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 75 [대안적 소득보장제도] 기본소득과 안심소득은 미래의 대안이 될 수 있을까?

저탄고지

[저탄고지] 낮춰요 탄식, 높여요 지식!

ep. 75 [대안적 소득보장제도] 기본소득과 안심소득은 미래의 대안이 될 수 있을까?

[저탄고지] 낮춰요 탄식, 높여요 지식!

들으면 들을수록 튼튼해지는 팟캐스트

The more you listen, the stronger the podcast becomes.

낮춰요 단식 높여요 채식

Lowering fasting, raising vegetarianism.

저탄고지 지금 시작합니다

I am starting a low-carb, high-fat diet now.

네 여러분 오랜만에 뵙네요

Yes, everyone, it's been a while since I last saw you.

날씨가 또 날씨지만

The weather is, well, just the weather again.

날씨가 꽤 기세가 안 보이더라고요

The weather seems to be quite unremarkable.

입추가 지났는데도

Even though the autumn equinox has passed,

그러니까요

That's right.

근데 저희가 지금 녹음하는 기점 으로

But as of now, the point where we are recording...

어제가 처서였는데

Yesterday was the season of Cheos.

저는 아침에 오늘 녹음하려고

I'm trying to record today in the morning.

7시에 나왔거든요

I left at 7 o'clock.

Yes

좀 시원한 거예요

It's a bit cool.

아 진짜요

Oh really?

Yes.

전에 비해서는 그렇죠

That's right compared to before.

비교적

relatively

Yes

그 시간에 돌아다닌 적이 없다 보니까

I haven't wandered around at that time.

그래서 저는 사실 아침에 좀 희망을 봤어요

So I actually saw a bit of hope in the morning.

아 이제 좀 그래도 날씨가

Ah, the weather is a bit better now.

서서히 좀 시원해지겠구나 하는데

It's slowly starting to cool down.

많이 지치시겠지만

You must be very疲惫.

조금 더 힘을 내서 오늘 에피소드 한번 들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Let’s gather a little more strength and dive into today’s episode.

네 좋습니다

Yes, that's good.

Yes

그래서 오늘 주제는 리담 님이 준비를 해 주셨죠

So today's topic is prepared by Mr. Ridam.

어떤 걸 준비해 주셨나요

What did you prepare?

네 오늘 제가 준비한 주제는

Yes, the topic I have prepared for today is

단어가 좀 거창하긴 하지만

The word is a bit grand, but...

대한적 소득 보장 제도입니다

It is a national income guarantee system.

준비한 계기는 혹시 전 국민 25만 원 지원법이라고 들어보셨나요

Have you heard of the law that provides 250,000 won support to all citizens?

저는 처음 들어보는데

This is the first time I'm hearing about it.

진짜 전체 국민들한테 다 주는 건가요

Are you really giving it to the entire nation?

아 네 맞아요

Ah yes, that's right.

전체 국민들한테 다 주는 거를 생각을 해서

Considering giving it to all the citizens.

이 법이 제안이 됐었는데

This law was proposed.

이 법의 정식 명칭은

The official name of this law is

2024년 민생회복지원금지급을 위한 특별조치법인데

It is a special measure law for the payment of livelihood recovery support funds in 2024.

최근 고물가 등으로 민생경제가 어려워져

Due to the recent high prices, the livelihood economy has become difficult.

이에 가계소득을 증가시켜 소비를 활성화하고

This will increase household income and stimulate consumption.

소상공인의 매출을 재고해서

Re-evaluating the sales of small businesses.

내수와 경기를 회복시키기 위해

To recover domestic demand and the economy.

법은 대한민국 국민에게 각 25만 원씩

The law states that each citizen of the Republic of Korea will receive 250,000 won.

지역화폐를 지급합니다.

We will provide local currency.

이 법은 올해 8월 6일에 국회 본회의까지를 통과를 했는데요

This law passed through the National Assembly plenary session on August 6th of this year.

지금 8월 13일 대통령은 법안에 대해 법률안 거부권을 행사한 상태입니다

As of now, August 13, the president has exercised veto power over the bill.

법안에 대해서는 찬반이 참 많은데

There are a lot of pros and cons regarding the bill.

원래는 이렇게 현금을 주는 제도라고 하면

Originally, if it were a system that gives cash like this,

다들 아시겠지만 소득이나 재산 심사를 거쳐서

As everyone knows, after going through income or asset assessment.

일정 기준 이하의 사람들에게만 보충적으로 지원을 해왔잖아요

We've only been providing supplementary support to people below a certain threshold.

근데 그거랑은 다르게

But that's different from that.

대한민국 국민이 소득을 지원하는 방안을

Ways to support the income of South Korean citizens.

좀 까다롭게 두지 않고

Without being too picky.

보다 보편적으로 소득을 지원하는 거를

To provide income support more universally.

이른바 대안적 소득 보장 제도를 하고

Implementing what is known as an alternative income guarantee system.

이게 떠오르고 있는 추세에요

This is a rising trend.

예를 들어보자면 전국적으로 했던 건

For example, what was done nationwide was

대표적으로 재난지원금이 있었어요

For example, there were disaster relief funds.

그리고 만 7세 이하 아동이면

And if the child is under 7 years old.

다 받을 수 있는 아동수당이 있었고

There was a child allowance that everyone could receive.

지금도 있죠 사실

It's still there, actually.

그리고 최근에는 지자체의 사업 중에서는

And recently, among the projects of local governments,

대표적으로 서울시의 안심소득

A representative example is Seoul's guaranteed income.

이건 투톤님이 에피소드로도 다뤄주신 적이 있어요

This has also been covered by Two Tone in an episode.

그리고 최근에는 지자체의 사업 중에서는 대표적으로 서울시의 안심소득 이건 투톤님이 에피소드로도 다뤄주신 적이 있어요

Recently, among the local government projects, a notable example is Seoul's "Guaranteed Income," which you, Mr. Tuton, have covered in an episode.

그리고 경기도 청년 기본소득이 있습니다

And there is the Gyeonggi Province Youth Basic Income.

어떻게 보면 파격적이라고 할 수 있죠

In a way, it can be said to be groundbreaking.

돈 받는 사람이 뭐 어떤 사람인지

What kind of person is the one receiving money?

이 사람이 돈이 많든 적든 별로 따지지도 않고

This person doesn't really care whether they have a lot of money or not.

돈을 그냥 제도라는 게

The idea of just money is制度.

그래서 이런 대안적 소득 보장 제도는 갑자기 제가

So this alternative income guarantee system suddenly makes me...

