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3. Creativity Research (Korean)

Alog

Alog 에이로그

ep3. Creativity Research (Korean)

Alog 에이로그

안녕하세요. 오디오로그 에이로그입니다.

Hello. This is Audiolog A-Log.

예술, 디자인, 창의력, 뇌과학, 심리학, 인공지능 등과 관련한

Related to art, design, creativity, neuroscience, psycholog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수많은 호기심과 인사이트를 에이로그에 기록하고 있습니다.

I am recording countless curiosities and insights in the A-Log.

오늘의 에이로그에서는 현재 제가 연구하고 있는 창의력에 관해 얘기하고자 합니다.

In today's A-Log, I would like to talk about the creativity I am currently researching.

어떤 맥락에서 과학적으로 연구되어 왔고

In what context has it been scientifically studied?

세부적인 연구 주제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간략하게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I will briefly introduce what specific research topics are available.

제가 구독하는 요즘 관심을 갖고 보는 뉴스레터들이

The newsletters I subscribe to that I'm currently interested in.

옥스포드의 컨버세이션, 테크크런치, 프론티어 등등이 있고요.

There are Oxford's Conversation, TechCrunch, Frontier, and so on.

링크드인에서 MIT 테크놀로지 리뷰나

MIT Technology Review on LinkedIn

뉴로사이언스 뉴스, 소사이어티 포 뉴로사이언스 등을 보기도 합니다.

I also look at neuroscience news, such as the Society for Neuroscience.

오늘 아침에 제가 구독하는 컨버세이션 뉴스레터에서

This morning, in the conversation newsletter I subscribe to,

재미있는 기사를 하나 읽었습니다.

I read an interesting article.

잠깐 소개를 드리자면

Let me briefly introduce myself.

사회는 평등을 향해서 가고 있는데

Society is moving towards equality.

왜 아직도 가사에 있는지

Why is it still in the lyrics?

가사일은 여자가 더 많이 하게 되는가에 대한 거였어요.

It was about whether women end up doing more household chores.

기사에서도 얘기하기를 코로나가 터졌고

The article also mentions that COVID broke out.

그래서 재택근무를 하는 맞벌이 부부들이 많이 생겼어요.

So, there are many dual-income couples who work from home now.

그래서 이 사람들이 가사일을 반반 부담하는 것을 기대를 했었죠.

So these people were expecting to share the household chores equally.

그런데 이거에 대한 실망감이 많이 생겼어요.

However, I've become quite disappointed about this.

실망감이 많이 생겼다는 거는

It means that a lot of disappointment has arisen.

가사일 분담이 기대한 것처럼 되지 않았다라는 얘기죠.

It means that the division of household chores did not turn out as expected.

이렇게 케이스가 늘어나다 보니까

As the cases keep increasing like this...

이게 연구 대상이 되었던 거예요.

This has become the subject of research.

그래서 이거에 대해서 심리학적으로 접근을 하게 됩니다.

So, we approach this psychologically.

왜 우리가 가사노동이 평등하게 분배가 되지 않았는가 보았을 때

When we look at why unpaid labor has not been distributed equally

이거를 affordance theory라고 하는 행동유도성 이론이랑 관련지어서 설명을 했는데요.

I explained this in relation to the theory of affordance, which is known as the theory of behavioral inducement.

이 이론이 무슨 내용이냐면

What this theory is about is...

어떤 대상을 인지를 할 때

When recognizing an object

우리는 객관적 속성과 더불어서 연관된 행동과 함께 지각을 한다는 거예요.

We perceive alongside associated behaviors in addition to objective properties.

예를 들어서 우리가 사과를 봤을 때

For example, when we see an apple.

이게 빨갛고 동그랗게 생긴 그 외향만 보는 것들이 아니라

It's not just looking at the red, round appearance of it.

이것을 먹는 행위를 생각을 한다는 거죠.

It means to think about the act of eating this.

이것을 먹는 행위를 생각한다는 거죠.

It means considering the act of eating this.

행동유도성 이론을 관련해서 생각을 했을 때

When I thought about it in relation to the theory of behavioral intention.

여자가 식탁 위에 싱크대 위에 있는 그릇들을 보았을 때는

When the woman looked at the dishes on the sink above the dining table,

여자들은 보통 설거지랑 관련지어서 생각을 합니다.

Women usually associate it with dishwashing.

설거지를 해야 된다라는 생각을 하는 거죠.

I'm thinking that I need to do the dishes.

남자들은 식탁이나 싱크대 위에 있는 그릇들을 보았을 때

When the men looked at the dishes on the table or the sink,

아 그릇들이다라고 봅니다.

I see those as bowls.

또 다른 예로 꽉 찬 쓰레기통을 여자들이 봐요.

Another example is that women see a full trash can.

그러면 아 밖에 내놔야겠다 라고 생각을 하는데

Then I think I have to put it outside.

남자들은 꽉 찬 쓰레기통을 딱 보면

When men see a full trash can...

아 꽉 찼구나 라고 생각을 하는 거예요.

Ah, I'm thinking that it's quite full.

이렇게 생각합니다.

I think like this.

이렇게 한 발 더 나아가서 행동과 연결지어 생각하는 능력이 부족한 부분이 있고요.

There is a lack of ability to think one step further and connect actions with thoughts.

또 다른 한편으로는

On the other hand,

이제 아기들이 막 놀았어요.

The babies just played a lot.

그러면은 거실이 엄청 어지러워지거든요.

Then the living room gets really messy.

여자들은 그거를 딱 보면은

When women see that, they immediately...

아 치우자 생각하고

Ah, let's think about cleaning it up.

남자들은 그거를 딱 보면은

When men see that, they just know.

아 소파 위로 올라가자 생각을 한다는 거예요.

Oh, you mean to say that you think about getting up on the sofa?

또 다른 예로 이제 우리 집 바닥 위에 먼지가 보여요.

Another example is that I can see dust on the floor of our house now.

