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40916월 - [목돈연구소] w 김유나 추동훈 이광수 기자 - 추석특집 한가위 경제 대전망

SBS

박연미의 목돈연구소

1. 240916월 - [목돈연구소] w 김유나 추동훈 이광수 기자 - 추석특집 한가위 경제 대전망

박연미의 목돈연구소

안녕하세요. 가장 빠른 경제 뉴스, 목돈연구소 박연미입니다.

Hello. This is Park Yeon-mi from the Big Money Research Institute with the fastest economic news.

추석 연휴 즐겁게 보내고 계신가요?

Are you having a good Chuseok holiday?

돌아보면 올해는 참 중간이 없었습니다.

Looking back, there really was no middle ground this year.

날씨는 너무 덥고 집값은 너무 비싸고 물가는 너무 오르고

The weather is too hot, house prices are too high, and the cost of living is rising too much.

오늘은 선 넘는 물가, 오르는 집값, 대체 앞으로는 어떻게 될지 툭 터놓고 얘기하는 시간 마련했습니다.

Today, we have set aside time to candidly discuss the soaring prices, rising housing costs, and what's to come in the future.

추석만큼 풍성한 경제 한상 떡하니 차렸으니까 어디 가지 마세요.

We've prepared a bountiful table as abundant as Chuseok, so please don't go anywhere.

9월 16일 월요일 박연미의 목돈연구소 개장합니다.

On Monday, September 16th, Park Yeon-mi's Money Research Institute will open.

아소토 유니언의 Think About You 들으셨습니다.

You listened to "Think About You" by Asoto Union.

즐거운 추석 연휴 보내고 계신지 궁금한데요.

I'm curious if you're having a pleasant Chuseok holiday.

뭐처럼 고향길에 오른 분들도 계실 테고

There may be those who have also embarked on the journey back to their hometown.

이미 모였다 우린 전투부침개 산더미 같이 하고 있다 이런 분도 계시겠네요.

We have already gathered, and we're piled up like a mountain with battle drones. There must be people like this too.

또 연휴가 대목이라서 연휴의 공장 더 열심히 돌립니다 이런 사장님들도 계실 겁니다.

"Since it's a holiday season, there are probably some bosses who work their factories even harder during the holidays."

아니면 아휴 저는 이런저런 이유로 나 혼자 열심히 운동합니다.

Otherwise, sigh, I work out hard by myself for various reasons.

혼자 추석 보내는 혼추족도 늘어나고 있죠.

The number of people spending Chuseok alone is also on the rise.

그래서 오늘도 가장 빠른 경제 뉴스 박연미의 목돈연구소는 어디에서 누구와 함께해도

So today, no matter where you are or who you're with, the fastest economic news is with Park Yeon-mi's Big Money Research Institute.

입맛에 딱 맞는 메뉴로 경제 한상 푸짐하게 차렸습니다.

A hearty meal was prepared with a menu that perfectly suits your taste.

이름하여 3인 3색 한가위 경제대전망.

Introducing the Three Perspectives on the Chuseok Economic Outlook.

잠시 후 국민일보 김유나 이광수 기자, 매일경제 추동은 기자와 함께 상 대령하겠습니다.

In a moment, we will be joined by reporters Kim Yuna and Lee Kwang-soo from the Kukmin Daily, and Choo Dong-eun from the Maeil Economic Daily.

오늘도 고렐라로 함께해 주세요.

Please join me with GORELLA today as well.

참여해 주시는 분들 추첨해서 커피 쿠폰, 청소 이사 전문 영구크린에서 필터 샤워기도 보내드립니다.

Participants will be entered into a draw to receive coffee coupons and a filter shower head from the cleaning moving specialist, Forever Clean.

샵 1035 단문 50원 장문 100원 고렐라는 무료입니다.

Text message to 1035: 50 won for short messages, 100 won for long messages. Gorilla is free.

여러분 신나는 연휴 잘 보내고 계신가요?

Are you all having a great holiday?

우리는 일상에 쉼표 찍고 있는데 마냥 마음이 편하지만은 않습니다.

We are pausing in our daily lives, but our minds are not completely at ease.

물 건너 미국에서 하필 이 소중한 추석에 뭔가 중요한 발표가 있거든요.

There is something important being announced in the United States, of all places, on this precious Chuseok.

그 결과 일상에 복귀하자마자 아마 글로벌 증시에 즉각 반영이 될 텐데

As a result, it will likely be immediately reflected in the global stock market as soon as we return to normal life.

그래서 오늘은 마음의 준비입니다.

So today is a preparation of the heart.

마음의 준비 혹은 미래에 대한 대비할 수 있게 경제 한상 푸짐하게 준비했습니다.

I have prepared a rich economic foundation so that we can be mentally ready and prepared for the future.

오늘 저와 함께 상차림 나설 세 분 매일경제 추동은 국민일보 이광수 김유나 기자 오셨습니다.

Today, three reporters are here with me for the table setting: Choo Dong-eun from Maeil Business News, Lee Kwang-soo, and Kim Yu-na from the Kukmin Ilbo.

안녕하세요.

Hello.

여러분 연휴 때 고맙습니다.

Thank you all for the holiday.

우리 대령숙수 세 분하고 같이 하는 건데 제가 시작하기 전에 세 분한테 별명을 하나씩 선물로 준비했어요.

This is a collaboration with our three chefs, and before I start, I've prepared a nickname as a gift for each of them.

우리 국민일보 김유나 기자님은 목돈연구소 헤르미온 등.

Our Kookmin Ilbo reporter Kim Yoo-na, along with Hermion from the Big Money Research Institute, etc.

와 감사합니다.

Wow, thank you.

너무 기가 막히지 않아요?

Isn't it just incredible?

네. 맥락이 이겨지는 것 같습니다.

Yes. It seems that the context is winning.

예쁘고 똑똑하고.

Pretty and smart.

네.

Yes.

그렇죠. 우리 이광수 기자님은 팬텀싱어 어때요?

That's right. What does our reporter Lee Kwang-soo think about Phantom Singer?

아 팬텀싱어요?

Oh, do you sing Phantom?

네. 기자인 척하는 가수.

Yes. A singer pretending to be a reporter.

아 실제로 음반도 있는.

Oh, there is actually an album too.

네. 제가 제일 좋아하는 주제예요. 대화 주제.

Yes. It's my favorite topic. Conversation topics.

제가 노래를 부른다는.

I sing a song.

자 마지막으로 우리 추동은 기자님은 아무리 봐도 트레이너다. 운동선수다.

Lastly, no matter how I look at it, our Chudong is a trainer. An athlete.

체격이 기자계의 트레이너.

The physique of a trainer in the journalism field.

감사합니다.

Thank you.

편하고 같이 하니까 마음이 든든한데.

It's comforting to do it together.

추 기자님 우리가 긴장하면서 기다리고 있는 조만간 물 건너온다고 하는 중대 발표가 대체 뭡니까?

Reporter Chu, what exactly is the major announcement that we are anxiously waiting for, which is said to be coming over soon?

저도 연휴 기간에 이걸 신경 쓰느라 사실 제대로 집중을 못하고 있습니다.

I'm also unable to focus properly because I've been worrying about this during the holiday period.

진짜?

Really?

그만큼 중요한 뉴스라는 것인데요.

It means that it's news of that much importance.

바로 미국 연준 FOMC에서 기준금리 발표를 합니다.

The Federal Reserve's FOMC will announce the key interest rate right away.

그냥 발표하는 게 아니고요.

It's not just about announcing it.

이번에 금리 인하를 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라는 점에서 굉장히 주목도가 커지고 있고요.

There is a very high possibility of an interest rate cut this time, which is drawing a lot of attention.

한국 시각 기준으로는 9월 19일 오전 3시에 발표가 된다라고요.

It will be announced at 3 AM on September 19th, Korea Standard Time.

연휴 끝나고 경제에 관심을 가지시는 분들이라면 바로 이 뉴스에 집중하셔야 됩니다.

If you are someone interested in the economy after the holidays, you need to focus on this news right away.

그래요. 집중해야 되는데 우리가 아 이 낡은 표현 쓰기 싫은데 오매불망.

I see. We need to focus, but we don't want to use this old expression—oh my, I'm yearning.

깨나잖아. 그렇죠. 이게 깰 오자 맞죠?

It's quite a lot, isn't it? Right. This is the phrase for "to be awake," isn't it?

깰 오자 잘 맺자. 안 지나서나 생각하고 있는 미국의 금리 인하폭.

"Let's wake up and make a good deal. The U.S. interest rate cut that is being considered without passing."

계단을 큰 걸음으로 내려올 거냐 작은 걸음으로 내려올 거냐.

Are you going to come down the stairs with big steps or small steps?

이게 제일 궁금한데 세 분은 어느 쪽에 손을 드시겠어요?

This is what I'm most curious about— which side would you three choose?

우리 이경수 기자님부터 한번 들어볼까요?

Shall we hear from reporter Lee Kyung-soo first?

네.

Yes.

작은 걸음으로 내려오지 않을까 좀 그런 생각이 들거든요.

I have a feeling that they might come down with small steps.

0.25%포인트?

0.25% point?

네. 맞습니다. 지금 현재 시장에서는 그래도 말씀을 많이 하시는 분들은 비껏 해야 된다 이렇게 주장하시지만

Yes. That's right. Currently in the market, there are still many people who argue that we really need to do our best.

저는 이건 약간 경고성 메시지다 이렇게 판단을 하고 있고 사실 시장에서 제일 싫어하는 건 깜짝 선물입니다.

I view this as somewhat of a warning message, and what the market hates the most is a surprise gift.

깜짝 선물을 안 좋아해요.

I don't like surprise gifts.

저는 좋아하는데.

I like it.

저도 사실 되게 좋아하거든요.

I actually really like it too.

저도 괜찮은데.

I'm fine too.

저 서프라이즈 파티 되게 좋아하는데 시장에서는 갑자기 이렇게 비껏 0.5%포인트를 내리면

I really love surprise parties, but it's unexpected for the market to suddenly lower things by 0.5 percentage points like this.

오히려 경기 침체 정말 심하다보다 이렇게 생각이 될 수가 있어서 아무래도 시장의 보조에 맞춰서 베이비 컷을 하지 않을까 그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Rather than thinking that the economic recession is truly severe, I believe that there may be adjustments made to align with market conditions, potentially resulting in a baby cut.

시장은 심쿵 이런 거 싫어한다. 김유나 기자님 생각은 어때요?

The market doesn't like things that make the heart race. What do you think, reporter Kim Yuna?

저도 베이비 컷일 것 같은데요.

I think it will be a baby cut too.