왜 등장했지?

Why did you appear?

그리고 뭐 이거 어떤 식으로 돈 주는 건지

And how is the payment going to work for this?

그 원리나 현황이 좀 궁금했고

I was curious about the principle or current situation.

그리고 이를 둘러싸서

And surrounding this

어떤 쟁점이 있는지 궁금했어서

I was curious about what issues there are.

이번 에피소드에서 좀 알아보려고 합니다

I will try to find out a bit in this episode.

소득 보장 제도를 논의하기 전에

Before discussing the income guarantee system

먼저 작동하고 있던 전통적인 소득 보장 제도는 어떤 건지

What is the traditional income guarantee system that was operating first?

얘기를 해보려고 하는데요

I would like to talk about something.

경도 님은 혹시

Is Gyeongdo here by any chance?

나라로부터 돈을 받는 사람들이라고 하면 어떤 사람들이 떠오르세요?

Who comes to mind when you think of people who receive money from the government?

아무래도 소득이 없거나

There seems to be no income, or...

낮은 사람들이거나

Or they are short people.

사회적으로 봤을 때

From a social perspective.

약자라고 보이는 사람들한테

To those who appear to be弱者.

지원을 해주고 있지 않나요?

Aren't you providing support?

네 맞아요

Yes, that's right.

그렇게 말씀해주신 것처럼

As you mentioned.

원래 소득 보장 제도는

The original income guarantee system is

노령이나 장애 등으로 인구학적으로 좀 취약한 집단에게 일정한 금액을 현금으로 지급을 해서 기본적인 생계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도라고 말을 할 수가 있어요.

It can be said that it is a system that provides a certain amount of cash to demographic groups that are somewhat vulnerable due to factors such as aging or disability, in order to maintain their basic livelihoods.

대부분은 스스로 자유시장에서 생계유지에 필요한 만큼 돈을 벌기 어려운 사람들을 이때까지 대상으로 해왔습니다.

Most have targeted those who have had difficulty earning enough money to sustain their livelihoods in the free market until now.

잠깐 예를 좀 들어볼게요. 다들 아시는 국민연금이나 기초연금은 누구에게 주나요?

Let me give you an example for a moment. Who receives the national pension or basic pension that everyone knows about?

음 둘 다 어떻게 보면 은퇴 시점인 지금이랑 좀 다를 수 있겠지만 일단 대부분의 은퇴 시점인 60대부터 나오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Well, it may be somewhat different from the current retirement point, but I understand that it typically starts to appear in the 60s, which is generally considered the retirement age.

네 맞아요. 기본적으로 말씀해주신 것처럼 은퇴해서 시장소득이 줄어드는 노인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요.

Yes, that's right. Basically, as you mentioned, it targets elderly people who have retired and are experiencing a decrease in market income.

그리고 고용보험의 실업급여는 잠깐 근로능력을 상실한 실직자에게 소득을 지원을 합니다.

And unemployment benefits from employment insurance provide income support to job seekers who have temporarily lost their ability to work.

그리고 소득과 재산조사를 거쳐서 기주선 이하의 소득이나 재산을 가진 사람들한테 지원하는

And it supports those individuals with income or assets below a certain threshold after conducting income and asset investigations.

고용보험은 지금의 시장소득이 줄어드는 노인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요.

Employment insurance is targeting the elderly whose current market income is declining.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가 있는데요. 사실 국기초의 수급자 대부분도 고령층이거나 유장애인이거든요.

There is a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In fact, most of the recipients of this system are elderly or people with disabilities.

이거를 감안을 해본다면 전통적으로 원래 소득보장제도는 주로 근로능력이 없는 사람들을 보호하는 데 초점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If we take this into consideration, it can be said that traditionally, income protection systems primarily focus on protecting those who are unable to work.

가난하고 일하기 어려운 사람들에게만 사실 돈을 줬던 이유는 뭘까요?

What could be the reason for only giving money to the poor and those who find it difficult to work?

바로 양극화 즉 소득불평등의 완화를 궁극적인 목표로 해왔기 때문입니다.

This is because the ultimate goal has been to alleviate polarization, specifically income inequality.

그런데 그러던 중에 일을 하는데도 생계유지가...

However, in the midst of that, even while working, making a living...

어려운 근로 빈곤층이 등장을 하게 됩니다.

A difficult working poor class will emerge.

다들 잘 아시겠지만 1997년 저희가 IMF 경제위기를 기점으로 한국 노동시장에는 임시직과 일용직 노동자, 파견 노동자, 특수고용 노동자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불안정 노동자가 등장을 해요.

As everyone knows, starting from the IMF economic crisis in 1997, various forms of precarious workers such as temporary workers, daily wage workers, dispatched workers, and special employment workers have emerged in the Korean labor market.

이러한 불안정 고용의 확산은 임금소득의 전반적인 하락을 불러옵니다. 정규적으로 일할 수 없는 것도 임금소득 하락의 원인이 되지만 실제로 저숙년의 일자리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The spread of such unstable employment is causing an overall decline in wage income. The inability to work regularly is a cause of the decrease in wage income, but in reality, low-skilled jobs are increasing.

그래서 일을 하는 것에 대한 불안정 고용의 확산은 임금소득의 전반적인 하락을 불러옵니다. 정규적으로 일할 수 없는 것도 임금소득 하락의 원인이 되지만 실제로 저숙년의 일자리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Therefore, the spread of unstable employment in relation to work leads to an overall decline in wage income. The inability to work regularly is also a cause of wage income decline, but in reality, the number of low-skilled jobs is increasing.

그래서 일을 하는 것에 대한 불안정 고용의 확산은 임금소득의 전반적인 하락을 불러옵니다. 정규적으로 일할 수 없는 것도 임금소득의 전반적인 하락을 불러옵니다.

Therefore, the spread of precarious employment regarding working causes an overall decline in wage income. Being unable to work regularly also leads to an overall decline in wage income.

실제로 2020년 기준 비정규직 전체 임금은 정규직 전체 임금의 48%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In fact, as of 2020, the total wage of non-regular workers is reported to be only 48% of the total wage of regular workers.

또한 정규직일 때 안정적으로 가입할 수 있는 사대보험에서의 대거 이탈이 발생하는데요.

Additionally, there is a significant exit from the four major insurance programs that can be securely enrolled in when one has a regular job.

