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림동 황금허리'라 불리던 춤꾼, [여고괴담 두번째 이야기] 감독이 되다" [한국영화, 감독] EP.10 민규동

씨네플레이

[씨네플레이] 한국영화, 감독 : 나는 어떻게 영화감독이 되었나?

"'신림동 황금허리'라 불리던 춤꾼, [여고괴담 두번째 이야기] 감독이 되다" [한국영화, 감독] EP.10 민규동

[씨네플레이] 한국영화, 감독 : 나는 어떻게 영화감독이 되었나?

비슷한 시즌에 제 동갑내기 친구 감독이 있어요.

I have a friend who is a director of the same age in a similar season.

크리스토퍼 논란이라고

It's called the Christopher controversy.

동갑내기인가요?

Are you the same age?

네. 그 친구가 메멘토라는 영화를 만들었더라고요.

Yes. That friend made a movie called Memento.

아 그 시기

Ah, that time.

그래서 같이 그때 기억에 관한 어떤 비슷한 관심사를 가지고 영화를 만들었었는데

So we made a film together at that time with a similar interest in memories.

제가 파리영화제 영화가 메멘토라는 영화의 포스터를 처음 봤는데

I first saw the poster for the movie "Memento" at the Paris Film Festival.

제 영화 메멘토모리가 같이 개봉이 됐었어요.

My movie Memento Mori was released at the same time.

그래서 누구지 이 친구? 제목도 비슷한데?

So who is this friend? The title is similar too, right?

라이벌로 이렇게

Rival like this.

네. 좀 더 눈여겨봤었어야 되는데

Yes. I should have paid more attention.

네. 안녕하세요.

Yes. Hello.

네이버 영화 콘텐츠 공식 파트너사인 시네플레이와 한국영화감독조합이 함께하고 있는

Cineplay, an official partner of Naver Movies, is collaborating with the Korean Directors Guild.

감독 인터뷰 시리즈

Director Interview Series

네. 안녕하세요.

Yes. Hello.

네. 오늘은 영화감독조합의 대표이신 민규동 감독을 모셨습니다.

Yes. Today we have director Min Gyu-dong, the representative of the Directors Guild.

반갑습니다.

Nice to meet you.

네. 저는 시네플레이 편집장 조성철이고요.

Yes. I am Jo Seong-cheol, the editor-in-chief of Cineplay.

저는 시네플레이 김지영 기자입니다.

I am Kim Ji-young, a reporter for Cineplay.

네. 감독님 소개를 해주시죠.

Yes. Please introduce the director.

네. 민규동입니다. 불러주셔서 너무 영광입니다.

Yes. This is Mingyu Dong. It is an honor to be called.

제가 올 자리가 맞는지 모르겠네요.

I'm not sure if this is the right place for me to be.

대표님이시니까

Because you're the representative.

네. 그렇죠.

Yes. That's right.

그래서 사실

So actually

상징으로? 감독으로서는 큰 의미가 없지만

As a symbol? It may not have much meaning for the director, but...

사실 이 인터뷰 시리즈는 현재 한국영화계를 감독의 시선으로 좀 조망해보자

In fact, this interview series aims to take a look at the current Korean film industry from the director's perspective.

라는 기획 의도로 시작을 했고요.

It started with the intention of planning.

또 요즘 워낙 한국영화계 위기다 이런 얘기들을 많이 하는데

These days, there are many discussions about the crisis in the Korean film industry.

사실 또 민규동 감독님께서는 감독조합의 대표로서

In fact, Director Min Gyu-dong, as the representative of the Directors' Guild,

지금의 현재 한국영화계 위기를 타개해 나갈 수 있는

a way to overcome the current crisis in the Korean film industry.

또 해법을 가지고 계신 분이시거든요.

You are someone who also has solutions.

그래서

So

본인이 제가 위기 자체라

I am the crisis itself.

해법이라기 보다는

Rather than a solution

뭘 찾을 수 있을까요?

What can I find?

네.

Yes.

한 번 얘기를 해보죠.

Let's have a talk.

아무튼 그때 데뷔의 순간

Anyway, that moment of my debut.

시즌2를 해보자 라는 얘기를

Let's talk about Season 2.

감독님하고 얘기를 나눴던 때가

The time I talked to the director.

꽤 오래전이었는데

It was quite a while ago.

아직도 대표님이시잖아요.

You're still the representative, aren't you?

그러게요.

I see.

굉장히 장기직권하고 계셔서

You have been in power for a very long time.

일단 감독님께서

First of all, the director...

언제 처음 감독조합

When was the director's union first formed?

대표를 하셨고

You represented.

감독조합

Directors' Guild

오래됐죠?

It's been a while, hasn't it?

2018년도인가 그때부터 한 것 같아요.

I think I've been doing it since 2018.

처음 2년 임기로 했다.

It was set for an initial term of two years.

그때가 또 3년 이렇게 늘어났는데요.

That time has also been extended by another 3 years.

연임을 하신 건가요?

Have you been reappointed?

네.

Yes.

이 자리가 자원봉사하는 자리다 보니까

Since this place is for volunteering...

월급도 없고

No salary either.

이제 전임이 봉준호 감독님이셨는데

Now the previous director was Bong Joon-ho.

그 부대표였던 채동훈 감독이라는 찾아와서

The vice president, Director Chae Dong-hoon, came to visit.

할 나이가 됐다.

It's time to do it.

할 나이?

What age?

그리고 이제

And now

저는 이제 반상회도 안 나가고

I don't go to the resident meeting anymore.

그런 거 전혀 싫어하는데

I really hate that kind of thing.

아...

Ah...

봉준호 감독이 옥자 아트북을 주면서

Director Bong Joon-ho gave me the Okja art book.

자기 영화하고 아트북을

My movie and art book.

일종의 뇌물로 이렇게 주신 건가요?

Is this a kind of bribe you’re giving?

하는 게 아니다.

It is not something to do.

어...

Uh...

제가 굿즈에 많이 약하기 때문에

I'm weak when it comes to merchandise.

한정판을 주시면서 이렇게

While giving a limited edition like this...

거기 넘어가가지고

Go over there.

그냥 덥석 했는데

I just did it impulsively.

하다 보니까

As I did it...

할 일이 너무 많은 데라

There is so much to do.

너무나

So much.

뭐랄까

What should I say?

그...

Um...

겉에서는 또 이렇게 화려한 영역도 있지만

On the outside, it may look like a glamorous area, but...

안에서 보면

From the inside, it looks like...

진흙탕에

In the mud.

어두운 면도 많고

There are many dark sides.

그 정말 힘찬 발걸음들이

Those truly vigorous steps.

안타깝기도 하고 그래가지고

It's unfortunate and that's why.

여러 일들을 찾다 보니까

While looking for various things,

많은 일들을 좀 벌이게 됐고

I ended up getting involved in a lot of things.

그러다 보니까 이제

So, as it turns out now...

계속 제가 새로운 분들을 빨리 모셨는데

I have been quickly bringing in new people.

다들

Everyone

나는 영어 할게 너는 그거 해라

I'll speak in English, you do that.

잘한다

Well done.

다 도망 다니셔가지고

Everyone is just running away.

후임을 못 찾고

Unable to find a successor.

이렇게...

Like this...

여기까지 좀 와 있는 거 같아요

I think I've come this far.

빨리 이제

Hurry up now.

찾아봐야죠

I should look for it.

후임 잘...

Good luck with the successor...

아 지금 약간 사냥감을 물색하고 있는

Oh, I'm currently scouting for some prey.

몇 년째 그거는 이제 늘 하고 있는데

I've been doing that for a few years now.

Yes

노리는 후보들은 있어요

There are candidates that I am targeting.

거절하셔가지고

You declined.

아 그런 단계를 좀 거치긴 하셨구나

Oh, so you've gone through that stage a bit.

네네

Yes, yes.

알겠습니다 꼭

Got it, definitely.

다음 사냥감 성공의

Next prey's success.

네네

Yes, yes.

정권교체가 빨리 오기를

I hope the regime change comes soon.

네 알겠습니다

Yes, I understand.

아무튼 이제 이전 얘기를 조금 거슬러 올라가게 될 텐데요

Anyway, I will now go back a little to the previous story.

사실 그 민규동 감독님은 이제 서울내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In fact, Director Min Kyoo-dong has now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Economics at Seoul.

이제 1996년 광고회사 LG에 대해 입사를 하셨는데

You started working at the advertising company LG in 1996.

그때 이제 LG에 입사 동기가 바로 또 윤재균 감독님이기도 하시잖아요

At that time, my reason for joining LG was also Director Yoon Jae-kyun.

그러니까 사실 이제 뭐랄까

So, I guess, how should I put it...

이 LG에 대해 입사한 과정까지만 놓고 보면

If you only consider the process of getting hired at LG...

정말 그 대한민국의 부모님들이 굉장히 좋아할 만한

It's something that the parents in South Korea would really like.

이른바 어떤 이른바 그 모범생의 경로를 쭉 이어오셨는데

So-called, you've been following the path of a so-called model student all along.

지금 이렇게 또 영화 감독이 되신 거잖아요

So now you have become a film director again.

사실 그 그런 어떤 삶의 어떤 터닝포인트가 언제쯤이었을까

In fact, when was that turning point in life?

이렇게 좀 궁금해지긴 합니다

I'm a bit curious about this.

그러게요 저는 이렇게 많이 돌이켜보자면

I agree, when I think back on it this much.

즉흥적으로 삶의 행로가 사실 많이 바뀌었던 거 같아요

I think my life path has changed a lot impulsively.

즉흥적으로요

Impromptu.

왜냐하면 어렸을 때 어머님이 그 뭐 어떻게 뭐 시멘트를 쥐고 가다가

Because when I was young, my mother was holding some... what, cement and...

허리를 다치셔가지고

You hurt your back.

어머님이요?

Your mother?

허리치료를 받는 거 많이 보고 의사가 돼야겠다.

I've seen a lot of people getting treated for their backs, so I think I should become a doctor.

의사가 돼야겠다 이런 결심을 하고

I should become a doctor, making this resolution.

그리고 과학이 세상을 구한다

And science saves the world.

우리나라는 과학이 너무 필요하다 그래가지고

Our country really needs science, so...

초등학교 1학년 때부터 고등학교 3학년 때까지 과학부 동아리는

The science club was from the first year of elementary school to the third year of high school.

고3 때 처음 컴퓨터 동아리로 바꿨었고

I switched to the computer club for the first time in my senior year of high school.

근데 어쨌든 고2 때 어떤 사고로 제가 문과를 갈 수밖에 없었어요

But anyway, due to an accident in my sophomore year of high school, I had no choice but to pursue the liberal arts.

그래서 문과로 갑자기 바뀌었죠

So I suddenly switched to the liberal arts track.

그리고는 이제 또

And now, again

법대를 이렇게 또 준비하다가

I ended up preparing for law school like this again.

전혀 반대에 있는 경제를 또 전공하게 됐고

I ended up majoring in a completely opposite field of economics.

가서는 또 그 춤?

Are you going to do that dance again?

공연의 세계에 빠졌었어요

I was immersed in the world of performance.

제가 직접 춤을 많이 췄고 공연 연출도 많이 하고

I danced a lot myself and also directed many performances.

그 거의 뮤지컬이죠

It's almost a musical.

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춤과 노래와 이제 사람들을 이제 광장에 앉혀놓고 하는 그런 무대공연을 많이 했습니다.

Many people gathered to perform stage shows with dancing and singing, now having people sit in the plaza.

그래서 이 얘기를 제가 전에도 한 번 들었던 기억이 있는데

So I remember hearing this story once before.

그때 별명이 무슨 불광동 황금허리 뭐 아마 그런 이름이었던 것 같은데

At that time, I think the nickname was something like "the Golden Waist of Bulgwang-dong."

불광동은 아니고 저 신림동 황금허리라고

It's not Bulgwang-dong; it's that golden waist in Sillim-dong.

아 서울시니까

Ah, because it's Seoul City.

왜 황금허리?

Why the golden waist?

황금허리 이제 당시에는 이제 제가 이제 허리를 좀 유달리 많이 튕겼는데

Golden waist, back then I really snapped my waist quite a lot.

저의 그 웨이브나 그런 게 상당히 불경스러운 분위기였거든요.

My wave or anything like that had quite an irreverent atmosphere.

한 3천 명이 모여있는데 거기서 허리를 잡고.

About 3,000 people have gathered, and they are holding their waists.

허리를 제가 막 흔드니까 뭐랄까 그 터부에 대한 도전이기도 했고

As I was shaking my waist, it felt like a challenge to that taboo.

우스꽝스러운 광대를 보는 어떤 쾌감 이런 것들이 이제 이 학내에서 이제 소문이 좀 나고

The pleasure of seeing a ridiculous clown, this kind of thing is now spreading as a rumor within the school.

계속 제가 행사에 초대받고 이제 그러면서 전생에 광대였을지도 몰라 이런 생각을 하면서 이제 그쪽 개로 나갔죠.

I keep getting invited to events, and while thinking that I might have been a clown in a past life, I ended up going that way.

그래서 안무를 찾아 전국 대학을 돌아다니기도 하고

So I also traveled around the country to find choreography.

당시에 이제 홍대 한양대에 유명했던 춤꾼들이 있어요.

At that time, there were famous dancers from Hongdae and Hanyang University.

가서 배틀도 하고

Go and battle.

아 직흥으로 이렇게 신청 결투 신청을 하신 거예요?

Oh, so you've applied for a duel on a whim like this?

그래서 좋은 춤을 도입해서

So let's introduce some good dance.

특히 커플춤이 전통적으로 우리나라에 없잖아요.

Especially, couple dancing has traditionally not existed in our country.

커플춤을 학내에 도입해서 이제 탱고 춤으로 율동을 만들어서 이제 춤도 유행시키고

Introducing couple dancing on campus and now creating rhythms with tango dancing to make it trendy.

그런 것에 보람을 좀 느꼈죠.

I felt a bit of fulfillment in that.

그리고 그때는 뮤지컬을 만들어야겠다.

And then I should make a musical.

이 희열을 더 크게.

Make this joy even greater.

더 많이 느끼고 싶다 이런 생각을 했었고

I wanted to feel more.

근데 또 이제 어 전 군대에 갈 줄 몰랐는데 군대에 갔어요.

But I didn't know I was going to the military, but I went to the military.

저도 가더라고요.

I heard that I'm going too.

그래서 다 끊어지고 이제 근데 군대에 가서 처음 부산에서 근무했었는데

So everything was cut off, and now I went to the military and served in Busan for the first time.

시네바다이크 24분의 1이라는 작은 지금 말하자면 이제 불법 비디오 카피로

Let's talk about a small 1/24 of the cinema, which can now be considered an illegal video copy.

VHS로 어떤 이제 옛날 볼 수 없었던 영화를 보던 그런 공간이었는데.

It was a space where you could watch movies that you can no longer see on VHS.

거기서 이제 어 신기한 영화들을 지금 보게 됐었고

I started watching some amazing movies there.

그때 전수일 감독님이 그때 교수님 경상대 교수님.

At that time, Director Jeon Soo-il was the professor at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배창훈 감독님 그 기쁜 우리 젊은 날 연출 분석을 하는 강의 이런 걸 들었었어요.

Director Bae Chang-ho, I once attended a lecture analyzing the direction of "Our Joyful Young Days."

너무 어렵구나 영화라는 게.

Making a movie is really hard.

그리고 제가 모르는 세계가 있구나 이런 걸 깨닫고

And realizing that there is a world I do not know.

그때 영화에 대해서 관심을 좀 갖기 시작했던 것 같아요.

I think I started to take an interest in movies at that time.

그 옆에서 영화 단편영화 만드는.

Making a short film next to it.

분들이 계셨는데 뭐 익스트림 클로즈샵을 써서 뭐 트랙인 해가지고

There were people using Extreme Close-up Shop to track in.

영어 대부분 영어더라고요. 언어들이.

Most of them are in English. The languages, I mean.

알아들을 수가 없는 언어로 아 저런 거는 정말 보통 사람들이 할 수 있는 게 아니구나.

Oh, I see, that's really something that ordinary people can't do.

상당히 전문적인 지식이 있는 사람들이 하는 거구나라고 멀리서 이렇게 부러워하기만 했었고.

I just envied from afar, thinking that it's something people with quite a bit of expertise do.

제대하면서 제가 한겨레문화센터 1기 영화진학학교 1기 수강생이세요.

When I was discharged from the military, I was a student in the first session of the Hangyore Culture Center's Film Studies School.

그래서 그때 이제 영화 만들기를 처음

So that was when I first started making movies.

경험하고 그 길로 이제 다시 또 이렇게 여행을 시작하게 됐죠.

Having experienced that, I began this journey once again.

사실 그 저도 이제 부산 출신이다 보니까 시네마 데크 24분의 1은 잘 알거든요.

Actually, since I'm also from Busan, I know Cinema Deck 24 quite well.

근데 사실 거기가 좀 찾아가기엔 좀 위치 좀 애매하고 해서

But the truth is, the location there is a bit unclear, making it somewhat difficult to find.

사실 거기는 평소에 좀 가고 싶다라는 생각이 듬에도 불구하고 좀 가기가 좀 힘들거든요.

In fact, even though I often think that I want to go there, it's a bit hard to actually go.

근데 그때 이제 말하자면 군인의 신분으로 거기를 왜 가려고 하셨을까.

But at that time, why were you trying to go there in the capacity of a soldier?

그러게요. 주말에 제가 갔는데.

That's right. I went there on the weekend.

그 처음.

That first time.

광고를 어떻게 봤을까요.

How do you think they saw the advertisement?

신기하게도 그때 제가 그걸 안 봤으면 전 지금 영화운동 안 하고 또 다른 삶을 살았을 것 같아요.

Interestingly, if I hadn't seen that back then, I think I wouldn't be involved in filmmaking now and would be living a different life.

근데 우연히 가서 몇 회차에 강의를 들을 때 경외감을 좀 느꼈고.

But I happened to go and felt a sense of awe when I attended a few lectures.

물론 선생님이 너무 어려운 얘기를 했어요.

Of course, the teacher talked about things that were very difficult.

불어로 강의를 이제 언어들을 컷을 꾸 빠주라고 하고 배 꾸 빠주 세컨스 뭐 이제.