워낙 지난번에 연준이 실기했다 이런 비판들이 많았기 때문에 이번에 금리 인하는 당연히 가져갈 걸로 보이고

There has been a lot of criticism that the Federal Reserve made a mistake last time, so it seems that they will obviously reduce interest rates this time.

말씀하신 대로 이거를 큰 폭으로 가져가기에는 지표들이 좀 헷갈리는 것들이 있었기 때문에

As you mentioned, there were some indicators that were a bit confusing, so taking this on a large scale is a bit difficult.

좀 이번에는 베이비 컷으로 가지 않을까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I’m thinking of going for a baby cut this time.

그러면 오늘의 이 화두를 던진 추 기자님 생각은 궁금한데요.

I'm curious about your thoughts on today's topic, Reporter Chu.

뭐 저도 현재 베이비 컷입니다.

Well, I currently have a baby cut too.

따라쟁이.

Copycat.

저로서 지금 비컷을 한번 해볼까 하고 논리를 한번 짜봤었는데 아무래도 첫 발은 베이비 컷인 것 같고요.

I was thinking of trying a b-cut right now and came up with some reasoning, but it seems that the first step would be a baby cut.

25bp 현재 패드워치 전문가들의 의견도 역시 85%의 확률로 베이비 컷을 할 것이다 라고 전망을 내놓고 있습니다.

The current FedWatch experts also project an 85% chance of a baby cut with a 25bp adjustment.

뭐 이 정도로 현재 분위기 자체는 그런데요.

Well, the current atmosphere is like this.

하나 말씀드릴 건 있어요.

There's something I want to say.

정말로 다가오기 직전까지 발표 직전까지는 어떤 일이 벌어질지 아무도 모른다라는 것인데

No one knows what will happen right up to the moment before the announcement.

제가 미국에서 뉴욕 특파원이 있을 때도 비슷한 일이 있었거든요.

I had a similar experience when I was a correspondent in New York, USA.

모든 사람들이 기사를 다 써놨단 말이에요.

Everyone has already written the article.

무조건 무슨 스텝을 밟을 것이다 라고 했는데 불과 5일 전에 사고가 터졌던 걸로 기억을 합니다.

I remember that they said they would definitely take some steps, but an incident occurred only five days ago.

그래서 저도 준비했던 기사 자료들 다 폐기 처분하고 새로 했었거든요.

So I discarded all the article materials I had prepared and started new ones.

두 개 다 써놔야죠.

You should write both of them down.

적지 잘 아시는데.

You know the place well.

두 개 다 써놨다가 숫자만 집어넣어야지.

I'll write both down and just insert the numbers.

그래서 이번에도 변동성이 있다는 거 먼저 전제드리고요.

So I want to preface that there is volatility this time as well.

한번 과거도 살펴봤는데요.

I once looked into the past.

살펴볼 필요가 있는 것 같아요.

I think it needs to be looked into.

제로금리를 탈출했었던 미국이요.

It's the United States that has escaped zero interest rates.

22년 3월에 첫 스텝을 25bp 인상을 했었습니다.

In March 2022, the first step was a 25bp increase.

이 말인 즉슨 일단 처음에는 간을 쳐보고요.

This means that at first, you will taste it.

그다음부터 본격적인 스텝을 밟아 나간다라고 봤을 때

From then on, we can say that we are stepping into full-fledged action.

이러한 과거 경험까지 포함해도 아마 베이비컷이 되지 않을까라고 생각이 됩니다.

I think that even with these past experiences included, it might still be a baby cut.

피버셀 시점에는 지나치게 무리하지 않을 거다.

I won't push myself too hard at the time of the fever cell.

이쪽으로 의견이 모이는데 사실 남의 나라 기준금리가 우리한테 왜 중요하냐.

Opinions tend to converge on this, but frankly, why is the interest rate of another country important to us?

우리의 갈 길을 그들이 열기 때문입니다.

Because they are opening the way for us.

한국은행도 기준금리를 결정했고.

The Bank of Korea has also decided on the benchmark interest rate.

결정할 날이 머지 않았는데 그러면 한국은행은 어떻게 움직일지

The day to decide is approaching, so how will the Bank of Korea respond?

이번에는 김유나 기자님 생각부터 들어볼까요?

This time, shall we hear what reporter Kim Yoo-na thinks first?

저도 이제 한은도 금리 인하에 나서지 않을까 이렇게 전망을 해보고 있는데요.

I am anticipating that the Bank of Korea will also start to lower interest rates now.

미국 상황 분리해서 생각을 해보더라도

Even if we consider the situation in the United States separately,

이미 한은이 직전 금통위 때 금리 동결 결정을 했었잖아요.

The Bank of Korea already made a decision to freeze interest rates at the last monetary policy meeting.

이때 대통령실이 내수진작 측면에서 아쉽다.

At this time, the presidential office lacks in terms of boosting domestic demand.

이렇게 이례적으로 개입하는 발언을 했었거든요.

They made an unusually intervening remark like this.

처음 봤어요.

I saw it for the first time.

사실상 금리 내려라 이렇게 압박을 했던 건데

In fact, it was a pressure to lower the interest rates like this.

물론 금리 결정은.

Of course, the interest rate decision is.

결정이 한은의 독립적인 권한이긴 하지만

The decision is an independent authority of the Bank of Korea, but

이렇게 대통령실이 나서서 공개적으로 인하를 요구하는 상황에서

In a situation where the presidential office is publicly demanding a reduction like this,

한은이 이 다음에도 마냥 무시할 수 있을까?

Can Han Eun continue to ignore it like this?

여기에 좀 의문점이 찍히고요.

There are some questions raised here.

다만 변수는 이창영 총재가 이런 외부 요인을 고려하지 않고

However, the variable is that Chairman Lee Chang-young is not considering these external factors.

판단만 제대로 본인이 할지 여기 여부인데

It depends on whether you can make the right judgment yourself.

사실 대통령실이나 정치권이 그냥 내려라 이렇게 압박만 하는 게 아니라

In fact, it's not just the presidential office or the political sphere pressuring them to just step down.

한은이 경기침체나 내수진작 이런 거에도 제대로 대응을 못하고 있다.

The Bank of Korea is unable to properly respond to things like economic recession or boosting domestic demand.

라는 비판을 함께하면서 금리를 내려라 이렇게 압박을 하고 있는 거기 때문에

This is because they are putting pressure to lower interest rates while also criticizing.

너무 한은의 종합적인 역할을 고려를 하게 되면

When considering Han's comprehensive role...

아마 인하를 하지 않을까라고 생각을 하는데

I think they probably won't lower it.

다만 변수는 지금 부동산 시장이라든지

However, the variable is the current real estate market.

이런 경제 구조적인 문제들이 좀 변수가 될 걸로 보입니다.

It seems that these economic structural issues will be a variable.

그래요.

Okay.

추동훈 기자님 생각은 어때요?

What do you think, reporter Choo Dong-hoon?

말씀해 주신 대로 대통령실에서도 금리 이야기를 하지 않았습니까?

As you mentioned, didn't the presidential office also talk about interest rates?

저도 처음에 의아했었는데 그러고 보니 미국에서는

I was also puzzled at first, but now that I think about it, in the United States...

트럼프 전 대통령.

Former President Trump.

대통령 후보가 금리옵니다.

The presidential candidate is raising interest rates.

움직이면 안 된다.

You must not move.

이런 말까지 하잖아요.

They even say things like this.

현직 때도 얘기 많이 했어요.

I talked a lot even during my time in office.

그러니까요.

That's right.

그런 거 보면 정말로 한국은행의 고민이 클 수밖에 없다라고 생각이 되고요.

Seeing that, I really think that the concerns of the Bank of Korea must be significant.

한국은행.

Bank of Korea.

제 생각에는 미국의 중앙은행보다도 고민이 많을 수밖에 없습니다.

I think there are more concerns than even the US central bank.

국내 상황도 국내 상황인데 미국의 상황까지 종합적으로 판단해서 또 판단해야 된단 말이죠.

The domestic situation is one thing, but we also need to comprehensively assess the situation in the U.S. and make judgments accordingly.

그만큼 복잡한 다차원 방정식을 풀어야 된다라는 측면에서

In terms of having to solve such a complex multidimensional equation.

한은의 고민은 커진다라고 보고요.

The worries of Han-eun are growing.

내리긴 내릴 겁니다.

It will rain.

다만 말씀해 주신 대로 지금 앞서서 이야기해 주신 대로 언제가 중요할 것일 것 같은데.

However, as you mentioned, I think it will be important when it happens, as you pointed out earlier.

변수가 많지 않습니까?

Aren't there many variables?

일단 말씀해 주신 대로 가계대출 문제.

First of all, the household loan issue you mentioned.

이런 대출 문제가 제일 큰 것 같고요.

I think the loan issue is the biggest problem.

저희가 아마 브리핑에 다뤘던 것 같아요.

I think we probably covered it in the briefing.

17조 원이 지난달에 늘어났다.

17 trillion won increased last month.

이게 조사 이래 역다 최대 차이로 늘어난 것이다라고 발표가 됐었는데

It was announced that this has increased by the largest margin since the survey was conducted.

이 대출이 이만큼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금리 변동성이 생겼을 때

In a situation where this loan is increasing to this extent and interest rate volatility occurs,

시장에 미칠 여파가 얼마나 크냐.

How significant is the impact on the market?

이게 가장 중요할 것 같고요.

I think this will be the most important thing.

이와 더불어서 미국 기준 금리가 인하가 확실히 되니까 한국은행은 언제 움직여야 되냐인데

Along with this, since the U.S. benchmark interest rate is definitely going to be lowered, when should the Bank of Korea take action?

사실 다시 과거 이야기를 한 번 더 이야기를 꺼내봤습니다.

In fact, I brought up the past story once more.

보면 제로금리를 탈출했을 때도 한국은행은 미국보다 선제적으로 움직였습니다.

When looking at it, the Bank of Korea acted preemptively compared to the U.S. even when it escaped from zero interest rates.

21년 8월에 금리 인상을 단행을 했었는데 미국이 첫 금리 인상을 단행한 게 22년 3월이었거든요.

The rate hike was implemented in August 2021, but the United States first raised its rates in March 2022.

그 당시만 해도 6개월 먼저 선제적으로 움직이면서 시장에서는 한국은행이 그래도 변수를 줄이기 위한

At that time, the Bank of Korea was proactively taking action six months earlier to reduce variables in the market.

굉장히 선제적 대응에 나섰다라고 평가를 했었는데 문제는 이번에는 반대라는 거죠.

It was assessed that there was a very proactive response, but the problem this time is the opposite.

미국이 먼저 움직일 것이고 한국은행이 따라 움직여야 되는 상황인 만큼 그 시기가 굉장히 중요할 것이다.