원래는 노동자들이 사대보험을 가입을 해서 본인의 소득을 토대로 일정 금액의 보험료를 정해진 기간 동안 기여를 함으로써 노령이나 질병, 실업 등의 사회적 위험으로 인한 소득 손실을 보전하는 게 맞는데

Originally, workers should join the four major social insurance programs and, based on their income, contribute a certain amount of insurance premiums for a defined period in order to compensate for income loss due to social risks such as old age, illness, or unemployment.

사실 불안정 노동자는 계약에 따라 근로기간이 일정하지 않으니까 계속해서 보험료를 내고 가입하기가 어려워지는 거죠.

In fact, precarious workers have irregular employment periods due to their contracts, making it difficult for them to continually pay and enroll in insurance.

이러한 불안정 노동자들의 근로소득 감소와 사대보험에서의 사각지대 발생에 따라서 기존 소득 보험료를

Due to the decrease in work income of these unstable workers and the emergence of blind spots in social insurance, the existing income insurance premiums...

보장제도의 대안이 필요해지게 됩니다.

An alternative to the guarantee system becomes necessary.

또 노동시장에 있는 일자리를 더 불안하게 만든 산업구조 변화가 있는데요.

There are also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that have made jobs in the labor market more unstable.

이건 왠지 투토씨가 잘 알 것 같아요. 어떤 게 생각나세요?

I have a feeling that Tuto knows this well. What comes to your mind?

아무래도 저희 지난 에피소드 때 얘기했던 채찍피티 편에서도 얘기를 나왔던 AI의 등장이 앞으로의 대부분의 일자리를 대체할 거라는 얘기를 나눴었었죠.

It seems that we talked about the emergence of AI in our last episode, mentioning that it would likely replace most jobs in the future.

맞아요. 맞아요. 저희가 그때도 되게 흥미롭게 얘기를 나눴었는데

That's right. That's right. We had a really interesting conversation back then too.

바로 AI의 등장이 이 노동시장을 더 불안하게 만듭니다.

The emergence of AI makes this labor market even more unstable.

2016년 3월에 다들 기억하실 거예요. 구글의 인공지능 알파고와 바둑기사 이세돌의 대결에서 우리는 AI나 로봇 같은 첨단 기술이 사람들을 대신하는

You all remember March 2016. In the match between Google's artificial intelligence AlphaGo and Go player Lee Sedol, we witnessed cutting-edge technologies like AI and robots replacing humans.

즉, 사람들의 일자리를 뺏을 수 있을 거다라는 걸 다 같이 확인을 했어요.

In other words, we all confirmed that it could take away people's jobs.

이렇게 되면 구글과 같은 거대 IT 기업과 같이 AI 기술을 소유한 극소수만이 불을 쌓고 사회 양극화는 더 크게 달할 것이다 라는 전망이 그때 나왔어요.

If this happens, it is predicted that only a few entities, like large IT companies such as Google that own AI technology, will accumulate wealth, leading to greater social polarization.

그러면서 본격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I believe that it will become a technology that can be seriously substituted.

그래서 그것도 대환적 소득 보장 제도라 할 수 있는 기본 소득이 떠오르기 시작했습니다.

So, basic income, which can also be called a transformative income guarantee system, has started to come to the forefront.

기본 소득을 이제는 다들 아시겠지만 짧게 정리를 해보자면 돈을 받는 사람의 조건이나 이 사람이 사전에 어떤 기여를 했는가 안 했는가와 상관없이

Basic income is something that everyone knows about now, but to summarize it briefly, it doesn't depend on the conditions of the person receiving the money or whether they have made any contributions beforehand.

국가에서 최소 생활비를 지급하는 제도를 기본 소득 제도라고 합니다.

The system in which the government provides a minimum living allowance is called the basic income system.

이때 재산이나 소득 정도 노동 여부 노동 의사 등과 관계없이 사회 구성원 모두가 기본 소득의 대상이 됩니다.

At this time, all members of society become eligible for basic income, regardless of their property or income level, employment status, or willingness to work.

사실 이전에 1988년부터 기업이 기본 소득을 사업에 해석한 것은 우리나라에서 구글을 받는 전망입니다.

In fact, interpreting basic income as a business has been a perspective in our country since 1988.

1988년부터 앙드레고르를 비롯한 프랑스의 경제학자들은 경제이성 비판이란 책에서 기본소득을 제안했었는데요.

Since 1988, French economists, including André Gorz, proposed the concept of a basic income in the book "Critique of Economic Reason."

한 사회의 생산력은 더디게 발전하고 더 적은 노동으로도 같은 양의 상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되면서

The productive forces of a society develop slowly and can produce the same amount of goods with less labor.

노동 임금이 적어져 사회 구성원들의 삶을 지탱할 수 없을 것이라고 그때는 예측을 했고

It was predicted at that time that the wages would decrease, making it impossible to sustain the lives of the members of society.

이에 대한으로 사회의 모든 개인에게 조건 없이 지급하는 기본소득을 주장한 것이 본격적인 시초입니다.

This is the starting point for advocating a basic income that is provided unconditionally to every individual in society.

이렇게 정부가 기본소득을 줘서 최소한의 인간적 생활을 보장해야 한다는 논의는

The discussion that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a basic income to ensure a minimum standard of humane living is

AI의 등장과 함께 다시금 대안적 소득 보장 제도로 주목을 받게 됩니다.

With the emergence of AI, alternative income assurance systems are once again garnering attention.

또 다른 대안적 소득 보장 제도로는 부외소득세, 역소득세라는 것이 있습니다.

Another alternative income guarantee system is the off-balance income tax, also known as the reverse income tax.

미국의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닐튼 프리드먼이 1962년에

Nobel Prize-winning economist Milton Friedman from the United States in 1962

자본주의와 자유라는 저서에서 처음 이걸 주장을 했는데

This argument was first made in the book "Capitalism and Freedom."

원래 소득세라고 하면 정부가 개인이나 본인의 소득을 주장하는 것입니다.

Originally, when we talk about income tax, it refers to the government claiming the income of individuals or entities.

법인에게 소득의 양에 따라 세금의 비율을 다르게 걷잖아요.

Corporations have different tax rates based on the amount of income.

보통은 소득이 높아질수록 더 많은 세율을 적용을 하는데

Usually, the higher the income, the more tax rate is applied.

소득이 있는 사람들 모두에게 세금을 걷는 소득세랑 다르게

Unlike income tax, which collects taxes from all people with income.

역소득세는 소득의 일정한 수준을 정해놓고

The reverse income tax sets a certain level of income.

이 이하인 사람들에게는 오히려 정부가 세금을 면제해주거나

For those below this level, the government may rather exempt them from taxes or

일정한 비율로 생활비를 지급을 합니다.

