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잡러의 생각정리는 이렇게 해야 합니다 | 생각정리 스피치 (복주환)

정의석

슬기로운 N잡 생활

N잡러의 생각정리는 이렇게 해야 합니다 | 생각정리 스피치 (복주환)

슬기로운 N잡 생활

안녕하세요. 시청자 여러분 실기로운 N잡생활의 정의석입니다.

Hello, viewers. This is Jeong Sook from the practical N-job life.

오늘은 여러분들과 복주환 작가님의 생각정리 스피치라는 책을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Today, I am going to talk about the book "Thought Organization Speech" by author Bok Joo-hwan.

이 책은 우리가 어떻게 하면 말을 잘 할 수 있을지를 여러가지 사례와 근거를 통해서 정말 효율적으로 알려주는 책이기 때문에

This book is very effectively informative about how we can speak well, using various examples and evidence.

N잡러를 꿈꾸는 분들에게 꼭 추천하고 싶은 책입니다.

This is a book that I definitely want to recommend to those dreaming of becoming N-jobbers.

N잡러라면 자기 자신을 프리젠테이션 해야 되고 사람들에게 나를 알리는 여러가지 글쓰기나 말하기 등의 활동이 이어지게 되잖아요.

If you're a side hustler, you need to present yourself and engage in various activities like writing or speaking to let people know about you.

이 책은 그런 점에서 우리에게 큰 도움을 주기 때문에 이 책을 이번주에 해야겠다라고 마음을 먹고 마이크와 녹음장비를 켰습니다.

This book is very helpful to us in that regard, so I decided to work on it this week and turned on the microphone and recording equipment.

자 그러면 이 책에 어떤 내용이 들어있는지 사례를 읽어드리면서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Now, let's take a look at the contents of this book by going through some examples one by one.

가장 먼저 프로로그입니다.

First is the prologue.

그쪽을 좀 보면 좋을 것 같아요.

I think it would be good to take a look over there.

읽어드릴게요.

I will read it to you.

스피치를 준비할 때 세 가지 유형의 사람이 있다.

There are three types of people when preparing a speech.

첫 번째 유형은 생각하지 않고 말을 내뱉는 사람이고 두 번째는 말하면서 생각을 하는 사람이다.

The first type is someone who speaks without thinking, and the second is someone who thinks while speaking.

세 번째는 말하기 전에 생각정리를 모두 마친 사람인데 진짜로 말을 잘하기 위해서는 세 번째 유형이 되라는 것이다 라는 건데요.

The third type is a person who has completely organized their thoughts before speaking, and in order to really speak well, it is advised to become this third type.

보통은 생각하지 않고 말을 내뱉는 경우가 정말 많죠.

Usually, there are really many cases where people speak without thinking.

특히 회의에서 이런 일이 많이 벌어지기 때문에 회의가 비생산적으로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Especially since this often happens in meetings, they tend to become unproductive.

우리가 항상 어떤 것들을 생각을 하고 말을 하면은 필요한 얘기만 딱딱 전달할 수 있어서 회의의 효율이 올라가긴 하거든요.

When we always think about and communicate certain things, we can convey only the necessary information clearly, which increases the efficiency of the meeting.

그래서 사실은 저도 필요한 것들을 메모하고 회의를 들어가기 전에 정리를 하기는 해요.

So, to be honest, I also make notes of the things I need and organize them before going into the meeting.

그런데 제가 회의를 실제로 많이 진행을 하다 보니까 이거보다도 더 효율적으로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건 뭐냐면

However, as I actually conduct a lot of meetings, what we can think of that is more efficient than this is...

세 번째 유형 그러니까 말하기 전에 생각정리를 다 마치고

The third type, in other words, is to have all your thoughts organized before you speak.

그 다음에 새롭게 들어오는 아이디어를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는 수준까지 가면은 훨씬 더 좋을 것 같아요.

It would be even better if you could reach a level where you can flexibly utilize new ideas that come in next.

저자님이 적진 않았지만 저는 이게 말하기의 네 번째 단계라고 생각합니다.

Although the author did not write it, I believe this is the fourth stage of speaking.

그래서 말하기의 네 번째 단계가 되는 분이라면 정말로 효율적으로 우리에게 필요한 여러 가지 것들을 다 충족시킬 수 있으면서도

So if you are someone who reaches the fourth stage of speaking, you can truly satisfy all the various things we need in a very efficient manner.

상대방을 설득할 수 있는 멋진 말하기 능력을 구사할 수 있게 될 거라고 생각을 해요.

I believe you will be able to master the wonderful ability to persuade others through your speaking skills.

프로로그에 이렇게 세 가지 유형의 사람을 정의했는데

In the prologue, three types of people are defined like this.

내가 어떤 사람인지 알아보고

Find out what kind of person I am.

그 다음에 세 번째 사람 혹은 더 많은 걸 준비할 수 있는 네 번째 사람이 되기 위해서

To become the third person or a fourth person who can prepare even more.

무엇을 해야 되지? 라는 부분을 머릿속에 담아둔 다음에 이 콘텐츠를 접하고 책을 읽으면 참 좋을 것 같습니다.

I think it would be really good to hold on to the thought of "What should I do?" and then engage with this content and read the book.

자 그러면 첫 번째 챕터에 있는 내용을 말씀드려 볼게요.

Okay, then I will talk about the content in the first chapter.

생각정리를 잘하면 스피치는 덤이다 라는 내용인데 읽어드리겠습니다.

"If you organize your thoughts well, speaking is a bonus. Let me read it to you."

누군가 어떤 주제에 대해 말을 굉장히 잘한다면 그냥 잘하는 것이 아니다.

If someone speaks very well on a certain topic, it's not just that they are good at it.

생각을 정리하고 설계하고 다듬으며 점차 말하기 실력이 좋아지는 것이다.

It is to organize, design, and refine thoughts, gradually improving speaking skills.

인간을 보통 컴퓨터와 비교하곤 한다.

Humans are often compared to computers.

컴퓨터로 따지면 정보 처리 능력이 좋은 사람이다.

They are someone with good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y, like a computer.

생각정리를 잘하는 사람은 똑같은 정보를 보더라도 자신의 관점에서 자신만의 논리로 말할 줄 안다 라는 건데요.

A person who organizes their thoughts well can articulate their own logic from their perspective even when looking at the same information as others.

이 부분 봤을 때 내가 말을 잘하려면 결국에는 내 생각이 있어야 된다는 내용을 강조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When I look at this part, I can emphasize that in order for me to speak well, I ultimately need to have my own thoughts.

다른 사람의 생각을 처음에는 요약하는 단계에서 시작을 하지만

It begins in the stage of summarizing other people's thoughts at first, but

궁극적으로 말을 잘하려면 그러한 생각들을 다 녹여내서 나만의 방식으로 내 의견을 정확하게 이야기를 할 수 있어야 되거든요.

Ultimately, to speak well, I need to integrate all those thoughts and be able to express my opinions accurately in my own way.

아무래도 스피치나 언어라는 것은 내 생각을 다른 사람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필요한 거라고 생각을 해요.

