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슐리, 아웃백이 화려하게 부활한 계기는? 사모펀드가 외식업 브랜드들을 사랑하는 이유

토스

B주류경제학

애슐리, 아웃백이 화려하게 부활한 계기는? 사모펀드가 외식업 브랜드들을 사랑하는 이유

B주류경제학

지금까지 저희가 호황 이후의 위기를 겪고 있는 하이엔드 외식시장을 살펴봤는데요.

So far, we have looked at the high-end dining market that is experiencing a crisis after the boom.

요즘 외식업계에서 다시 떠오르는 플레이어가 저가형 뷔페라고 하더라고요.

I've heard that low-cost buffets are emerging again as a player in the dining industry these days.

애슐리나 빕스 같은 이런 뷔페들도 자주 가신다고 하셨는데 어디를 가장 선호하세요?

You mentioned that you often go to buffets like Ashley's and Vips, but which one do you prefer the most?

저는 빕스가 아무래도 자주 가게 되는 것 같아요.

I think I end up going to Vips quite often.

약간 빕스의 어떤 점 때문에?

What aspect of Vips is it about?

우선 주차가 조금 여유로운 것이 굉장히 중요한 게

First of all, it's very important that parking is a bit more spacious.

여러 곳에서 가족들, 동생네 가족과 아이들이 온다고 했을 때 스트레스 안 받고 할 수도 있고

When I heard that families, including my younger sibling's family and their kids, would be coming from various places, I thought I could manage it without stressing out.

요즘은 그냥 라이브 요리가 나오는 코스도 있고 지역 로컬 식재료를 이용하고

These days, there are courses that feature live cooking and use local regional ingredients.

거기에도 로컬 식재료를?

Do they have local ingredients there as well?

네. 시즌별로 변화를 하는 구성을 생각을 했다는 게

Yes. I thought about a structure that changes by season.

사업적으로 뭔가 이 회사에서도 되게 중요한 모델로 생각하고 있구나.

It seems that this company considers it a very important model from a business perspective.

약간 이런 느낌이 좀 들었어요.

I felt a bit like this.

애슐리는 좀 어때요? 저는 애슐리 2010년대 이때

How about Ashley? I mean Ashley in the 2010s.

저도요.

Me too.

데이트로 많이 갔었는데

We went on a lot of dates.

안 간 지 진짜 오래 됐는데

It's been such a long time since I went.

애슐리 요즘 잘 돼요.

Ashley is doing well these days.

잘 돼요.

It's going well.

저는 최근에 갔다 왔어요.

I recently went there.

최근은 아니죠. 올해 중에 갔다 왔으니까

Not recently. I already went this year.

어때요? 뭔가 달라진 게 있었나요?

How is it? Has anything changed?

저는 솔직히 잘 모르겠긴 했거든요.

Honestly, I wasn't really sure.

근데 옛날에는 약간 기본 애슐리와 애슐리 퀸즈 해서 고급가 약간 이런 게 나눠져 있는데

But in the past, it was somewhat divided into basic Ashley and Ashley Queens for the premium line.

요즘은 거의 퀸즈로 통일하는 느낌이고요.

These days, it feels like everything is becoming unified under Queens.

가격도 되게 좀 저렴했던 것 같아요.

I think the price was quite affordable.

2만 원대 내지 2만 원.

Between 20,000 won and 20,000 won.

맞아요. 거의 안 올랐더라고요.

That's right. It hardly went up.

그래서

So

네.

Yes.

이제 애슐리가 예전에는 아마 조금 약간 너무 좀 저렴한 약간 비지떡 같은 느낌이었다.

Now, Ashley used to feel a bit cheap, somewhat like a low-quality rice cake.

아니죠.

No, that's not it.

비지떡 같은 느낌.

It feels like a bean rice cake.

정확히 정확히.

Exactly, exactly.

피자도 비지떡 같은 맛이 났었어요.

The pizza tasted like a bean cake as well.

너무 비지떡이에요. 너무 감명 깊어하시는데

It's too much of a flop. They're too impressed.

실제 비지떡 같았다.

It actually looked like a real rice cake.

그러니까 좀 비지떡은 좀 넘어섰다.

So, I've kind of moved beyond the soggy rice cakes.

그래서 이 정도면 그래도 이 정도 가격.

So at this level, it's still this price.

요즘에는 뭘 먹어도 2, 3만 원 충분히 나오는데

These days, anything you eat costs at least 20,000 to 30,000 won.

이 정도의 이렇게 다양한 음식이면 그래도 뭐 이게 손해보는 건 아닌 것 같다는 느낌은 저도 받긴 했어요.

With this kind of variety of food, I also felt that it doesn't seem like I'm at a loss.

저는 약간.

I am a little.

저는 여기서 공통의 뭔가를 찾아낸 것 같아요.

I think I have found something in common here.

뭐예요?

What is it?

어린아이들과 같이 갈 수 있는 편안한 곳이 없어요.

There is no comfortable place where I can go with young children.

그래서 저도 그렇게 찾게 됐어요.

So that's how I ended up looking for it too.

맞아요.

That's right.

그러니까 이게 느낌이 거기가 어린아이들 친화적으로 계속 뭔가 해서가 아니라 시장에 지금 어린아이들과 같이 갈 만한 곳이 너무 없어졌어요.

So, it's not that the place is continually doing something child-friendly, but rather that there really aren't many places in the market suitable for young children anymore.

네. 편하게 다이닝을 갈 수 없잖아요.

Yes. You can't just go to dining comfortably.

아.

Ah.

그리고 아이들은 많이 먹지 않잖아요.