Living expenses are provided at a fixed rate.

정확히는 소득이 기준 이하인 가구에는

Specifically, households with income below the threshold...

본인의 소득과 이 면세점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The difference that arises from one's income and this duty-free shop.

일정 비율의 보조금을 지급을 하고

Pay a subsidy of a certain percentage.

소득이 면세점 이상인 가구는 소득과 면세점과의 차익 중 일정 비율을

Households with income exceeding the exemption threshold will owe a certain percentag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income and the exemption threshold.

소득세로 내게 되는 걸 의미합니다.

It means that it will be deducted as income tax.

왠지 유럽 국가 쪽에서는 이런 소득 보장 제도에 대한 시도가 좀 많았을 것 같은데

For some reason, it seems like there have been quite a few attempts at such income guarantee systems in European countries.

대표적인 사례가 좀 있을까요?

Are there any representative examples?

네, 2021년 기준 스탠퍼드 대학교의 기본소득 연구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Yes, according to the data published by the Basic Income Lab at Stanford University in 2021,

핀란드 등 전 세계 39곳에서 기본소득 연구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According to data published by basic income research institutes in 39 places around the world, including Finland,

기본소득제 관련 실험을 완료했고 독일, 스페인, 이란 등 17곳에서는 진행 중인 것으로 밝혔습니다.

It has been revealed that experiments related to basic income have been completed, and that ongoing projects are taking place in 17 locations including Germany, Spain, and Iran.

또한 영국, 스포트랜드, 미국 등 8곳에서는 기본소득과 관련한 실험이 진행 예정인 것으로 파악이 되었는데요.

It has been identified that experiments related to basic income are scheduled to be conducted in eight places, including the UK, Scotland, and the United States.

몇 가지 사례를 좀 소개 드리려고 해요.

I would like to introduce a few examples.

아마 들어보신 분들이 있을 수도 있는데

You might have heard of it before.

기본소득을 시행을 완료했거나 계속해서 시행하고 있는 나라들 중에 먼저 핀란드는

Among the countries that have completed or are continuing to implement basic income, Finland is the first.

기본소득을 시행하고 있는 나라들 중에 먼저 핀란드는

Among the countries that have implemented basic income, Finland is the first.

기본소득을 시행하고 있는 나라들 중에 먼저 핀란드는 2017년 1월부터

Among the countries that have implemented basic income, Finland was the first to do so starting in January 2017.

25세에서 58세 사이에 실업자 2,000명을 임의로 선정을 해서

A random selection of 2,000 unemployed individuals aged between 25 and 58.

선정된 모두에게 어떤 조건 없이 기존의 실업수당 대신에 2년간 매월 560료로

To everyone selected, without any conditions, instead of the existing unemployment benefits, a monthly payment of 560 for 2 years.

원화로 따지면 약 70만 원 정도에 되는 수당을 지급을 했다고 합니다.

It is reported that a payment equivalent to about 700,000 won was made.

원래 실업수당과 비슷하게 지급을 했는데

It was originally paid similarly to unemployment benefits.

원래 실업수당이라 하면 이 사람의 근로에 대한 의지나

Originally, unemployment benefits are about this person's willingness to work or

원래 실업수당이라 하면 이 사람의 근로에 대한 의지나 근로 활용,

Originally, unemployment benefits refer to this person's willingness to work or their utilization of labor.

근로활동에 대한 구직활동을 요청을 하는데 그런 거 없이 좁은 사례예요, 이게.

It's a narrow case where you ask for job-seeking activities without any work activities.

그런데 이거는 2018년 4월 정부가 예산 증액을 거부를 하면서 중단이 됐었는데요.

However, this was halted in April 2018 when the government refused to increase the budget.

기본소득이 진행되고 있던 2017년 12월에는 핀란드 의회가

In December 2017, when the basic income experiment was underway, the Finnish parliament...

실업자의 취업 의혹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법안을 통과시키기까지 했어요.

They even passed a new bill to raise suspicions about the employment of the unemployed.

즉, 무조건으로 지급을 하던 수당을 조건부 수당으로 전환을,

In other words, converting the allowance that was unconditionally paid into a conditional allowance.

했음을 의미를 합니다.

It means that it has been done.

2019년 2월 핀란드 정부는 기본소득 실험이 대상자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는 성공을 했다고 발표를 했지만,

In February 2019, the Finnish government announced that the basic income experiment was successful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the participants, but

고용률을 높이는 데에는 실패했다는 최종적인 발표를 했는데요.

A final announcement was made that they have failed to increase the employment rate.

이거는 좀 이따 살펴볼 대안적 소득 보장 제도의 쟁점에서 좀 더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I will discuss this further in relation to the issues of the alternative income guarantee system that we will look into shortly.

반면 지금까지 기본소득제가 실시되고 있는 곳이 있는데요.

On the other hand, there are places where a basic income system has been implemented so far.

바로 미국의 알래스카주입니다.

It's Alaska, USA.

정확한 이름은 알래스카주입니다.

The correct name is the state of Alaska.

알래스카 영구 기금 배당인데요.

It's the Alaska Permanent Fund dividend.

1970년대 중반 주지사 제이 하몬드가 알래스카주에 있는 푸르도만의 석유 채굴로 얻은 막대한 돈을 주민에게 나눠주고자 이를 제안을 했어요.

In the mid-1970s, Governor Jay Hammond proposed to share the substantial funds obtained from oil drilling in Prudhoe Bay, Alaska, with the residents.

석유에서 얻은 수입의 일부를 기금으로 조성할 것을 제안을 했고,

It was proposed to earmark a portion of the revenue obtained from oil for a fund.

그러게 1976년 알래스카 영구 기금이 설치가 되었습니다.

That's right, the Alaska Permanent Fund was established in 1976.

이 기금을 운영해서 발생시킨 수익금을 주민들에게 다 동등한 금액으로,

The profits generated from operating this fund will be distributed equally among the residents.

지금 배당을 하고 있어요.

I am currently distributing dividends.

이 배당은 초기에는 매년 1인당 300달러, 당시 환율 기준 17만 원 수준으로 시작을 했는데요.

This dividend started at $300 per person annually, which amounted to 170,000 won based on the exchange rate at the time.

2006년에는 1인당 연 총액 3,269달러, 당시 환율 기준 310만 원 정도로 배당이 시작된 이래로 최대 금액이 지급이 되었고,

In 2006, the maximum amount was paid since dividends began, with an annual total of $3,269 per person, which was about 3.1 million won at the time's exchange rate.

