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소집] 2023 튀르키예-시리아 지진

팝콘과학

팝콘과학

[긴급소집] 2023 튀르키예-시리아 지진

팝콘과학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 시호입니다.

Hello. It's been a while since I last greeted you. This is Siho.

네, 안녕하세요. 해마입니다.

Yes, hello. I'm a seahorse.

진짜 저희 진짜 오랜만에 같이 이렇게 녹음하면서 만나는 것 같아요.

It feels like it's been such a long time since we've met and recorded together like this.

그러니까요. 정말 오랜만이죠.

That's right. It's been a really long time, hasn't it?

저희가 날짜를 보니까 시즌2로 돌아오겠다고 인사를 드렸던 게 녹음일 기준으로 딱 1년 전이더라고요.

When we looked at the date, it turned out that we announced we would be returning for season 2 exactly one year ago from the recording date.

2월 23일이더라고요.

It's February 23rd.

그러니까요. 정말 이렇게 오래 걸릴 줄은 몰랐는데

I didn't know it would take this long.

이게 저희가 막상 시즌1을 끝내놓고 갑자기 다들 셋 다 현생이 갑자기 바빠지면서

After we finished Season 1, suddenly all three of us got busy with our real lives.

시즌2를 준비를 잘 못하고 있었는데

I wasn't prepared well for season 2.

그 와중에 최근에 좀 큰 사건이 하나 있어가지고

Meanwhile, there has been a relatively big incident recently.

저희가 그래도 아직 시즌2는 돌아오는 건 아니지만

We still won't be returning for season 2, though.

특별 에피소드라도 하나 짧게 해보려고요.

I’m planning to do a short special episode.

해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어서 이렇게 다시 잠깐 인사드리게 됐습니다.

I thought it might be worth trying, so I briefly wanted to greet you again like this.

맞아요. 맞아요.

That's right. That's right.

그래서 오늘 사실 무제님은 또 다른 바쁜 일이 있어서

So today, actually, Mujae has another busy task.

저희 둘만 그렇게 오늘은 하지만

It's just the two of us like that today, but...

시즌2를 혹시 하게 된다면 다시 3명으로 돌아와 보겠습니다.

If there is a Season 2, I will return with the three of us again.

그렇습니다. 그러면 오늘은 이과생 둘이서 밖에 없기 때문에

That's right. Since there are only two science students outside today,

쓸대생은 없고 일단 과학 얘기로 바로 넘어가 보려고 해요.

There's no need for small talk, so I will move on to discussing science right away.

네.

Yes.

오늘은 이제 시호님께서 전문가로서 이야기를 해주실 텐데요.

Today, Ms. Siho will share her insights as an expert.

오늘 저희가 준비한 주제는 터키에서 최근에 좀 일어났던 안타까운 지진에 대해서 얘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Today, we would like to talk about the unfortunate earthquake that recently occurred in Turkey.

네. 맞습니다.

Yes. That's right.

네. 그래서 2월 6일 날 터키의 이제 가지안테프라는 지역에서

Yes. So, on February 6th, in a region of Turkey called Gaziantep...

좀 오전 4시경에 규모 7.8 정도의 지진이 일어났었고

Around 4 a.m., there was an earthquake of about magnitude 7.8.

곧 이어서 같은 날에 이제 또 규모 7.5 정도의 2차 지진이 일어났다고 알고 있고요.

I understand that a second earthquake with a magnitude of about 7.5 occurred on the same day shortly after.

네. 맞아요.

Yes. That's right.

네. 녹음일 기준으로는 이제 엊그저께 규모 6.4의 지진이 또 일어났습니다.

Yes. As of the recording date, there was another earthquake of magnitude 6.4 just the day before yesterday.

네. 맞습니다. 그래서 이번 지진이 또 유독 피해가 크기도 했고

Yes. That's right. That's why this earthquake had particularly severe damage as well.

또 그러면 그렇기 때문에 더 사람들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것 같아서

I think that is also why it is receiving more attention from people.

좀 전공하고 있는 사람 입장에서 그래도 이야기를 좀 해봐야 되지 않을까 해서

I thought I should still talk about it from the perspective of someone who is majoring in it.

이렇게 제가 특별 비소드를 해보자고 제안을 드렸습니다.

I suggested that I try a special episode like this.

네. 너무 좋은 제안이어서 이렇게...

Yes. It's such a great suggestion that...

네. 긴급 회차를 녹음을 하게 됐습니다.

Yes. We recorded an emergency episode.

그러면 먼저 이 터키 지진에 대한 좀 기본적인 정보부터 시호님께서 좀 설명을 해주실까요?

Then, could you first provide som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earthquake in Turkey, Si-ho?

네. 그럼요. 이제 많은 분들이 뉴스를 보셨거나 하면 많이 들으셨겠지만

Yes. Of course. Now, many people may have seen the news or heard a lot about it.

이번에 난 지진은 터키 동쪽에 있는 동아나톨리안 단층대라는 굉장히 긴 단층대에서 발생을 했습니다.

This time, the earthquake occurred along the very long East Anatolian Fault located in eastern Turkey.

그래서 저희 팟캐스트에서 이전에 마지막으로 다뤘던 회차에서

So in the last episode we covered on our podcast,

지진이라는 거는 단층에서 에너지가 쌓였다가 방출되면서 발생하는 현상이라는 거를 설명을 좀 드렸었는데

I explained that an earthquake is a phenomenon that occurs when energy accumulates and is released along a fault.

맞죠. 맞죠.

That's right. That's right.

네. 혹시 이 개념이 익숙하지 않으시거나 궁금하신 분이 계시다면

Yes. If anyone is not familiar with this concept or has questions,

돌아가서 지진 에피소드를 좀 들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I think it would be good to go back and listen to the earthquake episodes a bit.

네. 맞습니다.

Yes. That's correct.

아무튼 기본적으로 단층이라는 곳이 있고 단층이라는 곳은 땅과 땅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계부에 있게 되면서

In any case, basically, there is a fault zone, and the fault zone is located at the boundary where the land moves in different directions.

땅에 균열이 생긴...

There are cracks in the ground...

그런 곳을 단층이라고 부르는데

Such a place is called a single layer.

그래서 지정학적으로는 터키가 아나톨리안 판이라고 하는 굉장히 작은 판에 속해 있는데

So, geopolitically, Turkey belongs to a very small plate known as the Anatolian Plate.

이 판 같은 경우에는 주변에 유라시아 판 혹은 아라비아 판, 아프리카 판이라고 하는 대규모의 판들과 굉장히 맞물려 있게 되면서

In the case of this plate, it is very interconnected with large plates such as the Eurasian Plate, the Arabian Plate, and the African Plate surrounding it.

여러 면을 접하고 있어요.

I am experiencing various aspects.

그런데 이렇게 판들이 서로 접하고 있는 경계부에서 우리는 큰 단층대가 발달할 수 있는 것이고

However, it is at the boundary where these plates are in contact that a large fault zone can develop.

그리고 이런 큰 단층대들은 대규모로 움직이면서 큰 지진을 발생시킬 수 있거든요.

And these large fault zones can move on a large scale and cause significant earthquakes.

네 개나 다섯 개나 이렇게 몰려있는 곳이 없군요.

There isn't a place where four or five are gathered like this.

네. 맞아요. 생각보다 굉장히 지형적으로 복잡한 환경에 놓여있고

Yes. That's right. It's in a much more topographically complex environment than I thought.

그래서 북쪽으로 북아나톨리아 단층대도 있고

So there is also the North Anatolian Fault to the north.

동쪽으로 이번에 지진이 일어난 동아나톨리아 단층대도 형성이 되어 있는 환경입니다.

The eastern region where this earthquake occurred is also an environment where the Eastern Anatolian Fault Zone is formed.

그럼 되게 뭔가 지진이 나기 좋은 환경이라는 뜻도 되겠네요.

That would mean it's a very favorable environment for earthquakes.

네. 맞습니다.

Yes. That's correct.

그래서 실제로 이번에 지진이 일어난 동아나톨리아 단층대도 조용하지 않았거든요.

So, in reality, the East Anatolian Fault zone where the earthquake occurred this time was not quiet either.

보면 2020년에도 규모 6.8짜리 지진이 난 적이 있어요.

There was a magnitude 6.8 earthquake in 2020 as well.

아 정말요?

Oh really?

네. 그런데 저도 사실 잘 몰랐을 정도로 이 지진은 아마 큰 피해를 입히지 않았던 것 같아요.

Yes. But to be honest, I didn't really know much about it either, so this earthquake probably didn't cause much damage.

그래서 많은 관심을 받지 못했고

So it didn't receive much attention.

그리고 사실 정말 역사적으로 봐도 지진이 꽤 자주 나던 지층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And in fact, historically speaking, it is a geological layer where earthquakes have occurred quite frequently.

다만 다른 탄해 경계부들에 비해서 그렇게 큰 규모의 지진을 일으켰다거나

However, it did not cause such a large-scale earthquake compared to other seismic boundaries.

아니면 가까운 시일 내에 큰 지진을 일으켰다거나 한 적이 없어서

Otherwise, there hasn't been a major earthquake in the near past.

조금 덜 알려진 면이 있는 것 같습니다.

It seems that there is a somewhat lesser-known aspect.

그렇죠. 저도 트리키에서 큰 지진이 일어났다는 그런 뉴스를 잘 못 잡혀서 그런지

That's right. I think it's because I couldn't catch the news about the big earthquake that occurred in Turkey well.

지진의 핫스팟이라는 그런 생각을 못했던 것 같아요.

I don't think I ever thought of it as a hotspot for earthquakes.

네.

Yes.

그러면 이번 지진은 이렇게 좀 미디어에 많이 탈 정도로로

Then this earthquake has been reported by the media quite a lot.