The United States will take the first action, and the Bank of Korea will have to follow suit, so the timing will be very important.

그렇다 보니까 그 시기.

Because of that time.

지금 사실 쉽게 가늠하기는 쉽지 않다라고 보입니다.

Right now, it seems that it's not easy to gauge it easily.

그러면 당장 따라 내리지는 않을 수도 있다 이렇게 보는 거예요?

So you're saying that they might not immediately follow and drop down?

일단 좀 그럴 수도 있지 않을까라고는 한 번 다르게 생각을 해보곤 있습니다.

Well, I sometimes think it might be the case.

한 번 걸러서 갈 수도 있다.

It could be possible to go after filtering once.

추 기자는 그렇게 생각하신다는 건데 그래요.

Journalist Choo thinks that way, then.

여러 가지 고민이 있을 것 같습니다.

You may have various concerns.

이광수 기자님 생각은 어때요?

What do you think, reporter Lee Kwang-soo?

저도 비슷합니다.

I am similar as well.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하를 단행했다고 해서 곧바로 자동으로 한 은도 내리나 이거는 아닐 것 같고 근거를 찾을 것 같아요.

Just because the United States has decided to lower its key interest rate doesn't mean that the Korean interest rate will automatically decrease; I think there will be a search for justification.

그런데 그 근거가 가계 부채의 증가세가.

However, the basis for that is the increase in household debt.

둔화되는지 이걸 확인을 하고 그렇게 확인을 하면 시장 참여자들이 다 보잖아요.

If we check whether it is slowing down and confirm that, market participants will all see it, right?

그때 한은도 0.25%포인트 정도 금리를 내릴 수 있는 그런 분위기가 조성되지 않을까 그렇게 생각이 되고

I think that at that time, a 분위기가 조성되지 않을까 where the Bank of Korea could lower the interest rate by about 0.25 percentage points.

그 추세를 보려면 10월이나 11월 정도는 돼야 되지 않을까 저는 그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I think we should be able to see that trend around October or November.

추석 지나고도 경기 안 산다.

I won't buy anything even after Chuseok.

내수 실종됐다 이러면 한은이 온팡 책임을 쓰지 않을까요?

Isn't it possible that the Bank of Korea will take complete responsibility if domestic demand goes missing?

이런 고민은 안 될까요?

Could you not have such concerns?

맞습니다.

That's right.

지금도 이미 대통령실 포함해서.

Even now, including the presidential office.

KDI에서도 한은을 비판하는 보고서가 나오고 있어서 그런 것들은 사실 부담일 수가 있을 텐데요.

There are reports criticizing the Bank of Korea coming out from KDI as well, and those things can actually be a burden.

아무래도 정책의 일관성이라는 측면에서 사실 내수 같은 경우에는 갑자기 안 좋아진 건 아니잖아요.

It seems that, in terms of policy consistency, the domestic market hasn't suddenly worsened, right?

그래서 아무래도 가계 부채가 가장 부담으로 지금 생각하고 있는 것 같은데

So it seems that household debt is the biggest concern at the moment.

이런 둔화세를 확인을 하고 금리 인하를 단행하지 않을까 저는 그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I think they might lower the interest rates after confirming this slowdown.

의외로 우리 남자 기자 두 분은 굉장히 조심스러운 스탠스 보여줬는데

Surprisingly, our two male reporters showed a very cautious stance.

한국은행의 선택 우리가 기다려보겠습니다.

We will wait for the Bank of Korea's decision.

그리고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사실 요즘 달러값, 미국 증시, 국내 증시, 원달러 환율에까지 무차별하게 영향을 미친 나라가 바로 일본인데요.

And not only in our country, but Japan has also indiscriminately affected the dollar value, the US stock market, the domestic stock market, and the won-dollar exchange rate these days.

일본 기준금리가 올라갈까 말까 이 얘기만 가지고도 NKT 트레이드 청산 얘기가 나오니까 불안하잖아요.

The discussion of whether Japan's interest rates will rise or not is causing anxiety, as it brings up concerns about the liquidation of NKT trades.

일본이 기준금리를 올해 안에 한 번 더 인상할 수 있을까요?

Could Japan raise its benchmark interest rate one more time this year?

이건 추 기자님 생각부터 한번 들어볼까 싶은데요.

I would like to hear your thoughts on this, Reporter Choo.

일본 여행을 준비하고 계신다면.

If you are preparing for a trip to Japan.

서둘러 다녀오시는 게 좋지 않나요?

Isn't it better to hurry and come back?

아, 서둘러 다녀와라. 근거는?

Ah, hurry back. What's the reason?

이 N화가 강해질 분위기가 계속해서 보인다는 것이죠.

It continues to seem that this N currency is becoming stronger.

N화가 더 비싸질 거다.

The N currency will become more expensive.

맞습니다. 이게 바로 기준금리에 대한 이야기가 될 것 같은데요.

That's right. This seems to be about the benchmark interest rate.

일본은행이 현재 기준금리 저번에 한 번 한 차례 올렸다가 크게 한 번 데미지를 입지 않았습니까?

Didn't the Bank of Japan raise the key interest rate once last time and then suffer significant damage?

그렇다 보니까 시장에서는 다시 한 번 신중론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As a result, there are discussions in the market about cautiousness once again.

하지만 지금 최근의 분위기는 굉장히 또다시 올라갈 수 있다는 메시지가 쏟아지고 있는데요.

However, the recent atmosphere is sending a strong message that it can rise again.

나카가와 준코 일본은행의 심의위원이 최근에 또 한 번.

Nakagawa Junko, a member of the Bank of Japan's Policy Board, recently once again.

이야기를 한 적이 있습니다.

We have had a conversation.

경제 전문가들을 모아놓고 이야기를 했었는데.

I gathered economic experts and talked.

현재 금융 완화 정도를 조정해 나갈 것인데.

We will adjust the current level of monetary easing.

인플레이션이 계속해서 안정적으로 가기 위해서.

For inflation to continue to remain stable.

그리고 경기를 부양시키기 위해서의 변화가 있을 수 있다라는 메시지를 던졌거든요.

And they conveyed the message that there could be changes to boost the game.

이 메시지가 뾰족하게 금리를 무조건 올리겠다라고는 아니었지만.

This message did not explicitly state that interest rates would definitely be raised.

이 변화의 필요성이란 말에 암시되어 있는 내용이 그렇다 보니까.

The necessity of this change is implied in that statement.

시장의 N화는 다시 강화 추세로 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The market's yen is trending towards strengthening again.

11일이었죠.

It was the 11th.

11일 날 도쿄 외환시장의 N딸.

On the 11th, N-daughter of the Tokyo foreign exchange market.

한때 140.7위까지 갔습니다.

At one point, I reached as high as 140.7.

N화 가치가 올해 들어서 가장 강하게 찍혔던 시점이 바로 이 시기고요.

The point at which the value of the yen was the strongest this year was exactly during this period.

그렇다 보니까 지금부터는 금리 인상에 대해서 많은 전문가들이 베팅을 하고 있다.

As a result, many experts are now betting on interest rate hikes.

시장의 흐름이 글러가고 있다고 보고 있고.

I see that the market trend is reversing.

아무래도 일본의 기준금리의 흐름 자체는 전 세계의 기본적인 흐름과는 좀 반대로 가고 있지 않습니까.

It seems that the trend of Japan's benchmark interest rate is moving somewhat opposite to the basic trend of the world.

그런 가운데 일본의 마이웨이가 과연 글로벌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In the midst of this, what impact will Japan's My Way have on the global economy?

그리고 미국과의 관계.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United States.

그리고 말씀해 주신 대로 N캐리트레이드 문제까지.

And as you mentioned, even the N carry trade issue.

연결되어 있다 보니까 아마 하반기에는 아마 일본 경제.

Since we are connected, the Japanese economy may be affected in the second half of the year.

일본의 기준금리 변동성이 굉장히 글로벌 거시경제에서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도 보여지고 있습니다.

The volatility of Japan's benchmark interest rate is also showing that it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global macroeconomy.

N화 강세 때문에 일본 증시가 지난번에 한 번 크게 무너지고.

The Japanese stock market collapsed significantly last time due to the strengthening of the yen.

이 우에다가조 총재가 의회에 불려가서 대판 혼났는데 또 올릴 수 있다고 보는 거예요.

The chairman Ueda was called to the parliament and was severely reprimanded, but he believes he can still run again.

그러면.

Then.

가능성이 있다라는 것이고.

It mean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그리고 일본 경제 전문가들 본인들이 정부 당국에서 이렇게 메시지를 내고 있다는 것은.

And the fact that Japanese economic experts themselves are issuing such messages from the government authorities is...

결연한 의지를 오히려 보여주고.

Rather show a strong will.

보이고 있다라고 보이거든요.

It seems to be visible.

그래서 저는 연말 안에 한 번의 변화 무조건 발생할 수 있다라고 보여집니다.

So I believe a change can definitely occur once by the end of the year.

자 무조건 발생할 수 있다.

It can happen without fail.

강력한 의견 나왔는데 김유나 기자님 생각은 어때요.

There has been a strong opinion expressed, what do you think, reporter Kim Yuna?

저도 지금 일본은행 위원들 발언을 보면 추가 상승 여지를 좀 남겨둔 상황이거든요.

Looking at the comments from the Bank of Japan committee members, it seems there is still some room for further increases.

그래서 당장 이번 9월에는 금리를 동결하더라도 10월이나 내년 1월 사이 이때는 한 번은 추가 인상하지 않을까 생각을 하는데요.

So even if they freeze the interest rate this September, I think there might be an additional increase sometime between October and January next year.

일본이 지금 차기 총리를 결정하는 자민당 총재 선거를 앞두고.

With Japan now facing the ruling party's presidential election to decide the next Prime Minister.

이게 변수입니다.

This is a variable.

그래서 기시다 호미호 총리가 사실 이 기시다 노믹스 성과가 굉장히 컸잖아요.

So Prime Minister Kishida's achievements in Kishida Economics have been quite significant.

그렇기 때문에 이 후임자가 이 기시다 노믹스의 노선을 그대로 밟을지 아니면 자신이 판단을 해서 전혀 다른 경제 정책을 펼칠지 여기에 좀 관심이 쏠릴 것 같은데.

Therefore, it seems that there will be some interest in whether this successor will follow the path of Kishida's economic policy as it is, or if they will make their own judgment and implement entirely different economic policies.

아무래도 기시다 노믹스 성과 자체는 대규모 재정 지출도 했고 또 완화적 금융 정책을 폈기 때문에 30년 만에 최고 수준의 임금 인상 이런 성과도 있었고요.