2020년을 기준으로는 인당 약 992달러, 당시 환율로 119만 원이 지급이 되었습니다.

As of 2020, approximately $992 per person was paid, which amounted to 1.19 million won at that time's exchange rate.

현재로서는 누구에게나 좋고,

For now, it's good for everyone.

조건 없이 정기적으로 개인에게 현금을 지급하는 초기에 생각했던 기본소득과 거의 일치하는 기본소득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It can be said that it is a basic income scheme that closely aligns with the initially conceived basic income of providing cash to individuals regularly and unconditionally.

알래스카의 사례를 들어보니까,

Since you mentioned the case of Alaska,

국가 차원의 자원소득, 석유로 수익을 많이 얻는 국가들 있잖아요.

There are countries that earn a lot of revenue from natural resource income, especially from oil, at the national level.

중동 국가나 이런 데서.

In Middle Eastern countries or places like that.

그런 것들을 나눠주는 것만 봤어도,

Just seeing you share those things,

이렇게 기금으로 운영하고 투자해서 배당 형식으로 지급한다는 부분에서 되게 인상적인 것 같아요.

I think it is really impressive that it operates and invests with funds and pays out in the form of dividends.

그러면 기본소득 말고 또 다른 대안적인 제도들도 있을까요?

So, are there other alternative systems besides basic income?

앞서서 설명드렸던 두 번째 사례죠.

It's the second case I mentioned earlier.

부외소득세, NIT의 대표적인 사례로는 미국의 EITC가 있습니다.

A typical example of non-traditional income tax, NIT, is the EITC in the United States.

1975년부터 시행된 이 제도는 연간 소득이 일정 수준 이하인 근로가구에게 그 가구 형태가 어떻게 되는지 혹은 잔여수가 어떻게 되는지에 따라서

This system, which has been in effect since 1975, provides assistance to working households with annual incomes below a certain level, depending on the household structure or the remaining number of members.

일정 비율의 세금 환급을 제공을 합니다.

A tax refund of a certain percentage is provided.

2022년 세 자녀가 있는 부부가구를 기준으로 미국의 EITC는 근로소득이 6만 3천 달러, 당시 환율로 8천만 원이고 투자소득이 1만 1천 달러 이하,

In 2022, for a household with three children, the EITC in the U.S. applies to earned income of $63,000, which was 80 million won at the time's exchange rate, and investment income of $11,000 or less.

그 당시 환율로 1,400만 원 이하인 가구에 대해서는 최대 6,935달러, 당시 환율로 886만 원의 환급을 제공한 바가 있습니다.

At that time, for households with less than 14 million won at the exchange rate, a maximum of 6,935 dollars and a refund of 8.86 million won at that exchange rate were provided.

사실 한국도 2008년부터 거의 같은 원리였는데,

In fact, Korea has been operating on almost the same principle since 2008.

근로장려 세제를 운영하고 있는데요.

We are operating a system for earned income tax credits.

아마 몇몇 분들은 근로장려금이라는 이름으로 신청해서 이걸 받아보셨을 건데,

Some of you may have applied for and received this under the name of the Earned Income Tax Credit.

한국의 경우 1인 가구, 호떠리 가구, 맞벌이 가구를 나눠서 맞벌이 가구를 기준으로 연 소득이 3,800만 원 미만인 가구들에 대해 최대 330만 원을 최근까지 지급했습니다.

In the case of Korea, households are categorized into one-person households, couple households, and dual-income households, and based on dual-income households, those with an annual income of less than 38 million won have been provided with a maximum of 3.3 million won until recently.

혹시 이거 받아 보신 분 계시나요?

Has anyone received this?

이게 좀 도입됐을 때,

When this was introduced,

끝에쯤에 좀 받아본 것 같아요.

I think I received it towards the end.

대학교 때 알바를 하고 있었는데,

I was working part-time during university.

갑자기 이런 걸 지원을 하면 준다고 해서 지원했는데,

I suddenly applied because they said they would give it if I applied, but...

생각보다 그 당시에 적지 않은 돈이 들어와서,

More money came in at that time than I expected,

어? 개이득 이러면서 좋아했던 기억이 아이도 나는데,

Oh? I have memories of being happy saying "What a great deal!"

아직까지도 잘 유지가 되고 있는 것 같더라고요.

It seems like it is still being well maintained.

제 여동생이 9살 차이라서 지금 대학생인데,

My younger sister is 9 years younger, so she is now a college student.

여전히 그게 더 받고 있어가지고,

I'm still receiving more of that.

그걸로 좀 뭐라고 해야 될까,

What should I say about that?

학업하거나 필요한 데 듣는 교육비나 이런 걸로 또 쓰는 걸 보니까,

Seeing that it is used for tuition fees or other necessary expenses while studying,

별도의 용돈이랑 별개로,

Apart from the separate allowance,

도움이 되고 있구나, 아직도 그런 생각이 들었던 것 같습니다.

It's helpful, and I think I'm still feeling that way.

생각보다 받은 경험이 많은 것 같아요.

I think I've received more experiences than I expected.

저도 사실 대학교 때 아르바이트 하면서 그때 처음 받았던 기억이 있었는데,

To be honest, I also remember that I first received it while working part-time during university.

그래서 이거 이외에도 보다 자세하게 좀 한국에서 시행한 게 있다면,

So if there is something more detailed that has been implemented in Korea besides this,

한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대안적 소득 보장 제도를 예시를 드리려고 해요, 한국 기준으로.

I would like to give an example of the alternative income support system being implemented in Korea, based on Korean standards.

아까 말씀드렸던 2021년에 스탠퍼드 대학교의 기본소득연구소가 발표한 자료에서,

In the materials released by the Stanford University's Basic Income Research Center in 2021, as I mentioned earlier,

우리나라에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이 등장을 합니다.

A basic income for youth in Gyeonggi Province will be introduced in our country.

기본소득 실험이 진행 중인 사례로 소개가 됐는데요.

It was introduced as an example of an ongoing basic income experiment.

2019년 4월을 기점으로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사업이 실시가 되었었어요.

The Gyeonggi-do Youth Basic Income program was initiated in April 2019.

이는 경기도에 3년 이상 주민등록을 두고 계속 거주를 하거나,

This refers to those who have maintained their resident registration in Gyeonggi Province for more than three years and continue to reside there.

전체 10년 이상을 거주한 만 24세 청년 개인에게 분기당 25만 원,

To a 24-year-old individual who has resided for over 10 years, 250,000 won per quarter.

연간 최대 100만 원을 본인이 거지주로 두고 있는 시나 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지역화폐를 지급하는 사업이에요.