I think speech and language are necessary for effectively conveying my thoughts to others.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하나 있습니다.

However, there is one problem here.

뭐냐면 내 생각이 정말 많이 없는 경우에 그러면 나는 스피치를 어떻게 해야 돼요? 라고 이야기를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What I mean is, when I really don't have many thoughts, how should I give a speech? I think I could say that.

이 부분을 해결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단계를 좀 설명을 드려보겠습니다.

I will explain various steps to resolve this issue.

이게 좀 다른 주제이긴 하지만 블로그 포스팅에서도 똑같은 방식으로 드러나요.

This is a slightly different topic, but it also comes up in the same way in blog posts.

첫 번째 단계는 다른 사람의 생각을 그냥 일괄적으로 정리하는 것입니다.

The first step is to simply organize other people's thoughts in a general way.

어떤 의미이냐면요.

What I mean is.

책의 내용을 요약해서 블로그에 올리거나 유튜브에 정리해서 올려놓는 행위들을 말해요.

It refers to the act of summarizing the content of a book and posting it on a blog or organizing it and posting it on YouTube.

이렇게 누군가의 생각을 정리하다 보면 그 사람의 생각이 자연스럽게 내 머릿속에 쌓이는 과정을 겪게 되거든요.

When you organize someone else's thoughts like this, you naturally go through the process of having that person's thoughts build up in your mind.

이러한 과정은 지식의 축적으로서 굉장히 큰 의미를 지닙니다.

This process holds great significance as an accumulation of knowledge.

그런데 이렇게 하다 보면 입이 근질근질해질 때가 와요.

However, there will come a time when your mouth starts itching to say something.

그때가 되면 내 생각을 정말 효율적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이야기할 수 있는 멋진 단계가 되는데

At that time, it will be a wonderful stage where I can really communicate my thoughts efficiently to others.

이런 단계가 되면 그 다음부터는 정말 제대로 내 생각을 효율적으로 드러내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 될까라는 걸 본격적으로 고민하기 시작합니다.

When it reaches this stage, I begin to seriously contemplate what I should do to effectively express my thoughts from that point on.

그래서 근거는 어떻게 써야 되지? 그리고 예시는 어떻게 들어야 되지?

So how should I write the evidence? And how should I give examples?

그리고 이 사람의 의견을 어느 정도로 인용해야 되지?와 같은 요소들을 생각을 하면서

And while considering factors such as how much I should quote this person's opinion?

내 글쓰기와 그리고 글쓰기의 효율을 정리하는 것입니다.

It is to organize my writing and the efficiency of writing.

그래서 글쓰기와 글쓰기의 효율을 정리하는 것입니다.

So, it is about organizing writing and the efficiency of writing.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말하기 능력이 올라가거든요.

And ultimately, it improves your speaking ability.

이러한 활동이 끝까지 이어지게 되면 결국엔 어떤 게 되느냐?

If such activities continue until the end, what will ultimately become of it?

저자는 책에서 이렇게 이야기하고 있는데 읽어드릴게요.

The author talks about this in the book, so let me read it to you.

나 역시도 경험해봤지만 스피치를 잘 할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은 관련 주제에 대해 책을 쓰는 것이다.

I have also experienced it, but the best way to become good at giving speeches is to write a book on the relevant topic.

하지만 일반인들이 책을 쓰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However, it is not easy for ordinary people to write a book.

지필하는 데 상당히 오랜 시간이 걸리고 주제에 대한 전문성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It tak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to write and requires expertise on the subject.

라고 되어 있어요.

It says.

아까 말씀드렸던 것처럼 이렇게 내 의견을 이야기하는 과정이

As I mentioned earlier, the process of expressing my opinion like this

궁극적으로 진화를 하게 되면 결국엔 책을 쓰거나 콘텐츠를 만들게 되거든요.

Ultimately, when you evolve, you'll end up writing books or creating content.

이렇게 만들었을 때 다른 사람이 나에게 공감하느냐 안 하느냐는 일단은 두 번째 문제고

When I create it like this, whether others empathize with me or not is a secondary issue for now.

내가 어떤 생각을 정리해서 특정한 콘텐츠의 형태로 뽑아냈다는 것의 의미를 크게 가져야 됩니다.

I need to take the meaning of organizing my thoughts and presenting them in a specific form of content seriously.

책을 써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이 과정이 사실은 녹록치 않거든요.

Those who have written a book know that this process is not easy at all.

진짜 어려워요.

It's really difficult.

그래서 이 책을 쓸 때에 있어서 나는 이런 방식으로 책을 썼구나 라는 노하우가 담겨있고

So, this book contains the know-how of how I wrote it in this way.

긴 그런 상황이 계속 반복이 되고 그러다 보면은 내가 책을 쓸 때 어떤 것들을 고려해야 되지 라는 우선순위가 생기면서

As that kind of situation continues to repeat, I start to prioritize what I need to consider when I write a book.

책을 쓰는 요령이라는 게 생기고 또 글을 쓰는 요령이라는 게 생겨요.

There are tips for writing books and there are also tips for writing in general.

그런데 말하기라는 것 자체는 글을 내가 입을 통해서 이야기하는 거라고 생각을 합니다.

However, I believe that speaking itself is about conveying what I write through my mouth.

물론 더 깊이 들어가면은 뭐 글을 위해서 쓰는 문어체라든지 말을 할 때 쓰는 구어체라든지 이런 부분적인 차이는 있지만

Of course, if we go deeper, there are some differences such as the written form used for writing and the spoken form used in conversation.

기본적으로는 내 생각을 다른 사람들에게 이야기하는 것이다.

Basically, it's about expressing my thoughts to others.

자기하는 형태라는 것은 같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벌어지는 생각의 전환 과정은 매우 유사하다고 볼 수가 있겠습니다.

Since the forms of self-communication are the same, the process of thought transition that occurs during that process can be seen as very similar.

다음 문장 읽어드리겠습니다.

I will read the next sentence.

가짜로 말 잘하는 사람, 진짜로 말 잘하는 사람이라는 챕터에 있는 내용인데요.

It's about the contents in the chapter titled "People Who Speak Well Just for Show vs. People Who Speak Well for Real."

발표 불안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은 스피치를 제대로 준비하는 것이다.

The way to overcome presentation anxiety is to prepare your speech properly.

스피치는 일상 대화와 달리 생각 정리를 할 수 있는 시간이 주어진다.

Unlike everyday conversations, a speech provides time to organize one's thoughts.

주어진 시간 동안 제대로 스피치를 준비한다면 발표 불안은 자신감으로 바뀐다 라는 내용인데요.

If you prepare your speech properly within the given time, your presentation anxiety will turn into confidence.

우리가 스피치를 할 때는 그냥 즉흥적으로 말해서 줄줄줄줄 이야기하는 분들이 사실은 없는 건 아니에요.

There are indeed people who can just speak spontaneously and talk endlessly when we give a speech.

있어요. 그렇게 말하면서도 정말 못 떨어지게 말을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There are many people who say that, yet they really make it hard to let go.

