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7(화) [추석특집 2탄] 한국 영화관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정윤철 영화감독, 김상민 에무시네마 대표, 노철환 인하대 연극영화과 교수)

MBC

김종배의 시선집중

9/17(화) [추석특집 2탄] 한국 영화관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정윤철 영화감독, 김상민 에무시네마 대표, 노철환 인하대 연극영화과 교수)

김종배의 시선집중

김종배 시선집중

Kim Jong-bae Focused Attention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이라는 주제로 한국영화산업의 현주서와 극장의 실태, 풀어야 할 과제에 대해서 한번 이야기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Let's discuss the current state of the Korean film industry, the reality of theaters, and the challenges that need to be addressed, under the theme of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9월 17일 화요일 김종배의 시선집중 광고 듣고 시작합니다.

We're starting with the advertisement for Kim Jong-bae's Focus on September 17th, Tuesday.

시선집중은 촌철님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기다립니다.

Sijunghanjun is awaiting the diverse voices of the community members.

짧은 건 50원, 긴 건 100원인 문자메시지 샵 8000.

Text messages costing 50 won for short ones and 100 won for long ones, send to 8000.

1번 스마트라디오 미니와 유튜브 라이브로도 시선집중과 함께하실 수 있습니다.

You can also focus your attention with Smart Radio Mini and YouTube Live.

믿고 듣는 진품시사 김종배의 시선집중.

Trustworthy and insightful, Kim Jong-bae's Focus.

네, 추석하면 빠질 수 없는 게 영화 관람이죠.

Yes, you can't miss watching movies during Chuseok.

그리고 영화관 이야기인데요.

And it's about the movie theater.

오늘의 주제는 바로 영화관의 어제와 오늘이 그리고 내일이 되겠습니다.

Today's topic will be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movie theaters.

함께 이야기 나눌 세 분 모셨는데요.

We have three people here to share a conversation together.

한 분 한 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I will introduce each one of you.

먼저 영화 마라톤 조치입니다.

First, it's the movie Marathon action.

시안양가 대립군 등을 연출한 정윤철 감독 모셨습니다.

We have director Jeong Yoon-cheol, who directed "Shianyanggan" and "The Opposition Army."

어서 오세요.

Welcome.

네, 안녕하십니까?

Yes, hello.

네, 그리고 예술 영화를 상영하고 있는 복합문화공관 에무시네마를 운영하고 있는 김상민 대표 모셨습니다.

Yes, we have CEO Kim Sang-min, who runs the multi-cultural complex Emu Cinema, which screens art films.

어서 오세요.

Welcome.

안녕하세요.

Hello.

그리고 마지막으로 영화정책 전문가로 활동하고 계신 분인데요.

And lastly, this person is working as a film policy expert.

노철환 인하대 연극영화학과 교수 모셨습니다.

We have Professor Noh Cheol-hwan from the Department of Theater and Film at Inha University with us.

어서 오세요.

Welcome.

네, 안녕하세요.

Yes, hello.

네, 세 분 감사드리고요.

Yes, thank you to the three of you.

혹시 세 분은 구면이신가요?

Are the three of you acquainted?

네, 노 교수님하고는 구면이고 우리 시나이마 대표님하고는 초면입니다.

Yes, I am familiar with Professor Noh, and it is my first time meeting our cinema representative.

그래요?

Really?

네, 제가 예전에 영화 연출 표준계약 연구를 한 적이 있거든요.

Yes, I used to study standard contracts for film directing.

그때 영화감독자 부대표 하셔서 저희 자주 만나 회의하고 했던 사이고요.

At that time, the movie director was the vice president, so we used to meet often and have meetings together.

김 대표님은 좋은 극장하고 계시다는 말씀 많이 들었습니다.

I have heard a lot that CEO Kim has a great theater.

두 분에게는 우리 김 대표님이 초면이시네요.

This is your first time meeting our CEO, Mr. Kim.

그럼 우리 김 대표님께 먼저 질문을 드려야 될 것 같은데.

Then I think we should ask Representative Kim the first question.

네.

Yes.

마지막으로 소개 좀 해 주신다면.

Finally, could you please give me an introduction?

M시네마는 저희 경희궁 뒤쪽에 위치한 예술영화관이고요.

M Cinema is an art house theater located behind Gyeonghuigung Palace.

거기가 복합문화공간 M이라고 해서 층별로 공간들이 나누어져 있는데요.

It is called the multi-cultural space M, and the areas are divided by floor.

지하 1층은 공연을 할 수 있는 곳이고 1층은 북카페, 2층이랑 3층은 예술영화관 M시네마로 운영하고 있고요.

The basement level 1 is a place for performances, the first floor is a book cafe, and the second and third floors operate as the art cinema M Cinema.

루프탑은 봄, 여름, 가을.

The rooftop is for spring, summer, and autumn.

가을 시즌에 이제 별빛영화제 상영을 하고 있습니다.

The Starlight Film Festival is now being held in the autumn season.

그래요?

Is that so?

제가 워낙 속물이어서.

I'm such a materialistic person.

예술영화만 상영해가지고 수입이 됩니까?

Can we make a profit by only screening art films?

대표님?

CEO?

예술영화만 상영을 해서요?

Do you only screen art films?

네.

Yes.

그 이게 저는 이제 꾸준히 해오다 보니까 조금씩 관객들이 개발이 되는 것 같아요.

I've been doing this consistently, so I think the audience is gradually developing.

그래요?

Is that so?

네.

Yes.

그래서 그리고 개봉작뿐만이 아니라.

So, not just the releases.

네.

Yes.

기획전을 통해서 예를 들어 한국영화 기획전을 할 때 소독제에서

For example, when holding a Korean film exhibition through a planning event, in the disinfectant...

대상받은 다섯 번째 흉추라는 영화가 있는데 그 영화를 집중해서

There is a movie called "The Fifth Thoracic Vertebra," so let's focus on that movie.

상영하는 것도 좋지만 그전에 이제 이명세 감독님의 m이나 장화공연이나

It’s nice to have a screening, but before that, I hope for a performance of Director Lee Myung-se's "M" or "The Flower."

같이 묶어서 상영을 하기도 하거든요.

They sometimes screen them together.

그래서 물론 당시에는 상업영화일 수 있잖아요.

So of course, it could have been a commercial film at that time.

그렇지만 다시 이제 저희가 기획전을 할 때는 또 지금 10대나 20대 분들한테는

However, when we hold the exhibition again, we are targeting those in their teens and twenties.

새롭게 보는 영화이기 때문에 그런 식으로 계속 관객 개발을 하고 있는

Because it is a movie being viewed in a new way, audience development is continually being carried out in that manner.

것 같습니다.

It seems like it.

그리고 영어자막을 또 상영하고 있어서요.

And they are screening the English subtitles as well.

이번에 베테랑2도 영어자막으로 상영을 합니다.

This time, Veteran 2 will also be screened with English subtitles.

그래서 외국인 관객들한테도.

So that foreign audiences as well.

그래서 홍상수 감독님 영화나 아가씨 박찬욱 감독님 예전에 했던 영화나

So, films by director Hong Sang-soo or the movies that director Park Chan-wook made in the past.

기생충이나 이런 건 이제 외국분들도 굉장히 보고 싶어 하시기 때문에

Since people from abroad are now very eager to see things like "Parasite,"

영어자막으로 상영했을 때 또 많이 모이고 있어서 발버둥 치면서.

When it was screened with English subtitles, it was also gathering a lot of attention while struggling.

발버둥을 치시는 게 아니라 상당히 의미 있는 작업을 하고 계시는 건데요.

You're not just struggling; you are doing quite a meaningful job.

네.

Yes.

알겠습니다.

Understood.

그런데 추석하면 빼놓을 수 없는 게 영화 관람 아닙니까?

By the way, isn't watching movies something that can't be missed during Chuseok?

네.

Yes.

이야기 좀 나눠보겠는데 본격적인 이야기 좀 들어가기에 앞서서

I'd like to share some thoughts before we dive into the main topic.

우리 시민들은 영화관에 대해서 어떤 인식을 갖고 있는지 직접 거리로

What perceptions do our citizens have about movie theaters? Let's go out on the street.

나가서 좀 의견을 들어봤는데요.

I went out and listened to some opinions.

그 내용 잠깐 듣고 이야기 좀 나눠보겠습니다.

I'll listen to that content for a moment and then we'll have a conversation.

혹시 극장에서 처음 본 영화 기억하시나요?

Do you remember the first movie you saw in the theater?

배너.

Banner.

처녀 때 배너.

A banner from when I was a maiden.

배너.

Banner.

네.

Yes.

그 두 번 세 번은 본 것 같아요.

I think I've seen it two or three times.

고등학교 졸업하고 백지 더 피처인가?

Are you talking about the Blank Paper feature after graduating from high school?

너무 재밌었죠.

It was so much fun.

그게 과거색으로 갔다가.

It went to a past color.

오는 거고 뭐 그런 거니까.

It's just that it's coming and stuff like that.

극장에서 처음 봤던 거는 전도연의 약속.

The first thing I saw in the theater was Jeon Do-yeon's "Promise."

남자친구랑 같이 봐서 되게 감동적으로 봤어요.

I watched it with my boyfriend and found it very moving.

남자친구랑.

With my boyfriend.

사람들이 극장에 가는 이유가 뭘까요?

What could be the reason people go to the theater?

그러니까 집에서는 사실 사운드가 좋지 않아서 영화관에 공간도 되고

So, at home, the sound isn't really good, so the theater provides the space.

집중도 할 수 있고 그래서 가는 것 같아요.

It seems like I can focus and that's why I go.

그 여유죠.

That's the leisure.

그냥 핸드폰이나 TV하고는 틀리게 영화를 보려면 극장 가서 보는 게

If you want to watch a movie differently from just on your phone or TV, you should go to the theater.

제 맛이 나더라고요.

It really tastes like me.

네.

Yes.

가지 않아도 가족들하고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좋은 곳인 것 같아요.

I think it's a great place where you can spend time with your family without having to go anywhere.

네.

Yes.

근데 일단 본격적인 이야기 나누기 전에 먼저 이것부터 정리를 해

But first, let's sort this out before we have a serious conversation.

달 거든데 지금도 몇 분 안 되는 대화이지만 극장이라고 하는

It's a month away, but even now, it's just a few minutes of conversation about the theater.

영화와 영화관이라는 용어가 지금 섞여서 나오고 있잖아요.

The terms 'movie' and 'cinema' are currently being mixed up.

뭐라고 표현하는 게 맞는 거예요?

What is the correct way to express that?

네.

Yes.

여전히 극장이나 영화관 둘 다 우리가 혼용해서 사용하고 있는데요.

We are still using both "theater" and "cinema" interchangeably.

네.

Yes.

사실은 극장이라는 표현은 공연하고 영화를 상영하는 공간을 아우르는

The truth is that the term "theater" encompasses both spaces where performances and movies are shown.

개념이어서 좀 더.

It's more of a concept.

공연도 같이 하는.

Performing together.

그렇죠.

That's right.

그래서 연극을 하는 것도 극장이라고 우리가 부르니까요.

That's why we call the place where theater is performed a theater.

그래서 좀 더 큰 개념이라고 볼 수 있고요.

So it can be seen as a larger concept.

흔히 영어로 무비티에터나 아니면 시네마라고 부르는 공간은 영화를

The space commonly referred to in English as a movie theater or cinema is for watching films.

전문적으로 상영하는 공간인 거죠.

It is a space for professional screenings.

그러면 지금 오늘 주제와 관련해서 영화관이라고 표현하는 게 좀 더

Then, regarding today's topic, it might be better to express it as a movie theater.

맞겠네요.

That makes sense.

그럴 것 같습니다.

I think so.

그렇습니다.

That's right.

그러면 영화를 상영하는.

Then the movie will be screened.

상영하기 위한 그리고 영화를 관람하기 위한 이런 공간이 본격적으로

A space for screening and watching movies is in full swing.

등장한 걸 언제라고 봐야 되는 거예요

When should we consider it as having appeared?

네.

Yes.

그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영화관 이라는 곳이 프랑스에 있거든요.

The oldest cinema in the world is located in France.

프랑스의 남불 쪽에 있는 막세이 옆에 있는 시오타라는 조그만

Next to Maxé in the south of France, there is a small place called Siota.

도시에 있는 에덴 동살대크 에덴입니다.

This is Eden, the Eden on Dongsaldae Street in the city.

에덴이라는 극장인데 그 극장이 생긴 게 1889년입니다.

It's a theater called Eden, which was established in 1889.

지금도 있고요.

It's still there now.

그런데 1889년에는 영화가 없었어요.

However, there were no movies in 1889.

그리고 영화가 처음으로 태어난 게 우리가 흔히 말할 때 류미엘의

And the first time the movie was born was when we commonly refer to Lumière's.

영재가 1895년에 만들었다고 하는데 그때 처음으로 찍었던 영화 중에

It's said that Youngjae made it in 1895, and it's one of the first films shot back then.

하나가 기차가 이렇게 역에 들어오는 장면입니다.

This is a scene where a train enters the station.

그 장면에 그 기차 역이 시오타라는 도시거든요.

That scene is set in a city called Shiota, at the train station.

바로 이 에덴이 있는 도시가 바로 시오타고요.

The city where this Eden is located is Shiotago.

그 영화를 처음으로 틀었던 극장이 이 극장이었던 겁니다.

The theater that first showed that movie was this theater.

그래서 이 극장은 1899년.

So this theater was built in 1899.

1899년부터 지금까지 영화 전용관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합니다.

It has been operating as a movie theater since 1899.

그러면 우리나라에서 극장에서 영화관으로 바뀐 어떤 시점은 언제라고 보통 이야기를 하고 있는 건가요

So at what point do people generally say that cinemas in our country changed from theaters to movie theaters?

제가 영화사 가르치다 보니까 집에서 정리를 좀 해왔는데요.

Since I've been teaching film studies, I've been tidying up at home a bit.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공연하고 영화를 활동사진을 처음으로 틀었던 장소

The place where performances were first held and moving pictures were first screened in our country.

우리가 흔히 말할 때 협률사라는 곳을 이야기하거든요.

When we commonly speak, we refer to a place called Hyupnyulsa.

지금 세문환교에 있는 그 자리에 있었던 곳이 협률사 나중에 원각사로 이름이 바뀌는

The place where the current Semunhwan Bridge is located used to be Hyepnyulsa, which later changed its name to Wongaksa.

지금으로 따지면 극장 겸 영화관이었던 거죠.

At that time, it was a theater that also served as a cinema.

그래서 당시만 하더라도 우리나라 공연 양식의 전형적인 특징인

So back then, it was a typical characteristic of our country's performance style.

그러니까 공연자가 가운데 있고 주변에 이렇게 둘러싸 있는 관중이 둘러싸 있는 형태여서

So, the performer is in the center and surrounded by the audience in this way.

당시에 이 협률사와 원각사는 원형 극장의 형태를 띄고 있었습니다.

At that time, this Hyobryulsa and Wongaksa took the form of a circular theater.

1902년에 만들어졌었고요.

It was created in 1902.

네.

Yes.

그것이 이제 1910년 정도 오면 우리나라에도 활동사진이 자리를 잡으면서

By around 1910, moving pictures were also taking root in our country.

전형 영화관이 생기기 시작하고요.

Typical movie theaters started to emerge.

흔히 경성고등연회관이라는 것이 1910년에 처음으로 생겼다라고 우리가 말을 합니다.

It is often said that the Gyeongseong High School Union was established for the first time in 1910.

정윤철 감독님은 영화관에 가서 이때는 극장이지 않았을까 싶은데

Director Jung Yoon-cheol might think that this was when it wasn't a theater yet.

처음으로 봤던 영화가 뭐였어요 기억나세요

Do you remember what the first movie you saw was?

네.

Yes.

진짜 좀 전에 시민 인터뷰 때 어느 여성분이 배너 봤던 기억이

Just a moment ago, during a citizen interview, a woman mentioned her memory of seeing the banner.

났다고 그러잖아요.

They say it happened.

저도 생각해보니까 지금 저도 떠올랐습니다.

Now that I think about it, it just came to my mind as well.

저도 초등학교 때 저희 피아노 학원 다녔는데

I also attended a piano academy when I was in elementary school.

그때 선생님이 저를 데려가서 배너를 보여주셨어요.

