ε. Vindication of Tradition, Ch. 3

강유원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

ε. Vindication of Tradition, Ch. 3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

야로슬라프 펠리칸의 전통을 옹호하다

Defending the tradition of Jaroslav Pelikan.

The Vindication of Tradition 챕터 3

The Vindication of Tradition Chapter 3

오늘 챕터 3 읽겠습니다

I will read chapter 3 today.

지난번에 챕터 2 얘기를 조금 더 해보면요

If we talk a bit more about Chapter 2 from last time...

전통을 회복한 사례가 있어요

There is a case of restoring tradition.

그럼 전통을 회복해서 어떻게 할 것인가

Then how will we restore the tradition?

두 가지 방법이 있죠

There are two methods.

두 가지가 있죠

There are two things.

회복했으니까 그걸 하나도 1.1핵도 틀리지 않게 그대로 지켜야 한다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을 수 있겠고

Since I have recovered, there may be people who say that I should adhere to all of that without making any mistakes, not even a single 1.1 point.

회복했으니 됐고 그냥 우리는 오늘을 살자 이렇게 얘기할 수도 있죠

Since we've recovered, that's enough, and we can just say let's live for today.

그리고 그것을 역사로 간주한다라고 하는 것도 이중적인 의미가 있어요

And saying that it is regarded as history has a dual meaning.

그건 역사니까 역사라고 우리가 할 때

That's history, so when we say it's history.

가령 신라의 삼국통일 통일신라 역사

For example, the history of Unified Silla during the Three Kingdoms unification.

역사죠

It's history.

통일신라로부터 우리가 무엇을 끄집어낼 수 있을까요

What can we draw out from Unified Silla?

사실 끄집어낼 게 없어요

Actually, there's nothing to pull out.

없다고 생각하면 그만이죠

If you think there isn't, then that's it.

그러니까 역사를 과거의 문헌을 따져 묻는 사람들

So those who question history based on past documents.

이런 사람들에 대해서 쓸데없는 짓 한다

Such people do unnecessary things.

그렇게 얘기를 하고 있겠죠

They are probably talking like that.

지금 제 책상에 눈앞에 눈앞에 놓여 있는 그러니까 창문 밑에

Right now, it's placed in front of me on my desk, that is, under the window.

제 방 창문 밑에

Under the window of my room.

3단짜리 책꽂이가 이렇게 있는데 거기에 꽂혀 있는 게 제 눈앞에 늘 놓여

There is a three-tier bookshelf, and what is placed on it is always right in front of my eyes.

제가 말씀을 여러 번 드려서 말씀을 모르겠는데

I've told you several times, so I'm not sure what you're trying to say.

중국 고고학

Chinese archaeology

그 다음에 중국 지식인들과 정체성

Then, the identity of Chinese intellectuals.

중국의 예치 시스템

China's deposit system

그 다음에 고지마 수요시 성악의 형성과 전개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Vocal Music in Kojima, Sueo.

성나라의 슬픔

The sadness of the holy nation.

그 다음에 조선시대 중종 있죠

Next, there is King Jungjong of the Joseon Dynasty.

중종시대

Jungjong Era

그 다음에 논쟁으로 보는 중국지식인

Chinese intellectuals viewed as a debate.

철학

Philosophy

그 다음에 청나라 황제 때 사고전서

Then, during the Qing Dynasty, the "Sikokjeonse."

성리학에서 고중학으로 이 캘리포니아 아빠

From Confucianism to high school, this California dad.

텍스트의 제국

The Empire of Text

그 다음에 영남 살인파의 형성

The formation of the Yeongnam murder group.

그 다음에 미야지마 히로시의 양반

Next is Miyajima Hiroshi's gentleman.

불시작변

Unexpected change

조선왕조의 기원

The origins of the Joseon Dynasty.

1945년 8월 15일 천황 히로이트는 이렇게 말하였다

On August 15, 1945, Emperor Hirohito said this.

프리하이파리에서 나온 책인데 버리지 않고 그냥 적은 놔뒀어요

It's a book that came out from Free High Party, and I just left it as it is without throwing it away.

제자백과

The Collection of Master and Disciple

이해영 선생님이 쓰신 책인데

It's a book written by teacher Lee Hae-young.

이런 것들이 있어요

There are things like this.

조선사회사 연구

Research on Joseon Society

건국의 정치

Politics of the founding nation

조선왕조사회의 성취와 기속

The achievements and constraints of the Joseon Dynasty society.

그리고 그 아래에 보면은

And below that, you can see...

조상의 눈 아래에서

Under the eyes of ancestors

대동법

Daedong Law

언제나 민생을 염려하느니

Always concerned about people's livelihoods.

그리고 이 아래쪽으로 보면

And if you look down here,

에리 아우바하의 미베시스

Erri Aubahe's Mibeshis

단테

Dante

이마미치

Imamichi

이마미치 더무노브 선생의

Imamichi Demunobu's

단테 신곡강의

Dante's Divine Comedy Lecture

이로판

Irofan

이로판이 아니죠

It's not rubber, is it?

그냥 그 책이죠

It's just that book.

이런 것들이 있단 말입니다

There are such things, you know.

제 앞에 있는 책들이

The books in front of me.

오늘날을 다룬 책들은 없어요

There are no books that deal with today.

그리고 제 앞에 있는 책들이는요

And the books in front of me...

제 앞에 있는 책들이는요

The books in front of me.

게다 역사책들입니다

These are history books.

제 눈에 보이는 책들이

The books that are visible to my eyes.

그 오른쪽으로 가도

Even if you go to the right.

칸트 관련된 책들

Books related to Kant

잔뜩 꽂혀 있어요

It's fully stuck in.

규범성 의원

Normative Member

전 판단력 비판

Critique of Judgment

그 옆으로 보면은

If you look to the side,

칼슈미트 책들

Carl Schmitt's books

그 다음에 조지 버클리

Then George Berkeley.

새로운 시각에 관한

About a new perspective.

실언 에세이

Misstatement Essay

이런 것들이 있단 말입니다

There are things like this.

그리고

And

레클람에서 나온

Released by Reklam

문구판으로

With a message board.

노란 책으로 나온 거 있죠

There's one that came out as a yellow book, right?

도이치

Deutsch

루소

Rousseau

아니 루터

No, Luther.

루터

Luther

루터 신약정서

Luther's New Testament

이런 것들 다 역사책이에요

These things are all history books.

제 눈앞에 놓여있는 게 역사책이에요

What is in front of me is a history book.

그러면 저런 것들

Then things like that.

조선시대 과거사 연구

Research on the Past of the Joseon Dynasty

뭐 이런 거 있지 않습니까

Isn't there something like this?

이런 거 읽어서 뭐 하느냐

What good is it to read something like this?

그냥 옛날

Just the old days.

알아냈으니까 됐다

I figured it out, so it's fine.

그리고 그것은

And that is

그냥 알아내는 일 자체를

Just figuring it out itself.

없암아서 하는 사람들이 있지 않느냐

Aren't there people who do it because they have no choice?

그럼 그 사람들은 그렇게 해서

Then those people do it like that.

우리에게 뭔가

Something for us.

과거를 알려준다는

It tells about the past.

그런 좀 어찌 보면

Well, in a way...

참으로 쓸데없어 보이는

It really looks useless.

그런 일을 하면서

While doing such work

먹고 사는 거 아니냐

Isn't it about making a living?

그것도 하나의 직업이니까

That's also a job.

인정을 하겠다

I will acknowledge it.

그런 태도가 있을 수 있죠

Such an attitude can exist.

토마스 제퍼슨 같은 경우에는

In the case of Thomas Jefferson,

그런 거 할 필요 없다고 얘기하는 사람이에요

It's someone who says there is no need to do that kind of thing.

전통을 경시하고

Disrespecting tradition

심지어 더 나아가서

Even further,

그걸 파괴할 것을 주장하는

Claiming to destroy that.

그런 태도들도 있죠

There are such attitudes as well.

대표적으로 여기서 펠리칸이 얘기하는 게

Notably, what Pelican is talking about here is

토마스 제퍼슨

Thomas Jefferson

그에게 과거란

To him, the past is

부패하고 죽은 것이었다

It was decayed and dead.

더 베스트 오스 포힘

The best is yet to come.

커럭트 앤 데드

Corrupt and Dead

그리고 이제 루터는 아주 명료하게도

And now Luther clearly states that

인간의 인간이 만든 전통들

Traditions created by humans.

그리고 사람들 사이에 있는 규약

And the agreements among people.

루터의 표현을 보자면

To quote Luther,

맨션 작중엔 맨션 사람들의 규약

In the mansion, there are rules for the people of the mansion.

하느님의 말씀이라는 본래의 순수한 내용과 대립되는 것이죠

It is opposed to the original pure content of God's word.

이것을 강조했던 사람입니다

This is a person who emphasized this.