Please provide the translations for the lectures in French now, and also provide the second language.

미장생 강의를 하는데 하여튼 그냥 관객으로서 보통 극장에서 영화를 볼 때 그냥 영화를 재미로 즐겼고 감동받고 그랬었는데

I'm giving a makeup lecture, but any way you look at it, as an audience member, when I usually watch a movie in a theater, I just enjoyed the film for fun and was moved by it.

만드는 세계는 그냥 단순히 배우를 놓고 촬영하고 이런 게 아니라

The world being created is not just about placing actors and shooting like that.

굉장한 또 예술적인 영역이 있고 역사가 있고 이런 걸 배웠었죠.

I learned about the incredible and artistic realm, its history, and so on.

그러면서 이제 상당한 새로운 관심을 갖게 됐었는데요.

At the same time, I began to develop a considerable new interest.

그래서 그 우연의 계기가 어떻게 그걸 보게 됐는지 참 신기하네요.

So it'sreally amazing how that chance opportunity led to seeing that.

그러니까 게다가 그냥 가서 영화를 본 게 아니라 강의를 또 수강신청을 하신 거잖아요.

So, not only did you just go and watch the movie, but you also signed up for a lecture, right?

그때 VHS로 그 강의를 녹화해가지고 그 강의록을 제가 아직 갖고 있어요.

At that time, I recorded the lecture on VHS and I still have the lecture notes.

강의 영상을.

Lecture video.

그래서 나중에 제가 단편영화 만들 때 계속 돌려보고 그러면서 공부를 처음으로 하게 된 거죠.

So later, when I was making a short film, I kept watching it over and over, and that's when I first started studying it.

당시에는 번역된 책들도 우리나라에 없었고.

At that time, there were no translated books in our country.

그렇죠.

That's right.

거의 서점에 가면 두 권 세 권 정말 없던 시기고 영화를 공부한다 영화를 한다는 것에 대해서는

When I go to the bookstore, it's often a time when I really don't have two or three books, and about studying film or making films...

딴따라 같은 일을 해야 돼? 딴따라라는 단어가 영화에 항상 붙어있었어요.

Do I have to do something like a performer? The word "performer" has always been associated with movies.

그렇죠.

That's right.

그냥 지금은 잘 안 쓰는 언어인데.

It's just a language that isn't used much right now.

그때만 해도.

At that time.

네. 그때만 해도 그냥 노는 거 대충 그냥 뭐랄까 정말 대중문화로서의 한 영역만.

Yes. At that time, it was just playing around, just somewhat, shall we say, really just one area of popular culture.

그런 시기였던 것 같아요.

I think it was such a time.

그래서 추천하는 사람도 없고 어디 상담받을 데도 없고 선배도 없고 후배도 없고 그냥 혼자서 그냥 막막하게 알아서 그냥 움직였던 것 같아요.

So there was no one to recommend anything, no place to get advice, no seniors or juniors, and I just feel like I was all alone, trying to figure things out and just moving forward aimlessly.

정말 옛날이죠. 30년 이제 되던 시기니까 옛날이에요.

It's really a long time ago. It's been about 30 years, so it's ancient.

그렇죠.

That's right.

그리고 이제 감독님 어떤 최초의 작품이라고 한다면은.

And if we talk about the director's very first work.

장편 이전에 허스토리라고 하는 단편 있잖아요.

Before the full-length work, there is a short story called "Her Story," right?

그래서 이 만들어진 시기가 이제 말씀하셨던 그 한겨레영학교에 들어가기 전인지 훈지 이런 게 약간 궁금합니다.

So I'm a bit curious about whether this was made before entering the Hanul School you mentioned or during training.

아 졸업작품이에요.

Oh, it's a graduation project.

한겨레영학교?

Hankyoreh English School?

네. 한겨레영학교 졸업작품이고 제 최초의 단편은 새라는 영화인데 제가 최초로 본 뭐 그 일종의 새로운 영화 세계 영화가 히치콕의 새였어요.

Yes. It is a graduation project from Han Gyeo Re Young School, and my first short film is "The Birds." The first film I ever saw that introduced me to a whole new cinematic world was Hitchcock's "The Birds."

아 히치콕의 새.

Ah, Hitchcock's birds.

같이 군무하는 미군 친구의 그 방에.

In the room of my American friend who dances together.

네.

Yes.

그 방에서 자막 없이 그 히치콕 영화를 처음 본 거예요.

I watched that Hitchcock movie for the first time in that room without subtitles.

아 회사 다닐 때?

Oh, when I was working?

군대에 있을 때.

When I was in the military.

미군?

U.S. military?

네. 미군.

Yes. U.S. military.

네. 제가 시네마테크 이런 거 가기 전에.

Yes. Before I go to things like cinematechs.

근데 영화가 너무 독특한 거예요.

But the movie is really unique.

극장에서는 이런 영화를 볼 수도 없고 신기한 영화인데 이런 걸 보고 있네 그래서 궁금했었는데 그게 너무 인상적이었던 것 같아요.

You can't see movies like this in theaters, and it's such a fascinating film that it's intriguing to watch it. I think that was really impressive.

그래서 제 편집 스타일로 나중에는 다 히치콕을 따라하게 되고.

So in the end, everyone ends up following Hitchcock because of my editing style.

첫 단편을 제가 죽은 새를 가진 어떤 소녀가 막 이상한 난도질을 하는 그런 제가 본 히치콕의 몇 번 영화들을 이렇게 인상적으로 콜라주했던 단편이 새였고.

The first short film was about a girl with a dead bird who was strangely hacking at it, and it was a short that impressively collaged several of Hitchcock's films.

첫 실습으로.

As the first practice.

그리고 졸업작품으로 한 세 번째 정도?

And is it around the third one as a graduation project?

네.

Yes.

이제 영화가 허스토리라는 단편이었죠.

Now the film was a short titled "Her Story."

음.

Um.

사실 그 당시에 이제 허스토리라고 하는 이 단어 자체를 떠올린 것 자체가 저는 굉장히 뭔가 혁명적인 단어잖아요.

In fact, just thinking of the word "herstory" at that time feels like a very revolutionary concept to me.

그래서 그 당시에 그 학생이 이런 단어를 어떻게 떠올렸을까 그것도 되게 궁금하긴 하더라고요.

So I’m really curious about how that student came up with such a word at that time.

그렇죠. 지금.

That's right. Now.

그러게요.

That's right.

허세였을까?

Was it just bluster?

그때 제가 그 당시에 인상적으로 본 책이.

The book that I found impressive at that time.

시몬르드 보브발의 제2의 성이라는 책이 있었는데 엄청나게 두꺼운 책이에요.

There was a book called "The Second Sex" by Simone de Beauvoir, and it is an incredibly thick book.

네.

Yes.

진짜 조그맣고.

Really small.

근데 제가 갖고 있던 뭐랄까 젠더 관념 세계에 정말 혁명적인 너무나 놀라운 책이었고.

But it was truly a revolutionary and astonishing book in the realm of gender concepts that I had.

그중에 이제 허스토리한 단어가 있었어요.

Among them, there was a word that was historic.

음.

Um.

남성 중심의 세계관으로 이렇게 재해석되는 역사랑 좀 다르게 여성의 세계관도 필요하다라는.

There is a need for a women's perspective that differs from the historically male-centric worldview.

그런 맥락의 단어였는데 그 단어가 좀 인상적이었었고.

It was a word in that context, and it was quite impressive.

그리고 제가 처음으로 그 만든 단편 영화가 졸업작품이었는데 떨어졌어요.

And the short film I made for my first project was my graduation piece, but I didn’t pass.

경선에서.

In the primary.

오.

Oh.

세 작품밖에 만들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Because only three works have been created.

30명의.

30 people.

아 학생들의 여러 아이템 중에서 고르는.

Ah, choosing among the various items of the students.

네.

Yes.

그렇죠.

That's right.

속았죠.

I was deceived.

후결의 문화센터에서는 한 작품씩 다 만들어준다라고 홍보를 했었는데 들어가 봤더니 아닌 거예요.

The Hugiul Cultural Center had advertised that they would make one piece each, but when I went in, it turned out not to be true.

거기서도 돼요.

You can do it there, too.

네.

Yes.

그래서 제가 거기서 스트라이크도 하고 막 선언문도 내고 성명서도 내고 막 다 만들어야 된다.

So I have to strike there, make declarations, issue statements, and create everything.

정말 외쳤는데 한결에 아 무섭더라고요.

I really shouted, but it was so scary at once.

안 해주더라고요.

They don't do it.

그래서 우리들이 투표가 투표를 해서 이제 결과를 뽑았는데 제 작품은 떨어졌어요.

So we voted, and now the results are out, but my work was not selected.

떨어진 작품은 어떤.

What about the fallen work?

떨어진 작품이 바로 그 허스토리의 모태가 된 작품인데 저 첫 그 시나리오는 트랜스젠더 이야기였어요.

The work that was dropped is exactly the piece that became the foundation of that history, and the initial screenplay was about a transgender story.

당시에.

At that time.

아.

Ah.

내용은 완전 다른 거네요.

The content is completely different.

네.

Yes.

그래서 한 이제 여성분이 이제 결국 어떻게 쫓기고 쫓겨서 죽는 그런 이야기였었는데 떨어졌었고 그리고 다시 이제 새롭게 준비한 이제 영화가 허스토리였는데 저 대신 뽑혔던 한 분이 이제 준비를 못해서 포기 선언을 해요.

So, it was a story about a woman who ends up being chased and ultimately dies. It fell through, and then I prepared a new movie called "Her Story," but the person who was chosen in my place couldn't prepare, so they declared their decision to give up.

촬영 직전에.

Just before filming.

오.

Oh.

네.

Yes.

그래서 제가 준비하던 작품을 저희 팀에서 다시 투표해서 제가 3대2로 한 끗 차이로 제가 이제 작품이 만들어지게 됐는데 그게 허스토리에요.

So, the piece I was preparing was voted on again by our team, and I won by a narrow margin of 3 to 2, which means my work is now being created, and that is "Her Story."

그때 그 허스토리가 레즈비언 이야기였었고 그거를 이제 실화바탕으로 한 레즈비언 친구를 제가 학교 후배인데 인터뷰를 해가지고 만들었던 그런 작품이었고 그걸 가지고 우연하게 만들어진 졸업작품이 바로 허스토리였어요.

At that time, that "Herstory" was a lesbian story, and I created a work based on interviews with a lesbian friend from school, which was inspired by real events. The graduation project that was created by chance was precisely "Herstory."

네.

Yes.

그게 아니었으면 졸업작품을 못 만들었고 이제 그 다음 영화 아카데미도 못 가고 혹은 거기서 이제 취미처럼 즐겁게 한 제가 그때 8개월을 다녔었는데 하고 끝나고 저는 또 다른 길을 갔었을 수도 있죠.

If that hadn't happened, I wouldn't have been able to create my graduation project and I might not have gone on to the next film academy, or I might have enjoyed it as a hobby there. I attended for 8 months, and after it ended, I could have taken a different path.

그런데 우연하게 그렇게 또 만들 기회가 생겨가지고.

By chance, an opportunity arose to create it like that again.

네.

Yes.

저도 퀴어 영화라든가 혹은 뭐 게이 혹은 어떤 그런 동성애 담론 같은 것들이 폭발적으로 나오던 시기가 95, 96년 이때였어요.

The period when queer films and discussions about gay or same-sex issues were explosively emerging was around 1995 and 1996.

저 같은 경우는 그 당시에 보던 잡지 키노에 처음으로 퀴어 시네마 특집 이런 것들을 다루면서 처음으로 그런 단어를 접했던 거고

In my case, I first encountered words like "queer cinema" when the magazine Kino, which I was reading at the time, featured a special topic on it.

사실 그때만 해도 그냥 대부분 그냥 호모라고 하는 표현을 그냥 아무렇지도 않게 쓰던 그런 때였잖아요.

At that time, most people would casually use the term "homo" without any particular concern.

근데 사실 그 이전에 트랜스젠더 혹은 어떤 레즈비언 그런 소재에 약간은 관심을 보이셨다는 게 저는 굉장히 놀랍지 않나.

But honestly, I find it very surprising that you showed some interest in transgender or lesbian topics before that.

네. 그때는 아마 영화라는 장르가 너무 어렵고 한 번 영화를 만든다는 게 너무 대단한 일이었기 때문에

Yes. Back then, the genre of film was probably very difficult, and making a movie was such a remarkable accomplishment.

그냥 일상적으로 제가 접하는 어떤 현실을 표현한다기보다는 정말로 표현하기 힘든 어떤 영역을 영화로 표현해야 되지 않을까

Rather than merely expressing some reality I encounter in my daily life, I think we should express something in the film that is truly difficult to convey.

이런 중간점이었습니다.

It was such an intermediate point.

그 당시에 말씀하신 것처럼 지금은 홍서천 씨가 재미있게 예능에서 본인의 게이 정체성을 가지고도 많은 수다를 떨 수도 있는 시대지만

As you mentioned back then, it is now an era where Hong Seo-cheon can happily express his gay identity and chat a lot on entertainment shows.

그때는 격렬적인 언어였던 호모라는 단어로 통칭됐었고 트랜스젠더를 게이라고 불렀어요.

At that time, the term "homo," which was a vigorous language, was used to refer to it, and transgender people were called gay.

아, 그렇죠.

Ah, that's right.

네. 여장남자의 개념이 게이라는 개념이었고 그렇게 언어조차 혼선이 많았었고

Yes. The concept of a cross-dressing man was associated with the concept of being gay, and there was a lot of confusion even in the language used.

근데 그런...

But that kind of...

세계를 들여다봤더니 어쨌든 우리 안에 있었던 편견과 혐오와 억압들이 굉장히 이렇게 집적돼서 있었다는 걸 알 수가 있었죠.

When I looked into the world, I realized that the prejudices, hatred, and oppression that existed within us had accumulated significantly.

그 이야기를 제가 우연히 만난 중에 그땐 벌써 커밍아웃한 후배의 경험담을 토대로 만들게 됐었죠.

I happened to hear that story, and it wa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a junior who had already come out by then.

그러니까 그래서 그때는 그 이야기를 좀 찾기 위해서...

So, at that time, to look for that story a bit...

논문을 봐야만 했었고 너무 관련 서적이 없고 그 다음에 인터뷰를 하기 위해서 007 작전처럼 했었어요.

I had to look at the papers, there were very few related books, and then I carried out the interviews like a 007 operation.

비밀스럽게.

Secretly.

어떻게 되냐면 여성지에 얼굴을 가리고 인터뷰한 어떤 레즈비언인 그런 인터뷰를 만나 연락을... 연락처를 구해서 그땐 전화기도 없던 시절이고

It goes like this: I met a lesbian who had an interview in a women's magazine where she covered her face, and I managed to get in touch with her... back then, there were no telephones.

메일로 이렇게...

Like this via email...

통해 통해서 저기 여기 몇 년 전에 앞에 알서점이라고 유명한 서점이 있었는데...

There was a famous bookstore called "Alseobookstore" a few years ago over there.

몇 시에, 몇 월 며칠, 세 시에 거기에 어떤 책 사이에 제가 인터뷰 질문지를 넣어두면 한 시간 이따 그분이 그 질문지를 가져가시고 며칠 있다가...

At what time, on what date, if I put the interview questions between some books at three o'clock, that person will take the questions after an hour, and a few days later...

비대면으로요?

Are you saying it will be non-face-to-face?

네네.

Yes, yes.

다른 책 사이에 이렇게 인터뷰 답지를 넣어주셔가지고 제가 그걸 보고 제가 쓴 시나리오가 얼마나 형편없는지 얼마나 말도 안 되는지 혹평을 듣고 그런 식으로 다 비대면으로...

You put this interview response between other books, and by looking at it, I heard harsh criticisms about how poor my script is and how unreasonable it is, all in a non-face-to-face manner...

그런 식으로 이제 007처럼 만나서 조금 인터뷰를 이렇게 하고 어떤 분은 어떤 개의 분을 만났는데 이거 딱 던지면서 이런 거 안 만들어주는 게 우리를 돕는 거다라면서 기분 나쁘다.

Meeting like this, like 007, and having a little interview, some people have met certain dogs and then they throw this thing out, saying that not making this for us helps us, and it feels unpleasant.

잘 모르는 것 같다.

It seems like you don't know well.

여러 가지 그런 혹평도 해주셨고.

You also offered various criticisms like that.

근데 결국은 이제 그 자기 이야기가 꼭 영화가 됐으면 좋겠다는 그 여자 후배.

But in the end, that junior female colleague really hopes her story becomes a movie.

네.

Yes.

도움으로 좀 구체성을 갖고 이야기가 만들어지게 됐었죠.

It became possible to create a story with some specificity thanks to the help.

한국영화아카데미에서 그 김태용 감독님하고 되게 친하셨던 걸로 아는데.

I heard that you were very close with director Kim Tae-yong at the Korean Film Academy.

네네.

Yes, yes.

그래서 장편 데뷔도 같이 하셨잖아요.

So you made your feature debut at the same time, right?

네.

Yes.

여고괴담2로.

To "High School Horror Stories 2."

혹시 그거는 어떻게 하게 되신 건지.

How did that happen, if you don't mind me asking?

그러게요.

I agree.

제가 그 다음에 이제 더 영화를 잘 만들고 싶어서 영화 아카데미에 가게 됐었는데요.

I went to film academy because I wanted to make better movies from then on.

영화 아카데미라는 존재도 몰랐었는데 한겨레문화센터에 있을 때 수업 중에.

I didn't even know about the existence of the movie academy, but during a class at the Han Kyore Cultural Center.

네.

Yes.

봉준호 감독의 지리멸렬이랑 장준환 감독의 이천일 임혜진이라는 단편을 봤었어요.

I watched Bong Joon-ho's "Parasite" and Jang Joon-hwan's short film "Lee Cheon-il" with Im Hye-jin.

그건 영화 아카데미 졸업 작품이었고 35mm 영화였던 것 같고.

That was a graduation project for the film academy, and I think it was shot on 35mm film.

제가 16mm로 동시 녹음도 없이 한겨레문화센터에서 열악하게 찍었을 때 그 수업 시간에 본 영화는 블록버스터였어요.

