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화. 미국이 쓰다버린 브라질 경제

참세상

J에게 경제를

6화. 미국이 쓰다버린 브라질 경제

J에게 경제를

김성윤 안녕하세요. 제2의계 경제를 김성윤입니다.

Hello, this is Kim Seong-yoon. I am Kim Seong-yoon from the Second Economy.

우리나라는 조별리그에서 탈락했지만 요즘 월드컵이 한창이죠.

Our country has been eliminated from the group stage, but the World Cup is currently in full swing.

그런가 하면 브라질 현지에선 치안이 최악이라는 등 이상한 소식들도 전해지고 있습니다.

On the other hand, there are strange reports coming from Brazil saying that the security situation is at its worst.

많은 분들이 왜들 저럴까 궁금해 하실 텐데요.

Many people might be curious about why they are acting like that.

이번 주엔 월드컵과 브라질 경제에 대해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This week, we will talk about the World Cup and the Brazilian economy.

오늘도 어김없이 세 분 함께 하십니다. 인사 나눠주시죠.

Today, three of you are here without fail. Please share your greetings.

네, 안녕하세요.

Yes, hello.

오늘 월드컵 이야기를 하기로 했는데 상황이 좀 많이 안 좋다고들 이야기를 하더라고요.

Today, we decided to talk about the World Cup, but I've heard that the situation isn't looking very good.

시위도 계속 한창이고 그리고 핸드폰 들고 다니다 보면 10분만 들고 다니다 보면 강타를 당한다고도 하고 그러는데

Protests are still ongoing, and if you walk around holding your phone for just 10 minutes, it's said that you can get attacked.

왜 이런 건지 오늘 좀 이야기를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I would like to talk about why this is happening today.

먼저 월드컵 하면서 돈도 많이 풀리고 그럴 텐데 투자도 많이 되고 그럴 텐데

First of all, a lot of money will flow during the World Cup, and there will likely be a lot of investment as well.

브라질 월드컵과 경제에 관한 이야기 이런 이야기부터 좀 시작을 하면 좋을 것 같아요.

I think it would be good to start with a discussion about the World Cup in Brazil and the economy.

월드컵의 경제학 이 정도 될 것 같은데 월드컵과 경제 일단 돈도 많이 쓰고 좋지 않나요?

The economics of the World Cup seems to be like this. The World Cup and the economy, well, a lot of money is spent, isn't it good?

제가 먼저 합니까?

Shall I go first?

네, 먼저 하시죠. 오늘 이야기를 많이 준비해오셨으니까.

Yes, you go ahead first. You have prepared a lot to talk about today.

아니 뭐 다 같이 이게 다 아시는 내용들이지 않습니까?

Well, this is something that all of you are already aware of, isn't it?

네.

Yes.

자, 우리 포르투갈어 열심히 공부하고 계시는 홍성만 편집자 한번 얘기를 해주시죠.

Now, let's hear from editor Hong Seong-man, who is working diligently on studying Portuguese.

포르투갈어 공부 안 하고 있습니다. 스페인어죠.

I'm not studying Portuguese. It's Spanish.

아, 죄송합니다. 어떻게 다르죠?

Ah, I'm sorry. How is it different?

다르죠. 한국어랑 일본어 다르듯이 다른데요.

It's different. Just like Korean and Japanese are different.

계속해요?

Shall we continue?

네, 계속해요.

Yes, let's continue.

이거 편집하겠네. 얘기 좀 해봐.

I'm going to edit this. Let's talk a bit.

얘기 좀 해봐라 그랬더니.

I told you to talk a little.

어, 이제 다들 아네.

Oh, now everyone knows.

입주해서 편집할 거라는 거.

I will edit after moving in.

어차피 우리 그냥 만담하듯이 하고 편집은 나가서 하실 거기 때문에.

Anyway, we're just going to chit-chat, and you'll edit it later outside.

뭐 이제 우리나라도 좀 있으면 아시안게임도 하고 동계올림픽도 있고 그렇잖아요.

Well, soon we'll have the Asian Games and the Winter Olympics in our country, right?

그러네요.

I guess so.

브라질 월드컵 이야기가 사실은 좀 남의 나라 이야기만은 좀 아닌 것 같다.

The talk about the Brazil World Cup doesn’t seem to be just a story about someone else's country.

이런 생각도 드는데.

I have thoughts like this too.

먼저 이제 브라질이 월드컵 준비를 이제 어떻게 해왔었는지 그 이야기를 좀.

First, let's talk about how Brazil has been preparing for the World Cup.

예, 그 브라질은 올해 이제 월드컵이 있고요.

Yes, Brazil will have the World Cup this year.

그리고 2016년에 리우에서 올림픽을 합니다.

And the Olympics will be held in Rio in 2016.

아, 올림픽까지.

Ah, until the Olympics.

네, 그 2년 터굴로 지금 큰 아주 세계적인 행사 두 개가 연달아 지금 개최되고 있는데요.

Yes, there are now two major global events being held consecutively after that two-year gap.

그것 때문에 일단 그 브라질 정부가 월드컵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Because of that, the Brazilian government is currently preparing for the World Cup.

정부가 월드컵을 준비하는 데에만 한 12조 원 정도를 썼다고 밝혔어요.

The government revealed that it spent about 12 trillion won preparing for the World Cup.

근데 이제 2010년에 그 전에 이제 월드컵이죠.

But now, it's the World Cup before that in 2010.

남아공 월드컵에서는 한 4조 원 조금 넘게 썼다고 하니까 한 3배 가까이 이제 많이 쓴 셈인 거죠.

It is said that more than about 4 trillion won was spent on the South Africa World Cup, so that means they spent nearly three times that amount now.

돈도 무지하게 많이 썼네요.

You've spent an awful lot of money.

4대강에 비하면 그래도 반 토막인데.

It's still half of what it was compared to the Four Major Rivers.

아, 4대강인데.

Ah, it's the Four Major Rivers.

그건 뭐 우습죠.

That's kind of silly.

아니, 그렇게 볼 일이 아니죠.

No, that's not something to see that way.

브라질 경제, 우리나라 브라질이 한 2억 정도 되는 거잖아요.

The Brazilian economy, our country's Brazil is about 200 million, right?

인구가.

Population.

예, 브라질 인구가 2억 정도 되고 그다음에 한 2조 정도 되는데 1인당 GDP는 약 12,000 정도 돼요.

Yes, Brazil's population is about 200 million, and the GDP is around 2 trillion, with a per capita GDP of about 12,000.

그럼 우리나라의 딱 절반 수준 정도 되거든요.

Well, that's about half the level of our country.

우리가 2만 달러 왔다 갔다 하는 거니까.

It's about 20,000 dollars going back and forth.

그렇게 보면 그 나라의 면적이나 빈곤 상태나 경제적 규모로 보면 훨씬 더 맞먹을 수 있는 거죠.

In that sense, considering the country's area, poverty status, and economic scale, it can be much more comparable.

상당히 큰.

Quite large.

그.

That.

경제적 효과 혹은 반대로 상당히 큰 경제적 피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거죠.

It can cause economic effects or, conversely, significant economic damage.

오늘 그러면 할 얘기는 브라질 월드컵의 계기를 통해서 브라질 월드컵의 스포츠 경제학 혹은 이 브라질이라는 나라와 그다음에 우리가 지난 시간부터 계속해왔던 세계 경제 특히 그중에서도 미국의 선진국.

Today, then, the topic we'll discuss is the sports economics of the Brazil World Cup through the lens of the events surrounding it, as well as Brazil as a country and, following from our previous discussions, the world economy,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advanced country of the United States.

미국과 유럽의 양적 완화 정책이라고 하는 게.

The so-called quantitative easing policies of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네.

Yes.

월드컵과 양적 완화 정책이라고 한 두 가지가 브라질 경제에 미치는 영향 뭐 이런 얘기를 오늘 쭉 해보는 거죠.

We will discuss today the impact of two things, the World Cup and quantitative easing policies, on the Brazilian economy.

네.

Yes.

그렇습니다.

That's right.

네.

Yes.

일단 그래서 브라질 정부가 과연 11조 원이 넘는 돈을 어디다가 주로 썼냐 이걸 좀 먼저 살펴봐야 될 것 같은데요.

First of all, I think we need to take a look at where the Brazilian government primarily spent the over 11 trillion won.

네.

Yes.

일단 도시 정비하는 데 한 3, 4조 원 3조 7,000억 원 정도 쏟아부었다고 그러고 그리고 경기장을 건설하는 데 거의 똑같은 돈을.

First of all, it is said that about 3 to 4 trillion won, roughly 3.7 trillion won, has been poured into urban maintenance, and almost the same amount of money has been spent on building the stadium.

4조.

Article 4.

네.

Yes.

4조 원 조금 안 되게 경기장을 건설하고.

The stadium was built for just under 4 trillion won.

월드컵 중계보니까 경기장이 어마어마하긴 하더라고요.

Watching the World Cup broadcast, the stadiums are indeed impressive.

네.

Yes.

그리고 이제 공항을 확충하는데 이것도 한 3조 원 가까이 이런 정도로 이렇게 돈을 쏟아부었는데 문제가 되는 더 큰 문제가 되는 건 뭐냐 하면 80% 이상의 자금을 거의 이제 재정에서 나간 거죠.

And now, in expanding the airport, we have poured in nearly 3 trillion won, but the bigger problem is that over 80% of the funding has come directly from the budget.

국고에서.

From the national treasury.

그렇게 되다 보니까 이제 뭐 이런저런 비판도 되게 이제 큰 그런 상황입니다.

It has become such a situation that there is now significant criticism of various kinds.

도시 정비하고 뭐 공항 뭐 등등등 해서 그 사회 간접자본 확충하고 그렇게 되는 셈이고 하면은 브라질 경제에 도움이 되는 측면도 좀 있지 않을까요.

By improving urban infrastructure and things like airports, it helps to enhance social overhead capital, and wouldn't that also be beneficial for the Brazilian economy?

그렇지 않을 수 있어요.

It may not be so.

네.

Yes.

그러니까 이 뭐 잠깐 딴 얘기는 하는데 중국 얘기를 들면 중국이 그 아프리카를 통해서 자원 외교를 많이 하거든요.

So, just to briefly talk about something else, when it comes to China, they engage in a lot of resource diplomacy through Africa.

네.

Yes.

우리 식의 자원 외교가 아니라 그 나라의 광우를 캐는 거예요.

It's not our style of resource diplomacy; it involves digging for the resources of that country.

그러니까 저임금에 캐는 거죠.

So it's because they are low-wage.

네.

Yes.

그런데 중국 사람들이 질려 죽겠다고 막 이런 얘기를 많이 해요.

However, Chinese people often say they're fed up and tired of this.

일을 엄청나게 시키거든요.

They make you work so much.

그런데 그 대가로 뭘 지어주냐면 축구장을 지어줘요.

But what do they build in return? They build a soccer field.

아프리카요.

It's Africa.

네.

Yes.

그런데 축구장을 지어주는데 약 2만 명 수용 가능한 축구장을 지어줍니다.

However, they are building a soccer field that can accommodate about 20,000 people.

그런데 사실은 그 지역 주민들이 전부 다 와서 자리에 앉아 있다 해도 오후에서 한 6천 정도만 앉아 있을 수 있는 거예요.

However, the truth is that even if all the local residents come and sit down, only about 6,000 can be seated in the afternoon.

그러니까 실제로 거기 필요 없는 엄청난 규모의 경기장을 지어주는 거죠.

So they actually build a huge stadium there that is not really needed.

그렇죠.

That's right.

TV 보니까 그 경기장이 좀 많이 비어있더라고요.

I saw on TV that the stadium was quite empty.

대부분 그런 데가 많아요.

There are many places like that.

그래서 사실은 우리가 봐야 되는 것도 정부의 재정으로 하긴 했지만 그 사업자가 누구냐라는 것도 중요합니다.

So actually, while we have to rely on government financing, it is also important to consider who the operator is.

그러니까 브라질에 기존에 스포츠 스튜디움을 건설할 수 있는 기술력이 있느냐.

So, does Brazil have the existing technological capability to construct sports stadiums?

아닐 것 같거든요.

I don't think so.

그러면 전부 다 이거는 정부 돈 그러니까 세금 돈으로 해서 외국자분에게 줘서 그렇게 가는 거죠.

So then, this is all done with government money, meaning taxpayer money, which is given to foreign individuals and goes that way.

그리고 또 우리 국가가 정부가 세금을 받아서 외국자분에게 주어서 그렇게 가는 거죠.

And then our country and government take taxes and give them to foreign nationals, so it goes like that.

네.

Yes.

그리고 또 우리가 유추해 볼 수 있는 게 아주 합리적으로 유추해 볼 수 있는 게 월드컵 피파에서만 기준이 있을 거 아니에요.

And another thing we can reasonably infer is that the standards will only be set by FIFA for the World Cup.

그 기준에 합당한 건설을 할 수 있는 합당한 업체의 선정은 피파하고도 관련돼 있을 거라고 우리가 유추할 수 있겠죠.

We can infer that the selection of a suitable contractor capable of performing construction that meets those criteria would likely be related to FIFA.