At that time, the teacher took me and showed me the banner.

그게 대안극장인 것 같아요.

I think that's alternative theater.

대안극장.

Alternative theater.

그런데 재개봉이겠죠.

But it will be a re-release, right?

그때 보고 정말로 진짜 너무나 놀라운 신세계를 보고

At that time, I saw a truly astonishing new world.

영화도 너무 재밌고 진짜 아직도 정말 기억에 소명합니다.

The movie was so much fun, and I really still remember it very clearly.

그러면 그때 영화감독이 되겠노라 결심한 것도 혹시 그때였을까요?

So, was it during that time that you decided to become a film director?

그건 전혀 아니었고요.

That was not the case at all.

그때 저희 꿈은 과학자였기 때문에 영화는 진짜 재밌는 세계가 있다.

At that time, our dream was to be scientists, so movies have a truly interesting world.

그 정도였고요.

That was about it.

그리고 저는 중학교 때까지도 그렇게 영화를 엄청 보진 않았어요.

And I didn't watch a lot of movies until middle school.

당시에 천녀의 요원이라는 홍콩 영화 왕조연 배우의

At that time, the Hong Kong movie actress known as the agent of the heavenly maid.

다시 모든 청소년들이 그때 중고등학생들이 영화에 완전히 빠져 있었기 때문에

Again, all the teenagers, as well as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t that time, were completely engrossed in the movie.

그 정도 보고 고등학교 때까지 제가 꿈이 바뀌면서 영화감독이 되었습니다.

I saw that and my dream changed, and I became a film director by the time I was in high school.

영화에 빠졌던 겁니까?

Were you absorbed in the movie?

그러니까 주인공에 빠졌던 겁니까?

So, you were infatuated with the protagonist?

그때 확실히 여우 주인공에 빠졌던 거죠.

At that time, I was definitely captivated by the female fox protagonist.

솔직하시네요.

You're being honest.

우리 김상민 대표는 처음 봤던 영화가 뭐였어요?

What was the first movie you saw, Representative Kim Sang-min?

저는 저도 기억이 가물가물한데 유치원 때였을 것 같은데

I think I was in kindergarten, but my memory is a bit hazy.

유치원 때 영화가 뭐였어요?

What movie was it when you were in kindergarten?

서울국장에 밤에 라이온킹 보러 갔었던 것 같아요.

I think I went to see The Lion King at the Seoul Theater at night.

라이온킹이요?

The Lion King?

제 나이대는 볼 수 있는 영화가

The movies that are suitable for my age group are

그렇군요.

I see.

우리 도교수요.

We need a professor.

저는 제가 아마도 기억하는 첫 번째 영화 경험은

My first movie experience that I probably remember is

존 보만이라는 감독의 엑스칼리버가 처음 기억합니다.

I remember the film Excalibur by director John Boorman.

1981년 작품이고요.

It's a work from 1981.

거기에서 이렇게 호수인가 어딘가에서 이렇게 요정이 엑스칼리버를

Is it there that a fairy is pulling Excalibur from a lake or somewhere?

그 아서왕한테 이렇게 건네주고 마지막에 돌려받는

Pass it to that Arthur and get it back in the end.

그 장면 되게 인상적이어서 기억에 나고요.

That scene was really impressive, so it stays in my memory.

그 이듬해 겨울쯤에 본 레이더스 인디아나 존스 1편이죠.

The following winter, I watched Raiders of the Lost Ark.

그 영화에서 마지막에

At the end of that movie

마지막에 나찌들이 이렇게 성괴가 열려가지고 얼굴이 쫙 말라가는

At the end, the Nazis were like this, and the face is drying up completely.

그 끔찍한 장면 뭐 뱀 우글거리는 장면에서

That terrible scene, the one with the writhing snakes.

장면이 기억납니다.

I remember the scene.

첫 영화를 얘기하다 보니까 다 연식이 나오네요.

Talking about the first movie brings back memories of the past.

저는 처음 봤던 영화가 학교 단체 관람이었는데

The first movie I saw was a school group viewing.

김진규 배우님이 주연했던 성웅 이순신이라고

It is the film "The Great General Lee Soon-shin," in which actor Kim Jin-kyu starred.

그게 아마 70년대 영화로 제가 기억을 하는데

I think that might be a movie from the 1970s that I remember.

제가 아마 기억으로는 그걸 처음 봤던 걸로 기억을 합니다.

I remember that I saw that for the first time, if I recall correctly.

그러면서 애국심을 불태웠던 그런 기억이 나요.

I remember having a burning patriotism during that time.

그런데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영화관이라고 하는 것은

However, for people in our country, a movie theater is...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 곳입니까 데이트 장소입니까

What kind of meaning does this place have? Is it a dating spot?

어떻게 규정을 해야 되는 걸까요 감독님 어떻게 규정을 하세요

How should we set the regulations, director? How do you set them?

정말 뭐 시간되면 영화나 볼까 이런 말이 굉장히 일상에서 많이 쓰이는데

"Really, the phrase 'Shall we watch a movie when we have time?' is used a lot in everyday life."

사람들이 사실 예전에는 그렇게 볼거리가 많이 없었잖아요.

People really didn't have many things to see back in the day.

TV도 있긴 했지만 그전에는 정말 60년대 TV가

There was a TV, but before that, it was really a TV from the 60s.

이렇게 보금 안 됐을 때는 거의 1년에 한 10편씩 영화를 보셨고

When you weren't able to go to church like this, you watched about 10 movies a year.

지금도 사실 우리나라 영화 관람 횟수가 거의 4편 정도 넘을 정도로 1년에

In fact, even now, the number of movies watched per person in our country exceeds about four a year.

다른 일본이 한 1.4편이거든요. 상당히 높은 편입니다. 아직도

It's about 1.4 times higher than Japan. It's still quite high.

그러면서 특히 데이트 코스라든지 지금 추석 연휴지만

Especially regarding date courses, even though it's the Chuseok holiday now.

그때 가족들과 맛있는 거 먹고 같이 가서 영화 보면서

At that time, I ate delicious food with my family and went to watch a movie together.

이제 좀 추억 좋은 것 같은 것 같은 것 같은 것 같은 것 같은 것 같은 것 같은 것

Now it feels like nostalgia, like it feels like it feels like it feels like it feels like it feels like it feels like.

좋은 경험을 쌓고 또 그 이야깃거리도 만들고 그런 면에서

It's about gaining good experiences and creating stories in that aspect.

굉장히 대중들이 어떤 문화를 쉽게 또 여러 사람과 함께 공유할 수 있는 그런 공간인 것 같고요.

It seems like a space where the public can easily share a culture with many people.

저도 사실 영화를 혼자 본 적은 별로 없는 것 같은데

I don't think I've actually watched a movie alone that many times.

하지만 또 혼자 가서도 자기만의 시간을 갖고 좀 외로울 때

But sometimes when you go alone, you have your own time and feel a bit lonely.

아니면 생각하고 싶을 때 이럴 때 영화 보면서 좀 다른 세계에 빠졌다가

Or when I want to think, I get lost in a different world while watching a movie.

다시 나올 수 있는 그런 뭔가 좋은 꿈을 꿀 수 있는 그런 공간 같습니다.

It seems like a space where you can have good dreams that allow you to come back again.

저 때만 해도 혼자 영화관을...

Back then, I used to go to the movies alone...

영화관이라는 것은 모태솔로임을 자인하면서 외로움을 그냥 만방에 표시하는

A movie theater is a place where one openly expresses loneliness while admitting to being single.

그런 행위로 금기사항이었는데 좀 바뀌었군요.

That was a taboo act, but it seems things have changed a bit.

혼자 가서 영화 보는 맛도 있습니다.

There is a certain pleasure in going alone to watch a movie.

우리 김상민 대표님은 지금 공간을 직접 운영을 하시니까

Our CEO Kim Sang-min is currently managing the space directly.

찾아오는 분들은 주로 찾아오는 분들의 모습을 많이 지켜보실 거 아닙니까?

Those who visit will mainly observe the appearances of those who come, right?

어떤 모습을 주로 포착을 하세요? 보시던 분은?

What kind of scenes do you mainly capture? What about the person you were watching?

이렇게 영화를 보시고 되게 흐뭇해하거나 또 감동을 받아서 나오시는 분들도

Some people leave the theater feeling very pleased or moved after watching a movie like this.

있고...

There is...

주로 연인입니까?

Are you mainly a lover?

주로 그런 것 같기도 하고요. 또 이렇게 따로 오시는 분들도 계시고

It seems to be mainly like that. And there are also those who come separately like this.

혼자서 오시는 분들도 계시고. 그런데 저는 이제 영화관 운영하면서

Some people come alone. But now that I am operating the movie theater...

좀 그런 고민들을 많이 했던 것 같아요. 영화관들이 많이 있고 개봉작들은

I think I've had those kinds of worries a lot. There are many movie theaters, and there are new releases.

다 이렇게 정해져 있고 그러다 보니까 이 영화관에서도 틀고 저 영화관에서

Since everything is decided like this, they play it in this theater and that theater.

틀고.

Wrong.

틀고 하면 이게 겹치기 때문에 관객은 어디서 볼까 정도로 이렇게 한정이 되는 것 같아요.

If it's wrong, it overlaps like this, so it seems that the audience is limited to wondering where to look.

그런데 말씀하신 것처럼 일본에서 특히 미니시어터 같은 경우는 그 극장에서만 상영하는 영화들이 있고

However, as you mentioned, in Japan, especially in the case of mini-theaters, there are films that are screened only in those theaters.

또 거기서 발굴되는 그 영화와 또 감독님들 간의 또 인연 때문에 특히 코로나 시기에 그 극장들을 이렇게 살리는

Also, due to the connections between the movies that are being excavated there and the directors, especially during the COVID period, reviving those theaters like this.

운이.

Luck.

네.

Yes.

, 네.

Yes.

운동들을 감독님들이 직접 하셔서. 그래서 저희도 좀 그런 영화관 저희 극장에서만 상영하거나 또 이렇게 상영하는 프로그램들을 만들어내는 게 영화관이 또 가질 수 있는 좋은 의미이지 않을까.

The directors personally conducted the exercises. So, it might be a good meaning for cinemas to create programs that exclusively show such films in our theater or to have screenings like these.

이건 좀 노철환 교수님께 좀 여쭤봐야 될 것 같은데 추석 하면 항상 가족이 같이 영화를 보는 거.

I think I should ask Professor Noh Cheol-hwan about this, but during Chuseok, families always watch movies together.

이렇게 딱 등식화되어 있고.

It's perfectly equated like this.

그러다 보니까 추석에 맞춰서 영화를 개봉하는 경우도 되게 많았잖아요.

As a result, there have been many cases where movies are released in time for Chuseok.

요즘.

These days.

지금도 그런지는 잘 모르겠는데.

I'm not sure if that's still the case now.

이게 언제부터 나타난 현상이라고 봐야 되는 거예요

When do you think this phenomenon started to appear?

언제부터까지라고는 잘 모르겠는데요.

I'm not sure when it starts and ends.

전통적으로 이제 명절이 되면 실은 젊은 친구들은 용돈이 두둑해지는 시간이죠.

Traditionally, during the holidays, young friends actually have a time when their pocket money increases significantly.

그거 영광이네요.

That's an honor.

그래서 젊은 층들이 극장에 갈 수 있는 자유가 주어지는 시간이었다라고 기본적으로는 생각하고요.

So, I fundamentally think that it was a time when young people were given the freedom to go to the theater.

자유라는 단어에 상당히 꽂힙니다.

I am quite fascinated by the word freedom.

옛날에는 영화관에 상당히 자유가 보장돼야만 됐던 시절도 있긴 있었어요.

In the past, there was a time when a considerable amount of freedom had to be guaranteed in movie theaters.

맞아요.

That's right.

그리고 이제 우리나라 경제가 발전하면서부터는 더 이상 극장을 가는데 용돈을 걱정하는 그런 시대는 조금 벗어난 것 같아요.

And now that our country's economy has developed, it seems we have moved a bit away from the era of worrying about pocket money to go to the cinema.

부모님들이 극장 간다면 믿어주고 이렇게 보여주는 형태가 많아지고 있는 것 같아서요.

I think there are more and more instances where parents trust and show things like this when they go to the theater.

그런 측면으로 볼 때 추석은 어린이부터 어른까지 찾아올 수 있는 심지어 가족 단위로 찾아올 수 있는 가능성이 가장 높은 기간인 거죠.

In that sense, Chuseok is the period when it is most likely for people of all ages, from children to adults, and even families, to gather together.

그래서 보통 이 기간에 개봉하는 영화들은.

So usually the movies released during this period are.

12세나 15세 미만의 영화들 해서 온 가족이 함께 봐도 부담 없는 그리고 장르로 굳이 따지자면 약간 코믹 분위기가 약간 섞여 있는 그런 영화들이 많이 개봉하는 것 같습니다.

It seems that many movies are being released that are suitable for the whole family to watch together, particularly films rated for ages 12 and under 15, which have a somewhat comedic atmosphere mixed in.

요즘도 그런 경향이 있나요?

Is that trend still present these days?

요즘도 그렇습니다.

It's the same these days.

그래요?

Is that so?

물론 이번에 개봉하는 베테랑2를 놓고 이건 심각하지 않을까 하시지만 유머 코드는 충분히 있기 때문에 가족과 함께 봐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Of course, you might think that the upcoming release of Veteran 2 might not be serious, but I believe there is enough humor in it, so it would be fine to watch with family.

그래요?

Is that so?

그런데 또 영화관에 단편 중에 하나가 간식 아닙니까?

Isn't one of the short films in the theater a snack?

간식도 좀 변천사니까요.

Snacks also go through changes.

변천사가 있나요?

Is there a change history?

어떻습니까?

How is it?

글쎄요.

Well...

일단 극장에 저도 어렸을 때 극장에 갔을 때 항상 뭘 먹을까 또 거기서 파는 음식들이 상당히 별로 사실 그렇게 맛있는 건 아닌데 극장에서 먹으면 되게 맛있었던 것 같아요.

When I went to the theater as a child, I always wondered what to eat, and the food sold there wasn’t really that great, but it felt really delicious when eaten at the theater.

그런데 그때 처음에는 콜라나 사이다 그런 거에다가 오징어 땅콩.

At that time, we first had squid peanuts with cola or cider.

이 정도로 사실은 좀 냄새나는 것들이죠.

This level of things is actually a bit smelly.

그러면서도 심지어 저는 어렸을 때 극장 갔을 때는 다들 담배도 피고 그럴 때니까.

Even so, when I was young and went to the theater, everyone was smoking and that was the time.

맞아요.

That's right.

저도 지금 생각하면 참 어떻게 보면 믿기지 않는데 담배 피고 오징어 먹고 심지어 술도 드시고 이러면서 진짜 떠들기도 하면서 영화를 봤던 것 같아요.

When I think about it now, it's hard to believe, but we were smoking, eating squid, and even drinking while chatting and watching a movie.

그런데 요즘은 이제 약간 더 패스트푸드나 특히 팝콘 저희 어렸을 때는 아마 팝콘도 없었던 것 같아요.

But these days, we have a bit more fast food, and especially popcorn; I don't think we even had popcorn when we were young.

그런데 지금 팝콘이 생기면서.

However, now that popcorn has appeared.

핫도그나 여러 가지 버터구이 오징어 이런 식으로 다양하게 좀 요즘 젊은 세대에 맞춰서 바뀌고 있는 것 같습니다.

It seems like things are changing to match the preferences of the younger generation, with a variety of options like hot dogs and various butter-grilled squid.

그런데 팝콘이 왜 이렇게 비싸야 될지가 참으로 의문스러운데 그건 좀 이따가 따로 떼어서 얘기를 해보도록 하고.

However, it's really puzzling why popcorn has to be so expensive, and we'll discuss that separately a little later.

그런데 지금 영화관 얘기를 하다 보니까 충무로의 터주대감으로 불리던 대한극장.

Speaking of movie theaters, it reminds me of the Daehan Theater, which was called the master of Chungmuro.

이게 이달 말 끝으로 문을 닫는다는 소식이 알려졌고요.

The news has come out that this will be closing its doors at the end of this month.

그다음에 21년에 이미 종로의 서울극장이 문을 닫은 바가 있고.

Then, in 2021, it is already noted that the Seoul Theater in Jongno closed its doors.

