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회- 많이 만들 수록 줄어드는 생산비의 비밀(천재박 중3)

나랏말쌤

나랏말쌤의 국어먹방

7회- 많이 만들 수록 줄어드는 생산비의 비밀(천재박 중3)

나랏말쌤의 국어먹방

안녕하세요. 국어의 모든 건 나란 말쌤입니다.

Hello. I am Mr. Naran, everything related to the Korean language.

이번 시간에는 중3 국어 천재박 4단원 점검과 조정 속에 있는 소단원 1 읽기 과정을 점검하며 읽기 그 속에 있는 많이 만들수록 줄어드는 생산비의 비밀이라는 글에 대해서 한번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In this session, we will check the reading process of Unit 1 in Chapter 4 of the Genius Park Korean textbook for 9th graders and learn about the article titled "The Secret of Production Costs That Decrease the More We Create."

여러분 교과서는 176페이지입니다.

Your textbooks are on page 176.

일단 우선 이 부분을 분석을 했을 때 처음 든 생각은 뭐였냐면 수능 지문, 비문학 그 부분 같았어요. 그냥 똑같습니다.

First of all, when I analyzed this part, the first thought that came to my mind was that it seemed like a CSAT passage, specifically the non-literary section. It's just the same.

그래서 여러분들 나중에 고등학생들 되면 특히 이 비문학 지문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 아주 많은 고통을 호소할 텐데 미리 겁주는 건가요?

So when you all become high school students later, especially in analyzing non-literary passages, you will express a lot of pain, are we scaring you in advance?

근데 정말 이 비문학 지문은 여러분들에게서는 좀 많이 어려운 부분인 건 뭐냐면

But the reason this non-fiction passage is quite difficult for you all is that...

수능 문제를 본 친구들은 알겠지만 지문의 길이가 꽤 깁니다.

Those who have seen the CSAT questions will know that the length of the passages is quite long.

근데 그 많은 양의 지문, 그 정보량이 많은 것들 속에서 각각의 질문들, 문제의 발문들이 원하는, 요구하는 정보가 있어요.

However, among the large amount of fingerprints and the high volume of information, each of the questions and prompts contains the information that is desired and required.

그걸 얼마만큼 빨리 너희들이 캐치할 수 있겠냐를 묻는 거거든요.

I'm asking how quickly you will be able to catch that.

그래서 사실 언어영역이 시간 싸움이잖아요.

So, in fact, the language section is a battle against time.

시간이 부족하고 그런데 한정된 시간 안에 주어진...

Time is limited, and within that limited time given...

많은 정보량이 있는데 그 중에서 필요한 질문에 대한 답변을 너는 할 수 있겠니?라는 걸 묻는 게 수능 언어영역인 것 같아요.

It seems that asking if you can provide answers to necessary questions among the large amount of information is what the college entrance exam's language section is about.

그래서 여러분들은 아주 한정된 시간, 빠른 시간 안에 많은 양의 데이터 속에서 중심 내용을 빨리 뽑을 줄 아는 능력,

So, you must have the ability to quickly extract the main points from a large amount of data in a very limited time.

그 다음에 필요한 질문에 대해서 필요한 정보를 빨리 뽑아낼 수 있는 능력, 그것을 연마하는 게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I believe it is really important to hone the ability to quickly extract necessary information regarding the questions that need to be asked next.

그래서 항상 학생들한테 말하기를 뭘 말했는지,

So I always tell the students what I said,

지금 이렇게 비문학, 지문 같은 경우에 특히 지문 분석을 하면서 정보를 파악하는 그런 훈련,

Right now, especially when analyzing passages in nonfiction texts, training to grasp information through passage analysis,

이거는 훈련이라고 얘기를 합니다.

This is called training.

마치 운동을 하면 근육량이 늘어나듯이,

Just like how exercising increases muscle mass,

이것 또한 순식간에 갑자기 능력치가 급격하게 올라가는 건 아니거든요.

This doesn't mean that the stats suddenly increase dramatically in an instant, either.

때문에 조금씩 조금씩 조금씩 지문 분석을 차근차근차근 계속 빠짐없이 해나가면서

Therefore, I will continue to analyze the fingerprints step by step, without missing anything, bit by bit.

이 지문 독해 능력이,

Thi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이 지문의 능력을 늘려나가는, 근육을 늘리듯이 조금씩 늘려나가는 것이 필요합니다.

It is necessary to gradually increase the ability of this skill, much like how one gradually builds muscle.

인내심을 갖고.

Have patience.

그래서 몇 번 해보고는 아, 이거 왜 이렇게 나 안 되지? 라고 생각하면 절대 안 됩니다.

So after trying a few times, if I think, "Ah, why isn't this working for me?" it will never work.

조금씩 조금씩 여러분들의 실력은 늘고 있어요, 알게 모르게.

Little by little, your skills are improving, whether you realize it or not.

