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혜와 함께 경제에 대해 논의하는 야간 채팅 - 001부

Shauna Blount

염혜와 함께 경제에 대해 논의하는 야간 채팅

염혜와 함께 경제에 대해 논의하는 야간 채팅 - 001부

염혜와 함께 경제에 대해 논의하는 야간 채팅

살이 났어요.

I gained weight.

도굴꾼을 조사원으로 썼다고 해야 하고요.

You have to say that you used the tomb raider as an investigator.

사실 박살이 났어요.

Actually, it's broken.

그래서 나중에 다시 또 해고했으니까 그러면?

So, what happens if I get fired again later?

당연히 그 이상 쓰지도 못하죠.

Of course, I can't spend any more than that.

도굴꾼들은 어떻게 알고 그렇게 도굴을 하는 거예요?

How do the grave robbers know and do such digging?

도굴꾼들은 사실 웬만한 고고학도보다 유물 냄새.

Grave robbers can actually smell artifacts better than most archaeologists.

그러니까요.

That's right.

더 잘 맞는다고 하죠.

They say it fits better.

어떻게 이렇게 잘?

How are you so good at this?

하다 보면 밥 먹고 하는 일이 있는데.

There are things to do after eating.

그런데 이분들이, 이분들이라고 하는 게 좀 이상하죠.

However, referring to these people as "these people" is a bit strange, isn't it?

이 사람들이 쇠칭 같은 게 꽂지 않습니까?

Aren't these people supposed to wear something like a metal pin?

쇠꼬챙이 갖고 우리는 제가 시골 출신이니까 어릴 때

With the skewer, we... because I am from the countryside, when I was young...

봉냥을 캘 때 그걸 많이 이용했거든요.

I used that a lot when I was catching the cat.

봉냥이라고 해야 하고 지금 한약재를 씁니다.

I have to say it's a 'bongnyang', and right now I'm using herbal medicine.

소나무가 오래, 소나무 뿌리가 오래 되었을 때

When the pine tree is old, when the roots of the pine tree are old.

수박처럼, 고구마처럼 벌리는 게 봉냥이라고 하는데

They say that Bongnyang opens up like a watermelon or a sweet potato.

어릴 때는 쇠꼬챙이를 들고 봉냥을 캐고

When I was young, I would hold a metal skewer and catch small fish.

이렇게 다녔습니다.

I walked around like this.

그런데 이 쇠꼬챙이를 갖고 이 사람들은 이걸 딱 넣어보잖아요.

By the way, these people take this skewer and insert it perfectly.

그럼 예컨대 토기가 걸리지 않습니까?

Then, for example, isn't there a chance of getting stuck in pottery?

딱 이렇게 보고 그 쇠꼬챙이 끝머리에 걸리게 해갖고

Just look at it like this and let it get caught at the tip of the metal skewer.

이것이 유물인지 아닌지 판단을 해요.

We determine whether this is an artifact or not.

크으.

Kuh.

물론 토기보다는, 이것도 도굴도 시대에 그런 게 있습니다.

Of course, compared to pottery, there are also such things during the era of tomb raiding.

옛날에는 사실 건부치 종류로 갖고 갔어요.

In the past, I actually took it with a type of wooden box.

건부치 종류로 갖고 갔고 토기도 웬만한 거 완연, 온전한 거 외에는 조각들은 버렸어요.

I took a type of geonbuchi (pottery) and discarded any pieces that were not complete or substantially intact.

음.

Um.

그런데 이미 도굴꾼도 이제 계보들이 있을 거 아닙니까?

But there must already be a lineage of grave robbers, right?

그렇죠.

That's right.

선배들이 다 훑어갔어요, 왔어요.

The seniors have all gone through it. They’ve come.

이제 좋은 것들은 다 훑어가고 나니까 요즘은 어떻게 되는가 하면

Now that all the good things have been swept away, what happens these days is...

이제 조각들을 갖고 가요.

Now, take the pieces with you.

조각들 중에서도 좋은 문양들이 새겨져 있는 게 있잖아요.

Among the pieces, there are some with beautiful patterns engraved on them.

네.

Yes.

그다음에 또 어떻게 되는가 하면 요즘은 옛날에는 서원이나 향교에 들어가서 책을 훔쳐가고

Then what happens next is that these days, unlike the past, people steal books from seowon or hyanggyo.

고서적.

Ancient books.

고서적은 사실 그게 제일 부는 경우는 없어요.

In fact, there are no cases where old books are the most valuable.

책판이라고 해서 옛날에 인쇄판들 있죠, 목활자들 있잖아요.

When we talk about "book plates," we refer to the old printed editions, like wooden movable type.

그걸 들고 갔어요.

I took that with me.

아.

Ah.

네.

Yes.

이미 선배 도굴꾼들이 다 훔쳐갔단 말이에요.