또 그전에 많은 영화관들이 지금 문을 닫았잖아요.

Also, many movie theaters have closed their doors by now.

우리 노 교수님은 이런 소식 전해올 때마다 어떤 생각이 드세요?

What do you think when our Professor No brings news like this?

우리 김대표님께서도 잘 아시겠지만 작년에 63년에 개관했던 원주시 아카데미가 문을 닫았었잖아요.

As our representative Kim knows well, the Wonju Academy, which opened in 1963, closed its doors last year.

그리고 아직도 광주에는 34년에 개관한 광주극장 같은 것들이 남아 있는데.

And there are still places like the Gwangju Theater, which opened in 1934, remaining in Gwangju.

아까 잠깐 설명한 것처럼 프랑스 같은 경우는 그런 오래된.

As I briefly explained earlier, in the case of France, it's something that has existed for a long time.

그런 오래된 극장을 일종의 문화유산으로 지정을 해서 지자체나 국가에서 현재까지 운영할 수 있도록 이렇게 지원을 해주는 사례가 상당히 많이 있거든요.

There are quite a few cases where old theaters are designated as a type of cultural heritage, allowing local governments or the nation to support their continued operation to this day.

땅값이 그렇게 비싸다는 샹젤리제 거리 주변만 하더라도 링컨 극장이라든지 막스랭다 극장이라든지 그랑렉스 극장이라든지.

Even around the area of the Champs-Élysées, where the land prices are so high, there are places like the Lincoln Theater, the Max Linder Theater, and the Grand Rex Theater.

그랑렉스는 거의 2700석이 넘는 정말 수지 타산이 절대 나오지 않는 극장임에도 불구하고 지금도 운영할 수 있거든요.

Despite being a theater with over 2700 seats where the numbers just don't add up, Grand Rex is still able to operate today.

그런 의미에서 많은 사람들의 추억과 또 이렇게 기억을 갖고 있는 극장을 오래된 극장들을 좀 이렇게 보존하고 계속 운영할 수 있는 기회를 우리 사회가 함께 고민해야 되지 않나라는 아쉬움은 있습니다.

In that sense, I feel a regret that our society should think together about the opportunity to preserve and continue operating old theaters that hold the memories of many people.

김대표님은 어떻게 느끼세요? 이런 소식 들을 때마다.

How do you feel, Representative Kim, whenever you hear news like this?

마음이 좀 무거운 것 같아요.

I feel a bit heavy-hearted.

원중 극장 같은 경우는 특히 약속대로 지켜지지 못한 부분이 있어서 저희 영화관들 중에 일부 영화인들은 많이 가서 철거 현장에서 철거 반대를 참여하셨고

In the case of the Wonjung Theater, there are certain aspects that were not kept as promised, so some filmmakers from our cinemas have actively participated in opposing the demolition at the demolition site.

또 저희 한국예술영화관 협회가 있거든요. 거기에 한 15개 정도 극장이 있고.

We also have the Korean Art Cinema Association, which has about 15 theaters.

제가 부회장으로 있고요. 최낙연 대표님이 회장으로 계신데 저희가 1년에 한 번씩 협회 어워드를 하거든요.

I am the vice president, and Representative Choi Nak-yeon is the president. We hold the association awards once a year.

그때 원주 극장분들 모셔서 대상을 드리면서 심각성을 저희 나름대로 알리고 그분들의 활동을 생각하는 그런 자리도 갖고 있었던 것 같아요.

At that time, we invited the members of the Wonju Theater to present them with an award, while also raising awareness about the seriousness of the situation and reflecting on their activities.

연관된 이야기일 수도 있지만 더 이상 영화를 이야기하면서 충무로라고 하는 표현으로 대체가 되는 경우가 되게 많았잖아요.

It may be a related story, but there have been many cases where the expression "Chungmuro" has replaced talking about movies.

더 이상 충무로라고 하는 단어가 성립이 될 수 있는 겁니까? 감독님은 어떻게 생각하세요?

Can the word "Chungmuro" still be valid anymore? What do you think, director?

이미 예전부터 성립이 안 됐죠. 벌써 10년, 20년 전부터 충무로의 영화사들이 예전에 많았었고 거의 80년대까지.

It hasn't been established for a long time. It has been about 10 or 20 years since there were many movie companies in Chungmuro, almost until the 1980s.

그리고 정말 촬영버스도 다 거기서 모여서 배우들이 아침에 일찍 6시에 밥 먹고 또 촬영 현장으로 가고 그러던 시절이 있었고

And there was a time when all the filming buses gathered there, and the actors would have breakfast at 6 in the morning and then go to the filming location.

거기에 대안극장이었고.

There was an alternative theater there.

대안극장이나 단성사나 여러 국토극장, 옛날 극장들 모여있고.

Alternative theaters, Dangsungsa, various Gukto theaters, and many old theaters are gathered together.

그래서 정말 충무로는 진짜 영화 산업 내지는 진짜 영화 관객들의 어떤 진짜 본산이었는데

So, Chungmuro was truly the real center of the film industry and the genuine base for moviegoers.

이미 2000년대 들어와서는 다 영화사들도 강남이나 다른 곳으로 다 이전했고 또 구도심이잖아요.

By the 2000s, all the film companies had moved to Gangnam or other places, and it’s also the old downtown area.

약간 그쪽이. 그러면서 이제 뭔가 좀 상권도 죽고 그러면서 그것이 지금 대안극장이든 단성사든 이런 서울극장이나 이런 극장들 문을 닫는 계기도 된 것이고.

That's somewhat the case. Meanwhile, as the commercial district dies down a bit, it has also led to the closure of theaters like Daehan Theatre and Dansungsa, as well as others like Seoul Theater.

된 것이고.

It has become.

그러면서 지금 하지만 그래도 충무로가 마치 미국의 헐리우드처럼 한국에서 한국 영화는 충무로 그런 약간 상징적인 의미로 남아있는 것 같습니다.

However, even now, I think Chungmuro remains somewhat symbolic in Korea, like Hollywood in the United States, especially for Korean films.

알겠습니다. 오늘 영화관에 대해서 좀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요.

I understand. I'm talking a bit about the movie theater today.

여기서 잠시 끊고 전하는 말씀 듣고 계속 이야기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I will take a brief pause here to listen to the announcement and then continue the conversation.

사실 너머의 진실을 쫓습니다.

I pursue the truth beyond reality.

대한민국 1등 시사.

The number one current affairs in South Korea.

김종배의 시선.

Kim Jong-bae's perspective.

집중.

Focus.

네. 추석 특집으로 함께하는 시선집중 한국영화관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이라는 주제로 지금 세 분과 함께하고 있습니다.

Yes. We are currently with three guests discussing the topic of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of the Focused Attention on Korean Cinema" for a Chuseok special.

김상민 에무시네마 대표 노철환 인화대 교수 정윤철 감독 세 분과 함께하고 있는데요.

I am joined by three people: Kim Sang-min, the representative of Emus Cinema, Professor Noh Cheol-hwan from Inhwa University, and Director Jeong Yun-cheol.

2부 계속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We will continue with Part 2.

좀 심각한 얘기로 좀 넘어가야 될 것 같은데요.

I think we need to move on to a more serious topic.

요즘은 영화관보다 ott를 더 많이 찾는다.

These days, I visit OTT platforms more often than theaters.

그러면서.

Meanwhile.

영화를 소비하는 패러다임이 완전히 바뀌었다.

The paradigm of consuming movies has completely changed.

이게 좀 일반적인 진단인데 세 분 동의하십니까 감독님?

This is a fairly general diagnosis, do you all agree with it, directors?

동의하세요?

Do you agree?

완전히 동의하지는 않습니다.

I don't completely agree.

그래요?

Is that so?

왜냐하면 사실 극장에서 천만 영화들이 계속 나오고 있거든요.

Because the truth is, ten million box office hits are still coming out in theaters.

그렇겠네요.

That sounds right.

범죄도시라든지 파묘 또 서울의 봄 그리고 또 2, 300만으로 어느 정도 흥행이 되는 영화들도 좀 나오고 있고.

Movies like "The Outlaws," "The Drug King," and "Seoul's Spring," as well as films that achieve box office success with around 2 to 3 million viewers, are also being released.

그렇지만 물론.

Of course.

물론 예전만큼은 못해졌죠.

Of course, it's not as good as it used to be.

상당히 편수도 줄고 또 흥행작들도 준 건 사실이고.

It is true that the number of productions h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re have been fewer box office hits as well.

그런데 물론 또 ott가 굉장히 대세가 된 건 그것도 맞는 말이고요.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OTT has become a huge trend.

그래서 지금은 좀 굉장히 약간 혼전을 벌이고 있는 약간 춘추전국시대 같다.

So right now it feels like we're in a bit of chaos, almost like the Warring States period.

과도기.

Transition.

네.

Yes.

그래서 누가 승자가 될지 아니면 서로가 어떻게 균형점을 잡아서 뭔가 시장을 양분하거나 또 시장을 확장하고.

So, who will be the winner, or how will they find a balance to either divide the market or expand it?

네.

Yes.

저도 감독님 말씀에 어느 정도 동의하는데요.

I somewhat agree with what the director said.

원래 영화는 영화사 역사를 이렇게 훑어볼 때 항상 다른 영상 매체에게 위협을 받아왔어요.

Originally, when looking at the history of cinema, films have always been threatened by other visual media.

1930년에는 흑백 tv가 등장을 했고 60년에는 컬러 tv 80년대에는 vhs 비디오가 90년대에는 dvd 그리고 2000년대에는 인터넷을 포함해서 항상 위기가 있었는데 영화는.

In 1930, black and white TVs appeared, in the 60s color TVs, in the 80s VHS videos, in the 90s DVDs, and in the 2000s, including the internet, there were always crises, but the movies remained.

나름의 새로운 기술들 화면을 키운다거나 컬러를 도입한다거나 이런 식으로 해서 그걸 위기를 잘 극복해 나갔거든요.

They overcame the crisis well by implementing their own new technologies, such as enlarging the screen or incorporating colors.

실은 잘 아시는 것처럼 이 ott 시장이 극도로 커진 건 지난 코로나 기간 때였고요.

As you know, the OTT market grew dramatically during the last COVID period.

안타깝게도 그 기간 동안에 극장이 폐쇄되거나 이렇게 제한 상영을 하면서 관객들이 극장과 멀어졌던 시기에 ott에 영화를 볼 곳이 없다 보니까 ott에서 영화들을 비싸게 사기 시작했고.

Unfortunately, during that period when theaters were closed or limited in their screenings, audiences became distant from cinemas, and since there was nowhere to watch movies on OTT, they began to buy movies expensively on OTT.

관객들이 처음에 영화를 볼 수 있는 곳은 극장이 아니라 ott 아니야 라는 생각을 하게 된 시절이 코로나 기간이었다라고 보고요.

The time when audiences began to think that the place to watch movies was not the theater but OTT was during the COVID period.

그 이후에 극장이 회복이 덜 되면서 iptv 시장은 줄어들고 개봉한 지 한 달 만에 ott로 풀리는 경우도 생기다 보니까 이 관객들이 그래 한 달만 기다리면 ott에 풀릴 건데 시간 돈 들여서 힘들게 극장 갈 필요가 있을까를 놓고.

After that, as the theaters recovered less, the IPTV market shrank, and cases arose where films were released on OTT just a month after their theatrical release. This led audiences to think, "If it will be available on OTT in just a month, is it really worth the time and money to go to the theater?"

지금 고민하고 있는 시점이 지금이 아닌가라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I am thinking that the moment I am currently struggling with is not now.

그런데 김상민 대표님께 좀 여쭤볼 텐데 예술영화나 독립영화도 지금 이야기되고 있는 어떤 이 현상 내지 논쟁과 직접적인 상관성이 있어요 어떻습니까

I would like to ask Representative Kim Sang-min whether there is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art films or independent films and the phenomenon or debate currently being discussed. What do you think?

저희 극장 같은 경우는 조금 다른 것 같아요.

I think our theater is a bit different.

왜냐하면 저희가 지금 before sunrise sunset midnight을.

Because we are currently before sunrise sunset midnight.

올해 이제 개봉을 했지만 배급을 하고 그런데 그러기 전에 저희 극장에서만 당관으로 했었거든요.

It just premiered this year, but the distribution is happening, and before that, we had exclusive screenings at our theater.

그런데 이미 ott에 다 나와 있는 거지만 이거를 다시 극장에서 본다라는 거는 또 다른 경험이고 또 어떻게 보면 과거의 어떤 시절의 감정들을 소환하는 그런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을 해서요.

However, even though it's already available on OTT, watching it again in the theater is a different experience, and in a way, I think it serves the role of evoking emotions from a certain time in the past.

그래서 그런 영화들을 틀어도 관객이.

So even if we show those kinds of movies, the audience...

관객이 많이 오는 것 같아요.

It seems like a lot of people are coming.

그 이터널 선샤인이나 천밀멜 이런 거를 이제 올해 겨울이랑 봄에 틀었는데 당관 저희 극장에서만 했었는데 상당히 좀 관객이 많이 왔었고요.

We played movies like Eternal Sunshine and A Thousand and One Nights this winter and spring, and they were only shown at our theater, but we had quite a good number of audiences.

그리고 아마 그 아트나인에서도 리얼리티 바이시라고 그 청춘 스케치라는 그 타이틀일 거예요 한국 제목은.

And it will probably be titled "Youth Sketch," known as Reality Baisi on Art Nine.

그런데 그게 궁금해요.

I'm curious about that.

국내에서는 개봉을 안 했었더라고요.

It wasn't released domestically.

그런데 아마 비디오나 ott로는 많이 볼 수 있었을 거예요.

However, you probably could have seen it a lot on video or OTT.

그런데 아마 아트나인에서 이제 당관으로 최초 개봉이어서 그런 것도 좀 많이 관객이 유입이 됐었던 것 같고.

However, I think it was also because this was the first release in the venue at Art Nine, which attracted a lot of audiences.

거꾸로 개봉을 하는 거네요.

You're unboxing it in reverse.

이미 풀린 작품들을 ott에 풀린 작품을.

Works that have already been released and works that are released on OTT.

그런 것도 가능하구나.

I didn't know that was possible.

그럼 아무튼 영화관의 미래를 지금 좌우할 요소 가운데 하나로 지금 꼽는 게 ott고 또 한 가지가 사실은 티켓값이거든요.

Well, anyway, one of the factors that will determine the future of cinemas right now is OTT, and another factor is actually ticket prices.

이게 얼마 전에도 한 번 사회적으로 좀 논란이 됐던 게 배우 최민식 씨가 mbctv 손석기의 질문들에 출연해서 이 이야기를 한 적이 있어요.

Recently, there was a social controversy regarding this, as actor Choi Min-sik appeared on MBC TV and discussed this in response to questions from Son Seok-ki.

물 들어올 때 노 젓는다고 갑자기 가격을 올리면 나라도 안 간다.

If you suddenly raise prices when business is good, I won't go either.

이렇게 이제 발언을 해서 이게 이제 그 논란이 된 적이 있었는데 일단 시민들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저희가 좀 들어봤거든요.

There was a controversy after making such a statement, so we looked into what the citizens think about it.

이야기 듣고 좀 세 분과 이야기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I will listen to the story and then talk with the three of you.

요즘도 극장을 자주 가세요?

Do you still go to the movies often?

그냥 남편이.

Just my husband.

티켓팅하면 같이 따라가니까 그렇긴 하지만 많이 부담스럽죠.

When I get the tickets, I will go together, so it’s a bit burdensome.

전 솔직히 집에서 tv에서 구매하는 거 그걸로 솔직히 만 원이면 두 사람 같이 봐도 되고 그래서 뭐.

To be honest, I think buying it on TV at home for just 10,000 won is acceptable for two people to watch together.

요즘은 아무래도 넷플릭스는 자주 봤는데 근데 만약에 진짜 뭔가 재미있는 영화려면 꼭 가야 돼요.

These days, I tend to watch Netflix often, but if it's really an interesting movie, I have to go see it.

부담스럽죠. 차라리 연극을 보는 게 더 나을 것 같아요. 돈을 좀 더 보태서 뮤지컬을 보든지.

It's overwhelming. I think it would be better to watch a play instead. I could add a bit more money to watch a musical.

지금 이 목소리 중에서 두 번째인가 세 번째인가 나온 분 집에서 만 원이면 둘이 같이 보는데 이게 딱 제 얘기인데 사실.

