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남북전쟁

Sean Lee

재림 교회 역사 이야기

19. 남북전쟁

재림 교회 역사 이야기

함께 즐기는 재림교의 역사이야기

The story of the history of the Adventist Church that we enjoy together.

안녕하십니까? 재림교의 역사이야기 그 19번째 이야기를 들으러 오신 여러분들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Hello? I sincerely welcome everyone who has come to hear the 19th story of the history of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다들 어떻게 지내시나요? 저는 2024년 여름 매우 매우 바쁘게 지내고 있습니다.

How is everyone doing? I am very very busy this summer of 2024.

좋게 말하면 바쁜거고 나쁘게 말하면 정신이 없는거죠.

To put it nicely, it's being busy, and to put it badly, it's being out of it.

특별히 이번 여름에는 인터내셔널 팻파이널 캠퍼리, 세계개척대회가 와이오밍주에 있는 질레에 열리게 되어서

This summer, the International Pathfinders Camporee and World Pathfinder Camporee will be held in Gillette, Wyoming.

그것을 저희 교회에서 패트파인더 그룹이 가게 되어서 매우 바쁘게 지내고 있습니다.

The Pathfinder group from our church is very busy going there.

그래도 가기 전에 19번째 이야기 남북전쟁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가는 것이 제 계획이어서 한번 오늘 이야기를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Still, before I leave, my plan is to talk about the 19th story, which is about the Civil War, so I would like to discuss it today.

다시 한번 19번째 이야기 남북전쟁이라는 제목으로 오늘 이야기를 풀어가 보도록 하죠.

Let's unfold today's story once again under the title "The 19th Story: The Civil War."

지난 시간에는 재림교회의 조직에서 가장 상위에 있는 가장 위에 있는 대총회의 조직에 대한 이야기를 했었습니다.

Last time, we talked about the organization of the General Conference, which is at the top of the structure of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대총회의 역할은 목회자들과 교회 자산을 전략적으로 계획하고 배치하는 것이라고 이야기했었죠.

The role of the General Assembly is to strategically plan and allocate resources for pastors and church assets.

이는 교회의 조직화의 마무리라고도 할 수 있는데요.

This can also be said to be the completion of the organization of the church.

제임스 와잇의 엄청난 노력으로 이루어진 재림교회의 조직화는

The organization of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achieved through the tremendous efforts of James White.

이보다 더 적절한 타이밍이 있을 수 있을까 생각할 수 있을 만큼 완벽한 시간에 이루어졌다고 이야기했었습니다.

It was said that it took place at a perfect time, one that makes you think if there could be a more appropriate moment than this.

그는 바로 미국의 내전, 우리에게는 남북전쟁으로 알려진 남북전쟁이 발발한 시점에서 교회의 조직화가 이루어졌기 때문입니다.

This is because the organization of the church took place at the time the American Civil War, known to us as the Civil War, broke out.

남북전쟁의 역할

The role of the Civil War

그분들 중에서 많은 분들이 미국 밖에서 이 팟캐스트를 듣고 계실 것이라는 가정하에

Assuming that many of you are listening to this podcast outside of the United States.

미국의 내전, 남북전쟁에 대해서 설명을 하고 넘어가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It would be good to explain about the American Civil War.

남북전쟁은 미국 역사상 미국이 어떤 국가가 되는지를 결정하는 아주 중요한 역사적인 사건이었습니다.

The Civil War was a very important historical event in American history that determined what kind of nation the United States would become.

독립전쟁, 미국이 영국을 상대로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서 싸웠던 독립전쟁은

The Independence War, the war fought by America to win independence against England, is called the Independence War.

미국이 존재하는 국가가 되는지를 결정하는 아주 중요한 역사적인 사건이었습니다.

It was a very important historical event that determined whether the United States would become a nation that exists.

독립전쟁은 미국이 영국을 상대로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서 싸웠던 독립전쟁은 미국이 존재하는 국가가 되는지를 결정하는 아주 중요한 역사적인 사건이었습니다.

The War of Independence was a very important historical event that determined whether the United States would become an existing nation, as it fought against Britain to achieve independence.

국제해야 한다는 것을 결정하는 사건이었지만 내전이었던 남북전쟁은 미국이 어떤 국가가 될지를 결정했던 사건이었죠.

It was an event that determined that it had to be international, but the Civil War, which was a civil war, was an event that decided what kind of nation America would become.

이것은 북부와 남부 간의 전쟁, 즉 두 가지 경쟁하는 비전의 두 가지 다른 미래에 대한 전쟁이기도 했습니다.

This was also a war between the North and South, a war over two conflicting visions and two different futures.

남부는 각 주의 주권, 자치권을 강조하면서 자신들의 미래를 결정하고 싶었고

The South wanted to decide its own future while emphasizing the sovereignty and autonomy of each state.

북부에 있던 주들은 통일된 국가, 즉 더 강력한 연방정부를 가지기를 원했습니다.

The states in the north wanted a unified country, that is, a stronger federal government.

그래서 미국을 United States of America라고 부르잖아요.

That's why we call the U.S.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미국을 통일된 United, 합중국 여기에 강조를 하고 싶었던 것은 북부 주들이었고

I wanted to emphasize that the United States, a unified Union, refers to the northern states.

United States, 각 주들의 더 많은 강조를 하고 싶었던 주들이 남부에 있었던 주들이라고 하죠.

It is said that the states that wanted to emphasize more were the states in the South.

그래서 북부는 북부연방군, Union Army라고 부르는데 북부연방군이라고 알려지게 되었고

So the North is referred to as the Union Army, and it became known as the Union Army.

남부는 America 남부연합군, Confederate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The South is known as the Confederate States of America, or the Confederacy.

왜냐하면 남부주들은 각자 따로 주권이 있는, 자주권이 있는 주들이 연합을 원했기 때문입니다.

Because the southern states wanted a union of states that each had their own sovereignty and autonomy.

그래서 연합군은 Confederate이라고 불렀죠.

So the combined forces were called the Confederates.

남부주들은 다른 주들과 연합을 맺거나,

The southern states would form alliances with other states, or

자신들이 원하는 대로, 만약에 자기가 원하면 나가서 자신들만의 국가를 형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항상 열어두었습니다.

They always kept the possibility open to form their own country if they wanted to, going out as they desired.

그래서 아직까지도 미국에서 텍사스주는 자기들끼리 나가서 텍사스라는 나라를 만들 수 있다, 이런 얘기들을 아직도 하거든요.

So even now, there are still talks in Texas, USA, about forming their own country called Texas.

북부주들은 어떤 개별 한 주가 원하는 것보다 한 국가, 연방국가로서의 연합을 더 중요하게 생각했습니다.

The northern states considered the union as a nation, a federation, to be more important than any individual state wanting to do so.

이것은 분명히 해결해야 할 문제였죠.

This was definitely a problem that needed to be solved.

그래서 마치 친구로 친하게 지던 남녀가 이제 우리는 관계를 명확하게 해야 할 것 같아, 이런 얘기하는 것과 같다고 볼 수 있죠.

So it can be seen as similar to a man and a woman who were close as friends now saying that we need to clarify our relationship.

남부주들아, 우리 이미 70년째 함께하고 있잖아. 우리 이제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거 어때?

Hey, Southern states, we've already been together for 70 years. How about we move on to the next step now?

그러니까 남부주들이 당황한 듯이 이야기합니다.

So the southern states seem to speak as if they are taken aback.

아, 나는 아직 나만의 시간이 필요해, 나만의 공간이 필요해, 알잖아. 나는 아직 마음의 준비가 되지 않았어.

Ah, I still need my own time, I need my own space, you know. I'm not ready in my heart yet.

그럼 북부주들은,

Then the northern states,

같이 헌법정관을 만들었잖아. 우리 함께 하기로 약속한 거 아니었어? 그게 아무런 의미가 없었던 거야?

We made the constitutional statute together, didn't we? Didn't we promise to be together? Did that mean nothing at all?

대충 어떤 상황인지 아시겠죠?

You probably have a rough idea of the situation, right?

이상한 비유는 여기까지만 드는 걸로 하겠습니다.

I will stop with the strange analogy here.

누가 더 큰 권력을 가질 것인가가 표면적인 이슈였지만, 정작 이 문제를 촉발시킨 것은 노예제도였습니다.

The apparent issue was who would have greater power, but what actually triggered this problem was slavery.

노예제도는 독립전쟁 때부터 가장 큰 논란이었습니다.

Slavery has been the biggest controversy since the War of Independence.

미국이 탄생할 때 헌법정관은 노예제도를 놓고 양쪽을 기쁘게 하기 위해서 약간 애매한 표현으로 기록되었다고 볼 수 있죠.

When the United States was founded, it can be said that the constitutional provisions were recorded in somewhat ambiguous terms to please both sides regarding slavery.

버지니아의 조지 메이슨은 헌법에 노예 무역 금지 조항을 포함시키는 것을 강력히 주장했지만,

George Mason of Virginia strongly advocated for including a clause to prohibit the slave trade in the Constitution, but

전체적인 노예제도를 금하는 것에는 굉장히 소극적이었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It is known that there was a very passive attitude towards prohibiting the overall institution of slavery.

그는 하나님의 섭리가 노예제도를 가진 기국에 심판을 내리게 될 것이라고 경고를 하긴 했죠.

He did warn that God's providence would bring judgment upon the nation with slavery.

결국 헌법정관을 기록한 이들은 남부주들이 이것을 승인하지 않을 경우를 두려워한 나머지 노예제도, 잠시 동안 노예 무역도 허용을 했었습니다.

In the end, those who recorded the constitutional provisions were afraid that the Southern states would not approve them, which is why they allowed slavery and, for a time, the slave trade as well.

노예제도에 대해 눈 감고 넘어갈 수밖에 없었습니다.

I had no choice but to turn a blind eye to slavery.

새로운 국가가 연합을 형성하는 것이 모두가 다 모든 것에 동의하는 것보다 더 중요했습니다.

Forming a new union of states was more important than everyone agreeing on everything.

그래서 노예제도에 대한 문제는 나중에 해결하자 라는 식으로 옆으로 밀려나게 되었죠.

So the issue of slavery was pushed aside with the mindset of solving it later.

1860년에 아브라함 링컨이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을 때, 그는 중도파 공화당원이었습니다.

When Abraham Lincoln was elected president in 1860, he was a moderate Republican.

그는 개인적으로 노예제도를 혐오했지만, 남부주에서 노예제도 모두를 폐지할 생각은 없었습니다.

He personally detested slavery, but he had no intention of abolishing slavery entirely in the Southern states.

생각이 없었다는 얘기는 정치적으로 그게 가능하다고 생각하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It seems that when they said they had no thoughts, they did not think it was politically possible.

링컨이 직면한 문제는 미국이 점점 서쪽으로 팽창함에 따라서 서부로 노예제도 확장을 하고 있습니다.

The problem Lincoln faced was that as America expanded further west, the institution of slavery was also spreading into the West.

미국이 점점 서쪽으로 팽창함에 따라서 서부로 노예제도 확장을 하고 있습니다.

As the United States gradually expands westward, it is extending slavery to the West.

보통 이 부분을 알아보고 남수도 바보가 아니었죠.