It is a program that provides local currency that can be used in the city or county where you reside, with a maximum of 1 million won per year, based on your own designation as a beggar.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은 만 24세 청년들 모두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서 검주 보편성을 만족하고 있고,

The Gyeonggi Province Youth Basic Income targets all youth aged 24, satisfying the criterion of universality.

이들이 일을 받고 노동을 더 할지 안 할지 묻지 않고 지급해서 무조건성도 충족을 하고,

They give the payment without asking whether they will take the job and work more, thus fulfilling the unconditionality.

지급받는 대상이나 가구주나 가구주의 배우자가 아니라 이게 청년 개인이므로 개별성도 충족을 하고 있는데요.

It is an individual young person rather than the recipients or the head of the household or the spouse of the head of the household, so it meets the requirement of individuality.

이것들이 기본소득 구성 요건 중에 필수 항목인데 이 세 가지 요건을 충족하고 있다 라고 경기연구원에서는 평가를 했습니다.

The Gyeonggi Research Institute evaluated that these are essential items among the basic income composition requirements and that they meet these three criteria.

저도 예전에 받았었던 경험이 있는 것 같은데,

I think I also have had that experience before.

그 지원금으로 동네에서 안경 사러 갔었던 기억이 뭔가 나는 것 같아요.

I think I remember going to buy glasses in the neighborhood with that subsidy.

아, 맞아요.

Ah, that's right.

저도 이제 지역화폐 지급,

I will also be issuing local currency now.

이런 거 대상이 돼서 받아보면은 항상 동네 안경점을 가게 되더라고요.

Whenever I receive something like this, I always end up going to the local eyeglasses store.

그런가요?

Is that so?

그러니까 제 원래 돈으로 잘 안 가게 됐던 거를 확실히 지역시장에서 사게 되는 저도 그런 경험을 해왔었는데,

So I have definitely had experiences where I ended up purchasing from local markets instead of using my original money.

2020년 경기연구원에서는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정책효과분석연구에서 청년기본소득을 수급받기 전과 수령해서 사용한 후에 청년들에게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좀 그 정책의 사전소후 비교를 실시를 했어요.

In 2020, the Gyeonggi Research Institute conducted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Youth Basic Income policy in Gyeonggi Province, comparing the changes in young people before receiving the Youth Basic Income and after they received and used it,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he policy implementation.

사실의 변화도 이 연구에서는 측정을 했었지만,

Although changes in facts were also measured in this study,

저는 이번 에피소드에서는 기본소득이 노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경제활동 참여 상태와 자신의 경제상황에 대한 생각의 변화를 위주로 그 협박성 결과를 살펴보려고 합니다.

In this episode, I will examine the impact of basic income on labor by focusing on changes in people'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and their thoughts on their economic situation, particularly regarding coercive outcomes.

먼저 청년기본소득을 받는 경기도 청년들은 다른 지역의 청년들에 비해서 주당 노동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했다고 합니다.

First, it is reported that young people in Gyeonggi Province receiving the youth basic income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their weekly working hours compared to young people in other regions.

미취업 청년들의 경우에도 주당 구직활동 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를 해서,

In the case of unemployed young people, the amount of time spent on job search activities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청년기본소득이 청년들의 근로동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라고 연구는 밝히고 있습니다.

Research shows that the youth basic income does not negatively affect the work motivation of young people.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을 받은 청년집단과 경기도외지역비교집단 모두가,

Both the youth group that received the basic income in Gyeonggi-do and the comparison group outside Gyeonggi-do,

현재 본인의 경제상황은 안타깝게 평균적으로 불안정적이라고 느끼고 있었지만,

I currently feel that my economic situation is unfortunately, on average, unstable, but...

사후조사에서도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을 받은 청년집단의 경우 자신의 경제활동이 나아졌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In the post-investigation, it has been reported that young people who received the basic income for youth in Gyeonggi Province recognized that their economic activities had improved.

앞서서 한국의 대표적인,

Earlier, a representative of South Korea,

부외소득세로는 사실 EITC, 근로장려세제가 운영 중이라고 말씀을 드렸었는데요.

I mentioned that the EITC (Earned Income Tax Credit) and the Employment Adjustment Tax System are currently in operation as part of the non-taxable income tax.

이번에는 서울시의 안심소득을 부외소득세 모델로 좀 소개를 드리려고 해요.

This time, I would like to introduce Seoul City's guaranteed income as a off-the-book income tax model.

왜냐하면 서울시의 안심소득 역시 기존의 부외소득세 모델을 응용을 하고 있거든요.

Because the income security system of Seoul City also applies the existing external income tax model.

투토님 에피소드에서도 말씀해주셨지만, 간략하게 말씀을 드리면,

As you mentioned in the episode, to put it briefly,

안심소득은 중위소득 85% 이하 가구에 대해서 중위소득에서 부족한 소득 중에서,

The guaranteed income provides support for households earning below 85% of the median income by covering the shortfall from the median income.

50%를 그 소득의 차등별로 지원을 합니다.

We will provide support at 50% based on the income differentiation.

소득이 적을수록 지원을 조금 더 많이 받을 수 있는 구조로 설계가 되어 있는데,

It is designed in a way that those with lower incomes can receive a bit more support.

이때 중위소득 50% 이하인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 가구는 생계급여, 주거급여를 대신해서 이 안심소득만 받게 됩니다.

At this time, households receiving benefits from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with income at or below 50% of the median income will only receive this guaranteed income instead of living assistance and housing assistance.

서울시 안심소득 시범사업은 빈곤 감소 효과와 근로소득 증가를 가져온 것으로 그 효과성 분석에서 나타났는데,

The Seoul city's guaranteed income pilot project has shown effects of poverty reduction and an increase in earned income, as indicated in its effectiveness analysis,

첫번째 시범사업 가구중에 23가구.

23 households among the first pilot project households.

이것은 전체 시범가구중에 4.8% 에 해당하는데,

This accounts for 4.8% of the entire sample household.

가구가 중위소득이 85% 이상으로 증가를 해서 더 이상 안심소득을 받지 않게 되었다고 합니다.

The household's income has increased to over 85% of the median income, so they are no longer receiving the guaranteed income.

선정당시 중위소득이 50% 초과한 가구.

Households with an income exceeding 50% of the median during the selection period.

계속 50% 말씀드리는 이유는 국기초 수급기준의 50%라서 그래요.

The reason I keep mentioning 50% is that it is 50% of the basic national support criteria.

선정당시 중위소득이 50% 초과한 가구도 56가구.