Among the voices right now, the one who appeared second or third, if we go to their house, we can watch together for 10,000 won, and that's exactly my story, actually.

그런데 노 교수님 우리나라 지금 관람료가 비싼 편입니까 어떻습니까?

By the way, Professor No, is the admission fee in our country relatively expensive right now?

네. 최근에 이제 이 티켓값을 놓고 우리 최민식 배우의 이제 발언을 통해서 여러 고민과 이렇게 기사들이 계속 나오고 있는데요.

Yes. Recently, there have been ongoing discussions and articles regarding the ticket prices, influenced by the statements made by our actor Choi Min-sik.

현재 주요 멀티플렉스의 주중은 14,000원.

The current weekday ticket price for major multiplexes is 14,000 won.

주말은 15,000원 하고 있죠.

The weekend costs 15,000 won.

그런데 이게 이제 14,000원 15,000원이 된 게 실은 최근이 아니고요.

However, the fact that it has now become 14,000 won and 15,000 won is not recent at all.

2022년입니다.

It is 2022.

20년 21년 22년 3년 동안 매년 1,000원씩 올렸던 겁니다.

For three years, from 2020 to 2022, it increased by 1,000 won each year.

그래서 최근에 그런 통계를 아마 자세히 들여다보시면 19년에서 3년 이런 식으로 통계를 내는 거예요.

So recently, if you take a closer look at such statistics, they are presented in a way that compares the years 2019 to 2023.

한참 올랐던 시기에 그래서 인상률이 한국이 상당히 높은 것처럼 실은 써져 있는데

During the time when it had risen considerably, it is actually written that the rate of increase in Korea is quite high.

더 길게 7년 정도 이렇게 들여다보시면.

If you look at it like this for about 7 years,

그러다 보면 세계적인 관람료 인상 추세에 우리나라가 많이 오른 것도 아니고요.

In that case, our country hasn't increased as much as the global trend of rising ticket prices.

또 평균으로 볼 때도 우리나라가 그렇게 비싼 편은 아닙니다.

On average, our country is not that expensive either.

그래요? 외국에 비해서도?

Is that so? Even compared to foreign countries?

제가 사례를 좀 찾아왔었는데요.

I had looked for some examples.

제가 주로 프랑스 연구를 많이 하다 보니까 프랑스가 2019년에 우려 따지면 cdv 같은 빠떼 시네마의 극장 하나가 12.9유로였었거든요.

Since I mainly conduct research on France, in 2019, regarding concerns, a cinema like CDV in France had tickets priced at 12.9 euros.

이것이 22년에는 14,000원.

This was 14,000 won in 2022.

14.7유로 그리고 올해는 현재 17.2유로입니다.

14.7 euros and this year it is currently 17.2 euros.

그러니까 우리 기준으로 이렇게 환율을 받고 생각하면 19년에는 19,000원이었던 것이 지금은 25,000원이 된 겁니다.

So if we consider the exchange rate based on our standards, it was 19,000 won in 2019, and now it has become 25,000 won.

인상률이 33%나 되는 거죠.

The increase rate is as high as 33%.

심지어 같은 극장인데도 14구 파리 14구에 있는 극장은 일반 관람료가 20.9짜리도 있습니다.

Even in the same theater, there are theaters in the 14th arrondissement of Paris where the regular admission fee is 20.9.

아무튼 그런데 오르긴 오른 거잖아요.

Anyway, the price has gone up, right?

전 세계적으로 오르고 있는 겁니다.

It is rising globally.

오른 이유가 뭐예요?

What is the reason you went right?

먹고 살려고.

To make a living.

아주 심플한.

Very simple.

심플한.

Simple.

그렇죠.

That's right.

그러니까 예를 들어서 1만 원이 오르면 도저히 운영이 안 된다.

For example, if the price goes up by 10,000 won, it would be impossible to operate.

예를 들어서 이런 식인 겁니까 그러니까?

For example, is this the kind of thing I'm talking about?

실은 1만 원 미만으로도 운영을 해도 우리 김대표님께서 더 잘 아시겠지만 가능합니다.

Actually, it is possible to operate with less than 10,000 won, as our CEO Kim knows better.

그런데 이게 관람료가 줄어들면 이 관람료를 나눠 갖는 이 모든 구조가 수익이 줄어들기 때문에

However, if the admission fee decreases, the entire structure that shares this fee will see a reduction in revenue.

실은 관람료를 올린다고 해서 극장이 가져가는 건 절반 미만인 거고요.

In fact, even if the admission fee is increased, the theater takes less than half of it.

나머지는 그 영화를 만든 모든 사람들.

The rest are all the people who made that movie.

사람들이 함께 나눠가는 형태인 거죠.

It's a form that people share together.

그래요?

Is that so?

그럼 우리 감독님께 좀 여쭤봐야 될 것 같은데 관람료가 올랐어요.

I think I need to ask our director; the admission fee has gone up.

그래서 고르게 나눠 갖는다고 지금 노 교수님이 말씀해 주셨는데 그렇게 고르게 지금 나눠지고 있습니까?

So Professor No said that they would share it evenly, but is it really being divided evenly right now?

네.

Yes.

올랐기 때문에 이제 5대 5로 나누던 제작사와 투자사가 50% 가져가고 극장이 50% 가져가고 그런 구조는 비슷하게 유지되고 있습니다.

Because it has risen, the structure where the production company and the investors, who used to split 50-50, now take 50% each, along with the theaters, is being maintained similarly.

그런데 지금 이제 1만 5천 원 이렇게 값이 올라서도 각종 또 극장에 해 주는 할인들이 있어요.

However, now the price has risen to 15,000 won, but there are still various discounts offered at the theaters.

그렇죠.

That's right.

그래서 여러 가지.

So many things.

여러 가지 통신사 할인부터 여러 가지 할인을 하면 실질적으로 소비자들이 그걸 잘 이용하면 1만 2천 원 심지어 1만 원 이렇게까지 이용할 수 있는 구조인데

By combining various discounts from different telecommunications companies, consumers can effectively take advantage of these offers, being able to utilize them for as low as 10,000 won or even 12,000 won.

지금 일단 그냥 현찰로 내고 갔을 때는 그렇게 극장에서 현매할 때 오른 건 또 사실이기 때문에 부담을 느끼실 수 있을 것 같고요.

Right now, when I just pay in cash and go, it's true that there's some pressure since the ticket price at the theater is higher.

그런데 코로나 때 극장 측이 입은 아시아이피 가장 타격받은 게 극장이잖아요.

However, during COVID, the theater industry was the most affected by Asia IP.

모일 수 없으니까.

Because we can't gather.

그렇죠.

That's right.

그때 사실은 3사 롯데시네마 cgb 메가박스 이런 데서 거의 그때 빚을 내서 그걸 유지한 것만 해도 몇천억 원이 되기 때문에

At that time, the truth is that I almost took on debt from places like Lotte Cinema, CGV, and Megabox to maintain it, which alone amounts to several hundred billion won.

지금 사실 좀 그걸 환수하려고 하는 또 취지도 충분히 이해는 됩니다.

Right now, I actually do understand the intention behind trying to retrieve that.

그래요.

Okay.

그래서 그 사이에서 조금 더 관객분들도 약간은 좀 이해를 해 주시고 또 극장도 하지만 또 그런 관객분들의 어떤 좀 심리적인 저항을 또 이해해서

So during that time, I hope the audience can understand a little more, and the theater also understands the psychological resistance of those audience members.

조금 어떤 지혜로운 방법을 좀 찾으면 좋을 것 같아요.

I think it would be good to find some wise ways.

그런데 그냥 지금 티켓값 관람료라고 일반에서 얘기를 했는데 요즘은 무순석 무순석 해 가지고 되게 많이 만들어지고 있고 가격이 막 차동화되고 있잖아요.

However, they just mentioned it as the ticket price in general, but these days, with all the talk about premium seats and such, a lot of different seating arrangements are being made and the prices are becoming really varied.

이 현상은 어떻게 평가하세요

How do you evaluate this phenomenon?

그러니까 영진이 영화진흥위원회가 올해 발표한 올해 상반기 평균 관람료는 9698원입니다.

So, according to the Film Promotion Committee, the average ticket price for the first half of this year is 9,698 won.

작년에 만 원을 넘었다가 다시 지금 떨어지는 추세인데요.

Last year, it went over ten thousand won, but now it’s on a downward trend again.

이 관객들이 생각해보면.

If these audiences think about it.

제가 생각할 때 티켓값이 많이 올랐다라고 생각하는 원인 중에 하나는 저는 방금 말씀하신 특별관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I believe one of the reasons why ticket prices have increased a lot is because of the special screenings you just mentioned.

그래서 우리가 화면이 큰 아이맥스관이나 아니면 의자가 막 흔들리는 4dx관 이런 경우는 2만 원 정도 하고요.

So in cases like a large screen IMAX theater or a 4DX theater with vibrating seats, it costs around 20,000 won.

연인석 뭐 이런 것도 있고.

There are also things like the lover's stone.

그래서 이제 침대처럼 이렇게 누워보는 템퍼시네마 이런 곳도 있거든요.

So now there are places like Tempur Cinema where you can lie down like on a bed.

5만 원입니다.

It's 50,000 won.

5만 원

50,000 won

그러니까 그런 한 번 예전 같은 경우는 그래 데이트하러 극장을 가볼까 하면.

So, back then, if we were thinking of going on a date, we would consider going to the movies.

기본 관람료에 팝콘 정도만 생각하면 됐는데 지금은 특별한 경험이면 그러면 일반관이 아니라 특별관 가야 되는 거 아니야 라고 해서 만약에 누군가가 나는 편하게 누워서 보고 싶어라고 하면 영화값만 10만 원이 드는 겁니다.

If you only consider the basic admission fee and a popcorn, that's fine, but now if you want a special experience, you have to go to a premium theater instead of a regular one. So if someone says they want to lie down and watch, the movie ticket alone costs 100,000 won.

그리고 거기에 이제 씨네드 셰프라고 해서 cgv 사례인데요.

And there is now Chef Cined, which is a case study from CGV.

거기에서 이제 음식까지 세트로 밥 먹고 들어갈 수 있거든요.

Now you can have a meal set with food there.

그 음식이 7만 원 물론 아주 고급 코스입니다.

That meal is 70,000 won, of course, it's a very high-end course.

그렇게 하면 정말 화려한 데이트는 되지만 3 40만 원이 들 수도 있다라는 아주 작은 사례들 때문에 극장이 비싸다라는 인식을 저는 심어줬다라고 생각하고요.

I believe that because of very small examples like that, it has instilled the perception that theaters are expensive, even though it can be a really glamorous date that might cost around 300,000 to 400,000 won.

극히 일부의 사례다.

It's a very rare case.

비행기 1등석 비즈니스석 뭐 이코노미 이런 구조로 이제 극장도 나름대로 생존 전략을 짠 거죠.

First class, business class, and then economy – this is how theaters are also developing their own survival strategies.

그런데 김 대표님 운영하는 mc 네마 같은 경우는 관람료가 얼마예요

By the way, how much is the admission fee for the MC Nema run by Representative Kim?

저희는 1만 원입니다.

We are 10,000 won.

1만 원

10,000 won

저희가 예술영화관 협회 15개 극장 플러스 국내 독립예술영화관들이 아마 50개 정도 될 텐데 코로나 때 아마 인상을 거의 한 곳이 없을 거예요.

There are probably around 50 independent art cinemas in addition to the 15 theaters of the Association of Art Cinemas, and during the COVID period, I don't think many of them raised their ticket prices.

오히려 더 올리면 관객이 더 줄기 때문에 그래서 저희 생각은 약간 조금 이 부분에 대해서는 되게 조심스러운 것 같아요.

On the contrary, if we raise it further, the audience will decrease even more, so our thinking is that we are quite cautious about this part.

그러니까 그 금액을 올렸을 때 관객이.

So when the amount was raised, the audience...

금액이 부담스러워서 극장을 안 오게 되면 생태 이게 역순환이 되는 거 아닌가라는 문제점이 하나 있을 것 같고요.

If the amount is burdensome and people stop coming to the theater, there seems to be a problem where this creates a negative cycle.

그리고 또 하나는 통신사 각종 할인 혜택을 이제 멀티에서 진행을 하잖아요.

And another thing is that various discount benefits from telecom companies are now available through multi-platforms.

그런데 제작사랑 배급사한테 이제 보통은 5대5 정산을 하는데 통신사나 각종 할인 혜택을 빼면 5천 원 미만으로 정산이 되거든요.

However, usually the production company and the distribution company settle on a 50-50 basis, but when you exclude telecommunications companies and various discount benefits, it settles to less than 5,000 won.

그러면 이걸 투명하게 어떻게 그 서비스를 하고 있는지를 보여줘야 되는데 이건 통신 비밀 통신사 등과의 어떤 비밀 유지 계약으로 해서 공정하거나 투명하게 알려지지가 않으니까

Then we need to transparently show how this service is being provided, but this is not fairly or transparently disclosed due to confidentiality agreements with telecommunication companies and others.

그 부분이 조금 그 가격 부분에 있어서 또 다른 어떤 문제이지 않을까 생각이 들고요.

I think that part might be another issue regarding the price.

그리고 이제 이거는 좀 다른 식의 접근일 수도 있는데.

And now, this could be a somewhat different approach.

네. 영화관은 부금을 정산해 주는 그런 계약 방식이기 때문에 제작사나 배급사와의 어떤 협의를 통해서 같이 금액이 측정돼야 하는 부분도 있지 않을까라는 고민도 같이 해봐야 될 것 같다라는.

Yes. The cinema operates on a contract system that settles payment, so I think we should also consider that there might be aspects where the amount needs to be determined through discussions with the production or distribution companies.

네. 제가 관람료 관련된 연구를 코로나 기간 동안에 계속하고 해서 논문도 몇 편을 썼었는데요.

Yes. I continued researching related to admission fees during the COVID period and wrote several papers on it.

그런 논의가 할리우드에서도 100년 전부터 실은 계속 있었던 거예요.

Such discussions have actually been ongoing in Hollywood for over 100 years.

그래서 할리우드에서 이제 최초로 개발했던 것이 당시에 동시상영이었거든요.

So what was initially developed in Hollywood was simultaneous screenings at that time.

그래서 대형 영화 한 편에 그리고 싸구려 영화 한 편을 묶어서 우리가 나중에 이제 b급이라고 부르는.

So we bundled a big movie and a low-budget movie together, which we later called a B-movie.

저 많이 갔는데.

I've been there a lot.

그렇죠. 그게 이제 나중에 한국에는 다른 형태의 이제 동시상영으로 옮겨졌는데 되게 복잡하고 힘든 문제입니다.

That's right. Later on, it moved to another form of simultaneous screenings in Korea, but it's a very complex and difficult issue.

결과적으로 이제 그런 식으로 적용을 하다가.

As a result, it's now being applied that way.

그러다 보면 가장 많은 피해는 독립예술 영화가 실은 될 수도 있다라고 생각하고요.

In that case, I think the most significant damage could indeed be to independent artistic films.

관객 입장에서는 이렇게 저렴하게 형성이 되어 있는 영화는 싸구려 영화라는 인식을 심어줘서 오히려 못 보게 되는 보기 싫어하는 그런 심리적 저항이 생길 수 있다라는 생각도 합니다.

From the audience's perspective, a movie priced this cheaply can create an impression that it is a low-quality film, which might lead to a psychological resistance to watching it, resulting in aversion.

그런데 정 감독님께 한번 여쭤보고 싶은데 이거 저거 갖다 떠나서 아까 이제 최민식 배우 같은 경우는 관람료가 좀 비싼 것 같다라고 평을 한 거잖아요.

By the way, I would like to ask Director Jung, regardless of this and that, earlier, actor Choi Min-sik commented that the ticket price seems a bit expensive.

어떻게 동의하세요? 어떻게 생각을 하세요?

How do you agree? What do you think?

그렇죠. 일괄적으로 요즘 관객분들이 아니라 요즘 시민들은 되게 공정함에 대한 이슈가 있잖아요.

That's right. Lately, it's not just the audience, but citizens these days have a real issue with fairness.

그렇죠.

That's right.

일방적으로 이제 그거를 올려버리면 거기에 대해서 본인들이 이제 수동적으로 뭔가 되는 느낌이 들거든요.