이런 분들은 사실은 굉장히 드문 편입니다.

People like this are actually quite rare.

이 사례를 설명하기 위해서 중국의 시인 두 명을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To explain this case, I would like to talk about two Chinese poets.

하나는 이태백이라는 분입니다.

One is a person named Lee Taebeck.

한 분은 두보라는 분인데요.

One person is named Du Fu.

이분을 부르는 말이 있어요.

There is a term to address this person.

이태백은 시선이라고 부릅니다.

Lee Taebaek calls it a gaze.

시의 신선이라고 부르고 두보는 시성이라고 불러요.

They call him the fresh poet, and they call Du Fu the saint of poetry.

시의 성인이라는 건데

It's about being a saint of the city.

이태백은 소위 말하는 천재입니다.

Lee Taebaek is what is commonly referred to as a genius.

그러니까 이제 다른 사람들이랑 정자에서 멋떨어지게 술을 먹다가 산을 봤는데

So, while I was drinking with others at the pavilion, I looked at the mountain.

내가 산을 봤으니까 영감이 떠올라.

Since I saw the mountains, inspiration comes to me.

했는데 그게 멋진 시가 되는 거예요.

But that becomes a wonderful poem.

사실은 이런 분들은 천재의 반열에 올랐다고 볼 수가 있는데

The truth is, people like this can be seen as having reached the ranks of geniuses.

반면에 두보는요.

On the other hand, what about Du Fu?

한 번 쓰고 나서

After using it once

소위 말하는 찌질하다 싶을 정도로

To the extent that it seems so pathetic.

계속 그걸 고치고 고치고 또 고쳐요.

I keep fixing it, fixing it, and fixing it again.

그런데 우리가 이태백이냐 두보냐

But are we Li Bai or Du Fu?

대부분의 사람들은 아마 두보와 같은 스타일일 거거든요.

Most people would probably have a style similar to Du Fu.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어떤 것들을 준비를 할 때

That's why when we prepare for certain things,

초안을 빨리 내놓고 계속 고치는 거에 익숙해져야 돼요.

You need to get used to quickly putting out drafts and continuously revising them.

제가 글쓰기를 할 때도

Even when I write.

예전에 해밍웨이가 모든 초고는 쓰레기다라는 이야기를 했던 거를

There was a time when Hemingway said that all first drafts are garbage.

여러 차례 이 팟캐스트를 통해서 말씀을 드렸는데

I've mentioned this several times through this podcast.

글을 쓸 때는 항상 내 생각이 잘 드러나도록

When writing, I always make sure my thoughts are clearly expressed.

쓰지만 그게 처음에 이렇게 매끄럽게 흘러가지는 않아요.

It works, but it doesn't flow this smoothly at first.

그렇기 때문에 그 부분을 고치는 과정을 계속 반복해야 되는데

That's why we need to keep repeating the process of fixing that part.

그 고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게

Repeating the process of fixing it

지금 제가 읽어드린 스피치를 제대로 준비하는 거입니다.

It's about properly preparing the speech I just read to you.

대본이나 아니면 어떤 블랙포인트 형식의 개요서를 보고 말을 할 거잖아요.

You're going to speak based on a script or some sort of black point outline, right?

그 영역들을 철저하게 준비를 해서

Thoroughly prepare those areas.

내가 빠지는 이야기가 없도록

So that I don't miss any stories.

전체적인 얼개를 짜는 거가 스피치에서 제일 중요해요.

Creating an overall structure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a speech.

이게 우리가 말을 잘하는 거하고

This is about us speaking well.

스피치를 잘하는 거하고는 정말 다른 얘기인데

It's really a different matter from being good at giving a speech.

누군가가 즉흥적으로 올라가서 열심히 말을 했어요.

Someone went up spontaneously and spoke passionately.

그리고 정말 물 흐르듯이 말을 잘했는데

And you spoke really smoothly, just like flowing water.

20분 동안 말을 했지만 남는 게 별로 없어.

I talked for 20 minutes, but I don't have much to show for it.

그러면 사실은 이 사람은 스피치를 못한 거거든요.

So the truth is this person couldn't give a speech.

그런데 5분을 했지만

But I only did it for 5 minutes.

내가 하려던 얘기를 청중들에게 정확하게 전달하고

Conveying what I wanted to say to the audience accurately.

그 사람들이 어떤 걸 기억할 수 있을지까지 고려를 해서

Considering what those people might be able to remember.

처음과 끝에 주장하려는 내용을 넣어서 강조를 했다.

I emphasized the content I wanted to argue at the beginning and the end.

그러면 사실은 후자가 시간은 적게 썼지만

Then the truth is that the latter spent less time, but…

그 시간에 그 시간에 그 시간은 적게 썼다는 거라고 보셔야 되는 거예요.

At that time, you should consider that the time spent was relatively little.

이런 과정들이 우리에게 있다면

If we have these processes.

조금 더 효율적으로 스피치를 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드는 거고요.

I think I can give my speech a little more efficiently.

그런데 이런 스피치를 준비할 때 요령이 있는데

However, there are some tips for preparing such a speech.

앞서서 살짝 말씀을 드렸지만

I mentioned it briefly earlier, but...

블랙포인트라는 게 있습니다.

There is something called a black point.

개요를 준비할 때 점 위주로 해서

When preparing the outline, focus on the points.

예를 들면 이런 거예요.

For example, it's like this.

스피치를 잘 해야 하는 이유.

The reason why you need to excel at giving speeches.

첫 번째, 이유는 이겁니다.

First, the reason is this.

두 번째, 이유는 이겁니다.

Secondly, the reason is this.

세 번째, 이유는 이겁니다.

Thirdly, the reason is this.

이렇게 간단한 핵심 문장 위주로 정리를 하거나,

You can organize it around such simple key sentences,

아니면 키워드 중심으로 정리를 하거나,

Otherwise, organize it around keywords, or

아니면 키워드 중심으로 정리를 하는 방법이 있겠습니다.

Alternatively, there is a way to organize it around keywords.

그래서 책에도 어떻게 나와 있냐면

So how is it mentioned in the book?

대본은 문장이 아니라

The script is not a sentence.

키워드와 논리 흐름을 중심으로 기억해야 한다라는 내용이 있어요.

It says that you should remember based on keywords and the flow of logic.

우리가 이 개요라는 거를 설계를 할 때는

When we design this outline,

당연히 앞뒤 관계를 따져서

Of course,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ont and back.

이 문단이 앞에 있을 때 더 효율적인가,

Is it more efficient when this paragraph is at the beginning?

이 문단이 뒤에 있을 때 효율적인가를

Whether it is efficient when this paragraph is at the back.

당연히 고민을 할 거란 말이에요.

Of course, you will be worried about it.

내가 시뮬레이션을 해보고

I will run a simulation.

아, 이 내용은 뒤에 오는 게 좀 더 극적인 효과가 있을 것 같아.

Ah, I think this content would have a more dramatic effect if it comes later.