There are 56 households whose median income exceeded 50% at the time of selection.

이거는 전체 시범가구 중에 11.7%에 달하는 가구가 50%를 초과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It is reported that 11.7% of the total sample households have exceeded 50%.

사업에 참여한 가구들 중 빈곤 가구의 수가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가 있는 거죠.

We can see that the number of poor households among the households participating in the business has decreased.

사업에 참여해서 지원을 받은 가구 중 104가구는 근로소득이 늘어났는데요.

Among the households that participated in the business and received support, 104 households reported an increase in earned income.

근로소득이 월 100만 원 이상 증가한 가구가 49가구, 50만 원 증가한 가구는 65가구라고 합니다.

It is reported that 49 households had an increase in earned income of over 1 million won per month, and 65 households had an increase of 500,000 won.

근데 모든 사람들한테 줘야 되는 거면 사실 그게 다 예산이 필요한 거잖아요.

But if it has to be given to everyone, then it actually requires a budget.

그것도 다 국민의 세금으로 모여지는 돈일 텐데 결국은 좀 조삼모사격이 되지 않을까.

Isn't it ultimately a case of changing one form of government funding for another, considering that it all ultimately comes from the taxpayers' money?

여기서 뺀 돈으로 나눠주는 게 조삼모사처럼 되어버리면 취지와 다르게 좀 근로의욕이 고치가 된다든지 이런 쪽으로

If distributing the money taken out here ends up being like "a trick of changing three for four," it could dampen the motivation to work, which goes against the original intention.

이어집니다.

It continues.

이어질이라는 게 조금 확실하지 않을 것 같은데.

I don't think the continuation will be quite certain.

네, 맞아요.

Yes, that's right.

겸더님께서 제안해 주신 그런 의견들이 지금의 대한특소득보장제도가 아직 실험적이거나 지자체 수준에 머무르게 하는 쟁점들인데요.

The opinions that you suggested, Mr. Gyeomde, are issues that keep the current Special Income Guarantee System at an experimental level or limited to local governments.

거의 주요 쟁점인데 이 쟁점들을 좀 다뤄보자면 먼저 제도의 지속 가능성이 첫 번째 쟁점입니다.

It's almost a major issue, but if we address these issues, the first one is the sustainability of the system.

어느 수준의 기본소득을 지급하느냐에 따라서 다 소통됩니다.

It depends on what level of basic income is provided.

차이는 있겠지만 오랜 기간 제도를 유지하는 것은 역시 쉽지 않겠다라는 게 거의 세간의 의견인데요.

There may be differences, but it seems that maintaining a system for a long period of time is indeed not easy, according to the general consensus.

예를 들어서 기본소득은 현금을 지급해야 되는 정부의 수입보다 지출 규모가 훨씬 큰 경우가 많아요.

For example, basic income often has a spending scale that is much larger than the government’s income that needs to be paid in cash.

기본소득을 실험하고자 했던 스위스 정부는 현재 스위스 정부에서 제공하고 있는 복지급여에 상응하는 거를 기본소득제로 시행을 하면

The Swiss government, which sought to experiment with basic income, is considering implementing it as a basic income system that corresponds to the welfare benefits currently provided by the Swiss government.

연 2080억 프랑.

2.08 billion francs per year.

환율로.

Exchange rate.

환율로 치면 248조 원이 들어갈 것으로 추계를 했어요.

It is estimated that it would cost 248 trillion won based on the exchange rate.

이게 감이 안 오시겠지만 이는 현재 스위스 전체 정부의 지출 규모인 연 670억 프랑의 3배에 이르는 돈이라고 합니다.

You may not be able to grasp this, but this amount is said to be three times the total annual government expenditure of Switzerland, which is 67 billion francs.

앞서 소개해드렸던 경기도 청년 기본소득의 대상자인 만 24세 경기도 저주 청년은 2010년부터 2022년까지 4년 동안 매해 약 17만 5천 명으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The 24-year-old residents of Gyeonggi Province, who are eligible for the Basic Income for Youth program introduced earlier, have maintained a similar level of about 175,000 each year from 2010 to 2022.

2010년부터 2022년까지 4년 동안 매해 약 17만 5천 명으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From 2010 to 2022, it has maintained a similar level of about 175,000 people each year for four years.

2019년 1분기 신청자가 12만 4천 335명에게 수당을 지금 지급을 하고 있는데 소요된 예산이 약 1753억 원이었다고 합니다.

In the first quarter of 2019, it is reported that benefits are currently being paid to 124,335 applicants, and the budget spent was approximately 175.3 billion won.

그 말은 2019년 경기도 전체 인구가 약 1365만 명이라는 점을 감안을 했을 때 만약 이 청년 기본소득이 경기도민 전체로 확장을 해서 지급을 하려면 그냥 어림잡아서 봐도 100배 넘는 예산이 소요되지 않을까라고 어림잡아 볼 수 있습니다.

That means, considering that the total population of Gyeonggi Province was about 13.65 million in 2019, if this youth basic income were to be extended to all residents of Gyeonggi Province, it could be estimated that it would require a budget exceeding 100 times that amount.

어림잡아서 봐도 100배 넘는 예산이 소요되지 않을까라고 어림잡아 볼 수 있습니다.

If we roughly estimate, it could take a budget exceeding 100 times that amount.

부의 소득세 역시 사실 이거를 대상을 확대하기 위해선 예산 증액이 불가피한데요.

In fact, increasing the budget is unavoidable if we want to expand the target for wealth income tax as well.

서울시 안심소득의 경우 2023년 1차 시범사업을 기준으로 1,100가구를 지원하는데 140억 원의 예산이 소요되었다고 합니다.

In the case of Seoul's guaranteed income, it is said that 14 billion won was spent to support 1,100 households based on the first pilot project in 2023.

2024년에는 오세훈 시장이 시범 지원 대상을 확대하면서 예산을 240억까지 늘리겠다라고 발표를 했고 시제로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In 2024, Mayor Oh Se-hoon announced that he would expand the pilot support target and increase the budget to 24 billion won, and it has been indicated that it has been expanded in terms of time.

확실히 그냥 어디서 돈이 샘솟지 않느냐.

Isn't it true that money just flows in from somewhere?

목소리가 나네요.

I can hear a voice.

그러니까 워낙 개인한테는 엄청 큰 돈은 아니지만 모수가 많기 때문에

So, it's not a huge amount of money for an individual, but there are many participants.

맞아요.

That's right.

드는 돈이 좀 장난이 아닌 것 같긴 하네요.