이게 뭐 수학적 지식처럼 이렇게 뭔가 한 번에 터득해서 단계단계 팍팍팍 이렇게 올라가는 게 아니라

It's not like you suddenly grasp something like mathematical knowledge and then progress step by step, bam, bam, bam.

정말 이거는 부지불식간에 자신의 실력이 늘고 있거든요.

This really helps improve your skills without you even realizing it.

그러니까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지문 분석하는 능력이,

So, the ability to consistently analyze fingerprints without giving up,

필요합니다.

It is necessary.

그러면 이 지문은 어떻게 분석하는 게 좋은지 한 번 보도록 하죠.

Then let's take a look at how to analyze this passage effectively.

대충 내용은 이렇습니다.

The gist of it is like this.

철수가 택시로 가려고 하는데 학생이라서 부담이 된다는 거죠.

Cheolsu is planning to take a taxi, but he feels it's a burden because he's a student.

6,000원쯤 나온다고 하는데.

I heard it will be around 6,000 won.

그래서 결국 함께 타고 갈 친구를 모아야겠다고 생각을 했고,

So I thought I needed to gather friends to ride with me in the end.

두 명이 택시를 타면 3,000원,

If two people take a taxi, it's 3,000 won.

한 명도 막 세 명이 같이 타면 2,000원씩 내면 된다.

If one person rides with three people together, each person can pay 2,000 won.

이렇게 되는 건 택시 타본 친구들은 모두 알고 있을 겁니다.

Friends who have taken a taxi will all know that this happens.

그러니까 택시는,

So, the taxi is,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몇 명이 타든 어쨌든 택시비는 똑같이 책정이 됩니다.

The taxi fare will be the same no matter how many people ride, as long as it is within the capacity limit.

그죠?

That's right?

그러니까 뭐 세 명이 타도 6,000원,

So even if three people ride, it's 6,000 won.

두 명이 타도 6,000원,

Even if two people ride, it's 6,000 won.

한 명이 타도 6,000원.

One person is 6,000 won.

결국 많이 타면 탈수록 개인이 부담해야 될 돈은 줄어든다는 얘기죠.

In the end, the more you ride, the less money an individual has to bear.

이게 이 실생활의 예를 들어서 지금 설명을 들어갔어요.

I explained this by giving an example from real life.

이런 부분을 도입 부분에 배치한다는 건 상당히 좋은 전략이죠.

Placing such elements in the introduction is quite a good strategy.

그러니까 독자들에게 한 번쯤 겪어봤음직한 그런 경험과 관련해서,

So, with regard to experiences that readers might have encountered at least once,

택시 요금과 관련된 이야기를 쉽게 함으로 해서 대량 생산으로 생산비를 줄이는 비슷한 예에 대해서 들어가잖아요.

It talks about an example of reducing production costs through mass production by making discussions related to taxi fares easier.

그죠?

Right?

그래서 택시 요금은 승객 수에 관계없이 동일하기 때문에 승객이 늘수록 한 사람이,

So, the taxi fare is the same regardless of the number of passengers, so as the number of passengers increases, one person...

뭐뭐 수록이라는 표현들 많이 체크하면서 넘어가야 됩니다.

You need to check the expressions like "included" a lot as you go through.

늘수록 한 사람이 부담해야 되는 비용은 줄어든다.

As the number of people increases, the cost that one person has to bear decreases.

다시 말해 승객수가 늘수록 경제적이다.

In other words, it becomes more economical as the number of passengers increases.

즉, 저렴하다더라.

In other words, it's cheap.

자, 그 다음 달락.

Well, the next paragraph.

첫 번째 줄의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하자면 이렇게 할 수 있겠죠.

To summarize the content of the first line briefly, it can be stated like this.

생산량이 늘어남에 따라, 증감에 따라 개당 생산비용이 줄어든다.

As production increases, the cost of production per unit decreases according to the increase or decrease.

자, 이것을 뭐라고 한다?

Well, what do we call this?

이것을 규모의 경제라고 얘기하더라.

They say this is called economies of scale.

기업이 재화를 생산하는데 드는 비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The costs incurred by a company in producing good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wo categories.

자, 그러면 이렇게 또 적으면 되겠죠.

Well, then, I can just write like this again, right?

자, 우측에다가 알아보기 쉽게 깔끔하게 정리했습니다.

Alright, I've organized it neatly and clearly on the right side.

자, 그래서 지금 여기서 기업이 재화를 생산하는데 드는 비용은,

So, the cost of producing goods by the company here is,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라고 했어요.

I said it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wo categories.

생산량이 늘수록 개당 생산비용이 줄어든다라고 얘기했고,

They said that as production increases, the cost per unit decreases.

그 생산비용은,

The production cost is,

첫째는 기업이 재화를 몇 개 생산하든지 간에 항상 지불해야 되는 고정비용이다.

The first is the fixed costs that a company must always pay, regardless of how many goods it produces.