If it's unilaterally posted like that, it makes them feel like they are passively being affected by it.

그런 것에 대해서 좀 더 반감이 심하신 것 같고요.

It seems that you have a stronger aversion to such things.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떤 영화 또 천만이 된다.

Nevertheless, some movies still achieve ten million viewers.

이런 거는 또 재미있고 굉장히 입소문이 확실하면 비싸도 찾아간다는 거죠.

Things like this are interesting, and if the word-of-mouth is really strong, people will go even if it's expensive.

그렇죠.

That's right.

그렇다면 그래도 보지 않느냐.

Then don't you still see it?

이런 거 가지고 극장값이 올랐는데도 사람들이 보기 때문에 괜찮은 거 아니냐라고 하는 극장 측의 주장도 약간은 좀 위험할 수도 있습니다.

The theater's argument that it's okay to raise ticket prices because people are still watching despite things like this could be somewhat risky.

또 반면에 소문이 좀 덜 났거나 아니면 좀 이따 또 얘기하겠지만 독과점 때문에 한 영화만 몰아주고 약간 밀려난 영화들은 오히려 극장값이 비싸기 때문에 또 안 가버리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On the other hand, there are cases where movies that are somewhat overlooked due to monopolies, or those that will be discussed later, might actually not be attended because their ticket prices are high.

그래서 그 안에서 제가 볼 때는 좀 예전에.

So, from what I can see in there, it's a bit old-fashioned.

하나의 그런 하나밖에 없는 금액 관객들이 선택권이 없는 그런 뭔가 좀 공정치 않다라고 느끼는 아까 말한 것처럼 비싼 영화도 있고 좀 저렴한 영화도 있고.

It feels a bit unfair that there is only one unique price that the audience has no choice over, as I mentioned earlier, since there are some expensive movies and some cheaper ones.

또 시간대도 점심시간 아침시간 저녁시간 골든타임 뭐 이렇게 다니는데 좀 약간 관객이 선택할 수 있는 좀 그런 주체적으로 좀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식으로 좀 판을 짜야 되지 않을까.

I think we should create a setup where the audience can actively participate in choosing things like the time slots for lunch, breakfast, dinner, and golden time.

디테일하게 세분화하는 게 하나의 해법이 되지 않느냐.

Isn't detailing and subdividing something that could be a solution?

그렇죠.

That's right.

선택의 폭을 관객에게 좀 더 줄 수 있는 방향으로 가야지.

We should go in a direction that provides the audience with a broader range of choices.

지금처럼.

Just like now.

일방적으로 이만큼 받아야 되겠어라고 하는 것이 아마 요즘 시민들에게는 좀 불쾌감을 줬던 것 같습니다.

It seems that unilaterally stating that this amount must be received has been somewhat unpleasant for citizens these days.

그런데 교수님께 여쭤보고 싶은 게 조금 전에도 잠깐 정 감독님 말씀 속에 이야기가 나왔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천만 영화가 나오잖아요.

However, I have a question for the professor; just a moment ago, director Jung mentioned it briefly, but despite that, blockbuster films are still being produced, right?

그러면 가격 저항이 있는 거냐 없는 거냐로 좀 정밀하게 들여다봐야 될 것 같은데 어떻게 보세요 교수님은?

Then it seems we need to take a closer look at whether there is price resistance or not. What do you think, professor?

기본적으로 우리가 이제 영화를 이렇게 뭐 제가 경제학자는 아닙니다만 경제 쪽에서 이렇게 들여다볼 때 수요의 소득탄력성이라는 개념 그러니까 우리가 돈을 많이 벌면 많이 벌수록 수요가 늘어나는 것을 우리가 이제 보통 사치제라고 합니다.

Basically, when we look at movies from an economic perspective, although I'm not an economist, the concept of income elasticity of demand comes into play. This means that as we earn more money, the demand increases, which we usually refer to as luxury goods.

그리고 이제 돈을 많이 벌면 벌수록 덜 사용하는 것을 열등제라고 하죠.

And now, the more money you make, the less you use, which is referred to as the inferior good.

제가 돈을 너무 많이 벌었는데 아주 저렴한 불량식품 사 먹을 수 없는 것처럼요.

I have made too much money, but it's like I can't eat very cheap junk food.

그리고 이제 쌀이나 뭐 이런 것처럼 돈을 많이 벌든 안 벌든 간에 항상 그대로를 유지하는 것을 보통 우리가 이제 필수제라고 하는데 그 개념으로 볼 때 영화는 사치제에 해당합니다.

And now, like rice or something similar, regardless of whether you earn a lot of money or not, something that always remains the same is usually referred to as a necessity, but in that concept, movies fall under the category of luxury goods.

그래서 소득이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영화는 더 많이 소비하게 되는 거죠.

So, the more income increases, the more movies are consumed.

그래서 저는 기본적으로 현재 우리나라의 관객수가 코로나 이전보다 거의 40% 정도가 줄어들었거든요.

So, basically, the number of audience members in our country has decreased by almost 40% compared to before COVID.

그런 측면에서 볼 때 기본적으로 이 경제적인 부담감이 소비자의 마음에는 있고 그로 인해서 영화에 대한 선택을 조금 더 조심스럽게 하고 있다라는 게 기본적이라고 생각하고요.

In that aspect, I believe that fundamentally, this economic burden is in the consumers' minds, and as a result, they are making their choices about movies a bit more cautiously.

두 번째는 방금 전에 감독님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정말 재밌고 좋다라고 생각하는 영화는 꼭 극장 가서 봐야겠다는 생각은 여전히 바뀌지 않았다라는 거죠.

The second point is that, as the director just mentioned, despite everything, the belief that we should definitely go see movies that we find really fun and good has not changed.

그리고 이제 마지막으로 좀 전에 그 가격 차등화에 관한 말씀.

And now, finally, regarding the pricing differentiation I mentioned earlier.

네.

Yes.

말씀하셨는데 하나는 동의하고 저는 하나는 좀 위험하지 않나라고 생각하는 것 중에 하나가 그 좌석별로 우리도 실은 천 원 정도 차이는 있긴 있어요.

You mentioned it, and while I agree with one point, I think one aspect is a bit risky, which is that there is actually a difference of about a thousand won per seat.

그런데 가격 차등을 많이 하는 나라 중에 하나가 일본입니다.

However, one of the countries with significant price differentials is Japan.

일본은 심지어 그러니까 가장 영화 잘 보이는 그 자리의 의자를 아주 좋게 만들어놔요.

Japan even makes the seats in the best viewing spots for movies very comfortable.

보통 의자 거의 한 1.7배 정도로 해서 퍼스트 클래스처럼 만들어놓고 가격을 한 8배를 책정해놓습니다.

They usually make it about 1.7 times the size of a regular chair and set the price at about 8 times that.

8배요?

Eight times?

네.

Yes.

같은 극장입니다.

It's the same theater.

물론 일부 극장이긴 합니다만.

Of course, it's some theaters, though.

그런데 개인적으로 문화적으로 역사적으로 일본에는 신분 이런 그런 생각도 있기도 하지만 그것이 이 극장이라는 곳은 누구나 찾아와서 함께 보고 누릴 수 있는 그런 부담 없는 공간이 돼야 되는데 특별한 자리와 특별한 공간과 특별하게 비싼 이런 형태가 되면 대중화하기에는 결국 부담이 생긴다.

However, personally, I think that culturally and historically, Japan has some notions of social status, but a place like this theater should be an easy space where anyone can come, watch, and enjoy together. If it becomes a special seat, a special space, and something extraordinarily expensive, it ultimately creates a burden for making it popular.

네.

Yes.

나는 데이트하러 왔는데 나 저 자리에 앉고 싶은데 왜 돈 없다고 우리는 맨 앞자리에 앉아야 돼 하면 또 눈물 날 커플도 있을 수도 있잖아요.

I came on a date, and I want to sit in that spot, but if I say we have to sit in the front row because we don't have money, there might be a couple who would feel like crying.

그런 측면에 위험부담이 하나가 있고 두 번째로 말씀하신 시간에 대한 가볍 차별제는 저는 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There is a risk factor in that aspect, and secondly, I believe that a light differentiation regarding time, as you mentioned, should be implemented.

예전에는 조조가 되게 쌌거든요.

In the past, Cao Cao was really strong.

5천 원 6천 원 했는데 지금은 만 원까지 올라왔어요.

It used to be 5,000 won to 6,000 won, but now it has risen to 10,000 won.

조조 할인인데?

Is it a discount?

네.

Yes.

그렇습니다.

That's right.

그리고 그 조조도 보려면 정말 9시나 10시에 봐야지 진짜 조조입니다.

And to see that sunrise, you really have to see it at 9 or 10 o'clock for it to be the real sunrise.

말 그대로.

Literally.

그런데 미국 같은 경우는.

However,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물론 미국이 나라가 크고 또 지역적인 특정이 있지만 미국은 극장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보통 13시에서 길게는 16시까지가 마띠네라고 우려 따지면 조조입니다.

Of course, the United States is a large country and there are regional specifics, but in general, matinees in theaters vary slightly, usually running from around 1 PM to as long as 4 PM, while early matinees are considered to be before that.

16시 가요.

It's 4 o'clock.

4시까지?

Until 4 o'clock?

네.

Yes.

오후 4시까지.

By 4 PM.

4시까지.

Until 4 o'clock.

그리고 그것하고 유사하게 돌아가는 영국도 그런 마띠네 제도를 유지하고 있거든요.

And similarly, England also maintains a system like that of the matinee.

그 이유 중에 하나는 애들이 학교 끝나고 우리처럼 지하철 타고 갈 수가 없잖아요.

One reason is that the kids can't take the subway like we do after school.

미국은 멀어서.

The United States is far away.

그래서 학교 끝나고 부모랑 같이 가려면 16시가 넘어야 극장을 갈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은 합니다만 저희처럼 낮에도 볼 수 있는 사람들은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서 좀 더 길게 밤늦게나 그리고 적어도 점심 이후까지라도 좀 그렇게 좀 폭을 넓혀준다면 좋지 않을까라는 생각은 하고 있습니다.

I think it's because if you want to go with your parents after school, it has to be after 4 PM to go to the theater. However, for people like us who can watch during the day, it would be nice if the hours were extended a bit later into the night and at least until after lunch to reduce the burden.

또 하나요.

Another one?

조금 전에 정 감독님 말씀 속에 잠깐 묻어 나왔던 게 스크린 독과점 문제 있잖아요.

A little while ago, Director Jeong mentioned something briefly about the issue of screen monopolization.

네.

Yes.

이게 지금 멀티플렉스가 일반화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봐야 되는 겁니까?

Is this a phenomenon that can be seen as a result of multiplexes becoming common?

어떻게 봐야 되는 겁니까?

How should I look at this?

왜 이렇게 발생했다고 생각하세요?

Why do you think this happened?

네.

Yes.

노 교수님이 좀 이따 또 자세히 말씀해 주시겠지만 제가 사실은 영화감독조합과 많은 영화인들이 코로나 이전에 극장 멀티플렉스의 스크린 독과점 때문에 많이 문제제기를 하고 좀 잘되는 영화만 너무 미뤄주지 말고

Professor Noh will explain in detail later, but actually, many filmmakers and the directors' guild raised significant issues about the screen monopoly in movie theater multiplexes before COVID, and we asked not to delay only the films that are doing well.

네.

Yes.

완전히 폭망하거든요.

It completely flops.

그래서 뭐 본전은 못 뽑더라도 어느 정도 70% 80%는 수익을 이제 뽑아야지 뭐 그래도 좀 타격이 덜한데 뭐 완전히 극장에서 일주일 틀고 안 되면 바로 쫓겨나기 때문에 뭐

So, even if I can't break even, I need to at least earn around 70% or 80%; otherwise, the impact will be greater. If it doesn't do well after being in theaters for a week, it gets kicked out right away.

보통 평가 기간이 일주일이에요?

Is the usual evaluation period one week?

네.

Yes.

일주일 첫 주말입니다.

It's the first weekend of the week.

올렸다가 영 관객 안 되면 그냥 칼같이 하는 게 한 일주일이에요?

If the audience doesn't respond well after raising it, does it just get cut off like that for about a week?

네.

Yes.

그러니까 만약에 수요일 날 목요일 날 개봉하고 바로 그 다 그 며칠 후에.

So, if it opens on Wednesday or Thursday, it's just a few days later.

토요일 일요일 관객수로 모든 운명이 결정되기 때문에.

Because all destinies are determined by the number of audience members on Saturday and Sunday.

이야 살벌하네.

Wow, that's intense.

네.

Yes.

입소문이 날 수가 없죠.

Word of mouth can't happen.

그래서 뭐 그렇지만 아주 운 좋게 입소문이 나서 거꾸로 이제 처음에 3등 했다가 뒤에 다음 주에 뭐 2등하고 그 3주 후에 뭐 1등하고 이런 경우도 혹하다 있지만 굉장히 그건 드물고요.

So, well, even though that's the case, very fortunately, there was word of mouth, and in reverse, initially, I placed 3rd, then the following week I got 2nd, and after 3 weeks, I got 1st; such cases do happen, but they are quite rare.

네.

Yes.

그래서 이제 이런 이제 스크린도과전 문제는 이제 사실 옛날에는 뭐 단성사 뭐 서울극장 대안극장 이제 단관극장에서 영화를 개봉해서 몇 달 동안

So now, this issue of screening movies, in the past, theaters like Danseongsa, Seoul Theater, and alternative theaters would release films and screen them for several months.

네.

Yes.

극장에서 쭉 틀었기 때문에 뭐 그런 문제가 덜했지만 이제 이미 멀티플렉스 시대가 20년 전부터 시작됐기 때문에 그거는 이제 어느 정도 예상될 수밖에 없었지만 그래도 한국은 이제 미국이나 이런 외국에 비해서 훨씬 심합니다.

Since it was played continuously in theaters, those issues were less prevalent, but the multiplex era has already started about 20 years ago, so it was somewhat to be expected; however, Korea is still much worse compared to the US and other foreign countries.

그래요?

Is that so?

미국은 전체적으로 이제 극장 스크린 수가 우리나라의 거의 10배도 넘는 4만 개인데요.

The United States now has over 40,000 theater screens, which is almost ten times more than our country.

우리나라가 지금 한 2,700개 3,000개 정도 전성기 때 뭐 그 정도 됐는데 4만 개 중에 미국은 아무리 잘 됐는지.

In our country, we have about 2,700 to 3,000 now, which is roughly the same as during our peak, but out of 40,000, I wonder how well the United States is doing.

4만 개 중에 미국이 잘 되고 뭐가 대박이 나도 10% 이상은 못 틉니다.

Out of 40,000, even if the U.S. does well and something hits big, we can't exceed 10%.

아.

Ah.

그럼 혹시 규정이네요.

Then it's probably a regulation.

규정이 있습니다.

There are regulations.

그래서 4만 개 중에 한 10% 4,000개 그래서 뭐 많아야 20% 뭐 그 정도인데 한국 같은 경우는 그런 규정 제체가 아예 없기 때문에 뭐 20% 이 정도가 아니라 거의 80% 10개 관중의 8개까지도 막 잘되는 영화를 그냥 돌려버리기 때문에 다른 영화들은 피해가 너무 극심하죠.

So out of 40,000, about 10% or 4,000, and at most 20%, or something like that. In the case of Korea, there are no regulations at all, so it's not just about 20%; it can go up to almost 80%, where 8 out of 10 in theaters can end up getting screened even if they are very successful films, which severely harms other movies.

네.

Yes.

관객이 볼 기회도 사실 많이 뺏기고.

The audience also loses many opportunities to see.

양극화가 심해지는 거죠.

The polarization is becoming severe.

양극화가 심해집니다.

Polarization is intensifying.

그런데 이제 뭐 코로나가 터지면서 극장이 하도 이제 어려워졌기 때문에 저희 영화인들도 좀 극장이 일단 살아야 된다.

However, now that COVID has broken out, theaters have become very difficult, so we filmmakers believe that theaters need to survive first.

그래서 좀 그런 거에 대해서는 좀 목소리를 지금은 이제 뭐 좀 안 내고 있는데.

So I haven't been speaking up about those things a bit now.

네.

Yes.

그런데 지금 이렇게 다 같이 극장이 영화계가 축소가 됐음에도 불구하고 그런 스크린 독과점 문제는 또 여전히 계속 있는 상황이거든요.