And the kids don't eat much, do they?

네. 맞아요.

Yes. That's right.

그런 부분에 있어서 되게 적합한 게 이런 저가형 뷔페가 아닌가.

In that regard, isn't a low-cost buffet very suitable?

맞아요.

That's right.

걔 중에 한두 개만 먹으면 되니까 애는.

You only need to eat one or two of those, so it's fine.

네. 성공하는 거예요.

Yes. It's going to be a success.

그리고 또 가니까 요즘엔 서빙로봇이 접시를 치워가거든요.

And these days, serving robots come to clear the plates.

맞아요.

That's right.

원래는 사람들이 치워갔는데 물론 고객한테 좀 더 귀찮게 하는 거긴 한데 애들이 그거 기가 막히게 좋아해요.

Originally, people used to clean it up, but of course it's a bit more annoying for the customers, yet the kids really love it.

너무 좋아해요.

I like it so much.

계속 눌러.

Keep pressing.

뭐라 그래. 빨리 뭐라 그래.

What are you saying? Hurry up and say something.

얼굴 모양 눈웃음 이렇게 짓고.

Making a facial expression with a smiling eyes like this.

내가 따라갈래. 막 계속.

I want to follow you. Just keep going.

계속 눌러. 하나 다 먹었어. 다 먹었어. 빨리 눌러.

Keep pressing. I ate one completely. I finished it. Press quickly.

사실상 키즈카페였네요.

It was essentially a kids' cafe.

이 얘기도 잠깐 하면 좋을 것 같은데 이런 뷔페들이 유행할 당시에 한식 뷔페도 유행이었잖아요.

I think it would be good to mention this briefly, but Korean buffets were also trending when these buffets were popular.

자연별곡 같은. 이런 것들은 그래도 좀 회복이 더딘 것 같더라고요.

It seems that things like Natur-Bulgog are still recovering a bit slowly.

한식이.

Korean food.

네.

Yes.

인건비도 정말 많이 들어가고 재료비도 너무 많이 들어가요. 옛날에 호텔에서 양식부 직원들은 업무가 끝나면 야간 대학원을 갈 수 있었대요. 시간 조절을 해서.

Labor costs are really high, and the cost of ingredients is also too high. In the past, staff in the western cuisine department at hotels were able to attend night graduate school after finishing their work. They adjusted their time accordingly.

한식은 죽어도 일이 안 끝나서 못 간다는 거예요. 나물 다 다듬어야 돼. 김치 담가야 돼. 모든 재료들이 다 손이 많이 가는 인건비가 집중되는 장르다 보니까.

Korean cuisine is something that you can't finish even if you die, so I can't go. I have to prep all the vegetables. I need to make kimchi. All the ingredients require a lot of labor, making it a genre where labor costs are heavily concentrated.

그런 것도 있을 것 같지. 지금 생각해보니까. 한식은 우리 너무 주식이야.

I think there might be something like that. Now that I think about it, Korean food is too much of a staple for us.

맞아.

That's right.

너무 주식이어서.

It's too stock-like.

집에서 먹을 수 있어.

You can eat at home.

굳이 외식으로 안 해도 돼.

You don't have to eat out if you don't want to.

맞아요.

That's right.

그러니까 스파게티 피자는 외식으로 되는데 한식은 한식으로 사람들의 고객의 눈높이를 맞추려면 집에서 먹는 것보다 맛있어야 돼요.

So spaghetti pizza can be a dining out option, but to meet customers' expectations for Korean cuisine, it needs to taste better than what they would have at home.

명인의 장이 필요하고.

I need the expertise of a master.

그런데 보통 한국 사람들은 집에 엄마들이 음식을 잘하거든요.

However, usually Korean mothers cook well at home.

그러니까.

So.

무료만 받고 다 못해.

I can't do everything just by getting it for free.

그거보다 잘해야 돼. 그러면 고급 재료를 써야 돼.

You need to do better than that. Then you should use high-quality ingredients.

수지 타산이 안 맞을 수밖에 없어요.

It's inevitable that the calculations won't add up.

차라리 뉴욕이나 런던 이런 데.

I'd rather be in New York or London.

해외로.

Overseas.

이런 데 가야지.

I should go to places like this.

가능성이 있겠네요.

There is a possibility.

그렇네요.

That's right.

약간 대표님은 이런 저가형 뷔페의 인기. 애슐리나 빕스 같은.

The CEO is somewhat representative of the popularity of these budget buffets, like Ashley or Vips.

네.

Yes.

이런 곳의 인기가 앞으로 또 얼마나 갈 거라고 보시는.

How long do you think the popularity of places like this will last in the future?

저는 좀 이거는 좀 길게 갈 것 같고 이 사이에 발전이 일어날 것 같아요.

I think this will take a bit longer, and I feel that progress will happen in the meantime.

발전.

Development.

이 저가형 뷔페가 다양성을 추구할 수도 있는 거고 정말 라이브 화덕에서 뭔가를 퍼포먼스 할 수 있는 거 솔직히 많거든요.

This budget buffet could also pursue variety, and honestly, there are many things that can be performed live from a wood-fired oven.

그러니까 그런 아이디어가 조금 더 직결되고 이슈가 된다면 훨씬 재밌는 놀이터로 활동이 되지 않을까 싶어요.

So I think if such ideas become more direct and relevant, it could turn into a much more interesting playground for activities.

저는 가족이랑 같이 안 왔으면 좋겠어요.

I wish I didn't come with my family.

그러니까 노키즈존이라고 해서.

So it's called a no-kids zone.

네.

Yes.