그럼 여기다 고정비용이라고 쓰죠.

Then let's write fixed costs here.

자, 근로자들에게 지급하는 임금, 공장과 사무실 임차료 등이 이에 해당된다.

Now, wages paid to workers, as well as rent for factories and offices, fall under this category.

그러니까 예를 들자면,

So, for example,

임금, 일해주시는 분들 있잖아요. 감사하니까.

There are the workers, you know. I'm grateful for them.

그분들한테 어쨌든 노동의 대가를 드려야죠.

We should pay them for their labor anyway.

그 다음에 임차료.

Next is the rent.

만약에 내가 재화를 생산하려면,

If I want to produce goods,

그 공장을 빌려야 될 거 아니에요.

We have to rent that factory.

사무실을 빌려야 될 거 아닙니까?

Don't we need to rent an office?

그렇다면 그 빌린 비용, 임차료죠.

In that case, it's the borrowed cost, rent.

자, 그 다음에 한 달에 물건을 5천 개 생산하든 만 개 생산하든,

Well, whether you produce 5,000 items a month or 10,000 items,

기업은 매월 직원에게 약속한 임금을 줘야 되고,

Companies must pay employees the promised wages every month, and

건물 주인에게 정해진 임차를 지급해야 된다.

The tenant must pay the agreed rent to the building owner.

빌린 대가를 지급해야 되고요.

You have to pay the price for what you've borrowed.

그 다음에 월급 드려야죠.

Then we should pay the salary.

자, 이것은 고정적입니다.

Okay, this is fixed.

그러니까 변치 않는다는 얘기예요, 비용이.

So it means that the cost doesn't change.

그러니까 유동적으로,

So, flexibly,

이번 달은 조금, 그 다음 달은 좀 많이,

This month a little, next month a bit more.

뭐 이런 식으로 그게 되는 게 아니에요.

That's not how it works.

고정되게 쭉 나가는, 변화가 없는 비용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You can think of it as a cost that remains fixed and does not change.

둘째는 생산량에 비례해서 늘어나는 변동 비용이다.

The second is the variable cost that increases in proportion to production volume.

그럼 여기다 변동 비용이라고 쓸까요?

Shall we write variable costs here?

이 말인즉슨, 고정 비용과 다르게

This means that, unlike fixed costs

이제 들쑥날쑥한다는 얘기죠.

It means that things are now inconsistent.

그것에 대한 예시가 또 나오겠죠.

There will be more examples of that, right?

생산량이 늘어날수록 재화 생산에 들어가는 원료나

As production volume increases, the raw materials used for production of goods or

부품 구입비, 그 다음에 전기요금 등이 변동 비용에 해당된다.

The cost of purchasing parts, as well as electricity expenses, are considered variable costs.

그러면 원료나 부품 구입비에 해당되겠네요.

Then it would fall under the category of raw materials or component purchase costs.

그 다음에 전기요금 등등의 것들이 변동 비용이다.

After that, things like electricity bills are variable costs.

라고 깔끔하게 이렇게 정리하면 해결이 되겠죠, 그죠?

If we neatly organize it like this, it should be resolved, right?

자, 그 다음에 변동 비용 같은 경우는 좀 특징이 있는데

Well, then the variable costs have some characteristics.

바로 이게 특징입니다.

This is the characteristic feature.

생산량이 늘어날수록 원료 구입비나 전기요금 증가한다.

As production increases, the cost of raw material purchases and electricity bills also rises.

이 말은요.

This means.

선생님들께서 이제 문제를 출제하실 때 이런 식으로 바꿔서 출제하시기도 해요.

Teachers sometimes create problems in this way when they set questions now.

명칭을 좀 약간만 바꾸는 거죠.

It's just a slight change in the name.

결국엔 똑같은 얘기인데.

In the end, it's the same story.

그러니까 생산량이 증가할수록

So, as the production increases,

그러니까 원료 구입비나 전기요금은 증가한다는 얘기는 쉽게 말하자면

So in simple terms, it means that the costs for purchasing raw materials and electricity will increase.

변동 비용 어떻게 된다? 늘어난다라는 얘기죠.

How does the variable cost work? It means it increases.

비례한다는 얘기죠.

It means that it is proportional.

생산량이 늘어남에 따라 변동 비용도 비례해서 증가한다라는 얘기입니다.

This means that as production increases, variable costs also rise proportionally.

그래서 여기에다가

So here to this.

제가 적어놓을게요.

I will write it down.

자, 그 다음에

Well, then.

이런 수록 같은 거 진짜 항상 유념하셔야 돼요.

You really have to keep something like this in mind at all times.

맨날 등장해요.

It shows up every day.

그래서 이 수록.

So this is recorded.

자, 그 다음에

Well, then.

고정 비용과 변동 비용을 합하면

If you add fixed costs and variable costs together

기업이 재화 생산을 위해 지출하는 비용

The cost that a company incurs for the production of goods.