그러면 여자들은 역시나 치우자 생각하고

Then the women also think to clean up, as expected.

남자들은 안 밟고 지나가야지 생각을 하는 거예요.

Men think they should pass without stepping on anyone.

이제 행동으로 연결하는 패턴도 있죠.

Now there is also a pattern that connects to action.

좀 다르죠.

It's a bit different.

이런 게 모두 다 그렇다는 건 아니고요.

Not everything is like this, though.

물론 이게 선천적으로 이거를 보게 되어 있다라는 것도 아니에요.

Of course, it's not that this is something you are inherently meant to see.

근데 이게 사회관습적으로 굳어진 부분이라는 거죠.

But this is a part that has solidified socially.

이런 거를 가지고 이제 남자들의 핑계거리를 만들어주려는 것도 아닙니다.

This is not meant to give men an excuse for this sort of thing.

이러한 관점을 활용을 해서

Using this perspective

감정소모 없는 평등한 가자분담을 유도하는 방법을

A method to promote an equitable division of labor without emotional exhaustion.

우리가 모색해볼 수 있겠다라고 이 기사는 제안을 하고 있어요.

This article suggests that we could explore.

예를 들어서

For example

잔소리가 안 되는 범위 내에서 가르쳐주는 거죠.

It's teaching within the limits of not being nagging.

어? 소파 아래에 있는...

Huh? Under the sofa...

애들 장난감 이제는 정리해야 돼.

We need to organize the kids' toys now.

라고 알려주는 그런 방법을 제시를 하는데요.

It suggests a method that informs you like that.

근데 현실은 남편이 이제 그릇을 안 치우고 가거나 이러면

But in reality, if my husband leaves the dishes unwashed like this...

아, 그릇은 식기세척기에 넣어주면 좋겠는데

Oh, it would be nice if you could put the dishes in the dishwasher.

라고 좋게 좋게 얘기를 해요.

I say it nicely.

그러나 이게 반복이 되다 보니까 잔소리가 되는 거죠.

However, as this keeps happening, it becomes nagging.

그래서 네가 말 안 해도 알아서 한다고

So I understand that you’ll just take care of it without saying anything.

라는 반응으로 되돌아와요.

It comes back with a reaction like that.

그러고 나서 안 하죠.

Then I won't do it.

이게 어느 정도에서 잔소리가 되는지

To what extent does this become nagging?

어느 정도에서 올바른 유도가 되는지는

To what extent proper guidance is given.

이제 개개인의 상황에 대해서는

Now, regarding the individual situations...

상황에 따라서 달라질 것 같은데요.

It seems like it will vary depending on the situation.

여러분은 현실에서 현명하게 판단하고

You all should make wise judgments in reality.

잘 유도를 하시기를 바랍니다.

I hope you guide well.

이런 것들이 아까 말했듯이

As I mentioned earlier, these things...

사회관습적으로 굳어진 부분이라고 했는데요.

You mentioned that it is a part that has become solidified through social customs.

이거를 말로써 어떤 거를 지시를 해서 유도할 수도 있지만

You can guide or direct this by giving verbal instructions.

사실 중요한 거는 우리가 아이들을 가르칠 때

The important thing is that when we teach children

어떻게 가르쳐야 되는가 좀 고민을 해볼 필요가 있어요.

We need to think a bit about how we should teach.

특히 여자애들은 어렸을 때부터

Especially girls, since they were young.

이제 애기들을 토닥토닥토닥

Now, pat the babies gently.

뭐 젖 물리고 모유 주고

Well, breastfeeding and giving breast milk.

여자애들은 가사 관련으로 가르쳐주고

The girls will teach related to the lyrics.

이런 놀이를 많이 하는 편이에요.

I tend to play games like this a lot.

근데 아들들은 비교적으로

But sons are comparatively

이러한 놀이들에 가담을 하지 않는다는 거죠.

It means that they do not participate in such games.

그런 애기 인형 놀이라든가

Like that baby doll play.

아니면 청소 놀이라든가

Or cleaning games, maybe?

이런 것들을 조금 더 우리 엄마 아빠가

Things like this a little more for my mom and dad.

적극적으로 시킴으로 인해서

By actively making it happen.

어렸을 때부터 책임감을 교육을 시키고

Teaching responsibility from a young age.

그런 것들이 자연스럽게

Those things naturally.

자기가 가사노동을 해야 된다라는 것을

That they have to do the housework.

인지할 수 있도록

So that it can be recognized.

이런 교육이 필요하다라고 이야기를 해요.

They say that this kind of education is necessary.

그리고 역시나 엄마 아빠가 평등하게

And as expected, mom and dad are equal.

이런 가사 일을 하는 것들을

Doing things like these lyrics.

보고 자란 아이들이

Children who have grown up watching

자기들도 평등한 가사노동을 하는 것을

They also do equal household labor.

당연하게 여길 확률이 더 높고요.

The probability of taking it for granted is higher.

방금 말씀드린 이 연구에 관해서

Regarding the study I just mentioned.

혹시 관심 있으신 분들은

If anyone is interested

제가 스크립트에 관련 논문을 링크를 해두겠습니다.

I will link the relevant papers in the script.

그러면은 따라서 들어가서

Then, let's go in accordingly.

자세한 거를 영문으로 읽어보실 수 있을 거예요.

You will be able to read the details in English.

창의력 얘기를 하기로 했는데

We decided to talk about creativity.

왜 갑자기 창의력과 전혀 상관없어 보이는

Why does it suddenly seem completely unrelated to creativity?

얘기를 하나 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는데요.

You might think it's just one story.

창의력 연구는 크게 봤을 때

When viewed broadly, research on creativity

심리학적 연구에서 시작을 합니다.

It starts with psychological research.

심리학이란은

Psychology refers to

기본적으로는 인간의 마음작용을 공부하는 학문이죠.

Essentially, it is a discipline that studies the functioning of the human mind.