Usually, he wouldn't have known this part, so Nam Soo wasn't a fool.

노예제도를 시행하는 주는 일곱 개의주�ivil자루 이었는데,

The states implementing slavery were seven states.

노예제도를 금지하는 새로운 주들이 계속 미국에 추가 된다면,

If new states continue to be added to the United States that prohibit slavery,

결국 노예제도의 소수가 될 것이다 생각했습니다.

In the end, I thought I would become part of the minority of the slave system.

결국 노예제도의 소수가 될 것이다 생각했죠.

In the end, I thought I would become part of the minority of slavery.

그들은 노예제도를 보존하려면 결단을 내려야 했습니다.

They had to make a decision to preserve slavery.

학생 말고는 다른 방법은 없다고 결론을 내렸죠.

We concluded that there is no other way besides the students.

지난 시간에는 감리교회가 노예의 문제로 인해서 둘로 분열되었다는 이야기를 했었는데

Last time, we talked about how the Methodist Church was divided into two because of the issue of slavery.

감리교회만이 분열을 겪은 것은 아니었습니다.

It was not only the Methodist Church that experienced division.

침례교회도 장로교회도 남북으로 갈려졌죠.

Both the Baptist Church and the Presbyterian Church have been divided into North and South.

그러나 재림교회인들은 분열의 위험이 전혀 없었다고 보긴 그렇지만 거의 없었습니다.

However, it would be inaccurate to say that the members of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had no risk of division; it was very minimal, though.

왜냐하면 재림교회인들은 대부분 북부주에 살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Because most of the members of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lived in the northern states.

그 결과 재림교회와 성도들은 사실상 다 노예제도에 반대하는 사람들이었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and its members were essentially all people opposed to the institution of slavery.

그들은 노예제도에 대해서 역겹다고 생각했죠.

They thought that slavery was disgusting.

만약 선택을 해야 한다면 그들은 북부를 옹호했습니다.

If they had to choose, they supported the North.

제임스 와이슨 남부주들이 내전을 불쏘였는데

James Wilson incited the Civil War in the southern states.

독사하면서 싸우려고 하는 것을 사탄과 그의 천사들의 반란이어 가장 지옥같은 일이라고 비난했습니다.

He criticized the act of trying to fight while coiling around as the most hellish act of rebellion against Satan and his angels.

이렇게 보면 제임스가 꽤 정치적으로 중립적이라는 생각을 할 수 있나요?

Looking at it this way, can we think that James is quite politically neutral?

어쨌든 간에 그러나 남북전쟁은 재림성도들을 공경에 빠뜨렸습니다.

Anyway, the Civil War put the Adventists in a difficult position.

왜냐하면 재림교회는 비록 전쟁 중이라도 살생을 하는 것은 잘못된 일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Because the Adventist Church believed that even during wartime, taking life was wrong.

여기서 남부를 동정하는...

Pitying the South from here...

재림신도들 거의 손가락에 꼽을 정도였고 그들은 현명하게 침묵을 지켰다고 볼 수 있죠.

There were so few of the believers in the Second Coming that they could almost be counted on one hand, and one could say that they wisely kept silent.

재림신도들은 북부주들의 도덕적 가치에 대한 승리가 링컨의 정치적 승리보다 더욱더 중요했습니다.

For the Second Adventists, the victory over the moral values of the northern states was more important than Lincoln's political victory.

링컨에게는 노예제도보다 가장 중요한 이슈는 통일된 국가, 통일된 미국이었다고 볼 수 있죠.

For Lincoln, the most important issue was not slavery, but a unified nation, a united America.

재림교회의 성도들이나 앨런 화이트는 이런 입장에서 링컨을 마냥 찬양할 수는 없었습니다.

The members of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and Ellen White could not simply praise Lincoln from this perspective.

그녀는 전쟁이 노예제도를 폐지하지 못한 채로 맞춰질 것을 우려했고 그럴 바에는 전쟁을 하는 이유가 무엇이냐고 질문했죠.

She was concerned that the war would be waged without abolishing slavery, and questioned what the purpose of the war was if that were the case.

북부주에서도 노예제도에 반대하지 않는 이들이 꽤 있었습니다.

There were quite a few people in the North who did not oppose slavery.

이로 인해서 노예해방에 반대하는 폭동이 뉴욕시에서 일어났습니다.

As a result, a riot opposing the emancipation of slaves broke out in New York City.

노동자들은 노예들이 해방된다면 그들이 일자리를 얻기 위해서 400만 명 이상의 사람과 경쟁해야 한다는 말을 들었죠.

Workers heard that if slaves are freed, they would have to compete with more than 4 million people for jobs.

그리고 폭동을 일으켰습니다.

And then a riot broke out.

이 폭동의 아이러니한 부분은 폭동을 일으킨 사람들 중 많은 사람들이 실제로는 이민자들이고

The ironic part of this riot is that many of the people who caused the riot are actually immigrants.

출생지가 미국인 흑인 노예들과 경쟁하고 싶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It means that they did not want to compete with African American slaves born in the United States.

일자리를 위해서요.

For a job.

여기에서 태어난 사람들이 감히 어렵게 미국까지 삶의 터전을 찾아 멀리 이주해온 우리의 일자리를 빼앗아간다고 있을 수 없는 일이야.

It's unthinkable that people born here would dare to take away the jobs of those who have bravely migrated all the way to America in search of a new life.

이렇게 생각했던 것이죠.

That's what I was thinking.

어쨌든.

Anyway.

이건 꼬일 대로 꼬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This can be seen as being twisted to the point of no return.

남북의 전선에 가까운 곳이었던지 간에 아니면 내전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곳에 살던 거리에 상관없이 미 합중국 전체가 내전에 휘말리는 것을 피할 수 없었습니다.

Whether it was close to the front lines of the North-South divide or far from the civil war, the entire United States could not avoid being embroiled in the conflict.

많은 사람들이 전쟁의 소식입니다.

Many people are hearing news of the war.

남북의 관심이 집중되었고 여름에 텐트를 치고 전도회를 운영하던 전도 강사들은 집회를 유지하기가 어려워졌습니다.

Attention focused on the North and South, making it difficult for evangelists who were setting up tents and running revival meetings in the summer to maintain their gatherings.

어디든 넓은 공간이 있으면 훈련을 위해서 사용되었고 그런 곳에 큰 텐트가 있다면 전도 집회보다는 정치 집회가 열리곤 했습니다.

Whenever there was a large space anywhere, it was used for training, and if there was a big tent in such a place, it often hosted political gatherings rather than evangelistic meetings.

J.H. 와그너와 B.F. 스눅 이 두 사람은 개협력이 선포된 아이오아주에서 혹시 남부가 보낸 간첩이 아니냐는 의심을 받고 체포되었답니다.

J.H. Wagner and B.F. Snook were arrested in Iowa, where the declaration of secession was made, because they were suspected of being spies sent by the South.

그들은 그들이 북부 출신이라는 것을 증명하고서야 풀려날 수 있었다고 합니다.

They say they could only be released after proving that they were from the north.

이런 어지러운 상황 속에서도 북부의 제조업 경제는 계속해서 성장했고 남북전쟁은 우리가 잘 아는 존 라카펠러라는 사람을 아주 큰 거부로 만들어 주었습니다.

In such a chaotic situation, the manufacturing economy in the North continued to grow, and the Civil War made a person we all know, John Rockefeller, a very wealthy man.

북부군은 처음에 40만명을 동원해서 승리를 잡으려고 했지만 불행히도 이것은 턱도 없이 부족했습니다.

The northern army initially mobilized 400,000 troops to achieve victory, but unfortunately, this was far too insufficient.

그렇기에 링컨은 북부군 수를 늘리려고 했죠.

That's why Lincoln tried to increase the number of troops in the Union army.

애국심으로 불타는 이들을 시작으로 전쟁을 수행하던 북부군은 군인 수를 채우기 위해서 군대에 오는 이들에게 보너스를 주기 시작했습니다.

Starting with those who were burning with patriotism, the Northern Army, which was waging war, began offering bonuses to those who came to join the military in order to fill the ranks.

25달러를 시작으로 했던 보너스는 100달러라는 당시에는 굉장히 큰 금액으로 군인들을 모집했죠.

The bonus that started at $25 was a very large amount at the time, recruiting soldiers with $100.

이런 상황을 바라보던 재림교인들 또한 많은 사람들은 바보가 아니었습니다.

Many people, including those who watched this situation, were not fools.

만약 군인 수를 충족할 수 없게 되면,

If we are unable to meet the number of soldiers,

징집령이 내려질 것은 뻔한 일이었죠.

It was obvious that a conscription order would be issued.

징집령이 내려질 수 있다는 사실이 점점 명확해지면서 재림 신도들은 걱정을 피할 수 없었습니다.

As the realization that a draft could be announced became increasingly clear, the Adventist believers could not avoid their worries.

많은 이들은 기독교인으로서 전쟁에 참여하는 것이 잘못된 일이라고 생각했습니다.

Many believed that participating in war as a Christian was wrong.

하지만 더 나아가서 징집에 거부하게 되면 그들이 받게 될 수치, 고난,

However, if they go further and refuse conscription, the shame and suffering they will endure,

더 나아가 재림교회가 남부를 지지하는 교회라는 오해를 우려하지 않을 수 없었죠.

Furthermore, we couldn't help but be concerned about the misunderstanding that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supports the South.

재림교회는 노예제도를 반대하는 목소리를 높였었는데,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had raised its voice against slavery.

이런 오해만큼 억울한 것도 없을 것입니다.

There is nothing more unfair than this kind of misunderstanding.

1844년에 있었던 대실망의 날을 겪은 후유증,

the aftermath of the Great Disappointment that occurred in 1844,

이제 그것이 거의 가시기도 전에 주위에 있던 사람들에게 이런 오해를 받는다는 것은

Now, to be misunderstood by the people around you before it has even become visible is...

재림 신도들에게 큰 스트레스가 되었으리라 생각합니다.

I think it must have been a great stress for the Followers of the Second Coming.

만일 재림교회가 이 사회적 이슈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않으면,

If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does not effectively respond to this social issue,

지금 있는 곳에서 배신자 교회라는 오명을 받을 수 없을 것입니다.

You cannot receive the stigma of being a traitor church from where you are now.

남부주를 지지하는 교회라는 딱지가 붙는 것이죠.

It gets labeled as a church supporting the Confederate states.

이런 딱지를 붙인 교회라면 성경의 진리를 선포하기는커녕,

If it's a church with such a label, it wouldn't proclaim the truth of the Bible, let alone.

교회로서 존재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해질 수도 있다는 사실이 자명했습니다.

It was obvious that it might become impossible to exist as a church itself.

이런 사회적 압력은 최근에 일어났던 사건들에서도 자명이 드러났습니다.

This social pressure has become evident in the recent incidents that have occurred.

미국의 진주만 사건이나 9.11 테러 등을 살펴봐도

Looking at events like the Pearl Harbor attack in the United States or the 9/11 terrorist attacks,

이런 엄청난 사건 뒤에 일어나는 사람들, 단체들, 교회들,

People, organizations, and churches that arise after such a tremendous event,

그리고 정부관료들이 받는 사회적 압박은 엄청납니다.