그래서 피파에서도 애초에 8개 도시에서만 경기장을 지어도 된다고 권고를 했었는데 오히려 브라질 정부는 12개 도시로 확대시켰어요.

So FIFA initially recommended that stadiums should be built in only 8 cities, but the Brazilian government instead expanded it to 12 cities.

돈을 이제 막 갖다 쏟아 부으면 되는 거죠.

You just need to pour the money in now.

네.

Yes.

먹을 수 있는 게 손에 쥐인다.

What can be eaten is in hand.

그렇다 이런 거.

That's right, something like this.

그렇죠.

That's right.

그래서 그 점에 대해서 늘려야 하는 거잖아요.

So we need to expand on that point.

그러지 않아도 그게 안 돼.

That's not going to work even without that.

그래 놓고 이제 경기장에 그러니까 월드컵 끝나고 나면 그 지역에서 이제 축구

After doing that, now in the stadium, after the World Cup is over, soccer will take place in that area.

경기 열리거나 하면 지역 주민들이 입장하고 그렇게 볼 거냐 하면 그럴 문제도 아닌 거 같고.

I don't think it's a matter of whether local residents can enter and watch when the game is held.

그렇죠.

That's right.

우리나라도 이제 그런 지역분이 많은데 월드컵 끝난 다음에 저 경기장

Now our country also has many regional differences, but after the World Cup, that stadium...

들 다 어떻게 할 거냐.

What are you going to do about it?

그렇죠.

That's right.

유지하고 운영하는 데만 해도 또 돈이 또 엄청나게 들기 때문에.

Because maintaining and operating it also costs a huge amount of money.

경제적으로 보면 두 가지를 이제 볼 수 있는데 하나는 우리들이 금방 얘기했던 것처럼 제주도 주민의 공화국을 방문하면.

From an economic perspective, there are two things we can now consider: one is, as we just mentioned, when we visit the Republic of Jeju's residents.

그런데 하나는 우리들이 금방 얘기했던 것처럼

However, one thing is as we just talked about.

그 지역에 올드컵 경기장을 했던 스튜디움에 누가 많이 갈 것인가

Who will go to the stadium where the old cup games were held in that area?

녹지고 공원이 있고 많이 이용하겠잖아요.

There is greenery and a park, so it will be used a lot.

그건 부정적이지는 않습니다만

It's not negative, but...

그런데 거기 땅에 원래 뭐가 있었는지도 한번 짚고 넘어갈 거죠.

But we should also touch on what was originally there on that land.

우리식으로 치자면 올림픽 때 철거민들 대량으로 발생한

In our terms, it would be like the mass emergence of evictees during the Olympics.

상계동 올림픽

Sangye-dong Olympic

원래 주거지였고

It was originally a residence.

포착주거민들에 대한

About the captured residents.

그렇죠. 주거지였고

That's right. It was a residence.

그다음에 거기가 철거를 하게 되는 거잖아요.

Then that place will be demolished, right?

그다음에 기존에 쏟아붓는 돈이라고 얘기하는 게 산업이라든지

Then, talking about the money that is currently being poured in, such as in industries...

그다음에 그 지역 경제를 살 수 있는

Then, it can revive the local economy.

계속 고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Able to enable continued employment.

어떤 그런 부분의 투자가 아니라는 거죠.

It's not an investment in that kind of area.

반짝이는 이벤트성

Shining event-like

그렇죠. 그렇죠.

That's right. That's right.

그런데 결국 이제 그거를 돈을 쏟아붓고

But in the end, now we're pouring money into it.

몇 명은 거기다 일을 했겠죠. 사실은

Some people probably worked there. The truth is.

그렇지만 이득은 누가 갖고 가며

But who will take the profit?

또 다른 하나는 이득을 갖고 가지 않고

Another one is not having any gains.

이 사람들이 그 일시적으로 고용됐다 할지라도

Even if these people were temporarily employed

계속적으로 뭘 벌어먹고 살 것인가에 대한 문제까지 가게 되면

When it comes to the issue of what to continuously earn a living from...

브라질의 특성을 좀 더 얘기를 하겠지만

I will talk more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Brazil, but...

대단히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죠.

It must be a very serious problem.

그러니까 이제 브라질은 워낙 빈복약차가 커서

So now Brazil has a significant wealth gap.

실제 브라질 부자들은 땅을 밟지 않는다고 해요.

They say that wealthy people in Brazil do not step on the ground.

그러니까 이 건물에서 저 건물에서

So in this building, in that building.

지금까지 헬리콥터를 타고 다니지

I've been riding around in a helicopter until now.

지상을 이렇게 차로 다닌다든가

Driving around on the ground like this

그런 일이 거의 없다고 합니다.

They say that such things hardly ever happen.

브라질 빈복약차 문제가 굉장히 심각한 거군요.

The issue of drug addiction in Brazil is very serious.

심각하죠.

It's serious.

그래서 월 평균 소득이 이제 한 85만 원

So the average monthly income is now about 850,000 won.

우리나라 돈으로 하면 그 정도 된다고 하는데

They say it would be that much in our country's currency.

근데 그 부자들이 소득을 빼고

But those wealthy people are excluding income.

일반 시민들의 실제 소득을 계산해 보면

If we calculate the actual income of ordinary citizens...

한 30만 원

About 300,000 won.

아이고

Oh dear.

그런 상태에서 몇 조 원씩 들여가지고

In that state, spending several trillion won.

뭐 경기장 짓고

What, building a stadium?

뭐 본인들은 타고 갈 이유도 없고

Well, there's no reason for them to ride.

그 공항시설 이런 데 또 수조원 투자하고 하니까

Since they're investing several trillion won in airport facilities like this,

그걸 보면서

While watching that.

그 이런 철거민들이 느꼈으면 박탈감이나

I hope these displaced people can feel a sense of deprivation.

일반 서민들이 봤을 때

From the perspective of ordinary citizens.

저 브라질 월드컵이라고 하는 것이

The thing called the Brazil World Cup.

누구한테 누구를 위해서 저렇게 하느냐

Who are you doing that for, and for whom?

라는 그런 불만들이 고조될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Such dissatisfaction is bound to escalate.

근데 정말 그 브라질 월드컵이

But really, that Brazil World Cup was...

경제적 효과나 이런 거는 정말 기대하기가 좀 힘든가요?

Is it really hard to expect any economic effects or anything like that?

그러니까 이제 뭐 그런 큰 행사 있으면

So now, whenever there's a big event...

뭐 그런 경제효과 분석들을 많이 하잖아요.

They often conduct various economic impact analyses, right?

그렇죠.

That's right.

브라질 정부에서도 그렇게 분석을 했는데

The Brazilian government also analyzed it that way.

직접 수입만 한화로 한 21조원 조금 넘게 벌어들일 수 있고

You can earn just over 21 trillion won through direct imports alone.

12조 투자해가지고

Investing 12 trillion won.

그렇죠.

That's right.

그래서 경제 유발 효과로는 85조가 있다고 했는데

So they said there is an economic multiplier effect of 85 trillion.

이건 뭐 우리나라도 옛날에 마찬가지였습니다.

This is something that was also the case in our country in the past.

2002년 월드컵 할 때도 한 5배 정도

During the 2002 World Cup, it was about 5 times.

1조 좀 이상 투자를 했는데

I made a somewhat strange investment of 1 billion won.

뭐 한 5조 이상 소득을 벌 수 있다는 게 이렇게 했고

I did this thinking I could earn more than 5 trillion won.

뭐 경제적으로는 좀 더 큰 효과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I think there is a somewhat greater effect economically.

그래서 경제 유발 효과가 이제 100조가 넘는다.

So the economic inducement effect now exceeds 100 trillion.

우리는 100조 넘는데 여기는

We are over 100 trillion, but here it is.

여기는 그래도 우리보다는 조금 적네요.

This place is still a bit less than ours.

83조밖에 안 되는 거죠.

It's only 83.

투자는 한 10배 더 많이 한 거죠.

The investment was about 10 times more.

11조 넘게 했으니까.

Since I did over 110 billion.

맞아요. 우리나라도 항상 때가 되면

That's right. Our country also always knows when the time comes.

대기업 이름 들어간 각종 경제연구소들 이런 데서

Various economic research institutes that include the names of large corporations, like these.

경제 유발 효과 분석하고 그런 거 있잖아요.

There is an analysis of the economic multiplier effect and things like that.

좀 너무 황당한 게 많아요.

There are a lot of things that are really outrageous.

근데 그게 다 허무맹랑한

But that's all a ridiculous fantasy.

G20 때는

During the G20.

G20 괜찮다고 그거 몇백 얼마예요? 몇백조인가?

G20, is it okay? How much is it, a few hundred? A few hundred trillion?

144조의 유발 효과가 있다고 했는데

It was said that there is a triggering effect of Article 144.

도대체 그거 어디 가는지 모르겠어요.

I have no idea where that is going.

G20 두 번 하면 우리 저희 정부 1년 예산 얼추 나오게 됩니다.

If we hold the G20 twice, it will roughly add up to our government's one-year budget.

매번 G20 하고 하면은 우리나라 선진국

Every time the G20 meeting happens, our country is considered a developed country.

그죠. 정부가 두 배나 많은 일을 할 수 있는 그런 게 생기는

Right. The government will have something that allows it to do twice as much work.

말도 안 되는 분석들인데요.

These are nonsensical analyses.

근데 실제로는 뭐 또 다른 분석들 보면은

But in reality, if you look at other analyses...

반대 의견들도 있죠.

There are opposing opinions as well.

비판적인 분석들이 많아요.

There are many critical analyses.

독일의 한 연구소 같으면은

If it were a research institute in Germany,

지금 월드컵 들어간 자금만 놓고 보더라도

Even just considering the funds that have gone into the World Cup,

그 중에 한 1조 3천억 정도는

Among them, about 1 trillion 300 billion is.

보건이나 교육 분야에 써야 되는 그런 예산인데

It's a budget that should be used for sectors like health or education.

그게 그쪽으로 들어가서 문제다.

That's the problem with going in that direction.

실제로 복지 예산 축소시키면서

Actually reducing the welfare budget.

월드컵 하는데 이렇게 예산을 쓰게 된다는 거죠.

This means we are spending this much budget for the World Cup.

아무래도 돈이 국고에서 나가니까

It seems that the money is coming from the national treasury.

여기저기서 끌어 모으다 보니까

As I gathered things here and there,

보건의료 쪽 예산이나 이런 쪽에 상대적으로 타격을 받게 되고.

The budget for health care and similar areas will relatively take a hit.

네.

Yes.

참 그런 일들이 있는데

Yes, such things do happen.

예전에 그 가까운 예로 남아공 월드컵 때는

For example, during the World Cup in South Africa before.

그럼 좀 어땠을까요?

Then how would it have been?

그러니까 남아공 월드컵도 이게 가장 큰 이제 실패 사례로 꼽히는 것

So, the South Africa World Cup is often considered the biggest failure case.

중에 하나인데

It's one of them.

네.

Yes.

그 앞서 이제 한 4조 원도 넘게 5조 원 조금 안 되게

Before that, it was now over 4 trillion won, just under 5 trillion won.

네.

Yes.

뭐 그런 이제 투자를 했는데

Well, I've made that investment now.

그거에 뭐 거의 반도 못 건졌다.

I barely salvaged half of that.

네.

Yes.

직접적으로도 그렇다는 거죠.

That means it is true directly as well.

네.

Yes.

그래서 이제 남아공의 그 성장세 자체가 다 꺾이게 되는 거죠.

So now, South Africa's growth trend is completely coming to a halt.

오히려 월드컵 때문에.

Rather because of the World Cup.

네.

Yes.

만약에 그걸 안 했더라면 뭐 그 많은 돈들 남아공 경제상 5조 원 이러면

If that hadn't happened, then all that money would remain, like 5 trillion won for the South African economy.

뭐 작지 않은 규모인데 다른 용도로 그 집행이 됐으면 그 남아공 국민들의

It's not a small scale, but if it had been used for a different purpose, then for the South African people...

생활 수준이 향상되고 되게 많이 유용하게 쓰였을 텐데 이런 데 이제

The standard of living must have improved a lot, and it would have been used very effectively in such cases.

낭비되다 보니까 사실상 이제 힘들어 진 거죠.

Because it's being wasted, it's actually become difficult now.

네.

Yes.

근데 이제 그렇게 돈을 쓰고 낭비를 하고 하는 게 예전 우리 그 올림픽

But now spending money like that and wasting it reminds me of our past Olympics.

때처럼 뭐 군사정권의 뭐 정치적 정당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돈을

To maintain the political legitimacy of the military regime, money is used.

낭비했다거나 근데 누군가는 그래도 경제적 이득을 보거나 그러지 않았

Someone might have wasted it, but still, someone benefited economically from it.

겠어요.

I will.

He

뭐 그 건설자본이나 뭐 토착자본 들 같은 경우에 이제 그 지역 경제

Well, in the case of construction capital or local capital, the regional economy...