이게 과학적 연구 방법이다라고 인정을 받은 지도

This has also been recognized as a scientific research method.

사실 크게 오래되지는 않았어요.

Actually, it hasn't been a long time.

근데 심리학에서 우리가 주로 연구하는 것들은

But the things we mainly study in psychology are

어떤 이러한 현상,

What these phenomena are,

인간이 살아가면서 겪게 되는

The experiences that humans undergo while living.

혹은 보게 되는 이런 현상들의

Or the phenomenon of seeing such things

원리와 원인들을 도출하는 그런 학문이에요.

It's a discipline that derives principles and causes.

이것이 적용될 수 있는 범위는 너무너무 많아요.

The range to which this can be applied is very, very broad.

그리고 연구를 할 수 있는 꺼리도 너무 많고요.

And there are too many topics to research as well.

예를 들어서 이타주의는 왜 생기는가

For example, why does altruism arise?

혹은 우리는 꽃을 왜 생기는가

Or why do we have flowers?

혹은 우리는 꽃을 왜 예쁘다고 생각하는가

Or why do we think flowers are beautiful?

혹은 우리는 어떤 소리가 소음이라고 생각하는가

Or do we think of some sounds as noise?

이러한 것들이 우리가 심리학에서 분석할 수 있는 부분들인 거죠.

These are the aspects that we can analyze in psychology.

이러한 심리학적 연구는 어떻게 쓰일까요?

How will this psychological research be used?

우리가 원인을 알아냈잖아요.

We found out the cause.

그러면 이 원인을 다시 사람들한테 제공을 하고요.

Then I will provide this cause again to the people.

그거에 따른 결과를 기대할 수 있죠.

You can expect results based on that.

이것이 바로 경제, 경영 분야에서 응용되는

This is what is applied in the fields of economics and management.

마케팅 같은 데서 응용되는 심리학입니다.

It is psychology applied in areas like marketing.

그래서 사실 굉장히 세계적으로 저명한 심리학자들이

So, in fact, very internationally renowned psychologists...

이런 비즈니스 스쿨이라든가 경제대학 이런 쪽에서

In business schools or economic universities like this.

교수님으로 계신 경우가 굉장히 많아요.

There are many cases where you are a professor.

그리고 큰 카테고리의 심리학 안에 인지심리학이라는 게 있습니다.

And within the larger category of psychology, there is cognitive psychology.

인지심리학, Cognitive Psychology 같은 경우에는

In the case of cognitive psychology, such as cognitive psychology,

감각적 인지와 불인지에 대한 연구를 하는 건데요.

I'm studying sensory perception and non-perception.

무슨 말이냐면 우리가 오감으로 느끼는 것들이 있죠.

What I mean is that there are things we perceive through our five senses.

보고, 듣고, 만지고, 냄새 맡고

Seeing, hearing, touching, and smelling.

이러한 감각적인 경험에 대해서 분석을 하는 거예요.

We analyze these sensory experiences.

이러한 연구의 대표적인 예들로서

Representative examples of such research include

그 결론은 어떤 것들이 있었냐면요.

What were some of those conclusions?

우리가 아주 시끄러운 클럽을 가요.

We're going to a very loud club.

근데 이 시끄러운 가운데 친구들의 목소리들은 걸러서 들려요.

But amidst this noise, I can still hear my friends' voices clearly.

이러한 것들이 바로 인지심리학적인 현상입니다.

These are exactly phenomena in cognitive psychology.

혹은 재미있는 연구 중에 피 실험자들에게 스크린을 보여주고요.

Or, in an interesting study, they show the subjects a screen.

영상을 보여주면서 여기에 있는 한 대여섯 명의 사람들이

While showing the video, the six or so people here...

공을 패스를 하니까 이 패스하는 것을 숫자를 세어봐라

When passing the ball, try counting the number of passes.

라는 등의 실험을 합니다.

Experiments such as these are conducted.

그랬을 때 이 영상에서 보여지는 것은 이 사람들이 공을 패스를 하고 있는 모습이죠.

At that time, what is shown in this video is these people passing the ball.

이 영상에서 보여지는 것은 이 사람들이 공을 패스를 하고 있는 모습이죠.

What is shown in this video is these people passing the ball.

그러면 피 실험자들은 이 숫자를 카운트하는 데 바쁘죠.

Then the subjects in the experiment are busy counting this number.

그 와중에 고릴라가 뒤에서 지나갑니다.

In the meantime, a gorilla passes by from behind.

너무 큰 고릴라, 사람이 탈을 쓰고 있기 때문에

A gorilla that is too big, because a person is wearing a mask.

당연하게 보이는 이 고릴라가 이 피 실험자들에게는 안 보입니다.

This seemingly obvious gorilla is not visible to these test subjects.

감각적인 불인지죠.

It's a sensory ignition.

이게 일어나는 이유는 우리의 attention, 주의력 때문에 그런데요.

The reason this happens is because of our attention.

우리가 어떤 한 과제에 대한 주의력을 기울이고 있을 때

When we are paying attention to a certain task.

다른 과제가 침입해오는 것을 인지적으로 우리 뇌에서는 막아낸다라는 발견을 했던 연구예요.

It is a study that found that our brain cognitively blocks other tasks from intruding.

책을 읽을 때 우리가 독서할 때도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데요.

This phenomenon also occurs when we read books.

시각적 주의력 같은 경우에는 굉장히 좁은 범위에 있어요.

In the case of visual attention, it is very narrow in range.

그래서 책을 읽을 때 알파벳 기준으로 앞뒤 11자 내지 12자 가량만 인식을 합니다.

So when I read a book, I can only recognize about 11 to 12 characters in front and behind based on the alphabet.

그 외에는 사실 흐리멍텅하게 보이는 거예요.

Apart from that, it actually looks quite vague.

보이지 않아요.

I can't see it.

한글로 봤을 때는 한 4, 5글자 정도로 볼 수 있다고 봐요.

I think it can be seen as about 4 or 5 characters when viewed in Korean.

