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썰전™ 1화 2부: 개인적 디자인 Vs. 사회적 디자인

윤여경, 이지원, 정기원, 김선미, 김의래

디자인말하기

디자인썰전™ 1화 2부: 개인적 디자인 Vs. 사회적 디자인

디자인말하기

네, 지금까지 두 분 말씀해주신 걸 잘 안 들리는 부분이 있었지만

Yes, there were parts that I couldn't hear well of what both of you have said so far, but...

정리를 해보려고 했는데

I was trying to organize things.

제가 권준원 선생님에 대해서 정리를 해본 거는

I have整理ed about Teacher Kwon Jun-won.

개인의 문제로만 치부하고

Dismiss it as a personal issue.

그에 안주한다면 사회가 망가지고

If we settle for that, society will break down.

그러면 개인이 다시 망가지고

Then an individual will break down again.

즉 사회와 개인 간에는 이런 순환적인 인간관계가 존재하는 구조다라는 인상을 받았고요

In other words, I got the impression that there is a structure in which this cyclical relationship between society and individuals exists.

그리고 구동 선생님의 경우는

And in the case of Teacher Gu Dong.

개인화가 선행되어야지 사회화가 가능하다라는 의지로 들렸고

It sounded like there was a belief that personalization must come first in order for socialization to be possible.

즉 사회랑 개인 간의 영향 기조는 네트워크 구조라던가

In other words, the influence framework between society and individuals is a network structure, for example.

즉 여러 개인이 연결돼서 사회가 덩어리로 형성이 된다던가

In other words, individuals are connected, forming society as a whole.

아니면 동시만 구조로 개인에서 사회로 영향이 확장되는 구조가

Otherwise, it's a structure where the influence expands from the individual to society in a simultaneous manner.

이렇게 다이어그램이 그려진 것 같다고 생각을 했고요

I thought that a diagram like this was drawn.

그래서 이렇게까지 봤을 때는

So when I look at it like this,

둘 다 좋아서 제가 어느 쪽에 가까운지 잘 알 수가 없었는데

I liked both, so I couldn't really tell which one I was closer to.

그 다음 아이템을 비교해보니까 좀 더 차이가 났던 것 같아요

I think there was a bit more difference when I compared the next item.

그 다음 아이템은 준호 선생님께서

The next item is from Teacher Junho.

지금 한국 사회의 특성상

Give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ociety at this time

그리고 현재 과도기적인 한국 사회가 성숙하지 못한 상황상 봤을 때

And considering the current transitional state of Korean society, it appears to be immature.

개인에게 먼저 책임을 지는 것은 무리가 아닌가라는 생각을 한다라는 것이었고

I was thinking that it might be unreasonable to hold individuals responsible first.

제가 잘은 안 들렸지만 구동 선생님 말씀은

I didn’t hear it very well, but what Teacher Gu Dong said was...

개인이 스스로의 행동에 대해서 먼저 책임을 질 수 있어야 하는 게 아닌가라는

Shouldn't individuals take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actions first?

의지로 제가 짐작해서 잘 안 들렸지만 그렇게 들었거든요

I guessed it was like that with my will, so I couldn't hear it well, but that's how I heard it.

장난 아닌데 깔끔하게 정리하시네

This is no joke; you organize things neatly.

정리 왕이야

I'm the king of organization.

역시 공부 잘하는 사람

As expected, a person who studies well.

저 나중에 제가 표로 만들어서 보내드릴게요

I will create a table and send it to you later.

엑셀로 만들어서

Made with Excel.

근데 그래서 이 부분을 한국에서의 특성상 이 부분을 들었을 때

But because of that,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 when I heard this part.

이제 약간 더 고민이 되는 것이

What I'm now slightly more worried about is

제가 봤을 때 저의 성향은 지금 현재로서의 제 성향과

I think my tendencies are currently aligned with my current disposition.

제가 하는 발언이나 제가 외부에서 하는 강연이라던가

My statements or the lectures I give externally.

디자인 말하기에서 하는 말은 구동 선생님의 거의 유치예요

What is said in design talking is almost childish from Teacher Gu Dong.

그런 상황인데

In that situation.

야 축하한다 정리하자

Hey, congratulations! Let's get organized.

근데 제가 미국에서

But I am in the United States.

미국에서 15년 정도 살았고

I have lived in the United States for about 15 years.

한국에 거의 잠깐 임시로 있었을 때

When I was almost temporarily in Korea for a brief period.

제가 미국에서 형성된 많이 형성된 사고를

I have many preconceived notions formed in the United States.

제가 한국에서 표현한 것에 가까웠고요

It was close to what I expressed in Korea.

준호 선생님 말씀하신 대로

As先生 Junho said.

한국 사회의 특성상 뭔가 이성숙한 면이 있다는 부분

There is a certain aspect of maturity in Korean society.

그리고 개인

And individual.

미국 사회는 개인이 개인의 행복을 추구하고

American society is one where individuals pursue their own happiness.

책임을 져야 된다는

You have to take responsibility.

셀프 릴라이언트해야 되는

You need to be self-reliant.

게 엄청나게 강한 사회인데

It's an extremely strong society.

우리나라는 확실히 그렇지가 않고

In our country, it's certainly not like that.

저는 사실 한국 사람들이 어릴 때

I actually think that Korean people when they are young

누가부터 시작해서

Who will start?

한국 사람들이 단체 관광 다니는 거 보면서도

Even while watching Korean people go on group tours.

그런 생각을 엄청 강하게 했고

I thought about that very strongly.

그 개인이 사회로부터 분리되어서

That individual is separated from society.

개개인 스스로 강한 정체성을 가진 상황이라는 생각이 들지 않고

I don't feel that each individual has a strong identity on their own.

그렇게 되는 것을 어떻게 보면 두려워하기 때문에

Because in a way, I fear that it will turn out that way.

두려워하기 때문에

Because I am afraid.

힘들어하기도 하고

It's difficult and challenging.

아직 그 상황이 개개인이 자기한테 책임을 질 수 있는 상황이

It's still a situation where individuals can take responsibility for themselves.

아직 아니라는 인상을 많이 받았거든요

I got the impression that it's not yet.

그래서 제가 만약에 지금 미국에서 주로 일하고 있는

So if I am mainly working in the United States right now

저의 상황으로 봤을 때

Given my situation.

저는 구룡 선생님이 가까운 사람입니다

I am a close person to Teacher Gu Yong.

그리고 제가 한국에 잠깐 들어가서

And then I briefly went to Korea.

제 생각을 얘기했을 때는

When I talked about my thoughts,

구룡 선생님 같은 개인화가 먼저 선행되어야

Personalization, like that of Mr. Guryong, must come first.

사회화도 가능하다는 말 하는 사람입니다

I am someone who says that socialization is also possible.

그런데 제가 한국에 가서 오래 있을 거라고 생각을 한다면

However, if I think that I'm going to stay in Korea for a long time...

그 한국의 특성을 고민해서 그걸 한 번 트위스트를 줘야 될 것 같아요.

I think we need to think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 and give it a twist.

약간 변형을 줘야 될 것 같아요.

I think a slight modification is needed.

나는 짐작이 들어요.

I have a guess.

근데 그게 어떤 변형인지는 저는 전혀 감이 안 와요.

But I have no idea what kind of variation it is.

어떻게 해석해서 내 방향을 잡을 수 있을지.

How to interpret it to set my direction.

그래서 저는 맥락에 따라서 제가 어디에 있느냐에 따라서 제 생각이 달라지는 것 같고

So, I think my thoughts change depending on the context and where I am.

제가 한국에서 장기적으로 제 미래를 본다고 하면

If I look at my future in Korea in the long term...

그런 준호 선생님에 가까운 쪽으로 변형될 것 같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I thought it would be transformed in a way that is closer to teacher Junho.

역시 공부를 많이 하신 분은 말하는 수준이 좀 다른 것 같아요.

It seems that someone who has studied a lot speaks at a different level.

강구령 씨 어때요?

How is Mr. Gang Gu-ryeong?

이 정도면 강구령 씨 좀 내려와서 우리와 함께 할 수 있겠어요?

At this point, can Mr. Gang-guryoung come down and join us?

이 정도 수준이.

This is about the level.

안녕 아저씨.

Hello, uncle.

동지를 만난 것 같아.

I feel like I've met a comrade.

역시 한국에서는 친구를 찾을 수가 없었어요.

As expected, I couldn't find friends in Korea.

반갑습니다. 제가 곧 갈게요.

Nice to meet you. I will go soon.

그러면 일단 한 번씩 다 두 입장에 대한 생각은 얘기를 한 것 같으니까

Then, it seems like we have talked about our thoughts on both positions at least once.

이제 좀 자유롭게 얘기를 했으면 좋겠어요.

I hope we can talk more freely now.

권준호 씨부터 말씀을 한번 시작해 보도록 하죠.

Let's start with you, Mr. Kwon Jun-ho.

정...

Jeong...

정기원.

Jeong Gi-won.

정기원 선생님 말씀하신 거에 동의를 하고요.

I agree with what Teacher Jeong Gi-won said.

아니요. 여기다 얘기하면 돼요.

No. You can just talk here.

여기다요?

Is this it?

그냥 얘기하면 돼요. 편하게 얘기하면 돼요.

You can just talk. You can talk comfortably.

네. 잘 들립니다.

Yes. I can hear you well.

네. 일단 정말 두 개가 같이 가야 되는 문제이긴 해요.

Yes. First of all, it is indeed an issue that needs to be addressed together.

사회가 다 바꿨는데 그래서 개개인 구성원들이 아직도 어떤 그런

Society has changed so much, yet individual members still have certain...

틀에 얽매인 생각을 하고 조직에서도 편하다면 바뀔 수가 없는 거거든요.

If you are stuck in rigid thinking and it is comfortable within the organization, then nothing can change.

누가 갑자기 위해서 이제부터 너네 자유롭게 해도

"Who suddenly said that from now on you can do whatever you want?"

아마 그냥

Probably just

정식 출근해서 야근하고 이게 몸에 배어있으면 절대 그게 바뀔 수 없다고 생각하고요.

If you formally go to work and work overtime, I believe that it becomes ingrained in you and can never change.

그래서 아까 의뢰 씨 질문한 거랑 연결이 되는 것 같아요.

So it seems to be connected to what you asked earlier, Mr. Ui.

의뢰 씨가 나한테 엘리트주의를 가지고 위에 올라가서 바꾸려고 하는 거 아니냐 이런 대답, 이런 질문을 하셨는데

You asked me if the request is trying to rise up with elitism and make changes, didn't you?

네?

Yes?

방금 하신 거예요?

Did you just do that?

아니, 이제 가야 될 거거든요.

No, I have to go now.

진짜요?

Really?

저는 그냥

I'm just

그건 말 괜찮아요.

That's okay to say.

저는 그러니까 비율의 문제거든요. 어떻게 보세요?

So it's a matter of proportion. What do you think?

왜냐하면 지금 그 정도로 얘기할 수 있는 상황도 아닌 거죠, 어떻게 보면.

Because, in a way, it's not really a situation where we can talk about it to that extent right now.

그러니까 저희가 어떤 뭔가를 바꾸려고 하고 뭔가에 참여하려고 하는 건 우리가 위에 가서 이 사람들을 개몽한다거나 이런 의미가 아니라

So when we try to change something or participate in something, it doesn't mean that we are going up there to enlighten these people or anything like that.

아주 순수하게 디자인이 메시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국하게 된다면 중요한 메시지는 되게 많잖아요.

If we consider that pure design plays a role in conveying messages, there are a lot of important messages, right?

그러니까 사회적인 것뿐만 아니라 구성원 씨가 얘기하는 개인적인 것도 하나의 큰 범주일 거고

So, it’s not just social matters, but personal ones that member C is talking about would also fall under a larger category.

사회적인 것도 하나의 큰 범주잖아요.

Social aspects are also a major category, aren't they?

그런데 저희가 판단할 때는 이 사회적인 이슈를 전달하려고 하는 디자이너가 과연 한국에 얼마나 있는가라는 문제거든요.

However, the question we have is how many designers are there in Korea who are trying to convey these social issues.

예를 들어서 어저께 저희가 선별소 모임에 갔는데 조국 선생님부터 한홍구 선생님 등등 각계각체의 사람들이 왔어요.

For example, yesterday we went to a selection committee meeting, and people from various fields, including Teacher Cho Guk and Teacher Han Hong-gu, came.

그런데 이렇게 말하는 게 참 웃기지만 그 정도의 어떤 영향력과 역할을 한국 사회에서 하고 있는 디자이너가 그 자리에 있어야 된다고 생각해요.

However, it sounds funny to say this, but I believe that a designer who has that level of influence and role should be in that position in Korean society.

그런데 없는 거죠. 저희 같은 애들이 가서 있는 거죠.

But it's not there. It's just kids like us who go and make it happen.

그만큼 거기에 가서 발을 담그려고 하는 사람이 전무한 상황에서 저희가 하려는 것은 이 중요한 메시지를 조금이라도 많은 사람들이 들을 수 있는 기회를 만들고 싶은 거지

In a situation where there are hardly any people trying to dip their feet there, what we want to do is create opportunities for as many people as possible to hear this important message.

이게 어떤 개몽의 의미는 아니거든요.

This doesn't have any meaning of enlightenment.

그래서 저희가 하고 있는 것들이 어떻게 보면 다 그런 일이에요.

So everything we are doing can be seen as that kind of work.

환경 문제, 사회 문제, 인권 문제 이런 것들을 전달하려고 하는 디자이너가 없다는 거죠.

There are no designers trying to convey issues like environmental problems, social issues, and human rights problems.

지금 이 단어가 너무 거창하지만 자본이 지금 점령하고 있는 사회에서 엄청난 돈과 엄청난 인력과 시간과 노력이 그쪽 말하자면 상품의 소비를 추구, 뭐죠 저거?

Right now, this word seems too grand, but in a society where capital is currently occupying everything, a tremendous amount of money, labor, time, and effort is devoted to pursuing the consumption of those so-called products. What is that?

흑진?

Black Jin?

흑진시키려고 하는데 사용되고 있잖아요.

It's being used to make black gold, isn't it?

그러면 그 반대쪽, 이쪽에서도 그건 맞지는 않아도 어느 정도는 분명히 필요한데 그 비중이. 아무도 안 하고 있는 거죠.

Well, on the other side, it may not be completely right, but to some extent, it is definitely necessary, that is, the proportion of it. No one is doing it.

반대로 얘기하면, 죄송해요. 말 끊어서.

On the contrary, I’m sorry. I interrupted you.

오히려 자본주의적인 사상을 갖고 있는 이건이나 이런 애들은 디자인의 중요성을 그런 어떤 노동운정이나 가치를 훨씬 더 잘 인정해주고 있기 때문에 잘 활용하고 있고

Rather, those like Lee Kun-hee, who have capitalist thoughts, better recognize the importance of design and are utilizing it much more effectively than any labor movements or values.

오히려 그 급이 될 만한 디자이너, 거기 참여할 만한 디자이너가 없다기보다 그 사람들이 안 찾아줬기 때문에, 조국이나 아까 얘기했던 노동 문제 관련된 사람들이 안 찾아줬기 때문이 아니다.

It's not so much that there aren't any designers of that caliber who could participate, but rather that those people didn't seek them out; it's not because people related to the homeland or the labor issues we talked about earlier didn't reach out.

그거는 의뢰 씨가 오해하고 있는 부분이 있어요.

There is a part that you, Ms. Uirye, are misunderstanding.

이건 제 생각은 아니고요. 질문을 던지는 거예요.