And the social pressure that government officials face is immense.

9.11 테러 사태 후에,

After the 9.11 terrorist attacks,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선전포고에 반대했던 이는

Those who opposed the declaration of war against Afghanistan

한 명의 하원의원에 불과했습니다.

He was just a member of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이 한 명의 하원 의원도 전쟁에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This one House member is not opposing the war either.

선전포고문에 쓰여진 방식에 반대한다고 해명했다고 전해지죠.

It is reported that they claimed to oppose the way it was written in the declaration of war.

이런 사건이 일어나게 되면, 감히 말로,

When such an incident occurs, I dare say,

밤이 흘러가는 물살에 반대해서 일어날 수 있는 이들이 받는 사회적 압력, 압박은 엄청나다고 볼 수 있습니다.

The social pressure and stress faced by those who can rise against the current flow of the night can be seen as immense.

모든 이들이 한 목소리로 전쟁을 향해서 나아갈 때 생기지도 얼마 되지 않은 작은 교회, 교단이 그것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내는 것 자체가 생각만 해도 어려운 일이라고 볼 수 있죠.

When everyone is moving towards war with one voice, it can be said that it is already difficult to imagine a small church or denomination that has not been around for long voicing opposition to it.

더 나아가서 남북전쟁에서 북부주들을 위해 싸우지 않는 것은 남부주의 노예제도를 지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는 것이 이 이슈를 더 어렵게 만들었습니다.

Furthermore, not fighting for the Northern states in the Civil War made it more difficult because it meant playing a role in protecting the Southern states' system of slavery.

지금까지 초기 재림교회 지도자들이 결정했었던 일들, 교회의 조직, 조직적인 헌금제도, 각 지역 주 합회, 그리고 대총회 설립 등은

The decisions made so far by the early leaders of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the organization of the church, the systematic contribution system, the regional conferences,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General Conference, are

교회의 조직, 조직적인 헌금제도, 각 지역 주 합회, 그리고 대총회 설립 등은

The organization of the church, an organized system of donations, the establishment of regional conferences, and the general conference, etc.

교회의 사명을 위해서 했던 결정들이었습니다.

These were decisions made for the mission of the church.

재림 신도들은 교회의 사명을 이루기 위해서 타협 없이 열심히 그들의 사명을 이루어 나갔었죠.

The members of the Second Coming worked hard to fulfill their mission without compromise in order to achieve the church's objectives.

하지만 남북전쟁은 교회의 사명을 포기하든지 아니면 신앙의 타협을 선택해야만 하는 코너로 재림교회를 몰아갔습니다.

However, the Civil War forced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into a corner where it had to choose either to abandon its mission or compromise its faith.

만일 북부군과 함께 전쟁에 참전함으로 여섯 번째 계명을 어기게 되면

If one were to break the sixth commandment by participating in the war alongside the northern army...

10계명에 1계명을 어기게 된 것이니 그런 사람이 다른 이들에게 제치를 안시기를 지키라는

It is a violation of the first commandment, so such a person should not urge others to follow it.

네 번째 계명을 선포하는 것은 우선적인 태도라는 것이었죠.

Proclaiming the fourth commandment was seen as a priority attitude.

어쩌면 군에 들어가는 것 자체가 네 번째와 여섯 번째 계명을 어기는 것이라고 볼 수도 있었습니다.

Perhaps joining the military itself could be seen as violating the fourth and sixth commandments.

전쟁 중에 안시기를 지키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우니까요.

Keeping the peace during a war is almost impossible.

남북전쟁 때에 겪었던 이러한 어려움은 꾸준히 전쟁이 일어나는 세상 속에 믿음을 지켜야 했던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during the Civil War were the ones that had to maintain faith in a world where wars continuously occurred.

재림 신도들에게 계속해서 어려운 고민이 되었습니다.

It has continued to be a difficult concern for the followers of the Second Coming.

2차 세계대전 때 히틀러는

During World War II, Hitler...

많은 독일 재림 청년들이 군대에 입대하게 되었습니다.

Many German Adventist youth have enlisted in the military.

그들은 동부전선에, 러시아를 향해서 나아가던 전선이었죠.

They were on the Eastern Front, advancing towards Russia.

동부전선에 배치되었죠.

I was deployed to the eastern front.

한 청년은 이 두 가지를 항상 염두에 두었다고 합니다.

It is said that a young man always kept these two things in mind.

재림 성도는 총 살상 무기를 소지하지 않으며 제7일 안시기를 거룩히 지켜야 한다.

The Seventh-day Adventists do not possess any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nd must keep the Sabbath holy.

하셀의 이야기죠.

It's the story of Hassell.

교회의 조직에 대한 토론을 할 때와 마찬가지로

Just like when discussing the organization of the church

제임스 와잇은 1862년 재림교회가 어떻게 전쟁에 관한 이슈들을 풀어나가야 하는지에 대한

James White wrote in 1862 about how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should address issues related to war.

토의가 있어야 함을 이야기하기 시작했습니다.

They began to talk about the necessity of a discussion.

제임스 와잇은 이것이 시급한 문제이기에 진지한 토론을 해야 함을 피력했습니다.

James White emphasized that this is an urgent issue and that a serious discussion is necessary.

그는 기록했죠.

He recorded it.

지난 10년 동안 리뷰지는 미 합중국이 성경예언에 나타난 나라임을 이야기했고

For the past 10 years, the review has stated that the United States is the nation mentioned in biblical prophecies.

더 나아가 노예제도는 이 나라가 가진 가장 어둡고 두려운 죄임을 지적했습니다.

Furthermore, it pointed out that slavery is the darkest and most fearful sin that this country has.

성경은 이러한 죄로 인해서 한두 번의 전쟁을 벌였고

The Bible indicates that wars were fought because of such sins.

다른 나라가 심판의 잔을 마시게 될 것이며

Other countries will drink the cup of judgment.

노예제도에 대한 심판이 임할 것을 암시시하고 있습니다.

It suggests that judgment on slavery will come.

제임스는 노예제도를 찬성하는 남부주에서 재림교회의 리뷰지가 금지되었다는 사실을 상기시켰습니다.

James reminded that the Review and Herald of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was banned in the Southern states that support slavery.

제임스는 재림신도들은 지난 대통령 선거에서

James said that the Second Coming believers in the last presidential election

아브라함 링컨을 위해 투표하지 않았다면 아예 표를 던지지 않았을 것이며

If I hadn't voted for Abraham Lincoln, I wouldn't have cast a ballot at all.

재림신도들 중에 그 누구도 미 연방에서 탈퇴하는 것에

Among the followers of the Return of Christ, no one is withdrawing from the United States Federation.

조금 더 동정을 보이는 이가 없어야 할 것입니다.

There shouldn't be anyone who shows a little more sympathy.

라고 기록했죠.

It is recorded that.

제임스 와이슨, 만일 대통령이 징집령을 내리면

James Wilson, if the president issues a draft order

재림 청년들이 입대를 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I believed that the Adventist youth should enlist.

어떤 분들은 이거 제임스가 좀 앞서 나가는 거 아니야

Some people think that James is getting a bit ahead of himself.

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있을 수 있겠지만요.

There may be some people who think that way.

하지만 생각해보면 징집령에 거부하면 사형을 당할 수 있다는 당시 법을

However, when you think about it, the law at that time stated that refusing conscription could lead to the death penalty.

우리는...

We...

기억해야 합니다. 그죠?

We need to remember that, right?

제임스의 생각을 우리는 이해할 수 있어요.

We can understand James's thoughts.

제임스는 징집을 피하는 것 역시 반대했습니다.

James was also opposed to avoiding conscription.

그는 기록했습니다.

He recorded it.

하늘의 하나님의 나라에 충성하며

Loyal to the Kingdom of God in heaven

우주 전체를 운영하시는 하나님의 주권에 진심으로 따르는 이들은

Those who truly follow the sovereignty of God, who governs the entire universe,

이런 시기에 캐나다나 유럽으로 도망가거나

Fleeing to Canada or Europe during such a time

군대의 징집령에 두려움을 떠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There should be no fear of the military conscription order.

그의 생각은

His thoughts are.

만일 당신이 군대에 소집되어서 전투에서 누군가의 생명을 취해야 한다면

If you are drafted into the military and have to take someone's life in combat,

그것은 당신의 죄가 아니라

It is not your fault.

당신에게 그 일을 하게 한 정부가 책임이 있다는 것이었죠.

It was the government that made you do that, and they are responsible.

아마도 제임스는 중도의 길을 걸으려 했던 것 같습니다.

Perhaps James tried to walk the path of moderation.

전쟁은 잘못된 것이다.

War is wrong.

하지만 만일 군대에 소집이 된다면

But if I am called to the military...

전투에 나가서 총에 맞아 죽는 것보다

Rather than going into battle and being shot to death

살아남는 게 중요하다.

Surviving is important.

살아남는다는 의미는

The meaning of surviving is

누군가의 생명을 취하는 일임을 잘 알고 계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I believe you are well aware that it is about taking someone's life.

제임스의 이런 발언은

James's remarks like this

재림교회 안에 또 다른 전투를 만들어내었습니다.

Another battle has arisen within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전쟁이라고 해야겠죠.

I guess we should call it a war.

당연히 제임스의 생각에 동의하는 이들이 있었고

Naturally, there were those who agreed with James's thoughts.

또한 반대하는 이들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This was also because there were those who opposed it.

J.H. Wagoner

J.H. Wagoner

이 사람은 제임스의 이런 생각에 동의하는 입장을 취했습니다.

This person took a position agreeing with James's thoughts.

물론 Wagoner는 제임스가 기록한 첫 글에

Of course, Wagoner is in the first writing recorded by James.

몰랐다는 생각을 이야기하긴 했지만요.

I did say that I thought I didn't know.

Wagoner는 징집령을 피해서 사형을 당하는 것이

Wagoner is being executed to avoid conscription.

순교하는 것과 같다고 주장하던 이들을 공략했습니다.

They targeted those who claimed it was like martyrdom.

그는 이런 극단적인 생각은

He has such extreme thoughts.

우리 재림교회가 하고자 하는 사역과

The ministry that our Seventh-day Adventist Church wants to undertake and

이루고자 하는 사명을 방해하는 일일 뿐이다.

It is merely an obstacle to the mission you want to achieve.

Wagoner는 매우 신중하게 이 문제에 접근했습니다.

Wagoner approached this issue very carefully.

징집령은 나쁜 것이 아니다.

The draft is not a bad thing.

이것은 설령으로서는

This is as a hypothesis.

부당한 사람들을 해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고

It was not created to harm unjust people.

우리 정부를 보호하기 위해서 하는 일이다.

It is something done to protect our government.

그러면서 그는 그의 생각을 풀어 나갔습니다.

Meanwhile, he unpacked his thoughts.

우리가 어떻게 우리의 권리를 지키기 위해서

How can we protect our rights?

다른 이들에게 그들의 삶을 희생해야 한다고 이야기할 수 있는가?

Can you tell others that they should sacrifice their lives?

이것은 지금도 전쟁에 있는 나라들에서

This is in countries that are still at war.

기독교인들이 고민해야 하는

Things that Christians should contemplate

그 어디에도 답이 없는 문제가 아닐까요?

