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쫄지말고 투자하라! 시즌 7] #37회(통산 326회) 폴인(fol:in) 임미진 팀장 - 2부

쫄투 : 쫄지말고 투자하라

쫄투 : 쫄지말고 투자하라

[쫄지말고 투자하라! 시즌 7] #37회(통산 326회) 폴인(fol:in) 임미진 팀장 - 2부

쫄투 : 쫄지말고 투자하라

네, 깔때기 타임이 돌아왔습니다. 아무 일 없다는 뜻일게요. 돌아옵니다.

Yes, it's funnel time again. It probably means nothing is happening. It's coming back.

이거 뭔지 알아요.

Do you know what this is?

아산 남재단, 말일팔공, 정남이 이사님, 김형진 팀장님, 그리고 이현승 매니저님.

Asan Namjaedan, Malilpalgong, Director Jeongnam, Team Leader Kim Hyungjin, and Manager Lee Hyunseung.

오늘도 참석해 주셨습니다.

Thank you for attending today as well.

늘 참석해 주시고 계시고 이 자리를 구원해 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Thank you so much for always attending and saving this occasion.

후원과 다 챙겨주시고 계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Thank you sincerely for taking care of all the support and everything.

그리고 또 다른 후원의 축인데 오늘로 마지막 후원이세요.

And this is another sponsorship, and today is the last sponsorship.

네, 왜냐하면 여러 사정으로.

Yes, because of various circumstances.

네, 그리고 몇 년간 해주셨기 때문에.

Yes, and because you have done it for several years.

3년, 3시즌을 해주셨는데 오늘 마지막이고 혹시나 이 방송을 보시는 분이 별로 안 되지만 후원을 하시겠다는 분이 계시면.

You've done 3 years, 3 seasons, and today is the last day. There may not be many people watching this broadcast, but if there are any who would like to support us...

저희가 시즌 8에는 과감하게 저쪽 자리를 지우고 그분들이 저기 어베이오 하다는데 저 공간에.

In Season 8, we boldly erased that spot over there because they are apparently doing something over that space.

혹시 여기 중앙일보 이렇게.

Is this the JoongAng Ilbo here?

네네네네. 혹시 포린이 이렇게.

Yes, yes, yes, yes. Is it possible to do this for a foreigner?

제가 여기 나와 있는 이유가 사실은.

The reason I'm out here, in fact, is...

한국 성장금융.

Korea Development Finance.

성장금융.

Growth finance.

성장금융라운드, 성기홍 대표님.

Growth Finance Round, CEO Seong Ki-hong.

지난주에 출연해 주신.

Thank you for your appearance last week.

서종군 전무님.

CEO Seo Jong-gun.

전무님.

Executive Director.

그리고 노해성 팀장님.

And Team Leader Noh Hae-sung.

그리고 박상현 주임님.

And Chief Park Sang-hyun.

박상현 주임님이 오늘 정말 참석하려고 했는데 요즘에 너무너무 바쁘셔서 오늘은 참석하지 못하셨고요.

Manager Park Sang-hyun really tried to attend today, but he has been very, very busy lately, so he couldn't make it today.

그 네 분께도 다시 한 번 진심으로.

Once again, my heartfelt gratitude to the four of you.

그동안의 후원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Thank you sincerely for your support during this time.

그 두 기관의 후원 덕분에 저희가 아주 넉넉한 장소에서 넉넉하게 이 방송을.

Thanks to the support of those two organizations, we are able to comfortably hold this broadcast in a spacious venue.

지금 시즌 세븐까지 아주 마무리를 잘 짓게 되는 것 같습니다.

It seems that we are able to finish everything well up to season seven now.

예.

Yes.

자 이제 좀 질문이 또 있을 것 같은데요.

Well, I think I have some more questions now.

네 많이 들어와서 너무 오늘 재미있게 말씀, 혹시 기자시다 보니까 이렇게 적절한 사례와 함께 요약해서 얘기해 주시니까 저는 너무 재미있게 듣고 있고요.

Yes, I'm really enjoying listening to you today because you summarize your points with appropriate examples, especially since you're a journalist.

질문도 그래서.

So that's the question.

저는 지금 흥미한 정신으로 이렇게 진행하는 게 과연 맞을까.

I wonder if it is truly right to proceed like this with an excited mind.

그렇게 좀 그냥 약간 흥미하게 얘기해 주셔야 또 보는 사람들의 재미가 있기 때문에.

You need to talk about it a bit interestingly so that it will be enjoyable for the viewers.

아 그래요.

Oh, really?

네.

Yes.

대표님 그럼 냉정한 평가를 좀 하시면 어떨까요.

CEO, how about giving a candid evaluation?

첫 번째는 그 이제 아까 마지막에 일부 마지막에 교육에 대한 얘기가 나왔으니까.

The first thing is that, since there was talk about education towards the end just now.

네.

Yes.

모든 변화의 시작은 교육의 변화다 라고 얘기해주셨는데 그랬더니 그 교육의 그런 변화는 조금 더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의 교육이 뭐 협업 혹은 아까 프로젝트형으로 갈 수 있는 교육이냐에 대해서 조금 구체적으로 말씀해 주신다면 어떤 부분이 있을까요.

You mentioned that the beginning of all change is the change in education. If you could elaborate a bit more on the specific ways in which education is changing—whether it's through collaboration or project-based learning—what aspects would you highlight?

네.

Yes.

지금 사실 미래를 대비하는 교육을 해야 한다는 건 다들 알고 있는데

Everyone knows that we need to provide education to prepare for the future.

그걸 방법을 모르다 보니까 강남에서 코딩 학원이 나와서

Not knowing how to do it, a coding academy came out in Gangnam.

또 아이들이 프로그래밍 언어를 막 외우기도 하고 그러잖아요.

Sometimes kids memorizing programming languages.

굉장히 옛날 방식으로 새로운 교육을 대처하려고 하는 거라고 생각하는데

I think they are trying to approach new education in a very old-fashioned way.

제가 생각할 때 다들 키워드는 알고 계시는 것 같거든요.

I think everyone knows the keywords.

예를 들면 기업가 정신이라거나 문제 해결 능력이라든가

For example, entrepreneurship or problem-solving skills.

협업 능력, 창의력, 창조력 이거 다 알고는 있는데

I know all about collaboration skills, creativity, and inventiveness, but...

사실은 문제는 그걸 어떻게 키워야 되는지를 모르는 거잖아요.

The truth is that the problem is not knowing how to nurture it.

아까 제가 말씀드렸던 프로젝트형 교육이라는 게 사실은

The project-based education I mentioned earlier is actually

그냥 아이들이 실제 생활을, 실제 세계를, 리얼 월드를 한번 해보면서 배우는 게

It's just that kids learn by experiencing real life, the real world, and the real environment.