심지어 그 대략 한 1, 2cm에 되는 그 반경 밖에는

Even outside that radius of about 1 or 2 cm,

아까 말했듯이 흐리게도 보이지만 흑백으로 보입니다.

As I said earlier, it appears blurry but looks black and white.

무슨 색상이 그 주변부에 있는지 볼 수가 없어요.

I can't see what colors are around the edges.

눈이 한 곳을 딱 고정해서 보고 있지 않거든요, 사실은.

My eyes aren't fixed on one spot; that's actually the case.

이게 계속 눈은 움직입니다.

The eyes keep moving.

초점이 계속 움직이면서 우리가 사물을 보고 있기 때문에

Because our focus keeps shifting while we are looking at things.

그 반경에 있던 사물들 혹은 그 뒤에 있던 배경들을

The objects within that radius or the backgrounds behind them.

기억을 하고 그것이 마치 지금 보고 있는 현실처럼 인식을 하는 거예요.

You remember it and perceive it as if it is the reality you are seeing right now.

그러면 이런 거랑 관련해서 이제 기억 혹은 감정들도 연결이 되겠죠.

Then, memories or emotions would be connected to something like this, right?

그래서 이런 것도 이제 인지심리학 쪽에서

So now this is also in the field of cognitive psychology.

감각적 인지나 불인지와 연결해서 기억과 감정들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Sensory perception and non-perception are being studied in connection with memory and emotions.

이런 인지심리학 안에서 제가 주목하는 부분은 창의력이라고 했죠.

In this cognitive psychology, the part I focus on is creativity.

저는 그전에 이제 예술과 디자인을 공부를 했다 보니까

I studied art and design before that.

이 예술과 관련돼서 시각적 창의력에 조금 더 집중을 해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I am focusing more on visual creativity and conducting research related to this art.

그래서 실험미학, empirical aesthetic과 관련해서 연구를 진행을 하고 있는데요.

So, I am conducting research related to experimental aesthetics and empirical aesthetics.

저희 교수님이 오랫동안 이 실험미학 쪽에서 논문도 내시고 이 관련해서

Our professor has published papers in the field of experimental aesthetics for a long time and is involved in this area.

연구들을 많은 발표를 하셨어요.

You have made many presentations on your research.

그리고 제가 주목하는 창의력은 물론 제 연구 주제는 그래서 시각적 창의력에 한정되어 있기는 하지만

And the creativity that I focus on, of course, is limited to visual creativity because of my research topic.

결국은 이 연구를 위해서 전반적인 창의력은 무엇인가,

Ultimately, what is overall creativity for this research?

창의력은 어떤 원리로 이루어지는가를 연구를 하게 돼요.

I study the principles of how creativity is formed.

우리가 보통 창의적 사고, 창의력의 원리를 설명하고자 할 때

When we typically aim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creative thinking and creativity,

빠지지 않고 언급되는 몇 가지 개념들이 있습니다.

There are several concepts that are consistently mentioned.

그중에 하나가 제임스 로즈의 4P가 있는데요.

One of them is James Rose's 4P.

대부분의 창의성 연구는 이 4P의 카테고리로 구분을 하는데요.

Most creativity research is categorized into these 4Ps.

여기서 4P란 Product, 창의적 산물, Process, 창의적 과정, Person, 창의적인 사람, 그리고 Press, 창의성에 영향을 주는 환경, 이렇게 네 가지예요.

The 4Ps here refer to Product, creative output, Process, creative process, Person, creative individual, and Press, the environment influencing creativity, which are these four elements.

그리고 Process, 창의적 과정과 관련해서 많은 이론이 제기되는데요.

And many theories are raised regarding the process and the creative process.

이 이론들을 통해서 창의적인 사람과 그 역량 평가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인 거죠.

This is because these theories can lead to the evaluation of creative individuals and their capabilities.

예를 들어서, 길포드는 지능의 구조, The Structure of Intelligence라는 1956년 논문에서

For example, in his 1956 paper, The Structure of Intelligence, Guilford...

Divergent Thinking, 확산적 사고라는 개념을 소개합니다.

Introducing the concept of Divergent Thinking.

이거는 현재까지 어마어마한 영향을 미치고 있고요.

This has had a tremendous impact up to now.

지속적인 후속 연구들을 만들어내는데요.

It leads to the creation of ongoing follow-up studies.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우리는 어떤 아이디어를 생각해낼 때

To put it simply, when we come up with an idea,

가능성을 열어두고 수많은 아이디어를 생성을 해보는 확산적 사고 단계랑

The divergent thinking stage that keeps the possibilities open and generates numerous ideas.

그 중에 현실 가능하고 효능이 있는 아이디어를 논리적으로 추려내는 수렴적 사고 단계를 반복적으로 거칩니다.

We repeatedly go through the convergent thinking stage, logically filtering out ideas that are feasible and effective among them.

확산적 사고를 해보고, 수렴적 사고를 해보고, 확산적 사고, 수렴적 사고, 이거를 거쳐가면서

Try divergent thinking, then convergent thinking, and go through this process of divergent thinking and convergent thinking.

약간 비판적인 사고를 통해서 우리는 마지막, 최종적으로 가장 좋은 아이디어를 만들어낼 수 있는 거죠.

Through somewhat critical thinking, we can ultimately come up with the best idea.

이것을 심리학적으로 명확히 정리한 사람이 바로 길포드였습니다.

The person who clearly organized this psychologically was Guilford.

이 사람이 1950년에 쓴 Creativity라는 논문으로도 자주 회자가 되는데요.

This person is often mentioned for the paper titled "Creativity" that he wrote in 1950.

오히려 지능 구조를 얘기하고자 했던 논문에서 창의력의 기본 원리가 되는 Divergent Thinking이 탄생합니다.

Rather, in the paper that aimed to discuss the structure of intelligence, Divergent Thinking, which is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creativity, was born.