Isn't it a problem that has no answer anywhere?

친구들 중에 군대에 갔다 온 친구들이

Friends who have gone to the military.

이런 얘기 하는 얘기 많이 들었어요.

I've heard a lot of stories like this.

안식이를 지키겠다고 얘기했을 때

When I said I would observe the Sabbath.

너는 네 안식이를 지키기 위해서

You must protect your sanctuary.

다른 이들이 너를 위해서 희생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

Do you think others should sacrifice for you?

그쵸?

Right?

어쨌든 이렇게 운을 뗀 Wagoner는

Anyway, having broken the ice like this, Wagoner...

매우 흥미로운 이야기로 그의 글을 이어갔습니다.

He continued his writing with a very interesting story.

Iowa주는 양심적 병역 거부자인 경우에

In Iowa, if one is a conscientious objector...

군대에 입대해서 싸우는 대신에

Instead of going to the military and fighting

100불의 벌금을 내고

Pay a fine of 100 dollars.

군대를 면제받을 수 있다는 이야기를 기록했죠.

I recorded that it's possible to be exempted from military service.

이 이야기를 하면서 Wagoner는 격분했습니다.

While telling this story, Wagoner was furious.

100불의 내 양심을 파느니

I'd rather sell my conscience for 100 dollars.

징집령에 따라 나라를 섬기며

Serving the country in accordance with the draft order.

하나님을 믿는 믿음으로

With faith in God.

그 어떤 결과가 오던지 받아들일 마음이 있다.

I am prepared to accept any outcome that may come.

그러면서 이런 100불의 양심적 병역 거부자들이

Meanwhile, these conscientious objectors to military service for $100...

병역을 피할 수 있는 법에 대해서

Ways to avoid military service.

날카롭게 지적했습니다.

He pointed it out sharply.

우리들, 재림 신도들 중 대부분은

Most of us, among the followers of the Second Coming,

100불을 지불할 수 없는 이들이다.

They are the ones who cannot pay 100 dollars.

100불을 낼 수 없다고 해서

Because I can't pay 100 dollars.

양심이 없는 것이 아니다.

It’s not that I lack a conscience.

보다시피 Wagoner는

As you can see, Wagoner is

양심적 병역 거부를 위한 법이

A law for conscientious objectors to military service.

양심에 대한 법이라기보다는

Rather than a law about conscience

돈이 있는 이들이 병역을 피할 수 있는 길을

The wealthy have a way to avoid military service.

열어준 것이라고 본 것이었죠.

I saw it as something that was opened.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떻습니까?

What do you all think?

그와 반대로 John Clark이라는 사람은

On the contrary, the person named John Clark is

제임스와 같은 주장은 아니었지만

It wasn't the same claim as James's.

그만의 의견을 펼쳤습니다.

He expressed his opinion.

Clark은 리뷰에 오랫동안 글을 썼던 사람이었고

Clark was someone who had been writing reviews for a long time.

그는 그의 주장을 아주 강력하게 필력했습니다.

He argued his case very strongly.

그는 전쟁의 필요성에 대해서 강력하게

He strongly advocates for the necessity of war.

주장했고 아마도 자신이 너무나도

He claimed, and perhaps he was too much of a...

전쟁 쪽으로 몰아가는 글을 썼다고 생각했는지

Did you think you wrote something that pushes towards war?

자신의 의견과 상관없이

Regardless of one's own opinion.

자신은 교회의 결정을 따르겠다고

"I will follow the church's decision."

그의 글을 마무리하긴 했습니다.

I have finished his writing.

어쨌든 그는 전쟁에 참여해야 한다는

Anyway, he must participate in the war.

그의 강력한 개인적인 생각을 숨기지 않았죠.

He did not hide his strong personal opinions.

여기서 Clark의 글을 좀 살펴보자면 이렇습니다.

Let's take a look at Clark's writing here.

나는 전쟁에 대한 나의 생각을 나누고자 한다.

I want to share my thoughts on war.

전쟁 때문에 오는 두려움이나 징집령이 아닌

Not the fear or draft caused by war.

반역자들이 받아야 하는 마땅한,

The rightful punishment that traitors should receive,

불가로 말이다.

It's impossible, you see.

그러고서는 Clark은 성경의 영웅들을 이야기하면서

Then Clark spoke about the heroes of the Bible.

그들이 성전, 즉 거룩한 전쟁에 참여했고

They participated in the holy war, that is, the sacred battle.

원수들을 칼로 베었던 이야기들을 나열했습니다.

I listed the stories of having cut down enemies with a sword.

나는 이 반역적인 노예제도의 근간에 대해서 생각해 보면서

I am thinking about the foundation of this rebellious slavery system.

불행히도 노예제도가 우리의 삶의 발전을 저해하는지

Unfortunately, whether slavery hinders the development of our lives.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I can't help but think about it.

노예제도는 캔자스에서 일어난 사건들,

The slavery system events that occurred in Kansas,

이것은 1850년대에 일어났던 폭동으로,

This is a riot that occurred in the 1850s,

Bleeding Kansas, 아니면 Bloody Kansas라고 불리우는데,

It's called Bleeding Kansas, or Bloody Kansas.

이것은 노예제도의 합법화에 대한 격한 토론이 폭동으로 이어져서

This heated debate about the legalization of slavery led to a riot.

많은 이들이 목숨을 잃은 사건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Many people are speaking about the incident in which many lost their lives.

즉, 캔자스에서 일어났던 사건들,

In other words, the events that took place in Kansas,

또한 도망 노예법, Fugitive Slave Law라고 불려지는 건데,

It is also called the Fugitive Slave Law.

도망친 노예를 체포해서 주인에게 되돌려 보내는 것을 법제한 법이었습니다.

It was a law that restricted the arrest of runaway slaves and the return of them to their owners.

또, 그래서 노예제도는 도망 노예법을 선도하고,

Also, the institution of slavery led to the fugitive slave laws,

Dread Scott Decisions, 이것이 합당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게 함으로써,

Dread Scott Decisions, by accepting this as just,

할 때 이 Dread Scott Decisions이라는 것은 1857년 미국 헌법재판소에서

The Dred Scott Decision refers to a ruling made by the United States Supreme Court in 1857.

흑인 노예 출신의 사람들에게 합법적으로 미국 시민권을 주어서는 안 된다라는 판결로

A ruling that individuals of African slave descent should not be granted legal U.S. citizenship.

미국 최고의 사법기관이 노예제도를 허락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게 했다는 평가를 받는 사건입니다.

This incident is evaluated as having led to the perception that the highest judicial authority in the United States sanctioned slavery.

즉, 노예제도가 미국 시민권을 주어서는 안 된다라는 판결로 미국 최고의 사법기관이 노예제도를 허락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게 했다는 평가를 받는 사건입니다.

In other words, this incident is evaluated as the highest judicial body in the United States allowing slavery by ruling that slavery should not grant American citizenship.

즉, 노예제도가 이런 헌법재판소의 결정이 합당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게 함으로

In other words, by allowing the slavery system to be accepted as valid by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노예제도가 가족들이 노예로 팔림으로 가족들이 흩어지게 되고

The slavery system causes families to be torn apart as they are sold into slavery.

아무런 죄가 없는 사람이 아무런 이유 없이 폭력의 피해자가 되며

An innocent person becomes a victim of violence for no reason.

아무런 관련 없는 이들이 여행자들, 행상인들, 그리고 선생님들을 때리고 노발대발하며

Those completely unrelated are beating and shouting at travelers, peddlers, and teachers.

어떤 때는 심지어 교수형에 처하게 하는 거죠. 교수하는 일을 벌이곤 했습니다.

Sometimes, they even subjected people to hanging. They used to engage in teaching.

노예제도는 우리의 땅을 황폐한 땅이 되게 하고 정부를 부패하게 만들고 사람들을 괴롭히며 압제하고 사람으로서의 인간성을 손상시키는

Slavery turns our land into desolate land, corrupts the government, torments and oppresses people, and damages humanity as human beings.

즉, 그 어떤 방면에서도 우리 사회에 좋을 것이 하나도 없는 것이 바로 노예제도입니다.

In other words, there is nothing good for our society in any aspect that is the institution of slavery.

노예제도는 범죄의 행위이며 노예제도는 훌륭한 애국자들을 미친 사람으로 취급합니다.

Slavery is a criminal act, and it treats great patriots as if they were crazy.

나는 노예제도를 생각할 때면 성경의 압살롬과 유압을 생각하게 됩니다.

When I think of slavery, I think of Absalom and Uzziah from the Bible.

나는 바라기를 제7일을 안식일로 지키는 성도들이 노예제도를 완전하게 정황하지 않는 사람들을

I hope that believers who keep the seventh day as a Sabbath do not fully justify slavery.

하나님께서 주시는 능력으로 쳐버리고, 여기서 쳐버리고 할 때 영어 단어를 strike라는 말을 썼습니다.

With the power given by God, I struck down and used the English word "strike" when saying to strike down here.

쳐버렸으면 좋겠습니다.

I wish it would be broken.

알다시피 압살롬과 유압에 대한 이야기를 했는데 압살롬과 유압이 반역의 죄로 칼로 내리침을 당했다는 말이었기 때문에

As you know, we talked about Absalom and Joab, and it was said that Absalom and Joab were struck down by the sword for the crime of rebellion.

여기서 내려치라고요.

I said to strike down here.

칼로 내리치라는 말은 칼로 내리치라는 의미, 즉 살생의 의미로 받아들여질 수도 있겠죠.

The phrase "to strike with a knife" can be interpreted as the meaning of striking with a knife, which implies the meaning of killing.

북부주에 사는 우리들은 노예제도를 찬성하는 이런 괴물과도 같은 이들을 관대하게 받아들이는 죄를 범했습니다.

We have sinned by generously accepting these monstrous beings who support slavery, living in the Northern state.

그렇기에 우리는 그에 대한 결과를 받아들여야 하며 그 후 남부주에 있는 이들이 두려움에 떨게 만들어야 합니다.

Therefore, we must accept the consequences for him, and afterwards, we must instill fear in those in the southern state.

여러분들이 만일 교회에 지나면서 이런 글을 읽었다면, 이런 글이 실린 것을 읽었다면 어떻게 생각하시겠어요?

If you were to pass by a church and read something like this, what would you think?

하지만 우리 조셉 클럭,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But our Joseph Clark, it's not over yet.

같은 리뷰지 이슈에서 그는 다른 글을 기록했습니다.

In the same issue of the review, he recorded a different article.

여러분들은 나라로부터 많은 특혜를 받은 사람들이라는 사실을 어떻게 잊을 수가 있습니까?

How can you forget that you are people who have received many privileges from the country?

이렇게 받은 은혜를 잊고 우리나라가 어려움에 처해 있을 때 어떻게 나라를 돕지 않을 수 있습니까?

How can we not help our country when it is in difficulty after having received such grace?

생각해 보세요.

Think about it.

반역자들을 교수형에 처하거나 총으로 쏘는 것이 살인입니까?

Is it murder to execute traitors by hanging or shooting them?

아닙니다. 절대로 아닙니다.

No, absolutely not.

링컨 대통령의 군대가 우리와 바로왕, 원수라고 볼 수 있죠.