아니면 이 내용은

Or this content is

사람들의 집중력을 위해서 훨씬 더 도움이 돼

It is much more helpful for people's concentration.

와 같은 여러 가지 정보들을 우리가 갖고 있으면

If we have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like this.

훨씬 더 스피치를 준비하기가 좋은 거고

It's much better for preparing the speech.

이러한 정보들은 처음에는 아예 없기 때문에

Such information is completely absent at first.

내가 생각하는 최선으로 만들고

Make it the best that I can think of.

그다음에 스피치를 해보면서

Then, while giving the speech

사람들의 경험을 누적을 시키고

Accumulating people's experiences.

그 경험을 반영을 해서

Reflecting on that experience

조금 더 스피치를 업그레이드 시킬 수가 있거든요.

You can upgrade the speech a little more.

어쨌든 여기서 말씀드리고 싶은 건 뭐냐면

What I want to say here, anyway, is that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모두 다 빠뜨림 없이 다 집어넣고

I want to include everything I want to say without leaving anything out.

그걸 개요나,

That outline or,

키워드화해서 논리구조를 짜놓은 다음에 이야기를 하면

After organizing the logical structure by keywording, then you can tell the story.

그래도 내가 빼먹는 게 없기 때문에

Still, I have nothing that I'm leaving out.

더 수월하게 이야기를 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드는 거예요.

I think it would be easier to have a conversation.

그래서 유사한 문장으로 이어서 어떤 게 있냐면

So what follows as a similar sentence is what?

무의미한 음절은 기억될 수 없고

Meaningless syllables cannot be remembered.

의미 없는 정보는 기억할 수도 없습니다.

I cannot remember meaningless information.

라는 문장을 읽으면서

While reading the sentence

그다음에 계속해서 이렇게 기록하고 있어요.

Then, I keep recording like this.

스피치 대본도 마찬가지다.

The same goes for the speech script.

내용을 효과적으로 기억하고 싶다면

If you want to remember the content effectively.

글쓰기 형태의 대본이 아닌

Not in the form of a written script.

논리구조 형태의 대본을 먼저 만들어야 한다.

You must first create a script in the form of a logical structure.

라는 건데

It means.

이 논리구조 형태의 대본이

This script in the form of a logical structure

제가 계속해서 말씀드린 개요서입니다.

This is the outline that I have been continuously mentioning.

글을 쓸 때도요.

Even when writing.

사실은 우리가 개요를 꼭 짜야지만

The truth is that we must prepare an outline.

글의 구조가 완벽해집니다.

The structure of the writing becomes perfect.

이걸 짜지 않은 상태에서 글을 쓴다는 거는

Writing without organizing this is...

제가 생각했을 때는 말도 안 되는 거예요.

I think it's nonsensical.

그냥 중고난방으로 내가 하고 싶은 얘기 대충 쓰고

I just want to roughly write down what I want to say about the used heating system.

그다음에 그 얘기를 통해서 무언가를 이야기하지만

Then, through that story, something is being said...

논리적으로 짜여져 있지 않고

It is not logically structured.

그리고 그 사람들에게 좋은 정보를 전달하기도 어려운

And it's also difficult to convey good information to those people.

완성되지 않은 스피치일 가능성인데

It could be an unfinished speech.

이 부분이 굉장히 높아요.

This part is very high.

그러니까 이 부분을 굉장히 좀 강조하고 싶다.

So I really want to emphasize this part.

라는 이야기였고요.

That was the story.

다음 챕터에서는 조금 다른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In the next chapter, it talks about something a little different.

이 부분도 같이 좀 읽어 드릴게요.

I'll read this part for you, too.

정리되지 않은 말은 상대의 머릿속을 혹사시킨다.

Unorganized words exhaust the listener's mind.

라는 챕터인데

It's a chapter called.

앞서 살짝 이야기를 했던 내용인데요.

It's something I briefly mentioned earlier.

문구 읽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I will read the message for you.

논리를 분석하고 내 것으로 만드는 방법을 알게 되면

Once you learn how to analyze logic and make it your own,

당신도 스타 강사처럼 말을 잘 할 수 있게 된다.

You will also be able to speak well like a star instructor.

여기서 중요한 것은

What is important here is

멘트를 따라 하는 것이 아니라 논리 구성을 분석하여

Rather than just following the comments, analyze the logical structure.

내 것으로 만드는 것이다.

It is to make it my own.

라는 내용이 있고 유사한 내용이 있어서 이어서 같이 읽어 드릴게요.

There is such content, and since there is similar content, I will continue to read it to you together.

훔치려면 티 안 나게 숨겨야 합니다.

If you're going to steal, you should hide it so it doesn't show.

겉 아이디어는 훔치지 말라는 겁니다.

Don't steal the outer idea.

원리 구조 패턴 등 속 아이디어를 훔치면 티가 잘 안 난다는 거죠.

If you steal ideas such as principles, structures, and patterns, it doesn't stand out easily.

그리고 되도록 우리 분야와는 거리가 먼 분야에서 가져오면

And if possible, bring it from a field that is as far away from our field as possible.

티가 잘 나지 않는다는 지혜입니다.

It is wisdom that does not stand out well.

라는 건데 저는 이 내용이요.

What I mean is this content.

글쓰기와 말하기와 기타 콘텐츠.

Writing, speaking, and other content.

를 만드는 전 영역에 있어서 매우 매우 중요한 이야기인 것 같아요.

I think it's a very, very important story in all areas related to making it.

이 매우라는 거를 곱하기를 한 천 정도로 하고 싶을 정도로 중요한 이야기입니다.

This is such an important story that I would want to multiply it by a thousand.

이 말은 한 단어로 이야기를 하면요.

In one word, this means.

프레임입니다.

This is a frame.

누군가가 논리를 만드는 프레임을 설계하는데

Someone designs a frame that creates logic.

내가 처음부터 이 프레임을 설계한 능력이 없기 때문에

Because I didn't have the ability to design this frame from the beginning.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프레임을 찾는지를 카피를 해 보고

Try copying how other people find frames.

위쪽에 아이디어는 덜어낸 다음에

After removing the ideas at the top.

그 구조만 베껴서 글을 쓰거나 스피치를 하라는 거예요.

It means to just copy that structure and write or give a speech.

저도 블로그 강의할 때 이 내용을 굉장히 많이 말씀을 드리거든요.

I talk about this a lot when I give blog lectures.

이건 어떻게 하냐면

How do you do this?

먼저 인터넷상에서 키워드를 통해서 검색을 해서 블로그 글을 찾아요.

First, I search for blog posts using keywords on the internet.

예를 들면 말 잘하는 법이라는 키워드로 쳤는데 어떤 글이 나왔단 말이에요.

For example, I typed in the keyword "how to speak well," and some articles came up.

그런데 그 글이 조회수도 높고 이 블로그의 방문자도 높아요.

However, that post has a high view count and the visitors to this blog are also high.

만약에 그렇다면 이 글은 그래도 사람들이 많이 찾는 그리고

If that's the case, this article is still something that many people look for and

잘 쓴 글이다 라고 이해를 할 수 있잖아요.