에서 좀 이렇게 어 그런 걸 좀 이렇게 도모하지 않았을까 포호 세력들

"Isn't it possible that the power factions may have devised something like this?"

라고 해야 되나

Should I say that?

네.

Yes.

브라질은 워낙 땅이 넓어가지고

Brazil is so vast that...

네.

Yes.

하나의 커다란 치적으로 그 될 수 있죠.

It can become one great achievement.

네.

Yes.

그니까 해당 정치인들이 어떤 지역 에서 뭘 유치한다든지 우리도 그런

So, those politicians are attracting something in a certain area, and we are also doing that.

거잖아요.

That's right.

지자체장들.

Local government heads.

네.

Yes.

그렇습니다.

That's right.

그렇게 보면 뭐 홍보하고 알리는 것 자체가 어떤 사람들로 하여금

In that sense, the very act of promoting and informing allows certain people to...

그 이번 정치인이 좀 뭘 하는구나 라고 하면서 실질적으로 거기서

"That politician is doing something there, practically."

얻는 경제적인 불이익이 아니라 그걸 통해서 얻는 뭐 여론이라든가

It's not the economic disadvantage gained, but rather the public opinion gained through it.

이데올로기적인.

Ideological.

어떤 그

That person.

상상적인 효과 같은 게

Like an imaginary effect.

네.

Yes.

열광 이런 것들이 가능하기 때문에 스포츠 정치학 뭐 이렇게 스포츠

Excitement, because these things are possible, sports political science, and so on, sports.

경제학이라고 하는데 그런 스포츠 라든가 사람들을 동원하고 어떤

It is called economics, but it involves mobilizing people for things like sports and other activities.

특정한 시점에 열광을 불러일으 킬 수 있는 이벤트라고 하는 것은

An event that can spark excitement at a specific moment.

정치하는 입장 사람들 입장에서는 정말 좋은 교회라고 할 수 있는

From the perspective of people involved in politics, it can truly be said to be a very good church.

거죠.

That's right.

그리고 뭐 경기를 하고 우리나라도 그 얘기 나왔던 것 같은데 16강에

And I think there was talk about us too after the match, in the round of 16.

올라갔으면은 상금도 좀 많이 받고 그랬을 거다 이런 이야기가 나와

If I had gone up, I would have received a lot of prize money and things like that, they say.

있는데 그거 보면은 이게 월드컵 통해서 각국 참여하는 나라들끼리

There are countries participating through the World Cup, and when you look at that...

좀 약간 돈잔치도 좀 할 수 있고 그러지 않을까 싶은데 근데 이제

I think we could have a bit of a money party, but...

실제로 가장 많은 뭐 수익이나 이런 것들은 뭐 예컨대 뭐 광고 수익

In fact, the largest sources of income are, for example, advertising revenue.

이 있을 거고 그렇죠 방송사 중개권료 같은 것들이 있고 그럴 텐데

There will be things like that, right? There are broadcasting rights fees and such.

네.

Yes.

이게 이제 그러면 브라질 정부로 들어가고 뭐 그렇게 된 거면은

If that's the case, then this will go to the Brazilian government and that will be how it works.

브라질 경제에 좀 도움이 되지 않을까요 저는 자꾸 너무 긍정적으로

Won't it help the Brazilian economy a bit? I keep thinking too positively.

해석하려고 하나.

I am trying to interpret it.

네.

Yes.

어떤가요.

How is it?

이번 그 피파에서 이제 밝힌 바에 의하면 이번 월드컵을 통해서 한

According to what was revealed in the recent FIFA, through this World Cup, 한

100억 해알 그러니까 이게 브라질 환하니까 우리나라도로 환산하면

10 billion in reais, so if we convert that to our country's currency...

4조 5천억 정도의 수익을 달성하고 있다고 했는데 여기에 상금으로

It was said that they are achieving about 450 billion won in revenue, and as a prize for this...

들어가는 게 한 5억 7천 6백만 달러 우리나라도로 합치면 한 6천억

The entrance costs about 576 million dollars, which adds up to about 600 billion when combined with our country.

정도 됩니다.

It is about that much.

4조 5천억의 수익 중에서 한 총 상금이 한 6천억 정도.

Out of the 4.5 trillion won in revenue, the total prize money is about 600 billion won.

네.

Yes.

이것도 한 그 지난번 남아공에 비하면 한 30% 정도 인상된 액수라고

This is about a 30% increase compared to the last amount from South Africa.

하네요.

It's happening.

그나마 인상된 게 이 정도군요.

This is about the extent of the impression I got.

거기에 이제 또 이제는 본선 진출국 뭐 32개국도 얼마를 받고 뭐 등등

Now, there are also the 32 countries that advance to the finals and how much they receive, and so on.

등의 이제는 봤는데 그래서 이제는 그 전체 어쨌든 그 4조에서 6천억

I have seen the things now, so overall, in that context, it's 600 billion from the 4 trillion.

을 빼도 한 거의 3천 9백억 정도는 피파가 이제는

Even without it, it's almost 390 billion won that FIFA now has.

3조 9천억.

3 trillion 900 billion.

어.

Oh.

3조 9천억을 거의 남겨먹는다라고 하죠.

They say they almost leave 900 billion won from the 3 trillion.

피파가 다 가져가네요.

FIFA takes everything.

네.

Yes.

그 우승 상금이나 이런 걸 많이 주는 것도 사실 이해가 안 가지

I don't really understand why they give out so much prize money and things like that.

않습니까.

Isn't it?

네.

Yes.

그 1등을 하면 무려 이제 370억 원 정도는 이제 받게 된다고 하는데

If you win first place, they say you'll receive about 37 billion won.

뭐 그 사람들이 돈 받으려고 지금 축구 경기하고 하는 게 아닌데 어떻게

Well, those people aren't playing the soccer game just to get paid, so how could that be?

보면.

If you look.

네.

Yes.

그 그리고 이제 그 피파의 그 수익 을 가지고 뭐 어떻게 그 이제 뭐

So now, what are we going to do with the revenue from FIFA?

여러 철거민들 몰아내고 거기 위에 다 경기장 짓고 뭐 온갖 그 국가의

They drove out the various demolition residents and built stadiums on top of that, along with all sorts of that country's...

뭐 여러 자원들을 동원해갖고.

Well, gathering various resources.

이 이 이 월드컵 경기를 성사시킨 거잖아요.

You made this World Cup match possible.

그러게요.

Indeed.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당 그 개최국 어떤 국민들이라든가 사회에 뭐

Nevertheless, regarding the people of the host country or society...

어떤 기여를 했다는 얘기를 들어본 적이 없지 않습니까.

Haven't you ever heard of any contributions made?

그러니까 하다못해 피파 차원에서 뭐 헤비타트 운동 뭐 이런 거라도

So at the very least, something like heavy habitat exercise on the FIFA level or something like that.

해야 되는 거 아닌가요.

Isn't that what we should do?

아니 그 지난번에 그 정몽준.

No, that Jung Mong-joon from last time.

네.

Yes.

그 피파 전 부회장.

The former vice president of FIFA.

네.

Yes.

명예 명예 명예 부회장인데 그 이번에 그 카타르그.

Honor, honor, honor, the vice chairman, but this time, the Qatar...

네.

Yes.

월드컵 경기장이고.

It's a World Cup stadium.

네.

Yes.

그 아니 카타르그 저 월드컵 위원들 때문에.

It's because of those World Cup officials in Qatar.

네.

Yes.

지금 국제적으로 좀 문제가 되고 있잖아요.

There is currently some international issue occurring.

그 비리 문제가 터져가지고.

The corruption issue has surfaced.

네.

Yes.

아 예.

Oh yes.

그 이 양반들 이제 그 피파 위원 이라고 해서 모여가지고 뭐 하는지

What are those gentlemen doing gathering as the FIFA committee?

모르지 않습니까.

Don't you know?

음.

Um.

돈을 다 뭐 이 남은 수익금 가지고 운영을.

I'm using all the money to operate with the remaining profits.

그래서 다들 그렇게 피파 회장 되고 싶어가지고.

So everyone wants to become the FIFA president like that.

돈이 많나 봐요.

It seems like you have a lot of money.

아.

Ah.

피를 팔아서 했나.

Did you do it by selling your blood?

하하하.

Hahaha.

그 그러게요.

Yes, that's right.

그 피를 판 그런 브라질 빈민들은 말 그대로 피를 빨린 셈인데 브라질

The Brazilian poor who sold that blood are literally those who have been drained of their blood, Brazil.

빈민들 같은 경우는 지금.

In the case of the poor, right now.

네.

Yes.

완전히 그 거의 다 다 쫓겨난 셈이 됐고 뭐 이런 상황인 것 같아요

It seems that they have almost all been completely chased away, and this is the situation.

.

Please provide the text you would like me to translate from Korean to English.

네.

Yes.

예.

Yes.

그러면 다음 이야기로 넘어가 볼까요.

Shall we move on to the next story?

그 브라질 월드컵이 경제적으로 지금 어떤 문제들하고 연관되어 있는지

What economic issues are related to that Brazil World Cup?

대략적으로 이제 묘사를 해봤는데 이게 이제 세계 경제의 흐름하고

I have roughly described it now, and this is related to the flow of the world economy.

좀 맞물려 있다고요.

It's somewhat interconnected.

아까 이제 그 우리 그 팬장님이 하시던 우스갯 얘기로 이제 그 피를

Earlier, with that joke the fan club president was making about the blood...

팔아서 한 게 아니냐 뭐 그랬는데 네.

Isn't it that you sold it? Well, yes.

네.

Yes.

그 생각이 뭐냐면 이게 막스였다 면 그게 자본이다라고 얘기했을

What I mean by that is if this were Marx, he would have said that it is capital.

거고 이게 자본은 자본주의사에서 어떤 역할을 하냐 그러니까 노동자

And what role does capital play in capitalism, so that means laborers.

계급의 피를 빨아먹는 흡혈귀 같은 역할을 한다라고 표현했을 것 같아요

I think it would be expressed as playing the role of a vampire that sucks the blood of the class.

.

Please provide the text you would like me to translate from Korean to English.

그러면 그 월드컵 경기에 웬 마크스 냐 라고 얘기를 할 수 있겠지만

Then one could say, "What a Marx at that World Cup match."

비유해보기는 아주 적절할 것 같아요 .

It seems very appropriate to try to make a metaphor.

네.

Yes.

현실에서 그런 피파라든가 세계적인 글로벌한 스포츠 자본들이 이

In reality, global sports capitals like FIFA and others...

각국을 돌아다니면서 오대양 육대들 돌아다니면서 빈곡이건 아니면

Traveling through various countries and going around the five oceans and six seas, whether it's a vacant song or not.

부자 나라이건 차별을 두지 않고 노동자 계급이나 서민들에게 피를

Whether it's a wealthy country or not, it bleeds the working class and the common people without discrimination.

빨아먹는 행위를 하고 있다라는 측면에서 보면 자본의 운동 그리고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 act of sucking is taking place, the movement of capital and

월드컵 경기에는 자본의 운동이라는 면도 우리가 한번 정확하게 짚고

We need to accurately address the aspect of capital movement in World Cup matches.

넘어가야 될 것 같다는 생각이 좀 들어요.

I feel like I need to move on.

네.

Yes.

그러니까 어떤 돈 많은 사람들의 잔치가 아니라 그게 자본의 기회가

So it's not a party for rich people, but rather an opportunity for capital.

있는 거죠.

It exists.

네.

Yes.

자본의 기본적인 논리가 월드컵 경기 우리가 환호하고 그다음에

The fundamental logic of capital is the World Cup match, where we cheer and then...

치맥 먹고 새벽 내내 그렇죠 월드컵 경기를 관전하는데 우리가 자본의

Eating chicken and beer, staying up all night watching the World Cup match, we are the capital's...

논리나 자본의 이융 창출을 하는데 우리가 전 세계적으로 말려들고

We are getting caught up in the creation of logic or the exchange of capital on a global scale.

있다.

There is.

네.

Yes.

축구 경기 그 자체 세계인들이 갖고 있는 축구 경기 자체는 나쁜

The soccer match itself, the soccer matches that people around the world have, is bad.

건 아니잖아요.

That's not it.

그렇죠.

That's right.

그런데 그게 어떤 사람을 더 가난하게 어떤 나라를 더 실곡으로 문 그 그

However, that makes some people poorer and certain countries more troubled.

나라를 떨어뜨리게 하는 그런 축구 경기 그런 월드컵 경기는 세계적으로

A soccer match that brings a nation down, such a World Cup match is global.

한 월드컵이잖아요.

It's a World Cup, isn't it?

네.

Yes.

월드컵 경기는 우리가 한번 축구를 아무리 좋아하고 그다음에 우리도

The World Cup match is something we love football no matter how much we do, and then we...

한번 개최를 했고 인기도 많지만 한번 생각을 해보고 넘어가야 될

It has been held once and is quite popular, but we need to think about it and move on.

분이 아닌가 그런 생각해요.

I think it's not a minute.

일단은 단순히 몇몇 사람들의 부를 향한 탐욕이나 이런 문제로만 축소

For now, it is only reduced to the greed of a few people's wealth or similar issues.

