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경제] 9/16(월) ‘추석특집’ 가루의 경제사: 소금편(이종훈 작가)

MBC

손에 잡히는 경제

[손경제] 9/16(월) ‘추석특집’ 가루의 경제사: 소금편(이종훈 작가)

손에 잡히는 경제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Economy Within Reach of Jinwoo Lee

다양한 가루들의 이야기를 시리즈로 준비했는데요

I have prepared a series about the stories of various powders.

명절 기간에는 역시 다양한 음식들이 많이 떠오르시죠

During the holiday season, a variety of foods come to mind.

오늘은 음식에서 제일 중요한 가루 소금에 대한 이야기를 먼저 전해드릴까 합니다

Today, I would like to first tell you about the most important powder salt in food.

음식의 간은 물론 신체활동과 산업 분야에 이르기까지

From the seasoning of food to physical activity and industrial fields.

다양한 영역에서 소금은 필수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Salt plays an essential role in various areas.

세계 경제사를 봐도 소금은 하얀 황금이라고 불릴 만큼 큰 가치가 있었는데요

Historically, salt has been valued so highly that it was referred to as white gold in the world economy.

세상을 바꾸는 소금은 하얀 황금이라고 불릴 만큼

The salt that changes the world is often called white gold.

소금을 둘러싼 다양한 이야기들 잠시 후에 이종훈 작가와 함께 나눠보겠습니다

We will share various stories surrounding salt shortly with writer Lee Jong-hoon.

추석 특집으로 진행되는 9월 16일 월요일 손에 잡히는 경제 바로 시작합니다

The Chuseok special segment of "Economy You Can Grasp" begins right now on Monday, September 16th.

우리가 알던 사실 그 너머를 날카롭게 들여다봅니다

We sharply examine the facts we knew beyond what we already know.

평일 아침 7시 5분 김종배의 시선집중

"Kim Jong-bae's Focus at 7:05 AM on weekdays"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Economic Insights at Your Fingertips with Lee Jin-woo

네 저희가 추석 연휴 기간 동안 야심차게 준비한 가루의 역사를 시작하겠습니다

Yes, we will begin the ambitious history of powder that we have prepared during the Chuseok holiday period.

이종훈 작가 나오셨어요 어서오세요

Writer Lee Jong-hoon has arrived. Welcome!

안녕하세요

Hello

이게 가루를 가지고 또 다양한 이야기를 펼쳐나가실 건가 봐요

It seems you will expand on various stories using this powder.

네 사실 추석 연휴에 어떤 이야기를 할까 생각을 했는데

Yes, actually I was thinking about what stories to share during the Chuseok holiday.

추석 연휴에 음식이 빠질 수 없잖아요

Food is a must during the Chuseok holiday, isn't it?

그렇죠

That's right.

음식에서 꼭 필요한 가루들

Essential powders in food

가루들

powders

하지만 세계 경제사태에서

However, in the global economic situation

국가적으로 봤을 때 큰 의미가 있는 가루들을 좀 뽑아봤습니다

I have selected some powders that hold great significance on a national level.

일단은 오늘은 소금이고요

Well, for now, it's salt.

네 과거 소금을 지배하는 나라가 곧 세상을 지배하는 제국이 된다 이런 말이 있을 만큼

"There's a saying that the country that controls salt will soon become the empire that rules the world."

소금은 세계 경제사에 있어서 굉장히 중요한 물건으로 인식이 됐는데

Salt has been recognized as a very important commodity in the history of the world economy.

지금은 그런 인식을 갖고 있지 않죠

I don’t have that perception right now.

그래 소금은 사실 흔하죠 이제

Yeah, salt is actually common now.

네 요즘 흔하고 쉽게 구할 수 있는 거지만 과거에는 그렇지 않았거든요

Yes, it's something common and easily accessible these days, but it wasn't like that in the past.

그리고 또 소금은 우리 몸에만 필요한 게 아니라

And salt is not only necessary for our bodies.

화학공업에 있어서 산업에 있어서 없어서는 절대 안 되는 5대 원료 중에 하나입니다

It is one of the five essential raw materials that are absolutely indispensable in the chemical industry.

화장품 만들 때 필요하고요 비누 만들 때 필요하고요

It's necessary for making cosmetics and also for making soap.

생리식염수 접착제 제설용 염화나트륨은 물론이고

Saline adhesive, as well as sodium chloride for de-icing.

플라스틱병이나 자동차 제조에도 소금이 다 있어야 됩니다

Salt is also essential in the manufacturing of plastic bottles and automobiles.

그래요

Okay.

소금으로 만들 수 있는 용도가 14,000여 가지가 넘는다 그래요

It is said that there are over 14,000 uses that can be made with salt.

그러니까 소금이 없으면 우리 삶과 경제가 무너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So it'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our lives and economy would collapse without salt.

접착제 비누 화장품 자동차에도 소금이 들어간다고요

Did you know that salt is also found in adhesives, soap, cosmetics, and cars?

네 실제로 없어서는 안 된다고 봐야 되는데

Yes, I really think it's something that cannot be done without.

그러다 보니까 선진국에서는 지금 소금이 산업용으로 많이 생산이 됐고

As a result, in developed countries, a lot of salt is now being produced for industrial use.

쓰이고 있고 하지만 아직도 개발도상국에서는 소금을 사람이나 동물이 먹는 음식 식용의 용도로 더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It is being used, but in developing countries, salt is still used more for consumption by people or animals.

아직 우리 머릿속에는 소금은 식용 이렇게 생각하는 거지 않은데

We still think of salt as something for consumption in our minds.

선진국에서는 산업용으로 더 많이 쓰고 있고

In developed countries, it is used more for industrial purposes.

산업용으로는 쓰이더라도 우리는 그 쓰임을 본 적도 없고 해본 적도 없으니까 뭘 몰랐군요

Even if it's used for industrial purposes, we have neither seen its use nor tried it, so we didn't know anything about it.

그런데 요즘 2차 전지 때문에 화재가 되고 있는 단어 하나 떠올려 보면요

By the way, if I think of one word that has been causing fires lately due to secondary batteries...

리튬이라는 단어를 많이 쓰잖아요

We often use the word lithium, don't we?