You can understand it as a well-written piece.

그러면 이 사람이 첫 인사말은 어떻게 했는지 그리고 예시는 어떻게 들었는지.

So, how did this person greet at first, and what examples did they give?

만약에 책을 리뷰를 했다면 글 인용은 어떻게 했는지

If you wrote a review of the book, how did you cite the text?

이런 여러 가지 요소들을 순서대로 배열을 하는 거예요.

You arrange these various elements in order.

거기에다가 만약에 블로그 글이라면 사진은 어느 위치에 넣는지

If it's a blog post, where do you place the photos?

이런 방식으로 하나씩 꼼꼼하게 그 구조를 따진 다음에

After carefully analyzing the structure one by one in this way,

그 구조를 내가 글을 쓰거나 말을 할 때 적용시켜 보는 거죠.

It's about applying that structure when I write or speak.

그래서 만약에 이게 효율적이다 그러면 그 구조를 계속 쓰고

So if this is efficient, then continue to use that structure.

그다음에 더 좋은 글이나 더 좋은 스피치의 구조를 분석할 수 있게 되면

Then, when you are able to analyze the structure of better writing or better speeches,

그 구조를 따와서 그 구조를 내 글쓰기에

Following that structure and applying it to my writing.

적용시키면서 내가 가진 고유의 템플릿을 계속 개선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면

If I go through the process of continuously improving my unique template while applying it,

당연히 내 글쓰기는 좋아질 수밖에 없거든요.

Of course, my writing can only get better.

그런데 여기서 주의해야 될 게 글의 내용은 베끼면 안 돼요.

However, you should be careful not to copy the content of the text.

글을 어떻게 썼는지에 대한 구조와 예시 사례 순서 이런 논리적인

The logical order of how the writing was structured and examples of cases.

그 이어가는 단계만 카피를 하는 거를 권장드립니다.

I recommend only copying the steps that follow.

만약에 아이디어까지 베껴 버리면 그거는 표절이 돼 버려요.

If you copy the idea as well, it becomes plagiarism.

그래서 우리가 처음부터 능력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프레임을 설계하고

So we design the frame because we don’t have the ability from the beginning.

프레임을 따는 건 굉장히 중요하고요.

Taking the frame is very important.

이거는 콘텐츠를 만들 때 있어서 실패하지 않는 거의 유일한 방법이 아닐까라는 의견을 저는 갖고 있습니다.

I believe this is perhaps the only way to create content without failing.

그래서 이 부분을 좀 말씀을 드리고 싶었습니다.

So I wanted to say a little bit about this part.

다음으로 말씀드릴 수 있는 거는 스피치를 할 때에 있어서 말을 하는 사람에 대한 신뢰도를 올리는 방법이에요.

The next thing I can mention is how to increase the credibility of the speaker when giving a speech.

사실은 책을 쓸 때도 마찬가지고 글을 쓸 때도

The truth is the same when writing a book and when writing in general.

사람들은 요즘에는 꼼꼼하기 때문에 이 사람이 이 글을 쓸 자격이 있나를 굉장히 꼼꼼하게 검증을 하거든요.

These days, people are very thorough, so they meticulously verify whether this person is qualified to write this text.

예를 들어서 저는 온라인에서 블로그 강의를 팔고 있는데

For example, I am selling online blog courses.

사람들이 도대체 정의석이라는 놈이 어떤 놈이길래 블로그 강의를 파는 거야 라고 하고 이력을 볼 거란 말이에요.

People are wondering what kind of guy Jeong Ui-seok is to be selling blog courses, and they will check his background.

그러면 저는 이렇게 이야기를 해요.

Then I say it like this.

10년 동안 블로그를 운영했고 블로그로 억 단위의 수익을 만들어 봤고 그리고 10권의 책을 출간했기 때문에 글쓰기와 온라인 블로그에 있어서는 그래도 이야기할 수 있는 경력이 있습니다.

I have been running a blog for 10 years, generated millions in revenue through it, and published 10 books, so I have a considerable amount of experience in writing and online blogging.

저를 이야기를 한단 말이에요.

I am talking about myself.

그리고 이 블로그를 운영하기 위해서 개인적으로 겪었던 여러 가지 에피소드들을 스토리 형식으로 이야기를 하는데

And to operate this blog, I share various personal experiences in the form of stories.

다음에 제가 말씀드릴 문구하고 지금 제가 저 자신을 소개하는 방식이 굉장히 유사성이 있습니다.

The phrase I will mention next is very similar to the way I am introducing myself now.

사실은 저도 이 책을 보고 배웠기 때문에 이렇게 하는 건데요.

The truth is, I'm doing this because I learned from looking at this book too.

그 내용을 읽어드릴게요.

I'll read that content to you.

시작과 마무리만 잘해도 사람이 달라 보인다 라는 챕터입니다.

This chapter is about how starting and finishing well can change how a person is perceived.

읽어드리면 가장 매력 없는 자기소개 방식은 이력과 경력을 나열하여 말하는 것이다.

The least attractive way to introduce yourself is to simply list your credentials and experiences.

PPT를 넘기며 자신이 무엇을 해왔고 얼마나 대단한 사람인지 시간적 순서로 이력을 말하며 자신의 업적을 대놓고 자랑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It is common for individuals to boast about their accomplishments openly by presenting their history in chronological order, explaining what they have done and how great they are while going through a PowerPoint presentation.

야, 이거는 정말 매력이 없는 이력서, 경력서죠.

Wow, this is truly an unappealing resume and work history.

그러니까 내가 뭘 했는지는 이력서로 내면 되긴 되는데 그렇게 기계적으로 나온 이력서는 이 사람의 이야기를 대변해주지 못해요.

So I can submit what I've done in my resume, but a resume generated in such a mechanical way does not represent this person's story.

내가 어떤 어려움이 있었고 이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 어떠한 노력을 해왔고

I had some difficulties, and I have made various efforts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그래서 내가 이러한 성과를 냈다라는

So I achieved these results.

인간 승리 스토리가 사실은 뻔하지만 흔하게 먹히는 이야기거든요.

The story of human victory is actually a cliché, but it's a story that resonates commonly.

예를 들면 이거예요.

For example, this is it.

제가 몸이 아파서 관공서에서 쉬고 있었는데

I was resting at home because I was sick.

그때 블로그로 돈을 벌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고 블로그를 시작했는데 정말 많이 실패했어요.

At that time, I started a blog after hearing that you could make money from it, but I really failed a lot.

하지만 열심히 공부해서 블로그로 정말 많은 규모의 수익을 창출했고 그 블로그에 도움을 힘입어서 책도 출간할 수 있었어요.

However, I studied hard and generated a significant amount of income from my blog, and thanks to that blog, I was able to publish a book.

그래서 제가 이 경험을 여러분들께 나눠드리려고 해요.

So I want to share this experience with you all.

라고 스피치 시작에 이야기를 하는 건

Starting a speech by saying that

다른 사람들이 몰입을 할 수 있도록 해준

It allowed other people to immerse themselves.