However, even though the theater and film industry has been reduced like this, the issue of screen monopolization is still ongoing.

그래서 관객 수가 줄어서 어떤 영화가.

So, the number of viewers has decreased, what about the movie?

그 영화가 잘 터지면 더 몰리는 현상이 좀 더 생기고 있는 것 같습니다.

It seems that if that movie does well, there will be more of a phenomenon where more people flock to it.

시간이 다 돼서 지금 2부 시간은 거의 다 돼가는데 노 교수님께 그럼 마지막으로 조금 전에 이제 말씀 주셔서 지금 영화관 운영이라는 게 좀 또 있잖아요.

As time is running out and we're almost at the end of the second part, Professor Noh, could you please share a few more words regarding the operation of movie theaters that you mentioned earlier?

현실적으로.

Realistically.

지금 많이 어려운 편입니까 어떻습니까

Is it very difficult right now? How is it?

네.

Yes.

극장이 아까 잠깐 말씀드린 것처럼 우리가 2019년이 실은 가장 성공했던 시절이거든요.

As I mentioned briefly earlier, the theater actually had its most successful time in 2019.

가장 호환기였었죠.

It was the most compatible.

그때 한 2억 2천 명 정도 들었는데 최근에는 작년도.

At that time, about 220 million people participated, but recently it was last year.

많이 올라갔다고 하지만 실은 60% 정도 수준입니다.

It has gone up a lot, but in reality, it's at around 60%.

반토막 난 거네요.

It's been cut in half.

거의 반토막 조금 더 난 상태이기 때문에 극장이 어려운 상황이고요.

The theater is in a difficult situation because it is almost half down.

심지어 그 코로나 3년 동안에 아주 많은 적자를 본 상태여서 그걸 만회하기까지는 실은 아직 부족한 관객 수인 거죠.

In fact, during those three years of COVID, we experienced significant losses, so we still lack the number of audience needed to make up for it.

그래요.

Okay.

역시 또 여기에는 어차피 이제 그 경영의 논리라고 하는 것들이 결국은 관통하고 있다.

As expected, the logic of management is ultimately penetrating here as well.

이 점을 좀 빼놓을 수가 없네요.

I can't leave this point out.

알겠습니다.

Understood.

여기서 잠시 끊고요.

Let’s take a break here for a moment.

3부로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I will continue with part 3.

추석 특집으로 꾸며드리고 있는 김종배의 시선집중 2부 마무리하고 8시 3부로 이어갑니다.

We will wrap up the second part of Kim Jong-bae's Focus, which is specially themed for Chuseok, and continue with the third part at 8 o'clock.

잠시만요.

Just a moment.

세상을 바라보는 또렷하고 날카로운 시선.

A clear and sharp gaze at the world.

믿고 듣는 진품시사.

Trusted and credible current affairs.

김종배의 시선집중.

Kim Jong-bae's focus.

시선집중 3부의 문을 열겠습니다.

I will open the door to Part 3 of Focused Attention.

추석 특집으로 꾸며드리고 있는데요.

We are presenting a special feature for Chuseok.

오늘의 주제는 한국영화관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입니다.

Today's topic is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Korean movie theaters.

노철환 이나대 교수 정윤철 감독 김상민 에무시네마 대표 세 분과 함께하고 있는데요.

I am with three people: Professor Roh Cheol-hwan from Inha University, Director Jeong Yoon-cheol, and CEO Kim Sang-min of Emu Cinema.

이제는 미래에 대해서 좀 이야기를 좀 해봐야 될 것 같습니다.

I think we should talk a bit about the future now.

한국영화관 더 나아가서 한국영화산업 미래가 어떻게 될 것인가 이 이야기를 해봐야 될 것 같은데

I think we need to talk about what the future of Korean cinemas and, furthermore, the Korean film industry will look like.

대부분 입을 모아서 하는 이야기는 최대의 경쟁자는 역시 ott다 라고들 입을 모으는 것 같은데

Most people seem to agree that the biggest competitor is indeed OTT.

동의하십니까 노 교수님

Do you agree, Professor Noh?

네.

Yes.

ott가 실은 넷플릭스로 대표되는 미국의 ott이죠.

OTT is actually the American OTT represented by Netflix.

그렇죠.

That's right.

그리고 미국의 메이저 스튜디오만 들어갈 수 있는 npa의 회원으로 넷플릭스가 이미 들어가 있거든요.

And Netflix is already a member of the NPA, which can only be accessed by major studios in the U.S.

그런 의미에서 과거에 우리가 할리우드 직배사를 놓고 싸운 것처럼 실은 현재는 넷플릭스로 대표되는 미국발 ott가 우리 영화산업 전반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겠습니다.

In that sense,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just as we fought over Hollywood distributors in the past, the American OTT represented by Netflix currently poses a significant threat to our entire film industry.

그래요.

Okay.

가장 강력한 경쟁자다.

The strongest competitor.

혹시 감독님은 실감하세요

Do you feel it, director?

네.

Yes.

넷플릭스.

Netflix.

넷플릭스든 디즈니든 ott가 실제로 오리지널 영화까지 만들잖아요.

Whether it's Netflix or Disney, OTT actually produces original films.

그래서 자기네 바로 온라인 넷플랫폼에서 바로 상영되는 그런 면에서 어떻게 보면 좀 고마운 기회일 수도 있지만

So in that sense, it could be seen as a somewhat grateful opportunity because it is directly released on their online platform.

실적으로 관객들의 시간이나 어떤 비용을 잡아둔다는 면에서 극장의 경쟁자라고 볼 수 있죠.

In terms of securing the audience's time or any costs, it can be seen as a competitor to the theater.

만약에 감독님에게 제안이 온다.

If a proposal comes from the director.

한번 제작해봐라.

Try making it once.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What will you do?

뭐 ott 시리즈나 영화를요 감사하죠 안 찍을 이유는 없다고 봅니다.

Well, I think there’s no reason not to shoot an OTT series or movie. Thank you.

그래요

Okay.

하지만 그게 이제 극장과 경쟁을 지금 벌이고 있는 건 사실이고

However, it is true that it is now competing with theaters.

그리고 심지어 또 이제 이게 만약에 극장값만 올랐고 넷플릭스나 이런 게 없었으면 극장 티켓에 대한 말이 좀 덜 나오는 게

And even if only the theater prices have gone up, if there weren't platforms like Netflix, there would be less talk about theater tickets.

왜냐하면 지금 넷플릭스 한 달 구동료가 극장값보다

Because right now, a month's subscription to Netflix is more expensive than a movie ticket.

극장값이 더 비싸잖아요.

The ticket prices for the theater are more expensive.

구동료보다.

Rather than a former colleague.

그렇기 때문에 사실 또 말이 나오는 것도 있습니다.

That’s why there are actually more discussions about it.

그래서 만약에 ott가 없었으면 극장 티켓에 대한 이슈도 좀 적었을 건데 그냥 극장 영화 한 편 보는 값이면 한 달 동안에 수십 편을 볼 수 있지 않느냐라는 것 때문에

So if there hadn't been OTT, there would have been fewer issues regarding theater tickets, but it's just that for the price of watching one movie in theaters, you could watch dozens during a month.

서로 이제 또 극장 쪽이 밀리고 있는 상황이죠.

We are now in a situation where the theaters are being pushed back again.

그러니까 왜 제가 이 질문을 드렸냐면 영화 감독님이나 배우분들이나 이런 분들 입장에서는 ott나 영화나 똑같은 거 아니냐.

So the reason I'm asking this question is because from the perspective of directors or actors, isn't OTT and movies essentially the same thing?

결국은 이것은 자본의 문제 아니냐.

Isn't this ultimately a matter of capital?

이렇게 보는 시간도 좀 있는 것 같더라고요.

I think there is some time to see things this way too.

그런데 이제 ott의 또 하나의 배우들이나 감독들이 좋아하는 이유는 글로벌 매체잖아요.

However, one of the reasons why actors and directors like OTT is that it is a global medium.

그래서 이제 여기서 예전에 아무리 한국 영화가 천만 들어도 그냥 국내에서 우물한 개구리 같은 그런 상황인데

So now, even if Korean movies used to have ten million viewers, it's just a situation where they are like a frog in a well, only within the country.

지금은 ott에서 뭐가 잘 되고 심지어 오징어 게임 보십시오.

Right now, what's popular on OTT is even Squid Game.

그러면 주연 배우였던 이정재 씨 같은 경우는 완전히 헐리우드에서 스타워즈 에피소드 시리즈도 찍을 정도로

In that case, someone like Lee Jung-jae, who was the lead actor, has even starred in the Star Wars episode series in Hollywood.

굉장히 국제적인.

Very international.

이제 어떤 스타가 돼버리기 때문에 그런 면에서는 이제 한국 배우나 감독들에게는 엄청나게 큰 기회일 수도 있고요.

Now, because they become a certain star, it could be an incredibly big opportunity for Korean actors and directors in that regard.

반면에 이제 극장용 그러니까 ott의 또 다른 문제는 이게 배우나 이런 또 제작진들의 인건비를 굉장히 많이 올렸습니다.

On the other hand, another issue with theaters, meaning OTT, is that it h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abor costs of actors and production staff.

그래요.

Okay.

그래서 이게 한국 제작 도메스틱 국내 영화나 방송 쪽에서는 감당할 수 없는 그런 또 상황이.

So this is a situation that the Korean-made domestic films and broadcasts cannot handle.

감당이 많이 돼버렸어요.

It's become too much to handle.

그래서 어떻게 보면 단순히 ott나 이런 쪽이 관객들을 뺏어간다 뿐만이 아니라

So in a way, it's not just that OTT and the like are taking audiences away.

산업적인 면에서도 약간 좀 힘들게 만든 부분들이 확실히 있습니다.

There are definitely some parts that were made a bit difficult from an industrial perspective.

그래요.

Okay.

그러면 김상민 대표님께는 이 ott와 영화의 경쟁.

Then, to CEO Kim Sang-min, the competition between OTT and movies.

예술 영화를 주로 상영하는 입장에서는 별개의 문제입니까 아니면 좀 연결되어 있는 문제입니까 어떻습니까?

From the perspective of primarily screening art films, is it a separate issue or is it somewhat connected? What do you think?

영화.

Movie.

영화관을 그러니까 이제 운영하는 방식이 조금 달라진 것 같아요.

It seems that the way theaters operate has changed a bit now.

그전에는 이제 개봉작이나 그 위주로 이렇게 선정해서 프로그래밍을 했다면 ott가 있기 때문에 극장에서만 느낄 수 있는 어떤 경험 이런 거를 계속 만들어내야 되고

Previously, we focused on selecting and programming mainly on theatrical releases, but now, with the existence of OTT, we need to continuously create experiences that can only be felt in theaters.

어떤 배우나 아티스트를 선정해서 그들이 영화를 큐레이션해요.

They select certain actors or artists to curate films.

네.

Yes.

그리고 최근에는 이제 음악가 김옥희 씨가.

And recently, musician Kim Ok-hee.

이제 선정한 영화 중에 레옹도 있었고 그런데 영화를 보러 가는 것도 있지만 그 공간에 가서 사진도 찍고 또 공간에서 영화를 봤을 때 느끼는 어떤 경험은 ott나 tv 화면으로 보는 경험이랑은 다르기 때문에 그게 이제 좀 바뀐 부분이 아닐까 싶습니다.

Now, among the selected movies, there was Léon, and while we're going to watch the movie, it's also about going to that space to take photos, and the experience of watching a movie in that space is different from watching it on OTT or a TV screen, so I think that's a part that has changed a bit.

그런데 노 교수님께 한번 여쭤보고 싶은데 최종 향배는 아직은 미정이지만 지금 나타나는 현상은 영화와 ott가.

However, I would like to ask Professor Noh whether the final direction is still undecided, but the current phenomenon is that movies and OTT are...

경쟁을 하고 있어요.

I'm in competition.

그러니까 영화관 입장에서는 그것 때문에 관객 수가 줄어들어.

So from the theater's perspective, it leads to a decrease in the number of audience members.

그런데 수익을 올려야 운영을 하니까 그러니까 오히려 스크린 독화점은 더 심해질 수밖에 없어.

However, since we need to generate revenue to operate, the situation for single-screen theaters can only get worse.

왜냐하면 매출을 조금이라도 더 올려야 되니까.

Because we need to increase sales even just a little more.

그러면 잘 되는 몇몇 영화 빼고는 다 뒷전으로 밀리면 궁극적으로는 영화 제작 환경이라는 게 더 열악해지는 거 아닙니까?

Then, except for a few successful films, isn't it ultimately true that the film production environment gets worse when everything else is pushed to the back?

이렇게 봐야 되는 거 아닌가요?

Isn't this how it should be viewed?

어떻게 보세요?

What do you think?

네.

Yes.

맞습니다.

That's right.

방금 지적해 주신 상황이 현재 우리나라에서 일어나고 있는 상황이고요.

The situation you just pointed out is currently happening in our country.

네.

Yes.

잠깐 말씀드린 것처럼 범죄도시 4가 가장 많이 틀렸을 때가 최대 상영 점유율이 82%였습니다.

As I mentioned briefly, the maximum box office share for "The Outlaws 4" when it had the most errors was 82%.

그 말은 무슨 말이냐면 하루에 5회차를 상영하는 것을 전국 스크린을 다 계산했을 때 82%를 범죄도시 4만 틀고 있었던 거죠.

What that means is that when you calculate all the screens nationwide showing five screenings a day, 82% of them were playing Crime City 4.

그때 독과점이 그러니까 뉴스도 많이 나왔었었어요.

At that time, there were a lot of news about monopolies.

네.

Yes.

그 말은 나머지 18%에 해당하는 상영회차를 당시에 개봉하고 있던 재개봉을 다 포함해서.

That means including all the re-releases that were being shown at the time for the remaining 18%.

그래서 93편이 나눠가져야 했습니다.

So, the 93rd episode had to be shared.

그러니까 이 93편은 어떻게 해서든 수지 타산이 절대 나올 수 없는 상황인 거죠.

So this 93rd episode is a situation where profit and loss can never be balanced, no matter what.

그렇죠.

That's right.

그래서 이 스크린 독과점의 문제는 기본적으로는 부입부 빈익빈 현상을 가중화해서 극장에서는 대형 상업영화를 보는 거야라는 인식을 관객에게 심어줌으로써

So the issue of this screen monopoly fundamentally exacerbates the rich-get-richer, poor-get-poorer phenomenon, instilling in the audience the perception that they can only watch large commercial films in theaters.

중소형 영화를 관객과 점점 멀어지게 하는.

It distances small to medium-sized films from the audience.

그런 영향이 기본적으로는 있다라고 생각하고요.

I think there is basically such an influence.

두 번째는 그렇게 하다 보니까 이렇게 줄어든 작은 영화를 좋아하는 관객들은 좀 전에 김대표님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극장의 의자 수가 한 30 40개에서 100개 사이 되는 조그만 극장의 팬층은 충분히 채울 수 있습니다.

The second thing is that by doing this, audiences who enjoy smaller films that have been reduced like this can sufficiently fill the fan base of small theaters with about 30 to 40 to 100 seats, as Mr. Kim mentioned earlier.

최근에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의 1995년 유작이기도 하는 희생이라는 영화가.

Recently, there is a film called "The Sacrifice," which is also Andrei Tarkovsky's posthumous work from 1995.

만 3천을 넘어섰어요.

It has exceeded 30,000.

만 3천 명이면 관객 수를 만약에 만 원으로 계산하면 10만 100만 천만 억 1억 3천을 그 영화가 벌어들인 겁니다.

If there are 30,000 people, calculating the audience number at 10,000 won means the movie earned 100 million, 1 billion, 10 billion, and 1.3 billion won.

분명히 손익분기점을 수입 배급사는 넘어섰을 거예요.

The distributor must have clearly surpassed the breakeven point.

그 정도의 관객은 있지만 이 산업 전반을 돌리기에는 정말 미치지 못하는 중소 영화의 흥행 수치가 이 스크린 독과점으로 인해서 저는 우리나라의 자리를.

There are that many viewers, but the box office figures of small and medium-sized films, which are really not enough to support the entire industry, are affected by this screening monopoly, which I believe undermines our country’s position.

자리를 잡았다라고 생각하고요.

I think I've settled in.