리튬

Lithium

리튬이 소금에 있는 원소이거든요

Lithium is an element found in salt.

그러니까 소금 만들다 보면 거기서 같이 나와요

So when you make salt, it comes out together.

소금이 하얀 황금으로 과거에 불렸다면 리튬 같은 경우는 하얀 석유라고 불리고 있고

If salt was called white gold in the past, lithium is referred to as white oil.

그렇죠

That's right.

그러니까 소금이라는 단어 그 자체는 경제적인 개념까지 녹아져 있다 이렇게 보시면 될 것 같아요

So, you can see that the word "salt" itself is infused with an economic concept.

그렇군요 옛날에는 소금을 월급으로 특히 군인들 월급으로 소금을 줬다

I see, in the old days, salt was given as a salary, especially to soldiers.

소금을 주면 그 소금을 팔아다가 다른 거 사 먹으라고

If you give me salt, I'll sell it to buy something else to eat.

지금 말씀하신 게 정확한 게 로마시대에 그랬거든요

What you just said is correct; it was like that during the Roman era.

Yes

살이라고 불렀습니다 그런데 국가가

It was called flesh, but the country...

살 살

Live live.

너 너무 살쪘다 할 때 그 살

When you say you gained too much weight, what do you mean by 'weight'?

s-a-l

s-a-l

그러니까 살

So, live.

네 맞습니다

Yes, that's correct.

그래서 군인들에게 급여로 소금을 지급을 했는데 이를 살라리움이라고 불렀어요

So they paid the soldiers with salt as a salary, which was called salarium.

그런데 이 살라리움이 지금의 샐러리가 된 거죠

By the way, this salarium has now become the salary we know today.

샐러리맨의 샐러리

The salary of a salaried man.

소금이 그 당시에 그 나라 말로 살라리움

At that time, salt was called salarium in that country.

Yes

그러다가 쌀트 이렇게

Then, it becomes rice like this.

살라리움이 군인들이 받는 급여가 살라리움이었거든요 소금은 쌀

The salary for soldiers was called "salarium," and salt was used as rice.

그런데 쌀은 쌀이고요

But rice is rice.

쌀은 쌀이고요

Rice is rice.

샐러리움이라고 받는데 샐러리움 샐러리움 하다가

I heard it's called "salarium," and I've been saying "salarium" over and over.

샐러리가 된 거구나

You have become celery.

그러니까 군인은 살을 받는 사람 샐러리움을 받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So a soldier means a person who receives a salary.

솔져

Soldier

아 쌀 쌀져 이런 뜻이고

Ah, it means it's getting cold.

그리고 샐러드 역시 야채를 소금에 절여서 먹는다

And salads are also eaten with vegetables pickled in salt.

아 어쩐지 샐러리 그래서 제가 샐러리하고 샐러드하고 그동안 계속 헷갈렸거든요

Ah, I see. That's why I've been confused between celery and salad all this time.

왜 월급이라는 단어하고 야채라는 단어가 발음이 비슷한 거야

Why do the words for salary and vegetables sound similar?

그리고 염장한 소세지 샐러리하고 샐러리하고 샐러리하고

And pickled sausage, celery, and celery, and celery.

샐러미 역시 소금의 쌀 여기서 나온 단어라고 볼 수 있는데

Salami can also be viewed as a word derived from the rice of salt.

그러니까 소금이라는 단어 자체가 경제적인 개념을 담고 시작해요

So the word salt itself starts to contain an economic concept.

로마시대부터 서구권에서 서구문화권에서는

Since the Roman era in the Western cultural sphere.

그리고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하다 이런 말이 있잖아요

And they say that all roads lead to Rome.

로마제국의 도로는 로마제국을 상징하는 가장 중요한 건축물들이었습니다

The roads of the Roman Empire were the most important structures symbolizing the Roman Empire.

그런데 이 로마제국을 상징하는 도로가 만들어진 이유 역시 소금 때문입니다

However, the reason this road symbolizing the Roman Empire was built is also because of salt.

왜요

Why?

소금을 수송하기 위해서

To transport salt.

아 소금이 로마로

Ah, salt goes to Rome.

로마라는 도시 근처에서는 잘 안 나왔나 봐요

It seems like it didn't come out well near the city of Rome.

에트루리안들이 생산하는 소금을 의지하지 않기 위해서

In order not to rely on the salt produced by the Etruscans.

오스티아 지역에 직접 제염소를 만들고 이 오스티아 소금을 로마로 가져오기 위해서 노력했는데

I worked hard to create my own saltworks in the Ostia area and to bring this Ostia salt to Rome.

그러면 뭐가 필요할까요 도로가 필요하죠

Then what do we need? We need a road.

가져올려다 보니까 도로도 없어서 야 도로부터 만들어

I tried to bring it over, but there’s no road, so hey, make a road first.

그렇죠 그래서 최초의 로마 도로가 샐러리아 가도라고 하거든요

That's right, that's why the first Roman road is called the Via Salaria.

아 지금도 그렇게 불러요

Oh, I still call you that now.

소금 가도입니다 우리말로 하면

It's a salt road in our language.

아 소금길

Ah, the salt road.

네 소금길이에요

It's your salty path.

애초에 그 도로 만든 첫 번째 목적이 지금이야 다른 다양한 용도로도 쓰이겠으나

The original purpose of that road was different, and while it may now serve various other purposes...

네 그래서 제국이 확대되면서 로마제국 내에 있는 제염소가 60여 곳 이상으로 늘어나게 되고

Yes, as the empire expanded, the number of minting houses within the Roman Empire increased to more than 60.

소금길은 더욱더 확대되고 이 도로는 로마를 상징하는 건축물이 된 거죠

The Salt Road expands even more, and this road became an architectural symbol of Rome.

그런데 이게 서구컵만 그런 게 아니라 우리 동양화에서도 실질적으로 소금은 경제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 단어입니다

However, this is not only the case with the Western cup; in our East Asian painting, salt also carries economic significance.

이게 소금의 중국 한자를 보면

If you look at the Chinese characters for salt,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소금은 로자를 쓰고요

Naturally made salt is called "roja."

로요 로

Royo Ro

네 그리고

Yes, and

길 할 때 로하고 발음이 같아요

When it's 길 (road), it's the same pronunciation.

