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측 가능성

generalfox

지평선 | horizon

예측 가능성

지평선 | horizon

안녕하세요. 제너럴폭스입니다.

Hello. This is General Fox.

오늘 얘기할 주제는 예측 가능성입니다.

The topic we will discuss today is predictability.

예측을 얼마나 잘 할 수 있는가?

How well can you predict?

신뢰도 있게 할 수 있는가?

Can it be done reliably?

라는 정의를 가지는 개념일 것 같은데요.

It seems like a concept that has that definition.

그냥 이 말만 들으면 예측이라는 말 때문에

Just hearing this makes me think of the word "prediction."

단기 투자나 투기 또는 홀짝의 느낌이 드는 도박, 트레이딩

Short-term investments, speculation, or gambling that feels like odds and evens, trading.

아니면 거시경제 변수 이런 개념들과 맞닿아 있는 개념처럼 느껴지는데요.

Otherwise, it feels like a concept that is connected to macroeconomic variables and such.

사실 제가 생각할 때는 예측 가능성이라는 개념이

In fact, in my opinion, the concept of predictability is...

버핏이 여러 번 얘기했던

What Buffett has talked about multiple times.

능력 범위라는 개념을 이해하는데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scope of ability.

아주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I think it's very important.

능력 범위는 다들 많이 들어보셨겠지만

You all must have heard a lot about the range of abilities.

결국 내가 잘 알고 잘할 수 있는 것을

In the end, what I know well and can do well.

사업을 하든 투자를 하든 해야 된다는 내용이잖아요.

Whether it's starting a business or making an investment, it's something that needs to be done.

근데 사실 버핏이 이것을 말한 것을 생각해보면

But if you think about the fact that Buffett said this...

애플 투자인가요?

Is it an Apple investment?

투자한 것이 저는 잘 이해가 안 갔습니다.

I didn't quite understand what was invested.

버핏이 애플을 얼마나 이해하고 있으며

How well Buffett understands Apple

아이폰도 투자하면서 그때 받아가지고 처음 썼다고 하고

I started using it for the first time after receiving it while investing in the iPhone back then.

틴콕이 가서 도작법 알려주겠다

I'll go teach you how to make it.

뭐 이런 얘기들도 기사도 봤었는데요.

I saw articles about things like this too.

버핏이 그렇다고 조금 더 젊은 사람들처럼

Berkshire Hathaway does not mean he should act like a younger person.

아이클라우드 쓰면서

While using iCloud

막 뭐

Well, whatever.

아이패드에서 아이폰으로 맥북으로

From iPad to iPhone to MacBook.

그런 서비스를 옮겨가면서 쓰고

I use such services while moving.

그럴 것 같지는 않더라고요.

I don't think that's going to happen.

근데 왜 애플이 본인의 투자 적합 대상이 되었고

But why did Apple become a suitable investment target for him/her?

실제로 편입을 했는지 처음에는 잘 이해가 안 갔습니다.

At first, I didn't really understand if I had actually transferred.

근데 제가 생각할 때는 어..

But I think, um...

제가 생각할 때는 어..

I think that, um...

사실 애플은 버핏이 오래전부터 당연히 알았을 테고

In fact, Apple is something Buffett has probably known about for a long time.

그런데 투자한 시점이 2010년대 중후반 정도로 알고 있는데

I understand that the investment was made around the mid to late 2010s.

그때는 사실 애플이라는 기업이

At that time, in fact, the company called Apple...

뭐 IT 기업 혹은 뭐 테크 기업

What IT company or tech company?

이런 수식어를 벗어나서

Beyond such modifiers

아이폰이라는 것이 사실상 필수성인 것 같고

It seems that having an iPhone has become essential.

필수소비제로 격상된 시점이 아니었을까 싶어요.

I think it might have been the point when it was upgraded to essential consumer goods.

버핏의 과거 투자 사례들을 보면

Looking at Buffett's past investment cases,

필수소비제에 대한 투자는 본인이 잘 알고 있는 영역이고

Investing in essential consumer goods is an area I am well-acquainted with.

그리고 잘 아는 것을 넘어서

And beyond what you know well.

예측 가능성이 본인 입장에서는 높다고 생각해서 투자하지 않았을까?

Do you think you didn't invest because you thought the predictability was high from your perspective?