곧 총생산 비용이 된다.

It will soon become the total production cost.

그래서 총생산 비용을 생산량으로 나누면

So if you divide the total production cost by the production volume,

재화 한 개를 생산하는 데 드는 비용을 구할 수 있는데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cost of producing one unit of goods.

기업이 재화 생산을 위해 지출하는 비용을 구할 수 있는데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costs that a company incurs for the production of goods.

적어도 crowdsourcing 생산을 통해

At least through crowdsourcing production.

기업이 재화를 많이 생산할 수록

The more goods a company can produce,

생산비는 감소한다

Production costs will decrease.

그러니까

So, then

수능 때 언제 옆에 막 이렇게 다 필기하고 요약하면서 하겠습니까

When will I be able to study like this, taking notes and summarizing, during the college entrance exam?

간단하게 remember로 빨리 메모하며 넘어가야 한다는 건데

It's simply that we need to quickly jot it down as "remember" and move on.

기업이 재화를 많이 생산할 수록

The more goods a company can produce.

그러니까 기업이 재화를 많이 생산할 수 있도록

So that companies can produce a lot of goods.

생산비는 감소한다.

Production costs will decrease.

반비례하네요.

It's inversely proportional.

그렇죠?

Isn't it?

이런 것들을 그냥 체크하면서 넘어가면 되는데

You can just check these things and move on.

아까 메모해 놓았던 곳에다가

To the place I noted down earlier.

역시 또 정리해서

As expected, I'll organize it again.

여기에서 적어 본다면 이렇게 정리할 수 있겠죠

If I were to write it down here, I could summarize it like this.

자 이렇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I have organized it like this.

네 좀 더 깔끔하죠

Yes, it's a bit cleaner.

총생산비용은 어떻게 고정비용과 변동비용을 합한 값이

Total production cost is how the sum of fixed costs and variable costs.

총생산비용이 된다 라고 얘기를 하고 있고요

It is said that it will become the total production cost.

자 그 다음에 앞서 말했던 이 총생산비용을 생산량으로 나누라

Next, divide the total production cost mentioned earlier by the quantity produced.

그러면 재화관계 생산 어떤 개당 생산비가 나온다

Then, the production cost per unit of the commodity relationship is determined.

산출된다 라는 얘기잖아요 그죠

It means that it is produced, right?

이것도 옆에다가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If I summarize this simply on the side...

자 이렇게 정리할 수가 있겠죠 그죠

So we can summarize it like this, right?

개당 생산비 구하는 방법 계산하는 방법 이렇게 나오고요

This is how to calculate the production cost per unit.

그 다음에 재화관계를 생산하는데 드는 비용을 구할 수 있는데

Next, we can calculate the costs involved in producing the material relationships.

기업이 재화를 많이 생산할수록 개당 생산비 감소한다

The more a company produces goods, the lower the cost per unit.

이것도 옆에다 정리한다면 이렇게 정리할 수 있겠고요

If you organize this next to it, you could arrange it like this.

그죠 자 그래서 이제 구체적인 예를 들고 있어요

That's right, so now I'm giving a specific example.

스파게티 식당의 사례로 예를 들어보자

Let's take the example of a spaghetti restaurant.

그러니까 예시가 등장하죠

So, an example appears.

식당 주인은 임차료 인건비로 한 달에 300만원씩 지출한다

The restaurant owner spends 3 million won a month on rent and labor costs.

라는 건 그러니까 이 가게 임차료와 인건비

This means that the store's rent and labor costs...

자 이게 바로 고정지출이겠죠

Well, this must be the fixed expenses.

뭐 아르바이트생을 구한다거나 뭐 그 다음에

Well, looking for part-time workers or something like that.

가게가 본인의 것이 아니라 집주인이 따로 있어서

The store doesn't belong to me; there is a separate landlord.

그 가게 주인에게 건물을 빌리는 돈 임차료를 지출한다면

If you spend money on rent to rent the building from the shop owner.

300만원씩 지출하는 친구가 있대요 고정지출로

I heard there’s a friend who spends 3 million won each month as fixed expenses.

근데 이걸 갖다가 그 하루로 나눈다면 10만원씩 드는 셈이래요

But if you divide it by that day, it amounts to 100,000 won each.

그렇잖아요 300만원에다가

That's right, on top of 3 million won.

이제 30일을 나누면은 뭐 10만원씩이라고 생각하는 거죠

Now, if you divide it by 30 days, you're thinking it's about 100,000 won each.

한 달 30일로 치자면

Let's assume a month has 30 days.

근데 하루에 손님이 몇 명 오는지에 관계없이 나가는 고정비용이라고 그랬죠

But you said it’s a fixed cost regardless of how many customers come in a day.

그죠 이거는 전혀 무관하다고 그랬어요 몇 명이 오든 말든

Right, they said this is completely unrelated, regardless of how many people come or not.

