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회 - 내로남불! 팔레스타인이 하면 테러, 이스라엘이 하면 정의구현?│야훼께서 남녀노소(어린이) 가리지 않고 쳐 없애라고 하셨다 -여호수아

Moosin Kim

무신과 함께 - 종교논쟁

11회 - 내로남불! 팔레스타인이 하면 테러, 이스라엘이 하면 정의구현?│야훼께서 남녀노소(어린이) 가리지 않고 쳐 없애라고 하셨다 -여호수아

무신과 함께 - 종교논쟁

신은 없다

There is no God.

신은 있다

God exists.

종교는 필요 없다

There is no need for religion.

종교는 필요하다

Religion is necessary.

네 안녕하십니까

Yes, hello.

본격 스펙타클 버라이어티 종교 논쟁쇼

Full-fledged spectacular variety religious debate show

무신과 함께해 김무신

Stay with the divine, Kim Mu-sin.

최선빈입니다

This is Choi Seon-bin.

네 여러분 반갑습니다

Hello everyone, nice to meet you.

최선빈씨 제가

Mr. Choi Seon-bin, I...

인터넷을 보다가

While browsing the internet

이런걸 봤는데

I saw something like this.

어떻게 생각하시나 모르겠는데

I don't know what you think about it.

트위터에

On Twitter

데이비드 알람 파우던 들어보셨나요 혹시

Have you heard of David Allan Paulden by any chance?

오클라우마 사람인데 59년생 남자고요

I am a person from Oklahoma, born in 1959, and I am a man.

자기가 교황이랍니다

He says he is the Pope.

네? 자기가 교황이라고요?

What? You say you are the Pope?

자기가 교황이랍니다

He says he is the Pope.

포브 마이클

Four Michael

미카엘이죠

It's Mikael.

미카엘은

Mikael is

미카엘은 대천

Mikael is a big heaven.

대천사 이름인데

It's the name of an archangel.

대천사 이름은 이름을 안 쓰나요?

Do archangels not use names?

대천사 이름 미카엘 있잖아요

You know the archangel named Michael, right?

라파엘 미카엘

Raphael Michael

그 뭐 성인들 이름 다 따와가지고

It's like taking all the names from adults.

뭐 자기 카톨릭 이름 짓지 않습니까?

Aren't you going to give yourself a Catholic name?

예 짓긴 한데

Yes, I do build (or construct).

뭐 어쨌든 대천사 이름 중에 미카엘인데

Well, anyway, one of the names of the archangel is Michael.

뭐 지으려면 예전에 살아 있었던 사람 이름을 짓지 왜

Why name it after a person who used to live?

대천사를 또 들먹이나 보네요

It seems they're bringing up the archangel again.

마음에 마음에 들었나 보죠

It seems you liked it.

아니 자기가 30명이면 되죠?

No, if it’s 30 people, that’s fine, right?

30명의 확고한 팔로워가 있답니다 30명

I have 30 loyal followers, 30 people.

그리고 자기가 이렇게 투표를 했답니다

And they said they voted like this.

6명이 투표를 해서 자기가 교황으로

Six people voted to make themselves the pope.

선출됐어요

I was elected.

그 중에 두 명이 자기 부모들

Two of them are their parents.

아 부모님이 밀어줬네요

Oh, my parents supported me.

밀어줬는지 안 밀어줬는지 모르죠

I don't know if they pushed or didn't push me.

어쨌든 아빠 찬스 엄마 찬스로 교황님이 되셨네요

Anyway, you became the pope thanks to dad's and mom's chances.

네 교황님이라 이게 포브 마이클이라고

Yes, Your Holiness, this is Forbes Michael.

유튜브 치면은 다큐멘터리가 되죠?

If you search on YouTube, it becomes a documentary, right?

네 네 교황님이라 이게 포브 마이클이라고 유튜브 치면은 다큐멘터리가 되죠?

Yes, yes, Your Holiness. If you search for "Pope Michael" on YouTube, it will come up as a documentary, right?

있어도 있어요 저기 이 사람에 대한 다큐멘터리

There is a documentary about this person over there.

별로 보고 싶진 않네요 궁금하진 않네요

I don't really want to see it, I'm not curious about it.

그렇습니다 그냥 보여서 말씀을 그냥 드려봤습니다

That's right, I just mentioned it because I saw it.

뭐 세상에 여러가지 사람 많으니까요

Well, there are all sorts of people in the world.

많죠 많죠 신어 믿는 사람도 있고

There are many, yes, there are many; some people believe in it.

이번 소식에 우리 좀 할 말이 많으니까

We have a lot to say about this news.

바로 본론으로 가보죠

Let's get straight to the point.

예 그러시죠

Yes, that's right.

아주 전 세계적인 뉴스 parlar이었는데

It was very global news.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또 한 번 붙었습니다.

Israel and Palestine clashed once again.

네, 드디어 제대로 붙나 싶었는데

Yes, I thought it would finally stick properly.

근데 또 며칠 만이죠?

But how many days has it been?

열흘 만에

After ten days

열흘 만에 다시 평화협정을 맺고

After ten days, a peace agreement is reached again.

협정을 맺었던 게 21일이죠. 21일 날 지금부터

The agreement was made on the 21st. From now on, on the 21st...

거기에 대한 이야기를 저희가 부족하나마

We will share our humble thoughts on that.

종교 방송을 자칭하고 있기 때문에

Because it claims to be a religious broadcast.

종교적인 이슈랑 엮어서 얘기를 한 번 해보려고 하는 거죠?

I’m trying to talk about it in connection with religious issues, right?

네네, 저도 항상 여기에 대한 공부를 한 번 해보고 싶었고

Yes, yes, I've always wanted to study this a bit.

도대체 왜 저렇게 싸우나?

Why are they fighting like that?

싸운다는 것만 알았지 왜 싸운지 모르거든요.

I only know that we are fighting, but I don't know why we are fighting.

그래서 전반적인 내용을 한 번 공부를 새로 싹 했고

So I studied the overall content from scratch again.

그걸 한 번 나눠보고자 합니다.

I would like to share that once.

대략적으로 저희가 오일 때문에

Roughly speaking, it's because of the oil.

기름 때문에 서로 싸운다 이렇게만 알고 있지

They only know that they fight because of oil.

자세한 얘기는 모르는 것 같아요.

It seems like I don't know the details.

그런 게 대부분인 거죠.

That's mostly how it is.

대중들이 기름이 중동지역에 많이 나니까

Since oil is abundant in the Middle East, the public...

서로 싸운다 이렇게만 대부분 알고 있었어요.

I mostly only knew that they fight each other like this.

시놉시스 보면

Looking at the synopsis

이게 이번에 왜 싸워왔냐면

The reason we've been fighting this time is because...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반이스라엘 시위를 하는 거를

Palestinian people protesting against Israel.

좀 이렇게 무력 제압을 했다고 해요.

They say they subdued it somewhat with force.

좀 그걸 과하게 제압을 해서

Somehow, they are overpowering it excessively.

열을 받은 하마스가 로켓을 쏘기 시작했고

Angry Hamas started firing rockets.

거기에 이스라엘이 반격을 하느라고

Israel is counterattacking there.

또 같이 쏘기 시작했고

We started shooting together again.

그래서 그 로켓을 쏘기 시작했고

So we started launching the rocket.

그 로켓을 쏘기 시작했고

They started launching the rocket.

그 로켓을 쏘기 시작했는데

They started launching the rocket.

열흘 동안 죽은 사람 숫자가 240명이라고 합니다.

It is said that the number of people who died in ten days is 240.

이게 정말 비극적인데요.

This is really tragic.

사실 명분을 만들어 준 거죠.

In fact, it provided a justification.

이스라엘이 강대국이잖아요.

Israel is a powerful country, isn't it?

면적은 작지만

Although the area is small,

그 인근 나라들 중에서

Among those neighboring countries

군사력이라든지

Such as military power.

자본력이 가장 강한 나라인데

It's the country with the strongest capital power.

근데 사실 한 일각에서는

But actually, in one corner,

그런 얘기도 많아요.

There are many stories like that.

이스라엘이 사실

Israel is actually

그런 명분을 만들기

To create such a justification.

위해서 수작을 부려서

To play tricks for the sake of.

마치 팔레스타인이

As if Palestine is

급습을 한 것처럼

Like a raid.

이렇게 여론에 흘리고

Leaking it like this to public opinion.

그걸 명분 삼아서

Using that as a justification.

공격을 한다.

I will attack.

이러한 얘기도 있고

There are also such stories.

이 부분에 대해서

About this part.

관심이 없으셨거나

You may not have been interested or

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한

For those who may not know well.

계략적인 설명도

A brief explanation as well.

무신 씨가 준비를 잘 하셨다고 해서

Mr. Mushin said you prepared well.

열심히 해왔습니다.

I have worked hard.

저는 그 이면에 있는

I am behind that.

정치, 경제, 종교

Politics, economy, religion

모든 것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져서

Everything is made up of complex factors.

어떤 음모를 가지고 있거나

Having some kind of plot or scheme.

한 쪽의 얘기만 들어서는 안 된다는

You shouldn't listen to just one side of the story.

그런 내용을 설명을 드리려고

I am trying to explain such content.

여러 가지 유튜브 채널도 많이 봤고요.

I also watched many different YouTube channels.

그리고 관련된 영화도

And the related movies as well.

두 편 보고

After watching both.

말씀을 좀 드리려고 합니다.

I would like to say a few words.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So this time,

지난 회와는 다르게

Unlike the last meeting

나름 준비도 열심히 했고

I also prepared diligently in my own way.

뿌듯합니다.

I feel proud.

무신 씨도 저번 트랜스젠더 만큼

Mr. Mushin is just like the last transgender person.

열심히 준비하셨고요.

You prepared diligently.

네.

Yes.

무신 씨도 저번 트랜스젠더 만큼 열심히 준비하셨습니다.

Mr. Mushin also prepared diligently like the last transgender.

무신 씨도 저번 트랜스젠더 만큼 열심히 준비하셨고요.

Mr. Mushin also prepared as diligently as the last transgender.

한번 들어보셔도 괜찮을 거라고 생각됩니다.

I think it would be fine for you to give it a try.

네. 아까 조금만 더 보태자면

Yes. If I could add just a little more to what I said earlier.

팔레스타인에서 미국으로

From Palestine to the United States

이사 오는 친구가 있는데

I have a friend who is moving in.

아, 그래요?

Oh, really?

물어봤어요.

I asked.

이거 준비하느라고

I prepared this for you.

이번에 왜 싸웠냐고 물어보니까

When I asked why they fought this time,

그 친구가 하는 말이

What that friend is saying

라마단이었지 않습니까?

Wasn't it Ramadan?

이번에 무슬림에서 중요한

This time, something important from the Muslims.

한 달 동안 금식을 하는 기간인데

It is a period of fasting that lasts for a month.

그동안에는 모스크 안에 외부인들이

During that time, outsiders in the mosque...

절대 들어가면 안 된다고 해요.

They say you should never go in.

그런데 이스라엘 군인들이

However, the Israeli soldiers...

거기 들어가서 여기서 나가라고

Go in there and get out of here.

무슬림들을 쫓아냈다는 겁니다.

They say they expelled the Muslims.

왜 그랬냐니까

Why did you do that?

열받으라고 시비 건다고 했다고 하는데

I heard they said they were trying to provoke you to get you angry.

어디까지 만든지는 모르겠지만

I don't know how far they've made it, but...

그런 말을 일단 들었어요.

I heard that kind of remark for now.

그렇죠. 그러니까 서로 자신들의 입장에서

That's right. So from each other's perspective.

생각을 하는 것 같아요.

I think that I am thinking.

우리가 이제 사자성어로 내로날려가는 것.

We are now going through a four-character idiom.

내로남불이라고 하죠.

It's called hypocrisy.

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

If I do it, it's romance; if someone else does it, it's infidelity.

그런 게 각 정세적으로 있는 것 같고

It seems that there are such things in each situation.

그런 부분들을 인정을 조금 해야 되는 것 같아서

I think we need to acknowledge those aspects a little.

이건 차차 재미있게 좀 풀어가겠습니다.

I'll take my time and make this enjoyable.

먼저 기략적인 배경 지식

First, some general background knowledge.

일단 먼저 팔레스타인이라는 말을 좀 설명을 드릴게요.

First, let me explain the term "Palestine."

팔레스타인이 이게 지역 이름이거든요.

Palestine, this is the name of a region.

팔레스타인에 사는 사람들은 팔레스타인 사람들인 것이고

People living in Palestine are Palestinians.

여기 팔레스타인 지역은 지중해 있죠.

The Palestinian region is near the Mediterranean.

거기 지중해 안쪽으로 쭉 끝까지 가면

If you go all the way to the end inside the Mediterranean...

이제 거기에 이집트도 있고

Now there is Egypt there too.

거기에 레바논도 있고

There is also Lebanon there.

그 끝까지 가면 이제 거기에 그 내륙에 요단강

If you go all the way to the end, there is now the Jordan River in the inland there.

북쪽과 남쪽을 가로 흐르는 요단강 사이에 있는

between the Jordan River that flows across the north and south

그 약간 위로 길쭉하게 생긴 거기에 있는 땅을 팔레스타인이라고 하고요.

The land that is somewhat elongated and located slightly above is called Palestine.

요단강이 요단강을 건넌다고 할 때 그 요단강입니다.

It is the Jordan River when we say the Jordan River crosses the Jordan River.

제가 요단강의 어원을 좀 찾아봤는데.

I looked up the origin of the Jordan River.

찾아본다고 했는데 그런 게 있더라고요.

You said you would look it up, and it turns out there is such a thing.

요즘 90년대생들은 요단강이 뭔지 모른다.

These days, people born in the 90s don't know what the Jordan River is.

충격적이었습니다.

It was shocking.

옛날 속담같이 좀 잊혀지는 거죠.

It's like an old proverb that is somewhat forgotten.

그래도 요단강이란 말을 안 써요?

Still, don't you use the term "Jordan River"?

요단강 건넌다는 말 요즘에 잘 안 쓰겠죠.

I guess the phrase "crossing the Jordan River" isn't used much these days.

그 요단강 그 요단강을 건넌다는 게

Crossing that Jordan River.

그 찬송가 해보다 더 밝은 저 천국의 후렴구에

In the refrain of that hymn, brighter than the sun, in that heaven.

며칠 후 요단강 건너가 만나리.

A few days later, I will meet you across the Jordan River.

이거 때문에 그런데요.

It's because of this.

요단강이 요단강의 후렴구에 만나리.

The Jordan River will meet in the refrain of the Jordan River.