좀 피해가 컸던 게 아닌가라는 생각이 드는데

I can’t help but feel that the damage might have been quite significant.

네. 맞습니다.

Yes. That's right.

유독히 이번 지진으로 인한 좀 피해가 컸던 이유가 있을까요?

Is there a particular reason why the damage from this earthquake was particularly severe?

네. 아무래도 지진에 피해를 입힐 수 있는 요소로는

Yes. As for the factors that can cause damage due to earthquakes,

일단 가장 먼저 지진이 얼마나 컸는가를 나타내는 규모가 당연히 있겠고요.

First of all, there is the magnitude, which naturally indicates how strong the earthquake was.

그렇죠.

That's right.

그리고 실제 지진 피해를 얼마나 입었는가를 반영하는 진도를 볼 수 있겠는데요.

And you can see the magnitude that reflects how much actual damage was caused by the earthquake.

일단 규모적인 측면에서 봤을 때

First of all, from a scale perspective.

제가 말씀드렸듯이 동아 아나톨리아 단층 같은 경우에는

As I mentioned, in the case of the East Anatolian Fault...

아나톨리아 판이랑 아라비아 판이 이렇게 서로 지나가면서

As the Anatolian Plate and the Arabian Plate pass by each other like this.

다른 방향으로 지나가면서 미끄러지는 형태의 판의 경계에 놓여 있거든요.

It's located at the boundary of a plate sliding while passing in another direction.

근데 보통 이런 판의 경계의 경우에는 아주 큰 지진을 수반하지는 않아요.

However, usually in the case of boundaries like this, they do not accompany very large earthquakes.

예를 들어 동일본 대지진이라든가 수마트라 지진 인도네시아에서 크게 났던 거

For example,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or the Sumatra earthquake that occurred in Indonesia.

이런 것처럼 규모 9점대 이런 큰 지진을 수반하지는 않는 거라서요.

It's not something that is accompanied by such large earthquakes in the magnitude of 9.

별로 알려져 있는데

It's not very well known.

이런 변환 단층대라고 보통 말을 하는데

This is usually referred to as a transformation fault zone.

변환 단층대에서 일어난 지진 치고 규모가 굉장히 큰 편입니다.

The earthquake that occurred at the transform fault zone is quite large in magnitude.

그러니까 일본이랑 수마트라에서 일어났던 거는

So what happened in Japan and Sumatra is...

이렇게 판들이 서로를 향해서 부딪치거나 그런 거였는데

It was like the plates were bumping into each other or something like that.

네네 맞아요.

Yes, that's right.

worker는 옆으로 쓸리는 그런 다른 좀 유형이다라는 건가요?

Are you saying that a worker is a different type that is pushed aside?

그렇구나.

I see.

서로 판의 경계의 유형이 다르고

The types of boundaries between the plates are different.

어 네.

Oh yes.

서로 판의 경계의 위영이 다르고 판의 경계의 위영이 다르고 판의 경계에 유형이 다르고 판에 경계에 위영이 다르고 판에 경계의 위영이 다르고 판에 경계에 위영이 다르고 판에 경계에요.

The boundaries of the plates differ in type and they differ in dimensions at the plate boundaries.

유형에 따라서 날 수 있는 최대의 규모 정도가 조금 차이가 있는데

The maximum possible size that can fly varies slightly depending on the type.

이 판의 경계, 유형치고는 꽤나 역사적으로 좀 큰 편에 속하는 지진이 났고요.

A relatively significant earthquake occurred along the boundary of this plate, which is quite large for a type of this kind.

또 사실 규모가 크더라도 꼭 피해가 규모가 크다고 큰 건 아니거든요.

In fact, even if the scale is large, it's not necessarily true that the damage is also large.

좀 더 피해 관련 얘기는 진도를 살펴봐야 되는데

We need to examine the progress before discussing the damage further.

이 진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는

Factors that could influence this progress include

또 이제 건물의 내진 설계가 어떻게 되어 있었는지

Now, how was the earthquake-resistant design of the building?

혹은 그 지하 구조가 어떻게 생겼는지

Or what the underground structure looks like.

예를 들어서 지진이 일어났을 때 그 건물이 최적층이라고 해서

For example, when an earthquake occurs, just because the building is on the optimal floor...

조금 더 연약하고 조금 덜 딱딱하게 굳은 그런 층 위에 있으면

If you are on a layer that is a little more fragile and a little less rigidly hard,

지진파가 도달했을 때 그 층 안에 갇혀서 더 울릴 수가 있어요.

When the seismic waves reach, they can become trapped inside that layer and vibrate more.

그렇게 되면 빌딩 같은 경우에는 더 진도가

If that happens, in the case of a building, the progress will be even more.

가동하게 되고 그래서 더 위험도가 높을 수 있는 겁니다.

It can be activated, which may increase the level of danger.

그 아래 땅이 어떤 약간 재질이냐 이런 거에 따라서 피해가 달라질 수 있다는 거군요.

This means that the extent of damage can vary depending on what type of material the ground beneath is.

네, 맞아요.

Yes, that's right.

생각을 못 해봤네요, 진짜.

I really haven't thought about it.

그리고 또 지진이라는 게 재미있게도 한 방향으로만 가거나

And interestingly, earthquakes can only go in one direction or...

이렇게 양방향으로 같은 속도로 가는 게 아니라

It's not going at the same speed in both directions like this.

보면 약간 방향성을 띠는 경우가 있어요.

There are cases where it slightly takes on a directional aspect.

그래서 똑같은...

So the same...

같은 지진이 일어났다 하더라도

Even if the same earthquake occurs

이쪽 방향에 있었냐 저쪽 방향에 있었느냐에 따라서

Depending on whether it was in this direction or that direction.

지진 피해 정도가 다른 경우가 있습니다.

The extent of earthquake damage can vary.

그렇구나. 방향성도 있군요, 지진이.

I see. The earthquake has a direction as well.

네, 지진이 생각보다 굉장히 복잡해요.

Yes, earthquakes are more complicated than I thought.

그러네요, 정말.

That's true, really.

네, 그래서 아마도 미로와 봤을 때

Yes, so maybe when I see Miro.

이번에 지진이 난 곳 근처에 약간 아까 말씀드린 것처럼

As I mentioned a little earlier, near the area where the earthquake occurred this time...

좀 연약한 집안이 있는 곳들이 몇 군데 있었고

There were a few places with somewhat fragile households.

그런 곳에서 좀...

Somewhere like that...

네.

Yes.

그런 곳에서 좀...

In a place like that...

피해가 많이 발생했다고 들었고요.

I heard that a lot of damage has occurred.

그리고 이번에 유독 건물들이 많이 무너졌다는 소식을 많이 들으셨을 텐데

And you must have heard a lot about the buildings collapsing this time.

맞아요. 그런 사진도 좀 많이 봤던 것 같아요.

That's right. I think I've seen quite a few photos like that.

지진이 났다고 꼭 건물이 무너지는 건 아닌데

Just because there was an earthquake doesn't mean that buildings will necessarily collapse.

내진 설계가 아무래도 상대적으로 조금 덜 잘 되어 있었던 것 같고

It seems that the seismic design was relatively less well done.

그리고 약간 경제적으로 조금 낙후된 지역이었다고 들었어요.

And I heard that it was a somewhat economically lagging area.

그리고 이번에 큰 피해를 입은 시리아도 마찬가지로

And this time, Syria, which has also suffered great damage, is the same.

내전 같은 걸로 건물이...

Buildings due to something like a civil war...

이미 조금 약해져 있는 상황에서 흔들리면서 또 많이 무너졌다고 하기도 하더라고요.

They say that they have also collapsed a lot, shaking in a situation where they are already somewhat weakened.

그러니까 이게 단순히 또 지진의 세기도 문제가 있지만

So it’s not just a matter of the magnitude of the earthquake, but also...

사회적인 여건이나 그런 것들이 요인이 돼서 피해가 커질 수가 있네요.

Social conditions and such factors can contribute to the extent of the damage.

네, 그리고 또 굉장히 특이하게도 이게 아직 원인은 저희가 좀 알아보고 있는데

Yes, and also very oddly, we are still looking into the cause of this.

그냥 현상만 봤을 때는 이번 지진이 좀 유독 좀 주파수가 건물들이랑 공명하기 좋은 주파수라서

When looking only at the phenomenon, this earthquake has a frequency that resonates well with the buildings.

보통 이런 식으로 공명을 하면 좀 피해가 일어날 수 있거든요.

Usually, if resonance occurs this way, some damage can occur.

근데 이제 어떤 지진은 조금 덜 그렇고 어떤 지진은 좀 더 건물에 좀 피해를 주는 식으로 발달되고

However, some earthquakes develop in a way that causes less damage, while others cause more damage to buildings.

이런 부분이 왜 생기는가 이 부분은 이제 아마 아직 연구를 좀 하고 있는 것 같은데

I think they are still researching why this aspect arises.

그래서 왜는 아직 잘 모르겠지만 이번 지진이 조금 더 건물 피해에 좀 더 최적화된 나쁜 지진이었다라고 하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So, I don't fully understand why yet, but I've heard that this earthquake was a particularly bad one that caused more damage to buildings.

혹시 그럼 시호님도 이번 지진에 대해서 따로 연구를 하시나요?

By any chance, are you also conducting separate research on this earthquake, Siho?

바로 연구를 할 것 같지는 않은데요.

I don't think I'll be doing research right away.

네.

Yes.

인트로 때 말씀하신 것처럼 7.8자리가 났었고 그 다음에 얼마 안 가서 7.5, 7.6자리가 났잖아요.

As you mentioned in the intro, there was a spot of 7.8, and then shortly after, spots of 7.5 and 7.6 appeared, right?

네.

Yes.