이후에 60년대에 이런 원리를 측정하고자 하는 노력에 의해서

After that, in the 1960s, efforts were made to measure this principle.

토렌스가 만든 토렌스 테스트 오브 크리에이티브 띵킹이라는 TTCT가 생기고요.

The TTCT, or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created by Torrance, was established.

지금까지도 창의력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다양한 연구에서 DT 테스트나 Divergent Thinking 테스트나 토렌스 테스트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To this day, various studies have utilized the DT test, Divergent Thinking test, or Torrance test as tools to measure creativity.

또 다른 창의적 사고 원리에 기반이 되는 것이

Another principle based on creative thinking is

맷닉이 1962년에 발표한 The Associative Basis of the Creative Process에서 소개되는데요.

It is introduced in The Associative Basis of the Creative Process published by Mattick in 1962.

Associative Theory, 결합 이론입니다.

Associative Theory, it is the theory of combination.

우리가 흔히 창의적이라고 평가하는 역사적인 사람들이 누가 있죠?

Who are some historical figures that we commonly evaluate as creative?

제가 막 떠오르는 사람들로는 레오나르도 다빈치, 아인슈타인, 화가인 피카소, 물리학자 리차드 파인만, 수학자 푸안카레 등등이 많이 언급이 되는데요.

People who come to mind include Leonardo da Vinci, Einstein, the painter Picasso, the physicist Richard Feynman, and the mathematician Poincaré, among many others.

이 사람들을 연구해 보니까 나오는 공통점 중의 하나가 바로 이 연합적 사고입니다.

One of the commonalities that emerged from studying these people is this collaborative thinking.

여러분, 아르키메데스의 유레카 이야기는 한 번쯤 들어보셨죠?

Everyone, have you heard the story of Archimedes' Eureka at least once?

욕조 안에 몸을 담갔다가 넘치는 물을 보고 부피를 잴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낸 이야기죠.

It's a story about coming up with a way to measure volume by immersing your body in a bathtub and observing the overflowing water.

목욕과 물체의 부피는 객관적으로 봤을 때 사실 서로 관계가 없는 대상들입니다.

Bathing and the volume of objects are, objectively speaking, unrelated subjects.

예를 들어 우리가 집에 있는 전등과 학교에서 배운 세포 생물학을 연결시켜 생각하지 않는 거랑 비슷해요.

For example, it's similar to not connecting the light in our house with the cell biology we learned at school.

이렇게 서로 관계가 없어 보이는 혹은 흔히 연결지어 생각하지 않는 대상들을

Such subjects that seem unrelated to each other or are commonly not thought of as connected.

우연한 기회에 연결해서 생각함으로써 새로운 아이디어가 탄생하는 것이 바로 이 창의적인 사고 과정.

The birth of new ideas through connecting and thinking by chance is precisely this creative thinking process.

그 중에 결합 이론의 핵심입니다.

It is the core of the theory of combination.

최근에 창의력 연구에서 노력을 기울이는 부분 중의 하나가 바로 이 Semantic Distance,

One of the areas that is being focused on in recent creativity research is this Semantic Distance.

어휘적 거리를 객관적으로 추산해서 창작된 아이디어의 창의성을 평가하는 도구를 만드는 것이 있는데요.

There is a tool that objectively estimates the lexical distance to assess the creativity of generated ideas.

인공지능 개발의 원천이 되는 Large Language Model 같은 데이터베이스를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시대가 되면서 가능해진 부분이죠.

It's a part that has become possible with the advent of an era where databases like Large Language Models, which are the sourc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development, can be easily utilized.

이러한 학술적인 논문들 외에도 조나 레에러 같은 작가들의 책에서도

In addition to these academic papers, in the books of writers like Jonah Lehrer as well.

창의력이 가진 재미있는 특성들,

The interesting characteristics of creativity,

이를 읽어보실 수가 있고요.

You can read this.

창의성 평가가 주목을 받으면서 우리는 이제 어떻게 더 창의적인 사람이 될 수 있을까?

As the evaluation of creativity gains attention, how can we become more creative people?

혹은 어떻게 우리의 창의력을 더 증진시킬 수 있을까를 고민을 하게 되고요.

Or we might wonder how we can further enhance our creativity.

그래서 이제 마이클 미칼코 같은 창의력 전문가들이 비즈니스적 측면에서 창의력 훈련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So now creativity experts like Michael Michalko offer creativity training from a business perspective.

미칼코의 저서에서는 쉽고 바로 응용 가능한 훈련법들이 많이 소개되어 있어요.

Mikalko's works introduce many training methods that are easy and immediately applicable.

자, 그러면 창의력의 원천은 어디인가요?

So, where is the source of creativity?

바로 뇌죠.

That's right, it's the brain.

언어적 결합이든,

Whether it is a linguistic combination,

확산적 사고,

Divergent thinking,

모든 모두 뇌가 하는 활동 중의 하나입니다.

Everything is one of the activities performed by the brain.

그래서 창의력을 공부하다 보면 이 뇌과학이랑 떨어져서 생각하기가 조금 힘들어요.

So when studying creativity, it's a bit difficult to think separately from neuroscience.

그래서 이제 논문들을 읽어볼 때 저는 이제 뇌 기능 관련해서 펜실베니아 주립대에 계시는 로저 비티 교수라든가,

So now when I read papers, I consider professors like Roger Beaty from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who focus on brain function.

아니면 오스트리아 그라츠 대학에 계시는 마티아스 베네덱 심리학 교수님,

Or Professor Matthias Benedek, a psychology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Graz in Austria,

이런 분들의 최신 논문들을 팔로워업하고 있고요.

I am following up on the latest papers from these individuals.

책 중에서는 마지드 포트위라고 하버드를 졸업하고

Among the books, it says that Majid Portwi graduated from Harvard.

존스 호킹스의 박사로 있으신

You are a doctor at Johns Hopkins.

이분의 저서가 좀 개괄적으로 이해하기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This person's book can be helpful for a general understanding.