그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I had that thought.

그래서 제가 알고 있는

So what I know is

좀 열심히 분석해 본 사례 중에서

Among the cases I analyzed a bit more diligently.

제일 예측 가능성이라는 주제랑 부합하는 기업은

The company that best aligns with the theme of predictability is...

아마도 코스트코일 것 같고요.

It seems like it might be Costco.

최근에 한국의 다이소가 엄청난 호실적을

Recently, Daiso in Korea has had amazing performance.

그리고 성장률을 보이면서

And while showing growth rates.

코스트코다, 한국의 코스트코다

It's Costco, Korea's Costco.

뭐 이런 기사들도 봤고

I've seen articles like this too.

그런 블로그 글도 봤는데

I saw a blog post like that.

저의 분석에 따르면

According to my analysis

제 생각에 따르면

In my opinion,

둘은 좀 다른 것 같습니다.

They seem a bit different.

물론 공통점도 많죠.

Of course, there are many similarities.

되게 저렴한 가격에 물건들을 판매하고

Selling items at a very cheap price.

다이소도 이제 저가형 상품에서 벗어나서

Daiso is now moving away from low-priced products.

품질을 어느 정도 끌어올린

Raised the quality to some extent.

그래서 가성비라고 볼 수 있는 제품들에 집중하는 모습을.

So, it shows a focus on products that can be considered cost-effective.

최근에는 보여주는 것 같고요.

It seems like it's being shown recently.

코스트코야.

It's Costco.

싸기도 싸지만

It's cheap, but...

품질도 좋은 것들을 판매하는 것으로 유명한 회사고.

It is a company famous for selling high-quality products.

근데 결정적 차이라는 것은

But the decisive difference is

한마디로 얘기하면

To put it simply,

유료회원 그리고 비용 원칙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It can be said that there are paid memberships and cost principles.

요건 이제 코스트코 얘긴데요.

This is now about Costco.

잘 아시다시피 코스트코는 지금 한국은 좀 가격이 조금 저렴합니다만

As you know, Costco is a bit cheaper in Korea right now.

미국에서나 해외에서는 연 60달러 내야

You have to pay $60 a year in the U.S. or overseas.

거기 매장에 창고형 매장에 가서 쇼핑을 할 수 있잖아요.

You can go to the warehouse-style store there and do some shopping.

근데 이 유료로 회원비를 먼저 결제한다는 것이 사실상.

But the fact that you have to pay the membership fee in advance actually means...

사실상.

In fact.

고객들의 보상 심리를 건드리는 것 같고요.

It seems like it touches on the customers' compensation psychology.

그래서 60달러 낸 것보다는 더 많이 할인받기 위해서

So in order to get a bigger discount than paying 60 dollars.

가서 이제 많이 돈을 지출하게 되는 경향도 발생하는 것 같고.

It seems that there is also a tendency to spend a lot of money when going there.

그리고 비용 원칙에서도 코스트코가 1983년에 만들어진 회사니까.

And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cost, Costco is a company that was established in 1983.

지금 거의.

Almost now.

40년 정도 된 회사인데 일부 몇 년 정도를 빼면 여기는 두 가지

It's a company that has been around for about 40 years, but aside from a few years, there are two things here.

비용 원칙을 확실히 지켜온 회사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I believe it is a company that has consistently adhered to the cost principle.

그니까 그 비용 하나는 마크업이라고 해서 우리가 매입한 상품에다가

So, that cost is called a markup, which we add to the products we purchased.

본인들의 마진율을 붙여서.

By adding their margins.

고거를.

That thing.

고객한테 제공하는 판매가라고 책정을 하는 건데.

It is about setting the selling price that is offered to the customer.

그 붙이는 비율.

The ratio of attachment.

마크업이 다소간의 편차는 있지만 거의 12%를 넘지 않았던 역사가 40년가량 되었고요.

The markup has varied somewhat but has not exceeded nearly 12% for about 40 years.

마크업이 12%면 매출 총이익률이 10점 중반 퍼센트.

If the markup is 12%, the gross profit margin is in the mid-10 percent range.

.

Sure! Please provide the text you would like me to translate.

그 정도 되는 것밖에 안 되고.

That's all there is to it.

두 번째 원칙을 지키려는 비용 항목은 이제 운영비입니다.