The senior tomb raiders have already stolen everything.

그럼 요즘은 뭘 떼가는가 하면 문짝을 떼갑니다.

These days, what they take away are door panels.

아, 자꾸 기사 봤어요, 봤어요.

Ah, I keep seeing the article, I've seen it.

문짝 떼갑니다.

I'm taking the door off.

문짝을 떼갑니다.

They are taking the door away.

그게 이제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는 거죠.

That reflects the flow of the times.

도굴꾼 선배들이 다 훑어갔으니까 요즘은 또 문짝이 또 대세거든요.

Since all the tomb raider seniors have already gone through everything, these days, doors have become a trend again.

왜 그런가 하면 우리 사진이라든지 영상에서 흔히 비춰주는 게 아름다운 한국을 선전할 때 보면 문살이라고 하는 게 있죠.

The reason is that in photos or videos promoting beautiful Korea, there is often something called "moon iron."

맞아요, 맞아요.

That's right, that's right.

그게 한국 미의 관점에서 새로운 그.

That is a new perspective on beauty in Korea.

뭐라고 하죠?

What did you say?

새로운 상품으로 개발된 거죠.

It has been developed as a new product.

문짝을 다 떼갑니다.

They're taking all the doors away.

그렇군요.

I see.

예.

Yes.

그다음에 또 하나 어떻게 시골 농촌에 가버리면 옛날에는 농기구들 안 가지고 갔잖아요.

Then, how do we go to the rural countryside without taking the farming tools like we used to?

그렇죠.

That's right.

농기구를 누가 가져가죠?

Who is taking the farming tools?

그런데 농촌에 가보면 대낮에 집에 사람 있는 경우가 없잖아요.

However, when you go to the countryside, there are hardly any people at home during the day.

보통 그런 농기구들은 뒤안이라든지 이런 데 놔두잖아요.

Usually, those farming tools are left in places like the backyard.

지금 우리 집에서도 그런 일이 일어났는데.

That kind of thing just happened at my house too.

다 가져가.

Take it all.

그거를?

That?

동장군도 가져가.

Take the snowman too.

가져가.

Take it.

몇 푼이나 한다고?

How much is it going to cost?

아니요. 그게 민속품으로 또 판매가 된다니까요.

No. That will be sold as a folk item again.

그게 이제 결국은 인사동에 놔두고 그런 거죠.

In the end, it’s about leaving it in Insadong.

참 참.

Truly, truly.

도굴도 시대에 흐르는 게 있어요.

There are things that flow with the times, even in tomb raiding.

아 그렇군요.

Oh, I see.

예.

Yes.

시간 가는 줄 모르겠네 오늘 너무.

I can't believe how fast time is passing today.

여쭤볼 게 진짜 쌓였는데 오늘 지금 저 한 그 5분의 1도 소화를 못했는데.

I have so many things to ask, but I can’t even process one-fifth of what I did today.

나중에 기회 다음 한 번.

Next time, if there's an opportunity.

그러니까 한 번 더.

So one more time.

그런데 이거는 꼭 여쭤봐야 될 겁니다.

But I have to ask this.

제가 그 우리 김태식 기자가 쓴 글 중에 이 내용을 봤어요.

I saw this content in an article written by our reporter Kim Tae-sik.

그러니까.

So.

박정희.

Park Chung-hee.

그분의 그 부녀에게 경주는 특별한 곳이다.

For them, Gyeongju is a special place.

예.

Yes.

이런 글을 쓴 적이 있죠.

I have written something like this before.

예.

Yes.

어떤 내용입니까 그.

What is that about?

박정희 대통령은 사실은 경주에 대한 사랑은 우리가 생각하는 이상이에요.

President Park Chung-hee's love for Gyeongju is actually greater than we think.

예.

Yes.

물론 박정희 대통령은 호가 극단적으로 갈리는 사람이잖아요.

Of course, President Park Chung-hee is a person whose reputation is extremely polarized.

갈리는 정치 지도자인데 문화적 관점에서 보면 사실 오보다는 호가 호의 감옥에 엄청나게.

He is a divisive political leader, but from a cultural perspective, it is actually much more like "the pot calling the kettle black."

많은 사람이고.

There are many people.

제가 봐도 사실 역대 지도자들 중에 대통령 중에서 문화재에 대해서 이렇게 관심을 기울이는 사람은 없어요.

In my opinion, there has never been a president among past leaders who has paid such attention to cultural heritage.

물론 그것이 그때 이제 관심을 지나치게 많이 기울이다 보니까 거기에 따른 여러 가지 그 부정적인 현상들도 꽤 있습니다.

Of course, since a lot of attention was paid to it at that time, there were quite a few negative phenomena associated with it as well.