It seems that the results of Kishida's economic policies, which involved large-scale fiscal spending and a loose monetary policy, have led to the highest wage increase in 30 years.

또 증시법.

Also, the stock market law.

또 증시부양 효과도 있었다라고 보고 있기 때문에 이거를 후임자가 어떻게 평가를 해서 이어받을지가 좀 관건이 될 것 같습니다.

There is also a report that there has been an effect of stimulating the stock market, so how the successor assesses this and continues from here will be crucial.

김유나 기자님 보시기에는 기시다 노믹스 이 기조 이어갈 것 같습니까?

Do you think Kishida's "Kishida Nomics" will continue in this direction?

저는 이어갈 것 같습니다.

I will continue.

왜냐하면 이제 신임 총재가 이런 성과를 내는데 굉장히 급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비슷하게 흐름을 가져가지 않을까라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I think the new president might want to follow a similar trend because they could be very eager to achieve such results now.

그리고 이 동네는 대대손손 지역구도 물려받고 노믹스가 바뀐다.

And in this neighborhood, the local district is passed down through generations, and the nomics change.

이게 간판판문입니다.

This is the signboard panel.

간판만 바뀌는 거지 골조가 바뀌는 경우는 거의 없는 것 같은데 이광수 기자님 생각은 어때요?

It seems that only the sign changes, and the structure rarely changes. What do you think, Reporter Lee Kwang-soo?

지금도 일본 당국자들이 금리를 올릴 수 있다.

Japanese authorities can still raise interest rates now.

이렇게 얘기하는 것은 그냥 가능성의 문제라고 저는 생각을 하고 그냥 깜빡이 정도 켰다라고 생각을 하고요.

I think talking like this is just a matter of possibility, and I just consider it as having turned on the turn signal.

갑자기 또 금리를 인상해야 될 상황이 조성이 될 때 금리를 인상을 하면 시장에서 또 아까 말씀드린 것처럼 깜짝파티 안 좋아하기 때문에

If a situation suddenly arises where interest rates need to be increased again, raising rates would lead to a market reaction that, as mentioned earlier, does not favor surprises.

미리 그냥 깜빡이 정도 켜둔 상황으로 보이고 데이터를 좀 확인을 하고 12월이나 내년 초에.

It looks like I just turned on the turn signal in advance, and I will check the data and look into it in December or early next year.

초쯤에 좀 가능성이 더 커지지 않을까 그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I think the possibility might increase around that time.

그러면 12월에도 인상할 가능성은 있다고 보시는군요.

So you believe there is a possibility of an increase in December as well.

세 분 다 연말 안에 한 번 더 올릴 가능성도 있다. 이렇게 보시는 건데 저는 다른 얘기해야겠다.

All three of you may have the possibility of coming up again before the end of the year. That's how you're looking at it, but I think I'll talk about something else.

저는 올해 안에는 더 이상 올리지 않는다. 이쪽에 한 표 던지는 쪽인데 우리 맞추고 맞는 사람이 못 맞춘 사람들한테 거꾸로 커피를 한 잔 어때요?

I won't be posting anymore this year. I'm leaning towards this side, so how about we guess, and the winners treat the losers to a cup of coffee?

저도 그러면 바꿔내겠습니다.

Then I will change it as well.

2대2로 이렇게.

Like this, 2 against 2.

좋아요. 그런데 일본 경제도 일본이지만 중국이 문제예요.

That's good. But while Japan's economy is important, China is the problem.

최근에 보면 중국 올해 5% 성장하겠어 이 우려가 커지고 있는데 사실상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대출 우대금리 LPR을 또 내릴 수 있다 이런 얘기가 있어요.

Recently, there are growing concerns that China will only achieve 5% growth this year, and there are discussions about potentially lowering the loan prime rate (LPR), which effectively acts as a benchmark interest rate.

추 기자님 이거 진짜예요?

Is this real, Reporter Chu?

이게 지난주였습니다. 0.8% 포인트를 인하하냐라는 이슈가 계속 있었는데요.

This was last week. There was an ongoing issue about whether to lower it by 0.8 percentage points.

중국 같은 경우도 또 다른 세상을 살아가고 있는 나라입니다.

China is also a country living in another world.

사실 미국과 한국이 비슷하게 이러한 인플레이션 문제 때문에.

In fact,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are facing similar inflation issues because of this.

때문에 여러 가지 우려가 있었고 이 기준금리를 낮추냐에 대한 관점에서 이야기를 했었다면 중국 같은 경우에는 내수 경지가 무너지지 않을까.

There were various concerns because of this, and if we were to discuss whether to lower the benchmark interest rate, one might wonder if the domestic economy in China could collapse.

이 디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계속해서 이 시장을 지배해 왔었습니다.

Concerns about this deflation have continued to dominate the market.

그리고 중국 같은 경우에는 너무나 잘 알고 계시다시피 미국과 더불어서 전 세계를 이끌어가고 있는 G2 국가라고 되어 있지 않습니까?

And in the case of China, as you well know, it is referred to as a G2 country that, along with the United States, is leading the world.

그런 상황에서 계속해서 미국 정부에서 중국에 대한 압박을 가했었고요.

In such a situation, the U.S. government continued to apply pressure on China.

글로벌 거시경제 측면에서는 중국 경제가 살아야 된다.

From a global macroeconomic perspective, the Chinese economy needs to thrive.

굉장히 아이러니한 상황이 몇 년간 이어져 왔었거든요.

It's been a very ironic situation for several years.

그런 가운데 굉장히 고민이 많았던 중국 입장에서는 어떻게든 내수 경제를 살리는 것이 미국이라든지 다른 견제를 하는 다른 국가의 영향에서 벗어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라고 생각을 하고 있고.

In that context, China, which has been very troubled, thinks that reviving its domestic economy is the only way to escape the influence of the United States and other countries exerting pressure.

그로 인해서 소비를 어떻게든 진작시키기 위해서 유동성을 공급하는 거죠.

As a result, liquidity is provided to somehow stimulate consumption.

대출 금리 기준금리를 낮추면 결국에는 시장에 그만큼 돈이 풀리게 되고 이 돈들이 소비로 이어지면서 기업이 되살아날 수 있는 이러한 선순환 구조를 꿈꾸고 있다고 봐야 될 것 같습니다.

If the lending interest rate lowers the benchmark rate, it will eventually lead to more money being injected into the market, and as this money leads to consumption, it is likely to create a virtuous cycle that revitalizes businesses.

그런데 경제가 정상적으로.

However, the economy is functioning normally.

경제가 정상적으로 돌아가면야 이런 일을 할 필요도 없겠고 돈도 꿔서 쓸 텐데 미래가 불안하다고 보니까 중국 경제가 이러지 않나 싶어요.

If the economy were functioning normally, there would be no need to do such things, and I would be borrowing money to spend, but I think the Chinese economy is in this state because of the uncertainty about the future.

자 그리고 이게 기준금리 우리 이제 내린다는 얘기가 나오지만 우리 기준금리 3.5%잖아요.

And now, there are talks about lowering the base interest rate, but our base interest rate is 3.5%, right?

그런데 가공할 만한 기준금리를 갖고 있는 나라가 꽤 많습니다.

However, there are quite a few countries that have a benchmark interest rate that is quite significant.

터키 50%. 5% 아니고요. 50%입니다.

Turkey 50%. Not 5%, but 50%.

아르헨티나 40%. 러시아 16%.

Argentina 40%. Russia 16%.

이게 실환과 스펙입니다.

This is the actual event and the specifications.

이광수 기자님. 히르키에 이 금리와 현재 경제 상황 짧게 정리를 해볼까요?

Reporter Lee Kwang-soo, shall we briefly summarize the interest rates and the current economic situation?

네. 이 형제나라 히르키에가 지금 초인플레이션 현상 때문에 지금 고통을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Yes. This brother nation, Hirkie, is currently suffering due to hyperinflation.

그것 때문에 이렇게 기준금리가 높은 건데요.

That's why the interest rate is so high.

50% 금리 속에서 어떻게 살죠?

How do we live with a 50% interest rate?

네. 그래서 50% 금리니까 굉장히 부자되겠다 이렇게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실 텐데 이 물가상승률이 67%라고 합니다.

Yes. So, some people might think that with a 50% interest rate, they would become very rich, but the inflation rate is said to be 67%.

그러니까 은행의 50% 금리를 받아도 사실상 내 실질소득.

So even if I receive a 50% interest rate from the bank, my actual income is effectively reduced.

마이너스.

Minus.

실질자산은 마이너스.

Real assets are in the negative.

마이너스인 거죠. 그러니까 빵이나 우유, 월세 이런 것들이 이렇게 오른다고 상상해보면 사실 상상이 좀 어려울 정도입니다.

It's a minus, right? So if you imagine things like bread, milk, and rent going up, it’s honestly difficult to even envision.

사실 미국을 포함해서 우리나라는 물가와의 전쟁을 하고 있는 중이잖아요.

In fact, both the United States and our country are currently in a battle against inflation.

코로나19 이후 풀렸던 유동성을 우리가 잡기 위해서 그동안 고통스럽게 금리를 올렸던 것인데

We have been painfully raising interest rates to control the liquidity that was released after COVID-19.

이 터키는 좀 다른 생각을 했었습니다.

This turkey had a slightly different thought.

그래서 2021년 8월까지 내리기 시작을 해서 2023년 2월에는 오히려 기준금리를 8.5%까지 내려요.

So, starting from August 2021, it was reduced, and by February 2023, the benchmark interest rate was lowered to 8.5%.

19%였던 기준금리를.

The benchmark interest rate, which was 19%.

오히려 올려야 되는 상황인데 8.5까지 내렸습니다.

It's actually a situation where it should be raised, but it has been lowered to 8.5.

이 고물가 상황에.

In this high inflation situation.

네. 맞습니다. 그때 당시 터키 정부가 약간 새로운 경제실험을 한 거예요.

Yes. That's right. At that time, the Turkish government was conducting a sort of new economic experiment.

전 국민을 대상으로?

For the entire population?

네. 맞습니다. 그게 이제 실패했다고 판단을 해서 다시 통화정책을 바꿔서 7번, 8번 이렇게 금리를 인상을 해서 50%까지 끌어올린 상황이고

Yes, that's right. They have now judged that it failed and changed the monetary policy again, raising the interest rates to 7 and 8 times, bringing it up to 50%.

지금 이 50%까지 끌어올렸기 때문에 지금 터키, 틸키의 국민들의 생활이 굉장히 어려운 상황인데

Since it has been raised to 50% now,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people in Turkey and Tilki are very difficult.

아무래도 이런 초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서는 그래도 이런 전공법밖에 없지 않나 이런 판단을 외국인 투자자들은 하고 있다고 합니다.

