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생 시대의 현실 가능한 유토피아 상상하기 | 정지우 작가, 김희삼 교수, 진미정 교수, 정준희 교수

세상을 바꾸는 시간 15분

세상을 바꾸는 시간 15분

저출생 시대의 현실 가능한 유토피아 상상하기 | 정지우 작가, 김희삼 교수, 진미정 교수, 정준희 교수

세상을 바꾸는 시간 15분

사람들한테 어저께 했던 모든 일들을 시간대별로 나열하게 했어요.

I had people list all the things they did yesterday by time.

얼마나 행복감을 느꼈는지 1점에서 6점까지 평가하겠거든요.

I would rate how happy I felt from 1 to 6.

그걸 좀 평균을 해보니까

When I averaged that out a bit,

저희 아이 친구의 엄마들이 저희 아내한테 그런 얘기를 했대요.

The moms of my child's friends told my wife that kind of story.

A 아빠가 복지다.

Dad is a blessing.

애랑 이제 애 친구들이 있으면 그냥 데리고 와서 집에서 뭐 수박 깎아주고 놀게 하고

Now, if Aeri has friends, just bring them over and let them play at home while we cut some watermelon for them.

자고 싶다 그러면 씻겨서 같이 재우고 이런 걸 제가 재밌어해가지고

I want to sleep, so I think it's fun to wash up and then sleep together.

맞네요.

That's right.

네 안녕하십니까 2024년 유네스코 토크

Hello, this is the 2024 UNESCO Talk.

이번에 네 번째 제가 사회를 맡고 있는데요.

This time, I will be the host for the fourth time.

초저출생이라고 하는 문제는 전 세계가 주목을 하고 있어요.

The issue of extremely low birth rates is drawing attention from around the world.

싱가포르라든가 대만 그리고 대한민국 같이

Like Singapore, Taiwan, and South Korea.

엄청난 경제성장을 이룬 이 동아시아의 나라들에게서

From these East Asian countries that have achieved remarkable economic growth.

극도로 위축되고 축소되는 사회 현상들이 나타나고 있다.

Extreme withdrawal and shrinking social phenomena are emerging.

라는 그런 진단을 내리기도 했습니다.

It was diagnosed as such.

이 이야기는 뭐냐면

What this story is about is...

이 성큼 다가온 현실이라고

This is the reality that has arrived so close.

하는 것이 우리의 성공에 곧바로 이어진 실패라고 하는 것이죠.

What we do is directly linked to the failures that lead to our success.

그리고 이것이 너무 지나치게 빨라서

And this is too fast.

우리가 그것을 대응하지 못하는 그런 현상들이 일어나고 있다는 점이 대단히 중요해 보입니다.

It seems very important that such phenomena are occurring that we are unable to respond to.

이 상황은 분명히 디스토피아적인 요소들이 있습니다만

This situation clearly has elements of dystopia, but

우리 유네스코가 여러분들께 희망을 억지로 심어주기보다

Rather than forcibly instilling hope in you, we, UNESCO,

그 희망의 가능성이나 단초를 여러분들 스스로부터 발견해내는 그런 자리를 마련하고자 했고요.

I wanted to create a space where you can discover the possibilities or hints of that hope for yourselves.

오늘 이 논의를 통해서

Through today's discussion,

작은 희망이라도 그리고 좋은 실천의 계기라도 한번 확인해 보셨으면 좋겠다 싶습니다.

I hope you would take a moment to confirm even a small hope or a good opportunity for action.

이번에 그 제목이 아시다시피 저출생 시대 현실적 유토피아 상상학입니다.

This time the title is, as you know, "Imagining a Realistic Utopia in the Era of Low Birth Rates."

굉장히 아름다운 말이지만 이 말이 각 강연자분들이라면 어떤 방식으로 나는 전달하고 싶을까

It's a very beautiful statement, but I wonder how each speaker would want to convey this in their own way.

이 현상을 어떤 말로 전달하고 싶을까 이런 생각을 한번 해봤어요.

I've thought about what words I would like to use to convey this phenomenon.

그래도 작가님이 제일 먼저 하셔야겠죠.

Still, the writer should do it first.

정지우 작가님.

Writer Jeong Ji-woo.

네. 저는 제목 너무 마음에 드는데요.

Yes. I really like the title.

유네스코 훌륭한 것 같습니다.

I think UNESCO is great.

다만 이제 제가 강의했던 어떤 제가 이야기했던 주제랑 조금 더 어울리는 만약에 제목이 있다면

However, if there is a title that is a little more fitting with the topics I have lectured about and the things I have discussed,

뭐 이 정도 제목은 생각해 봤는데 사막에서 오아시스 넓혀가기.

I thought of a title like this: Expanding the Oasis in the Desert.

저는 우리 사회가 어떤 지금 사막 한가운데 있고 사람들이 그 사막에서 뭔가 살아남기 위해서

I believe our society is currently in the middle of a desert, and people are trying to survive in that desert.

마지막 남은 무릉덩이에 막 몰려드는 약간 그런 사회처럼 느껴져요.

It feels like a bit of a society that's just crowded into the last remaining pit.

그래서 뭐 어떤 수도권 집중 서울 집중도 더 심해지는 것 같고

So it seems that the concentration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in Seoul is getting even more intense.

그래서 어떻게 하면 이 사막 가운데 살아남을 수 있는 곳이 어디 있을까 이런 것들을 막 찾아 헤매는 와중에

So while I was searching for places where I could survive in the middle of this desert,

어떤 이런 여러 가지 현상들로 나타나고 이런 것들이 있는 것 같은데

It seems that there are various phenomena like this that are appearing.

어쩌면 우리 사회가 점점 사막화되고 있는 건 사실일지 모르겠지만 그 안에서 오아시스를 넓혀갈 수 있다면 참 좋을 것 같다.

It may be true that our society is gradually desertifying, but it would be great if we could expand the oasis within it.

어떤 환대의 공간 배려와 다정의 공간을 넓혀갈 수 있다면 참 좋을 것 같다.

It would be great if we could expand the space of hospitality and consideration, and the space of warmth.

그런 오아시스 넓혀가기라는 것을 제가 한번 생각을 해봤습니다.

I have thought about expanding such an oasis.

사막에서 오아시스 넓혀가기.

Expanding the oasis in the desert.

다음 책 제목 나왔습니다.

The next book title has been released.

자 그러면 진미정 교수님. 어떤 제목 주실까요?

So, Professor Jin Mi-jeong, what title will you give?

저는 사실 그렇게 좀 근사한 제목은 생각하기 머릿속에 금방 떠오르지는 않는데요.

Actually, a nice title doesn’t come to my mind quickly.

그냥 사실 오늘 뭐 초대와 응원과 뭐 굉장히 중요한 키워드들이

It's just that today, things like invitation, support, and other very important keywords...

나왔잖아요.

It came out.

저는 사실은 나의 생애에서 내가 할 수 있는 범위에서

Actually, in my lifetime, within the range of what I can do,

내 힘 안에서 할 수 있는 것들을 좀 생각해 봤으면 좋겠다라는 뜻으로

I hope you think about the things you can do within your own strength.

말씀을 오늘 드린 거였거든요.

I was talking about it today.

저는 사실 나와 다른 사람과 함께 살아가기라는 것이 제일 중요한 저의 키워드였던 것 같아요.

I think the most important keyword for me has been living together with others who are different from me.

나와 다른 사람과 살아가기.

Living with others who are different from me.

우리 김희삼 교수님은 또 이 중간 어딘가에서 하실 것 같은데

I think our Professor Kim Hee-sam will do it somewhere in between.

어디가에서 하실 것 같은데 한번 들어볼까요?

Where do you think you'll do it? Shall we give it a listen?

언제든 안길 수 있는 미래.

A future where I can be embraced anytime.

제가 디스토피아라고 이런 말을 들으면 저한테 디스토피아의 대표적인 이미지는 은둔 청년.

When I hear the word dystopia, the representative image of dystopia for me is a reclusive young person.

핵게이나 무가족화가 만약에 진행되면 이런 경향들이 강화될 텐데 그러면 우리는 안길 존재가 있을까 이런 생각을 한 거죠.

If nuclear disarmament and depopulation progress, these trends will strengthen, and then I wondered if there would be entities to embrace us.

그런데 이제 그런 사회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되나.

So, what should we do to become such a society?

사실 자기 스스로가 누군가에게 언제든 안아줄 수 있는 그런 존재가 되어야 되는 거죠.

In fact, you need to become a being that can embrace someone at any time.

서로 서로 안아주는 존재.

A being that embraces each other.

그래서 여러분 한번 생각해 보세요.

So everyone, think about it for a moment.

지금 내가 언제든지 아무 말 없이 편하게 안길 수 있는 존재가 있는지.

Whether there is someone I can comfortably lean on without saying anything at any time.

혹시 없으면 울컥할 수도 있습니다.

If you don't have it, I might get emotional.

만들면 되는 거예요.

You just have to make it.

내가 먼저 그런 존재가 되어주면 되거든요.

I just need to become that kind of being first.

그래서 저는 제가 생각하는 유토피아.

So, I think of a utopia.

유토피아는 누구든지 언제나 안길 수 있는 존재를 가진 그런 사회였으면 좋겠다 이런 생각합니다.

I hope that utopia is a society where anyone can always find a being to embrace.

이번에는 사전에 받은 관객 여러분들의 질문이 있어서 그중에 눈에 띄는 질문 하나를 할 텐데

This time, there are questions from the audience that we received in advance, and I'm going to ask one of the standout questions from among them.

이게 왜 그러냐면 많은 분들이 실제로 해주는 반응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The reason for this is that many people actually give responses in that way.

인구 감소라고 하는 게 대단히 비관적인 어떤 분위기로 만들어지는데

The notion of population decline creates a very pessimistic atmosphere.

이 비관적 미래로 향하고 있다는 사회적 분위기가 부담스럽고 때로는 공포스럽습니다.

The social atmosphere heading towards this pessimistic future is burdensome and sometimes frightening.

긍정적인 면은 정말 없나요? 이런 질문도 해주셨어요.

Is there really no positive side? You've asked this question as well.

진미정 교수님은 한번 들어볼까요?

Shall we listen to Professor Jin Mi-jeong for a moment?

아무래도 우리가 저출생을 부정적인 현상으로만 받아들이고 하는 것들이

It seems that the way we perceive low birth rates is solely as a negative phenomenon.

이게 예측 가능하지 않은 우리의 미래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그런 것 같아요.

