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탈주민, 아프리카에 기부를

RFA

탈북여성 남한정착기

북한이탈주민, 아프리카에 기부를

탈북여성 남한정착기

이 시각 세계였습니다.

This is the world at this moment.

이순희 씨, 안녕하세요.

Hello, Ms. Lee Soon-hee.

네, 안녕하세요.

Yes, hello.

네, 오늘은 어떤 이야기를 들려주실 건가요?

Yes, what story will you tell today?

네, 오늘은 북한의 협력국이지만 우리 남한에서는 후원을 받는 나라인 여러 아프리카 국가들에 대해서 얘기해 보려고 해요.

Yes, today I would like to talk about several African countries that receive support from us in South Korea, even though they are allies of North Korea.

제가 북한에 있을 때도 북한이 아프리카와 교류와 협력에 엄청 열심히 했던 기억이 나요.

I remember that even when I was in North Korea, North Korea was very active in exchanging and cooperating with Africa.

북한 노동자들이 아프리카에서 일하면서 불법 외벌이를 하고 있다는 소식도 들려와 보여요.

There are reports that North Korean workers are illegally earning money while working in Africa.

네, 여러 아프리카 국가들이 북한에게 외교적으로 참 중요한 국가라는 걸 알 수 있는데요.

Yes, it is clear that several African countries are diplomatically important to North Korea.

오히려 반대로 남한에 와서 이 나라들의 관심을 갖게 된 이유가 따로 있다고요?

On the contrary, is there a specific reason why coming to South Korea has sparked an interest in these countries?

네, 제가 아는, 저와 같이 대구에서 살던 한 탈북민이 지금 서울에 살고 있는데

Yes, I know a North Korean defector who used to live in Daegu like me and is now living in Seoul.

네.

Yes.

그분이 아프리카 사는 한 가정에 후원하고 있다고요.

He is sponsoring a family living in Africa.

네.

Yes.

그 탈북민도 솔직히 혼자 아이를 키우면서 외벌이를 하면서도 열심히 살고 있거든요.

That defector is honestly working hard while raising a child alone and being the sole breadwinner.

그런데 아프리카의 한 나라에 사는 일가족이 본인보다 더 힘든 상황이지 않냐면서 매달 5만 원씩 보내고 있더라고요.

By the way, a family living in a country in Africa is sending 50,000 won every month, saying that there are people in even tougher situations than themselves.

북한에서는 외벌이를 하러 가는 나라에 후원을 해주고 있다니 하면서 새삼스럽게 좀 여명한 기분이 들었어요.

I felt somewhat enlightened to learn that North Korea provides support to countries where people go to work as the main breadwinner.

네.

Yes.

그래서 이제는 많은 남한 사람들이 아프리카 국가의 어려운 사람들에게 후원을 보내고 있어요.

So now, many people in South Korea are sending support to the underprivileged in African countries.

그중에서도 우리 탈북민도 함께 거기에 동참하고 있다니까 참 자랑스럽기도 했죠.

Among them, I felt really proud that we North Korean defectors are also participating there.

네.

Yes.

그러니까 주변 지인분의 봉사와 후원을 계기로 아프리카 국가들에 더 관심을 갖게 됐다는 거군요.

So, you're saying that the volunteer work and support from someone you know led you to become more interested in African countries.

그러면 남한에서 이 사람들은 아프리카 아이들에게 어떤 방식으로 후원해주고 있나요?

So how are these people in South Korea sponsoring children in Africa?

제가 아는 한 남한 분은 초등학교 교사였다가 지금은 70이 넘어가지고 집에서 쉬고 있어요.

A South Korean person I know was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but now that they are over 70, they are resting at home.

그런데 그분은 아프리카에 있는 한 가정의 아이들에게 6년 채 돈을 보내고 있다고 해요.

However, he has been sending money to the children of a family in Africa for six years.

자기는 그 아이를 한 번도 본 적이 없대요.

They say they have never seen the child.

그냥 후원 기간을 통해서 매달 몇십만씩 정기적으로 후원을 해주고 심지어 도움을 주는 아이들에게 가끔 고맙다는 편지를 받기도 하니 유대감이 생겨요.

Just through the sponsorship period, I regularly support with several hundred thousand (won) each month, and I even occasionally receive thank-you letters from the kids I help, which creates a sense of bond.

유대감이 생겨요.

A bond is formed.