The cost item for adhering to the second principle is now the operating expenses.

뭐 운영비를 뭐 극도로 낮출 수도 있겠지만.

Well, we could drastically reduce the operating costs.

코스트코의 대략적인 원칙은 매출의 10%를 운영비로 쓴다.

The general principle of Costco is to spend 10% of its revenue on operating expenses.

그러니까 10%까지만 쓴다는 것이겠죠.

So it means that you will only use up to 10%.

.

Please provide the Korean text you would like me to translate.

그래서 곧 비용 원칙들을 지키면서 뭐 여러 활동들을 해서 좋은 상품도 가서 소싱해오고.

So soon, while adhering to the cost principles, we will engage in various activities to source good products.

이것을 최대한 가격을 떨어뜨리기 위해서 대량으로 매입한다든가.

To lower the price as much as possible, we could purchase in bulk.

그리고 비용이 급속도로 늘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코스트코는 1년에 여는 신규 매장 수도 전체 매장 수 대비.

To prevent costs from rising rapidly, Costco is limiting the number of new stores it opens each year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stores.

일정 퍼센트로 제한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It seems to be limited to a certain percentage.

그래서 급격히 늘어나지 않고 지금 전 세계에 40년이나 된 회사가 매장이 뭐 900개 정도 밖에 존재하지 않고요.

So, it hasn't rapidly increased, and now there is a company that has existed for 40 years with only about 900 stores worldwide.

그렇게 열심히 해서 이루려는 목표 또는 이루려 그것을 이룬 결과는 유료 회원들이.

The goal you are trying to achieve through hard work, or the result of achieving it, is for the paid members.

.

Please provide the text you would like translated from Korean to English.

사업 그리고 비즈니스 모델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In analyzing businesses and business models

정말 많은 지표들이 존재하지만

There are truly many indicators.

적어도 코스트코에 한해서는

At least in the case of Costco,

그 모든 것들을 잘 이뤄내고

Achieve all of those things well.

고객 만족을 달성했을 때

When customer satisfaction is achieved.

궁극적으로 결과적인 지표라고 할 수 있는 것이

Ultimately, what can be said to be a conclusive indicator is...

이 회원 갱칭률이라고 저는 생각하거든요

I think it's the member renewal rate.

세부적으로 이 휴지를 얼마에 팔고

How much is this tissue sold for in detail?

이것을 회원가로는 몇 퍼센트를 할인해 주며

How many percent discount will you give on this for members?

유료 회원비는 얼마고

How much is the paid membership fee?

뭐 이런 내용들이 데이터들이 많겠지만

Well, there might be a lot of data on this kind of content, but...

그걸 다 종합해서 고객이 판단했을 때

When the customer has assessed all of that comprehensively.

이만한 유료 회원비를 낼 만한 가치가 있다라고

It is worth paying such a membership fee.

판단한다면 갱신하겠죠 다음 연도에

If you decide, you will renew it next year.

그리고 그 다음 연도에 가서도

And then in the following year as well.

또 그만한 가치가 있다면

If it has that much value.

또 갱신할 테고요

I will renew it again.

그래서 코스트코를 두고

So, regarding Costco

코스트코에 투자한 사람으로 제일 유명한 사람은

The most famous person who invested in Costco is

아무래도 찰리 머거일 것 같고요

It seems like it will be Charlie Murphy.

그다음으로는 닉슬립과 콰이스 자카리아가 있을 텐데

Next, there will be Nick Sleep and Kwesi Zakaia.

세 분께서 입을 모아 한결같이 말하는 내용이 코스트코라고 생각합니다.

The three of you are all saying the same thing about Costco.

코스트코를 투자한 사람은

The person who invested in Costco.

코스트코는 예측 가능성이 높은

Costco is highly predictable.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다라고 얘기를 하거든요

They say they have a business model.

주가의 예측 가능성이 아니라

Rather than the predictability of stock prices

사업 비즈니스 모델의 핵심

The core of the business model.

그래서 사업 실적의 예측 가능성이 높다

Therefore, the predictability of business performance is high.

라고 말씀을 하시는데

They say that.

1차적으로는 역사가 벌써 40년 정도 되었고

Firstly, the history has already been about 40 years.

물론 그분들이 지금 시점에서

Of course, they at this point in time.

투자한 것은 아니지만

I didn't invest, but...