When I shot poorly at the Han Kyore Cultural Center without simultaneous recording in 16mm, the movie we watched during class was a blockbuster.

너무너무 크고.

It's very, very big.

기술적 수준이 너무 높고 길고 대단해 보였었죠.

The technical level seemed too high, long, and impressive.

그래서 영화 아카데미라는 곳이 아 제대로 영화를 만들기 위해서는 저기를 꼭 가고 싶다 이런 생각을 했었고 거기에 들어가게 됐었어요.

So I thought that in order to make a proper film, I really wanted to go to a place like the Film Academy, and I ended up getting in there.

그때 만났던 친구가 이제 김태용이라는 친구인데 뭐 여러 가지 기술적인 면에서도 비슷하고 뭔가 잘 통했어요.

The friend I met back then is now Kim Tae-yong, and we clicked well in various technical aspects as well.

저희는 이제 여고괴담 두 번째에게도 같이 데뷔하게 됐는데.

We are now debuting together for the second installment of the high school ghost story.

저희 스스로 덤앤더머라고 불렀거든요.

We called ourselves Dumb and Dumber.

덤앤더머고 서로 누가 덤이냐라는 걸 놓고 싸웠던 것 같아요.

It seems like they fought over who is the "dumb" one, just like in Dumb and Dumber.

너가 덤어다. 내가 덤이고.

You're the one who's being reckless. I'm the one being reckless.

이렇게 좀 구멍숭숭 이렇게 결핍이 많은 그런 사이여서 많이 취했던 것 같고.

I think we were both quite drunk because we had a lot of gaps and deficiencies like this.

아카데미 시절에는 그것도 정말 우연인데요.

It was really a coincidence during my academy days.

18명이 한 기술이었는데.

It was a skill of 18 people.

9명씩?

Nine people each?

9명씩 이렇게 나눠서 계속 실습을 한 거예요.

We divided into groups of nine and continued practicing like this.

서로 돌아가면서 이제 스텝도 하고 연출도 하고.

Now we take turns doing the step and directing.

근데 2년 내내.

But for the whole two years.

같이.

Together.

새 작품을 하는 동안 계속 같은 조였어요.

I was still in the same team while working on the new project.

같은 스텝을 한 거죠.

We took the same step.

그래서 그 친구가 너무 재밌어서 제 첫 번째 단편 제목도.

So that friend was so much fun that I named my first short story after them.

17.

17.

그 전에 지각대상 태용이라는.

Before that, the subject of tardiness is Taeyong.

지각대상 태용.

Latecomer Taeyong.

단편을 만들었어요.

I made a short story.

아카데미에서 지각을 그렇게 많이 하셨나 봐요.

It seems you were late a lot at the academy.

주로 수업이 끝날 때쯤 나타나가지고.

They usually appear around the end of the class.

자전적인 얘기를.

An autobiographical story.

선생님이 막 서 있어. 그래가지고 교실에 서 있기도 하고 벌 받느라.

The teacher is just standing there. So they are also standing in the classroom and getting punished.

그래서 아주 제가 좋아하는 동화책 중에 이제 지각대상 존이라는 동화책이 있는데 그 모티브를 받아가지고 이제 지각대상 태용이라는 영화를 만들었었고.

So, one of my favorite storybooks is a fairy tale called "The Object of Perception, John," and based on that motif, a movie called "The Object of Perception, Taeyong" was made.

사실 수업보다 수업 이후에 우리 친구들끼리 모여서 놀고 이제 하던 방식으로 친구들이 더 뭐랄까 선생님이 되고 멘토가 되고 서로 멘티가 돼주는 그런 공부의 시절이었던 것 같아요.

In fact, I believe it was a time of study where, after class, our friends would gather to hang out, and in the way we were used to, friends became teachers and mentors for each other, while also being mentees.

그래서 그 영화를 경멸하면서 실험 영화를 해야 돼 이러면서.

So while despising that movie, I have to make experimental films like this.

실험영화의 예라는 책을 놓고 막 몇 달 동안 공부하기도 하고.

I studied the book "The Example of Experimental Film" for the past few months.

뭐.

What.

네.

Yes.

그렇게 좀.

Like that a bit.

특히 그 당시가 교장 선생님이 없던.

Especially during that time when there was no principal.

최초로 입학금을 받던.

The first time they received an entrance fee.

그 전엔 돈을 안 받았었는데.

I didn't receive any money before that.

최초로 2년제가 됐던 격변의 시기였어요.

It was a time of upheaval when it first became a two-year program.

저희가 또 그런 데 들어가다 보니까.

As we end up going into places like that again.

수업의 커리큘럼도 정해져 있지 않고 잘 저희가 서로서로 만들어가던 그런 시기는 아주 재미있게 많이 했었고.

The curriculum for the class wasn't set, and we had a very fun time creating it together during that period.

거기서 드디어 제가 그걸 실현하게 돼요.

There, I finally get to realize it.

거기도 들어갔더니 졸업작품이 3명만 찍는 거더라고요.

When I went there, I found out that only three people are working on the graduation project.

모두가 아니라.

Not everyone.

거기가.

That place.

그래서 이건 아니다.

So this is not it.

왜냐면 처음으로 돈을 받기 시작했으니까.

Because I started receiving money for the first time.

그렇죠.

That's right.

다 해야 된다.

You have to do it all.

그전에 국가기관이라서 돈을 안 받았고 정말 공짜 교육기관이었는데.

Before that, it was a government agency, so they didn't receive any money, and it was really a free educational institution.

그래서 우겨서 3명 만들 제작비를 나눠서 18명이.

So, by pushing it, the production cost meant for 3 people is shared among 18 people.

각자 다 할 수 있게.

So that each person can do it.

네.

Yes.

9명씩 돌아가면서 6개월에 걸쳐서.

Rotating in groups of 9 over a period of 6 months.

감독 한 번 하고 8번은 스탭핑을 하는 방식으로 18명이 다 작품을 만들게 돼요.

By directing once and then doing stepping eight times, all 18 people will create a piece of work.

그걸 감독님의 제안으로.

At the suggestion of the director.

네.

Yes.

그럼 뭔가 그 당시에 이미 감독조합 대표로서였던.

So, at that time, you were already representing the directors' guild.

연임을 할 운명이셨던 것 같은데.

It seems you were destined to be re-elected.

영렬 그때부터.

Inyeol, from that time.

영화나 제대로 만들지.

You should make a proper movie.

하여튼 제가 하여튼 약간의 그 시스템에.

Anyway, I have a bit of that system.

시스템의 부재.

Absence of a system.

새로 바뀌는 시절에 정착이 잘 안 됐던 시기에 그런 이제 욕망을 실현시키기 위해 노력했던 것 같아요.

I think I tried to realize those desires during a time when settling down in the newly changing times was not easy.

왜냐하면 그때 부모님들한테 반편 영화 만들고 있다 이런 걸 다 보여줄 증거가 없었던 거예요.

Because at that time, there was no evidence to show the parents that we were making a short film.

조작품 못 만들면.

If you can't create a work of manipulation.

없으면.

If there isn't.

그래서 다행히 거기서 허락을 해줘서 저희는 이제 그걸 만들게 됐었고.

So fortunately, they gave us permission there, and we were able to make that.

그래서 처음으로 18명이 전체 조작품을.

So for the first time, 18 people handled the entire operation.

시사하는 첫 번째 졸업 영화제가 시작됐어요.

The first graduation film festival is starting.

그 이전에 영화 아크데미는 공개가 불가하는 방침이었어요.

Before that, the film Arcademy had a policy of being unable to be released.

국내 공개 불가.

Not for public release in the country.

해외 영화제만 가능하고.

Only possible at overseas film festivals.

그래서 영화제 어쨌든 국내 공개할 수 있게 해달라고.

So please let the film festival be able to have a domestic release anyway.

빌고 빌고 빌어서 처음으로 서울 전편 영화제 17이라는 그 중간 실습 작품이 경쟁부문에 나가기도 하고.

After begging and pleading, my intermediate practice work for the Seoul Film Festival 17 will also be competing in the competition section for the first time.

부산 국제 영화제 단편 부분에 나가기도 하고 처음으로 밖에 공개되기 시작했어요.

It has also been submitted to the short film section of the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nd has started to be publicly screened for the first time outside.

그래서 그 이후로 영화 아카데미가 졸업 영화제라는 형식이 생겼죠.

So, since then, the film academy has had the format of a graduation film festival.

저희 돈으로 만들었어요.

We made it with our money.

제가 협찬을 떼서 mtm 이런 데 가서 50만 원 받고 어디 이렇게 해서 150만 원을 제작비로 졸업 영화제 모아가지고.

I got sponsorship and went to places like MTM to earn 500,000 won and collected a total of 1.5 million won for the production costs for the graduation film festival.

저희가.

We.

팜플렛도 다 만들고 그래서 부모님 지인들 모시고 출연하신 분들 다 모시고.

I made the pamphlets too, so I invited my parents' acquaintances and everyone who appeared.

그때 동승우 시네마 덱에서 처음으로 영화제를 했죠.

At that time, the Dongseungwoo Cinema Deck hosted its first film festival.

그 이후로는.

Since then.

선구자셨네요.

You were a pioneer.

자연스러운 이제 영화제 전통이 생겼고.

Now, a tradition for the film festival has emerged.

또 선구자적인 측면이라고 한다면 사실 저는 이제 민교동 김태홍이라고 하는 이름을 영화 잡지 키노에서 그 당시에 말씀하셨던.

If we talk about the pioneering aspect, I must mention Min-kyu-dong Kim Tae-hong, a name that was mentioned at that time in the film magazine Kino.

서울 단편 영화제라고 하는 그 영화제에 17이라고 하는 작품을 이렇게 출품하셨다라는.

You submitted a work titled "17" to the film festival called the Seoul Short Film Festival.

내용을 보면서 이 두 사람을 알게 됐는데 사실 이제 그때만 해도 이른바 공동연출이라고 하면 저는 이제 대부분 코에니 형제 정도만 알고 있던 때였고.

I got to know these two people by looking at the content, but at that time, I mostly only knew about the Coen brothers when it came to so-called co-directing.

한국에서는 그런 사람이 없었거든요.

There were no such people in Korea.

근데 이제 지금은 이제 탕웨이 남편으로 활동하고 계시는 김태홍 감독님과 민교동이라는 사람이 사실 피 한 방울 섞여있지 않은.

But now, director Kim Tae-hong, who is currently active as Tang Wei's husband, and a person named Min Kyo-dong are actually not related by blood at all.

그러니까 성도 다른데 이 두 사람이 공동연출을 했다는 거예요.

So, even though the roles are different, these two people co-directed it.

그래서 그때 그 이제 영화로 공부한 학생들 사이에서는.

So at that time, among the students who studied through movies.

야 우리 한국에서 이렇게 공동연출을 했다.

Hey, we did this co-directing in Korea.

네.

Yes.

이렇게 공동연출을 해도 되나 보다.

I guess it's okay to co-direct like this.

뭐 이런 얘기를 주고받았던 기억도 있고.

I have memories of having conversations like this.

네.

Yes.

그래서 사실은 그렇게 해보겠다라고 그러니까 아무리 친한 사이라고 해도 사실 그렇게 하는 건 쉽지가 않은데 왜 이렇게 두 사람이 그렇게 했을까.

So the truth is that saying you’ll try to do that is not easy, even if you’re very close. So why did these two people do that?

그러게요.

I see.

음.

Um.

굉장히 뭐랄까요.

It's hard to say exactly.

여러 면에서 천생연분 같은 그런 공통점을 많이 느꼈던 것 같아요.

I felt that we had a lot of commonalities that seemed like a perfect match in many ways.

17이 처음 공동연출 그 경험의 시작이었는데요.

17 was the beginning of the experience of co-directing for the first time.

김태홍 감독이 어떤 이제 가출 청소년 인터뷰를 모티브로 이제 기획안을 냈었고 그게 그것도 경선으로 당선됐어요.

Director Kim Tae-hong created a proposal inspired by interviews with runaways, and it was selected during the competition.

한 4명 정도 만들게 됐었는데 그때 다큐멘터리 같은 모티브였고 시나리오가 형성되어 있지 않았었기 때문에 같이 해보자 그러면서 세 명이 같이 이제 그걸 시작했었고.

We ended up putting together about four people, and at that time it was a documentary-like motif, and since there wasn't a formed script, three of us said let's try it together and started working on it.

그리고 졸업 작품 때.

And during the graduation project.

네.

Yes.

그때 또 제가 칼세이건의 창백한 푸른 점이라는 천문학 서적을 이제 모티브로 이제 시작할 때 또 같이 해보자 그래서 같이 하게 됐었죠.

At that time, I suggested that we should start together using Carl Sagan's astronomy book "Pale Blue Dot" as a motif, and so we did.

그리고는 졸업 이후에 다른 친구들이 연출부 종감독 생활을 시작할 때 저랑 김태홍 감독은 3d 애니메이션이 대세다.

And then, after graduation, while other friends started their careers in the production department, Director Kim Tae-hong and I believed that 3D animation was the trend.

새로운 영역이다.

It's a new area.

이미 그때.

Already at that time.

네.

Yes.

그래서 저희의 감명받고 저희가 그래서 홍대 시각디자인과 우리 졸업생 친구들과 서울대 공대의 애니메이션 연구를 하던 털 연구를 하던 거기랑 같이 거기에 작가 회사를 만들어서 3d 애니메이션을 준비했었어요.

So, we were impressed and therefore, we created a company with our friends from the Visual Design Department of Hongdae and those doing animation research at Seoul National University's Engineering Department to prepare for 3D animation.

저랑 김태홍의 시나리오를 쓰고.

Write a scenario with me and Kim Tae-hong.

홍대 친구들이 이제 마야라는 프로그램으로 이제 트레일러 3부짜리를 만들었고.

My friends in Hongdae have now created a three-part trailer using a program called Maya.

그때 3부를 만드는데 1년이 걸렸어요.

It took a year to make Part 3 back then.

시나리오 두 편 분량의 시나리오를 썼었고 그러면서 또 같이 작품을 준비했고 그게 잘 만들어지진 않았지만

I wrote the scripts for two scenarios and while doing that, I prepared a project together, which didn't turn out well.

그 이후에 어떤 프로듀서가 이제 열일곱을 보고 이제 여곡의 다음 두 번째 이야기 저희한테 제안을 하게 된 거죠.

After that, a producer saw Yeol-ilbong and suggested the next second story of our female character to us.

그래서 저희가 같이 하게 됐었는데 같이 제안을 받았으니까 나중에 왜 같이 제안을 하냐고 물어봤을 때는

So we ended up working together, and since we received the proposal together, when I later asked why we were working together on the proposal,

한 사람 개런티로 두 사람을 쓸 수 있는 어떤 가성비 누가 더 나을지 모르겠지만

I don't know who would be better in terms of cost-effectiveness of being able to use two people for the guarantee of one person.

두 사람을 쓰면 두 배의 효율이 있지 않을까 약간 1 플러스 1 같은 느낌으로

If you use two people, wouldn't there be double the efficiency? It feels a bit like a 1 plus 1 situation.

네 1 플러스 1으로 잘못된 착오에 근거한 그런 판단으로 저희가 하게 됐었죠.

Yes, we made that decision based on an incorrect judgment related to the 1 plus 1.

해보니까 근데 지금 말씀하신 것처럼 스태피나 배우나 제작진에게 공동연출이 처음인가요?

Is this the first time for the staff, actors, or production team to co-direct, as you just mentioned?

그렇죠.

That's right.

한국 영화 역사상 특히 장편영화로 공동연출이 처음이었기 때문에 누구도 경험해본 적이 없는 세계였던 거예요.

Because it was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Korean cinema that a feature film was co-directed, it was a world that no one had ever experienced before.

컨베이어 발트에 두 명을 세우면 두 배로 빠르겠지? 그렇게 생각을 했는데 컨베이어 발트가 두 개로 늘어난 거예요.

If you set two people on the conveyor belt, it would be twice as fast, right? That's what I thought, but the conveyor belt ended up doubling.

두 사람이 다 만족하거나 두 사람이 합의가 되거나 이제 설득이 돼야만 움직이는 시스템이 된 거죠.

It has become a system where two people can only move when both are satisfied or when they come to an agreement or are persuaded.

두 배로 느려진 거죠.

It's slowed down by half.

배우가 두 사람 다.

Both are actors.

컨펌을 받아야 되니까.

I need to get confirmation.

근데 취향이 다르고 판단이 다르고 그러니까 힘들어했죠.

But it was hard because our tastes and judgments were different.

둘이서 얘기하는 시간들이 많아지니까.

As we spend more time talking together.

근데 같이 하는 이야기의 장점은 둘이 생각이 다를 수 있는데 둘이 얘기를 해서 서로 막 설득을 해나가는 어떤 맥락에서의 장점이었는데

But the advantage of having a conversation together is that even if the two of us think differently, there is a benefit in the context of persuading each other through our discussion.

그게 그 영화 현장에서는 쉽지는 않더라고요.

It's not easy on the movie set.

왜냐하면 빨리 해야 되니까 조건이 너무너무 급한 상황에 쫓기다 보니까.

Because I have to do it quickly, I'm in a situation where the conditions are extremely urgent.

서로 이야기를 나누지 다 못하고 막 결정해서 나가니까 어려운 첫 경험을 하게 됐었죠.

We ended up having a difficult first experience because we couldn't fully communicate and made a decision hastily.

코엔 형제는 형제잖아요.

The Coen brothers are brothers, right?

피가 섞이지 않네.

There is no blood mix.

오저스키드 형제인가?

Are you the Ozoski brothers?

저희는 피는 섞이지 않았고.

We are not related by blood.

다만 저희 숙소에서 촬영할 때 침대를, 싱글 침대가 있는 방 하나를 주더라고요.

However, when filming at our accommodation, they gave us a room with a single bed.

저희가 세트장에 촬영할 때.

When we were filming on the set.

정말?

Really?

그래서 저희가 한 이불을 덮고 잤죠.

So we slept under the same blanket.

여름 촬영이라서 또.

Because it's a summer shoot.

아주 가벼운 옷차림으로.

Dressed very lightly.

근데 그러니까 정말 한 사람 분 비용을 쓴 거예요.