저는 기초적인 요소가 되거든요.

I am a basic element.

왜냐하면 처음 시작은 여러분들하고 같았다는 공감을 불러일으켰고

"Because it evoked a sense of empathy that the beginning was the same as yours."

그 다음에 하지만 열심히 노력해서 성과를 일으켰다는 기대감을 심어줬고

Then, however, it instilled a sense of expectation that we would achieve results through hard work.

그렇기 때문에 이 경험을 나눠드리겠다는 걸로

That's why I would like to share this experience.

이분들에게 내가 오늘 무엇을 할지를 명확하게 정의를 해줬단 말이에요.

I clearly defined what I would do for these people today.

그러니까 이런 과정들을 통해서 우리가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고

So through these processes, we can learn various things.

그 배운 내용이 도움이 되겠다는 기대감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Because I can have the expectation that the learned content will be helpful.

이 스피치는 재미있을 거야.

This speech will be interesting.

라고 대중들이 무의식적으로 생각을 할 수가 있어요.

People may unconsciously think like that.

이런 게 있다는 거죠.

This is what it means.

그래서 챕터 중에 어떤 챕터가 있냐면

So, among the chapters, which chapters are there?

자랑하면 욕먹고 스토리면 통한다.

If you boast, you'll get criticized, but if it's a story, it works.

라는 이야기가 있어요.

There is a saying.

나 자신을 자랑하는 거는 별로 매력적이지 않습니다.

I don't find it very attractive to brag about myself.

만약에 정말 자랑을 하고 싶으면

If you really want to brag,

사람들에게 양해를 구하고 자랑을 해야 돼요.

You need to ask for people's understanding and boast a little.

그러니까 이런 거예요.

So that's how it is.

사실은 제가 처음에는 되게 잘 안 됐는데

The truth is, it didn't go well for me at first.

열심히 노력한 거가 이런 성과를 냈어요.

Hard work has yielded such results.

조금 외람되지만 성과를 나타내기 위해서

I apologize for being a bit forward, but in order to show results...

그리고 도움을 드리기 위해서 조금만 자랑을 해야 돼요.

And to help, I need to brag a little.

라고 하면서 자랑하는 거는 공감해 줄 수 있어요.

I can relate to bragging about it while saying that.

그런데 처음부터 다짜고짜 나는 이런 사람입니다.

But from the beginning, I suddenly said, "This is the kind of person I am."

이러면서 약간 꼰대스러운 말을 하게 되면

If you start to say something a bit old-fashioned while doing this...

당연히 그 사람은 싫어할 거잖아요.

Of course that person will dislike it.

그래서 이런 부분은 우리가 하지 말아야 되는 거고요.

So this is something we shouldn't do.

정말 이제 꺼려야 되는 부분 중에 하나인데

It's really one of the parts that should be avoided now.

의외로 이렇게 이야기를 하시는 분들이 정말 많습니다.

Surprisingly, there are really many people who talk like this.

그래서 저는 이 부분을 꼭 말씀을 드리고 싶었습니다.

So I really wanted to mention this part.

근데 어쩔 수 없이 저는 이런 일을 하는 사람이에요.

But I can't help it; I'm someone who does this kind of work.

라고 전문성을 드러내기 위해서 이력을 많이 쓰는 경우는 상관없어요.

It's not a problem if you often use your resume to showcase your expertise.

프린트 슬라이드에 그렇게 적어놓고 대신 이런 일을 했었는데

I wrote it like that on the print slide, but I did this instead.

이거가 이런 어려움이 있어서 이런 일을 하게 됐어요.

This happened because there were such difficulties.

라고 짧게 한 두세 문장 정도로 스토리를 요약해 주는 건

Please summarize the story in one or two short sentences.

그래도 의미가 있지 않을까라는 의견입니다.

I believe it still has meaning.

다음으로 이야기할 굉장히 중요한 요소가 있어서

There is a very important factor that I need to talk about next.

이어서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I will continue to speak.

스피치 대본을 작성할 때는 결론과 본론부터 정리해야 한다.

When writing a speech script, you should first organize the conclusion and the main points.

결론에는 주제, 주장, 의도가 담겨 있다.

The conclusion contains the topic, argument, and intention.

정말로 하고 싶은 말인 결론이 확실해야 설득 논리인 본론을 만들 수 있다.

Only when the conclusion of what you really want to say is clear can you create the body of persuasive logic.

본론에서는 상대를 설득할 수 있고 공감시킬 수 있는 생각 논리를 만들어야 한다.

In the main argument, you need to create a reasoning that can persuade and resonate with the other party.

기억하자. 결론과 본론이 정리되고 나서 서론을 준비해야 한다.

Let's remember. The introduction should be prepared after the conclusion and main body are organized.

주제가 명확해야 그에 맞는 시작도 할 수 있는 것이다.

The topic must be clear in order to start accordingly.

저는 여기에서 일부는 공감하고 일부는 공감하지 않는데

I agree with some of it and do not agree with some of it here.

일단 공감하는 것부터 먼저 말씀을 드릴게요.

First, I will talk about empathizing with you.

결론 먼저 이야기를 해야 된다라는 것은 정말 중요한 이야기입니다.

It is really important to say that we should talk about the conclusion first.

우리가 무슨 말을 할지를 명확해야 이 논리가 구성된다는 것은

It is necessary to be clear about what we will say for this logic to be constructed.

정말 옳은 이야기입니다.

That's really the right thing to say.

그래서 우리가 책을 쓸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 것은

So the most important thing we need to consider when writing a book is

저는 뭐라고 생각하냐면 사람들이 궁금해할 법한 질문을 모으는 것입니다.

I think it's about gathering questions that people would be curious about.

더 정확하게 이야기하면 독자들이 궁금해할 법한 질문을 모으고

To be more precise, gather the questions that readers are likely to be curious about.

그 질문의 한 줄로 답변을 하는 것에서부터 시작이 됩니다.

It starts with answering that question in one line.

그래서 그렇게 답변이 나오면 그게 지금 제가 읽어드렸던 핵심 주제가 되는 것입니다.

So, if that is the answer, it becomes the core subject I've just read to you.

그래서 그 주제를 보강하기 위해서

So, to reinforce that topic.

여러 가지 논리와 사례와 그리고 내 의견과 주장을 추가하게 되는 거거든요.

It involves adding various logic, examples, as well as my opinions and arguments.

그렇기 때문에 어떤 주장을 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내가 하려는 핵심 메시지가 있어야 되고

Therefore, in order to make any claim, I obviously need to have a core message that I want to convey.

그 메시지에 새끼를 치는 방식 그러니까 그 메시지가 첫 번째 세부 메시지

The way to mess with that message, in other words, that message is the first detailed message.

두 번째 세부 메시지 그리고 첫 번째 세부 메시지가 있으면

If there is a second detailed message and a first detailed message.

그 세부 메시지를 보완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근거들을 포함해서

Including various grounds that can supplement that detailed message.

우리가 글을 써야 된다는 거고요.

We need to write.

