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 가요에 스민 북한 배고픔

RFA

남북문학 이야기

남한 가요에 스민 북한 배고픔

남북문학 이야기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도명학의 남북문학기행 시간입니다.

Hello everyone. This is the time for the North-South Literary Tour of the Do Myung Hak.

저는 진행을 맡은 미국 워싱턴의 홍알봇입니다.

I am Hong Albot from Washington, USA, in charge of the proceedings.

오늘도 서울의 탈북소설가 도명학 작가와 함께 남북문학작품에 대해서 이야기 나눕니다.

Today, we are discussing North-South literary works with the North Korean defector novelist, Do Myung-hak, in Seoul.

선생님 안녕하십니까.

Hello, teacher.

네 안녕하십니까.

Yes, hello.

오늘 소개해 주실 작품은 뭔가요?

What work will you introduce today?

오늘도 노래 한 곡 준비했는데 한국 가수 진성의 오리꼬개입니다.

Today, I have prepared a song, which is "Ori Kko Kae" by the Korean singer Jinseong.

그럼 먼저 노래부터 들어보시겠습니다.

Then, let's listen to the song first.

나나나나나나나

Nanananananana

아야 뛰지마라

Ay, don’t run.

해 꺼질라

The sun is about to set.

가슴 시린 오리꼬개길

The heart-wrenching Orikogae Path

줄인 대작품을 한 바가지 대체 우시던

A masterpiece reduced to a bucket, instead of crying.

그 세월을 어찌

How could that time be?

사셨소

You have lived.

초등목피의 그 시절

The days of elementary school.

바람결에 치워 흩혀갈 때

When the wind sweeps and scatters away.

어머님 서름 잊고 살았던

I lived forgetting the sorrow of my mother.

한마른 보릿고개여

A thin barley ridge

어머님 서름 잊고 살았던

I lived forgetting the sorrow of my mother.

불필이 꼽고 불단

"Burning incense and offering a prayer."

슬픈 곡조는

The sad melody is

어머님의 한숨이었소

It was your mother's sigh.

이 노래의 가사를 요약한다면 어떤 내용의 노래일까요?

What kind of song would it be if you were to summarize the lyrics of this song?

그러니까 배고팠던 옛 시절

So, the old days when I was hungry.

한국

Korea

지금은 한국이 먹을 것이 넘쳐나서

Right now, Korea is overflowing with food.

사람들이 다이어트에 열광하는 수준으로 자르지만

They cut it to the extent that people are enthusiastic about dieting.

그 전엔 배고팠던 시절에 아픈 기억들이 남아있습니다.

Before that, there are painful memories from the times when I was hungry.

특히 그 시절에 어린 자녀들의 작은 대마저 채워줄 수 없어서

Especially because during that time I couldn't even fill the small gaps for my young children.

애간장을 태우던 어머니들의 한숨과 고생을 수억하면서

While bearing the sighs and hardships of mothers who burned with anxiety.

그의 위로 드리는 자식의 마음을 담은 노래라고요.

It's a song that contains the heartfelt feelings of a child offering comfort to their parent.

할 수 있습니다.

You can do it.

보릿고개라고 하면 북한 뿐만 아니라 남한에서도 정말 어려웠던 시기를 가리키는 말이지 않습니까?

When we talk about the "barley ridge," it refers to a truly difficult time not only in North Korea but also in South Korea, doesn't it?

하지만 이제 남한에는 말씀하신 것처럼 보릿고개라는 말이 없어졌는데

But now, in South Korea, as you mentioned, the term "barley ridge" has disappeared.

북한은 아직도 있나요? 어떤가요?

Does North Korea still exist? How is it?

한때는 북한에도 보릿고개라는 말을 쓰고는 했습니다.

Once, there was a saying about a food shortage even in North Korea.

나이 많은 분들, 농촌에서

Older people, in the countryside.

그런데 보릿고개라고 하면

But when it comes to the barley ridge...