어느 정도의 역사가 누적되었을 때

When a certain amount of history has accumulated

뭐 다들 투자를 했었고

Well, everyone had invested.

그리고 이 회사는 광고를 하지 않지만

And this company does not advertise, but

그 유료 회원들이 코스트코 회원이 되면

When those paid members become Costco members

돈 쓸수록 돈을 아낀다

The more you spend money, the more you save money.

이런 식으로 이제 약간 입소문이 작동하면서

In this way, word of mouth is now functioning a bit.

결과적으로 코스트코가

As a result, Costco...

비용 원칙 마크업과 운영비의

Cost principle markup and operating expenses.

그런 비율값들을 역사적 수준을 계속 유지하거나

Maintaining such ratio values at historical levels.

조금씩 향상시켜 나가면서

Improving gradually.

그것이 앞으로도 지속되리라고 예상할 수 있죠

It can be expected that it will continue in the future.

근데 요거에서 중요한 구성요소는

But the important component here is

유료 회원이라는 것이 이제 중요한 거고요

Being a paid member is now what's important.

여기서 더 나아가서

Going further from here

사실 그런 유료 회원제

In fact, that kind of paid membership system.

그리고 이 비용 원칙의 결합이 낫는

And the combination of this cost principle is better.

2차적인 효과는 다음 연도의 영업 실적을

The secondary effect is the operating performance of the following year.

어떻게 보면 영업 실적의 최소치를

In a way, the minimum of sales performance

되게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It can be calculated very easily.

무슨 말인가 하면

What I mean is

우선 유료 코스트코의 매출을 구성하는 요소는

First, the elements that make up the revenue of paid Costco are

두 가지가 있는데요

There are two things.

회원 위료 회원들이 내는 회원비 매출

Revenue from membership fees paid by members.

그리고 이 회원들이 거기서 상품을 구매했을 때

And when these members purchase products there

거기에 상품을 매입한

The products purchased there.

비용 그리고 운영비를 뺀

Excluding costs and operating expenses.

상품순매출 있을 거 Maar 회원비매출은

There will be product sales, but how about membership fee sales?

회원 dude delta hosts

Member dude delta hosts

나오는 거고

It's coming out.

사실 과거 데이터를 보면 이 회원들이 회원카드 소지자 한 명당 평균적으로 코스트코에서 연간 얼마를 지출하는지 데이터들이 계산할 수 있고

In fact, looking at past data, it can be calculated how much each member spends on average annually at Costco for each member card holder.

그것이 되게 높을 때도 있고 조금 떨어질 때도 있겠지만 오랜 기간 데이터를 내보고 평균치를 내보면

It may be very high at times and a little lower at others, but if you compile the data over a long period and calculate the average,

어느 정도의 수준에서 1년에 물가상승률 정도씩 상승하리라고 보수적으로 추정할 수 있을 것 같고요.

It seems reasonable to conservatively estimate that the inflation rate will rise by about a percentage point per year.

그러면 그렇게 회원수?

So, how many members is that?

곱하기 회원 1인당 현금지출을 곱하면 상품판매 매출이 나오겠죠. 여기서 상품판매는

If you multiply the cash expenditure per member by the number of members, you will get the sales revenue from product sales. Here, product sales are...

아까 말씀드렸다시피 마크업 12%를 40년간 지켜온 회사니까

As I mentioned earlier, it's a company that has maintained a 12% markup for 40 years.

매출원가를 뺀 매출총액률이 10.7% 이렇게 될 겁니다.

The gross profit margin after deducting the cost of goods sold is expected to be 10.7%.

그러면 매출총액이 나왔고

Then the total sales amount has been generated.

거기서 운영비, 이것이 판간비라고 볼 수 있는데

The operating costs there can be seen as the distribution costs.

그게 매출의 10% 정도니까 그걸 빼면 영업이익이 나오는 거죠.

That's about 10% of the revenue, so if you subtract that, you'll get the operating profit.

그런데 이 계산 과정에서 중요한 과정은 회원수잖아요.

However, the important process in this calculation is the number of members, right?

앞으로 1년 뒤, 2년 뒤, 3년 뒤, 5년 뒤를 추정할 때

When estimating one year, two years, three years, and five years into the future.