It seems that foreign investors believe there is no other way to tackle this hyperinflation than with such measures.

그래요. 그래서 요즘 달러 가지고 틸키에 가면 굉장히 구매력이 커졌다고 하는데

I see. So these days, they say that the purchasing power has greatly increased when going to Turkey with dollars.

여하간 깜짝 파티는 싫어하는구나. 이거 다시 한 번 확인이 되는데요.

Anyway, you really dislike surprise parties. This is confirmed once again.

세 분과 함께 기준금리 가지고 세계 경제까지 한 번 싹 훑었습니다.

We went over the benchmark interest rate together with the three of you and took a look at the global economy.

경제한산 든든하게 먹었는데 잠깐 노래 한 곡 듣고 두 번째 상 내오겠습니다.

I had a hearty meal, but I'll listen to a song for a moment and then bring out the second course.

선미의 보르크.

Sunmi's Borg.

다음 달 듣고 올게요.

I'll listen to it next month.

선미의 보르크.

Sunmi's Borg.

가장 빠른 경제 뉴스 sbs 박연미의 목돈연구소입니다.

This is SBS Park Yeon-mi's Wealth Research Institute, the fastest economic news.

연휴에도 함께하고 계신데요.

You're still together during the holiday.

오늘은 내일로 다가온 추석 맞아서 추동훈 이광수 김유나 세 분의 기작의 대령 숙수들과 함께 3인 3색 한가위 경제대전망 하고 있습니다.

Today, in anticipation of Chuseok tomorrow, we are having a discussion on the economic outlook for the holiday with three experts: Choo Dong-hoon, Lee Kwang-soo, and Kim Yu-na, each bringing their unique perspectives.

한 끼만 먹어도 든든한 메뉴로 구성했는데 앞서 드려왔던 기준금리 물러가고

The menu is composed of hearty options that are satisfying even if you only have one meal, and the previously mentioned benchmark interest rate has been withdrawn.

이번에는 너무 뜨거워서 각별히 조심히 드셔야 하는 부동산 반찬 들어옵니다.

This time, a very hot real estate side dish is coming in, so you need to be particularly careful when eating it.

자 9월 들어서 집값의 상승폭 자체가 약간 줄기는 했는데

Now that September has arrived, the rate of increase in house prices has slightly decreased.

요게 하락의 전조일지 아니면 이러다 박스권에 갇혀서 말건지 요거 궁금한데 김유나 기자님 생각은 어떠세요?

I'm curious whether this is a precursor to a decline or if it will be stuck in a range. What do you think, reporter Kim Yuna?

저는 이게 하락의 전조라고 보기는 좀 어렵지 않을까 생각을 합니다.

I think it's a bit difficult to see this as a precursor to a decline.

매수심리가 계속 살아있기 때문에 잠깐 이제 멈추다가 그다음에 다시 상승폭을 이어가지 않을까 생각을 하는데요.

I think the buying sentiment is still alive, so after a brief pause, it might continue to rise again.

일단 지표를 좀 보면 9월.

First, let's take a look at the indicators for September.

9월 첫째 주에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전주 대비 평균 0.21% 올랐습니다.

In the first week of September, the average sale price of apartments in Seoul rose by 0.21% compared to the previous week.

이게 전주의 상승폭이 0.26%니까 흐름 자체는 좀 둔화가 됐는데

The increase in Jeonju is 0.26%, so the overall trend has somewhat slowed down.

자치구별로 보면 서울 같은 경우에 중구를 제외하고 상승폭이 일제히 줄어들었거든요.

Looking at it by district, in the case of Seoul, the increase in prices has uniformly decreased, except for Jung-gu.

그래도 여전히 0.2%를 넘는다.

Still, it still exceeds 0.2%.

이건 꽤 높은 수치입니다.

This is quite a high figure.

그래서 상승력이 계속되고 있다.

So the upward momentum continues.

이렇게 봐야 할 것 같습니다.

I think we should look at it this way.

그래요.

Okay.

우리가 통상 부동산 시장에서 주간 단위 상승폭이 0.1이 넘어졌는데

In the real estate market, the weekly increase usually exceeded 0.1.

0.2가 넘어간다.

It exceeds 0.2.

과열입니다.

It's overheating.

0.2가 넘어간다.

It exceeds 0.2.

급등으로 판단을 하는데 도대체 이 부동산이라는 녀석은 어떤 변수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할까 이게 궁금해요.

I'm curious about which variables real estate is most sensitive to when determining rapid price increases.

뭐 정책 변수일까 금리일까 심리일까 리리로 끝나네요.

Is it a policy variable, interest rates, or sentiment? It ends up being unclear.

어떤 걸로 움직이는지 이광수 기자님 생각은 어때요?

What do you think drives him, reporter Lee Kwang-soo?

네.

Yes.

그 리들 중에서 저는 심리가 가장 크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느껴집니다.

Among those, I feel that psychology plays the biggest role.

리리 중에 심리.

Psychology among lilies.

네.

Yes.

이게 그동안 우리가 정책들을 많이 관심을.

We've been very interested in policies all this time.

관심을 가지고 있잖아요.

You are interested, right?

그러니까 집값을 사실 역대 정권들을 보면 정책적으로 올리려는 정부도 있었고 내리려는 정부도 있었지만

So looking at the housing prices, there have been governments that tried to raise them through policies and others that tried to lower them.

당시 정말 성공했다.

At that time, I really succeeded.

이 정책 너무 훌륭했다라고 평가받는 경우는 거의 없었던 것으로 저는 기억을 하거든요.

I don't remember there being many cases where this policy was evaluated as excellent.

당시 금리 상황을 보면 높을 때도 있고 낮을 때도 있었습니다.

At that time, the interest rate situation varied, sometimes being high and other times low.

그래서 금리 정책 다 제각각이었습니다.

So the interest rate policies were all different.

그러니까 이런 부분들보다도 심리가 더 주요하게 작용한다고 생각을 하고 있고

So I believe that psychological aspects play a more significant role than these parts.

우리가 시장 전문가 분들 말씀도 많이 듣잖아요.

We often listen to the market experts.

그런데 이 시장 전문가 분들도 정말.

However, these market experts really.

팩트 데이터를 가지고 오는데도 다르게 해석을 하시잖아요.

Even when you bring in factual data, you interpret it differently.

그러니까요.

That's right.

같은 상황 보고 완전히 다른 얘기가 나오잖아요.

The same situation can lead to completely different stories.

맞습니다.

That's right.

그렇기 때문에 이게 집값으로 움직이는 주요한 원인은 시장 참여자들의 심리가 가장 크게 작용한다라고 저는 생각하고 있습니다.

Therefore, I believe that the main reason for the movement in housing prices is largely influenced by the psychology of market participants.

부동산하고 증시는 확실히 미인대회 같아요.

Real estate and the stock market definitely feel like a beauty pageant.

그렇죠?

That's right?

내 눈에 예쁘다고 대회에서 1, 2, 3등 하는 게 아니거든요.

It's not about being pretty in my eyes that makes you win 1st, 2nd, or 3rd place in a competition.

보편적으로 예쁘다 이렇게 판단이 돼야 그래야 1등, 2등, 3등 하는 건데

It should be judged as universally pretty for there to be 1st, 2nd, and 3rd places.

이 기저에 깔린 게 심리다.

The underlying factor is psychology.

네. 추 기자님 생각은 어떤지 궁금한데요?

Yes. I'm curious about your thoughts, Reporter Chu.

집값의 요소들이 많습니다.

There are many factors that affect housing prices.

그리고 또 제가 부동산 책을 쓴 저자지 않겠습니다.

And I am not the author of a real estate book.

진짜? 아니 책을 분야별로 다 쓴 거예요?

Really? Did you write the book in different genres?

일부러 이렇게 썰 풀 수 있게 제가 전부 다 써놨거든요.

I wrote everything down on purpose so that I could share the story like this.

열심히 쓴 거 맞죠?

You really wrote this diligently, right?

열심히 썼습니다.

I wrote hard.

그래요.

That's right.

제가 또 부동산 출입도 좀 해봤었고요.

I have also dabbled in real estate a bit.

좀 알긴 하는데 여러 전문가들의 공통적인 의견은 있습니다.

I know a bit, but there is a common opinion among various experts.

집값을 잡는 핵심은 공급이라는 겁니다.

The key to controlling housing prices is supply.

공급과 수요가 맞춰진다면 집값 문제는 당연히 발생하지 않을 수밖에 없다.

If supply and demand are matched, then there is obviously no way that the issue of house prices would arise.

결국에는 제가 거꾸로 말했나요? 발생하지 않는다.

In the end, did I say it backwards? It doesn't happen.

그러니까 수요 공급이라는 가장 기본적인 시장 원리를 맞춘다면 시장의 문제는 없다라는 겁니다.

So, if we align with the most fundamental market principle of supply and demand, there is no problem in the market.

그런데 그거 추 기자도 아는데 정부에서 왜 안 했던 거예요 그동안?

But even Reporter Choo knows that, so why hasn't the government done anything about it until now?

정부가 모르지는 않을 것 같고요.

I don't think the government is unaware.

그렇다 보니까 이 공급 문제에 대한 정책이 나온 것이 88 정책이라는 이야기도 있는 것이고

As a result, there is also talk that the policy regarding this supply issue is the 88 policy.

이 부분이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을 하고요.

I think this part is the most important.

그런데 공급이라는 것은 부동산의 특성이 있습니다.

However, supply has the characteristics of real estate.

일반적인 재화는 만들어서 내일 팔 수 있고 이런 것도 있겠지만

There are typical goods that can be produced and sold tomorrow, but there are also things like this.

집이라는 것이 오늘 만들겠다라고 발표를 해서 내일부터 공급할 수 있는 게 아니지 않습니까?

A house can't be announced to be built today and then supplied starting tomorrow, right?

공급을 하겠다라는 발표 시기와 실제로 공급이 되는 시기의 그 격차 때문에

Due to the gap between the announcement of the supply and the actual timing of the supply.

이 공급 정책을 세우는 것이 그만큼 어렵다라고 평가를 받는 것이고요.

Establishing this supply policy is evaluated to be that difficult.

그런데 이 정책이 잘만 세워진다면 이런 문제가 없을 것인데

However, if this policy is properly established, there should be no such issues.

이러한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이 결국에 저는 심리라고 본다는 것입니다.

I believe that the greatest factor influencing these aspects is ultimately psychology.

역시 심리다.

It's definitely psychology.

역시 심리고요.

As expected, it's psychokinesis.

이 심리가 얼마나 영향이 크냐.

How significant is this psychology?

제가 지지난 주에 집을 보러 갔습니다.