President Lincoln's army can be seen as our direct enemy.

바로왕 사이에 서 있는 것이 안 보입니까?

Can't you see that you are standing right between the kings?

만일 우리나라 정부가 합당하지 않은 일, 불의를 강조하며 진리를 거부할 때 이런 일이 있다면 우리는 정부의 권위에 불순종으로 대항해야 할 것입니다.

If our country's government emphasizes unjust actions and rejects the truth, we must resist the authority of the government with disobedience.

하지만 반역자들에 대한 성전, 거룩한 전쟁, 이 글에는 크루세이드라는 십자군들에 대한 단어를 사용했어요.

However, in this text, the term Crusade is used to refer to the holy war against the traitors.

거룩한 전쟁을 수행할 때는 우리는 당당하고,

When waging a holy war, we are confident,

바른 모습으로 정부의 법에 순응하고, 수응해야 할 것입니다.

We must conform to the government's laws in a proper manner and comply with them.

우리 클락 선생님의 강한 성격이 잘 드러나 보이는 글 같습니다.

It seems like the article vividly reflects our teacher Clark's strong personality.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What do you all think?

만약에 남북한이 실제로 전쟁 상태에 있는 지금 상태에 있잖아요.

Right now, North and South Korea are actually in a state of war.

지금 이런 상태에 우리는 총칼을 들고 싸워야 합니까?

Do we have to fight with guns and swords in this situation?

또한 다른 생각을 하는 이들이 있었으니까요.

There were also others who thought differently.

아니, 이들은 비폭력을 주장하는 이들이었습니다.

No, they were those who advocated for non-violence.

헨리 카버.

Henry Carver.

이 사람은 EU 여하를 막론하고 어떤 경우이든 간에 다른 사람을 대적해서 무기를 드는 일은 그리스도인이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

This person argued that, regardless of the EU or any circumstances, it is not something a Christian can do to take up weapons against others.

카버는 하나님이 한 나라의 왕으로 통치할 때만이 사람의 생명을 취하는 것이 허락될 수 있기에 이것은 오직 구약 성경 시대에만 적용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Carver argued that it is only permitted for God to take a person's life when He rules as the king of a nation, and therefore this applies only to the Old Testament era.

그 외의 상황에서는,

In other situations,

그리스도인들은 절대로 생명을 취하는 일을 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죠.

Christians argued that they should never take a life.

오하이어에 있는 한 재림 성도가 리뷰에 편지를 보내왔습니다.

A Seventh-day Adventist in Ohio has sent a letter to the review.

전에는 전쟁에 참전해서 다른 이들의 생명을 취하는 것이 잘못되었다고 생각했었는데,

I used to think it was wrong to participate in war and take the lives of others, but,

리뷰지에서 그리스도인들이 특별히 재림 성도들이 군대에 가서 싸우는 것이 무리가 없다는 글을 보고

I saw an article in the review stating that it is not unreasonable for Christians, particularly Adventists, to go to the military and fight.

그는 입대해서 훈련소에서 훈련을 받고 있으니 기도해 달라는 기도 요청의 편지였습니다.

It was a letter requesting prayers, saying that he had enlisted and was receiving training at the training center.

실시

Implementation

자타보신

Self and others.

상승Wow a lot

Wow a lot

자치링

Autonomous ring

아ún

The text appears to contain a typo or an incomplete word. Could you please provide more context or check the spelling?

오하이어

Ohayo (Good morning)

주 에서 징집을 낳았는지 아니면 자진에서 군대에 입사한 것인지는 정확하게 알 수는 없습니다.

It is unclear whether he was conscripted into the military or voluntarily enlisted.

그래서 전쟁에 참여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는 생각이었습니다.

So I thought that participating in the war was wrong.

클락도 이 전쟁, 남북전쟁만이 자신의 주장에 적용될 수 있는 예외적인 전쟁이라고 했죠.

Clark also said that this war, the Civil War, is an exceptional war that can only be applied to his claims.

모든 전쟁에 자신의 주장을 연결시킬 수는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I thought that not every war can be linked to one's own claims.

이런 다른 의견이 있었지만 어쨌든 한 교회로서 또한 조직된 교단으로서 뭔가 정리가 되어야 했습니다.

There were differing opinions, but nonetheless, as a church and as an organized denomination, something needed to be sorted out.

어떤 아이오아에 있는 재림신자들은 자신들만의 힘으로 이 일을 해결해보고자 했던 것 같습니다.

It seems that some Reorganized Church members in Iowa tried to solve this matter by their own power.

우리는 정확하게 무엇을 요청했는지는 모르지만 하여튼 아이오아의 재림성도들은 재림청년들이 전쟁에서 징집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주정부에 청원서를 냈지만 그 청원은 거절되었습니다.

We are not exactly sure what we requested, but anyway, the Iowa Restoration Saints submitted a petition to the state government to prevent the restoration youth from being drafted into the war, but that petition was rejected.

처음에는 다들 링컨엔 징집령에서 재림청년들이 피할 방법이 없다고 생각했죠.

At first, everyone thought that the young people of the reawakening had no way to escape the draft order in Lincoln.

굳이 이야기를 더하자면 재림교회는 싸웠습니다.

To elaborate,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had conflicts.

싸우기 위해서 입대하는 사람들보다 극단적인 자세를 취하던 양심적 병역 거부자들 때문에 골치를 알아야 했습니다.

The conscientious objectors, who took a more extreme stance than those who enlisted to fight, caused a headache for many.

교회는 이런 이들의 주장으로 인해서 재림교회가 괜히 남부를 지지하며 노예제도를 지지하는 교회라는 오해를 받고 싶지 않았죠.

The church did not want to be misunderstood as a church that supports slavery just because of the claims made by these individuals, particularly in the South.

누군가는 교단적인 입장을 확립해야 했습니다.

Someone had to establish a denominational position.

정리해서요.

Please summarize.

생각보다 복잡한 문제였죠.

It was a more complex issue than I thought.

1863년 1월, 드디어 기나긴 토론의 터널을 지나서 빛이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In January 1863, the light began to be seen after finally passing through the long tunnel of discussions.

리뷰진은 독자들에게 며칠 안에 앨런 와잇이 이 문제에 대한 이야기를 할 것이라고 광고를 했죠.

The review team announced to the readers that Alan White would discuss this issue in a few days.

이런 복잡한 상황 속에 재림신도들이 취해야 할 자세가 무엇인지 말이죠.

What is the attitude that the believers of the Second Coming should adopt in such a complex situation?

앨런은 이 모든 문제의 시초가 되었던 제임스의 글을 시작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가기 시작했습니다.

Allen began to unravel the story starting with James's writing, which was the root of all these problems.

앨런은

Allen is

제임스가 글을 썼던 때는 그의 주장이 가장 타당한 주장이었을 것이다.

The time when James wrote the article was likely when his argument was the most valid.

하지만 지금은 아니다.

But not right now.

즉, 제임스가 주장했던 중도를 걷자는 원칙은 우리 삶의, 우리 신앙의 원칙을 희생할 수 있기 때문에 잘못된 주장이라는 것이었죠.

In other words, the principle of walking the middle path that James advocated is a flawed argument because it can compromise the principles of our lives and our faith.

더 큰 그림으로 보면 앨런 와잇의 주장은 이랬습니다.

When viewed from a larger perspective, Ellen White's argument was as follows.

하나님께서는 그 어떤 재림신도들도 전쟁에 참여하기를 원하지 않으신다.

God does not want any returnees to participate in war.

북부주들이 얼마나 오른 위치에 있더라도,

No matter how elevated the position of the northern states is,

그것은 어디까지나 이 죗된 세상에 존재하는 죗된 권세들의 싸움이기 때문이다.

That is because it is ultimately a battle of sinful powers that exist in this sinful world.

즉, 남부를 선택하나 북부를 선택하나 둘 다 선하지 않다는 것이죠.

In other words, whether you choose the south or the north, neither is good.

앨런 와잇은 북부군, 혹 북부주가 성경에 나타난 의료원 전사들과 비교되는 것을 절대적으로 반대했습니다.

Allen White absolutely opposed the comparison of the Northern Army or Northern States to the warrior physicians mentioned in the Bible.

더 나아가서 남북전쟁이 선과 악의 대쟁투라고 인식되는 것 역시도 반대했죠.

Furthermore, I also opposed the perception that the Civil War is a great struggle between good and evil.

북부도 부패가 만연했고,

Corruption was widespread in the North as well.

남부주의 노예주의,

Southern slavery,

노예제도를 그렇게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는 이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There were many who did not take the issue of slavery so seriously.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여기서 앨런 와잇이 북부주에 살면서 남부주에 있던 노예제도의 뜨뜨미지근한 반응을 보이는 이들을 타겟으로 이야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죠.

Therefore, we can see that we are targeting those who show a lukewarm response to slavery in the southern states while living in the northern states, as exemplified by Ellen White here.

사실 생각보다 이런 이들의 수는 많았습니다.

In fact, there were more of these people than I expected.

전에도 이야기했듯이 링컨은 노예제도에 반대했지만,

As I mentioned before, Lincoln opposed slavery, but,

남부주에 있는 노예제도 전체를 다 폐지하는 법을 만들 수가 없었습니다.

It was not possible to create a law that abolished slavery entirely in the southern states.

정치적으로 그렇게 되는 것이 쉽지가 않았죠.

It wasn't easy for it to happen politically.

그렇기에 새로 생기는 주들의 노예제도가 확산되는 것을 막고자 했고,

Therefore, they attempted to prevent the spread of slavery systems in the newly emerging states.

남부주들은 확산되는 노예제도법을 막는 합중국으로부터 탈퇴하려고 했던 것이죠.

The southern states wanted to secede from the Union to prevent the spreading of slavery laws.

다른 말로 하면 북부주, 즉 링컨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남부주의 완전한 노예제도 폐지라기보다는 남부주들이 연방에서 탈퇴하는 것을 막는 것이 그의 우선순위였습니다.

In other words, the primary goal of the Northern states, specifically Lincoln, was not so much the complete abolition of slavery in the Southern states, but rather to prevent the Southern states from seceding from the Union.

즉,

In other words,

북부주군에서 가담해 싸우는 것은 노예제도 폐지를 위해서 싸운다기보다는 노예제도 확산을 막는 선에서 남부주들의 연방 탈퇴를 막기 위한 전쟁이었고,

Fighting alongside the northern states was not so much about fighting for the abolition of slavery but rather a war to prevent the southern states from withdrawing from the Union and to stop the spread of slavery.

앨런 와잇은 그렇기에 이 전쟁에서 북부군이 완전히 하나님의 의에 펴낸 선전쟁이라고 주장할 수 없었던 것이죠.

Allen White could not claim that the Northern Army was a completely just war in the sight of God.

흥미롭게도 앨런 와잇은 참전하는 것이 무조건 잘못됐다고 주장한 것도 아니었습니다.

Interestingly, Alan White did not argue that participating was necessarily wrong.

앨런 와잇은 독립전쟁에서

Allen White was in the War of Independence.

나라의 국가연합을 위해서 그리고 생명을 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 장군들에 대해서 좋은 평가를 내리기도 했었습니다.

There were also positive evaluations of the generals who were committed to the nation's confederation and the principle of saving lives.