이렇게 글을 꾸준히 쓰다 보면 사실은 스피치를 할 때도 이러한 성향들이 드러나기 때문에

If you keep writing consistently like this, these tendencies will actually show when you give a speech as well.

거기에다가 블랙포인트라고 해야 될까요?

Should I call it a black point on top of that?

개요 형식으로 글이나 스피치를 정리하니까

Since you're organizing your writing or speech in an outline format,

당연히 글쓰기 능력도 올라가고 말하기 능력도 올라가게 돼요.

Of course, writing skills will improve and speaking skills will also increase.

서론의 경우에는 이건 때에 따라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In the case of the introduction, I think it varies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결론과 본론이 준비가 돼야 서론을 쓸 수 있다?

Can the introduction be written only after the conclusion and main body are prepared?

그것도 중요하지만 결론을 드러내기 위해서 서론을 먼저 이야기할 수도 있어요.

That's important too, but to reveal the conclusion, I might first discuss the introduction.

이거는 사람마다 성향이라든지 글쓰기 능력이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I think this varies from person to person in terms of their tendencies and writing abilities.

글쓰는 스타일에 따라서 바뀔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This can change depending on the writing style.

이 부분은 공감하지 못했지만

I couldn't relate to this part, but...

결론을 무조건 써야 된다는 말에는 정말 공감했습니다.

I really agree with the statement that a conclusion must be written without exception.

만약에 결론이 없는 상태에서 논리를 만들려고 하면

If you try to create logic without a conclusion.

일단 첫 번째는 쉽지가 않고요.

First of all, it's not easy.

그리고 두 번째는 그렇게 열심히 써가지고 어떤 방식으로 개요가 나왔을 때

And the second is when you worked so hard that an outline came out in some way.

메시지가 하나로 모이지가 않기 때문에

Because the messages do not come together as one.

예쁜 그리고 멋있는 스피치라고 사람들이 생각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매우 낮아져요.

The possibility that people will think it’s a pretty and cool speech becomes very, very low.

이런 부분도 같이 강조를 하고 싶습니다.

I would like to emphasize this aspect as well.

네, 다음 문장입니다. 읽어드릴게요.

Yes, here is the next sentence. I will read it to you.

말을 잘하는 사람은 사람들이 궁금해할 수 있는 예상 질문을 뽑아 목차를 만들 줄 안다.

A good speaker knows how to anticipate potential questions that people might be curious about and creates an outline.

논리적으로 말을 하는 사람들은 떠오르는 대로 생각을 정리하는 것이 아니라

People who speak logically do not organize their thoughts as they come to mind, but rather...

일단 질문을 나열하고 청중들이 이해하기 쉬운 순서로 혹은 궁금한 순서로 재배열을 한다.

First, list the questions and rearrange them in an order that is easy for the audience to understand or in the order they are curious about.

그리고 여기에 내용만 덧붙이면 스피치 대본이 만들어진다.

And if you simply add content here, a speech script will be created.

여기서는 스피치 대본이라고 이야기를 했지만

Here, it was mentioned as a speech script, but...

사실은 이건 스피치 대본뿐만이 아니라 글쓰기에도 적용될 수 있는 굉장히 중요한 요소입니다.

The truth is that this is not only a speech script but also a very important element that can be applied to writing.

질문을 정리하고요.

I will organize the questions.

그 질문에 답변하는 방식으로 콘텐츠를 만드는 건 예전부터 매우 효율적인 방식이라고 많은 사람들이 이야기를 하고 있고

Many people have said that creating content by answering that question has been a very effective method for a long time.

저 역시도 이 부분에 굉장히 공감을 하고 있습니다.

I also deeply resonate with this part.

그런데요. 이게 글로 되면 우수한 글쓰기가 되고요.

However, if this is put into writing, it becomes excellent writing.

그리고 만약에 이게 대중 앞에서 말하는 스피치 대본이 되면 스피치가 되고

And if this becomes a speech script spoken in front of the public, it turns into a speech.

만약에 이거를 온라인으로 촬영하는 강좌의 형태로 만들게 된다면

If it were to be made into an online course format.

이것 역시도 강좌 콘텐츠로서 의미가 있게 되거든요.

This also becomes meaningful as course content.

그러니까 이거는 사실은 생각 정리 스피치라는 제목이긴 하지만

So, this is actually titled "Organizing Thoughts Speech," but...

궁극적으로 봤을 때는 N잡러에게 필요한 콘텐츠 제작법이라는 개념으로도 저는 이해가 돼요.

Ultimately, I understand it as a concept of content creation methods needed for N-jobbers.

그래서 이 부분을 좀 말씀을 드리고 싶었고요.

So I wanted to mention this part.

그다음으로 이야기할 수 있는 건 읽어드리면 스피치를 잘하는 전제 조건 중 하나는 말하고자 하는 주제와 관련한 풍부한 자료

Next, I can say that one of the prerequisites for delivering a good speech is having abundant materials related to the topic you want to discuss.

즉 소재가 충분히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소재는 풍부하고 다양할수록 좋다. 상대방의 흥미를 끌 수 있기 때문이다.

In other words, there must be enough material prepared. The more abundant and diverse the material, the better. This is because it can attract the interest of the other party.

뻔한 소재로는 결국 흥미를 끌 수 없다. 소재가 풍부하고 다양해야 이야기가 다채롭게 흘러간다.

Obvious themes ultimately fail to capture interest. The material must be rich and diverse for the story to flow in a colorful way.

좋은 소재는 말을 이어나가게 만드는 힘이 있다라는 건데 두 가지의 형태가 있습니다.

Good material has the power to keep the conversation going, and there are two forms of it.

일단 내가 책을 읽으면서 여러 가지의 문장을 많이 모아놓는 초서 활동을 했을 경우

If I collect various sentences while reading a book as part of my early writing activities.

그리고 다음으로는 해외의 논문을 정말 많이 찾아보면서 데이터를 축적하는 방식인데

And next, there is a way of accumulating data by looking up a lot of overseas papers.

대학 교수님들은 논문의 사례들을 되게 많이 인용을 하죠. 특히 실험 논문을 많이 인용을 합니다.

University professors often cite a lot of examples from papers, especially experimental papers.

그래서 말콤글래드웰 같은 경우는

So in the case of Malcolm Gladwell,

말콤글래드웰 같은 경우는

In the case of Malcolm Gladwell,

해외 논문들인데 약간 좀 특이한 실험이 있는 논문들을 많이 가져와서

I brought many overseas papers that have somewhat unusual experiments.

그 결과를 궁금하게 하는 방식으로 글을 쓰는 경우가 많죠.

It is often the case that the writing is done in a way that piques curiosity about the results.

그리고 제가 감명 깊게 읽었던 책 중에 프레임이라는 책이 있는데

And there is a book that I was deeply impressed by called "Frame".

서울대 심리학과 최인철 교수님이 쓰셨거든요.

It was written by Professor Choi In-cheol from the Psychology Department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그분 역시도 다양한 논문들과 심리와 관련된 사례들을 끌고 와서

He also brought in various papers and cases related to psychology.