This is not my opinion. I'm just asking a question.

그렇죠. 왜냐하면 그렇게 생각을 하잖아요.

That's right. Because that's how we think.

어저께 저희가 굉장히 놀랐던 부분 중의 하나가 뭐냐면 디자인의 중요성, 특히 홍보나 마케팅이라든지 이런 것의 중요성을 누구보다 심각하게 인식하고 계세요.

One of the things that surprised us yesterday was how seriously you recognize the importance of design, especially in areas like promotion and marketing.

그런데 디자이너가 거기에, 그거 되게 웃긴 거예요.

By the way, the designer there, that's really funny.

가만히 기다리고 있는데 왜 이 사람들 누구한테 연락 안 하지? 라고 하는 굉장히 수동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거거든요.

I'm just waiting quietly, but why aren't these people contacting anyone? They have a very passive attitude.

특히 어진이나 핸드프린트가 시작할 때 이 친구들은 다 메일 보내고 찾아가고 포트폴리오 만들어서 보내고 했어요.

Especially when I started with Eojin or Handprint, these friends all sent emails, went to meet, and created and sent portfolios.

그런 노력을 하지 않는데 갑자기 왜 우리한테 연락을 안 할까, 저 사람들이.

Why would they suddenly not contact us when they haven't made any effort?

굉장히 좀 수동적인 태도인 거예요. 정말 발을 담그지 않아요?

It's quite a passive attitude. Are you really not going to dip your toes in?

생각보다, 의뢰 씨는 알지만 훨씬 많은 사람들이 디자인을 필요로 하고 거기에 대해서 저는 더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참여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More than I thought, while I know about Ms. Lee, I believe that many more people need design and that more people should take an interest and participate in it.

저는 개인적으로 회사를, 에이전시를 오랫동안 다니다가, 브랜드 에이전시를 오랫동안 다니는데

Personally, I have been working at a company and an agency for a long time, and I have been at a brand agency for a long time as well.

어떤 그 시대가 약간 좀 어수선한 시대였던 것 같아요.

I think it was a rather chaotic time.

저는 2008년 정도에 수행했었으니까.

I did it around 2008.

뭐가 좀 이상하다 싶어가지고 이제 뭐 어떤 서해 인문학이나 정치에 관련된 책들이 있고

I feel like something is a bit off, and now I'm wondering what books are related to humanities or politics in the West Sea.

어떤 그 단체분들한테 메일을 보내가지고 또 만나서 또 얘기도 나누고 하면서

I sent an email to thos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to meet again and have a conversation.

말씀은 너무 좋은데 이 간행물들이 너무나 미감이 떨어진다는 느낌을 받았어요.

The words are very nice, but I felt that these publications lacked a strong aesthetic appeal.

그래서 여쭤봤더니 주변에 디자인업 없다는 거예요.

So I asked, and they said there are no design jobs around.

그래서 가만히 생각해보면,

So if you think about it quietly,

우리가 어떤 학교를 다니면서 자연스럽게 자본주의 속에 맞춰진 커리큘럼을 받았고

We naturally received a curriculum that was adapted to capitalism while attending school.

거기에서부터 나와서 결국에는 자본이 있는 곳에만 디자이너들이 머물러있지 않느냐.

Aren't designers ultimately only staying where there is capital, starting from there?

그래서 그게 아마 제가 작업실을 시작하게 된 어떤 커다란 계기였던 것 같아요.

So I think that was probably a significant reason why I started my studio.

그리고 아까 분홍수께서 말씀하셨던 그 어떤 개인의 어떤 표현이나 이런 것들은 분명히 중요하게 생각하고

"And as Ms. Pink said earlier, any expression of an individual is certainly considered important."

그리고 디자인을 하면 분명히 집어붙이고,

And when designing, I'll definitely stick with it,

분명히 집어붙이기 있다면 그게 있어야 된다고 생각을 하는데

I definitely think that if there is a reason to do it, it should be there.

문제는 역으로 봤을 때 오히려 개인의 어떤 표현에 뭐라고 해야 돼,

The problem is, when viewed from the opposite perspective, what should I say about an individual's expression?

갇혀있는 디자이너들이 그리고 그 표현 자체만으로 자기를 증명하려고 하는 디자이너들이 사실은 더 많아요.

There are actually more designers who are trapped and trying to prove themselves just through their expressions.

아까 저희 학교를 얘기했었지만 앞에서는 공론화시키지 않고 뒤에서는 뭔가 사회에 문제가 있다고 얘기를 했는데,

I mentioned our school earlier, but while I didn't bring it up publicly, I talked about some issues in society behind the scenes.

학교에 문제가 있다고 하는데 정작 거기서 공론을 안 하죠.

They say there are problems at the school, but they're not actually having a public discussion about it.

디자이너들도 똑같이 뭐 술자리는 아니면 식사를 하면서 아, 이 나라가 너무 이상해, 이상해 이렇게 얘기를 하지만은

Designers also talk similarly over drinks or meals, saying, "This country is very strange, strange."

사실 그렇게 그런 곳에 직접 가서 하는 디자이너들은 많지가 않다는 거죠.

In fact, there aren't many designers who actually go to those places and do that.

오히려 이게 역으로 생각을 했을 때는 자기의 표현에 대한 거는 굉장히 원초적인 문제인 거라고 생각을 하거든요.

Rather, when thinking about it in reverse, I believe it is a very primitive issue regarding one's own expression.

디자이너라면 누구나 있어야 되는, 직업 윤리 같은 것 정도까지.

Things like professional ethics that every designer should have.

어떻게 보면 저희는 그런 곳으로 사람들이, 디자이너들이 찾아가지 않는 것들을 보면서,

In a way, we observe those places where people, especially designers, do not go.

디자이너라는 게 과연 그 직업 자체만으로의 순수성이 아니라 디자이너와 시민의 어떤 중첩된 부분에서 고민이 분명히 있었다라는 것들을 말씀드리고 싶어요.

I want to say that being a designer is not purely about the profession itself, but there has definitely been a concern in the overlapping areas between the designer and the citizen.

되게 재밌는 게 그런 시민사회, 환경단체 분들도 다 홍대에 있어요.

It's really interesting that those civic groups and environmental organizations are all in Hongdae.

디자이너들 다 홍대에 있어요. 근데 못 만나는 거예요.

All the designers are in Hongdae. But we can't meet.

같은 학교에 있는데, 가까이 있는.

We are in the same school, but we are close.

아니 학교가 아니지. 다 있죠. 마포, 홍대 다 여기 있거든요.

No, it's not school. Everything is here. Mapo, Hongdae, it's all here.

근데 웃기는 거죠. 저희는 송파에 있는데,

But it's funny. We're located in Songpa, and...

저희는 가서 만나는 거예요.

We are going to meet by going there.

저는 그런 단체하고도 일을 해보고, 그다음에 돈을 많이 주는 곳하고도 일을 해봤는데, 일하는 스타일이 둘 다 비슷해요.

I have worked with such organizations and also with places that pay a lot, and the working style is similar in both cases.

돈을 많이 주는 곳도 자기네들 마음대로 하려고 하고, 돈을 거의 안 주는 곳도 자기 마음대로 하려고 해요.

Places that give a lot of money also try to do things their own way, and places that give almost no money also want to do things according to their own wishes.

그럼 자연스럽게 디자이너들이 자본이 있는 곳으로 유입되는 건 너무 당연한 것이 아닌가.

Then it is only natural that designers are drawn to places with capital.

저는 디자이너가, 자본주의사회에서 일할 때 딱 두 가지 방법이 있다고 생각하거든요.

I believe there are only two ways for a designer to work in a capitalist society.

돈을 많이 주거나, 혹은 돈을 안 주면서 마음대로 하게 하거나.

Either give a lot of money or let me do as I please without giving me any money.

근데 적어도, 아까 환경운동을 하거나 이런 분들은, 자본이 별로 없기 때문에 디자이너에게 잘 될 만큼 확보해줘야 되는 것 아닌가.

But at least, those who are involved in environmental movements or similar activities don't have much capital, so shouldn't they secure enough for the designer to do well?

근데 그렇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 디자이너들로 하여금 발을 돌리게 하는 것 아닌가. 이 부분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세요?

But isn't the reality of not being able to do so causing designers to turn away? What are your thoughts on this?

그거는 되게, 저희도 그런 얘기 하거든요.

That's really something we talk about too.

저희도 그런 얘기를 해요.

We talk about that too.

얼마 전에도 이제 그런 좌파 일러스트레이터라고 얘기를 하는데, 이분이 이런 얘기를 하는 거죠.

Not long ago, they were talking about being a leftist illustrator, and this person is saying something like this.

좋은 일, 뭐 시민단체, 환경단체에서 일한다고 다 좋은 사람 아니다. 진짜 이상한 사람 많다.

Just because someone works in a civic organization or an environmental group doesn't mean they're a good person. There are really strange people among them.

그러니까 저희가 뭐라 그랬냐면, 누나 그거는 그냥 사람이 이상한 것 같다고 원래.

So we said that, sis, it just seems like the person is strange originally.

그러니까 이거를 그들이 하고 있는 일과 그 사람을 동일시 시키면 안 되거든요.

So, you shouldn't equate this with the work they're doing and the person.

저 사람이 구리고, 저 사람이...

That person is bad, and that person...

그렇다고 해서 이, 그 사람들이 주장하고 싶은 그, 뭐죠? 그 주제의식을 거기다가 이렇게 순환시켜버리면 안 되는 거거든요.

However, that doesn't mean we should just circulate that theme or ideology that those people want to assert.

그럼 되게 위험해지는 거예요.

Then it becomes very dangerous.

근데 물론 아까 말한, 웰시가 말한 인간이 만약에 정말 클라이언트가 같다면,

But of course, if the person mentioned earlier by Welsh is indeed the same as the client,

그니까 둘 다 짜증나게 하는 클라이언트인데 이쪽은 돈을 많이 주고 이쪽은 돈을 조금 준다면, 이쪽 갈 수도 있죠.

So if both clients are annoying, but one pays a lot and the other pays a little, I might go with the one that pays more.

근데 거기에서 인간하고 동물이 동뿐이라는 거죠.

But it means that humans and animals are in the same state there.

이게 인간이 정말 본능만으로, 어떤 물질에 대한 욕망만으로 움직이는 거냐,

Is a person really driven solely by instinct, by the desire for a material?

아니면 어떤 가치관을 가지고 자기의 어떤, 자기가 가지고 있는 문제의식, 시각, 사회를 바라보는 시선을 가지고 거기서 어떤 선택을 할 거냐는,

Otherwise, it’s about what values you hold, what awareness of issues you have, what perspective you have on society, and what choices you will make from there.

정말 그거는 말한 것처럼 30대가 넘은 사람이라면 저는 충분히 거기에서 어떤 이성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다 생각하고 하기 위해예요.

I truly believe that for someone in their 30s, as mentioned, I can sufficiently make a reasonable judgment from there and act on it.

근데 저는 이렇게 도진 씨에게 두 가지 얘기가 좀 들었는데,

But I have heard two things about Dojin.

자본주의, 그리고 뭐 얘기를 했었는데, 사실 돈이라는 게 되게 이중성이 있어요.

Capitalism, and we were talking about something, but in fact, money has a very dual nature.

저희 당시에서도 얘기했지만, 돈에 대해서 일단 한국 사회에서 일단은 좀 이렇게 거리를 둬야 되는데,

As we talked about at that time, we need to keep a bit of distance from money in Korean society for now.

너무 돈 좋다고 얘기하면 좀 이렇게 속물 같다는 표현을 많이 쓰죠.

When you say you really like money, it often has a connotation of being a bit of a materialist.

그리고 심지어 학교에서도 선생님이 가르쳐요.

And even in school, the teacher teaches.

여러분, 돈이 없어도 행복하지 않을까요? 그러면 학생들이 다 맞습니다, 손을 들어요.

Everyone, isn't it possible to be happy even without money? If so, let's see all the students who agree, raise your hands.

근데 현실에 나왔을 때 그 손 드는 아이들이 점점 줄어들거든요.

But when it comes to reality, the number of kids raising their hands gradually decreases.

왜냐하면 지금 여기,

Because right now here,

여기 의뢰도 성민 누나도 이 사무실 운영하지만, 어떤 신념과 자기 가치관도 중요하지만,

Here, both the request and Seongmin noona run this office, but while personal beliefs and values are important,

그게 운영되면 돈이라는 게 반드시 필요합니다.

When it is operated, money is必neededeed.

왜냐면 여러분들이 그렇게 말했던 구조관계에서도 우리가 자본주의가 그냥 좋고 싫은 문제가 아니에요.

Because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you mentioned, it's not just a matter of whether we like or dislike capitalism.

우리는 자본주의 시스템에 살고 있기 때문에 이걸 거부하거나 이런 문제가 아니라 이걸 같이 가야지,

We are living in a capitalist system, so it's not about rejecting this or that issue; we need to go together with this.

나는 자본주의를 한다고 해서 속물이야, 이런 식으로 할 수는 없는 관계라는 거죠.

Just because I engage in capitalism doesn't mean I'm superficial; this is a relationship that can't be treated that way.

어떻게 보면 애증의 관계, 그리고 반드시 필요한 관계들이.

In a way, it's a relationship of love and hate, and relationships that are absolutely necessary.

돈이 없으면, 아까 뭐 어제 씨가 뭐 결혼한다고 하셨지만,

If you don't have money, even though you mentioned yesterday that you're getting married,

지금 살아간다는 것 자체가 돈이 없어서 살 수 있는 그런 세상이 아니잖아요.

Living right now is not a world where you can survive without money.

근데 이거를 저는 좀 더 좋고 나쁨이 아니라 냉정해 봐야 되는 거예요.

But I need to stay more objective about this rather than seeing it as good or bad.

자본주의가 과연 뭘까? 자본주의는 이것도 하나의 시스템이에요.

What exactly is capitalism? Capitalism is indeed a kind of system.

그리고 돈이 많은 사람들 쪽에 일이 몰릴 수밖에 없어요.

And jobs tend to be concentrated among people with a lot of money.

저도 예전에 NGO랑 일을 했지만 왜 싫은 추억이 있냐면,

I also used to work with an NGO, but the reason I have unpleasant memories is that,

아까 권준영 씨는 왜 사람이 나쁜 거지, 왜 그 사람이 역할을 했지만 그게 그렇게 안 되는 게,

Earlier, why is it that Kwon Jun-young thinks people are bad? Why is it that even though that person played a role, it doesn't turn out that way?

나는 NGO를 찾아서 일을 들어갔는데, 그 NGO 사장이 밑도 끝도 없이 가격을 말도 안 되는 액수를 얘기해요.

I contacted an NGO to find work, but the head of the NGO keeps mentioning an outrageous amount without any explanation.

그러면서 하나 얘기할 거예요. 제일 많이 들어도, 네, 재능 기부.

I'll talk about one thing. No matter how much you hear it, yes, talent donation.

제가 가장 싫어하는 말이 재능 기부입니다.

The phrase I dislike the most is "donation of talent."

왜냐하면 재능 기부라고 말을 해 놓고는 모든 게 다 수정이 들어오고, 모든 게 자기가 원하는 대로 다양히 있어요.

Because they said it was a donation of talent, but then everything gets revised, and everything is varied in the way they want it.

결국 그렇게 될 거면 돈을, 정당한 대가를 돈을 지불하고 일을 하든지, 말은 자기가 NGO라는 이미지를 이용해서

If that's going to happen anyway, either pay the money, the rightful compensation, and do the work, or use the image of being an NGO with words.