사실 되게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I actually think it's very important.

제가 이걸 취재하는 과정에서 책에는 안 담았지만

Although I didn't include this in the book during the process of researching it,

호주에서 하고 있는 굉장히 좋은 프로젝트형 교육이 있었어요.

There was a very good project-based education happening in Australia.

뭐냐면

What I mean is

호주 청년재단이라는 데서 하는 20달러 보스 프로그램이에요.

It's a $20 boss program run by the Australian Youth Foundation.

그러니까 20달러 보스 프로그램인데

So it's a $20 boss program.

그게 뭐냐면 여기 참가하는 학생들에게 다 호주 달러로 20달러를 나눠줘요.

What it means is that they give 20 Australian dollars to all the students participating here.

제가 알기로는 한 한국 돈으로 18,000원 정도 되는 것 같아요.

As far as I know, it seems to be about 18,000 won in Korean money.

그걸 가지고 각자가 너의 비즈니스를 한번 해봐.

Give that a try and each of you can run your own business.

2만 원 주고요?

Are you giving 20,000 won?

네, 2만 원 주고.

Yes, I will pay 20,000 won.

그러니까 2만 원 주고 해봐.

So try doing it for 20,000 won.

그러면 사실은 생각하면 어떤 일을 하실 것 같으세요?

So then, if you think about it, what kind of work do you think you would do?

2만 원 주고 물건을 사다가 팔아야죠.

You have to buy something for 20,000 won and then sell it.

그렇죠.

That's right.

이게 바로 50세의 대답입니다.

This is the answer at age 50.

굉장히 좋은.

Very good.

저는 그걸 취재를 하면서 되게 놀란 건 뭐냐면

What surprised me while I was covering that was...

아이들이 2만 원씩 받은 아이들이 10명이 모여서

Ten kids who received 20,000 won each gathered.

학교 구석에서 카페를 만들어서 커피를 팔기도 하고요.

They also make a café in the corner of the school and sell coffee.

저는 제가 생각했을 때 그때 제가 굉장히

I thought that at that time I was very...

이건 너무 창의적이다 생각했던 건 뭐냐면

What I thought was very creative was what?

3명이서 2만 원씩을 모았어요.

Three people each saved 20,000 won.

그리고 그걸로 비료 푸드를 산 거예요.

And with that, I bought fertilizer food.

그리고 호주니까.

And because it's Australia.

농장이 많잖아요.

There are many farms.

돌아다니면서 그 농장에서 가축에 분뇨를 담았어.

I collected manure from the livestock on that farm while wandering around.

저희가 수거해드릴게요.

We will collect it for you.

이런 방식으로.

In this way.

그래서 그걸 담은 다음에 그걸 원예용 거름으로 팔았어요.

So after putting that in, I sold it as a gardening fertilizer.

그런데 너무 많은 수익을 얻은 거예요.

But I earned too much profit.

그리고 어떤 아이들은 되게 싼 양말을 샀어.

And some kids bought really cheap socks.

그리고 자기들이 그걸 천연 염료로 염색을 했어.

And they dyed it with natural dyes.

그래서 굉장히 고부가의 치료 상품을 팔기도 했어요.

So they sold very high-value treatment products.

그런데 저는 이 이야기들을 하나하나를 읽는데 너무 재밌는 거예요.

However, I find it so interesting to read each of these stories one by one.

그래요.

Okay.

그리고 어떤 애들은 그걸로 포스터를 만들었어.

And some kids made posters out of it.

그 돈을 가지고.

With that money.

그 포스터 내용이 뭐냐면

What the poster is about is...

몇 시에 어느 운동장에 와서 다 같이 운동을 하는 프로그램을 우리가 만들었어요.

We have created a program where everyone meets at a certain stadium at a specific time to exercise together.

그래서 그 사람들이 어른들이 모였어요.

So those people gathered the adults.

그중에 한 명이 나와서 운동하는 걸 보여줬어요.

One of them came out and showed me how to exercise.

그리고 돈을 받은 거예요.

And I received the money.

굉장히 적은 돈을 받았지만

I received very little money, but

2만 원이라는 창업자금하고 비교도 안 되는

It is incomparable to the startup fund of 20,000 won.

그렇죠.

That's right.

큰 일을 시작한 거예요.

You've started a big task.

큰 수익을 낸 거예요.

It's made a big profit.

그러네요.

That's right.

사실 저는 이때 이 하나하나의 사례를 읽는 게 너무 재밌는데

Actually, I find it really fun to read each of these cases at this time.

게다가 더 감동적인 건 뭐냐면

Moreover, what is even more touching is that...

이 아이들에게 무엇을 배웠어? 라고 물었더니

When I asked these kids what they learned,

이 아이들이 하는 말이 기업이라는 거는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곳이라는 걸 배웠어요.

I learned that what these children are saying is that a company is a place that solves societal problems.

그리고 나도 기업을 할 수 있다는 걸 배웠어요.

And I learned that I can also run a business.

그리고 힘을 합쳐서 일을 하면 더 잘 된다는 걸 배웠어요.

And I learned that when we work together, we can do even better.

그게 중학생, 고등학생?

Is that a middle school student or a high school student?

중, 고등학생들이 많아요.

There are man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너무 아름답잖아요.

It's so beautiful.

그래서 저는 사실 이런 것들을 한국에서 도입을 한다면

So, if I were to introduce these things in Korea,

사실 협업이라는 걸 말로 할 필요도 없고

In fact, there's no need to even talk about collaboration.

창의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는 거를 가르칠 필요도 없는 거잖아요.

There's no need to teach how to discover creative business models.

한번 해봐.

Give it a try.

교육의 변화라 함은 지금 말씀하신 그런 아예 뭐랄까

When we talk about the change in education, it refers to something like what you just mentioned.

정말 교육 방식 혹은 생각 자체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There is truly a need for a change in the way education is conducted or in the way of thinking itself.

어쇼, 네.

Oh, yes.

굉장히

very

의문의 현답을 또 해주시는 케이스가 되네요.

It seems to be another case of giving an answer to a question.

그러면 이제 조금 더 구체적인 거로 들어가서

Now, let's get into something a bit more specific.

그 아까 이제

That earlier now

포렌?

Foren?

네, 제가 볼 때는 결국 팀장님께서

Yes, I think in the end, the team leader will...

That

회사에 대한 고민에 어떻게 보면 그래도 해답의 하나로

In a way, considering the worries about the company, it can still be seen as one of the answers.

포렌을 하고 계신 게 아닌가라는 짐작이 드는데요.

I have a suspicion that you might be doing forensic work.

네, 맞아요.

Yes, that's right.