I think it's because it is connected to our future, which is unpredictable.

그동안은 어떤 정해진 이런 나의 개인의 생애나 사회의 발전 방향이나 이게 있었는데

Until now, there has been a predetermined direction for my personal life and the development of society.

지금은 그게 없다는 사실 때문에 그렇고

It's because of the fact that it doesn't exist right now.

또 우리가 대응할 수 있는 그런 상황이 있었는데

There was also a situation where we could respond.

우리가 대응할 수 있는 무엇인가를 만들어내기 전에 굉장히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It is progressing very rapidly before we can create something that we can respond with.

우리가 상상했던 것보다 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어서

It is progressing at a faster pace than we had imagined.

우리가 이걸 대응책도 마련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이게 직면해버리면

If we face this situation without being able to prepare any countermeasures...

정말 암울한 미래가 오는 거 아니야? 이런 것 때문에 그런 것 같아요.

Isn't a really bleak future coming? I think it's because of things like this.

그런데 사실은 이게 우리 사회의 여러 가지를 되짚어볼 수 있는 굉장히 좋은 기회라고 생각하거든요.

However, I actually think this is a very good opportunity to reflect on various aspects of our society.

우리가 그동안 놓치고 있었던 것들, 알지만 조금 미뤄놨던 것들

Things we've been missing out on, things we know but have postponed a bit.

이런 것들을 지금 다시 한 번 볼 수 있는 것 같아요.

I feel like I can see these things again now.

다시 되짚어볼 수 있고 지금이라도 그것들을 어떻게 잘 우리가 해결한다면

If we can reconsider and find a good way to resolve those things even now.

사실은 이게 꼭 부정적인 미래로 귀착될 것이다.

The truth is that this will inevitably lead to a negative future.

이렇게 생각하지는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I don't think we need to think this way.

적어도 기존의 병폐나 문제를 전면적으로 짚어보는 계기는 될 것이다.

At the very least, it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comprehensively address the existing ailments or problems.

정지우 작가님은?

What about the writer Jung Ji-woo?

사실 저는 근본적으로는 좀 부정적인 현상이라는데 아무래도 동의를 하는 입장인 것 같긴 한데

Actually, I fundamentally agree that it's a somewhat negative phenomenon.

한편으로는 우리가 이 미래를 뭐라 그럴까.

On one hand, what should we call this future?

알 수 없는 새로운 측면으로 볼 수 있는 면도 있는 것 같습니다.

It seems like there are aspects that we can see from an unknown new perspective as well.

예를 들어서 저 같은 경우에는 이게 만약에 인구 구조가 근본적으로 우리나라 내에서 무너진다면

For example, in my case, if the population structure fundamentally collapses within our country...

어떤 이민자분들이 굉장히 많이 늘어난다든지

Certain immigrants are increasing significantly.

어떤 우리나라가 더 적극적인 어떤 다문화 사회가 된다든지

Which of our countries becomes a more proactive multicultural society.

이런 측면이 하나의 새로운 사회, 새로운 세계로 나아가는 과정일 수도 있다는 생각은 들어요.

I think this aspect could be part of the process of moving toward a new society, a new world.

예를 들어서 우리가 외국에 여행을 가보면 런던이나 파리나 뉴욕에 가보면

For example, when we travel abroad and visit places like London, Paris, or New York.

우리나라 서울보다는 훨씬 외국인들이 많고

There are many more foreigners here than in our country, Seoul.

훨씬 더 다양한 인종들이 섞여 살아가고 있는데

A much greater variety of races are mixing and living together.

그런 모습이 또 우리나라 서울이나 우리나라에서도 많이 펼쳐질 수 있지 않을까.

I wonder if such scenes could also be seen a lot in our country, Seoul, or elsewhere in our nation.

그런 것들이 어떻게 보면 또 하나의 새로운 사회로 나아가는 모습일 수도 있지 않을까.

In a way, could those things be seen as a step toward a new society?

그런 상상도 해볼 수도 있고.

You could also imagine something like that.

그런 면에서 본다면 이것이 대멸망, 핵폭발 이런 것은 아닐 수 있다는 거죠.

In that sense, this cannot be seen as a great extinction or a nuclear explosion.

그러나 이제 당장은 좀 부정적인 측면이 있을 수밖에 없다는 점은 공감도 가고 그런 것 같습니다.

However, I can understand that there are inevitably some negative aspects at the moment.

부정적인 건 맞다.

It's true that it's negative.

그런데 다양성을 위한 계기는?

But what is the catalyst for diversity?

또 안 되지 않을까 이런 생각도 주셨네요.

I also thought, "What if it doesn't work again?"

김희삼 교수님.

Professor Kim Hee-sam.

학자들이 그런 시도를 해보기는 했거든요.

Scholars have attempted such endeavors.

예를 들자면 아이 한 명이 태어났을 때 그게 사회적으로는 득이 많을까요 실이 많을까요?

For example, when a child is born, is it more beneficial or more disadvantageous for society?

그건 어떻게 따질 수 있을까요?

How can that be justified?

경제학자들은 이렇게 따집니다.

Economists argue like this.

자, 걔가 태어났어.

Well, he/she was born.

태어났을 때 사회적인 이득이 될 수 있는 것은 우선은 얘가 태어났기 때문에 좋은 점들은 예를 들자면

When a child is born, the social benefits that can arise include, for example, the positive aspects of their existence.

공공재 생산을 할 수 있는 것.

The ability to produce public goods.

생산을 한다고 했을 때 우리가 엠빵을 하잖아요.

When we say we are producing, we are making a plan.

세금을 내야 되는데 머릿수가 하나 더 늘어나는 거예요.

I have to pay taxes, but the number of heads is increasing by one.

생산에 더 가담할 수도 있고.

They could also get more involved in production.

그런데 이제 그 아이 한 명이 태어났을 때 우리가 또 걔가 혼잡이라든지 경쟁을 더 유발할 수 있잖아요.

However, now that one child has been born, we could also cause more congestion or competition with them.

그런 생각을 해보면 우리가 인구가 감소했을 때 그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라는 거죠.

If you think about it, there are positive aspects to our population decline.

그러니까 혼잡도가 좀 줄어들 수 있고 경쟁이 좀 완화될 수도 있고 그다음에 환경 파괴도 좀 줄어들 수도 있어요.

So the congestion level can decrease, competition may ease a bit, and environmental destruction could also be reduced.

그러니까 예를 들자면.

So, for example.

우리나라는 탄소 배출량이 1인당 탄소 배출량이 굉장히 많은 축에 속해요.

Our country has a very high per capita carbon emission.

미국까지는 아니지만.

It's not all the way to America, but.

그랬을 때 인구, 그러니까 한 명이 줄어든다는 것 자체가 인구가 감소한다는 것은 어떻게 보면 더 지속 가능한 사회로 갈 수 있는 측면이 환경적인 측면에서는 있다라는 거죠.

At such times, the reduction of population, meaning one less person, can, in a way, be seen as an aspect leading to a more sustainable society from an environmental perspective.

그래서 그런 것들은 분명히 도움이 되기도 하고요.

So those things can definitely be helpful.

그런데 이제 부정적인 측면은 이제 아까 말씀드린 것과 반대겠죠.

However, the negative aspect would be the opposite of what I mentioned earlier.

그러니까 일하는 사람들의 부담이 좀 너무 많이 늘어날 수도 있고 그다음에 사회보험 같은 경우에도 보면 신참들이 들어와야지 고참들이 계속.

So, the burden on the working people might increase a bit too much, and in the case of social insurance, the newcomers need to come in so that the veterans can continue.

사회보험에서 뭔가 수급을 할 수가 있는데 이제 그게 끊기니까 사실 재정이 악화가 되는 거죠.

There is something that can be received from social insurance, but now that it has been cut off, the financial situation is actually deteriorating.

그래서 그런 득실들을 따져가지고 학자들은 최적의 출산율이 얼마다라고 최적의 인구 규모가 얼마다라고까지 추산하는데 그거 다 불완전한 거예요.

So, by weighing those gains and losses, scholars estimate what the optimal birth rate is and what the optimal population size is, but all of that is incomplete.

사회적인 득실을 정확하게 누락 없이 계산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거든요.

Calculating social gains and losses accurately without any omissions is nearly impossible.

그런데 지금 우리가 느끼는 이 공포는 사실 기존에 우리 인구 규모가 갖고 있었던 관성들이 너무 강하기 때문에 교육 시스템이라든지 지금 국방 시스템이라든지.

However, the fear we are feeling now is actually due to the strong inertia from the existing scale of our population, such as in the education system or the current defense system.

연금, 사회복지, 재정, 의료 등등이 다 흔들릴 수 있기 때문에 거기에 대한 공포를 가지고 있는 것이고요.

There is a fear regarding that because pension, social welfare, finance, healthcare, and so on can all be shaken.

그런데 아까 말씀하셨던 것 같이 우리가 발전주의 모델이라든지 기존에 우리가 갖고 있었던 가치관 이걸 돌아볼 수 있는 자성의 계기로써는 상당히 아주 센 놈이 맞다 라는 생각이 들긴 합니다.

However, as you mentioned earlier, I think it is indeed a very strong opportunity for introspection to reflect on the developmentalist model and the values we have held in the past.

저도 이제 관련 토론 여러 번 해보면서 인구학자들이나 이런 분들 만나보면 사실 계산은 뻔합니다.

Having participated in several related discussions and met with demographers and others, I find that the calculations are actually quite obvious.

이게 추산이라는 게 있어서.

There is something called estimation.

사회가 곳곳이 다 인구 문제하고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어떤 미래가 펼쳐질지 적어도 과학적으로는 답이 남아 있어요.

Since society is closely connected to population issues in various ways, at least scientifically, there are answers regarding what kind of future may unfold.

그러니까 30년 뒤에 걸 알게 돼요.

So you'll find out in 30 years.

그런데 우리 인간의 특성이라고 하는 게 중간에 뭘 하냐에 따라서 미래는 또 똑같은 게 아니기 때문에.

However,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us humans mean that our future isn’t the same depending on what we do in between.

그래서 인구학자들이 이런 얘기를 말씀 많이 하시더라고요.

So demographers say a lot about this.

일단 알아야 된다.

You need to know it first.

이게 어떤 의미인지.

What this means.

사회 구성원이.

Social members.

그러다 한편으로는 대응.

On the other hand, responding.

다시 한 번 이걸 속도를 늦추기 위한 대응을 해야 되고 다른 한편에서는 적응.