말 그대로

Literally

중공기 그러니까 아직 보릿수확을 하기 전에 재를 먹을 것이 없었는데 그때를 가리키는 말인데 북한은 그 시기를 특정하는 것이 지금은 무미해졌습니다. 왜냐하면 신양란이라는 게 보릿고개 시기만 있는 게 아니고 온 한 해 계속되기 때문입니다. 농사가 해마다 한 해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In the past, before the barley harvest, there was nothing to eat, and this term refers to that time, but now in North Korea, the specific timing has become meaningless. This is because the 'new year's hunger' period is not limited to just the barley crisis season; it lasts throughout the entire year. Farming continues year after year.

봄, 여름, 가을, 겨울 다 보릿고개인 셈입니다. 물론 가을에 조금 낫다고는 하지만 그건 농촌에서지 도시 주민들에게는 시장 곡물 가격이 약간 떨어지는 정도의 영향이 있을 뿐이지 배고픔은 일어나지 못합니다.

Spring, summer, fall, and winter all feel like a time of hardship. Of course, it is somewhat better in the fall, but that’s only true for rural areas; for urban residents, the market grain prices may drop slightly, but hunger doesn’t disappear.

그래서인지 보릿고개라는 말을 거의 쓰지 않고 있습니다.

Perhaps that's why the phrase "barley peak" is hardly used anymore.

네. 선생님께서도 북한에 계실 때 보릿고개를 겪으셨는지요. 당시 상황, 굶주린 그 상황을 좀 설명해 주시죠.

Yes. Did you also experience the hardships during the "barley ridge" while you were in North Korea? Could you explain the situation back then, the hunger during that time?

네. 감사합니다.

Yes. Thank you.

다른 직장들은 대개 거의 다 보름 분씩 주는 거로 돼 있습니다. 직장에서 배고표를 한 달에 두 번을 줍니다. 그걸 이제 상순 배고표, 하순 배고표라고 했습니다.

Other workplaces usually give around half a month's salary. The company provides meal vouchers twice a month. These are referred to as the early-month meal voucher and the late-month meal voucher.

그런데 그걸 식량을 타다가 먹다 보게 되면 보름 분 배고량이 꼭 2, 3일 정도 모자랍니다. 양이 충분치 못해가지고.

However, when you use that to eat during the journey, you definitely end up with about 2 or 3 days' worth of food shortage for a half month. The amount is simply insufficient.

그래서 죽을 써먹으면서 다음 배급날을 이렇게 기다리곤 했습니다.

So I was waiting like this for the next distribution day while making do with what little I had.

그래서 그 조절을 잘못하게 되면 다른 집에서 구워먹고 배급하면 그걸 또 갚아주고 그러면 또 모자라서 다시 구워먹는 이런 악순환이 계속되는 집들이 있었는데 그런 집 주부들은 재간살이 못하는 여자라고 욕을 먹었습니다.

So if the adjustment is done incorrectly, families would bake and eat from other households and then have to repay that, which would lead to a cycle of inadequacy and having to bake again. There were families like this, and the housewives in those families were criticized as being women who couldn't manage well.

그 배급마저도 주지 못하게 되면서 1990년대에는 수백만 명이.

As even the distribution of that was not allowed, in the 1990s, millions of people...

아삭아삭했습니다.

It was crunchy.

그 시기에는 보리고기라기보다 풀고기라고 하는 것이 맞을 것 같습니다.

At that time, it would be more accurate to call it grass meat rather than barley meat.

보리는 고소하고 겨울이 빨리 지나서 눈이 높고 산에 풀이 돋아나기를 기다렸으니까요.

Barley is savory and I was waiting for winter to pass quickly so that the snow would melt and the grass would sprout on the mountains.

풀만 나오면 아무 풀이나 다 먹는 판이었습니다.

Whenever there was grass, it was a scene where any grass was eaten.

그때 단어전에 나오는.

The one that comes before the word at that time.

풀은 뭐나 다 먹을 수.

Grass can eat anything.

있다고 복이 없기 때문에 그런 말들을 했는데 저는 그때 풀까지 뜯어 먹진 못했지만 한 사흘 정도 굶어 먹은 게 몇 번 되는데 그때마다 어떻게 운좋게 돈이든 쌀이든 살아나곤 했지만 배고픔이 얼마나 비참하고 서러운지는 겪어보지 않고는 다 모릅니다.