제가 근데 어디선가 얼핏 본 기억으로는 이른바 이제 박정희 대통령이 정통성에 이제 쿠데타를 집권한 사람이죠.

However, from what I vaguely recall seeing somewhere, the so-called President Park Chung-hee is someone who came to power through a coup, thus asserting his legitimacy.

예.

Yes.

정통성이 없다 보니까 어떤 신라 정통론.

Since there is no legitimacy, some theories of Silla legitimacy arise.

예.

Yes.

늘 의도적으로 유팔력을.

Always intentionally exerting influence.

네.

Yes.

그리고 그런 점에서 경주를 그 어디보다도 우산에서 그러니까 그 발굴하고 보존했던 측면이죠.

And in that respect, Gyeongju has preserved and excavated more than anywhere else.

이런 식으로 나온 얘기가 있었거든요.

There has been talk like this before.

그런데 그거는 그렇게 보기보다는 사실 그때 남북 대치 국면 그다음에 동서구 소련하고 미국 중심의 양쪽으로 갈라져 있었잖아요.

However, rather than viewing it that way, at that time, the situation was divided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then between the Soviet Union and the United States, which were the main powers in the East and West.

그 측면에서 경주를 주목했다고 경주를 주목을 하고 특히 신라를 주목을 했다라고 저는 보고 있어요.

In that regard, I believe that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Gyeongju, particularly on Silla.

그건 무슨 얘기예요.

What does that mean?

그때 북한하고 지금 남한이 정통성 그때 경쟁을.

At that time, North Korea and now South Korea are in a competition for legitimacy.

엄청나게 벌였잖아요.

You spread it out incredibly.

그렇죠.

That's right.

엄청 뭐 지금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그렇게 심각하게 벌였는데 그러면 서로가 그 통일 논리를 개발을 해야 될 거 아닐까.

It's so serious that I can't even imagine it right now, so shouldn't we both develop a unification logic?

그렇죠.

That's right.

민족 통일 논리를 개발을 해야 되는데 북한은 당연히 고구려 중심으로 많이 가게 되고요.

We need to develop the logic of national unification, but North Korea will naturally focus a lot on Goguryeo.

그에 맞서서 물론 남한에서도 박정희 정권에서도 고구려라든지 발의라든지 이런 역사에 대해서 주목을 안 한 건 아닙니다.

In response, of course, the Park Chung-hee regime in South Korea also did not completely ignore histories such as Goguryeo or Balhae.

여기서도 엄청나게 관심을 기울이는데 대신 그 민족 통일이라는 이 측면에서.

They pay a lot of attention to it here, particularly in terms of national unification.

그다음에 우리가 지금 현재 정리하고 있는 이 영토라는 기준에서 당연히 신라를 주목을 하게 되고 그다음에 실제로 신라가 불완전한 상국 통일을 일으켰다라는 비판도 많이 받지만 상국을 통일을 한 것만은 사실이거든요.

Next, based on the criteria of the territory we are currently organizing, we naturally pay attention to Silla, and while it has received a lot of criticism for not fully unifying the Three Kingdoms, it is a fact that it did unify the Three Kingdoms.

그다음에 그를 통해서 우리가 지금 알고 있는 현재의 대한민국 북한까지 지금 온 것도 사실이니까.

After that, it is also true that we have come to the current Republic of Korea and North Korea through him.

그러니까 그런 민족 통일 논리의 뿌리를 신라에서 찾았고 그다음에 신라의 중심은 역시 경주니까 그런 측면에서 경주를 대단히 주목을 했던 것은 사실입니다.

So, it is true that the roots of such national unification logic were found in Silla, and since the center of Silla was indeed Gyeongju, it is a fact that Gyeongju was given significant attention from that perspective.

그런 것 같습니다.

It seems that way.

정치적 맥락을 따지면 그런 맥락입니다.

In a political context, that is the context.

저는 그렇게 봅니다.

I see it that way.

남북 대치 국면에서 어떤 거냐면 남한 주도의 통일이라든지 적통이 어떻게 되느냐.

In the context of the North-South confrontation, it is about what kind of unification led by South Korea or what the legitimacy would be.

이 부분에서 신라 적통.

The legitimate lineage of Silla in this part.

아무래도 그쪽에 치중한 측면이 강하다고 볼 수 있죠.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strong emphasis on that side after all.

그래요.

Okay.

그러면 경주 이외의 다른 어떤 문화자라든지 유적의 발굴은 어떻게 변과하세요? 박정희 시대의 시대에.

Then, how do you view the excavation of other cultural heritages or relics besides Gyeongju, during the Park Chung-hee era?

박정희 시대에 사실 우리 복합 발굴이라고 하는 게 일제식민지 시대가 끝나고 나서.

The complex excavation we refer to actually began after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during the Park Chung-hee era.