이들의 영업실적을 예측할 때 몇 가지 핵심 변수만 있으면 이걸 쉽게 예측할 수 있는데

When predicting their sales performance, it can be easily forecasted with just a few key variables.

그 중 하나가 회원수입니다.

One of them is the number of members.

그런데 회원수가 결국 어디서 오느냐면 유료회원 갱신율에서 오는 거죠.

However, the number of members ultimately comes from the renewal rate of paid members.

올해 100명이 있었는데 갱신율이 90%였다.

This year, there were 100 people and the renewal rate was 90%.

그러면 내년에는 최소 90명이 유료회원으로 남는 거잖아요.

So, that means at least 90 people will remain as paid members next year.

여기에 신규로 들어오는 회원들이 있겠지만

There will be new members coming in here, but...

이것을 빼고 계산하면 꽤 보수적인 예측치가 될 것 같습니다.

If we calculate without this, it seems like it would be quite a conservative estimate.

그렇게 계산한 보수적인 영업실적을 몇 년 동안 계산할 수 있는데

You can calculate that conservative sales performance over several years.

그냥 계산 자체가 수월한다는 말이 아니라

It's not just that the calculations themselves are easy.

유료회원들이 그 모든 것들을 다 넣어서

Paid members include all of those things.

하나의 지표, 즉 이걸 갱신할지 말지로 결정하는 것

A single indicator, that is, deciding whether to update this or not.

그 과정이 이 예측 과정에 녹아 들어가 있잖아요.

That process is embedded in this prediction process.

그러니까 이 회사는 꽤 예측 가능성 높은

So this company has quite a high predictability.

요러요러한 영업실적을 달성하리라고 볼 수 있는 거죠.

You can see that such sales performance can be achieved.

그래서 이 지점이 닉슬립이 사실

So this point is actually Nick Sleep.

노마드 투자자 사원을 읽은 분들은 다 잘 아시겠지만

Those who have read "Nomad Investor" know well that...

돈의 대부분을 아마존 투자로 벌었지만

I made most of my money from investing in Amazon, but...

그가 아마존에 투자할 수 있었던 이유는

The reason he was able to invest in Amazon is

코스트코에 투자하면서 이러한 모델의 강점

Strengths of such a model while investing in Costco.

그 중에 하나가 예측 가능성일 테고요.

One of them would be predictability.

그런데 이런 유료회원제 모델

However, this paid membership model

그리고 거기에 들어간 비용 원칙들

And the principles of the costs involved.

이게 결합된 모델을 아마존이 2005년에

Amazon probably combined this model in 2005.

아마존 프라임이라는 새로운 서비스를 시작하는 것을 보고

Seeing the launch of a new service called Amazon Prime

저거는 온라인판 코스트코다라고 생각하고

I think that's the online version of Costco.

투자했다라고 얘기가 나오거든요.

There are talks about having invested.

그러니까 그 모델이 얼마나 강력한 것이었는지

So, just how powerful that model was.

그리고 찰리 몽고도 말하듯이 얼마나 예측 가능성 높은 것이었는지.

And as Charlie Mungo said, how predictable it was.

알 수 있는 제일 좋은 사례 같습니다.

It seems to be the best example we can know.

그에 반해서 다이소가 나쁘다 이런 얘기를 하는 건 아닌데요.

I'm not saying that Daiso is bad in comparison.

다이소는 회원제가 있지만

Daiso has a membership system, but

그거 다이소에서 쇼핑하기 위해서 우리가 유료회원이 될 필요는 없잖아요.

We don't need to become paid members to shop at Daiso.

가서 정립해주는 것이 조금 있는 걸로 아는데

I think there's a little bit of something that needs to be clarified.

그건 그냥 포인트일 뿐이고.

That's just the point.

게다가 뚜렷한 비용 원칙.

Moreover, a clear cost principle.

이게 어딘가에 나와 있다기보다는 사실 판매가로 원칙을 많이 강조하시는 것 같습니다.

It seems like there is more emphasis on the selling price principle rather than it being listed somewhere.

회장님 자사전을 읽어보면

If you read the company president's autobiography...

다이소에 가서 쇼핑할 때 5천 원이 넘는 상품이 없도록

When shopping at Daiso, make sure there are no products over 5,000 won.

그렇게 원가를 가서 협상해서 따오고

So I went to negotiate the cost and brought it back.