I said those words because I didn't have any luck, but while I couldn't eat grass at that time, I did go without food for about three days a few times, and somehow each time I was lucky enough to get money or rice to survive, but unless you experience how miserable and sorrowful hunger is, you cannot fully understand it.

네 그렇군요.

Yes, I see.

자 어느 가정이든 보면은 아버지보다는 어머니가 상대적으로 좀 먹을거리를 구하기 위해서 더욱 마음고생을 하셨던 것 같은데 말이죠.

In any family, it seems that mothers have generally had to struggle more than fathers to provide food.

어머니들은 왜 그러셨던 걸까요.

Why did mothers act that way?

뭐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자녀들 그러니까 식구들 밥그릇을 직접 당당하는 건 그건 어머니들이죠.

Well, it can't be helped that it's the mothers who directly hold the family members' bowls.

밥주걱을 잡는 건 어머니인데 이게 자녀들이 배고파 울게 되면 그 심정이 어떻겠습니까.

It's the mother who holds the rice paddle, but how would she feel when her children cry out of hunger?

물론 아버지들도 마음은 아프지만은 아버지들은 그래도 밖에 나가 돌 수도 있고 직접 밥주걱을 잡는 것이 아니니 조금 덜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Of course, fathers have their hearts aching as well, but since they can still go outside and are not the ones cooking directly, I wonder if it's somewhat less for them.

그러나 치맛자락을 잡고 밥 달라고 칭할대는 아이들과 늘 붙어있는 어머니 입장에서는 어디 도망갈 곳도 없고.

However, when she grabs the hem of her skirt and asks for food, as a mother who is always with the children, there is nowhere to run.

먹을 것이 좀 생겨도 아이들 먹이려면 본인은 굶고 돌아서서 물 한 사발로 줄임대를 달리는 것이.

Even if there is something to eat, in order to feed the children, one ends up starving themselves and running around with just a bowl of water.

네.

Yes.

그게 어머니들이죠.

That's what mothers are.

정말 죄책감이 들죠.

I really feel guilty.

어머니도 생각하면.

If I think of my mother.

노래 가사 중에서 가장 감동을 받으신 부분이 있다면 어딜까요.

Which part of the lyrics touched you the most?

저는 이 노래 가사 중에 아이야 뛰지 마라 배 꺼질라 이 구절과 물 한 바가지 채우시던 그 세월 어찌 사셨소 이 구절이 정말 저의 일입니다.

The phrases "Kids, don't run, your stomach might burst" and "How did you live during those times when you were filling a bucket of water" from this song's lyrics really resonate with my life.

이가기 같아서 가슴이 저리더라고요.

It felt like my heart was aching because I was going there.

아는 게 아니라 제가 배가 고파서 수돗물 마시고 줄임대를 달린 적이 많습니다.

It's not that I know, but I have often run with a jump rope after drinking tap water because I was hungry.

그 심정은 겪어본 사람만 알죠.

Only those who have experienced it know that feeling.

남한테는 그 물을 마시고 줄임대를 달랬다고 말하기도 못하지도 못하고 창피해서 그러니까 또 더 서러웠습니다.

I couldn't tell others that I drank that water and was comforted by the shortening strap, and I felt embarrassed, which made me even more sorrowful.

그리고 아이야 뛰지 마라 배 꺼질라 이 소리는.

And hey, don't run, or you'll get a stomach ache, that's what it means.

저희 할머니가 자주 하던 얘기입니다.

This is a story my grandmother used to tell often.

앞에서 얘기했던 배급살이 거의 떨어지면 죽을 먹어야 하는데

When the rations I mentioned before are almost gone, I have to eat something else.

죽을 먹은 손자들이 뭔 모르고 막 뛰놀게 되면 할머니는 야 그러다 배가 꺼질까?

When the grandsons, who have eaten, start playing wildly without knowing any better, the grandmother will say, "Hey, what if your stomach hurts?"

뭐 그리고 걱정됐던 거죠.

Well, I was worried about it.

또 1990년대에 대항하사가 발생하던 시기 제가 잠시 머물던

Also, during the 1990s, when the anti-communist movement was occurring, I was staying for a while.

함경북도 길추궁의 한 주민 집에서 그런 이야기를 듣곤 했습니다.