그리고 이제 포렌에서 가장 중요한 두 가지가

And now, the two most important things in Foren are

아까 온라인 활동과 오프라인 활동 두 가지를 말씀을 주셨는데

Earlier, you mentioned two types of activities: online and offline activities.

이게 저도 듣다 보니

As I listened to this, I also...

이게 그러면 온라인에서 모아서 오프라인 비즈니스로 가시는 건지

So are you collecting online and then moving to an offline business?

아니면 오프라인에서 사람을 모아서

Or gather people offline.

온라인에 양질의 콘텐츠를 더 하시는 건지

Are you adding more quality content online?

아니면 뭐 그 뭐랄까 선순환 구조?

Or, what should I say, a virtuous cycle structure?

혹은 어떤 방식으로 지금 사람을 모으고 키워가는 방향성을 잡고 계시는 건지.

Or in what way are you currently gathering people and determining the direction for their growth?

키워가는 방향성을 잡고 계시는 건지가 궁금합니다.

I'm curious if you have a clear direction for your growth.

저희 포렌에서는 링커라고 부르는 콘텐츠 프로바이더?

In our company, we refer to content providers as linkers?

기존에는 그렇게 불렀는데 링커라는 분들은

In the past, we used to call it that, but the people called linkers...

새로운 세계로 연결해 주신다는 의미에서 링커라고 부르고 있거든요.

We call it a linker because it connects us to a new world.

근데 저희는 현장에서 아까 말씀하신, 아까 말씀드린

But we are on-site, as I mentioned earlier.

한번 해봐가 굉장히 중요한 시대잖아요.

It's a very important era to give it a try.

저희는 새로운 시대의 콘텐츠 프로바이더는

We are the content provider of a new era.

배운 사람이 아니라 해본 사람이라고 생각해요.

I think it's not about being someone who has learned, but someone who has experienced.

근데 그

But that

해본 사람들이 나눠주는 지식을 저희가 드리고 싶은 거고

We want to share the knowledge that those who have tried it are willing to give.

그분들이 바로 링커시거든요.

They are the Linkers.

온라인이 먼저냐 오프라인 문제는 사실 중요하진 않은데

Is online first? The offline issue isn't really that important.

저희가 해보니까 경험적으로

We found out from experience that...

오프라인에서 오가는 굉장히 라이브한 콘텐츠.

Very live content that circulates offline.

사실 이런 거죠.

Actually, it's like this.

지금 저희가 이 100명에 가까운 관람객들을 만나뵙고.

We are now meeting with nearly 100 spectators.

시즌 7 맞방이라고 이렇게 많이 오실 줄이야.

I didn't expect so many people to come for the Season 7 match.

그러니까 깜짝 놀랐어요.

So I was really surprised.

저도 깜짝 놀랐습니다.

I was also surprised.

호응도 엄청 크시고.

The response is really great.

이런 관람객들하고 라이브하게 이런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있고

I am having live communication like this with these audiences.

이게 그냥 바로 담기고 사실 글로 쓰면 텍스트 콘텐츠인 거고

This can be instantly filled, and in fact, if written down, it's text content.

오디오 콘텐츠, 비디오 콘텐츠 굉장히 확산되잖아요.

Audio content and video content are spreading widely, aren't they?

사실 지금의 저희 스터디 모임이 굉장히 커뮤니티 중심으로

In fact, our current study group is very community-centered.

이런 공간 경험과 인터랙션이 굉장히 강하게 빌딩되고 있는데

Such spatial experiences and interactions are being built very strongly.

거기서 나온 콘텐츠는 그 자체로 굉장히 밸류어블하게

The content that comes from there is incredibly valuable in itself.

그리고 확산되고 있거든요.

And it's spreading.

지금은 그렇게 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We are currently operating mainly that way.

알고 있습니다.

I know.

그런 게 문제는 아니다라고 봐야겠네요.

I suppose that's not the problem.

그렇다면 거기서 링커라고 하는 분들의 수익 배분은 말씀해 주실 수 있을까요?

If so, could you let me know about the profit distribution for those referred to as linkers?

혹시 수익 배분해 주시는 건가요?

Are you possibly sharing the profits?

아니면 정액인가요?

Or is it a fixed amount?

사회적 기업만 하시는 건 아니잖아요.

You're not just doing social enterprises, right?

중앙일보가 역시 이거를 그냥 봉사 차원에서 소셜 임팩트성으로 그냥.

The JoongAng Ilbo is also doing this simply as a form of service, for social impact.

사실은 비즈니스를 하려고 했는데 수익이 안 나다 보니.

The truth is, I was trying to run a business, but I wasn't making any profit.

이익이 안 나지만.

It doesn't make a profit, but.

그렇죠.

That's right.

이익이 안 나다 보니 CSR이 될 수도 있죠.

Since there is no profit, it could become CSR.

아니 근데 지금은 굉장히 뭐.

No, but right now it's very...

저희는 시장에 대한 굉장한 확신이 있어요.

We have great confidence in the market.

이 시장에 대한.

About this market.

네.

Yes.

뉴클럽 컴피덴셜도 결국은 변화를 어떻게 대처해야 되느냐에 대한 이야기고요.

The New Club Confidential is ultimately a story about how to cope with change.

저희 포린도 같은 맥락이에요.

It's the same context as ours.

우리는 변화를 어떻게 대처해야 될 것인가.

How should we cope with change?

이 미래에 대한 불안에 대해서 어떤 답을 줘야 될 것인가가 포린이 나온 이유고요.

The reason why "Foreign" came out is to provide an answer to the anxiety about this future.

수익은 당연히 배분을 해 드려야죠.

Of course, the profits should be distributed.

네.

Yes.

그런데 그걸 이제 정률로 받아가시는 분들도 있고 드물게 정액으로 받아가시는 분들도 있고.

However, there are some who receive it as a percentage, and rarely, there are those who receive it as a fixed amount.

정률도 있고 정액도 있다.

There are both fixed rates and fixed amounts.

네.

Yes.

맞아요.

That's right.

그리고 정률도 사실은 이분의 기여도와 저희의 기여도에 따라서 그때그때 좀 달라지는데 그게 그때그때 너무 고무줄처럼 달라지면 안 되니까.

And the ratio of contributions actually varies depending on this person's contributions and our contributions, but it shouldn't fluctuate too much like a rubber band.

그렇죠.

That's right.

저희 내부에서는 분명한 기준이 있고 저희 링커가 되시면 우리 두 분도 굉장히 쉽게 아실 수 있는 그런 기준이 있습니다.

We have clear standards internally, and if you become our linker, you will easily understand those standards as well.

네.

Yes.

알겠습니다.

I understand.

적절한 수준으로 배분을 통해서 선정하고 있다.