네 그리고 사람이 염전을 만들어서 생산한 소금은 염이라고 합니다

Yes, and salt produced by a person who creates a salt farm is called 'yeom'.

우리가 염이라는 단어를 더 많이 쓰죠

We use the word "yeom" more often.

Yes

소금을 의미하는 염자를 뜯어보면 세 단어가 합쳐진 상용문자예요

If you take apart the character for salt, you'll find that it is a commonly used character made up of three words.

소금염자는

Salt ion

네 왼쪽 위가 신하신자가 있어요

Yes, there is a servant in the upper left.

Yes

그리고 오른쪽 위에 소금밭로가 있고요

And there is a salt field on the top right.

아까 말씀하셨는데 소금의 일반 명사로 쓰는 로라는 거

You mentioned earlier that the general noun for salt is "lora."

맞습니다 로 있고요

That's right.

Yes

그 밑에 그릇에 소금이 들어있어요

There is salt in the bowl below.

그릇 명자가 들어가 있습니다

The bowl is engraved with decorations.

이 세 글자가 하나로 합쳐진 건데 이 말은 뭐냐면 소금이란 건 신하가 국가의 신하 관리가 소금밭에서 나온 소금 결정체를 그릇에 담아서 관리한다

These three characters have come together as one, which means that salt is managed by the vassals of the state, who gather salt crystals from the salt field and store them in containers.

즉 국가가 관리하는 소금 전매제의 의미를 한자어 자체가 담고 있는 거죠

In other words, the term itself contains the meaning of a salt monopoly managed by the state.

신하라는 뜻의 한자도 들어갔고 그릇 도량형 측정 이런 것도 들어갔으니까

It also included characters meaning "subject," and since it included measurements of vessels and dimensions as well.

그러니까 소금 자체가 염이란 단어 자체가

So, the word salt itself is the word for brine.

Yes

이미 국가 전매제를 의미하는

It already means a national monopoly system.

항상 나라에서 관리하고 소금의 사유 그런 건 없다

There is no private ownership of salt; it is always managed by the country.

개인이 가질 수 없다

Cannot be possessed by an individual.

이게 중국 춘추정국 시대에 제나라 재상이었고 또 중국 최초의 경제학자라고 불렸던 간중이라는 사람이 이런 생각을 했대요

This is something that Gan Zhong, who was the prime minister of the State of Qi during the Chinese Spring and Autumn Period and is also called China's first economist, is said to have thought.

좋은 정치의 핵심은 경제에 있다 그러면서 이 사람은 백성들에게 세금을 부과하는 걸 반대했습니다

The key to good politics lies in the economy, yet this person opposed taxing the people.

그러면 나라 재정은 어떡할 거냐 라는 문제가 생기죠

Then the question arises, what will happen to the country's finances?

그 부족한 나라 재정은 어떻게 할 거냐는 문제가 생기죠

The question arises of how to handle the inadequate finances of that country.

그 부족한 나라 재정을 채울 수 있는 방법이 바로 소금과 철을 국가가 독점하면 된다

The way to fill the country's insufficient finances is to have the state monopolize salt and iron.

국민들이 이 소금을 안 먹을 수는 없으니

The citizens can't avoid eating this salt.

소금과 철은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Because salt and iron are absolutely necessary

소금을 많이 먹는 사람에게는 많이 돈을 거두면 되는 거니까 누진세도 가능하고 그렇겠네요 진짜

If a person eats a lot of salt, it would be possible to collect a lot of money from them, so progressive taxation could be feasible, I guess.

식구들 많거나 거느리는 화인들 많으면 소금도 많이 사가야 될 테니 그럼 부자니까

If there are many family members or many people to take care of, then you'll have to buy a lot of salt, so that means you're wealthy.

소금을 비싸게 팔면 그게 세금이다

If you sell salt at a high price, that is a tax.

그렇죠 그걸 실현한 게 중국의 진시황입니다

That's right, the one who realized that was China's Qin Shi Huang.

그래서 세금을 받는 게 중국의 진시황입니다

So collecting taxes is China's Qin Shi Huang.

세금이라는 게 소금하고 발음이 비슷한 건가 봐요 우리나라

It seems that the word for tax sounds similar to the word for salt in our country.

짜죠 둘 다

Both are boring.

그런 애 또

That kind of kid again.

맛이 짜죠

The taste is salty.

중국 진시황 같은 경우에 소금 전매와 소금 교역으로 군대를 키울 수 있었고

In the case of China's Qin Shi Huang, he was able to build up the army through the monopoly and trade of salt.

군비를 마련할 수 있었고 그걸 통해서 결국 중국 대륙 통일에 성공을 했는데

They were able to secure military resources, and through that, they ultimately succeeded in unifying the Chinese mainland.

통일 후에도 소금과 철을 그대로 독점을 해봤습니다

Even after unification, we continued to monopolize salt and iron as before.

그리고 통일 직전에 비해서 20배 이상의 이유를 남겼다고 합니다

And it is said that they left more than 20 times the reasons compared to just before unification.

그럼 지금은 우리가 소금을 무슨 마트에서 사 먹지만

Well, now we buy salt from some grocery store, but…

그 당시에는 지금 우리가 사 먹는 가격보다 훨씬 비싼 가격에 소금을 썼다는 거네요

At that time, it means that salt was used at a much higher price than what we pay for it now.

소금은 귀한 물자였죠

Salt was a precious commodity.

와 그러니까 부자나 부자나 돼야 간을 제대로 맞춰서 먹을 수 있었나 봐요

Wow, I guess only the rich can really afford to eat well.

하지만 사람이 꼭 먹어야 되는

But something that a person must eat.

그러니까 진짜 조금씩만 먹었겠습니다

So I really only ate a little bit.

그 덕분에 중국 진시황은 만리장성 같은 건축물을 지을 수 있었어요

Thanks to that, the Chinese Emperor Qin Shi Huang was able to build structures like the Great Wall.

그러니까 어떻게 보면 우리가 지금 중국에 가서 만리장성을 볼 수 있는 게

So in a way, what we can see now is the Great Wall of China.

소금 덕분입니다

It's thanks to the salt.