요단강은 요단강의 후렴구에 만나리.

The Jordan River will meet in the refrain of the Jordan River.

예수님이 세례 요한에게 세례를 받으신 곳이 요단강이고요.

The place where Jesus was baptized by John the Baptist is the Jordan River.

직접 가보진 않았는데 구글로 보니까

I haven't been there in person, but from what I saw on Google...

강이라기보다는 약간 좀 개천에 가까운 그 정도 정도 크기고요.

It's more like a small stream than a river, about that size.

한강 이런 거 상상하시면 안 되고 좀 좀 많이 좁습니다.

You shouldn't imagine something like the Han River; it's actually quite narrow.

요단강이 북쪽에서 쭉 내려가다가

As the Jordan River flows down from the north

예수살렘이 북쪽에서 갈릴리 바다를 형성하고.

Jerusalem forms the Sea of Galilee to the north.

예수살렘이 북쪽에서 갈릴리 바다를 형성을 하는데요.

Jerusalem forms the Sea of Galilee in the north.

예수님이 어부였던 베드로를 처음 만난 곳이죠.

This is the place where Jesus first met Peter, who was a fisherman.

이게 이름이 좀 헷갈리는데 이게 이름이 갈릴리 바다라서

The name is a bit confusing because the name is the Sea of Galilee.

이름이 그런데 이게 사실은 호수입니다.

The name is, but this is actually a lake.

갈릴리 바다는 호수입니다.

The Sea of Galilee is a lake.

호수 헷갈리시면 안 됩니다.

You must not get confused about the lake.

이게 예루살렘에서 한 차타고 북쪽으로 2시간 정도 거리에

This is about a 2-hour drive north of Jerusalem.

갈릴리 호수가 있고요.

There is the Sea of Galilee.

갈릴리 바다.

Sea of Galilee.

그냥 트리비합니다.

I'm just being trivial.

나중에 어디 가서 듣고 아는 척 하시라고.

So that you can go somewhere later and pretend you know.

어 뭐.

Oh, what.

우리 종교인들은 찬송가라고 하죠.

We religious people call it a hymn.

교회에서는.

At the church.

거기에 나와요.

It comes out there.

갈릴리야 호수가에서 고기를 잡던 사람들.

People fishing at the Sea of Galilee.

하면서.

While doing.

호수가라고 노래를 합니까?

Do you sing at the lake?

그렇기 때문에 바다라고 오해할 일은 없죠.

That's why there's no reason to misunderstand it as the ocean.

요단강이 남쪽으로 쭉 내려가서

The Jordan River flows down to the south.

이제 예루살렘 동쪽 쯤에 다다랐는데

Now we have reached somewhere east of Jerusalem.

거기서 또 호수를 형성하면서 끝이 나는데

It ends there while forming a lake.

거기가 그 유명한 사회입니다.

That place is the famous society.

그리고 이 땅이.

And this land is.

네.

Yes.

팔레스타인 요단강과 지중해 사 있는 땅이 팔레스타인이고

The land located between the Jordan River and the Mediterranean Sea is Palestine.

먼저 유대인의 역사에 대해서 좀 말씀을 드릴게요.

Let me first talk a little about the history of the Jews.

여기에 살고 있던 팔레스타인 사람들과

The Palestinians who lived here

여기에 들어오려는 유대인들의 분쟁 아니겠습니까?

Isn't it a dispute involving the Jews trying to enter here?

그러니까 제가 좀 설명을 드리고 싶은 게

So, I would like to explain a little.

도대체 유대인이 어디에 있다 왔길래

Where on earth have the Jews come from?

이 땅이 자기 땅이라고 하는 것인지.

Whether this land is saying it is its own land.

도대체 팔레스타인에 누가 어떻게 살았길래

Who on earth lived in Palestine, and how?

못 나가겠다는 것인지.

Are you saying you can't go out?

이런 것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기 위해서

To explain about these things.

유대인의 고고학적 관점에서 보면은.

From a Jewish archaeological perspective.

유대인들, 이스라엘인들은 가나안 원주민들로 보입니다.

The Jews, the Israelites, appear to be the indigenous people of Canaan.

어디에서도 이스라엘인들이 이집트에서 나왔다거나

There is nowhere that says the Israelites came out of Egypt or...

광야에서 40년을 헤맸다는 고고학적인 증거는 없어요 아직까지.

There is no archaeological evidence that indicates wandering in the wilderness for 40 years.

여기서 말하는 가나안은 현재 팔레스타인 지역 똑같은 겁니다.

The Canaan being referred to here is the same as the current Palestinian area.

지금 팔레스타인 지역이 옛날에 하나님이 약속하셨던 가나안.

The current Palestinian region is the Canaan that God promised long ago.

적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이고요.

It is a land flowing with milk and honey.

그 당시에 유대인들의 생활을 보면은.

Looking at the lives of the Jews at that time.

가나안 사람들이죠.

They are the Canaanites.

가나안 사람들과 거의 유사했는데요.

They were very similar to the Canaanites.

그들의 신애를 섬겼고.

They served their deity.

문자, 톡이 거의 동일했는데.

The message and text were almost identical.

유일한 차이점은 유대인들 주거지에서는 돼지 뼈가 나오지 않았다는 것이

The only difference is that pig bones did not appear in the Jewish living areas.

유일한 차이점이었다고 합니다.

It is said that it was the only difference.

고고학적인 증거가 없다는 것은 어떤 문헌이나 그런 근거가 있는 거죠?

The lack of archaeological evidence means that there is some literature or that kind of basis, right?

제가 이거를 문헌, 근거 다 따져가면서 그렇게 한 게 아니기 때문에.

I didn't do this by carefully considering literature and evidence.

위키페디아에 그럴 수도 있습니다.

It could be on Wikipedia.

위키페디아에.

On Wikipedia.

응.

Yeah.

근거로 써 있는 책이 있거든요.

There is a book cited as evidence.

제가 그 책을 당연히 읽을 시간은 없었다는 점 양해를 부탁드리고요.

I would like to ask for your understanding that I obviously did not have time to read that book.

이거는 다음에 또 관심 있으신 분들은 여기에 대한 주제에 대한 내용은 또 많으니까.

For those who are interested in this topic next time, there is a lot of content about it here.

찬성반대, 찬성반대 많습니다.

There are many pros and cons.

아무튼 그렇습니다.

Anyway, that's how it is.

어쨌든 여기서부터 약간 저랑 의견이 달라지는 거죠.

Anyway, this is where our opinions start to differ a bit.

지금 무신 씨가 한 말에 대해서 아마도 약간의 커먼 센스를 가지신 분들이라든지.

Perhaps those with a bit of common sense might find what Mr. Mushin just said.

이슬람.

Islam.

유대교.

Judaism.

그리고 기독교의 탄생이 모세, 오경, 포라 그런 문서를 통해서 이루어져 있고 거기에 적혀 있는 게 아브라함 공통의 조상을 통해서 모세가 이집트에서 유대인들을 탈출시키면서 이주를 가난으로 한 것 그리고 그 계통이 계속 이어져서 다윗, 솔로몬 이런 식으로 이루어지는 샘계.

And the birth of Christianity occurs through documents like those of Moses, the Pentateuch, and the Torah, which state that Moses led the Jewish people out of Egypt, migrating to Canaan through their common ancestor Abraham. This lineage continues through figures like David and Solomon, forming the Semitic line.

샘계 민족의 이주랑 분포 같은 거를 다.

All about the migration and distribution of the Samgye ethnic group.

알고 있지 않습니까, 사람들이?

Don't you know, people?

그렇게 다 믿고 있을 건데.

They'll believe in everything like that.

최선비 씨가 창세기는 역사적인 사실이 아니라고 하지만 또 출애굽은 역사적인 사실이라고 생각을 하시는 것 같은데 뭐 거기에 대한 딱히 반론은 할 시간이 없고요.

Mr. Choi Seon-bi says that Genesis is not a historical fact, but seems to think that the Exodus is a historical fact. I don't really have time to argue against that.

다음에 얘기하도록 하고.

Let's talk about it later.

제가 본 유튜브에서는.

In the YouTube video I watched...

뭐요?

What is it?

먼저 출처를 말씀드리면 두 선생의 역사공장이라는 채널이 있어요.

First, let me mention the source; there is a channel called "History Factory" by two teachers.

두 선생의 역사공장.

The history factory of the two teachers.

네.

Yes.

거기에 재밌게 표현을 하셨는데 모세 유니버스라고 말씀을 하시더라고요.

You expressed it in a fun way, saying it's the Moses universe.

그래서 우리가 어벤져스 보면 아이언맨이랑 토르랑 전부 다 사는 곳이 다르고 인종도 다른데

So when we watch the Avengers, Iron Man and Thor all live in different places and come from different races.

같은 세계관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같은 영화에서 나오듯이 유대교랑 기독교랑 이슬람교가 같은 모세의 혈통을 인정하고 있기 때문에.

Because they share the same worldview, as seen in the same movie, Judaism, Christianity, and Islam all acknowledge the same lineage of Moses.

그렇습니다.

That's right.

모세 유니버스 안에서 그게 역사적으로도 다들 인정하는 분위기다 이런 내용이라서

In the context of the Moses universe, this is a sentiment that everyone historically acknowledges.

말씀하셨던 고고학적인 근거가 유대인들의 이주에 없다 하신 부분부터가 약간은 핀트가 달라지기 시작하네요.

The part where you mentioned that there is no archaeological evidence for the Jews' migration is where the point starts to go slightly off.

보통 아브라함 종교라고 그러죠.

It's usually called the Abrahamic religions.

아브라함으로부터 비롯되는 세계 종교를 묶어서 똑같은 신인데

The world religions that originate from Abraham are all about the same God.

결국은 이슬람이 믿는 알라와 야회와 다 같은 세계관이라는 게 같은 신인데

Ultimately, the fact that Allah, whom Islam believes in, and Yahweh are the same worldview means they are the same God.

어떻게 다른 방식으로 다들 믿고 있고 싸우고 있고요.

Everyone believes and fights in different ways.

그게 역사적 사실이니 아닌 오늘 중요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을 하는데

I don’t think it’s important today whether that is a historical fact or not.

그러면 넘어가시죠.

Then let's move on.

기원전 천년쯤 돼서 사울에 의해서 이스라엘 왕국이 가난 지방에 건설이 되고요.

Around a thousand years BC, the Kingdom of Israel was established in the land of Canaan by Saul.

이 왕국은 다윗과 솔로몬 왕으로 이어집니다.

This kingdom continues with King David and King Solomon.

이 왕국이 기원전 580년경에 바빌론에 의해서 정복이 되고

This kingdom was conquered by Babylon around 580 BC.

거기에 그때 처음 지었던 성전이 무너지게 되고요.

The temple that was first built there will collapse.

이스라엘의 엘리트들은 바빌로니아, 현재의 이라크에 해당하는 그곳으로 유배를 잡혀간 거죠.

The elite of Israel were exiled to Babylon, which corresponds to present-day Iraq.

잡혀갔었는데 이게 아마도 디아스포라의 시작이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I was taken away, and this seems to have been the beginning of the diaspora.

유대인의 분산이라고 하는 단어가 따로 있더라고요. 놀랐는데

I found out that there is a specific term called the dispersion of the Jews. I was surprised.

디아스포라, 유대인들이 흩어졌다는 것을 뜻하는 단어고요.

Diaspora is a term that means the scattering of the Jews.

쉽게 말하면 난민이죠. 난민 된 거죠. 난민처럼.

To put it simply, I'm a refugee. I've become a refugee. Like a refugee.

그렇죠. 이런 생활은 오래 가지 않았는데요.

That's right. This kind of life didn't last long.

한 50년쯤 후에 바빌론이 무너지고 이스라엘들이 가난 지방으로 돌아갔는데

About 50 years later, Babylon fell, and the Israelites returned to the land of Canaan.

그 사람들이 자기만의 국가를 형성할 수는 없었고

Those people could not establish their own nation.

그 이후로 계속 다른 국가들의 지배를 받으면서

Since then, it has continued to be ruled by other countries.

거기 로마의 지배로 이어지고

It leads to the rule of Rome there.

그 이후로 이스라엘 사람들은, 유대인들은 세계 각지로

Since then, the people of Israel, the Jews, have spread to various parts of the world.

이제 뿔뿔이 흩어지게 됩니다.

Now we will be scattered.

네, 유대인들이 잠깐 첨언을 드리면

Yes, if I may add a brief comment about the Jews.

성경에 나와 있는 대로 유대인들은 아시다시피

As the Bible says, the Jewish people are, as you know.

기독교인이 믿는 구약, 신약 이걸 인정을 하지 않고

The Old Testament and New Testament that a Christian believes in without recognizing this.

기독교인들이 구약이라고 부르는 타나크 정경을 유일하게

The only canon that Christians refer to as the Old Testament is the Tanakh.

본인들의 경전으로 인정을 하고 있는데

They acknowledge it as their own scriptures.

거기에 이스라엘 쪽에 하느님이 계시고

There is God on the side of Israel.

하느님이 계시는 성전을 상당히 중시히 여겼다고 해요.

It is said that they placed great importance on the temple where God resides.

그래서 솔로몬 왕 때부터 지었던 성전을 침략에 의해서

So, the temple built since the time of King Solomon was invaded.

무너지면 또 짓고 또 짓고 또 짓고 그 짓거리를 계속하는 거죠.

If it collapses, we build it again, and again, and we keep doing that.

그러다가 로마가 침략했을 때 무너진 다음부터는

After Rome invaded and it collapsed, from then on

그 다음에는 또 짓지 않고 남아있는 게 통곡의 벽이라고

After that, the remaining structure without further construction is the Wailing Wall.

그게 조금 상징적으로 남아있는 거죠.

That's remained somewhat symbolic.

믿음에 대해서 잘 깊이는 모르는데

I'm not very well-versed in faith.

거기 성전 안에 하느님이 사는 걸로 되어 있는 것 같더라고요. 그렇죠?

It seems that God is said to dwell inside the temple, right?

맞아요. 맞아요. 그렇게 믿고 있었었죠.

That's right. That's right. I believed it that way.

그렇게 믿고 있어서 계속 성전을 지었었는데

I believed that way, so I kept building the temple.

기독교인들은 다르게 해석을 하는 거죠.

Christians interpret it differently.

하느님은 어떠한 건물이나 어떠한 장소에 매어 계시는 분이 아니고

God is not bound to any building or any place.

믿음 있는 곳에 항상 계시는데

You are always in a place of faith.

유대인들은 잘못된 믿음을 가지고 성전을 계속 지었기 때문에

The Jews continued to build the temple because they held onto a mistaken belief.