시켜서 이해할 수는 없는 측면들이 있다는 거죠.

There are aspects that cannot be understood just by being told.

네.

Yes.

그렇습니다.

That's right.

그러면 그 우리 자본이라고 제가 이제 표현을 했었는데 우리도 한번

Then I expressed that as our capital, so let's give it a try.

그러면 이 글로벌한 자본들 축구 스포츠 경제학이라고 이렇게 하는

Then these global capitals are doing something like soccer sports economics.

축구에서 자본들의 흐름인데 이것도 자본이니까 우리가 그 지난 시간에

It's the flow of capital in soccer, and since it's also capital, we have been discussing it over the past period.

했던 양적화라든지 글로벌 자본들의 움직임과 연결시켜가지고 축구

Connecting it to quantitative easing and the movements of global capital, football...

얘기뿐만 아니라 연결시켜가지고 우리가 또 어떻게 이 문제를 바라볼

Not just talking, but also connecting it, how can we view this issue further?

수 있는가 얘기를 좀 해보면 좋겠다 는 생각이 드네요.

I think it would be nice to talk about whether it's possible.

네.

Yes.

그래서 뭐 금융위기 이후로 해가지고 미국에서.

So, after the financial crisis, in the United States.

네.

Yes.

양적 완화를 하고 그러면서 이제 신흥국들이 이제 자산 버블 현상

Quantitative easing leads to asset bubble phenomena in emerging markets.

이 일어나고 그러다가 이제 양적 완화가 나중에 이제 테이퍼링이나

This happens, and then later on, there's quantitative easing, and then tapering.

이런 단계로 들어가면서 신흥국 들의 그 자산 붕괴 그렇죠.

As we enter this stage, the asset collapse of emerging countries, right?

급격한 버블이 붕괴에 따라서 경제적으로 엄청나게 타격을 하게

The sudden collapse of the bubble will cause a huge economic impact.

된 거죠.

It's done.

거기서 이제 브라질도 예외는 아닐 것 같아요.

It seems that Brazil will not be an exception there either.

네.

Yes.

일단 그래서 먼저 좀 살펴봐야 되는 게 브라질 주택가폭등.

First of all, we need to examine the surge in housing prices in Brazil.

네.

Yes.

이거의 이제 원인에 대해서 좀 분석을 해볼까요.

Shall we analyze the cause of this now?

네.

Yes.

일단 크게 이제 브라질 주택값은 2009년 이후에 이제 대소식 같은

First of all, the housing prices in Brazil have significantly changed since 2009.

면은 현재까지 한 3배 정도로 가격이 뛰었다 그래요.

The price of noodles has skyrocketed by about three times so far.

어우.

Wow.

엄청난 거죠.

That's incredible.

그러니까.

So.

그런데 이제 이 원인에 대해서는 한 두 가지 정도의 분석이 있는데

However, there are about one or two analyses regarding this cause.

네.

Yes.

첫 번째는 이제 주택값이 뛰기 시작한 게 월드컵과 올림픽을 개최

The first is that housing prices began to rise with the hosting of the World Cup and the Olympics.

올림픽 개최진 선정이 되고 나서부터 이제 올라가기 시작했다는 거죠.

It means that it only started to rise after the selection of the Olympic host city.

아.

Ah.

그렇겠죠.

That would be the case.

그래서 이제 이런 분석이 하나 있고 그것도 뭐 아주 틀린 말은 아니라고

So now there is this analysis, and it's not completely wrong either.

생각이 들어요.

I have a thought.

네.

Yes.

두 번째는 이제 미국이 이제 양적 완화를 시작하면서 그때부터 이제

The second is that the United States has started quantitative easing from that point onwards.

돈이 브라질 내로 쏠려 들어오기 시작했던 거죠.

Money started to flow into Brazil.

그러니까 월드컵이나 올림픽 유치 이런 흐름도 보고 그다음에 여전히

So, taking a look at the trend of hosting events like the World Cup or the Olympics, and still...

높은 브라질 금리 수준들을 보면서 미국이 이제 양적 완화하면서 미국은

Watching the high levels of Brazilian interest rates, the U.S. is now undergoing quantitative easing.

아주 초저금리 거의 0%에 가까운 금리였잖아요.

It was an extremely low interest rate, almost close to 0%.

네.

Yes.

맞아요.

That's right.

한 때 제 펀드매니저 하는 친구도 브라질 국채에 투자를 해야 된다고

At one point, a friend who was a fund manager said we should invest in Brazilian government bonds.

막 권장하고 그랬었어요.

I was just recommending it and all.

네.

Yes.

그래서 뭐 브릭스 이런 데가 막 뜨면서 그러니까 해외 이제 유동자금

So, with BRICS and things like that emerging, foreign liquidity is now...

들이 그 브라질 내로 막 들어가기 시작하는 거죠.

They're just starting to enter Brazil.

그러면서 이제 자산 버블하고 맞물려서 부동산이 그냥

Now, along with the asset bubble, real estate is just...

그렇습니다.

That's right.

그렇게 되니까 이제 2009년 미국이 이제 양적 완화 시작한 시점하고

Now it's like the point when the U.S. started quantitative easing in 2009.

거의 같은 거죠.

It's almost the same thing.

그때부터 이제 막 이 뛰기 시작하면서 뭐 3배 이상씩 올림픽.

Since then, it's just started to jump, increasing by three times or more for the Olympics.

네.

Yes.

그런 상태다라고 보여줄 수 있겠습니다.

It can be said that it is in such a state.

그렇게 해서 뭐 외화자금이나 이런 것들이 유입되고 그랬는데 뭐 좋은

So that's how foreign funds and things like that came in, and it was good.

측면 나쁜 측면 뭐 그런 것들이 골고루 좀 있었을 것 같아요.

I think there would have been a mix of both good and bad aspects.

브라질의 그 외화자금 유입된 규모 를 보면요.

Looking at the scale of foreign capital inflow into Brazil.

네.

Yes.

지난 한 3년간 한 2조 원 우리나라로 2조 원 정도가 그러니까 예국인

Over the past three years, about 2 trillion won, which is roughly 2 trillion won from our country, that is, a foreign country.

직접 투자 명목으로 지금 유치가 됐고 사실 이 규모는 사실상 그

It has been secured under the pretext of direct investment, and in fact, this scale is essentially that.

세계의 공장이라 일컬어지는 중국.

China, known as the factory of the world.

네.

Yes.

다음으로 큰 규모를 할 수 있겠습니다.

Next, we can proceed with a larger scale.

브릭스.

BRICS.

네.

Yes.

아무래도 그래.

I guess so.

네.

Yes.

근데 여기에 이제 작년에 이제 양적 완화 축소 논란이 시작된 후부터

However, since last year, after the controversy over the reduction of quantitative easing began here...

이제 자본 유출이 좀 시작이 돼 가지고 좀 이제 브라질 경제가 좀

Now that capital outflow has started a bit, the Brazilian economy is somewhat...

타격을 좀 많이 입었죠.

I took quite a bit of a hit.

그래서 2014년 3월에 좀 다시 좀 진정되면서 좀 다시 더 좀 들어왔

So in March 2014, things settled down a bit and more came in again.

지만 여전히 좀 이렇게 위태위태 한 좀 상황이라고 좀 진단되고

However, it is still diagnosed as a somewhat precarious situation.

있습니다.

There is.

한꺼번에 쫙 밀려 들어왔다가.

It all came rushing in at once.

근데 웃긴 건 뭐냐.

But what's funny is...

네.

Yes.

직접 투자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이 정작 투자율은 남미 최저라고

Despite high direct investment, the actual investment rate is the lowest in South America.

하거든요.

It happens.

참 이해할 수 없는 대목인데 그래서 브라질 경제에서 투자가 차지하는

It's a part that is truly incomprehensible, so the share of investment in the Brazilian economy...

비중이 18%라고 하는데요.

It is said to be 18%.

남미 지역에서 좀 가장 낮은 수준 이라고 지금 평가되고 있습니다.

It is currently evaluated as the lowest level in the South American region.

그래서 이 낮은 투자 때문에 성장 에 발목을 잡고 있다는 지적이 또

There are concerns that this low investment is hindering growth.

많이 제기되고 있죠.

It is being raised a lot.

음.

Um.

그러니까 이제 돈은 많이 들어왔 는데 실제 투자는 많이 안 되고

So now a lot of money has come in, but there isn't much actual investment happening.

있다는 거죠.

It means there is.

그럼 그건.

Then that is.

그럼 그 돈이 다 어디 어디 어디 간 거예요 어디 간 거예요.

Then where has all that money gone? Where has it gone?

실제 금융시장이나 자산시장 쪽으로 만 돈이 돌고 있다는 거죠.

It means that money is actually circulating in the financial markets or asset markets.

거기서만 돌고.

Just go around there.

네.

Yes.

뭐 예를 들어 주식시장이라든가 채권시장.

For example, the stock market or the bond market.

네.

Yes.

아니면 이제 그 부동산이나 주택 이런 데에만 지금 돈이 돌고 있는

Otherwise, money is only circulating now in real estate or housing.

거지.

Beggar.

네.

Yes.

실제 투자 자체는 활성화되지 되고 있지 못한 그런 상태다.

The actual investment itself is not being activated in that state.

네.

Yes.

그러면 그 자산을 갖고 있는 어떤 중산층 이상의 계급에게만 혜택

Then only the middle class or higher who own that asset benefit.

이 돌아간다고 해야 될까요.

Should I say this is going around?

네.

Yes.

그런 그런 자산이 없는 사람들은 그냥 계속.

People without such assets just keep going.

그 브라질 뭐 빈곤 문제 심각하다고 막.

They say the poverty problem in Brazil is serious.

불평등 불평등을 더 심하게 느낄 수 없다고 보면.

If you think you can't feel inequality more severely.

네.

Yes.

그런 상황이었겠네요.

It must have been such a situation.

어 하나 짚고 넘어가면 원래 직접 투자 간접 투자 구분하는 건.

Oh, one thing to clarify is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direct and indirect investment originally.

네.

Yes.

이게 직접 투자는 공장형 투자 뭐 그린필드형 투자라고 얘기를 해요

This is referred to as direct investment, factory-type investment, or greenfield investment.

.

.

근데 그래서 이제 직접 투자라고 얘기하면 공장을 짓고 고용을 증대

But if we talk about direct investment, it means building factories and increasing employment.

시키는구나라고 그냥 알아들을 수 있는데 사실은 그 중에 지분성 투자

I can just understand it as being instructed, but the truth is that among those is equity investment.

라 하는 애가 숨어 있어요.

The girl named Ra is hiding.

그렇기 때문에 우리 간접 투자 그러면 금융권 부동산 주식 그런 것을 하는

That's why when we talk about indirect investment, we are referring to things like financial sector real estate stocks.

걸 의미하는 거잖아요.

It means "to mean."

네.

Yes.

그것과 비슷한 것들이 직접 투자 안에 숨어 있다 보니까.

Because similar things are hidden within direct investments.

네.

Yes.

직접 투자라고 해서 무조건 공장을 더 만들고 고용을 증대시키는

Just because it's direct investment doesn't mean that it necessarily leads to building more factories and increasing employment.

그러한 이런 제조업 형태의 투자 라고는 볼 수 없는 거예요.

It's not something that can be considered an investment in that type of manufacturing.

네.

Yes.

그 중에서 브라질이 대외 경제 취약성 때문에 금리를 올리는 걸로 대응을 하고 있지만 그것만 가지고는 부족한 부분이 있고

Among them, Brazil is responding by raising interest rates due to external economic vulnerability, but that alone is insufficient.

더군다나 IF에서 LTV나 DTI처럼 어떤 금융 규제를 더 강화할 것을 권고하고 있는데요.

Furthermore, IF is recommending that financial regulations, such as LTV or DTI, be further strengthened.

브라질이 지금 이 부분에 대해서 어떻게 지금 자기의 어떤 심각한 문제를 받아들이고 있는지는 좀 약간 의문이 되기도 했습니다.

I was somewhat skeptical about how Brazil is currently accepting its serious issues regarding this matter.

네. 빈민들한테 이렇게 도움이 크게 안 된다고 했는데 어쨌든 자산 버블 현상이 일어나고 하면 주택시장뿐만이 아니라 전반적으로 물가 상승률에도 좀 끼치고 그랬을 것 같아요.

Yes. They said it wouldn't be much help to the poor, but anyway, if there is an asset bubble phenomenon, I think it would affect not only the housing market but also the overall inflation rate.

네. 그러니까 돈이 많이 들어왔으니까 당연히 이제 물가가 오를 수밖에 없는 그런 상황인데 올라도 너무 많이 오른다.

Yes. So, since a lot of money has come in, it is natural that prices would rise, but they have risen way too much.

이렇게 좀 딱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I think I can see it like this.

2009년은 이제 한 4%대 정도였는데

In 2009, it was around 4%.

2010년부터 이제 팍팍 오르기 시작해왔고 2010년은 5.9, 2011년 6.5, 2012년 13년에도 5, 6%대 식으로 계속 이렇게 물가가 계속해서 연속적으로 오른 그런 상황이었던 거죠.