이제 그런 식으로 굉장히 가까운 시간 사이에 큰 지진이 났거나 아니면 굉장히 연관 있어 보이는 두 지진이 났을 때

Now, when a significant earthquake occurs within a very short time or when two earthquakes that seem very related happen.

얘네가 어떤 식으로 상호작용을 했을까?

I wonder how they interacted.

에 대한 연구를 사실 제가 하고 있거든요.

Actually, I am doing research on that.

오 그런 걸로 또 박사를 하고 계시는군요.

Oh, you're doing your doctorate with that.

네. 그래서 제가 이미 대답을 조금 알고 있었다면 이번 터키 지진 때 조금 더 많은 이야기를 해볼 수 있었겠지만

Yes. So if I had already known a bit more about the situation, I could have shared a bit more during the recent earthquake in Turkey.

안타깝게도 아직 굉장히 진행 중인 상태이기 때문에 제 생각에 이 과정의 답을 얻으면

Unfortunately, I think that given how much this process is still ongoing, if we get an answer to this process...

나중에 돼서 이제 터키 지진 때 제가 지금 하고 있는 가설을 조금 적용해보거나

Later on, I will try to apply the hypothesis I am currently working on to the Turkey earthquake a bit.

그렇죠.

That's right.

아니면 뭐 어떻게 답을...

Otherwise, how should I respond...

다른지 비교해보는 예시로 공부할 수 있을 것 같아요.

I think it can be used as an example to study by comparing differences.

오. 그럼 또 논문도 한번 기대를 해보겠습니다.

Oh. Then I will look forward to another paper as well.

방금 2차 지진이 되게 크게 일어났다고 말씀하셨잖아요.

You just mentioned that there was a really big aftershock.

네.

Yes.

이렇게 큰 규모도 여진이라고 얘기를 할 수 있나요?

Can we say that such a large scale is also an aftershock?

이 부분도 제가 사실 질문이 나오면 얘기를 하고 싶었던 부분인데요.

This is also something I wanted to talk about when questions arise.

네.

Yes.

여진이라는 것도 결국 사람이 정의를 한 문제이기 때문에 절대적으로 너는 여진이다 하고 난 게 아니라

Since the issue of 'aftershocks' is ultimately defined by people, it is not something that can be absolutely said, "You are an aftershock."

네.

Yes.

그냥 결국 사람들이 이제 공부를 할 때 분류를 하기... 분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만든 개념이거든요.

It's just that in the end, people classify things when studying... it's a concept created to facilitate classification.

그래서 사실 뭐 어떤 지진이 나고 그 이후에 일어난 관련된 지진들은 다 여진이라고 분류를 하는 경우도 있고요.

So in fact, after an earthquake, related earthquakes that occur afterward are sometimes classified as aftershocks.

네.

Yes.

이번에 경우처럼 너무 단시간 내에 굉장히 비슷한 규모의 큰 지진이 난 경우에는

In cases like this, when a very similar-scale earthquake occurs in a very short period of time,

그렇죠.

That's right.

약간 여진이라고 보기보다는 굉장히 연관성이 높은 더블렛이라고 말하는...

Rather than seeing it as a slight aftershock, it's more accurate to say it's a doublet that has a very high correlation.

오, 더블렛.

Oh, Doublet.

네. 거의 똑같... 뭐 이렇게 다시 반복되었다? 뭐 약간 이렇게 볼 수도 있고 아니면...

Yes. Almost the same... Why has it repeated like this again? It could be seen like this in a way, or not...

네. 어쨌든 별개의 지진인데 굉장히 유사한 특성의 두 지진이라고 보는 견해가 조금 더 많은 것 같습니다.

Yes. Anyway, it seems that there are more opinions that regard the two earthquakes as separate but with very similar characteristics.

현재 이번에 터키 케이스의 경우에는.

Currently, in the case of Turkey this time.

왜냐하면 지진학에서 법칙이라고 할 만한 게 거의 없거든요.

Because there are almost no laws that can be considered in seismology.

아, 정말요?

Oh, really?

웬만하면 다 안 들어맞아요. 웬만하면 다 안 들어맞는데 딱 하나 좀 잘 들어맞는 법칙이 있는데 그게...

Most things don't fit well. Most things don't fit well, but there is one rule that fits quite well, and that is...

이게 이제 지진 발생 이후에 또 시간에 따라서 규모 몇 대의 지진이, 몇 개가 발생할까 뭐 이런 거에 대한 굉장히 러프한 추정 곡선이 있는데

This is a very rough estimate curve regarding how many earthquakes of various magnitudes will occur over time after an earthquake event.

이번 같이 이렇게 큰 지진이 두 개가 그 짧은 시간 내에 있는 거는 굉장히 심각하게 위배되거든요.

Having two large earthquakes like this in such a short period of time is a very serious violation.

아, 그렇군요.

Ah, I see.

네. 보통 이제 클래시컬하게 여진이라고 구분하는 건 이제 그런 곡선에...

Yes. Usually, the classical way to distinguish it is with such curves...

잘 들어맞고 또 좀 다른 게 단층이 좀 달라요.

It fits well, but the single layer is a bit different.

7.8짜리는 그 동아나톨리안 단층인데 거의 바로 옆에서 놨고요.

The 7.8 magnitude earthquake is the Anatolian fault, and it was placed almost right next to it.

7.5짜리, 6짜리를 보면 북쪽으로 한 95km 정도 가서 조금 더 뭐랄까요.

If you look at 7.5 and 6, go about 95 km north and then a little more, how should I put it.

남동쪽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조금 다른 방향의 단층에서 발생을 했어요.

It occurred on a slightly different-oriented fault that is tilted towards the southeast direction.

그래서 우리가 보통 여진이라고...

So, we usually call it an aftershock...

여진이라고 하면 그 지진이 가는 길에 이렇게 따라서 단층을 따라서 발생을 한다던가

Aftershocks occur along the fault line as the earthquake moves.

우리가 이걸 통해서 오히려 역으로 모든 지진이 끝나고 나서

Through this, rather, after all the earthquakes have ended,

아, 원래 이 단층이 이렇게 생겼었고 있구나.

Ah, so this is how the original single layer looked.

이 깊이에서는 뭐 이렇게 역으로 유출을 하는데 쓰일 정도로 보통은 그렇게 기대를 하는데

At this depth, it's usually expected to be used to leak in reverse like this.

좀 많이 다른 단층에서 났거든요.

It's a bit different from the flat.

그래서 이거는 여진으로 보지 않는 견해가 조금 더...

So there is a view that this is not seen as an aftershock...

조금 더 많다 정도 얘기할 수 있겠습니다.

I can say it's a little more than that.

아, 그렇군요. 이게 안타까운 일이지만 저도 또 이렇게 과학으로 좀 뜯어보면

Ah, I see. This is unfortunate, but if I examine it through science a bit...

또 되게 새로 알게 되고 흥미로운 부분들이 많이 있는 것 같아요.

I think there are many new and interesting aspects that I have come to learn about.

네, 맞아요.

Yes, that's right.

네, 그렇다면 지난 지진 회차에서도 잠시 저희가 이런 걸 대비할 수는 없느냐.

Yes, then during the last earthquake round, couldn't we have prepared for something like this?

우리 지진을 공부하는 사람들이 잘 연구를 해서 이런 지진을 예측하고

Those of us studying earthquakes are conducting thorough research to predict such earthquakes.

대비를 할 수는 없는 것인가에 대한 얘기를 잠깐 했던 기억이 나는데

I remember having a brief conversation about whether it is possible to prepare for it.

그 질문을 또 하지 않을 수가 없어요.

I can't help but ask that question again.

그래서 이번 트리키의 지진도 조금 더 잘 대비를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었는지

So, was there a way to be better prepared for this earthquake in Turkey?

뭐 전조 증상이 있었는지 그런 게 좀 궁금합니다.

I'm curious if there were any warning symptoms or signs.

네, 그래서 일단 보통 지진학 하는 입장에서 말씀을 드릴 수 있는 대비는

Yes, so first of all, from the perspective of someone who usually studies seismology, I can say that preparations are...

최대한...

As much as possible...

어느 곳에서 지진이 자주 일어나는지를 파악하는 것부터가 좀 시작인데요.

Identifying where earthquakes occur frequently is just the beginning.

말씀드렸던 것처럼 동아나톨리안 단층대 같은 경우에는

As I mentioned, in the case of the East Anatolian Fault Zone...

언제 지진이 나도 이상한 단층대는 아니었죠, 당연히.

It wasn't an unusual fault zone, of course, no matter when the earthquake occurs.

근데 또 한 가지 좀 흥미로운, 과학적으로 좀 흥미로운 사실은

But one more interesting and scientifically intriguing fact is that...

보통 이제 지진이 나지 않을 때는 이 지역이 얼마나 지진 위험도가 큰지를 평가할 때

Typically, when there are no earthquakes occurring, this is when the seismic risk level of this area is evaluated.

이제 위성 자료를 많이 활용을 해요.

Now we are making good use of satellite data.

네.

Yes.

땅은 항상 움직이고 있거든요.

The earth is always moving.

우리가 밟고 서 있는 이 땅도 손톱 자르는 속도만큼 항상 움직이고 있는데

The land we stand on is always moving, even at the speed of cutting our nails.

이제 그 움직임이 좀 두드러진 지역 같은 경우에서 에너지가 쌓이기 쉽고

Now, in areas where that movement is somewhat pronounced, energy tends to accumulate easily.

그 말인 즉슨 지진이 나중에 나기 쉬운 지역이다라고 볼 수 있기 때문인데요.

This means that it can be seen as an area where earthquakes are likely to occur later.

그렇죠. 근데 그걸 위성에서 관찰을 한다는 말씀이시죠?