But that means I really spent the cost for one person.

그래서 저희는 뭐 그런 게 너무 오랫동안 같이 많이 잤었기 때문에.

So, we have been sleeping together a lot for a long time like that.

단편 시절에도 그게 어색하지 않았고 당연하다고 생각했었고.

Even during the short story period, it didn’t feel strange, and I thought it was natural.

그러니까 이제 하여튼 만드는 척 입장에서는 물리적으로 그냥 공동 연출을 생각했던 것 같고.

So it seems that in any case, from the perspective of pretending to create, they were just physically thinking about co-direction.

저희에서의 장점은 화학적인 그러니까 원 플러스 원 이상의 어떤 효과가 있었던 그런 이제 체험인데 굉장히 어떻게 보면은 속편이어서 가능했었고.

The advantage we have is that there was a chemical effect, meaning an effect greater than one plus one, which is an experience that was quite easy, so it became possible.

네.

Yes.

그렇죠.

That's right.

불가능한 방식의 제작 경험이 왔었어요.

I had an experience of production in an impossible way.

왜냐면 3월에 만나서 합시다.

Let's meet in March.

그리고 아무런 이야기도 없는데 시작해가지고 7월에 촬영에 들어가서

And without any prior discussion, we started and began filming in July.

12월에 개봉했으니까.

It was released in December.

그게 지금으로서는 거의 이제 불가능한.

That's almost impossible at this point.

근데 전편이 굉장히 흥행했기 때문에 대충 해도 이렇게 많이 보지 않을까?

But since the previous installment was a huge hit, won't it get this many views even if it's done roughly?

어떤 그런.

Something like that.

그런 좀 안일한 어떻게 보면 안전판 같은 확신들이 좀 있으셨던 것 같고.

It seems like you had some kind of complacent reassurance, which could be seen as a safety net.

그만큼 저희는 좀 자유로웠고.

That much we were a bit freer.

그렇게 기이한 형태의 어떤 대비를 저희가 치르게 됐죠.

We had to face some strange form of contrast.

저는 사실 그 시기에 이 두 감독님에게 연출 제안했다는 것 자체가 되게

Actually, the fact that I proposed directing to these two directors at that time is very...

놀랍기도 하고 되게 신선하기도 하고 그런 것 같으니까.

It seems both surprising and quite refreshing.

사실 그 두 감독님이 뭐 호러 단편을 만들면서.

In fact, those two directors were making a horror short film.

혹은 뭐 스릴러 단편을 만들면서 뭐 유명세를 얻은 게 아니라 사실 완전 의외의 선택이잖아요.

Or it's not like they gained fame by creating a thriller short; it's actually a completely unexpected choice.

말하자면 그 노매드랜드를 만든 클로이 자유 감독에게 이터널스로 맡기는 약간 그런 식의 선택이어서 어떻게 그런 발상을 했을까라는 것 자체가 저는 궁금하더라고요.

In other words, it's a choice to hand over Eternal Sunshine to Chloe Zhao, who created Nomadland, and I'm curious how such an idea came about.

네.

Yes.

그렇죠.

That's right.

그때는 일종의 회사에서는 상당히 신선한 시도였던 것 같고 물론 진행 과정에서 좀 후회하셨던 것 같아요.

At that time, it seemed like quite a fresh attempt for the company, and of course, it seems like there were some regrets during the process.

.

Please provide the Korean text you would like me to translate.

I think that's when I started to find out about the pain that I was going through.

I think that's when I started to realize the pain I was experiencing.

.

Please provide the text you would like me to translate.

소식이 있던데 그건가 이런 추측을 하면서

I heard there was news, so I'm making these kinds of assumptions.

야 그런 영화 60년대 무슨 일본 호러영화

Yeah, what kind of Japanese horror movie from the '60s?

베껴서 어떻게 좀 흥행 좀 했다고

Just because you copied it, it doesn't mean it was a hit.

뭐 소평까지 만드냐 참 안일하다

Why even make a review? That's quite careless.

충분히 이게 문제야 그러면서 이제 나갔더니

This is definitely a problem, and then I went out.

아니나 다를까 이제 여기다 투를 하자고 했어서

As expected, they said to do the voting here now.

그때 아 이제 이런 거 좀 만들지 마시고요

At that time, please don't make things like this anymore.

새로운 거

New thing

이러지 맙시다 이러면서 타이르고 돌아왔던 거 같아요

Let's not do this. I think I came back while soothing myself like this.

말도 안 되는 상황이죠

It's an absurd situation.

오만하게 돌아오면서 처음 질문을 했던 거 같아요

I think I asked the first question arrogantly when I returned.

저희한테 그때 저희를 짓누르던 영화는

The movie that was weighing down on us at that time.

타르코프스키의 희생이었어요

It was Tarkovsky's sacrifice.

한 번에 못 봐가지고 졸면서

I couldn't see it all at once, so I dozed off.

세 번만에 겨우 이제 일종의 완독을 한 뭐 그런 영화였는데

It was the kind of movie that I barely managed to finish after three tries.

이제 우리가 영화를 만든다면 어떤 영화를 만들어야 될까

If we were to make a movie now, what kind of movie should we make?

이런 질문을 처음 돌아오면서 한 거 같아요

I think this is the first time I've asked such a question upon returning.

나를 영화계로 판타지를 이끌었던 스필버그 감독의 영화 같은

Like the movies of director Spielberg, which led me to fantasy in the film industry.

이런 환상적인 영화를 만들어야 될까

Should I make such a fantastic movie?

아니면 대학교 때 그 큰 극장에서 본 닥터지바보 같은

Or like the Doctor Zhivago I saw in that big theater back in college.

그 70mm 엄청난 스펙타클을 만들어야 될까

Should we create that 70mm incredible spectacle?

영화를 만들어서 살아간다는 삶에 대한 고민을 한 적이 없었기 때문에

I had never thought about the life of making movies and living that way.

그냥 단지 무엇이든 만드는 것에 대한

Just about creating anything.

매혹 이런 것이었기 때문에

Because it was something like fascination.

처음으로 그런 이제 데뷔에 대한 질문을 받은 거예요

This is the first time I've received a question about my debut.

한 일주일 정도 저희가 작업하고 그런 결론에 도달했어요

We've been working on it for about a week and reached that conclusion.

이제 1999년이고 지구도 망할 것 같고

It's now 1999 and it seems like the world is going to end.

그때는 망할 기운이 많이 있었기 때문에

At that time, there was a lot of energy to fail.

세상에 뭔가 흔적을 남기면 어떨까

I wonder what it would be like to leave a mark on the world.

어떤 물질적인 흔적 변화 그거 재미가 있겠다.

Some change in material traces would be interesting.

그리고 정말 여고괴담이라는 거는 못생겨 보이는데

And really, the high school horror stories don't seem to look ugly.

이제 그릇이 못생겨도 술을 맛있게 담그면

Even if the vessel is ugly, if you brew the alcohol deliciously...

그건 맛있는 술이 아닐까

Isn't that delicious alcohol?

이런 생각을 하면서 이제 일주일 만에 다시 가서 할게요

I'll go back and do it again after a week, thinking about this.

그 대신 이제 배우도 바꾸고

Instead, we're changing the actor now.

이야기도 새로 하고

Let's talk about something new.

제목도 여고괴담 두 번째 이야기로 하겠다라고

I will also title it "The Second Story of High School Ghost Stories."

그래서 정격 협상이 된 거죠

So that’s why it became a formal negotiation.

그래서 전격 협상이 된 거죠

So it turned into an urgent negotiation.

배우도 손님은 세 번을 확실히 놀래켜달라

Even the actors, make sure to surprise the guests three times.

세 번?

Three times?

아 조건?

Oh, conditions?

네 세 번 놀래켜달라

Yes, surprise me three times.

그래서 아 그래요?

So, oh really?

세 번은 저희가 할게요

We'll take care of it three times.

그렇게 시작된 거예요

That's how it started.

그중에 하나는 뭐 키스 이런 건가요?

Is one of those things a kiss or something like that?

그거는

That is

아 세 번은 무서운 장면은 세 개는 있어야 된다?

Oh, does there need to be three scary scenes?

네 세 개

Yes, three.

그게 난 뭐 이렇게 사물함에 머리 넣고

Why am I putting my head in the locker like this?

그 장면은

That scene is

새가 화장실에 있고 뭐 이제 이렇게 있었는데

The bird is in the bathroom, and what was happening like this now?

아 진짜 뭐 결국은 이제 안 무서운 공포 영화로

Ah, really, in the end, it's just a horror movie that's not scary anymore.

맹위를 떨치게 되죠

It will assert its power.

아 이렇게 안 무서울 수 있나

Oh, is it possible that this isn't scary at all?

그래도 놀라는 장면이 있으니까

Still, there are surprising moments.

이렇게 안 무서울 수 있나로 놀래켰죠

"How can it not be scary like this?"

알고 보니 그 영어 괴담이라는 게 못생긴 그릇이 아니었고

As it turned out, that English horror story wasn't an ugly vessel.

너무너무 사람들이 좋아하는 굉장히 흥행이 된 장르 영화의

A genre film that people really, really love and has been a huge hit.

컨벤션과 새로운 지점들을 너무 잘 활용했던 훌륭한 작품이었고

It was a wonderful piece that made excellent use of the conventions and new points.

그걸 잘 못 알아봤던 거예요

I misunderstood that.

저희가 그런 장르 영화에 대한 학습이 안 됐기 때문에

Since we haven't been trained in that genre of film,

그래서 오히려 이제 그 장르 영화에 대한 학습이 안 됐기 때문에

So rather, now that I haven't learned about that genre of film,

그래서 시작하고 나서 공부를 시작했고

So I started studying after I began.

뒤늦게 엄청난 공평화를 보고

Seeing the tremendous peace late.

이제 새로운 공포가 뭘까

What could the new fear be now?

이런 고민을 시작했었던 굉장히 이상한 자만과 확신에 갇혔던

I was trapped in a very strange arrogance and certainty that had started with such worries.

정말 독특한 시절이었었고

It was really a unique time.

당시 발견한 여러 컨셉 중에 그거였었어요

It was one of the various concepts I discovered at that time.

제 영화에서 새로운 컨셉이라는 게

The new concept in my movie is

귀신은 죽었을 때랑

When a ghost is dead,

항상 같은 사이즈잖아요

It's always the same size, right?

왜 죽으면 사이즈가 똑같지?

Why is the size the same when you die?

한 번도 생각해보지 못한

Never thought about it before.

그래서 엄청난 사이즈를 키운 거예요

So, I grew to an enormous size.

천정에 귀신이 나타났을 때

When the ghost appeared on the ceiling.

거대한 사이즈로 귀신이 사라지는 장면을

A scene where a ghost disappears with a gigantic size.

새로운 귀신이라는 컨셉

The concept of a new ghost.

아 그렇구나

Oh, I see.

마지막에 사귀었던 거 같고

I think we dated in the end.

그런 식으로 뭔가

Something like that.

새로운 접근을 했어요

I took a new approach.

살인도 백주 대낮에 사람들이 보는 데서 일어나고

Murder happens in broad daylight in front of people.

그다음에 삐걱거리는 마룩 계단이 아니고

Then it’s not the creaking wooden stairs.

아주 세련된 도시적인 학교

A very sophisticated urban school.

그 학교가 그 대신 네모로 돼 있어서

The school is square instead.

미로처럼 갖춰서

Set up like a maze.

그날 하루는 귀신이 빠져나가지 못한다

That day, the ghost cannot escape.

그렇게 갇힌 세계를 표현하고

Expressing a world that is trapped like that.

뭐 수영장도 있고 옥상도 있고 상당히 못봤는데

Well, there’s a swimming pool and a rooftop, and I haven’t really seen much.

모던한 고전적인 어둠 속에서 나오는 귀신이 아니고

It's not a ghost that emerges from a modern classical darkness.

지금 굉장히 깔끔하고 아름다운 곳에서 벌어지는

It’s happening in a very neat and beautiful place right now.

어떤 귀신의 하루 놀이

A Day of Play for Some Ghosts

이런 컨셉들을 찾아갔었던 거 같아요

I think I was looking for these kinds of concepts.

사실 요곡의담 두 번째 이야기 같은 경우는

Actually, in the case of the second story of "The Tale of Yoggok,"

저는 극장에서 본 사람이고

I am someone who saw it in the theater.

사실 지영 기자 같은 경우는 그때쯤 태어나신 거 아닌가요?

Actually, isn't it the case that reporter Ji-young was born around that time?

어 네네

Oh yes yes.

그래서

So

사실은 이제 저는 극장에서 본 사람인 반면에

The truth is, now I am someone who has seen it in the theater.

지영 기자 같은 경우는 어떻게 보고

How do you see reporter Ji-young?

어떤 질문을 할까 되게 궁금하긴 하더라고요

I'm really curious about what kind of questions I should ask.

저는 사실 Y2K에 대한 기억이 없기 때문에

I actually don't have any memories of Y2K.

저는 최근에 이걸 다시 봤는데

I recently watched this again.

다시 보니까 요즘에 또 Y2K 열풍이 불고 있잖아요

Looking at it again, there's a Y2K craze happening these days.

그래서 그 안에 나오는 교환일기장 이런 게

So, the exchange diary that comes out in it.

너무 힙하게 보이는 거예요 요즘 스타일로

It looks too hip nowadays.

요즘엔 또 그런 소품을 많이 팔기도 하고

These days, they also sell a lot of those kinds of accessories.

그래서 그런 거를 사실 약간 남성 감독님이

So, for that kind of thing, it's actually a bit of a male director.

제 시선에서 어떻게 구성을 하셨는지로 너무 궁금하고 이런 거

I'm very curious about how you structured it from my perspective and things like that.

Yes

네 타이틀 시퀀스는 그때 세븐의 이제

Yes, your title sequence is now Seven's.

타이틀 시퀀스에 어떤 인상이 남아서

The title sequence left a strong impression.

아 데이빈처

Ah, Davinchie.

네 그 교환일기 이렇게 구성해 왔었는데

Yes, I had composed the exchange diary like this.

그 지금 창덕여고죠?

Isn't that Changdeok High School?

그때 가수 박지윤 씨가 고3 시절이었던

At that time, singer Park Ji-yoon was a high school senior.

아 성인 시절

Ah, adult years.

어 그 학교였었어요

Oh, that was the school.

네 gegel

Yes, gegel.

바빠서 그때 학교에 있진 않았었는데

I wasn't at school at that time because I was busy.

거기서 교환일기를 우연하게 이제 발견하게 됐었는데

I happened to discover the exchange diary there.

실제로요?

Really?

전 세계에서 얼마 남아 있지 않은

One of the few left in the world.

어쩌면 우리나라에만 있을 것 같은

It seems like it might only exist in our country.

여고라는 이제 전통이 사라지고 있고

The tradition of high schools is now disappearing.

당연히 공학으로 바뀌고 있는데

Of course, it is changing to engineering.

여전히 여고의 전통이 있는데

There is still a tradition of girls' high schools.

여고 안에서만 있을 수 있는 이상한 소통 방식

A strange way of communicating that can only exist within a high school.

소통의 내용들이 상당히 내밀했었고

The contents of the communication were quite intimate.

예를 들어서

For example

보통 쉽게 털어놓을 수 없는 그때 원조 교제 이야기도 있고

There are also stories about that time when it was usually hard to open up about relationships with older partners.

여러 가지로 상당한 비망록의 개념이 있었어요. 놀랐었고

There were quite a few significant concepts in the memoirs. I was surprised.

그런 소통을 하는 사이에 어떤 친구 이야기가 모티브가 되면 어떨까

How about using a friend's story as inspiration during that kind of communication?

이런 생각을 하면서 그 일기를 많이 활용을 했었고

While having these thoughts, I made a lot of use of that diary.

실제로 정말 좋아하는 사람이 정성을 다한다면 어떤 굿즈가 나타날까

If someone truly loves you and puts in their heart, what kind of merchandise would appear?

저희 미술팀 소품 담당하는 친구가 직접 다 쓴 거예요.

Our art team's prop 담당 친구 wrote it all by themselves.

그 글의 내용도 영화 속에서 다 읽을 수는 없지만 정말로 계속 고백하는 그런 내용이고

The content of that writing can't be fully read in the movie, but it's really about continuing to confess that kind of thing.

한 사람은 대충 피드백을 주고 한 사람은 너무 성의 있게 캐릭터에 맞춰서

One person gives feedback casually while the other puts in a lot of effort to match the character.

직접 이렇게 쓰고

Write it like this directly.

네. 다 구성을 했었죠.

Yes. I had everything set up.

저 DVD가 나왔을 때는 그거 다 스캔받아서 책으로도 같이 부록으로 나왔었고

When that DVD was released, it was all scanned and came out as a book included as a supplement.

그 일기책은 지금 영상자료원에 기록물로 가 있어요.

That diary is now archived at the Film Archive.

잘 거기에 보관되고 있죠.

It's well stored there.

직접 그 내용을 다 볼 수 있겠네요.

You can see all of that content directly.

네. 그렇죠.

Yes. That's right.

궁금하다.

I'm curious.

그리고 또 그런 것도 있는 거니까 두 분이서 단편을 하시다가 장편으로 넘어간 거잖아요.

And there's also that, so the two of you started with a short story and then moved on to a full-length one, right?

그런데

But

골피 생각해보면 김태원 감독님이나 민규동 감독님이나 사실은 좀 되게 여리여리해 보이거든요.

When I think about it, both director Kim Tae-won and director Min Kyu-dong actually look quite delicate.

그러다 보니까 사실은 그때는 표준 근로계약서가 있던 시절도 아니다 보니

At that time, it wasn't even the period when there was a standard employment contract.

사실은 단편은 며칠 작업하면 끝이지만 장편은 두 분이서 거의 그때는 잠도 서너 시간 자면서

The truth is that a short story can be finished in a few days, but for a novel, the two of you would be working while only getting three or four hours of sleep at that time.

굉장히 빡빡한 일정으로 작업하셨어야 됐을 것 같은데

You must have had to work with a very tight schedule.

그러다 보니 뭔가 얼핏 보기에는 체력이 그렇게 강해 보이지 않는 두 분이

As a result, the two of you, at first glance, don’t seem to have such strong stamina.