그럼 바닷가에서 누가 몰래 바닷물 퍼다가 뒷마당에서 말리고 있다 들키면

Then, what if someone is secretly scooping seawater from the beach and drying it in their backyard, and gets caught?

그냥 혼 많이 났겠네요

You must have gotten scolded a lot.

거의 뭐 사형급이죠 이건

This is almost death penalty level.

염을 염전을 국가가 아닌 개인이 가져간다 이건 사형이죠 사형

Having salt pans owned by individuals rather than the state is a death penalty offense.

마치 집에서 화폐를 몰래 인수하다가 걸리는 거하고 똑같은

It's just like getting caught secretly taking money at home.

소금을 몰래 유통해도 엄청난 벌금 아니면 태형인데

Distributing salt in secret leads to huge fines or even flogging.

그랬구나 알겠습니다 재밌네요

I see, I understand. That's interesting.

그래서 진실입니다

So it is the truth.

진시황은 그 소금의 힘으로 중국 대륙을 통일했고

Qin Shi Huang unified the Chinese continent with the power of that salt.

만리장성까지 지을 수 있었고

They were able to build the Great Wall.

그래서 이게 재밌구나 싶어서 소금을 굉장히 비싸게 계속 팔았다는 얘기죠

So it was interesting, and that's why it continued to be sold at a very high price.

그런데 중국 같은 경우에는 과거에 국가가 소금을 독점했듯이

However, in the case of China, just as the state monopolized salt in the past,

소구도 마찬가지였어요 프랑스 같은 경우도

The same was true for small cities, like in France.

프랑스는 조금 다른 의미에서 소금을 활용했는데

France has used salt in a somewhat different context.

국가 재정을 위해서 소금을 활용했는데

They used salt for the national finances.

이게 이제 대다수의 경제학자들과 역사학자들이

This is now the majority of economists and historians.

프랑스 대혁명을 촉발했다

Triggered the French Revolution.

그러니까 소금이 프랑스 대혁명을 촉발했다라고 이야기를 합니다

So they say that salt triggered the French Revolution.

왜요?

Why?

프랑스 왕실이 1268년에 가별이라고 해서 소금 세금을 고안해냅니다

In 1268, the French royal court devised a salt tax called gabelle.

그러니까 소금을 판매하는 게 아니라 소금을 살 때 세금을 내도록 해놨어요

So rather than selling salt, they’ve made it so that you have to pay tax when you buy salt.

그런데 이 가별의 놀라운 구조가 뭐냐면

But what is amazing about this separation structure is...

만 8세 이상의 남녀는 일주일에 한 번씩

Males and females aged 8 and older are once a week.

소금을 사야 합니다 의무입니다 이게

I have to buy salt; it's mandatory.

그리고 프랑스 왕실은 필요에 따라서 왕이 자기 마음에 따라서

And the French royal family, depending on the need, allowed the king to do as he pleased.

소금 가격을 정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안에 세금을 붙입니다

You can set the price of salt and add taxes to it.

그러다 보니까 프랑스 왕실이 전쟁을 준비한다 아니면 사치를 부렸다

As a result, the French royal family either prepared for war or indulged in luxury.

돈이 필요하다 그러면 소금 가격이 계속 됩니다

If you say you need money, the price of salt will keep going up.

그냥 가격을 올리는군요

They're just raising the prices.

그러니까 이게 왕 마음대로이기 때문에 프랑스 국가가 마음대로 정하기 때문에

So this is up to the king, which is why the French state can decide as it pleases.

그런데 그 다음에

But then

그 당시에 소금은 냉장고가 없었던 시절이라서 더욱더 많이도 필요했고 그랬을 텐데

At that time, salt was even more necessary because there were no refrigerators.

그게 핵심인데요 그 당시에 유럽인들이 청어를 많이 먹었어요

That's the key point; at that time, Europeans ate a lot of herring.

그런데 이 절임 청어였거든요

But this was pickled herring.

그러니까 소금 수유가 엄청나게 많았어요 소금이 그러니까 청어를 절여야 되기 때문에

So there was an incredible amount of salt because the herring needed to be salted.

그런데 왕이 필요하면 자꾸 소금 가지고 가격 장난을 하면

But if the king keeps playing with the price of salt when needed...

그런데 이게 어느 정도였냐면

But to what extent was this?

1630년대 프랑스의 소금 가격이 생산비의 14배였는데

In the 1630s, the price of salt in France was 14 times the production cost.

1700년대에 오면 140배까지 올라갑니다

By the 1700s, it rises to 140 times.

무슨 엔비디아 칩입니까?

What NVIDIA chip is it?

여기 비싸게

Here is expensive.

자기들이 독점하니까 올리고 싶은 만큼 올렸겠네요

Since they have a monopoly, they probably raised it as much as they wanted.

그러면 돈이 없는 사람들은 소금을 못 사는데 소금을 못 사면 소금을 못 먹어요?

So, if people don't have money, they can't buy salt, and if they can't buy salt, does that mean they can't eat salt?

그럼 사람 못 살잖아요

Then people can't live, right?

소금을 못 먹는 정도가 아니고 감옥에 갑니다

It's not that I can't eat salt; I'm going to prison.

소금을 못 사면?

What if you can't buy salt?

그 말은 세금 안 냈다는 얘기니까

That means you didn't pay taxes.

그렇죠 그래서 프랑스에는 매년 3천여 명의 남녀가 감옥에 투옥됐습니다

That's right, so every year around 3,000 men and women are imprisoned in France.

소금을 안 샀다는 죄로

For the crime of not buying salt.

나도 사고 싶지

I want to buy it too.

그러니까 이게 왜 프랑스 대혁명을 속발했겠어요

So, why did this lead to the French Revolution?

소금을 안 먹고 살 수도 없으니 어쩔 수 없이 소금을 사야 되는데 비싼 값에

I can't live without salt, so I have no choice but to buy it, even at a high price.

소금을 또 돈이 없어서 안 사면 감옥에도 넣고

If you don’t buy salt again because you don’t have money, you’ll be put in jail.

그러니까 사람들이 불만이 차곡차곡 쌓일 수밖에 없는 거죠

So it's no wonder that people's dissatisfaction continues to accumulate.

그렇겠네요

That makes sense.

그렇게 축적된 불만이 프랑스 대혁명을 통해서 폭발했고

The accumulated grievances exploded through the French Revolution.