I went to see a house the week before last.

진짜?

Really?

그러니까.

So.

이게 정말 저도 요즘에 아무런 관심이 없거든요.

I really have no interest in this these days either.

잠깐만요.

Wait a moment.

현금 동원 능력 나 된다.

I have the ability to mobilize cash.

규제 강화됐지만 나 살 수 있다.

Regulations have tightened, but I can still live.

이런 자랑입니까?

Is this something to brag about?

아닙니다.

No.

위험한 발언인데.

That's a dangerous statement.

위험한 게 아니고 이게 정확하게 심리의 뜻이라는 것인데

It's not dangerous; this is exactly what the term "psychology" means.

제가 주변 상황 현재 제가 가지고 있는 재정 상황이 어떻게 되는지 계산도 못했는 상황인데

I'm in a situation where I can't even calculate my current financial situation based on my surroundings.

다들 지금 집 보러 간다니까 이것도 안 보러 가면 안 될 것 같은 거예요.

Everyone is going to look at houses now, so I feel like I can't skip this either.

그 심리가 움직인 거예요?

Is that psychology in motion?

심리가 움직인 주인공이 저라는 뜻입니다.

The protagonist who is moved by psychology means me.

오늘 밤 주인공은 추동훈인가?

Is the main character Choo Dong-hoon tonight?

그래요.

Okay.

네. 그렇다 보니까 시장에서의 지금 심리.

Yes. Given that, the current sentiment in the market.

집을 사야 된다. 사야 된다는 움직임에 저처럼 굉장히 냉정한 사람도 들썩들썩이게 할 정도로 시장의 움직임이 생기는 거.

I need to buy a house. The movement in the market is enough to stir even someone as calm as me.

그래서 심리가 굉장히 크다라는 건 정말 중요한 문제인 것 같고요.

So I think the fact that psychology plays a very significant role is really an important issue.

금리가 그러면 왜 영향이 적냐.

Then why is the impact low?

저는 이것도 역시 현재 결과가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을 하는데

I believe that this also shows the current results.

저금리 시대에 집값이 오르는 것, 집이 산지는 건 너무나 이해가 되는데

In an era of low interest rates, it's very understandable that house prices are rising and that buying a house is a thing.

사실 지금은 고금리 시대지 않습니까?

Isn't it the era of high interest rates right now?

그렇죠.

That's right.

그런데도 현재 집값이 올라가는 것을 보면 금리는 상대적으로

However, seeing that housing prices are rising even now, the interest rates are relatively...

영향이 적다라고 방증되는 결과다라고도 해석이 되고요.

It can also be interpreted as a result that proves the impact is minimal.

집값이 급등할 것 같으면 사람들이 고금리 감당한다.

If it seems that house prices will soar, people can handle high interest rates.

하고 있는 상황이니까요.

It's the situation we are in.

그리고 마지막으로 저는 정책의 힘이 제일 약하다라고 좀 아이러니하게 말씀을 드리는데

And lastly, I ironically say that the power of policy is the weakest.

이 정책이라는 게 참 재미있습니다.

This policy is really interesting.

사전에 잘 나와서 그렇게 해서 잘 풀렸다면 잊혀지는 정책이 될 텐데요.

If it has been clearly stated in advance and things were resolved that way, it would become a forgotten policy.

이 정책이 이름값을 얻는 것은 대부분 실패한 정책들이 영향을 받습니다.

Most of the failed policies affect the recognition of this policy's name value.

이게 결국에는 후행적으로 정책이 현재 시장에 따라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 항상 반복되기 때문에 그런 일이 발생된다라고 생각합니다.

I think this happens because the situation constantly repeats itself where policies inevitably have to follow the current market in a lagging manner.

아니, 잠깐만요. 그러면 88대책, 공급대책이 나왔잖아요.

No, wait a minute. Then the 88 measures and supply measures were released, right?

그런데 기억에서 가물가물한데 기억에서 가물가물한 건 잘 돼서 그런 거예요, 그럼?

By the way, it's a bit fuzzy in my memory, but is it because the things that are fuzzy in my memory are going well?

그 이야기를 조금 이따가 제가 한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I'll try to tell that story a little later.

아, 그 김유나 기자님 생각은 어떠세요?

Oh, what do you think about journalist Kim Yuna?

저는 원래 사실 상승세 향은 계속 갈 거고 그게 사실 심리가 가장 많이 영향을 미친다라고 말씀드리려고 했는데

I originally wanted to say that the upward trend will continue, and that psychology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it.

최 기자님이 임장을 다녀왔다고 하니까 이게 원래 기자들이 제일 투자에 늦거든요.

I heard that reporter Choi went on a site visit, but reporters are usually the last to invest.

그렇죠. 기자들이 특히 경제.

That's right. Journalists, especially in economics.

기자들이 제일 늦어요.

The journalists are the latest.

본국점인가요, 오늘이?

Is today the day of the national holiday?

그래서 기자가 뛰어들면 그때부터 하락장이 열리는.

So when the reporter jumps in, that's when the bear market begins.

그렇죠.

That's right.

네, 그럴 수도 있는데 사실 기자들이 좀 게으르고 또 특히.

Yes, that could be true, but in fact, journalists are a bit lazy, especially.

남미를 챙겨다니느라고 내일은 못 챙기잖아요.

I can't take care of it tomorrow because I'm busy with South America.

그래서 최 기자님의 임장이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So I wonder if Reporter Choi's appointment will affect the real estate market.

그런 나비호가.

That butterfly, huh?

그런 생각을 해보면서 사실 심리가 가장 중요한 이유는 여러 정책적인 변수들도 있지만 사실 숫자로 다 설명할 수 없는 것들이 사실 부동산 시장에는 많은 것 같고.

While contemplating such thoughts, the main reason that psychology is the most important is that, despite various policy variables, there are many aspects of the real estate market that cannot be explained by numbers alone.

저는 그래서 심리에 주목을 해서 보면 원래 전세 사기가 단초가 되지 않았나 이렇게 생각을 합니다.

So I believe that looking at psychology, the original lease fraud might have been a starting point.

지난해부터 정말 대대적으로 적발이 되면서 이 비아파트에 대한 포비아가 굉장히 커졌고요.

Since last year,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detection of issues related to non-apartment housing, and the phobia surrounding these types of housing has grown considerably.

그러다 보니까 이게 아파트 쪽으로 쏠림 현상이 심해져서 아파트 전셋값 먼저 움직였고 그러면서 신축 아파트 매수세로 이어진 게 아닌가라고 생각을 합니다.

As a result, the phenomenon of concentration towards apartments has intensified, leading to an increase in apartment rental prices first, which I believe has resulted in a surge in demand for newly built apartments.

그래서 이런 것들은 사실 정책이나 어떤 규제만으로는.

So these things cannot be resolved merely through policies or regulations.

해결할 수 없는 지점들이 있다 보니까 심리가 가장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생각을 합니다.

There are points that cannot be resolved, so I believe that psychology has the greatest influence.

그러면 세 분 답변의 최대 공약수는 심리.

Then the greatest common divisor of the three people's answers is psychology.

심리인데 공급 확대 시그널을 정부가 계속 내놓고 있단 말이에요.

The government is continuously signaling an expansion of supply, which is a psychological factor.

가장 최근에는 분당에 짓기로 한 그 재건축 단지도 용적률 대폭 올려서 6만 호 추가로 짓겠다.

Recently, we have decided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floor area ratio for the redevelopment complex in Bundang and build an additional 60,000 units.

이렇게까지 얘기하고 있는데 이광수 기자님.

We've talked about this much, journalist Lee Kwang-soo.

이런 공급 시그널은 심리에 영향 많이 안 줄까요?

Won't these supply signal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entiment?

주는데 많이는 안 주는 것 같아요.

It seems like they don't give much.

타격감이 크진 않다.

The impact sensation isn't strong.

맞습니다. 이게 아까 추 기자님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바로 반영이 되는 것이 아니라 시차를 주고 반영이 되잖아요.

That's right. As you mentioned earlier, it doesn't get reflected immediately; there's a delay before it takes effect.

그런데도 눈만 뜨면 또 이제 최고가 경신했다.

Yet, as soon as I open my eyes, it has set a new record again.

이런 뉴스들이 쏟아지는 그런 상황에서는 평등심을 유지하기가 어려울 것 같고.

In a situation where such news is pouring in, I think it would be difficult to maintain a sense of equality.

이게 정부 정책 신뢰감 문제도 있을 것 같아요.

I think there might also be an issue with trust in government policies.

사실 다 정부의 정책들 우리가 한 번 본 게 아니잖아요.

The truth is, these are not the first time we have seen the government's policies.

그런데 그런 것들을 봤을 때 항상 유효했나 이런 것들을 사실 알기도 어렵고 그런 부분들 때문에.

However, it’s actually difficult to know if those things were always valid when looking at them, and because of those aspects.

이제 즉각적이지 않기 때문에 이런 부분들이 이제 정책 공급 효과보다는 아무래도 이제 당장의 시장 가격이 오르고 내리는 이런 거에 더 영향을 받을 것 같고.

Now, since it is not immediate, these aspects are likely to be more influenced by the immediate fluctuations in market prices rather than the effects of policy supply.

물론 그렇다고 해서 공급이 전혀 영향이 없나 이런 건 아닌 것 같은데요.

Of course, that doesn't mean that supply has no impact at all.

당장은 영향을 좀 주지는 어렵지 않을까 그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I think it might be difficult to have an immediate impact.

그러니까 수요자들의 허기를 완전 달랜 만큼 한 상 떡하니 차린 건 아니고 약간의 에피타이저 정도 이 정도 느낌입니까?

So it's not like a full feast that completely satisfies the hunger of the consumers, but more like a light appetizer, is that the idea?

네 맞습니다.

Yes, that's right.

아무래도 오히려 더 투자로 접근하니까.

It seems that approaching it as an investment is more effective.

투자로 접근하시는 분들이 이런 것들을 좀 염두에 두고 자신의 투자 선택을 할 수 있을 것 같지.

Those who approach it as an investment might be able to keep these things in mind when making their investment choices.

실수요자들이 이런 것 때문에 내가 만약에 사야 될 집을 기다린다?

Are actual buyers waiting to buy a house because of this?

이러지는 못할 것 같아요.

I don't think I can do this.

그러네요.

I see.

당장 목마른데 3년 뒤에 우물 완공 예정.

I'm thirsty right now, but the well is scheduled to be completed in three years.

그런다고 조갈이 해소되는 건 아니니까.

Doing that won't resolve the anxiety.

수 기사님 우리 88대책 아까 공급 효과 기대해볼만 하다고 보는 거냐 이 답변을 살짝 회피했는데 답변 들어볼까요?