그 후원 덕분에 아이가 학교에 다니는 모습을 사진으로 보내왔는데 그걸 보고 눈물을 흘리기도 했대요.

Thanks to that donation, the child sent a photo of themselves attending school, and it made me cry when I saw it.

그 아이가 어렸을 때는 당장 먹을 것이 없어 쓰러지는 상황이었는데 매달 자기가 보낸 후원으로 건강하게 자라고 또 학교까지 보낸다고 하니까 정말 뿌듯했다고 해요.

When that child was younger, there were times when they collapsed due to not having anything to eat, but I feel really proud to hear that they are growing up healthy and have even been sent to school thanks to the monthly sponsorship I sent.

또 어떤 경우가 있냐면 여기 한 연예인 가족이 개별적으로 후원을 했었는데 그 아이가 어렸을 때부터 후원을 해서 지금은 결혼한다고요.

There’s also a case where a celebrity's family individually sponsored someone, and that child, who has been supported since they were young, is now getting married.

그 아이가 저렇게 재봉 기술이 있다는 걸 알고 시집가서도 생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필요한 재봉 툴까지 하나 선물했어요.

I knew that the child had such sewing skills, so I even gifted them the necessary sewing tools to help them sustain a living after getting married.

그래서 그 친구가 결혼한 다음에도 그 재봉 툴을 통해서 가게를 열고 영업을 한다는 그거를 이렇게 보내왔더라고요.

So that friend sent me a message saying that even after getting married, they are opening a shop and doing business through that sewing tool.

이거는 제 주변이 아니고 텔레비전에 소개된 사연이거든요.

This is not about my surroundings, it's a story that was featured on television.

그리고 아프리카에 사는 한 아이가 병에 걸렸는데 이렇게 배가 이렇게 맴맘해지고.

And a child living in Africa got sick, and their stomach started to swell like this.

이게 툭툭 터져서 상처가 생겼는데 돈이 없어 치료를 못 받은 거 있었어요.

I got hurt because it burst, but I couldn’t get treated because I didn’t have money.

그때 이 남한 분이 그 아이한테 가서 막 끌어안고 막 울면서 참 가슴 아파했거든요.

At that moment, this South Korean person went to the child, hugged them tightly, and was crying, feeling really heartbroken.

그리고 여기 한국에 와서 그 아이한테 많은 돈을 후원했어요.

And when I came to Korea, I sponsored that child with a lot of money.

그랬더니 그 아이가 큰 병원에 가서 다 치료받고 이분이 보내준 그 후원금으로 가게까지 차려가지고 생계까지 유지하는 모습이 아프리카 후원을 중개해주는 기간에서.

Then, that child went to a large hospital, received all the treatment, and with the sponsorship money sent by this person, set up a shop and is now maintaining a livelihood, all through the organization that mediates support for Africa.

그 아이가 병을 치료하고 학교에서 뛰어노는 모습을 USB에 담아서 후원자에게 보내주니까 너무나도 놀라서 어머나 어머나 하면서 기뻐하는 얼굴을 보았어요.

I was so amazed to see the sponsor's face filled with joy, exclaiming "Oh my, oh my," when they received the USB containing footage of the child being treated for illness and playing at school.

그런데 사실 아프리카 아이들을 후원해주는 건 너무 좋지만 물리적으로는 굉장히 먼 나라잖아요.

However, it's great to sponsor children in Africa, but it's a very distant country physically.

지나가면서 보기는 어려운 그런 거리인데 그러면 사정이 어려운 아이들에게 후원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It’s a street that’s hard to notice while passing by, so how can we support children in difficult situations?

그런데 세계적인 자산기구들이 많아요.

However, there are many global asset management companies.

예를 들면 유니세프, 월드비전 등이 있어요.

For example, there are organizations like UNICEF and World Vision.

또 우리 여기 한국에는 굿네이버스, 철호우산 등 남한에서 시작된 자산단체들도 있어요.

There are also asset organizations that originated in South Korea, such as Good Neighbors and Cheol-ho's Umbrella.

정말 많은 남한 분들이 이런 자산단체들을 통해서 후원금을 내고 있거든요.

Many people in South Korea are donating through these asset organizations.

예전에는 텔레비전 광고로 어려운 아이들을 토하달라는 광고가 나왔고 그 광고로 표시된 전화로 후원 방법을 문의하기도 했는데요.