It is selected through an appropriate level of distribution.

네. 맞아요.

Yes. That's right.

그런데 저희는 사실은 저희의 고객은 두 분이라고 생각해요.

However, we actually think that we have two customers.

두 파트가 있다고 생각하는데 여기서 변화를 잃고 싶어하는 그야말로 포린의 고객들이 있고요.

I believe there are two parts, and here we have those customers of Forin who truly do not want to lose the changes.

그렇죠.

That's right.

그리고 저희 쪽에 콘텐츠를 주시는 분도 저희의 고객이잖아요.

And the people who provide us with content are also our clients.

그렇죠.

That's right.

왜냐하면 저희가 콘텐츠를 주시고 플랫폼을 만들어 주시는 거니까.

Because you provide us with content and create the platform.

그런데 이 링커분들을 생각을 하면 저희는 지식 콘텐츠 기획사라고 생각하거든요.

However, when I think of these linkers, I consider us to be a knowledge content planning company.

네.

Yes.

그래서 이분들의 콘텐츠를 굉장히 쉽게 끄집어내고 이분들을 브랜딩함으로써 저희는 상품을 팔고 이분들을 성장시키는 일이잖아요.

So by easily extracting their content and branding them, we are selling products and helping them grow.

그렇죠.

That's right.

네.

Yes.

그래서 이분들 중에 나는 콘텐츠를 끄집어내는 게 굉장히 쉽다라고 생각하는 분들 계실 거 아니에요.

So among these people, there are probably those who think it's very easy to extract content.

글을 너무 잘 써.

You write really well.

그리고 모임도 너무너무 잘 기획하시고 제가 도와드릴 필요가 없어.

And you plan the gatherings so wonderfully that I don't need to help at all.

네.

Yes.

당연히 수익을 되게 많이 드리고요.

Of course, I will give you a lot of profits.

그런데 그분들 중에 나는 콘텐츠는 너무 많은데 글 쓰는 건 되게 어렵다.

However, among those people, I have too much content but find it really difficult to write.

정리가 안 돼.

It's disorganized.

저희가 전문가가 있죠.

We have experts.

그러니까 저희가 기획해드리고 도와드릴 수 있어요.

So we can plan and assist you.

대신에 우리의 기여도 때문에 저희가 더 많이 가져갈 수 있어요.

Instead, we can take more because of our contribution.

그래서 기여도가 바뀐다는 얘기를 하시는 거군요.

So you're saying that the contribution level changes.

네.

Yes.

맞아요.

That's right.

네.

Yes.

알겠습니다.

I understand.

그러니까 어떻게 보면 굉장히 케이스 바이 케이스로 대응을 하시는.

So, in a way, you are responding very much on a case-by-case basis.

네.

Yes.

맞아요.

That's right.

네.

Yes.

그게 저희가 생각하는 공정인 것 같아요.

I think that’s what we consider to be fair.

그거 관련해서 하나 그래서 더 질문이 있었는데요.

I have one more question related to that.

그 말씀은 알겠는데 아까 1부에서 얘기해 주실 때 오프라인 아까 모델레이터가 만드는 그 주제 그다음에 내용이 상당히 구체적이고 디테일한 부분들이던데

I understand what you're saying, but when you mentioned it earlier in Part 1, the subject created by the offline moderator and the content were quite specific and detailed.

네.

Yes.

어떤 주제인가요?

What is the topic?

어떤 주제를 어떻게 선정하고 기획하게 되시는지.

How do you choose and plan for a certain topic?

네.

Yes.

또 모델레이터를 어떻게 선정하시는지.

Also, how do you select the moderator?

네.

Yes.

어떤 주제들이 있었는지도 좀 얘기해 주시면 재미있을 것 같고요.

I think it would be interesting if you could talk about what topics there were as well.

네.

Yes.

저희가 지금은

We are currently

그냥 막 꼽으시는 거 아니에요?

Aren't you just randomly picking?

그냥 막.

Just randomly.

죄송합니다.

I'm sorry.

사실은 아니요.

The truth is no.

예를 들면

For example

유머라고 하신 거네요.

You mean it's a joke.

굉장히 재미있었어요.

It was really fun.

네.

Yes.

이게 통하네.

This works.

네.

Yes.

아니.

No.

그런데 저희가 사실은 백배 백중의 기획을 할 수는 있다고 생각하지 않아요.

However, we don't actually think we can plan a hundred percent perfect project.

그럼요.

Of course.

어렵죠.

It's difficult.

예를 들면 그런 건 없다고 생각하고 예를 들면 저희가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은 아니고 저희가 기획해서 상품에 공들여 만든 다음에 내놓는데 물론 굉장히 저희가 인기가 좋은 경우가 많았지만

For example, I don't think there is anything like that, and for instance, we don't have a crowdfunding system; we plan and put a lot of effort into creating products before launching them, and of course, there have been many cases where we were very popular.

네.

Yes.

드물게 좀 어려움을 겪고 판매 어려움을 겪은 콘텐츠도 있었거든요.

There were some contents that occasionally faced difficulties and struggled with sales.

네.

Yes.

그런데 지금의 저희 모델에서는 어쨌든 저희가 주도권을 가지고 기획을 하고 있고 그 과정에서 모델레이터 등 포함한

However, in our current model, we are taking the lead in planning, and in that process, it includes things like the modeler.

네.

Yes.

저희는 저희 이라고 하는 거는

What we refer to as "we" is...

저희 포린네버에서

At Foreign Never

저희 포린 에디터들이

Our foreign editors

네.

Yes.

되게 중요한 거는 저희가 이 트렌드를 굉장히 정확하게 읽어야 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What is very important is that we need to accurately read this trend.

그렇죠.

That's right.

네.

Yes.

그래서 그 트렌드를 읽고 어떤 분들이 이 트렌드에 대해서 정확한 인사이트를 주실 수 있느냐를 우리가 제대로 볼 수 있는 안목이 있느냐 이게 포리넷 콘텐츠팀의 경쟁력이 될 거라고 생각하고.

I believe that being able to read that trend and having the insight to determine who can provide accurate insights about it will be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the PolyNet content team.

네.

Yes.

굉장히 인사이트를 주실 수 있는 분들을 저희가 쉽게 모시고 올 수 있느냐

Can we easily bring in people who can provide us with great insights?

이분들을 모시고 왔을 때 그 콘텐츠를 제대로 기획해낼 수 있느냐

Can you properly plan the content when you bring these people in?

이런 게 저희 경쟁력이라고 생각하고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I believe this is our competitiveness, and we are working hard on it.

덧붙여서 제가 궁금한 거 하나만 여쭤보면

Additionally, if I could ask you just one thing I'm curious about...