그리고 하루에 손님이 몇 명이 오는지란 말은요

And what about how many customers come in a day?

재화 생산량과 무관하다는 얘기에요

It means that it is unrelated to the production amount of goods.

몇 개를 생산하든 스파게티 한 개를 생산하든

Whether producing several or just one spaghetti.

10개를 생산하든 100개를 생산하든

Whether you produce 10 or 100.

관계없는 거죠 그냥 손님이 몇 명이 오든지 관계없이 무관하게 나가는 고정비용

It's unrelated; regardless of how many guests come, it's a fixed cost that is unaffected.

아까 고정비용의 특징 말했죠

Earlier, I mentioned the characteristics of fixed costs.

그리고 스파게티 1인분을 만드는 데에는

And it takes one serving of spaghetti to make.

면 소스 등의 재료비 그러니까 재료비

Ingredients cost, such as noodle sauce, that is, ingredient costs.

그 다음에 가스요금 같은 거 얘가 변동요금이죠

Then, things like gas fees are variable rates, right?

자 이걸로 3천원의 변동비용이 된다

This will result in a variable cost of 3,000 won.

자 이거 그 비용으로 통일할게요 비용

Alright, I'll unify the cost with this.

여러분들 헷갈릴까봐

In case you all are confused.

자 그래서 만약 하루에 단 한 명의 고객만이

So, if only one customer comes in a day...

이 식당을 찾게 되면은

If you find this restaurant,

식당 주인이 스파게티 1인분 만드는데 드는 비용은 무려 10만 3천원이에요

The cost for the restaurant owner to make one serving of spaghetti is as much as 103,000 won.

왜 이런 계산이 나오는지 알겠죠

You understand why this calculation is coming out, right?

이 10만원은 그러니까 고정비용인 것이고

This 100,000 won is, therefore, a fixed cost.

3천원이 가스요금 뭐 이런 재료비 이런 거 합한 변동비용이에요

The 3,000 won is the variable cost combined with gas charges and other material costs.

이걸 합한 게 뭐였죠

What was this combined?

총생산비용 이라고 했잖아요 그죠

You said it's called total production cost, right?

총생산비용은 어떻게 구한다 변동비용과 고정비용을 합해야 된다

How do you calculate total production cost? You need to add variable costs and fixed costs.

이게 그러니까 총생산비용 이렇게

This is, therefore, the total production cost.

되는 셈인 것이죠 그죠

That means it works out that way, right?

근데 이게 2명의 고객이 방문한다면 아무래도 절반이 되겠죠

But if two customers visit, it would be half, after all.

정확히는 이 10만 이게 총생산비용이 되는 것이겠죠

To be exact, this 100,000 would be the total production cost.

근데 만약에 2명의 고객이 방문한다면 얘기가 좀 달라집니다

But if two customers visit, it's a different story.

일단 고정비용은 상관없이 변동이 없다고 했으니까 10만이고요

Since you mentioned that there is no change regardless of fixed costs, it's 100,000 won.

거기다가 이 2명분의 것을 만드니까 변동비용이 2배가 들어가니까

Additionally, since making this for two people incurs double the variable cost,

6천원이 들어가겠죠 그죠?

It will cost 6,000 won, right?

그러면 총 10만 6천원이 들어간다는 말이죠

So that means a total of 106,000 won will be needed.

근데 어쨌든 2명이 왔으니까 얘를 2로 나눠야 되잖아요 그죠

But anyway, since 2 people came, we have to divide this by 2, right?

결국 5만 3천원 1명당 생산비가 그죠

In the end, the production cost is 53,000 won per person, right?

1인분 생산비가 1명이 왔을 때는 10만 3천원인데

The production cost for one serving is 103,000 won when one person comes.

2명이었을 때는 5만 3천원으로 감소해 버리는 그죠

When it was two people, it dropped to 53,000 won, right?

이게 규모의 경제라는 얘기입니다

This is what is called economies of scale.

그래서 이런 식으로 식단 손님이 증가할수록 1인분 생산비는 점점점

So in this way, as the number of customers increases, the production cost per serving gradually rises.

감소한다

Decreases.

몸무할수록 그러니까 식당 손님이 늘어날수록 생산비는 감소한다

The more you operate, the more the number of restaurant customers increases, the production cost decreases.

알겠죠 그래서 생산량이 증가할수록 생산비가 감소해서

I understand, so as the production increases, the production cost decreases.

경제적이게 되는 규모 경제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The phenomenon of economies of scale that makes it economically viable has emerged.

그러니까 이 말이 이 말이에요 알겠죠 똑같은 말입니다

So what I’m saying is, this is what I mean, got it? It’s the same thing.

식당 손님이 증가한다는 건 생산량이 증가한다는 얘기가 똑같은 거고

The increase in restaurant customers is the same as saying that production volume is increasing.

스파게티 1인분 생산비가 감소한다는 얘기는

The statement that the production cost of a serving of spaghetti is decreasing means that...