Mr. Su, do you think we can expect some supply effects from the 88 measures? You've slightly avoided answering this, so can we hear your response?

네 먼저 여기 나와 있는 기사들을 몇 개 살펴보면요.

Yes, first, if we take a look at some of the articles here.

국토부의 주택토지실장님께서는 한 언론사 인터뷰에 나와서 88정책 한 달이 지난 이 시점 어떻게 평가하냐에 대해서 한 80점 정도는 나온 것 같다.

The director of the Housing and Land Office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commented in a media interview that, regarding the evaluation of the 88 policy one month after its implementation, it seems to have received a score of about 80 points.

내가 만들었는데 못했다고 하긴 그렇잖아요.

It's a bit odd to say I couldn't do it when I actually made it.

그렇게 발표했었고요.

I had announced it that way.

셀프 칭찬.

Self-praise.

같은 날이었습니다.

It was the same day.

경제정의 실천 시민연합.

Citizens' Alliance for Economic Justice.

경실련.

Economic Justice Movement.

경실련에서는요.

In the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Council.

88대책은 집값 상승을 자극하고 환경 파괴와 지역 불균형을 심화시키는 최악의 정책이다.

The 88 policy is the worst policy that stimulates housing price increases and exacerbates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regional imbalances.

공급을 늘린다는데 왜 집값 상승을 부추기죠?

If they are increasing the supply, why are they fueling the rise in housing prices?

이렇게 두 가지 굉장히 엇갈린 평가가 나왔습니다.

There were two very conflicting evaluations.

이 말인 즉슨 결국에 정책이라는 것도 모두 다 상대적으로 볼 수밖에 없는 것이고요.

This means that, in the end, policies can only be viewed relatively.

보기에 따라서 아다르고 어다르다라는 느낌도 든다라는 생각도 드는데 말씀해 주신 대로 정책이 나온다라는 것 자체가 어찌 보면 집값이 올라가는 상황이다.

Depending on how you look at it, it also feels like there are different interpretations, but as you mentioned, the emergence of policies itself can be seen as a situation where housing prices are rising.

집을 사야 되는 상황이라는 것을 부추기는 신호로 해석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It is often interpreted as a signal that encourages the situation of needing to buy a house.

그래서 무정책이 최고의 정책이다는 표현도 있거든요.

So there is a saying that no policy is the best policy.

최선을 다해서 움직이지 않는.

Do your best and do not move.

그렇죠.

That's right.

시장에 맡겨두는 것이 오히려 시장이 자연스럽게 정화되는.

Leaving it to the market allows the market to naturally cleanse itself.

그런데 괜히 정책을 내놓는 순간 또 이 지역에 새로 공급이 된대.

However, the moment a policy is announced, new supply is said to come to this area for no reason.

찍어주는 거다.

It's something you take a picture of.

이런 이야기가 연결된다는 것이죠.

This means that such stories are connected.

그렇다 보니까 정부 입장에서는 정책을 안 내놓을 수도 없지만 내놓는 순간 이런 역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에 참 어렵다라는 것도 저도 일견 이해를 하거든요.

Because of this, I can understand that from the government's perspective, they cannot refrain from implementing policies, but at the same time, the moment they do, these counterproductive effects arise, which makes it quite difficult.

그리고 환경 파괴나 지역 불균형 이야기도 이제 그린벨트를 푼다라는 등의 이야기가 나오면서 이런 것들이 지금 부각이 되고 있는 것인데 결국에 42만 호 숫자 자체는 충분합니다.

And with discussions about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regional imbalances coming up, such as the idea of loosening the green belt, these issues are now coming to the forefront. Ultimately, the figure of 420,000 units itself is sufficient.

다만 말씀해 주신 대로 이게 시기별로 적절하게 공급이 될 것이냐 그리고 정말로 집값을 자극하지 않으면서 무난하게 유연하게 공급이 될 것인가의 문제는요.

However, the question is whether this will be appropriately supplied according to the timing you mentioned, and whether it will be smoothly and flexibly supplied without truly stimulating housing prices.

사실 시간이 걸리는 문제라는 것입니다.

In fact, it is a matter that takes time.

그래서 지금 한 달 된 이 정책이 과연 잊혀진 정책이 될 것이냐 논란의 정책이 될 것이냐는 조금 더 시간이 지나봐야지 알 수 있다는 것이고요.

So whether this policy, which is now a month old, will become a forgotten policy or a controversial one can only be determined after a little more time has passed.

이와 더불어서 아마 이런 상황이 계속 이어지고 집값이 올라간다면 대책이 또 나올 겁니다.

Along with this, if such situations continue and housing prices rise, measures will likely be introduced again.

그러면 지금 국토부의 판단과 시민단체 판단 얘기했는데요.

Then, we've talked about the current judgment of the Ministry of Land and the judgment of civic groups.

그런데 추 기자의 판단은 뭐예요?

So what is reporter Chu's judgment?

저의 판단은요.

My judgment is...

사실 솔직히 말씀드리면 딱 중간쯤에서 조금 더 지켜보자라는 입장을 표현해 봐야 될 것 같습니다.

To be honest, I think I should express the position of wanting to observe a bit more, right in the middle.

효과가 있을지 없을지 모르겠다.

I don't know if it will be effective or not.

모르겠다는 얘기를 너무 길게 하는 게 아니라 싶은데.

I think it's unnecessary to dwell too long on saying that you don't know.

그러면 우리 앞으로의 집값 오를까 내릴까 이런 질문 제일 싫어들 한다는 거 알고 있지만 김유나 기자님 제일 먼저 공을 넘길게요.

I know that everyone dislikes questions like whether house prices will rise or fall in the future, but I'll pass the ball to you first, Reporter Kim Yoo-na.

그래서 앞으로 집값 오를까요 내릴까요?

So, will house prices go up or down in the future?

주춤했다가 상승세를 이어가지 않을까 생각을 합니다.

I think it might pause for a moment before continuing its upward trend.

주춤으로 보는 기간은 대략 어느 정도?

How long is the period viewed as stagnation?

추석 지나고 나서 이 대출 규제가 지금 굉장히 은행에서 혼란이 크다 보니까 이 혼란을 좀 잠재울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있고 그 이후부터는 다시 상승세를 이어가지 않을까 그렇게 생각을 합니다.

After Chuseok, there is currently a lot of confusion regarding the loan regulations at the banks, so I think there will be some time to calm this chaos, and after that, I believe the upward trend will continue again.

그래서 당장 매수세 보면 8월 둘째 주 정점으로 계속 감소하고 있긴 하는데 사실 이 실거래 신고기한이 1개월이기 때문에 그 이후에 그 실거래들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조금 더 봐야 할 것 같고요.

So, if we look at the current buying trend, it has been steadily decreasing since its peak in the second week of August; however, since the reporting deadline for actual transactions is one month, we need to observe how those transactions appear afterwards.

그리고 이 매수 심리가 얼마나 지속될지 이것도 사실 대출 규제 자체가 효과가 현장에서 지속이 되는 기간이 6개월이다 이런 연구 결과들이 있더라고요.

And as for how long this buying sentiment will last, there are studies suggesting that the effect of loan regulations lasts in the field for about six months.

그렇기 때문에 길어야 연말까지 이제 영향을 미칠 거다라고 보는 전문가들이 많기 때문에 그 이후에는 다시 상승세 이어가지 않을까라고 조심스럽게 추측을 해봅니다.

That's why many experts believe that it will have an effect until the end of the year, and after that, I cautiously speculate that it may continue to rise again.

네. 이광수 기자님 생각은요?

Yes. What do you think, reporter Lee Kwang-soo?

네. 저도 주춤했다가 양극화가 심화되는 방향으로 좀 이렇게 시장이 움직일 것 같습니다.

Yes. I also hesitated, but it seems that the market will move in a direction where polarization intensifies.

그러면 주춤했다가 위아래로 그래프가 점점 벌어지게 된다.

Then it pauses for a moment, and the graph gradually widens up and down.

네. 맞습니다. 흔히 말하는 강남 3구나 이런 상급지라고 얘기하는 그런 곳들은 정책이나 금리에 무관하게 또 꾸준히 오를 수 있는 심리에 더 영향을 많이 받는 그런 지역이라고 판단이 되고

Yes, that's correct. Areas commonly referred to as the "three districts of Gangnam" or similar high-end places are assessed to be more influenced by the mindset that can lead to a steady increase, regardless of policies or interest rates.

우리가 뉴스를 보면 계속 집값 오른다 아파트값 오른다라고 하지만 서울도 잘 보면 안 오르는 것도 있고 그런 곳들이 많습니다.

When we look at the news, it constantly says that housing prices and apartment prices are rising, but if you look closely at Seoul, there are many places where prices are not rising.

그래서 손품을 팔다 보면 그런 것들이 많아서.

So when you put in the effort, there are many things like that.

그래서 서울 안에서라도 선호지역 그리고 인접지역에 흔히 말하는 준서울 신추 이런 것들은 좀 오르는 추세를 보일 것 같고 그 이외의 지역들은 조금 약보압으로 흘러가지 않을까 그렇게 예상이 되고 있습니다.

Therefore, even within Seoul, preferred areas and adjacent regions, often referred to as "semi-Seoul" or "newly emerging areas," are likely to show an upward trend, while other regions may experience a slight downturn. This is the expectation.

주춤하다 움직인다고 했는데 이광수 기자의 주춤은 어느 정도예요?

You mentioned that you hesitated to move. How much did reporter Lee Kwang-soo hesitate?

아까 김유나 기자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요즘에는 워낙 대출 그것 때문에 혼란이 있는 상황이잖아요.

As reporter Kim Yuna mentioned earlier, these days there's a lot of confusion because of loans.

그런데 이것 때문에 제 주변에서도 저희 친형도 갈아탄다고 하다가 갑자기 막혔다는데 이런 식으로 해서 주춤하더라고요.

However, because of this, even my older brother was about to switch, but suddenly it got stuck, and he hesitated like this.

그래서 이 대출 방향성이 정리되고 나서 다시 보겠다 이런 얘기를 하니까 그런 기간인지 길지 않을 것 같아요.

So after the direction of this loan is sorted out, I don't think it will be a long period before we can revisit this.

한 10월 다음 달 정도면 또 괜찮지 않을까 그렇게 생각이 듭니다.

I think it should be fine again around next month, maybe in October.

그러니까 시장에서 튀어나가려고 하는 선수단은 언제든지 출발선에 대기하고 있고 총을 언제 쏠 거냐.

So the team that is trying to jump out of the market is always waiting at the starting line, and it's just a matter of when the gun will go off.