저는 사실 광고 마케팅 쪽을 주로 했어서

I actually focused mainly on advertising and marketing.

지금 팀장님 말씀 주신 것처럼

As the team leader just mentioned now,

기획을 잘하고 웰메이드 콘텐츠를 만들어야 된다.

We need to plan well and create well-made content.

그리고 링커가 좋은데 이미 저희 보니까 링커분들의 수준이나

And the linkers are good, but we've already seen the level of the linkers.

만들고 계신 콘텐츠의 수준은 아까 말씀하신 것처럼

The level of the content you are creating is, as you mentioned earlier,

정말 그냥 적절한 수준이 아니라

It's really not just an appropriate level.

정말 구체적이고 디테일하게

Really specific and detailed.

아주 고급진 정보라는 거는 공감이 되거든요.

I can relate to the fact that it's very high-level information.

그런데 역으로 그게 아까 말씀하신

However, conversely, that's what you mentioned earlier.

그런데 의외로 흥행이 안 되는 이유가

However, the unexpected reason for it not being a hit is...

콘텐츠의 문제가 아니라

It's not the issue of the content.

그 콘텐츠를 필요로 하는 사람을

People who need that content.

그러니까 쉽게 얘기하면 포린의 진짜 고객을 어떻게 끌어올 거냐도

So to put it simply, how are we going to attract real customers to Porin?

문제일 것 같거든요.

I think it might be a problem.

예를 들면 이미 우리가 확보하고 있는 그런 고객층이

For example, the customer base that we have already secured.

뭐 100만 명이라든지

Well, like a million people or so.

100만 명이다.

It is one million.

그러면 의외로 되게 손쉽게 더 큰 규모를 만들어낼 수 있었을 텐데

Then, surprisingly, it could have been quite easy to create a larger scale.

라는 것도 있으실 것 같거든요.

I think there might be that too.

그리고 포린이 아직 그렇게 오래된 서비스가 아니니까

And since Foreign is not such an old service yet.

그럼 적절한 고객들을 찾는 거

Then finding the right customers.

혹은 타겟팅해서 홍보를 해서 알려오는 거

Or it could be promoting through targeted advertising to inform.

이런 부분들도 고민이 있으실 것 같은데

I think you might have some concerns about these aspects as well.

어떻게 해결하고 계신지

How are you solving it?

마케팅은 굉장히 저희가 아니라

Marketing is not really about us.

모든 비즈니스를 하시는 분들 다 고민일 거라 생각하고

I think everyone in business must be worried about it.

저희도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굉장히 많이 발전은 하고 있다고

We are also making a lot of progress through trial and error.

생각해요.

I think.

근데 지금 단계에서는 저희가 내놓는 스터디 상품들은

But at this stage, the study products we are offering are

거의 대부분은 사실 매진을 기록하긴 했거든요.

Almost all of them actually sold out.

그러면 저희가 생각해도 좀 신기한 부분은

Then, what we find a bit fascinating is...

저희가 한 달에 쓰는 마케팅 비용이 굉장히 적은데

The marketing budget we spend per month is very low.

어떻게 이분들이 포린을 알고 찾아오셔서

How did these people come to know about Forin and come here?

이렇게 빨리 예를 들면

For example, this quickly.

어떤 하루 이틀 만에 매진되는 상품들도 나오고

Some products sell out within just a day or two.

어떻게 이렇게 신청하실까 되게 궁금한데

I'm really curious about how you applied like this.

지금은 저희가 얼리 어댑터 마케팅을 하고 있는데

Right now, we are doing early adopter marketing.

이제 있는 것 같아요.

I think it exists now.

그래서 이런 것들을 굉장히 적극적으로 소비하시고

So you actively consume things like this.

소문내시는 분들으로만 사실은 지금은

Only those who spread rumors, in fact, right now.

어느 정도는 굴러가고 있는 수준의

It is at a level that is somewhat operational.

작은 규모의 비즈니스를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I think I'm running a small-scale business.

물론 이 다음 단계로 점프를 해야 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Of course, I believe we need to jump to this next stage.

그리고 그 단계를 하기 위해서

And to take that step

마케팅을 굉장히 열심히 배우고 있어요.

I am learning marketing very diligently.

퍼포먼스 마케팅도 저희 나름대로는 시도를 해보고 있고

We are also trying our best to experiment with performance marketing.

매스 마케팅도 해야 된다고 생각해요.

I think mass marketing is necessary too.

알겠습니다.

Understood.

자.

Okay.

That

아까 누구죠?

Who was it earlier?

우리 제레미 리프킨이었죠?

We were Jeremy Rifkin, right?

제레미 리프킨이 자기 손자들에게 이렇게 얘기하는데

Jeremy Rifkin tells his grandchildren like this.

우리 손자까지는 아니더라도

"At least not our grandson."

앞으로 5년 후에 우리 폴린은 어떤 서비스가 되어 있을까요?

What kind of service will our Pauline be in five years?

저희가 지금 생각하기에 우리가 어떤 시장으로 가고 있느냐를

We're currently considering which market we are heading towards.

사실 최근에 좀 저희가 인지를 했다고 생각해요.

Actually, I think we've become somewhat aware of it recently.

뭐였냐면 폴린 스터디에 오신 분이 그 말씀을 하셔서 알았는데

What happened was that someone who came to the Pauline study mentioned it, and I found out.

자기가 어떤 대학교에 무슨 대학원을 다녔는데 폴린 대학원이 더 재밌다라는 말씀을 하시더라고요.

They said that they attended a certain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but that Pauline's graduate school is more interesting.

제가 그 얘기를 듣고 저희 팀원들하고 얘기를 했어요.

I heard that story and talked to my teammates.

그러고 보니까 요즘 직장인들이 야간 대학원을 안 가는구나.

Come to think of it, these days, office workers are not going to night graduate school.

왜야 그렇지?

Why is that?

그리고 MPA도 사실 옛날 만큼 많이 안 가고 최고의 경영 과정도 사실은 되게 적게 가잖아요.

And honestly, people don't go to MPA as much as they used to, and there are actually very few top management courses.

왜 그렇지? 라고 생각을 했더니 저희가 분석한 거는 대학원이 기존의 이런 성인 교육과정과는 다르거든요.

Why is that? When I thought about it, what we analyzed is that graduate schools ar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adult education programs.

그렇죠.

That's right.

식었죠.

It's cold.

이런 성인 교육 시장에서 주던 가치를 더 이상 주지 않고 있는 건 아닐까라는 생각을 했고

I wondered if we are no longer providing the value that we used to offer in this adult education market.

그 가치가 뭐였을까라고 생각하니까 세 가지였던 것 같아요.

I think the value of it was three things.

콘텐츠와 네트워크 그리고 학위.

Content, network, and degree.