That's right. But you mean that it can be observed from a satellite, right?

네, 그래서 위성... 사실 이야기에도 시즌 1 때 시간이 있으면 좀 해보고 싶었는데

Yes, so about the satellite... Actually, I wanted to try doing it a bit during Season 1 if there was time.

위성으로 어떻게 관찰을 한다는 말씀이시죠?

Are you saying that we can observe it using a satellite?

네, 위성으로 어떻게 관찰을 한다는 말씀이시죠?

Yes, you're asking how we observe with satellites, right?

네, 위성으로 어떻게 관찰을 하는지

Yes, how observations are made using satellites.

그러니까요. 신기하네요. 그게 멀리 있잖아요, 위성은.

That's right. It's amazing. It's far away, you know, the satellite.

네, 맞아요. 이제 우리 다 핸드폰에 GPS로 자기 위치 찾잖아요.

Yes, that's right. Now we all find our location on our phones using GPS.

네.

Yes.

그거랑 똑같이 이제 GPS를 이제 땅에다가 고정시켜 놓은 GPS를 여러 개를 깔아요.

Just like that, we will now install several GPS units fixed to the ground.

그러면 얘가 계속적으로 위치를 확인하잖아요, 위성이랑 교류하면서.

Then it continuously checks its location while interacting with the satellite.

그렇죠.

That's right.

그러면 이게 시간에 따라서 얘가 어느 방향으로 조금 조금씩 움직이는지를 알 수 있잖아요.

Then, you can see how it moves slightly in a certain direction over time.

맞습니다.

That's right.

이런 식으로 하는 경우를.

In this way.

이제 GPS를 이용한 계산이고.

Now it's a calculation using GPS.

다른 위성을 활용한 경우에는 얘가 똑같은 위치의 사진을 두 번을 찍어요.

When using another satellite, it takes two pictures of the same location.

그러면 만약에 그 사이에 땅이 움직였어요.

Then what if the land moved in the meantime?

그러면 두 사진 사이에 좀 다른 모습이 보이겠죠.

Then you would see a somewhat different appearance between the two photos.

그럼 이 어떻게 다른지를 이제 조금 더 수학적으로, 과학적으로 위상을 계산한다고 하는데

Then, it is said that we can calculate the topology a bit more mathematically and scientifically to understand how it is different.

얼마만큼 다른지를 계산을 해서 얘가 어느 방향으로 얼만큼 움직였는지를

Calculating how much it has moved and in which direction.

상당히 정밀한 해상도로 관찰할 수가 있거든요.

You can observe it at quite a precise resolution.

신기하다.

That's amazing.

네.

Yes.

그래서 이제 이런 위성 자료들이 주로 이제 요즘은 지진계 자료랑 더불어서

So now these satellite data are mainly used together with seismometer data these days.

이제 지진 전후로 이제 어떻게 땅이 움직이고 어떻게 영향을 받았는지 연구하는데

Now we are studying how the ground moved and how it was affected before and after the earthquake.

활발하게 콜라보레이션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인데요.

There is an active collaboration taking place.

아무튼 이 위성 자료를 통해서 보면 그 북아나톨리아 단층대라는 곳은

Anyway, looking at this satellite data, the area known as the North Anatolian Fault Zone is...

너무너무 뚜렷하게 많이.

Very, very clearly a lot.

빨리 움직이고 있는 게 보여요.

I can see that you are moving quickly.

그래서 누가 봐도 되게 위험해 보여요.

So it looks really dangerous to anyone who sees it.

근데 이 동아나톨리아 단층대는 이게 사람들이 머리로는 다 위험한 걸 알지만

But people are aware in their minds that this East Anatolian fault zone is dangerous.

이게 실제로 이렇게 위성으로 사진을 찍어보면 되게 되게 위험해 보이지는 않아요.

When you actually take pictures like this with a satellite, it doesn't look very dangerous at all.

그래서 그냥 그래도 큰 지진이 나도 북아나톨리아 단층대에서 나겠지.

So even if a big earthquake happens, it will probably occur along the North Anatolian Fault.

약간 이런 식으로 생각하기가 조금 쉽고

It's somewhat easier to think in this way.

그리고 약간 북아나톨리아 단층대에서 지진이 점점 이제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해서는

And gradually the earthquakes in the North Anatolian Fault Zone are moving from east to west.

살짝의 경향성이 있어서

There's a slight tendency.

서쪽 끝에 있는 이스탄불이라는 대도시가 있기 때문에

Because there is a large city called Istanbul at the western end.

이제 그쪽의 위험도가 어떻게 될지 약간 연구가 조금

Now, I need to do a little research on what the risk level over there will be.

연구도 결국 이렇게 누가 돈을 주면 할 수 있는 거기 때문에

Research can ultimately be done only when someone funds it.

결국은 이제 큰 도시, 대도시, 사람이 많은 곳 이런 곳을 위주로 연구를 하게 되잖아요.

In the end, research tends to focus on large cities, metropolitan areas, and places with a lot of people.

그래서 아무래도 조금 더 연구가 북쪽에 쏠렸던 것 같다.

So it seems that a bit more research was focused in the north.

물론 동쪽에서.

Of course, from the east.

물론 동쪽 연구도 많이는 됐어요.

Of course, a lot of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East as well.

근데 이게 너무 학문적으로 많이 됐고

But it has become too academic.

이게 정책적으로나 좀 공학적으로 많이 됐는지는 정확히는 모르겠는데

I'm not sure if this has been done much in terms of policy or engineering.

그렇지 않았던 것 같아요.

I don't think it was like that.

그런데 하필 이번에 이제 동쪽에서 그런 지진이 일어나게 됐고

But this time, an earthquake happened in the east.

네. 그래서 더 피해가 컸던 것 같기도 하고 조금 더 대비가 덜 된 것 같기도 하고요.

Yes. So I think the damage was greater and that we were a bit less prepared.

그리고 또 하나 또 짚고 넘어가야 될 부분은

And one more thing that needs to be addressed is

두 번째로 난 규모 7.5짜리의 지진 같은 경우에는

Secondly, in the case of an earthquake measuring 7.5 on the Richter scale,

우리가 단층이 어디 있는지를 알면 그래도 약간 여기 단층이 있고

If we know where the fault is, there is still somewhat of a fault here.

그러면 지진이 날 수 있다 뭐 이런 걸 알 수 있는데

Then you can know that an earthquake could occur.

규모 7.5짜리를 발생시킨 단층이 그전까지는 알려지지 않았었어요.

The fault that caused the 7.5 magnitude earthquake was not known until then.

알려지지 않았다고요?

You mean it hasn't been known?

이게 관찰된 적이 없는 데에는 두 가지 정도 이유가 있는데

There are two main reasons why this has never been observed.

한 가지는 그냥 단순히 움직임이 적어서 잘 보이지만

One thing is that it simply stands out because there is little movement.

두 가지 정도 이유가 있는데 한 가지는 그냥 단순히 움직임이 적어서 잘 보이지만

There are about two reasons, one is that it is simply less active so it is easier to see, but...

보이지 않는다거나 그전에 지진을 발생시킨 적이 없어서

It either does not exist or has never caused an earthquake before.

우리가 거기 있는 줄 몰랐을 가능성이 있고요.

There is a possibility that we didn't know we were there.

그렇죠.

That's right.

완전히 없었던 단층이 새로 생기면서 7.5짜리가 나지는 않을 거예요.

A fault that didn't exist at all has newly formed, so a magnitude 7.5 earthquake won't occur.

그러니까 분명히 있긴 있었는데 그냥 인간들이 몰랐던 것뿐이거든요.

So there definitely was something, it's just that humans didn't know about it.

아니면 두 번째로는 밑에 약간 지하에서만 있는 단층이고

Alternatively, the second option is a basement that is only slightly underground.

표층까지 이어지지가 않아서 우리가 이렇게 표층에서 걸어다니면서 지질 조사를 할 때

Since it doesn't extend to the surface, when we walk around the surface like this to conduct geological surveys...

누가 봐도 이렇게 땅이 끊겨있는 모습이 보이지 않는 거죠.

It’s obvious to anyone that the land is cut off like this.

보이지가 않으면 또 우리가 확인할 수가 없잖아요.

If we can't see it, then we can't check it either.

그렇죠.

That's right.

그래서 보통 그렇게 두 가지를 합해서 우리가 단층 지도를 제작하게 되거든요.

So usually we combine those two elements to create a single-layer map.

땅의 움직임을 위성이나 지진 자료를 통해서 보고

Report the movement of the earth using satellite or earthquake data.

그 지질학자들은 실제로 그 표층을 걸어다니면서

The geologists actually walked over the surface.

표층에서 어떻게 모양이 이어져 있는지를 확인하고

Check how the shapes are connected at the surface.

약간 그런 식으로 진행이 되는데

It proceeds in a somewhat similar way.

뭐 어떤 이유에서든 간에 그전에는 이제 지도에 나와 있지 않았던 단층이었던 거죠.

Well, for whatever reason, it was a fault that wasn't on the map before.

그래서

So

당연히

Of course.

어마나? 왜 여기서 지진이 나지? 할 수밖에 없었던 거죠.

Oh my? Why is there an earthquake here? It couldn't be helped.

또 그런 애로사항이 있었구나.

Oh, you had that kind of difficulty too.

그런데 제가 또 살짝 얘기하고 싶은 부분은

However, there's a part that I would like to mention briefly.

그래도 저는 과학하는 사람이지만

Still, I am a person who does science.

과학이라는 것도 재해를 관련하려면 이제 정책 관련 얘기를 안 할 수가 없는데

When it comes to relating science to disasters, we can no longer avoid discussing policy-related issues.

그렇죠.

That's right.

최근에 알게 됐는데

I found out recently.

