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전화로 본 북한 명품 소비 심리

RFA

계획경제와 시장경제

휴대전화로 본 북한 명품 소비 심리

계획경제와 시장경제

지금까지 정치팀의 김지경 기자였습니다.

This has been reporter Kim Ji-gyeong from the political team.

네, 안녕하세요.

Yes, hello.

북한의 휴대전화가 널리 보급되어 많은 삶의 부분을 변화시켰다.

North Korea's mobile phones have become widely distributed, changing many aspects of life.

그런 사실은 외부 사회에서도 상당히 주목하고 있는데요.

Such facts are receiving considerable attention from the outside society as well.

어떤 부분에서 주목을 해볼 수 있겠습니까?

What aspects can we pay attention to?

북한의 시장화가 진전이 되고 스마트폰, 고가의 휴대폰이 보급이 되면서

As North Korea's marketization progresses and smartphones and expensive mobile phones become more widespread,

북한에서도 우리가 경제학에서 말하는 배불런 효과와 유사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죠.

A phenomenon similar to the Balassa-Samuelson effect we talk about in economics is also occurring in North Korea.

그런 생각을 해보게 됩니다.

I find myself thinking about that.

방금 말씀하신 배불런 효과, 이것은 무엇입니까?

What is the "Baebulrun effect" that you just mentioned?

네, 이 배불런 효과는 미국의 사회학자이자 사회평론가인 그리고 경제학자이기도 하죠.

Yes, this "baby boom" effect is associated with an American sociologist, social critic, and economist as well.

이 배불런이 상률 계급에 두드러진 소비가 사회적 기위를 가시하기에 자각 없이 행해진다라는 말에서 유래되었는데요.

This phrase originated from the idea that the conspicuous consumption of the upper class is carried out unconsciously to demonstrate social status.

가격이 오르는데도 특정 계층의 허용심 또는 과시욕으로 인해서

Even with prices rising, due to the tolerance or show-off desire of certain classes.

수요가 줄지 않습니다.

Demand is not decreasing.

그리고 오히려 증가하는 현상을 가리킵니다.

And it refers to a phenomenon that is rather increasing.

이것은 우리도 볼 수 있는데 명품, 사제품 시장에서 존재하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죠.

This is something we can also see, and it can be described as a phenomenon existing in the luxury and private brand markets.

북한에서 우식주는 여전히 극복하기 힘든 문제인데요.

In North Korea, food shortages remain a difficult problem to overcome.

그런 가운데서도 과시 소비를 위한 계층이 싹트기 참 어려운 환경입니다.

Amidst that, it is a very difficult environment for a class that engages in conspicuous consumption to take root.

그런데 휴대전화가 과시 소비 전용으로 나타나고 있다.

However, mobile phones are emerging as a status symbol for consumption.

어떤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까?

What phenomenon is occurring?

네, 북한에서 휴대전화는 2명 중 3명입니다.

Yes, in North Korea, 3 out of 2 people have a mobile phone.

2명 중 3명꼴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Two out of three people have it.

첫 번째 이탈 주민에 대한 조사를 해보면

If we examine the investigation of the first defector...

휴대전화의 가격은 북한에서 최소 한 대에 아무리 싸도 150달러

The price of a mobile phone in North Korea is at least 150 dollars, no matter how cheap, for one unit.

그리고 최대한 700달러가 넘었습니다.

And it has exceeded 700 dollars as much as possible.

그뿐만 아니라 영화나 게임 등 이런 컨텐츠를 구입하기 위해서도

Not only that, but also to purchase content such as movies or games.

한 건당 0.5달러에서 1달러 그 이상을 지출하는 사례도 생겨났는데요.

There have been cases where spending exceeds 0.5 to 1 dollar per transaction.

이것은 북한 주민 3명당 연간 실질 소득이 약 1,300달러 수준을 감안하면

Considering that the annual real income per three North Korean residents is around $1,300,

굉장히 과도한 소비라고 할 수 있습니다.

It can be said that it is an extremely excessive consumption.

휴대전화의 기기 그리고 관련된 부대 비용이 상당히 고가이기 때문이죠.

This is because the devices and related accessory costs of mobile phones are quite expensive.