뭔가 좀 그런 느낌을 받았을 것 같은데.

I feel like you might have gotten that kind of feeling.

그래도 현장에서 얼마나 고생하셨을까.

I wonder how much you must have suffered on site, though.

몸져 누우시는 분도 있었을 것 같은데.

There might have been someone who lay down due to illness.

그 과정은 또 어땠을까도 궁금하더라고요.

I’m also curious about how that process went.

끝까지 만든 거 사실 그 자체가 기적이죠.

The fact that you made it to the end is a miracle in itself.

저희가 99였는데요.

We were at 99.

두 사람 몸무게 합쳐서 당시에.

The combined weight of the two people at that time.

아 진짜요? 어떻게 그렇게 되지?

Oh really? How did that happen?

시작하면서 엄청나게 살이 빠지기 시작하면서 제가 50이었어요.

I started losing a lot of weight when I was 50.

그래도.

Still.

그럼 한 분은.

Then, one person.

김태형 감독이 40대였고.

Director Kim Tae-hyung was in his 40s.

제가 콘티도 밤새 촬영 날 아침까지 직접 다 그려서 복사해서 김태형 감독이 스테이플로 찍어서

I personally drew the entire storyboard overnight until the morning of the shoot and then Kim Taehyung copied it with a stapler.

그 정도로 이제 잠을 잘 못 잤고

I haven't been able to sleep well to that extent.

처음 학교에서 찍을 때 한 2주간은 여름방학 동안 찍는데

It takes about two weeks to shoot at school for the first time during the summer vacation.

방학이 끝나면 촬영을 못하니까.

I can't film after the break ends.

안 쉬고 매일매일 찍었어야 되는데 밤새 준비하고 이제 스태프들 밥 먹을 시간 동안 1시간 정도 자고

I should have been filming every day without rest, but I prepared all night and now I only slept for about an hour during the staff's meal time.

아침부터 12시까지 찍고 와서 또 다음 날 거 준비하고 이렇게 잠을 1시간씩 자면서 거의 한 2주 정도 촬영하니까

I shot from the morning until noon and then prepared for the next day, and after sleeping for only about an hour each time, I ended up shooting for almost two weeks.

그때 체력은 어떻게 됐는지 통과했었는데 중간에 뭐 제가 쓰러져서 이제 입원도 하고

At that time, my physical condition was okay, but in the middle of it, I collapsed and ended up being hospitalized.

음.

Um.

4초 될 얘기가 많았었죠.

There was a lot to talk about in 4 seconds.

제가 입원하고 있는 동안 김태형 감독이 이제 찾아와서 같이 저를 도와준다고 옆 침대에 누워서 같이 자기도 했었는데

While I was hospitalized, Director Kim Tae-hyung came to visit me and even lay in the bed next to mine to help me.

이제 링거 영양제 의사를 맞으면서 다음 날 아침에 깼더니 김태형 감독 침대가 피로 가득한 거예요.

When I woke up the next morning after getting the IV nutrient, Coach Kim Tae-hyung's bed was filled with fatigue.

응?

Huh?

피로?

Fatigue?

네.

Yes.

이게 이게 이거 이게 지금 빠졌는지 역류해가지고 피가 다시 이렇게 나와가지고 그래서 같이 일을 하고 있었어요.

This, this, this, this, whether it's come out now or flowed back and the blood has come out again, so I was working together.

아.

Ah.

그래서 같이 일을 하고 있었어요.

So we were working together.

아.

Ah.

그래서 같이 일을 하고 있었어요.

So we were working together.

아.

Ah.

그래서 같이 일을 하고 있었어요.

So we were working together.

같이 2박 3일 있었어요 결국은.

We ended up spending 2 nights and 3 days together.

그게 영어 계단 같은데.

It looks like an English staircase.

그래서 현장에 오면 감독을 잘 못 찾았고 워낙 비실비실 볼품없는 너무나 그 죽기 직전에 두 얼굴이었기 때문에

So when I came to the site, I couldn't really find the director, and it was difficult because he looked so frail and insignificant, especially just before his death when he had two faces.

음 뭐 앙상한 상태로 어떻게 버텼나 싶을 정도로 겨우겨우 뚫고 나갔었죠.

I wonder how I managed to endure in such a frail state, but I barely made it through.

근데 기억이 나는 건 이제 저희 크랭크인 날짜가 정지우 감독님의 해피엔드?

But what I remember is that our filming start date is for director Jeong Ji-woo's Happy End?

어.

Uh.

아.

Ah.

같은 업세트에서 전도연 씨와 함께 촬영을 하고 있었던 기억이 나고 그의 비슷한 시즌에 저 저 봄다 조금 먼저 개봉했었죠.

I remember filming in the same upset with Jeon Do-yeon, and his similar season had just been released a little earlier in that spring.

음.

Um.

정지우 감독도 마찬가지로 단편 영화를 찍다가 데뷔했었고.

Director Jung Ji-woo also made her debut while directing a short film.

저희가 김태현 감독과 함께 새로운 웨이브였었던 거는 그 당시에는 보통 김대승 감독님처럼 김권택 감독님 연출부.

What we had with Director Kim Tae-hyun was a new wave, which at that time was usually under the directing team of Directors Kim Dae-seung or Kim Kwon-taek.

어.

Oh.

10년 정도 하고.

About 10 years.

맞아 맞아.

That's right, that's right.

맞아.

That's right.

10년 생활 정도 하면은 이제 데뷔를 하게 되는 그런 정도의 숙성 과정을 거치는 게 자연스러운 시대였는데 처음으로 단편 영화만 만들었던 감독들이

It was a natural era where after about 10 years of living, one would go through a maturation process to eventually make their debut, but the directors who primarily made short films for the first time...

아.

Ah.

그러네요.

That's true.

데뷔를 하던 게 이제 시작되던 시기였었어요.

It was a time when my debut was just beginning.

봉준호 장준호 감독님도 한 중감독 생활 1 2편을 하셨고 그래서 굉장히 무모한 어떤 실험들이 어.

Director Bong Joon-ho and Director Jang Joon-ho both worked on parts 1 and 2 of the film, which involved some very reckless experiments.

음.

Um.

그래서 저희에게 또 독특한 실험적인 혹은 자기만의 스타일이 또 구현될 수 있는 그런 시기가 독특하게 저랑 김태현 감독을 만나가지고.

So it is a unique period where we can implement another distinctive experimental style or our own style, having met with director Kim Tae-hyun.

음.

Um.

막 어.

Well, um.

흉겨운 과정을 거치면서도 이상한 종류의 영화가 나오기 막 시작하던.

Even through the painful process, a strange kind of movie was just starting to emerge.

음.

Um.

그런 웨이브의 한 조각으로서 저희가 그 시절을 경험할 수 있었죠.

As a piece of that wave, we were able to experience that time.

음.

Um.

어.

Uh.

제가 또 궁금했던 게 그 영어 제목이 메멘토 몰이더라고요.

I was also curious that the English title is Memento Mori.

그래서 그 이 여고괴담2를 뭔가 이 시리즈물의 하나로 보는 게 아니라 뭔가 독립적인 작품으로 약간 그렇게 하시고 싶었던 약간 그런 의지가 있으셨던 것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So, it seems like you wanted to see this "Gyeonggi High School Ghost Story 2" not as part of the series but more as an independent work. What do you think about that?

네.

Yes.

맞습니다.

That's right.

부제를 어.

The subtitle is "Oh."

너무너무 넣고 싶었고요.

I really wanted to put it in.

아.

Ah.

네.

Yes.

여고괴담.

High School Horror Stories.

아.

Ah.

네.

Yes.

여고괴담이라고 딱 통칭되면은 이제 전편의 공포와 다른 혹은 더 강한 공포.

When it is referred to as "High School Ghost Story," it suggests a different or even stronger fear compared to the previous installment.

음.

Um.

이제 그 맥락으로 이 영화를 감상하게 되는데 영화가 독특하게 새로운 다른 화두를 가지고 있다면 다른 제목이 있으면 어떨까라고 생각해서 제목을 우겼는데 제목이 통과를 못했어요.

Now, with that context, I’m starting to appreciate this movie, but I was thinking about how it might have been if it had a different title, especially if the film has a uniquely new topic. I pushed for a different title, but it didn’t get approved.

사실은.

The truth is.

아.

Ah.

제가 메멘토 몰이라고 우기니까.

I'm insisting that it's a memento mori.

나티너이기도 하고.

I'm also a native.

아.

Ah.

그게 이제 너하고 죽는다라는 거를 기억하라는.

Remember that it means dying with you.

네.

Yes.

그래서 또승들이 아침마다 나누는 인사 같은 거였거든요.

So it was like the greetings that the drivers share every morning.

욕망을 내려놓고 곧 죽는다고 생각하면은 이제 집착도 버리고 좀 더 이제 새로운 삶에 대한 종교적 정진을 할 수 있으니까.

If you let go of your desires and think that you are going to die soon, you can abandon your attachments and engage more in a religious dedication to a new life.

영화 속에서는 이제 내가 왜 죽었는지를 자꾸 기억해라라는 뜻으로 일기의 한 문구 거였거든요.

In the movie, it meant to keep remembering why I died, which was a line from a diary.

음.

Um.

그래서 그 제목을 어쨌든 끝까지 우겨서 겨우 관철을 시켰고 주제적인 맥락이 좀 돋보일 수 있게.

So I stubbornly pushed for that title until the end and managed to get it approved, allowing the thematic context to stand out a bit.

네.

Yes.

했었죠.

I did.

근데 그 이후에는 여우계단도 있고 뭐.

But after that, there are also the fox stairs and such.

여우계단.

Fox Stairs.

네.

Yes.

목소리도 있고 계속 이제 부제가 붙어요.

There is also a voice, and subtitles are being added continuously now.

네.

Yes.

처음은 어려운데 그렇게 뭔가 하나 이렇게 좀 세 발을 내디디면 그게 또 전통이 되고 그러는 것 같아요.

At first, it's difficult, but once you take that first step, it seems like it becomes a tradition.

음.

Um.

그래서 해외에서는 그 영화를 메멘토 몰이라고 인지하게 되죠.

So overseas, that movie is recognized as Memento Mori.

음.

Um.

그때 비슷한 시즌에 제 동갑내기 시즌에.

At that time, in a similar season, during my peer's season.

네.

Yes.

누구지 이 친구? 제목도 비슷한데? 라고

Who is this friend? The title is similar, right?

라이벌로 이렇게

As a rival like this

좀 더 눈여겨 봤었어야 되는데

I should have paid more attention.

그때 아 어떤 비슷한 모티브를 가지고 만든 영화가 있었구나 라고 생각하고

At that moment, I thought, "Oh, there was a movie made with a similar motif."

지금은 길이 많이 달라졌지만

The road has changed a lot now.

나중에 돌이켜보니까

Looking back later

그 단어가 제가 읽은 달은 그 당시에 침묵이라는

The word I read at that time was silence.

마티스코스 씨가 만든 일본 소설이 있어요

There is a Japanese novel created by Mr. Matiscos.

유명한 선교사의 박해를 담은

It depicts the persecution of a famous missionary.

사일런스

Silence

그렇게 만들었죠

I made it like that.

제가 우리나라에서 선교사들이 당한 박해를

I am talking about the persecution that missionaries have faced in our country.

영화를 만들고 싶은 관심이 많았었기 때문에

Because I had a lot of interest in wanting to make movies.

그때 공부를 하다가 봤었던 인상적인 구절이었었는데

It was an impressive phrase that I saw while studying back then.

그게 구제로 들어가게 됐었죠

That ended up going into a crisis.

그래서 요고괴담이지만 조금 계속 다른 색채를 입혀서

So, it's a ghost story, but I'll continue to add a slightly different flavor to it.

그 작품이 그 자체로 좀 새로운 영화이기를 많이 바랐던 것 같아요

I think I really hoped that this work would be somewhat of a new film in itself.

감독님과 이런저런 말씀을 나눠보니까

After talking with the director about various things,

감독 조합의 대표가 되는 것은 운명이었다라는 생각이 들었거든요

I felt that becoming the representative of the director's union was my destiny.

어린 시절부터 이미 점지되어 있었죠

It was already decreed since childhood.

뭔가 좀 지나온 과정들이 딱 거기에 맞춰져 있는

The processes we've been through somehow match perfectly with that.

느낌이 좀 들기도 했거든요

I had some feelings about it.

그래서 아까 질문드리긴 했지만

So I did ask a question earlier, but...

감독 조합의 대표로서

As a representative of the directors' association.

사실 여러 사건 사고들을 겪으셨고

In fact, you have experienced various incidents and accidents.

여러 일들이 있었는데

There were several things.

그 안에서는 코로나 팬데믹이라고 하는

Inside, there is something called the COVID-19 pandemic.

정말 우리가 전혀 예상치 못했던 기간이 한 2, 3년 정도가 있고

There is really a period of about 2 to 3 years that we absolutely did not expect.

또 한국 영화로 놓고 보면

Also, when considering Korean films...

기생충이 황금종상을 받고

Parasite wins the Golden Globe Awards.

심지어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을 타는

Even winning the Best Picture at the Academy Awards.

그런 일들까지 쭉 있어 왔는데요

There have been such incidents continuously.

개인적으로는 좀 기억에 남는 순간들이 있으신가요?

Do you have any memorable moments personally?

다른 어떤 순간들?

Any other moments?

봉준호 감독이 저한테 이제

Director Bong Joon-ho is now...

이 귀찮은 일을 맡기고

Leaving this annoying task to someone else.

옥좌를 찍고 기생충을 만드는구나

You're taking a throne and making parasites.

잘했다 그런 생각이 들었었고

I thought that was good.

그다음에 뭐 사실 이제 몇 년에 걸쳐서 오징어게임도 나오고

After that, well, actually, over the past few years, Squid Game also came out.

한국 영화, 한국 감독들이 엄청난

Korean movies and Korean directors are amazing.

저력을 발휘해서 세계적인 관심을 얻게 되는

Demonstrating potential and gaining global attention.

어떤 잠재력의 폭발이라는 그 시즌을 동시에 맞이하는 것 같고

It feels like we are simultaneously迎ing a season of an explosive potential.

코로나라는 인류가 상상하지 못했던 재난을 또 맞이하면서

As humanity faces a disaster that was unimaginable, called COVID-19...

그렇게 또 급하게 냉각기를 거치면서

So, going through the cooler in such a hurry again.

모든 사람이 힘들어하는 시기를 동시에 겪는 뭐랄까요?

What do you call a time when everyone is going through a difficult period at the same time?

네, 네.

Yes, yes.

분화구가 터지면서 동시에 빙하기가 오는

The eruption of the volcano coincides with the onset of an ice age.

너무나 빠른 격변기를 맞이했죠

We are facing a very rapid period of upheaval.

그 맥락은 영화가 막 흑백에서 칼라로 바뀌고

The context is that the movie just changed from black and white to color.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바뀌고

Changing from analog to digital.

또 OTT라는 새로운 플랫폼과의 조우를 통해서

Through the encounter with the new platform called OTT.

또 새로운 세상을 바라봐야 되는

We have to look at a new world again.

새로운 매체로서의 정체성을 고민해야 되는

We need to contemplate our identity as a new medium.

끝없이 변하는 뭐랄까

Endlessly changing, what should I say?

변동성의 예술이구나라고 정말 이걸 느낄 수밖에 없는 그런 시기였던 것 같아요

It was a time when I really couldn't help but feel that it was the art of volatility.

그런데 되게 놀라운 평행이론이 하나 있는 게 뭐냐면

By the way, there's a really surprising parallel theory.

예전에 감독조합도 대표를 하셨던 이준익 감독님도 그렇고

This is also true for Director Lee Jun-ik, who previously served as a representative of the directors' association.

봉준호 감독님도 그렇고

Director Bong Joon-ho is the same.

감독조합 대표 자리를 내려놓은 순간 영화가 굉장히 좋아지더라고요

The moment I stepped down from the position of the director's union representative, the movie got much better.

저도 이제 때가 오는 건가요?

Is it my time now too?

그렇죠. 그런 또 공통점이 있다는 거

That's right. There is that common point as well.

빨리 내려놨어야 되는데

I should have put it down quickly.

그렇군요

I see.

제가 처음에 왔을 때 한 200몇 명의 감독들이 있었던

When I first came, there were about 200 directors.

어떤 커뮤니티로서의 조합이 있었는데

There was a combination as a community.

일종의 마틴 스코세지가 미국 감독조합의 대표였던 시절이 있었던 것처럼

Just as there was a time when Martin Scorsese represented the Directors Guild of America

길드로서 회원 감독들의 어떤 권익이나

As a guild, any rights or interests of the members' supervisors.

삶에 대해서 고민을 좀 해주는 어떤 단체로서의 정체성이 있는데

There is an identity as an organization that reflects on life.

제가 와서 한 가장 큰 인상적인 사건은 이제

The most impressive event that I have experienced is now

해외로부터 저작권료를 받아온 사건이 제일 큰 사건 같아요

It seems that the case of receiving royalties from overseas is the biggest incident.

사실은 설문조사를 했을 때는 한 70%의 감독님들이

The truth is that when we conducted the survey, about 70% of the directors...

5년치 이렇게 조사를 해 봤을 때 연봉 1800만원

After conducting this investigation for five years, the annual salary is 18 million won.

1800만원 이하 소득을 받는

Receiving an income of less than 18 million won.

지속적인 영화 작업을 해나가는 게 상당히 힘든

Continuing to work on films is quite difficult.

평균 한 5년에 한 편 정도 영화를 만들고

I make about one film every five years on average.

그러네요

That's right.

그래서 작품 개런티로만으로서 살아가는 건 상당히 힘든

So living solely on artwork guarantees is quite difficult.

그런 삶이 있었기 때문에 사실 코로나라는 이런 재난 상황이 오기 전부터

It is because such a life existed that the disaster situation of COVID-19 came about even before.

영화감독으로서의 삶은 그렇게 안정적이지는 않은 삶이었던 것 같아요

Life as a film director seems to have been quite unstable.

나라에서 시스템으로 보장하는 것도 아니고

It's not something the country guarantees through the system.

특별히 개개인들이 뛰어난 재능을 보여주면서

Especially as individuals show outstanding talents.