I heard such stories from a resident's house in Gilju, North Hamgyong Province.

그 집이 아주 힘들게 자라는데 대충 비닐을 떼온 그 집 애들이

The kids from that house, who have grown up very hard, just tore off some plastic.

밖에 나가서 도래 친구들과 마구 뛰어노는 것을 보고 뛰지 말라고

Don’t run around outside and play wildly with your friends.

그러다 배 꺼진다고 말하고 또 어린 꼬마가 떼를 쓰면서

Then they say the boat is sinking, and the little kid is throwing a tantrum.

울면 그만 울어라 그러다 배고파진다면서 달래던 모습이 눈에 선합니다.

I can still vividly remember how you used to comfort me by saying to stop crying, claiming that it would only make me hungry.

이 노래를 북한 주민들이 듣는다.

The residents of North Korea listen to this song.

어떤 반응을 보일까요?

What kind of reaction will it show?

그때 그 과거에 대한 위로를 느낄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I think it might be something that allows us to feel comfort about that past.

네. 이제 마칠 시간이 거의 다 됐는데요.

Yes. It’s almost time to wrap things up.

전체적인 감상평을 부탁드립니다.

Please provide an overall impression.

네. 전체적인 감상평을 얘기한다면

Yes. If I were to share my overall impression,

이 노래는 이미 배고픔이 과거가 된 후에라야

This song is only after hunger has become a thing of the past.

슬픈 추억에 대한 위로가 되는 노래도 들릴 것 같습니다.

I think I will hear songs that comfort sad memories.

다행히도 대한민국은 이미 배고픈 시대가 지났고

Fortunately, the Republic of Korea has already passed the era of hunger.

지금은 오히려 들수록 적게 먹으려 하는 다이어트에 열광하는 시대입니다.

We are now in an era where people are increasingly enthusiastic about diets that aim to eat less.

흔히 이런 말이 있습니다.

There is a common saying.

오늘은 비록 고생스럽더라도 이 모든 걸 이겨놓고

Although today is tough, let's overcome all of this.

훗날 오늘을 연말할 때가 있을 거다 이렇게요.

There will be a day in the future when we will reminisce about today.

아닌 게 아니라 한국이 누리고 있는 현재의 풍요가 그 시점이 아니겠습니까.

Isn't it true that the current prosperity that Korea is enjoying is because of that moment?

이미 지난 얘기니까 노래할 수 있는 거지

It's a story that's already past, so I can sing about it.

현재도 배가 고프다면 가뜩이나 힘든 상황에

If you're still hungry right now, it adds to an already difficult situation.

이 노래가 목구멍에서 식힐 수 있는 것 같아요.

I feel like this song can cool down in my throat.

그래서 저는 이 노래를 들을 때면 배고프던 보리고게가 옛말이 되어버린 현재의 한국 상황이 얼마나 다행스럽고 감사한지 새삼스럽게 느껴보게 됩니다.

So, every time I listen to this song, I can't help but feel grateful and relieved about how the current situation in Korea has transformed from the old tale of the hungry barley farmer.

물론 북한에서의 배를 걸터서 함께 위로가 되는 거고요.

Of course, it's the same comfort to lean on each other in North Korea.

한편으론 이 노래가 먼 훗날에도 한국의 옛 보리고게를 상상해볼 수 있게 하는 역사 기록 중 한 가지가 될 수도 있어요.

On the one hand, this song could become one of the historical records that allows us to imagine Korea's old barley fields even in the distant future.

역사 기록 중 한 가지가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I think it could be one of the historical records.

도명화극의 남북문학기행 오늘 준비한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The content we have prepared for today's North-South Literary Journey of Doyounghwa is here.

선생님 오늘도 수고 많으셨습니다.

Thank you for your hard work today, teacher.

네 수고하셨습니다.

Yes, you worked hard.

끝까지 함께해 주신 청취자 여러분 고맙습니다.

Thank you to all the listeners who stayed with us until the end.

안녕히 계십시오.

Goodbye.

한글자막 by 한효주

Korean subtitles by Han Hyo-joo

Continue listening and achieve fluency faster with podcasts and the latest language learning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