루터 얘기는

The story of Luther.

루터 얘기는 좀 어이가 없는 게

The thing about Luther is a bit absurd.

성서도 인간이 기록했다는 걸 꼭 놓치기 쉽죠

It's easy to overlook the fact that humans recorded the Bible.

루터로 돌아가면 큰일 납니다

If you go back to Luther, it will be a big problem.

극단적인 태도가 생기는 거죠

An extreme attitude arises.

그렇죠

That's right.

자 그러면 전통은 상대적이고

Well then, tradition is relative and

역사에 좌우되지만

It is affected by history, but...

진리는 절대적이고

The truth is absolute.

역사라는 변질과 무관하다고 생각하는 것

I think it is unrelated to the distortion of history.

이게 이제 전통을 경시하고

This disregards tradition.

심지어 파괴를 주장하는 것이죠.

It even claims destruction.

심지어 파괴를 주장하는 사람들의 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It can even be said that it is the attitude of those who advocate for destruction.

그리고 이렇게 16세기 종교개혁

And thus the 16th-century Reformation.

전통에서 나타난 전통파괴는

The destruction of tradition that has emerged from tradition

르네상스 인문주의의 비판적 반박문하고

A critical rebuttal of Renaissance humanism.

그 다음에 성서 문헌학을 익힌 프로테스탄트 개혁가들

Protestant reformers who studied biblical literature.

그런 사람들이 과거를 살펴보니까

When those people look into the past...

이렇게 우리가 사실은 불변의 것이라고 알고 있던 것들이 역사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In this way, what we believed to be unchanging has actually influenced history.

우리가 사실은 불변의 것이라고 알고 있던 것들이 역사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What we believed to be unchanging actually influenced history.

역사 속에서 생겨난 일시적인 것에 불과했다.

It was merely a temporary occurrence that arose in history.

그렇게 된 것이죠.

That's how it happened.

그리고 전통을 비판한다.

And it criticizes tradition.

전통을 비판한다라고 하는 그런 사람들이라 해도

Even those who criticize tradition...

전통을 비판한다고 할 때 비판이라는 말에 주목을 해 보면

When we say we are criticizing tradition, if we pay attention to the word criticism...

뭔가를 비판한다고 하면 무엇을 기준으로 비판하는가?

If you criticize something, what do you base your criticism on?

라고 얘기할 때 규범이 있죠.

There is a norm when we talk about it.

불변의 규범이 있죠.

There are unchanging norms.

불변의 규범이라고 그 사람들이 제시한 것들이 있어요.

There are things that those people have presented as immutable norms.

이를테면 자연법과 자연을 창조한 신의 법

For example, the law of nature and the law of God who created nature.

로우스 오브 네이처 앤드 네이처스 갓

Laws of Nature and Nature's God

자연의 신, 그러니까 자연을 창조한 신의 법

The law of the god of nature, in other words, the god who created nature.

이런 것을 기준으로 해서 이게 영원하다고 생각했는데

I thought this was eternal based on something like this.

사실은 자연법 사상이라고 하는 것 자체가

The truth is that the concept of natural law itself is

심플라톤주의 무렵부터 생겨난 것이죠.

It was established around the time of simple Platonism.

그게 이제 스토아주의로 전개되고

That is now developing into Stoicism.

그거는 개별적으로는

That is individually.

개보를 진짜 찾아보기가 어렵습니다.

It's really hard to find a trace of 개보 (gaebo).

꼬일 대로 꼬인 개보라서

It's a mess that's all tangled up.

그 개보는 정말 말할 수 없이 꼬여 있는 개보라서

That lineage is so incredibly tangled that it's hard to even describe.

자연법에 관한 것은 스토아주의라든가

Regarding natural law, such as Stoicism...

이런 것들 있잖아요.

You know, things like this.

정말 꼬일 대로 꼬인 개보라서

It's a mess that has really gotten tangled up.

무엇이 무엇으로 영향을 주고

What influences what?

뭐 그것이 뭐 어떻게 영향을 받았고 하는 것 있지 않습니까?

Well, isn't there something about how that has been affected?

그런 거는 아마 그냥 정확한 개보를 찾았다.

I just probably found the accurate lineage for that.

너를 찾아내기가 어렵죠.

It's hard to find you.

그때는 종교하고 철학하고 이런 안심 인명

At that time, religion and philosophy provided a sense of security for life.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 생명을 온전히 보존하는데

To calm the mind and preserve life fully.

너를 기여하는 그런 다양한 페이거니즘 들의 개보라는 건

The lineage of various paganisms that contribute to you.

정말 정말 사상 혼합시대기 때문에 어렵습니다.

It is really difficult because we are truly in a time of mixed ideologies.

그렇다 하더라도 그 개보를 찾아내는 게 어렵다 하더라도

Even so, even if finding that connection is difficult.

자연법과 자연을 창조한 신의 법이라고 하는 것

It is said to be the law of nature and the law of God who created nature.

제포순이 근거를 가지고 했던 얘긴데

The story that Jeposoon shared was based on evidence.

그건 역시 역사적인 산물이죠.

That is indeed a historical product.

그리고 이 모든 것을 이 모든 것을 집약한 것이

And what summarizes all of this is...

바로 역사위평 반복론입니다.

It is the theory of the repetition of history.

역사위평 반복론 이게 19세기죠.

The theory of cyclical history, this is the 19th century.

19세기를 전반적으로 사상사에서는 역사 주의의 시대다.

The 19th century, overall in the history of thought, is an era of historicism.

이렇게 말하는데 19세기 역사주의 시대를 19세기를.

It says like this: "the 19th century of historical materialism in the 19th century."

사상사에서 역사주의 시대로 만들었던 가장 중요한 원천이 뭐냐

What was the most important source that made the historical school of thought into the age of historicism?

바로 역사비평방법론이 확립된 거죠

This is when the historical-criticism methodology was established.

역사비평연구 그러니까 method of historical critical study

Historical Critical Study

method of historical critical study

방법론적 역사 비판 연구

이게 이제 19세기에 등장했던 것입니다

This emerged in the 19th century.

그래서 19세기는 위대한 역사가들의 시대라고는 하지만

So, while the 19th century is called the era of great historians,

이 사람들이 무엇을 남겼는가

What did these people leave behind?

무엇을 남겼는가에 대해서는 굉장히 저기 뭐라고 할까요

What can I say about what was left behind?

논란이 여지가 많습니다 그게 뭐냐

There is a lot of controversy regarding that. What is it?

잘한 것도 있고 못한 것도 있어요

There are things I did well and things I didn't do well.

예를 들어서 바르트롤토 게오르그 니부어

For example, Bartolomeo Georg Niebuhr.

이게 라인홀트 니부어하고 좀 혼동하면 안 돼요

This shouldn't be confused with Reinhold Niebuhr.

이 사람은 로마사 연구자죠

This person is a researcher of Roman history.

그리고 아우구스트 베케

And August Beck.

그리고 아테나의 국가대표

And the national representative of Athena.

국가경제 슈타트 할퉁 디슈타트 할퉁 아테나

National Economy Stadt Haltingen Stadt Haltingen Athena

지금 널리 알려지지 않은 사람들이라 제가 여기 얘기했고

I talked about people who are not widely known here.

그 다음에 테오도르 몸젠

Then Theodore Momsen.

그 다음에 랑케 야코프 브루카르트

Then, Ranke Jakob Bruchardt.

그 다음에 사비니

Next, Sabini.

이어서 이제 막스 베버나 에른스트 트럴치

Next, Max Weber or Ernst Troeltsch.

에른스트 트럴치는 여기서 여러 번 얘기가 되는데

Ernst Troeltsch is mentioned several times here.

그래서 제가 이게 에른스트 트럴치를 한 번은 여러 번

So I tried this Ernst Trölsch several times.

각 잡고 한 번 읽어 봐 읽어줘야 읽어야 하나

Take a moment to read it properly; do I have to read it to you?

이런 책이 있죠

There is a book like this.

에른스트 트럴치 책은 유명한 게

The book by Ernst Thälmann is famous.

데어 히스토리스무스 온트 자인의 위법인동

There is illegal behavior on the history smooth on the surface.

아 이거는 제가 더이츠어로 된 거를 공부를 이게 배운 적이 있어요

Ah, I have learned this in English before.

에른스트 트럴치 역사주의 역사주의와 그것의 극복

Ernst Troeltsch's Historicism: Historicism and Its Overcoming

그리고 이제 유명한 책이 그 정치윤리와 기독교

And now the famous book is about political ethics and Christianity.

폴리티시 에티크 온트 크리스티앤듐

Polity Ethics on Christianity

그 책이 있죠

That book exists.

그리고 기독교의 절대성이라는 책도 있고

And there is also a book called "The Absoluteness of Christianity."

그 책은 압졸루테스 크리스티앤듐

That book is Agatha Christie's.