개당 생산비가 감소하게 된다는 얘기죠

It means that the production cost per unit will decrease.

결국 뭐다? 경제적이게 되는 것이다

In the end, what is it? It becomes economical.

이게 바로 뭐다? 규모 경제라는 것이죠

What is this? This is called economies of scale.

자 그 다음 글 읽어 볼게요

Alright, I will read the next text.

재화의 가격을 낮춰주는 규모의 경제에 대해서 얘기하는데

I'm talking about economies of scale that lower the prices of goods.

규모 경제는 판매 가격에도 영향을 준다

Economies of scale also affect selling prices.

그러니까 무슨 말이냐면

So what I'm saying is...

얼만큼 많이 팔리느냐에 따라서 판매량에 따라

Depending on how much it sells, based on sales volume.

그게 각각의 개당 재화의 판매 가격에도 영향을 미친다라는 얘기에요

That means it also affects the selling price of the goods per unit.

구체적인 사례 한번 볼게요

Let's take a look at a specific case.

앞에서 예로 든 스파게티 식당의 경우에는

In the case of the spaghetti restaurant mentioned earlier,

하루에 1인분 밖에 팔지 못한다고 할 때

When you say you can only sell one serving a day.

손해를 보지 않으려면 어떻게 되냐

What should be done to avoid losses?

결국 물건을 판다는 행위는 내가 손해보면서 파는 건 없거든요

In the end, the act of selling something doesn't mean I sell it at a loss.

무조건 이익을 남기기 위해서 파는 행위라는 건데

Selling is an act aimed solely at making a profit.

손해보지 않으려면 1인분 가격을 10만 3천원 이상으로 고려해야 돼요

To avoid a loss, you need to consider the price for one serving to be at least 103,000 won.

그러니까 이것보다는 무조건 넘어야 되는 거죠

So we definitely have to get over this.

이상이라고 한다면 10만 3천원 포함하니까 이건 이상이라는 표현보다는 초과라는 거죠

If we say " 이상" (exceeding), since it includes 103,000 won, this is more about being "exceeding" rather than "unusual."

초과라는 표현이 좋을 것 같은데

I think the expression "excess" would be good.

10만 3천원을 초과하는 금액으로 정해야 돼요

It should be set to an amount exceeding 103,000 won.

이상으로 한다면 10만 3천원을 포함한다는 얘기거든요

This means that it includes 103,000 won.

근데 10만 3천원이면 제로인데 내 이익이 그죠

But if it's 103,000 won, then it's zero, my profit, right?

그래서 하루에 스파게티 20인분을 판다면

So if you sell 20 servings of spaghetti a day,

전체 생산비용은 16만 원이고

The total production cost is 160,000 won and

1인분 생산비는 8천원이 되는 거예요

The production cost for one serving is 8,000 won.

자 다시 아까 스파게티 1인분 가격에 대한 얘기를 해 봅시다

Let's talk again about the price of one serving of spaghetti.

일단 스파게티 1인분을 생산할 때 들어가는 비용

The cost of producing one serving of spaghetti.

고정 비용에서 임차료와 임금

Fixed costs include rent and wages.

뭐 이런 거에서 10만 원이 들어가요

What's with this costing 100,000 won?

들어간다고 했어요

I said I would go in.

그 다음에 변동 비용으로서 재료비 여러 가지 등등의 것들이

Then, as variable costs, there are various materials costs, etc.

3천 원이 들어간다고 했어요

It said it would cost 3,000 won.

그러니까 10만 3천 원

So, it's 103,000 won.

그러니까 1인분 만드는데 10만 3천 원이 드는 것이죠

So it costs 103,000 won to make one serving.

근데 이게 원가인 거예요 원가

But this is the cost price, the cost price.

그래서 10만 3천 원 받고 팔면은 나는 얻는 게 없어요

So if I sell it for 103,000 won, I don't gain anything.

그냥 노동을 한 거죠 이익이 없이

I just worked without any profit.

때문에 여기다가 어떤 장사 사장님의 이익을 남겨야 되잖아요

So we need to leave some profit for the business owner here.

그럼 난 여기서 한 3만 원이 들어간다고 했어요

Then I said it would cost about 30,000 won here.

3천 원만 더 받을 거야

I will only receive 3,000 won more.

그래야지 1인분을 팔면 이 3천 원에 이익이 남으니까

That's right. If you sell one serving, you'll make a profit of 3,000 won.

결국 최종 스파게티 가격은 얼마로 책정해야 될 거 같아요

In the end, how much do you think we should set the final price for the spaghetti?

사장님이 이익을 3천 원 한다면 10만 6천 원으로 해야 되는 거예요

If the boss wants to make a profit of 3,000 won, it needs to be 106,000 won.

알겠죠 10만 6천 원으로 설정을 하면

Got it, if we set it to 106,000 won.