하느님이 그것을 계속 무너뜨리셨던 거다.

God kept bringing it down.

라고 해석을 하는 분도 계세요.

Some people interpret it that way.

뭐 하느님이 지으라고 했는데 그건 또 무슨 소리입니까?

What do you mean by "God told us to create that"?

아무튼 거기 주목하실 만한 게

Anyway, there's something worth noting there.

거기 예수님께서 돌아가실 때 성전의 휘장이 찢어지지 않습니까?

When Jesus died, didn't the veil of the temple tear?

그것도 어느 정도의 상징적인 의미가 있는 것 같아요.

I think it has a somewhat symbolic meaning as well.

동일한 해석인 거죠.

It's the same interpretation.

그게 성경 신약에 적혀 있잖아요.

It's written in the New Testament of the Bible.

그래서 지난주에 말씀하셨던 구약을 패했다.

So last week, you mentioned that the Old Testament was abolished.

이런 것도 연관이 될 수도 있는 거고

This could also be related.

어쨌든 그러한 곳에 매열셨는데

Anyway, you were stuck in such a place.

저 있으신 분이 아닌데 성전을 지으라고는 하셨지만

"You said to build the temple, even though I am not the one who has it."

그 성전에서만 나를 만날 수 있다고 하신 거는 절대 아니에요.

You definitely cannot say that you can only meet me in that temple.

솔로몬도 하셨을걸요.

Solomon probably did it too.

아니에요. 아니에요.

No. No.

성전을 다 짓고 나서 하느님께

After completing the entire temple, to God

성전이 여기서만 계신 게 아니라고 얘기를 했고

I told them that the temple isn't only here.

그런 부분이죠.

That's the part.

저런 건 제가 모르니까 넘어가겠습니다.

I don't know about that, so I'll pass on it.

이후로 유대인들이 세계 각지에서

Since then, Jews have been in various parts of the world.

자신들의 종교와 풍습을 유지하며 지냈는데요.

They lived while maintaining their own religion and customs.

이들이 딱히 무슬림과 선천적으로 반복한 거 아니었습니다.

They didn't specifically repeat it with Muslims by nature.

이슬람이 태동하기 시작한 700년대

The 700s when Islam began to emerge.

서기 700년대 유럽에서 오히려 유대인들이 전성기를 보냈다고 하고요.

In the 700s, it is said that Jews experienced a golden age in Europe.

가난 지역에서도 오랜 기간 동안 무슬림과 유대인들은 화목하게 잘 지내왔고

In impoverished areas, Muslims and Jews have lived together in harmony for a long time.

오히려 십자군 전쟁 때 아랍인들과 유대인들이 힘을 합쳐서

Instead, during the Crusades, the Arabs and Jews joined forces.

크리스천들로부터 예루살렘을 지키기 위해서 함께 싸웠다고 합니다.

It is said that they fought together to protect Jerusalem from Christians.

여기서 한번 짚고 넘어가고 싶은 부분이

There's a part here that I want to touch on and go over.

고등학교 때 세계사 시간에 잠깐 본 이후로

Since the brief time I saw it during world history class in high school.

처음으로는 고등학교 때 세계사 시간에 잠깐 본 이후로 처음으로는

For the first time since I briefly saw it during world history class in high school.

처음 봅니다.

Nice to meet you for the first time.

그냥 십자군 전쟁하면 크리스천이랑 무슬림이랑 싸웠구나 이렇게만 생각했는데

I just thought that the Crusades were simply a fight between Christians and Muslims.

이게 교황 우르바노 이세가 하나님께서 원하신다는 말과 함께

This is along with the statement that Pope Urban II desired from God.

성지 탈환을 위해서 일으킨 전쟁이라고 하네요.

They say it is a war waged to reclaim the holy land.

이 십자군이 예루살렘까지 진군하는 과정에서

In the process of this crusade marching to Jerusalem

예수님의 복수를 한다면서 유대인들을 학살했습니다.

They massacred the Jews, claiming it was to take revenge for Jesus.

그랬죠.

That's right.

이거를 천년 또 한번 까고 넘어가고 싶은데

I want to peel this off once again for a thousand years.

이건 안 깔 수가 없습니다.

This cannot be ignored.

이거를 종교를 믿어야 된다고 자꾸 말씀을 하시는데

You keep saying that we have to believe in religion.

이게 종교를 믿은 결과입니다.

This is the result of believing in religion.

시간에 세례를 받은 무슨 잘된 종교를 믿으라고 한다는데

It is said that I should believe in some successful religion that has been baptized in time.

이건 천년 이후입니다.

This is a thousand years later.

종교가 생긴지 크리스천이 생긴지

Since the beginning of religion or since the emergence of Christians?

천년이 지나서도 하는 짓거리 보십시오.

Look at the things they do even after a thousand years.

2000년 3000년 지난다고 똑같을 것 같습니까?

Do you think it will be the same in 2000 years or 3000 years?

무슨 소리예요?

What are you talking about?

인간이 그나마 지금

Human beings are still somewhat now.

인간이 그나마 윤리관에 대한 발전을 했기에 망정이지

It's fortunate that humans have made some progress in their ethical perspectives.

저거는 하나님의 이름으로 하는 짓거리 보십시오.

Look at what they are doing in the name of God.

제가 이걸 보면서 억장이 무너지고 속이 터져가지고

I felt crushed and my insides were boiling as I watched this.

한마디 꼭 하고 넘어가야 돼서

I have to say something before moving on.

혹시 할 말 있으시면 반론하시고 넘어가겠습니다.

If you have something to say, feel free to rebut, and I will move on.

물론 그러한 과오가 있었고

Of course, there were such mistakes.

그러한 부분들이 문제가 있기 때문에 바로잡아지고 있는 거잖아요.

Those issues are being corrected because there are problems in that regard.

그게 교황이 하느님이 계시라고 얘기를 하는 것도

That the Pope says that God exists is also...

얼마나 위험성이 있는지 그때 부터

How dangerous it is since then.

종교라든지 교황의 권력과 권한

The power and authority of religion and the Pope.

이런 부분들을 분리하게 된 거고

These parts have been separated.

또 교황이 실수할 수도 있는 부분들이 인정이 되기 때문에

It is acknowledged that the Pope can also make mistakes.

요즘에는 무료선이라고 하죠.

These days, they call it a free line.

그런 부분들이 철저하게 좌지우직할 수 없게끔

Such aspects cannot be thoroughly controlled.

절차가 세워진 거고

The procedure has been established.

뭐 그런 부분들이 있는 거죠.

Well, there are those aspects.

네 저렇게 이제 모든 이제 과오를 청산하는 건

Yes, now clearing all the past mistakes like that is...

모두 인간의 일이고요.

It's all human work.

인간이 책임이고.

Humans are responsible.

그 하느님의 이름으로 했던 것은 전쟁이고 그렇죠.

What was done in the name of that God was war, right?

하느님의 이름이지만 하느님이 시켰다고는 아무도 알 수 없잖아요.

It's the name of God, but no one can know that God commanded it.

알겠습니다.

Understood.

이 가난한 지방에서 그 팔레스타인 지방이죠.

This is the poor region, that is Palestine.

여기서 이 지역을 중점적으로 보자면

If we focus on this region here,

여기 어떤 독립된 국가가 있었던 적은

There was once an independent nation here.

거기 유대인들이 만들었던 킹덤 오브 주다

The Kingdom of Judah that was created by the Jews there.

그게 마지막이었던 것 같고요.

I think that was the last time.

기원전 500년 전에 바빌론에 무너졌던 그 국가 이후에는

After the nation that collapsed in Babylon 500 years before Christ,

여기 이 지역이 어떤 독립된 국가가 만들었던 것을 못 찾았습니다.

I couldn't find anything that was made by an independent country in this area.

제가 역사가 아니라서 정확하게 말씀 못 드리는 점 양해 부탁드리고요.

I apologize for not being able to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as I am not a historian.

인접한 이집트나 이라크에는 독립된 국가의 역사가 있었는데

Adjacent Egypt and Iraq had the history of independent states.

팔레스타인에는 팔레스타인 만의 국가는 없었던 것 같아요.

It seems that there has never been a state solely for Palestine.

아무튼 이 지역은 그 이후로 바빌론 페르시아 그리스 로마 십자군 아랍 이집트 등

Anyway, this region has since been influenced by Babylon, Persia, Greece, Rome, the Crusades, Arabia, Egypt, etc.

여러 나라와 세력에 의해서 지배를 되는데요.

It is being governed by various countries and powers.

가장 최근에 이 지역을 정리한 것 같아요.

It seems like this area was cleaned up most recently.

팔레스타인 지역을 점령했던 나라는 오토만 제국이고요.

The country that occupied the Palestinian region was the Ottoman Empire.

거의 뭐 한 700년, 800년 동안 있었던 거대한 제국이죠.

It's a huge empire that lasted for about 700 to 800 years.

이 팔레스타인 지역의 비극은 제가 볼 때는 이 세계 1차 대전이 끝나면서

The tragedy of this Palestinian region, in my view, began with the end of World War I.

오토만 제국의 영토를 승전...

The territory of the Ottoman Empire was victorious...

오토만, 오토만 하니까 모르시는 분들이 많을 것 같아갖고

Ottoman, because it's Ottoman, I think there are many people who might not know about it.

오스만 투르크라고 하죠.

They are called the Ottoman Turks.

그 터키의 전신인을 말하는 겁니다.

I'm talking about the telegraph operator from Turkey.

오스만 투르크네.

Ottoman Turks.

이 제국이 영토를 승전국들이 나눠 가지면서

As this empire's territory is divided among the victorious nations,

오스만 투르크네. 이 제국이 영토를 승전국들이 나눠 가지면서

The Ottoman Turks. As the victorious nations divided the territory of this empire...

이게 시작된 것 같은데 아주 익숙한 스토리죠.

It seems like this has begun, a very familiar story.

전쟁이 끝나고 자기들 마음대로만이죠.

After the war is over, they can do as they please.

우리나라가 생각이 나더라고요.

I was reminded of our country.

그러니까요. 이게 너무나 닮아 있어서

That's right. It's so similar.

우리나라가 옛날부터 약자의 위치에 많이 있었잖아요.

Our country has often been in a position of weakness since ancient times.

사실 우리 민족성 자체가 그렇게 공격적이지 않고

In fact, our national character itself is not that aggressive.

더불어 잘 사는 단군 왕조의 기조대로

According to the foundation of the Dangun dynasty of living well together.

홍익인간의 정신으로 평화롭게 흰옷을 입으면서 사는 민족인데

We are a people who live peacefully in white clothes with the spirit of Hongik Ingan.

계속 쳐들어오고

Keep attacking.

그러한 역사들 때문에 약자의 편에 왠지 생각을 하게 되더라고요.

Because of such histories, I tend to think on the side of the weak.

그래서 보면 팔레스타인이 약자이지 않습니까?

So if you look at it, isn't Palestine the weaker party?

그래서 팔레스타인의 입장을 대변을 좀 많이 하게 되더라고요.

So I tend to represent the position of Palestine quite a lot.

영국이 팔레스타인, 이집트, 요르단 등등 중동지방을

Britain in the Middle East, including Palestine, Egypt, Jordan, etc.

전쟁 후에 영국이 이 지방을 접수를 하게 됩니다.

After the war, Britain will take control of this area.

그리고 이 지방이 독립국가로 작동할 때까지

And until this region operates as an independent country.

좀 신탁통치를 한 것 같은데요.

It seems like a bit of a trusteeship.

용어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점 다시 한번 양해 부탁드리고요.

I ask for your understanding once again regarding the lack of accuracy in the terminology.

그냥 얼추 이렇게 진행됐다 정도로 이해해 주십시오.

Just understand that it roughly proceeded like this.

감사합니다.

Thank you.

아무튼 이집트와 요르단 등 주변 국가들은

Anyway, neighboring countries like Egypt and Jordan are...

결국 각각의 국가로 독립을 하게 되지만

In the end, each country becomes independent.

이게 유대인들의 뒷공작 때문인지

Is it because of the Jewish people's behind-the-scenes efforts?

아니면 독립된 정부를 가진 적이 없어서인지

Or perhaps it is because they have never had an independent government.

팔레스타인이 금방 독립을 못합니다.

Palestine will not be able to gain independence anytime soon.

이때 그렇게 어영부영 신탁 영국의 지배하에 지내다가

At this time, while living in a vague and uncertain manner under British rule...

세계 2차 대전의 종전과 맞물려서

Coinciding with the end of World War II.

이 지역이 유대인의 손에 넘어가 버리게 되고요.

This area will fall into the hands of the Jews.

그렇게 1948년에 이스라엘이 설립되고,

In that way, Israel was established in 1948,

예루살렘을 비롯한 팔레스타인 지역을 유대인들이 차지하게 된 건데

The Jews occupied the Palestinian region, including Jerusalem.

이 부분을 조금만 더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I will explain this part in a little more detail.

그 설명 부분 이제 거의 다 끝나가거든요.

That part of the explanation is almost finished now.

사실 유대인들이 팔레스타인 지역을 먹으려고 한 게

In fact, the Jews were trying to take over the Palestinian region.

어제오늘이 아닙니다.

It's not just yesterday and today.

그 자이오니즘이란 게 있습니다.

There is something called Zionism.

자이오니즘.

Zionism.

시온주의라고 하죠.

It's called Zionism.

시온주의라고 합니까? 감사합니다.

Is it called Zionism? Thank you.

저기 번역기가 있네요.

There's a translator over there.

유대인들이 다시 유대인들의 땅으로 돌아가서

The Jews return to the land of the Jews.

유대인들의 국가를 세우고,

Establish a state for the Jews,

국가를 세워야 한다는 이데올로기입니다.

It is an ideology that we must establish a nation.

19세기 말경에 대두되기 시작했는데

It began to emerge around the end of the 19th century.

아마도 그때쯤에 세계적으로 반유대인 정서가 강해져서

Perhaps by that time, anti-Semitic sentiment had intensified globally.

나오기 시작했던 사상인 것 같고요.

I think it's an ideology that started to emerge.

이 유대인들이 시온주의자겠죠.

These Jews must be Zionists.

처음부터 팔레스타인을 바로 목표로 삼은 건 아니었고,

It wasn't that they initially aimed directly at Palestine,

여러 장소를 물색을 하고,

Searching for various locations,

여러 세력들 간의 조율도 하고 했었는데

I was also involved in coordinating among various groups.

결과적으로는 그 목적지가 팔레스타인,

As a result, the destination is Palestine.

그 바로 약속의 땅이었던 가난이 됐고요.

It became the promised land of Canaan.

아, 그런 건가요?