그거에 대한 장막을 채워야 돼요.

You need to fill the curtain for that.

방어막을 치는 거죠. 방어막을 치는 거예요.

It's creating a defensive barrier. It's creating a defensive barrier.

그런 인간관계를 많이 만나다 보면 간순히 그거를 개인으로 따로 볼 수가 있을까요?

If you encounter many such human relationships, can you simply view them separately as individuals?

그렇게 보지 못하거든요.

I can't see it that way.

그리고 그 단체만 그런 게 아니라 대부분의 NGO들이 많이 하는 활동들이 재능 기부, 재능 기부고,

And it's not just that organization; most NGOs engage in activities like talent donation and skill sharing.

그리고 우리는 이러한 선의의 목적이기 때문에 좀 쉽게 말해서 싸게 해 달라는 겁니다.

And we are asking for it to be done cheaply, simply put, because it is for this benevolent purpose.

그런데 저는 그게 굉장히 싫거든요. 왜냐?

But I really hate that. Why?

내가 하는 노동력과 이런 데서 정당한 대가를 받고 싶은 거지,

I want to receive a fair reward for the labor I provide.

그다음에 내가 NGO가 됐든, 대기업이 됐든, 뭐가 됐든 그거는 말씀하신 대로 가는 거지.

Then, whether I become an NGO or a large corporation, whatever it may be, it will follow what you mentioned.

그거에 대한 어떤 선행된 합의가 없이 먼저 이게 너희들은 이렇게 했다가 들어가게 되면 이거는 저는 일을 할 수도 없고,

Without any prior agreement on that, if you proceed like this, I won't be able to work.

그리고 말 그대로 우리가 아마 스튜디오 운영을 안 쳤을 때는 운영을 할 수가 없는 거죠.

And as the saying goes, if we hadn't hit the studio operation, we wouldn't be able to operate.

그렇기 때문에 자본주의는 내가 이걸 선택하고 이런 문제가 아니라 반드시 따라가야 되는 거고.

That’s why capitalism is not a matter of me choosing this or that problem; it’s something that must be followed.

한마디 좀 더 해드리고 싶으면 지금 의뢰 씨는 그런 얘기를 하고 얘기를 했는데 저는 돈이, 일단 저는 돈이 되게 좋아요.

If I could say one more thing, you're talking about such things now, but I really like money.

네.

Yes.

저도 좋아요.

I like it too.

돈을 많이 벌고 싶어요.

I want to make a lot of money.

근데 그거에 대한 방법을 디자이너들이 되게 몰라요.

But designers really don't know how to do that.

그게 가장 큰 문제예요.

That's the biggest problem.

왜냐면 디자이너처럼 약자가 없다는 게 디자이너의 돈에 대한 어떻게 벌어야 되는지도 모르고,

Because not having a weakness like a designer means the designer doesn't even know how to earn money.

말씀하신 그 개인주의에 빠진, 말씀하신 개인, 자기가 표현하고 싶은 사람은 그나마 쓴맛해요.

The individual who has fallen into the individualism you mentioned, the person who wants to express themselves, at least has a bitter taste.

그것만 하고 싶어서 이렇게 하니까.

I’m doing this because I just want to do that.

그런데 그런 사람들마저도 점점 설 자리가 없죠.

However, even those people are gradually finding less room to stand.

왜냐면 점점 다가오는 월세는 밀려오고 대출금은 갚아지고.

Because the rent is gradually approaching and the loan is being repaid.

그러니까 이 모든,

So all of this,

본인이 말한 말도 절대 사회랑 벗어날 수 없는 게 당장에 표현하는 그 과정에서 또 종잇값이 들고 인쇄비가 들고 그럽니다.

What you say cannot escape society, as even the act of expressing it incurs costs for paper and printing.

근데 저는 일상의 실체도 그런 활동을 하지만 궁금한 게 이런 거에요.

But I also engage in those activities in my daily life, and what I'm curious about is this.

그런 자본주의에 속해있으면서 그런 활동을 하는 건 되게 좋지만 그런 표현들이 어떻게 보면 좀 저는 사치스러울 때가 있어요.

Being involved in such capitalism and engaging in those activities is great, but sometimes those expressions seem a bit extravagant to me.

이렇게 포스터를 걸고 이렇게 뭐 하는 것들.

Hanging posters like this and doing things like this.

이게 과연 여러분들이 그렇게 말했던 기성세대랑 다를 게 뭐가 있습니까?

What is really different about this from what you all said about the older generation?

저는 오히려 더 똑같다고 보거든요.

I actually think it's more the same.

그런 표현에.

Such expressions.

네.

Yes.

그에서도 뭘 그렇게 미감이라고 얘기를 하셨잖아요.

You talked about something like aesthetic sensitivity, right?

근데 그게 정말 그게 중요한 거야.

But that's really the important thing.

저는 더 목소리가 더 중요하고요.

I think the voice is more important.

그 글줄이 이건 저는 오히려 사치인 것 같아요.

I think this line is rather a luxury for me.

차라리 그런 쪽으로 갈 거면 아예 더 확실하게 가서 뭔가 액션을 더 취해야지.

If you're going to go that way, you should take more definitive action and do something more.

포스터를 들고 그거를 찍고 이런 것들은 저는 그런 사람들의 가치관을 가지고 그냥 장난치는 것 같아요.

Holding a poster and taking pictures like that just feels like people are playing around with their values.

그러니까 아름답게 포장하는 거죠.

So you wrap it up beautifully.

저는 그런 걸 볼 때마다 물론 일상 시장은 그렇다는 게 아니라 그런 단체들이 엔져도 있을 것 같지만 좀 거북스럽더라고요.

Whenever I see things like that, it's not that everyday markets are like that, but I feel somewhat uncomfortable thinking there might be groups like those too.

왜냐하면 차라리 비즈니스라 걸면 될 말을 그렇게 둘러가면서 엔져를 위해서 멋있게 멋있게 그리고 가격은 싸게.

Because rather than saying it directly as a business matter, let's dress it up nicely for the engineers and keep the price low.

이게 과연 좋은가? 저는 그런 질문이.

Is this really good? I have such questions.

지금 강구룡 씨가 말씀하신 그런 상황이 비단 디자인계뿐만 아니라 다른 데서도 많이 나타나고 있는데.

The situation that Mr. Kang Gu-ryong just mentioned is occurring not only in the design industry but also in other fields quite frequently.

예를 들어서 그림 디자인 대표적이지 않습니까? 환경 디자인, 친환경 디자인 하면은.

For example, isn't graphic design representative? When we talk about environmental design or eco-friendly design.

친환경 디자인을 정말 하려고 해서 하는 데 보다는 이게 이슈가 되니까 내가 친환경 디자인으로 물타기를 해서

I'm trying to genuinely engage in eco-friendly design, but rather than that, I feel like I'm just using eco-friendly design as a way to create a distraction because it's become an issue.

네.

Yes.

그런 직업을 어떻게 좀 홍보를 해볼까 하면서 실제로 진짜 친환경적인 활동도 하고 홍보의 수단을 이렇게 하는 데가 많아요.

I wonder how to promote such a profession, and there are many places that actually engage in genuinely eco-friendly activities and use this as a means of promotion.

그런데 디자이너들이나 아니면 작은 디자인 스튜디오 같은 경우도 그런 넌프로핏 활동, 비영리적인 활동을 한다는 것을 우리 회사의 어떤 강점이자 캐치프레이즈로 내세우는 경우도 분명히 있다는 거죠.

However, there are definitely cases where designers or even small design studios promote such nonprofit activities and non-commercial initiatives as a strength and catchphrase of our company.

네.

Yes.

그런 것도 사실 굉장히 일리가 있는, 타당성이 있는 말이에요.

That's actually a very reasonable and valid point.

저는 구동욱 씨가 전적으로 동의를 해요.

I completely agree with Mr. Koo Dong-wook.

예전에 제가 핸드프린트를 했었을 때 한 7시, 저녁 7시쯤에 전화가 온 거예요.

Once, when I was doing a handprint, I received a call around 7 PM.

그래서 받았더니 거기가 이제 구호단체인데 이름을 대면 알만 구호단체인데 자기들이 포스터를 만들고 싶다고 전화가 먼저 온 거죠.

So I received a call from a relief organization that you would recognize by name, saying they wanted to make a poster.

그래서 견적서를 바로 써서 보냈어요.

So I wrote up the quotation and sent it right away.

NGO니까 그렇게 많이는 일단 저희는 안 써서 보냈는데 전화가 다시 와가지고 아, 너무 높게 부르셨다는 거예요.

Since it's an NGO, we didn't spend that much at first, but then they called back saying that it was quoted too high.

그래서 아, 그러면 왜 그렇게 생각하시냐고 했더니.

So, when I asked why you think that,

똑같은 말을 했어요.

I said the same thing.

저희는 거의 대부분이 재능 기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좀 가격을 말씀하시는데 너무 터무니없는 가격이거든요.

Most of us operate through donation of our talents, so the price you're mentioning is quite unreasonable.

그러니까 정말 맛있는 음식을 한 번 먹으면 없으실 정도의.

So it's the kind of delicious food that you would miss once you have it.

근데 저도 그 재능 기부라는 말에 좀 치를 떨거든요.

But I also shudder a bit at the term "donating talent."

어떤 분이 얘기했지만 단어를 만든 사람한테 상을 줘야 될 정도로 정말 그거는 정말 위압적인 단어인데.

Someone said that we should give an award to the person who created that word because it's truly an intimidating word.

네.

Yes.

그래서 자본주의라는 거를 저도 그 시스템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아요.

So I don't deny the system of capitalism itself.

제가 뭐 마취짐도 아니고.

I'm not a sedative, you know.

그 중요한 거는 뭐냐면은 아까 준호가 얘기했었던 것처럼 자기가 가치를 동의를 할 수 있는 일이 있느냐 없느냐라고 했었을 때.

The important thing is whether there is something that one can agree upon in terms of value, as Junho mentioned earlier.

그러니까 그거는 아까 말했었던 것처럼 뭔가 좀 더 견고한 자기 가치가 있어야 되는 선상에서 이루어지는 어떤 선택인 것 같아요.

So it seems like that choice is made on a foundation of having a more solid sense of self-worth, as I mentioned earlier.

저희가 쌍차 회고자분들의 인터뷰집을 담은 책을 디자인을 이제.

We are now designing a book that contains interviews with the double car retrospectives.

이제 곧 들어갈 예정인데.

I am about to go in soon.

그게 이제 사실은 기획이 좀 오래 이제 좀 이렇게 미뤄지다가 이제 올 초에 이제 들어가게 된 디자인 작업인데.

Well, the truth is that the planning had been postponed for quite a while, and the design work actually started earlier this year.

작년 가을에 저희가 다른 곳에서 H자동차에서.

Last autumn, we were at a different place with H Motors.

현대자동차.

Hyundai Motor Company.

공영방송은 아니에요.

It's not a public broadcaster.

MBC 나간다.

Going out to MBC.

MBC 명도예요.

It's MBC Myungdo.

근데 그 월드컵 스폰서라고 해서 브라질에다가.

But the World Cup sponsor is Brazil.

커다란 전시 디자인을 하는 그 위에 의뢰가 들어왔어요.

A large exhibition design request has come in on top of that.

근데 저희는 이미 쌍차 기획에서 참여하고 있었던 상태인데.

But we were already involved in the double vehicle planning.

이거는 사실은 책을 만드는 거라서 돈이 당연히 많이 안 되죠.

The truth is, this is about making a book, so it's not going to earn a lot of money.

근데 거기에서는 이제 공 하나가 더 붙는 거죠.

But there, one more ball is added.

하나만 더 붙어?

Can I attach just one more?

앞에 숫자도 달라 지금.

The numbers in front are different now.

그걸 선택할 거냐 말 거냐라는 거는 사치의 개념이 아니라 저희도 생존의 문제거든요.

The question of whether to choose that or not is not a matter of luxury; it is a matter of survival for us.

제가 항상 인터뷰를 할 때마다 하는 말이 통장 잔고에 대해서 항상 얘기를 해요.

I always talk about my bank balance whenever I do an interview.

뭐 그건 되게 중요한 부분이고 현실적인 부분이라서 저희도 떠날 수도 없는 거지만은.

Well, that's a very important and realistic aspect, so we can't just leave.

결국에는 저희는 그걸 안 하기도 했거든요.

In the end, we didn't do that either.

왜냐면은 그거는 저희가 이걸 하면서 이걸 한다는 거는 그건 언어 도단이라고 생각을 해요.

Because we believe that doing this while doing that is a violation of language.

있을 수 없는 가치라고 저희들이 생각을 했고.

We thought it was a value that could not exist.

이게 만약에 조금 더 연성화된 상태였을 때라면은 생존의 문제가 조금 더 크게 보였을 때라면은 분명히 할 수는 있을 것 같아요.

If this were a slightly more flexible situation, and if the issue of survival appeared to be more significant, then I think it would definitely be possible.

그렇죠.

That's right.

근데 저희 입장에서는 그 부분이 자본주의를 배격하는 게 아니라 이 상황에서 우리가 선택을 해야 되는 어떤 순간에서는 분명히 그 기조를 바로 서야

However, from our perspective, it is not rejecting capitalism, but rather, at certain moments when we have to make choices in this situation, we clearly need to establish that principle.

우리가 이런 거를 가지고 계속 어떤 활동을 할 때 우리 스스로를 꺽들일 수가 있고 사치라는 이름을 들었을 때 공격, 그 공격에 대해서 충분히 방어를 할 수 있는 어떤 기저가 반영될 수가 있더라고요.

When we constantly engage in activities like this, we can suppress ourselves, and when we hear the term luxury, there is a foundation that allows us to sufficiently defend against that attack.

여기 하나 더 덧붙이면.

Here's one more to add.

네.

Yes.

저희가 겪은 그 경험이 사실은 굉장히 많이 디자이너들이 겪는 경험이기도 하잖아요.

The experience we went through is actually something that many designers also experience.

그러니까 말하자면 좋은 취지로 이제 NGO라고 하는 그런 데서 일을 하다가 재능 기부를 이제 강요받고 터무니없는 가격으로 이제 맡기고 하다가 일은 똑같이 시키고.

So to put it simply, while I was working at an NGO with good intentions, I was pressured to donate my skills and was given unreasonable compensation, yet still had to do the same work.

그러면 떨어져 나가는 거죠.

Then it falls away.

근데 저는 거기에서 굉장히 중요한 게 연대의식이라는 생각을 하거든요.

But I think a very important thing there is the sense of solidarity.

연대의식이라는 거는 결국 뭐 가치관에 동의하는 거죠.

The sense of solidarity ultimately means agreeing on a set of values.

그분들의 가치관에 동의하고 그분들이 이루려고 하는 가치관에 동의하고.

I agree with their values and the values they are trying to achieve.

근데 거기까지는 굉장히 이상적인 말이고 그룡 씨가 말한 것처럼 돈이 굉장히 중요한데 그걸 무시하는 방안이라서.

But that's a very idealistic statement, and as Geurong mentioned, money is very important, so it's a proposal that ignores that.

그럼 어떻게 할 것이냐인데 그거는 이 사람과 내가 연대하고 있고 동의를 한다는 거는 내가 저 사람한테 무조건 동의하는 게 아니라 그들도 디자이너의 입장을 공감해 줘야 되는 거거든요.

So the question is, what will we do? It's not that I completely agree with that person just because we are in solidarity and have consent; they also need to empathize with the designer's position.

그러니까 우리가 이 정도 돈 가지고 계속하면 우리 이거 지속 가능하겠죠.