그에 반해서 남북전쟁에서의 전쟁 지도자들에 대한 평가는 그리 좋지 않았습니다.

In contrast, the evaluation of the military leaders during the Civil War was not very good.

앨런은 그들이 노예 주인들보다 어쩌면 조금 나은 사람들이라는 평가를 내렸었죠.

Alan had assessed that they might be slightly better people than slave owners.

앨런은 모든 살상이 죄다 라는 이야기는 반복하지 않았습니다.

Allen did not repeatedly say that all killing is a crime.

앨런은 북부주들의 전쟁의 목적이 무엇인가를 생각했습니다.

Allen pondered what the purpose of the war among the Northern States was.

그러면서 결론은 북부군의 연합하여서 전투에 참여하는 것은 재림 신도로서 원칙에 타협하는 결과를 가지고 올 것이라고 주장한 것이었죠.

In doing so, the conclusion was that the Northern Army's participation in the battle as a united force would result in a compromise of principles as a Second Adventist.

우리는 여기서 몇 가지 용어 정리를 하면서 개념 정리를 좀 해야 될 것 같습니다.

I think we need to clarify some terms and organize our concepts here.

우리는 재림교회의 원칙을 특별히 전쟁이 일어났을 때 재림교회가 가진 입장이 무엇인지 얘기하면서

We talk about the principles of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particularly what the church's stance is when a war occurs.

우리가 흔히 부르는 Pacifism, 반전주의, 폭력 부정의 원칙이 재림교회의 전쟁에 대한 이해가 아니었다는 점입니다.

What we commonly refer to as Pacifism, anti-warism, and the principle of non-violence was not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s understanding of war.

그렇다고 해서 재림교회는 전투에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However, that did not mean that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participated in the fighting.

그렇다고 해서 재림교회가 전쟁을 지원하고 폭력을 사용하는 것이 옳다는 입장은 아니었습니다.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supports war or believes that using violence is justified.

여기서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은 재림교회의 입장이 평화주의라는 실제적인 의미와 같지 않았다는 것이죠.

What I want to talk about here is that the position of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was not the same as the practical meaning of pacifism.

평화주의, 패시피즘이라는 단어는 의미만 살펴보면 평화를 주장하는 것 같지만

The words pacifism and peace advocacy seem to advocate for peace when looking at their meanings alone, but...

실제적인 적용에 있어서는 평화와 반대되는 그 어떤 원칙, 조직, 제도 등을 원천적으로 거부하는 입장에 서 있습니다.

In terms of practical application, it stands from a position that fundamentally rejects any principles, organizations, or institutions that oppose peace.

다른 말로 하면 평화와 반대되는데 쓰이는 군대에 입대하는 것은 평화주의에 위배된다.

In other words, enlisting in the military, which is used in opposition to peace, violates pacifism.

그렇기 때문에 군대에서 나라를 섬기는 것에 대해서는 완전히 반대하는, 거부하는 위치를 잡는 것이죠.

That's why I take a completely opposing stance against serving the country in the military.

무기를 구입하는 데 있어서 쓰이는 세금을 내는 것을 거부한다.

I refuse to pay taxes that are used to purchase weapons.

폭력이라는 목적을 위해서 존재하는 모든 단체를 거부하는 것으로 실제적인 행동을 하고 있죠.

We are taking practical action by rejecting all organizations that exist for the purpose of violence.

알다시피 여호와의 증인교회에,

As you know, in the Jehovah's Witness Church,

군대에 다니시는 분들은 전쟁이라는 것, 폭력이라는 것 자체를 부정하고

Those who serve in the military deny the very essence of war and violence.

심지어는 의무병으로도 군대에 입대하는 것을 거부하지 않습니까?

Aren't you even refusing to enlist in the military as a medic?

그래서 재림신도들은 여호와의 증인교회처럼 반전의 입장이 아니었기 때문에

So the Jehovah's Witnesses were not in an anti-war position like the Second Adventists.

재림교회의 역사를 살펴보면 전쟁이 있을 때마다 혼란이 있었던 것이 사실입니다.

It is a fact that there has been confusion every time there has been a war in the history of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재림신도들은 non-combatant, 즉 비전투적인 원칙에 입각해서

The followers of the Second Coming base their principles on being non-combatant.

군대에 있는 지도자들이나 전쟁자들, 전쟁자들, 전쟁자들, 전쟁자들, 전쟁자들, 전쟁자들, 전쟁자들, 전쟁자들, 전쟁자들, 전쟁자들, 전쟁자들, 전쟁자들, 전쟁자들, 전쟁자들.

Leaders or warriors in the military, warriors, warriors, warriors, warriors, warriors, warriors, warriors, warriors, warriors, warriors, warriors, warriors, warriors, warriors.

정부의 관료들에게 설명을 하지만 이 설명을 듣는 사람들은

I explain to the government's officials, but those who are listening to this explanation are

군대에 와서 나라를 섬기지만 무기와 관련된 훈련을 전혀 받지 않겠다.

I will serve the country by coming to the military, but I will not receive any training related to weapons at all.

그게 도대체 무슨 말인가 하는 표정을 짓는 것이죠.

It gives a look as if to say, "What on earth does that mean?"

이것을 이렇게 역사적인 예로 설명해 볼 수 있습니다.

This can be explained with this historical example.

제7일 안식을 예수 재림교회는 전 세계에서 가장 큰 그리스도인 평화교회와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is the largest Christian peace church in the world.

제7일 안식을 예수 재림교회라고 볼 수 있습니다.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can be seen as the church of Jesus' second coming.

여러분들 핵소고지라는 영화를 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Have you ever seen the movie "Hacksaw Ridge"?

최근에, 최근이라고 하면 그래도 몇 년 전에 나온 영화인데

Recently, and by recently, I mean it's a movie that came out a few years ago.

멜깁슨이 만든 영화죠.

It's a movie made by Mel Gibson.

이 영화의 주인공으로 알려진 데스문 도스, 데스문 도스라고 한국말로 번역이 돼서 나왔는데

The protagonist of this movie is known as Deathmoon Dos, and it was translated into Korean as 데스문 도스.

이 사람은 재림교인이었습니다.

This person was a member of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제7일 안식을 예수 재림교인이었고 2차 세계대전에 참전해서 오키나와 전투에 참전했는데

On the seventh day, I was a Seventh-day Adventist and participated in World War II, taking part in the Battle of Okinawa.

총 한 발도 쏘지 않고 많은 전후들을 구해내어서 국회 명예훈장을 받은 사람이었습니다.

He was the one who received the National Assembly Honor Medal for saving many people without firing a single shot.

하지만 이 이야기에서도 알 수 있듯이 재림교회는 나라를 군인으로서 섬기는 것은 아주 명예롭게 생각합니다.

As can be seen from this story,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considers serving the country as a soldier to be very honorable.

그렇기에 재림교회는 평화주의 혹 반전주의라고 불리우는 집단 안에 들어간다고 이야기할 수는 없습니다.

Therefore, it cannot be said that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falls into the group known as pacifism or anti-war movements.

재림신도들은 군인으로서 나라를 섬기라는 부르심에 참여합니다.

The followers of the Second Coming participate in the call to serve the country as soldiers.

재림신도들은 군인으로서 나라를 섬기지만 비전투요원으로서 나라를 섬기는 것이 합당하다고 주장하는 것이죠.

The followers of the Second Coming serve the country as soldiers, but they argue that it is appropriate to serve the country as non-combatants.

제7일 안식을 예수 재림교회는 비전투요원으로서 나라를 섬기는 원칙을 선택하고 있습니다.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chooses the principle of serving the country as non-combatants.

즉 여호와의 증인교회나 매너나의 교회가 가진 패시피즘, 평화주의 반전주의와는

In other words, it is different from the pacifism, peace advocacy, and anti-war stance held by the Jehovah's Witnesses or the Mennonite Church.

조금 다른 입장이라 볼 수 있죠.

It can be seen as a slightly different standpoint.

거기다가 우리가 내는 세금이 전쟁 준비를 위해서 쓰여진다는 것을 우리는 다 알고 있기에

Moreover, we all know that the taxes we pay are being used for war preparations.

세금을 내는 한 완전한 평화주의자가 되기에는 무리가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I think it’s unreasonable to be a complete pacifist while paying taxes.

어쨌든 지금까지도 전쟁이 편만한 이 세상에 사는 재림교인들은 많은 어려움들을 겪어야만 했습니다.

Anyway, the Seventh-day Adventists living in this world, where war is prevalent, have had to endure many hardships until now.

1863년 3월 드디어 우려했던 일이 일어나고야 말았습니다.

In March 1863, the feared event finally occurred.

국회는 모든 이들이 징집력을 위해서 등록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The National Assembly requested that everyone register for conscription.

군대에 가기 원하지 않는 사람들은 대체비, 대체비라고 할까요?

People who do not want to go to the military might refer to it as substitute service, substitute service, shall we say?

교환비용으로 300불을 내야 했습니다. 300달러요.

I had to pay 300 dollars as an exchange fee. 300 dollars.

여러분들은 그럼 아 교회가 그럼 각 사람당 300불씩 내주면 되겠구만 이렇게 생각할 수 있겠죠?

So you might think, "Then the church can just pay $300 for each person, right?"

그래서 1800년대에 300불이라 하면 한 사람의 1년치 봉급 정도의 돈이었습니다.

So in the 1800s, $300 was about the annual salary of one person.

그러니까 적은 금액이 아니었죠.

So it wasn't a small amount.

한두 명이면 몰라도 징집력으로 등록을 해야 되는 모든 재림교회 청년을 위해서

This is for all the Seventh-day Adventist youth who must register for conscription, even if it's just one or two people.

교회가 내줄 수 있는 사정은 안 됐습니다.

The church was unable to provide the circumstances.

일단 몇몇 사람들은 이 교환권을 구매하고 징집력을 피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Some people have reportedly bought this exchange voucher to avoid conscription.

1864년 7월.

July 1864.

국회는 300달러를 내고 대체를 받을 수 있는 이들은

Those who can receive a replacement by paying 300 dollars in the National Assembly are

평화주의 교회, 즉 양심적 병역 거부자들에 한한다는 내용을 발표했습니다.

It was announced that it refers specifically to pacifist churches, namely conscientious objectors.

평화주의 교회, 즉 평화교회로 인정받는 정부에서 인정받는 교회들은

Peace churches, recognized as peace churches by the government, are

모든 폭력에 반대하는 입장을 가진 교회들이었고

They were churches that held a position against all forms of violence.

코에이카 아니면 매너나잇 교회들이 이런 입장을 가진 교회들로 알려져 있었습니다.

Churches like Koei Ka or Manna Night are known to have such positions.

여기서 잠깐.

Just a moment here.

300달러의 교환권을 구매하지 않더라도 징집에 피하는 방법이 있었습니다.

There were ways to avoid conscription without purchasing a $300 voucher.

징집을 피한다기보단 전투에 참여하지 않는 방법이 있었습니다.

Rather than avoiding conscription, there was a way to not participate in combat.

그것은 군대에서 비전투 요원으로 입대하는 조건이었죠.

That was the condition for joining the military as a non-combatant.

예를 들면 의무병으로 입대하는 것입니다.