Oh, is that so?

저는 그런 부분이 있었다는 것은 몰랐고,

I didn't know there were such parts.

본인들이 믿는 타나크 전경에 따라서

According to the Tanakh perspective they believe in.

예루살렘이 성지이기 때문에

Because Jerusalem is a holy place

예루살렘이 있는 가난 지역,

The region of Canaan where Jerusalem is located,

옛날부터 가난으로 가라고 했었으니까

They said to go because of poverty since ancient times.

그래서 가난 지역으로 가야 된다는 것이

So it means we have to go to a poor area.

시온주의의 근본으로 저는 생각을 했었거든요.

I had thought about the foundation of Zionism.

네, 제가 볼 때는 어딘가 일단 그게 좋았겠죠.

Yes, it seems to me that it must have been good somewhere.

하지만 그게 여의치 않으니까

But that's not possible.

좀 어디라든지 가자는 시기였던 것 같아요.

I think it was a time to go somewhere, no matter where.

그래서 여기저기 여러 가지 땅을 알아봤던 것 같아요.

So I think I looked into various pieces of land here and there.

그래도 뭐 마음대로 골라갈 수 있었다면

Still, if I could have chosen freely...

그냥 가난으로 가고 싶었겠죠, 당연히.

They probably just wanted to live in poverty, of course.

부동산 다니면서 복구인이 정해주듯이

As if the restorer is appointed while going through real estate.

이 집, 저 집, 이 땅, 저 땅 다니다가

Traveling through this house, that house, this land, and that land.

하필이면 기름도 안 나고

Of all times, it just doesn't come out.

제일 분쟁이 심한 중심지에다가 정했네요.

You've chosen the most disputed central area.

저기 어디, 저기.

Over there, over there.

마탄이나 이런 데 갔으면 좋았을 텐데 말이죠.

I wish we could have gone to a place like that.

대박이었을 텐데.

It must have been a big hit.

뭐 그쪽은 또 본인들의 태생과는 전혀 무관한 곳이니까

Well, that's a place that has nothing to do with their own origins.

약간 연관성이 없었을 것 같아요.

It seems that there might have been a slight lack of relevance.

농담이었습니다.

It was a joke.

아, 네.

Ah, yes.

어쨌든 그쪽으로 정하는 중심에는

Anyway, at the center of the decision on that side is...

시온주의자들, 유대인들의 결정만 있었던 건 또 아니었었죠.

It wasn't just the decision of the Jews that influenced the Zionists.

벨프워 선언이라고 해서.

It's called the Balfour Declaration.

네네, 네네.

Yes, yes.

1977년에 벨프워 선언.

The Belfast Declaration in 1977.

그 시온주의자,

That Zionist,

유대인들이 그 당시에 여러 식민지를 갖고 있던 영국에

Jews in Britain, which had several colonies at that time.

좀 로비를 열심히 했던 것 같아요.

I think I worked hard on the lobbying.

거기서 이제 이런저런 오퍼를 주고받다가

While exchanging various offers over there,

뭐 까기도 하고 말이죠.

Well, you know, it happens.

유대인들이 뭐 이거 싫다.

Jews don't like this.

까고 뭐 이렇게 해달라 하고 하다가

Peeling and asking for things like this, and then

1917년에 이제 영국의 상황이 좀 급해졌던 것 같습니다.

In 1917, it seems that the situation in Britain became quite urgent.

1차 세계대전에 유대인들에 좀 도움을 좀 넣기 위해서

To provide some assistance to the Jews during World War I.

벨프워 선언이라는 걸 했는데요.

There was a declaration called the Balfour Declaration.

이제 전쟁이 끝나면 팔레스타인에 유대인들의 나라를 세워주겠다고

Now, after the war is over, they say they will establish a Jewish state in Palestine.

약속을 한 겁니다.

I made a promise.

이 약속을 바로 이행하지는 않았는데

I didn't immediately fulfill this promise.

이 이후로 이제 유대인들이 꾸준히 팔레스타인으로 이주를 하기 시작을 해요.

After this, the Jews began to steadily immigrate to Palestine.

그때부터 이제 크고 작은 분쟁이 벌어지죠.

From then on, both large and small disputes began to arise.

이제 계속 유대인들이 막 들어오니까

Now that the Jews are coming in continuously...

이제 좀 동네에서 팔레스타인에서 좀 어깨에 힘 좀 주는 사람들이

Now, there are some people in the neighborhood from Palestine who are a bit confident.

야 뭐야 이거 우리 동네인데 너희들 왜 자꾸 오는 거야 해서 좀 싸웠겠죠.

Hey, what's this? It's our neighborhood, so why do you guys keep coming here? We probably fought a bit about that.

그렇게 좀 분쟁이 일어나다가

As such, a dispute broke out.

1936년에 팔레스타인에 사는 아랍인들이 이제 반란을 결국 일으킵니다.

In 1936, the Arabs living in Palestine eventually rise up in rebellion.

영국 신도에.

British believer.

신탁 영국에 이제 결국은 식민지배죠.

The trust is essentially colonial rule over the UK now.

자기들 이제 식민지배를 이제 끝내달라.

Please end the colonial rule now.

그리고 유대인들이 여기에 못 오게 해라라는 것을 이제 기치로 이제 반란이 일어납니다.

And now a rebellion arises under the banner of "prevent the Jews from coming here."

그게 뭐 성공을 하지는 않았던 것 같고.

I don't think it was a success.

사실 상당히 그 팔레스타인 입장에서는 불리한 내용들이 많아요.

In fact, there are many points that are quite unfavorable for the Palestinian perspective.

벨프워 선언 같은 경우에도 황당하죠.

The Balfour Declaration is also ridiculous.

뭐 영국이 예전에는 대형제국이었지만

Well, the UK used to be a large empire in the past.

점점 그 위치를 미국과

Gradually that position with the United States.

소련에 뺏기고 있고 점점 자금력이 딸리다 보니까

It was taken over by the Soviet Union, and as funds continue to dwindle, it's becoming more difficult.

유대인들한테 손을 벌린 거고

You are reaching out to the Jews.

유대인들이 그때의 대부업으로 대박이 났으니까.

The Jews made a fortune from the loan sharking of that time.

그리고 48년에 UN 결의가 있을 때도

And even when there was a UN resolution in '48.

그때 영토를 보면 이스라엘..

At that time, looking at the territory, Israel...

그러니까 유대인들이 60만 명 정도였고

So, there were about 600,000 Jewish people.

팔레스타인 그때 당시에 거주하고 있던 사람들이 160만 명이었다고 해요.

At that time, it is said that there were 1.6 million people living in Palestine.

훨씬 많았죠.

It was much more.

그런데 유엔 결의 때 영토 분할을 하게 되면 이스라엘이 그 영토의 56%를 가지게 되고 팔레스타인이 43% 정도를 가지게 되었다고 해요.

However, it is said that if there is a territorial division under the UN resolution, Israel would occupy about 56% of the territory, while Palestine would have about 43%.

그러니까 인구를 고려하지 않은 영토 분할이니까 당연히 팔레스타인으로서는 말도 안 되는 일인 거고 그렇게 자기의 정당한 주장을 했는데도 불구하고 전 세계적인 정세나 자금의 힘에 의해서 결국에는 이스라엘이 유리하게 가게 되는 거고.

So, since it's a territorial division that does not take the population into account, it is obviously nonsensical for Palestine, and despite making its rightful claims, in the end, due to the global situation and the power of money, it ultimately benefits Israel.

하지만 이에 동의하지 않는 주변 국가들, 주변의 아랍 국가들, 요르단, 시리아, 레바논, 이집트 등이 이스라엘을 상대로 전쟁을 벌이게 되고요.

However, neighboring countries that do not agree with this, such as the Arab countries around it, Jordan, Syria, Lebanon, and Egypt, will engage in war against Israel.

그 뒤로 많은 일들이 있었습니다. 팔레스타인 사람들끼리도 뭉치고 합치고 여러 정부도 만들고 이렇게 했는데 결국 크게 보면 아직까지 그때의 싸움이 아직도 이어지고 있는 겁니다.

Since then, many events have occurred. The Palestinian people have united and combined, even forming various governments, but when viewed on a larger scale, the struggle from that time is still ongoing.

네, 사실 중동전쟁이라고 우리가 부르기도 하는데.

Yes, in fact, we also refer to it as the Middle Eastern War.

크게는 4차례, 4번에 걸쳐서 중동전쟁이 일어났었고 그때 이스라엘이 이긴 적도 있고 다른 중동국가들이 이긴 적도 있고 그런 식으로 운영이 되다가

There were four major occasions when the Middle Eastern wars occurred, during which Israel won some times and other Middle Eastern countries won at other times, and it continued to operate like that.

나중에는 막강한 자본력과 군사력 그리고 미국의 힘을 얻는 이스라엘이 지금은 상대도 안 되게끔 제일 최근에 일어났던 4차 전쟁에는 거의 한 일주일인가? 일주일 만에 모든 중동지역을 다 제압을 해버려가지고

Later, Israel, which gains strong capital and military power and the support of the United States, dominated the entire Middle East in nearly just a week during the most recent Fourth War, to the point where it was no longer comparable to others.

이제는 이게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될 수도 있겠다. 왜냐하면 강대국들이 개입을 하기 시작하는 거죠.

Now this could become a problem worldwide because the major powers are starting to get involved.

중동지역이 워낙 중요한 군사적 또는 지리적 요건이 있잖아요. 거기에 스웨즈 운하도 있고 UN이 결국엔 중재를 하게 되고 이스라엘이 어느 정도 합의하면서 지금의 상황이 이루어진 건데

The Middle East is very important due to its military and geographic requirements. There is also the Suez Canal, and ultimately the UN mediates, leading to a situation where Israel reaches some agreement, resulting in the current circumstances.

어쨌든 이스라엘이 유대인들이 참 대단하다고 해야 될지 예전에 역사 얘기를 계속 했었지만

Anyway, Israel has to say that the Jews are truly remarkable; although I've talked about history in the past.

디아스포라가 이루어진 이후부터 거의 한 2000년 가까이를 본인들의 나라 없이 난민이죠. 난민인 상태에서 여기저기 떠돌면서 인구를 조금 늘리면 또 학살당하고 차별당하고 멸시당하고

Since the diaspora, they have been refugees without their own country for nearly 2000 years. While wandering around as refugees and slightly increasing their population, they face massacres, discrimination, and contempt.

그러면서도 전 세계의 모든 자본력과 언론계, 방송계, 영화계에 장악을 했지 않습니까?

Yet, haven't they seized control of all the capital power in the world as well as the media, broadcasting, and film industries?

그런 걸 보면 진짜 선택받은 민족인가? 선민사상에 입각해서

When I see things like that, I really wonder if we are the chosen people? Based on the idea of chosenness.

그런 건가 싶기도 하고 참 대단한 민족인 것 같아요. 제가 알기로는 유대인들이 처음에 할 수 있는 게 많이 없잖아요. 인구도 적고 거기다가 기술력이 있는 것도 아니고 해서 대부업을 했었다고 해요.

I wonder if that's the case, and I think they are truly an amazing people. As far as I know, Jews initially had very few options. Their population was small and they didn’t have much technological skill, so they resorted to money lending.

처음에 디아스포라가 이루어진 다음에 각 지역에 떠돌면서 대부업을 시작을 했는데 그게 지금도 상당히 유망한 직종이지 않습니까? 돈 빌려주고 이자 붙여서 돈 받고.

Initially, after the diaspora occurred, people wandered to various regions and started engaging in money lending, which is still a quite promising profession, isn't it? Lending money and collecting interest.

그 짓을 예전부터 알았던 거죠. 그래서 그걸로 돈을 많이 불린 다음에 각계 각층의 주요 인사가 돼서 세계를 컨트롤하고 있는 거고

I’ve known about that act for a long time. So, after making a lot of money from it, I became a major figure in various fields and am now controlling the world.

유대인들을 하면 딱 떠오르는 생각이 피해자죠. 피해자, 약자. 그리고 뭔가 모르게 좋은 이미지가 있어요. 그게 우리들이 세뇌가 된 거죠.

When thinking of Jews, the first thought that comes to mind is of them as victims. Victims, the weak. And for some reason, there is a positive image associated with it. That is the brainwashing we have undergone.

좋은 이미지는 제가 볼 땐 한국에서 유별난 것 같고 미국에서는 유대인이라고 하면 별로 좋게 보지는 않아요.

I think a good image is somewhat unusual in Korea, and in the U.S., being Jewish is not generally viewed positively.

놀림의 대상이 많이 되고요.

I often become the target of teasing.

그래요?

Is that so?

좀 그렇습니다.

It's a bit uncomfortable.

어쨌든 저는 대한민국에서 살고 있고 또 대한민국의 대부분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그런 것 같아요.

Anyway, I live in South Korea and I think that's why I am mostly influenced by South Korea.

보면 방송계나 레리킹, 유명한 토크쇼 진행자, 영화계 스피드붐 스피드버그, 유대인들의 학살에 대한 이야기로 아카데미 상을 받았었잖아요. 신들러 리스트라고.

If you look at it, there are figures in the broadcasting industry like Larry King, a famous talk show host, and in the film industry like Steven Spielberg, who received an Academy Award for a story about the massacre of the Jews. It was called Schindler's List.

네.

Yes.

스티븐 스피드버그가 유대인이니까 당연히 그렇게 얘기를 쓴 것 같고 금융계도 JP모건이라든지 전부 다 유대계 돈이 다 운영이 되고 있고.

Since Steven Spielberg is Jewish, it seems natural that he would talk about it like that, and in the financial sector too, places like JP Morgan and all are operated with Jewish money.

그리고 우리가 영어 공부할 때 많이 보는 시트콤 있죠. 프렌즈. 프렌즈도 유대인이 만들었죠. 거기에 보면 아예 출연하는 그 남매 있잖아요.

And there's a sitcom that we often watch when studying English, right? Friends. Friends was also created by Jewish people. There are those siblings who appear in the show, remember?

네.

Yes.

그 남매가 유대인이에요. 유대인. 그래서 크리스마스 때 크리스마스에 대한 에피소드를 만들지 않고 한우카라고 하는 유대인 에피소드를 그냥 만들어버리죠.

Those siblings are Jewish. Jewish. So instead of creating an episode about Christmas during Christmas, they just make an episode about Hanukkah, which is a Jewish holiday.

그리고 멘트도 있어요. 예수님 보고 당신이 예언자가 아니라는 거 알고 있다. 이런 식으로 아예 대놓고 방송을 해버리고 있죠.

"And there are also comments. They openly broadcast things like, 'Jesus, I know that you are not a prophet.'"