좀 전에 설명을 하면서 우리가 흔히 연결지어 생각하지 않는 거를

While explaining a moment ago, we connected something that we often do not think of together.

우연한 기회에 연결을 한다고 설명을 드렸거든요.

I explained that it connects through a chance opportunity.

이 우연한 기회라는 것이 우리가 또 생각해 볼 수 있는 의식과 무의식의 관계입니다.

This chance occurrence is something that allows us to re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ciousness and the unconscious.

우리가 생활을 하면서 쓰는 거는 우리 의식이죠.

What we use in our daily lives is our consciousness.

그리고 무의식은 우리가 생각할 수 없고 드러나지 않지만

And the unconscious is something we cannot think of and does not reveal itself, but...

우리에게 우리의 삶에 영향을 주는 부분이라고 알고 있어요.

I know it's a part that affects our lives.

그래서 우리는 어떤 행동을 보고

So we are watching certain actions.

이거는 무의식적인 행동이야 라고 설명을 하죠.

This is explained as an unconscious behavior.

우리가 의식적인 주위를 기울이지 않는 상태에서 가능한 것들.

Things that are possible without our conscious attention.

예를 들어서 우리가 운전을 할 때 차를 운전을 하든 자전거를 운전을 하든

For example, whether we are driving a car or riding a bicycle when we drive.

핸들을 어느 방향으로 어느 각도만큼 돌려야 되고

You need to turn the handle in a certain direction and by a certain angle.

페달을 어느 정도로 세게 밟아야 되고

How hard do I need to press the pedal?

혹은 엑셀과 브레이크를 언제 어떻게 밟아야 되고

Or when and how to step on the Excel and the brake.

그리고 기어를 어떻게 변환을 시키고

And how do you shift the gears?

이런 것들을 생각하면서 하지 않거든요.

I don't do things while thinking about these kinds of things.

이런 경험을 통해서 우리 내에 학습이 되고요.

Through this experience, learning occurs within us.

이 학습이 우리 의식을 거치지 않고 운동신경을 자극하면서

This learning stimulates the motor nerves without passing through our consciousness.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행동을 할 수 있게 되는

We become able to act unconsciously.

이러한 부분들이 생기는데요.

These parts are emerging.

역시 마찬가지로 창의력 같은 경우에도

Likewise, in the case of creativity,

우리가 생각하지 않던 부분을 생각하게 하는

Making us think about aspects we hadn't considered.

의식과 무의식을 넘나드는 이러한 사고 과정이 필요하다고 보실 수 있습니다.

You might see this thought process that crosses between consciousness and the unconscious as necessary.

그런데 재미있는 거는 최근에 이제 닉 채터라고

Interestingly, recently, there is Nick Chatter.

영국의 워릭 경영대학 행동학과 교수로 계시는 분인데

He is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Behavioural Science at Warwick Business School in the UK.

이 분이 마인드 이즈 플렉스.

This person is Mind is Flex.

이라는 책을 냈어요.

I published a book titled "..."

한국의 정재승 박사님이 추천하셨던 책인가 그럴 거예요.

Is it a book that Dr. Jeong Jae-seung from Korea recommended? It must be.

이 책의 한글 제목은 생각한다는 착각이네요.

The Korean title of this book is "The Illusion of Thinking."

이 책에서 얘기하는 거는 내면 깊이 존재하고

What this book talks about exists deeply within.

우리를 오랫동안 조정하는 무의식이라는 존재는 없다는 거예요.

There is no existence of the unconscious that has been controlling us for a long time.

심리 분석학을 개척을 하면서 아주 큰 명성을 얻은 프로이트 아시죠.

You know Freud, who gained great renown while pioneering psychoanalysis.

오스트리아의 과학자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Austrian scientist Sigmund Freud is

인간 심리를 병리학과 접목해서 분석을 했는데요.

I analyzed human psychology in conjunction with pathology.

우리가 애기 때부터 조성된 공포나 트라우마

The fears or traumas that have been formed since we were babies.

특히 성적 욕구가 오랫동안 우리를 괴롭히면서

Especially as sexual desires have tormented us for a long time.

히스테리 또 신경질환을 발생시킨다 라고 결론을 내렸어요.

It concluded that hysteria also causes nervous disorders.

당시에는 센세이션을 불러일으키지만

At the time, it creates a sensation, but...

현대로 넘어오면서 많은 비판을 받았습니다.

It faced a lot of criticism when it transitioned to modern times.

다시 닉 채터의 얘기를 돌아와서

Returning to the story of Nick Chatter.

이 교수는 프로이트를 전면적으로 반박합니다.

This professor completely refutes Freud.

우리의 행동 패턴은 최근의 경험, 작업 기억과

Our behavior patterns are influenced by recent experiences and working memory.

순간적인 판단으로 일어나는 것이다 라고 얘기를 하죠.

It's said that it happens due to momentary judgment.

현재를 기준으로 직관적인 선택의 원리를 설명하면서

Explaining the principle of intuitive choice based on the present.

무의식이 무엇인지 재해석하고

Reinterpreting what the unconscious is.

생각하는 것이다 라고 말합니다.

It's about thinking.

누가 피자 먹을래? 치킨 먹을래? 하면 하나를 선택하게 되겠죠.

Who wants to eat pizza? If someone asks if you want to eat pizza or chicken, you will have to choose one.

그건 오랫동안 무의식적으로 선호하고 있던 메뉴라서가 아니라

It's not because it's a menu that I've unconsciously preferred for a long time.

그냥 그 순간 기분에 충실해서

Just being true to the feelings of that moment.

혹은 그 전날 먹은 메뉴를 떠올리면서 선택한 결과라는 겁니다.

Or it means that the choice was made by recalling the menu from the day before.

그리고 무의식은 요즘에 거의 모든 뇌과학자가 설명을 하듯이

And as almost every neuroscientist explains these days, the unconscious...