그거는 신학책인데

That's a theology book.

트럴치 사람이 좀 어중간하게

It's a bit awkward to be with someone who's half-hearted.

어중간하게 학자적으로 탁월하지 않다는 게 아니라

It's not that I'm mediocre and not academically outstanding.

성향이 어중간하다 이게 좀 급파 쪽이 있는 게 있거든요

The inclination is somewhat ambiguous; there is a bit of a tendency towards urgency in this.

트럴치의 역사주의와 그 문제

The historicism of Trawlch and its issues.

그것의 그 문제에 대한 문제를

The problem regarding its issue.

그 문제가 있고

There is that problem.

그다음에 그것의 극복이 있고 그래요

And then there is overcoming that.

역사주의와 그 문제

Historicism and its Issues

그러니까 요고를 역사주의 하여튼 역사주의에 관한 한

So in terms of historicism, anyway, regarding historicism...

역사주의에 관한 한 트럴치 책을 읽어보지 않을 수가 없는데

I can't help but read Tralchi's book on historicism.

이거는 좀 기회를 보겠습니다

I'll hold off on this for a while.

한들 출판사에서 두 개를 묶어 가지고

The Handul Publishing Company bundled the two together.

역사와 윤리라고 나온 게 있는데

There is something mentioned about history and ethics.

요새 요건 구하기가 좀 어려울 거예요

These days, it might be a bit difficult to find the necessary items.

저는 이 책 번역본도 있고

I also have a translated version of this book.

독일어 독일어 원본을 가지고 있어요.

I have the original in German.

제가 가지고 예전에 배웠어요 90년대

I learned it back in the 90s.

어쨌든 트렐치 이런 사람들 그리고 막스 베브

Anyway, Trelchi and people like him, and Max Weber.

막스 베브가 널리 알려진 것에 비하면 트렐치는 좀 덜 알려져 있는데

Compared to the widely known Max Weber, Troeltsch is somewhat less familiar.

신학 쪽에서 신학자라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그럴 거예요

It might be because they are known as theologians in the field of theology.

그런데 방법론의 엄격함이라든가 철저함이라든가

However, the rigor and thoroughness of the methodology...

이런 것을 따지면 베브보다 더 탁월하죠

In terms of this, it's more outstanding than Bev.

역사학자는 아니잖아요 베브가

You're not a historian, Beve.

역사적 방법을 가지고 사회 연구를 했고

I conducted social research using historical methods.

사회사의 한 장르를 만들어내긴 했습니다만

It has created a genre of social commentary.

베브의 연구 업적이 이를테면 프로테스탄티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Weber's research achievements, for example, the Protestant ethic and the spirit of capitalism.

프로테스탄티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같은 경우도

In the case of the Protestant ethic and the spirit of capitalism as well.

정신사적 또는 정신학적인 어떤 내용들을 다루고 있다고는 하지만

Although it deals with some content related to psychology or mental aspects,

방법론 자체를 정립한 건 아니죠

It's not that the methodology itself has been established.

몇 가지 사회학적으로 중요한 개념을 내놓은 건 있어도

There are some sociologically significant concepts proposed, but...

역사학적 방법, 역사주의의

Historical methodology, historicism.

방법론에 기여한 사람은 아니에요 베브가

Bev is not someone who contributed to the methodology.

베브 항공 방법론이라고 하는 것이

What is called the BEV (Battery Electric Vehicle) aviation methodology?

가치중립적인 것 또는 생의 기회 이런 사회학의 개념들

Value-neutral concepts or opportunities in life, these sociological concepts.

개념들을 주로 내놓았지

I mainly presented the concepts.

그걸 치밀하게 역사적으로 어떤 식으로 탐구를 해야 되는가

How should we meticulously explore that historically?

또는 역사소설 방법의 변화를 만들어 낸다든가

Or it brings about a change in the method of historical fiction.

이런 것 개념 내놨으니까 됐다고 하겠습니다

I will say that it's good because you came up with this kind of concept.

트랠치가 굉장히 탁월한 사람이니까

Because Traelch is a very exceptional person.

여하튼 이런 사람들에 의해서

Anyway, by such people.

method of historical critical study 역사비평연구라고 하는 방법론

The methodology called historical-critical study.

역사적 비판적 또는 비평적 연구라고 하는 방법론이 성립했습니다

A methodology known as historical-critical or critical study has been established.

그러다 보니까 철학사상에서도 철학체계의 발전이 어떻게 전개되었는가

As a result, it raises the question of how the development of philosophical systems has unfolded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이런 것들을 반드시 서술해야만 하는 그런 19세기의 이제건

Such things must be described, this is the 19th century.

그 해결적 역사학

That solution-oriented historiography.

해결적 철학사 이후로는 해결적 철학사가 자기 멋대로 쓰는 철학사죠

Since the historical philosophy of resolution, the history of philosophy written by the historical philosophy of resolution is done arbitrarily.

나는 이게 중요하다고 생각해

I think this is important.

그러니까 버트런트 로셀 같은 경우는 해결을 철학자도 아니다

So in the case of Bertrand Russell, he is not a philosopher who offers solutions.

라는 식으로 그냥 얘기했는데

I just mentioned it like that.

그런 거는 사실 그렇게 보면요

If you look at it that way, actually...

나는 이게 중요하다고 생각해 라고 정한 것을 기준으로 해서

I think this is important, so based on what I've decided.

다른 것들은 다 틀렸어

Everything else is wrong.

신경도 쓰지 않겠어 관심도 갖지 않겠어

I won't even care or pay attention.

라고 하는 게 해결적인 철학사 서술 방법이라면

If saying so is a descriptive method of philosophical history that leads to resolution,

좀 굉장히 우직하게 단순화해 보면

If we simplify it quite stubbornly,

그거라 한다면 버트런트 로셀도 해결이 아니에요

If that's the case, Bertrand Russell is not a solution either.

그런 식으로 치면 자기가 생각하기에 철학이라고

If that's the case, then what you think of as philosophy...

내가 로셀이 생각하기에 철학이라고 여겨지는 것들만 기준으로 해서

Based on what I consider to be philosophy in Roseli's thoughts.

쑥 쓰다 보니까 해결은

As I used it often, it became a solution.

완전히 무시해 버리는 그런 거죠

That's completely ignoring it.

근데 그런 태도 자체가 그런 태도 자체가 해결적인 것이죠

But that very attitude itself is a solution.

에드워르트 첼로를 읽어보면 그런 것이 또 또렷하게 드러나 보이거든요

When you read Edward's cello, such things become clearly apparent again.

그러고 그러니까 러셀의 해결보다 한참 아래인 거죠

So, it's far below Russell's solution.

그렇게 그거를 좀 일찍 태어났으면 했으려나 모르겠습니다

I wonder if I wished that it had been born a little earlier.

여튼 역사주의라고 하는 것이 19세기를 지나면서

Anyway, what is called historicism has evolved since the 19th century.

히스토리시즘 이렇게 돼 있어요

This is how historicism is.

그래서 이 역사주의의 방법론이 성립하게 되었다

Thus, the methodology of historicism was established.

이거를 이제 펠리카는 역사주의를 전통을 상대화하기 위해

Now, Pelikan relativizes tradition through historicism.

역사를 활용하는 입장 이렇게 써놨죠

I wrote it like this from the perspective of utilizing history.

왜 이렇게 보충해서 이렇게 써놓았느냐

Why did you write it like this with so much added?

칼포포가 얘기한 것처럼 역사주의라고 하는 것은

As Calpophore mentioned, what is referred to as historicism is...

역사 목적론 칼포포가 말하는 역사주의는

The historicism that Kalfoppo speaks of in teleology of history is

칼포포가 비판하는 역사주의는

The historicalism criticized by Calpoforo is

역사주의의 빈곤이 있지 않습니까? Poverty of Historicism. 거기에서 그 역사주의는 역사에 어떤 목적이 있다고 생각을 하고 그 목적을 향해 역사가 진전해 가고 있다.

Is there not a poverty of historicism? Historicism thinks that history has a purpose and that history is progressing toward that purpose.

나는 그런 형인상학적인 태도를 가리킬 때 역사주의라는 말을 쓰잖아요. 그런데 여기서 가장 일반적으로는 역사주의라고 하는 말은 전통을 상대화하기 위해 역사를 활용하는 입장을 가리켜요.

I use the term historicism to refer to that kind of metaphysical attitude. However, in this context, the term historicism most commonly refers to the position of using history to relativize tradition.

그래서 펠리카는 그 말을 괄호 안에다가 써놨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로. 칼포포가 사용하는 의미는 굉장히 특이한 경우에 해당하는 것이고 그거는 우리가 사실 잘 알지 못해도 돼요.

So Pelika wrote that word in parentheses, using its generally accepted meaning. The meaning used by Kalpopo corresponds to a very specific case, and it's something that we actually don't need to know well.