For example, it is enlisting as a medic.

이렇게 비전투 요원으로 입대를 하기 위해서는

To enlist as a non-combatant like this,

당사자가 전투에 참여해서 생명을 취하는 일이

The act of the party participating in combat and taking lives.

당사자의 교회, 교단의 가르침에 어긋난다는 명확한 그리고 공식적인 가르침이 문서화되었고

A clear and official teaching that contradicts the teachings of the parties' church and denomination has been documented.

공식적인 문서화되어 있어야 했습니다.

It should have been officially documented.

당연히 재림교회는 이런 공식적인 문서를 빨리 만들어야 했죠.

Of course,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should have quickly created this official document.

이 징집령 때문에 많은 이들이 근심을 하긴 했습니다만

Many people have been worried about this conscription order, but...

실제로 징집령은 재림교회의 성도들에게 희망을 주기도 했습니다.

In fact, the draft notice gave hope to the members of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1863년 7월 29만 2천명의 이름이 추천되었고

On July 29, 1863, the names of 292,000 people were recommended.

4만 명이 군대에 입소하지 않았습니다.

40,000 people did not enlist in the military.

당연히 이것은 타령으로 취급되었죠.

Of course, this was treated as a chant.

입영한 사람들 중에서 16만명이 면제를 받게 되었기에

Among the people who have enlisted, 160,000 have received exemptions.

이제 9만명만이 남게 되었습니다.

Now only 90,000 people are left.

4만명이 아니 29만명이 들어갔는데

Not 40,000 people, but 290,000 people entered.

아니 추첨이 됐는데 거기에서 이제 9만명만 남게 된 것이죠.

No, a lottery was held, and now only 90,000 people remain from there.

그중에 5만 2천명이 300달러의 교환권을 구입하였기 때문에

Among them, 52,000 people purchased a $300 exchange voucher.

결국 29만 2천명 중에서 1만명만이 입영을 해서

In the end, only 10,000 out of 292,000 people enlisted.

신체검사를 받고 군인이 될 수 있었습니다.

I underwent a physical examination and was able to become a soldier.

좀 이상하죠?

It's a bit strange, isn't it?

기록에 의하면

According to the records

기록에 의하면 4번에 걸친 이별은

According to the records, the breakup occurred four times.

징집을 거쳐서 77만 6천명이 군대에 이제 등록이 되고

Through conscription, 776,000 people are now registered in the military.

입영을 하기로 했다고 전해지는데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y have decided to enlist in the military.

그중에 4만 6천명만이 군복을 입고 싸울 수 있는 사람들이 되었습니다.

Among them, only 46,000 people were able to wear a uniform and fight.

이것은 약 징집령으로 부른 사람들의 6%에 불과한 숫자였죠.

This was just a number representing 6% of those called under the draft order.

물론 재림교인들은 캐나다로 도망가지 않았습니다.

Of course, the Seventh-day Adventists did not flee to Canada.

나 말고 다른 사람이 나를 대신해서 싸우게 한다는 건

Having someone else fight in my place instead of me

역시 양심입니다.

It is indeed a matter of conscience.

그렇게 내키는 일은 아니었죠.

It wasn't something I was inclined to do.

각 사람당 한 사람당 300달러를 내는 것으로

Each person will pay $300.

교회의 재정을 바닥낼 수도 없는 일이었습니다.

It was impossible to deplete the church's finances.

이때 제이 앤 앤드루스

At this time, Jay and Andrews.

여러분들 이름 생각은 아시죠?

You all know what your names are, right?

제이 앤 앤드루스

Jay and Andrews

제이 앤 앤드루스는 재림교회를 대표해서

Jay and Andrews represent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당시 헌병사령관을 만났습니다.

I met the military police commander at the time.

그의 이름은 제임스 B. 프라이라는 사람이었죠.

His name was James B. Fry.

앤드루스는 재림교인들은 절대적으로 나라에 충성하고

Adventists are absolutely loyal to their country and

노예제도에 반대하는 사람들입니다.

They are people who oppose slavery.

더 나아가 재림교인들은

Furthermore, Seventh-day Adventists

십계명과 신약의 가르침에 근거해서

Based on the teachings of the Ten Commandments and the New Testament.

피를 흘리는 일을 할 수 없습니다.

I cannot do anything that involves shedding blood.

감사하게도 프라이는 앤드루스의 말을 이해했고

Fortunately, Fry understood Andrews' words and

재림신도들도 역시 300달러의 교환권 구매를 받거나

The followers of the Second Coming also receive or purchase a $300 voucher.

아니면 비전투연으로서 야전병원에 배치되도록 하겠다는

"Otherwise, I will ensure that you are assigned to a field hospital as a non-combat unit."

약속을 받았습니다.

I received a promise.

앤드루스는 프라이 장군에게

Andrews said to General Fry.

재림교인들은 항상 평화를 사랑하는 사람들이라고 이야기했습니다.

Seventh-day Adventists have always been described as people who love peace.

당연히 재림교인이 아닌 프라이 장군이 이 말을 들었을 때

Of course, when General Fry heard these words, who is not a member of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재림교회가 평화교회 같은 교회인가라고 생각을 했겠죠.

You might have thought that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is a church like the Peace Church.

여기서 더해서 조셉 베이츠가 1840년에 있었던

In addition to this, Joseph Bates took place in 1840.

멕시코 아메리칸 전쟁에 대해서 부정적인 평가를 내림으로써

By providing a negative evaluation of the Mexican-American War.

이런 교단으로서 이런 인식이 굳어지게 만들었습니다.

This perception has solidified as a result of such a denomination.

하지만 전에도 얘기했던 것처럼 조셉 클럭

But as I mentioned before, Joseph Clark.

조셉 클럭은 프라이 장군의 교단으로서 이런 인식이 굳어지게 만들었습니다.

Joseph Clark solidified this perception as a sect of General Fry.

아까 아주 강하게 재림교인들이 전투에 참여해야 된다고 얘기했던

Earlier, I strongly mentioned that Jehovah's Witnesses must participate in the battle.

조셉 클럭 같은 사람들

People like Joseph Clark.

마치 재림교회가 성도들을 참전하도록 동요하는 것이

It is as if the Adventist Church is stirring the congregation to participate in the war.

마치 성스러운 전쟁에 참여하게 하는 것처럼 했던 주장은

The claim that made it seem like participating in a sacred war

재림교회 안에 무언가 이쪽에서 얘기하는 사람이랑

There is someone in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who talks from this side.

저쪽에 얘기하는 사람의 얘기가 다르잖아요.

The person over there is saying something different.

무언가 전쟁에 대한 이해가 정리되어야 한다.

There needs to be an understanding of something regarding war.

이런 정리의 필요함을 알리는 일이 되었고

This has become a task to inform the necessity of such organization.

1865년 자진에서 북부군에 입대했던 몇몇 재림교회 청년들이

In 1865, several young people from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enlisted in the Northern Army.

교회에서 출교 조치 되었습니다.

I was excommunicated from the church.

이유는 이랬죠.

The reason was like this.

만일 정부가 몇몇 재림 청년들이 자진에서 군대에 입수하는 것을 보면

If the government sees that some young people of the Second Coming voluntarily enlist in the military,

약간 헷갈리지 않을까

Aren't you a little confused?

정부로부터 힘들게 평화교회라는 위치를 인정받고

After a difficult process, the government has recognized the position of the Peace Church.

이제는 재림 청년들이 전투병과가 아닌 비전투 요원으로서

Now, the resurrected youth are serving as non-combat personnel rather than combat units.

자진해서 군대에 입수하는 것을 보면 약간 헷갈리지 않을까

Given that they voluntarily enlist in the military, it might be a bit confusing.

군대에서 자신들의 해야 되는 일을 하도록 인정을 해줬는데

They were recognized for doing the work they had to do in the military.

갑자기 재림교회에 다니는 재림 청년들이

Suddenly, the Adventist youths who attend the Adventist Church...

전투원으로서 입소를 하게 되면 뭔가 헷갈리는 일이 있지 않을까

Wouldn't there be some confusing things if you were to enlist as a combatant?

그런 일을 우려해서 교회에서는 자진적으로

To alleviate concerns about such matters, the church voluntarily...

북부군에 입대했던 이들을 출교 조치한 것이었죠.

They were expelled for enlisting in the northern army.

하지만 그것과는 다르게 재림 청년들이 각기 다른 지역에서

However, unlike that, the Second Coming Youth are from different regions.

많은 어려움들을 당해야만 했습니다.

I had to endure many difficulties.

각기 다른 주들과 각기 다른 군 병과 지도자들은

Different states, different army units, and leaders.

이런 재림 청년들이 마음에 들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It seems that these young people of the Second Coming were not to their liking.

북부군 지도자, 군 지도자들은

Northern military leaders and army commanders

이제 앞으로는 총기 훈련을 받는 것을 면제해줘라

From now on, please exempt me from firearms training.

재림 청년들에게 면제해줘라 이렇게 얘기는 했지만

I said to exempt the youth of the Second Coming, but...

당사자들, 각기 다른 훈련소에 있는 사람들은

The parties involved, people in different training centers,

일단,

First of all,

그런 면제받는 제도가 있는 것을 모르는 일이 많았고

There were many cases where people were unaware of the existence of such exemption systems.

들었더라도 무시하는 것이 대부분이었죠.

Even if I heard it, it was mostly ignored.

많은 이들은 제7일 안식을 예수 재림교회의 존재 자체를

Many believe that the seventh-day Sabbath is the very existence of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인정하지 않기도 했습니다.

I also didn't acknowledge it.

몰랐던 거죠. 작은 교회니까.

I didn't know. It's a small church.

그들 입장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던 교회여서 문제이기도 했지만

From their perspective, it was a problem because the church was not well-known.

훈련병들이 훈련받기 싫고 전투에 배치되기 싫어서

The trainees don't want to train and don't want to be deployed to combat.

이런 변명을 만들어내기 위해서 재림교회의 이름을 댄다고 생각합니다.

I believe they mention the name of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in order to come up with such excuses.

또 나아가서 총기 훈련을 받지 않겠다, 사격 훈련을 받지 않겠습니다

Additionally, I will not receive gun training or shooting training.

라고 얘기했을 때 그들은 겁장이라는 말로 조롱을 당해야만 했습니다.

When I said that, they had to be mocked with the word "coward."

왜 재림교회는 전쟁의 폭력에 반대하는 입장에 섰을까요?

Why does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take a stand against the violence of war?

많은 다른 기독교회들은 문제없이 총칼을 들고 전투에 참여했는데요.

Many other Christian churches participated in battles without hesitation, wielding weapons.

여기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Here are a few reasons.

제임스 와이슨 크리스천 커넥션 교회에서 사역자로 섬겼었는데

I served as a minister at the James Wilson Christian Connection Church.

그 커넥션 교회가 평화교회의 입장을 유지하던 교단이었습니다.

That connection church was a denomination that maintained the position of the Peace Church.

하지만 더 나아가서 제7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회는

However, furthermore,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10개명을 준수하는 것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했고

I placed a high importance on adhering to the Ten Commandments.

10개명을 준수한다는 의미는 전투의 전투원으로 참여할 수 없는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I thought that adhering to the Ten Commandments meant that one could not participate as a combatant in battle.