대출 규제 완화와 관련해서 그거 기다린다는 건데 추 기자님 어떻게 될 것 같아요?

Regarding the easing of lending regulations, they are saying they are waiting for that. What do you think will happen, Reporter Choo?

저는 집값이 오르지 않기를 바라고 있는 사람입니다.

I am someone who hopes that house prices do not rise.

아니 그거는 이제 바람이고.

No, that is just the wind now.

임장 다녀오셔가지고.

You went on a site visit.

너무 속마음 크게 얘기하는 거 아니에요?

Aren't you speaking your true feelings a bit too openly?

저도 흐름이나 대세적인 분위기 자체는 또 올라간다라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지만 사실 저도 많은 이런 경제 취재를 하면서 재미있는 새로운 사건들 많이 겪었단 말이에요.

Although there are voices suggesting that the overall trend is rising, I have experienced many interesting new incidents while conducting various economic reports.

그런데 아직 못 겪은 게 있습니다.

However, there is still something I haven't experienced.

글로벌 금융위기나 IMF와 같은.

Lik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r the IMF.

안 겪으면 좋죠.

It would be good not to experience it.

상호가 없었습니다.

There was no interaction.

제가 둘 다 겪어봤네요.

I've experienced both.

그러니까요.

I see.

그래서 저는 오히려 분명히 연초나 작년부터 나왔었던 그런 이슈가 도대체 언제 터질까에 대한 불안감이 마음 한켠에 항상 있거든요.

So I always feel a sense of anxiety in the back of my mind about when exactly the issues that have clearly been present since the beginning of the year or last year will surface.

그래서 만약에 그런 일이 발생한다면 사실 지금까지 저희들의 예측과 전망 그리고 기대들이 한꺼번에 바뀔 수 있다는 겁니다.

So if such an event occurs, it means that all our predictions, outlooks, and expectations could change at once.

그러면 뜻밖의 외부 충격이 있을 수도 있다고 보는 거예요?

So you think there could be unexpected external shocks?

저는 그런 게 나올 때도 됐다라는 쪽에 생각을 하는 편이고 물론 말씀해 주신 대로 없어야죠.

I tend to think that it’s about time for that to come out, and of course, as you said, it shouldn’t be there.

잊지 않는 게 최선이라고 생각은 하지만요.

I think it's best not to forget, though.

하지만 항상 위기에 좀 대응하고 대비하는 전략도 어느 정도는 필요하다라는 생각이 들기 때문에 그런 측면에서 저는 조금은 조심히 조심히 가는 게 좋지 않을까라는 저의 개인적인 바람을 보태서.

However, I believe that it is also necessary to have a strategy to respond to and prepare for crises to some extent, so in that regard, I personally hope that it would be better to proceed a little cautiously.

아니 본인은 임장 다니면서 너무 앞뒤가 안 맞는 거 아니에요?

Aren't you being a bit inconsistent while going through the process?

그런 기대감이 있습니다.

There is that expectation.

그래요.

Okay.

집값이 너무 단기간에 급등하면 위험할 수 있다 이런 의견으로 받아들여지는데 우리 추석이니까 내일 추석 밥상에 훈훈하게 올려주실 덕담.

If housing prices rise too steeply in a short period, it can be risky. This is often viewed as a concern. Since it's Chuseok, please offer some warm words to put on the table tomorrow.

우리 유종의 미로 한마디씩 하면서.

Let’s say a word each as we reach the perfect conclusion.

마무리하겠습니다.

I will conclude.

김유나 기자님 청취자분들에게 덕담 한마디 부탁드릴까요?

Could you please share some kind words for the listeners, Reporter Kim Yuna?

네 아무래도 이제 뭐 명절에 맛있는 것도 많이 드시고 할 텐데요.

Yes, it seems like you will be eating a lot of delicious food during the holidays.

맛있는 거 많이 먹고 추석 끝나고 나서 굉장히 후회하는 분들 많으실 수 있잖아요.

Many people might regret eating a lot of delicious food after Chuseok.

그래서 요즘에 사실 사과랑 배 이런 과일 가격들 많이 내려서 근심을 많이 덜었다고 하는데.

So these days, I've heard that the prices of fruits like apples and pears have decreased a lot, which has alleviated a lot of my concerns.

작년보다는.

Than last year.

네 그래서 과일을 많이 먹고도 살찌지 않는 추석 이렇게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Yes, I hope you have a Chuseok where you can eat a lot of fruit without gaining weight.

그리고 추석 지나고 나면 사실 요즘 주식 흐름이 너무 좋지 않죠.

And after Chuseok, the recent stock trends haven't been very good.

그렇기 때문에 내가 갖고 있는 것만 주식이 좀 오르길 그렇게도 바라봅니다.

That's why I hope that the stocks I have will rise a bit.

고주식하고 제주식하고 크게 다르지는 않을까요?

Isn't the Gojushik style and the Jeju style largely similar?

네.

Yes.

이광수 기자님 생각은요?

What do you think, reporter Lee Kwang-soo?

올해 여름 너무 더웠는데.

This summer was so hot.

진드럽게 더웠어요.

It was unbearably hot.

다들 올여름 다 이렇게 건강하게 나신 여러분들 청취자분들 다 승리자이십니다.

Everyone, you listeners who have all come out healthy this summer are all winners.

아무래도 이제 명절 때 모이면.

It seems that we'll be gathering during the holidays now.

갑자기?

Suddenly?

네.

Yes.

재테크 얘기나 소득 얘기 하실 수밖에 없는데 이때 마음 상하실 수도 있고 그럴 수도 있는데 그러지 마시고.

You can't help but talk about investment and income, and it's possible that this might upset you, but please don't let it get to you.

네.

Yes.

이렇게.

Like this.

목돈연구소 들으시면서 이제 경제뉴스 찬찬히 정리하다 보면 좋은 의사결정 좋은 투자 의사결정 할 수 있지 않을까 그렇게 생각하면서 앞으로도 같이 함께해 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While listening to the Money Research Institute and taking the time to organize economic news, I believe we can make good decisions and investment choices. I would appreciate it if you continue to join us in the future.

갑자기 교회 가는 줄 알았어요.

I thought we were suddenly going to church.

홀리하네요.

It's holy.

추동훈 기자님 마지막으로 덕담 부탁드릴게요.

Reporter Choo Dong-hoon, could you please share some words of encouragement?

네.

Yes.

저희가 뉴스 브리핑을 통해서 매일매일 꼭지꼭지 뉴스는 좀 많이 전해드렸었는데 저희도 그게 항상 아쉬운 부분이거든요.

We have been providing daily updates on various news through our news briefing, but we also feel that this has always been a bit unsatisfactory.

좀 장기간으로 길게 보면서 시장을 좀 바라볼 수 있는 안목을 전해드리면 좋겠는데.

I would like to share a perspective that allows you to view the market with a longer-term outlook.

네.

Yes.

계속 이렇게 했었는데 잘 참고하시고요.

I had been doing it like this, so please take note of that.

다만 이번 추석 연휴 때는 한번 시골을 가시거나 돌아다닌다면 나무를 보기보다는 한번 숲을 바라보는 멀리서 한번 전체를 바라보는 전략을 좀 세워보시는 거 어떨까라는 생각이 들거든요.

However, this Chuseok holiday, if you do visit the countryside or go for a walk, I think it would be nice to consider a strategy of looking at the forest as a whole from a distance rather than just focusing on the trees.

그래서 투자를 하시는데도 종목이나 개별 아파트 단지보다는 이 전체 시장을 보고요.

So when you invest, you look at the overall market rather than individual stocks or specific apartment complexes.

그리고 그 경제의 흐름을 바라보는 전략을 한번 가져보시는 게 좋겠다라는 저의 개인적인 스스로도 한번 돌아볼 조언을 해보겠습니다.

I would like to offer my personal advice to take a moment to reflect on a strategy for viewing the flow of the economy.

갑자기 오늘의 한마디 이렇게 훈훈하게 교장선생님 훈화 말씀처럼 따뜻하게 마무리하셨는데요.

Suddenly, today’s phrase was wrapped up so warmly, like the comforting words of the principal.

추석 밥상 미리 차려드렸는데 여러분 어떠셨나요?

I set the Chuseok table in advance, how did you all like it?

지금까지 추동훈 김유나 이광수 세 분 기자와 함께 세 가지만 한가위 경제대전이었습니다.

So far, this has been the Chuseok Economic War with reporters Choo Dong-hoon, Kim Yoo-na, and Lee Kwang-soo.

대전망 함께하셨습니다. 고맙습니다.

Thank you for being with the great vision.

감사합니다.

Thank you.

고려하게 붙으러 선수교체 매출 쭉쭉 성과

"Consider attaching to the player substitution revenue steadily achieving results."

쭉쭉 반척물을 고려하라

Consider the long-lasting benefits.

고려기프트 반척물 고려기프트

Goryeo Gift half item Goryeo Gift

반대품 고려기프트 반척물을 고려하라

Consider the counterpart gift and the counterpart item.

공공기관 우선구매 대상기업 고려기프트

Public institution priority purchase target company: Koryo Gift.

안녕하세요. 김유나입니다.

Hello. This is Kim Yuna.

병원 갈 때 신분증 챙기기 귀찮아? KB 스타뱅키이면 괜찮아.

Is it bothersome to take your ID when going to the hospital? If you have KB Star Banking, it's fine.

여권 재발급하기 귀찮아? KB 스타뱅키이면 괜찮아.

Is it a hassle to reissue your passport? It's okay if you have KB Star Banking.

국내선 비행기 탈 때도? KB 스타뱅키이면 괜찮다니까.

Is it okay to use KB Star Banking even when taking domestic flights?

지금 KB 스타뱅킹에 신분증을 넣어보세요. KB 스타뱅킹

Please insert your ID into KB Star Banking now. KB Star Banking.

오늘도 함께해 주신 여러분 고맙습니다.

Thank you all for being with us today as well.

건강하고 안전하게 추석 연휴 보내시고요.

Wishing you a healthy and safe Chuseok holiday.

저는 내일 러브 FM 추석 특집

I have a Chuseok special on Love FM tomorrow.

함께하는 추석 나누는 기쁨 생방송으로 찾아오겠습니다.

We will come to you live with the joy of sharing Chuseok together.

한 곡으로 이승환의 가족 들려드리면서 물러갈게요.

I will take my leave while listening to a song by Lee Seung-hwan, "Family."

내일도 오전 11시에 오겠습니다. 고맙습니다.

I will come at 11 AM tomorrow as well. Thank you.

한글 자막 제공 및 자막 제공 및 협조해 주신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I sincerely thank everyone who provided and assisted with the Korean subtitles.

Continue listening and achieve fluency faster with podcasts and the latest language learning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