전통이 전개된 과정을 역사에 활용하는 입장. 그런데 이게 역사라는 무대 위에서.

A position that uses the process of tradition's development in history. However, this is on the stage of history.

전통이 전개된 과정을 역사라는 무대 위에서 이해해야 한다.

The process by which tradition unfolds must be understood on the stage of history.

이건 당연히 역사주의죠. 저도 이걸 가장 기본적으로 생각하는 거 아니에요. 바로 이런 태도 위에서 사상을 공부하면 사상사하는 거죠.

This is obviously historicism. I also think of this as the most fundamental perspective. Studying thought with this attitude leads to the history of thought.

사상사 전통이 있다. 그러면 그것을 반드시 역사라는 무대 위에서 일단 살펴보고 그것의 공간과 시간 속에서 살펴보고

There is a tradition of ideological history. Then, it is essential to examine it on the stage of history and explore it within its space and time.

그것을.

That.

그렇게 공부를 해야 된다. 저는 이건 아주 당연하다고 생각하죠.

You have to study like that. I think this is very obvious.

해결 역사 철학은 그런 건 아니에요. 해결 역사 철학은 칼포포가 지적하고 있듯이 아주 강력한 역사 목적론을 가지고 있죠.

The philosophy of historical resolution is not like that. As Karl Popper pointed out, the philosophy of historical resolution has a very strong historical teleology.

그러나 해결 역사 철학이 그런 목적론을 보여주고는 있습니다마는 해결의 방법론이 이런 역사주의의 즉 전통이 전개된 과정을 역사라는 무대에서 이해해야 한다라는 강력한 요구.

However, while the philosophy of historical resolution does show such teleology, there is a strong demand for the methodology of resolution to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history, which is the stage where this historicism, or tradition, unfolds.

그런 요구를 갖고 있는 것도 사실이고 그게 가장 잘 드러난 해결의 저작, 아니 저작인은 아니고 예술 철학 강의죠.

It is true that there are such demands, and the work that best reveals that is not a work in the traditional sense, but rather a lecture on the philosophy of art.

해결은 예술을 그런 식으로 봐요. 그리고 해결의 종교 철학 강의는 그러면 어떻게 하느냐.

I see the solution as art in that way. And then how does the lecture on the religion and philosophy of solutions proceed?

해결의 종교 철학 강의는 3위일체론을 자기가 해결이 생각한 3위일체론이 있어요. 해결이 변형시켜서 만들어 놓은 3위일체론이라고 하는.

The lecture on the philosophy of resolution includes a concept of the Trinity that is regarded as the Trinity resolved by oneself. It is a Trinity that has been transformed and created by the resolution.

일종의 해결교죠. 해결의 한 렐리전. 그 3위일체론을 정당화하기 위해서 기독교 역사를 살펴보거든요.

It's a kind of solution theology. A religion of resolution. To justify that trinitarianism, we look into Christian history.

각각은 좀 다릅니다. 강의마다. 그러니까 역사 철학 강의는 역사 목적론을 얘기하고 있고

Each one is a bit different. Each lecture. So the history philosophy lecture talks about the teleology of history.

그 다음에 예술 철학 강의는 역사주의의 방법이 적용된 예술.

The next lecture on the philosophy of art is about art applied with the methods of historicism.

예술.

Art.

그 다음에 정교철학 강의는 3일체론을 구축하기 위해서 3일체 역사를 검토하는

The subsequent lecture on systematic theology reviews the history of the Trinity in order to construct a doctrine of the Trinity.

자신이 내놓은 태재를 뒷받침하기 위해서 과거의 교리들 도그마들을 소재로 삼는 그런 못된 태도를 보여주고 있죠

They are showing a bad attitude by using past doctrines and dogmas as material to support the thesis they have put forward.

여튼 역사주의라고 하는 것을 19세기 이후로 역사주의라고 하는 것

Anyway, what is called historicism has been referred to as historicism since the 19th century.

즉 역사비평연구라고 하는 것을 피할 수가 없습니다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avoid what is called historical-critical research.

이제는 무작정 할 수가 없어요 누구든 이것을 벗어날 수가 없어

I can’t just do it aimlessly anymore; anyone cannot escape this.

그러니까 포스트 메소드 오브 히스토리컬 크리티컬 스터디 이후에는 전통을 어떻게 탐구할 것인가

So how should we explore tradition after the post-methods of historical-critical study?

탐구는 해야 해요 안 할 수 없어

You have to explore; you can't not do it.

그런데 이걸 어떻게...

But how do I do this...?

어떻게 할 것인가가 심각한 문제로 제기가 되었죠

How to proceed has become a serious issue.

그러면서 이제 펠리칸이 색스피어의 소네트 73번 유명하죠

And now the pelican is famous for Shakespeare's Sonnet 73.

페어가 된 성가대가 들어가 있는 베어 루인드 콜스 소네트 73번

Sonnet 73 from Bear Ruined Calls, featuring paired choirs.

요거는 요거 챕터 3 설명 다 하고 제가 소네트 한번 읽어드리겠습니다

I'll explain Chapter 3 of this, and then I'll read the sonnet for you.

바로 보물권입니다

It's a treasure right.

이걸썰고 브릿지에서 끊 affordable

Cut this and make it affordable at the bridge.

숨은 거리로

To the hidden street.

하지만

But

전통이 진행이 인간적 속성을 가져가면서도 인간적 속성을 너무나 인간적으로 너무나 인간적인 속성 소메� Desktop 운명에 놓인 거죠 전통이라고 하는 것도 사실은 우리가 그 철석 같이 지키고 있는 전통이라고 하는 것도 가만히 보면 역사속에서 소멸할 그럴 문명에 처에 있다고 하는 거 그것을 인정하면서도 바로 그러한 속성이 있기 때문에 인간적이기 때문에 지금 당대의

Tradition progresses while possessing human attributes, yet these human attributes are, in their very essence, profoundly human. What we call tradition, which we steadfastly uphold, is in fact in a situation where it could be extinguished in history. Acknowledging this, it also possesses such attributes, which is why it is human. Thus, in our current age...

특정한 규범으로 기능하고 또 구성력도 가지고

Functioning as a specific norm and also possessing the power of composition.

또 심지어 성스러운 것이라고 부를 수 있으려면

Moreover, if it can even be called sacred.

전통을 성스러운 전통은 홀리 트래디션이라고 그러지 않습니까

Isn't the sacred tradition called "Holy Tradition"?

그러려면 전통을 어떻게 연구해야 할 것인가

Then how should we study tradition?

그런 것을 생각을 해볼 때가 되었다 그런 얘기죠

It's time to think about something like that, that's what I'm saying.

그 다음에 이제 이 책 97페이지에 보면

Then, if you look at page 97 of this book...

거의 한 페이지에 걸쳐서 긴 문장이 있어요

There is a long sentence that spans almost a page.

뭐 뭐 한다면 뭐 뭐 한다면

If this happens, then that will happen.

사실 펠리칸이 굉장히 레토릭이 멋진 레토릭이 많거든요

In fact, pelicans have a lot of really great rhetoric.

테리 글터는 좀 지나치게 멋을 부린다는 느낌이 있어요

Terry Galtier feels a bit overly stylish.

제가 영어 문장을 잘 모르니까 레토릭이 어떠한가 모르겠는데

I don't know English sentences well, so I'm not sure about the rhetoric.

테리 글터는 좀 추접스러운 똥폼이랄까요

Terry Glatter has a rather sleazy vibe, I suppose.

네 약간 똥폼적 레토릭이라면

Yes, it’s somewhat of a pretentious rhetoric.

펠리칸은 고급진 레토릭이 있어요

The pelican has an elegant rhetoric.

테리 글터 책 읽으면서 야 문장 좋다 가슴이 와닿네

Reading Terry Glitter's book, wow, the sentences are great and really resonate with me.

이런 생각을 100페이지 읽으면서 한 번 할까 말까 하는데

I'm pondering this thought while reading 100 pages, wondering if I should do it or not.

이 펠리칸 책은 얇은 책 하나 읽으면서도 인용도 적절하고

This Pelican book is appropriate in its citations, even while reading just one thin book.

막 인용 범벅 탕후루 같은 인용은 테리 글터는 막 탕후루적이죠

Just like the mess of quotes in Tanghulu, Terry Glatter is very Tanghulu-like.

테리 글터는 인용이니 탕후루적으로 인용을 하죠

Terry Glatter quotes it in a tanghulu-like manner.

근데 이제 펠리칸은 아주 간단한 소스들을 살짝살짝 발라주면서 인용을 하죠

But now, Pelikan just lightly brushes on some very simple sources while quoting.

여기 보면 이제 97페이지에 보면 한 문장으로 길게

If you look here, on page 97, there is a long sentence.