Since 2010, prices have started to rise sharply, with 5.9% in 2010, 6.5% in 2011, and continuing around 5-6% in 2012 and 2013, indicating a continuous increase in inflation during that period.

그런데 그 정도 퍼센트면 많이 오른 건가요? 어떤가요? 5, 6%?

By that percentage, has it increased a lot? How does it look? 5, 6%?

우리나라 지금 물가가 5%, 6% 오른다고 해보세요.

Imagine that the prices in our country are rising by 5% or 6% now.

그럼 어떻게 되나요?

Then what will happen?

물가는 경제의 구명같이 가는 건데 예를 들면 이제 우리가 성장이라고 하면 물가 상승을 유발하지 않는 성장이 좋은 거거든요.

Inflation is like a lifeline for the economy; for example, when we talk about growth, it’s preferable to have growth that doesn’t trigger inflation.

그러니까 만약에 물가 상승이 5% 정도 됐어요.

So if the inflation rate has risen by about 5%.

그러면 성장도 5% 정도 되면 이게 큰 문제가 아닙니다. 사실은.

Then, if the growth is around 5%, it's not a big problem at all. In fact.

그러면 거의 또이 또이.

Then it's almost even.

네. 그러니까 투자가 많이 되고 고용이 많이 되고 그다음에 소비가 많아지니까 물가가 올랐다고 하는 건데 그런 의미에서 보면 성장과 물가가 같이 가는 건 큰 문제가 아닙니다.

Yes. So, when there is a lot of investment and a lot of employment, and then consumption increases, it is said that prices have gone up. In that sense, it is not a big problem that growth and prices go hand in hand.

그런데 지금 아까 계속 얘기했듯이 자금이 들어오는 게 고용 유발적인 자금이 아닌 거잖아요. 지금 자산법 운영 자금입니다.

However, as I mentioned earlier, the funds coming in now are not job-creating funds. They are currently operating funds for asset management.

그러면 부동산하고 주식가가 엄청나게 늘었단 말이에요. 올랐단 말이에요.

So, the prices of real estate and stocks have increased tremendously. They have risen.

그리고 생필품 가격도 물가 수준이라니까 생필품 가격으로 이렇게 평가하는 거기 때문에 그것도 많이 올라요.

And as the prices of daily necessities are at the level of inflation, the evaluation based on the prices of daily necessities has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그러면 고용이라든지 고용이 늘지 않는 가운데서

Then, in a situation where employment or the increase in employment doesn't happen...

이렇게 빠짐이 되느냐.

Does it really get that bad?

그렇죠. 전혀 안 되는 거죠.

That's right. It can't be done at all.

이런 추세에서 금리까지 같이 오른다는 것은 없죠.

In this trend, it is unlikely that interest rates will rise as well.

겹친데 겹친 거로 나눈 거죠.

It's divided by what's overlapping and what's overlapping.

그러니까 브라질 영국 당국에서 자본 유출이 많이 되니 법을 붕괴로 자본 유출이 많이 되니 그 자금을 국내 금리로 올려서 충당하고 싶다라고 하고

So, the Brazilian authorities want to increase domestic interest rates to cover the capital outflow, as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capital outflow, saying that it leads to a breakdown of the law.

해외 금리를 받아들이는 건데 받아들이게 되면 돈도 더 비싸지는 거잖아요.

Accepting foreign interest rates means that money will become more expensive, right?

국내에서 돈을 빌리려면 금리가 높아지니까 그래서 기업하는 사람들하고 투자하기가 더 어렵게 되는 거고 그렇죠.

If you want to borrow money domestically, interest rates go up, making it more difficult for businesspeople and investors, right?

그러니까 더 어렵게 되니까 안 그래도 고용도 안 된 상태인데 더 고용도 안 되고.

So it gets even harder, and since I’m already not employed, it’s even harder to get hired.

악순환으로 가네요.

It's going in a vicious circle.

계속 투자율이 낮아지고.

The investment rate continues to decrease.

소비도 힘들어지고 먹고 살 게 없는 거죠.

It's becoming difficult to consume, and there is nothing to eat and live on.

그러니까 단순히 월드컵의 문제가 아니라 그러니까 무언가는 고용을 늘리거나 그다음에 물가를 잠재울 게 필요한데 이런 식으로 계속 물가가 오르고 있는데 금리도 올리고

So it's not just a matter of the World Cup, but something needs to be done to increase employment or to stabilize prices, and prices continue to rise like this while interest rates are also increasing.

그다음에 그 경제 자체가 이벤트성 월드컵 같은 이벤트성 그다음에 기존의 도시 빈민들 저소득층이 근근히 살고 있는 그런 공터가 있을 거 아니에요.

Then there will be open spaces where the economy itself has event-based aspects like a World Cup event, and where existing urban poor and low-income groups are barely making a living.

그러니까 빌딩을 무너뜨리고 스터디움을 만들지는 않겠죠.

So, you won't be tearing down the building to create a stadium.

그러니까 근근히 도시 변두리에 살고 있는 도시 빈민들이 살고 있는 철을 전부 다 철거를 하고 그 사람들 갈 데가 없죠 일단.

So they are completely demolishing the area where the urban poor, who barely live on the outskirts of the city, reside, and those people have no place to go.

그리고 거기다 스터디움을 만들고 그러면 이 사람들을 위해서 집을 임대주택을 만들어주는 것도 아니고 이렇게 보면 그러니까 비행기 타고 다니는 사람 헬리콥터 타고 다니는 사람들이야 문제 없겠지만 실제 대다수 서민들이 체감하는 고통이라고 하는 것은.

And on top of that, creating a study room doesn’t mean providing rental housing for these people. If you look at it this way, those who travel by plane or helicopter wouldn’t have any problem, but the pain that the majority of ordinary people feel is a different story.

.

There is no text to translate. Please provide the text you would like to have translated.

거의 멘붕이나 그런 패닉 상태인 거죠.

It's almost like a mental breakdown or a state of panic.

그러니까 어찌 보면 우리가 서두에 얘기하셨듯이 치안이 불안하다라고 얘기하는 거 저 사람들은 왜 국민성이 그렇게 나쁘나 하는 얘기보다도 그러니까 더 이상 살아갈 수 있는 어떤 정신적으로 그 수준을 아래로 완전히 붕괴됐다라는 의미로도 해석할 수 있는 거죠.

So, in a way, as we mentioned at the beginning, when they say that public safety is unstable, it can also be interpreted not just as a comment on why the national character is so poor, but rather as an indication that the mental level necessary to continue living has completely collapsed.

그러니까 범죄 경제 상황이 안 좋을 때 범죄로 는다든가 하는 거는 그다음에 우리도 그런 말 있잖아요.

So, when the economic situation for crime is bad, crime tends to increase, and we have sayings about that too.

뭐 이렇게 옹화하고 싶은 마음은 전혀 없는데.

I have no desire to meddle like this at all.

.

Please provide the text you would like me to translate.

3일 굴면.

Three-day-old oyster noodles.

.

I am unable to provide a translation as there is no text provided. Please provide the text you would like me to translate.

나머지 담 넘지 않는 사람이 누가 있겠느냐라는 식으로 얘기하는 거잖아요.

It's the kind of talk that suggests there isn't anyone who wouldn't cross the remaining line.

그래서 우리들이 지금에는 경제 지표 문제나 그다음에 양쪽 완화 문제 월드컵 경제 뭐 이런 얘기를 따졌지만 실제로 대단히 심각한 우리는 치안이라고 얘기를 하지만 브라질에서는 생계와 삶의 혹은 죽음의 그 경계선을 넘나드는 의미가 아닌가라고 생각이 들어요.

So while we are currently discussing issues like economic indicators and both sides of easing, as well as the economic impact of the World Cup, I believe that in Brazil, the concept of security we talk about is actually about crossing the boundary between livelihood and life or death.

그래서 대단히 심각하죠 사실은 어찌 보면.

So it's very serious, in fact, in a way.

그러니까 자꾸 거리로 나오고 이렇게 되는 거죠.

So that's why they keep coming out onto the streets like this.

그런데 그 정말 체감으로 좀 와닿는 이야기가 좀 더 나오면 좋을 것 같은데 그 대표적으로 빅맥지수 뭐 그런 거 있지 않습니까.

However, I think it would be nice if there were some more relatable stories, like the Big Mac Index, for example.

제가 보니까 우리나라가 지금 빅맥 단품 햄버거 가격이 4100원인가 그렇게 되는 것 같던데 그런 거 비교해보면은 좀 이야기가 나오겠죠.

I see that the price of a Big Mac burger in our country is around 4,100 won, and comparing such things will definitely spark some conversation.

네 그 빅맥지수라고 해가지고 그게 맥도날드에서 파는 햄버거가 전 세계에서 다 동일한 어떤 수준에서 팔리고 있기 때문에.

Yes, it's called the Big Mac Index, and that's because the hamburger sold at McDonald's is sold at a similar level all around the world.

그거를 과연 그 나라 사람들이 얼마에 사 먹을 수 있냐라는 걸 저는 그 가격지수로 한번 만들어놓은 겁니다.

I have created a price index to see how much the people of that country can actually buy it for.

이게 지금 미국 같은 경우가 한 4700원 정도 우리나라가 들어왔을 때 그런데 지금 브라질이 6800원이라고 하거든요.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it's around 4,700 won when it comes to our country, but right now, Brazil is at 6,800 won.

그러니까 상당히 높죠.

So it's quite high.

우리나라가 지금 한 4100원 정도라고 알려졌는데 우리나라 수준보다도 한 2500원 정도는 더 줘야 똑같은 제품을 먹을 수 있다고 하니 좀.

It is reported that the price in our country is currently around 4100 won, but it seems that we need to pay about 2500 won more than our country's level to be able to eat the same product.

아까 뭐 평균적으로.

What was it on average earlier?

평균 소득이 800000원 그런데 부유층 제외하면 300000원 이거밖에 안 되는데.

The average income is 800,000 won, but without the wealthy class, it's only 300,000 won.

저희보다 한 50% 이상 비싼 거네요.

It's more than 50% more expensive than ours.

그러니까요.

That's right.

소득은 더 낮은데.

Income is lower.

1.5배.

1.5 times.

생필품 값은 더 높고.

The prices of daily necessities are higher.

많이 안 팔려서 혹시 비싼 거 아닌가.

Is it because it hasn't sold well that it might be expensive?

빅맥 같은 경우는 이건 상상 이상으로 이렇게 사람들이 사는 게 척박해지다 보니까 자꾸 거리로 나오고.

In the case of the Big Mac, it's beyond imagination that as people's lives become more barren, they keep coming out to the streets.

그러기도 하고 문제는 또 뭐냐면.

That happens, but the problem is, what is it?

이 브라질은.

This Brazil is.

저도 그 얘기를 처음 들었을 때 되게 놀랐는데 농업이 존재하지 않는 사회라고 얘기를 해요.

I was really surprised when I first heard that story; they say it's a society without agriculture.

토탁농이나 아니면 인디오들이 하는 우리식으로 얘기하면 텃밭 정도 존재하는데 식량이 자급자주률이 아주 낮죠.

There is a small garden similar to a homestead that the Totak people or Indians might have, but the self-sufficiency rate for food is very low.

그러면 아까 우리가 도시 변두리 빈민 얘기를 해봤는데 서민들 얘기를 해봤는데 그나마 먹을 수 있고 텃밭에서 갖고 와가지고 근근히 연명을 하겠죠.

So earlier we talked about the impoverished areas on the outskirts of the city and the working-class people; they can at least manage to sustain themselves a bit by bringing in food from their small gardens.

살아가겠죠.

I will live on.

그러니까 이제 공산품들은 구매를 안 하고.

So now I'm not buying manufactured goods.

근데 만약에 그 터전이 없어지면 이 공산품들을 구입해야 되는 거잖아요.

But if that basis is gone, then we have to buy these manufactured goods, right?

돈이 없는데 공산품을 구입해야 된다라고 얘기를 하면 아까 얘기했던 것처럼 거의 밑을 노리신 거죠.

If you say you need to buy a commodity without having money, as mentioned earlier, you are almost aiming for the bottom.

그러니까 누구의 호주머니를 안 털래야 안 털 수 없는.

So it's something that can't be avoided without picking someone's pocket.

우리 예전에 한 번 그런 적이 있는데.

We had a time like that before.

어딘가요 우리 볼 때.

Where do we meet?

그 해적들 많은데 어디입니까 거기가.

Where are those pirates?

카리베.

Caribbean.

캐리베.

Carry Bay.

아니 그 캐리베 말고.

No, not that Caribbean.

소말리아.

Somalia.

네 그쪽 문제.

Yes, that issue.

아프리카.

Africa.

저희가 항상 영화를 못나서요.

We always can't go to the movies.

저도.

Me too.

저도 바로 카리브해.

I'm heading straight to the Caribbean too.

이런 게 보면 그 사람들이 원래 테러리스트도 아니고 어부들이었고 그냥 총도 잘 못 쓰고 이런 사람들이였대요.

Looking at this, it seems those people weren't originally terrorists but fishermen, and they apparently weren't good at using guns either.