우리의 인지과정과 판단과정을 효율적이고

Our cognitive processes and decision-making processes efficiently...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한 예측 기재다 라는 겁니다.

It is a statement that it is a predictive mechanism for smooth progress.

우리가 사과를 보았을 때

When we saw the apple.

사과의 형태와 색상은

The shape and color of the apple are

시신경 세포를 통해서 정기적인 형태로 뇌로 전달이 되는데요.

It is transmitted to the brain in a regular form through the optic nerve cells.

이 신경 자극이 이제 뇌 중추에 도달하기 전에

Before this nerve stimulation reaches the central brain.

뇌에서 예측 정보가 만들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고 하거든요.

They say you can see predictive information being generated in the brain.

이 예측 정보를 입력된 정보와 비교해서

Compare this prediction information with the entered information.

실제의 사물 혹은 현장 등을 이해를 하는 거죠.

It's about understanding real objects or situations.

수학적으로 좀 접근을 해 볼까요?

Shall we approach it from a mathematical perspective?

우리의 뇌는 1초에 1100만 비트의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고 합니다.

Our brain can process 11 million bits of information per second.

근데 일반 사람들이 의식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는 많아야

However, there should be a lot of data that ordinary people can consciously utilize.

40에서 50비트 정도거든요.

It's about 40 to 50 beats.

그러면 나머지 1000만 비트의 정보는

Then what about the remaining 10 million bits of information?

무의식상에서 생산하고 처리하는 예측 정보인 거죠.

It's information that is produced and processed in the unconscious.

이런 방대한 양의 예측이 무의식 속에 쏟아지는데

Such a vast amount of predictions is poured into the unconscious.

데이터베이스가 크니까 의식상에서는 아주 작은

Because the database is large, it's very small in consciousness.

필요한 부분만 취할 수 있게 됩니다.

You will be able to take only the necessary parts.

어떻게 보면 인공지능의 원리랑도 비슷하죠.

In a way, it's similar to the principl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또 반대로 말하면 우리가 주위를 기울이는 중심 시야가 아닌

Conversely, it means not the central vision that we focus on.

주변 시야에서 예측에 어긋나는 정보가 갑자기 들어오면

When unexpected information suddenly comes into peripheral vision,

즉각적인 반응을 할 수 있기도 하죠.

You can also have an immediate reaction.

이 경고가 의식을 유도하는 겁니다.

This warning is meant to induce awareness.

그리고 무의식이 무작위적으로 생성하는 정보 중에서

And among the information generated randomly by the unconscious mind,

특정 목적에 부합하는 정보가 확인되면

When information that meets a specific purpose is confirmed

의식이 이를 포착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탄생할 수도 있는 거죠.

Consciousness can capture this, and creative ideas may be born.

한편으로 의식은 무의식의 활발한 활동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도 있어요.

On the one hand, consciousness can be seen as playing a role in suppressing the active activities of the unconscious.

의식이 제대로 통제하지 않으면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수가 있거든요.

If consciousness is not properly controlled, it can interfere with daily life.

예를 들어서 우리가 꿈을 꾼다던가 환각과 환청을 본다던가 하는

For example, we might dream or experience hallucinations and hear things.

비정상적인 상황이 바로 무의식의 활동을

An abnormal situation is the activity of the unconscious.

아주 살짝 가늠해버리는 거죠.

You just slightly gauge it.

이렇게 볼 수 있는 단서가 될 수 있을 것 같아요.

I think this could be a clue that can be seen this way.

갑자기 이제 꿈 얘기가 나오니까 생각이 나는데

Suddenly, now that we're talking about dreams, I remember something.

심리학자들이 한 실험 중에서 그런 게 있어요.

There is an experiment conducted by psychologists that involves that.

자고 있는 사람에게 어떤 음성을 들려주고

Playing a voice to someone who is sleeping.

그 영향력이 의식적인 삶에 얼마나 영향을 줄 수 있을까 실험한 건데요.

It was an experiment to see how much that influence can affect conscious living.

여기서 피 실험자들은 정치적으로 진보 혹은 보수를 강력히 지지하는 사람들이었습니다.

The test subjects here were people who strongly supported either political progressivism or conservatism.

그리고 반대 진영을 옹호하는 긍정적으로 논쟁하는 음성을 들려주었죠.

And they presented a positively argumentative voice in support of the opposing side.

그리고 일어났을 때 사람들은 자기가 무엇을 들었는지

And when they woke up, people wondered what they had heard.

기억은 전혀 하지 못했어요.

I can't remember at all.

근데 설문조사를 해보니까 이전보다 훨씬 상대 진영에 대해서

However, after conducting the survey, it seems that compared to before, there is much more understanding of the opposing camp.

우호적인 태도로 변했다는 요의미한 결과가 나왔었죠.

There was a significant result indicating that it changed to a friendly attitude.

우리가 의식적으로 소환할 수 있는 정보는

The information we can consciously summon is

우리가 실제로 보유한 기억들의 아주 작은 파편에 불과할 수도 있다는 거예요.

It could just be a tiny fragment of the memories we actually possess.

그러면 이런 무의식을 조금 더 자극해서

Then, by stimulating this unconscious a little more,

자유로운 발상이 가능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될까요?

What should we do to enable free thinking?

식센츠 미아이 교수는 이 질문에 대한 답을

Professor Sik-Sents Mi-Ai answers this question.

몰입, Flow State에서 찾았습니다.

I found it in immersion, in the flow state.

미아이 교수님은 창의력 관련 연구에서

Professor Mi-ai is involved in research related to creativity.

여러 중요한 통찰을 남기셨는데요.

You have left several important insights.

특히 이 Flow는 창의적 과정에 있어서

In particular, this flow is essential in the creative process.

아주 중요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

It is one of the very important concepts.

어떤 거냐면 여러분 혹시 그림을 그려보셨나요?

Have you all ever tried drawing?

아니면 글을 쓴다던가

Or write something.