뭐 뭐라면 뭐 뭐라면 이렇게 돼 있어요

If I were to say something, it would be like this.

백인 남성 노예주들이 만든 게 미국 헌법이에요

The U.S. Constitution was created by white male slave owners.

그러니까

So, then.

1960년대 사람들이 흔히 이야기했듯

As people commonly said in the 1960s

미국 헌법을 백인 남성 노예주들이 만들었다

The U.S. Constitution was created by white male slave owners.

이렇게 하는데 이게 미국 헌법을 그렇게 만들었다

This is how it was done, and this is what made the U.S. Constitution.

버나드 베일린의 미국 혁명의 이데올로기적 기원이라든가

The ideological origins of the American Revolution by Bernard Bailyn.

이런 거 있잖아요 이런 데서 다 나와버렸어요

You know, like this, it all just came out from here.

찰스 피워드가 미국 헌법의 경제적 해석 이런 거 있죠

Charles E. Pivord has an economic interpretation of the U.S. Constitution, right?

이런 거 나왔습니다

This has come out.

그 다음 캐롤린 로빈스

Next is Carolyn Robbins.

18세기의 미국에 대해서 얘기를 한 거

It's about America in the 18th century.

그런 것들 보면 미국 정치학의 헌법의 기원 이런 거

When I see those things, I think about the origins of the Constitution in American political science.

특히 그 지금은 뭐 이 태제가

Especially now, what about this topic?

이건 역시 이제 찰스 피워드의 태제 역시 무너졌지만

This too has now fallen, just like Charles Piward's reign.

그 당시 굉장히 미국 헌법의 경제적 기운

At that time, there was a significant economic spirit of the American Constitution.

아니 헌법의 경제적 기운이 어딨어

"No, where is the economic spirit of the constitution?"

정치적인 것이지 라고 했던 사람들을 경악하게 했던

It shocked those who said it was political.

그런 연구들이 찰스 피워드 그런 게 있습니다

There are such studies by Charles Peirce.

그러니까 1960년에 미국의 정치학의 기원을 만들었고

So, it created the origins of political science in the United States in 1960.

1960년대 사람들이 흔히 이야기했듯 미국 헌법을

As people commonly said in the 1960s, the U.S. Constitution...

백인 남성 노예주들이 만들었다고 한다면

It is said that white male slave owners made it.

이스라엘 백성이 인류 사회에서 가장 압도적인 깨달음을 얻은 계기가 쉐마

The moment when the people of Israel gained the most overwhelming realization in human society is the Shema.

즉 이스라엘은 들으십시오

Hear, O Israel.

주님은 우리 하느님이시오

The Lord is our God.

주님은 오직 한 분 뿐이십니다

There is only one Lord.

라는 기도에서 표현하듯 불타는 떨기나무 사건이 아니라

As expressed in the prayer, it is not the burning bush incident.

그건 이제 나중에 만들어진 거죠

That was created later.

부족심 관념에서 시작해 수세기에 걸친 진화가

It begins with the concept of tribalism and has evolved over centuries.

과정을 거쳐 율신교에 이른 것이고

It has reached the Yulsin religion after going through a process.

그 다음에 불타는 떨기나무와 신하의 산이라는

Then the burning bush and the mountain of the servant.

전통을 만들었다고 한다면

It is said that a tradition has been made.

저는 이렇게 읽거든요

I read like this.

신명기 6장 4절

Deuteronomy 6:4

이스라엘은 들으십시오

Hear, O Israel.

주님은 우리의 하느님이시오

The Lord is our God.

주님은 오직 한 분 뿐이십니다

The Lord is the one and only.

라는 그 표현을 엄청난 깨달음으로

that expression with an immense realization

와 주님이 한 분 뿐이구나

Wow, there is only one Lord.

라는 깨달음으로 읽는 것이 아니라

It's not something to be read with that realization.

어떻게 해서 이 신명기의 구절이 만들어졌을까요

How was this passage of Deuteronomy created?

를 저는 생각하거든요

I think that.

부족심을 거쳐서 율신교에 이르렀고

I passed through the clan spirit and reached Yulshinkyo.

그 다음에 신하의 전통이 만들어졌다

Then the tradition of the vassals was established.

그렇게 신하의 내러티브라고 하는

So-called the narrative of the subject.

페리코페가 딱 있는 거거든요

It's just that there's a pericope.

신하의 페리코페가 그 신하의 페리코페 안에서

The servant's pericope is within that servant's pericope.

이 서사들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What role do these narratives play?

그 다음에 하나이고 거룩하고 보편되며

Then it is one, holy, and universal.

사도로부터 이어내려오는 교회가

The church that is descended from the apostles.

종말에 대한 잘못된 기대를 가지고 출발했음

Started with a misunderstanding about the end.

이건 틀림없죠

This is for sure.

그리고 이 기대가 꺾인 데 대한 보상으로

And as compensation for this expectation being shattered

전통과 전례와 교리가 나타났다고 한다면

It is said that traditions, precedents, and doctrines have emerged.

이게 이제 역사주의에 의해서

This is now due to historicism.

또는 역사비평 연구에 의해서 밝혀진 사실들이에요

Or they are facts revealed by historical-critical studies.

그러니까 사도로부터 이어져 내려오는 교회라고 하는 것은

So, the church that is handed down from the apostles is...

사실은 그릇된 기대가 꺾였던 것

The truth is that misguided expectations were shattered.

종말이 오지 않았다

The end has not come.

어떡할까

What should we do?

사람들에게 인지부족으로

Due to cognitive impairment in people

교화가 일어났거든요

There has been a reformation.

그러니까 이제 이걸 어떻게 할 것인가

So now what are we going to do about this?

그게 이제 제가 저기 저기 초기 기독교

That is now what I call early Christianity.

제가 예전에 저 강연하면서도 그 얘기를 했었죠

I mentioned that during my lecture before.

초대 기독교 형성사 연구 거기서 읽었거든요

I read it in the study of the formation of early Christianity.

그게 그런 것들이죠

That's how things are.

그게 그런 것들 그다음

Those kinds of things, next.

이렇게 논란의 여지가 있는 비판적 전통사의 가설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사실이며

Some or all of the hypotheses in this controversial critical historiography are true.

이 가운데 하나 이상 우리의 전통으로 긍정한다면

If one or more of these are positively acknowledged as our tradition

어떻게 해야 역사가 만든 전통의 공동묘지 곁을 지나면서

What should I do while passing by the cemetery of the traditions created by history?

애써 의연한 척하는 일 없이

Without trying hard to pretend I'm composed.

전통이 몽땅 다 사망선고를 받고 죽어버린

All traditions have been declared dead and have disappeared.

그동안 철석같이 믿었던 전통들이 죽어버린

The traditions that I had信lessly believed in have died.

그걸 그냥

Just that.

의연한 척 하면서 신조라고 볼 수 있겠는가

Can it be seen as a creed while pretending to be composed?

볼 수 없죠

You can't see it.

신명기 신명기에 나와 있는 그 말을

The words that are written in the book of Deuteronomy.

그 말이 어떻게 성립되었는가

How did that statement come about?

신하이 신하이 사건

Shinhai Shinhai Incident

신하이네러티브 하고 그 신하이네러티브 모세

Shin Hae Narrative and that Shin Hae Narrative Moses.

보세 와 신하이네러티브에 대해서

About the covenant and the narrative of the subject.

이제 알았어요

I understand now.

사상사적으로 연구를 해서 알았어

I found out through research that is historically significant.

역사비병 연구를 통해서 알았어

I learned through research on historical diseases.

그런데 그러면은 신명기를 읽을 수 있겠어요

Then would you be able to read Deuteronomy?

그 다음에 신앙심을

Then, faith.

가지고

having

그걸 나의 신조라고 할 수 있겠습니까

Can that be called my creed?

지금 3.21제 칼케돈

3.21 Carved Chalcedony now.

신조가 성립이 되었는데 저는

The belief has been established, but I...

칼케돈 이후에 나온 것들은 그렇게 신경 쓰지 않고

I don't pay much attention to what came out after chalcedony.

칼케돈까지

Until chalcedony.

451년 칼케돈 신조까지만

Until the Council of Chalcedon in 451.

읽는데 열심히 읽는데

I'm reading hard.

칼케돈 신조가 이렇게 이렇게 해서

The Chalcedonian Creed is like this, like this.

만들어졌다. 아 고도의 정치적인

It was created. Ah, highly political.

타협이고 가능한

Compromise and possibility.

많은 사람에게 상처를 주지 않고

Without hurting many people.

뭐 이렇게 만들었다. 그걸 알았어

I made it like this. I know that.

그러면 이제 민나이다

Then it's Minna now.

이걸 고백할 수 있겠느냐

Can you confess this?

그걸 묻는 거죠

That's what's being asked.

그것 이후에는 어떻게 할 것인가

What will you do after that?