터키에서도 재해도 지도라는 거를 이미 제작을 했었는데

Turkey has already created something called a disaster map.

나라에서 자체적으로?

On its own from the country?

네. 그래서 이 재해도라는 게 뭐냐 하면

Yes. So, what this disaster prevention is...

지진의 위험도에 따라서 등급을 나눠 놓은 그런 지도인데

It's a map that divides the levels based on the risk of earthquakes.

이제 보통 그런 거를 만드는데 이제 단층 지도가 필요하고

Now, usually, it's necessary to have a single-layer map to create something like that.

그 단층 지도를 기반으로 해서 재해도를 만들면

If we create a disaster map based on that fault map,

이제 그걸 기반으로 해서 정책을 수립한다던가

Now, based on that, we can establish policies.

아니면 공학자들이 내진 설계를 하는데 참고를 한다던가 하게 되는데

Otherwise, engineers may refer to it when performing seismic design.

재해도가 있었고 내진 설계가 굉장히 잘 되어있었거든요.

There was a disaster level, and the earthquake-resistant design was very well done.

그래서 그 정도의 지진에 따라서는

So depending on that level of earthquake,

굉장히 필요한 지역이었음을 알고 있었음에도

Even though I knew it was an area that was very much needed,

약간 내진 설계가 강제가 되지 않았다고 하는 것 같았어요.

It seemed that the seismic design was not necessarily mandatory.

정책적으로 내진 설계가 강제되지 않았다.

Seismic design was not mandated by policy.

네. 이 부분은 제가 틀렸을 수도 있겠지만 그런 것 같아요.

Yes. I might be wrong about this part, but it seems that way.

그래서 아무래도 누가 강요를 하지 않으면

So unless someone forces it,

사실 비용과 재료를 더해서 건물을 잘 지을 이유가 없잖아요.

In fact, there is no reason to build a building well when you add up the costs and materials.

그렇죠.

That's right.

어떻게 보면은

In a way,

엄청난 자연의 재해가 맞지만서도

It's true that it's an enormous natural disaster, but...

약간의 인재성 성격이 조금은 있었고

There was somewhat of a talent for personality.

그래서 더 큰 피해가 발생한 것 같다라고 보고 있습니다.

It seems that greater damage has occurred.

좀 안타깝네요. 그 부분은 진짜.

It's a bit unfortunate, that part really.

네. 조금 안타까워요.

Yes. It's a bit unfortunate.

약간 뭐랄까 웃픈 이야기가

It's like a somewhat funny yet sad story.

뭔가 지진공학센터인가?

Is it some kind of earthquake engineering center?

내진설계공학센터인가?

Is this the Earthquake Engineering Design Center?

그런 빌딩이 있는데

There is a building like that.

주변에 빌딩 다 무너졌는데

All the buildings around have collapsed.

그것만 딱 남아있는 그런 사진을 봤어요.

I saw a photo where only that remained.

아이고야.

Oh dear.

창문 하나 깨지지 않았더라고요.

Not a single window was broken.

약간 그걸 보는데

I’m kind of looking at that.

뭐 우연일 수도 있겠죠.

Well, it could be a coincidence.

아니면 주변 집들이 너무 흙집이었다던가

Or the nearby houses were all mud houses.

물론 그럴 수 있는데

Of course, that could be the case.

그 사진이 주는 임팩트가 너무 강했어요.

The impact of that photo was too strong.

그러네요.

That's right.

그러니까 반대로 말하면 내진 설계만 잘 됐으면

So, conversely speaking, if only the seismic design were done well...

다른 건물들도 무사할 수 있었겠다.

Other buildings could have been safe as well.

이런 생각이 드네요.

I have this thought.

네. 맞습니다.

Yes. That's right.

지진에서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Casualties occur during an earthquake.

가장 큰 원인 두 가지가

The two biggest causes are

건물 피해랑

Building damage and

지진 자체로 인한 화재?

Fire caused by the earthquake itself?

이런 2차적인 주로 인간 문명이랑 관련된

Such secondary aspects are mainly related to human civilization.

그런 것들에 의해서 대부분 사망자가 많이 발생을 하거든요.

Most casualties occur due to things like that.

그래서 조금 다른 예시이기는 하지만

So it's a slightly different example, but...

2011년에 동일본에서 큰 지진이 났었잖아요.

There was a big earthquake in the Tohoku region in 2011.

그렇죠.

That's right.

그게 규모가 9.1이었거든요.

It was a magnitude 9.1.

그게 9.1이었어요?

Was that 9.1?

네. 근데 그게 지진 규모라는 게

Yes. But the thing is, that the magnitude of an earthquake is...

이게 1차 함수가 아니라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하는 거라서

This is not increasing linearly but rather exponentially.

사실 규모 9.1이랑 규모 7.8이면

In fact, a magnitude 9.1 and a magnitude 7.8 would be...

그 에너지가 한 90배가량 차이가 나요.

The energy difference is about 90 times.

와, 90배나요?

Wow, is it 90 times?

와, 진짜 일본께 정말 컸구나.

Wow, Japan really has grown a lot.

네. 정말 컸는데

Yes. It was really big.

물론 케이스가 조금 다른 게

Of course, the case is a little different.

동일본대 지진은 저기 먼 바다에서 나서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originated from the far sea.

네.

Yes.

맞아요.

That's right.

6.1이긴 했지만

It was a win of 6.1, but...

그 가옥들이 실제로 입은 피해는 조금 더 적기는 했겠죠.

The actual damage to those houses was probably a bit less.

그리고 일본은 이제 내진 설계 같은 게 굉장히 잘 돼 있는 나라고

And Japan is now a country with very well-developed earthquake-resistant design.

조기경보도 그 세계에서 몇 안 되는 조기경보가 발생되는 나라니까

Since it's one of the few countries where early warnings occur in that world.

그래서 그런 걸 수도 있지만

So it might be something like that.

엄청난 규모의 쓰나미가 발생을 했었고

A massive tsunami had occurred.

근데 어쨌든 간에 그 피해 정도를 보면

But anyway, looking at the extent of the damage...

동일본 대지진 때 죽은 사람이

The people who died during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2만 명이

20,000 people

2만 명 정도 되더라고요.

It was about 20,000 people.

네. 그것도 적은 숫자는 아닌데, 그렇죠?

Yes. That's not a small number, right?

적은 숫자 당연히 아닌데

It's definitely not a small number.

이번에 지금 7.8 지진으로 인해서

This time due to the 7.8 earthquake.

벌써 4만 명을 넘는 사람들이

Already over 40,000 people have.

네. 사망했거든요.

Yes. He has passed away.

그리고 심지어 아직 집계 중이니까

And it's even still being counted.

나중 되면 점점 오를 거란 말이죠.

It means that it will gradually rise later on.

대비라는 게 참 중요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진짜.

I really think that preparedness is truly important.

네. 살면서 본 피해 중에 굉장히 큰 편에 속해서

Yes. It's among the very significant damage I've seen in my life.

조금 더 놀랐던 것 같아요.

I think I was a little more surprised.

아, 진짜 이렇게 숫자로 피해 정도를 들으니까

Ah, hearing the extent of the damage in numbers like this...

더 이번 지진이 조금 안타까운 것 같은데

I think this earthquake is a bit unfortunate.

이렇게 되면 또 우리나라는 어떠한가?

In this case, what about our country?

라는 질문이 또 들 수밖에 없는 것 같아요.

It seems that the question "Why?" is bound to arise again.

네. 그렇죠.

Yes. That's right.

혹시나 이번 이제

Just in case, this time now.

물론 터키가 멀긴 하지만

Of course, Turkey is far away, but...

이런 터키에서 일어난 큰 지진으로 인해서

Due to the large earthquake that occurred in Turkey.

또 우리나라가 어떤 영향을 받지는 않을지

I wonder what kind of influence our country will receive.

그런 게 궁금하거든요.

I'm curious about things like that.

네네. 너무 당연한 궁금증이거든요.

Yes, yes. It’s a perfectly natural curiosity.

네.

Yes.

최근에 역시 뉴스 같은 거 봐도

Recently, even when watching the news...

한반도나 아니면 또 일본 같은 데에서 이제

On the Korean Peninsula or perhaps in places like Japan now.

뭐 일본에 잠들어 있는 단층을 깨웠다.

I woke up the fault line that is sleeping in Japan.

아무튼 뭐 큰 지진이 날까? 난다?

Anyway, is a big earthquake going to happen? Is it going to happen?

뭐 약간 이런 제목들에

Well, something like these titles.

너무 자극적이야, 벌써 기사들이.

It's too sensational, those articles already.

네. 약간 자극적인 제목의 기사들을

Yes. Articles with slightly provocative titles.

좀 몇 개 제목을 본 적이 있는데요.

I've seen a few titles.

네.

Yes.

일단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To put it briefly,

과학적으로

scientifically

근거가 없는 소리는 아니에요.

It's not a baseless sound.

아, 정말요?

Oh, really?

근데 일단 미리 살짝 깔고 가자면

But just to give you a heads up in advance...

전에도 말씀드렸을 듯이

As I mentioned before,

지진학이라는 게 상당히

Seismology is quite

젊은 축에 속하는 학문이라

It's an academic field that belongs to the younger generation.

아직 조금 잘 규명이 되지 않은

Still somewhat unclear.

영역에 속하는 질문이기는 해요, 이게.

It is a question that falls into the category, you see.

네.

Yes.

근데 이제 이 토픽이 뭐냐 하면

But now, what this topic is about is...

이제 원거리에서 난 지진이

Now, an earthquake has occurred at a distance.

멀리 떨어진 다른 지역에서의 지진을

an earthquake in a distant area

더 많이 발생시키는 데에

to generate more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Can it have an impact?

뭐 약간 이런 토픽이랑 관련이 있거든요.