Once again, we need to respond to slow down this process, while on the other hand, we need to adapt.

이렇게 되는 상황들에.

In situations like this.

우리는 그럼 뭐 하죠.

So what do we do now?

우리가 할 것인가라는 것들을 해야 된다.

We must do the things we are supposed to do.

이 복합적인 것들이 필요한데 이게 이제 개별 개인들이 하기가 참 어려워서 생기는 문제들이 좀 있는 거겠죠.

These complex things are necessary, but it can be quite difficult for individual people to handle them, which likely leads to some problems.

이따가 아마 정책 얘기하면서 좀 해보면 어떨까 싶고요.

I think it would be good to talk about policy a bit later.

자 이제는 이제 강연해 주신 부분들하고 좀 연관을 지어서 개별적으로 좀 질문을 드리면 어떨까 싶은데.

Now, I think it would be good to ask individual questions related to the parts you just lectured on.

일단은 정지우 작가님께 제가 질문을 드릴 텐데 아까 정지우 작가님의 말씀 중에 전 제일 인상적이었던 건 문고리 비유였었어요.

First of all, I would like to ask a question to writer Jeong Ji-woo, and among what writer Jeong Ji-woo said earlier, the metaphor of the doorknob was the most impressive to me.

이 삶이라고 하는 것 자체가.

The very thing called this life.

경제학적으로.

Economically.

경제학적으로 따지면 정말 어찌할 수 없는 경험제인데 살아보지 않으면 몰라.

From an economic perspective, it’s truly an experience that can’t be helped, but you won’t know unless you live it.

써보지 않으면 몰라.

You won't know until you try it.

중요한 건 물을 수가 없어.

The important thing is that I can't ask.

한 번 쓰고 나면.

Once you use it.

그래서 A라는 선택 B라는 선택 C라는 선택 D라는 선택 모두 다 마찬가지거든요.

So, choices A, B, C, and D are all the same.

경험해보지 않으면 모릅니다.

You won't know until you experience it.

그리고 그 선택이 엄청나게 잘못된 선택이다라는 걸 나중 가서 안다고 해서 물을 수가 없어요.

And just because I realize later that that choice was incredibly wrong, I can't regret it.

근데 유독 결혼이나 육아라는 선택만 다 본 것 같아.

But it feels like I've only seen the choices of marriage and parenting.

내가 다 경험한 것 같고.

I feel like I've experienced it all.

그리고 이걸 했을 때 내가 망할 것 같아.

And I feel like I will fail when I do this.

근데 나머지는.

But the rest is.

나머지는 아닐 것 같아.

I don't think it will be the rest.

경험에 대한 평가가 굉장히 다르다는 거죠.

The evaluation of experience is very different.

다 간접 경험임에도 불구하고.

Despite being all indirect experiences.

왜 그럴까.

I wonder why that is.

경험해보신 입장에서 아까 또 얘기를 해주셨는데.

You mentioned it again from your experience earlier.

이 부분에 대해서 좀 주고 싶은 말씀은 없으신가.

Do you have anything you'd like to say about this part?

네.

Yes.

상당히 인생 철학적인 심오한 질문을 해주신 것 같습니다.

It seems that you have asked a quite profound and philosophical question about life.

저희 교수님께서.

Our professor.

사실 저는 이제 결혼을 하고 아이가 태어나면서 너무 깜짝 놀랐던 그런 내적인 경험이 있었는데요.

Actually, I had a surprising internal experience when I got married and had a baby.

사실 결혼을 할 때만 하더라도 들지 않았던 생각인데 아이가 태어나는 그 순간 딱 느꼈는데 아 이거는 물을 수가 없구나.

Actually, I didn't think about it until I got married, but the moment the child was born, I felt it clearly: ah, this can't be asked.

우리가 생명의 탄생과 죽음이라는 것은 물을 수가 없다.

We cannot question the birth and death of life.

이거는 엄청난 무게로 다가오는 선택인 거죠.

This is a choice that comes with immense weight.

굳이 문이 이렇게 있다고 한다면 그 문 중에서 제일 무거운 문이에요.

If there has to be a door like this, it's the heaviest door among them.

문 열고 들어가는 순간 다시 돌아 나올 수가 없는 다른 분들은 그래도 돌아 나올 수가 있다면.

The moment you open the door and go in, you can't come back out again, while others can still come back out if they want to.

근데 그러다 보니까 저는 이 아이가 태어나면서 느꼈던 정말 첫 번째의 가장 높은 문제는.

But as I was thinking about it, the biggest issue I felt when this child was born was.

아이가 태어나면서 느꼈던 정말 첫 번째의 가장 높은 문제는.

The very first and highest issue I felt when the child was born is.

그 불가역성 인생의 불가역성을 처음으로 느꼈었는데 그러다 보니까 저는 주변에서 제 동생을 비롯해서 제 사촌들도 그렇고 아이를 낳을까 물어보는 것에 대해서 섣불리 낳으면 좋아라고 말을 할 수가 없는 게 이 선택은 물을 수가 없다.

I first felt the irreversibility of life, and because of that, I couldn't casually say to my siblings, including my younger brother, or my cousins who ask if they should have children, that it's good to just go ahead and have them; this is a choice that cannot be taken lightly.

이 선택만큼은 불가역적이다.

This choice is irreversible.

세상에 있는 모든 선택과는 다르다라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I feel that it's different from all the choices in the world.

근데 제가 아이가 태어나고 나서 뭘 느꼈냐면 그 가운데에서 아 근데 삶은 어쩌고.

But after the child was born, I felt like, well, what about life?

어떻게 보면 원래 비가역적인 거구나.

In a way, it really is irreversible.

왜냐하면 우리 지나간 삶은 다신 돌아오지 않잖아요.

Because our past lives will never come back.

어차피 지나간 시간 오늘 하루 자체가 알아봤더니 비가역적인 거였어요.

Anyway, the time that has passed, today itself, turns out it was irreversible.

근데 나는 수많은 것들을 선택할 수 있다고 믿었던 것뿐이었죠.

But I simply believed that I could choose among countless things.

근데 선택지가 많이 있으면 마치 그것을 다 선택할 수 있을 것 같지만 우리는 결국 그중에서 하나밖에 선택을 할 수가 없다는 것을 알게 되더라고요.

But when there are many options, it feels like we can choose all of them, yet we eventually realize that we can only select one from among them.

근데 그런 관점에서 저는 오히려 아이가 태어나서 아 이제는 삶을 물을 수 없구나.

But from that perspective, I rather think that once the child is born, I can no longer question life.

나는 다른 선택지보다는 이 선택에서 가장 좋다고.

I think this choice is the best one compared to other options.

좋은 삶의 가치를 찾아내고 삶에서 가장 중요한 것들을 느끼고 삶에서 가장 소중한 것들을 경험해야 되는 거다라고 느끼는 순간 훨씬 편해지더라고요.

The moment I realize that I need to find the value of a good life, feel the most important things in life, and experience the most precious things, I become much more at ease.

나는 선택지라는 게 나에게 행복한 가능성인 줄 알았는데 부담감이었네.

I thought that having choices meant happy possibilities for me, but it turned out to be a burden.

오히려 선택이라는 게 오히려 하나로 선택하고 났더니 오히려 안심이 되네.

Rather, after making a choice, I actually feel relieved.

난 여기서만 최선을 다하면 되는구나.

I just need to do my best here.

여기서 최고의 행복을 느끼면 되는 거다라고 느끼는 순간 오히려 삶이 되게 편해졌다라는 거고요.

The moment you feel that you just need to feel the greatest happiness here, life actually becomes much easier.

그래서 저는 많은 사람들이 많은 청년들이.

So I believe many people, many young people.

삶을 선택한다는 관점 앞에서 수많은 선택지들 앞에서 많은 고민을 하지만 삶이라는 것은 선택하고 나서 시작된다는 거.

In the face of the perspective of choosing life, I think a lot about the numerous options available, but life actually begins after you make a choice.

선택하고 나서 그 안에서 더 깊은 경험과 가치들이 끊임없이 질적으로 퍼올려진다는 것을 좀 얘기를 해볼 수 있지 않을까.

After making a choice, can we talk about how deeper experiences and values are continually brought to the surface qualitatively within that?

그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I had such a thought.

단순하게 말하면 살아봐야 안다 뭐 이런 제.

Simply put, you have to live to understand, something like that.

선택이라는 게 마치 이 선택 때문에 내가 엄청나게 달라질 것 같지만 사실은 들어가는 입구 정도고.

The idea of choice makes it seem like this choice will change me dramatically, but in reality, it's just the entrance.

그 이후에 달라지게 만드는 것은 그 이후에 나의 행동이다 이렇게 또 이해가 되긴 하네요 네.

What makes a difference afterward is my actions after that. I can understand it this way too, yes.

자 그러면 김희삼 교수님께 교수님의 말씀을 이제 제 나름대로 받아들이면 내가 아이를 낳지 않는 건 사실은.

Well, then if I interpret Professor Kim Hee-sam's words in my own way, the fact is that I am not having children.

누군가의 삶의 전개를 내가 내선해서 그냥 내 멋대로 막아버린 게 아닐까 이런 생각 같은 게 좀 들더라고요.

I can't help but wonder if I've just intervened in someone's life and blocked it off on my own accord.

누군가에게 탄생성을 줄 수 있을 것을 내수로 재단해서 막아버린 거죠.

You blocked the possibility of giving birth to someone by judging it through an internal lens.

이렇게 생각하면 좋은 점으로 가는데 요즘 친구들 같은 경우에 많은 경우.

If you think this way, there are good points, especially in the case of friends these days.

아까 이생망 얘기 나오고 흑수저 얘기 나온 것처럼 내가 무슨 자격으로 얘한테 탄생을 시켜 얘 삶이 어떻게 될지 뻔히 아는데 이런 식으로 이제 아마 생각하게 될 가능성이 훨씬 더 크겠죠.

Just like when we talked about the slush fund and the black spoon earlier, what right do I have to give birth to this child knowing full well how their life will turn out? It's much more likely that I'll end up thinking this way now.

이 부분에 대해서 어떤 말씀을 주실 수 있을까요.

What can you tell me about this part?

근데 한나 아렌트가 이제 탄생성을 이야기한 거는.

But what Hannah Arendt talked about is the concept of natality.

이제 개인이 존재적으로 유일무이하다라는 것에 가치를 가지고 있고 그다음에 출생 자체가 완전히 삶을 새롭게 시작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것 같아요.