그런데 제가 생각할 때 이제 학위는 더 이상 크게 중요한 시대가 아니잖아요.

However, I think that a degree is no longer very important in this era.

그렇죠. 많이 변했죠.

That's right. A lot has changed.

이력서에 내가 석사학위 있다 그러면 그게 어떤 자신에 대한 증명이 되는 시대가 아니니까

Having a master's degree on my resume doesn't prove anything about myself in this day and age.

지났죠.

It has passed.

의미가 없고 콘텐츠 배움이란 면에서 교수님들이 가르치는 강의가 더 이상 중요한 시대가 아니잖아요.

It's no longer an era where lectures taught by professors are important in terms of content learning and have meaningful value.

더 이상 현장과 밀접하게 닿아 있지 않다고 생각하니까 좀 유효하지 않다라고 생각하는 것 같고

I think it seems a bit invalid because I no longer feel closely connected to the field.

이게 유효하지 않으니까 사실은 거기서 일어나는 멤버 간의 네트워크가 그렇게 중요하지 않은 것 같아요.

Since this is not valid, it seems that the network among the members there is not that important.

그런데 그러면 포리는 어떤 가치를 줄 수 있지? 라고 생각할 때 이 콘텐츠 면에서는 저희는 굉장히 자신이 있어요.

So then, what value can Poli provide? When I think about it, we are very confident in this content aspect.

우리가 읽어내는 트렌드가 훨씬 빨라 그리고 우리 쪽에 와서 콘텐츠를 주시는 분들은 정말 현장을 장악하고 있는 변화를 이끌고 있는 분들이야라는.

The trends we are interpreting are much faster, and the people who come to us with content are truly the ones leading the changes that dominate the field.

자신감이 굉장히 있고요.

I'm very confident.

이것 때문에 사실은 포린의 스터디 멤버들이 굉장히 얼리 어댑터 트렌드를 이끌어가는 분들이 사실 어떻게 보면 링커로 활약하고 계시는 분들도 꽤 있지만 링커로 활약하실 만한 분들이 스터디를 멤버로서 돈을 내고 들이고 계세요.

Because of this, the members of the study group at Porin are actually very early adopters who are leading trends, and in a way, there are quite a few who are actively participating as linkers. However, those who are capable of playing the role of a linker are paying to be part of the study as members.

굉장히 좋은 네트워크가 생기고 있다고 생각하고 마지막에 이 학위 부분, 소티피케이션 부분인데 이 부분을 저희가 어떻게 갈증을 해소해 줄 수 있을까.

I believe a very good network is being established, and finally regarding the degree and certification part, how can we quench this thirst?

제가 생각할 때 교육부가 인증한 학위인데.

I think it's a degree accredi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네.

Yes.

이 학위를 받고 싶어하는 분들은 없을 것 같은데 그게 아니라 시장에서 나는 이렇게 적극적으로 나를 개발하는 사람이라는 걸 인정만 받으면 되는 거잖아요.

I don't think there are many people who want to receive this degree, but it's not that; what matters is being recognized in the market as someone who is actively developing myself.

그렇죠.

That's right.

그 부분을 해소해 줄 수 있다면 굉장히 완전한 서비스가 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고 저는 5년 뒤도 아니고 한 2년 정도 뒤에는 이 다음 단계로 나갈 수 있을 것 같은 것 같아요.

If that issue can be resolved, I believe it could become a very complete service, and I feel that we could take the next step in about two years, not even five years from now.

포린 스터디가.

Foreign study.

이 시장은 굉장히 클 것 같은 것 같아요.

I think this market will be very big.

저는 지금 말씀을 듣다 보니 결국 포린이 2년 뒤 혹은 5년 뒤에는.

As I listen to what you're saying now, it seems that ultimately, after 2 or 5 years, for me...

네.

Yes.

대한민국 석박사 과정을 대신하고 있는 서비스가 될 수 있다는 말씀으로 들렸고 저는 충분히 그런 의미가 있다.

I understood it to mean that it could serve as a substitute for the master's and doctoral programs in South Korea, and I think it has enough significance.

아까 말씀하신 것처럼 학위도 그리고 콘텐츠도 네트워크도 그래도 제일 잘해준다고 했던 석박사 과정이나 MBA나 최고 경영자 과정이 실제 그 역할을 못하고 있기 때문에 점점 더 포린에게 어떻게 보면 굉장히 좋은 시장의 기회가 열리고 있는 게 아닌가 라는 생각이 진짜 드네요.

As you mentioned earlier, I see that the master's and doctoral programs, as well as MBA and executive programs, are not fulfilling their roles despite claiming to provide the best degrees, content, and networks. This makes me genuinely think that there are increasingly good market opportunities opening up for foreigners.

네.

Yes.

그러면 이제 마무리를 우리가 해야 될 것 같은데요.

I think it's time for us to wrap things up now.

그냥 바로 마무리 하면 될 것 같은데 우리 옹 대표님.

I think we can just wrap it up right away, our representative.

네.

Yes.

어떻게 보셨습니까 오늘?

How did you see it today?

네 저는 어쨌거나 지금 팀장님이 나오셔서 아까 기자의 경력이 있으셨고 직접 책도 쓰셨고 그다음에 이제 뉴콜라라는 것에 대한 어떤 얘기 그다음에 그걸 통해서 이제 포린이 가고 있는 부분들을 얘기해 주신 게 역시 기자는 다르구나라는 게 느껴졌고요.

Yes, anyway, the team leader came out and mentioned that the journalist had experience and had also written a book. They talked about New Cola and then shared insights on where Foreign is heading, which made me feel that journalists are indeed different.

그런데 되게 와닿았던 거는 그니까 물론 본인의 선택이셨겠지만 아까 15년 정도 기자 생활을 하셨다고 했는데.

However, what really resonated with me was that, of course, it must have been your choice, but you mentioned that you worked as a reporter for about 15 years.

네.

Yes.

ика활 GM이었 Doesn't matter.

It doesn't matter that I was a GM.

요.

It is.

기자 생활을 하셨다고 했는데 근데 이제 20대 중반 정도에 시작하셨을 거잖아요.

You mentioned that you worked as a reporter, but you probably started in your mid-twenties.

저는 10대 때문이에요.

It's because of my teenager.

그러니까 제 얘기는 그때는 사실 그게 사양산업인지 좋은 산업인지에 대해서 완전히 인지하고 하기는 어려웠을 거거든요.

In other words, what I'm saying is that at that time it would have been difficult to fully recognize whether it was a declining industry or a good industry.

어떻게 보면 약간 운이었던 거죠.

In a way, it was somewhat lucky.