So if we keep going with this amount of money, we should be able to sustain it, right?

네.

Yes.

그리고 이거 지속 가능하게 할 수 없다는 것이 둘이 동의가 돼야 되는 거거든요.

And both of us have to agree that this cannot be sustained.

그러면 어떤 현상이 일어나냐면 처음에는 그분들이 디자이너 예산 책정을 아예 안 하죠.

So, what happens is that at first, those people don't allocate any budget for designers at all.

아예 없는 거예요.

There is absolutely none.

그 분석사안에.

In that analysis matter.

그들의 계획사안이.

Their plan matters.

근데 이들이 디자이너들이 우리를 계속 도와주는 게 아니라 협업을 하려면 예산이 책정이 돼야겠구나라는 인식을 하는 기간이 필요한 거예요.

However, there needs to be a period for them to realize that if we want to collaborate, a budget needs to be allocated, rather than designers just continuously helping us.

그게 한 1년이 될 수도 있고 2년이 될 수도 있어요.

That could be about a year or it could be two years.

근데 그거를 디자이너들이 못 견디는 거죠.

But designers can't stand that.

어떻게 보면.

In a way.

당장 한 번 두 번 일하고 돈 적으니까 나 안 해.

I won't do it because I worked once or twice and the pay is low.

피곤하고.

I'm tired.

그게 아니라 우리도 좀 더 진중한 자세로 이들을 설득하고 그들의 예산을 늘려가는 어떤 노력을 해야 되는 거거든요.

That's not it; we also need to make an effort to persuade them with a more serious attitude and to increase their budget.

사회가 지금 구조가 mgo에서 디자이너 쓰는 게 그런 시스템이 딱 돼버렸잖아요.

The current structure of society has established a system where designers are used in MGO.

재능기부라는 거를.

It's called donating talent.

근데 거기에 대해서 디자이너들이 재능기부니까 안 해 하면 아무것도 바뀔 게 없거든요.

But if the designers don't do it because it's a talent donation, nothing will change.

디자이너들이 그 안에 들어가서 그게 왜 부당하고 왜 이게 디자이너들이 더 죽이는 일인지에 대해서 우리가 더 발언하고 바꿔야 되는 거죠.

Designers need to go in there and speak out about why it's unfair and why this is something that is further harming designers.

네.

Yes.

더 발언하고 바꾸려고 노력을 과연 했느냐 하는 거예요.

The question is whether you really tried to speak up and make changes.

그래서 정말 단순하게 말하면 지금 저희가 하고 있는 mgo가 저희 재능기부라는 건 한 군데도 없어요.

So to put it very simply, what we are doing with MGO is not a single thing related to our talent donation.

다 물론 대기업의 일 정도의 돈을 받지는 못하죠.

Of course, I don't earn as much as a job at a large company.

하지만 최소한 우리가 스튜디오를 운영하고 현실적으로 돌아갈 수 있고 어진이 신혼여행 보내줄 정도가 된다는 이 회사 돈으로 산 거예요.

But at least we can operate the studio and realistically go back, and this company has earned enough money to send Eojin on her honeymoon.

이게 신혼여행인가요?

Is this the honeymoon?

아이와 친구 돈으로 산 거예요.

I bought it with money from my child and friends.

그런 노력이 최소한 3년 걸렸어요.

Such efforts took at least three years.

3년 이상이 걸렸고 그거를 해보지 않은 사람이 mgo 그런 거 재능기부에 나빠 이러면 안 바뀌는 거죠. 아무것도.

It took more than three years, and if someone who hasn't tried it says that things like mgo and talent donations are bad, nothing will change. Not at all.

일단 저야 그런 쪽하고 많이 결부되어 있고 있기 때문에 그런 문제에 대해서 굉장히 많은 생각을 하게 되는데

Since I am quite involved in that area, I tend to think a lot about such issues.

그래요.

Okay.

시민단체의 가장 큰 문제는요.

The biggest problem with civic organizations is...

디자이너를 바라보는 시점이 너희는 나를 도와주는 거예요.

The perspective of looking at the designer is that you are helping me.

이게 가장 큰 문제예요.

This is the biggest problem.

그들의 뜯어고쳐야 될 사고방식이 바로 그거예요.

That is the mindset they need to change.

그리고 디자이너들은요.

And the designers, you know.

이것이 디자인으로 내가 너한테 도움을 주는 거예요.

This is design helping you.

이 사고방식도 뜯어고쳐야 돼요.

This mindset needs to be changed.

지금 우리가 어떤 가치 있는 일을 한다는 것은

Doing something valuable right now means that...

그 가치 있는 일이 너무 크기 때문에 혼자서 감당할 수가 없거든요.

The value of that task is so great that I can't handle it alone.

그래서 연대라는 말이 되거든요.

So it becomes a matter of solidarity.

그래서 그것을 같이 들기 위해서 손을 잡고 같이 드는 건데

So it's about holding hands and lifting it together.

이것이 옆에서 같이 드는 사람한테 아 고마워.

This is for the person holding it next to me, thank you.

그러면 난 뭐야?

Then what am I?

내가 왜 너한테 고마움을 받아야 돼?

Why should I be grateful to you?

서로 같이 나눠서 이걸 해야 된다는 의식이 있어야 되는데

There needs to be a consciousness that we should share this together.

이게 벌써 돈 얘기가 나오고 이렇게 된다는 거는

The fact that money talks and things have come to this point already means that...

이미 한 사람이 한 사람을 위 시점에서 낮은 시점을 바라보고 있다는 데서 문제가 생겨요.

The problem arises from the fact that one person is looking down at another person from a lower perspective at that point.

그런데 여기서 또 디자이너들의 문제들은 뭐냐면

However, the issue with designers here is what?

디자이너는 그 가치에 대해서 근본적으로 들어가지 못해요.

Designers cannot fundamentally go into that value.

내가 이 쌍용차 문제가 있다.

I have a problem with this Ssangyong car.

그럼 쌍용차 문제가 왜 있냐?

Then why is there a problem with SsangYong Motor?

저 사람 춥고 배고파. 당했잖아.

That person is cold and hungry. They've been through a lot.

이 정도 시점에서 그 가치 문제를 보잖아요.

At this point, we are looking at that value issue.

그럼 절대로 주인의식을 가지고 덤벼질 수가 없어요.

Then you can never dive in with a sense of ownership.

근본적인 문제에 대해서도 알려고 노력을 해야 되는 거죠.

You have to make an effort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 issues as well.

그렇다는 얘기는

That means

우선 디자인 단계가 아니라

First of all, it's not the design phase.

운동 단계부터 이미 결부되어 들어가야 되는데

It should already be connected from the stage of exercise.

운동 단계에서 이미 시민단체들은 너무 앞서 있거나

In the stage of exercise, citizen organizations are already too advanced or

아니면 디자이너들을 껴주지 않아요.

Otherwise, they don't include the designers.

그런데 이거는 일종의 인간적 구조적 거부감이라고 볼 수도 있다고 보거든요.

However, this could be seen as a kind of human structural rejection.

그래서 제가 가끔 팔포스터 이런 서동윤 선생님들이

So sometimes I have these posters by teacher Seodong-yoon.

디자이너들의 소비주의 이런 거에 대해서 제가 반론을 제기하고

I would like to raise a counterargument regarding the consumerism of designers.

거기에 대해서 막 좀 그렇게 하는 게 뭐냐면

What I mean by that is to do something like that.

디자이너들은 항상 아까 강은호 씨도 얘기했지만

Designers always talk about it, just like Mr. Gang Eun-ho mentioned earlier.

자기가 주어진 거에 최선을 다해서

Do your best with what you have been given.

그것이 보편적으로 다른 사람들한테 많이 쓰이기를 바라거든요.

I hope it is widely used by others.

그런데 그가 추구하는 그 보편성이라는 것이

However, the universality he pursues is

좀 더 가치 있는 곳으로 간다면

If I go to a more valuable place.

그보다 더 좋은 건 없거든요.

There's nothing better than that.

그런데 이 사람이 이것을 어떤 것을

But what is this person going to do with this?

택할 것이냐에 대해서 가치 기준이 없기 때문에

Because there is no value standard regarding what to choose.

그냥 유일한 가치 기준은 돈으로 가는 거예요.

The only standard of value is to go for money.

그런데 새로운 가치 기준이 들어오기 시작하면

However, when new value standards begin to emerge,

돈과 저울질을 하기 시작하잖아요.

You start to weigh money.

그러면 얘가 내가 주도해서 환경운동을 한다든지

Then this kid might take the lead in doing environmental activism.

아니면 사회문제 쌍용차 내가 한번 주도해보겠어.

If not, I'll take the lead on the social issue regarding Ssangyong Motor.

그다음에 내가 주도도 하고 디자인도 하고 연대도 하고

Next, I will lead, design, and coordinate.

내가 중심으로 할 수 있는 거잖아요.

It's something I can take the lead on.

그러면 사회 사람들은 이상한 시각을 보게 돼요.

Then society will see it from a strange perspective.

디자이너들 참 신기하다. 왜 이렇게 됐냐.

Designers are really amazing. How did it end up like this?

디자인 평론가들이나 디자인 주변에서 얘기하는 사람들이

People who talk about design critics or around design.

디자인을 자꾸 그쪽으로 갖다 밀어붙이기 때문에

Because you keep pushing the design in that direction.

디자인은 이미 그런 쪽으로 가고 있어요.

Design is already going in that direction.

결국 결구되어 있는 것이 아닌데

In the end, it's not something that's concluded.

이 사회가 디자인을 갖다 거기다가 벽에다 밀어붙이니까

This society has design, and it is being pushed against the wall.

그 안에 있는 사람들이 그런 생각을 하게 되고

The people inside start having such thoughts.

밖에 있는 사람들이 그런 생각을 하는 거죠.

People outside are thinking that way.

그래서 제가 할포스트 디자이너 범죄라는 게

So what I'm saying is that there's a crime of being a half-post designer.

왜 범죄야? 그건 네 생각으로 범죄지.

Why is it a crime? It's a crime only in your opinion.

디자이너는 한 번도 범죄를 이룬 적이 없어.

The designer has never committed a crime.

결국 구조가 범죄를 만든 거지.

In the end, the structure created the crime.

저는 그렇게 생각을 하고 있어요.

I think so.

저는 적극 동감하는 게 제가 유령학파를 활동하는 이유가 뭐냐면

The reason I actively agree is that it is why I engage in ghost studies.

이걸 주도하시는 분이 디자이너 출신이에요.

The person leading this is from a design background.

그래서 디자인에 대한 굉장히 중요성을 생각했고

So I thought a lot about the importance of design.

여기서 최근에 했던 활동은

The recent activities we did here are

슬라브웨지 작가하고 알랭 바디우가

Slavoj Žižek and Alain Badiou.

한국에 와서 강연을 하고 기조연설을 하고

I came to Korea to give a lecture and deliver a keynote speech.

이런 것들을 주도했는데

I led things like this.

거기서 디자인이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했어요.

Design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there.

그리고 그걸 주도하시는 분 자체도

And the person who leads that as well.

실명학으로 하기는 좀 그런 게

It's a bit inappropriate to use real names.

이게 약간 일부러 이렇게

This is somewhat intentional like this.

은폐의 유령 같은 컨셉을 유지하는 거라

It's about maintaining a ghostly concept of concealment.

디자인이 잘 나오고 디자이너의 주도된 이미지로

The design comes out well and is led by the designer's image.

그 메시지를 달 수 있는 사람의 입장에서

From the perspective of someone who can post that message.

이것을 바라보지 않으면 좋은 결과를 얻기가 힘들다는 거죠.

It means that if you don't look at this, it's hard to achieve good results.

이건 분명히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기 위해서 이루어진

This has clearly been done to influence people.

어떤 행사인데

What kind of event is it?

디자인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면

If the design is not done properly

이게 어떻게 그런 메시지를 사람들에게 전달할 수 있겠느냐

How can this convey such a message to people?

이런 입장에서 접근했을 때

When approaching from this perspective.

NGO가 있어서 디자이너가 참여하는 게 아니라

It's not that there is an NGO that makes the designer participate.

이미 그걸 주도하는 것 자체가 디자이너가 될 수 있다는 사고방식이

The very mindset that already leads that is to be able to become a designer.

너무너무 좋았던 것 같아요.

I think it was really, really good.

이게 시민의식이라는 데까지 가야 되는 것 같거든요.

I think it has to reach the level of civic awareness.

디자이너가 사회의 어떤 구성원으로서

As a member of society, the designer...

그 의식을 갖느냐 안 갖느냐인데

It's about whether or not you have that awareness.

제가 웬만하면 영국 얘기 잘 안 하는데

I usually don't talk much about England.

영국의 RCA에 있을 때

When I was at RCA in the UK

매번 얘기하시죠.

You say that every time.

매번, 매번 만날 때마다 RCA는 구분 안 가진데요?

Every time, every time we meet, RCA doesn't seem to differentiate, does it?

로얄, 컬리드 오브 아트

Royal, Curled of Art

로얄, 로얄

Royal, royal

오늘 한 번도 얘기 안 했는데

I haven't talked about it even once today.

왕립

Royal

왕립, 왕립이야 왕립이야

Royal, it's royal, it's royal.

로얄, 로얄

Royal, royal

살피 왕립이라고

It's called Salpi Royal.

여기는 국민!

This is the people!

여기는 국민이고 여기는 왕립이고

Here are the citizens, and here is the royal.

얘기하세요.

Please go ahead and talk.

국민들 판에 생각해보세요.

Think about i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eople.

이게 되게 재미있었던 게

What was really interesting about this was

물론 그 학교의 많은 학생들이 다 그런 건 아니었는데

Of course, not all of the students at that school were like that.

거기에서도 이

Even there, this...

이슈가 분명히 논쟁이 되거든요.

The issue clearly becomes a topic of debate.

디자인이 개인의 활동이냐 사회적 활동이냐

Is design an individual activity or a social activity?

첫 번째 학생들 다 모여서 프레젠테이션을 하는데

The first students all gathered to give a presentation, and...

거기에서 어떤 학생이 나가서

A student goes out from there.

생각보다 많은 학생들이 디자인의 사회적 역할이 어떻고

More students than I thought are aware of the social role of design.

이런 얘기를 하는데 한 명이 나가서

While we're talking like this, one person goes out.

자기 그런 거 관심 없다는 거예요.

I'm saying I'm not interested in that kind of thing.

디자인은 개인의 표현이고 개인만 잘하면 되고

Design is a personal expression, and it's enough if an individual does it well.

그 사람은 포토샵의 귀지였어요.

That person was a genius with Photoshop.

정말 멋진 이미지를 만들어도 돼요.

You can create a really wonderful image.

아무 컨텍스트는 없어요.

There is no context at all.

근데 생전 처음 보는 이미지예요.

But it's an image I've never seen before in my life.

근데 재밌었던 게 그걸 막 얘가 열심히 얘기하는데

But what was interesting was that they were talking about it passionately.

뒤에서 우우우우우우우우우우우우우우우

From behind, oooooooo.

너무 이기적이라고

You're so selfish.

그런 얘기들이 나오는 거예요.

Those kinds of stories are coming out.

재미있었던 건

What was interesting was

이건 되게 어떻게 보면 좀 비약일 수 있지만

This could be seen as somewhat of a stretch, but...

그 발표를 한 그 애가 어디서 왔냐면 이스라엘에서 왔어요.

The person who made that presentation came from Israel.

그러니까 그걸 또 분리시켜서 생각할 수가 없는 거죠 저는.

So I can't think about it separately like that.