마진도 높게 측정하시지는 않겠지만

You probably won't measure the margin too high, though.

그것이 그래서 몇 퍼센트 이렇게 굳혀야 되는 건 아니고.

So it's not that it has to be set at a certain percentage.

그러니까 올해 되게 호실적을 달성했는데

So they have achieved really good results this year.

여기서 다음 연도에 그러면 어느 정도가 기저 매출일까?

Then, what would be the baseline revenue for the following year?

보수적으로 산정한 그런 걸 예측해 볼 때

When predicting something that has been calculated conservatively.

뭔가 신빙 신뢰도 높게 의지할 만한 변수가 코스트코보다는 적은 것 같습니다.

It seems that there are fewer variables to rely on with a high level of credibility compared to Costco.

그래서 코스트코보다는 적은 것 같습니다.

So it seems to be less than Costco.

코스트코와 다이소를 비교하면 서로 비슷하다.

When comparing Costco and Daiso, they are quite similar to each other.

그런 의견에 저는 크게 동의하지 않는 이유이기도 한데요.

That's also the reason why I don't largely agree with that opinion.

사실 아까 버핏이 말했던 능력 범위에서

In fact, within the scope of abilities that Buffett mentioned earlier.

예측 가능성이라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던 얘기로 돌아가 보면

If we return to the point that predictability is important...

대부분의 사람들, 좁혀서 말하면 투자자들은

Most people, more specifically investors,

본인의 예측 가능성이 중요하다고 했던 얘기로 돌아가 보면 대부분의 사람들, 좁혀서 말하면 투자자들은

If we return to the discussion about the importance of one's predictive ability, most people, specifically investors,

예측 능력을 높이려고 열심히 공부하고

Studying hard to improve my prediction skills.

애널리스트 보고서도 읽고 유튜브도 보고 방송도 듣고

I read analyst reports, watch YouTube, and listen to broadcasts.

남들이 쓴 블로그 글도 읽고 하는 것 같습니다.

It seems like they also read blog posts written by others.

내년 이 회사의 매출이 얼마인지 추정도 해보고

Try to estimate how much revenue this company will make next year.

그것을 여러 가지 변수를 넣어서 조정하고 늘려보고

Adjust and expand it by introducing various variables.

근데 능력 범위라는 개념을 얘기했던 버핏이

But Buffett, who talked about the concept of a circle of competence,

애플에 투자한 것 그리고 그의 영혼의 파트너인 찰리 멍고가

Investing in Apple and his soul partner Charlie Munger.

어찌보면 버크셀스웨이보다도 더 극찬한 회사

In a way, a company that praised it even more than Berkshire Hathaway.

그리고 제가 좋아하는 닉슬립이

And the Nick Sleep that I like

그렇게 큰 돈을 벌 수 있게 해줬던 제일 중요한 회사

The most important company that allowed me to earn such a large amount of money.

코스트코 사례를 볼 때

When looking at the case of Costco

사실은 각 투자자마다

The truth is that each investor has their own...

예측 가능성이 높게 분석할 수 있는

highly analyzable for predictability

어떤 종류의 사업이나 비즈니스 모델이

What kind of business or business model is it?

또는 어떤 사업의 재단계 같은 것들이 있는 것이 아닌가

Or are there not some kind of re-stages in a business?

그래서 버핏도 열심히 애플이 사업 그 전에

So Buffett also worked hard before Apple's business.

아이폰이 나오기 전에

Before the iPhone came out.

아이팟 나노도 만들고 뭐 하고 할 때는

When making the iPod Nano and doing other things.

크게 관심을 두지 않다가

Not paying much attention at first.

어느 시점이 흐르고나 되어서

After a certain point in time.

아이폰이 사실상 스마트폰

The iPhone is essentially a smartphone.

스마트폰이라는 구분이 별로 무의미하게 된 건

The distinction of being a smartphone has become quite meaningless.

폴더폰이 거의 사양 추세니까

Because flip phones are almost out of style.

스마트폰이 결국 핸드폰이잖아요

A smartphone is ultimately just a mobile phone.

거기에서 애플이 승기를 잡은 것 같고

It seems that Apple has gained the upper hand there.

그리고 이것이 꽤 오래가리라는

And this will last quite a long time.