를 이제 펠리카는

Now Pelika

생각을 하죠. 첫째

I think about it. First,

특정 전통을 연구하고

Researching specific traditions

그 다음에 그 전통의 역사적

Then the historical aspect of that tradition.

전개를 파악한 다음에

After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전통 개념을 규정을 해야 된다

The traditional concept needs to be defined.

여기서 이제 트렐치의 역사와 윤리로

Now, let's talk about the history and ethics of Trellis here.

번역된 역사주의와

Translated historicism and

그것의 극복

Overcoming it.

요 얘기가 이제 있죠

So, there’s this story.

트렐치의 이건 정말 탁월한

Trelchi's this is really excellent.

그거죠

That's it.

그러니까 18세기와

So, in the 18th century and

19세기 역사주의는

19th-century historicism is

트렐치가 이제 속해 있는

Trelitsch is now part of.

그 역사주의는

That historicism is

그리스도교 전통 안에서 상대적인 것들을

The relative things within the Christian tradition.

발견함에 따라 가장 풍부한 증거를

The most abundant evidence upon discovery.

얻었고

I got it.

그리고 에른스트 트렐치를 통해

And through Ernst Trelch.

가장 도발적이고도 체계적으로

The most provocative and systematic

서술되었다. 역사주의라고

It has been described as historicism.

하는 방법론을 통해서

through the methodology

기독교 전통에서

In the Christian tradition

우리가 철수같이 틀림없다고

We are definitely like Cheolsu.

여기 왔던 신조들이

The newcomers who came here.

사실은 역사의

The truth is history.

산물에 지나지 않는다

It is nothing more than a byproduct.

라는 걸 알았어요

I found out that.

그러면 이제 신앙은 깨트려질 거 아닌가

Then wouldn't that break faith?

그럼 그것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So how will we overcome that?

이 트렐치의 책 제목이 그거잖아요

The title of this Trelech's book is that, right?

역사주의와 그것의 극복

Historicism and its overcoming

역사주의에 의해서

By historicism

이제 정말 폐허가 된

Now it has truly become ruins.

폐허가 된 성가대를

The ruined choir.

어떻게 채울 것인가

How will you fill it?

사람들한테 와가지고

Come up to people

그러니까 이제

So now...

가장 어이없는 방법이 뭡니까

What is the most ridiculous way?

이번에 그

This time, that

인권위원장인가요

Are you the Human Rights Commissioner?

그 후보자로 나왔나요

Did that candidate come out?

안창호의 머리

Ahn Chang-ho's head

대머리

Bald head

도상 안창호 선생 말고

Besides Dosang Ahn Chang-ho.

어이없는 구급화 있죠

There's a ridiculous emergency vehicle, right?

창조설이 과학 틀림없다

Creationism is undoubtedly science.

하느님이 뚝딱뚝딱 만들었다

God made it in a snap.

그런 태도들이 가장 어이없는 태도죠

Such attitudes are the most absurd.

역사주의를 거치지도 않았죠

It didn't even go through historicism.

그런 거는

That kind of thing.

그래서 역사주의와

So, with historicism and

그것의 극복

Overcoming it

역사주의에 의해서

By historicism

전통적인 신조는 다 깨졌고

Traditional beliefs have all been broken.

깨졌다

It broke.

그러면 어떻게 이것을 극복해 낼 것인가

So how will we overcome this?

요 문제가 사실은 심각한 문제였죠

This issue was actually a serious problem.

그리고 전통 안에 있는 기원에 대한 이해

And understanding of the origins within tradition.

그리고 그걸 이해한다면

And if you understand that

어떻게 할 것인가

What will you do?

지금 그걸 회복할 것인가

Are you going to recover that now?

폐기할 것인가

Will you discard it?

그걸 선택해야 되는 문제가 있죠

There is a problem that you have to choose that.

그 다음에 나온 게

What came next is

이제 전통 너머의 길에 대한 탐구

Exploration of the path beyond tradition.

여기 보면 이제

If you look here now,

토켄 이돌 아이돌

Token Idol Idol

이돌이죠

It's this one.

이돌 이돌라 아이돌

Idol, idol, idol.

그러면

Then

가수들 같아 가지고

Like they are singers.

그 다음에 이 콘

Then this cone

증표라는 것은 증표 너머의 존재를 보게 하지만

A token allows us to see the existence beyond the token itself, but...

이 존재를 구현하지는 않고

Not implementing this existence

그 증표 너머의 존재가 우연히 드러난 표상에 불과하죠

It is merely a representation of an existence that is revealed accidentally beyond that token.

그렇게 보면은 이게 일테면

If you look at it that way, for example,

아우스티누스의 삼일체론

The Trinity Theory of Augustine

거기 보면은 삼일체 흔적이라는 게 있어요

There is something called the Trinity mark over there.

그게 징표인 것 같기도 하고 말이죠

I think that might be a sign.

삼일체 흔적 또는 토마토의 흔적이 있어요.

There are traces of the Trinity or traces of a tomato.

그게 징표인 것 같기도 하고 말이죠. 삼일체 흔적.

It seems to be a sign. Evidence of the Trinity.

아키나스 아키나스의 우주론적 신존재 증명

Aquinas' cosmological proof of the existence of God.

그런 것을 보면 그렇죠

Looking at that, right?

그리고 우상이 있어요

And there is an idol.

자신이 표상하는 존재를 구현한다고 주장하지만

They claim to embody the existence they represent, but

실제로는 자신에게 집중하게 한다

In reality, it makes you focus on yourself.

보면 알 수 있는 건 아닙니다

It's not something you can just tell by looking.

우상이라고 하는 거

What is called an idol.

사실 지금 현재의 몇몇 개신교

In fact, some current Protestant churches.

그 이단종파라고 불리는 자들

Those called the heretical sect.

그 자들이 증표인지 우상인지 아이콘인지

Whether those guys are a symbol, an idol, or an icon.

그거는 좀 봐야겠죠

I think I need to see that a bit.

자신이 표상하는 존재를 구현하고

Embodiment of the being one represents.

있는 것을 우리는 이 콘이라고 하는데

What we have is called this cone.

전통이 과거 보존과 과거의 보종과 반복

Tradition is the preservation of the past and the repetition of the past.

과거의 보종과 반복을 목표로 하면 우상이 되는 거죠

If you aim for the preservation and repetition of the past, you become an idol.

이게 바로 이제 완고한 구조주의

This is precisely the stubborn structuralism now.

완고한 구조주의도는 전통주의 아 전통주의

Obstinate structuralism is traditionalism or anti-traditionalism.

전통 그 자체를 위한 전통

Tradition for the sake of tradition.

그 자체를 위한 전통 전통이 과거 보종 과거의 보존과 replacement asshole

Tradition for its own sake, preserving the past, and replacing the past.

그 자체를 위한 전통에서 어떤 조 przy��자уса

In the tradition for its own sake, what kind of 조 przy��자уса.

그 자체를 위한 전통로

A traditional road for its own sake.

그 자체를 위한 전통 그리고 이것以다

Tradition for its own sake and this is it.

과거 보종과 entsprechend勝강이uvre 오메

The past Bojong and entsprechend Seunggang uve ome.

전통의 과거의 보존과 반복을 목표로 하면 우상이 되는 거고

If the goal is to preserve and repeat the past of tradition, it becomes an idol.

그러니까 우리는 널리 통용될 수 있는 전통이라고 하지만

So we say it is a tradition that can be widely accepted, but...

전통은 특정한 시간과 공간 속에서 만들어진 것이라고는 해도

Although traditions are said to be created in a specific time and space,

널리 통용될 수 있는 보편성과 적절한 수준의 특수한 형식을 취한 것

A universal aspect that can be widely accepted and takes on an appropriate level of specificity.

이것을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It seems necessary to take a look at this.

이게 구체적인 방법론으로는 전통의 가장 깊숙한 곳에 있는 요소들을 요약하고 재소수를 하고 회복한다

This summarizes, reinterprets, and restores the elements that are deepest within the tradition in a concrete methodology.

예를 들어서 우리나라는 민주공화국이잖아요

For example, our country is a democratic republic.

그런데 한국 사람들이 민주주의에 대해서는 잘 알아

However, Koreans are well-informed about democracy.

민주주의 다수결 아니야? 맞아요

Isn't democracy majority rule? That's right.

아니라고 절대로 말할 수 없어

I can't say it's not true, absolutely.

민주정은 의사결정 과정의 다수결이잖아요

Democracy is about majority decision-making, right?

다수결, 그 무시하면 이제 어떻게 돼요?

Majority rule, what happens if we ignore that now?

여론이 나빠지죠. 통치가 불가능해지죠

Public opinion worsens. Governance becomes impossible.

그런데 민주공화국인데 공화국은 뭐냐?

But it's a democratic republic, so what does "republic" mean?

여럿이 어울려 잘 사는 것? 공화주의가 뭘까?