그래서 그걸 다 주도를 했던 일본 사람들이 다 물러갔잖아요.

So all the Japanese people who took the lead in that have stepped back.

그런데 사실은 자생적인 한국 고고학이 없었어요.

However, the truth is that there was no indigenous Korean archaeology.

그런데 이 자생적인 한국 고고학이 언제 탄생을 하는가 하면 박정희 시대에 또 비로소 탄생을 합니다.

However, this self-sustaining Korean archaeology was born during the Park Chung-hee era.

정권의 어떤 지원하에.

Under some support of the regime.

정권의 지원은 당연히 있죠.

Support from the government is, of course, present.

정권의 지원 없이 고고학은 역대 어느 나라도 이렇게 정권이라든지.

Without the support of the regime, archaeology has never been like this in any country throughout history.

그럴 수밖에 없죠.

It can't be helped.

경제의 지원 없이는 이럴 수 없습니다.

This cannot happen without support from the economy.

국민의 어떤 개발 욕구를 공권력을 합쳐서 일정하게 차단한다든지 이런 게 있어야만이 발굴이.

There needs to be a certain blockage of the public's development desires through the use of public authority in order for excavation to occur.

네.

Yes.

고고학은 항상 태생적으로 어떻게 보면 태생적으로 정치 권리하고 밀접합니다.

Archaeology is always intrinsically, in a way, closely related to political rights.

그럴 수밖에 없겠네요.

I guess there’s no other way.

네.

Yes.

그리고 경주 개발이라는 이 측면에서 사실 박정희에 대한 호우를 떠나서 이 경주 개발은 하나 독특하게 평가를 해야 되는 게 있어요.

In terms of development in Gyeongju, regardless of opinions about Park Chung-hee, this development should be uniquely evaluated.

박정희 시대 때 대략 10년 동안 1971년부터 12.6까지 79년 12.6까지 대략 10년 동안 박정희가 의욕적으로 경주를 개조를 했습니다.

During the Park Chung-hee era, for about 10 years from 1971 to December 6, 1979, Park Chung-hee actively renovated Gyeongju.

어떻게 개조를 했는가.

How was it modified?

관광하고 문화재를 접목을 해서 경주를 개조를 해버렸습니다.

They transformed Gyeongju by integrating tourism and cultural heritage.

그런데 그 경주가 지금 보는 경주는 신라시대의 경주도 아니오 조선시대의 경주도 아니오 고려시대의 경주도 아닙니다.

However, the Gyeongju you see now is neither the Gyeongju of the Silla Dynasty, nor the Gyeongju of the Joseon Dynasty, nor the Gyeongju of the Goryeo Dynasty.

누구의 경주인가 하면 우리가 원하든 원치 않든 간에 박정희 시대가 만들어진 경주입니다.

Whose race it is, whether we want it or not, it is a race created by the Park Chung-hee era.

즉 수학여행의 필수코스로서의 경주를 추구했다.

In other words, it sought Gyeongju as an essential course for the school trip.

물론 수학여행은 일제시대 때도 필수코스였습니다.

Of course, school trips were a mandatory cours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well.

일제 때 였습니까?

Was it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네.

Yes.

일제시대 때도 필수코스였는데 대신 우리가 경주라고 항영 떠올리는 모습들이 있습니다.

Eve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t was a mandatory course, but instead, there are images of us thinking of Gyeongju.

그 모습들은 박정희 시대가 만든 경주라고 생각하시면 대과가 없습니다.

If you think of those sights as the Gyeongju created during the Park Chung-hee era, there is no great mistake.

그런데 아까 문화재 부분에 있어서는 박정희에 대한 평가가 보호보다는 호가 더 높다고 말씀하셨잖아요.

However, earlier you mentioned that in terms of cultural heritage, the evaluation of Park Chung-hee is more favorable than protective.

문화재 업계에서 그렇게 보고 있는 겁니다.

The cultural heritage industry sees it that way.

그런데 예를 들어서 정말로 날림으로 발굴한 대표적인 사례를 무령왕릉으로.

However, for example, a representative case of haphazard excavation is the tomb of King Muryeong.

무령왕릉은 좀 특수한 게 있습니다.

The tomb of King Muryeong is somewhat unique.

우리 김태식 기자가 얼마 전에 편의 책도 직설.

Our reporter Kim Tae-sik recently published a book.

무령왕릉하고 지금 제 앞에 있어요.

I am currently in front of the tomb of King Muryeong.

그거는 좀 다른 측면이 있는데 국가 주도로 계획해서 이렇게 발굴한 게 아니고

That's a different aspect; it wasn't planned and uncovered by the government leading the initiative.

어느 날 느닷없이 공사 과정에서 무령왕릉이 발견이 되었어요.

One day, the tomb of King Muryeong was unexpectedly discovered during construction.