Well, it’s kind of related to this topic.

네.

Yes.

아직까지 지식의 정도로는

As of now, in terms of knowledge...

저희가 정확히 어떻게?

How exactly do we do that?

또 잘 모르고

I don't know well again.

정확히 영향을 미치긴 미치나?

Does it really have an impact?

또 약간 연구 중이란 말이죠.

It's also a bit of research.

그래서 이제 주로 케이스 스터디로

So now mainly through case studies.

어느 지역에서 봤더니

I saw it in a certain area.

어느 지역에서 난 큰 지진 이후에

After the big earthquake that occurred in a certain area

통계적으로 지진이 평소보다 더 많이 났다.

Statistically, earthquakes occurred more frequently than usual.

그러니까 뭔가 영향을 미친 것 같다.

So it seems like it has had some kind of impact.

이런 식의 연구를 좀 많이 진행을 하고 있는 상황이고요.

We are currently conducting quite a bit of research in this manner.

그래서 결론적으로 봤을 때

So, in conclusion,

제가 보기에 답은 모른다인데

In my opinion, the answer is "I don't know."

이제 제가 조금 짚고 넘어가고 싶은 부분이 있다면

Now, there's a part that I would like to touch on a bit.

일본 같은 경우에는

In the case of Japan,

깨웠다고 말하기에는

It's hard to say that I woke up.

원래 잠들어 있은 적이 없었기 때문에

Because I was never really asleep.

그렇죠. 거기는 워낙 활팔하니까.

That's right. It's very lively there.

네. 그래서 조금 보통

Yes. So it's a bit ordinary.

보통 지진도 이렇게 재발 주기라는 게

Usually, earthquakes have a recurrence cycle like this.

좀 어느 정도 있지 않을까라고

I think it might be somewhat there.

좀 기대를 하는 편인데

I'm somewhat looking forward to it.

이제 뭐 큰 지진이

Now what, a big earthquake?

동일본에서 대지진이 한 번 큰 게 났으니까

Since a major earthquake occurred in eastern Japan once.

그 이후에 그만큼 큰 지진이

Since then, there hasn't been such a large earthquake.

비슷한 지역에서 또 날 가능성은

The possibility of it happening again in a similar area.

좀 그래도 적지 않을까

Isn't it a bit excessive?

뭐 이런 식의 추론을 할 수 있죠.

You can make deductions like this.

왜냐하면 우리도 막

Because we also just...

막 스트레스 받았다가

I just got stressed out.

막 화를 확 냈는데

I just got really angry.

그럼 보통 이렇게 스트레스 해소가

Then usually, stress relief happens like this.

어떻게든 되고 났으면

I hope it works out somehow.

이제 좀 다음에 이렇게

Now, let's do this next time.

Sure.

네.

Yes.

냄비 뚜껑 열릴 때까지는

Until the pot lid is opened.

시간이 좀 걸리니까

It takes some time.

네. 뭐 그런 원리로

Yes. It's based on that principle.

약간 추정을 해보는 건데

I'm just making a slight guess.

이제 뭐 그 사이에

Well, what about in between?

이런 작은 에너지 도달로 인해서

As a result of this small energy reach

좀 자극받아서

I'm a bit stimulated.

그 주기가 좀 땡겨질 수 있다라는

That cycle can be shortened a bit.

뭐 추정까지는

What is the estimate, at least?

제가 보기에는

In my opinion

어느 정도 일리가 있기는 한 것 같아요.

I think there is some validity to it.

근데 다만

But just...

이제 말씀드렸다시피

As I just mentioned.

지진의 시기를 예측하는 거는

Predicting the timing of earthquakes is

이제 거의 불가능하고

It's now almost impossible.

그냥 큰 시간 교환으로

Just a big time exchange.

규모로 봤을 때

In terms of scale

뭐 몇십 년 안에

Well, in a few decades.

규모 몇 이상의 지진이 날 확률이

The probability of an earthquake occurring at a magnitude above a certain scale.

몇 프로 정도다

What percentage is it?

뭐 이런 거를 계산을

What kind of calculation is this?

하는 정도일 텐데요.

It would just be about that much.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In conclusion, I would say

가능성 없는 얘기는 아니지만

It's not an impossible story, but...

정확히는 아직 잘 모른다

I don't know exactly yet.

정도로 말을 할 수 있을 것 같고요.

I think I can speak to that extent.

예측하기 쉽지 않다.

It's hard to predict.

네.

Yes.

그리고 사실 한국 같은 경우에는

And in fact, in the case of Korea,

이제 어디에 어떻게 단층이 있는지

Now, where and how is there a fault?

내지는 이제 재해도 같은 평가가

Disasters are now being evaluated the same way.

일본에서는

In Japan,

일본만큼 자세히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Because it is not as detailed as Japan.

사실 더 예측하기 좀 어려운

In fact, it's a bit more difficult to predict.

면이 있고요.

It has noodles.

근데 다만

But only

제가 생각했을 때에는

When I thought about it,

이제 지진의 규모를 결정하는

Now determining the scale of the earthquake.

요소에 한

In the element

두세 가지 정도 영향을 미치는데

It has an influence of two or three kinds.

큰 영향을 미치는 게

It has a significant impact.

이게 단층의 크기예요.

This is the size of the single layer.

단층의 크기.

Size of the floor.

네. 이 단층이 아주 넓은 면적으로

Yes. This fault has a very wide area.

움직였으면

If you had moved.

그러면 큰 지진이 날 수 있고

Then a major earthquake could occur.

또 많이

Also a lot.

많이 움직였으면

I hope you moved a lot.

큰 지진이 날 수 있는 거거든요.

A big earthquake could happen.

그렇죠.

That's right.

그래서 이번에 터키에서 난 지진

So this time there was an earthquake in Turkey.

같은 경우에는

In the same case,

지진이 가로로

The earthquake is horizontal.

120km 내외 정도 되거든요.

It's about around 120km.

되게 긴 거네요.

It's really long.

네. 근데 그렇게 따지면

Yes. But if you put it that way...

이제 거의 한반도 가로폭이

Now the width of the Korean Peninsula is almost...

반 정도 되는 길이란 말이에요.

It means about half the length.

그러니까 이 정도의

So, this level of...

네. 이 정도 길이가 되는 게

Yes. This length is about right.

한 번에 이제 막

Just now, all at once.

막 움직여야

You have to move right away.

굉장히 큰 지진이 날 수 있는 거예요.

A very large earthquake could happen.

그래서

So

이제 보통

Now, usually.

뭐 큰 지진

What's a big earthquake?

뭐 최대로 날 수 있는 지진의 규모

What is the maximum magnitude of an earthquake that can occur?

뭐 이런 거를 산정을 할 때

When making such assessments

보통 그 나라에서 움직일 수 있는

Usually, it can move within that country.

단층의 크기 뭐 이런 것들을

The size of the layer and such things.

이제 고려를 해서

Now, considering it.

계산을 하게 될 텐데

You will have to make a calculation.

대충 이야기하기로는

Roughly speaking.

규모 7 정도까지가

Up to about magnitude 7.

최대가 아닐까라는 이야기를

Isn't it likely the maximum?

들은 적이 있어요.

I have heard about it.

그래서 일단

So first of all

7과 7.8 사이에도

Between 7 and 7.8

아까 말씀드릴 듯이 규모로 치면

As I mentioned earlier, in terms of scale...

굉장히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Because there is a very big difference.

이번만큼 굉장한 대지진이

This time, a tremendous earthquake.

날 가능성은

The possibility of me.

조금 그 부분에 대해서는

I'm a little unsure about that part.

안심을 하셔도 될 것 같고

I think you can rest assured.

다만 제가

However, I...

말씀드리고 싶은 부분은

What I would like to mention is

아까 터키 지진

The Turkey earthquake earlier.

피해 부분에서 얘기했던 것처럼

As mentioned regarding the damages...

사실 지진의 규모보다도

In fact, rather than the magnitude of the earthquake

그 지역이 얼마나 대비되어 있었는가가

How well that area was prepared.

어쩌면 피해에 있어서

Perhaps in terms of damage.

훨씬 더 중요할 수 있거든요.

It can be much more important.

특히나 우리나라는 고층 건물이 많잖아요.

Especially in our country, there are many tall buildings.

네 맞아요. 우리나라는 고층 건물도 많고

Yes, that's right. There are many high-rise buildings in our country.

역사적으로 지진이 별로 난 적이 없어서

Historically, there haven't been many earthquakes.

이게 어떻게 되어있는지

How does this work?

실태 조사부터 시작해야 될 것 같은데

It seems we should start with a survey.

이게 포항 같은

This is like Pohang.

포항 경주 지진이

The Pohang-Gyeongju earthquake.

규모 5.4, 5.6 정도였던

It was around 5.4 to 5.6 in magnitude.

때에 비해서

Compared to the time

그때도 벌써

Already at that time.

무너진 플로티형

Collapsed floater type

빌라들 많이 무너졌었거든요.

Many villas collapsed.

그리고 막

And just now

건물 뜯어져 나가고

The building is falling apart.

그랬던 걸 보면은

Looking back at what happened.

이제

Now

, 큰 지진이 나서 피해를 입기보다는

"Rather than being harmed by a big earthquake,"

어쩌면은

Maybe.

우리가 조금 더 대비를 하면

If we prepare a little more

막을 수 있는

Can be stopped

그런 정도의 피해가

That level of damage.

날 수는 있을 것 같다고 생각을 해요.

I think it’s possible to fly.

그래서 저는 개인적으로

So personally, I...

이제 포항 경주 지진은 지나갔고

The Pohang-Gyeongju earthquake has now passed.

꽤 시간이 지났지만

It's been quite a while, but

그동안 우리가

During that time, we...