한국영화들을 이끌어 나갔고 다양성들을 찾아오고 있었는데

Korean films were leading the way and discovering diversity.

개별 감독들의 삶은 좀 불안정성 속에서

The lives of individual directors are somewhat in a state of instability.

이렇게 영화 이외의 일들을 많이 하거나

Doing a lot of things outside of movies like this.

또 이렇게 다른 곳으로 빠져나가거나 이런 삶들이 있었기 때문에

And because there were also lives that escaped to other places like this.

이런 어떤 뭐랄까 보이지 않는 집단적인 어떤 우울감?

Some kind of, how should I put it, invisible collective depression?

공포와 불안을 안고 사는 감독의 삶에 대해서 조금 귀를 기울이게 됐고

I started to pay a little attention to the life of a director living with fear and anxiety.

그래서 음악처럼 자신이 만든 작품이 상영이 될 때

So, when the works you created are being shown, just like music.

저작권료가 올 수 있는 이미 미국이나 유럽이나 많은 남미나

Copyright fees can come from places like the US, Europe, and many parts of South America.

이런 데 정착되어 있는 그런 시스템들이 여기도 들어오면 어떨까

I wonder how it would be if such systems that are settled here come in as well.

이런 고민을 좀 하게 됐던 거죠

I started to have these kinds of concerns.

한국영화의 위상이나 글로벌 정말 스탠다드

The status of Korean cinema and global standards.

에 비춰서 볼 때는 그런 시스템은 좀 저희가 많이 발달이 덜 된 것 같아요

When viewed in that light, it seems like our system is somewhat underdeveloped.

이제 말씀하신 그 부분이 어떻게 보면

Now, that part you mentioned could be seen as...

이후에 이제 민규동 감독님이 대표로 있던 시기를 돌이켜 봤을 때

Looking back at the time when Director Min Kyung-dong was in charge afterwards.

가장 중요하고도 되게 의미 있는 성과라고 생각이 드는데

I believe it is the most important and truly meaningful achievement.

말씀하신 그런 창작자에 대한 어떤 공정한 보장 시스템에 대한 얘기를 줄곧 해오셨고

You have continuously talked about some fair guarantee system for creators like the one you mentioned.

그 작업들을 실제로 해오셨는데

You have actually been doing those tasks.

지금 말씀하신 것처럼 방송 작가들은 가령 방송이 재방 산방이 되면

As you just mentioned, broadcasting writers, for example, when a program is rebroadcast...

그런 저작권료를 받고 그리고 이제 작곡자나 가수들도 하다못해

Receiving such royalties, and now even the composers or singers...

노래방에서 누군가가 노래만 불러도 보상을 받는 시스템이 자리가 잡혀져 있는데

There is a system in karaoke rooms where someone can receive rewards just for singing.

이 영상 저작권에 관련해서는 1987년 개정 이후로 굉장히 긴 시간 동안

Regarding the copyright of this video, it has been a very long time since the revision in 1987.

아무도 손을 대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감독님이 그런 작업들을 계속 꾸준히 해오시다가

In a situation where no one is touching it, the director has been consistently working on such tasks.

작년이었나요?

Was it last year?

이제 시청각물 저작 창작자 세계로

Now into the world of audiovisual content creators.

그게 연맹의 첫 번째 총회가 또 서울에서 열리기도 했고

That was also the first general meeting of the federation held in Seoul.

그래서 뭔가 처음에 이제 화두를 던지셨던 그 내용들이 조금씩 현실화되고 있다는 게 보여서

So I can see that the topics you initially brought up are gradually becoming a reality.

지금 그 현재 상황이 어떤지도 조금 궁금합니다

I'm a bit curious about what the current situation is like right now.

음 저작권법 개정안은 이제 국회의 계류도 있지만 아직 현실의 벽을 넘지는 못하고 있고요

Well, the copyright law amendment is currently pending in the National Assembly, but it hasn’t yet overcome the wall of reality.

네 필요하다는 인식의 재고는 상당히 많이 돼서

Yes,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reconsideration of the awareness that it is needed.

음 많은 논의는 좀 이루어졌습니다

Well, there has been quite a bit of discussion.

네 네

Yes, yes.

그래서 저는 그에 대해서는 좀 더 깊이 알고 있는 것 같고

So I think I know a bit more about him.

해외 여러 나라에서 저작권료를 받는 거는 이미 많이 진행이 돼서

Receiving royalties from various countries overseas has already progressed significantly.

음 아르헨티나로부터 돈을 받아서 분배를 이미 했고

Um, we have already received money from Argentina and distributed it.

스페인에서 받아서도 분배를 했고

It was received and distributed in Spain as well.

전 세계 9개 나라에서 이미 저희가 계약을 해서 저작권료 배분이 많이 준비되고 있어요

We have already signed contracts in 9 countries around the world, and the distribution of royalties is being prepared extensively.

음 감독님들 중에 큰 돈을 받으신 분도 계시고

Some of the directors received a lot of money.

Oh

많은 그 오디티 플랫폼들이 이제 우리나라

Many of those audit platforms are now in our country.

Um.

단편영화부터 장편영화까지 옛날 영화까지 많이들 보고 계시기 때문에

Many people are watching a lot of movies, from short films to feature films, including old movies.

음 감독님들이 작은 감동을 받으시더라고요

The directors seemed to be moved in a small way.

Um.

어떤 감독님들이 5,000원을 받은 거예요

Which directors received 5,000 won?

Oh

어 근데 내 영화를 세계 어디 저 8,000km 너머의 나라에서

Oh, but my movie is in a country 8,000km away from here.

누군가는 보고 거기에 작은 저작권료가 나에게 와서

Someone sees it and a small royalty comes to me from there.

Um.

내가 아직 살아있는 어 감독이구나

I see that I am still a living director.

Um.

감독세포가 내가 아 여전히 살아있구나라고 느끼게 해주고 하니까

The sensory cells make me feel like, "Ah, I'm still alive."

그걸 많이 즐거워하시는 것 같고

It seems like you enjoy that a lot.

음 경험해보지 못했던

I haven't experienced it before.

Um.

새로운 시스템을 너무 반가워하시는 것 같아요

It seems like you are very pleased with the new system.

이제 그런 게 많이 확장이 되고 또 국내 상영이 훨씬 더 많으니까

Now that such things are expanding a lot and domestic screenings are much more plentiful.

언젠가 이제 국내에도 음악처럼 그런 자신의 작품을 음 소비하는 소비자로부터

Someday, just like music, there will be consumers in the country who enjoy such works of their own.

저작권료를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 되면은 아마 그 이전 세계로는 못 돌아가는 그런 이제 시계가 오지 않을까 생각해요

I think that if a system is established where royalties can be received, it might be like a clock that won't allow us to go back to the previous world.

저희가 90년대에 뭐 그때는 우리 길거리에서 불법 페이프 음악을 사는 거는

Back in the 90s, buying illegal payphone music on the street was something we did.

길보드

Billboard

네 길보드 차트가 너무 자연스러웠었는데 2000년대 초반에 음악이 그 저작권법이 정리가 되면서 음악을 사서 듣는 거가 너무 자연스러워졌고

Your billboard chart was very natural, but in the early 2000s, as copyright laws were organized, it became very natural to buy and listen to music.

지금은 내가 한번 음악을 들을 때마다 창작자들에게 내가 새로운 작품을 만들 수 있는 투자를 해준다라고 오히려 소비자들이 느끼잖아요

Now, every time I listen to music, consumers feel that they are actually investing in creators so that I can create new works.

마찬가지로 영화도 내가 영화를 볼 때마다 새로운 작품이 더 잘 기획되도록 내가 이렇게 어떤 물을 주는 거야

Similarly, when I watch a movie, I'm providing a kind of nourishment so that new works can be better planned.

이런 것들을 관객들이 느낄 수 있는 그런 시대가 오면은

When the time comes that the audience can feel these things.

훨씬 더 이제

Much more now.

서로서로 더 좋은 기획과 더 좋은 소비 재밌는 소비 이런 게 이루어지지 않을까 이런 기대를 해보고 있죠

I have high hopes that we can achieve better planning, better consumption, and enjoyable consumption for each other.

언제가 될지는 뭐 알 수 없는 것 같아요

I guess there's no way to know when it will be.

근데 관객들이나 뭐 법안을 만드시는 분들이나 혹은 정책을 이제 준비하시는 분들이 좀 더 관심을 가지시고 해주시면은 이제 한국영화 감독들에게는 큰 힘이 될 것 같아요

However, if the audience, lawmakers, and those preparing policies show more interest, it would be a great source of support for Korean filmmakers.

작가들에게도 마찬가지고

The same goes for the writers.

아직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더라고요

There are still many people who don't know much about it.

예를 들어서 이게

For example, this is

대중도 지금은 뭐 재방료라고 한다던가 혹은 뭐 노래방의 어떤 가창료 이런 개념들이 굉장히 익숙하고 또 합법 다운로드 익숙하기 때문에 뭔가 그런 거 있잖아요

The public is now very familiar with concepts like replay fees or singing fees at karaoke, and since they are used to legal downloads, there's something like that, you know?

어떤 뭐 감독님의 허스토리가 무슨 광복절에 뭐 지상파 최초 공개 뭐 이런 식으로 공개가 되면 뭘 받는 줄 알고 있어요

I understand that when the director's documentary or story is released for the first time on terrestrial television, especially on Liberation Day, there are certain expectations regarding what will be received.

근데 사실 그렇지 않다라고 하는 것 때문에 사실 아직 그 영화 쪽의 어떤 인식 개선 이런 게 더 필요하구나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But I actually think that the fact that people say it’s not true shows that there is still a need for improvement in the perception of those kinds of movies.

방구석 일렬 어떤 실혼자협회 재방료 이런 건 잘 나왔나요?

Did the re-broadcast of the Single Association and such things come out well?

그런 건 잘 나오시나요?

Does that come out well?

그걸 좀 뒤늦게 신청을 해서

I applied for that a bit late.

좀 나오시긴 하나 보다

I guess you're coming out a bit.

저는 은저협 회원인데요

I am a member of the Eunjeo Association.

제 앤티크나 내 안의 모든 작품에 가사를 썼었어요

I wrote lyrics for all the works in my antique and within me.

저번 달도 2만 원인가 받았어요

I received 20,000 won last month too.

10년 넘게 받고 있고

I've been receiving it for over 10 years.

음악 한국영화 우리 블랙핑크든 BTS든 이 음악의 힘은

The power of this music, whether it's BLACKPINK, BTS, or any Korean movie.

그리고 그 상작자들이 엄청난 조작권료를 받아갈 수 있는 시스템에서 또 온다고 생각하는 게 있거든요

And I think there’s something to be said about the system where those creators can receive enormous royalty payments.

그런 면에서는 영화도 그렇게 시스템이 생기면 또는 좋아지긴 하겠죠

In that respect, if the movie industry develops such a system, it will get better.

아 이게 참 되게 아이러니한 상황인 게 영화 감독인데

Ah, this is quite an ironic situation because I'm a film director, but...

내가 영화 속에 사용하는 어떤 가사를 써서 돈을 받지만 정작 그 영화가

I get paid for writing some lyrics used in a movie, but that movie actually...

영화에 대한 돈이

Money for the movie.

TV에서 여러 번 방영이 돼도 받는 게 없다라고 생각해요

I think that even if it airs on TV several times, I receive nothing.

어떻게 아이러니한 상황이

How is it an ironic situation?

좀 독특한 시스템이죠

It's a bit of a unique system.

한국영화가 여러 가지 세계적으로 독특한 색채로 많이 영향을 끼치는데

Korean cinema has a unique influence on the world in many ways.

한국영화만이 가진 독특한 유일한 시스템이 많아요

There are many unique systems that only Korean films possess.

제작사가 가진 지분 형태나 프로덕션의 방식이나

The type of equity held by the production company or the method of production.

그다음에 촬영 현장에서의 연출의 자율성

Then the autonomy of directing on the filming set.

그리고 편집의 자율성

And the autonomy of editing.

에서의 감독들의 권한

The authority of directors in the field.

그리고 신인 감독들의 어떤 비율 뭐 이런 여러 가지 면에서

And in terms of the ratio of rookie directors and various other aspects.

일제시대 때 우리가 영화가 이식되면서 또 시작했고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e started when movies were introduced.

그게 해방 이후에 독특하게 새로운 영화 전통과 섞이면서

It mixes uniquely with a new film tradition after liberation.

이 자라난 시스템이 결국 이 분단이 주는 어떤 이상한 텐션이 주는 한국영화의 기질이나 여러 가지로

The system that has developed here ultimately reflects the temperament of Korean cinema shaped by the strange tension that this division creates in various ways.

어떤 나라에도 없는 이상한 시스템들이 있는데

There are strange systems that don't exist in any country.

이 장단점들이 모여서 한국영화를 만들어 내는 것 같아요

I think thes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come together to create Korean cinema.

그러니까 어떻게 보면 이 저작권료 관련해서는

So, in a way, regarding this copyright fee...

어느 나라 시스템보다 한국영화 감독이 열악한 시스템인데

The system for Korean film directors is worse than that of any other country.

오히려 그게 더 한국영화 감독들을 더 즐기게 만들고

Rather, that makes Korean film directors enjoy it more.

스스로의 재능을 더 갈고닦게 만들어서

To refine one's own talents even more.

이렇게 더 개별적인 재능들을 더 발휘하게 만드는 것 같기도 하고

It seems like it allows for more individual talents to be expressed.

Um.

전세계 영화인들이 한국영화를 주목하게 되면서

As filmmakers around the world begin to pay attention to Korean cinema,

이 시스템에 대해서도 질문도 많이 해주고 놀라기도 하고

Many questions are asked about this system, and there are also many surprises.

기생충과 오징어게임이 있는 나라인데 어떻게 이럴 수가 있지?

How can this happen in a country that has "Parasite" and "Squid Game"?

Uh.

라는 놀라운 시선도 있고 지지도 많이 해주시고

There are amazing perspectives, and many people are supporting me.

그래서 예전보다는 훨씬 글로벌 커뮤니케이션이 많이 되는 그런 상황이에요

So the situation now involves much more global communication than before.

Um.

그러니까 어딜 가도 이제는 한국이 어디에 있는지를 모르는 사람

So now there are people everywhere who don't know where Korea is.

만나기 쉽지 않고 한국영화를 했을 때 한국영화 감독도 다 이름을 알고

It's not easy to meet, and when I did Korean films, I knew all the names of Korean film directors.

그렇죠

That's right.

영화 제목도 알고 정말 달라진 의상들을 정말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그런 시대인 것 같아요

I think it's an era where we can really see the changes in costumes with the movie title known.

그런데 뭐 3년 내내 제가 감독자 대표로 여러 포럼에 참여했었는데

Well, I participated as a representative of the supervisors in various forums for three years.

그 화두는

That topic is

한국영화 이대로 괜찮은가

Is Korean cinema alright as it is?

한국영화의 위기론

The Theory of Crisis in Korean Cinema

한국영화 어떻게 될 것인가

What will happen to Korean cinema?

3년 내내 그 얘기를 한 거예요

I've been talking about that for three years.

참 그렇죠

That's right.

정점과 위기를 동시에 경험하면서

Experiencing both peaks and crises simultaneously.

Uh.

행복과 걱정을 동시에 하는 이상한 시기를 지금 저희는 통과하고 있는 것 같아요

It seems that we are going through a strange time where we are experiencing both happiness and worries at the same time.

Um.

그럼 실제로 감독님도 요즘에 코로나 팬데믹을 지났는데

So, the director has also gone through the COVID-19 pandemic recently.

코로나 팬데믹을 지나면서 많은 분들이 많은 영화인들이

Many people and filmmakers have gone through the COVID-19 pandemic.

그 자신도 이제 영화 관람 패턴이 많이 바뀌었다

His own movie-watching habits have also changed a lot now.

뭐 단적으로 영화관을 찾는 횟수가 줄어들고 OTT를 즐기는 시간은 굉장히 길어졌다

In short, the frequency of going to the cinema has decreased, and the time spent enjoying OTT has significantly increased.

이런 식으로 개인적인 어떤 관람 패턴의 변화가 분명히 있는데

There is clearly a change in personal viewing patterns like this.

실제로 감독님은 어떤 편이신가요

What kind of person is the director in reality?

저는 아직은 OTT를 많이 못 보고 있고

I haven't been able to watch much OTT yet.

Um.

Yes

되게

very

웨이브랑 같이 하셨잖아요

You did it together with Wave, didn't you?

그렇죠

That's right.

웨이브 첫 오리지널을 시도하긴 했었죠

I did try the first original of Wave.

Um.

새로운 플랫폼에 대한 호기심으로 그런 8부작을 기록해서 시도는 해봤었고

Out of curiosity for the new platform, I attempted to document such an eight-part series.

정작 제가 관객으로서는 아직은 저는 막 익숙하게

Actually, as an audience member, I'm still not quite accustomed to it yet.

집에서 TV로 뭐 이렇게 보는 건 아직 제가 잘 익숙하지 않은 것 같아요

I don't think I'm used to watching things on TV at home like this yet.

그게 이제

That is now

허리도 좋아야 되고 엉덩이도 근육이 좋아야 되고 오래 앉아 있어야 되잖아요

Your waist needs to be good, your buttocks need to have muscle, and you have to be able to sit for a long time, right?

길게 보는 거

Long-term vision.

제가

I am

극장에서도 그런 거 같은데

It seems like that in the theater too.

극장이 좀 짧으니까

The theater is a bit short.

그런가요

Is that so?

Yes

아직은 저는 극장이 주는 쾌감이 저한테는 좀 더 크고 아직은 익숙한 거 같아요

For me, the pleasure that the theater gives is still greater and I think I'm still more accustomed to it.

Oh

그럼 그 웨이브랑 협업은 어떻게 시작을 하게 되신 거예요

So how did you start collaborating with that wave?

Um.

웨이브랑

With Wave

웨이브랑 플랫폼이 런칭되기 전에

Before the launch of Wave and the platform.

Yes

MBC 프로덕션과 만나서 감독 조합이랑 같이 뭔가 콜라보를 해보자는 그쪽 MBC 사장님의 제안이 있었고

There was a suggestion from the MBC president to meet with MBC Productions and collaborate with the director's association on something.