그리고 또 이제 아이들 들어도 바로 이제 눈치 받거나 이런 곳이 있는데 이런 빕스나 애슐리 같은 곳은 특히나 아이들이 너무 좋아하는 곳이.

And now there are places where even the children can quickly sense the atmosphere, but places like Vips or Ashley are particularly loved by kids.

되게 좋은데.

That's really good.

그러니까 그 공간으로서의 의미가 있다고 생각을 해서 그 부분을 좀 더 강화하고 잃지 않았으면 좋겠다.

I think it has significance as that space, so I hope to strengthen that aspect and not lose it.

그런 생각이 좀 들어요.

I have that kind of thought.

마지막으로 애슐리 말고 아웃백도 얘기해보면 좋을 것 같아요.

Lastly, I think it would be good to talk about Outback instead of Ashley.

아웃백도 잘 되고 있다고 하더라고요.

I heard that Outback is doing well too.

대표님도 아웃백 스테이크하우스 잘 되고 있는.

The representative is also doing well with Outback Steakhouse.

너무 사랑하죠.

I love you so much.

네.

Yes.

그런데 이게 아웃백은 저는 추억에서 비롯된 이제 그런 발현된 사랑이죠.

However, this love for Outback comes from memories now manifested.

부시멘브레드와 오지치즈.

Bushmen bread and goat cheese.

부시멘브레드.

Bushimen bread.

딱 나오잖아요.

It just comes out.

그건 굉장히 아이코닉한 아이템을 만든 거잖아요.

That has created a very iconic item.

오늘 또 유튜브를 보는데 또 아웃백 PPL을 하는 프로그램을 또 본 거예요.

Today, while watching YouTube again, I saw another program doing Outback PPL.

그런데 그때 생각을 한 거예요.

But at that time, I had a thought.

아웃백이 그동안은 가서 먹을 수 있게 쿠폰을 뿌리고 생일에 대한 이런 할인에 대한 이제 그런 정책이 조금 다양해서 접근을 끌었다면 이제는 패키지인 거예요.

Outback has previously given out coupons to allow customers to dine in and offered discounts for birthdays, which attracted customers with a variety of policies, but now it's a package deal.

패키지.

Package.

캠핑을 갔을 때 들고 가기 좋고 파티팩이고.

It's great to take along when going camping, and it's a party pack.

맞아요.

That's right.

정확한 목적성을 지녀서 리뉴얼이 된 느낌이에요.

It feels like the renewal has a clear purpose.

맞아요.

That's right.

그러니까 아웃백이라는 음식이 포장, 배달 이런 거랑은 사실은 처음에 나왔을 때마다 되게 거리가 멀어 보였잖아요.

So, the food from Outback always seemed quite distant from takeout and delivery when it first came out.

되게 비싼 진짜 좋은 날에 가야 되는 것 같은데 생각보다 코로나 시기에 배달이랑 포장 영역을 잘 커버한 것 같다는 생각도 좀 들었어요.

I feel like we need to go on a really good day that is quite expensive, but I also think they have covered delivery and takeout quite well during the COVID period, more than I expected.

이번에는 재용 님 차례인데요.

This time it's Jaeyong's turn.

먼저 이런 저가형 뷔페 요즘 얼마나 잘 되고 있는지 숫자로도 좀 보이나요?

First, can we see some numbers about how well these budget buffets are doing these days?

일단 이랜드를 먼저 생각해 보면.

First, let's think about E-Land.

이랜드.

E-Land.

그러니까 애슐리를 이제 이랜드 이치라는 회사에서.

So Ashley is now at a company called Eland Ichii.

이랜드 이치라는 회사에서 운영을 하고 있거든요.

The company Eland Ichira is operating.

기본적으로 애슐리 매장은 원래는 코로나 이전에 한 140개 정도 있었는데요.

Basically, there were about 140 Ashley stores originally before the pandemic.

2022년에 55개.

55 in 2022.

절반 이상은 줄여버리네요.

More than half is cut down.

23년에 77개.

77 in 2023.

24년 상반기에 또 한 17개 더 만들어서 한 94개까지.

In the first half of 2024, we will create another 17, bringing the total to around 94.

엄청나게 폭발 성장하고 있는 상황이고요.

It's a situation where there is explosive growth happening.

그러니까 이미 탄력을 받았어요.

So I've already gained momentum.

그래서 이랜드 이치 같은 경우는 2021년에 매출액이 2000억.

So, in the case of E-Land Ich, the sales amount in 2021 was 200 billion won.

그다음에 2500억.

Next is 250 billion.

그다음에 3550억으로.

Then, with 355 billion.

특히 23년에 성장을 좀 많이 한 편이에요.

Especially, there has been quite a bit of growth in 2023.

그래서 이제 영업이익 5%.

So now the operating profit is 5%.

매출 안가율 76.4% 정도를 찍으면서 괜찮은 구조로 넘어왔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It seems we have transitioned to a decent structure with a sales margin rate of about 76.4%.

저는 오히려 140개 이상 되는 매장을 코로나 이후에 과감하게 퍼팅한 것도 대단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I think it's impressive that I boldly put in more than 140 stores after the pandemic.

그렇죠. 아무래도 왜 그러냐면 적자가 너무 심했어요.

That's right. The reason is that the deficit was too severe.

그 당시에.

At that time.

왜냐하면 2020년에 적자를 단기 순손실로 670억을 보고 그다음에 310억을 봤어요.

Because in 2020, they reported a short-term net loss of 67 billion and then saw 31 billion.

그러니까 2년 동안 한 1000억 적자였어요.

So, there was a deficit of about 100 billion for two years.