아까 정 감독님께서 지적해 주신 것처럼 전 세계에서 거의 100년 넘게 1등 영화산업 국가인 미국에서도 흥행의 탑10 영화 이렇게 계산을 해보면 공개되는 이 티어터 수 극장 수가 4천 개 이쪽 저쪽입니다.

As Director Jung pointed out earlier, in the United States, which has been the number one film industry in the world for nearly 100 years, if we calculate the top 10 box office films, the number of theaters that release them is around 4,000 here and there.

전국에 4만 개 넘는 극장 스크린이 있는데 4천 개 극장에서 튼다라는 것은 아무리 미국에서 전 세계 1등 흥행하는 영화도 30% 이상을 걸지를 않는다라는 거예요.

There are over 40,000 theater screens nationwide, but showing a film in 4,000 theaters means that, no matter how well a movie may perform globally in the U.S., it wouldn't be shown in more than 30%.

못하는 겁니까 안 하는 겁니까

Are you unable to do it or are you choosing not to do it?

안 하는 겁니다.

I'm not doing it.

자발적으로 안 하는 겁니까

Are you not doing it voluntarily?

미국은 영화산업 전반에 법으로 규제하는 게 전무합니다.

The United States has no legal regulations governing the film industry as a whole.

등급 말고는요.

Besides the grade.

등급도 사실은 사설에서 해서 법이라고 할 수는 없고요.

The grading system is actually based on private opinions and cannot be considered law.

그러나 이제 법으로 규제하는 나라가 있긴 있습니다.

However, there are countries that regulate it by law.

프랑스가 대표적인 사례인데.

France is a typical example.

그런데 프랑스는 국가하고 이렇게 서로 이렇게 협의를 맺어서 시행령으로 발표하는 형태로 체인별로 조금씩 다른데요.

However, in France, it is a bit different for each chain, as they establish agreements with the government and announce them in the form of executive orders.

20에서 30% 정도가 특정 영화를 상영할 수 없도록 제한을 하고 있습니다.

About 20 to 30% restricts the screening of certain movies.

그럼에도 불구하고 말씀드린 것처럼 미국은 전 세계 1등 극장산업을 갖고 있고요.

Nevertheless, as I have mentioned, the United States has the number one theater industry in the world.

프랑스는 유럽에서 1등 극장산업을 유지하고 있는 나라입니다.

France is the country that maintains the number one theater industry in Europe.

그러면 전 감독님께 여쭤보고 싶은데 이러면 상황이 제작 현장에서 예를 들어서

Then I would like to ask the director, if this is the case, what the situation would be like on set for example.

영화 제작 편수가 줄어든다든지 제작비가 깎인다든지 이런 현상들이 체감되는 부분이 좀 있습니까 어때요

Have you felt any changes such as a decrease in the number of film productions or a cut in production budgets? What do you think?

네. 코로나 기간 때는 사실은 이제 영화들이 많이 못 만들어졌고

Yes. During the COVID period, in fact, many movies couldn't be made.

그런데 이제 더 중요한 건 지금 코로나 이전에 찍고 코로나 기간에 개봉했어야 될 영화들이 지금 쌓여 있습니다.

However, the more important thing now is that there are movies that should have been filmed before COVID and released during the pandemic that are now piling up.

그때 극장들이 아예 돌아가지 않았기 때문에

At that time, the theaters were not operating at all.

아직도 많이 남았어요.

There is still a lot left.

재고가 남아있는 거죠 많이.

There is a lot of stock remaining.

아직도?

Still?

네. 그래서 아직도 그게 풀리고 있죠.

Yes. So it's still being resolved.

얼마 전에 보스턴 마라톤 하는 송기정 선수와 마라톤 팀의 우리 이야기도 사실은 코로나 이전에 찍은 영화를 이제 개봉했던 건데요.

Not long ago, we released a film about Song Ki-jeong, who participated in the Boston Marathon, and our marathon team, which was actually filmed before COVID-19.

그런 영화들이 이제 많이 좀 어느 정도 소화되고 있지만 아직도 한 몇십 편이 남아있고요.

There are still quite a few dozen films left, although those kinds of movies are now being somewhat digested.

그래서 이제 재고가 쌓여 있어서 그게 이제 계속 풀려나가야지만 또 새로운 작품에 투자될 자금이 거기서 뽑혀야지만 또 돌아가기 때문에 그런 어려움이 좀 있고

So now that there is stock piled up, it needs to be depleted in order for funds to be drawn for new projects, which creates some difficulties.

말씀드렸듯이 지금 되는 영화는 사실은 또 되는 구조가 된 게 만약에 뭐가 될 것 같다 그러면 스크린 독과점이 될 것 같기 때문에

As I mentioned, the movies that are currently successful are actually structured in a way that if something seems like it could succeed, it will likely lead to screen monopolization.

딴 영화들이 아예 개봉 안 합니다. 그때. 피해갑니다.

Other movies don't even get released. At that time, they avoid it.

그래서 어떻게 보면 정말 잘 되는 영화는 더 잘 될 수 있는 구조가 점점 되고 있고

So in a way, it seems that more successful movies are increasingly being structured to become even more successful.

좀 중소규모 영화들은 아예 개봉이 힘들고 또 개봉이 해서 별로 흥행할 가능성이 없다면 그런 중소영화는 이제 아예 투자가 안 되겠죠.

If smaller-scale films are difficult to release at all, and if they have little chance of being successful even if they do get released, then such indie films will no longer receive any investments.

그렇죠.

That's right.

그래서 지금은 굉장히 잘 될 영화와 대작 블록버스터 영화와 굉장히 작은 20억 30억 미만의 작은 영화 이렇게 해도 한 50만 정도에서 손익이 넘을 수 있는 안전한 영화들 그렇게만 되지

So right now, there are very successful films, blockbuster movies, and very small films under 2 to 3 billion won, and if we do this, we can safely make films that can break even at around 500,000 won or so.

한 200만 300만 돼서 본전이 나오는 그런 한 70억에서 100억 사이의 영화들은 지금 제작이 거의 안 되고 있습니다.

Movies that cost around 7 billion to 10 billion won, which would recoup around 2 to 3 million in revenue, are hardly being produced these days.

그렇군요.

I see.

오늘의 주제는 영화가 아니라 영화관이니까.

Today's topic is not the movie but the theater.

영화관 산업에 대해서 한정해서 다시 한 번 질문을 드려보면 제가 젊은 시절에는 아까 얘기했던 대한극장이나 피카드리니 서울구장 이런 게 있어요.

If I could ask again specifically about the movie theater industry, in my younger days, there were places like Daehan Theater and Piccadilly Seoul (Pikadeulini).

그리고 조금 나오면 동시상영관. 제가 참 애용을 했는데 가면 기본 3, 4시간은 때우는 동시상영관이 있었고 좀 더 나가면 그 영화를 뭐라고 표현하니까

And if you go a little further, there's a theater that shows movies simultaneously. I used to go there quite often, and it usually took at least 3 or 4 hours to get through. When you go a bit further, how do you express that movie...

용의 국물 같은 그런 영화들 있잖아요. 이런 거 틀어주는 영화관 또 있었거든요.

There are movies that are like dragon broth, you know? There used to be a movie theater that showed those kinds of films.

그런데 지금 그런 거 많이 사라졌잖아요.

But a lot of those things have disappeared now, right?

네.

Yes.

혹시.

By any chance?

지금의 영화관도 어느 시장 가면 사라지는 건 아닐까 너무 극단적인 질문일까요?

Isn't it too extreme to ask whether today's movie theaters will disappear in some markets?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How do you view it?

전 사라지지 않아야 된다.

I must not disappear.

안아야 된다?

Do we have to hug?

네.

Yes.

안아야 된다라고 생각하고요.

I think we need to hug.

제가 이렇게 짧게나마 짧지는 않네요.

It's not that short, even if I say it briefly.

20년 넘게 영화 관련된 산업과 역사를 연구하면서 영화는 한 편이 만들어질 때 적어도 작게는 1, 2억에서 많게는 수백억.

For over 20 years, while researching the film industry and its history, I found that when a film is made, it costs at least 100 million to 200 million, and sometimes hundreds of billions.

1,000억이 넘는 거대한 자본이 집중된 동네잖아요.

It's a neighborhood where massive capital exceeding 100 billion won is concentrated.

돈이 모이면 모일수록 실은 머리를 많이 쓸 수밖에 없는 곳이죠.

The more money accumulates, the more you inevitably have to think.

그리고 그것의 제1시장인 극장이 이 영화산업 전체가 1시장을 망하도록 남겨두지 않을 거다라는 바람은 개인적으로는 갖고 있고요.

And personally, I hope that the theater, which is the primary market for this, will not allow the entire film industry to be ruined.

전망입니까? 희망입니까?

Is it a prospect? Is it hope?

희망이자 역사로 볼 때는 유지될 거라고 봅니다.

I believe it will be maintained when viewed as both hope and history.

그래요?

Is that so?

물론 규모는 지금.

Of course, the scale is now.

21세기 초반에 이렇게 정점을 찍었던 것에서 약간 내려올 수는 있지만 이것이 아주 작게 반토막, 3분의 1토막 날 거라고는 생각하지 않고요.

While it may decline a bit from the peak reached in the early 21st century, I don't believe it will drop to half or a third of that level.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산업에서 영화관이 가장 중요한 이유 중에 하나는 여러 비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익을 가장 투명하게 나누는 시장이라는 겁니다.

Nevertheless, one of the reasons why cinemas are the most important in the film industry is that it is the market that shares profits most transparently, despite various criticisms.

그래요?

Is that so?

네.

Yes.

OTT는 오징어게임이 전 세계 역사에서 볼 때 가장 많이.

OTT is the most viewed in world history with Squid Game.

가장 많이 본 시리즈 물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 1등으로 수익을 감독님도 배우도 거두어가지 못했습니다.

Despite being the most-watched series, neither the director nor the actors were able to earn the top profits worldwide.

그런데 만약에 그게 영화였다면 영화였다면 1등으로 돈이 많이 번 영화인들이 되었겠죠.

However, if that were a movie, it would have become the highest-grossing film.

그래서 영화관은 영화관에서 들어오는 수익을 배급사, 제작사 그리고 영화관 그리고 거기에 또 인센티브라는 형태로 나눠가는 여러 창작자들까지 비교적 공정하게 그리고 투명하게 나눠서.

So, the cinema divides the revenue coming in from movie screenings relatively fairly and transparently among the distributors, production companies, the cinema itself, and various creators in the form of incentives.

나눠가는 형태입니다.

It is a form of sharing.

그러나 OTT 같은 경우는 월정액으로 10편을 보든 1편을 보든 똑같은 값을 걷어들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돈을 많이 본다고 많이 가져갈 수 있는 구조가 기본적으로는 아니고요.

However, in the case of OTT, the subscription fee is the same whether you watch 10 episodes or just 1 episode, so it is fundamentally not a structure where you can earn more money just by having more views.

10% 정도 받고 파는 거죠.

It's about a 10% markup.

그냥 파는 거죠.

It's just for sale.

판매하는 거죠.

It's for sale.

넷플릭스든 디즈니든 한 10% 정도의 피라고 하죠.

They say it's about 10% of the fee for either Netflix or Disney.

그걸 받고 그냥 파는 거기 때문에 아무리 대박이 나도 창작자한테 돌아오는 건 없어요.

Since they just buy it and sell it, no matter how successful it becomes, nothing goes back to the creator.

그리고 오리지널 시리즈나 오리지널 영화 같은 경우도 실은 한국의 꼭 사례는 아니고 유럽 일부 국가는 이렇게 나눠 갖는 형태가 있긴 합니다만 전반적으로 거의 모든 수익은 넷플릭스가 독식하는 형태가 되거든요.

In the case of original series or original movies, it's not exclusively a Korean example; some European countries also have this kind of division. However, overall, almost all the profits are monopolized by Netflix.

그리고 넷플릭스의 판매에 성공한 이들만 그것을 배급하는 배급사만 돈을 버는 형태여서 한국 영화산업 전반이 이끌어가고 그리고 영화인들 모두가 영화하는 재미와 돈 버는 재미를.

And only those who have succeeded in selling to Netflix, along with the distributors, make money, so the entire Korean film industry is driven by this, allowing filmmakers to enjoy both the fun of making films and the enjoyment of making money.

누리려면 실은 영화관 시장이 살아 있어야 되는 겁니다.

In order to enjoy it, the movie theater market actually needs to be alive.

김 대표님은 어떻게 전망하세요 저도 동의하고요.

How do you see it, Representative Kim? I agree as well.

저도 영화관이 사라지지는 않을 거라고 생각하고 영화관이 운영되는 방식이나 방향이나 이런 게 좀 달라질 수는 있더라도 영화관 자체 갖고 있는 영화적 경험을 선사한다라는 그거는 변함이 없을 거기 때문에 계속 유지될 거라고.

I also believe that movie theaters will not disappear, and while the way they operate or their direction may change, the cinematic experience that theaters provide will remain unchanged, so I think they will continue to be sustained.

그러니까요.

That's right.

거기서 이게 있는 것들은 제가 누구한테 그 얘기를 했는데 tv가 있잖아요 집에 tv는 보통 거실에 설치를 해놓고 그래서 집에 tv는 되게 중립적인 매체다.

I talked to someone about what is there; there is a TV, right? Usually, the TV at home is installed in the living room, so the TV at home is a very neutral medium.

왜냐하면 온 가족이 같이 봐야 되는 것이기 때문에 되게 중립적인 좀 센 것도 못 들고 야한 것도 못 들고 그런데 이제는 모바일 시대가 되다 보니까 이제는 온 가족이 공유하는 미디어 기기로서 tv가 의미가 없어졌다라는 이야기를 많이 하더라고요.

Because the whole family has to watch it together, we can't have anything too neutral or too intense, and we can't have anything inappropriate. However, now that we are in the mobile era, many people say that TV has lost its significance as a media device shared by the whole family.

그런데 그게 지금 모바일화가 일반화죠.

By the way, that's now becoming common in mobile usage.

경향이라면 영화라고 예외가 될 수 있겠는가라는 얘기도 사실은 가설은 성립이 되는 거잖아요.

If we talk about trends, can films be an exception? That's actually a hypothesis that can be established, right?

어떻게 보세요

What do you think?

맞습니다.

That's right.

사실은 지금 극장만의 위기가 아니라 tv라는 전통 매체도 똑같이 위기입니다.

The truth is that it's not only a crisis for theaters right now, but traditional media like TV is also facing the same crisis.

요즘 tv 드라마를 본방사수한 사람들보다는 다 모바일이나 이런 데로 다시 보거든요.

These days, rather than people who watch TV dramas live, most just rewatch them on mobile or platforms like that.

그래서 결국 지금의 극장의 위기는 단순히 코로나가 그걸 가속화시킨 거지 이미 시작되고 있었고요.

So ultimately, the current crisis of theaters was simply accelerated by COVID-19; it had already begun.

실제로 정리하면 결국 플랫폼 비즈니스가 전반적인 사회를 다 지금 바꾸고 있거든요.

In fact, to summarize, platform businesses are changing the overall society.

지금 극장만이 아니라 지금 백화점들이나 이런 곳들도 다 그런 온라인 이커머스 때문에 다 굉장히 휘청거리고 있잖아요.

It's not just theaters; now even department stores and places like that are struggling because of online e-commerce.

다 홈쇼핑으로 이렇게 다 사기 때문에.

I buy everything like this through home shopping.

심지어 음식점들도 다 요즘은 다 배달음식 플랫폼으로 시켜 먹기 때문에 굉장히 많이 힘듭니다.

Even restaurants these days are mostly struggling because everyone orders through delivery platforms.

즉 이렇게 개인이 모든 걸 구입할 수 있고 또 배달시킬 수 있고 심지어 영화도 집에서 다 혼자서 핸드폰 스마트폰 안에서 할 수 있는 이 시대의 플랫폼 비즈니스가 모든 기존 레가시 전통사업을 다 바꾸고 있기 때문에

In this era, where individuals can purchase everything, have it delivered, and even enjoy movies alone at home on their smartphones, the platform business is transforming all existing legacy traditional businesses.

그 안에서 영화관도 영화 산업도 영향을 받고 어떻게 보면 힘든 상황인데 그걸 막을 수는 없을 것 같아요.

Within that, both cinemas and the film industry are affected, and in a way, it's a difficult situation, but I don't think we can stop it.