제가 그 넷플릭스에서 블랙미러를 만드는 것처럼

Like I'm making Black Mirror on Netflix.

그 시기

That time.

네 극장에서 쉽게 기획될 수 없는 것을 하는 게 OTT의 매력이 아닐까

Isn't the charm of OTT doing things that cannot be easily planned in theaters?

그래서 한국 영화에서 SF라는 게 너무 대자본이 되고 쉽게 기획될 수 없는 것이라

So in Korean cinema, science fiction has become something that cannot easily be planned or be a product of big capital.

근데 문학계에서는 그때 SF

But in the literary world, at that time, SF

김초혁

Kim Cho-hyuk

네 작가를 비롯해서 이제 쏟아지기 시작했었고 많은 젊은 작가들이 SF를 쓰지 않는 작가들이 없을 정도로

Yes, starting with you, it began to pour out, so much so that there are hardly any young writers who do not write science fiction.

새로운 어떤 출구처럼 그런 장르적 도전이 많이 있었기 때문에

Because there were many genre challenges like a new kind of exit.

그 베이스로 뭔가 영화도 시작해보면 어떨까라고 제안을 했고

I suggested that we could start making a movie based on that.

여덟 명의 감독을 데리고 여덟 개의 새로운 SF 문학을 원작으로 하는 저예산 SF

Low-budget sci-fi based on eight new works of SF literature with eight directors.

이제 해보자라고 제안을 해서 이제 만들게 됐죠

Now, I suggested let's try it, and so we started making it.

그래서 작은 예산이 SF랑 원래 안 어울리잖아요

So a small budget doesn't really match with sci-fi.

Um.

그래서 제가 게임의 룰이고 즐길 만한 조건이라고 생각해보자 이렇게 시작해서

So let's consider this as the rules of the game and the conditions for enjoyment, starting like this.

대신 마음껏 하고 싶은 것을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스타일의 자유를 보장해주는 방식으로

In a way that guarantees the freedom of style to do whatever you want as much as you wish.

첫 오리지널 런칭을 하게 됐던 것 같아요

I think it was the first original launch.

그 당시 웨이브는 잘 몰랐으니까 사람들이 와부라고 불렀어요

At that time, people called it Wabu because they didn't know Wave well.

읽는 방법을 몰라서

I don't know how to read it.

Yes

That

, 스펠링이 좀 헷갈리기도 했긴 하죠

The spelling was a bit confusing, to be honest.

그래서 아무도 모르던 어떤 플랫폼에 저희가 첫 달을 디디게 됐던 거죠

So, we ended up stepping onto a platform that no one knew about in the first month.

그래서 그런 창작의 자유를 굉장히 존중해 주셨고

So you respected that freedom of creation very much.

실험적인 기획을 재미있게 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은 감독들에게 제공해 준 것 같아요

It seems that an opportunity has been provided to many directors to interestingly carry out experimental projects.

그때도 연출로도 참여를 하셨잖아요

At that time, you also participated as a director, right?

한 작품 제가 연출을 했죠

I directed a piece.

네, 연출을 했죠

Yes, I directed it.

네, 그래서 뭐 사실 일부에서도 말씀하셨는데

Yes, so what you've mentioned is that in some areas...

사실 일부에서도 말씀해 주셨지만

As some have mentioned, in fact,

감독님은 이제 뭔가 어쨌건 어떤 장기적으로 어떤 비전이라는 측면에서

The director now has some vision in terms of what to do in the long term, regardless of the circumstances.

굉장히 SF에 대한 애착이 크신 것 같다 라는 생각이 드는데 어떠신가요?

I get the impression that you have a strong affection for sci-fi. What do you think?

아마 그거는 제 또래 세대들이 영화를 처음 접했을 때

Maybe that was when my generation first encountered movies.

스타워즈를 거치지 않은 감독들이 없고

There are no directors who haven't gone through Star Wars.

애니메이션으로는 이제 초등학교 시절에 은하철도 999

As for animation, it's now Galaxy Express 999 from my elementary school days.

중학교 때 미래소년 코난을 거치면서

During middle school, while going through Future Boy Conan.

그 미야자키 하야오의 SF적 판타지를 세포로 받아들였던 시대고

It was an era that embraced Miyazaki Hayao's sci-fi fantasy at the cellular level.

스필버그의 이티와 인디아나 전스를 거치면서 미국 영화에 대한

Through Spielberg's E.T. and Indiana Jones, regarding American cinema

헐리우드 영화에 대한 꿈을 좀 키웠을 것 같아요

I think I may have expanded my dreams of Hollywood movies.

근데 그때는 그런 영화들은 한국에서 구현 불가능한 것이라고 생각했었고

But at that time, I thought that such movies were impossible to realize in Korea.

그냥 멀리서 볼 수 있는 판타지라고만 생각했었으니까

I just thought it was a fantasy that could only be seen from afar.

마음속에 이제 그냥 불가능한 꿈 같은 것으로 내재되어 있었던 것 같아요

I think it was something that had been inherently embedded in my heart as just an impossible dream.

이렇게 한국 영화가 기술력이 좋아지고

As Korean films improve in technology,

새로운 상상력을 펼칠 수 있는 시기가 오게 되면서는

As a time to unfold new imagination arrives,

그런 꿈들이 조금씩 이제 펼쳐지는 것 같고

It feels like those dreams are gradually starting to unfold.

지금 기술적 경계는 거의 없어진 상황이 됐죠

The technological boundaries have almost disappeared now.

그래서 아직은 한국에는 그래도 낯선 장르지만

So it's still a somewhat unfamiliar genre in Korea.

나중에는 굉장히 이제 익숙한 장르로 자리를 잡지 않을까 그런 생각이 들어요

I think it will eventually become a genre that people are very familiar with.

감독님들에게 조금씩 숨겨져 있는 꿈들을 제안해보면서

Proposing the hidden dreams that are slightly concealed from the directors.

많은 감독님들이 재미있게 참여하셨던 것 같아요

I think many directors participated in an enjoyable way.

그래도 감독님이 인기 중에 기념비적인 일이라고 한다면

Still, if the director says it's a monumental event among popular things...

사실 제가 초창기 첫 회 때 프로그램으로 참여하기도 했지만

Actually, I participated in the program during the very first episode.

앨리슨 백댈 작가의 백댈 테스트를 적용해서 한국에서

Applying the Backdale test by author Alison Backdale in Korea.

백댈 대회라는 행사를 해오고 계시잖아요

You have been hosting an event called the Backdel Competition, right?

사실 저도 첫 회 참여하면서 사실 너무나도 의미 있고 재미있고 그런 행사인데

In fact, participating in the first session was really meaningful and fun, an event like that.

과연 이게 언제까지 할 수 있을까라고 하는 그런 생각을 하기도 했었는데

I used to think, "I wonder how long I can keep doing this."

올해도 성공적으로 행사를 치렀고 꾸준히 계속될 것 같은데

We successfully held the event this year as well, and it seems like it will continue steadily.

백댈 대회에 대한 평가는 어떠실지도 궁금합니다

I wonder what your opinion is on the competition.

앨리슨 백댈이 만든 백댈 테스트가 이제 87년인가?

Is the Backdale test created by Allison Backdale now 87 years old?

옛날 백댈 테스트인데 한국영화들이 그걸 통과하는 게 사실 쉽지는 않은 그런 상황들이 있었고

In the past, the Bechdel test was not easy for Korean films to pass due to certain circumstances.

그래서 감독 조합 내에 신인 감독님도 많고 독립영화 감독님도 많고

So there are many rookie directors and independent film directors within the directors' association.

여성 감독 비율은 굉장히 적었어요 9% 정도?

The percentage of female directors was very low, around 9%?

지금 거의 20% 가까이 많이 늘었는데

It's increased by almost 20% now.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보는 대중적인 상황에서

In a popular situation that many people are watching,

독립영화도 좋지만 이제 작게 만들어지는 좋은 뛰어난 영화들도 많았었기 때문에

Independent films are good, but now there are many excellent films being made on a small scale as well.

다양한 영화들의 지표들을 저희가 살피고 자극도 받으면 좋겠다 이런 생각으로

We thought it would be nice to look at the indicators of various films and get inspired.

백댈 대회라는 행사를 지금 기획하게 됐었고

We have now started planning an event called the Backdell Competition.

기준이 테스트가 3개인데 저희는 한 7개 정도로 모던하게 업데이트를 했었고

The standard was 3 tests, but we updated it to about 7 in a more modern way.

그래서 다양한 영화들을 칭찬하고 다시 소환해서 이제 우리가 기억하고

So, we praise various movies and recall them again so that we remember now.

격려해주는 그런 행사를 한번 하면 어떨까 이런 생각으로 시작했고

I started with the idea of holding an event that encourages people.

4년째 5년째 계속 이렇게 잘 이어지고 있는 것 같아요

It seems that it has been continuing well like this for the fourth and fifth year.

실제로 앨리슨 백댈에게 허락을 받아서 이름을 쓰게 됐었고

In fact, I got permission from Allison Bachdale to use the name.

그래서 흥행했거나 평가가 좋거나 이런 기준이 아니라

So rather than criteria like box office success or positive reviews,

정말 이 테스트만 통과하면 되는 어떤 게임 같은 남들한테 혹평을 받았어도

Even if others have given it bad reviews, it's like a game where all I need to do is pass this test.

좋은 기획이었을 수 있는 그런 작품들을 더 칭찬하고

Let's praise works that could have been great projects even more.

기억해주는 그런 행사로 계속 지속되고 있는 것 같아요

It seems like it continues to be an event that is remembered.

사실 저는 이 백댈 대회라는 행사가 계속 좀 의미있게 계속 됐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는 이유가

In fact, the reason I hope this Backdell competition continues to hold significance is that...

사실 지난 겨울에 코로나 팬데믹 이후에 범죄 도시를 제외하고는 한국영화가 계속 침체기에 있다가

In fact, since the winter of last year, South Korean films have been in a slump, excluding the popularity of "Crime City" after the COVID-19 pandemic.

김성수 감독님의 서울의 봄하고 또 김한민 감독의 노량 죽음의 밭이 있었던 것 같아요

I think there was Director Kim Seong-soo's "The Spring of Seoul" and Director Kim Han-min's "Noryang: Deadly Battlefield."

이 두 편이 말하자면 다시 한국영화에 대한 애정이라든가 흥행이 잘 되고 있잖아요

These two films, so to speak, reflect a renewed affection for Korean cinema and are performing well at the box office.

그런데 사실 그 두 편의 영화는 백댈 테스트를 통과할 수 없는 영화잖아요

However, the fact is that those two movies cannot pass the Bechdel test.

그러다 보니까 사실 저희가 서울의 봄이나 노량을 보면서

So, as a result, we are actually looking at Seoul's spring or Noryang.

영화 속에 출연하는 여자 병사나 여자 군인을 등장시켜야 된다라는 얘기를 하려고 하는 게 아니라

I'm not trying to say that we need to feature female soldiers or women in the military in the movie, but...

어쨌건 이런 영화들의 흥행 속에서도 이 백댈 대회라고 하는 의미를 좀 되새기면서

Anyway, while reflecting on the significance of this battle of bands amidst the success of these movies...

어쨌든 이런 영화들의 흥행 속에서도 이 백댈 대회라고 하는 의미를 좀 되새기면서

Anyway, amidst the box office success of these movies, let's reflect a bit on the meaning of this band competition.

계속 지속적으로 그런 부분들을 환기시켜야 된다라고 하는 측면에서는 굉장히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거든요

I think it's very important to continuously remind ourselves of those aspects.

그런 점에서 이 백댈 대회가 처음 시작해서 7개의 새로운 조항으로 이렇게 새롭게 만들고

In that sense, this Backdale competition was newly established with seven new provisions since it first began.

그리고 또 OTT로 영역을 확장하면서 계속 더 갔으면 좋겠다

I hope to continue expanding further by venturing into OTT as well.

이런 생각을 조금 최근에 서울의 봄과 노량의 흥행을 보면서 더 생각을 해본 것 같습니다

I think I've been reflecting on this a bit more recently while watching the success of "Seoul's Spring" and "Noryang."

Yes.

사실은 다양한 젠더의 서사들이 자유롭게 잘 펼쳐지고 있는 것 같고

The truth is that various gender narratives seem to be unfolding freely and well.

영화는 조금 더 큰 규모의 영화들과 작은 규모의 영화들로 조금 속성들이 나눠지는 것 같아요

It seems that movies are somewhat divided into larger-scale films and smaller-scale films.

독립 장편들이 굉장히 활발하게 지금 만들어지고 있는 지금 이 시기로 볼 때는 그런 영화들에서는 다양성들이 많이 잘 구현되고 있고

Considering the current period when independent feature films are being actively produced, such films are well embodying diversity.

큰 영화는 또 큰 영화대로 그 영화의 조건에 맞게 자기 영역의 패턴을 찾아갈 수밖에 없는 한계들이 있는 것 같고

It seems that a big movie inevitably has limitations that force it to find patterns within its own domain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at movie.

이제 자연군으로 따지면 이렇게 반찬들이 혹은 음식의 메뉴들이 많을 때

Now, in terms of a natural group, when there are so many side dishes or menu items like this,

관객들도 선택의 폭도 넓어지고 건강해지고 하는 거기 때문에

The audience's choices are becoming wider and healthier because of that.

다양한 영화들이 이렇게 지속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The reason various movies can continue to exist like this.

토양들은 영화를 만드는 사람이나 보는 사람들 모두에게는 좋은 일이라고 생각이 들죠

I think it's a good thing for both the people who make movies and those who watch them.

그러기 위해서는 이제 서울의 봄도 좋고 작지만 의미 있는 영화들도 좋고

To do that, both the spring in Seoul and small but meaningful films are good.

많은 응원들을 이렇게 잘 보내주는 게 좋지 않을까 그런 생각을 합니다

I think it would be nice to receive so much support like this.

사실 저도 감독님을 굉장히 오랜 시간 뵈었는데

Actually, I haven't seen the director for a very long time either.

영화 생각만 하시는 것 같아요

It seems like you're only thinking about the movie.

아 그런가요?

Oh, is that so?

영화 생각만 하시고 한국영화제 걱정만 하시고 그 외의 시간은 이제 허리가 아파서 누워계시고

You're only thinking about the movie and worrying about the Korean Film Festival, and the rest of the time you're lying down because your back hurts.

그러한 순서에서 혹시 영화 이외에 어디서 또 즐거움을 찾으시는지 그런 것도 좀 궁금하긴 하더라고요

In that order, I’m a bit curious where else you find enjoyment besides movies.

제가 옛날에는 운동도 많이 했고

I used to exercise a lot in the past.

춤, 춤추셨잖아요

You danced, didn't you?

네, 춤도 추고 뭐 악기도 다르고

Yes, I dance and play different musical instruments.

Umm.

다양한 취미들이 있었는데 영화를 하면서는 다 그런 거를 많이 놓게 되더라고요

There were various hobbies, but while working on movies, I tend to let go of a lot of those.

영화의 어려움인데 영화는 음 올해까지 뭐를 시나리오를 써야 돼요

It's the difficulty of the movie; I have to write a script for it by the end of this year.

올해까지 쓰려면 이번 달까지

If you want to use it until this year, it must be by the end of this month.

얼마 안 남았는데요

There's not much time left.

이번 달까지 쓰려면 이번 주까지 사실 써야 되거든요

If I want to use it by the end of this month, I actually have to write it by the end of this week.

그러면 오늘까지 집중해서 써야 돼요

Then I need to focus and write it by today.

아 항상 데드라인이 이렇게 있는

Ah, there's always a deadline like this.

네 그러다 보니까 어떤 것도 다른 걸 잡고

Yes, and as a result, it ends up grabbing something else.

그럴 마음의 여유가 없을 수 있죠

You may not have the luxury of that mindset.

그런 것 같아요

It seems like that.

마음의 감옥이 있는 것 같아요

It feels like there is a prison in my heart.

그래서 그 어떤 어떻게 보면 저주죠

So in a way, it's a curse.

그래서 취미생활을 할 수가 없는 뭐 그나마 이제 책을 좀 읽는 게 유일하게 다른 세계와의 소통 영역인 것 같고

So I can't have hobbies, and it seems that reading books is the only way I can communicate with another world.

나머지는

The rest is

이제 점점점점 멀어지고 있다고 해야 될까 그런 것 같아요

I guess I should say that we are slowly drifting further apart.

재미없는 삶이죠

It's a boring life.

Yes

그렇습니다

That's right.

아내분도 감독님이시니까

Since your wife is also a director.

네네

Yes, yes.

집에서 영화 얘기만 하시네요

You only talk about movies at home.

아니 그건 아니겠죠

No, that wouldn't be the case.

그러게요

I know, right?

그래서 뭐 부부 감독이 많지 않은 이유가 있겠죠

So there must be a reason why there aren't many couple directors.

사실 그 이제 홍 감독님 같은 경우는 예전에 제가 어디서 봤냐면

Actually, in the case of Director Hong, I saw him somewhere a while back.

그 TV는 사랑을 싣고에서

That TV is on Love is in the Air.

그 방송인 윤정수 씨가 TV는 사랑을 싣고에서 옛날에 그 초등학교 동창 누구 좋아했었는데

The broadcaster Yoon Jung-soo mentioned that he used to like a classmate from elementary school on the show "Love is in the Air."

찾고 싶다라고 해서 나오셨던 분이 바로 홍지원 감독님이셨잖아요

The person you said you wanted to find was Director Hong Ji-won.

맞아요

That's right.

초등학교 때 짝

Elementary school crush.

그 기억이 나네요

I remember that memory.

네 맞아요

Yes, that's right.

첫사랑이라고 찾아가지고 방송 출연했었죠

I went on the show looking for my first love.

제가 여고기담 두 번째 준비할 때 인터뷰라는 이정재 신문화가 나왔던 그 영화에 조감독 생활을 하고 있었어요

When I was preparing for the second "High School Ghost Story," I was working as an assistant director on the movie where Lee Jung-jae's new culture as an interviewer appeared.

바로 옆 사무실에서 TV에 나가서

I went out on TV from the office right next door.

그렇게 첫사랑으로 나타났더라고요 윤정수 씨의

That's how she appeared as my first love, Yoon Jung-soo.

