리로

The power of words and prayer leads us to a place of continuous reform.

만들어줄 수 있다는 것입니다.

It means that it can be made.

오늘 니엠에서의 마지막 이야기는 어떻게 보면

Today's final story at Niam is, in a way,

이 구양 역사의 마지막 역사서 중에 하나라고 말할 수가 있습니다.

It can be said that this is one of the last historical records of this ancient history.

그리스도가 오기 직전 한 400여 년 동안

For about 400 years just before the arrival of Christ

이 이야기들을 통하여 그들은 무엇을 보존하고

Through these stories, they preserve what?

무엇을 지켜야 거룩한 백성으로 하나님의 나라를 이루어갈 수 있는가

What must we uphold to become a holy people and build God's kingdom?

라고 하는 숙제를 우리에게 남겨주었다고 말할 수가 있죠.

You could say that they left us the homework called.

지금까지 무너진 하나님의 도시를 다시 세우는 니엠의 해설을 통하여

Through Nehemiah's commentary on rebuilding the fallen city of God.

하나님의 말씀을 같이 함께 나눴던 시청자 여러분 감사드리면서

Thank you to the viewers who shared God's word together.

다시 한번 만날 수 있는 기회를 기대하며 인사드리겠습니다.

I will say goodbye, hoping for an opportunity to meet again.

수고하셨습니다.

Thank you for your hard work.

한글자막 by 한효정

Korean subtitles by Han Hyo-jung

Continue listening and achieve fluency faster with podcasts and the latest language learning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