예를 들면 저는 제 사회생활에 처음에 네이버라는 회사에 들어갔는데 정말 직원이 10명짜리 회사였는데 제가 병특을 끝내고 10년을 지냈더니

For example, I first joined a company called Naver in my social life, and it was truly a company with only 10 employees, but after I completed my military duty and spent 10 years there...

10,000명짜리 회사가 됐으니까요.

It's become a company with 10,000 people.

근데 물론 제가 일부는 기여했겠지만 저의 기여보다는 그냥 그 기세와 그 회사에 제가 들어갔기 때문에 되게 운이 좋았다고 분명히 생각하거든요.

But of course, I contributed to some extent, but I definitely think I was very lucky just because of the momentum and the fact that I joined the company.

근데 마찬가지로 꿈꾸시던 거였는지는 모르겠습니다.

But I don't know if it was also something you were dreaming of.

기자를 하셨는데 그 산업이 사양산업으로 들어갔을 때 어떻게 미래를 해야 되지 라는 말을 되게 불안하게 하셨지만 결국은

You were a journalist, and when that industry entered a decline, you expressed a lot of anxiety about how to approach the future, but in the end...

포린이라는 대안을 찾아서 지금 그 다음 스텝을 하고 있다는 게 너무 느껴졌어요.

I felt that finding an alternative called Porin and moving on to the next step was very evident.

그게 바로 뉴 칼러죠.

That's the new color.

그렇죠.

That's right.

왜냐하면

Because

그러면 대부분의 사실 기자 분들이 굉장히 훌륭하신 분들이 기자가 됐음에도 불구하고 제가 뭐 이렇게 또 그렇게 얘기하면 함부로 얘기하면 안 되겠지만

Well, most of the fact-checking journalists are really great people, and although they became journalists, I shouldn't speak carelessly like this.

말씀하신 것처럼 굉장히 답답한 현실 속에서 그 현실을 그냥 지켜내려고 하고 있는 과정이 많이 있어서 때로는 사회적으로 지탄을 받고 하는 부분이 있는데

As you mentioned, there are many situations where we are just trying to endure this frustrating reality, and sometimes this leads to social criticism.

어떻게 변화해야 되는지를 포린이 잘 되고 안 되고를 떠나서 지금 몸소 보여주고 계신 게

What you're currently demonstrating, regardless of whether Polo is doing well or not, is how to change.

저는 되게 기분이 좋은 거는 저는 아까 말씀하셨는데 저는 중학생 때부터 기자를 하겠다고 생각했어요.

I feel really good about it because, as you mentioned earlier, I've thought about being a journalist since I was in middle school.

제가 기자를 했고 기자를 하는 15년 동안 굉장히 많은 고민은 하고 있었지만 제가 되게 가지고 있었던 건 나는 기자라는 직업이 너무 좋다.

I have been a journalist for 15 years, and while I have had a lot of concerns during that time, what I have really held onto is that I love the profession of journalism.

이 본질이 너무 좋다.

This essence is so good.

그 본질이라는 건 사실은 사람들을 만나고 이 사람들의 인사이트를 전달하는 일이 너무 좋았기 때문에 인더스트리가 굉장히 어려워졌지만 떠나야겠다는 생각을 못했어요.

The essence of it is that I really enjoyed meeting people and conveying their insights, so even though the industry became very difficult, I couldn't bring myself to think about leaving.

그런데 저는 지금 포린에서 하는 일은 똑같은 일이라고 생각하거든요.

However, I think the work I'm doing at Ford is the same.

제가 기사를 쓸 때나 포린을 통해서 콘텐츠를 전달하는 일이 똑같은데.

When I write an article or deliver content through a platform, it’s the same thing.

사실은 훨씬 더 큰 규모로 되게 더 의미하게 하고 있다고 생각돼서 굉장히 행복하다고 생각합니다.

I believe that it is becoming more meaningful on a much larger scale, and I feel very happy about it.

그렇게 저는 그래서 지금 딱 말씀드린 그게 어떻게 보면 그 다음으로 가는 방향을 찾으신 거라서 저는 그게 되게 의미 있게 들렸고요.

So, in that way, what I've just mentioned is, in a sense, finding the direction for the next step, and I found it very meaningful.

그리고 저희가 쫄투 시즌 7을 마감하고 있으니 그 관점에서 보면 저도 주로 저는 진행을 많이 하지는 않았지만 시즌 7은 여러 자의 반 타의 반으로 제가 쭉 진행을 하게 됐는데 하면서 느낀 거는

And since we are wrapping up Season 7 of the program, from that perspective, I haven't been primarily the host, but I ended up hosting quite a bit throughout Season 7, and what I've felt while doing that is...

사실 쫄투를 맨 처음에 만들 때 저도 그렇고 송강대 대표님.

Actually, when we first created Joltu, both me and the CEO of Songgangdae.

그 스타트업이나 스타트업 소식을 늘 우리가 기사나 기자분들의 A4 두 장 세 장 길어야 특집으로 해서 세 네 장 분량으로 밖에 못 듣는데 어떻게 하면 좀 더 깊이 있게 들을까라고 해서 거의 한 시간짜리 한 기업에 대해서 얘기하는 방송의 시작이 쫄투였거든요.

The start of the broadcast "Jolt" was because we often hear about startups or startup news only in two or three pages of articles, and we were wondering how we could get more in-depth information, so we decided to have a nearly one-hour discussion about a single company.

그 이후로 9년간 했지만 저희가 죄송스럽게도 거의 발전 없이 계속 그 모습 그대로 하고 있어서 머리만 흰머리가 더 많아지고 저도 좀 더 늙어가는 모습만 보여드렸지 다른 게 없어서 되게 부끄럽기도 하지만.

Since then, we have been doing it for nine years, but I apologize that we've continued to show the same state without much progress, with just more gray hairs and me aging a bit more, so I feel quite embarrassed that there's nothing else to show.

그렇게 했다는 게 되게 의미 있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지금 포린이 아까 추구하시는 방에 제가 되게 좀 쓸데없는 질문을 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I thought it was very meaningful that you did that, but now I feel like I asked a really unnecessary question in the room you were pursuing earlier.

어떻게 하면 확장성을 갖겠느냐라고 말씀드렸는데 저는 그 콘텐츠와 그 퀄리티의 끝에서 그 끝을 원하시는 사람들이 그동안 못 채우고 있던 거를 채워주는 역할을 포린이 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 어떻게 보면 팀장님의 개인의 변화에도 그리고 포린이라는 사업이나 서비스의 변화에도 굉장히 흥미가 많이 갔던 것 같아요.

I mentioned how we can achieve scalability, and I believe that Porin can play a role in fulfilling the needs of those who have been wanting to achieve the best in terms of content and quality. In a way, I found it very interesting regarding both the personal transformation of the team leader and the changes in the Porin business or service.