그 부분을 본인의 생각을 더해가지고 썼기 때문에 굉장히 설득력 있는 글쓰기 그리고 말하기가 된단 말이에요.

Because that part was written by adding one's own thoughts, it becomes very persuasive writing and speaking.

제가 자료들을 최대한 많이 준비하는 게 좋은데

It would be good if I could prepare as much material as possible.

저는 일단 평범한 사람의 입장에서 준비할 수 있는 자료는 책 리뷰에 들어간 어떤 문구라든지 내용인 것 같아요.

I think the material that an ordinary person can prepare includes any phrases or content that are included in book reviews.

뭐 물론 그렇게 인용하는 부분은 한 문장 이상 인용하지 않고

Well, of course, I won't quote more than one sentence in that part.

그리고 책의 홍보에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내 책에 기록을 하게 되면 문제가 없다는 얘기를 이전에 저작권 이야기하면서 많이 말씀을 드렸었죠.

And I have mentioned before that there is no problem as long as the way you record in my book helps promote the book.

어찌 됐건 간에 내 이야기만 하게 될 경우에는 그 근거가 굉장히 약할 수밖에 없습니다.

In any case, if I only talk about my story, the basis for it will inevitably be very weak.

내가 아무리 사람들에게 믿음을 줄 수 있는 이력이 있다고 하더라도

Even if I have a history of being able to instill trust in people,

그거는 너가 특별하니까 그런 거 아니야 라고 이야기를 해버리면 사실은 우리는 할 말이 없게 되잖아요.

If you say it's because you're special, then we actually have nothing more to say, right?

이런 부분들도 좀 말씀을 드리고 싶었어요.

I wanted to mention these things as well.

꼭 기억을 하셨으면 좋겠고요.

I hope you remember it well.

그 다음에 마지막으로 이야기할 부분입니다.

This is the last part I will talk about.

간혹 하고 싶은 말이 떠오르지 않는 경우가 있다.

There are times when I can't think of what I want to say.

자료 부족 때문이다.

It's due to a lack of data.

머릿속에 있는 것만으로는 아이디어를 채울 수 없다.

You can't fill ideas just with what's in your head.

좋은 자료를 얼마나 많이 수집하느냐에 따라 스피치의 성패가 좌우된다.

The success of a speech depends on how much good material you collect.

세상의 자료는 흔하다.

Information in the world is common.

스피치 실력은 자료를 얼마나 잘 찾느냐에 달려 있다에도 과언이 아니다.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speech ability depends largely on how well one can find information.

소재는 상당 부분 메모와 사색으로부터 얻어진다 라는 내용이고요.

The material is largely derived from notes and contemplation.

그래서 제가 지난번에 콘텐츠 플랫폼을 통해서 메모 독서법이라든지 초소화 같은 개념들을 굉장히 많이 이야기를 했잖아요.

So last time I talked a lot about concepts like the note-taking reading method and ultra-simplification through the content platform.

이 부분을 꼭 기억을 하셔서 내가 콘텐츠를 평상시에도 꾸준히 모아놓고 준비를 해야겠다라는 부분들을 꼭 기억을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I hope you remember this part and make sure to consistently gather and prepare content even in your everyday life.

마지막으로 이야기를 한 번만 더 하겠습니다.

Lastly, I will speak one more time.

스피치 스타일을 만드는 두 가지인데 이 내용이 감명 깊어서 읽어 드릴게요.

There are two things that create a speech style, and this content is impressive, so I will read it to you.

아인슈타이는 말했다.

Einstein said.

초등학생에게 자신의 지식을 이해시킬 수 없다면 그건 본인이 모르고 있는 거라.

If you can't explain your knowledge to an elementary school student, then it means you don't truly understand it yourself.

말을 어렵게하는 지식인층이 되게 많죠?

There are a lot of intellectuals who make things difficult to understand.

되게 싫어하는 부류 중 하나입니다.

It's one of the types I really dislike.

워런 버핏도 주식 관련해 가지고 주주보고서를 쓸 때 할머니 였나 엄마 였나 이렇게 경제에 대해서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이 읽어도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쓰고

Warren Buffett also writes shareholder reports at a level that someone who knows nothing about the economy, like his grandma or mom, can understand.

그분이 이해를 많이 하는 그런 서점인 것 같아요.

It seems like it's a bookstore that understands a lot.

이해를 했을 때 그 콘텐츠를 넘긴다는 얘기를 제가 여러 책들을 통해서 봤는데

I've seen in several books that when you understand something, you move on from that content.

스피치란 그래야 됩니다.

A speech should be like that.

스피치를 듣는 사람은 글을 읽는 사람들보다 훨씬 더 대중이고 범위가 넓을 가능성이 높아요.

The audience for a speech is likely to be much more public and broader in scope than that of readers of a written text.

그러면 내가 어려운 단어를 쓰면 당연히 이해를 못합니다.

If I use difficult words, then of course you won't understand.

예전에 대통령의 글쓰기였나 그 책에서 보니까

I saw in that book, was it the President's writing?

노무현 대통령이 진지라는 말보다는 밥이라는 단어를 쓰는 걸 좋아했다라는 문구를 봤던 기억이 있어요.

I remember reading that President Roh Moo-hyun preferred to use the word "meal" rather than "dinner."

그러니까 잘 이해가 되는 단어를 쓰기 위해서 여러 개의 텍스트 구문과 연설문을 수정했다는 내용이었는데

So it was about revising several texts and speeches to use words that are well understood.

이 말을 우리가 꼭 기억해서 대중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쉬운 단어를 쓰고

We must remember this and use simple words that the public can easily understand.

그리고 짧은 문장 그리고 명료한 문장을 써서

And write short and clear sentences.

내 스피치에 힘을 실어줄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었으면 좋겠습니다.

I hope to create a system that can empower my speech.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생각정리 스피치라는 이야기를 했는데

So this time, we talked about the topic of organizing thoughts for a speech.

이 책의 내용이 사실은 스피치에만 해당이 되는 게 아니라

The content of this book is actually not limited to just speeches.

콘텐츠를 만드는 전반적인 영역에 두루 적용이 될 수 있는

Can be broadly applied to the overall field of content creation.

이 콘텐츠는 꼭 깊이 있게 읽어보셨으면 좋겠다는 이야기를 마지막으로 하면서

I would like to conclude by saying that I hope you read this content thoroughly.

오늘의 콘텐츠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I will conclude today's content.

네 그러면 저는 다음 시간에 인사를 드릴 거고요.

Yes, then I will greet you next time.

그때까지 더 좋은 콘텐츠로 준비할 테니까 기대해 주시고

We will prepare better content by then, so please look forward to it.

오늘 하루도 즐겁고 행복하게 보내시기 바랍니다.

I hope you have a joyful and happy day today.

감사합니다. 안녕히 계세요.

Thank you. Goodbye.

안녕

Hello

안녕히 계세요.

Goodbye.

Continue listening and achieve fluency faster with podcasts and the latest language learning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