그런데 발견이 되었는데 그걸 정신을 못 차린 고고학도가, 언어고고학도가

However, it was discovered by an archaeologist who was out of their mind, and a linguistic archaeologist.

이걸 사실은 서너 달 걸쳐서 이렇게 세심하게 하나씩 하나씩 발굴하고 기록을 하고 있어야 되는데 그냥 미쳐버렸어요.

I should actually be digging this up and recording it one by one carefully over the course of three to four months, but I've just gone crazy.

이게 무령왕릉이라는 무덤 주인이 무령왕릉이 밝혀지는 증거가 나오니까

This is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and evidence is emerging that reveals the identity of the tomb owner as King Muryeong.

본인 표현이 거예요.

It's your expression.

내가 환장을 했다고.

I went crazy.

환장을 하고 그날 밤에 유물 전체를 몽땅 끌어내버립니다.

They go wild and pull all the artifacts out that night.

빗자루로 쓸듯이 그냥 청소해버렸어요.

I just cleaned it up as if I were sweeping with a broom.

그런데 그 일이 있고 나서 사실은 무령왕릉 발굴이 있고 나서

However, after that incident, in fact, after the excavation of the tomb of King Muryeong...

바로 박정희 정권이 의역적으로 박정희 주도로 해서 경주관광개발 계획이 추진이 되거든요.

Immediately,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under the leadership of Park Chung-hee, pushed forward the Gyeongju tourism development plan.

그때 무령왕릉을 졸속으로 발굴한 게 교훈이 많이 됐다는 얘기들이네요.

At that time, it seems that the hastily excavated tomb of King Muryeong served as a significant lesson.

그러니까 이렇게 실수를 했으니까 여기서는 그렇게 하지 말자고 해서

So, since we made a mistake like this, let's not do it like that here.

그때 당시 70년대 우리 고고학 발굴 기준으로 보면 굉장히 물론 그때도 졸속이라는 측면들이 그런 부분들이 없지 않았는데

At that time, considering the standards of our archaeological excavations in the 1970s, there were certainly aspects that could be seen as hasty, even back then.

생각보다는 굉장히 세심하지만

It's more meticulous than I thought.

지금 그래서 권력은 왜 고고학 발굴에 열광했나?

So why has power become so enthusiastic about archaeological excavations now?

라고 하는 부제를 다고 있는데 왜 열광했나?

Why was there such excitement about the subtitle?

좋잖아요.

That's nice.

뭐가 좋아?

What do you like?

고고학 항상 모든 고고학 발굴은 최초입니다.

Archaeology is always a first for every archaeological excavation.

그렇지.

That's right.

똑같은 육물이 A 지점에서 나왔다고 치더라도 같은 건 없습니다.

Even if the same meat came out at point A, there is nothing the same.

항상 세운 겁니다.

It has always been established.

그렇죠.

That's right.

육물은.

The flesh is.

그다음에 아까 제가 호구적 침이 이런 얘기를 했지만 옛날에 대한 이런 동경들이 있어요.

Next, I mentioned earlier about the nostalgic feelings for the past.

그다음에 고고학 발굴 중에서도 거의 각광받는 것들이 정해져 있어요.

Then there are certain things that are almost highlighted among archaeological excavations.

어떤 것?

What kind?

왕과 관련된 부분들입니다.

These are the parts related to the king.

왕국과 관련된 이런 부분들.

Aspects related to the kingdom.

특히 금붙이 번쩍번쩍하고.

Especially the gold glitters.

왕관이 나오거나 이러면 난리나는 거죠?

If the crown comes out or something like that, it would be a big deal, right?

네.

Yes.

특히 이건 전 세계적으로 비슷한 현상이 일어나는데.

In particular, this is a phenomenon that occurs similarly around the world.

세계 고고학도들이 꾼이 그거 아니었습니까?

Wasn't that what the world's archaeologists dreamed of?

그 이집트가 뭐 투탄 카멘묘라든지 이런 거 아니니까.

That's not the Egypt with things like the tomb of Tutankhamun.

고고학도들의 필수 코스가 이집트였을까요?

Was Egypt a mandatory course for archaeologists?

네.

Yes.

그다음에 이제 한국도 이렇게 들어와 보면 이 신라 무덤들 지금 경주평양에 가보면 엄청나게 큰 무덤들이 있거든요.

Then, if you come to Korea now, you will see that there are tremendously large tombs of Silla in Gyeongju.

그거 파보면 거의 막 금관, 금동관 이런 것들이 금붙이들이 잔뜩 나옵니다.

If you dig it up, you'll find a lot of gold objects like golden crowns and gilt bronze crowns.

보면 좋잖아요.

It would be nice to see.

네.

Yes.

화려해요.

It's glamorous.

뭐 저희 역시도 그렇습니다.