그래서 프랑스 대혁명 기간인 1790년에 폐지가 됩니다

So it was abolished in 1790 during the French Revolution.

Ah

그래서 이제는 프랑스 대혁명을 통해서 폭발했고

So now it has exploded through the French Revolution.

프랑스 대혁명 다음 해네요

It's the year after the French Revolution.

그래서 프랑스 시민들이 우리가 해냈어라고 생각했거든요

So the French citizens thought that we did it.

그런데 1805년에 나폴레옹이 들어서면서

However, in 1805, with the rise of Napoleon

나폴레옹이 전쟁해야 되니까 우리 군비가 필요하다

We need our military supplies because Napoleon has to go to war.

그러면서 가벨을 다시 부활시킵니다

And then he resurrects Gabel again.

최종적으로 가벨이라는 소금세가 없어진 게 1946년이거든요

Ultimately, the salt guild called Gabel disappeared in 1946.

아 프랑스는?

Oh, France?

네 그러니까 프랑스 입장에서는 소금은 정말 권력의 중요한 세금원이자

Yes, so from France's perspective, salt was indeed a significant source of tax power.

현상, 민중과 마찰하는 쟁점 중에 하나였습니다

It was one of the issues that conflicted with the masses.

이게 우리나라 현대에서는 주유소 휘발유가 그렇잖아요

This is how gasoline prices at gas stations are in our modern country, right?

세금이 더 많아 여기 보는 게

There are more taxes, it's more than what you see here.

그렇죠 여기 프랑스 소금이 그랬던 거죠

That's right, the French salt was like that.

우리나라는 소금을 어떻게 비슷하게 활용했습니까?

How did our country use salt similarly?

제가 찾아보니까 조선시대 같은 경우에 전쟁과 같은 국가 위급 사태가 아닌

I found that in the case of the Joseon Dynasty, it wasn't a state of emergency like war.

평시에는 소금 가격이 굉장히 잘 관리된 국가 중에 하나였어요

In peacetime, it was one of the countries where the price of salt was very well managed.

관리라고 하면 그냥 안정적인

When it comes to management, it's just stable.

안정적으로 잘 유지가 됐죠

It was maintained well and stably.

그런데 18세기에 들어서 소금을 찾는 수요가 급증해서 가격이 폭등하기 시작합니다

However, in the 18th century, the demand for salt surged, and prices began to skyrocket.

18세기의 소금의 수요가 급증한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알려져 있는데요

The reasons for the rapid increase in demand for salt in the 18th century are known to be broadly attributed to two factors.

첫째는 이양법이 보편화되고 대동법이 실시되면서 쌀 생산이 급증합니다

Firstly, as the method of land transfer becomes common and the uniform land tax system is implemented, rice production dramatically increases.

이양법은 모내기 하는 거죠?

The transplanting method is what you use for rice planting, right?

그렇죠 바로 벽실을 땅에 뿌리는 게 아니라

That's right, it's not about planting the wall material directly into the ground.

농사 짓는 경작 방법

Farming practices.

모판에다가 먼저 벼를 기른 다음에 모내기 하는 그런 방식으로 생산을 늘린 거고

They increased production by first growing rice on seedbeds and then transplanting it.

그러다 보니까 쌀밥의 소비량이 증가해요

As a result, the consumption of rice has increased.

쌀밥의 소비량이 증가하면

If the consumption of rice increases

반찬

Side dish

반찬 소비도 역시 같이 증가하죠

Side dish consumption also increases together.

그렇겠네요

I guess so.

반찬은 주로 소금으로

The side dishes are mainly seasoned with salt.

소금 필요하죠

We need salt.

그 당시에는 사실은 우리 김치부터 해서 모든 게 절임 음식이었어요

At that time, in fact, everything was preserved food, starting with our kimchi.

절임 김치였거든요

It was pickled kimchi.

그리고 또 둘째 두 번째 이유가

And also the second reason is

유교를 기반으로 한 각종 교육과 의뢰를 보급하던

Promoting various education and services based on Confucianism.

향교와 소원 숫자가 18세기에 들어서 급격하게 늘어납니다

The number of hyanggyo and wish numbers increased rapidly in the 18th century.

향교와 소원을 기반으로 한 각종 교육과 의뢰를 보급하던

Disseminating various education and requests based on hyanggyo and wishes.

향교와 소원에서는 제사가 굉장히 많습니다

There are many rituals at the hyanggyo and sowon.

그럼 또 쌀밥에 반찬

Then, rice with side dishes again.

그리고 제수 음식 특히 생선을 올리기 때문에 여기에 소금이 많이 들어갑니다

And because the ceremonial food, especially fish, is served here, a lot of salt is used.

짜게 먹어서가 아니라 상하지 않게 만들려고

It's not because I eat it salty, but to keep it from spoiling.

우리 차례상에 올라가는 음식들 보면 고춧가루 없잖아요

If you look at the food that goes on our table, there's no red pepper powder, right?

그러네요

That's right.

간이 다 소금이거든요 거의

The liver is almost entirely salt.

고급 음식이었군요 그러니까

So it was gourmet food, huh?

아무튼 이러다 보니까 소금 가격이 폭등하고

Anyway, as this goes on, the price of salt is skyrocketing.

일반 조선 백성들이 소금 구하는 게 힘들어지기 시작합니다

Common Joseon people begin to struggle to obtain salt.

그러다 보니까 눈물을 머금고

As a result, I held back tears.

그럼 간을 뭘로 맞춰요?

Then what do you use to season it?

반찬에 들어가는 소금을 주워야죠

You have to pick up the salt that goes into the side dishes.

그러면 대체제가 있어야 되잖아요

Then there should be an alternative, right?

그 대체제로 발견한 게 고추와 고춧가루입니다

The substitute I found is chili peppers and chili powder.

고추가 우리나라에 들어오는 게 16세기 이후거든요

Chili peppers were introduced to our country after the 16th century.

일본에서 들어왔다 보니까 외계자라고 해서

Since I came from Japan, they say I'm an alien.

식재료로 16세기 이전까지는 관심을 못 받았어요

It didn't receive much attention as an ingredient until the 16th century.