2년 동안 한 1000억 적자를 보다 보니까.

After seeing a deficit of about 100 billion for two years.

뭐 이거 안 할 수가 없지.

Well, I can't not do this.

이거 뭐 손님이 올 수가 없는데.

How can guests possibly come here?

그때 막 기억나잖아.

I just remember it vividly then.

우리 막 손님 장갑 끼셔야 됩니다.

We need to put on our gloves for the guests.

마스크 쓰고 막.

Wearing a mask, just.

맞아요. 그랬던 거 기억나요.

That's right. I remember it happening like that.

가냐고.

Are you going?

그러니까 접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지만 22년부터 빠르게 성장 중이다.

So it was a situation where I had no choice but to fold, but I have been rapidly growing since 2022.

너무 다행이네요.

I'm so relieved.

빕스도 볼 수 있는 자료가 있나요?

Is there any information available about BIBS?

빕스는 자료가 사실은 없죠.

VIPS actually has no data.

왜냐하면 CJ푸드빌이라는 회사가 있는데 이 회사는 사실 뚜레쥬로 하는 회사지.

Because there is a company called CJ Foodville, which is actually the company that operates Tous les Jours.

너무 뚜레쥬로 주무시는군요.

You're sleeping so soundly like a baby.

네. 빕스는 뭐 정말 티끌 같은 존재고요. 매장 29개인가.

Yes. Vips is really like a speck of dust. They have about 29 stores.

근데 뚜레쥬로는 차원이 다른 개수니까.

But the number of macarons at Tartelette is on a different level.

그래도 CJ푸드빌도 분위기가 괜찮습니다.

Still, CJ Foodville has a decent atmosphere.

작년에 매출액이 한 7000억 정도 나왔고 영업이익이 214억으로 전년도에 134억보다는 잘 늘어나고 있거든요.

Last year, the sales amounted to about 700 billion won, and the operating profit was 21.4 billion won, which is an improvement compared to 13.4 billion won in the previous year.

그러니까 뚜레쥬로도 괜찮게 되는 편이고 아마 이렇게 흑자가 늘어나는 거는 빕스의 턴어라운드가 당연히 영향을 미쳤을 거라고 생각을 해요.

So I think it's fair to say that Tour Les Jours has been doing well, and the increase in profit is likely influenced by Vips' turnaround.

이게 또 이 재무제표에서 좀 주목해 볼 만한 좋은 그런 포인트들이 있나요?

Are there any noteworthy points to pay attention to in this financial statement?

일단 여기 애슐리 같은 경우는 한번 찾아보면 재료비에 해당하는 항목이 한 1478억 정도 쓰거든요. 23년에.

First of all, in the case of Ashley here, if you look it up, the cost for materials is about 147.8 billion won in 2023.

그게 매출액 대비 한 41.6%, 한 42%. 전년도에도 42%, 그 다음 연도에도 42%. 대략 그냥 재료비를 매출액이 한 42% 정도 쓰는 편이고요.

That’s about 41.6% to 42% of the sales revenue. Last year it was also 42%, and the following year it was 42%. Roughly, we spend about 42% of the sales revenue on material costs.

이 정도면 식음료 시장에서는 높은 편입니다.

This is relatively high in the food and beverage market.

말씀하시잖아요. 매출액 대비 원재료가 40%야? 높은 거예요.

You mentioned it. Is the cost of raw materials 40% of the sales? That's high.

그만큼 회전율로 승부하는 거죠.

That's how you compete with turnover.

회전율로 승부한다? 아니, 회전율이라고 하면 저는 왠지 매장에 들어가서 빨리 먹고 빠져나오는 이 회전율을 생각하고 있는데 그건가요?

Are we competing with turnover? No, when I think of turnover, I somehow think of going into a store, eating quickly, and getting out. Is that what it is?

좌석 점유율인 거죠. 여기는.

It's the seat occupancy rate here.

좌석 점유율.

Seat occupancy rate.

왜냐면 여기는 크게 만들어서.

Because it's made big here.

이게 크게 만들어서.

Make this bigger.

좌석을 몇백 개씩 깔아놓고 거기에 좌석 점유율을 꽉꽉 채우는 방식으로 좌석 점유율을 많이 높여서 일반적인 식음료 매장에 비해 원가율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남을 수 있는 구조를 만들었다.

By setting up hundreds of seats and maximizing seat occupancy, we created a structure that allows for profitability despite having a higher cost ratio compared to typical food and beverage establishments.

그래서 어떻게 보면 2021년만 하더라도 적자가 200억 수준이 나요.

So in a way, even in 2021, the deficit is at a level of 20 billion.

네, 네.

Yes, yes.

매출액이 2000억이 낮지만.

The sales amount is lower by 200 billion.

21년에.

In 2021.

왜 그런가 하니 결국은 매출 원가율이 전년도에 비해 한 85%로 높게 나와서 그런 건데 부패다 보니까 부패는 일단 깔잖아요.

The reason is that the cost of sales ratio came out to be about 85%, which is higher than the previous year, and due to corruption, corruption tends to be overlooked initially.

그렇죠.

That's right.

음식은 고정비인 거야.

Food is a fixed cost.

그렇죠.

That's right.

여기는 손님이 많이 채워지면 원가율이 낮아지는 거고 적게 채워지면 원가율이 올라가는 거예요.

Here, when there are many customers, the cost ratio decreases, and when there are fewer customers, the cost ratio increases.

음식은 고정비야. 근데 이게 42%가 22년, 23년 고정비 비슷하게 나온다는 거는 이미 22년과 23년에 애슐린은 이미 풀방이라는 거야.