그런 식으로 유대인들에게 좋고 유대인들이 약자고 유대인들에 대한 내용을 넣기 때문에 사람들이 좀 약자라고 보는데.

Because it portrays Jews in a positive light, represents them as the underdog, and includes content about Jews, people tend to see them as somewhat weaker.

저는 또 제가 자주 보는 유튜브 채널이죠. 조승연 작가가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이 있어요.

I also have a YouTube channel that I watch frequently. There is a YouTube channel run by author Jo Seung-yeon.

작년 9.11 테러.

The September 11 attacks last year.

네.

Yes.

테러의 테러리즘에 대한 내용으로 세 편 정도 영상을 만들었는데 그중에 두 편이 상당히 연관이 좀 되어 있었던 게 아라비아의 로렌스라고 하는 영화를 주제로 이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분쟁이 중동지역에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거기에 나오는데 그 영화를 한번 봤습니다. 영화를 봤는데 옛날 영화예요. 상당히 옛날 영화인데.

I made about three videos related to terrorism and among them, two were quite connected, themed around the movie "Lawrence of Arabia". It discusses how the Palestinian and Israeli conflict occurred in the Middle East, and I watched that movie. I saw the movie, but it's an old film. It's quite an old movie.

저희는 태어나지도 않았을 때네요.

We weren't even born yet.

그렇죠.

That's right.

이 티 로렌스라고 하는 실존 인물인데 영국인이고 역사학자예요. 역사학자인데 이 티 로렌스가 1차 대전 당시에 스파이 역할을 했었어요.

This is T. Lawrence, a real person who was British and a historian. He was a historian, but T. Lawrence also played the role of a spy during World War I.

그런데 이 사람이 왜 이제 주목받느냐 하면 이 사람에 대한 평가가 상당히 나뉜다고 하는데 영국에서는 1차 대전의 전쟁 영웅이고 중동에서는 이 사람 때문에 이 사람이 그때 당시에 한 마구잡이 약속 때문에 현재까지 갈등이 일어나고 있고 그 갈등을 일어나게 한 원흉이다.

However, the reason this person is now gaining attention is that the evaluations of him are quite divided; in Britain, he is considered a war hero of World War I, while in the Middle East, he is seen as the culprit for the ongoing conflicts due to the reckless promises he made at that time.

이렇게 평가를 받는다고 해요.

They say that this is how the evaluation is conducted.

그때 당시에 이제 영국 신민지가 여러 개가 있었지 않습니까? 이집트도 있고 인도 쪽에도 있고.

At that time, there were several British colonies, right? There was Egypt and also in India.

이 로렌스라는 사람이 당시에 이제 중동지역의 역사라든지 이런 걸 관심이 많아서 전쟁이 일어나기 전에도 그 지역에 많이 가고 또 아랍어를 잘한다고 해요.

This person named Lawrence was very interested in the history of the Middle East at that time, so even before the war broke out, he went to that region a lot and is said to be good at Arabic.

그래서 전쟁이 일어나니까 그때 당시에 설명하셨던 오스만 투르크.

So when the war broke out, the Ottoman Turks you mentioned at that time.

터키가 근대화를 하던 시기라서 상당히 내전도 많았던 거죠.

It was a time when Turkey was modernizing, so there were quite a few civil wars.

네.

Yes.

마침 전쟁이 일어나니까 독일 편에 붙을지 영국 프랑스 편에 붙을지 선택을 했었어야 됐대요.

Since the war broke out, they said I should have chosen whether to side with Germany or with Britain and France.

그런데 독일이 자기 편에 붙어라.

However, Germany, come to our side.

이런 식으로 하니까 터키가 독일 편에 붙어버린 거죠.

By doing this, Turkey ended up siding with Germany.

그래서 이 독일에 붙은 터키를 이기기 위해서 영국에서 티 로렌스를 이집트로 파견을 시킵니다.

So, in order to defeat the Turkish forces attached to Germany, Britain sends T.E. Lawrence to Egypt.

카이로로 파견을 시켜서.

Sending Cairo on a mission.

어떤 약속을 했냐면 그 당시에 있던 아랍인들을 터키의 반대 세력으로 이용을 해서

What promise was made was to use the Arabs that were there at the time as opposition forces against Turkey.

원래 아랍인들이 이 지역에 있었는데 오스만 투르크가 쳐들어와서 너희들이 터전을 뺏긴 거니까 터전을 되찾자.

Originally, the Arabs were in this area, but the Ottoman Turks invaded, and since you lost your homeland, let's reclaim it.

그래서 우리를 영국을 도와주면 그 지역의 왕이 되게 해주겠다.

So, if you help us, we will make you the king of that region.

뭐 이런 약속을 했는데.

What kind of promise is this?

그런데 또 영국이 웃긴 게 서로 식민지 간의 소통이 안 되어서 인도 사령부에 있던 또 사람들은 티 로렌스가 약속했던 아랍 계통의 사람들의 반대 세력에 있는 사람들한테 똑같은 약속을 한 겁니다.

Interestingly, the funny thing about Britain is that due to the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its colonies, the people in the Indian command made the same promise to the opposing forces of the Arab lineage that T.E. Lawrence had promised.

그래서 나중에 전쟁이 끝난 다음에 티 로렌스가 약속했던 사람들은 그 지역을 받지 못하고 저 멀리 떨어진 이라크를 받게 되고 인도 사령부에 있던 사람들은 사우디아라비아를 받게 되고 뭐 이런 식으로 분할이 되게 돼요.

So later, after the war ended, the people that T. Lawrence had promised didn't receive that area and instead received far-off Iraq, while those in the Indian command received Saudi Arabia, and this is how the division occurred.

아 이게 역사적으로 정확한 내용입니까?

Oh, is this historically accurate?

네. 정확한 내용이에요.

Yes. That's correct.

그래서 분할이 되면서 마치 우리나라가 6.25 전쟁 이후에 북한과 남한이 이제 중국과 미국의 세력에 의해서 완전히.

So, as it was divided, it was as if our country, like after the Korean War, was now completely under the influence of China and the United States, with North and South Korea.

네. 그래서 분할이 되면서 마치 우리나라가 6.25 전쟁 이후에 북한과 남한이 이제 중국과 미국의 세력에 의해서 완전히.

Yes. So as the division occurred, it was as if our country, after the Korean War, was completely divided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under the influence of China and the United States.

분해되고 정치적 이념이 달라졌듯이 물론 이제 전쟁 이전부터 이념적으로 갈등이 있었지만 우리가 자주적으로 할 수 있었던 일이 없었던 것 같더라고요.

Just as it has disintegrated and political ideologies have changed, it seems that there was always ideological conflict even before the war, but it feels like there was nothing we could do autonomously.

물론 이제 전쟁 이전부터 이념적으로 갈등이 있었지만 우리가 자주적으로 할 수 있었던 일이 없었던 것 같더라고요.

Of course, there were ideological conflicts even before the war, but it seems that there was nothing we could do independently.

그래서 마찬가지로 팔레스타인도 자주적으로 할 수 있는 부분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마치 테러리스트라든지 종교적인 분쟁도론자처럼 여론에서 다루어지는 게 상당히 좀 안타까운 일들이 많았었어요.

So, similarly, it was quite unfortunate that Palestine was often treated in public opinion as if it were composed entirely of terrorists or religious extremists, with no autonomy or agency to act on its own.

그렇죠. 저희 그 당시에 안중근 의사나 윤봉길 의사도 해외 뭐 뉴스에는.

That's right. At that time, we also saw news about Dr. Ahn Jung-geun and Dr. Yun Bong-gil overseas.

테러리스트라고 났을 겁니다. 아마도.

I would have been labeled a terrorist. Probably.

맞아요. 그게 저도 정말 드리고 싶은 이야기가 서두에 제가 네로남불 제일 유명한 사자성어.

That's right. What I really want to say is the famous four-character idiom "Nero's own fault" that I mentioned at the beginning.

네로남불 말씀을 드렸던 게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당연히 독립 열사고 본인의 몸을 생명을 바쳐서 우리나라 독립을 자주 독립을 위해서 힘썼지만 그 반대 세력인 일본에는 테러리스트로 생각이 됐었을 거고.

What I meant by "Nero's self-pity" is that from our country's perspective, they are naturally independence martyrs who devoted their lives for the cause of our country's independence, but to the opposing force, which was Japan, they would have been seen as terrorists.

지금 팔레스타인 분쟁이 있지만 팔레스타인 입장에서는 본인들의 당협이.

There is currently a conflict in Palestine, but from the Palestinian perspective, their situation is...

당연한 주장을 하는 건데 단지 자금력이 많고 전 세계적으로 파워를 장악하고 있기 때문에 이스라엘에서는 단순한 테러리스트로 취급을 받는 거죠.

It's an obvious argument, but it's simply because they have a lot of financial power and dominate globally that they are treated as mere terrorists in Israel.

저는 이번 주제에 이것과 연관해서 종교적인 얘기를 좀 하고 싶은 게 사실 종교가 어떠한 악행을 해라고 하지는 않아요.

I actually want to talk about religion in relation to this topic, and the truth is that religion does not inherently promote any evil deeds.

종교는 사실 태생이라든지 뭐 그런 것 자체가 인간이 선한 영향력을 끼치고 서로 간에 잘 살게 하기 위해서.

Religion, in fact, is about human beings having a positive influence and helping each other to live well, irrespective of their origin or other factors.

잘 살게 하기 위해서 신앙을 가져라고 하는 건데 그러한 종교를 이용을 하는 게 문제가 된다고 저는 생각을 하거든요.

I believe it's a problem to use religion for the purpose of encouraging faith in order to live well.

그런 부분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What do you think about that aspect?

일단 하나님이 이제 전지전능 하시니까 이 우주가 만들기 전부터 이 사단이 날 걸 알고 계셨을 것임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인들을 선택을 해서 너희는 특별한 민족이고 내 선택받은 민족이니까 너희는 가난에 가서 살아라 이렇게 한 거고요.

First of all, since God is omniscient and omnipotent, He must have known that this devil would come even before creating the universe. Nevertheless, He chose the Israelites, saying, "You are a special people, my chosen people, so you shall go and live in Canaan."

전지전능하니까 그 말을 할 때 이 사단이 날 걸 알고 있었겠죠.

Since you are omnipotent, you probably knew that saying those words would lead to this situation.

근데도 그게 역사적 사실이라고 믿으시는 거 맞지 않습니까?

But you still believe that it's a historical fact, right?

그게 제가 조금 correction을 드리고 싶은 게 마침 또 그렇게 말씀을 하시니까 제가 한 10일에 가까이 오면서 곰곰이 생각을 해봤어요.

That's something I'd like to correct a bit, and since you mentioned it like that, I've been thinking about it for almost 10 days.

처음에는 사실 아무런 생각이 없었거든요.

At first, I actually had no thoughts at all.

그렇죠.

That's right.

처음에는 솔직히 무신 씨가 무슨 이야기를 하든 아무 생각 없이 준비도 별로 없이 그냥 와서.

At first, to be honest, I just came without much thought or preparation, no matter what Mr. Mushin said.

네.

Yes.

얘기 듣고 뭐 대꾸하고 끝내고 이랬는데 가만히 생각해보니까 무신 씨도 일종의 그 프레임에 좀 갇혀있는 것 같더라고요.

After hearing the story, I would respond and end the conversation, but upon careful reflection, it seems like Mr. Mu-shin is also somewhat trapped in that frame.

신은 이렇게 해야 된다.

This is how God should be.

신은 전지전능하기 때문에 모든 것을 다 알고 있어야 되고 이렇게 프레임이 좀 갇혀져 있는 것 같은데 저도 거기에 대해서 생각을 좀 해봤죠.

Since God is omnipotent, He must know everything, and it seems like this perspective is somewhat constrained, but I have also thought about that.

여러 가지 참고 자료랑 좀 보고 했는데 지난주에 제가 어렴풋이 제 생각을 말했는데 그게 좀 맞는 것 같아요.

I looked at various reference materials and last week I vaguely expressed my thoughts, and it seems that they are somewhat correct.

매트릭스 영화 혹시 보셨습니까?

Have you seen the Matrix movie?

네.

Yes.

그 1편밖에 안 봤습니다.

I only saw that one part.

그 주인공 키아노 리브스가 매트릭스를 만든 일종의 신과 같은 존재죠.

The main character, Keanu Reeves, is like a god who created the Matrix.

설계자한테 찾아가요.

I will go find the designer.

설계자한테 찾아가는데 그 설계자는 그 매트릭스를 우리 세계라고 보면 매트릭스를 만들었을 뿐이지 본인이 일곱수일투조 관연료를 한다거나 미래에 어떤 일이 일어날지를 정확하게는 알지는 못하고 과거에 있었던 일을 토대로 얘기를 해주는 입장인 거죠.

When I go to see the designer, that designer just created the matrix as if it were our world, but they don't know exactly what will happen in the future or whether they are doing something like the "seven numbers and two measures" and can only speak based on what has happened in the past.

그래서 과거 토대로 이렇게 될 것이다.

So based on the past, this will happen.

마찬가지로 네가 한 여섯 번 찾아왔다.

Similarly, you came looking about six times.

네.

Yes.

네가 한 여섯 번 찾아왔었는데 이번에도 안 될 거다.

You've visited about six times, but it won't work this time either.

뭐 이런 식으로 얘기를 하는 입장인 거죠.

That's the kind of position I'm in when talking like this.

그래서 전지전능하시지만 처음에 셋업을 하신 그 세계에 인간들에게 자유의지를 주시고 그 인간들이 행하는 행동이나 행위의 결과를 보시다가 이거는 내가 원하는 방향이 아니다 해서 개입을 하시기도 하고 그런 식으로 운영을 하시는 게 아닌가 생각이 되는 거죠.

So I think that, although you are omnipotent, you created the world and granted humans free will, and while observing the actions and consequences of those actions by humans, you sometimes intervene when it doesn’t align with what you want, operating in that manner.

네.

Yes.

그 사실들이 최선빗의 그냥 상상이고요.

Those facts are just the imagination of Choi Seonbit.

물론 그 전지전능하다고 하는 것은 크리스처들의 주장이니까 제가 그렇게 설명을 같이 해주는거고요.

Of course, what is said to be omnipotent is a claim made by Christians, so I’m explaining it that way.

당연히 전지전능한 존재는 없죠.

Of course, there is no all-powerful being.

말도 안 되는 설정인데 그렇다고 하니까 그렇게 얘기를 했던 것인데 이신론적 신이라는 게 있습니다.

It's an absurd premise, but since you mentioned it, I spoke about it that way. There is a concept of an ishnological god.