I think that now individuals have value in being existentially unique, and that birth itself seems to have the ability to completely start life anew.

그니까 그 자체가 완전히 삶을 새롭게 시작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것 같아요.

So it seems that itself has the ability to completely start life anew.

그 자체가 완전히 삶을 새롭게 시작할 수 있는 능력이 부여된다라는 거예요.

It means that one is granted the ability to completely start life anew.

그래서 그거는 굉장히 무한한 가능성이죠.

So that has extremely limitless possibilities.

저는 이제 이거는 가능성에 불과한 것이지만 일단은 우리가 출발점으로서는 여기에 주목을 할 수밖에 없고 그러면 이렇게 태어났는데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것도 이제는 선택과 결단이 좀 남아있는 거죠.

This may only be a possibility, but for now, we have no choice but to focus on this as our starting point. Therefore, the question of how to live after being born like this also remains a matter of choice and decision.

거기에서 그 이후의 과제들이 펼쳐지는 건데요.

From there, the subsequent tasks unfold.

그런 생각이 들었어요.

I had that thought.

오늘 제가 행복 이야기를 많이 했잖아요.

Today, I talked a lot about happiness.

그러니까 이제 태어났는데 그럼 어떻게 살아야 될 것인가.

So now I've been born, what should I do to live?

그게 목적인데 일단 태어났으면 그 다음 과제는 뭐죠?

That's the purpose, but once you're born, what's the next task?

자신의 생존이에요.

It's about one's survival.

생명체이기 때문에.

Because it is a living being.

그래서 이제 제 수업을 듣는 제가 행복의 조건이라 수업을 하는데 학생들 중에도 그렇게 질문한 교수님 꼭 행복해야 됩니까?

So now in my class, I teach that I am the condition for happiness, and one of the students asked, "Does the professor really have to be happy?"

그냥 살면 안 되는 거예요.

You can't just live like that.

그 말이 정말 뼈 때리는 진실이에요.

That statement is really a painful truth.

대부분의 사람들은 매일 나 행복하다고 생각하면서 사세요.

Most people live each day thinking that they are happy.

그냥 사는 거예요.

I'm just living.

그런데 또 뒤집어서 생각해 보면

However, if we think about it from another angle...

인간은 행복감이 바닥을 치면 생명을 스스로 포기하기도 하는 아주 드문 존재예요.

Humans are a very rare existence that can sometimes give up their lives when their sense of happiness hits rock bottom.

그래서 우리는 나를 불행하게 만드는 것이 무엇인지 타인인지 나의 낮은 자존감인지 경제적인 궁핍인지 그걸 정확히 알아야 되고

So we need to accurately understand what makes me unhappy, whether it's other people, my low self-esteem, or financial difficulties.

그럼 나를 이 불행감에서 구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지 여기에 대해서 공부가 좀 필요하다는 거죠.

Then, it's necessary to study what can save me from this sense of unhappiness.

그래서 우리...

So we...

우리가 행복을 외치는 사회는 행복하지 않은 사회예요.

A society that shouts for happiness is an unhappy society.

정의를 외치는 사회는 별로 정의롭지 않은 사회예요.

A society that cries out for justice is not a very just society.

정의사회 구현 생각해 보시면 됩니다.

You can think about realizing a just society.

평등을 외치는 사회는 별로 평등하지 않은 사회예요.

A society that cries for equality is not very equal at all.

제가 지금 행복을 이야기하는 것도 낭만적인 것이 아니라 우리 사회가 별로 행복하지 않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The reason I'm talking about happiness right now is not because it's romantic, but because our society is not very happy.

사실 돌봄이라고 하는 게 한편으로는 정책적인 요소, 국가가 해야 될 요소가 있고

In fact, caregiving has both a policy aspect that is something the state should address.

또 다른 한편으로는 사실 대단히 민간적 요소, 문화적 요소가 있잖아요.

On the other hand, there are actually very significant private and cultural elements.

분위기 역량 엄청나게 많이 받고요.

I receive a lot of atmospheric energy.

국가의 정책만으로 할 수 없는 요소들이 분명히 있는데

There are clearly elements that cannot be addressed solely by the country's policies.

제 지인 중에 아이가 낳아서 수학학원을 주변에서 다 보내는데

Among my acquaintances, there is someone whose child has been sent to math academies nearby after being born.

이 친구가 별로 수학을 안 좋아하는 것 같아서 안 보냈더니 옆에 소문이 쫙 났더래요.

It seems this friend doesn't really like math, so I didn't send it, but there were rumors spreading around.

저 집 엄마는 개모인가 봐.

I guess that house's mom is a stepmother.

애를 이상하게 키워.

You're raising the child strangely.

이런 식의 얘기들이 되게 났고 그 아이의 인상에도 굉장히 역량을 미쳤다고 합니다.

Such conversations had a significant impact and reportedly influenced the child's impression deeply.

즉 우리가 아이를 키우고 뭔가 거기에 비용을 대고 하는 그런 과정이 굉장히 많은 부분.

In other words, raising a child and the process of covering the costs involved is a significant part of it.

누군가가 해서 시작되지 않은, 그러나 모두가 공유하고 있는 독특한 종류의 집단 압력 같은 것들이 있잖아요.

There are unique kinds of collective pressure that aren't initiated by anyone, but everyone shares.

이 집단 압력을 과연 바꿔낼 수 있을까?

Can this group pressure truly be changed?

어떤 식으로 좀 돌봄이 정말로 최상의 가치가 되는 그런 집단 압력을 만들어낼 수 있을까?

How can we create a kind of collective pressure where care truly becomes the highest value?

이런 생각도 좀 들 수 있을 것 같거든요. 어떠세요?

I think you might have such thoughts as well. What do you think?

제가 사실 최근에 읽고 있는 책 중에 하나가 집단 착각이라는 책인데요.

One of the books I've been reading recently is called "Collective Delusion."

거기 보면 그런 말이 나오잖아요.

If you look there, you'll see that kind of statement.

사실 나는 아무도 그렇게 개인적으로 물어보면

In fact, if anyone were to ask me personally like that...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데 우리 사회는 그럴 거야라고 생각하는 집단적인 수준의 착각이 있다.

I don't think so, but there is a collective level of illusion in our society that believes it will be that way.

그런데 저는 사실 이 육아도 그런 것 같거든요.

However, I actually think that parenting is like that too.

출산과 육아도 개개인한테 여쭤보면 굳이 사실 애들을 그렇게 키울 필요 없어요.

When you ask individuals about childbirth and parenting, there’s really no need to raise children in such a way.

이렇게 생각하지만 그렇지만 아까 말씀하신 것처럼 우리 사회는 이런 어떤 사회적 압력이 존재해.

I think this way, but as you mentioned earlier, there are certain social pressures in our society.

내가 그렇게 하지 않으면 동네에서 나를 이상하게 생각할 거야.

If I don't do that, the people in the neighborhood will think I'm strange.

우리 집을 이상하게 생각할 거고 우리 아이가 심지어는 왕따가 될 수도 있어.

They might think our house is strange, and my child could even be bullied.

이렇게 생각합니다.

I think这样.

이렇게 생각하는 그런 게 존재하는데 정말 그게 존재할까라고 따져서 들어가보면 사실은 아닐 수도 있다는 거예요.

There is something that you think like this, but when you delve into it and question whether it really exists, it might actually not exist.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는 곳은 저는 꼭 그렇지는 않다고 생각하거든요.

I don't think that's necessarily true for where most people live.

그런데 사람들이 그 표준이 사실은 전체적인 사회적인 표준일 거라고 생각하는

However, people think that the standard is actually a general societal standard.

어떤 우리도 알지 못한 사이에 형성된 집단적인 수준의 착각일 수도 있다라고 하는 것이 하나 있을 것 같고요.

It might be one possibility that it is a collective level of delusion formed in a way that none of us are aware of.

그리고 또 하나는 사실 돌봄을 하지 않는 사람들도 있잖아요.

And another thing is that there are indeed people who do not provide care.

직접적으로.

Directly.

제가 이제 오늘 응원이라는 말을 썼던 게 약간 그런 의미에서 썼던 거예요.

What I meant to say when I used the word "support" today is somewhat in that sense.

내가 직접 하지는 않지만 저 사람 저렇게 애쓰고 열심히 하는 거 되게 존중해.

I don't do it myself, but I really respect the effort and hard work that person puts in.

가치 있는 일이야.

It's a valuable thing.

응원해.

Cheer for you.

이런 것들은 사실은 돈이 들어가는 일은 아니라고 생각하거든요.

I actually don't think these things require money.

그러니까 우리 사회에서 내가 조금만 그렇게 다른 사람들의 하는 일을 응원한다면 개미 눈곱만큼 바뀔 수 있는 그런 단초가 생기지 않을까라고 생각하고

So I think that if I just support what others do a little bit in our society, it could create a spark for even a tiny change.

저는 할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I think it's something I can do.

그럼 바로 또 정 작가님께 자신의 선택은 의미가 있었잖아요.

Then, right away, it was meaningful for the writer Jung to make her choice.

아까 저는 후반부에 대단히 감동적인 이야기들이 많았고 저의 어떤 경험과도 굉장히 많이 교류된 그런 측면들이 있다고 느끼는데

Earlier, I felt that there were many deeply moving stories in the latter part, and I think there were aspects that resonated greatly with my own experiences.

남의 사례를 통해서 희망을 발견하거나 뭔가 가능성을 발견한 케이스들은 혹시 있으실까요?

Do you have any cases where you found hope or discovered some possibilities through someone else's example?

저희 아이 친구의 엄마들이 저희 아내한테 그런 얘기를 했대요.

The moms of my child's friends told my wife that.

너무 이제 같은 동네 가서 살고 싶다.

I really want to live in the same neighborhood now.

아파트 가서 살고 싶다.

I want to go live in an apartment.

왜냐하면 저희 애가 그냥 A라고 했을 때 A 아빠가 복지다.

Because when my child simply said A, A's father is a caregiver.

약간 이런 얘기를 했다고 해요.

I heard that they talked about something like this.

자랑 많네요.

There's a lot to brag about.

그러니까 뭐 자랑이라고 하면 제가 이제 애 친구들을 데리고 노는 걸 좋아하거든요.

So if I were to brag, I would say that I enjoy playing with my friends.

그러니까 애랑 이제 애 친구들이 있으면 데리고 와서 집에서 수박 깎아주고 놀게 하고

So, if the kids and their friends come over, I'll bring them and cut up some watermelon for them to play at home.