저 나라는 더 비약을 해서 말하자면

If I were to put it more dramatically, that country...

지네만 살면 된다고 남들 막 죽이고 있잖아요.

"They're killing others just to survive themselves."

심지어 걔가 물론 시어니즘이나 이런 데 빠지는 애는 아니지만

Even though he’s not really the type to get into things like secessionism or anything.

기본적으로 이스라엘이 초인 거죠.

Basically, Israel is the superpower.

자기 마음에서.

From one's heart.

선택받은 민족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고

Having the belief that they are a chosen people.

저는 계속 그렇게 생각이 드는 거죠.

I keep thinking that way.

그럼으로써 이런 디자인 개인의 표현만 있으면 된다고 하는 것까지

Therefore, it means that such designs can simply be a form of personal expression.

연결되는 거 아닐까.

Aren't we connected?

사회적인 거는 쉽게 얘기를 어떠면 할 수가 있어요.

Social matters can be talked about easily in some ways.

왜냐하면 이슈가 많이 되고 있고

Because it has been a hot topic.

그리고 그게 뭐가 어떻게 일어나고 있으니까

And what is happening and how is it happening?

그런데 가장 위험한 것 중에 하나가

One of the most dangerous things is...

저는 계몽주의라고 생각하거든요.

I think it is the Enlightenment.

그러니까 내가 너를 이제 계몽하겠다.

So, I will enlighten you now.

이미 서양인들이 한국에 와서

Westerners have already come to Korea.

동양 오리엔탈리즌도 그런 식의 만들어진 사상이고.

Eastern Orientalism is also a constructed ideology of that kind.

그런 사상들이 침투를 많이 했었잖아요.

Such ideas have infiltrated a lot, right?

우리가 경제적으로 성장을 하고

We are growing economically.

문화 예술 철학자들이 공부를 하면서

As cultural and artistic philosophers study,

자기 발언을 하게 되는 거죠.

You will make your own statement.

서양에 대해 잘못된 건 이제 알게 되고

I've now come to realize the misconceptions about the West.

그게 이제 나라가 발전하는 거잖아요.

That's how the country evolves.

디자인을 비교를 하자면

If we compare the designs.

디자인도 지금 그런 식으로 저는 발전이 되고 있다고 생각해요.

I think design is also evolving in that way right now.

그 와중에 하나가

Among them, one is...

아까 소설가 비유했듯이 처럼

As I metaphorically referred to earlier, like a novelist.

점점 디자인들이 개인의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던 것 같아요.

It seems that designs have started to voice individual perspectives more and more.

저는 왜 이 얘기를 하냐면

I'm telling you this because

과연 한국 사회에서 개인의 디자인 목소리가 있었나.

Has there really been an individual design voice in Korean society?

한번 그걸 짚고 싶어요.

I want to touch on that once.

여러분 자꾸 지금

Everyone keeps saying now.

아까 김허진 씨도 개인의 디자인이 많이 있었다고 하긴 하지만

Earlier, Mr. Kim Heo-jin mentioned that there was a lot of personal design as well.

저는 그게 의문이에요.

I have a question about that.

과연 개인 있었을까.

Did individuals really exist?

홍대는 다 안상수라는 그 사람이 목소리지.

Hongdae is all about that person's voice, An Sang-soo.

지금까지 홍대가 나온 배출된 인물 중에서

Among the people that have emerged from Hongdae so far.

과연 독특한 목소리가 생겼나.

Indeed, a distinctive voice has emerged.

저는 그것도 의문이거든요.

I also have doubts about that.

그 면민대는 50년 넘게 얘기가 될 거 같은데

That issue seems like it will be talked about for over 50 years.

50년 넘게

For over 50 years

50년 넘게 그 있는데 비슷하잖아요.

It's been over 50 years and it's similar, isn't it?

저는 이것도 모르겠어요.

I don't know this either.

저는 이것도 문제라고 봐요.

I see this as a problem too.

사회도 문제가 있지만

There are problems in society, but...

개인이라고 말하는 우리들이 된 게 아니에요 지금.

We haven't become individuals who say we are now.

개인도 상당히 지금 목소리도 없고

The individual also currently has quite a weak voice.

지금 갈팡질팡하고 있습니다.

I'm feeling confused right now.

그 면대는

That face.

두 개가 다 같이 가야 되는 문제라는 건

The issue is that both have to go together.

제가 잘못했다는 게 아니라

It's not that I was wrong.

이쪽도 관심을 갖자는 거죠.

This means let's take an interest in this side as well.

그러니까 지금 우리가 너무

So right now, we're too...

상용차 얘기도 좋고 다 좋아요.

Talk about commercial vehicles is good, and everything is good.

변호인도 얘기할 수도 있고 다 좋은데

The lawyer can talk too, and that's all good, but...

그러면 3% 우리 매체 미디어들도

Then, 3% of our media outlets...

개인을 조명해야 되는데

We need to spotlight individuals.

개인에 대한 플랫폼이 없어요 지금.

There is no platform for individuals right now.

개인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A place where individuals can voice their opinions.

근데 그게 이제 다행히도 아이폰이 생기고

But fortunately, the iPhone came out.

우리가 이제 이런 팟캐스트 생겼기 때문에

Since we now have this podcast.

녹음도 우리도 이 모임을 가질 수 있었던 일도

Recording is also something that allowed us to have this gathering.

과거보다 쉬워졌잖아요.

It's easier than before.

이게 좋은 현상이죠.

This is a good phenomenon.

그걸 잘 써야 되는데

I need to use that well.

여기서 우리가 너무 좀 문제가 생기면

If we run into some problems here...

또 다시 팔을 갈라요.

I split my arm again.

이건 내 편 저걸로 편.

This is my side, that one is your side.

시선. 시선.

Gaze. Gaze.

그게 재밌죠.

That's interesting.

그냥 편 가르면 편하고

It's just easier to take sides.

근데 아까 얘기했지만

But like I mentioned earlier

서양 철학에서 가장 무서워하는 게 있어요.

There is something that Western philosophy fears the most.

서양인이 제일 무서워하는 건 줄 알아요.

Do you know what Westerners are most afraid of?

고스트에요. 유령.

It's a ghost. A spirit.

적은 무서워하지 않아요.

The small ones are not afraid.

제일 무서운 존재가 유령입니다.

The scariest existence is a ghost.

네 편 또 내 편도 아닌 거.

It's neither your side nor my side.

왜냐면 서양 철학의 특징이 뭐냐면

Because the characteristic of Western philosophy is...

정의를 하는 철학이거든요.

It's a philosophy that defines justice.

이게 뭔지 뭔지.

What is this?

근데 이게 정의가 안 되니까

But this can't be defined.

두려운 거죠.

It's frightening.

근데 동양인이 되게 두려웠을 거야.

But you must have been really scared of being an Asian.

서양 입장에서는 침략을 하면서

From the Western perspective, while invading...

얘가 뭔지를 밝혀내야 되는 거죠.

We need to uncover what this is.

그러니까 가장 쉬운 계몽이 뭐였냐면

So what was the easiest enlightenment?

크리스찬화 되는 거예요. 기독교.

It's becoming Christian. Christianity.

한국처럼 이렇게 쉽게 전파된 나라가 없거든요.

There is no other country that has spread so easily like Korea.

거부반응 없이.

Without rejection.

슬멸시 스며드는 거죠.

It's seeping in silently.

걔네들의 사상이. 되게 무서운 거거든요.

Their ideology is really scary.

근데 그 와중에

But in the meantime,

개인이라는 거는 찾아볼 수가 있었겠냐는 거죠.

The question is whether it would have been possible to find individuals.

지금 이 디자인 쪽만 하더라도

Even just in this design field right now

지금이 2014년도니까

Since it is now the year 2014.

저는 뭐 공인학번이었지만

I was an official student number, but...

그 전에 많았을 거 아니냐.

Wasn't there a lot before that?

한 60년대 50년대 한국적인 역사가 있겠지만

There is a history of Korean identity from the 1950s and 1960s.

그 역사에서 가면

The mask in that history.

개인의 목소리가 있으니까 저는 그래요.

Because there is an individual's voice, I say so.

딱 보면 호돌이 맞는 사람 누구.

At first glance, who looks like Hodori?

뭐 맞는 사람 누구.

Who is the right person?

뭐 휴대폰 맞는 사람 누구.

Who has a cellphone?

뭐 삼성 애니콜 맞는 사람 누구.

Who is the person who matches Samsung Anycall?

과연 디자인의 이름 보고

"Indeed, looking at the name of the design."

아 이 사람은 어떤 콘텐츠랑

Ah, what kind of content does this person have?

어떤 목소리가 있는 사람인가.

What kind of voice does the person have?

그런 사람 거의 없다고 봐요.

I don't think there are many people like that.

이것도 문제 아닐까 싶어요.

I think this could also be a problem.

이런 질문도 우리 좀 관심 갖고 좀.

We should pay a bit of attention to questions like this.

그 얘기를 이어받아서 좀 하자면

To continue on from that story...

저는 얼마 전에 굉장히 재미있는 경험을 하나 했는데

I had a really interesting experience not too long ago.

철도 노조 파업했을 때

When the railroad union went on strike.

페이스북에서 디자이너들이 발언을 많이 했어요.

Designers have spoken a lot on Facebook.

그 파업을 지지하는 발언을 주로 많이 했죠.

Mainly, there were many statements supporting that strike.

그리고 심지어 파업을 지지한다는 포스터도

And there are even posters supporting the strike.

만들어서 강구룡 씨도 하나 만들어서 올리지 않았습니까?

Did you also make one and upload it, Mr. Ganggu-ryong?

만들었습니다.

I made it.

네.

Yes.

그렇게 올리고 그러더라고요.

They just raise it like that.

그래서 저는 귀찮아서 일단 있긴 했는데

So I have it for now because I was too bothered to deal with it.

그 와중에 그게 진행된 한 2주 정도의 시간이 있었어요.

In the midst of that, there was about a 2-week period during which it took place.

딱 중간쯤에 한참 그 이슈가 막 달아올 때

Right around the middle, when that issue was really heating up.

제가 디자인 역사책을 읽다가

While I was reading a design history book,

아주 재미있는 연결고리 사실을 하나 딱 발견한 거예요.

I just discovered a very interesting connection fact.

순수하게 이제 그 책에서

Purely now in that book.

야 이랬구나라는 걸 하나 발견했는데

Hey, I discovered something like this.

보통 저는 그런 걸 빼시더라고요.

Usually, I tend to leave that out.

근데 혹시 선생님이 번역하신 책이었나요?

By any chance, was it a book translated by you, teacher?

아니에요.

No.

다른 역사책.

Another history book.

제가 번역한 책에서는 너무 많이 발견해서

In the book I translated, I found too much.

더 이상 발견할 게 없어요.

There's nothing left to discover.

저는 보통 그런 알매의 성취를 이루면

I usually achieve such accomplishments.

페이스북에 바로 씁니다.

I'll write it directly on Facebook.

자랑하려고.

I want to brag.

내가 이런 걸 알아낼까.

How could I figure something like this out?

근데 못 쓰겠는 거예요.

But I can't use it.

그러니까 나의 어떤

So, my some...

이건 나의 개인적인 문제인데

This is my personal issue.

이거는 철도파업과 관련이 없는 내용인데

This is unrelated to the railroad strike.

지금 다들 이쪽 얘기를 하고 있는데

Everyone is talking about this right now.

내가 이걸 쓰면은

If I write this,

나는 이런 사회적 문제에 전혀 관심 없고

I have no interest in such social issues at all.

혼자서만 공부하는 이런 사람으로 비춰지지 않을까.

I wonder if I might be seen as someone who only studies alone.

이런 생각을 좀 했던 거예요.

I had been thinking of something like this.

마찬가지로 예전에 이제 한국의 디자인이 들어와서

Similarly, in the past, Korean design came in.

디자인이라는 개념이 들어와서

The concept of design has entered in.

박정희 대통령이 미술 수출해가지고 내세우고

President Park Chung-hee promoted exports of art.

산업디자이너.

Industrial designer.

그때 이제 공예의 개념이었죠.

At that time, it was the concept of craft.

전폭적으로 양성을 하지 않습니까?

Aren't you providing comprehensive training?

그때의 디자이너들한테 주어진 사회적 책임은

The social responsibility given to designers at that time was

수출을 할 수 있는 제품을 만들라 했어요.

They said to make a product that can be exported.

그래서 그때 디자이너들은

So at that time, the designers...

최범 선생님이

Teacher Choi Beom.

최범 선생님이 그쪽으로 말씀을 하시죠.

Teacher ChoiBeom will speak about that.

그때 디자이너들한테 주어진 사회적 책임이 그거였고

At that time, the social responsibility given to designers was that.

디자이너들은 그 책임을 다하면

If designers fulfill their responsibilities

나는 사회적 의무를 다한다는

I fulfill my social obligations.

수출 여꾼이 되는 게

Becoming an export worker.

디자이너의 책임을 다한다는

Fulfill the responsibilities of a designer.

그런 생각을 하던 때가 있었어요.

There was a time when I had such thoughts.

하지만 우리는 지금 그런 거는 전혀 믿지 않죠.

But we don't believe in that at all right now.

지금의 디자이너한테 주어진 사회적 책임은 뭐냐라고 하면은

What is the social responsibility given to designers today?

좀 아마 많이 다른 쪽으로 생각하는 게 일반적인 거예요.

It's generally common to think in a very different way.

그러면은 저는 이런 의심도 해요.

Then I have such doubts.

지금 우리가 보통 생각하는

What we usually think of now.

디자이너가 사회적 책임을 느끼고

The designer feels a social responsibility.

그 일을 해야 한다고 은연 중에 사회적 압박이 들어오는

There is a subtle social pressure to do that work.

그런 종류의 일이

That kind of work.

나중에 20년, 40년, 100년 뒤에는

In 20, 40, or 100 years later.

그때 미술 수출 때의 그 책임과 같이

At that time, like the responsibility during the art export.

그때 그 사람들은 그게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거라고 여겼어

Back then, those people thought that was fulfilling their social responsibility.

라고 바뀌어질 수도 있지 않을까

Could it change to that?

이런 생각이 드는 게 한 가지이고

There is one thought that comes to mind.

두 번째 생각은 아까 그 이스라엘

The second thought is about Israel from earlier.

출신의 디자이너 그 얘기 했잖아요.

You mentioned the designer from your hometown.

그 이스라엘 출신 디자이너는

That Israeli designer

자신의 조국인 이스라엘을 위해서 뭔가 일을 할 수 있다면

If there is something I can do for my homeland, Israel.

그건 정말 선한 일이고

That's really a good thing.

나의 디자이너로서 정말 뿌듯한 일이라고 생각을 할 거예요.

I think it will be a truly proud moment for me as a designer.

하지만 만약에 중동의 디자이너가 그 꼴을 봤다면

But if a Middle Eastern designer saw that look,

중동 국가의 디자이너가 그 꼴을 봤다면

If a designer from a Middle Eastern country saw that look.

저건 죽일 놈인 거죠.

That's a guy who deserves to die.

반대 관점이 있지 않습니까.

Isn't there an opposing viewpoint?

그럼 만약에 일상의 실천 스튜디오에게 한번 물어보고 싶어요.

Then I want to ask the Daily Practice Studio about it.

채널A나 조선일보 쪽에 목소리를 반영하는 것은

Reflecting the voices of Channel A or Chosun Ilbo is...

사회적 책임이나 선의 관점에서 어긋난 일입니까?

Is it something that deviates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responsibility or goodwill?

저는 그걸 물어보고 싶어요.

I want to ask that.