Food is a fixed cost. But the fact that this 42% is similar for fixed costs in 2022 and 2023 means that Ashley was already at full capacity in 2022 and 2023.

꽉 찬 상태에서.

In a full state.

꽉 찬 상태에서 계속 돌리고 있는 상황에서 매장 수가 늘어나니까 고정비, 즉 인건비나 이런 것들이 약간 절감 효과가 나오면서 영업이익률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죠.

In a situation where we are continuously operating at full capacity,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tores leads to a slight reduction in fixed costs, such as labor costs, resulting in an increase in operating profit margin.

결국 핵심은 이 수 넓게 만든 이 자리를 다 꽉 채우는 거잖아요.

In the end, the key is to fill this space, which was made wider, completely.

그런데 사람들이 이렇게 꽉 채울 수 있는 만큼 애슐리가 그렇게 인기가 많았나라는 생각이 좀 드는 거예요.

However, it makes me wonder if Ashley was really that popular for people to fill the place like this.

저는 입지의 문제인 것 같아요.

I think it's a matter of location.

입지요.

It's a location.

아이들과 엄마가 함께 갈 수 있는 쇼핑몰이라든가.

A shopping mall where mothers can go with their children.

그러고 보니까 항상 쇼핑몰에 있는 메가박스 옆에 있는 것 같아요.

Come to think of it, it always seems to be next to the Mega Box in the shopping mall.

맞아요. 있어요. 있어요.

That's right. There's something. There is.

특히 이랜드 계열의 유통업체 많아요.

There are especially many retailers in the E-Land group.

NC백화점, 킴스클럽, 이천일 라울렛 그런 자사의 유통 채널에 많이 있는데 보통 그런 데는 가족이랑 같이 가는 경우가 많으니까 그 안에서 매출을 만들기가 되게 쉬워진 거죠.

NC Department Store, Kim's Club, and Icheonil Raoullette have many of their own distribution channels, and usually, people often go there with their families, so it has become very easy to generate sales within those environments.

그러면 이런 애슐리나 빕스 같은 저가형 뷔페가 앞으로도 계속 잘 될 거라고 보시나요, 재훈님? 그냥 불황을 좀 탄 거라고 보시는지.

So do you think that low-cost buffets like Ashley or Vips will continue to do well in the future, Jaehun? Or do you see it as just a slight downturn due to the recession?

현재로서는 일단 흐름을 탔다라고 보여줘요.

For now, it seems that we've just gone with the flow.

그러니까 고객들이.

So the customers.

고객들 입장에서 여기는 뭔가 스페셜한 곳이라기보다는 가성비 있게 그냥 한 끼 잘 먹을 수 있는 곳이라는 인지가 이미 쌓인 것 같고.

From the customers' perspective, this place seems to have built a recognition not as something special, but rather as a place where one can have a good meal at a reasonable price.

실패하지 않는 가성비.

Cost-effectiveness that doesn't fail.

거기서 중요한 건 이제 초심을 잃지 않는 거지.

The important thing is not to lose your初心 (beginner's mind) from now on.

초심을 잃지 않는.

Not losing the original aspiration.

우리 원가율을 1%만 낮춰볼까?

Shall we try to reduce our cost rate by just 1%?

다시 빈대떡을 만들어볼까?

Shall we make mung bean pancakes again?

빈대떡을 다시 만들면 내려가는 건 순식간일 거고요.

If you make the mung bean pancake again, it'll come down in an instant.

우리 빈대떡 되지 않게 그래도 고객들이 그래도 뷔페 갔으면 두 가지는 건져야 되거든요.

We shouldn't turn into a Bindaetteok (mung bean pancake), but still, customers should at least be able to get two items when they go to the buffet.

왜냐면 한 가지만 건지면.

Because if I can just grab one thing.

야, 이거 사 먹으러 다른 데 가자 라고 하는데.

Hey, let's go somewhere else to buy this.

어쨌든 고객들이 와서 이 수많은 음식 중에 두 가지 정도는 잘 먹었다고 생각할 수 있을 정도의 퀄리티를 만들기 위해서 노력을 한다면

Anyway, if we make an effort to create quality enough that customers can think they've enjoyed at least two out of all this food, then...

얼마든지 앞으로도 좀 장기적으로 성장할 만한 사업인 것 같아요.

I think it’s a business that could grow in the long term, no matter how much.

많은 여식업 관계자나 혹은 외식을 하시는 분들께서 예술리의 케이스를 잘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I think it would be good for many people in the restaurant industry or those who dine out to take a good look at the case of Artili.

저는 하나 희망이라고 생각해요.

I think there is one hope.

그러니까 사람들이 지금 현 시점에서 가장 많이 소비하고 있는 게 이거야라는 건 굉장히 많은 시사점을 발현하는 것 같아요.

So, I think what people are consuming the most at this point in time reveals a lot of insights.

마지막으로 애슐리 말고 아웃백도 얘기해 보면 좋을 것 같아요.

Lastly, I think it would be good to talk about Outback besides Ashley.

아웃백도 잘 되고 있다고 하더라고요.

I heard that Outback is doing well too.

아웃백은 혹시 볼 수 있는 자료나 이런 것들이 있나요?

Is there any materials or something like that available for Outback?

아웃백 같은 경우는 재무제표가 별도로 나와 있고요.

In the case of Outback, the financial statements are provided separately.

매출이 작년 2023년 기준으로 4,576억.

Sales amount to 457.6 billion based on last year, 2023.

매출액 잘 나오고 그 전 연도에 4,110억.