Living well together as many? What is republicanism?

공화주의에 대해서는 잘 모르죠

I don't know much about republicanism.

공화주의의 전통이 제가 알기로

As far as I know, the tradition of republicanism.

공화주의라고 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가장 잘, 가장 잘이라기보다는

What is called republicanism is best explained, or rather...

가장 먼저 표현해놓은 문서는 리비오스 로마사예요

The first document expressed is "Rivios Romasa."

리비오스 로마사

Livios Romana

기케로? 기케로인가?

Cicero? Is it Cicero?

그런데 뭐 리비오스 로마사라고 하는 게 적절할 것 같아요

However, I think it's appropriate to call it Livy's Roman History.

왜냐하면 그걸 읽고 이제 또 마키아벨리가

Because after reading that, Machiavelli again...

기케로의 공화주의라는 개념을 받아들여가지고

Embracing the concept of republicanism from Cicero.

뭔가를 한 피렌치의 공화주의자가 별로 없거든요

There aren't many republicanists in Florence who do something.

오히려 이제 마키아벨리가 강력하죠

On the contrary, Machiavelli is now powerful.

그러니까 전통의 가장 깊숙한 곳에 있는 요소들을

So the elements that are deepest within tradition.

요약하고 재소수를 하고 회복하는 것이죠

It's about summarizing, re-filing, and recovering.

리비오스 로마사에 있는 내용을 받아들여서

Accepting the content in "Livy’s History of Rome."

받아들여서 로마사 농고를 쓰고 이런 것들이죠

It means accepting and writing a historical essay about Rome, things like that.

그게 구체적인 방법이에요

That's a具体方法.

그리고 우리는 그것을 읽어서

And we read it.

우리하고 그러면 저기 누구죠 저 사람

Then who is that person over there?

마키아벨리하고 무슨 관계가 있느냐

What does it have to do with Machiavelli?

관계가 있어요 우리나라는 뭐예요

What is our country related to?

민주공화국이잖아요 그러니까 관계가 있는 거예요

It's a democratic republic, so it has relevance.

그게 우리나라가 우리나라 사람이 로마사 농고를 읽지 않는다?

Is it that people in our country don't read Roman history?

그거는 안 좋은 거예요 읽어야 하는 것이 되는 거예요

That's a bad thing; it becomes something you have to read.

그게 그렇게 발견해서 읽어야 할 필요성을 얘기하는 거

That's talking about the necessity of reading once you discover it like that.

그게 이제 사상사가 사상사 연구자가 하는 일이죠

That's the work of a philosopher and a researcher of philosophical history.

그리고 각 전통의 공동체에 속하기 위해서는

And to belong to each traditional community

이 전통을 구성하는 이 문헌에 충당해야 되고

This document must fulfill the tradition.

펠리칸이 여기서 예를 드는 건 미국 헌법이거든요

The example that the Pelican cites here is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우리나라도 마찬가지 한국 사람들 대한민국의 전통이라고 하는 것

It's the same for us; what Koreans call the tradi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그 공동체에 속하기 위해서는 대한민국 헌법 전문에 충성해야 해요

To belong to that community, you must be loyal to the preamble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바꾸고 싶으면 충성서약을 일단 공직을 맡으려면 충성서약을 해야 하고

If you want to change it, you must first take an oath of loyalty to take on a public office.

바꾸고 싶으면 그 안에서 변화를 인식하되

If you want to change, recognize the changes within it.

연속성을 지킬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We need to find a way to maintain continuity.

그 방법이 무엇인가 그건 좀 더 궁리를 해보기로 하고

Let's think more about what that method is.

그렇다면 이거는 역사적 상대주의와 완고한 구조주의

In that case, this is historical relativism and rigid structuralism.

완고한 구조주의는 그 다음에 마지막 챕터 챕터 4에서 그렇게 나오죠

The stubborn structuralism is mentioned in the last chapter, Chapter 4.

전통은 죽은 이들의 살아있는 신앙이고

Tradition is the living faith of the dead.

전통주의는 살아있는 이들의 죽은 신앙입니다

Traditional shamanism is the dead faith of the living.

그 트래디셔널리즘 전통주의 그렇게 되겠죠

That traditionalism will become like that.

그걸 배제하는 것

Excluding that.

여기까지 오면 챕터 4를 읽을 때 무슨 내용이 이야기가 수월해지겠죠

If you come this far, it will be easier to understand the story when reading Chapter 4.

앞서 폐허가 된 성가대

The previously ruined choir.

색스피어 소네트 73번입니다

This is Shakespeare's Sonnet 73.

색스피어 소네트 73번은 유명한 소네트예요

Shakespeare's Sonnet 73 is a famous sonnet.

몇 개 안 되는데 유명한 게 몇 개 안 돼요

There aren't many, and only a few are famous.

이것저것 막 써놓긴 했는데

I wrote down a bunch of things, but...

이게 전체적으로 보면 이런 거예요

Overall, this is what it looks like.

인생의 가을에 들어선 사람이 사랑하는 사람에게

To someone you love in the autumn of life.

남자인지 여자인지 모르죠

I don't know if it's a man or a woman.

지금 이 시를 읽는 사람

The person reading this poem now

색스피어라고 생각한다면 남자고

If you think of Shakespeare, it's a man.

꼭 남자만 울퍽했습니까

Did only the man cry?

색스피어가 대단한 게

What’s amazing about Shakespeare is

서양에서는 말이죠

In the West, you see.

서양에서는 의외로 인생의 허무함이라든가

In the West, surprisingly, the futility of life and so on...

이런 것들을 노래한 시가 없어요

There is no poem that sings about such things.

인생의 허무함을 노래한 시가 없죠

There are no poems that sing of the emptiness of life.

그러면

Then

인생의 허무함을 노래한 시가 없다

There is no poem that sings of the emptiness of life.

왜 그러느냐

Why is that?

색스피어 때쯤 만 와도

Even if you come around the time of Shakespeare,

색스피어 때쯤 만 와도 말이죠

You could have come around the time of Shakespeare, you know.

그게 대단한 시기인 거예요

It's a remarkable time.

그러니까 르네상스라고 해도

So even if it's called the Renaissance

그게 서양을 한번 생각해 보세요

Just think about the West for a moment.

가령 이태백이 700년대 사람이거든요

For example, Lee Taebaek was a person from the 700s.

당나라 때 사람이니까

Because it's from the Tang Dynasty.

676년 신라의 삼국통일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by Silla in 676.

당나라 때잖아요

It's during the Tang Dynasty.

수당 나당연합군 있었잖아요

There was the Sudaung-Nadang alliance, wasn't there?

700년대죠 이태백이

It's the 700s, right? Lee Taebaek.

당현정당이

The party of the current government

700년대 유럽이라고 한번 생각해 보세요

Think about Europe in the 700s.

서기 700년 유럽

Europe in the year 700.

너무 어이없죠

That's so ridiculous.

게르만족의 대이동이

The migration of the Germanic tribes.

500년에서 700년 사이예요

It's between 500 and 700 years.

근데 그 무렵에

But around that time

그러니까 서양은 어찌 보면 후퇴했다고 할 수 있죠

So in a way, the West can be said to have regressed.

그 무렵에 인생의 허무함을 노래한 시가 없어요

At that time, there are no poems singing about the emptiness of life.

그러니까는

So then

그리고 자연은 어이없다

And nature is absurd.

이런 시를 써야죠

We should write poems like this.

왜냐하면 하느님의 필요물인데

Because it is a necessary thing for God.

자연에 대해서 그렇게 쓰면 안 되잖아요

You shouldn't write about nature like that.

혼나지

You'll get scolded.

근데 이제 세익스피어 소네트르니까

But now it's Shakespeare's sonnet.

그러니까 이게 좀 서양 사람들의

So this is a bit of Westerners'

아 멋있게 느껴지겠지만

Ah, it might feel cool, but...

사실 저

Actually, I...

당시 300수를 좀 읽은 사람은

At that time, someone who had read about 300 works...

세익스피어를 읽으면서 아예 애기네

Reading Shakespeare is like a total joke.

뭐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Well, one could think like this.

여튼 소네트 73번은요

Anyway, Sonnet 73 is...

인생의 그

That of life

가을 그러니까 중세의 가을처럼

Autumn, like the autumn of the Middle Ages.

가을을 맞이한 사람이

A person welcoming autumn.

이제 나는 거의 다 살았다

I have almost lived my life.

근데 그대가

But you

그대가 내가 거의 다 살았다는 것을

That you know I have lived almost all of my life.

그대가 깨닫게 되면

When you come to realize it

그대의 사랑이 더 강해질 것이고

Your love will grow stronger.

오히려 그거 우리가 얼마 안 있으면 떠나야 될 것

Rather, that's something we will have to leave soon.

그것을 생각하게 되면 더 사랑이 강해질 것이다

Thinking about it will make the love stronger.