In the past, there was a television commercial asking to support disadvantaged children, and people would inquire about sponsorship methods using the phone number displayed in that ad.

요즘에는 인터넷 세대다 보니까 다들 인터넷을 통해서 후원하는 걸 신청해요.

These days, since it's the internet generation, everyone applies for sponsorship through the internet.

해당 자산단체 일사이트에 들어가 보면요.

If you go to the website of the relevant asset management organization...

빈곤이나 학대에 시달리는 아이들을 1대1로 후원해줄 수 있다고 해요.

They say you can sponsor children suffering from poverty or abuse one-on-one.

또 식수나 교육사업 같은 분야를 선택해서 기부할 수도 있어요.

You can also choose to donate in areas such as drinking water or education projects.

그 아이들에게 무엇이 가장 필요한가 고민해보고 스스로 후원할 분야를 선택하는 거예요.

Think about what those children need the most and choose the area you want to sponsor on your own.

네. 말씀하신 것 중에 물 부족 관련한 얘기도 있었는데 아프리카의 건조한 기후 때문에 많은 국가들이 물 부족 문제를 겪고 있죠.

Yes. Among what you mentioned, there was also talk about water scarcity, and many countries are experiencing water shortage issues due to Africa's dry climate.

그러면 그 식수 해결과 관련한 분야는 어떻게 도와주고 있나요?

So, how are you helping with the areas related to solving the drinking water issue?

네. 아프리카에서 계속 몇 대째 비가 안 내리고 강물이 다 울고 도수시가 쭉쭉 갈라지고 이런 심각한 지역에서는

Yes. In Africa, it has not rained for several generations, and the rivers are crying, and in such serious areas, the riverbanks are splitting apart.

가족 구성원 중에 한두 명이 두 시간씩이나 걸어가서 이렇게 물을 기러오는데 그것도 이렇게 옛날에 강이던 그 모래 바닥을 파서 흙탕물이 나오는 걸 조그만 컵을 퍼서 물덩이에 익어오는 그런 게 나오더라고요.

One or two family members walk for two hours to fetch water like this, and it turns out that by digging the sandy riverbed from back in the day, muddy water comes out, which they scoop up with a small cup to bring home.

네.

Yes.

남한의 국가들이 아프리카의 물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는데요.

South Korean countries are making various efforts to address water shortages in Africa.

남한의 한 단체는 그런 아프리카에 우물을 파주기도 해요.

A group in South Korea digs wells for such places in Africa.

기술이나 자금이 부족해서 우물 없이 살아가는 주민들을 위해서 맑은 샘물을 마음껏 마실 수 있게 도와주는 거죠.

It helps residents who live without a well due to a lack of technology or funds to freely drink clean spring water.

네. 그러면 이렇게 저희가 앞서 살펴본 것처럼 개인이나 단체 차원이 아닌 남한 정부 차원에서 이 같은 후원이 있을까요?

Yes. Then, as we have examined earlier, is there such sponsorship at the level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rather than at the individual or organizational level?

물론 있죠.

Of course there is.

남한도 한국전쟁이 끝나고 난 후에 꽤 오랜 기간 빈곤국으로 세계자손단체들에서 후원받았어요.

South Korea received support from international organizations for quite a long time after the Korean War ended.

그동안 수많은 남한 국민들이 희생과 기술적인 발전이 있었기 때문에 남한이 이렇게 선진국 관열이 오를 수 있었던 것 같아요.

I think South Korea has been able to rise to the ranks of advanced countries because of the sacrifices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s of countless South Korean citizens over the years.

그래서 남한 정부에서도 과거에 후원받았던 고마움을 잊지 않고 분검국을 많이 돕고 있어요.

So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lso remembers the gratitude from the past and is helping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a lot.

특히 기술적인 부문을 많이 도와주는데요.

It particularly helps a lot with the technical aspects.

사람이 살아가는 데서 가장 중요한 것이 먹는 문제잖아요.

The most important thing in a person's life is the issue of food.

그래서 남한 정부는 아프리카 나라들의 한국 통일비어 종자를 구나라 기후와 토양에 맞게 개량해서 쌀 농사 지는 걸 도와주고 있어요.

So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s helping African countries by improving Korean rice varieties to suit their climates and soils.

예를 들어서 아프리카의 따뜻한 기후를 이용해서 한 해에 한 번밖에 농사를 짓지 못하던 지역에 기술을 전파해서 한 해에 두 번씩 농사를 질 수 있게 가르쳐주는 거죠.