Sales revenue is doing well, with 411 billion from the previous year.

그 전 전 연도에는 3,920억으로 엄청 고도 성장은 아니지만 꾸준히 성장을 하면서 영업이익도 17.3%까지.

The year before last, it was 392 billion, which is not an extremely high growth but a steady increase, with operating profit reaching 17.3%.

많이 나오네요.

It appears often.

오늘 본 회사 중에 제일 좋은 회사예요.

It's the best company I've seen today.

내일 아웃백 가야겠어요.

I think I should go to Outback tomorrow.

괜찮습니다. 여기는 매출원가가 30%.

That's fine. The cost of sales here is 30%.

아까 애슐리는 40%라고 했는데 여기는 30%.

Earlier, Ashley said it was 40%, but here it is 30%.

객단가와 마진율도 괜찮게 챙겨주면서 영업이익도 적절하게 챙겨주는 굉장히 괜찮은 회사입니다.

It's a very good company that takes care of the average transaction amount and profit margin while also ensuring appropriate operating profits.

아까 빕스나 애슐리 같은 경우에는 결국엔 뷔페가 메인이다 보니까 각 들어가는 재료의 종류들이 많다면.

In the case of places like Vips or Ashley, since the buffet is the main focus, there are a lot of different types of ingredients involved.

야채가 많아서 그렇고.

It's because there are a lot of vegetables.

야채가 많아서.

There's a lot of vegetables.

야채는 로스도 많고 워낙에.

There are a lot of losses with vegetables anyway.

생선도가 떨어지고 한번 버려야 되고.

The fish is deteriorating and needs to be thrown away once.

맞아요.

That's right.

어쨌든 아웃백은 스테이크라는 단일 고기 메뉴에 좀 더 집중을 하다 보니까 그 부분에서 좀 매출원가에서 이익이 있었던.

Anyway, Outback has focused more on the single meat menu, which is steak, so there was some profit in the cost of goods sold in that area.

그리고 냉동을 튀겨서 주는 메뉴가 많잖아요.

And there are many menu items that are served fried from frozen.

그렇지.

That's right.

프레쉬한 샐러드 외에는 거의 다 어니언도 튀기고.

Except for fresh salad, almost everything is fried with onions.

튀김.

Fried food.

맞아요.

That's right.

오지치즈 이런 거.

Oh, this kind of cheese.

너무 좋아요.

I love it.

아니 근데 아웃백이 몇 년 동안 주인이 꽤 많이 바뀐 걸로 제가 알고 있는데.

Actually, I know that Outback has changed owners quite a few times over the years.

네.

Yes.

어떤 흐름이 있었나요?

What kind of flow was there?

일단 아웃백 같은 경우는 2010년대 중반쯤에 어려움을 겪었죠.

First of all, Outback experienced difficulties around the mid-2010s.

맞아요.

That's right.

2010년대 초반까지 이제 확 올라갔다가 이제 그다음부터는 좀 식상하다.

It soared up until the early 2010s, but after that, it became a bit stale.

맞아요.

That's right.

베니건스 TGI 막 해가지고.

Bennigan's TGI just like that.

네.

Yes.

다 무너질 때.

When everything collapses.

야 패밀리에서 이제 좀 식상하다.

Hey, I'm getting a bit tired of the family stuff now.

그리고 이제 악명이 있었던 게 아웃백 같은 경우는 스테이크 빼고 다 맛있는 곳이라는 거죠.

And now, the infamous Outback is known to be a place where everything is delicious except for the steak.

악명이 있었어요.

There was infamy.

스테이크 가스.

Steak gas.

너무 크리티클하다.

It's too critical.

네.

Yes.

그래서 점점 이제 빠지다가 이제 2016년에 주인이 바뀝니다.

So gradually it started to decline, and then in 2016, the owner changed.

사모펀드인 스카이레이크라는.

The private equity fund called SkyLake.

사모펀드인 스카이레이크라는 회사가.

The company called SkyLake, which is a private equity fund.

사모펀드.

Private equity fund.

네.

Yes.

아마 한 550억이었나요?

Was it about 55 billion?

되게 저렴하게 회사를 인수를 해요.

They are acquiring the company at a very low price.

그러고 나서 한 5년 정도 경영을 하고 이제 다시 팔았는데 원래 정보통신부 장관이었던 진대재라는 분이 오너예요.

After managing it for about five years, I sold it again, and the owner is a person named Jin Dae-jae, who was originally the Minister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그래요?

Is that so?

분야가 완전 다르구나.

The field is completely different.

그분이 원래 IT 기반의 벤처 투자하는 원래 사모펀드인데 또 생뚱맞게 아웃백을 산 거야.

He was originally a private equity fund that invested in IT-based ventures, but unexpectedly bought Outback.

아웃백을 샀어.

I bought Outback.

저거 뭐 하는 데야?

What are you doing over there?

이러고 샀는데 의외로 잘하는 거죠.

I bought it like this, but surprisingly it works well.

그러니까요.

That's right.

그런데 사모펀드가 음식업 좋아해요.

By the way, private equity funds like the food industry.

그러니까요.

That's right.

그런데 보통 사모펀드가 손에 대면 비용 절감에만 목표를 두고 그냥 진짜 너무 혹독하게 한다 이런 평가가 있잖아요.

However, there is an evaluation that when private equity funds get involved, they tend to focus solely on cost-cutting and are often excessively harsh.

비용 절감이란 결국은 비효율 개선과 백투더 베이직이거든요.

Cost reduction ultimately means improving inefficiency and going back to the basics.

시스템을 확신하게 되는 걸 잘하는 거예요.