그때 내놓았던 정책들이

The policies that were put forth at that time.

잘 진행되고 있는지

Is everything going well?

진짜 실효성 있게 굴러가고 있는지

Is it really functioning effectively?

아니면 이제 그 경주, 경주포항, 아이 모르겠네.

Or now that race, Gyeongju, Gyeongju Pohang, I don't know.

그 경상도 지역을 넘어서서

Beyond that Gyeongsangdo region.

이제 전국적으로 일이 터지기 전에

Before something happens nationwide.

미리미리 좀

A little in advance.

대비를 하는 식으로

In a way of preparing for it.

걱정을 하기보다는

Rather than worrying

그냥 대비를 하는

Just making preparations.

마음가짐을 가졌으면은

If you have the right mindset.

저는 훨씬 건설적일 것 같다라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I think I would be much more constructive.

지난 지진 회차에서도

In the last earthquake round as well

비슷한 말씀을 하셨던 것 같아요.

I think you've said something similar.

1년 전이지만

It was a year ago, but...

또 대비가 중요하다라는 말씀을

You mentioned that preparation is also important.

예전에도 하셨던 것 같아요.

I think you did it before.

네, 맞아요.

Yes, that's right.

대부분 많은 사실 사고, 사건, 사고들이

Most of the many facts, accidents, incidents, and events...

조금만 더 미리 대비를 했더라면

If only I had prepared just a bit more in advance.

막을 수 있었던 것들이 많잖아요, 사실은.

There were many things that could have been prevented, to be honest.

네, 그래서

Yes, so...

네, 괜히 무분별한

Yes, indiscriminate for no reason.

괜히 걱정을 하기보다는

Rather than worrying unnecessarily,

혹은 또 지진이라는 게

Or, what about an earthquake?

걱정을 한다고 막아지는 것도 아니니까.

Worrying won't stop anything, after all.

그렇죠.

That's right.

좀 더 대비 쪽으로 초점이 맞춰졌으면 좋겠습니다.

I would like the focus to be more on the contrast.

개인적으로.

Personally.

네.

Yes.

아니, 여기서

No, here.

저도 이제 생물을 하는 사람으로서

As someone who is now doing biology as well.

살짝 한 꼬집을 얹자면

If I were to add a little pinch...

이게 지진도 예측하기 힘들다고 하셨듯이

As you mentioned, it's hard to predict earthquakes.

사실 뭐 여러 질병이나 이런 것들도

In fact, various diseases and such things too.

35살 되면

When I turn 35.

너는 이 질병에 걸릴 거야

You will catch this disease.

라고 예측하기는 참 어렵단 말이죠.

It's really difficult to predict that.

그렇죠, 네.

That's right, yes.

네, 뭐 어떤 유전인자가 있다.

Yes, there are some genetic factors.

그래서 너는 리스크가 이 정도다.

So your risk is at this level.

뭐 이 정도의 추정 정도만 할 수 있지.

I can only make an estimate to this extent.

정확한 예측은 힘들기 때문에,

Since accurate predictions are difficult,

결국 이제 의사분들이 하시는 얘기가

In the end, what the doctors are saying is...

뭐 운동 열심히 해라.

Well, work hard on your exercise.

뭐 건강, 좋은 거 먹어라.

Well, eat good and healthy food.

비타민 보충제 챙겨 먹어라.

Make sure to take your vitamin supplements.

이런 것도 결국에는 대비로 볼 수 있는 것 같아요.

I believe that this can ultimately be seen as preparation.

정확해요.

It's accurate.

사실 지진도 이제 건물들 건강검진하듯이

In fact, earthquakes should now be like health check-ups for buildings.

이제 몇 년에 한 번씩 정기적으로 검진해서

Now we will have regular check-ups every few years.

네, 약간 안 좋은 거 잡아내고 치료하고.

Yes, catching and treating some minor issues.

맞아요.

That's right.

그렇죠, 정기검진.

That's right, regular check-up.

오, 그게 좋은 표현인 것 같네요, 진짜.

Oh, that seems like a good expression, really.

네.

Yes.

그렇습니다.

That's right.

이게 참 예측의 학문이었으면 좋겠는데

I wish this were truly a science of prediction.

그렇지가 않네요.

That's not the case.

생물도 그렇고.

That's the same with living things.

그렇죠.

That's right.

지진학도 그렇고.

It's the same with seismology.

네, 그래서 뭐 오늘 제가 긴급 소집을 하기는 했지만서도

Yes, so even though I called for an emergency meeting today...

저는 일단 제가 하고 싶었던,

First of all, I want to do what I wanted to do,

제가 준비했던 이야기는 대충 다 한 것 같은데

It seems like I've covered everything I prepared to talk about.

혹시 뭐 남은 기타 등등 궁금점,

Is there anything else you're curious about, like any remaining guitar or so on?

뭐 그런 게, 남은 게 있으실까요?

Is there anything left like that?

아, 저는 이번에 기사를 보고 있는데,

Ah, I was reading an article this time, and

보다가 보니까 어떤 기사에서는 뭐 지진의 규모를 6.4로 얘기하고

As I was looking, I saw that some articles mentioned the magnitude of the earthquake as 6.4.

어디서는 뭐 6.5 이렇게 얘기를 하는 데도 있고.

Somewhere, they talk about it being 6.5.

아, 네네.

Ah, yes yes.

그렇더라고요. 숫자가 조금씩 다른데.

I see. The numbers are slightly different.

이게 기자분들이 잘못 적으신 건지 아니면 뭐 이유가 있는 건지 궁금하더라고요.

I'm curious whether this is an error made by the journalists or if there is a reason behind it.

아, 네. 그게 아마 기자분들은 죄가 없으실 거고요.

Ah, yes. The reporters probably aren't at fault.

.

Please provide the text you would like me to translate.

다만 이게 어느 사이트를 보셨냐에 차이가 있으실 거예요.

However, there may be a difference depending on which site you looked at.

왜냐하면 규모라는 게 저 이렇게 하늘에서 내려와서 주는 게 아니라

Because scale is not something that comes down from the sky and is given to me like this.

우리가 지진을 관측한 파형 그 지진계의 기록을 가지고

With the waveform we observed from the earthquake and the records of that seismometer.

이제 어떠어떠한 파라미터를 넣었을 때,

Now, when certain parameters are input,

어떠어떠한 변수를 넣었을 때

When certain variables are added

가장 이 우리가 관찰한 결과가 잘 재생산되는지 정도에 따라서

Depending on how well the results we observed can be reproduced.

제일 재생산을 잘 잘 시키는 파라미터들을 가지고 계산을 하는 게,

Calculating with the parameters that allow for the best reproduction is...

.

I'm sorry, but it seems there is no text provided for translation.

美ื่ simplest

The simplest.

아, 재주용되기도 하는구나.

Oh, it can also be used as a skill.

네, 그래서 이번에 공식적으로 아직 7.8 지진이라고 보고는 되어 있지만

Yes, so this time it has officially been reported as a 7.8 earthquake.

지진에 대해서도 기관마다

Regarding earthquakes, each agency has their own...

7.9, 7.7

7.9, 7.7

7.8 뭐 이렇게 다

7.8 What is all this?

다른 수치를 내놓고

Putting out different figures.

심지어는 8.0에 이를 수 있다고

It can even reach 8.0.

분석을 하고 있는

I am analyzing.

연구기관도 있다고 알고 있거든요

I know there are also research institutions.

그래서

So

이런 다양한 기관들의 결과를

The results of these various institutions.

살펴보고 어느 기관이 제일

Take a look and see which institution is the best.

잘 뭔가

Well, something.

리즈너블하게 설명을 했는지

Whether it was explained reasonably.

이렇게 다 살펴보고 시간이 좀

After looking at all this, it takes some time.

지난 뒤에야 이제 공식 명칭

Only now after it has passed is there an official name.

이랑 공식 규모를

The official size of the ridge.

이렇게 발표를 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I think I will be presenting like this.

저는 뭔가 그냥 이렇게 숫자 하나가

I just feel like this one number is something.

딱 이거야 이렇게 발표하는

This is exactly it, presenting it like this.

건 줄 알았는데

I thought it was (going to be) that way.

조정제기도 하고 여러 기관에서

Adjusting the prayer and various institutions.

발표한다는 게 참 신기하네요

It's really fascinating to be presenting.

네 그렇습니다

Yes, that's right.

그리고 사실 말씀드린 것처럼

And in fact, as I mentioned,

이 규모라는 게

The scale of this is...

그냥 관측된 기록을

Just the observed record.

피팅해서 얻는 계산하는 결과라고

It's the result calculated from the fitting.

말씀드렸잖아요

I told you so.

그래서

So

전에 지진학과

Previously in the Department of Seismology.

편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As I mentioned on my side

지진파에도 P파가 있고

There are P waves in seismic waves.

S파가 있고 표면파가 있단 말이죠

There are S-waves and surface waves.

그러면 이제 이 중에

Then, among these now

특별히 어느 거를 더

Which one in particular?

초점을 두느냐에 따라서

Depending on where you focus.

유형이 서로 다른

Different types.

규모들이 또 몇 개가 있어요

There are a few more sizes.

그러니까

So, then.

우리가 보통

Usually we

뉴스에서 접하고 사람들이 말하는

What I hear from the news and what people are saying.

규모 몇의 지진

What magnitude is the earthquake?

이런 거는 모멘트 규모라고 하는데

This is called moment magnitude.

이거는 주로

This is mainly

전체 파형을

The entire waveform

기준으로 해서

Based on 기준.

맞췄을 때 어떻게 잘 들어맞느냐를 보는 건데

It's about seeing how well it fits when you get it right.

이제 다른 유형의 규모로는

Now, in a different type of scale,

뭐 지역 규모가 있고

There is a regional scale.