그.

That.

르네상스 시대에 계몽주의라고 하죠.

It's called the Enlightenment during the Renaissance period.

그 인간들이 그 당시에 과학이 많이 발전을 하고 그 당시에 많이 깨우치죠.

Those people at that time were greatly advancing in science and were becoming very enlightened.

네.

Yes.

많이 깨우치죠. 그 이전까지는 서구 사회에서는 당연히 성경을 절대적 사실이라고 믿고

It teaches a lot. Until then, in Western society, it was taken for granted that the Bible was believed to be an absolute fact.

하나님이 당연히 인간을 창조를 하시고 우주를 만들었다고 믿고

I believe that God naturally created humans and made the universe.

정말 글자 그대로 그렇게 믿고 살고 있었는데 과학이 발전을 하는 그 당시에 생각을 해보니까

I really believed and lived by that literally, but thinking about it during the time when science was advancing...

이게 말이 안 되는 거예요. 그래서 종교적으로 엄청난 구내에 빠졌던 사람들이

This doesn't make sense. So, people who were deeply involved in religion...

이신론적이라는 신을 만들어냅니다. 그런 개념을 만들어내는데

It creates a theistic concept. In creating such a concept.

이게 어떤 거냐면 신이 우주와 모든 것들을 창조를 하고

This is about how God created the universe and everything.

그 이후로는 인간 세계에 관여를 하지 않는다는 개념이거든요.

The concept is that they do not intervene in the human world after that.

그게 이신론적 신인데 당연히 제가 계속 주장하듯이 전지전능한 신이 있다면

If there is an all-powerful God, as I continue to argue, then that is an theistic God.

왜 세상에 악한 일이 아직도 일어나며 이렇게 말도 안 되는 일이 있는가라는 것에 착안을 해서

Inspired by the question of why evil things still happen in the world and why such nonsensical things occur.

자기들도 그렇게 생각하니까 말이 안 되니까 아니다. 신은 처음에 창조만 하고

They think that way too, so it doesn't make sense, so it's not true. God only created in the beginning and

그다음 간섭하지 않는다. 그렇게 말합니다.

Then, they say not to interfere.

말씀을 하는 것이거든요. 자기들도 그렇게 전지전능한 신이 계속 개입을 한다는 설정 자체가

It's about speaking. The very idea that they, as all-powerful gods, are continuously intervening is...

말이 안 된다는 것을 인지를 했기 때문에 만들어낸 개념이에요. 이신론적인 신.

It's a concept created because I realized that it doesn't make sense. A theistic god.

그러니까 누군가가 신이 존재하는 것은 존재하느냐 안 하느냐를 증명할 수 없다는 것은 이신론적인 신이에요.

So someone who cannot prove whether God exists or not is an agnostic god.

누군가가 이 우주를 창조를 해놓고 사라졌어요. 그 뒤로는 나타나질 않아. 그러면 알 수가 없죠.

Someone created this universe and then disappeared. Since then, they haven't appeared again. So, it’s impossible to know.

그런데 누가 이렇게 계속 개입을 한다면 알 수가 있는 거죠.

However, if someone continues to intervene like this, it can be understood.

그리고 제가 저번에 말씀드린 것처럼 과학이 극도로 발전하게 되면 모든 것을 만약에 관측을 할 수 있게 되면

And as I mentioned last time, if science advances extremely and we are able to observe everything...

하나님의 활동마저도 물질 세계에 개입을 하는 이상 관측이 될 것이라는 말이었고요.

It was said that even God's activities would be considered an anomaly that intervenes in the material world.

특히나 크리스천의 신은 방금 최선비 씨가 매트릭스의 신처럼 이걸 만들어 놓고 관여를 안 한다고 하셨는데

In particular, the Christian God is like what Mr. Choi Seon-bi just said about how He created this like the God in the Matrix and is not involved.

관여를 안 한다는 게 아니고

It's not that I'm not getting involved.

전체를 다 아시는데 무신 씨 표현대로 변태적으로 일부러 모른 척한다거나 그런 건 아니라는 거죠.

It's not that you know everything and are intentionally pretending not to, as Mr. Mu-shin expressed in a perverse way.

뭐 전체를 아는데 왜 그렇게 했는지 이해가 가지 않고요.

I don't understand why you did that when you know the whole thing.

뭐 최선비 씨가 프레임에 갇혀 있는 거죠. 하나님은 무조건 존재하고 무조건 좋으신 분이다.

Well, it means that Mr. Choi Seon-bi is trapped in a frame. God necessarily exists and is necessarily a good person.

거기에 자꾸 끼워 맞추려고 하니까 아니 하나님은 이러실 거예요 저러실 거예요. 계속 생각도 바뀌죠.

Because you keep trying to fit it in there, you think, "No, God would do this or that." Your thoughts keep changing.

그 종교인들끼리 생각하는 것도 다 다르고요. 말해보면 다 다르게 생각을 하는데 뭐.

The thoughts among those religious people are all different. When you talk to them, they all seem to think differently anyway.

그게 왜 그렇습니까?

Why is that?

그러냐면 인간의 한계가 있기 때문이에요.

That's because humans have limitations.

인간이 신이 아니고 인간이 모든 것을 다 알지 못하는 불안한 존재죠.

Humans are not gods and are uncertain beings that do not know everything.

뭐 이해의 한계가 있고 인식의 한계가 있고 경험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신은 그런 부분에 대해서 넘어선 부분이기 때문에 당연히 의심하는 거죠 사람은.

There are limits to understanding, perception, and experience, so it is natural for people to have doubts about God, as God transcends those aspects.

인간이 한계가 있기 때문에 신이 존재한다는 건 말도 안 되는 소리고 자꾸 신이 있다는 데서 시작을 하니까 저런 이상한.

It's utter nonsense to say that God exists because humans have limitations, and it all starts from the claim that God exists, leading to such strange conclusions.

그런 결론에 도달을 하게 되는 건데.

That's how one reaches that conclusion.

그런 부분에 있어서 차이를 두는 거고 무신론자 입장이라든지 무신시 입장이 있는 거고 또 종교인들의 입장이 있는 건데 한쪽이 틀렸다 이런 식으로 계속적으로 몰고 나가는 게 저는 문제라고 생각해요.

I think the problem lies in the fact that one side is continuously pushing the idea that the other is wrong, whether it’s from the standpoint of atheists or the secular perspective, or from the perspective of religious people.

몰고 나간다기보다는 결론이죠. 그냥 이게 과학적으로 논리적으로 생각을 하면 자연스레 도달하는 결론입니다. 신은 없다. 말도 안 되는 거고.

It's more of a conclusion than a result. If you think about it scientifically and logically, it's a conclusion you naturally arrive at. There is no God. That's just nonsensical.

그런데 그렇게 생각을 하는.

But that's how I think.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있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들도 있고 또 논리적으로 과학적인 근거만이 모든 것을 해석이다. 이렇게 안 믿는 사람도 있는 거고 그런 분야가 분명히 또 있어요.

There are people who don't believe this, but there are also those who do, and not everything can be interpreted solely through logical scientific evidence. There are definitely areas where such beliefs exist.

그렇기 때문에 똑똑한 사람들이라든지 논리를 충분히 아는 사람들도 종교를 믿는 거죠. 신이 있다고 믿는 거죠.

That's why even intelligent people or those who understand logic still believe in religion. They believe that God exists.

보통 미국에 등록된 과학자들 설문조사를 한 적이 있는데 90%가 무신론자들입니다. 그중에 종교를 믿는 사람 10%밖에 안 돼요. 과학자들 중에서요.

I have conducted surveys of scientists registered in the United States, and 90% of them are atheists. Among them, only 10% believe in religion. This is among scientists.

과학자 외에도 논리에 대한 부분을 아는 사람들도 충분히 많은 거고 많은 사람들이 종교를 믿는다는 팩트 자체가 당장에 인도만 봐도 과학자가 얼마나 많습니까?

There are plenty of people who understand logic beyond just scientists, and the fact that many people believe in religion is evident, just looking at how many scientists there are in India alone.

네. 50분 동안 안 썼기 때문에 잠깐 한번 싸워봤고요.

Yes. I hadn't used it for 50 minutes, so I briefly fought with it.

그 말씀 몇 개 드릴 게 떠 있는데 아주 슬픈 사실입니다.

I have a few things to say, and it is a very sad fact.

현재 UN 멤버국들 중에 135개 나라들이 팔레스타인을 독립국가로 인정을 하는데

Currently, among the UN member states, 135 countries recognize Palestine as an independent state.

그 이스라엘과 몇몇 국가들은 이를 국가 자체로 인정을 하지 않습니다. 미국까지 포함을 해서요.

Israel and some countries do not recognize this as a state in itself, including the United States.

그러니까 아까 제 친구 말씀을 드렸는데 그 친구가 팔레스타인에서 살다가 미국으로 왔는데

So, I mentioned my friend earlier; that friend lived in Palestine and then came to the United States.

여권이나 입국할 때 말이죠. 미국에 들어오는데 어디서 왔냐.

When you enter the country, like at the airport or immigration, they ask where you came from to enter the United States.

걔네 미국에서 기록을 할 때 나 국가 없음이라고 기록이 돼 있었답니다. 국가 없음.

When they were recording in the U.S., it was noted as "no nationality." No nationality.

국가가 없는 상태. 팔레스타인의 미국의 눈에는 이스라엘이 있고 그 주변은.

A state without a nation. In the eyes of the United States, there is Israel in Palestine and the surrounding areas.

빈땅인 거예요. 그냥. 빈땅에 웬 사람들이 살고 있는 건데.

It's just an empty land. There are just some people living on this empty land.

무적이네요. 무적.

It's invincible. Invincible.

그렇죠. 또 한국이 생각나더라고요. 일본의 식민지였을 때 여기저기 발품 팔면서 세계적인 모임에 많이 다녔다는 걸 배웠던 기억이 나거든요.

That's right. It reminds me of Korea. I remember learning that when it was a Japanese colony, people traveled around a lot for global gatherings.

그때 다 무시당했지 않습니까? 그런 것들 다 호소도 무시당했지만 일본이 미국에 대들뛰기 전까지는 아무도 우리 얘기 안 들어줬죠.

At that time, weren't we all ignored? Those appeals were also disregarded, but until Japan confronted the United States, no one listened to our story.

네. 맞죠. 제가 또 거기에 말씀을 하나.

Yes. That's right. Let me say something about that.

드리고 싶은 게 유튜버 중에 빠니보틀이라고 유명한 여행 유튜버가 있어요.

I want to share that there is a famous travel YouTuber named Pani Bottle.

이 유튜버가 보통 사람들이 여행하지 않는 곳을 여행을 해서 유명한데 팔레스타인을 여행한 영상이 있어요. 팔레스타인을.

This YouTuber is famous for traveling to places that ordinary people don't usually visit, and there is a video of them traveling to Palestine.

나중에 사우디아라비아도 가시는데 어쨌든 팔레스타인에 직접 가보니까 본인도 가기 전에는 선입견이 조금 있었던 것 같아요.

Later, you will also go to Saudi Arabia, but anyway, I think you had some preconceptions before actually visiting Palestine.

그런데 가서 보니까 팔레스타인인들도 보통 사람들과 다를 게 없고.

But when I went and saw, Palestinians are just like ordinary people.

순박하고 순박하시고.

Simple and naive.

사람 사는 데다 똑같죠.

It's the same as living as a person.

그리고 팔레스타인이 여권을 5개를 가지고 있대요. 본인이 살던 땅이죠. 가려면 어떤 여권이 필요하고. 또 이스라엘 가려면 또 어떤 여권이 필요하고.

And I heard that Palestine has five passports. It's the land where they lived. Depending on where you want to go, what passport do you need? Also, what passport is needed to go to Israel?

그러니까 본인들이 마음대로 움직일 수가 없는 거예요. 모든 곳이 그 좁은 땅이 그 지역이 한 3만 제곱미터라고 해요. 3만 제곱미터?

So they can't move freely on their own. They say that the entire area is about 30,000 square meters. 30,000 square meters?

네.

Yes.

3만 제곱미터인데 우리나라가 대한민국이 참고로 10만 제곱미터입니다.

It is 30,000 square meters, while our country, South Korea, is 100,000 square meters for reference.

10만 제곱미터고 북한이 12만 제곱미터인데 그 3만 제곱미터 좁은 땅이죠. 우리 거의 한 경상도보다 조금 큰 땅인데 그 땅 이동하는데 경계선이 너무 많고 본인이 갈 수 있는 곳이 있고 유대인만 갈 수 있는 곳이 있대요.

It is 100,000 square meters, and North Korea is 120,000 square meters, so it's a 30,000 square meter smaller area. Our land is slightly larger than a part of Gyeongsangdo, but there are too many borders when moving around that land, and there are places one can go and places only the Jews can go.

같은 땅인데도 마치 자전거 도로가 있듯이 팔레스타인은 그 길로 가면 안 되는 거죠. 또 팔레스타인 땅이라고 하는 곳에 유대인들이 알바길을 하고 있대요.

Even though it's the same land, it's as if there are bike lanes; Palestinians shouldn't go that way. Also, it seems that Jews are taking a detour in the area known as Palestinian land.

무슨 건물을.

What building?

무슨 건물을 갑자기 지어놓는다거나 산 위에다가 천막을 치놓고 여기는 유대인 땅이다 뭐 이런 식으로 알바길을 하고 있어갖고 점점 팔레스타인이 갈 곳이 없는데 가장 큰 문제는 이제 가자지구죠.

Suddenly building some structure or putting up a tent on a mountain and declaring it as Jewish land, they're doing things like that, making it so that Palestine has nowhere to go, but the biggest problem now is Gaza.

예전에 그 썰전에서 했던 영상을 잠깐 봤는데 가자지구가 세계에서 가장 거대한 감옥이라고 표현을 하더라고요.

I briefly watched a video from that old talk show, and they described Gaza as the largest prison in the world.

가자지구에 벽을 다 쳐놨어요. 유대인들이 나오지 말라고.

They've put up walls in the Gaza Strip to keep the Jews from coming out.

그래서 그 벽을 넘으려면 마찬가지로 패스가 필요한데 그 인구는 많아요.

So to get over that wall, you need a pass in the same way, and that population is large.

팔레스타인이 유대인들보다 인구 수가 많은데 거기에다가 인구 증가량이 또 많다고 해요.

Palestine has a larger population than the Jews, and additionally, the population growth rate is quite high.

그래서 점점 시간이 지날수록 인구 차이가 나니까 한간에는 이런 얘기가 있다는 거죠.

As time goes on and the population gap widens, there are stories like this that circulate among people.