따라서 이와 관련된 소비가 자제되어야 하지만

Therefore, consumption related to this should be restrained.

북한의 고급 휴대전화는 오히려 증가 조세에 있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It can be said that the high-end mobile phones in North Korea have actually been subject to an increase in taxes.

네, 북한 주민들이 직접...

Yes, North Korean residents directly...

공장에 나가서 받는 월급이 5천 원 정도 된다고 들었는데요.

I heard that the salary you receive at the factory is around 5,000 won.

그러면 달러로 환산하면 1달러 미만인데

Then, when converted to dollars, it's less than 1 dollar.

그러면 스마트폰으로 게임 하나 내리 족제 받는데 1달러를 쓴다고요?

So you're saying you spend $1 to download a game on your smartphone?

그게 좀 과소비가 아닙니까?

Isn't that a bit of overconsumption?

물론 북한 주민들이 휴대전화를 구입하는 목적을 조사를 해보면

Of course, if we investigate the reasons why North Korean residents purchase mobile phones,

왜 고가 휴대전화를 구입할 수밖에 없었어요? 라고 물어보면

"When asked why you had no choice but to buy an expensive mobile phone?"

초기에는 장사 목적과 관련된...

In the beginning, relating to the purpose of business...

왜냐하면 아시다시피 현재 북한도 장사를 하기 위해서는 휴대전화가 필수겠죠.

Because as you know, having a mobile phone is essential for doing business even in North Korea.

가격, 환율 정보, 운송, 운반 이런 것들 다 휴대전화가 필요하니까요.

You need a mobile phone for things like prices, exchange rate information, transportation, and carrying.

그렇지만 휴대전화를 하면 또 기기를 변경을 하더라고요.

However, when using a mobile phone, they tend to change devices.

그래서 왜 기기를 또 변경을 해요? 라고 심층적을 조사를 해보면

So why do you change the device again? If you conduct a thorough investigation...

우리가 생각하기에는 고장이나 분실...

We think it might be due to damage or loss...

고장이나 분실이 되었기 때문에 휴대전화를 변경하나 보다라고 했는데

I said that I might be changing my mobile phone because it was broken or lost.

의외로 전혀 고장이 나지 않아도 기능 향상을 위해서 변경하기보다는

Surprisingly, rather than changing it for functional improvements even though it isn't broken at all,

과시용으로 최신폰을 구입하는 사례가 오히려 더 많더라고요.

It seems that there are actually more cases of people buying the latest phones for showing off.

특히 이러한 소비 경향은 특히 젊은 층과 남성들에게 더 두드러졌습니다.

This consumption trend, in particular, has been more noticeable among the younger population and men.

그렇군요. 예를 들어서 사례를 좀 들어주시겠습니까?

I see. Could you provide some examples, please?

네. 예를 들면 북한에서는...

Yes. For example, in North Korea...

부인들이 장사를 하니까 경제적 능력을 갖게 되겠죠.

As the wives engage in business, they will gain economic independence.

그런데 부인들은 남편들에게 비싼 휴대전화를 사줍니다.

However, wives buy expensive mobile phones for their husbands.

남편들은 휴대전화를 사는데 어떻게 재원을 마련했어요? 라고 물어보면

When husbands are asked, "How did you secure the funds to buy a mobile phone?"

부인이 사줬다고 하거든요.

I heard that your wife bought it for you.

부인들이 대체로 남편들에게는 자신보다 더 비싼 휴대전화를 사주는데

Women generally buy more expensive cell phones for their husbands than for themselves.

이것은 장사를 위해서가 아니라 남편의 사회적 체명을 위해서라고 답한 비중이 굉장히 높습니다.

The proportion of those who replied that this is not for business but for the husband’s social status is very high.

처음에는 휴대전화가 돈을 벌기 위한 목적으로 장만을 했는데

At first, I got a mobile phone for the purpose of making money.

그러니까 경제활동에 쓰이기 위해서

So, in order to be used for economic activities.

그리고 나중에는 고가 휴대폰이 자꾸 나오면서 신분과시용의 재화로 경직이 되는 거죠.

And later, with the constant emergence of expensive mobile phones, it becomes rigid as a commodity for showing off status.