그럼 1인분 가격 하나 스파게티 팔면은 사장님이 3천 원이 남는 것이죠

So if you sell one serving of spaghetti, the owner makes a profit of 3,000 won.

근데 만약에 20인분을 판다면 전체 생산 비용은

But if we sell 20 servings, the total production cost is...

16만 원이래요 그런가 봅시다

They say it's 160,000 won. Let's see.

자 20인분일 경우에는 고정 비용은 변동이 있다 없다

For 20 servings, does the fixed cost vary or not?

변화가 없다 그래서 그대로 10만이다

Because there is no change, it remains at 100,000.

결국 건물 빌리는 비용과 알바비는 당연히 똑같이 나가니까요

In the end, the cost of renting the building and the wages for part-time workers go out the same way, of course.

10만 원 그대로 가져옵니다

I will bring 100,000 won as it is.

근데 변동되는 건 바로 이거죠

But this is exactly what changes.

1인분에 3천 원이었던 게 이제 여기서 20인분이 됐으니까

What used to be 3,000 won for one serving has now become 20 servings here.

20배 여기다가 곱하기 20을 해서 내려오면은 뭐가 됩니까

What do you get if you multiply 20 by 20 and then come down?

6만 원이 되는 거예요 그렇죠

It's going to be 60,000 won, right?

3천 원에 곱하기 20은 6만 원이잖아요

3,000 won multiplied by 20 is 60,000 won, right?

그러니까 16만 원이 되는 것이죠 이해합니까

So it becomes 160,000 won. Do you understand?

그래서 총 드는 비용이 16만 원이 되는 거예요

So the total cost comes to 160,000 won.

그럼 얘를 갖다가 나누기 20 해 보자고요

Then let's try dividing this by 20.

한 사람에게 드는 가격 그럼 얼마가 나와요

How much would it cost for one person then?

8천 원이 나와요 사람당 한 사람당 그래서 이 얘기가 나오는 겁니다

It comes out to 8,000 won per person, which is why this topic is being discussed.

1인분 생산비는 8천 원 알겠죠

The production cost for one serving is 8,000 won, understood?

그래서 스파게티 하나를

So, one spaghetti.

딱 하나만 팔 때는 결국 그 가격을 오롯이 다 한 사람이 다 부담해야 되기 때문에

When you sell just one item, ultimately that price has to be fully borne by the one person.

10만 3천 원이라는 가격보다 더 넘는 금액을 지불해야 되지만

You have to pay an amount that exceeds 103,000 won, but...

만약에 20명이 들어와서 스파게티 한 그릇씩 먹어준다면 판다면

If 20 people come in and eat a bowl of spaghetti each, then...

그러면 생산비용은 총 16만 원이 들어가고

Then the total production cost is 160,000 won.

16만 원에서 각각 한 명씩 한 명씩 좀 더 이제 사장님이 이득을 챙긴다면

If the boss takes a little more profit from 160,000 won, one person at a time.

결국 1인분 생산비는 8천 원에서 조금만 더 늘게 되는 거예요

In the end, the production cost for one serving will increase a little more than 8,000 won.

그래서 만약에 사장님이 그래 난 한 그릇 딱 2천 원만 더 이득을 볼 거야 라고 한다면

So if the boss says, "Yeah, I'll just make an extra 2,000 won per bowl," then...

스파게티 1인분 가격을 8천 원에서 2천 원을 추가한 만 원 가격으로 정할 수가 있다는 것이죠

This means that the price for one serving of spaghetti can be set at ten thousand won by adding two thousand won to the original eight thousand won.

자 1인분 생산비의 비용에 있어서의 어떤 차이가 나죠

So, what differences are there in the cost of producing one serving?

그러니까 1인분 생산비가 하루에 한 그릇만 팔 때는 10만 3천 원이 들지만

So, if you sell only one bowl a day, the cost of production for one serving is 103,000 won, but...

만약에 20인분을 만든다면 16만 원이 된다는 얘기죠

If you make 20 servings, it means it will cost 160,000 won.

이게 1인분 생산비 결국엔 그 생산비가 낮아지죠

This is the production cost for one serving, and eventually, that production cost will decrease.

그러니까 낮아지면 낮아질수록 사장님은 가격을 더 낮춰서 가격 경쟁력이 있어야 되잖아요

So the lower the price goes, the more the boss has to lower the price to remain competitive.

가격 경쟁력을 확보해야 되기 때문에

Because we need to secure price competitiveness.

그 재화의 개당 가격을 낮춰서

Lowering the price per item of that goods.

조금 더 많은 사람들이 쉽게 접근해서 스파게티를 사 먹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는 얘기죠

It means that we can make it easier for more people to access and buy spaghetti.

많이 팔린다면

If it sells a lot

마지막 단락 이와 같이 라는 말이 등장한 걸로 봐서는 정리하는 거겠죠

Since the phrase "as mentioned in the last paragraph" has appeared, it seems to be summarizing.