목소리를 반영하는 것은

Reflecting the voice is

그렇게 디자인으로 반영이 되는 거죠?

So that's how it is reflected in the design?

네. 디자이너로서 지금 극단적으로 나누면

Yes. As a designer, if I divide it extremely right now...

종편방송이나 조중동에 반대되는 입장에 있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대변하지 않습니까.

Aren't you representing the voices of those who are opposed to general cable broadcasting or the JoongAng Ilbo, Chosun Ilbo, and Dong-A Ilbo?

그럼 그쪽 조중동 쪽에

Then, in that case, regarding the JoongAng Ilbo, Chosun Ilbo, and Dong-A Ilbo.

주류 언론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디자인을 하면은

If you design to represent the voice of mainstream media

그건 사회적 책임에 반하는 일인가요?

Is that something that goes against social responsibility?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고요.

I don't think so.

제가 얼마 전에 저희를 잘 모르는 분인데

Someone who doesn't know us very well approached me a while ago.

저 전에 들었었거든요.

I heard it before.

저희 웹사이트는 작업만 보고

Our website only shows the work.

좌파스튜디오라는 말을 들었어요.

I heard the term "Leftist Studio."

근데 그 말이 너무나 불편하더라고요. 사실은.

But that remark was very uncomfortable, to be honest.

저희들이 실제로 그런 성향을 가지고 있든 없든 상관이 없이

Whether we actually have such a tendency or not doesn't matter.

그런 게 그냥 그런 자기 멋대로

It's just something that goes its own way.

더 씌워진다는 거.

It means "It gets covered more."

그래서 보면은 뭐 예를 들어서 그런 거죠.

So if you look at it, for example, that's it.

녹색당의 선거 공보를 했다거나

I did the election bulletin for the Green Party.

아니면은 뭐 녹색연합이나

Otherwise, maybe the Green Union or something.

시민단체 여러 가지의 일들이 있으니까

There are various activities of civic organizations.

그게 보여진다라는 거죠.

That is what is being shown.

그래서 제가 글을 제 블로그에다가

So I wrote on my blog.

이제 아무도 안 보는 블로그에다가 글을 썼지만은

I wrote a post on a blog that no one looks at anymore, but...

그럼 새누리당의 선거 공보를 한 것은 우파스튜디온이야.

Then the election pamphlet for the Saenuri Party was done by the Right Studio.

그리고 사업 전반에 최전선에서 광고대행사에서 그렇게

And at the forefront of the entire business, in the advertising agency, that's how it is.

정말 말도 안 되는 카피를 쓰면서

While writing truly nonsensical copy.

막 그 엄청난 연구가 되었고

It became an amazing research project.

공부를 받고 있는 그 사람들은 정말 신자유주의적인 디자이너냐

Are those people who are studying really neoliberal designers?

저는 그렇게 생각을 안 하거든요.

I don't think so.

분명히 중요한 거는 이쪽에 있는 사람들한테

What's definitely important is to the people over here.

유독 그런 이쪽에 좀 더 살짝 치우쳐있는 작업인 거죠.

It's a work that is particularly tilted a bit more towards this side.

하지만은 디자이너로서의 어떤 기본적인 어떤

However, as a designer, there are some basic...

입장을 분명히 가지고 있는 사람들한테는

To people who have a clear stance.

조금만 이렇게 봐도 반작용으로

Just by looking at it a little like this, it has a reaction.

들어가게 되는 부분들이 있는데

There are parts that will be included.

저는 사실은 뭐 채널A나 뭐 TV조선이나

In fact, I am talking about Channel A or TV Chosun.

그리고 뭐

And what?

TV조선에 들었었는데

I heard it on TV Chosun.

뭐 약간

Well, sort of.

아 이건 얘기만 했다.

Ah, I just talked about this.

어쨌든

Anyway

네. 아니에요. 아니에요.

Yes. No. No.

위험해요.

It's dangerous.

근데 분명히 저는 그렇게 생각하는 게

But I definitely think that...

새누리당의 선거 공보를 할 수 있죠.

You can do the election publicity for the Saenuri Party.

분명히. 그것도 표현의 하나니까.

Certainly. That's also a form of expression.

하지만 중요한 거는 아까 유 선생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But the important thing is, as Mr. Yoo mentioned earlier,

디자이너가 거기에서 얼마만큼

How much is the designer there?

가치에 깊이 다가가 있느냐에서부터

From getting deeply involved in value.

저는 시작을 한다고 생각하거든요.

I think I'm making a start.

돈을 벌기 위해서 새누리당이나 아니면은 TV조선의 일을

To earn money, either the Saenuri Party or work at TV Chosun.

저희는 당연히 아니겠죠.

Of course, we wouldn't.

하지만은 그거에 깊이 공감하고 있는

However, I deeply empathize with that.

어떤 의경화되어 있는 디자이너가

A designer who is somewhat idealized.

아니면 사회적으로 그런 목소리가 맞다라고 생각할 수 있는

Or one can think that such voices are socially acceptable.

디자이너는 그걸 할 수 있다라고 저는 생각을 해요.

I think designers can do that.

다만 저랑 입장이 다른 부분이라고 생각을 하죠.

However, I think it's a different position from mine.

덧붙이면은 이게 구룡 씨 얘기한 거랑 맞다는 부분이 있거든요.

Additionally, there is a part that corresponds to what Mr. Guryong mentioned.

왜냐면 구룡 씨 얘기한 게 개인의 어떤 회복이잖아요.

Because Mr. Guryong mentioned the personal recovery of an individual.

이 조직사회에서 하나의 구성원이 아니라

Not as one member in this organizational society.

개인으로서 자기가 좋아하는 거 자기가 싫어하는 거

What one likes and dislikes as an individual.

자기가 좋아하는 가치 이런 것들이 회복이 돼야 된다는 건데

It means that the values they like should be restored.

죄송한데 회복이라는 말은 좀 수정해서 좋겠는데

I'm sorry, but I would appreciate it if you could revise the word "recovery."

출연이라고 해주시면 좋겠어요.

I would appreciate it if you could call it a performance.

출연.

Cast.

나온 적이 없기 때문에

Because it has never come out.

나온 적이 없어서요.

I haven't come out.

회복은 좀 아닌 것 같습니다.

It doesn't seem like recovery is happening.

저는 그렇게 생각해요.

I think so.

왜냐면 인간으로 봤을 때 어릴 땐 다 있잖아요.

Because when viewed as humans, everyone has it when they are young.

좋아하는 것도 싫어하는 것도 자유롭게 얘기하다

Speak freely about what you like and dislike.

크면서 이제 그게 아껴버리는 거죠.

As I grow up, I end up cherishing it.

그런 의미에서의 회복인데

It's a recovery in that sense.

개인의 어떤 표현의 자유가 회복이 되면

When a person's freedom of expression is restored,

저는 조선일보 같은 데랑 일을 할 수 없다는 상상이거든요.

I can't imagine working for something like the Chosun Ilbo.

그 디자이너가 회복이 돼서 궁금하네요.

I wonder if that designer has recovered.

왜냐하면 조선일보 같은 곳은

Because places like the Chosun Ilbo...

그게 결국 다양성이나 표현의 자유라고 한다면

If that's ultimately about diversity or freedom of expression,

그 신문이 과연 다양성을 존중하는 신문인가

Is that newspaper really one that respects diversity?

안 하고 있다고 생각하거든요.

I think I’m not doing it.

조금이라도 다르면 깎아내리잖아요.

If there's even a slight difference, they undermine it.

뭐 논리고 이상하고 필요 없죠.

What's the point? It's strange and unnecessary.

거기서 깎아내리는 게 있어요.

There is something being shaved off there.

그런데 다양성이라는 건 여러 다름이 모여서 만들어지는 거지

However, diversity is created by the gathering of various differences.

하나의 엄청난 다양한 게 있는 건 아니지 않습니까?

Isn't there just one immense variety?

저는 조선일보 예를 들자면

For example, I am the Chosun Ilbo.

다양성을 반대하는 다양성도 다양성으로 인정해야 되는가

Should the diversity that opposes diversity also be recognized as diversity?

라는 질문이 있어요.

There is a question that goes like this.

다양성을 반대하는 거는 다양성을 인정하면 안 된다고 생각하거든요.

I think opposing diversity means that we shouldn't acknowledge diversity.

그런데 두 분이 약간 그럼 다른 것 같아요.

However, the two of you seem a bit different.

그런데 그렇게 따지면 권준호 씨 생각은 약간

However, if we consider it that way, Mr. Kwon Jun-ho's thoughts are somewhat...

층만 이쪽일 뿐이지 이쪽과 유사한 느낌을 지금 잠깐 들었어요.

It's just this layer, but I briefly felt a similar vibe on this side.

이쪽이 어디죠?

Where is this place?

네? 그러니까.

Yes? So.

음성상으로 못 알아들 것 같아요.

I don't think I can understand it through voice.

그러니까.

So.

이쪽은 어디고 저쪽은 어디죠?

Where is this place and where is that place?

지금 어제 님 같은 경우는

In the case of you yesterday,

내가 이쪽에 있는데 저쪽에 있는 사람도 그 사람의 가치관이 맞다면

If I am over here, and the person over there has the same values, then...

구경하던 디자이너라면 예를 들어요.

For example, if you were a designer who was just looking around.

그렇게 할 수 있다라는 게 가능할 거다라고 얘기하셨는데

You said it would be possible to do that.

지금 권준호 님은 아마 제대로 개인의 회복 내지는 출연

Right now, Kwon Jun-ho is probably properly recovering or appearing.

그 부분이 성취된 사람이라면 조선일보나 그쪽이랑 할 수 없을 것이다라는 얘기는

If someone has achieved that part, it means they would not be able to work with the Chosun Ilbo or those kinds of organizations.

할 수 없다는 거죠.

It means you can't do it.

왜냐하면

Because.

그런데 그래요.

Well, that's right.

디자이너가 어떤 일을 할 때 그 콘텐츠에 대해서 인지하지 않고 일하는 게 굉장히 문제라고 생각하는데

I think it is a significant problem when designers work without being aware of the content they are dealing with.

조선일보를 자꾸 나는 게 조선일보랑 일을 하는 사람이 과연 조선일보를 정말

I wonder if the people who work with the Chosun Ilbo truly understand the Chosun Ilbo by constantly criticizing it.

다 읽어보고 그 취지에 동의해서 하는 건가요?

Are you doing this after reading it all and agreeing with its purpose?

저는 그게 상관이 안 돼요.

I don’t care about that.

몰라서 하는 거예요.

I'm doing it because I don't know.

그냥 무지라고 생각해요.

I just think it's ignorance.

이 산문이 어떤 일을 지금까지 해왔는지에 대해서 동의하면서 나 이 일을 한다.

I do this work while agreeing on what this prose has accomplished so far.

그건 멍청한 거거든요.

That's a stupid thing.

저는 멍청한 거라고 생각해요.

I think it's stupid.

그런데 저는 이거는 반대예요.

However, I disagree with this.

적극적으로 반대하는데 왜 그러냐면

The reason I am actively opposing is because...

제가 아는 분 중에 디자이너가 있고 그분은 정말

I know a designer, and that person is really...

준호 씨가 비슷한 생각을 갖고 있었어요.

Junho had a similar thought.

그런데 그분의 단점이 뭐냐면

But what is that person's weakness?

단점이 아니라 아쉬운 점은 먹고 사는 게 정말 힘들었어요.

It's not a disadvantage, but something unfortunate is that it was really hard to make a living.

그런데 자기는 하고 싶은 일 하기 위해서 한겨레나 경향이나 이런 데 너무너무 들어가고 싶어서 노력을 했어요.

However, I made a lot of efforts to get into Han Kyore or Kyunghyang because I really wanted to do the work I wanted to do.

신문사는 아니고 잡지나 이런 쪽으로 디자인을 가고 싶었는데

I didn't want to go with a newspaper design; I wanted to go in the direction of a magazine or something like that.

5년을 준비했는데 합격이 안 되더래요.

They said they've been preparing for 5 years but haven't passed.

그런데 사는 게 너무 어려워서 종편이 생기면서 거기에 입선선을 넣는데 바로 되더래요.

However, living is so difficult that when the general programming channels were created, it seems that it immediately got easier.

그런데 자기는 이게 그 사람들이 멍청하다고만 할 수밖에 없는 게 먹고 사는 문제가 결부되어 있을 때는

However, when it comes to matters related to survival, one can only say that those people are foolish.

그걸 함부로 얘기할 수는 없는 것 같아요.

I don't think I can speak about that carelessly.

그건 동의해요.

I agree with that.

그거는 당연히 어떤 개인의

That obviously refers to any individual's

바로 가양신문으로

Right to Gayang News.

형 종편으로 바꾼 거 아니야?

Did you change to a cable channel?

물론 사실

Of course, it's true.

제가 얘기한 건 조금 더 일반적인 거고

What I mentioned is a bit more general.

그런 디테일한 부분이 들어가면 당연히 그런 것 같아요.

I think that's natural when such detailed aspects are involved.

그런 디테일들이 당연히 있죠.

Of course, there are such details.

저는 근데 먹고 사는 문제에 있어서는 그게 어렵지만

However, when it comes to issues related to making a living, it's difficult.

사상이나 그런 이데올로기적 면의 자기 태도 면에서 봤을 때는 그렇게 해야 되지만

In terms of one's attitude towards thoughts or such ideological aspects, it should be done that way, but...

먹고 사는 면에서는 어렵다는 저 믿음법을 저는 받아들이고 싶지 않고요.

I don't want to accept the belief that it's difficult to make a living.

저 같은 경우에는 조선일보랑 인터뷰를 할 것 같은데

In my case, I think I would interview with the Chosun Ilbo.

왜냐하면 저는 우리 사회의 일원으로서 양극화에 대해서 큰 염려를 하는 사람이고

Because I am someone who is deeply concerned about polarization as a member of our society.

조선일보 같은 곳에서

From places like the Chosun Ilbo

나를 인터뷰하거나 나의 작업을 실어서

Interview me or feature my work.

조선일보가 좀 더

The Chosun Ilbo needs to be more...

평소에 안 보는 사람들한테도 뭔가 크로스오버가 된다거나

Even with people I don’t usually see, there’s some kind of crossover happening.

그 이분법적인 것이 좀 더 무뎌진

That binary perspective has become somewhat blunted.

조금만이라도 무뎌진 데 제가 그거를 뭐지

I'm slightly numbed, so what is that?

할 수 있다면 기여할 수 있다면

If I can, if I can contribute.

저는 그게 제가 사회에 또 자라는 거라는 생각이 있어요.

I believe that is my way of growing in society.

그래서 꼭 운영적으로 봤을 때는 그렇지만

So, when viewed from an operational perspective, that's the case, but...

생계로 봤을 때는 그렇지 않다는

When it comes to livelihood, that's not the case.

저는 그렇게 생각하는데

I think so.

정기현 선생님 말에 동의하면서 동의하지 않는 점이

While I agree with what Teacher Jeong Gi-hyun said, there are points I do not agree with.

분명히 조선일보 인터뷰하셨잖아요.

You clearly had an interview with the Chosun Ilbo, didn't you?

조선일보는요. 자기네들이 쓰고 싶은 말만 쓰고요.

The Chosun Ilbo only writes what it wants to say.

정기현 선생님이 하고 싶은 얘기는 다 잘라버립니다.

Teacher Jeong Gi-hyun cuts off everything he wants to say.

걔네들도 아주 잘해요.

They're doing very well too.

그리고 그거랑 관련된 콘텐츠랑 옆에 붙여가지고요.