뭐 자고 싶다 그러면 씻겨서 같이 재우고 이런 걸 제가 재밌어해가지고

If you want to sleep, then I enjoy washing you up and putting you to sleep together.

이제 주변 애 엄마들이 아 복지다 좋다 이런 얘기를 하시는 거예요.

Now the other moms around me are saying things like, "Oh, this is great, it's nice."

왜냐하면 저한테 맡겨서 어디 가서 편하게 지내시는 걸 좋아하시니까.

Because you like to leave it to me and enjoy your time comfortably wherever you go.

그래서 근데 무슨 생각이 들었냐면

So, what I was thinking was...

그러니까 저도 이제 당연히 그렇게 다른 아이들을 저희 집에 초대하고 나면

So of course, when I invite other kids to my house,

저희 애도 또 그 집에 가서 놀기도 해요.

Our dog also goes to that house to play.

그러니까 서로서로 이렇게 약간 품앗이 하듯이 서로 아이들 돌봐주는 건데

So it's like we're helping each other out by taking care of each other's kids.

그런 문화가 가까이만 있어도 그런 사람들이 가까이만 있어도

Even if such a culture is nearby, even if such people are close by.

사실 그 안은 말 그대로 오아시스예요.

In fact, it's literally an oasis inside.

그러니까 저 바깥에서 사람들이 서로 어떤 아파트 동네에는 옆집 아파트에

So, out there, people in certain apartment neighborhoods are... in the neighboring apartment...

그 아파트 놀이터도 출입 못하게 한다더라.

I heard that they don't allow access to the playground in that apartment either.

어디서는 집 형수로.

In some places, as a sister-in-law.

비교한다더라.

They say they compare.

어디서는 뭐 무슨 뭐 어디 사는지에 따라서 서로 애들 차별한다더라.

I've heard that kids are discriminated against depending on where they live.

이게 다 남의 이야기예요.

This is all someone else's story.

왜냐하면 우리 아이가 있는 좋은 사람들이 있는 좋은 사람들이 서로에게 배려하고자 마음 먹고

Because good people with children are determined to care for each other.

서로에게 도와주고자 마음 먹고

Determined to help each other.

서로 다른 아이들도 사랑하는 그런 부모들이 모여있는 그 공간은

The space where parents who love children who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gather is

돈이 많고 적고의 문제가 아니라 그 자체로 그냥 오아시스의 공간이 만들어지는 거거든요.

It's not about having a lot or a little money; it's about creating a space that is an oasis in itself.

저는 그런 경험들이 사실 만들어지면 되는 것 같아요.

I think those kinds of experiences just need to be created.

그런데 우리가 결혼에 진입하기 전에 육아에 진입하기 전에는

However, before we enter into marriage and before we start parenting...

막 정말 지옥 같고 모든 것이 막 지옥 레이스 같고 저도 아까 그런 표현을 썼지만

It's really like hell, and everything feels like a hellish race, and I used that expression earlier too.

그렇게 보이지만 그 안에서 마음이 맞는 좋은 사람들끼리 잘 맞으면

It may seem that way, but if good people who have matching hearts get along well inside,

그 오아시스를 넓혀갈 수 있다는 거죠.

It means that we can expand that oasis.

저는 그게 아마 우리 사회가 우리 문화를 만들어가는 어떤 출발점

I think that's probably a starting point for how our society creates our culture.

그 동심원을 확장시켜 나가는 방식이 아마 가능한 방식이 아닐까.

Perhaps the way to expand that inner circle is a possible method.

사실 저는 정치학자도 아니고 훌륭하신 교수님들도 아니고

In fact, I am neither a political scientist nor an excellent professor.

어떻게 제도를 바꿔야 되는지 잘 모릅니다.

I don't really know how to change the system.

그냥.

Just.

우리 주위에서부터 그런 아이들을 환대하고 서로 아이들을 좋아해 주고

Let's welcome such children around us and like each other’s children.

그런 문화를 확장시켜 나가는 것이 제가 생각하는 저에겐 유일한 해결책인 것 같아요.

I believe that expanding such a culture is the only solution for me.

김희삼 교수님께는 좀 더 구체적인 질문을 드려야 될 것 같은데

I think I need to ask Professor Kim Hee-sam a more specific question.

이런 식의 선택들을 하는 친구들이 있을 텐데

There must be friends who make choices like this.

예를 들면 혼인을 선택하고 육아를 그럼에도 선택하는 어떤 청년층들의 특성이랄까

For example, the characteristics of certain young people who choose marriage and still choose parenting despite that.

이런 것들이 혹시 알려진 부하가 있는지

Are there any known issues with these things?

또는 그것과 동일하진 않더라도 다양한 어떤 삶의 형태들을 선택하고

Or even if they are not the same, choosing various forms of life.

또는 그것과 동일하진 않더라도 다양한 어떤 삶의 형태들을 선택하면서

Or by choosing various forms of life, even if they are not identical to it.

긍정적이라고 볼 수 있는 어떤 특성 같은 것들이 좀 있는지 여쭤보고 싶네요.

I would like to ask if there are any characteristics that could be considered positive.

네. 아까 이제 제가 청년이 성공하기 위해서 제일 중요한 요인

Yes. Earlier I mentione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a young person to succeed is...

50.5%가 부모의 재력을 꼽았잖아요.

50.5% pointed to the parents' wealth.

그때 응답했던 대학생 1,000명에게 또 어떤 질문들을 했냐면

At that time, I asked the 1,000 university students who responded what other questions they had.

여러분도 해당될 수 있는 거니까 생각해 보세요.

So think about it since it could apply to you as well.

아파트에 애들 많이 살고 계시죠.

There are a lot of kids living in the apartment, right?

아파트 승강기에서 같은 라인에 살고 있는 이웃을 만났어요.

I met a neighbor who lives on the same floor in the apartment elevator.

들어왔어요. 먼저 인사하십니까?

I came in. Should I greet you first?

뭐 하실 수도 있고 안 하실 수도 있고 서로 그냥 외면할 수도 있죠.

You can do something or not do anything at all, and we can also just ignore each other.

나는 했는데 저쪽에 생가면 좀 민망해지잖아요.

I did it, but it would be a bit embarrassing if it gets revealed over there.

그리고 또 한 가지 어떤 주택을 선호하는지

And one more thing, what type of housing do you prefer?

하나는 굉장히 사생활이 보호가 되는데 이웃들과의 교류는 거의 할 수 없는

One has a very high level of privacy protection but can hardly interact with the neighbors.

그런 주택지구가 있고 다른 주택지구는 사생활은 조금 개방 오픈이 되지만

There are residential areas like that, and other residential areas are somewhat more open in terms of privacy.

이제 교류가 혹시 괜찮으신가요?

Is the exchange okay now?

교류가 혹시 괜찮으신가요?

Is it okay if we interact?

굉장히 원활한 좀 열려있는 형태의 개방적인 그런 주택 환경이 있어요.

There is a very smooth, somewhat open and open-minded housing environment.

그중에 뭘 선호하는가 그것도 학생들이 갈리는데

Among those, what do you prefer? Students have different opinions on that.

사계국 대학생 조사를 해보면 한국 대학생들이 가장 사생활을 중요하게 생각해요.

A survey of college students in four countries shows that Sou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value their privacy the most.

교류보다도.

More than interaction.

그리고 또 마지막으로는 지역사회에 대한 소속감을 얼마나 느끼는지

And lastly, how much do you feel a sense of belonging to the community?

그거를 물어봤어요.

I asked that.

그랬을 때 이 세 가지 질문에 대해서

At that time, regarding these three questions.

우선 승강기에서 만난 이웃에게 먼저 인사한다.

First, I greet the neighbor I meet in the elevator.

그 다음에 좀 이웃과 교류가 원활한 그런 개방적인 주택을 선호한다.

Then, I prefer an open house where interactions with neighbors are smooth.

그리고 나는 지역사회에 대한 소속감을 좀 느끼는 편이다.

And I tend to feel a sense of belonging to the community.

여기에 대한 긍정적인 응답을 한 대학생일수록 뭐가 높았냐면

The more college students responded positively to this, the higher the likelihood was that...

결혼의향이 높았고요.

There was a high intention to marry.

그 다음에 희망 자녀수가 많았어요.

Then, the desired number of children was high.

그러니까 지금 이런 사회에서도 뭔가 이렇게 좀 외향적이고

So even in this society right now, there is something that seems a bit extroverted.

좀 개방적이고 그다음에 우호적인

A bit open and then friendly.

그러니까 우리가 성격에서 보면 빅5라고 하는 거죠.

So, when we look at personality, we refer to it as the Big Five.

그 세 가지에 해당하는 그런 특성을 갖고 있는 청년들은

Young people who possess those three characteristics.

여전히 결혼하고 싶어하고 아이를 낳고 싶어하는 거거든요.

I still want to get married and have children.

그런데 그러면 그렇지 않은 청년들은 그걸 어떻게 해야 되는가

So what should the young people who are not like that do?

저는 환경으로 좀 만들어줘야 되는 생각이에요.

I think I need to create an environment.

그래서 예를 들자면 지역 커뮤니티 문화가 조금 활성화돼가지고

So for example, the local community culture has become a bit more active.

그걸 주도하는 사람도 있지만 같이 참여하고

There are people who lead it, but we also participate together.

가보니까 괜찮네 라고 생각해서 일원이 되어가는 사람도 있거든요.

Some people visit and think, "It's not bad," and start becoming a member.

스며드는 사람들.

People who seep in.

그다음에 또 이렇게 공동 육아 이런 공동체 같은 것들이 있으면

Next, if there are things like co-parenting or community support...

훨씬 맡겨놓고 가령 정지우 작가한테 내 아이를 맡겨놓고

If I were to leave it with someone like writer Jeong Ji-woo.

잘 씻기고 먹이겠지 믿음을 가지고 외출할 수가 있거든.

I can go out with confidence knowing that I will be well-fed and taken care of.

그러니까 그런 게 지역마다 있으면 얼마나 이 사람들에게

So if such things exist in each region, how much would it mean to these people?

좀 든든함을 줄까 이런 생각을 하게 됐어요.

I started to think that it might provide some comfort.

세 분 말씀 들으니까 약간 또 살만도 하고 이런 느낌 같은 것들이 좀 나는데

Hearing the three of you, I get a bit of a feeling that life is somewhat bearable.

세 분께 질문하실 분이 있으시면 한번 손 들어주시죠.

If anyone has a question for the three of them, please raise your hand.