지금은 아니겠죠.

Not now, I suppose.

지금 이제 훈련 받았겠죠.

You must have received training by now.

아마 그래도.

Probably so.

여러 번 경험을 하고.

Having experienced it multiple times.

그러면.

Then.

인격 정수화에 있는 사람들처럼.

Like those who are in the process of personality crystallization.

멀쩡한 사람들을 도둑으로 만들거나 멀쩡한 사람들을 소매치기로 절도범으로 만드는 일들이 지금 진행되고 있어요.

There are things happening right now that are turning decent people into thieves or pickpockets into criminals.

네.

Yes.

그게 사실은.

That is actually.

그러네요.

That's true.

브라질 월드컵이었다고 얘기를 하는 거고 그게 정치인들의 자기 취지적으로 삼는 뭐죠 퍼세프 대통령의 정책 방향이라고 얘기를 할 수 있는 거죠.

It is said that it was the Brazil World Cup, and that it can be described as the direction of President Perceph's policies, which politicians take for their own purposes.

그래서 경제적 효과가 엄청나다라고 하는 것 반면에 있는 이 사람들이 도대체 삶의 터전 혹은 자기 자신의 인간적인 존엄성을 상실해버리고 잡범이 되는 과정들 아주 대단히 여행객들도 위험한 거잖아요.

So while the economic effects are tremendous, these people end up losing their place in life and their own human dignity, becoming petty criminals, which is quite dangerous for travelers as well.

그렇죠.

That's right.

목숨을 앗아갈 수도 있는 거니까.

It could take a life.

이런 사람들로 만들어버리는 게 어찌 보면 그런 거잖아요.

In a way, it's about turning people into something like this.

그러니까 아까 막스 얘기를 잠깐 했지만.

So, I briefly talked about Max earlier.

흡혈귀한테 피를 빨려게 되면 그 사람도 사람을 살해할 수 있는 흡혈귀가 되는 거잖아요.

If a person is bitten by a vampire, that person can also become a vampire who can kill people, right?

그렇죠.

That's right.

이런 상태 아닌가 싶어요.

I think it's in this kind of state.

뭐 생각보다 제가 브라질 뭐 대사님 보면 기분 안 좋으시지만 상당히 브라질 사태를 안 좋은 쪽으로만 얘기하는 것 같은데 어찌 보면 우리가 그런 위험을 감수하고서라도.

I know that seeing the Brazilian ambassador might not make you feel good, but it seems that we're only discussing the Brazilian situation in a negative light; in a way, we're willing to take those risks despite that.

그렇죠.

That's right.

지금 아마 ق�저나 까지 다 설명을 했잖아요.

I think I explained everything up to now, right?

그런데 우리 브라질 어떻게 보면 엄청 거 corresponds with our idea.

However, our Brazil corresponds greatly with our idea.

그러면 모든 브라질� stuffing up to be very.

Then all of Brazil is stuffing up to be very.

그렇죠.

That's right.

아주 정말 으로이흐 suffglio.

It really, really is suffglio.

그러니까.

So.

비장을 우리 아입니다 지금 정말 나�regierung 파악하는 형 こさん은 탈� dash.

The text appears to be garbled or contains encoding errors, making it difficult to translate meaningfully. Please provide a clearer text for translation.

그렇죠.

That's right.

해당 получается.

It turns out so.

곧 3 셀에서 곧 2 셀 경쟁이atique.

Soon, there will be a competition between cell 3 and cell 2.

relaxed.

Relaxed.

그렇죠.

That's right.

정확히 맞아요.

That's exactly right.

그러니까 플� kır � parall 제가 amber은 보�nels을 사양한 이점 fortified이고 저.

I'm sorry, but the text seems to contain some errors or garbled characters, making it difficult to provide a coherent translation. Could you please provide a clearer version of the text?

그래서 이 마크 c가 예 organized by.

So this mark C is organized by.

그렇게 하는 사람이 истор base이다.

The person who does that is the historical base.

그게ctica 아르바이트 성 죽 da.

That part-time job is really hard.

그러니까 내가 그다음에 b 9z.

So then I'll do b 9z next.

recruit people great 것도.

"Also great to recruit people."

이 마리의 척추 고철상을 걱정하는 점.

The concern about this animal's spinal scrap.

브라질 국민들은 그것 때문에 걱정이 많을 것 같기도 하고.

It seems that the Brazilian people might be very worried because of that.

병원 앞에서 사람들이 모여서.

People are gathering in front of the hospital.

가뜩이나 글로벌 자본주의 때문에 브라질 서민 경제가 그렇게 안 좋은데

The Brazilian economy for the lower class is already in such a bad state due to global capitalism.

월드컵 때문에 아예 살 터져마저도 잃게 되고

Because of the World Cup, I'm even going to lose my place to live.

불난 집에 기름 붙는 월드컵이라고 하는 게 그런 효과가 있었던 것 같네요.

It seems that the saying "the World Cup adds fuel to the burning house" has had such an effect.

내친 김에 브라질 경기 침체와 관련돼서 내부에서는 어땠는지.

Since we're on the topic, how was the internal situation regarding the economic downturn in Brazil?

흔히 듣기로는 룰라 대통령 시절에는 브라질 굉장히 잘 나가지 않았나요?

I often hear that Brazil was doing really well during President Lula's time, right?

잘 나갔죠. 잘 나갔다고 볼 수 있는데.

It went well. You could say it went well.

지금 성장률이 좀 많이 둔화하는 추세인 것 같고.

It seems that the growth rate is currently slowing down a lot.

호세프 대통령이 집권하자마자부터 성장률이 바닥으로 곤두박질 치기 시작한 건데.

The moment President Josepf took office, the growth rate began to plummet.

그건 시점을 좀 봐야 될 것 같아요.

I think we need to consider the timing a bit.

그러니까 룰라 대통령.

So, President Lula.

만회시적이냐 아니면 국제적인 어떤 경제 여건이나 환경이 거기에 조응했느냐.

Is it a matter of recovery or does it correspond to some international economic conditions or environment?

물론 그것도 대통령의 역량이라고 볼 수 있겠지만.

Of course, that could also be seen as the president's capability.

어쨌든 룰라 대통령의 정책을 아주 간단하게 보면 경제적으로는 신자유주의를 유지하고

In any case, if we look at President Lula's policies very simply, economically, he maintains neoliberalism.

사회적으로는 빈곤을 줄이는 이런 정책을 어떻게 보면 약간 모순적인 그런 정책이긴 하지만

Socially, this policy aimed at reducing poverty can be seen as somewhat contradictory.

그걸 적절히 구사해왔다는 거죠.

That means you have been using it appropriately.

실제로 최저임금은 룰라 대통령 집권 기간 동안에.

In fact, the minimum wage has been during President Lula's term.

60% 정도 올랐다고 그러고 빈곤도 상당수.

They say it has increased by about 60% and there is a significant amount of poverty.

경감시키고.

Relieve.

그런 효과들이 있었지만.

There were such effects, but.

그런데 경제적으로는 경제부처 장관이나 중앙은행장 자체를 신자유주의로 정평난 사람들을 아예 거기 갖다 앉혔어요.

However, economically, they have placed people who are well-known for their neoliberal views as the ministers of the economic department and the central bank governor.

그래서 그것 때문에 해외 자본들이 밖으로 유출되는 것들을 막고 안정화시켰다.

So it has prevented the outflow of foreign capital and stabilized the situation because of that.

이런 평가도 있지만 결국 브라질 경제를 계속해서 신자유주의적인 기조 하에서.

There are such evaluations, but ultimately the Brazilian economy continues under a neoliberal framework.

금융시장도 개방을 하고 그다음에 브라질이 특히 수출 중심의 원자재 수출 중심의 그런 건데 그 기조 하에서 계속해 유지시켜놨던 거거든요.

The financial market is also being opened up, and Brazil, in particular, has been focused on exporting raw materials. Under that trend, it has been maintained continuously.

상대적으로 지난 정부들이 워낙 많이 팔아먹었기 때문에 민용화시키고 그래서 좀 덜 했다 이런 거에 대한 효과는 있지만

Relatively, the previous governments sold off so much that there is some effect of privatization, which has resulted in less of it being done.

전체적인 경제 기조는 여전히 신자유주의적인 기조를 가진 상태에서 세계적으로 이렇게 부채 경제.

The overall economic trend is still characterized by neoliberalism, resulting in a global debt economy.

자세히.

In detail.

예산을 통한 이렇게 거품 경제들이 커져나가는 거에 같이 호응을 해왔던 거죠.

This is how the bubble economies have been growing in response to the budget.

그러던 게 이제 호세포 대통령 집권기간은 이제 미국 경제 위기 터지면서 주저앉는 그런 기간이었던 거예요.

During that time, the presidency of José P. was a period when the U.S. economic crisis hit and things started to fall apart.

룰라 때 좀 반짝하긴 했었지만 사실상 문제의 근원이나 이런 것들은 룰라 시기에도 계속 있었던.

Although there was a bit of shine during the Lula era, the real problems and issues had been ongoing even then.

일단 그렇게 봐야 되는 거 아니냐.

Shouldn't we look at it that way for now?

빈부격차가 해소가 됐지만 여전히 심각한 상태에 있었던 거고 그게 이제 미국이.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has been resolved, but it was still in a serious state, and that is now the United States.

또 축소하고 하면서 물가가 엄청나게 막 뛰어오르고 주택값 폭등하고 그런 가운데 느껴진 어떤 서민들 노동자들의 분노들이 이번 월드컵을 매개로 해서 터져나온 그런 게 됐습니다.

As we continued to downsize and while prices skyrocketed and housing costs soared, the anger felt by ordinary citizens and workers erupted through this World Cup.

그런데 말씀하셨던 대로 브라질 하면 천연자원 풍부하고 그래가지고 원자재 수출을 통해가지고 경제 성장이나 이런 것들을 많이 도모했었던 나라인데 이게 좀 잘 안 됐었나 봐요.

However, as you mentioned, Brazil is rich in natural resources, and it has sought to promote economic growth through raw material exports, but it seems that this hasn't gone so well.

최근 몇 년 동안.

In recent years.

2008년.

2008.

금융위기 터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원자재 수요가 준 게 있죠.

The financial crisis caused a decline in demand for raw materials worldwide.

그것 때문에 브라질에서 수출 품목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원자재의 수요가 줄다 보니까 그거 자체가 경제를 지탱하는 커다란 및 버팀목이었는데 그게 흔들흔들거리면서 문제가 심각하게 진 거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Due to that, the demand for raw materials, which constitutes a significant part of exports from Brazil, has decreased, and that itself was a major support and pillar for the economy; so it can be seen that when that was shaken, the problems became serious.

일단 그렇게 되다 보니까 호세프 대통령이 집권 기간에는.

Since it has turned out that way, during President Hosep's term in office.

아까 말씀하신 대로 물가가 올라가도 성장률이 받쳐주면 그나마 좀 그것도 평균적인 얘기라서 서민들 삶에는 상당한 충격이 있는 거거든요.

As you mentioned earlier, even if prices go up, if the growth rate supports it, that's still somewhat average, so it poses a significant shock to the lives of ordinary people.

그런데 성장률 자체도 낮았어요.

However, the growth rate itself was low.

1%나 2%대 성장밖에 못했던 거고.

It only grew by 1% or 2%.

그런데 또 어떻게 되면 금리는 금리는 외국 자본이 밖으로 빠져나갈 우려가 있지 않습니까.

However, isn't there a concern that interest rates might lead to foreign capital flowing out?

금리 자체를 높일 수밖에 없는 거죠.

We have no choice but to raise interest rates.

올해는 11%대까지 해서 계속 유지시켜놓고 있습니다.

This year, we are maintaining it at around 11%.

그런데 이자율이 그렇게 높으니까 서민들이 돈을 빌릴 수도 없고 기업들이 투자를 하는 데에도 걸림돌이 될 수밖에 없는 그런 환경에 빠져 있는 거죠.

However, with such high interest rates, ordinary people cannot borrow money, and companies are inevitably facing obstacles in making investments.

이러지도 못하고 저러지도 못하는.

Unable to do this or that.

그렇죠.

That's right.

그러니까 그게 또 하나의 고물가의 이유가 되기도 하고.

So that's another reason for the high prices.

그러니까 그런 상황에서 그러니까 우리들이 봐야 되는 거 뭐냐면 이렇게 어려운 상황에서 월드컵을 유치했고 월드컵을 유치하니까 뭐 건설 경기도 좀 좋아지는 것 같고.

So in such a situation, what we need to look at is that even in these difficult circumstances, we have hosted the World Cup, and it seems that hosting the World Cup is improving the construction industry a bit.

결국에는 관광자원으로 들어오는 것 같은 그런 착시 현상이 생기잖아요.

In the end, it creates an illusion that resembles entering into tourist resources.

그래서 거기에 현혹되는 부분도 상당할 거라고 생각됩니다.

I think there will be quite a bit of temptation in that regard.

브라질 경기 침체의 원인 이 부분은 좀 이야기가 좀 된 것 같은데.