And attach related content next to it.

정기현 선생님을 마치 자기를 옹호해주는 사람처럼 포장해버리는 능력이 아주 뛰어난 분들이.

There are very talented individuals who wrap up Teacher Jeong Gi-hyeon as if he were someone who defends them.

조선일보가 그렇게 제대로 전달해줄 거라고 생각하는 거는

I think it's naive to believe that the Chosun Ilbo will convey things properly.

순순하신 거죠. 순진하신 걸로 생각해요.

You're being compliant. I think of you as innocent.

근데 그게 만약에 노무현 정권 때나 아니면 좀 다른 정권 때는

But if that were during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or perhaps a different administration...

또 조선일보가 언론으로서 역할을 잘했어.

The Chosun Ilbo has also fulfilled its role well as a media outlet.

제가 왜 지금 이 말에서 약간의 위하감을 느끼느냐 하면

The reason I feel a bit of inferiority from what I'm saying now is...

저도 동의 안 돼요. 그건 진짜.

I don't agree either. That's really true.

저도 조선일보, 동아일보 거기에 대해서 뭐 절대 그런 쪽은 아닌데

I'm not at all on that side regarding the Chosun Ilbo or Dong-A Ilbo.

결국 어떤 정답이 있고 그것은 정답과는 다르다라는

In the end, there is some answer, and it is different from the correct answer.

그런 노선이 보여서 거기에서 제가 지금 약간의 위하감을 느꼈는데

I saw that kind of route, and I felt a bit of discomfort there.

근데 이거는 왜냐면 지금 얘가 조선일보이기 때문에 이렇게

But this is because it's now being reported by the Chosun Ilbo.

조선일보가 아니라면 그렇게까지 정경한 입장이 아닐 수도 있는데

If it weren't for the Chosun Ilbo, the stance might not be so politically charged.

그 신문을 보세요. 지금까지 봐온 그리고 앞으로 이제 어떻게 해갈 것들이 모이는 상황에서는

Look at that newspaper. In a situation where everything we've seen so far and what we will deal with in the future is coming together...

만약에 정말 이게 뭐 어디가 있죠?

If this is really something, where is it?

중앙일보라고 아마 예시를 드셨으면 저는 아마

If you had given an example of the JoongAng Ilbo, I would probably...

조금 다를 수 있어요.

It may be a little different.

완전히 정기현 선생님 얘기한 거에

Completely about what Teacher Jeong Gi-hyun said.

완전히 동의하는데

I completely agree.

동아일보는?

What about Dong-A Ilbo?

동아일보는 조선일보보다는 좀 순진한데요.

The Dong-A Ilbo is a bit more naive than the Chosun Ilbo.

걔네는 잘 못해요. 걔네는 그렇게 하고 싶을 때 그걸 잘 못해.

They can't do it well. They can't do that when they want to.

동아일보는?

What about Dong-A Ilbo?

이게 되게 재밌는 게 그러니까 조중동도

What's really interesting is that even JoongAng Ilbo, Chosun Ilbo, and Dong-A Ilbo...

저는 두 가지 반론하고 싶은 게 있는데요.

I have two objections I would like to raise.

하나는 그 조선일보 같은 걸 피함으로써 정말 조선일보만 보는 충리 있잖아요.

One can really end up only seeing the Chosun Ilbo by avoiding things like the Chosun Ilbo itself.

그러니까 그런 분들을 그냥 배제한다는 게 순진, 그런 분들을 배제한다는 게

So, excluding such people is naive; excluding those people is...

그게 정말 좋은 거라고.

That's really a good thing.

배제하는 게 옳다고 생각해야 된다는 건지.

Do I need to think that it is right to exclude?

그러니까 저는 그게 배제하는 게 잘하는 거라고 생각하시는 건지도

So I wonder if you think that excluding that is the right thing to do.

아니요. 아니요.

No. No.

잘 모르겠고

I don't know.

그리고 그거 저는 그리고 더 걸리는 건 서민 선생님이 말씀하시는 건데

And what I'm saying, which takes longer, is what Teacher Seomin is talking about.

그게 다르면 틀렸다고 말씀하시는 부분 저는 동의가 안 돼요.

I don't agree with the part where you say it's wrong if it's different.

저도 동의합니다.

I agree as well.

저는 그게 저는 약간 발끈한

I was a bit taken aback by that.

다르다는 측면이 아니라

It's not about being different.

다 높아졌어.

Everything has gone up.

다르다는 측면은 전혀 아니고요.

It's not a matter of being different at all.

그 조선, 세상을 보는 매체는 굉장히 많죠.

There are many media outlets in Joseon that view the world.

매체는 굉장히 많고 조선일보만 보는 사람은 있을 수 없어요.

There are many media outlets, and it's impossible for someone to only read the Chosun Ilbo.

다양한 매체들을 보죠.

Let's look at various media.

사람들은.

People.

경향신문 독자가 조선일보 안 볼 리도 없고요.

The readers of Kyunghyang Shinmun are likely to read Chosun Ilbo as well.

조선일보 독자가 경향신문을 안 볼 리도 없어요.

A reader of the Chosun Ilbo wouldn't not read the Kyunghyang Shinmun.

문제는 그 언론 매체들이라는 것은 일종의 공적인 매체고 사실 보도를 하고

The problem is that those media outlets are a kind of public media that reports the facts.

물론 가공 안 할래 안 할 수가 없는데 기본 토대가 사실 보도를 해야 되는 거죠.

Of course, I can't avoid processing it, but the basic foundation is that it actually needs to be reported.

그리고 추구하는 것은요.

And what I am pursuing is.

자기의 이념을 추구한다거나 아니면 자기의 어떤

Pursuing one's own ideology or something of one's own.

이익을 대변하는 사람들을 추구해야 되는 게 사실 언론의 본연의 목적입니다.

It is true that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e media is to seek out those who represent interests.

그리고 삼성을 옹호하는 중앙일보 같은 경우는 자기 대주주니까 보호할 수밖에 없지만

And in the case of the JoongAng Ilbo, which defends Samsung, it has no choice but to protect it since it is its major shareholder.

그렇지만 또 정치적인 면이나 이런 다른 쪽인 면에서는 또 열려있어요.

However, on the political side and other aspects, it is also open.

동아일보 같은 경우도 어떤 측면에서는 약간 좀 그런 경우도 있지만

In the case of Dong-A Ilbo, there are aspects where it can be a bit like that.

또 옛날에 동아일보 했던 것도 있고 굉장히 민중운동도 많이 했었고

There was also the time when I worked at the Dong-A Ilbo, and I was heavily involved in the people's movement.

나름대로 그런 의식 때문에 열려있어요.

I'm open because of that kind of awareness in my own way.

근데 제가 여태까지 10년 동안 언론 생활을 하면서 본 조선일보는

But the Chosun Ilbo I have seen over the past 10 years while working in the media is...

딱 하나입니다.

It's just one.

그들이 추구하는 건 사주의 이익이 딱 하나입니다.

What they are pursuing is solely the benefit of the employer.

근데 그 사주의 이익이

But the benefits of that fortune-telling...

근데 그건 선생님의 의견이잖아요.

But that's your opinion, teacher.

그리고 언론의 역할이랑 조선일보의 역할이랑

And the role of the media and the role of the Chosun Ilbo.

내 자신의 나라는 사람의 아이덴티티를 어떻게 내가 갖고 나가고

How do I carry my own identity from my own country?

매니지하고 싶느냐 관리하고 싶느냐에 대한 의견이 제가 다를 수가 있잖아요.

There can be differences in my opinion about whether I want to manage or whether I want to administer.

다를 수 있다는 걸 부정하시면 저는 그때부터는 아니에요.

If you deny that things can be different, then I am not with you from that point on.

아니 다를 수 있다는 걸 부정하는 게 아니라

I'm not denying that there could be differences.

그 조선일보의 그런 언론이면서

While being such a media outlet as the Chosun Ilbo

아니 언론이 아니면 그렇게 해도 상관없죠.

No, it doesn't matter if it's not the media.

근데 언론이면서

But it's the media.

근데 그 역할을 제가 다르게 해석하고 있는 거잖아요. 선생님이랑

But I'm interpreting that role differently, right? With the teacher.

아니 아니 그러니까 이거는 저는 선수로서 이제 그 얘기를 하는 거고요.

No, no, what I mean is that I'm saying this as an athlete.

독자로서는 다양한 식을 가질 수 있는데

As a reader, one can have various interpretations.

선수로서는 좀 조선일보는 진짜 좀 제가 생각하기에도

As an athlete, I really think the Chosun Ilbo is somewhat...

아 이게 진짜 좀 너무 심하다 싶을 정도로 그 재가공이 너무 많아요.

Oh, this really seems to be a bit too much with the amount of reprocessing.

되게 슬픈 것 같아요.

It seems really sad.

조선일보가 극우신문이다라는 거 사회적 합의조차 지금 이루어지지 못한 거죠.

There is still no social consensus that the Chosun Ilbo is an extreme right-wing newspaper.

어 네 저 보이세요?

Oh, can you see me?

네 잘 들립니다.

Yes, I can hear you well.

아 네 네 중간에 갑자기 이상합니다.

Ah, yes, yes. It's suddenly strange in the middle.

그러니까 그 언론 자체로서 지금 평가를 하시는 기준들이 각자 있잖아요.

So, each of you has your own criteria for evaluating the media itself right now.

네 그래서 그 기준 중에 하나가 이게 뭐 극우냐도 그 좌냐우냐도 기준이 될 수가 있고

Yes, so one of the criteria is whether this is extreme right or left, which can serve as a basis.

좌냐우냐를 떠나서 일종의 무슨 급이라던가 퀄리티라던가 이런 것들이 있어야 되는 거죠.

Regardless of left or right, there should be some sort of level or quality in this.

네 네 네.

Yes, yes, yes.

그 기준이 있을 수도 있고 지금 말씀하신 기준들이 주로 사람들이 이제 많이 쓰는 기준들을 말씀하신 거예요.

There may be those criteria, and the standards you mentioned are mainly the ones that people often use now.

그러니까 그 조선일보가 어떤 면에서 잘못되었다던가 그런 면에서 저도 사실 동의는 하고

So in that sense, I actually agree that the Chosun Ilbo is wrong in some aspects.

그게 선생님의 입장이라는 것에 대해서 누감은 전혀 없어요.

I have no doubts about that being the teacher's position.

네 네 네.

Yes, yes, yes.

근데 제가 지금 걱정하는 부분은 제가 그 조선일보에 대한 가치를 그러니까 평가를 할 적에 언론으로서 제가 평가를 할 적에

But what I'm currently worried about is when I evaluate the value of the Chosun Ilbo, that is, when I assess it as a media outlet.

네 네 네.

Yes, yes, yes.

내 채로서 평가를 할 적에 조선일보가 가지고 있는 그 위치 있잖아요.

When I assess it as my channel, there's that position that the Chosun Ilbo holds, you know.

얼마나 많은 사람들한테 다가갈 수 있느냐 아니면 뭐 놓칠 수 있는 어떤 층에 다가갈 수 있느냐라는 그런 것도 예를 들어서

How many people can you approach, or are there certain groups that you might miss approaching? For example.

그런 것도 저는 가치의 기준으로서 둘 수 있는 제 자신의 자유가 있고 권리가 있고

I have the freedom and the right to set such things as my own standards of value.

그렇습니다.

That's right.

저 선생님과 다르게 생각할 수 있는 권리가 있는데 지금 아까 말씀을 들었을 때는 사실 지금 여경 선생님보다는 지금 준호 선생님께 드리는 말씀인데

I have the right to think differently from that teacher, and what I said earlier was actually directed more towards Teacher Junho than Teacher Yeongeong.

네 네.

Yes, yes.

그렇게 다르게 생각한다면 틀렸지, 순진하지, 아니다라고 생각하는 거는 각자 기준이 다를 수 있다는

If you think so differently, you're wrong. It's naive to think that everyone can have the same perspective.

제가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다를 수 있는 각자 판단 기준을 다르게 가질 수 있다는 저는 제 권리를 무시하신 거라고 생각해요.

I believe you have disregarded my rights by having different standards of judgment, as each person may judge based on different criteria that I can assess.

저는 그래서 민주사회에서는 제가 생각하는 민주사회에서는 이게 영어로 읽는 속담이기는 한데 내가 저랑 당신이랑 상대방이랑 두 사람의 의견을

In a democratic society, as I think of it, this is a saying that is read in English, but I want to convey the opinions of both you and me.

반대할 수가 있다.

It can be opposed.

우리는 반대할 수가 있지만 나는 네가 반대할 수 있는 권리를 지키다가 죽겠다라는 게 저는 민주주의에서 중요한 거라고 생각해요.

We can oppose it, but I think it is important in democracy that I would rather die defending your right to oppose.

우리 위치는 다를 수도 있지만 각자 위치가 다를 수 있는 권리를 서로 수호해야 되는 거라고 생각하는데 저는 그 면에서 조선일보의 좀 전에 예에서는 각자 기준이 다를 수 있다는 점을 인정 안 하신다는 생각이 들어서 그 점에서 저는 조금 놀란 거거든요.

I believe that while our positions may be different, we should respect each other's right to have different perspectives. In that regard, I was a bit surprised by the example from the Chosun Ilbo earlier, as it seems to me that there was a lack of acknowledgment that each person may have different standards.

저는 지금 여 변호사님이 말씀하신 언론으로서의 기준에 대해서 반대한다거나 그렇게 생각하시면 안 된다고 본 건 전혀 없어요.

I don’t think that I should oppose or feel differently about the standards for the media that the female lawyer mentioned right now.

단지 왜 제가 다른 기준이나 다른 매트릭이나 그런 거를 가지고 제 기준을 짤 때 왜 그게 다른 분에게 문제가 되는 거죠? 그건 제 기준인데 라는 거거든요.

It's just that when I set my standards using different criteria or other metrics, why does it become a problem for someone else? Those are my standards.

그럼 문제인 거 같아요. 지금 아까 말씀하신 것처럼 80%가 조중동이 잡고 있고 그중에 50%가 그걸 잡고 있잖아요.

Then it seems to be a problem. As you mentioned earlier, 80% is dominated by JoongAng, DongA, and Chosun, and among them, 50% is controlled by just them.

분명히 비정상적인 상황이거든요. 보수 언론이 80%를 잡고 있고 그중에 극우 언론이라고 할 수 있는 굳이 구분을 짓자면 그게 50%를 차지하고 있다는 건 비정상이거든요.

It's definitely an abnormal situation. Conservative media holds 80% of the market, and if we were to make a distinction, the extreme right media accounts for 50% of that, which is abnormal.

그럼 윤영선이 말씀하신 것처럼 바꿔야 되는 상황인 거죠. 운동을 해서 어떤 방법에서든 바꿔야 되는데 지금 우리가 과연 그렇다면 바꿀 대상에 대한 인식은 제대로 하고 있는가 라는 문제죠.

So, as Yoon Young-sun mentioned, it's a situation that needs to be changed. We need to make a change through exercise in some way, but the question is whether we are truly aware of what we need to change.

제가 중앙대학교에서 교수에 대해서 비판할 때 뒤에선 다 어쩌고 저쩌고 해요. 근데 그걸 막상 바꾸려고 딱 들어가면 주지 말아야 되면 주적 설정이 안 되어 있는 거예요.

When I criticize a professor at Chung-Ang University, everyone has something to say behind my back. But when I actually try to make a change, it turns out that the target setting isn't done properly if I'm not supposed to give it.