그런데 18세기에 소금 가격이 폭등하면서

However, in the 18th century, the price of salt soared.

조선의 백성들이 소금의 대체제가 필요한데

The people of Joseon need an alternative to salt.

고추를 갈아가지고 고춧가루로 만들어서

By grinding the peppers and turning them into chili powder.

그럼 좀 덜 짜도 먹을만해?

Then is it still okay to eat if it's a bit less salty?

좀 뿌려보자

Let's spray a little.

김치에 대체제가 필요한데 고추를 갈아가지고 고춧가루로 만들어서

We need a substitute for kimchi, so grind the peppers and make chili powder.

김치에 뿌려보자 양념으로 쓰자

Let's sprinkle it on kimchi and use it as seasoning.

그전에는 소금이 없어서 그렇게 시작한 거군요

So that's how it started because there was no salt before.

그러니까 그전에는 새빨간 우리가 생각하는 김치

So before that, it was the bright red kimchi that we think of.

빨간색의 김치가 없었어요

There was no red kimchi.

다 짠지 허연거

It's all salty and white.

그렇죠 그래서 김치의 딴 이름이 짠지죠

That's right, so another name for kimchi is "jjangi."

다른 이름이

Another name is

그런데 주영아가 쓴 음식인문학이라는 책을 보면

By the way, if you look at the book "Culinary Humanities" written by Juyoung...

당시에 소금 가격 폭등 때문에 조선인들은 고춧가루를 넣어서

At that time, due to the skyrocketing salt prices, Koreans added red pepper powder to it.

김치를 만들었고

I made kimchi.

빨간색 김치를 먹기 시작하면서 거의 중독 수준으로 고춧가루에 빠져듭니다

I started eating red kimchi and became almost addicted to the chili powder.

그렇죠 고추가 매운맛에 중독성이 있죠

That's right, chili peppers are addictive in their spiciness.

매운맛을 사랑하게 돼요

I come to love spicy flavors.

그러니까 18세기 조선시대에 소금값이 폭등했기 때문에

So, because the price of salt skyrocketed during the 18th century Joseon Dynasty,

그런 바람에

Because of that wind

지금의 김치 그리고 지금의 케이푸드의 원형이 탄생할 수 있었다

The original form of kimchi and today's K-food could be born.

그럼 그 당시에 그냥 소금이 다 안정적으로 공급됐으면

Well, if salt had been supplied stably at that time.

지금도 우리는 하얀 음식을 먹고

Even now, we eat white food.

굳이 고춧가루 안 뿌리고

Without necessarily sprinkling chili powder.

빨간색이 아닌 하얀색

Not red, but white.

제수상에 올라가는 차례상에 올라가는 음식들을 생각하시면 돼요

You can think of the foods that are placed on the ceremonial table during the ceremony.

그게 케이푸드예요

That's K-food.

고추장찌개 고춧가루로 하는 다양한 음식들이 다

Dishes made with gochujang stew and gochugaru.

김치찌개도 색깔이 다르고요

The colors of kimchi stew are also different.

그럼 무슨 고등어조림 이런 거 하려고 해도 허옇게 됐었다는 뜻이네요

So it means that even trying to make something like mackerel stew would have ended up looking pale.

이게 아까 차례상이나 제수상 생각하면 된다

You can think of this as the ritual table or offerings table from earlier.

제사상 생각하면 된다 그랬는데

You just need to think of a ritual offering table.

이게 예외였어요

This was an exception.

음식에 거의 빨간색 고춧가루를 다 뿌려서 양념을 했는데

I sprinkled almost all the red pepper powder on the food to season it.

조선께 올리는 음식

Food offered to Joseon.

제사상이나 차례상에 올리는 음식에는 고춧가루를 넣지 않았어요

The food placed on the ritual table or the ceremonial table did not contain red pepper powder.

과거처럼 소금만 사용해서 음식을 만들어서 올렸거든요

I made the food using only salt like before.

그래서

So

지금 우리 차례상에 빨간색 음식이 없는 거예요

Right now, there are no red foods on our table.

나름 고급 음식이었군요

It seems that it was quite a gourmet dish.

그러니까 아깝고 비싼 소금으로만

So only with precious and expensive salt.

그러니까 소금 가격 때문에

So because of the price of salt

우리가 먹는 지금의 김치가 탄생했다

The kimchi we eat now was born.

세상에 가끔 이렇게 어려움과 난관이

Sometimes in the world, difficulties and obstacles arise.

나중에는 이렇게 어찌보면 더 좋은 일로

Later on, this may turn out to be a better thing in a way.

그렇죠 고춧가루 없었으면 어떡할 뻔했어요

That's right, what would we have done without the red pepper powder?

얼마나 다양한 음식들이 사라졌겠습니까

How many different foods must have disappeared?

떡볶이 없죠 간장떡볶이로 먹을랬나?

There's no tteokbokki, right? Were you thinking of eating soy sauce tteokbokki?

간장떡볶이였으면 더 아니겠어요?

Wouldn't it be better if it were soy sauce tteokbokki?

간장떡볶이로 먹을랬나? 간장떡볶이로 먹을랬나?

Did you want to eat it with soy sauce tteokbokki? Did you want to eat it with soy sauce tteokbokki?

간장떡볶이 혹은 춘장떡볶이로 먹겠죠?

You'll probably have it with soy sauce tteokbokki or black bean sauce tteokbokki, right?

그러니 우리가 먹는 김치가 우연히 소금값 폭등 때문에 생겨났다니까

So the kimchi we eat happened to come about because of the sudden surge in salt prices.

재밌네요

It's fun.

그러면 전 세계에서 소금을 안 만들어 쓰는 나라는 없을 텐데

Then there shouldn't be any country in the world that doesn't produce and use salt.

어느 정도 생산되는 거예요 전 세계에서?

How much is produced around the world?

전 세계적으로 매년 소금 생산장이 2억 5천만 톤에서

Around the world, salt production plants produce 250 million tons annually.

2억 7천만 톤 정도가 됩니다

It amounts to about 270 million tons.

이거는 인구 증가하는 정도로 같이 늘어나나요?

Does this increase along with the population growth?

아니면 산업 수요가 많으니까 증가율이 더 높을 것 같아요?

Or do you think the growth rate might be higher because there is a lot of industrial demand?