저는 이게 미디어가 어떻게 변화할 수 있을지에 대한 해답을 줬으면 좋겠고 제가 생각할 때 미디어가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가장 큰 밸류 중에 하나는 지식인 것 같아요.

I hope this provides an answer to how media can change, and I think one of the greatest values that media can contribute to society is knowledge.

지식이 또 다른 말로 하면 교육이고 그래서 오늘의 키워드는 교육으로.

Knowledge is also referred to as education, and therefore today's keyword is education.

김 대표님 어떠셨는지.

How was Mr. Kim?

오늘 제가 보기에는 이미 말씀을 많이 하셔서.

I think you've already spoken a lot today.

임미진 기자님의.

Reporter Lim Mi-jin.

포린의 책임자로서의 변화 또 거기서 느껴지는 뉴 칼라라고 하는 그리고 또 뉴 칼라라고 하는 걸 통해서 이 책을 통해서 또 뉴 칼라라는 사람들이 우리나라에 많이 어떤 모범도 만들어주셨고 그런 모범적인 사람들이 또 많이 나타났으면 하는 또 제 바람도 여기 있고요.

As the head of the foreign community, there has been a transformation, and through what is felt in that, referred to as the "New Color," I hope that this book will also contribute to creating many role models in our country, and that many exemplary individuals will emerge as well.

또 그런 뉴 칼라들을 많이 어떻게 보면 찾아주고 그런 사람들을 만들어주는데 또 많은 계속해서.

It also continues to find many of those new colors and create those kinds of people.

노력을 기울였으면 하는 마음이 또 간절합니다.

I sincerely hope that efforts will be made.

짤막하게 이미 몇 번 걷으셨기 때문에 짤막하게.

Since you have walked a few times already, briefly.

이 방송을 보시는 청취자나 거의 없어요.

There are almost no listeners watching this broadcast.

오늘의 출연 소감과 근데 분명히 이건 있을 거예요.

Today's appearance feelings, and I'm sure there will be something.

분명히 이제 포린에 관심이 있거나 그 서비스를 아까 말씀드린 것처럼 꽤 고가이기 때문에 하려는 분들이 분명히 유튜브에서 괜히 점플 거거든요.

Clearly, those who are interested in Porin now, or those who want to try it since, as I mentioned earlier, the service is quite expensive, will definitely be jumping on YouTube for no reason.

포린 이렇게 치면 팀장님의 콘텐츠가 나올 거거든요.

If you type like this, the team leader's content will come out, you know.

저는 사실은 근데 아까 말씀하셨지만.

Actually, but as you mentioned earlier.

쫄깃한.

Chewy.

이 방송이 사실은 굉장히 스타트업 생기기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 너무 잘 알고 있던 터라서 여기 초대받은 게 굉장히 영광스럽고 정말 감사했어요.

I was very aware of how important this broadcast is for the creation of startups, so it was a great honor to be invited here, and I am truly grateful.

그리고 특히 제가 작년에 내놓은 뉴 칼라 관련한 이 책들을 그렇게 열심히 봐주시고 캡스톤 파트너스의 어떤 그 띔으로 삼아주신 것도 너무 감사하고.

And especially, I am very grateful that you have looked at the books related to the new color that I released last year with such enthusiasm and made them a basis for Capstone Partners.

제가 사실은 이 책과 제 기존의 기자 경력과 포린을 통해서.

In fact, through this book and my previous journalism career and experiences.

포린을 통해서 드리고 싶은 말씀은 정말 하나예요.

What I want to say through Porin is really just one thing.

지금 우리는 굉장한 급격하게 변화하는 전환기를 살고 있거든요.

We are currently living in an extraordinarily rapidly changing transition period.

이 전환기에서 불안하지 않은 사람은 아무도 없고 불안하지 않으면 이상한 거라고 저는 생각하지만 이랬을 때 누군가는 변화를 잃고 미래에 대해서 호기심과 기대감을 가지고 있다.

I believe there is no one who is not anxious during this transitional period, and it would be strange not to be anxious; however, at the same time, some people lose sight of change and have curiosity and anticipation about the future.

그랬을 때 훨씬 더 많은 것들이 좋게 다가올 수 있을 것이다.

At that time, many more things could come to you positively.

그런데 어떤 사람들은 귀를 막고 있다.

However, some people are covering their ears.

귀를 막고 있다고 생각을 해요.

I think you're closing your ears.

저도 사실은 귀를 막고 있었던 시기가 있었어요.

I also had a time when I covered my ears, to be honest.

듣고 싶지 않고 언젠가는 신문이 없어질 거라는 말을 듣고 싶지 않고 그냥 여기 안주하고 싶었던 시간들이 있거든요.

I didn't want to hear that I didn't want to listen and that newspapers would eventually disappear; there were times when I just wanted to settle here.

그런데 저희 포린만이 아니라 굉장히 다양한 교육 서비스와 지식 콘텐츠 플랫폼들이 변화를 잃고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서 도와주고 있거든요.

However, it's not just us at Forin; many diverse educational services and knowledge content platforms are helping to prepare for the future and adapt to changes.

그런데 굉장히 중요한 거는 우리가 계속 교육 얘기를 하지만.

However, what is very important is that we keep talking about education.

대학을 나오면 교육이 끝나던 시대예요.

It is an era where education ends after graduating from university.

교육이 끝나던 시대는 정말로 종말이잖아요.

The era when education was finished is truly the end.

계속해서 공부를 해야 되는 시대고 계속 변화를 잃고 내가 어떻게 달라져야 할지를 고민해야 되는 시대인데 저희 포린도 작은 역할을 하고 싶고

It is an era where we must continue to study and constantly reflect on how we should change while not losing sight of changes, and we at Porin would like to play a small role in this.

굉장히 좋은 서비스들 예를 들면 이 책을 냈던 퍼블리나 트레바리, 스터디파이, 패스트캠퍼스 굉장히 다 저는 동료라고 생각하고 다 같이 평생학습의 시대를 열어갔으면 좋겠어요.

I think services like Publ.li, Trevari, Studyify, and Fast Campus, which have released great books, are all my colleagues, and I hope we can all work together to open the era of lifelong learning.

새로운 방식으로 교육을 하는 시대로.

An era of educating in a new way.

네 맞아요.

Yes, that's right.

네 알겠습니다.

Yes, I understand.

오늘 임희진 팀장님 출연해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Thank you sincerely for joining us today, Team Leader Im Hee-jin.

파이팅입니다.

It's fighting!

네 정말 감사합니다.

Yes, thank you very much.

네 감사합니다.

Yes, thank you.

수고하셨습니다.

Thank you for your hard work.

Continue listening and achieve fluency faster with podcasts and the latest language learning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