저희가 도달할 수 없는 어떤 이성향적인 목표를

An objective of an irrational nature that we cannot reach.

저희가 유토피아나 파라다이스라고 하잖아요.

We call it utopia or paradise.

지금 여기 계시는 세 분이 그러면 생각해 보셨을 때

If the three of you who are here right now have thought about it, then...

만약 그런 사회에서 지금 학생들이 상상해봐야 될 문제 같은 건

If such a society exists, the issues that students should imagine now are...

어떤 게 있을지 한번 이야기해 주실 수 있을까요?

Could you tell me what might be there?

애초에 유토피아는 원래 없는 땅이니까

From the beginning, a utopia is a land that doesn't exist.

저하고 비슷한 결로 아마 질문을 주셨던 것 같습니다.

I think you probably asked a question similar to mine.

그런데 그건 어떻게 상상돼야 되는 것이냐.

But how is that supposed to be imagined?

사실 저는 사회에 대한 상상력은 좀 부족하지만

Honestly, I lack a bit of imagination about society, but...

저는 개인적 삶에 대한 상상력은 아주 좋아합니다. 상상하는 것은.

I really like the imagination about personal life. It's about imagining.

그런데 한 사회가 만들어지어가는 방식에 있어서

However, in the way a society is being formed

우리가 한 사회를 어떻게 뚝딱 유토피아로 만들 것인가

How can we swiftly turn our society into a utopia?

저는 도저히 상상이 안 되고요.

I simply can't imagine it.

결국에는 개인적인 삶에서부터 개인적인 관계에서부터

In the end, from personal life to personal relationships.

가까운 단계에서부터 유토피아를 만들어가는 연습이라고 해야 될까요?

Should I say it's an exercise in creating a utopia starting from a close stage?

유토피아적인 어떤 요소?

Utopian elements?

유토피아적인 하루? 한 달에 하루라도?

A utopian day? Just one day a month?

100명과 관계를 맺지만 그 중에서 10명과는 유토피아적인 관계를 맺을 수 없을까?

Is it possible to have a utopian relationship with 10 out of 100 people?

저는 이런 고민을 항상 해야 되지 않나 라고 하면 살아가고 있는 것 같아요.

I think I always have to ponder over things like this, and it feels like that's how I live my life.

그래서 우리가 직장 가서 사람들이 맨날 부동산 얘기하고

So when we go to work, people are always talking about real estate.

코인 얘기하고 주식 얘기하고 명품 얘기하고 외제차 얘기하고 골프 얘기하더라도

Even if we talk about coins, stocks, luxury goods, foreign cars, and golf...

그 사람들과는 어쩔 수 없다 치더라도

Even if there's nothing I can do about those people.

내가 정말 진심으로 내 삶의 중요한 가치를 고려할 수 있는

I can truly consider the important values of my life sincerely.

나에게 나와 가치관이 맞는 소중한 사람들이 주변에

I have precious people around me who share my values.

1명, 2명, 3명, 10명이 늘어난다면

If 1 person, 2 people, 3 people, or 10 people increase.

그 사람들과 만들어가는 관계와 연대와 어떤 공동체들이

The relationships, solidarity, and communities that are formed with those people.

사실 되게 공고하게 내 삶에서 자리 잡아 나갈수록

In fact, the more firmly it establishes itself in my life...

그것이 사회가 되지 않을까라는 상상을 하게 돼요.

I can't help but imagine that it might become society.

그래서 지금도 저 같은 경우에는 예를 들어서 만나기 싫은 사람은 웬만하면 안 만나고

So even now, in my case, for example, I generally try not to meet people I don't want to see.

글 쓰는 거 좋아하는 사람들 아니면 책 이야기 나누는 거 좋아하는 사람들

People who like writing or those who enjoy discussing books.

육아 이야기 하는 사람들 이런 사람들도

People who talk about parenting, these kinds of people too.

아니면 제가 요즘 너무 좋아하는 사람은 갯벌 같이 가는 사람들

Or the people I really like these days are those who go to the mudflats with me.

갯벌 가서 같이 조개 잡고 하는 사람들

People who go to the tidal flat to dig clams together.

이런 사람들과 저의 삶을 만들어 나가면 되는 거 아닌가?

Aren't I supposed to create my life with people like this?

저는 그런 약간 나이브한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I have a somewhat naive thought.

그러다 보면 좋은 관계들이 많아지고 이 사회에도 좋은 가치관들이 많아지고

As that happens, good relationships increase, and there are many good values in this society.

획일화된 가치관이 아니라 그런 것들을 만들어 나가는

Not a uniform set of values, but rather creating those things.

한 사회의 부분이 될 수 있지 않나 그렇게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I think we can become a part of society.

저는 행복의 조건이라는 수업을 하면서 굉장히 불행한 학생들 학기 초에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while teaching a class called "The Conditions of Happiness," I encountered very unhappy students.

수강 경쟁이 아주 빡세기 때문에 절실한 학생들이 그걸 최우선 순위로 이렇게 수강 신청을 하거든요.

Because the competition for classes is very intense, desperate students prioritize this and apply for courses first.

그러면 이제 학기 초에 행복도가 매우 낮은 애들이 그중에 다는 아니지만 반전을 이루는 경우가 있어요.

Then,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there are cases where students with very low happiness levels, though not all of them, experience a turnaround.

그 아이들은 뭐가 변했는가라고 했을 때 자존감이 높아졌어요.

When those kids were asked what has changed, they said their self-esteem has increased.

그러면서 또 이제 그 수업의 특성이 5인 1조로 해서 원탁에서 수업을 해요.

And also, the characteristic of that class is that it is conducted in groups of five at a round table.

그래서 모두 6개의 원탁에 30명 딱 받아서 하고 그 아이들은 수업 시간에도 계속

So, a total of 30 people will be seated at 6 round tables, and those kids will continue during class time.

같이 이야기하고 조별 과제도 같이 하고 거의 한 학기 동안 완전히 친구가 되거든요.

We talk together, work on group assignments together, and we completely become friends for almost an entire semester.

그래서 저는 아이들이 아까 제가 강연에서도 말씀드렸던 그 자존감의 회복

So I talked about the recovery of self-esteem for children earlier in my lecture.

그다음에 따스한 인간관계 많지는 않아도요.

After that, even though there aren't many warm relationships.

그래서 그 두 가지가 그 세상을 바라보는 눈도 바꾸고

So those two things also change the way we look at that world.

그다음에 의욕을 줌으로 해서 개인적인 유토피아를 건설할 수 있는 어떤 힘이 생긴 거죠.

Then, by giving motivation, a power to build a personal utopia was gained.

그래서 저는 그게 유토피아를 건설하는 하나의 작은 힘들이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So I think that might be one of the small forces in building a utopia.

좀 다른 얘기를 하자면 아까 제가 이제 육아정책연구소에서 나왔던 연구 잠깐 말씀드린 적이 있었는데요.

Let me talk about something a little different; earlier, I mentioned a study that came out from the Parenting Policy Research Institute.

거기서 기혼자 아이를 낳고 키우는 사람들한테 평균 아이한테 들어가는 비용이 얼마나 되는지를 질문해서 답해서 평균 내고

Ask the married people who are having and raising children there how much the average cost for a child is, and take their answers to calculate the average.

그다음에 결혼을 했는데 아직 아이를 안 낳은 사람들한테도 물어봐서 얼마가 될 거라고 생각하냐 이렇게 물어봐서 이렇게 평균을 낸 걸 본 적이 있어요.

After that, I’ve seen examples where they asked those who got married but haven't had children yet how much they think it would be, and averaged the responses.

그런데 실제로 들어가는 돈에 두 가지가 있어요.

However, there are two types of money that actually come in.

그런데 사실은 나의 삶을 꾸려나갈 때 내가 활용할 수 있고 나를 도와줄 수 있는 여러 가지 사실은 공공적인 서비스도 있다고 생각하는 것도 저는 필요한 일인 것 같아요.

However, I believe that recognizing the various public services that can assist me and that I can utilize in managing my life is also something necessary.

그러니까 내가 나의 삶을 설계하고 상상할 때 내가 개인적으로 동원할 수 있는 거 말고도 우리 사회가 사실은 갖추고 있는 것들이 있으니

So when I design and imagine my life, there are things that our society actually possesses beyond what I can personally mobilize.

그런 것들도 고려를 했으면 좋겠다.

I hope you will consider such things as well.

김희삼 교수님께 질문하고 싶으신 분.

Anyone who wants to ask Professor Kim Hee-sam a question?

바로 일찍 드셨네요.

You ate early, didn't you?

물론 장기적인 관점에서 저출생은 당연히 타개해야 될 하나의 위기 상황이고 문제가 맞기도 하지만

Of course, from a long-term perspective, low birth rates are undoubtedly a crisis that needs to be addressed, and it is indeed an issue.

이왕 이런 현상에 닥쳤다는 지점에서 생각해봤을 때 저희가 이걸 기회 삼아서 하나의 사회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기회로 생각했을 때는

When considering that we have encountered this phenomenon, if we think of it as an opportunity to develop socially, we can view it as a chance.

지금 상황에서 저희가 재정해야 될 개념들이 무엇인지 가치체계 면에서 또는 제도체계 면에서

What concepts we need to review in the current situation, in terms of value systems or institutional systems.

무엇이 우선순위에 와야 된다고 생각하시는지 의견을 여쭙고 싶습니다.

I would like to ask for your opinion on what should take priority.

지금 말씀해주신 바가 저는 굉장히 공감이 되고요.

What you just said really resonates with me.

우리가 개발연대는 교육에 대한 우선투자를 했는데 돈은 없으니까 다 초등학교, 국민학교였죠 저희 때는.

During our development period, we prioritized investment in education, but since there was no money, everything was focused on elementary schools, which were called national schools back then.

의무교육을 실현하기 위해서 제가 초등학교 갔을 때는 24반까지 있었어요.

To implement compulsory education, when I went to elementary school, there were up to 24 classes.

그리고 오전, 오후 이렇게 2부제 수업을 했었거든요.

And we had a two-part class in the morning and afternoon.

그다음에 한 반에 80분.

Then, 80 minutes in one class.

한 반에 80명 정도 있었어요.

There were about 80 students in one class.

그래서 그랬던 콩나물 시류에서는 정말로 그냥 기계처럼 밀어내는 거죠 사실.

So in that bean sprout tide, it really just pushes you out like a machine, to be honest.

모던타임제에서 그다음 공정을 밀어내듯이.

Just like pushing the next process in modern times.