It seems that the money we're talking about is quite serious.

이 모수를 늘려야 되는 게 정말 관건이죠.

Increasing this parameter is really the key.

여기서부터는 이제 사실 정책 위반자의 상상력이 필요한 지점이 되고 국민들의 합의가 필요한 지점이 되게 되는데

From here on, it becomes a point where the imagination of policy violators is needed and where the agreement of the people is necessary.

관련해서 한편 기본소득 지지자는 국토보유세와

In this regard, on the one hand, supporters of basic income advocate for the land ownership tax and

탄소세를 부과를 해서 이런 식으로 기존 예산을 절감을 하면 기본소득 재원이 마련하지 않겠냐라고 설명을 하지만

They explain that by imposing a carbon tax and reducing the existing budget in this way, it would provide funding for basic income.

일각에서는 기본소득에 소요되는 예산을 채우려면 증세가 불가피할 것이다 라고 지적을 하고 있습니다.

Some point out that in order to fund the basic income, tax increases will be inevitable.

실제로 연세대 행정학과 양재진 교수는 경기도의 기초자치단체들이 청년 기본소득에 예산이 부족해지자 다른 청년 프로그램을 없애고 있다고 이야기했습니다.

In fact, Professor Yang Jae-jin from the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at Yonsei University stated that basic local governments in Gyeonggi Province are eliminating other youth programs due to a lack of budget for the youth basic income.

연구에 따르면 시민들은 평균적으로 본인이 받는 기본소득에게 약 10%만을 추가 납세하려는 의사를 가진다 하며

According to research, citizens are willing to pay about 10% more in taxes on average for the basic income they receive.

증세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위해 정부의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를 했습니다.

It emphasized the need for government efforts to reach a social consensus on the symptoms.

한편 다른 쟁점으로는 이렇게 큰 조건 없이 현금을 지급하면 누가 일을 해서 돈을 벌 것인가 이렇게 되면 도덕적 해이가 완연할 것이다 라는 쟁점이 있는데요.

On the other hand, another issue is that if cash is provided without such large conditions, who will work to earn money? This would lead to clear moral hazard.

실업자에 대해서 기본소득을 실험했던 핀란드에서

In Finland, where a basic incom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the unemployed.

핀란드 정부는 기본소득을 지원받는 사람들이 고용일수가 증가폭이 그렇게 크지 않았기 때문에 고용에 있어서는 기본소득이 효과가 없었다라고 아까 얘기를 했던 건데요.

The Finnish government stated earlier tha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employment days for those receiving basic income, indicating that basic income had no effect on employment.

한편 근데 경기도 청년 기본소득 분석 결과와 서울시의 안심소득 분석 결과에서는 오히려 근로 의혹을 고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죠.

On the other hand, the analysis results of the Gyeonggi Province youth basic income and the Seoul city guaranteed income showed that it rather resolved doubts about employment.

핀란드에서도 오히려 기본소득이 사실 시행이 되면서

In Finland, in fact, basic income is being implemented.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때 재취업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늘어났다고 합니다.

Despite not having existed, it is said that the demand for re-employment services increased at this time.

때문에 한편에서는 기본소득이 일할 동기를 없애서 고용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게 아니고

On one hand, it is not true that basic income eliminates the motivation to work and negatively impacts employment.

애초에 노동 수요에 비해서 이 시장에 지금 노동 공급이 없어서 고용률이 낮은 거 아니냐 하는 관련한 논쟁이 있습니다.

There is a related debate that, in the first place, the employment rate is low because there is currently no labor supply in this market compared to the demand for labor.

마지막으로 그래서 얘네가 진짜 효과가 있는가?

Lastly, so do they really have an effect?

대안적 소득 보장 제도들이 빈곤 감소 효과가 있는가라는 쟁점이 있습니다.

There is a debate on whether alternative income support systems have an effect on poverty reduction.

관련해서는 이거랑 관련해서는 좀 분석한 수치가 있기는 한데

Regarding this, I do have some analyzed figures related to it.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이원진 부연구위원이 2022년 연구에서 시뮬레이션 결과를 한 데 따르면

According to the simulation results from a study by Deputy Researcher Lee Won-jin of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in 2022,

연 40조에서 41조 원 이하의 중소규모 예선을 가정을 하면

Assuming a small-scale preliminary round of 40 trillion to 41 trillion won per year.

2018년부터 2019년 2년 동안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의 빈곤 지위를 유지하는

Maintaining a poverty status of 50% or below the median income standard for two years from 2018 to 2019.

그 지속적인 수요가 늘어나는 것입니다.

The continuous demand is increasing.

그 지속 빈곤층의 규모를 감소시키는 효과는 기본소득보다는 부의소득세 방식을 실시하는 경우가

The effect of reducing the size of the persistently poor is greater when implementing a wealth income tax rather than basic income.

그 규모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컸다라고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를 밝혔습니다.

The simulation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it had a significant effect in reducing that scale.

반대로 기준 중위소득 85% 이상의 중산층의 규모를 증가시키는 것도

On the contrary, increasing the size of the middle class with an income of 85% or more of the median income is also...

어떻게 보면 중요한 정책 목표 중에 하나인데

In a way, it's one of the important policy goals.

이걸 증가시킨 효과는 부의소득세보다는 기본소득이 그 효과가 컸다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effect of increasing this was greater with basic income than with wealth income tax.

따라서

Therefore

소득보장제도의 목표를 빈곤 제거 및 완화로 둘 것인지

Should the goal of the income guarantee system be the elimination and alleviation of poverty?

아니면 빈곤층 예방을 위한 중산층 확대로 둘 것인지에 따라서

Depending on whether to expand the middle class to prevent poverty.

제도를 달리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I am explaining that there is a need to change the system.

여기까지 해서 대한적소득보장제도의 도입 배경과 내용, 현황과 쟁점에 대해서 살펴봤는데요.

So far, we have looked into the background and content of the introduction of the National Minimum Income Guarantee System, as well as its current status and issues.

대한적소득보장제도가 등장한 취지에는 공감이 되는데

I agree with the purpos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Basic Income Guarantee System.

둘러싼 쟁점들에 대해서는 구민들의 합의를 이뤄내기 위한

To reach an agreement among the residents regarding the surrounding issues.

구체적인 제도 설정에 대해서는

Regarding the establishment of specific systems,

설계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It seems that planning will be necessary.

1부 여기서 마치고 저희는 2부로 돌아오도록 하겠습니다.

We will wrap up the first part here and return with the second part.

Continue listening and achieve fluency faster with podcasts and the latest language learning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