예상

Expectation

그러니까 그게 결국 사치제에서 필수소비제로 단계를 넘어갔다고 판단했고

So I judged that it ultimately moved beyond luxury goods to essential consumption.

근데 본인은 과거의 투자 경험들에서

But I have learned from past investment experiences.

예를 들면 코카콜라도

For example, Coca-Cola too.

그러니까 그게 뭐 제품의 종류를 구분하자면

So if we were to distinguish the types of products...

기호식품이다 이렇게 말할 수 있겠지만

You could say it’s a delicacy.

콜라라는 것이

What is called cola

어떤 면에서 보면 필수품이라고 하여 수도 있죠

In a way, it could be said to be a necessity.

우리 생활을 무조건 필요하다는 의미로

It means that it is absolutely essential for our lives.

필수품이라는 의미가 아니라

It doesn't mean a necessity.

그게 있어도 그만

It's fine even if that's the case.

없어도 그만 은 아니고

It's not that it would be okay to not have it.

항상 먹는 사람들이 일정비율로 존재하는데

There are always people who eat at a certain rate.

그게 다수가 되었을 때

When it becomes the majority

그 사람들이 택할만한 선택지가 시장에 코카콜라 아니면 펩시 밖에 없는 상태 Mosch. 20 321 379 52

The only choices those people have in the market are Coca-Cola or Pepsi. Mosch. 20 321 379 52

시장에 코카콜라 아니면 펩시 밖에 없는 상태인 coe. 227 52

In the market, there's only Coca-Cola or Pepsi available, coe. 227 52.

그래서 엎치락뒤치락은 하지만 전반적으로 보면

So there is a lot of back and forth, but overall...

코카콜라가 우세한 판도를 이어왔고

Coca-Cola has maintained a dominant position.

그런 것을 볼 때와 비슷한 느낌이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I think it might have felt similar to seeing something like that.

그런데 그거는 버핏이 잘 판단할 수 있는

However, that is something Buffett can judge well.

그래서 예측 가능성이 본인의 역량도 높고

So, the predictability is high due to one's own capabilities.

그리고 그 사업 자체가 필수 소비재료의 전환을 통해서

And that business itself is through the transition of essential consumer materials.

예측 가능성이 높은 비즈니스 모델로 혹은 사업으로 이동하는 것이죠.

It means moving towards a business model or operation with high predictability.

그런데 역사가 오래되었을 기업에 투자해야 된다는 얘기를

However, there is talk of needing to invest in companies with a long history.

강하게 얘기하시는 분은 아마도 테리 스미스일 것 같습니다.

The person speaking strongly is probably Terry Smith.

그분은 100년 된 회사

He is from a 100-year-old company.

그 회사는

That company is

평균 수명이 100년, 95년 이렇게 된다고 하잖아요.

They say the average lifespan will be 100 years, or 95 years, like that.

포트폴리오에 있는 기업들의 평균을 내보면

If we calculate the average of the companies in the portfolio,

그런데 이게 그냥 오래되었으니까

But this is just because it's old.

데이터가 많아서 예측 가능성이 높다

There is a lot of data, so the predictability is high.

이런 차원의 얘기는 저는 아닐 거라고 생각합니다.

I don't think this is a matter of that dimension.

그런데 이게 결국에는 뭐냐면

So, what this comes down to in the end is…

어떤 기업이든 성장해 나가다 보면

As any company grows,

그 수명 주기에서

In that life cycle

위기를 겪게 되잖아요.

You go through a crisis.

그게 내부에서 발생한 실수나

That could be a mistake that occurred internally.

판단 착오에 의한 위기이든

Whether it is a crisis caused by a misjudgment

아니면 외부 경제 변수에 의한 것들이든

Or it could be due to external economic factors.

어쨌든 위기는 무조건 겪게 되어 있고

Anyway, a crisis is something we will inevitably experience.

그런데 그때 생존 모드로 넘어가서

But then, I switched to survival mode.

비용 아끼고 어떻게든 방만하게 사업 운영하던 거 다시 다 졸라매고

Cut costs and tighten up the business operations that were being run loosely.

불필요한 사업부들을 매각하거나

Sell unnecessary business divisions or

그렇게 생존해오고

Surviving like that

그리고 변화에 적응해오고

And have been adapting to change.

그런데 그럴 때도

However, even at that time.