리히터 규모라는 것도 있고

There is also something called the Richter scale.

아니면 뭐

Or what?

뭐 이런 식으로 좀 다양한 규모들이 있거든요

There are various scales like this.

리히터는 확실히 들어본 것 같아요

I think I've definitely heard of Richter.

네 그게 약간 조금 이제

Yes, that’s a little bit now.

네 과거에 처음

Your past first.

거의 규모 개념이 생겼을 때

When the concept of scale almost emerged.

많이 사용됐던

frequently used

네 그런 개념인데

Yes, that's the concept.

이제 그런 지역 규모나 리히터 규모 같은 거에 대해서는

Now, regarding the regional scale or Richter scale and such.

조금 더 그 지역의 특성에

A little more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조금 더 특화된

A little more specialized.

그래서 그 지역마다의 특성에

So,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rea,

특화된 그런 변수들이

Such specialized variables

하나씩 이렇게 들어가 있어요

It's packed in one by one like this.

그래서 어떤 지역에서의

So in some areas

특성을 좀 더

More characteristics.

집중하고 싶으면

If you want to focus

그런 지역 규모들이 조금 더

Those regional scales are a bit more.

의미가 있을 수 있고요

It could have meaning.

다른 유형의 규모들 같은 경우에는

In the case of other types of scales,

지진 파형의 어느 부분이

Which part of the earthquake waveform is

어떤 에너지를 가장 많이

What kind of energy the most?

담고 있느냐에 따라서 설명하는

It depends on what you contain.

정도가 다르거든요

It's a different degree.

그래서 예를 들어서

So for example,

이제 폭발이나

Now, let's explode.

이런 거가 일어났을 때

When this kind of thing happens

규모를 더 잘 계산할 수 있는

Better be able to calculate the scale.

지진 파 부분 중에

Among the earthquake P-waves.

그런 부분이 있는데

There are such aspects.

이제 그 부분을 잘라서

Now cut that part out.

그 부분의 피팅만 조금 더 초점을 해서

Just focus a bit more on the fitting in that part.

얻는 규모들이 있는데

There are scales to be gained.

이제 보통 북한에서 핵실험을 했다든지

Now, it's common for North Korea to conduct nuclear tests.

뭐 이런 식으로

What, like this?

좀 인위적인

A bit artificial.

네 폭발로 일어난 어떤 지진 파형들을

The seismic waveforms caused by your explosion.

조금 더 분석할 때에는

When analyzing a little more...

그런 유형의 규모 값들을

Values of that type of scale

좀 보고를 하는 편이고

I tend to report a bit.

이런 식으로

In this way

과학적인 용도가 조금 다른

The scientific use is somewhat different.

유형의 규모들도 있습니다

There are also scales of types.

사실 이거는 앞서 말씀드린

Actually, this is what I mentioned earlier.

규모 6.4냐 규모 6.3이냐

Is it a magnitude 6.4 or a magnitude 6.3?

이 문제랑은 좀 아예 다른 문제일 수는 있는데

This issue might be a completely different matter altogether.

왜냐면 아예 아예 포커스하는 부분이 다르기 때문에

Because the focus is completely different.

근데 이제 이런 식으로 규모라는 거 안에도

But now even within this kind of scale...

사실 굉장히 다양한 카테고리가 있고

In fact, there are a wide variety of categories.

어떤 규모를 채택하느냐도

The scale you adopt is also important.

굉장히 그 서브 뭐라 해야 될까요

It's really hard to describe that sub.

그 카테고리?

That category?

카테고리? 카테고리?

Category? Category?

서브 학문 카테고리

Subfield category

네 그런 거에 따라서

Yes, according to those things.

굉장히 다를 수 있다라는

It can be very different.

알쓸신잡을

"Knowledge, Art, Science, and Things to Keep in Mind"

전해드립니다

I will convey this.

아 그렇군요

Oh, I see.

기자분들이 잘못 적은 건 아닌 걸로

It's not that the reporters wrote it incorrectly.

음 뭐 정말 오타가 아닌 이상은

Well, unless it's really a typo.

아마 아닐 거다

It probably won't be.

검수를 하시니까요

Because you are doing the inspection.

그쵸 그쵸

That's right, that's right.

네 그래서 오늘은 이렇게

Yes, so today is like this.

또 시온님의 긴급 초대석으로

Once again with Zion's urgent invitation.

최근에 있었던 좀 안타까운

Recently, there was something a bit unfortunate.

이 트리키의 시리아 지진에 대해서

About the Syrian earthquake in Turkey.

이야기를 나눠봤는데요

I had a conversation.

저는 일단은

For now, I...

트리키가 이렇게 지진이 활발한 지역이라는 것 자체를

The fact that Turkey is such an active seismic area itself...

오늘 이제 처음 알게 돼서

I just found out today.

되게 놀라웠고

It was really surprising.

이렇게 또 여러 단층이 있는 곳이라는 것 자체도

The fact that it's a place with several layers like this itself

되게 좀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인 것 같아요

I think it's something I've learned in a really new way.

아 네 그렇군요

Ah, I see.

네 그런 게 좀 되게 신선했고

Yes, that was quite refreshing.

데비야 뭐

What's up, Debbie?

범 에피소드들에서도 많이 강조를 하셔서

You emphasized it a lot in the episodes as well.

또 알고 있었지만

I already knew it too.

다시 한 번

Once again.

이 데비가 참 중요하다라는 교훈을

The lesson that this debt is very important.

건강검진

Health check-up

그렇습니다

That's right.

정기검진을 꼭 하자라는

Let's make sure to get regular check-ups.

또 그런 교훈을

And that lesson too.

얻어가는 에피소드였던 것 같아요

I think it was an episode that we gained something from.

Yes

시온님은 오랜만에 또 이렇게

It's been a while since I've seen you like this again, Zion.

녹음하시니까 어떠셨어요?

How was it for you to record?

저희는 오늘

We are today.

오랜만에 녹음을 하면서

While recording after a long time.

상당히 똑딱거린 경향이 좀 있지만

It does tend to click quite a bit, though.

오랜만에 또 과학 얘기하고

It's been a while since we've talked about science again.

또 해마님 얼굴 보고 하니까 재밌었고

It was fun to see the sea horse's face again.

그리고 그래도 조금 제가 지진하는 사람으로서

And still, as someone who experiences earthquakes a little bit.

어떻게 조금 더 기여할 방법이 없나 하고

I'm wondering if there's a way to contribute a little more.

조금 더 책임감도 사실 느끼고

I actually feel a bit more responsible.

조금 더 너무 많은 피해가 발생했으니까

There has been too much damage occurring.

조금 과학하는 사람 입장으로서

As someone who does a bit of science

이 사건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될까 생각하던 와중에

While I was thinking about how to accept this situation,

그래도 이런 좋은 창구가 있어서

Still, it's great to have this good channel.

좀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I think it's somewhat fortunate.

생각을 했고

I thought about it.

이로 인해서 조금이라도

Because of this, even a little bit.

터키 지진 혹은 지진 전반에 대해서

About the Turkish earthquake or earthquakes in general.

얻어 가시는 게 있다면

If there’s anything you can gain.

저는 굉장히 뿌듯할 것 같습니다

I think I will feel very proud.

맞습니다 맞습니다

That's right, that's right.

지금 구호 작업은 거의 이제

The rescue operation is almost now.

철수를 하는 상황인 것 같은데

It seems like it's a situation where we need to retreat.

그래도 아마 정상적인 수준까지

Still, it will probably be back to normal levels.

다시 회복을 하려면

To recover again.

큰 시간과 돈이 들 것 같아요

It seems like it will take a lot of time and money.

그래서 여유가 되시는 분들이라면

So for those who have the means.

이제 한번 찾아서

Now, find it once.

그 좀 고통을

That pain.

구호 물품 전달이라던가

Delivery of relief supplies.

후원 같은 거를 한번 찾아보시고

Try looking for sponsorships or something like that.

해보시는 것도 좀

You might want to give it a try too.

이번 기회에 시작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고

I think it would be good to give it a try this time.

네 그런 말씀 드리면서

Yes, while saying that.

마무리를 하고 싶습니다

I want to wrap things up.

네 좋습니다

Yes, that's good.

저도 오늘 너무 즐거웠고요

I had a great time today too.

오랜만에

It's been a while.

저희가 또 박사 학생으로서

As we, as doctoral students,

또 이런 식으로 기여를 해보고자

I would like to contribute in this way as well.

시연이 말씀하신 대로

As Si-yeon mentioned.

네 감사합니다

Yes, thank you.

자리를 잘 마련한 것 같습니다

It seems like a good arrangement has been made.

네 그러면 저희는 또

Yes, then we will again.

시즌2를 언제 돌아오겠다라고

When will Season 2 come back?

명확히 말씀을 드릴 수는 없지만

I can't say for sure, but...

뭐 또 이런 비슷한 좀 긴급 소식을

What, another similar urgent news?

전할 게 있으면

If there's something to convey

문득 문득 돌아와 보는 게

Suddenly looking back from time to time.

괜찮을 것 같습니다

I think it will be fine.

잊을만하면 돌아와

You come back just when I’m about to forget.

네 잊을만하면 한 번 정도

Yes, about once every now and then it’s something I forget.

힘이 삼아 넘는 게

It's about overcoming through strength.

해보면 좋을 것 같아요

I think it would be good to try it.

그러면 우리는

Then we are

다음에 언젠가 다시 보는 걸로

Let's plan to meet again sometime.

네 좋습니다

Yes, that's good.

다음에 또 한 번 언젠가 돌아오겠습니다

I will come back again someday.

네 그럼 그때까지 안녕

Yes, then goodbye until then.

안녕

Hello

Continue listening and achieve fluency faster with podcasts and the latest language learning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