북한에서도 이런 현상은 일부 확률층을 중심으로 시작이 되었다가

In North Korea, this phenomenon started primarily among certain probability strata.

이제는 일반 주민들에게까지도 확대되어 가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A phenomenon is now emerging that is expanding even to ordinary residents.

이른바 이거는 성분효과다 라고도 할 수 있겠죠.

This can be referred to as the effect of ingredients.

네, 방금 말씀하신 속물효과라고 하면

Yes, when you mentioned the status effect just now,

속물 하면 좀 비화되는 느낌이거든요.

When it comes to superficiality, it feels a bit like a backstory.

그래서 속물효과에 대한 의미가 어떤 것인지 좀 설명을 해주시겠습니까?

Could you please explain what the term "snob effect" means?

이것은 일명 스노프효과라고도 부르는데

This is also known as the snope effect.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과 차이를 두려고 비싼 물건이라도 구매해서 쓰는 현상을 말합니다.

It refers to the phenomenon where a person purchases and uses expensive items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others.

이와 비슷한 말로 백로효과다 라는 말도 있는데

There is a similar term called the "Egret Effect."

어떤 사람이 잘난 척하면서

A person is showing off.

일부러 비싼 상품을 구매해 쓰는데

I intentionally buy and use expensive products.

그 상품에 많은 사람이 몰리면 희소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Because if many people flock to that product, its scarcity may decrease.

차별화에 의해도 다른 고가의 상품을 구매하려는 그런 현상을 말합니다.

It refers to the phenomenon of wanting to purchase other high-priced products due to differentiation.

네, 북한으로 말하면 대세처럼 논다 그런 제 말이 있는데

Yes, when it comes to North Korea, I would say it feels like it has become the trend.

비싼 거는 나만 쓴다.

I alone use the expensive things.

이런 심리적인 욕구가 작용하는 것 같아요.

It seems that such psychological desires are at play.

사람마다 자기 자신의 경제적인 환경에 맞는 그런 소비를 해야 되는데

Everyone should consume in a way that suits their own economic circumstances.

북한에서도 과소비를 해야 되는데

Even in North Korea, there should be overconsumption.

그래서 그 과소비가 또 다른 사람의 과소비를 부르는

So that excessive consumption leads to another person's excessive consumption.

그런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 같습니다.

It seems that such a phenomenon is occurring.

네, 고가의 소비가 제한된 북한 사회에서 스마트폰은 굉장히 고가잖아요.

Yes, smartphones are very expensive in North Korea, where high-priced consumption is limited.

그래서 이 자체가 신분과 권력의 상징이 되고 있습니다.

So this itself has become a symbol of status and power.

다시 말하면 북한에서도 보유층과 권력층은 과시용으로 고가의 휴대전화를 사용을 합니다.

In other words, even in North Korea, the elite and those in power use expensive mobile phones for show.

이에 비해서 일반 주민들 입장에서도

In contrast, from the perspective of ordinary residents,

고가의 휴대폰은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게 하는 소비 문화의 대상이 되고 있다고 할 수 있죠.

Expensive smartphones can be seen as objects of a consumer culture that fosters a sense of relative deprivation.

네, 일상생활에서는 이런 현상들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습니까?

Yes, how do these phenomena manifest in everyday life?

네, 북한 이탈 주민 인터뷰를 해보면

Yes, if we conduct interviews with North Korean defectors...

고가의 휴대전화가 크게 필요 없음에도 불구하고

Despite not needing an expensive mobile phone very much,

타인과의 관계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 구입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There are many cases where people purchase things in order to not fall behind in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s.

특히 이것은 젊은 층, 남성에게서 두드려졌습니다.

This was especially pronounced among young people, particularly men.

그래서 예를 들면 전화가 있어야지

So, for example, you need to have a phone.

북한도 책도 보고 사진도 찍고 통화도 하고 연애도 하고 또 앱북 할 수 있고

North Korea can also read books, take photos, make calls, be in relationships, and use app books.

그래서 이런 휴대전화, 스마트폰이 없으면 마치 뭔가 가난한 느낌? 없는 느낌?

So without these mobile phones and smartphones, it feels like something is lacking? Like being poor?

이런 느낌이 든다고 합니다.