지금은 이제 산업 수요에 따라서 많이 증가를 하고 있는데

It is now increasing a lot according to industrial demand.

근데 지금 2017년 기준으로 볼 때

But looking at it based on 2017.

글로벌 소금 생산량이 20년 전인 1997년 대비해서 27.5% 증가했고요

Global salt production has increased by 27.5% compared to 20 years ago in 1997.

하지만 2017년 기준으로 볼 때 5년 동안 연평균 0.01%의 마이너스 성장률을 보입니다

However, as of 2017, it shows an average annual growth rate of -0.01% over the past five years.

최근 5년은 이상하네요 그러면

The last 5 years have been strange, then.

그러니까 어떻게 보면 소금을

So in a way, salt can be...

실질적으로 소금이 또 재미있는 게 뭐냐면

What’s really interesting about salt is that...

과거에 80년대까지 소금을 가장 많이 생산한 국가는 미국이었어요

In the past, the country that produced the most salt until the 1980s was the United States.

미국이 80년대 세계 최강국이었잖아요

The United States was the world's strongest country in the 1980s, right?

그리고 미국의 생산장이 줄어들고

And the number of production facilities in the U.S. is declining.

그 자리를 차지한 1위 자리를 차지한 지금의 나라는 중국입니다

The country that currently holds the number one position is China.

80년대 이후 90년대 2000년대를 거치면서

Since the 1980s, through the 1990s and 2000s,

그 말은 미국인들도 중국산 소금 사다가 먹기 시작했다는 뜻?

Does that mean that Americans have started buying and eating Chinese salt?

먹는 게 아니라 산업용을

It's for industrial use, not for eating.

산업용을 그러니까 사용하기 위해서 국가가 생산하는 소금이 많았는데

There was a lot of salt produced by the government for industrial use.

미국이 80년대까지 경제를 세계 경제를 자주 우지할 정도로 슈퍼파워였잖아요

The United States was a superpower to the extent that it often influenced the world economy until the 1980s.

그때 본인들이 어떻게 보면 산업용 소금을 생산을 정말 많이 했는데

At that time, they produced a lot of industrial salt, in a way.

80년대 이후부터 중국이 사실 세계의 공장 역할을 해오고 있잖아요

Since the 1980s, China has essentially been acting as the world's factory.

그러면서 이제는 중국이 세계 1위거든요 소금을 가장 많이 생산한 나라인데

And now China is the world's number one, the country that produces the most salt.

지금 30년대 이후에 중국이 세계 1위거든요

China has been the number one in the world since the 30s.

그리고 3위가 인도예요

And India is in third place.

그렇군요 인구 많으니까

I see, because there are a lot of people.

인구가 많다는 것과 그리고 경제 성장과 지금 어떻게 보면 세계의 공장 역할을 하는

The fact that there is a large population and economic growth, and now it can be seen as playing the role of the world's factory.

저임금의 노동력을 활용해서 세계의 공장 역할을 하는 국가들이 소금 생산이 많아지고 있다는 거죠

Countries that serve as the world's factories by utilizing low-wage labor are increasing their salt production.

뭔가 제조업의 중심이 되는 나라들로 소금 생산이 자꾸 옮겨가는 현상도 재밌네요

It's interesting to see the phenomenon of salt production gradually shifting to countries that are central to manufacturing.

그런 상황이라 지금 실질적으로 과거에

In that situation, it is practically like the past now.

앞서 말씀드렸듯이 로마 제국 같은 경우에 로마 제국과 중국의 진시황의 사례를 들면서

As mentioned earlier, in the case of the Roman Empire, I will refer to the examples of the Roman Empire and Qin Shi Huang of China.

소금을 지배하는 국가가 세계를 재패한다 이런 얘기를 말씀드렸잖아요

A country that controls salt will dominate the world. I mentioned this before.

그런데 이게 현대 사회에 와서 20세기와 21세기에 와서 그대로 유지가 되고 있어요

However, this has been maintained as it is in modern society, throughout the 20th and 21st centuries.

그러니까 슈퍼파워로 올라서는 국가들의 한 이면을 들여다보면 소금 생산량이 급증한다

So, if you take a closer look at the other side of countries that rise with superpowers, there is a dramatic increase in salt production.

재밌네요 정말

It's really fun.

그러니까 아직도 여전히 소금은 세계 경제사회에 은근히 경제에 미칠 지장이 크다

So even now, salt still subtly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global economy and society.

우리 같은 경우에 소금 생산량을 의뢰해야 될까요? 어떻게 해야 될까요?

In our case, should we request the salt production quantity? What should we do?

그런데 뭔가 제조업이 융성하는 나라에서는 소금 수요가 많다

However, in countries where the manufacturing industry is thriving, there is a high demand for salt.

그러니 그냥 우리가 만듭시다 누구나 만들 수 있는 거니까

So let's just make it ourselves since anyone can make it.

그냥 근처에서 만들어서 쓰는 게 낫지 사오려면 사올 수야 있겠으나

It's better to just make it nearby and use it; I could buy it if I wanted to.

소금 사오는 데는 비싸지도 않은 거 운송비가 더 드니까

The salt isn't expensive to buy, but the transportation costs more.

뭔가 산업 특히 제조업이 활성화되고

Something, especially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is being revitalized.

출발하게 진행되는 곳은 자연스럽게 그냥 소금은 이 근처에서 만들어다 씁시다가 되겠군요

The place where we set off will naturally be where the salt is made around here.

그러니까 이게 천일염 개념이 아니라 지금 산업용 소금 같은 경우 화학적으로 만들 수 있는 거니까

So this is not the concept of sun-dried salt; in the case of industrial salt, it can be chemically produced.

개념이 다르죠 그러니까 우리가 먹는 소금에서 좀 고급스러운 건 천일염을 많이 먹잖아요

The concept is different. So we often consume a more premium type of salt, which is sun-dried salt.

천일염 같은 경우는 염전이라는 자연적인 환경이 있어야 되는데

In the case of sea salt, a natural environment like a salt field is necessary.

그래서 화학적으로 생산하는 부분들은 가격이 워낙 싸니까

So the parts that are produced chemically are very cheap.