그러니까 개별 학생에 대한 배려는 없고 마지막 단계에서 선별만 하는 거예요.

So there is no consideration for individual students, and they are only filtered at the final stage.

어디까지 대학 가고 너 인문계, 실업계 연합고사 한번 거르고 그다음에 대학에서 또 거르고.

How far have you gone to university? You skip the combined exam for the humanities and vocational fields once, and then skip again at university.

어떻게 보면 그 말씀하신 이상적인 교육과는 거리가 먼 거죠.

In some ways, it's quite far from the ideal education you mentioned.

그런데 앞으로는 고교학점제 2025년부터 전면 시행하잖아요.

Starting from 2025,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ill be fully implemented, right?

사실 선생님들이 다 같이 이구동성으로 이야기하는 게 학점제에 어울리는 교육평가 방식은 절대평가다라고 이야기를 해요.

In fact, the teachers all unanimously say that the evaluation method suitable for a credit system is absolute grading.

상대평가, 절대평가 공존하게 이렇게 만들면 사실 다 상대평가로 따라가게 되잖아요.

If you make it so that relative evaluation and absolute evaluation coexist, in fact, everything will end up following relative evaluation.

그런데 절대평가 도입해도 아무 문제가 없거든요.

However, there would be absolutely no problem even if we introduce a criterion-referenced assessment.

그래서 저는 이제 일단 평가 방식의 변화.

So, I am now considering a change in the evaluation method.

그리고 이제 좀 못 따라가는 학생이 있으면 사실 유급이나 낙제 같은 것도 그 과목에 한해서는 할 수가 있거든요.

And now, if there are students who are falling behind, it is actually possible to have things like grade retention or failure, but only for that subject.

그래서 저는 이게 학생의 성장에 초점이 맞춰져 있지 그것을 줄 세워가지고 선별을 할 수 있는 것 같아요.

So I think this is focused on the growth of students rather than being able to rank and select them.

선별을 해가지고 잘라서 어딘가에 배치하는 그런 식의 교육에서 벗어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는 생각이 들고

I believe this is a great opportunity to break away from the kind of education that involves sorting, cutting, and placing things somewhere.

그리고 이제 그게 되려고 하면 교사가 학생에게 피드백도 많이 줘야 되고

And now, for that to happen, the teacher has to give a lot of feedback to the students.

교사가 못 해주는 부분들은 사실 AI라든지 이런 에듀테크라고 하는 기술의 도움도 받을 수가 있거든요.

There are areas where teachers may not be able to assist, and in fact, we can also get help from technologies like AI and educational technology.

그래서 우리나라 교육은 굉장히 좋은 기회를 맞고 있다고 저는 생각이 돼요.

I believe that our country's education is presented with a very good opportunity.

그래서 주신 코멘트 감사히 수용을 하고 그게 조금 더 잘 실현될 수 있도록 지금 이 시기에 노력을 많이 해야 될 것 같습니다.

I appreciate the comments you provided, and I think we need to put in a lot of effort at this time to ensure that they can be implemented better.

그러면 진 교수님께 질문을 주실 분 계실까요?

Then, is there anyone who would like to ask Professor Jin a question?

저는 운이 좋게도 여러 가지 지방에서 여러 혜택을 받고 또 우리 아이들이 잘 커져서 이렇게 잘하는 모습들을 봤는데요.

I have been fortunate to receive various benefits from different regions and to see our children grow up well and flourish like this.

이걸 좀 시스템적으로 강화돼서 학생들이 지방에서 계속 공부를 할 수 있고

This needs to be strengthened systematically so that students can continue studying in local areas.

그리고 일자리라든지 그렇게 지방에서 계속 남아서

And staying in the local area for jobs or something like that.

그 친구들이 계속 지방에

Those friends are still in the provinces.

행복하게 지방에 살 수 있는

to be able to live happily in the countryside

그런 사회가 됐으면 좋겠는데요. 그런 부분에 대한 의견을 좀 듣고 싶습니다.

I hope we can become such a society. I would like to hear some opinions on that matter.

정말 중요한 질문을 해주신 것 같아요. 사실 오늘은 개인적인 차원에서 무엇을 할 수 있을까를 얘기하다 보니까

I think you've asked a really important question. In fact, today we've been talking about what can be done on a personal level.

지금 말씀하신 것처럼 우리 사회가 구조적으로 또는 제도적으로 접근해야 되는 문제는 사실 다루지 못했거든요.

As you mentioned just now, the issues that our society needs to address structurally or institutionally have not actually been dealt with.

그런데 잘 아시는 것처럼 지금 저출생의 문제는 지역의 문제거든요.

However, as you know well, the issue of low birth rates is a regional problem.

그래서 수도권에 너무 많은 사람들이 몰려있고 인구가 줄어들면 경쟁이 줄어들 것 같지만 오히려 더 심화되는 그런 모순적인 상황도 사실은 이런 집중 때문에 생기는 거라서

So, although it seems that having too many people concentr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a declining population would reduce competition, in reality, it's this concentration that creates an even more paradoxical situation where competition intensifies.

지역의 문제를 다루지 않으면 사실 저출생 문제 그 자체를 해결하기는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I believe that if we do not address local issues, it will be difficult to solve the low birthrate problem itself.

우리가 아까 현실적으로 유토피어를 상상하기라고는 했는데

We said earlier that we should realistically imagine a utopia.

그게 유토피아인 이유는 우리가 개인적으로 아무리 노력해도 안 되는 부분들이 사실은 있을 거거든요.

The reason it is a utopia is that there are actually things that we personally cannot achieve no matter how hard we try.

그러니까 그거를 우리가 다 개인적으로 노력하면 될 거야 이렇게 생각하는 건 사실은 허구죠.

So thinking that we can all just make an effort individually is actually a myth.

사실은 맞는 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I actually don't think that's correct.

그런 의미에서 이거는 개인적으로 그냥 해라 이렇게 해서 될 문제는 아니고

In that sense, this is not something that can just be resolved by doing it individually.

우리가 좀 더 정책적으로 지방에서 사는 사람들에게 더 거기에 살 수 있도록 정주할 수 있도록 만드는 그런 정책이 필요한 거는 맞는 것 같습니다.

It seems that we do need policies that make it easier for people living in rural areas to settle there more stably.

그래서

So

오늘 그런 말씀을 오늘 못했는데 얘기해 주셔서 너무 감사한 것 같아요.

I couldn't say that today, but I really appreciate you telling me.

이미 일어났던 사회들을 보면요.

If you look at the societies that have already existed...

인구가 줄어들면 몰렸던 데 더 몰리지 비어있던 데로 사람이 안 갑니다.

If the population decreases, people will crowd more into the areas where there are already many, and they won't go to the empty places.

더 비어버리면 그 인프라를 견딜 수가 없기 때문에 완전히 이상해지는 상태들이 만들어지는 거죠.

If it becomes too empty, situations that are completely strange are created because the infrastructure cannot withstand it.

그래서 이 문제를 왜 심각하게 바라봐야 되는가 라는 문제에 대한 다시 한 번 환기를 잘 시켜주신 것 같고요.

So I think you've reminded us once again of why we need to take this issue seriously.

정 작가님께 한 번 말씀 들어볼까요.

Let's hear from writer Jeong.

여행이나 이런 것도 여러 가지 간접 경험이.

Travel and other things are also various indirect experiences.

나를 계속 자극해서 그게 트리거가 돼서 여행 같은 경우에 시도를 하게 되는데

You keep provoking me, and that becomes a trigger, causing me to attempt things like traveling.

사실 육아나 이렇게 출산에 대해서는 그렇게 트리거가 될 만한 소식들이 너무 안전해지는 것 같아요.

In fact, it seems that news about childcare and childbirth is becoming so safe that it can be quite triggering.

근데 되게 역설적으로 그 아이를 낳으신 분들이 항상 하시는 말씀이 낳지 않고는 모르는 엄청난 행복이 있다.

But paradoxically, what those who gave birth say is that there is a tremendous happiness that one can only know by giving birth.

그 말씀들을 엄청 하세요.

You say those words a lot.

그 여행보다 엄청난 행복이라고 하면서 왜 그 엄청난 거는.

If you say that it's a happiness greater than that trip, then why is that happiness so tremendous?

여행의 간접 경험보다도 경험하지 않은 사람들한테 와닿지 않을까.

Isn’t it likely that it resonates more with those who haven’t experienced it than with those who have indirect experiences of travel?

그거를 간접 경험을 시켜주려면 어떻게 이렇게 노출되면 좋을지에 대해서 한 번 의견을 좀 여쭙고 싶습니다.

I would like to ask for your opinion on how we can expose them to indirect experiences like that.

그럼에도 육아라는 책을 읽어보시면 간접 경험이 많이 되실 것 같은데요.

Nevertheless, I think reading the book on parenting will give you a lot of indirect experience.

우리 시대에 비혼, 비출산, 저출생 이런 문제들이 말씀하신 것처럼

In our times, issues such as unmarried life, childlessness, and low birthrates, as you mentioned,

되게 양가적인 향상입니다.

It's a very ambivalent improvement.

현상인 것 같아요.

It seems to be a phenomenon.

어떤 20대들에게 물어보면 나는 절대 결혼 안 하고 아이 안 낳고 싶은데 라고 하는 비중이 확실히 많기도 하고

If you ask some people in their twenties, a significant number of them will definitely say that they don't want to get married and don't want to have children.

그게 의지로 선택하는 측면도 있고

There is also an aspect of choosing it with will.

또 어떤 사람들에게는 너무 하고 싶은데 경제적인 문제나 짝이 없어서 여러 가지 이유로 포기해야 되는

For some people, there are various reasons, such as financial issues or not having a partner, that make them give up on something they really want to do.

그런 관점이 있는 것도 같기도 해요.

I think there is such a perspective.

그것이 되게 복합적으로 섞여 있어가지고 딱 어느 한쪽으로 단정해서 말하기가 쉽지 않고

It's mixed in such a complex way that it's not easy to definitively say it leans one way or the other.

그래서 저도 아까 말씀드릴 때도

So when I mentioned it earlier as well,

누군가에겐 이게 선택의 문제, 이상에 대한 선택의 문제지만 또 누군가에겐 포기의 문제

For some, this is a matter of choice, a matter of choosing ideals, but for others, it is a matter of giving up.

뭐 어떤 죽업이라든지 이런 여러 가지 의미에서 그런 것들이 되게 복합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 같긴 합니다.

It seems that various meanings, such as different types of occupations, are formed in a very complex way.