막을 수는 없고.

We can't stop it.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배달을.

But despite that, we are delivering.

배달을 안 시켜 먹고 음식점 가서 먹는 이유는 있지 않습니까?

Isn't there a reason why you don't order delivery and instead go to a restaurant to eat?

또 그 맛의 어떤 그 나름의 정치도 있고.

There is also a certain politics of that taste in its own way.

다른 사람과 먹고 싶고.

I want to eat with someone else.

분위기도 있고.

There is also an atmosphere.

얘기하고 싶고 또 극장 가서 우리가 데이트를 할 때 사실 처음으로 손을 잡을 수도 있고 그 안에서 또 우리 아버님 어머님과 볼 수 있는 공유하는 경험.

I want to talk, and when we go to the theater for our date, we might actually hold hands for the first time, and it will be a shared experience where we can also see our parents.

이런 건 사실 또 이런 플랫폼 비즈니스가 줄 수 없거든요.

This kind of thing is actually something that this type of platform business cannot provide.

그렇죠. 그렇죠.

That's right. That's right.

우리가 사실 책방이 망한다고 옛날에 전자북 나왔을 때 모든 서점 없어진다고 했잖아요.

When e-books came out a long time ago, we were told that all bookstores would disappear because bookstores would go bankrupt.

하지만 아직도 대형 서점들 물론 동네 서점 많이 없어졌죠.

However, many large bookstores and neighborhood bookstores have still disappeared.

그렇지만 대형 서점들은 또 굉장히 잘 되고 있듯이 이 안에서 어떤 균형점을 맞춰 나가는 순간이 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However, I think there will come a moment when large bookstores will find a balance within this, as they are doing quite well.

그러니까 아까 얘기했던 영화관 안에서 연인석이라든지 무슨석 무슨석이 없고 차등화되는 것 자체가 하나의 어떤 개인화 경향을 부분적으로 수용한 어떤 형태 이렇게도 해석할 수 있겠네요.

So, what we talked about earlier regarding the absence of couple seats or any specific seating types in theaters can also be interpreted as a form that partially embraces a trend toward individualization.

그렇게 놓고 본다면.

If we look at it that way.

그런데 저는 그런 측면에서 그게 영화관의 성격에 맞지 않는다라고 생각하는 겁니다.

However, I believe that in that aspect, it does not fit the nature of a movie theater.

오히려.

Rather.

방금 정 감독님께서 말씀해 주신 음식점은 제가 처음 들어본 사례인데요.

The restaurant that Director Jung just mentioned is something I heard for the first time.

저는 보통 이제 공연이나 스포츠하고 연결을 하거든요.

I usually connect it to performances or sports now.

우리가 축구나 야구를 tv로도 충분히 모바일로도 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굳이 현장을 찾아가서 승패와 상관없이 소리 지르면서 보는 것은 그 분위기를 함께 누리기 위해서잖아요.

Even though we can watch soccer or baseball on TV or through mobile devices, going to the stadium and cheering regardless of the outcome is all about enjoying the atmosphere together.

극장도 비슷한 공간이라고 생각합니다.

I think a theater is a similar space.

코미디 영화는 같이 웃으면서 공포 영화는 같이 소리 지르면서 옆 사람은 이 장면에서 웃고 이 장면에서 놀라는구나라고 하면서 서로 공감하는.

In a comedy movie, we laugh together, while in a horror movie, we scream together, feeling empathy for each other as someone laughs at this scene and gets scared at that scene.

곳이 영화관이라고 생각할 때 특별 자석이 비싸지면 저 사람은 나와 다른 사람이 되어서 서로 공감하는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는 걱정이 드는 거예요.

When I think of a place as a movie theater, I worry that if the special seats are expensive, that person can become someone different from me, leading to a different way of empathizing with each other.

물론 공연에서는 그렇게 가격 차등화를 합니다.

Of course, price differentiation is done in performances.

그런데 공연은 아시겠지만 레베카라는 유명한 뮤지컬이 우리나라 최초로 10년 만에 100만을 돌파했습니다.

However, as you may know, the famous musical "Rebecca" has surpassed one million tickets sold in our country for the first time in ten years.

천만이 아니고요.

It's not ten million.

그런데 영화는 2, 3개월 40몇일 20몇일 만에 천만을 넘었습니다.

However, the movie exceeded 10 million in just 2 to 3 months and a little over 20 days.

그런데 영화는 2, 3개월 40몇일 20몇일 만에 천만을 넘을 수 있는 대중 장르잖아요.

However, movies are a popular genre that can surpass 10 million views in just 2 or 3 months or 20 or so days.

그런 것을 고려한다면 영화 티켓값은 비싸지 않아야 되고 그리고 저렴하게 누구나 함께 가도 부담이 없을 기회를 또는 방법론을 제시하는 게 저는 맞다라고 생각합니다.

Considering such factors, I believe that movie ticket prices should not be expensive, and it is right to suggest opportunities or methods that allow anyone to go together affordably without burden.

그 말씀은 듣지 않고 영화 서편자가 100만 넘었다고 난리가 난 적이 있었는데.

I remember a time when there was a commotion about the movie's box office surpassing one million, without hearing that remark.

그거는 정말 대단한 거죠.

That's really amazing.

그때 난리 났었어요.

It was a mess back then.

1개관에서 거의 1년 동안 틀어서 100만이 된 것이기 때문에 대단한 거죠.

It's amazing that it took almost a year in one venue to reach one million.

그러니까 좀 하면 천만 원 나오니까 또 세상이 어떻게 바뀔지 누구도 모르는 거잖아요.

So if you work a bit, you can earn ten million won, and no one knows how the world might change.

저는 그런데 극장 수가 좀 줄게 될 텐데요.

However, the number of theaters is likely to decrease.

그거는 지금 이미 올해 제천영화제라고 제천음악영화제가 있었습니다.

That has already taken place this year as the Jecheon Film Festival and the Jecheon Music Film Festival.

얼마 전에.

A little while ago.

그런데 되게 참 슬픈 게 제천시의 극장이 다 없어졌어요.

However, it's really sad that all the theaters in Jecheon City have disappeared.

메가박스나 시집 이런.

Mega Box or a poetry collection, something like that.

다 없어졌어요?

Has everything disappeared?

이제 관객이 안 드니까 그냥 다 없애버렸어요.

Now that the audience isn't coming, I just got rid of everything.

그래서 이 영화.

So this movie.

그 영화제를 어디서 합니까?

Where is that film festival held?

그래서 무슨 시민 어떤 학교 강당이나 이런 어떤 홀 같은 데를 빌려서 음악영화제를 하게 된 거예요.

So we're holding a music film festival by renting out some citizen schools or auditoriums and similar venues.

그러니까 사실 영화제가 제대로 진행되기는 좀 힘들었죠.

So, it was actually quite difficult for the film festival to proceed properly.

그런 것처럼 극장이 장사 안 되는 극장은 지금 많이 정리가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고.

Just like that, theaters that aren't doing business are inevitably being reorganized now.

그런데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However, I think this way.

사실 지금 극장이 우리가 한 2,700개까지 늘어났었고 거의 3,000개 가다가 줄게 되는 건데.

In fact, the number of theaters has increased to about 2,700 now, and it was about to reach nearly 3,000, but it's going to decrease.

저희가 이제 마라톤이라는 영화 개봉할 때 그때 극장 수는 지금의 절반 정도밖에 안 됐어요.

When we released the movie "Marathon," there were only about half as many theaters as there are now.

한 1,400개.

About 1,400.

그리고 저희가 개봉했을 때 개봉관 수가 한 400개 정도 됐습니다.

And when we released it, there were about 400 screening locations.

지금 1,000개 기본인데 400개면 굉장히 적은 숫자죠.

Right now, it's 1,000 as a base, so 400 is a very small number.

그럼에도 불구하고 500만 이렇게 되고 또 심지어 그때 1,000만 영화들도 다 400개 정도에서 개봉했습니다.

Nevertheless, 5 million like this, and even at that time, movies with 10 million also opened at around 400.

그때 왕의 남자라든지 태극기 휘날리며 이런 것들도 거의 그 정도 선에서 분명히.

At that time, films like "The King's Man" and "Taegukgi: The Brotherhood of War" were definitely at that level.

1,000만.

10 million.

1,000만 영화들도 나왔고 대신에 기간이 좀 2, 3주 안에 1,000만이냐 한 두세 달에 1,000만이냐의 기간이 좀 차이가 날 뿐이지만

There have been movies that reached 10 million, but the only difference is that the timeframe for reaching 10 million is a bit different, whether it’s in 2 to 3 weeks or in two to three months.

볼 영화를 관객들이 못 보게 되는 경우는 앞으로 없을 것 같고요.

I don't think there will be cases in the future where audiences won't be able to see the movies they want to watch.

그리고 저는 극장 개봉관 수보다 더 중요한 건 좌석 점유율입니다.

What matters more than the number of movie theaters is the seat occupancy rate.

좌석 1,100개의 극장 의자가 있다면 과연 30명이 찾느냐 50명이 찾느냐 이게 되게 중요한 건데

If there are 1,100 seats in the theater, it is very important whether 30 people come or 50 people come.

그거는 사실 극장 수가 줄어들어도.

That’s true even if the number of theaters decreases.

별 상관이 없거든요.

It doesn't really matter.

사실 영화관 하면 이것저것 다 떠나서 영화관이 결코 사라지기 힘든 가장 중요한 이유는 그게 추억의 공간이기 때문 아닌가요?

In fact, the most important reason why movie theaters are unlikely to disappear, regardless of anything else, is because they are a space of memories, isn't it?

그렇죠.

That's right.

누구에게나 영화관은 사연이나 추억은 하나씩 다 있는 거 아닌가요?

Isn't it true that everyone has their own stories or memories related to the cinema?

제가 얼마 전에 되게 참 뭉클한 얘기 들었는데 자꾸 제 영화에서 죄송하지만 이분이 자기 아버지가 돌아가셨는데 아버지랑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본 영화가 제 영화였다 이렇게 얘기를 하면서 되게 고마웠다는 얘기를 하시더라고요.

I heard a very touching story not long ago. This person said, "I'm sorry to keep bringing up my movie, but my father passed away, and the first and last movie we watched together was your film." They expressed their deep gratitude for that.

그러니까요.

That's right.

그래서 그런 뭔가 이런 감성과 또 레트로 이런 부분이 있어서 계속 유지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I believe that the sense of emotion and retro aspects will continue to be maintained.

그렇죠.

That's right.

김 대표님도 같은 생각이시고.

CEO Kim shares the same thought.

그리고 영화관은 가급적 영화관에서 봐야 한다라는 주의가 있는데 감독님들이 영화를 만들 때 ott 화면과 lr로 소리가 나오는 걸 예상하고 편집하거나 연출하지 않으실 거란 말이죠.

And there is a belief that movies should ideally be watched in theaters, but directors likely don’t edit or direct the film with the assumption that it will be viewed on an OTT screen with stereo sound.

그걸 극장에서 이렇게 처음 경험하고 보고 감독님이 의도한 대로 처음으로 딱 흡수하는 게 그게 또 영화관이 갖고 있는 중요한 장점인 것 같습니다.

Experiencing that for the first time in a theater and absorbing it exactly as the director intended seems to be an important advantage of theaters.

마지막으로 노 교수님께 미래의 영화관의 모습은 어떤 모습일지 한번 그려주신다면 어떻게 그려주실 수 있을까요?

Lastly, Professor No, if you could paint a picture of what the future movie theater might look like, how would you describe it?

네.

Yes.

영화관은 실은 류메르 형제가 1895년에 파리시 중심에 있는 갭슨제로 14번지에.

The cinema is actually located at 14 Gaumont Street in the center of Paris, established by the Lumière brothers in 1895.

그랑캐페 지하 1층에서 살롱당 대형에서 영화를 처음에 1프랑식 받고 영화를 틀었어요.

They started the movie at the Grand Café on the basement floor, charging 1 franc per entry.

그리고 당시에 만든 최초의 영화 포스터를 보면 말 그대로 남녀 노소가 보면서 놀래는 장면으로 첫 번째 포스터가 그려져 있거든요.

And if you look at the first movie poster created at that time, it depicts a scene where people of all ages are surprised while watching, literally.

그 성격은 그로부터 벌써 120년 30년 지난 지금까지도 여전하다라고 생각합니다.

I believe that personality remains the same even after 120 or 130 years since then.

그래서 이미 말씀하신 것처럼.

So, as you already mentioned.

극장에서 영화를 본다라는 것은 영화의 내용만을 즐기는 것이 아니라 그 극장에서 가까운 나의 지인 그리고 전혀 모르는 타인과 함께 과거에는 이렇게 제의하고 비슷하다 제사드리는 것과 비슷하다라는 표현도 했듯이 우리가 영화 한 곳을 바라보며 세상의 모든 것 잊어버리고 전화도 받으면 안 되고 카톡도 대답하면 안 되는 그런 영화에만 집중하면서 서로 공감하는 공간으로서

Watching a movie in a theater is not just about enjoying the content of the film, but also about sharing that experience with acquaintances nearby and total strangers. Just as it has been expressed that it is similar to past rituals and offerings, we focus on one place—the movie—forgetting everything in the world, not answering phones, and not responding to messages, creating a space of mutual understanding.

네.

Yes.

고요하게 어두운 곳에서 머물 수 있는 장소는 앞으로도 영화관밖에 없을 거다라고 생각하고요.

I believe that the only place where one can stay quietly in the dark will continue to be the movie theater.

그런 의미에서 영화관은 앞으로도 다양한 방식으로 살 길을 찾아가고 또 결코 줄어들지 않는 산업의 규모를 유지하면서 똑똑하게 살아남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In that sense, I believe that movie theaters will continue to find ways to survive in various ways and will smartly endure while maintaining a scale of the industry that will never decline.

말씀 듣다 보니까 영화관이라고 하는 공간적 특성이 하나가 뭐냐면 같이 영화를 보는 사람들이 같은 시간에 같은 정서를 공유한다는 게 있잖아요.

Listening to you, one o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a cinema is that people watching the movie share the same emotions at the same time.

네.

Yes.

영화관이라고 같이 눈물 흘리고 한다는 거.

It means that we cry together in the movie theater.

이게 되게 귀중한 경우잖아요.

This is a very precious case.

그것이 영화관만이 줄 수 있는 공간적 특성 아니겠습니까?

Isn't that a spatial characteristic that only a cinema can provide?

그렇죠.

That's right.

아직 내가 제대로 살고 있구나 그런 거를 또 같이 공감할 수 있는 능력이 있구나 이런 걸 확인하는 어떤 위안감을 줄 수 있고 그런 뭔가 파편화된 개인으로 사는 게 힘들 때

It gives me a reassuring sense that I'm still living properly and that I have the ability to empathize with such things, especially when it's hard to live as a fragmented individual.

그렇죠.

That's right.

그쪽에서 뭔가 무의식적으로 뭔가 좀 같이 살아가는 세상이구나 그런 걸 좀 확인받는 공간인 것 같습니다.

It seems to be a space where one can confirm that we are unconsciously living together in this world.

그러니까요.

Exactly.

그런 점에서 영화관은 결코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In that sense, movie theaters will never disappear.

이걸 오늘의 결론으로 내려면 되겠네요.

I guess we can conclude today with this.

알겠습니다.

I understand.

오늘 세 분과 함께한 영화관의 이야기는 좀 이렇게 마무리해야 될 것 같습니다.

I think we should conclude today's story about the movie theater with the three of you like this.

오늘 고맙습니다.

Thank you for today.

감사합니다.

Thank you.

네.

Yes.

추석 특집으로 꾸며 드린 김종배의 시선집중.

Kim Jong-bae's Focus, decorated for the Chuseok Special.

오늘은 한국 영화관에 대해서 좀 이야기를 나눠봤는데요.

Today, we talked a bit about Korean cinemas.

이렇게 마무리하고 저는 물러나가겠습니다.

I will conclude like this and take my leave.

우리 애청자 여러분 알찬 추석 연휴 계속 보내시기 바라고요.

I hope our dear listeners continue to have a fulfilling Chuseok holiday.

저는 내일 다시 인사드리겠습니다.

I will greet you again tomorrow.

고맙습니다.

Thank you.

Continue listening and achieve fluency faster with podcasts and the latest language learning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