그러니까 조선일보도 마찬가지거든요. 조선일보도 분명히 문제 있고 뭐 나뻐 나뻐 하면서 거기에 다 기고하고 인터뷰하자면 인터뷰하고 다 하면서 바뀌겠냐는 거죠.

So it's the same with the Chosun Ilbo. The Chosun Ilbo also has clear problems, and while they say "bad, bad," if they continue to contribute and do interviews there, will anything change?

우리가 그 조선일보가 문제가 있다면 그 문제에 더 집요하게 파고 들어가도 지금 모자란 상황이에요.

If there is a problem with the Chosun Ilbo, we are currently in a situation where we need to dig deeper into that issue more persistently.

굳이 조선일보가 문제가 있다면 그 문제에 더 집요하게 파고 들어가도 지금 모자란 상황이에요.

If the Chosun Ilbo has a problem, the situation is currently insufficient for us to delve into that issue more persistently.

굳이 조선일보뿐만 아니라 우리가 사회에서 바꿔야 되겠다고 인식하는 예를 들어서 삼성이 백혈병 때문에 지금 은재만한 사람들이 죽어 나왔어요.

Not only the Chosun Ilbo, but for example, we recognize that changes need to be made in society because people like Eun-jae have died from leukemia due to Samsung.

그리고 삼성이 그 뒤에서 그걸 덮으려고 했던 짓들이 굉장히 비열하고 치졸한 것들이죠.

And the things Samsung did behind the scenes to cover it up were very mean and petty.

그런데 그런 삼성이라는 데 대해서 우리가 문제의식을 가지고 분명히 지적을 해야 됩니다.

However, we must clearly point out that we have a certain awareness of the issues regarding Samsung.

최소한 그런 거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면 좀 더 정확하게 그것들을 인식하고 바꿔나가 노력을 해야 되는데

At the very least, someone who is aware of such issues should make efforts to recognize and change them more accurately.

삼성이 일 맡기면 일하고 삼성이 뭐 해달라고 하면 다 하고 그러면서 그게 가능하겠냐는 거죠.

If Samsung assigns a task, they do it, and if Samsung asks for something, they do everything, so the question is whether that is possible.

얘기가 사실은 같은 맥락인 것 같아요. 여경 선생님도 그렇고 준호 님도 그렇고 사실은 기완 선생님도 그렇고 다 같은 얘기인데

I think the conversation is actually on the same wavelength. It's the same for Teacher Yeogyeong and Mr. Junho, and in fact, it’s the same for Teacher Giwan too; it's all the same story.

지금 약간 다른 지점이 뭐냐면 우리가 만약에 나와 반대되는 아니면 내가 합당하다고 생각하지 않는 가치를 품고 있는 집단이 있어요.

Right now, the slightly different point is that if there is a group that holds values opposite to mine or ones that I do not think are justified.

그럼 이들을 내 입장에서는 최대한 내 가치를 주지시키는 게 내 역할이잖아요.

In that case, my role is to make them recognize my value as much as possible.

그게 호도되는 게 아니라 내가 옳다고 느끼면 그러면 만약에 조선일보를 예를 들면 내가 조선일보의 그런 조선일보가 문제라고 생각해요.

It's not that it gets distorted, but if I feel that I'm right, then for example, if I take the Chosun Ilbo, I think that those issues with the Chosun Ilbo are problematic.

그래서 그들이 정답이 아니라고 치부하고 밀어내는 게 아니라 아까 말씀하신 것처럼 분석하고 이해해서 그걸 바꿀 수 있는 계기를 내가 만드는 것까지가 사실은 이어져야 된다는 건데

So, rather than dismissing them as incorrect answers, as you mentioned earlier, what should actually happen is that we analyze and understand them, and create an opportunity to change that.

지금은 그걸 거기에 인터뷰하지 말고 기구하지 말고 그들에게 관심을 갖지 않으면 그들은 소멸할 거라고 생각하지만 저는 그건 되게 순진한 착각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I think it's a very naive illusion to believe that if we don't interview them there, don't engage with them, and don't show interest in them, they will disappear.

그런데 이걸 표현을.

But to express this...

아니.

No.

그래서 그렇게 되면 그들은 그런 이제 딱 반대로 척을 두고 그들을 무시하는 거기 안에서 더 무럭무럭 자라가고 있다는 생각이 저는 드는 거예요.

So when that happens, I think they are growing even more robustly by acting in the exact opposite way and ignoring them.

그래서 사실 저는 이 비슷한 고민을 했어요.

So actually, I had a similar concern.

현대기아 자동차 일을 하고 있는데 내 입장에서 내가 원래 추구하는 가치와 사실 내가 비슷한 거예요.

I work at Hyundai Kia Motors, and from my perspective, the values I originally pursue are actually quite similar.

이 클라이언트와 일을 하는 게 맞을까?

Is it right to work with this client?

나는 심지어 쌍차 같은 반대되는 클라이언트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내 스스로 이게 약간 자괴감이 드는 거예요.

I even feel a bit of self-doubt, even though I don't have clients that are completely opposite like the dual-wheel vehicles.

어떻게 할지 모르겠지만.

I don't know what to do.

그래서 이거에 대한 얘기를 디자인 마라기에서 한 적이 있었어요.

So, I talked about this in the design seminar.

이거 내가.

This is mine.

모순 같은 게 좀.

It's a bit contradictory.

네.

Yes.

내 스스로가 좀 괴롭다.

I'm feeling a bit troubled by myself.

그랬을 때 역시나 그런 해답이 그런 이야기가 나왔어요.

At that time, it was no surprise that such an answer and such a story came up.

거기서 내가 조금이라도 예를 들어 이 기업이 다른 이 기업의 비용이 됐든 마케팅이 됐든 그런 것들을 조금 더 다른 방식으로 추출할 수 있는 그 시점이 된다면 그것도 자그마한 힘이 아니겠느냐라는 얘기를 듣고 그때는 문제가 해결됐다고 생각했는데.

If there comes a point where I can extract things like this company's costs or marketing in a slightly different way, that wouldn't be a small power, would it? I thought the problem was solved when I heard that.

그러고 나서 이틀이 지나니까.

Then two days passed.

그러고 나서 이틀이 지나니까 또 괴롭는 거예요.

Two days later, it started tormenting me again.

그런 예를 들어 합리화로 내가 이들의 어떤 큰 방향성을 바꾸지 못할 바에는 결국 종속돼서 이들의 잘못된 부분을 조력하고 있는 게 아닌가?

For instance, if I can't change any major direction of these people through rationalization, am I ultimately not just dependent on them and assisting in their wrongdoings?

저는 지금 이게 약간 황분적 관점으로 보면 좀 꼬이긴 하는데 저는 이거를 이게 어떤 과도비라고 생각해서 이걸 변화시켜야 된다고 보는데 지금 권준호 씨 표현이 좀 애매해서 좀 오해가 있는 것 같아요.

I think this is a bit tangled from a somewhat angry perspective, but I see this as a transitional phase and believe it needs to be changed. However, I feel that Kwon Jun-ho's expression is somewhat ambiguous and might lead to misunderstanding.

그걸 제가 좀 정리를 하자면.

If I were to summarize that.

지금까지 모든 운동들은요.

All exercises so far.

생산적 관점에서 보는 운동들이었어요.

They were exercises viewed from a productive perspective.

그러다 보니까 지금 삼성에 일하고 현대에 일하는 게 내가 좀 이렇게 되고 파업을 하고 다 이런 문제였다면 요즘에 나오는 관점들은 소비자적 관점에서의 운동들이에요.

As a result, the issues I've been facing with working at Samsung and Hyundai, including strikes, have become more apparent, and lately, the perspectives emerging are movements from a consumer point of view.

왜냐하면 생산자 노동자와 소비자는 사실 같은 사람이거든요.

Because producers, workers, and consumers are actually the same people.

그런데 우리가 그걸 헷갈려 했었는데 요즘에 나오는 학적 관점들이 결국 소비자와 노동자는 같은 사람이었다.

However, we had been confused about that, but the recent academic perspectives suggest that consumers and workers are ultimately the same individuals.

그러면 우리가 운동의 시점을 생산자적 시점에서 좀 벗어나서 소비자적 시점으로 좀 바뀌어야 될 거 아니냐.

Then we should shift our perspective on exercise from a producer's point of view to a consumer's point of view, shouldn't we?

이거를 너무 우리가 별개로 봤던 거 아니냐.

Aren't we looking at this too separately?

그러면은 생산을 늘려야지 우리가 잘 살 수 있는 건 당연해요.

Then we need to increase production; it's only natural for us to be able to live well.

물론 황동운동하는 입장에서 그것조차는 반대할 거긴 하지만 생산에 참여하는 것 자체에서 내가 빠진다는 거는요.

Of course, from the perspective of engaging in brass sports, I might oppose that, but the fact that I am excluded from participating in production itself is...

이 시스템에서 벗어나는 거기 때문에 생존의 문제가 걸려요.

Since it's about escaping this system, it becomes a matter of survival.

그러니까 생산에는 적극적으로 참여할 필요는 있다고 생각해요.

I think it's necessary to actively participate in production.

하지만.

But.

정말로.

Really.

우리가 뭔가를 바꾸려고 한다면 생산에서 보이콧을 하기보다는 소비에서 보이콧을 하는 게 훨씬 더 유효하거든요.

If we want to change something, boycotting at the consumption level is much more effective than boycotting at the production level.

기업들이나 아니면 언론들이나 이런 사람들 독자나 청중이나 소비자를 굉장히 무서워하거든요.

Companies and the media are very afraid of these people, whether they are readers, audiences, or consumers.

그러니까 우리가 운동 관점이 생산자적 관점이 아니라 소비자적 관점으로 옮겨야 된다라는 이런 이야기들이 지금 철학이나 정치학이나 이런 경제학에서도 많이 지금 회자가 되고 있는 상황이에요.

So, there are many discussions in philosophy, political science, and economics right now about how we need to shift our perspective on exercise from a producer-oriented viewpoint to a consumer-oriented viewpoint.

그러니까 아까 준호 씨가 삼성 대결.

So earlier Junho mentioned the Samsung match.

몇 번 얘기했지만 준호 씨가 쓰는 지금 이 컴퓨터 안에도 삼성이 만든 그 칩이 내장되어 있잖아요.

As I mentioned several times, the chip made by Samsung is also embedded in this computer that Junho is using right now.

그러니까 이게 말씀하신 생산과 소비라는 게 분리될 수가 없어요.

So, what you mentioned about production and consumption cannot be separated.

그러니까 말하자면 모순이 생기죠.

So, in other words, a contradiction arises.

모순을 따지면 한도 끝도 없죠.

If you start nitpicking contradictions, there’s no end to it.

그럼 사람은 누구나 합리화를 하고 피하려고 해요.

Then everyone tends to rationalize and avoid it.

왜냐하면 자기가 이렇게 정당하시고 싶으니까 누구나 있어요.

Because everyone wants to be so righteous.

그런데 그 기준이 있는데 저는 그런 것 같아요.

However, there is a standard, and I think that’s how it is.

그렇게 말하는 디자이너나 모든 사람들도 결국에는 삼성이나 LG나 현대 이런 거를 안 쓰고 살아갈 수가 없죠.

Designers or everyone who says that ultimately cannot live without using things like Samsung, LG, or Hyundai.

그런데 내가 보이콧을 한다고.

But I will boycott.

준호 씨 말이다.

It's about Junho.

무슨 일을 못 했다고 해서 그런 얘기를 할 수가 있지만 그게 분명히 준호 씨도 괴로워할 거예요.

You can say such things because of the work that wasn't done, but I'm sure Junho will also be in pain about it.

왜냐하면 괴리가 누구나 생기거든요.

Because everyone experiences gaps.

지금 제가 장기적으로 하고 있는, 노력하고 있는 사업이 투자자로서 그걸 바꾸는.

Right now, the long-term business I am working on and striving for is to change that as an investor.

맞아요.

That's right.

주식과 펀드 투자자로서 그걸 바꿔나가는 거를 하는.

Changing that as an investor in stocks and funds.

한마디로 내가 투자한 돈을 가지고 한마디로 세상에 대한 투표를 할 수 있는 그런 서비스를 만들려고 지금 하고 있다는 말씀을 하나는 드리고 싶고.

In short, I want to say that I am currently working on creating a service that allows me to cast a vote on the world with the money I have invested.

하나는 디자이너로서 개인적인 경험으로서 아까 준호 선생님 말씀하셨을 때 그런 클라이언트들 일을 하고 그렇게 계속 받아들였을 때 그게 변화가 올 수 있겠느냐라는 회의적인 경험적인 생각을 가지고 계신데.

One has a skeptical experiential thought that when working with such clients, as Mr. Junho mentioned earlier, and continuously accepting things, can there really be a change?

저는 경험적으로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어요.

I would like to say that I have a different perspective based on my experience.

그러니까 제가 일했을 때의 경험 물론 그게 미국에서의 경험이었기 때문에 한국이 다르다라고 말씀하시는 저는 할 말이 좀 없어지긴 하지만.

So, when I talk about my experience while I was working, I know that since it was in the United States, it might be different in Korea, which makes it a bit difficult for me to respond.

제가 일하면서 디자이너로서 클라이언트가 있는 디자이너로서 가장 뿌듯했던 순간들이 디자이너들이 존중하지 않는 클라이언트가 왔을 때.

The moments I felt the most proud as a designer while working were when a client came in who was not respected by other designers.

우리가 정말 이거를 일을 해야 되나 싶었을 때 우리가 일을 했기 때문에 한마디로 영혼이 있는 결과물이 나오고 우리랑 일을 했기 때문에 이 사람들이 바뀌고.

When we were unsure if we really needed to do this work, it was precisely because we did the work that a soulful result emerged, and because we worked with these people, they changed.

그 중에 많이 회사를 나가서 다른 일을 한 사람들도 생기고.

Among them, many have left the company to pursue other jobs.

전혀 우리랑은 말도 안 통할 것 같다고 생각했던 클라이언트들.

Clients who we thought would never be able to communicate with us at all.

제가 봤을 때 내공이 있었다고 생각되는 분들은 그런 사람들이랑 일했을 때도 언제나 나 자신이 가지고 있는 그런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가치관을 그런 클라이언트랑 일할 때도 그걸 심어서 녹여서 낼 수 있고 클라이언트를 어느 정도 변화까지 시키는 사람들도 봤거든요.

In my opinion, those who I believe have expertise are able to instill and incorporate their own values when working with clients, and I have seen people who can even bring about a certain level of change in their clients.

저는 제가 그런지라고 생각하진 않지만.

I don’t think I’m like that.

사실 저도 준호 선생님의 경우에 약간 우리가 언어상으로 오해할 수도 있다고 생각한 게.

In fact, I also thought that there could be a slight misunderstanding due to language in the case of Teacher Junho.

아까 준호 선생님이랑 어진 선생님 말씀하신 거 들어보면 이미 디자이너로서 일하는 방식에서도 구조적인 문제를 인식한 상태에서 일하는 넌프로핏들이랑 NGO들이랑 일하실 때 디자이너들과 협업하는 방식 자체를 바꿔나가신 경험도 있다고 하셨고.

Earlier, when I was listening to what Teacher Junho and Teacher Eojin said, they mentioned that they have experiences of changing the way they collaborate with designers when working with non-profits and NGOs, while already being aware of the structural problems in the way designers work.

그래서 저는 그런 면에서 어떻게 보면 생각하신 것보다 긍정적인 경험을 더 많이 하시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So I thought that in that regard, you might be having more positive experiences than you initially thought.

Continue listening and achieve fluency faster with podcasts and the latest language learning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