이게 이제 뭐 노년의 추접스러운 사랑을 표현한 것이다

This is now expressing the shabby love of old age.

라고 생각할 수도 있어요

You might think that.

뭐 우리 평가하는 건 우리 마음이니까

Well, our evaluation is up to our own feelings.

근데 이게 구절을 보면요

But if you look at this passage...

that time 그 표가 된 성과 대

that time that became the table of results

그건 사행에 있는 건데요

That's something in the four directions.

일단 한 문장입니다

It's just one sentence for now.

that time of year

그 시기

the mast in me behold

the mast in me behold

in me behold 내 안에 있는

In me behold.

that time of year

그 시기

그 한 해의 그 시간

That moment of that year.

그러니까 이제 이런 계절을 보리라

So, I will see such a season now.

그대 내 안에서 이런 계절을 보리라

I will see this season within you.

when yellow leaves

when yellow leaves

노란 잎들

Yellow leaves

no or none or few

아니오, 없음 또는 적음.

do hang

do hang

하나도 걸려있거나 걸려있지 않거나

Whether it is hooked or not hooked at all.

가지에 걸려있지 않죠

It's not hanging on a branch, right?

open

열다

아예 없거나 또는 몇 잎만 걸려있는

Completely absent or only a few leaves hanging on.

when yellow 노란 잎들

When yellow leaves

open those balls

Open those balls.

which shake against the cold

which tremble against the cold

차가운 바람에 흔들리는

Swaying in the cold wind.

그 가지 위에

On that branch.

가을이잖아요 그러니까

It's autumn, so...

그대 내 안에서 이런 계절을 보리라

You will see such a season within me.

저는 이런 계절이라고 번역을 하는데

I translate it as this season.

그리고 나서

And then

where ruined course

where the ruined course is

그게 바로 이제 폐허가 된 성과 돼요

That is now the ruins of a castle.

where late the sweet birds sang

"Where late the sweet birds sang"

그 달콤한 새들

Those sweet birds.

노래하던

singing

그런 폐허가 된 성과 돼

It has become such a ruined castle.

그 흔들리는 가지를 성과 대로 표현했겠죠

They probably expressed that shaking branch as a success.

가지들이 쭉쭉쭉 이렇게 놓여있으니까

Since the branches are laid out like this...

거기까지 한 문장이에요

That's a complete sentence.

이걸 이제 좀 평서문으로 만들어 보면

If we turn this into a declarative sentence.

노란잎 차가운 바람에 흔들리는 가지 위에

On a branch swaying in the cold wind with yellow leaves.

노란잎들이 하나도 없거나

There are no yellow leaves at all.

아니면 몇 개만 걸려있고

Or just a few are hanging.

근데 있는데 예전에는 달콤한 새들 노래하던

But there used to be sweet birds singing.

그런 가지 폐허가 된 성과 대처럼 보이는 그런 가지

Such things that look like ruins and resemble a castle.

그런 가지를 그런 계절을 내 안에서 그대는 볼 것이다

You will see such branches and such a season within me.

내가 이제 그런 계절에 도달했음을 보게 될 것이다

I will come to see that I have now reached such a season.

그 다음에 in me thou seest the twilight of such day

Then in me thou seest the twilight of such day.

이게 이제 계절이었잖아요

This was now the season.

근데 이제 day 잖아요

But now it's day, right?

내게서 in me 그대는 그런 날에

In me, you on such a day.

twilight 어둑한 빛을 보리라

I will see the twilight dark light.

as after sunset face in the west

해가 진 후 서쪽의 얼굴.

석양이 서쪽으로 사라진 뒤

After the sunset disappeared in the west

which by and by black night do take away

The translation from Korean to English is: "Which, little by little, the black night takes away."

점점 건밤이 그 석양을 아삭하고

The dry night gradually crunches the sunset.

take away

take away

death second self

죽음의 두 번째 자아

death is upon all in the west

죽음은 서쪽의 모든 이에게 다가오고 있다.

여기까지가 이제 둘째 문장

This is the end of the second sentence now.

죽음이라는 death second self 둘째 자아

Death, the second self.

아 이 표현 절묘하죠

Ah, this expression is exquisite.

인간의 첫째 자아는

The first self of a human is

탄생이죠

It is a birth.

둘째 자아는

The second self is

죽음이죠

It's death.

이게 self라는 말을 자아라고 번역을 했는데

I translated the word "self" as "ego."

혼자만 혼자 있는 것

Being alone by oneself.

단독자

Sole owner

죽음을 맞이하는

Facing death

인생을 살면서

While living life

단독자인 때가 두 번이죠

There are two times when I am alone.

태어났을 때하고 죽을 때

At birth and at death.

죽음이라는 두 번째 단독자의 시기

The period of the second solitary called death.

그게

That is.

seals of all in the west

seals of all in the west

모든 것을

Everything

r.i.p. in the rest

Rest in peace.

rest in the r.i.p.

Rest in peace.

r.i.p. 그러잖아요

Rest in peace, right?

rest in the peace

Rest in peace.

안식 속에 잠들게 하는

Causing one to sleep in rest.

seal

seal

묻어버리는

Buried.

봉인하는 그 말이죠

It's the words that seal it.

모든 것을 안식 속에 묻어버리는

Burying everything in rest.

저는 이제 묻어버리는 그렇게

I will now bury it like that.

하면 좋을 것 같은데

I think it would be nice if we do it.

이건 너무 조폭스럽잖아요 그죠

This is too gangster-like, isn't it?

그래서 잠들게 하는

So it makes you fall asleep.

그렇게 한다고 봅니다

I see it that way.

그다음 마지막 문장

The next final sentence.

둘째 문장 셋째 문장

The second sentence, the third sentence.

in me those is the glowing

In me, there is the glow.

glowing of such fire

glowing of such fire

내게서 그대는

You are from me.

그런 불꽃의 glowing

The glowing of such a flame.

빛남을 버리라

Abandon the light.

근데 그 불꽃이 어떤 불꽃이냐면

But what kind of flame is it?

막 타오르는 불꽃이 아니에요

It's not a flame that is burning wildly.

사실은

The truth is

that on the ashes of

that on the ashes of

his youth don't lie

그의 젊음은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청춘이

Youth

do lie

do lie

타고난 ashes

Born ashes

제 위의 불꽃이에요

It's a flame above me.

불꽃이 있긴 있어 나한테

There is a spark in me.

가을 가을을 인생의 가을을 맞이한 사람이

A person who has迎秋 is迎秋in life.

근데 그 불꽃이라는 게

But that flame...

청춘을 다 태우고

Burning all my youth.

태운 불꽃이야

It's a burning flame.

그 다음에 as the dead

Then, as the dead

as the death's bed

as the deathbed

where on it must expire

어디에서 만료되어야 합니까?

death's bed면 죽음의 침대죠

If it's death's bed, then it's the bed of death.

죽음의 침대

Deathbed

where on it must fire

It must fire where on it.

그러니까 그 위에서

So on top of that

소멸될

will be extinguished

죽음의 침대 위에서 소멸될

To be extinguished on the bed of death.

소멸될

to be extinguished

죽음의 침대에서 소멸될

To be extinguished on the bed of death.

불꽃

Flame

불빛을 버리라

Throw away the light.

그렇죠

That's right.

그 다음에

Then

consumed with that which

consumed with that which

it was nourished by

it was nourished by

불을 붙게 한 것에 의해서

By setting fire.

소진된

exhausted

청춘 때문에 불이 붙었는데

It was ignited because of youth.

그 청춘에 의해서 소진된

Consumed by that youth

똑같은 행위가 하나는

One identical act is

불을 붙게 했지만

I set it on fire, but

사실 그것이 불을 붙게 한 것이

Actually, it was what ignited the fire.

사람을

Person

소질하게 되는 거죠

It becomes a matter of talent.

표현이 좋잖아요

The expression is nice, isn't it?

그 다음에 이제

Then, now...

그대가 이것을 지각한다면

If you perceive this,

this though perceives that

이것은 인식한다 그에 따라

which makes their love more strong

which makes their love stronger

그대의 사랑 더 강해져

Your love grows stronger.

to love that well

to love that well

which though must leave

which though must leave

year long

년 내내

얼마 안 있어 떠나야만 할 것을

I have to leave soon.

더 사랑하게 되리니

I will love you more.

아 이게 인생의 가을이다

Ah, this is the autumn of life.

정말 더 사랑해야지

I really need to love more.

라고 생각할 거다

I think so.

그 말입니다

That means.

이게 그냥 뻥이에요

This is just a lie.

죽을 때 됐으니까

It's time to die.

그냥 팍팍 죽어야지

I guess I just have to die hard.

무슨 사랑이야

What kind of love is this?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You could think that way.

Continue listening and achieve fluency faster with podcasts and the latest language learning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