You are good at becoming confident in the system.

기본적으로 살려야 될 건 살리고 불필요한 걸 제거하는 작업을 사모펀드가 합리적으로 잘하는데 여기서 인수하고 나서 일단 스테이크를 살리자.

Essentially, private equity firms are good at rationally preserving what should be saved and eliminating the unnecessary, so let's focus on preserving the steak after the acquisition.

여기 스테이크 안 좋으니까.

The steak here isn't good.

스테이크 빼고 다 맛있는 곳인데 스테이크 살리자.

It's a place where everything is delicious except for the steak, so let's save the steak.

일단 스테이크.

First, steak.

스테이크가 없으니까 스테이크를 살리자.

Since there is no steak, let's save the steak.

이때부터 약간 스테이크에 대한 퀄리티가 올라갔다는 소문이 많이 있고요.

Since then, there have been many rumors that the quality of the steak has improved somewhat.

그다음에는 약간 배달 준비도 했어요.

Then, I also prepared a bit for delivery.

그런데 2019년부터 배달 준비를 했는데 코로나가 터졌어.

However, we had been preparing for delivery since 2019, but then COVID-19 broke out.

그래서.

So.

마치 예측한 것처럼.

As if it were anticipated.

온도 좋았어.

The temperature was nice.

그러다 보니까 코로나의 여파를 좀 덜 맞을 수 있었고 그러다가 이제 2021년에 적절한 가격에 BHC한테 팔게 된 거죠.

As a result, we were able to be less affected by the impact of COVID-19, and then in 2021, we sold to BHC at a suitable price.

어쨌든 약간 지금은 BH에 좀 인수가 됐는데.

Anyway, right now it has been somewhat acquired by BH.

치킨 기업이 지금 2단계에서 아웃백을 인수하네요.

A chicken company is now acquiring Outback at stage 2.

재용님은 좀 어떻게 보세요?

What do you think about Jaeyong?

일단 사실 뭐 BHC도 있지만 BHC에는 또 사모펀드가 있습니다.

Well, the truth is there is BHC, but BHC also has private equity funds.

BHC도 사모펀드 가지고 있어요?

Does BHC also have a private equity fund?

BHC를 소유하고 있는 기업이 MBK 파트너스라고 더 큰 사모펀드가 있어요.

The company that owns BHC is MBK Partners, which is a larger private equity fund.

그 회사가 이제 BHC를 인수해서 재미를 봤거든요.

That company has now acquired BHC and is making a profit.

그래서 그렇지.

That's why.

그럼 내가 치킨도 하니까 스테이크도 같이 하면은 뭔가 좀 그 안에서 시너지가 있지.

Then, if I make chicken, having steak together will create some synergy in there.

어떤 시너지가 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I'm not sure what kind of synergy there is.

그분들이 생각하니까.

Because they think.

그분들이 생각한 그게 있었겠죠.

They must have had something in mind.

살리는 거 잘하시는 분들이니까.

Because they are good at saving (people).

그래서 BHC에서 했던 성공 경험을 한번 아웃백에도 우리가 한번 또 해보자 이런 느낌으로 한 거네요.

So it feels like we wanted to try the successful experience we had at BHC at Outback as well.

어쨌든 사모펀드가 인수를 하는 목적은 보통 이제 밸류를 높여서 다시 이제 비싸게 매각하는 거 있잖아요.

In any case, the typical purpose of a private equity fund acquiring a company is usually to increase its value and then sell it at a higher price, right?

그럼 BHC도 아웃백을 그렇게 할 건지 아니면 좀 약간 맥락이 다른지도 궁금해요.

Then I'm curious if BHC will do the same with Outback or if there's a slightly different context.

그거는 저도 정확하게는 모르겠으나 당연히 사모펀드는 언제나 기한이 존재합니다.

I'm not sure about that exactly, but of course private equity funds always have deadlines.

투자하는 기한이 존재합니다.

There is a deadline for investment.

왜냐하면.

Because.

사모라는 거 자체가 이제 투자자들이 돈을 모아서 일정 펀드를 만들어 투자하는 개념이기 때문에 투자한 자금에 이제 돌려드려야 되는 기간이 존재해요.

Since the concept of a "sponsor" itself involves investors gathering funds to create a certain fund for investment, there is a period during which the invested money needs to be returned.

그래서 나가줘야 돼 사모펀드는.

So I need to leave the private equity fund.

그래서 나가줘야 되는데 그동안 사모펀드 1차 사모펀드 샀고 2차 사모펀드 샀단 말이죠.

So I need to go out, but in the meantime, I've invested in the first private equity fund and the second private equity fund.

그다음에도 사모펀드가 살기에는 좀 이미 극한의 비용 절감 다 한 거 같은데.

It seems like private equity funds have already cut costs to the extreme at this point as well.

밸류 다 나온 거 같은데.

It seems like the value has all come out.

그다음 스텝은 이제 그거에 관심 있는 플레이어.

The next step is finding players who are interested in that.

그러니까 사야 되는데 보통 그런 관심 있는 플레이어는.

So I need to buy it, but usually, players who are interested in that kind of thing.

비슷한 식음료를 하는 기업이거나 아니면 유통업체.

A company that deals in similar food and beverages, or a distributor.

왜냐하면 지금 아웃백이 다양한 이제 백화점이나 아울렛이나 이런 데 들어가 있으니까.

Because now Outback is entering various places like department stores and outlets.

내지는 해외에 어떤 투자자.

Investors in the domestic or overseas market.

해외에.

Overseas.

마치 이제 최근에 컴포즈 커피를 필리핀의 졸리비가 사듯이.