Well, we feel the same way.

그런 뭐 좋은 유물들 나오면 저부터도 한 장을 한 장을 합니다.

If good artifacts come out, I will also take one piece at a time.

그런 좋은 유물들 나온 거 그걸 보고서 아니 무슨 뭐 정권을 비판하고 싶어.

Seeing such good artifacts come out, I don't know, I want to criticize the regime or something.

물론 뭐 다 비판할 사람들은 다 하고 하지만 과거의 영광을 재현해 주느냐.

Of course, those who want to criticize will do so, but are you recreating the glory of the past?

그렇죠.

That's right.

그게 중요한 거죠 사실은.

That's what matters, in fact.

고고학은 거의 필연적으로 보면 과거의 영광을 재현해 주느냐.

Archaeology almost inevitably raises the question of whether it can recreate the glories of the past.

물론 고고학 중에서 선사고고학은 다릅니다.

Of course, prehistoric archaeology is different from archaeology in general.

구석기 이런 것들은 좀 다른 측면이 있는데 특히 역사고.

The Paleolithic era has some different aspects, especially in terms of history.

역사시대를 대상으로 하는 이 고고학들은 보면 거의 필연적으로 과거의 영광을 재현하는 게 아니라.

This archaeology, which targets historical periods, almost inevitably does not recreate the glories of the past.

그렇죠.

That's right.

우리 집 그러니까 뒤에서 우리 고주 할아버지가 지금 밖으로 나왔던 게 뭔 건 아닌가.

So, what I'm saying is that our grandfather Goju came out from the back of our house just now.

아니죠.

No, that's not right.

그거 아무도 관심 망하죠.

Nobody cares about that.

그런 건 아니고.

It's not that.

아무도 관심 망하죠.

Nobody cares anyway.

물론 최근에는 생활 고고학이라고 해서 그쪽에 관심을 많이 기울여지고는 하는데 문제는 언론이건 고고학자 관점에 일단 그 묻지가 나오고 화려 찬란해야지 다 관심을 가지게 되는 거죠.

Of course, recently there has been a lot of attention given to lifestyle archaeology, but the problem is that whether it's in the media or from the perspective of archaeologists, the questions that arise are often focused on what is flashy and splendid, which captures everyone's interest.

그렇죠.

That's right.

그러면서 어차피 이제 국가에 대한 귀속감이라든지 일체감도 나오게 되는 거죠.

In doing so, a sense of belonging and unity towards the country will naturally emerge.

당연하죠.

Of course.

그게 결국은.

In the end, that is.

정치권력의 플러스 효과가 되는 거니까.

Because it has a positive effect on political power.

충분히.

Enough.

국민의 일체감을 또 형성하고 이러니까요.

It also forms a sense of unity among the people.

충분히 이해가 되고.

I understand completely.

아까 이제 그 얘기.

That story from earlier.

그러니까 박정희 박근혜 분야라고 했습니다.

So, it was said to be the Park Chung-hee and Park Geun-hye era.

그런데 박정희 대통령이 경주에 애착을 갖고 발굴 보조를 했던 부분은 이해가 되겠는데.

However, I can understand why President Park Chung-hee had affection for Gyeongju and supported the excavation.

박근혜 대통령이 경주는 어떤 이유입니까.

What is the reason for President Park Geun-hye's visit to Gyeongju?

박근혜 대통령은 잘 아시다시피 유경수 여사 돌아가시고 나서는 사실상 퍼스트레이디 역할을 했지 않습니까.

As you know, President Park Geun-hye effectively took on the role of First Lady after the passing of Mrs. Yoo Kyung-soo.

그전에도 그렇고.

It was the same before that too.

박정희 대통령은 학형식을 자주 갔어요.

President Park Chung-hee often went to Hakhyun's place.

갔어요.

I went.

그때마다.

Every time.

해보면 이 박근혜 대통령이 그때 영예로서 같이 갔다고요.

When you try it, President Park Geun-hye went together at that time as an honor.

그런.

Right.

그다음에 이분이 또 저거 아닙니까.

Then isn't this person also that?

그 고향이 대구죠.

That hometown is Daegu.

아마.

Maybe.

원래 태어난 곳은.

Where I was originally born.

네.

Yes.

달성인가 뭐.

Is it achievement or something?

네.

Yes.

그쪽으로 알고 나려고.

I want to know about that.

네.

Yes.

어쨌든 그 자기의 그 기반도 경북 쪽이고 하니까 이런 쪽에 관심이 많아서 아버지한테 알게 모르게 배운 게 더 많았을 거 아니에요.

Anyway, since his background is also from the Gyeongbuk area, he must have learned a lot more from his father, whether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because he has a lot of interest in this area.

영향을 많이 받았겠죠.

You must have been greatly influenced.

많이 받았겠죠.