나중에 윤정수 씨도 같이 만났고

Later, I also met with Yoon Jeong-soo.

네 재미있게 얘기했던 기억이 나요

I remember we had a fun conversation.

Yes

그때 감독님은 한국영화감독조합의 대표로서

At that time, the director was representing the Korean Film Directors Association.

지난 몇 년 동안 초창기부터 꾸준히 계속 한국영화계에서 이런저런

In the past few years, consistently from the early days, various things have been happening in the Korean film industry.

영화진흥위원회가 주관하는 이런저런 공청회 이런 여러 자리에 패널로도 참석하시고

You participate as a panelist in various gatherings and public hearings organized by the Korean Film Council.

그리고 대표로서 이런저런 현안들을 다루시고 계신데

And as a representative, you are dealing with various current issues.

최근에 어떤 뭐랄까 한국영화계의 중요한 화두라 그럴까

Recently, there seems to be an important topic in the Korean film industry, so to speak.

어떤 점이 가장 많이 얘기가 되고 있나요?

What topics are being discussed the most?

극장의 침착이가 사실 엄청났으니까 어떻게 될 것인가

The composure of the theater was actually incredible, so what will happen?

DT와의 경쟁 뭐 여러가지 위기로운 티켓값이 비싸다

Competing with DT, there are various crises and ticket prices are high.

그래서 여러 문제가 많았는데

So there were many problems.

저는 조금 그렇게까지 우리가 뭐랄까 호들갑을 안 떨어도 되지 않을까

I don't think we need to be that overdramatic.

늘 그런 생각이었어요 왜냐하면은 매년에 매번에

I've always thought that way because every year, every time…

토론을 보면은 바로 6개월 뒤 1년 뒤도 못 맞춰요

If you look at the discussions, you can't even predict 6 months or 1 year ahead.

진단을 전 잘 못한다고 생각했었고 다 틀리는 거예요

I used to think I was not good at diagnosing, and everything is wrong.

OTT가 이렇게 굉장히 급속도로 중요한 우리 삶의 한 일부분이 될 거라고도 예측을 못했고

I never expected that OTT would become such an incredibly important part of our lives so rapidly.

그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도 그다음에 한국영화가 이렇게까지 또

Even in that ongoing situation, Korean cinema has come this far.

바닥으로 내려갈 걸 또 예상 못했고 그다음에 이렇게까지 천천히

I didn't expect to go down to the floor and then take this long.

회복될 거라고도 예상 못했고 갑자기 또 이렇게 또 설의 봄을 기점으로

I never expected to recover, and suddenly, once again, at the onset of spring,

또 갑자기 회복될 거도 예상 못했고 그래서 단기적으로 급한 처방과

I also didn't expect to recover suddenly, so urgent measures were taken in the short term.

급한 진단들이 많이 있었다고 생각이 들고

I think there were a lot of urgent diagnoses.

그거는 60년대 막 TV가 등장했을 때 이제 극장 안 간다

That was when the TV first appeared in the 60s, and people stopped going to the cinema.

그런 위기와 비슷하게 혹은 헐리우드 영화 직비가 시작됐을 때

When a crisis similar to that began, or when the Hollywood film "Direct Hit" started.

한국영화가 망한다라든가 스크린쿼터가 줄어들면 한국영화 힘들다라든가

If Korean movies fail or if the screen quota decreases, it will be difficult for Korean cinema.

디지털 영화가 오면서 이제 갑자기 극장도 바뀌고 모든 시스템이 바뀌면서 힘들다라든가

With the advent of digital cinema, everything suddenly changed, including theaters and all systems, which has been difficult.

조금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는 여러 과학기술과 제도의 변화에 너무 민감한 매체이긴 하지만

It is a medium that tends to be very sensitive to various changes in science, technology, and systems, which can only elicit somewhat sensitive reactions.

그래도 관객들은 늘 이야기를 꿈꾸고

Still, the audience always dreams of stories.

그리고 세상이 바뀌면서 또 새로운

And as the world changes, something new again.

서사를 늘 제공해주고 그렇기 때문에 만들어가는 일들은 계속될 것 같고

It seems that there will continue to be opportunities to create things because you are always providing narratives.

보는 일도 계속될 것 같고 그 위기 자체가 또 하나의 서사로 들어와서

It seems like the act of watching will continue, and that crisis itself will enter as another narrative.

같이 또 새로운 뭔가를 만들어내는 작가와 감독들을 탄생시킬 것이라고 보기 때문에

I believe we will give birth to new writers and directors who will create something new together.

아플 때 너무 아파 너무 아파 라고 얘기하지 말고

When you're in pain, don't say it hurts too much, it hurts too much.

결국은 나을 거야 자연치유 과정이 있을 것 같아

In the end, it will get better; I think there will be a natural healing process.

건강하게 그냥 자기 호흡들을 잘 유지하다 보면은 살아날 거라고

If you just maintain your breathing healthily, you'll be able to survive.

좀 더 여유를 갖고 생각하면 어떨까

How about thinking with a bit more ease?

지난 많은 토론을 통해서 저는 그런 생각을 계속 하게 되더라고요

Through many discussions in the past, I keep thinking like that.

위기가 아닌 적이 없었다

There has never been a time without a crisis.

맞아요 항상 위기라고

That's right, it's always a crisis.

그러므로

Therefore

Uh.

그 자체를 지나치게 현미경을 갖고 들여다보지 말고

Don't scrutinize it too closely in itself.

망원경으로 좀 더 큰 미래를 보고

Seeing a bigger future through a telescope.

관객들의 마음들을 더 살피고 그러면 되지 않을까 그런 생각이 들어요

I think we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hearts of the audience, and maybe that would be enough.

물론 감독들의 마음이 크게 바뀐 건 사실이에요

Of course, it's true that the directors' minds have changed greatly.

예전에 시리즈나 OTT를 바라보던 시선들은 영화랑 완전히 분리시키면서 굉장히 경원시했고

In the past, the perspectives on series or OTT were completely separated from movies and were viewed with great disdain.

영화에 대한 어떤 자부심이나 자존심이 상당히 강했는데

There was a strong sense of pride and self-esteem about the movie.

지금은 두 매체의 차이를 그렇게 인식하고 있지 않고

I don't perceiv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media like that right now.

스스로 그냥 짧은 작품 긴 작품

Just short works and long works by oneself.

크게 뭐냐 작게 뭐냐를 크게 인지하지 않고 대부분 어떤 창작이든 이야기가 있다면 달려나가는 방식으로

Without being overly conscious of whether it's big or small, most creations tend to rush forward in a way that there is a story.

크게 바뀐 것 같긴 해요 인식의 전환이 적응이 굉장히 빠른 거죠

It seems like a big change has occurred; the shift in perception is adapting very quickly.

그래서 영화는 영화대로 OTT는 OTT대로 자기 진화를 할 거라고 생각이 들고

So I think that movies will evolve in their own way and OTT will evolve in its own way.

크게 보면 이야기라는 맥락 속에서는 크게 다르지 않을 거라는 생각이 들어요

I think that in the context of a story, it won't be very different when looked at broadly.

그 감독조합 같은 경우는 해마다 부산영화제나 전주영화제 부천영화제를 통해서 계속 신인 감독님들이 나오시잖아요

In the case of that director's association, new directors continue to emerge every year through the Busan Film Festival, Jeonju Film Festival, and Bucheon Film Festival.

그런 신인 감독님들에게는 감독조합이 가입 원서나 이런 거를 자동적으로 보내나요 아니면은

Do the directors' guild automatically send application forms and such to those new directors, or...?

감독조합에 가입할 수 있을까요?

Can I join the director's association?

가입하려면 어떤 과정을 고쳐야 되는지 좀 궁금하긴 하네요

I'm curious about what process needs to be corrected to join.

제가 영업도 많이 했죠

I did a lot of sales too.

여기 들어오면은 메가박스에서 VIP카드도 줘요

If you come in here, they will also give you a VIP card at Megabox.

그걸 굉장히 좋아하시더라고요

They really seemed to enjoy that.

1년에 거의 150만 원어치 150만 원어치 영화를 볼 수 있는 너무나 훌륭한 카드도 있고 종합검진도 시켜줘요

There is an amazing card that allows you to watch movies worth almost 1.5 million won a year, and it also provides a comprehensive health check-up.

공짜로

For free.

그렇죠

That's right.

이제 건강관리도 하셔야 됩니까?

Do you need to manage your health now?

중요하죠

It's important.

정신건강이 또 심각하고 육체적으로도 이제 심각하기 때문에 종합검진도 시켜주고

Mental health is serious again, and physically it is now serious as well, so I should get a comprehensive check-up done.

영화를 또 촬영하게 되면 저희가 밥차도 보내드리고 여러 가지 혜택들도 있어서 많이 초대하고 저작권료도 지급하고 있기 때문에

If we shoot the movie again, we will send a food truck and offer various benefits, so we invite many people and also provide copyright fees.

그리고 혼자 작업하면 많이 외롭고 그러니까

And working alone can be very lonely, so...

여기 같이 외로운 감독들하고 같이 여러 자리에 놓이면서 연결시켜주고

Connecting with lonely directors like this and placing them in various situations.

동료들이 있는 거죠

You have colleagues, right?

네, 같이 외롭다, 혼자 외롭지 마라, 같이 힘들다 라는 맥락들을 경험할 수 있게 해주니까 오셔서 그냥 편하게 일원으로 계셔서 뭐 여러 가지 디렉터스쿼트 어워즈나 영화제나 여러 행사에 참여하실 수도 있고

Yes, we can feel lonely together, so don’t be lonely alone. It allows us to experience contexts like being difficult together, so you can come and just comfortably be a member, and participate in various events such as the Directors’ Cut Awards, film festivals, and other activities.

그리고 마음에 안 들면 또 다시 나가시면 되고 그냥 아주 편한

And if you don't like it, you can just go out again; it's very comfortable.

자유인가요?

Is it freedom?

아, 그럼요. 편한 시공간이죠

Ah, of course. It's a comfortable space and time.

그래서 저는 이제 감독님들이 새로 데뷔했을 때 기분이 좋잖아요

So I feel good when directors make their debut.

흥행 여부와 관계없이 새로운 삶을 또 시작하게 되니까 축하하면서 많이 이제 초대를 많이 하고요

Regardless of its success, I'm starting a new life again, so I congratulate and invite many people.

그리고 심사위원으로도 많이 초대하고

And I am often invited as a judge.

그 다음에 이제

Then now

뭐 이렇게 백텔데이가 이렇게

Why is it like this on 백텔데이?

상을 주면서도 많이 초대하고 여러 가지 방식으로 제가 옛날에 어렸을 때 너무 잘 선배도 없고 친구도 없고 잘 몰라서 어려웠던 시절을 생각해 보면은

Looking back on the difficult times when I was young and had no seniors or friends, it makes me think a lot about when I invite many people while giving awards and in various ways.

아, 이렇게 좀 자연스럽게 만날 수 있는 자리들이 있다면은 좋지 않을까 이런 생각으로 계속 만남의 자리를 많이 찾아주려고 노력하는 것 같아요

Ah, I think it would be nice if there were more opportunities to meet in a natural setting, so I believe I'm making an effort to find such occasions for meetings.

Um.

네, 지금은 자신의 첫 번째 장편영화가 그 극장 개봉을 안 했잖아요

Yes, right now his first feature film hasn't been released in theaters yet.

극장 개봉을 안 했어도 가입할 수 있는 거죠? 영화제에서만 상이?

Even if it hasn't been released in theaters, can I still join? Is it only awards at film festivals?

영화제에서 만들어서 가입할 수 있고요

You can create and join at the film festival.

감독, 연출을 개항만 해도 가입할 수도 있고

You can join even if you only engage in directing and production.

아, 영화가 엎어져도?

Oh, even if the movie flops?

네, 단편영화 감독도 가입할 수 있고 시나리오 작가도 가입할 수 있고 뮤직비디오 작가, 광고 감독, 뮤직비디오 감독, TV 시리즈의 감독, 교양 다큐멘터리도 다 가입할 수 있어요

Yes, short film directors can join, and screenwriters can join, as well as music video creators, ad directors, music video directors, directors of TV series, and even filmmakers of educational documentaries can all join.

아, 주소를 한번 깔아야겠네요

Ah, I guess I need to set up the address once.

이게 홍보가 되겠네요

This would be a great promotion.

네, 그래서 지금 너무너무 다양하게 단편영화 감독부터 뭐 김경찬 작가, 정석용 작가님도

Yes, so right now there are really so many diverse directors of short films, including writers like Kim Kyung-chan and Jung Seok-yong as well.

Um.

김경찬 작가, 정석용 작가님도 다 저희 회원이시고 그냥 전업 작가님들이시죠

Author Kim Kyung-chan and author Jung Seok-yong are all our members, and they are just full-time writers.

Um.

그래서 TV 시리즈의 연출자부터 다양하게 계시죠

So there are various directors for the TV series.

그래서 서로 아주 느슨하게라도 이렇게 좀 연결돼 있고 같은 고민들을 나누고 있는 것 같아요

So it seems that we are somewhat loosely connected and sharing similar concerns with each other.

Um.

대표로서의 한국영화감독조합, 대표로서의 민규동이 아니라 영화감독 민규동으로서의 어떤 얘기도 조금 들어봤는데

I've heard a bit about what it means to be a filmmaker, Min Gyoo-dong, rather than just representing the Korean Directors Guild or being Min Gyoo-dong as a representative.

어쨌건 지금 현재 가장 단면한 문제는 이달 안에 이제 시나리오 하나를 이제 터셔야 된다라는 얘기를 좀 들을 수가 있었네요

Anyway, the most pressing issue right now is that I heard we need to finalize a scenario by the end of this month.

Yes

모든 감독들의 이제 뭐 네, 숙제 네

Now, all the directors, yes, homework, yes.

매일매일의 숙제가 아 그렇죠 새로운 이제 작품들을 늘 구상해 나가고 있으니까

Every day's homework, that's right, I'm always thinking of new works.

Um.

이제 특히 어려운 시기 특히 영화 만들기가 지금 조금 어려워진 시기이기 때문에

Now, especially during this difficult time, making movies has become a bit more challenging.

음 어떻게든 좀 더 좋은 소식들이 많은 감독님들에게 찾아가 주기를 희망해 봅니다.

I hope that good news will find its way to many directors somehow.

네, 감사합니다.

Yes, thank you.

그럼 살짝 그 뭐 공개할 수 있는 선에서 살짝 그 공개를 하고 마무리하면 어떨까 싶은데

Then how about we share just a little, within the limits of what can be disclosed, and wrap it up?

어떤

What kind of

다음 작품

Next work

아 뭐 한창 작업 중이라 자연스럽게 밝혀지지 않을까요?

Oh, I think it will naturally come to light since I'm in the middle of working on it.

Oh

Yes

아 그럼 그 소식은 뭐 버라이어티나 헐리우드 리포터를 통해서 접해야 되는

Oh, then that news has to be heard through something like Variety or The Hollywood Reporter.

그러게요. 어떤 과정이 될지 모르겠는데 아 사실 저 그 인상적 80 넘으신 어떤 저기 충무로에서 주차관련이 있었는데

I see. I don't know what kind of process it will be, but actually, I had an impressive encounter with someone over 80 related to parking in Chungmuro.

어떤 감독님이 엄청 적이었는데 네 그 주차관련이시는데 사람들이 감독님이라고 부르시더라고요.

There was a director who was really short, and yes, he was involved in the parking issue, and people were calling him director.

왜냐하면 다음 작품을 준비하고 계신대요.

Because you are preparing for the next work.

몇 십 년째 은퇴하신지 오래됐는데 그러니까 감독이 사는 방식은 그거 같아요.

It has been many decades since you retired, so I think that's how the director lives.

Yes

그 안으로 만들어지지 않을 어떤 그 무엇이더라도 늘 마음에 품고 하루하루를 그거를 향해서 에너지를 쌓아가고 또 태워가는 삶을 사는 것 같아요.

I feel like I'm living a life where, no matter what it is that will never be created within, I always hold it in my heart and accumulate energy towards it day by day, and then burn that energy.

그러니까 한 번 감독이 되면 그 자리에 도달해서 본인이 은퇴를 절대 인정하지 않는 그런 종류의 삶을 사는 것 같아요.

So once you become a director, it seems like you live a life where you reach that position and never acknowledge your retirement.

그러니까 좀 독특하죠.

So it's a bit unique.

아마 저도 마찬가지고 많은 감독님들이 그렇게 하루하루를 새롭게 자기 꿈을 향해서 살아가고 있는 것 같아요.

Perhaps I am the same, and many directors seem to live each day anew toward their dreams.

오늘 정말 긴 시간, 그래도 이 인터뷰 자체를 어떻게 보면 시작할 수 있는 어떤 계기가 되어주셨던 감독님이자 한국영화함독조합의 대표이신 민기동 감독님과 좋은 말씀 많이 나눴습니다.

Today, we had a long time, but we shared a lot of good insights with Director Min Gi-dong, who is not only the director but also the head of the Korean Film Directors Guild, and in a way, he provided a starting point for this interview.

조회수에 도움이 돼야 되는데, 아무튼 우리 주성철 편집장님은 한국영화계에 없어서는 안 될 마당발이고 감독들과의 관계들이 굉장히 깊고 넓기 때문에 좋은 기획을 해주셨고,

It needs to be helpful for the views, anyway, our editor-in-chief Jo Seong-cheol is an indispensable connector in the Korean film industry and has very deep and broad relationships with directors, so he has come up with a great project.

또 한국영화의 한 축에서 너무 훌륭한 일을 잘 해주고 계신데,

You are doing an excellent job on one pillar of Korean cinema as well.

이번 기획도 너무 많은...

This plan also has too many...

분들의 지지를 받고 응원을 받길 바라고, 또 다른 감독님들과의 인터뷰도 계속 이어질 수 있게 잘 기획해나가시면 너무 좋을 것 같아요.

I hope to receive support and encouragement from everyone, and it would be great if you could continue to plan well so that interviews with other directors can also continue.

불러주셔서 너무 고맙습니다.

Thank you so much for calling me.

감사합니다.

Thank you.

Continue listening and achieve fluency faster with podcasts and the latest language learning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