It seems that this part about the causes of Brazil's economic stagnation has been discussed a bit.

그러면 전반적으로 지금 월드컵 이야기도 나오고 했는데 스포츠 경제학 자체에도 우리가 다시 한번 볼 필요가 있을 것 같아요.

Well, overall, there has been talk about the World Cup, and I think we need to take another look at the economics of sports itself.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What do you think?

그렇죠. 우리도 잘 알다시피 사실은 축구라고 하는 건 전통적으로 그렇잖아요.

That's right. As we all know, the fact is that soccer has traditionally been like that.

이미 뭐 우리도 많이 상식처럼 알고 있는데 노동자 계급의 운동이잖아요.

Well, we already know it quite commonly, but it's a movement of the working class.

그렇죠.

That's right.

리버풀, 유카셀, 만체스터.

Liverpool, Newcastle, Manchester.

네.

Yes.

맨체스터, 유나이피드.

Manchester United.

이게 원래 노동자 연합이고.

This is originally a workers' union.

맨체스터가 사실은 산업혁명 했을 때 가장 플랜트가 있었던 곳이잖아요.

Manchester was actually the place with the most plants during the Industrial Revolution.

그리고 잘 알다시피 누굽니까.

And as you well know, who is it?

이렇게 앵겔스.

This is how Engel's.

앵겔스가 거기 기업을 갖고 있었던 지역이기도 하고.

It was also the area where Engels had a company.

영국 노동자 계급의 상태.

The condition of the British working class.

그렇죠.

That's right.

그랬는데 전통적으로 귀족이라든지 브루즈아들의 운동이라고 하는 것은 수영이나 테니스나 이렇게 얘기를 합니다.

However, traditionally, activities considered as those of the nobility or bourgeoisie include swimming and tennis.

뭐 그렇게 그거 있죠.

Well, you know that thing.

뭐 그게 뭐죠.

What is that?

말 타고 하는 거 폴로 이런 거.

Horseback polo, like this.

승마.

Horseback riding.

크리켓 조정 뭐 이런 거.

Cricket adjustment, something like that.

그렇죠.

That's right.

그런 것들은 사실은 그러니까 예를 들어서 말이 하나 있든지 폴로를 하면 말이 있든지 그만큼 큰 정원이 있든지 수영을 하면 수영장이 있든지.

Such things are actually the case, for example, whether there is a horse when playing polo, whether there is a horse, or whether there is a large garden, or whether there is a swimming pool when swimming.

테니스는 테니스장에 있든지 해야 되는데 조정을 하려면 배가 있어야 되고 그렇죠 그렇죠 강이 있고 배가 있고 그런데 축구라고 하는 거는 축구는 돼지 오줌보만 있으면 되는 거 아니에요 그렇죠 그러니까 그냥 그 공단에 공토만 있으면 되는 거잖아요 그리고 사실 공장과 공장 플랜트와 플랜트 그다음에 지역과 지역 간 그리고 일종의 대리전 양상을 뜻하는 거기 때문에 아주 그 대공장 낭섬 중심의 운동이라고 얘기를 할 수 있는 거잖아요 그래서 축구라고 하는 건 기본적으로 사실은 귀족들의 경기를 노동자 계급들이 보러 가지는 않죠.

Tennis has to be played on a tennis court, but in order to row, you need a boat, right? Right, you need a river and a boat. However, when it comes to soccer, all you need is a soccer ball, right? So basically, you just need a flat space to play. In fact, you can think of it as the interaction between factories and plant facilities, as well as between regions, and it represents a kind of proxy battle. So you could say that it's a sport centered around large factories. Thus, soccer is fundamentally a game of the aristocracy that the working class does not go to watch.

그렇죠.

That's right.

가봤자 몇 명 귀족이 적으니까 그냥 노동자 계급이 경기를 하게 되면 노동자 계급 전체가 가는 거니까 일단 표가 많이 팔리는 거죠.

Since there are only a few nobles who go, when the working class plays, the entire working class attends, so a lot of tickets are sold in the first place.

전국 단위에서 온 종 그렇게 보면 뭐냐면 많은 자본이 투자되었을 때 축구나 야구나 이런 것들은 테니스보다도 많은 자본이 투자되어도 그만큼 전체 규모의 경제가 가능한 거니까 더 많이 이익을 갖고 올 수 있는.

When viewed on a national level, it means that sports like soccer and baseball, which have received significant investments, can achieve economies of scale that allow them to generate more profits compared to tennis, even with a greater amount of capital invested.

관중 수익 요즘은 TV 종료권 뭐 그런 게 있죠.

Spectator revenue, there are things like TV rights these days.

그렇죠.

That's right.

그래서 사실 노동자 계급이.

So in fact, the working class is.

노동자 계급의 취향이라든지 노동자 계급의 응원이라는 그 자체가 하나의 잠재적인 자본으로 전체할 수 있다라는 의미에서 스포츠 경제학 혹은 스포츠 정치 경제학이라는 게 성립되고 그게 바로 자본이 그 경기나 노동자 계급 취향 혹은 응원을 기반으로 이윤을 창출하는 거라고 볼 수 있는 거죠.

The preferences of the working class or the support of the working class can be considered as a potential capital, which is why the concepts of sports economics or sports political economy are established. This means that capital can generate profit based on the games or the preferences and support of the working class.

이런 의미에서 보면 노동자 계급이 좋아하는 그러니까 노동자 계급이라고 꼭 얘기하지 않아도 되고 일반 국민들이 좋아하는 새벽까지 보는.

In this sense, the working class enjoys, or rather, it doesn’t have to be specifically mentioned as the working class, but the general public enjoys watching until dawn.

노동자 계급이.

The working class.

네.

Yes.

맞아요.

That's right.

새벽에 일어나서.

Waking up at dawn.

네.

Yes.

축구 야구 그다음에 모두 다 다 할 만한 운동들.

Soccer, baseball, and then all the other sports that everyone can enjoy.

우리들이 사실 승마나 조정이나 이런 경기 뭐 이렇게 테니스 같은 경우에는 잘 안 봐요.

We actually don't watch sports like horseback riding, rowing, or tennis very often.

그런 것들은 그렇잖아요.

Things like that, you know.

일반 사람들이 뭐 고생한 취미라든지 뭐 특정 분야의 동호회 분들만 보는 거지 밤새고 잘 안 보는데 금방 얘기했던 그런 운동 경기라 같은 게 사실 밤새고 보고 그다음에 누구나 다시.

Ordinary people don't really watch things like hobbies that are hard work or events limited to specific interest groups; they usually don't stay up all night to watch. However, the types of sporting events I mentioned earlier are actually watched all night, and then everyone can catch up later.

그러니까.

So.

그.

That.

어.

Uh.

잉글랜드 속담에 그런 게 있대요.

I heard there's such a saying in England.

그 노동자 계급이 퇴근하고 두 군데를 간대요.

The working class says they go to two places after work.

아.

Ah.

두 군데를 가는 게 아니라 두 유형의 사람이 있대요.

They say there are two types of people, not two places to go.

하나는 축구 보러 가고.

One goes to watch soccer.

하나는 축구를 보기 위해서 펍으로 가고.

One goes to the pub to watch soccer.

펍으로 가서 술 먹고 이렇다고 얘기하더라고요.

They say they go to the pub to drink and talk about things like this.

일상적인 문화라고 얘기를 하는 건데 이 일상적인 노동자 계급의 문화에 자본이 들어오고 그다음에 이윤을 갖고 가는데 아이러니하게도 그 사람들이 실제로 삶의 터전을 붕괴시켜버리는.

It's said to be a mundane culture, but capital enters this everyday working-class culture, and then takes the profits, ironically causing those people to actually destroy their own living environment.

예.

Yes.

라고 얘기할 수 있죠.

You can say that.

그래서.

So.

그리고 축구 경기가 그 자체로 노동자 계급의 문화이기 때문에 나쁜 건 아니지만 사실은 자기가 통제할 수 없거나 그다음에 이윤이 밖으로 나가는 거를 그대로 동원되는 객체로 동원되는 거를 그대로 보고 있다라고 얘기를 하는 것은 어찌 보면 마치 자본이 투자를 하고 그다음에 노동자를 죽은 노동으로 만들고 그렇죠.

And it's not bad because soccer matches are a culture of the working class in themselves, but the truth is that when we say we're witnessing something that we can't control, where profits go elsewhere, and we're being mobilized as mere objects, it's somewhat akin to capital investing and then turning workers into dead labor, right?

그런 얘기죠.

That's what I'm talking about.

그래서 노동자들 항상 고통받고 그렇게 그다음에 착취당하면서 일하고 있긴 하지만.

So, workers are always suffering and are being exploited while working like that.

결국에는 자본에게 큰 돈을 벌어주지만 문화생활도 향유 못하고 그렇죠.

In the end, it makes a lot of money for capital, but does not allow for enjoying cultural life, right?

그다음에 가족과 단란한 생활도 보내지 못하고 고상하게 음악이나 문학을 읽지 못하기 때문에 또 정신적이나 문화적이나 피폐해지고 라고 하는 그 메커니즘과 너무 닮아있는 거죠.

After that, they cannot enjoy a harmonious life with their family and cannot elegantly read music or literature, which leads to both mental and cultural impoverishment, and this mechanism is very similar.

그런데 이 공장이 가서 일하는 건 그나마 뭐냐면 돈이라도 좀 벌거든요.

However, working at this factory at least offers the chance to earn some money.

착취 받을 수 있는 것도 행운인 거거든요.

Being able to be exploited is also a form of luck.

고용된 상태라고 얘기하는 게.

Saying that one is in an employed state.

네.

Yes.

그러나 이.

However, this.

그 축구라든지 이런 데 가는 거는 이거는 아무것도 안 나오는 거잖아요.

Going to things like soccer does not yield anything, right?

마치 이런 건 제가 볼 때 도박 같은 거죠.

It seems to me that something like this is like gambling.

결국 피폐하 결국 내 돈을 다 그 뭡니까 날려버릴 수밖에 없는 도박 같은.

In the end, it’s a gamble that inevitably leads me to lose all my money, isn’t it?

뒷 수밖에 없는 게임.

A game with no choice but to go backwards.

네.

Yes.

그러니까 그 새벽까지 일하고 있으면 건강도 안 좋아지고 힘들고 뭐 이러는 거잖아요.

So if you keep working until dawn, your health will deteriorate and it will be tough, right?

이런 문제 제가 약간 얘기가 좀 길었습니다마는.

This issue, I may have talked a bit long about it.

다른 분들은 스포츠와 경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What do others think about sports and the economy?

저는.

I am.

그 오늘 뉴스 보니까 그 우리나라가 16강 뚫어졌잖아요.

I saw on the news today that our country made it to the round of 16.

네.

Yes.

그리고 조별 예선도 좀 이렇게 크게 좀 이렇게 사람들로 알고 호응도 못 얻고 욕만 먹고 그래서 이제 뭐 그 이때 한몫하려던 어떤 그 뭐 경품 무슨 뭐 치맥 뭐 이런 거 있지 않습니까 요식업 등등등등 해가지고 세월호 참사 이후로 가라앉혔던 내수경기를 월드컵을 통해서 한번 이렇게 많이 해보려고 했는데 이것마다 또 폭사가 가라앉았다.

And the group stage preliminaries were also somewhat large, but since they couldn't garner public support and only received criticism, during this time there were attempts to take advantage of it with various promotions such as fried chicken and beer in the food industry, etc.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there was an effort to revive the domestic market through the World Cup, but everything once again fell flat.

네.

Yes.

이게 그.

This is that.

그 뉴스 타이틀로 나오는 참 좀 어이없는 일이 아닌가 우리가 지금 스포츠를 바라보는 입장이 그렇게 뭔가 이 돈으로 환산되는 것으로 지금 우리 머릿속에 이미 각인돼 버린 게 아닌가.

Isn't it rather absurd that this is coming out as a news title? Isn't our perspective on sports already etched in our minds as something that can be quantified with money?

그러게요.

That's true.

순수한 운동 경기로 보는 게 아니라.

It's not just seen as a pure sporting event.

우리 머릿속이 아니라 생에 나는 거죠.

It's happening in life, not in our heads.

그렇다고 할 수 있겠네요.

I guess you could say that.

우리가 한 건 아니고 그러니까 그 현실 투명하게 인식을 하고 무언가 싸워내거나 그리고 바꿔나가야 되는 문제라고 얘기를 할 수밖에 없어요.

It's not something we did, so we can only say that it’s an issue that needs to be recognized transparently and that we must fight against or change.

왜냐하면 사실은 서민을 또.

Because the truth is the common people again.

혹은 그.

Or that.

그 상황을 또 그거 가지고 벌어먹고 사는 거니까 당연하게 민감할 수밖에 없어요 사실은.

It's only natural for them to be sensitive about it since they are making a living off that situation.

그런데 거기다가 이게 좀 그러고 하니까 나쁜 성향이다라고 일방적으로 비난을 할 수 없을 때 그거를 사실은 알고 그다음에 그런 부분에서 뭐라고 얘기할까요.