자기가 하는 사업에서 원칙을 유지해온 기업들

Companies that have maintained principles in their own businesses.

이런 회사들이

These kinds of companies.

다음번 위기에도 살아남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거죠.

They believ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surviving the next crisis as well.

그런데 다음번 위기에서 살아날 가능성이 높다는 건 결국

However, the fact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surviving the next crisis ultimately means...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Based on past data.

그 기업이

That company

이들이 앞으로의 펼쳐질 사업 실적을 예측할 때

When they predict future business performance.

다른 기업과 비교해서는 조금 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It can be predicted a little more accurately compared to other companies.

그게 아까 코스트코 사례에서도 회원수를 제가 말한 계산에서는

In the example from earlier about Costco, regarding the number of members I mentioned in my calculations...

신규 회원수는 고려 안 했잖아요.

You didn't consider the number of new members.

그게 보수적인 추정치, 하단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은데

That seems to be a conservative estimate, I think it's the lower bound.

그 정도를 놓고 보고 어찌 보면 신규로 혹은 예측한 성장률보다

If you look at it in that regard, one could say it's new or perhaps beyond the predicted growth rate.

더 성장률이 높게 나왔다면 그건 약간 선물처럼 해석하면서

If the growth rate had come out higher, it would be interpreted more like a gift.

그 후성년도에 성장률이 조금 못 미쳤을 때 사실 그걸 꺼내다 쓰는 거죠.

After that, when the growth rate fell slightly short, it was actually used as an excuse.

그런 의미로 보면 평균 성장률이 실제로

In that sense, if you look at it, the average growth rate is actually

실제로는 연도별로 보면 조금의 편차는 있을지 몰라도

In reality, there may be slight variations when looking at it by year, but...

평균 성장률이 꽤 높은 가능성으로 예측할 수 있다.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average growth rate is likely to be quite high.

그래서 버핏의 능력 범위가 꼭 내가 잘 아는 것만 투자해

So Buffett's scope of ability means he only invests in what I know well.

라는 얘기는 아니지 않을까 그런 얘기를 드리고 싶었습니다.

I wanted to say that I don't think that's what it means.

내가 잘 아는 거는

What I know well is

제가 예를 들면 저는 유통업에 관심이 많아서

For example, I am very interested in the retail industry.

그런 애들도 여러 군데 투자하는데

Those kinds of kids also invest in various places.

제가 가진 지식 중에는 유통업 지식이 그래도 그나마 괜찮은 것 같거든요.

Among the knowledge I have, I think my knowledge of the retail industry is somewhat decent.

혹은 이커머스 쪽이나.

Or in the e-commerce sector.

근데 남들과 비교해서 다른 투자자와 비교해서

But compared to others and in comparison with other investors...

제 지식이 압도적으로 높고 우월하다고 볼 수는 없겠죠.

I can't say that my knowledge is overwhelmingly high and superior.

근데 저보다 압도적으로 높고 우월한

But overwhelmingly higher and superior to me.

유통이나 이커머스에 대한 지식을 갖춘 분도

Someone with knowledge of distribution or e-commerce.

그분보다 더 뛰어난 분은 항상 있기 마련이고

There is always someone better than him/her.

그렇게 봤을 때 그냥 단순히 내가 잘 아는 것만 해서 해야 된다는 의미는

In that sense, it simply means that I should only do what I know well.

좀 너무 이렇게 일타화적인 해석 같고요.

It feels like a bit of an overinterpretation.

이 예측 가능성이라는 개념.

The concept of predictability.

그러니까 예측 가능성이 높은 특정 사업 비즈니스 모델이 있다.

So there is a specific business model with a high predictability.

이 하단에 있는 것.

The one at the bottom.

이 한 가지 생각과 개별 투자자 단위로 봤을 때

When considering this one thought and on an individual investor basis.

그 사람이 조금 더 예측 가능성이 높게 어떤 사업을 분석할 수 있다.

That person can analyze a business with a higher degree of predictability.

이런 개념을 갖고 합쳐보면

If you combine these concepts,

조금 더 능력 범위라는 것을 조금 더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Could we understand the scope of capabilities a little more clearly?

그런 내용이었습니다.

That was the content.

감사합니다.

Thank you.

Continue listening and achieve fluency faster with podcasts and the latest language learning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