They say it feels like this.

그런데 이제 북한에서는 솔직히 인터넷도 안 되니까

But now in North Korea, honestly, there is no internet.

굳이 휴대전화를 꺼내서 할 일이 뭐가 있겠나라고 할 수 있지만

You might say there's no need to take out your phone to do anything.

그럼에도 불구하고 게임 이런 것들을 하면서

Nevertheless, while playing games like this...

상쾌하지 않기 위해서 또 휴대전화를 구입을 한다고 합니다.

They say they are buying another mobile phone to avoid feeling refreshed.

그래서 이제 북한 친구들도 이제는 젊은 친구들도 만나는 이야기가

So now, the young friends from North Korea are also starting to meet and talk.

나 어떤 오피카라서 이걸 봤어? 이런 것들이 화제가 되고 있고요.

What kind of office girl am I to have seen this? These things are becoming a hot topic.

그래서 이것을 통해서 새로운 트렌드가 북한에서도 싹트고 있다.

So through this, a new trend is sprouting in North Korea as well.

이런 것들을 또 짚어볼 수 있습니다.

We can also examine these things.

옛날에는 이제 조비식, 막대기폰이었는데

In the old days, it was just a job-style, stick phone.

지금은 스마트폰이 나오면서 이제

Now that smartphones have come out, now...

화면도 잘 돌아가고 용화도 볼 수 있고 하니까

The screen is working well, and I can also see Yonghwa, so...

그것이 곧 사치품, 명품의 가치를 대신하고 있다.

It soon replaces the value of luxury goods and high-end brands.

그렇게 볼 수 있겠군요.

I see what you mean.

이런 변화가 북한에 주는 시사점은 어떻게 볼 수 있습니까?

How can we view the implications of such changes for North Korea?

네, 사실 과소비는 일식주를 해결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Yes, in fact, overspending is a problem among people dealing with Japanese food.

오락거리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It tends to appear as a form of entertainment.

하지만 빈부격차가 심한 이 북한 사회에서

However, in this North Korean society where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is severe

부유층의 이런 과시적 소비는

The ostentatious consumption of the wealthy class

일반 주민들의 소비 심리를 자극하는

Stimulating the consumption sentiment of ordinary residents.

과시효과, 과소비 효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It is leading to conspicuous consumption and excessive spending effects.

이것은 정보와 오락매체에 접근하고자 하는

This is a desire to access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media.

인민들의 욕구로 이어지고 있고요.

It is connected to the desires of the people.

이걸 통해서 북한 내부에서

Through this, within North Korea,

정보화 기기와 판매 시장이 확산이 되고 있습니다.

The market for information technology devices and sales is expanding.

바꿔 말하면 스마트폰과 정보기술 조류소 이용료가 높아

In other words, the usage fee for smartphones and information technology at the aquarium is high.

중산층 이상이 소비해야 되지만

The middle class and above should consume.

북한 주민들 눈에는 또 이런 것을 소비해야만

In the eyes of North Korean residents, they must consume things like this.

부유층이라는 이미지가 있다 보니까

Because there is an image of being wealthy.

경제적 여건이 안 되더라도

Even if the economic conditions are not favorable.

자기 과시적 소비를 통해서

through conspicuous consumption

신분 상승이 되었다는 이 착시효과를 거두게 하고 있습니다.

This illusion of social mobility is being created.

네, 자 오늘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Yes, I will stop listening here for today.

여기서 마무리하고요.

I'll wrap it up here.

다음 시간에는 또 좋은 주제로 여러분을 찾아뵙겠습니다.

Next time, I will meet you with another good topic.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Thank you for your words today.

네, 고맙습니다.

Yes, thank you.

네, 경제와 우리 생활 지금까지 도움 말씀에는

Yes, the economic and our lives have been helpful so far.

남한의 통일연구원 종훈이 연규위원이었습니다.

It was Jeong-hun of the Institute for Unification Education in South Korea.

지금까지 워싱턴에서 RF의 자유야시아 방송 종료입니다.

This is the end of RF's Free Asia broadcast from Washington.

여러분 안녕히 계십시오.

Goodbye, everyone.

Continue listening and achieve fluency faster with podcasts and the latest language learning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