It's as if Compose Coffee is now being bought by Jollibee in the Philippines.

맞아요.

That's right.

한국의 그 아웃백 시스템을 나도 필리핀에 팔고 싶어. 베트남에 팔고 싶어.

I want to sell that Outback system from Korea in the Philippines. I want to sell it in Vietnam.

이런 식의 어떤 매수자를 아마 잠재적으로는 계속 찾고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I believe they will likely continue to search for potential buyers of this kind.

진짜 이 빕스 애슐리 아웃백까지.

Really, this is Vips, Ashley, Outback, and so on.

생각보다 약간 이렇게 어디 크게 벗어나지 않고.

Not straying too far from what I expected, just a little.

원래 있던 포지션에서 꾸준히 잘 지킨 것 같다.

It seems that you have consistently performed well in your original position.

그런 생각도 좀 들었어요.

I had that thought too.

그런 생각도 드네요.

I feel that way too.

강한 자가 살아남은 게 아니라 상한 남자가 강한 남자가.

It’s not the strong who survive, but the broken man who becomes strong.

맞아요.

That's right.

얘네들은 살아남았어.

They survived.

살아남으면서 어쨌든 내가 비용 절감하고 효율을 하고 기본도 지키고 하면서.

While surviving, anyway, I'm cutting costs, improving efficiency, and maintaining the basics.

어쨌든 오랜 시간 동안 살아남아 봤더니.

Anyway, after surviving for a long time.

경쟁 탓에 다 죽었네.

Everyone has died because of the competition.

그럼 다 내 거네.

Then it's all mine.

약간 이런 느낌인 거죠.

It's kind of like this feeling.

사람들이 날 기억하네.

People remember me.

이러면 다시 되는 거죠.

This will make it work again.

그렇죠.

That's right.

그렇게 되면 결국 사람들이 고객들이 알아보는 날이 올 거야.

Eventually, the day will come when people and customers will recognize it.

이런 것들은 결국 시장은 돌고 도는 것이구나라는 생각도 같이 드네요.

I also think that things like this ultimately show that the market goes round and round.

알겠습니다.

Understood.

이렇게 파인다이닝과 저가형 뷔페로 국내 외식 시장의 두 축을 살펴봤는데 외식 시장의 전망 예측해 보신다면?

Having looked at the two pillars of the domestic dining market through fine dining and budget buffets, what are your predictions for the outlook of the dining market?

저는 언제나 시장은 가성비.

I always think the market is about cost-effectiveness.

가성비다.

It's cost-effective.

애슐리 앞으로 더 잘 될 것 같다.

I think Ashley will do better in the future.

왜냐하면 가성비가 있는 제품들은 부침이 없기 때문에 꾸준히 성장하는 그림이라고 한다면.

Because it is said that products with cost-effectiveness have no fluctuations, so they show a steady growth trend.

앞으로 한동안은 저가형 뷔페가 붙을 것 같고요.

It seems that low-cost buffets will be popular for a while.

파인다이닝이 잘 되기 위해서는 어떤 우리들의 인식.

What is our perception for fine dining to succeed?

그리고 우리의 경제.

And our economy.

경제.

Economy.

대한민국 경제.

South Korean economy.

지갑.

Wallet.

나랑 업종을 하면서.

While doing the business with me.

지갑.

Wallet.

길게 보면 잘 될 거라고 제가 생각하지만.

I believe that it will turn out well in the long run.

왜냐하면 우리도 입맛과 어떤 그런 취향들이 고급화되기 때문에.

Because our tastes and preferences are also becoming more sophisticated.

앞으로 짧게 5년 정도를 끊어본다면 저가형이 조금 더 잘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하죠.

In the future, if we break it down into a short period of about 5 years, I think the low-cost model might perform a bit better.

대표님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What do you think, sir?

파인다이닝이랑 저가형.

Fine dining and low-cost options.

저도 정해진 답은 정했지만.

I have also decided on a certain answer.

마음속으로 그냥 바라는 건 진짜 이 시기 되게 잘 견뎌서.

I truly just hope that I can endure this period really well.

어린 세대들이 다이닝을 즐기는 부모님을 보고 특별한 날에 특별한 곳을 가야 돼.

The younger generation sees their parents enjoying dining out and feels that they need to go to special places on special days.

이런 식문화가 조금 학습이 된다면 이 친구들도 자라나서 또 어떤 그림을 그려낼지가 큰 기대가 되기도 하고요.

If this kind of cultural practice can be learned a little, I am excited to see what kind of picture these friends will draw as they grow up.

많은 분들이 좋은 날에 좋은 걸 즐겨야겠다는 그 마음 하나면 또 접근할 수 있는 문이 열린다고 생각을 합니다.

I believe that if many people have the mindset of wanting to enjoy good things on good days, a door will open for them to approach those experiences.

그러니까.

So.

그런 음식보다는 문화 콘텐츠라는 생각도 같이 들어요.

I also think of it as cultural content rather than just food.

맞아요.

That's right.

좀 더 넓은 시선으로 바라보면 좋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I think it would be good to look at it from a broader perspective.

소비문화의 면의 경제 이야기 비주류경제.

The story of the economy from the perspective of consumer culture: alternative economics.

오늘은 김혜준 대표님과 외식시장에 대한 이야기 나눠봤고요.

Today, I had a conversation with CEO Kim Hye-jun about the restaurant market.

저희는 다음 시간에 다른 주제로 돌아오겠습니다.

We will return with a different topic next time.

감사합니다.

Thank you.

Continue listening and achieve fluency faster with podcasts and the latest language learning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