말씀하신 대로 그런 수요가 많은 국가에서 많이 생산할 수밖에 없는 거죠

As you mentioned, it is inevitable to produce more in countries where there is high demand.

근데 어쨌든 지금 보면 스페인, 폴란드, 이탈리아, 그리스, 불가리아, 크로아티아도 소금 생산에 많이 노력을 하는 국가들로 볼 수 있는데요

But anyway, when you look at it now, Spain, Poland, Italy, Greece, Bulgaria, and Croatia can also be seen as countries that are putting a lot of effort into salt production.

아까 얘기했던 중국, 미국, 인도 다음이 이 나라들이에요

The countries that come after China, the United States, and India that we talked about earlier are these.

근데 이렇게 많은 국가들이 소금을 생산해 준 덕분에 우리가 어찌 보면 산업용 소금 그리고 먹는 소금까지

Thanks to so many countries producing salt, we have both industrial salt and table salt, so to speak.

소금 걱정하지 않고 살아갈 수 있는 행복한 시대를 살고 있는 거죠

We're living in a happy era where we don't have to worry about salt.

사실은 소금이 이렇게 많이 생겼네요

The truth is, a lot of salt has formed like this.

바담에서도 나오고 바다 접하지 않은 곳에서는 산에서 암염으로도 나오고

It comes out in mud flats and also from rock salt in mountainous areas where there is no access to the sea.

산에서 나오는 게 옛날에 거기가 산이 아니라 바다였기 때문에 나온다면서요

They say what comes out of the mountain is because it used to be the sea back in the day.

아무튼 그래도 다행히 여기저기서 나오니까 그렇지

Anyway, it's a relief that it’s coming out here and there.

석유 봐요 안 나오는 나라 있고 나오는 나라 있으니까 얼마나 안 나오는 나라는 짜증나고

Look at oil; some countries have it and some don't, and those that don't are really frustrating.

많이 나오는 나라는 또 거기서 매번 전쟁이 일어나고

Countries that often emerge there also have wars happening every time.

아니 근데 과거에는 중세시대까지 보면 암염 얘기하셨잖아요

No, but in the past, you mentioned salt rocks all the way back to the Middle Ages.

암염을 중심으로 해서 염전이나 암염을 가진 암염을 가진 암염으로

Focusing on rock salt, it pertains to salt pans or rock salt with rock salt.

가지기 위해서 전쟁도 했어요

I even fought a war to have it.

그리고 또 재미있는 게 뭐냐면 마르코 폴로 아시죠

And what's interesting is, you know Marco Polo, right?

중국에 가서 동방겸문록 쓴 동방겸문록에 많은 내용이 소금과 관련된 내용이에요

In the Dongbanggyeommunrok, which was written after going to China, there are many contents related to salt.

그 이유가 뭐냐면 소금이 그 당시에 제일 교역 대상으로 활발하고 주목받았기 때문에

The reason is that salt was the most active and attention-grabbing trade item at that time.

마르코 폴로 입장에서는 독자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소재를 가장 많이 페이지를 할애한 거죠

From Marco Polo's perspective, he dedicated the most pages to topics that readers would find interesting.

이 나라는 소금을 어디서 어떻게 구하는지 알아?

Do you know where and how this country gets its salt?

그러면 그때가 그게 제일 관심이 되는 거죠?

So that's the time when it becomes the most interesting, right?

그리고 그게 정부가 되는 거죠

And that becomes the government.

근데 감히 중국을 침공하기는 좀 어렵고 교역을 해야겠다라고 생각해서

But I thought it would be quite difficult to invade China, so I should engage in trade instead.

중국과 유럽 국가들의 교역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거죠

Trade between China and European countries is actively taking place.

중요한 거였네 정말

It really was important.

일단 다른 거는 다 기억 안 하셔도 되고요

You don't have to remember anything else for now.

지금 우리가 보는 김치는 소금 가격의 폭등으로 탄생했다

The kimchi we are seeing now was born out of the soaring prices of salt.

이걸 기억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I think it would be good if you remember this.

요즘은 소금 좀 잠깐 주세요 패스미더 솔트 할 수 있지만

These days, I can ask for a bit of salt with "pass me the salt."

예전에는

In the past,

그게 월급 주세요잖아요

That's asking for a salary, isn't it?

그러네요

That's true.

정말 변동성 큰 줄 알았으면서

I thought it would be really volatile.

니 탓만 해서 미안해

I'm sorry for blaming you.

하비하에 주식 사놓고 니 탓해서 미안해

I'm sorry for blaming you after buying stocks at a low price.

하비하에 집 팔아놓고 큰소리해서 미안해

I'm sorry for bragging after selling the house in Habihak.

소중한 내 돈, 집, 그리고 직장까지

My precious money, home, and even my job.

매번 저지르고

Every time I mess up.

후회하기 전에 미리 경제를 내다보고 결정할 순 없을까?

Isn't it possible to anticipate the economy and make a decision before having regrets?

그래서 손경제가 준비한 28번째 경제 콘서트

So, the 28th economic concert prepared by the Hand Economy.

불확실성의 시대, 한 발 앞서 경제를 읽는 법

In an era of uncertainty, how to read the economy a step ahead.

10월 5일 상암동 MBC에서 조영무 LG경영연구원 연구위원과 함께

On October 5th, at MBC Sangam-dong with researcher Cho Young-moo from LG Business Research Institute.

두고두고 써먹을 경제 예측법 같이 익혀보시죠

Let's learn a method of economic forecasting tha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신청은 9월 23일 월요일까지 손경제 홈페이지에서

Applications can be submitted on the Hands-On Economy website until Monday, September 23rd.

쿨하지 못한 거 정상입니다

It's normal not to be cool.

네, 지금까지 이종훈 작가와 함께

Yes, until now, with writer Lee Jong-hoon.

재미있는 소금 이야기 나눠봤습니다

I shared an interesting story about salt.

저는 내일 아침 8시 30분에 다시 와서

I will come back tomorrow morning at 8:30.

또 다른 가루 이야기 전해드릴게요

I'll tell you another powder story.

재미있을 것 같네요

It seems like it would be fun.

이진우였습니다

It was Lee Jin-woo.

고맙습니다

Thank you.

Continue listening and achieve fluency faster with podcasts and the latest language learning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