대량 생산 어떻게 해준다

How do you do mass production?

재화의 가격을 낮추게 해주고 많은 소비자들이 그 재화를 소비할 수 있게 해준다

It lowers the price of goods and allows many consumers to consume those goods.

대량생산의 영향 대량생산의 이점 여러가지 이렇게 접근할 수 있겠죠 1번 2번

The impact of mass production. The advantages of mass production can be approached in various ways. First, second.

자 그리고 규모의 경제현상은 현실경제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요 일반적으로 대기업이 중소기업보다 경쟁에서 유리한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And the phenomenon of economies of scale has important significance in the real economy, and a typical example is that large companies are generally at an advantage ove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competition.

예를 들고 있죠 또 예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동일한 생산기술을 보유하고 있다면 똑같은 출발선상이 있다면 그렇다면 생산량이 누가 더 많냐

For example, if a large corporation and a small business have the same production technology and are starting from the same starting line, then who has a higher production volume?

당연히 대기업이 더 많죠 때문에 중소기업에 비해서 더 저렴하게 제품을 생산할 수 밖에 없겠죠

Of course, there are more large corporations, so they inevitably can produce products at a lower cost compared to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자 그러니까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있다면 기술적 측면에서 만약에 똑같아 하지만 생산량 측면에서 대기업이 훨씬 훨씬 유리해

So, if there are large and small companies, and if they are the same in terms of technology, the large company is much more advantageous in terms of production volume.

그렇다면 누가 더 저렴하겠냐

Then who would be cheaper?

저렴한 쪽은 이쪽이 이기겠죠 이쪽은 지고요 이쪽은 한 막 천만개를 생산하는데 중소기업은 한 천개 생산한다 쳐봐요

The cheaper side will win, and this side will lose. Let's say this side produces about ten million units, while small businesses produce around a thousand units.

그러면 개당 재화를 생산할 수 있는 생산비가 이쪽이 훨씬 더 작으니까 더 많이 이득을 보겠죠

In that case, since the production cost for producing goods per unit is much smaller on this side, we will gain a lot more.

한 가지만 더 추가로 이 부분에 대해서 부가 설명을 드리자면 스파게티 예로 스파게티를 대량 생산하게 되면 앞서 봤듯이 재화의 가격을 낮출 수 있는 요건이 마련이 됩니다

One more thing to add as an additional explanation regarding this part is that, for example, if spaghetti is mass-produced, it creates the conditions to lower the price of goods, as we have seen earlier.

그래서 이 부분에 대해서 부가 설명을 드리자면 스파게티 예로 스파게티를 대량 생산하게 되면 앞서 봤듯이 재화의 가격을 낮출 수 있는 요건이 마련이 됩니다

So, to provide additional explanation on this part, if spaghetti is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as we have seen earlier, the conditions are created to lower the price of the goods.

그죠? 한 개당 개당 생산비가 줄어들기 때문에 그 개당 재화의 가격을 낮출 수 있게 해주고 결국 그것을 인해서 어? 스파게티 한 개 값이 싼데? 라고 하면서 많은 소비자들이 접근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게 바로 이 대량 생산의 이점이라는 얘기죠

Isn't that right? Because the production cost per item decreases, it allows us to lower the price of each good, and ultimately, because of that, many consumers can say, "Oh? The price of a spaghetti is cheap?" This is the advantage of mass production.

알겠죠? 자 그러면 핵심 정리하고 마무리 짓도록 하겠습니다

Got it? Alright, then let me summarize the key points and wrap things up.

네 요정도로 정리되어 있는데요

Yes, it's organized to this extent.

갈래는 설명문입니다

The genre is descriptive text.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for the purpose of conveying information

설명문이라는 거

What is called a description?

주제 규모의 경제는 재화의 가격 형성에 영향을 준다

The topic of economies of scale affects the price formation of goods.

특징 일상생활에서 겪을 수 있는 상황을 예를 들어서 독자의 흥미를 유발했습니다

It sparked the reader's interest by providing examples of situations that can be experienced in everyday life.

예를 들었죠

For example.

스파게틱 식당의 사례를 제시하여 독자의 이해를 더 두었습니다

I provided an example of a spaghettic restaurant to enhance the reader's understanding.

그러니까 이게 같은 얘기인 것 같은데요

So, it seems like this is the same thing.

네 결국

Yes, in the end.

그래서 실생활의 예를 들었기 때문에 좀 더 와닿게 이해할 수 있게끔 도와준 것 같아요

I think it helped me understand better because it provided real-life examples.

됐죠? 네

Is that okay? Yes.

그러면 수업 여기까지 하도록 하고요

Then let's conclude the class here.

구독과 좋아요는 사랑입니다

Subscriptions and likes are love.

네 지금까지 나는말쌤이었습니다

Yes, I have been a speaking teacher until now.

감사합니다

Thank you.

Continue listening and achieve fluency faster with podcasts and the latest language learning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