10개명의 여섯 번째 개명, 한국말로는 살인하지 말라라고 성경에 기록되어 있지만

The sixth commandment of the ten commandments is written in the Bible as "You shall not murder" in Korean.

이것에 대한 이해가 사람들에 따라 달랐습니다.

Understanding of this varied among people.

살인, 즉 영어성경에는 murder,

Murder, that is, in the English Bible, murder.

범죄적인 행위라고 생각하는 이들이 있었던 한편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those who thought it was a criminal act.

이 개명을 살인이 아닌 살생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Some people believed that this commandment should be considered as taking life rather than murder.

그래서 살생하지 말라라는 말이랑 살인하지 말라라는 말은 굉장히 큰 차이가 있죠.

So there is a very big difference between the saying "do not kill living beings" and "do not murder."

지금도 이 점에 대해서 계속해서 다른 주장들이 있지만

There are still ongoing different claims regarding this point.

그 이야기는 여기서 하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I will refrain from discussing that story here.

그것을 위한 팟캐스트가 아니니까요.

Because it's not a podcast for that.

어쨌든 윌리엄 밀러도 역시 그리스도인들이 전투에 참여하고

Anyway, William Miller also believed that Christians should participate in battle.

참여하는 것을 그렇게 좋게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I didn't think participating was that great.

여기서 우리가 주목해봐야 하는 것은

What we need to pay attention to here is

교회가 엘렌의 조언 전에 이미 비전투원의 원칙에 입각해서

The church had already based its principles on non-combatants before Ellen's advice.

전쟁, 군대 등의 문제를 생각하고 있었다는 점입니다.

I was thinking about issues such as war and the military.

엘렌이 1861년 1월에 그의 원칙에 대해서 이야기했을 때

When Ellen talked about his principles in January 1861.

엘렌이 교회의 입장 자체를 바꾸지 않았습니다.

Ellen did not change the church's position itself.

오히려 재림교회의 비전투 원칙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주는 일을

Rather, it reaffirms the non-combat principles of the Second Advent Church.

한 것이죠.

That's what I've done.

엘렌의 대부분의 글들은 그런 역할을 했습니다.

Most of Ellen's writings served that purpose.

비전투원의 원칙으로 남북전쟁에 참여한다는 것은

Participating in the Civil War as a non-combatant principle means...

몇몇 재림교회의 지도자들에 의해서 결정된 일이었지

It was a decision made by some leaders of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교회 전체의 의사결정기관인 대총회의 결정이 아니었습니다.

It was not the decision of the General Assembly, which is the decision-making body of the entire church.

그렇기에 1865년 대총회로 모인 재림교회의 지도자들은

Therefore, the leaders of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who gathered at the General Conference in 1865

이 점에 대해서 공식적으로 결의를 했습니다.

We have officially made a resolution regarding this matter.

결의 내용은 이랬습니다.

The content of the resolution was as follows.

우리는 제7일 안식을 예수 재림교회는

We,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observe the Sabbath.

모든 전쟁행위와 폭력행위와 살생이 재림신도들과 적대적으로 행동하는 이들과

All acts of war, acts of violence, and killing against the members of the Second Coming and those who act hostilely towards them.

더 나아가서는 모든 인류를 위해 주신 창조주 하나님의 원칙과

Furthermore, the principles of the Creator God given for all humanity and

조화될 수 없기에 참여할 수 없다.

I cannot participate because we cannot harmonize.

이렇게 결론을 내렸죠.

This is how I came to the conclusion.

이렇게 교회의 입장이 정리가 되었습니다.

The church's position has been organized like this.

복잡했죠?

It was complicated, wasn't it?

어쨌든 오늘 마치기 전에 우리는 이번 에피소드에서

Anyway, before we finish today, we will...

두 명의 사람과 작별의 인사를 해야 할 것 같습니다.

I think I need to say goodbye to two people.

첫 번째는 모세스 훌이라는 사람입니다.

The first person is Moses Hull.

모세스 훌은 몇 번에 걸쳐서 러브로의 전도회를 도왔다는 이야기에서 나왔던 인물입니다.

Moses Hull is a figure mentioned in the story of helping with the revival meetings of Love Road several times.

모세스 훌은 1857년부터 사역자로 일하기 시작했습니다.

Moses Hull began working as a minister in 1857.

1863년까지 그렇게 재림교회를 섬겼습니다.

I served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until 1863.

모세스 훌은 강신술, 강신술이라 하면 영적인 존재들, 천사들, 귀신들과

Moses Hull is known for spiritualism, which involves spiritual beings, angels, and ghosts.

우리가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고 하는 주장이죠.

It is the claim that we can communicate.

강신술을 주장하는 이들, 영매라고 할 수도 있고

Those who claim to practice shamanism can also be called mediums.

이런 이들과 토론을 이어갔었는데

I had continued the discussion with these people.

처음에는 아주 성공적으로 토론을 하다가

At first, the discussion was very successful.

결국에는 강신술을 믿는 이들과 함께하기로 마음을 접했습니다.

In the end, I decided to join those who believe in shamanism.

결국에는 강신술을 믿고 재림교회를 떠나게 되었습니다.

In the end, I came to believe in shamanism and left the Reunification Church.

이 일 후에 오랫동안 강신술을 짐려야 한다고 해야 할까요?

Should I say that I have to practice shamanism for a long time after this?

강신술이 영매로, 심령주의자로 살았고

He lived as a shaman and a spiritualist.

나중에 아내와 이혼한 후에 미국 국회의원 하원에 출마를 했다고 전해줍니다.

It is reported that after later divorcing his wife, he ran for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in the United States.

본인에게는 그게 가장 좋은 길이었나 봅니다.

It seems that was the best path for you.

두 번째로 작별 인사를 해야 하는 사람은 바로 헨리 와이십니다.

The second person who needs to say goodbye is Henry.

헨리는 앨런 와잇의 아들이었죠.

Henry was the son of Alan White.

앨런과 제임스의 아들이었는데

He was the son of Allen and James.

헨리는 폐렴에 걸렸다고 전해줍니다.

Henry is reported to have pneumonia.

안타깝게도 의사들도 그리고 가족들도 할 수 있는 것이 아무것도 없었죠.

Unfortunately, there was nothing that the doctors or the family could do.

헨리는 가족들에게 작별 인사를 했습니다.

Henry said goodbye to his family.

헨리는 엄마인 앨런에게 배를 크리게 있는 자기 동생의 묘 옆에 묻어달라고 부탁했다고 합니다.

Henry has reportedly asked his mother, Ellen, to bury his brother, who is lying in a boat, next to his grave.

그리고 가족들은 그 부탁을 들어주었습니다.

And the family granted that request.

제임스는

James is

제임스는 마지막 숨을 쉬는 아들에게

James to his son, who is taking his last breath.

헨리는 고개를 끄덕이면서 이렇게 대답했다고 하죠.

Henry nodded and replied like this.

헨리는 엄마 아빠인 앨런과 제임스에게 너무 슬퍼하지 말라고 이야기합니다.

Henry tells his mom and dad, Allen and James, not to be too sad.

징짐령에 대해서 걱정할 필요가 없으니 말이죠.

So there's no need to worry about the warning.

부모님 그리고 친구들과 마지막 인사를 하니깐

As I said my final goodbyes to my parents and friends...

마지막 인사를 한 헨리는 하늘을 가리키면서 이렇게 이야기했다고 합니다.

After saying his final goodbye, Henry pointed to the sky and reportedly said this.

하늘은 너무나도 좋은 곳이야.

The sky is such a wonderful place.

Heaven is sweet.

Heaven is sweet.

그리고는 숨을 거두었다고 합니다.

And then it is said that he/she took his/her last breath.

16세였던 헨리는 남동생 존과 함께 나란히 묘에 묻히게 되었습니다.

At the age of 16, Henry was buried side by side with his younger brother John.

첫째와 막내였죠.

They were the first and the youngest.

윌리와 에디슨을 남기고요.

Leaving Willy and Edison behind.

이들이 바로 치열한 성교의 전장에서

These are the ones on the fierce battleground of intercourse.

숨을 거둔 전사자들이라고 볼 수 있지 않을까요?

Could they not be seen as fallen warriors?

재림기별을 전하겠다는 안식일기별을 땅끝까지 전하겠다는 일념으로 치열하고도

With the determination to proclaim the message of the Sabbath to the ends of the earth, fervently and intensely...

어려운 전투를 치르는 동안

During the difficult battle.

화해의 세 가정은 두 명의 아이들을 가슴에 묻어야만 했습니다.

The three families of reconciliation had to bury two children in their hearts.

주위에 일어나는 수많은 사건 사고들 가운데 계속해서 성경을 연구하고

Amid the numerous incidents and accidents happening around us, continue to study the Bible.

성경의 가르침이 우리에게 무슨 의미가 있는지를 고민하고

We contemplate what the teachings of the Bible mean to us.

또는 바꾸고 가르침의 의미가 지금 현재 우리에게 없어져서

Or the meaning of change and teaching has vanished for us in the present.

어떤 의미가 있는지 새로운 이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To help new people understand what it means.

그 말을 바꾸고 또 그 가르침을 끊임없이 끊임없이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들고

Changing those words and constantly making that teaching understandable for people.

끊임없는 도전과 어려움을 뚫고 그들에게 주신 사명을 수행하기 위해서

To fulfill the mission given to them by overcoming constant challenges and difficulties.

불철주야로 노력했던 이 화이트 가정

This White family worked tirelessly day and night.

상상할 수 없는 아픔을 겪어야 했던 그들은

They had to endure unimaginable pain.

아랑곳하지 않고 한 걸음 한 걸음 앞으로 전진해 나갔습니다.

I took one step forward without caring about anything else.

우리의 신앙의 삶은 어떤가요?

What is our faith life like?

어려움이 우리의 앞을 막을 때면 실망하고 낙담하며

When difficulties block our path, we become disappointed and discouraged.

하나님이 나와 정말 동행하시는지를 의심하고 있진 않나요?

Aren't you doubting whether God truly walks with me?

어쩌면 어려움을 그저 피하기 위해서 어려움을 당할 만큼은

Perhaps it's to avoid difficulties that one endures difficulties.

헌신하는 것을 꺼리고 피하고 있진 않나요?

Aren't you hesitant or avoiding commitment?

우리는 화이트의 가정을 보면서 하나님께서 주신 사명을 가지고

As we observe White's family, we carry the mission given to us by God.

비록 느려 보이지만 비록 너무나도 많은 고통이 있어 보이지만

Although it may seem slow, although it seems to be filled with so much pain.

한 걸음 한 걸음 사명을 지키고

Step by step, fulfilling the mission.

사명을 이루기 위해 끊임없이 나아가는 헌신을 볼 수 있는 것 같습니다.

It seems that we can see the dedication to constantly move forward in order to fulfill the mission.

오늘은 여기서 이야기를 마쳐야 할 것 같네요.

I think we should end the story here today.

다음 시간에는 건강개혁이라는 주제로 이야기를 이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In the next session, we will continue the discussion with the topic of health reform.

감사합니다.

Thank you.

Continue listening and achieve fluency faster with podcasts and the latest language learning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