그래서 이 문제에 접근할 때도 사실 주로 둘 중에 하나로 접근을 하다 보니까

So when approaching this issue, it often comes down to primarily one of two approaches.

또 나는 낳기 싫은데 왜 그래? 이렇게 하는 반응도 생기는 거고

"Then why do you do that when I don't want to give birth?"

또 반대편에서는 낳을 수만 있으면 나도 낳고 싶은데 라는 또 반응이 생기는 건데 사실 이제 그게 복합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은 좀 우리가

On the other hand, there’s also a reaction that I want to give birth too, if it’s just possible to do so, but the fact that these feelings coexist is something we...

직시할 필요가 있는 현상인 것 같고요.

It seems like a phenomenon that needs to be observed directly.

그리고 말씀하신 것처럼 약간 간접체험이 왜 이렇게 안 되냐라고 하는데

And as you mentioned, you might wonder why the indirect experience isn't working well.

일단 사람이 본능적으로 힘든 일이 있으면 힘든 일부터 토로하고 싶은 게 사람이다 보니까

First of all, people naturally want to express their difficulties when they are facing hard situations.

주변에다가 막 되게 토로를 많이 하는 것 같아요.

I think I'm revealing a lot of my feelings to those around me.

좋은 일이야 기쁘고 행복하고 하면 끝나는 건데

It's a good thing; I'm happy and glad, and it ends there.

힘든 일은 잊혀지지 않고 상처가 되고 트라우마가 되고 환이 되잖아요.

Difficult things are not forgotten; they become wounds, trauma, and scars, right?

그러니까 그런 얘기가 많이 생기는 것 같기도 하고

I think that's why a lot of such stories come about.

그리고 저도 사실 고민을 했거든요.

And I actually 고민을 did think about it, you know.

아내가 임신했을 때 아이가 곧 태어날 건데 아이가 태어날 거면

When my wife was pregnant, the baby was about to be born, so if the baby is going to be born...

뭔가 육아에 대한 행복한 이야기가 있는 영화를 좀 찾아보자.

Let's try to find a movie that has a happy story about parenting.

우리 영화 좋아하니까.

Because we like movies.

근데 정말 없어요.

But there really isn't any.

어바웃 타임 정도?

About time?

하여튼 정말 없고

Anyway, there's really nothing.

그래서 그나마 프랑스 영화 중에서 영화 설명에 돼 있는데

So at least among French films, it is mentioned in the movie description.

해피 이벤트라는 영화가 있더라고요.

I heard there's a movie called "Happy Event."

그래서 저거는 아이 탄생을 해피 이벤트로 다룬 영화인가 보다고 봤는데

So I guess that movie treats the birth of a child as a happy event.

그게 역설적인 제목이었어요.

It was an ironic title.

얼마나 지옥 같은지.

How hellish it is.

뭐 그런 얘기를 막.

What kind of talk is that?

영화 내내 하는 거예요.

It's something that happens throughout the movie.

그래서 정말 콘텐츠가 없구나라는 생각이 들었고

So I really felt that there was no content.

그나마 일단은 어떤 예능 프로그램

At least for now, some variety show.

연예인들이 너무 호화 육아하는 이런 것들이

Celebrities raising their children in such luxurious ways.

오히려 박탈감을 주기도 하고 이러다 보니까

Rather, it can give a sense of deprivation, and as this continues...

문제가 되는 것 같은데

It seems to be a problem.

육아 콘텐츠라는 게 생각보다 나오기가 되게 쉽지가 않은 현상인데

It's actually not as easy to come up with parenting content as one might think.

이게 우리가 영상 시대여서 더 그런 것도 있는 것 같은데

I think it's partly because we are in the era of videos.

생각보다 책은 또 되게 많아요.

There are actually a lot of books, more than I thought.

책은 육아 에세이, 육아 그림책, 육아 동화 이런 것들이 되게 많아서

There are many things like parenting essays, parenting picture books, and parenting fairy tales.

콘텐츠를 유튜브에서 눈을 돌리고 서점에 가시면

If you take your eyes off the content on YouTube and go to a bookstore

생각보다 간접 경험할 수 있는 책들이 상당히 있을 수 있다.

There may actually be quite a few books that provide indirect experiences more than you might think.

그런 한 번 말씀을 드려보고 싶습니다.

I would like to mention that once.

청중분들과 좀 나누고 싶은 정보가 있어가지고요.

I have some information that I would like to share with the audience.

이전에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Previously at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우리나라에서 아이가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Thinking that a child is happy in our country.

얼마나 행복하다고 생각하는가 그걸 조사한 적이 있어요.

I have studied how happy people think they are.

그런데 거기에 대해서 체계적인 차이를 보인 게

However, what showed a systematic difference regarding that is...

실제로 아이가 있는 사람과 아이가 없는 사람이 완전히 응답이 갈렸어요.

In reality, there was a complete division in responses between those with children and those without.

그러니까 아이가 있는 사람은 우리나라에서 아이가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So, people with children think that children are happy in our country.

그 긍정적인 응답 비율이 53%였는데

The positive response rate was 53%.

아이가 없는 사람들은 35%인가 34%가 좀 낮았거든요.

People without children were around 35% or 34%, which was a bit low.

확실히 큰 차이가.

Definitely a big difference.

그런데 다른 질문도 있었어요.

But I had another question.

우리나라에서 청년이 얼마나 행복하다고 생각하는가

How happy do you think young people are in our country?

거기에 대해서는

Regarding that

아이 유머에 따른 차이가 없었어요.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hild's humor.

그러니까 이게 아이를 낳아서 실제로 키워본 사람은

So, for someone who has actually given birth and raised a child...

아이랑 보내는 시간이 행복하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아는 거죠.

I know from experience that spending time with my child is happy.

그래서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사람들한테

So, at Princeton University, to people.

어저께 했던 모든 일들을 시간대별로 나열하게 했어요.

I had them list all the things they did yesterday by the hour.

그 다음에 그 일을 하는 동안에 얼마나 행복감을 느꼈는지

How happy I felt while doing that work.

1점에서 6점까지 평가하게 했거든요.

I had them rate it from 1 to 6.

그걸 평균을 해보니까 가장 행복도가 높았던 활동이 뭐였냐면

When I averaged it out, the activity that had the highest happiness level was what?

여행도 아니었고

It wasn't even a trip.

맛집 탐방도 아니었고

It wasn't a food tour either.

바로 아이와 놀기였어요.

It was just about playing with the child.

그래서 그거는 경험해보지 않으면 모른다라는 거죠.

So that means you won’t know until you experience it.

그래서 저는 행동경제학에서 결정효용과 경험효용의 차이가 있다는 게

So I believe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decision utility and experienced utility in behavioral economics.

여러 가지 실험을 통해서 밝혀졌는데

It has been revealed through various experiments.

경험효용은 내가 해보고 나서 느끼는

Experiential utility is what I feel after having tried it.

좋다 나쁘다 이런 거예요.

It's about whether it's good or bad.

그런데 결정효용은 해보기 전에

However, the decision utility is before trying it out.

저건 저럴 거야 아마 라고 예상해서

I probably expected that would be the case.

지금 결정을 미래에 관한 결정을 내리는 거거든요.

Right now, you are making a decision about the future.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However, in our country,

그래서 그런 육아와 관련된 결정효용과 경험효용의 차이가 있고

So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decision utility and the experienced utility related to parenting.

그 다음에 아까 작가님이 말씀하셨듯이

As the writer mentioned earlier,

나쁜 후기가 너무 많다라는 거죠.

There are too many bad reviews.

그래서 그걸 굉장히 디스커리지 시키는 요인도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So I think there are factors that significantly discourage that.

간접 경험을 간접적으로 볼 수 있는 것 중에 하나가

One of the things that can be seen indirectly through indirect experience is

요즘 유행하고 있는 말 중에

"Among the phrases that are trending these days,"

나만 없어 고양이 이거 있거든요.

I'm the only one without a cat.

아이 키우는 거 거의 비슷한데

Raising kids is almost the same.

사실 일종의 대체재잖아요 많은 경우에

In fact, it's a kind of substitute in many cases.

비슷한 경험인데

It's a similar experience.

고양이는 나만 없는 것 같고

It seems like the cat only doesn't exist for me.

애는 왜 쟤만 있는 것 같지

Why does it seem like only that kid is here?

이렇게 뭔가 약간 뒤틀려 있는 측면들이 꽤 있는 것 같다.

It seems that there are quite a few aspects that are somewhat twisted like this.

이걸 어떻게 우리가 좀 더 간접적으로 체험하고

How can we experience this in a more indirect way?

또 상상할 수 있게 만들까

Will it make me able to imagine again?

이런 거 한번 고민해 봐야 될 것 같습니다.

I think we should consider this kind of thing.

우리 인류라고 하는 존재는

The existence that we call humanity

상상력을 가진 여단되는 존재고

She is a being with imagination.

그 상상력을 실천해내려고 하는

Trying to realize that imagination.

또 협업도 할 수 있는 굉장히 독특한 존재인 것 같습니다.

It seems like a very unique entity that can also collaborate.

비록 인간에 대해서 인간성에 대해서

Although about humans and humanity

성찰해 볼 필요는 당연히 있으나

It is certainly necessary to reflect on it.

우리가 가진 가능성을

The potential we have

또 그렇게까지 낮게 평가할 필요는 없지 않은가

Isn't it unnecessary to evaluate it that low?

라는 생각이 들고요.

I think so.

상상을 함께 모아서

Gathering imagination together

그걸 실천으로 바꿔내는 그런 힘들을

The power to turn that into practice.

한 번쯤 고민해 볼 수 있는 그런 계기가 되었다면

If it has become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it at least once,

정말로 좋고 행복했을 것 같습니다.

It must have been really good and happy.

오늘 이 자리가 여러분들께

Today, this place is for you all.

그리고 저희들께도

And to us as well.

저희들에게도

To us too

그리고 정책을 담당하는 사람들에게도

And to those in charge of the policies.

많은 함의로서 다가갔으면 좋겠습니다.

I hope it can be approached with many implications.

자 그럼 오늘 이 자리는 여기서 마치고요.

Well then, let's conclude today's session here.

함께 해주신 모든 분들께

To everyone who joined us

감사하다는 말씀 전합니다.

I would like to express my gratitude.

감사합니다.

Thank you.

한글자막 제공 및 자막 제공 및 광고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It includes Korean subtitles, subtitle provision, and advertisements.

Continue listening and achieve fluency faster with podcasts and the latest language learning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