However, when it comes to that, it’s a bit difficult to unilaterally accuse it of being a bad tendency, so knowing that, what can we say about those aspects?

상업화나 자본화에 이렇게 엮여가는 그런 동원된 문화에서 좀 바꿔나가고.

We need to change the culture that is being entangled in commercialization and capitalization.

어떻게 보면 2중 3중의 아이러니네요.

In a way, it's a double or triple irony.

그 월드컵이 아니면은 지금 자영업하는 사람들 치킨집 하는 사람들 월드컵 아니면은 돈 벌기도 하고.

If it weren't for that World Cup, people running small businesses, like chicken shops, wouldn't be able to make money now.

힘들어지고 비극이죠 비극 그러니까 그런데 또 한편으로 생각해보면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월드컵이나 이런 순수한 운동 경기를 돈이나 이제 경제적인 어떤 숫자나 이런 것으로 환산해서 생각할 수밖에 없고 저는 약간 좀 다른 측면을 한번 얘기해보시는데요.

It's getting harder and it's a tragedy, yes, a tragedy. But on the other hand, if you think about it, most people can't help but convert the World Cup or other pure sporting events into money or some kind of economic figure. I would like to discuss it from a slightly different perspective.

그 최근에 이제 월드컵은 후원사들이 광고하잖아요.

Recently, the World Cup is being advertised by its sponsors, right?

우리 현대자동차.

Our Hyundai Motor Company.

현대자동차 수박수박.

Hyundai watermelon watermelon.

그거 재밌는데.

That's fun.

그것도 있고 그다음에 뭐.

There’s that, and then what else?

코트디바리의.

Côte d'Ivoire.

누구죠.

Who is it?

저기 드록바.

Over there, Drogba.

드록바.

Drogba.

드록바가 이제 전쟁을 멈추겠다 하면서 그런 이미지 광고들을 많이 하거든요.

Drokba is now saying that they will stop the war, and they are doing a lot of promotional ads like that.

축구가 얼마나 인류의 평화와 서민들 난민들의 삶에 얼마나 큰 기여를 했는가 이런 이런 식의 이미지 조작들 하면서 얘기를 하는데.

They talk about how soccer has contributed greatly to the peace of humanity and the lives of ordinary refugees while manipulating images in various ways.

예를 들면 축구화를 축구화나 축구공을 만드는데 아동노동이 얼마나 투여가 되고 있고.

For example, how much child labor is involved in making soccer shoes or soccer balls?

그 다음에 우리 오늘 얘기했듯이 경기장을 짓고 하는 거에 도시 서민이라든가 철범인들이 얼마나 큰 고통을 당하고 있고.

And then, as we talked about today, building the stadium and the impact it has on the city's citizens and the working-class people who are suffering greatly.

그 다음에 그 많은 돈을 벌었음에도 불구하고 개인 드록바가 그렇게 좋은 일을 했지만 축구 세계축구연맹이나 피파가 그런 일을 했다는 얘기는 들어본 적이 없지 않습니까.

Despite making so much money afterward, even though personal Drogba did such good things, haven't you ever heard of the FIFA or the world football federation doing anything like that?

그러네요.

That's true.

그러면서도 불구하고 마치 월드컵이 월드컵 때문에 이렇게 좋은 일들을 하게 됐다라는 식으로 이미지 조작을 하는 거죠.

Despite that, it's as if the World Cup is using the World Cup to create such positive outcomes, manipulating the image that way.

결국에는 후원사의 어떤 그런 이미지를 높이기 위한 하나의 전략일 뿐.

In the end, it's just a strategy to enhance the image of the sponsors.

그러게요.

That's true.

전혀 현재 축구계 현실하고는 무관한 그런 거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It can be seen as something completely unrelated to the current reality of the football world.

이거 얘기 나오다 보니까 인권 이야기도 막 걸쳐져 있는 것 같고 노동착취 이런 문제도 걸쳐져 있고.

Talking about this seems to be connected to issues of human rights and labor exploitation as well.

우리가 그런 얘기했었죠.

We talked about that.

그런 경험 있잖아요.

You know those experiences, right?

그러니까 세계 경제 포럼 있잖아요.

So, there is the World Economic Forum.

대항으로 남미하고 유럽 활동가들이 세계사회 포럼을 조직했었잖아요.

The activists from South America and Europe organized the World Social Forum as a counteraction, right?

우리나라 거기 가서 경기했었잖아요.

Our country played there, remember?

포르투알레 그래.

Portuale, right.

거기서 경기하던데.

They were competing there.

네.

Yes.

거기 간 우리 활동가들 중에 일부는 버스 강도를 만나가지고.

Some of the activists who went there encountered a bus robbery.

어머.

Oh my.

몽환에서.

From a dream.

아이고 아이고.

Oh dear, oh dear.

돈도 털렸다는 그런 얘기를 듣게 들었으니까.

I heard rumors that money was also stolen.

아이고.

Oh dear.

어쨌거나 세계사회 포럼.

Anyway, the World Social Forum.

그래서 결국 이제 대안은 그런 것 같아요.

So in the end, it seems that the alternative is like that.

거창하게 대안 얘기까지 하지만 그런 게 아니라.

It's not about talking grandly about alternatives or anything like that.

네.

Yes.

대항.

Resistance.

그러니까 자기 문화를 지키거나 자기 정체성을 훼손되지 않을 수 있는 대항 문화라든가.

So, it's about counter-cultures that can protect one's culture or maintain one's identity without being compromised.

그러니까 그런 객체로서 동원되지 않을 수 있는 그런 것들에 대한 인식들이라든가 이런 것들이 이제 나는 필요하죠.

So, I need awareness about things that cannot be mobilized as such objects.

축구 되게 사랑하고 좋아하는 원래의 서민 노동자 개그맨 문화인데.

It's a culture of ordinary working-class comedians who really love and enjoy soccer.

네.

Yes.

총평.

Overall evaluation.

누가 한 말씀 해주시죠.

Someone, please say a word.

제가 먼저

I'll go first.

일단 돈이

First of all, money.

발음상 나쁘게 말하면

If I were to say it poorly in terms of pronunciation

똥 이런 얘기도 하기도 하는데

They say things like this about poop too.

사실 미국이

In fact, the United States...

양적완화를 하니까 돈이 넘치잖아요.

Since they are implementing quantitative easing, there is an overflow of money.

저는 좀 심하게 얘기하면

If I were to speak a bit harshly,

신흥국들이

Emerging countries

그거를 받아먹고

After receiving that

유지해온 것도 있거든요.

There are also things that have been maintained.

최근 몇 년간

In recent years

자산시장 붕괴도

Asset market collapse too

이후 양적완화에

After that, quantitative easing.

같이 호응해가면서 했는데

We did it while responding to each other.

결국 이걸 줄이고 나니까

In the end, after reducing this...

완전히 어쩔 수 없는 상황에

In a completely unavoidable situation.

빠지게 되는 거죠. 브라질처럼

You will get sucked in, just like in Brazil.

물가는 올라가 있죠.

Prices are going up.

그렇다고 금리를 낮출 수는 없고

That doesn't mean we can lower the interest rates.

더 올리면 올려야 되는 그런 상황인 거고

It's a situation where I have to raise it even more if I raise it.

주택시장이나 금융시장은

The housing market or the financial market is

거의 버블이

It's almost a bubble.

팽창되어 있어서 언제 꺼질지도 모르는

It is expanded, so it could go out at any time.

그런 위협적인 상황에

In such a threatening situation

놓치고

Missed.

놓이게 돼버렸단 말이죠.

It has ended up being placed.

그러니까 돈 너무 좋아하고 하다가

So, I really like money and end up...

이렇게 돼버린 상황이 되고

It has come to this situation.

또 하나는 미국이 양적완화한다는 건

Another thing is that the U.S. is implementing quantitative easing.

자기의 위기를 그런 측면에서

His crisis in that aspect.

다른 신흥국들한테 떠넘기는 거거든요.

It's passing the responsibility onto other emerging countries.

그러니까 미국이 양적완화한 이유는

So the reason the United States implemented quantitative easing is...

명백하잖아요.

It's obvious.

자기의 위기를 탈출하기 위해서

To escape from one's own crisis.

무진장 돈을 막 찍어내고

Minting an enormous amount of money.

가족으로 폭탄 넘기기.

Passing a bomb among family.

그렇습니다. 그런 식으로 해서

That's right. In that way.

그러니까 앞서도 그렇게 얘기했지만

So, as I mentioned earlier...

표현이 거칩니다만

The expression is a bit rough, but...

똥을 이렇게.

Like this, poop.

이런 식으로 하다가

If we keep doing it this way

용도 폐기나 한 게

Was it something that was decommissioned?

브라질 경제가 아니겠느냐.

Isn't it the Brazilian economy?

지금이라도 좀 더 정신을 차리고

"Even now, I should gather my wits a bit more."

이걸 좀

Can you do this a bit?

보다 좀 민중적인 방향으로

In a more populist direction.

대처하지 않으면

If you don't deal with it

더 큰 위기를 맞을 수밖에 없는

Inevitably facing a greater crisis.

그런 조건인 것 같아요.

It seems to be such a condition.

송명관 씨는 어떻게 생각하세요?

What do you think about Song Myung-kwan?

우리나라도 이제

Our country too, now...

평창 올림픽이 있지 않습니까?

Isn't there the Pyeongchang Olympics?

동계올림픽.

Winter Olympics.

지난번 동계올림픽 여러 번 했던

The last Winter Olympics was held several times.

그 뭐

That well...

캐나다의 그 어디죠?

Where in Canada?

동계올림픽 등등 해가지고

Including the Winter Olympics and so on.

그 평가들이 어땠냐면

How were those evaluations?

결국에는 그 재정적 시

In the end, that financial poem.

담당했던 그 당국의

the authority in charge of that

적자 누적분을

Accumulated deficit

감당하지 못해서

Because I can't handle it.

시가 위태위태해지고

The market is becoming precarious.

그러면 한 번 겪으면 나중에 청문회 같은 거

Then if you experience it once, later there will be something like a hearing.

열어가지고 처벌하고 이래야 되는 거 아닌가 싶기도 하고

I wonder if we should open it and impose punishment like this.

사실 우리가 지금 평창이

In fact, we are now in Pyeongchang.

얼마 안 남았는데요.

There's not much time left.

어찌 보면 우리의 미래의 모습일 수도 있기 때문에

It could be a glimpse of our future, in a way.

저는 좀

I am a bit.

왜냐하면 평창 그거 한다고

Because they are doing that for Pyeongchang.

거기 뭐

What's there?

쌍꼴마을에 사시는 할머니, 할아버지들

Grandmothers and grandfathers living in Ssgol Village.

또 밀양 할머니들 내쫓는 것처럼

Just like driving out the grandmothers in Miryang.

막 내쫓고 그렇게 될 것 같아요.

I feel like I'm going to be kicked out like that.

경기장도 지어야 되고

We also need to build a stadium.

또 거기에 또 펜션도 지고

And also, there is a pension being built there.

호텔 짓고 해야 되지 않습니까?

Shouldn't we build a hotel?

심지어 그

Even that

인천공항에서 평창까지 다이렉트로 가는

Direct route from Incheon Airport to Pyeongchang.

이런 뭐

What is this?

GTX 같은 거 뚫는다니

I can't believe they're digging something like GTX.

이런 얘기까지 있는 마당에

Given that such stories are circulating...

제가 보기에는

In my opinion

지금 브라질을 우리가 오늘 진단했는데

We diagnosed Brazil today.

이게 몇 년 후 우리나라에서 벌어질

This will happen in our country a few years later.

미래의 모습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잠시 들었습니다.

I had a momentary thought that this might be the appearance of the future.

남녀에게만은 아니다.

It's not just for men and women.

네, 그러면은

Yes, then.

뭐 마무리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I will wrap things up.

월드컵으로 지금 브라질 경제 문제를 짚어봤는데요.

I have looked into the economic issues of Brazil through the World Cup.

방금 이제 송명관 씨 말씀하신 대로

Just now, as Mr. Song Myeong-gwan said.

우리나라도 조금 있으면 이제

Our country will also soon be...

바로 이제 올해

Right now, this year.

인천 아시안게임도 있고

There is also the Incheon Asian Games.

몇 년 후면 평창올림픽처럼

A few years later, like the PyeongChang Olympics.

굵직한 이벤트들이 열립니다.

Major events will be held.

게다가 이제 선진국의 금융위기에 대응해야 하는 점에서도

Moreover, we also need to respond to the financial crisis in advanced countries.

브라질하고도 좀 어느 정도 닮은 꼴인 것 같은데요.

I think it resembles Brazil to some extent.

이럴 때일수록

Especially at times like this

우리들처럼 평범한 국민들한테

To ordinary citizens like us.

무엇이 해가 되고

What becomes harmful?

무엇이 해가 되는지

What is harmful?

무엇이 도움이 되는지

What is helpful?

면밀하게 살펴봐야 할 것 같습니다.

I think we need to take a close look.

제 얘기의 경제를

The economy of my story.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That's it for today.

감사합니다.

Thank you.

Continue listening and achieve fluency faster with podcasts and the latest language learning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