You must have received a lot.

그러니까 이분도 아버지 영향을.

So this person was also influenced by their father.

꼭.

Sure.

아버지.

Father.

아버지 영향때문만이라고는 할 수는 없는데 경주에 대한 관심이 사실은 좀 많은 편이라고 제가 보고 있어요.

I can't say it's solely because of my father's influence, but I actually have quite a bit of interest in Gyeongju.

그런데 문제는 경주에 대한 관심은 많은데 그 많기 때문에 경유주를 손대는 이런 방향은 아버지에는 훨씬 못 미칩니다.

However, the problem is that there is a lot of interest in Gyeongju, and because there is so much of it, the approach of dealing with Gyeongju falls far short of what my father expected.

뭔가 엉터리라는 건가.

Is it something nonsense?

좀 그런 느낌이 없지 않아 있습니다.

There is definitely that kind of feeling.

예를 들어 어떤 경우.

For example, in some cases.

물론 박근혜 대통령이 개인 의도라든지.

Of course, President Park Geun-hye's personal intentions, etc.

개인 생각이라고는 보지는 않아요.

I don't see it as a personal opinion.

네.

Yes.

일단 정권의 차원에서 보죠.

Let's first look at i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gime.

그렇죠.

That's right.

그리고 또 다르잖아요.

And it's different again.

여건이.

Conditions.

왜 그런가 하면 박정희 대통령은 출근 통치자고 장기 집권을 했지 않습니까.

The reason is that President Park Chung-hee governed as a ruler who worked from home and maintained long-term power, right?

그렇죠.

That's right.

그런데 이분은 지금 5년짜리잖아요.

But this person is currently on a 5-year term, right?

단계니까 당연히 필연적으로 단기간에 성과를 내려고 하는 이런 그 생각이 없지 않아 있습니다.

Since it's a stage, there is naturally some thought of wanting to achieve results in a short period of time.

물론 그런 측면들 여러 가지 측면들을 고려하더라도 지금 경주에 월성이라는 곳이 있는데 이게 7 7년 동안 왕성이었던 것입니다.

Of course, even considering various aspects in that regard, there is a place called Wolseong in Gyeongju, which was the royal capital for 7 years.

네.

Yes.

이 왕궁은 30년 내지 5년.

This palace is 30 to 5 years.

50년이 걸린다고 했어요.

They said it would take 50 years.

그런데 그거 지금 막 순식간에 지금 발굴을 해 붙이고 있거든요.

By the way, they're currently digging it up and putting it on in an instant.

그런데 너무 졸속으로 졸속이라기보다는 너무 좀 여유를 두지 않고 급하게 몰아붙이는 이런 감이 굉장히 많고 실제로 이에 대해서는 비난의 목소리가 많이 나옵니다.

However, there is a strong sense that things are being rushed, rather than done hastily, and there is a lot of pressure without allowing for much leeway, and in fact, there are many voices of criticism regarding this.

그럼 여기서 뭐 훼손되거나 잘못될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고 봐요.

Well, I think there is a sufficient possibility that something here could be damaged or go wrong.

그건 우리가 조심을 해야 되고 그다음에 언론이라든지 시민단체라든지 혹은 지역사회에서 끊임없이 감시를 해 줘야죠.

We need to be cautious about that, and then the media, civic groups, or the local community must constantly monitor it.

그렇죠.

That's right.

그런데 그렇게 박근혜 대통령이 경주에 이차를 갔더니 왜 이렇게 8일 만에 갔대요?

But why did President Park Geun-hye go to Gyeongju just 8 days later?

지진 나고?

Did an earthquake happen?

그건 저는 모르죠.

I don't know about that.

그런데 저는 사실은 그런 생각을 했었어요.

However, I actually thought that way.

우리 보통 아버지하고 많이 비교를 하잖아요.

We usually compare a lot with our father.

그러면 아버지였으면 제가 아버지였으면 아마 발생 1시간 만에 헬기 타고 내려갔을 것 같아요.

If I were the father, I probably would have taken a helicopter down within an hour of the incident.

그다음에 우리 적 많이 비판하잖아요.

Then we criticize a lot, right?

그 전두환 대통령 많이 비판하잖아요.

President Chun Doo-hwan is often criticized.

많이 비판하지만 전두환 대통령은.

Although he is heavily criticized, President Chun Doo-hwan.

전두환 대통령만 해도 만약에 그런 상황을 하고 있었으면 그 다음 날 바로 내려갔을걸요.

If President Chun Doo-hwan were in that situation, he would have stepped down the very next day.

가서 막 차 터들고 지시했을걸요.

I probably went and told them to go ahead and crash the cars.

그런데 이분은 참 희한하네요.

However, this person is quite peculiar.

그러니까요.

That's right.

희한하다.

It’s strange.