For example, by utilizing Africa's warm climate, we can spread technology to areas that used to be able to farm only once a year, teaching them to farm twice a year instead.

또 한국과 아프리카 기후가 기본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지역에 맞는 종자를 개발하기 위해서 계속 연구하기로.

Additionally, because the climate in Korea and Africa is fundamentally different, we will continue to research in order to develop seeds suitable for the region.

모두 대가를 받지 않고 하는 활동이죠.

It's an activity that everyone does without receiving compensation.

특히 가나에서는 종자 300톤을 전해줘서 첫 결실을 맺었다고도 해요.

It is said that especially in Ghana, 300 tons of seeds were delivered, leading to the first harvest.

이외에도 감비아라든가 세네갈 등도 남한 정부의 이런 후원을 많이 받았다고 해요.

Additionally, it is said that countries like Gambia and Senegal also received a lot of such support from the South Korean government.

네, 정말 다양한 아프리카 국가들이 남한 정부의 후원을 받고 있는 것 같은데

Yes, it seems that a wide variety of African countries are receiving support from the South Korean government.

그런데 그 농업에는 말씀하신 종자 이런 것뿐 아니라 다양한 농기계들도 필요하잖아요.

However, in agriculture, various farming equipment is also needed, not just seeds as you mentioned.

이와 같은 것들도 지원하고 있나요?

Are you supporting things like this as well?

그렇죠. 농기계들도 기술 분야에 속하잖아요.

That's right. Agricultural machinery also falls under the technology sector.

경운기라든가 트랙터로부터 시작해서 곡물을 가공하는 증미소나 농약을 뿌리는 드론 등 농업에 정말 다양한 기술이 필요한데요.

Starting from seeders and tractors, there are really various technologies needed in agriculture, such as grain processing facilities and drones for spraying pesticides.

인간 노동력으로는 한계가 있잖아요.

There are limitations to human labor.

그래서 남한에서는 이런 기계를 지원해주기도 하고 기술을 알려주기도 하는데요.

So in South Korea, they also provide support for such machines and share technology.

비료를 기부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요.

It's not just about donating fertilizer.

직접 비료 공장을 건설하기도 했어요.

They even built a fertilizer factory themselves.

또 아프리카의 많은 나라 국민들이.

Many citizens of African countries as well.

직접 이 농업 기술을 배우기 위해서 유학을 오기도 해요.

Some even come abroad to learn this agricultural technology directly.

남한의 비료 재배 기술이 전 세계에서 한 손에 꼽힐 만큼 굉장한 선진국이라고 해요.

They say South Korea is an amazing developed country with fertilizer cultivation technology that is among the best in the world.

북한에서 자주 쓰는 말인 자급자족이란 말이 있어요.

There is a saying often used in North Korea called self-sufficiency.

바로 아프리카 국가들이 자급자족할 수 있도록 남한에서 도와주고 있는 거죠.

It is South Korea that is helping African countries to become self-sufficient.

북한에서는 맨날 자급자족해야 한다는 표어만 내걸고 주민들을 더 힘든 환경에 몰아넣고만 있는데요.

In North Korea, they only hang slogans about self-sufficiency while pushing the residents into even tougher environments.

이렇게 외부로부터 선진 기술을 받아들여서.

By embracing advanced technology from outside.

주민들이 조금이라도 어깨 유심을 내려놓고 식량 부족이 시달리지 않도록 했으면 좋겠어요.

I hope the residents can relax their shoulders a little and not suffer from food shortages.

네 이순희 씨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Yes, thank you for your words today, Lee Soon-hee.

네 여러분 다음 시간에 또 뵐게요.

Yes, everyone, I'll see you again next time.

네 청진 아줌마의 남한 생활 이야기.

The story of your 청진 aunt's life in South Korea.

오늘은 한국 대구에 있는 이순희 씨를 전화로 연결해 남한의 아프리카 후원에 대해 전해드렸습니다.

Today, I connected via phone with Ms. Lee Soon-hee in Daegu, South Korea, to discuss the support for Africa from South Korea.

지금까지 진행해는 워싱턴에서 RFA 자유아시아 방송 박수현입니다.

This is Park Soo-hyun from RFA Radio Free Asia reporting from Washington so far.

감사합니다.

Thank you.

Continue listening and achieve fluency faster with podcasts and the latest language learning research.