유대인들이 일부러 미사일을 쏜다. 인구를 계획적으로 줄이기 위해서.

Jews intentionally launch missiles to systematically reduce the population.

옛날에 이집트에서 학살을 했듯이 그렇게 일부러 줄인다 점점.

Just as the massacres were carried out in Egypt long ago, they are deliberately reducing it little by little.

왜냐하면 팔레스타인은 지금 연령 분포를 보면 아이들이랑 여성층.

Because Palestine currently has a demographic distribution showing a concentration of children and women.

여성층이 거의 한 70%가 넘는데요. 아이들이.

The female population is over 70%, specifically among children.

그런데 거기에다가 미사일을 쏴야되면 특히 가자지구 그 벽으로 둘러쳐진대 사람들도 많은데 거기에다가 미사일 쏴야되면 당연히 사람들이 많이 죽는 거죠.

However, if missiles need to be fired there, especially in the Gaza Strip where many people are surrounded by walls, it is obvious that many people will die.

이번에 분쟁 때도 200여 명이 죽었지만 팔레스타인이니 200명이 죽었죠.

During this recent conflict, over 200 people died, but because it's Palestine, 200 people died.

유대인은 한 10명인가 죽었다고 했나?

Did they say that about 10 Jews died?

그런 상황이니까 당연히 잽도 안 되는데 미사일을 거기에다 쏘는 거죠.

Given the situation, it’s only natural that there wouldn't be any jabs, but they shoot missiles there.

그런 문제가 있다고 해요.

They say there is such a problem.

정확하네요.

That's correct.

제 친구한테 또 직접 경험담을 물어봤는데 자기가 어렸을 때 학교도 가고 친구랑 다녀야 되지 않겠습니까?

I asked my friend about their experiences directly, and they said that when they were young, they had to go to school and spend time with friends, right?

그러면 옆에서 싸우고 총알이 빗발을 치는 상황이었다고 해요.

Then they said it was a situation where they were fighting next to each other and bullets were raining down.

자기 집 벽에도 총알이 엄청나게 박혀있고 밤만 되면 밖에 폭탄이 터지고 총알이 빗발치니까 잠도 못자고 구석에 옷장 안에 들어가서 숨어있고요.

There are a ton of bullets lodged in the walls of my house, and at night, bombs explode outside and bullets rain down, so I can't even sleep and just hide inside the closet in the corner.

거의 매일 그러다시피 살고 자기 친구도 길을 가다가 유탄에 맞아서 자기 친구가 죽었다 그래요.

He says he lives like that almost every day, and that his friend was shot and killed by a stray bullet while walking down the street.

그러니까 그런 곳이 진짜 사람 사는 곳인지 그런 거를 뻔히 다 아는데 유엔도 알고.

So, even though it's clear that such a place is a real living environment for people, the UN knows it too.

이게 그 사람들이 못 사는 게 유대인들이 막 와가지고 아까 알바끼 말씀하셨는데 그거 이상으로 군인들이 몰려와서 쫓아낸다고 합니다.

The reason those people can't live there is that the Jews come in and, as you mentioned earlier about the employment, soldiers come in even more than that and chase them away.

집에서 살고 있는데 그걸 강제로 뺏어간다고 해요.

They say they're going to take it away from me forcefully even though I'm living at home.

땅과 집을 강제로 뺏어간다고요.

They are forcibly taking away land and houses.

땅과 집을 강제로 뺏어간다고 하고 자기들이 유대인들이 차질을 한다고 합니다.

They say they are forcibly taking the land and houses, claiming that they are causing problems for the Jews.

그래서 제가 이쯤에서 말씀드리고 싶은 게 오늘의 성경읽기가 또 관련된 내용이 있죠.

So what I would like to mention at this point is that today's Bible reading is also related to this topic.

네 여기 이제 뭐 저희 둘이 그냥 너무 정보 전달 위주로 간 듯한데 유익했으면 좋겠고요.

Yes, it seems like we've been focused too much on just conveying information, but I hope it was helpful.

마지막으로 한번 좀 싸워야 될 것 같아서 김무신 성경읽기 좀 관련된 구절입니다.

Finally, I think we need to fight once more, so here are some relevant verses from the Bible regarding Kim Mushin's reading.

신명기.

Deuteronomy.

신명기는 이제 10개명을 모르는 광야에서 태어난 아이들을 위해서 써진 책이라고나 할까요.

Deuteronomy can be said to be a book written for the children born in the wilderness who do not know the Ten Commandments.

거기 신명기 7장 1절에서 2절까지인데

It is Deuteronomy 7:1-2 there.

내 하나님 여호와께서 너를 인도하사 내가 가서 얻을 땅으로 들이시고

My God, the Lord, will guide you and bring you to the land that I will go and obtain.

내 앞에서 여러 민족 햇족속과 기르가스족속과 아모리족속과 가나한족속과 브리스족속과 히르가스족속과

Before me, various ethnic groups such as the Hatzuks, Girgas, Amori, Canaanites, Perizzites, and Hirgashites.

히위족속과 여보수족속 곧 너보다 많고 힘이 있는 일곱 족속을 쫓아내실 때에

"When He drives out the seven nations that are greater and mightier than you..."

내 하나님 여호와께서 그들을 내게 붙여 너로 치게 하시리니

My God, the Lord, will deliver them into my hands, and I will strike them.

그때에 너는 그들을 진멸할 것이라 그들과 무슨 언약도 말 것이오 그들을 불쌍히 여기지도 말 것이며

At that time, you shall destroy them; you shall make no covenant with them and show no mercy to them.

그러니까 하나님께서 보통 가난한 너희들을 이스라엘 백성들을 적과 꿀이 흐르는

So God normally leads you poor people, the people of Israel, to a land flowing with milk and honey.

약속의 땅.

Promised Land.

가난으로 이끌어 주시겠다는 구절 유명하도 제가 교회를 안 갈 때도 그런 말을 많이 들었었는데

The phrase about leading us into poverty is famous, and I've heard those words a lot even when I didn't go to church.

데려다 주겠다는 생각만 했지 좋네 좋은 땅으로 데려다 주고 보살펴 준다니까 좋다는 생각만 했지

I only thought about wanting to take you there; it’s nice to think that you’ll be taken to a good place and cared for.

갔는데 거기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있어요.

I went there and there are people living there.

그 사람들은 어떻게 됐는지 좀 모르시는 분들도 많으실 거예요.

There are probably many people who don’t know what happened to those people.

그 사람들을 싸그리 죽였습니다.

I killed all those people.

여기서 진멸을 하라고요.

You're telling me to obliterate it here.

하나님께서 명령을 내려줬고 여호수와 6장 21절을 보면 여기는 이제 그 여리고 성을 함락을 시킵니다.

God gave the command, and in Joshua 6:21, we see that this is where the city of Jericho is being conquered.

결국은 여리고 성을 하나님의 도움을 받아서 함락을 시키고 그 안에 있는 것들을 다 죽이는데

In the end, they conquered the city of Jericho with God's help and killed everything inside it.

6장 21절 여호수와에 보면 성 중에 있는 것을 다 멸하되 남녀 노유와 우양과 낙위를 칼날로 멸하니라

In Joshua 6:21, it states that they destroyed everything in the city, both men and women, young and old, as well as oxen and donkeys, with the sword.

남녀 노유라고 한글 제가 본 성경에 써 있었는데

It was written in the Bible in Hangul that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male and female.

남녀 노유라고 한글 제가 본 성경에 써 있었는데 남녀 노유라고 한글 제가 본 성경에 써 있었는데

It was written in the Bible I read that it is for all ages, both men and women.

남녀 노소입니다.

It applies to all genders and ages.

남자, 여자, 어린아이, 노인 할 것 없이 다 죽여버렸습니다.

I killed everyone, regardless of men, women, children, or the elderly.

하나님의 명령이 저것이.

That is the command of God.

이것이 지금 이스라엘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이 제 친구가 또 그런 얘기를 하는데

What is happening now in Israel is something my friend is talking about again.

길 가다가 누구 유대인들 잡고 물어보면 다 이런 얘기를 한답니다.

If you stop any Jews on the street and ask them, they'll all tell you stories like this.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신 땅이기 때문에 여기는 우리 땅이다.

This is our land because it is the land that God has given us.

여기는 우리 거니까 너희들이 나가야 한다는 얘기를 한다는데

They say that you all have to leave because this is ours.

아까 그 복잡한 거.

The complicated thing from earlier.

보통 사람들은 모르죠.

Most people don't know.

이 뒤쪽이 어떤 정치적인 이해관계가 있고 이런 것도 모르고

I don't even know what political interests are involved in this back side.

아빠 따라 아니면 그렇게 팔레스타인으로 들어간 유대인들은

The Jews who entered Palestine like that, either following their father or not.

그냥 당연히 이거는 하나님이 주신 땅이니까 우리 거야라는 생각을 할 거예요.

They will just naturally think, "This is land given to us by God, so it belongs to us."

전지전능하신 하나님이 이렇게 약속을 하신 거고요.

The omnipotent God made this promise.

그 당시에 이걸 역사적인 사실로 이해를 하시니까

At that time, you understand this as a historical fact.

거기를 또 얘기를 해보자면

If we talk about that again...

그 당시에 지금 팔레스타인도 불쌍하지만

At that time, now Palestine is also pitiful.

그 당시에 여리고서는

At that time, from Jericho,

저 사람들은 무슨 죄입니까 저게 다 죽여버렸어요.

What sin did those people commit? They killed them all.

그 이스라엘 사람들이 와가지고 지금 팔레스타인과 다를 게 하나도 없죠.

Those Israeli people came, and now there is no difference from Palestine.

다 죽여버렸는데 이게 역사적 사실이라면

If this is a historical fact, then everyone has been killed.

하나님께도 책임이 하나님이 주범이죠.

God is also responsible; God is the main culprit.

저 사람 다 죽었는데.

That person is completely dead.

그래서 이 부분도 저도 한번 알아는 봤거든요.

So I also looked into this part once.

물론 무신 씨가 얘기하기 전에는 몰랐던 내용이고

Of course, it was information that I didn't know before Mr. Mushin spoke.

알아는 봤는데 유튜브에 신학펀치라고 유명하잖아요.

I've seen it, but it's famous on YouTube as "Theology Punch," right?

네.

Yes.

신학펀치.

Theological Punch.

네.

Yes.

신학펀치에 그 관련 똑같은 구절에 대해서 내용이 있었어요.

There was content about the same related passage in the theological punch.

그래서 먼저 제가 본 바에 대한 내용을 먼저 열거를 좀 드리고

So first, let me list the content of what I have seen.

그리고 제 개인적인 생각을 먼저 그 다음에 말씀을 드릴게요.

And I will share my personal thoughts first, and then I will continue.

네.

Yes.

먼저 여기에 대한 신학적인 해석을 말씀하신 바로는

First of all, regarding the theological interpretation you mentioned here,

이거는 또 그 잘잘법.

This is another one of those weird methods.

잘잘법도 똑같은 내용이 있었어요.

There was the same content in the book as well.

잘잘법의 연세대 교수님.

Professor at Yonsei University of the "Well-Being" department.

똑같이 말씀을 하셨는데

You said the exact same thing.

그 모든 문헌이 각 시대의 상황이라든지

All those documents reflect the circumstances of each era.

그 시대적 사상 또 표현을 반영을 한 거고

It reflects the thoughts and expressions of that era.

어떤 시대에서는 이렇게 표현을 할 수도 있고

In some eras, this expression can be used like this.

어떤 시대에서는 또 다르게 해석을 할 수가 있는 건데

In some eras, it can be interpreted differently.

그때 당시가 신명기가 써졌을 때는 기원전 2000년 정도잖아요.

At that time, when Deuteronomy was written, it was around 2000 BC.

아주 옛날이죠.

A long time ago.

거의 지금부터 한 4000년 전인데

It was almost about 4000 years ago.

그때 전쟁에 대해서 완성에 대해서 표현을 할 때에는

At that time, when expressing about war and completion,

진멸한다라고 적는 게 당연하다고 해요.

They say it's natural to write that it will be exterminated.

당시에 다른 문헌이나 다른 나라의 역사서를 봐도

Even when looking at other literature or historical records from other countries at that time.

진멸한다는 내용이 많이 있었고

There were many mentions of extermination.

그게 이제 완전한 승리.

That's a complete victory.

그거를 강조하기 위한 표현이다.

It's an expression to emphasize that.

그래서 어린아이들까지 죽이지는 않았다.

So they didn't kill even the children.

남아있을 것이다.

It will remain.

뭐 이렇게 해석을 하시기도 해요.

What, you interpret it this way?

그런 해석이 있다는 거고

That interpretation exists.

그래서 그 진멸한다는 내용이

So the content about the extermination...

모두를 죽이지 않았을 것이다.

They wouldn't have killed everyone.

이렇게.

Like this.

현대에서는 해석을 하는데

In modern times, we interpret.

유대인들 중에서는 좀 과격한 유대인들 중에서는

Among the Jews, among the more radical Jews.

그때 당시에 다 안 죽였기 때문에

Because they didn't kill them all at that time.

지금 팔레스타인에 분쟁이 있는 거고

There is currently a conflict in Palestine.

그래서 가난한 지역

So the poor area

그러니까 팔레스타인에 있는 모든 민족을 멸종시켜야 된다.

So all ethnic groups in Palestine must be eradicated.

그래서 전쟁을 일으켜야 된다라고 주장하는 유대인도 있다고 해요.

There are also Jews who argue that a war should be waged.

트위터에도 남기고

Leave it on Twitter too.

그런 상황도 있다고 합니다.

There are situations like that.

그게 바로 종교의 해석을 잘못 인위적으로 해서

That is just a result of misinterpreting religion artificially.

저는 그렇게 보는 거고

That's how I see it.

해석에 문제가 항상 있다고 무신 씨가 주장을 하는데

Mr. Mu-shin claims that there are always problems with the interpretation.

사실 맞는 말이죠.

That's actually true.

인간이 이제 현대의 기준으로 해석을 하는데

Humans are now interpreting it based on modern standards.

저는 어쨌든 그 종교적인 해석은

Anyway, that religious interpretation is...

인간이 좋은 쪽으로

Humans for the better.

평화적으로 나가는 쪽으로 해석을 해야 되는 거지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 way that leads to peace.

어떤 한쪽을 죽인다거나 없앤다거나 하는 식으로

In a way that kills or eliminates one side.

해석을 해서는 안 된다고 저는 생각을 하는데

I believe that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또 생각의 꼬리가 물고 있는 것 같아요.

It seems like a train of thought is still caught up.

또 넘어져서

I fell down again.