안 풀리는 수학 문제에 매달려서 해답을 찾는다던가

Struggling with a math problem that won't solve, trying to find the answer.

설거지를 열심히 했다던가

I heard you worked hard on the dishes.

아니면 엄청 재미있는 영화를 볼 때

Or when watching a really fun movie.

그럴 때도 이 Flow를 경험하셨을 수 있어요.

You may have experienced this Flow at that time as well.

바로 한 과제에 몰입을 함으로써

By immersing in a task right away

주변 환경의 변화를 감지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하는데요.

It refers to a state of not being able to detect change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그렇게 뭔가에 몰두를 하게 되면

When you become deeply absorbed in something...

누가 이름을 불러줘서 잘 못 듣고요.

I couldn't hear well because someone called my name.

우리가 시간이 가는 줄 몰랐다고 하잖아요.

They say we didn't realize time was passing.

그게 가장 큰 Flow 상태의 특징이에요.

That's the biggest characteristic of the Flow state.

그런데 이러한 상태를 의도적으로 이끌어내려면 어떻게 해야 될까요?

So, how can we intentionally bring about this state?

연구자들은 명상이나 걷기, 가볍게 달리기 혹은 샤워하기 등을 꼽습니다.

Researchers point to activities such as meditation, walking, light jogging, or taking a shower.

원하시면 당장 해보세요.

If you want, go ahead and try it right now.

아침마다 조깅 코스를 정해서

Every morning, setting a jogging course.

같은 패턴으로 꾸준히 달리다 보면

If you keep running consistently with the same pattern,

달리는 동안 자유로운 생각들이 불쑥불쑥 떠오르는 경험을 하실 수 있을 거예요.

You will likely experience sudden free thoughts that pop up while running.

저는 개인적으로는

Personally, I...

음악은 따로 듣지 않는 것을 추천드려요.

I recommend not listening to music separately.

아니면 긴장을 풀고 샤워를 하면서

Or relax and take a shower.

떠오르는 생각들을 애써 붙잡아 두려고 하지 않는 연습을 해보세요.

Try practicing not to forcefully hold on to the rising thoughts.

한 생각 다음에 다른 생각들이 꼬리를 물고 나타날 때

When one thought leads to another, and they follow like a chain.

약간 방관자처럼 지켜만 보는 거죠.

It's like just watching passively.

그러다 보면 고민하고 있던 문제들의 해결책이 번뜩 떠오르는

Then, solutions to the problems you've been pondering will suddenly come to mind.

환희를 맞이하실 수도 있을 거예요.

You may be able to welcome joy.

창의력에 대해서 이렇게 다양한 연구 주제들이 있고

There are various research topics related to creativity.

다양한 발견들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Various discoveries are being made.

오늘날 빼놓고 생각할 수 없는 것이 바로

What cannot be left out of consideration today is 바로

인공지능이죠.

It's artificial intelligence.

저희 앞선 에피소드에서도 많이 다뤘죠.

We talked a lot about it in our previous episodes.

시대를 앞서서 70년대부터 창의력과 인공지능을 엮어서 연구한

Ahead of its time, it has been researching the combination of creativit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since the 1970s.

마가렛 보든이라는 서섹스 대학의 교수님이 계십니다.

There is a professor named Margaret Borden at the University of Sussex.

이분은 창의력이 무엇이고

This person is asking what creativity is and

어떤 정신적 메커니즘을 통해 발생하는가에 대한 통찰을

Insights into the mental mechanisms through which it occurs.

여러 논문과 책을 통해서 설파했는데요.

I have explained it through various papers and books.

일찍부터 인공지능에 관심이 많으셔서

You have shown a strong interest in artificial intelligence from an early age.

어떻게 인공 창의성을 만들 수 있을지 고민하고

Thinking about how to create artificial creativity.

그 가능성이 역으로,

That possibility, conversely,

이 창의성을 설명할 수도 있겠다라고 보셨어요.

You might be able to describe this creativity.

저도 요즘 다음 연구를 위해서 실험 설계를 하고 있는데요.

I am also designing experiments for my next research these days.

기존에 하던 연구와 이어지는 실험 내용을 짜고 있기는 한데

I am organizing the experimental content that continues from the research I was doing previously.

자꾸 이 인공지능의 창의력과 관련한 연구를

I'm repeatedly researching the creativity of this artificial intelligence.

어떻게 풀어볼 수 있을까 같이 고민을 하게 돼요.

I find myself contemplating how we can solve this together.

너무 철학적인 접근이라고

It's too philosophical of an approach.

이제 저의 지도교수님은 단박에 거절하실 것 같지만요.

I think my advisor will immediately refuse it.

나름 몇 가지 예비적으로 시뮬레이팅을 해봤었는데요.

I've done some preliminary simulations on my own.

현재 인공지능 레벨에서는 확실히 한계가 있기는 해요.

At the current level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re are definitely limitations.

가지고 있는 정보를 자유롭게 융합하고

Freely combine the information you have.

해치할 수 있는 인간의 창의력과는 다르게

Unlike the destructive creativity of humans.

인공 창의력은 패턴 분석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Artificial creativity is based on pattern analysis, so

데이터로 존재하지 않는 추상적인 혹은

Abstract or non-existent in data

근본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스스로 추론을 할 수가 없더라고요.

I can't seem to draw my own conclusions about fundamental issues.

그렇다면 현 시점에서 우리가 기대할 수 있는

Then, what we can expect at this point is

인공 창의력의 범위는 어디까지인가

What is the extent of artificial creativity?

그리고 이것을 우리는 어떻게 평가하고

And how do we evaluate this?

앞으로의 방향성을 기대할 수 있을까

Can we expect the direction for the future?

좀 더 생각해 볼 필요는 있겠죠.

I guess we need to think about it a bit more.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That's it for today.

감사합니다.

Thank you.

그럼 다음에 또 만나요.

Then see you next time.

감사합니다.

Thank you.

Continue listening and achieve fluency faster with podcasts and the latest language learning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