그래서 좀 아쉬움을 많이 주시기를 바라겠습니다.

So I hope you will give me a lot of regrets.

오늘 김태식 기자 모시고 얘기를 쭉 풀어갔는데 1시간이 훌쩍 지나가버렸는데 시간 가는 줄은 몰랐어요.

Today, I had a conversation with reporter Kim Tae-sik, and before I knew it, an hour had passed by so quickly; I didn't realize how time flew.

사실 또 여쭤볼 게 너무 많은데 정말 아쉽습니다.

In fact, I have so many more questions to ask, and it's really unfortunate.

나중에 갈게요.

I'll go later.

한 번 더 할까요?

Shall we do it one more time?

2, 3번 할까요?

Shall we do 2 and 3?

네.

Yes.

알겠습니다.

Understood.

2탄은 웬만하면 이제는 재고.

The second installment is generally now out of stock.

현 연합뉴스 기자로 해서 했으면 정말 좋겠는데요.

I would really like it if a current Yonhap News reporter could do it.

어떻게 2심 판결은 좀 빨리 나올까요?

How can the second trial's verdict come out a bit faster?

원래 법적으로는 4개월 안에 나오기로 되어 있다는데 그렇게 지켜지는 경우가 드물다 그래요.

It is said that legally it is supposed to be released within four months, but such cases are rare.

그게 이제 그 구속사건이 633 제도라고 하는 거예요.

That is what is called the 633 system in the context of the detention case.

구속사건.

Detention case.

그렇습니까?

Is that so?

그러니까 이제 피고인이 구속된 상태에서 재판을 받았을 때는 1심은 2개월.

So now, when the defendant is in custody during the trial, the first instance is two months.

2심, 3심은 3개월씩.

The second trial and the third trial are three months each.

그런데 그것도 잘 안 지켜지는데.

However, that’s not being followed well either.

불구속 사건이라면 더 바랄 것 같아요.

I would expect even more if it's a non-custodial case.

더 바랄 것 같아요.

I feel like I want more.

민사니까.

Because it's civil.

그렇죠.

That's right.

아무래도 조금 나를 지켜야겠습니다.

I think I need to protect myself a little.

하루라도 좀 빨리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I hope it comes out a little earlier than a day.

그리고 제가 장담하건대 문화재 구분은 꼭 경주 지진이라든지 이런 것만 아니더라도 반드시 또 일이 생기게 됩니다.

And I can assure you that the classification of cultural heritage will inevitably lead to more incidents, not just due to earthquakes like in Gyeongju.

또 일이 생기게 됩니다.

Another problem will arise.

어딘가에서 일이 생기게 됩니다.

Something will happen somewhere.

엊그제 공고 보니까 중국에서도 만리장성을 보셨는데 시멘트로 그냥 날라와버렸다고.

I saw the announcement the other day, and it said that the Great Wall of China has just been brought over with cement.

네.

Yes.

우리나라도 저기 서울 성곽을 시멘트로 했다고 이런 얘기가 나왔었습니다.

There were also talks about how our country made the walls of the Seoul fortress with cement.

아니 그건 그때 그 당시에는 사실 그게 최선의 최선의 보존 방안일 수도 있어요.

No, at that time, that might actually have been the best preservation method possible.

그때로서는?

At that time?

그때로서는.

At that time.

그러니까 우리가 지금 기준으로 지금 기준으로 일률적으로 이렇게 과거를 비판할 수만은 없습니다.

So, we cannot simply criticize the past uniformly based on the current standards.

그렇군요.

I see.

예예예.

Yes, yes, yes.

알겠습니다.

I understand.

오늘 참 재미난 이야기를 많이 풀어가 봤는데요.

Today, I've shared a lot of really interesting stories.

좀 아쉽고 다음에 한번 2탄을 기약을 하면서 오늘 두 번째 인물도 이 문화재 전문이자 김태식 기자와 함께 꾸며봤습니다.

It's a bit disappointing, but while looking forward to a second part next time, I've put together today's second feature with cultural heritage expert and reporter Kim Tae-sik.

네.

Yes.

오늘 말씀 잘 들었고요.

I listened well to today's message.

고맙습니다.

Thank you.

예.

Yes.

감사합니다.

Thank you.

수고하셨습니다.

Thank you for your hard work.

하루가 더 빨리 복습하시기 바랍니다.

Please review one day faster.

예.

Yes.

감사합니다.

Thank you.

저도 함께 불러가겠습니다.

I will go together and sing as well.

여러분 감사드리고요.

Thank you, everyone.

자 내일은 이슈통일 방송입니다.

Tomorrow is the issue unification broadcast.

내일 다시 뵙죠.

See you again tomorrow.

고맙습니다.

Thank you.

Continue listening and achieve fluency faster with podcasts and the latest language learning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