이게 또 결국에는 내로남불이라는 거죠.

In the end, this is just hypocrisy.

그렇죠.

That's right.

이제 멸종을 시켰다 이렇게 해서

Now it has led to extinction like this.

이게 결국에는 또 잘못된 거 아니냐

Isn't this ultimately wrong again?

하느님이 너무 잔인한 거 아니냐

Isn't God being too cruel?

이렇게 말씀을 하실 수 있는데

You can say it like this.

만약에 우리나라의 역사였다면

If it had been the history of our country.

우리는 또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

How else will we accept it?

그렇게 생각을 한번 해 본 거죠.

I just thought about it that way.

우리나라 역사였는데도

Although it was our country's history,

잔인하다 뭐 이런 식으로 얘기를 할 건지

How could you talk about it in such a cruel way?

아니면 우리나라의 부흥과

Or the revival of our country

우리나라의 존속을 위해서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

It was a choice that had to be made for the survival of our nation.

또는 잘한 일이다

Or it is a good thing.

완벽한 승리였다

It was a perfect victory.

이런 식으로 남아 있을 것 같은

I think it will remain like this.

그런 내용인 거죠 사실

That's what it means, actually.

저게 뭐 그냥 인간의 역사는 당연히

That's just what human history is, obviously.

인간의 탐욕의 역사고 전쟁의 역사인데

It's the history of human greed and the history of war.

뭐 제가 당연히 비판하는 부분은 하나님입니다.

Well, the part I obviously criticize is God.

그 전지전능하신 하나님

The Almighty God.

무조건 선하시고 인간을 사랑하시는 하나님이

God, who is always good and loves humanity.

이스라엘 백성만을 감싸고

Only embracing the people of Israel.

다른 민족은 문화가 다르다는 이유로

Other ethnicities have different cultures as a reason.

모두 멸하라는 명령을 내린 거고요

It was an order to destroy everyone.

그래서 뭐 악의를 안 죽였으면 어떻습니까

So what if you didn't kill the evil?

거기에 잘 살고 있는 나라를 침략을 해서

By invading a country that is living well there.

성을 무너뜨리고

Breaking down the castle

그 나라를 땅을 차지를 해 버린 건데

They have taken over the land of that country.

근데 사실 지금은 전쟁하는 것 자체를

But the truth is, right now, the act of fighting a war itself...

반대하는 입장이잖아요 인간이

You're in a position of opposition, human.

근데 그 4천 년 전에는 전쟁은 당연한 거잖아요 사실

But war was, in fact, something natural 4,000 years ago.

뭐 다른 쪽에 가기 때문에

Because I'm going to the other side.

가기 위해서는 그쪽과 싸울 수밖에 없는 거고

To get there, we have no choice but to fight with them.

뭐 서로 말도 안 통할 수도 있고

Well, we might not be abl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t all.

문화도 다르고

The culture is different.

뭐 침략자 입장인데

Well, it’s from the invader’s perspective.

뭐 그거를 서로 잘 지내자

Well, let's get along well.

하나님 말씀이 잘 지내자고 했으니까 잘 지내자

Since God's word says to get along well, let's get along well.

해서 잘 지낼 수는 없는 일 아닙니까

So it's not something we can get along well with, right?

뭐 하나님이 잘 지내자고 일단 안 했고요

Well, God didn't really say to take care of ourselves first.

그리고 뭐 그 노예 얘기도

And about that slave story as well.

뭐 노예 얘기나 돌로 찍어 죽이나

What, should I talk about slaves or stone someone to death?

뭐 항상 저런 대답이 돌아오는데

Well, I always get answers like that.

뭐 그 당시에는 뭐 그랬다 이렇게 하는데

Well, at that time, it was like this.

뭐 그 당시에

Well, at that time.

하나님이 뭐 그렇든 말든

God, whatever that may be.

하나님이면은 하나님 답게

If it's God, then let it be like God.

평화적으로 하든지 뭐 인간을 위한 행동을 하든지 해야지

You should either do it peacefully or do something for humanity.

저기 뭐

What is it?

지금 인간들은 저희들끼리 죽이고 있으니까

Right now, humans are killing each other.

쟤들도 내가 죽여라고 해도 괜찮을 거야

They'll be fine even if I tell them to kill.

저거 가서 야 가서 저기 다 죽이고

Go over there and kill them all.

저기 가서 살아 하나님이

Go live over there, God.

그렇게 하는 거는 뭐 앞뒤가 안 맞지 않습니까

Isn't that a bit contradictory?

근데 그때 당시에

But at that time...

인간의 방법을 사용을 하신 거잖아요

You used a human method, didn't you?

사실 하나님이...

In fact, God...

하나님이 왜 굳이 인간의 방법을 사용을 합니까

Why does God insist on using human methods?

아유 그러면 그거는 또 똑같은 얘기를 하는 거죠

Oh, then that’s just saying the same thing again.

그거 뭐 무신 씨 지금 뭐 안 믿는다고

What, are you saying you don't believe me right now?

하나님이 야 너 믿어

God says, "Hey, I believe in you."

하고 갑자기 내려오시는 거랑

And suddenly coming down.

그건 무슨 상관이...

What does that have to do with anything...?

그러면 무신 씨는 뭐해요

So, what is Mr. Mushin doing?

완전 노예처럼 그냥 믿을 수밖에 없잖아요

I have no choice but to just believe like a complete slave.

강아지처럼

Like a puppy.

어차피 무조건 믿어야 되는데 그게 무슨...

You have to believe in it no matter what, but what does that even mean...

아니죠 믿든 안 믿든

No, whether you believe it or not.

그거 지난주에 제가 했던 말을 또 안 들으신 거 같은데

It seems like you didn't hear what I said last week again.

진정한 믿음이라는 것은

True faith is

본인의 의지로 믿는 게 진정한 믿음이에요

True faith is believing out of your own will.

강제로 하는 건 믿음 아니죠

Doing it through force isn't belief, is it?

그 총구를 겨눠 놓고 야 너 나 믿어

"Point that gun at me, hey do you trust me?"

근데 안 믿으면 너 죽일 거야

But if you don't believe me, I'll kill you.

그게 과연 본인의 의지로 하는 믿음입니까

Is that truly a belief that comes from your own will?

그게 마피아 부스지

That's the mafia booth.

안 믿으면 지옥 간다는데

They say if you don't believe, you'll go to hell.

아 지옥 안 가죠

Ah, I won't go to hell.

지옥 안 가죠

I'm not going to hell.

누구 마음대로 또

Who decided again?

연옥 가잖아요 연옥

I'm going to purgatory, purgatory.

뭐 아무튼 그 오늘 연옥이 있나 없나에 대한 얘기를 하려고 했는데

Well, anyway, I was going to talk about whether or not there's a Yoonok today.

시간 관계상 이것 때문에 제가...

Due to time constraints, I...

제가 딱 연결이 되지 않습니까 이렇게

Aren't I just connected like this?

이렇게 딱 연결이 될 것 같아서

I think it will connect perfectly like this.

신기하네요

That's amazing.

연옥이 연옥이

Purgatory, Purgatory.

제가 딱 뭐 뻔하지 않습니까

Isn't it just obvious?

연옥이 있나 없나를 오늘 하려고 미리 연락을 했었는데

I contacted you in advance to discuss whether or not purgatory exists today.

시간이 지금 너무 많이 돼서 안 될 것 같고

I don't think it will work since a lot of time has passed.

다음에 하도록 하고요

Let's do it next time.

정리를 제가 마지막으로 좀 하자면

To summarize one last time, let me say this.

종교적인 부분이 여러 가지 악행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Religious aspects can be used for various evils.

십자군 전형처럼 잘못 사용되었기도 했는데

It was also misused like the Crusader typical.

현상을 이해를 할 때

When understanding a phenomenon

종교를 내세우기가 상당히 어려운 것 같아요

It seems quite difficult to advocate for a religion.

세상이 편한 세상이라고 생각이 돼요

I think it's a world where things are easy.

종교로 뭔가 했다 하면 다 이해가 되기도 하고

When it comes to doing something through religion, it all makes sense.

뭔가 잘못을 덮을 수도 있고

You might be able to cover up something that went wrong.

그래서 종교를 이용을 하는 것 같은데

So it seems like you're using religion.

저는 그 종교의 본질은 그거랑 전혀 상관이 없고

I believe the essence of that religion has nothing to do with that.

하느님께서 그렇게 하라는 적도 없고

God has never asked for that.

9.11 테러 같은 경우에도 결국엔 종교 전쟁처럼 여론에 비춰져서

In the case of the 9/11 terrorist attacks, it ultimately seemed to reflect public opinion like a religious war.

중동에 있는 사람들은 나쁜 사람들이고

People in the Middle East are bad people, and

무슬림은 죽어야 되고

Muslims need to die.

이러한 인식이 퍼졌듯이

As this perception spread

제가 또 그 시리아나라는 영화를 봤습니다

I watched that movie "Syria" again.

또 영화입니까?

Is it another movie?

상당히 좋은 상당히 좋은 영화인데

It's a pretty good movie.

약간 좀 어려운 영화이기도 해요

It's a bit of a difficult movie.

사우디아라비아 얘기예요

It's about Saudi Arabia.

9.11 테러 난 이후에

After the 9/11 terrorist attacks

그 배우자들과 진범들의 명단이 공개가 됐을 때

When the list of spouses and the real perpetrators was released.

상당히 쇼크가 있었다고 해요

They say there was quite a shock.

사실 미국의 상징이었던 쌍둥이 타워

In fact, the Twin Towers, which were a symbol of America.

무너뜨린 국가들이 반미 감정을 느끼는 이란이라든지

Countries that have been toppled, such as Iran, which feels anti-American sentiment.

사실 미국의 상징이었던 쌍둥이 타워 무너뜨린 국가들이 반미 감정을 느끼는 이란이라든지

In fact, countries that destroyed the Twin Towers, which were a symbol of America, include Iran, which feels anti-American sentiment.

잘 못 사는 아프가니스탄 사람들일 줄 알았는데

I thought they were poor people from Afghanistan.

사우디아라비아 사람들이 대부분이었다는 거죠

It means that most of the people were from Saudi Arabia.

사우디아라비아는 옛날부터 미국 문화라든지

Saudi Arabia has been influenced by American culture since ancient times.

미국 자본 그리고 미국 기업과 협력을 잘하고

Good cooperation with American capital and American companies.

또 잘 사는 나라지 않습니까

Isn't it a well-off country as well?

근데 거기에서 반미 세력을 만들어서 교육시켜서

But by creating and educating anti-American forces there

그렇게 테러를 가했다는 것 자체가 상당히 쇼크였고

The fact that they committed such a terror act was quite shocking.

그러한 부분들을 잘 풀어간 영화예요

It's a movie that deals well with those aspects.

혹시 시간 되시면 한번 보시면 좋은데

If you have some time, it would be good to take a look.

맷 데이먼도 나와요

Matt Damon is also coming.

아 네 맷 데이먼도 좋아하는데

Oh, I like Matt Damon too.

어쨌든 그 테러를 가하는 부분이 있어서

Anyway, there is a part that involves the act of terrorism.

종교적인 색채를 상당히 더하는데

It adds a significant religious tint.

표면적으로는 종교적인 색채예요

On the surface, it has a religious color.

근데 그 이면에는 미국의 정치 세력과 파워를

But behind that lies the political forces and power of the United States.

중국에 뺏기지 않기 위해서

To not be taken by China.

종교를 이용한 부분이 있고

There is a part that uses religion.

반대 세력인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In Saudi Arabia, which is the opposing force,

그렇게 밖에 할 수 없는 입장을

A position that can only do it that way.

얘기를 해서 전형적인 반미 영화로 나와 있습니다

It has come out as a typical anti-American movie.

그래서 조지 플로니가 그걸로 남우조연상인가 받았을 거고

So George Clooney probably won the Best Supporting Actor for that.

그래서 제가 드리고 싶은 말씀은

So what I want to say is

어떠한 현상이 있을 때 종교라는 것으로 포장되지만

It is sometimes wrapped in religion when certain phenomena occur.

꼭 그것만은 아니고

It's not necessarily just that.

그래서 그 종교에 나쁜 면이 있다

So there are negative aspects to that religion.

이렇게 보시기 보다는

Rather than looking at it like this,

제대로 한번 여러 가지 탐구를 해야 된다

We need to properly explore various things.

이런 얘기를 하고 싶은 거죠

This is what I want to talk about.

아 네 저는

Ah yes, I am...

최선비 씨가 이번 회에 준비도 많이 해 오시고

Mr. Choi Seon-bi prepared a lot for this meeting.

뭔가 좀 생각도 깊이 하시는 것 같고

It seems like you think deeply about things.

저는 좀 뿌듯합니다

I feel a bit proud.

제가 원했던 게 이런 거였는데

This is what I wanted.

근데 생각을 하면 할수록 더욱더 확신해지죠

But the more I think about it, the more convinced I become.

종교를 믿어야 되는 것과

Believing in religion and

뭐 그렇든 말든 어쨌든 그냥 전에처럼

Well, whatever it is, just like before.

뭐 그냥 그냥 믿죠

Well, I just believe it.

이렇게 하는 것처럼 맥이 빠지지 않습니까

Doesn't it feel a bit sluggish to do it like this?

근데 좀 생각을 많이 하시고

But please think about it a lot.

좋지 않습니까 이런 게

Isn't this good?

제가 볼 때는 이런 게 좀 더 좋은 뭐랄까요

In my opinion, something like this is a bit better, how should I put it.

결과인 것 같아요 토론의 긍정적인 결과

It seems to be the result, a positive outcome of the discussion.

일단은 방송의 양이 잘 나오죠

First of all, the quantity of the broadcast is good.

방송의 양이 잘 나오고

The amount of broadcast is coming out well.

방송이 더 계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거죠

The broadcast can continue to take place more consistently.

네 뭐 다음 주에 또 재밌는 소식으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Yes, I'll be back with some interesting news next week.

네 뭐 조금이라도 지식 상승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고요

I hope it helps you gain a little bit of knowledge.

또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 생각을 하면은

When I think about these aspects,

네 뭐 조금이라도 지식 상승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고요

Yes, I hope it will help in increasing your knowledge, even a little.

또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 생각을 하면은

If I think about this aspect as well,

한번 해보셨으면 좋겠어요

I hope you try it once.

종교에 대해서 한번쯤은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이었으면 좋겠습니다

I hope it will be a time to think about religion at least once.

네 다음에 뵙겠습니다 안녕

Yes, see you next time. Goodbye.

네 감사합니다

Yes, thank you.

Continue listening and achieve fluency faster with podcasts and the latest language learning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